KR20200118993A - Wireless charging coil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 Google Patents

Wireless charging coil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8993A
KR20200118993A KR1020190041234A KR20190041234A KR20200118993A KR 20200118993 A KR20200118993 A KR 20200118993A KR 1020190041234 A KR1020190041234 A KR 1020190041234A KR 20190041234 A KR20190041234 A KR 20190041234A KR 20200118993 A KR20200118993 A KR 20200118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wireless charging
unit
terminal
coil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2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성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1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8993A/en
Publication of KR20200118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899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Provided is a wireless charging coil including a first coil unit and a second coil unit connected to each other and having a structure symmetrical to each other. The first coil unit and the second coil unit may have a structure which is parallel or inclined with respect to a reference plan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charging coil capable of securing a uniform wireless charging area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Description

무선충전코일 및 무선충전장치{Wireless charging coil and wireless charging device}Wireless charging coil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실시예는 무선충전코일 및 무선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 wireless charging coil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휴대폰, 노트북과 같은 휴대용 단말은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와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위한 회로를 포함한다. 이러한 단말의 배터리가 충전되려면, 외부의 충전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야 한다. Portab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and notebook computers include batteries for storing power and circuits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batteries. In order to charge the battery of such a terminal, power must be supplied from an external charger.

일반적으로 배터리에 전력을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장치와 배터리 간의 전기적 연결방식의 일 예로,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에 대응하는 전압 및 전류로 변환하여 해당 배터리의 단자를 통해 배터리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단자공급방식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단자공급방식은 물리적인 케이블(cable) 또는 전선의 사용이 동반된다. 따라서 단자공급방식의 장비들을 많이 취급하는 경우, 많은 케이블들이 상당한 작업 공간을 차지하고 정리가 곤란하며 외관상으로도 좋지 않다. 또한 단자공급방식은 단자들간의 서로 다른 전위차로 인한 순간방전현상, 이물질에 의한 소손 및 화재 발생, 자연방전, 배터리의 수명 및 성능 저하 등의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In general, as an example of an electrical connection method between a charging device for charging power to a battery and a battery, a terminal that receives commercial power and converts it into voltage and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and supplies electrical energy to the battery through the terminal of the battery. The supply method is mentioned. This terminal supply method is accompanied by the use of a physical cable or wire. Therefore, when a lot of terminal-supplying equipment is handled, many cables take up considerable work space, are difficult to organize, and are not good in appearance. In addition, the terminal supply method may cause problems such as instantaneous discharge due to different potential differences between terminals, burnout and fire, natural discharge, and deterioration of battery life and performance.

최근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방식을 이용한 충전시스템(이하 “무선충전시스템”이라 칭함.)과 제어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또한, 무선충전시스템이 과거에는 일부 휴대용 단말에 기본 장착되지 않고 소비자가 별도 무선충전 수신기 액세서리를 별도로 구매해야 했기에 무선충전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낮았으나 무선충전 사용자가 급격히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단말 제조사에서도 무선충전 기능을 기본 탑재할 것으로 예상된다. Recently,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charging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control methods using a method of transmitting power wirelessly have been proposed. In addition, wireless charging systems were not basically installed in some portable terminals in the past and consumers had to purchase separate wireless charging receiver accessories, so the demand for wireless charging systems was low, but the number of wireless charging users is expected to increase rapidly. It is expected to be equipped with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as standard.

실시예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embodiment aims to solve the above and other problems.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새로운 구조의 무선충전코일 및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한다.Another object of the embodiment is to provide a wireless charging coil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of a new structure.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충전영역을 확대시킬 수 있는 무선충전코일 및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한다.Another object of the embodiment is to provide a wireless charging coil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capable of expanding a wireless charging area.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균일한 무선충전영역을 확보할 수 있는 무선충전코일 및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한다. Another object of the embodiment is to provide a wireless charging coil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capable of securing a uniform wireless charging area.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자기장의 세기를 증진시킬 수 있는 무선충전코일 및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한다.Another object of the embodiment is to provide a wireless charging coil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capable of enhancing the strength of a magnetic field.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무선충전코일은,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코일부; 및 상기 제1 코일부에 연결되고,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코일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코일부와 상기 제2 코일부는 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코일부와 상기 제2 코일부는 기준면에 대해 평행하거나 경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embodiment to achieve the above or other objects, the wireless charging coil includes: a first coil unit disposed on one side; And a second coil part connected to the first coil part and disposed on the other side. The first coil part and the second coil part may have a structure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a reference line. The first coil part and the second coil part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parallel or inclined with respect to a reference plane.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무선충전장치는, 차폐재; 및 상기 차폐재 상에 배치되는 무선충전코일을 포함한다. 상기 무선충전코일은, 상기 차폐재의 제1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제1 코일부; 상기 제1 코일부에 연결되고, 상기 차폐재의 제2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제2 코일부; 상기 제1 코일부의 외측과 상기 제2 코일부의 외측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코일부의 내측과 상기 제2 코일부의 내측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코일부와 상기 제2 코일부는 상기 제1 코일도선 또는 상기 제2 코일도선의 직경의 3배 내지 5배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코일부와 상기 제2 코일부는 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코일부와 상기 제2 코일부는 기준면에 대해 평행하거나 경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embodiment, a wireless charging device, a shielding material; And a wireless charging coil disposed on the shielding material. The wireless charging coil includes: a first coil unit disposed on a first area of the shielding material; A second coil part connected to the first coil part and disposed on a second area of the shielding material; A first connection part connecting an outside of the first coil part and an outside of the second coil part;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inside of the first coil part and the inside of the second coil part. The first coil part and the second coil part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3 to 5 times the diameter of the first coil conductor or the second coil conductor. The first coil part and the second coil part may have a structure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a reference line. The first coil part and the second coil part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parallel or inclined with respect to a reference plane.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코일 및 무선충전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wireless charging coil 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서로 연결되고 서로 대칭적인 구조를 갖는 제1 코일부와 제2 코일부가 기준면에 대해 경사지어 배치됨으로써, 무선충전영역을 확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the first coil unit and the second coil unit,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have a symmetrical structure, are dispose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lane, so that a wireless charging area can be enlarged.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서로 연결되고 서로 대칭적인 구조를 갖는 제1 코일부와 제2 코일부가 기준면에 대해 경사지어 배치됨으로써, 균일한 무선충전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uniform wireless charging area can be secured by arranging the first coil unit and the second coil unit connected to each other and having a symmetrical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lane.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서로 연결되고 서로 대칭적인 구조를 갖는 제1 코일부와 제2 코일부가 기준면에 대해 경사지어 배치됨으로써, 자기장의 세기를 증진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the first coil unit and the second coil unit connected to each other and having a structure symmetrical to each other are dispose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lane, thereby improving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1 코일부의 외측과 제2 코일부의 외측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와 제1 코일부의 내측과 제2 코일부의 내측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에 커넥터에 연결됨으로서, 커넥터와의 연결 구조가 단순하고 전원공급이 용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a connector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coil part and the outside of the second coil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coil part and the inside of the second coil part By being connected to,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nnection structure with the connector is simple and power supply can be easily.

실시예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실시예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embodiments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However,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embodiments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should be understood as being given by way of example only.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송신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무선전력송신기와 연동되는 무선전력수신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송신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코일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코일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확대도이다.
도 8은 제1 코일부와 제2 코일부가 하부 방향을 향해 기울어진 모습을 도시한다.
도 9는 제1 코일부와 제2 코일부가 상부 방향을 향해 기울어진 모습을 보여준다.
도 10은 비교예의 자기장의 세기를 도시한다.
도 11 내지 도 19는 실시예에서 제1 코일부와 제2 코일부의 경사각에 따른 자기장의 세기를 도시한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wireless power receiver interlocked with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ccording to FIG. 2.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plan view showing a wireless charging c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bottom view showing a wireless charging c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n enlarged view of FIG. 6.
8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il unit and the second coil unit are inclined toward a lower direction.
9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il part and the second coil part are inclined toward the upper direction.
10 shows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of the comparative example.
11 to 19 show the strength of a magnetic field according to inclination angles of the first coil part and the second coil part in an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B 및(와)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 뿐만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 뿐만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om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constituent elements may be selectively selected between the embodiments. It can be combined with and substituted for use. In addition,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explicitly defined and described. It can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terms generally used,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may be interpreted in consideration of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In addition,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may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nd when described as “at least one (or more than one) of B and (and) C”, it may be combined with A, B, and C. It may contain one or more of all possible combinations. 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by the term. And,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connected','coupled' or'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lso the component and The case of being'connected','coupled', or'connected' due to another element between the other elements may also be included. In addition, when i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r disposed in the "top (top) or bottom (bottom)" of each component, the top (top) or bottom (bottom) is one as well as when the two compon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It also includes a case in which the above other component is formed or disposed between the two components.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upper (upper) or lower (lower)", the meaning of not only an upward direction but also a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may be included.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무선 전력 충전 시스템상에서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장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무선 전력 송신기, 송신단, 송신기, 송신 장치, 송신측,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무선 전력 전송기, 무선충전장치 등을 혼용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장치에 대한 표현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무선 전력 수신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무선 전력 수신기, 수신 단말기, 수신측, 수신 장치, 수신기 단말 등이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the apparatus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on the wireless power charging system is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 transmitting end, a transmitter, a transmitting device, a transmitting side, and a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charging device, etc. will be used in combination. In addition, as an expression for a device that receives wireless power from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wireless power receiver, a wireless power receiver, a wireless power receiver, a wireless power receiver, a receiver terminal, a receiver, a receiver, a receiver Terminals and the like may be used interchangeably.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패드 형태, 거치대 형태, AP(Access Point) 형태, 소형 기지국 형태, 스텐드 형태, 천장 매립 형태, 벽걸이 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송신기는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전력을 전송할 수도 있다.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composed of a pad type, a cradle type, an AP (Access Point) type, a small base station type, a stand type, a ceiling embedding type, a wall mounting type, etc., and one transmitter receives a plurality of wireless power. It can also transmit power to the device.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는 통상적으로 책상이나 탁자 위 등에서 놓여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용으로도 개발되어 적용되어 차량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차량에 설치되는 무선 전력 송신기는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고정 및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can be used not only by being placed on a desk or a table, but also being developed and applied for automobiles and used in a vehicle.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nstalled in the vehicle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radle that can be conveniently and stably fixed and mounted.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player, 전동 칫솔, 전자 태그, 조명 장치, 리모콘, 낚시찌 등의 소형 전자 기기 등에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아니하며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수단이 장착되어 배터리 충전이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 기기(이하, "디바이스"라 칭함.)라면 족하고, 단말 또는 디바이스라는 용어는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는 차량, 무인 항공기, 에어 드론 등에도 탑재될 수 있다.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system, an MP3 player, and an electric device. It may be used for small electronic devices such as toothbrushes, electronic tags, lighting devices, remote controls, floats,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obile device devices capable of charging batteries by mounting a wireless power receiving mea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ereinafter, "device" It is sufficient if it is called.), and the terms terminal or device may be used interchangeably.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also be mounted on a vehicle, an unmanned aerial vehicle, or an air drone.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이 구비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동시에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은 상기 전자기 유도 방식, 전자기 공진 방식, RF 무선 전력 전송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전력 시스템을 구성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와 무선 전력 수신기는 인밴드 통신 또는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여기서, 인밴드 통신, BLE 통신은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방식, 주파수 변조 방식, 위상 변조 방식, 진폭 변조 방식, 진폭 및 위상 변조 방식 등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수신기는 수신 코일을 통해 유도된 전류를 소정 패턴으로 ON/OFF 스위칭하여 궤환 신호(feedback signal)를 생성함으로써 무선 전력 송신기에 각종 제어 신호 및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는 수신 전력 세기 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전력 송신기는 수신 전력 세기 정보에 기반하여 충전 효율 또는 무선전력전송효율(또는 무선충전효율)을 산출할 수 있다.The wireless power recei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equipped with at least on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and may simultaneously receive wireless power from two or more wireless power transmitters. Her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electromagnetic resonance method, and R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In general,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constituting a wireless power system may exchange control signals or information through in-band communication or Bluetooth Low Energy (BLE) communication. Here, in-band communication and BLE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using a pulse width modulation method, a frequency modulation method, a phase modulation method, an amplitude modulation method, an amplitude and a phase modulation method,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wireless power receiver may transmit various control signals and information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by switching ON/OFF the current induced through the receiving coil in a predetermined pattern to generate a feedback signal.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wireless power receiver may include various state information including received power strength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may calculate charging efficiency 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or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based on the received power intensity information.

<무선 충전 시스템><Wireless charging system>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시스템은 크게 무선으로 전력을 송출하는 무선 전력 송신단(10), 상기 송출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단(20) 및 수신된 전력을 공급 받는 전자기기(30)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is largely composed of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 for transmitting power wirelessly, a wireless power receiver 20 for receiving the transmitted power, and an electronic device 30 receiving received power. Can be configured.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단(10)과 무선 전력 수신단(20)은 무선 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동작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인밴드(In-ban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무선 전력 송신단(10)과 무선 전력 수신단(20)은 무선 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동작주파수와 상이한 별도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대역외(Out-of-band)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 may perform in-band communication for exchang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frequency band as the operating frequency used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s another example,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end 10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end 20 perform out-of-band communication for exchanging information using a separate frequency band different from the operating frequency used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You can also do it.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단(10)과 무선 전력 수신단(20) 사이에 교환되는 정보는 서로의 상태 정보뿐만 아니라 제어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송수신단 사이에 교환되는 상태 정보 및 제어 정보는 후술할 실시예들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For example, information exchanged betwee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 may include control information as well as state information of each other. Here, the state information and control information exchanged between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ends will be more clear through description of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인밴드 통신 및 대역외 통신은 양방향 통신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않으며,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단방향 통신 또는 반이중 방식의 통신을 제공할 수도 있다.In-band communication and out-of-band communication may provid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in other embodiments, one-way communication or half-duplex communication may be provided.

일 예로, 단방향 통신은 무선 전력 수신단(20)이 무선 전력 송신단(10)으로만 정보를 전송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무선 전력 송신단(10)이 무선 전력 수신단(20)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일 수도 있다.As an example, the one-way communication may be that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 transmits information only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 provides information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 It may be to transmit.

반이중 통신 방식은 무선 전력 수신단(20)과 무선 전력 송신단(10) 사이의 양방향 통신은 가능하나, 어느 한 시점에 어느 하나의 장치에 의해서만 정보 전송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In the half-duplex communication method,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end 20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end 10 is possible, but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only by any one device at any one time.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단(20)은 전자 기기(30)의 각종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전자 기기(30)의 상태 정보는 현재 전력 사용량 정보, 실행중인 응용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CPU 사용량 정보,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 배터리 출력 전압/전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전자 기기(30)로부터 획득 가능하고, 무선 전력 제어에 활용 가능한 정보이면 족하다.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obtain various stat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30. As an example,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30 may include current power usage inform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n application being executed, CPU usage information, battery charging status information, battery output voltage/current information, etc. It is not possible, and information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30 and utilized for wireless power control is sufficient.

<무선전력송신기><Wireless power transmitter>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송신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무선전력송신기(200)는 크게, 전력 변환부(210), 전력 전송부(220), 통신부(230), 제어부(240), 센싱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무선전력송신기(200)의 구성은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Referring to FIG. 2,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may be largely configured to include a power conversion unit 210, a power transmission unit 220, a communication unit 230, a control unit 240, and a sensing unit 250. .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is not necessarily an essential configuration, a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more or less component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변환부(210)는 전원부(26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이를 소정 세기의 전력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when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260, the power conversion unit 210 may perform a function of converting the power to a predetermined strength.

이를 위해, 전력 변환부(210)는 전원부(260)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무선 송신용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power conversion unit 210 may convert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260 into power for wireless transmission.

전력 전송부(220)는 다중화기(221)(또는 멀티플렉서), 송신 코일(2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력 전송부(220)는 전력 전송을 위한 특정 동작주파수를 생성하기 위한 반송파 생성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220 may include a multiplexer 221 (or multiplexer) and a transmission coil 222. In additio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20 may further include a carrier wave generator (not shown) for generating a specific operating frequency for power transmiss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전송부(220)는 전력변환부(210)의 출력 전력이 송신 코일에 전달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다중화기(221)와 복수의 송신 코일(222)-즉, 제1 내지 제n 송신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20 includes a multiplexer 221 and a plurality of transmission coils 222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the output power of the power conversion unit 210 to the transmission coil.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to nth transmission coil.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40)는 복수의 무선전력수신기가 연결된 경우, 송신 코일 별 시분할 다중화를 통해 전력을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전력송신기(200)에 3개의 무선전력수신기-즉, 제1 내지 3 무선전력수신기-가 각각 3개의 서로 다른 송신 코일-즉, 제1 내지 3 송신 코일-을 통해 식별된 경우, 제어부(240)는 다중화기(221)를 제어하여, 특정 타임 슬롯에 특정 송신 코일을 통해 전력이 송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송신 코일 별 할당된 타임 슬롯의 길이에 따라 해당 무선전력수신기로 전송되는 전력의 양이 제어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다른 일 예는 송신 코일 별 할당된 타임 슬롯 동안의 증폭기(212) 증폭률을 제어하여 무선전력수신기 별 송출 전력을 제어할 수도 있다.When a plurality of wireless power receivers are connected, the control unit 2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transmit power through time division multiplexing for each transmission coil. For example, when three wireless power receivers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that is, the first to third wireless power receivers-are identified through three different transmission coils-that is, the first to third transmission coils- , The control unit 240 may control the multiplexer 221 to control power to be transmitted through a specific transmission coil in a specific time slot. The amount of power transmitted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time slot allocated for each transmission coil, but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nd another example is an amplifier during a time slot allocated for each transmission coil. (212) By controlling the amplification factor, the transmitted power for each wireless power receiver may be controlled.

제어부(240)는 제1차 감지 신호 송출 절차 동안 제1 내지 제n 송신 코일(222)을 통해 감지 신호가 순차적으로 송출될 수 있도록 다중화기(221)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40 may control the multiplexer 221 to sequentially transmit detection signals through the first to nth transmission coils 222 during the first detection signal transmission procedure.

또한, 제어부(240)는 제1차 감지 신호 송출 절차 동안 복조부(232)로부터 어느 송신 코일을 통해 신호 세기 지시자(Signal Strength Indicator)가 수신되었는지를 식별하기 위한 소정 송신 코일 식별자 및 해당 송신 코일을 통해 수신된 신호 세기 지시자를 수신할 수 있다. 연이어, 제2차 감지 신호 송출 절차에서 제어부(240)는 제1차 감지 신호 송출 절차 동안 신호 세기 지시자가 수신된 송신 코일(들)을 통해서만 감지 신호가 송출될 수 있도록 다중화기(221)를 제어할 수도 있다. 다른 일 예로, 제어부(240)는 제1차 감지 신호 송출 절차 동안 신호 세기 지시자가 수신된 송신 코일이 복수개인 경우, 가장 큰 값을 갖는 신호 세기 지시자가 수신된 송신 코일을 제2차 감지 신호 송출 절차에서 감지 신호를 가장 먼저 송출할 송신 코일로 결정하고, 결정 결과에 따라 다중화기(221)를 제어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40 sets a predetermined transmission coil identifier and a corresponding transmission coil for identifying through which transmission coil a signal strength indicator is received from the demodulation unit 232 during the first detection signal transmission procedure. Through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can be received. Subsequently, in the second detection signal transmission procedure, the control unit 240 controls the multiplexer 221 so that the detection signal can be transmitted only through the transmission coil(s) in which the signal strength indicator was received during the first detection signal transmission procedure. You may.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240 transmits the second detection signal to the transmission coil in which the signal strength indicator having the largest value is received when there are multiple transmission coils in which the signal strength indicator is received during the first detection signal transmission procedure. In the procedure, the detection signal may be determined as the transmission coil to be transmitted first, and the multiplexer 221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변조부(231)는 제어부(240)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신호를 변조하여 다중화기(221)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신호를 변조하기 위한 변조 방식은 FSK(Frequency Shift Keying) 변조 방식, 맨체스터 코딩(Manchester Coding) 변조 방식, PSK(Phase Shift Keying) 변조 방식,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방식, 차등 2단계(Differential bi-phase) 변조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modulator 231 may modulate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240 and transmit it to the multiplexer 221. Here, the modulation method for modulating the control signal is FSK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method, Manchester Coding modulation method, PSK (Phase Shift Keying) modulation method, Pulse Width Modulation method, Differential 2 A differential bi-phase modulation method may be inclu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복조부(232)는 송신 코일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가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를 복조하여 제어부(24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복조된 신호에는 신호 세기 지시자, 무선 전력 전송 중 전력 제어를 위한 오류 정정(EC: Error Correction) 지시자, 충전 완료(EOC: End Of Charge) 지시자, 과전압/과전류/과열 지시자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무선전력수신기의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각종 상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When a signal received through a transmission coil is detected, the demodulator 232 may demodulate the detected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ler 240. Here, the demodulated signal may include a signal strength indicator, an error correction (EC) indicator for power control dur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 end of charge (EOC) indicator, an overvoltage/overcurrent/overheat indicator, etc.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stat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stat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may be included.

또한, 복조부(232)는 복조된 신호가 어느 송신 코일로부터 수신된 신호인지를 식별할 수 있으며, 식별된 송신 코일에 상응하는 소정 송신 코일 식별자를 제어부(240)에 제공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demodulation unit 232 may identify which transmission coil the demodulated signal is a signal received from, and may provide the control unit 240 with a predetermined transmission coil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transmission coil.

일 예로, 무선전력송신기(200)는 무선 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동일한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전력수신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인밴드(In-Band) 통신을 통해 신호 세기 지시자를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may obtain a signal strength indicator through in-band communication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wireless power receiver using the same frequency used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또한, 무선전력송신기(200)는 송신 코일(222)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송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송신 코일(222)을 통해 무선전력수신기와 각종 정보를 교환할 수도 있다. 다른 일 예로, 무선전력송신기(200)는 송신 코일(222)-즉, 제1 내지 제n 송신 코일)에 각각 대응되는 별도의 코일을 추가로 구비하고, 구비된 별도의 코일을 이용하여 무선전력수신기와 인밴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In additio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may transmit wireless power using the transmission coil 222 as well as exchange various information with the wireless power receiver through the transmission coil 222. As another example,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additionally includes separate coils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coils 222-that is, the first to nth transmission coils), and wireless power using the separate coils It should be noted that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in-band communication with the receiver.

이상이 도 2의 설명에서는 무선전력송신기(200)와 무선전력수신기가 인밴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무선 전력 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통해 근거리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근거리 양방향 통신은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RFID 통신, UWB 통신, 지그비 통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FIG. 2 above,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perform in-band communication as an example, but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nd the frequency band used for wireless power signal transmission Short-distance two-way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through a frequency band different from that. For example, the short-distance two-way communication may be any one of low power Bluetooth communication, RFID communication, UWB communication, and ZigBee communication.

<무선전력수신기><Wireless power receiver>

도 3은 도 2에 따른 무선전력송신기와 연동되는 무선전력수신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wireless power receiver interlocked with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ccording to FIG. 2.

도 3을 참조하면, 무선전력수신기(300)는 수신코일(310), 정류기(320), 직류/직류 변환기(DC/DC Converter, 330), 부하(340), 통신부(360), 주제어부(3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360)는 복조부(361) 및 변조부(36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3,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includes a receiving coil 310, a rectifier 320, a DC/DC converter 330, a load 340, a communication unit 360, and a main control unit ( 370). Here, the communication unit 36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a demodulation unit 361 and a modulator 362.

상기한 도 3의 예에 도시된 무선전력수신기(300)는 인밴드 통신을 통해 무선전력송신기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360)는 무선 전력 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과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통해 근거리 양방향 통신을 제공할 수도 있다.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shown in the example of FIG. 3 is shown to be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with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hrough in-band communication, but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unit 360 may provide short-range two-way communication through a frequency band different from the frequency band used for wireless power signal transmission.

수신코일(310)을 통해 수신되는 AC 전력은 정류부(320)에 전달할 수 있다. 정류기(320)는 AC 전력을 DC 전력으로 변환하여 직류/직류 변환기(330)에 전송할 수 있다. 직류/직류 변환기(330)는 정류기 출력 DC 전력의 세기를 부하(340)에 의해 요구되는 특정 세기로 변환한 후 부하(34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수신코일(310)은 복수의 수신코일(미도시)-즉, 제1 내지 제n 수신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수신코일(미도시)에 전달되는 AC 전력의 주파수가 서로 상이할 수도 있고, 다른 일 실시예는 LC 공진 특성을 수신코일마다 상이하게 조절하는 기능이 구비된 소정 주파수 제어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수신코일 별 공진주파수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AC power received through the receiving coil 310 may be transferred to the rectifying unit 320. The rectifier 320 may convert AC power into DC power and transmit it to the DC/DC converter 330. The DC/DC converter 330 converts the strength of the rectifier output DC power into a specific strength required by the load 340 and then transfers the converted power to the load 340. In addition, the receiving coil 3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receiving coils (not shown)-that is, first to nth receiving coils. Frequency of AC power delivered to each receiving coil (not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in another embodiment, a predetermined frequency controller equipped with a function to adjust the LC resonance characteristics differently for each receiving coil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resonant frequency for each receiving coil differently by using.

센싱부(350)는 정류기(320) 출력 DC 전력의 세기를 측정하고, 이를 주제어부(370)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센싱부(350)는 무선 전력 수신에 따라 수신코일(31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주제어부(370)에 전송할 수도 있다. The sensing unit 350 may measure the intensity of the DC power output from the rectifier 320 and provide it to the main control unit 370. Alternatively, the sensing unit 350 may measure the strength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receiving coil 310 according to wireless power reception, and may transmit the measurement result to the main control unit 370.

일 예로, 센싱부(350)는 무선전력수신기(30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 값을 주제어부(370)에 제공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350 may measur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and provide the measured temperature value to the main control unit 370.

일 예로, 주제어부(370)는 측정된 정류기 출력 DC 전력의 세기가 소정 기준치와 비교하여 과전압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과전압이 발생된 경우, 과전압이 발생되었음을 알리는 소정 패킷을 생성하여 변조부(362)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변조부(362)에 의해 변조된 신호는 수신코일(310) 또는 별도의 코일(미도시)을 통해 무선전력송신기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주제어부(370)는 정류기 출력 DC 전력의 세기가 소정 기준치 이상인 경우, 감지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감지 신호 수신 시, 해당 감지 신호에 대응되는 신호 세기 지시자가 변조부(362)를 통해 무선전력송신기에 전송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복조부(361)는 수신코일(310)과 정류기(320) 사이의 AC 전력 신호 또는 정류기(320) 출력 DC 전력 신호를 복조하여 감지 신호의 수신 여부를 식별한 후 식별 결과를 주제어부(370)에 제공할 수 있다. 주제어부(370)는 감지 신호에 대응되는 신호 세기 지시자가 변조부(362)를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in control unit 370 may determine whether an overvoltage occurs by comparing the measured intensity of the rectifier output DC power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an overvoltage occurs, a predetermined packet indicating that the overvoltage has occurred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modulator 362. Here, the signal modulated by the modulator 362 may b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hrough the receiving coil 310 or a separate coil (not shown). In addition, the main control unit 370 may determine that a detection signal has been received when the intensity of the output DC power of the rectifi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When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the signal intensity indicator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signal is set to the modulator 362 ) To b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s another example, the demodulation unit 361 demodulates the AC power signal between the receiving coil 310 and the rectifier 320 or the DC power signal output from the rectifier 320 to identify whether a detection signal has been received, and then reads the identification result. It can be provided to the unit 370. The main control unit 370 may control a signal strength indicator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signal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modulator 362.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송신기의 분해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송신기는 도 1에 도시된 무선전력송신기(10)이나 도 2에 도시된 무선전력송신기(200) 일 수 있다.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 shown in FIG. 1 or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shown in FIG. 2.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송신기는 제1 브라켓(400), 제1 기판(500), 제2 브라켓(600), 차폐재(605), 송신코일(610) 및 제2 기판(7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무선전력송신기의 구성은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4,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first bracket 400, a first substrate 500, a second bracket 600, a shielding material 605, a transmission coil 610, and a second substrate ( 700) may be include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s not necessarily an essential configuration, a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more or less components.

제1 및 제2 기판(500, 700)은 인쇄회로기판(PCB) 또는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FPCB)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500 and 700 may be a printed circuit board (PCB) 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제1 브라켓(400)은 제2 브라켓(600)과 체결될 수 있다. 즉, 나사와 같은 볼트류를 이용하여 제1 브라켓(400)과 제2 브라켓(600)이 체결될 수 있다.The first bracket 400 may be fastened to the second bracket 600. That is, the first bracket 400 and the second bracket 600 may be fastened using bolts such as screws.

제1 기판(500)은 제1 브라켓(40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기판(500)은 제1 브라켓(400) 및/또는 제2 브라켓(600)에 체결될 수 있다. 예컨대, 나사가 제1 브라켓(400)과 제1 기판(500)을 관통하여 제2 브라켓(600)에 체결될 수 있다. The first substrate 500 may be positioned on the first bracket 400. The first substrate 500 may be fastened to the first bracket 400 and/or the second bracket 600. For example, a screw may pass through the first bracket 400 and the first substrate 500 to be fastened to the second bracket 600.

제1 기판(500)의 하면에는 송신코일(610)을 구동하거나 제어하기 위한 각 종 회로부가 실장될 수 있다. 예컨대, 회로부로는 도 2에 도시된 다중화기(221), 무선충전통신부(230), 타이머(255), 센싱부(250), 제어부(240)가 있고, 도 3에 도시된 무선충전통신부(360), 주제어부(370), 센싱부(350)가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Various circuit units for driving 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coil 610 may be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500. For example, the circuit unit includes a multiplexer 221 shown in FIG. 2, a wireless charging communication unit 230, a timer 255, a sensing unit 250, and a control unit 240, and the wireless charging communication unit shown in Fig. 3 ( 360), a main control unit 370, and a sensing unit 350 are provid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제1 기판(500)은 리지드(rigid)한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기판(500)은 상면에 배치되는 차폐재(605), 송신코일(610) 등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500)의 면적은 송신코일(610)의 면적, 차폐재(605)의 면적 보다 클 수 있다. 제1 기판(500)의 일측에는 단자부(66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부를 이용하여 제1 기판(500)의 회로부는 송신코일(610) 및 제2 기판(700)의 회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단자부는 복수의 핀이나 패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The first substrate 500 may have a rigid rectangular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the first substrate 500 may support the shielding material 605 and the transmission coil 610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In addition, the area of the first substrate 500 may b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transmission coil 610 and the area of the shielding material 605. A terminal portion 660 may be included on one side of the first substrate 500. The circuit portion of the first substrate 5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coil 610 and the circuit portion of the second substrate 700 by using the terminal portion. The terminal portion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pins or pad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차폐재(605)가 제1 기판(500)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hielding material 605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500.

구체적으로, 차폐재(605)가 제1 기판(500)의 상면에 제2 기판(700)의 개구부(60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차폐재(605)가 제2 기판(700)의 아래 그리고 제1 기판(5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차폐재(605)의 면적은 제2 기판(700)의 개구부(601)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차폐재(605)의 에지 영역은 제2 기판(700)의 프레임(603)과 중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차폐재(605)가 제2 기판(7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차폐재(605)의 면적은 제2 기판(700)의 개구부(601)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차폐재(605)의 에지 영역은 제2 기판(700)의 프레임(603)과 중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hielding material 605 may be disposed in the opening 601 of the second substrate 70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500. As another example, the shielding material 605 may be disposed below the second substrate 700 and above the first substrate 500. In this case, the area of the shielding material 605 may b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opening 601 of the second substrate 700. Accordingly, the edge region of the shielding material 605 may overlap the frame 603 of the second substrate 700. As another example, the shielding material 605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substrate 700. In this case, the area of the shielding material 605 may b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opening 601 of the second substrate 700. Accordingly, the edge region of the shielding material 605 may overlap the frame 603 of the second substrate 700.

송신코일(610)의 자기장을 충분히 차폐하기 위해 차폐재(605)의 면적은 송신코일(610)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In order to sufficiently shield the magnetic field of the transmission coil 610, the area of the shielding material 605 may b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transmission coil 610.

차폐재(605) 상에 송신코일(610)이 배치될 수 있다. 송신코일(610)은 하나 이상의 송신코일(620 내지 64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신코일(620 내지 640)은 무선전력송신기의 하나 이상의 송신코일이거나 무선전력수신기의 하나 이상의 수신코일일 수 있다. 또한, 송신코일(610)이 복수일 경우, 각각의 송신코일(620 내지 640)은 동일한 턴 수로 감겨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다른 턴 수로 감겨 있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송신코일(620 내지 640)은 동일한 인덕턴스를 구비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다른 인덕턴스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송신코일(620 내지 640)은 하나 이상의 층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송신코일(620 내지 640)은 제1 내지 제3 송신코일(620 내지 6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송신코일(630)과 제3 송신코일(640)은 동일한 층 즉, 제1 층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송신코일(620)은 제1 층과 상이한 제2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송신코일(620)의 일부 영역은 제2 송신코일(630)의 일부 영역과 중첩되고 다른 영역은 제3 송신코일(640)의 일부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The transmission coil 610 may be disposed on the shielding material 605. The transmission coil 610 may include one or more transmission coils 620 to 640. The one or more transmission coils 620 to 640 may be one or more transmission coils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or one or more reception coils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In addi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transmission coils 610, each of the transmission coils 620 to 640 may be wound with the same number of turns.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wound with different numbers of turns.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coils 620 to 640 may have the same inductanc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different inductances.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coils 620 to 640 may be disposed in one or more layers. More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coils 620 to 640 may include first to third transmission coils 620 to 640.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630 and the third transmission coil 640 may be disposed on the same layer, that is, the first layer, parallel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first transmission coil 620 may be disposed on a second layer different from the first layer. For example, a partial region of the first transmission coil 620 may overlap a partial region of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630 and another region may be disposed to overlap a partial region of the third transmission coil 640, but this is limited. I never do that.

이와 같이, 복수의 송신코일(620 내지 640)을 서로 다른 층에 배치하여 무선전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무선충전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특히, 제1 송신코일(620)은 기판(400)과 동일한 층에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way, by arranging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coils 620 to 640 on different layers, the wireless charging area can be expanded so that wireless power can be efficiently transmitted. In particular, the first transmission coil 620 may be disposed on the same layer as the substrate 400.

송신코일(610)은 외면에 절연 물질로 코팅되거나 절연층으로 피복될 수 있다. The transmission coil 610 may be coat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or an insulating layer on the outer surface.

차폐재(605)의 면적은 제1 내지 제3 송신코일(620 내지 640)의 배치 점유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배치 점유 면적이라 함은 제1 내지 제3 송신코일(620 내지 640)이 차지하고 있는 총 면적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송신코일(620 내지 640)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장이 차폐재(605)에 의해 차폐되어 제1 기판(500)에 실장된 회로부나 외부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The area of the shielding material 605 may be larger than an area occupied by the first to third transmission coils 620 to 640. The arrangement occupied area may be a total area occupied by the first to third transmission coils 620 to 640. Accordingly,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first to third transmission coils 620 to 640 may be shielded by the shielding material 605 so as not to affect the circuit unit mounted on the first substrate 500 or the outside.

차폐재(605)는 송신코일(61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차폐재(605)의 상면은 송신코일(610)의 하면, 구체적으로 제2 및 제3 송신코일(630, 640)의 하면에 접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The shielding material 605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mission coil 610. The upper surface of the shielding material 605 may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mission coil 610, specifically, the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and third transmission coils 630 and 64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예컨대, 차폐재(605)의 상면과 제2 및 제3 송신코일(630, 640)의 하면 사이에는 접착제 또는 접착부재(미도시)가 배치되어 차폐재(605)에 제2 및 제3 송신코일(630, 640)이 고정될 수 있다. 차폐재(605)는 상부에 배치된 송신코일(610)에서 발생된 무선전력을 충전 방향으로 가이드 할 수 있고, 제1 기판(500)의 아래에 실장되는 각종 회로부를 전자기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For example, an adhesive or an adhesive member (not shown)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hielding material 605 and the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and third transmission coils 630 and 640, and the second and third transmission coils 630 are disposed on the shielding material 605. , 640) may be fixed. The shielding material 605 may guide the wireless power generated by the transmission coil 610 disposed on the upper part in the charging direction, and may protect various circuit parts mounted under the first substrate 500 from electromagnetic fields.

송신코일(610) 또는 제2 브라켓(600) 상에는 제2 기판(70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판(700)은 나사와 같은 볼트류를 이용하여 제2 브라켓(600)에 체결될 수 있다. The second substrate 700 may be disposed on the transmission coil 610 or the second bracket 600. The second substrate 700 may be fastened to the second bracket 600 using bolts such as screws.

예컨대, 송신코일(610)이 제1 층에 배치되는 제2 및 제3 송신코일(630, 640)과 제1 층 위의 제2 층에 제1 송신코일(620)이 배치되는 경우, 제1 층과 제2 층의 전체 두께가 제2 브라켓(600)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브라켓(600)의 양단의 일부 영역은 상부로 돌출된 제1 및 제2 돌출부(602, 604)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기판(700)은 제2 브라켓(600)의 양단에 돌출된 제1 및 제2 돌출부에 체결됨으로써, 적어도 제1 송신코일(620)의 상면이 제2 기판(700)의 하면과 접촉되지 않게 되어, 제2 기판(700)의 하면과의 접촉으로 인한 제1 송신코일(62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transmission coil 610 is disposed on the second and third transmission coils 630 and 640 disposed on the first layer and the first transmission coil 620 on the second layer above the first layer, the first The total thickness of the layer and the second layer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bracket 600. To this end, some regions of both ends of the second bracket 600 may hav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602 and 604 protruding upward. Accordingly, the second substrate 700 is fastened to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second bracket 600, so that at least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transmission coil 620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700. Since it is not in contact, damage to the first transmission coil 620 due 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700 can be prevented.

제2 기판(700)의 상면에는 예컨대,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근거리통신부(270, 380)과 같은 회로부가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제2 기판(700)의 상면에는 무선통신코일(280, 390)이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무선통신코일(280, 390)은 적어도 1회 이상의 턴수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무선통신코일(280, 390)의 양단은 비아홀을 통해 근거리통신부(270, 380)와 같은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제2 기판(700)의 회로부는 예컨대, 케이블이나 버스라인을 이용하여 제1 기판(500)에 실장된 제어부(도 2의 240)나 주제어부(도 3의 370)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Circuit units such as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s 270 and 380 shown in FIG. 2 or 3 may b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700. In addition, wireless communication coils 280 and 390 may be arranged in a patter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700.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ils 280 and 390 may have at least one turn number. Although not shown, both end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ils 280 and 39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circuit units such as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s 270 and 380 through via holes. In addition, the circuit portion of the second substrate 7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40 in FIG. 2) or the main control unit (370 in FIG. 3) mounted on the first substrate 500 using, for example, a cable or a bus line. I can.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코일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코일을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확대도이다.5 is a plan view showing a wireless charging c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6 is a bottom view showing a wireless charging coi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FIG.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코일(710)은 차폐재(8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차폐재(800)는 무선충전코일(710)의 자기장을 차폐하여 차폐재(800) 하부에 배치되는 전자부품이나 전자기기에 자기장이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다. 차폐재(800)는 무선충전코일(710)의 사이즈와 동일하거나 큰 면적을 가지도록 하여 충분한 차폐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5 to 7, the wireless charging coil 7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disposed on the shielding material 800. The shielding material 800 shields the magnetic field of the wireless charging coil 710 to prevent the magnetic field from affecting electronic components or electronic devices disposed under the shielding material 800. The shielding material 800 may have an area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ize of the wireless charging coil 710 to secure sufficient shielding performance.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코일(710)은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에 전력이 인가되는 경우, 이 전력에 의해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에 전류가 흐르고, 이 전류에 의해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에서 자기장이 생성될 수 있다. The wireless charging coil 7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coil unit 711 and a second coil unit 713.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second coil unit 713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electric power is applied to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second coil unit 713, current flows through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second coil unit 713 by this power, and by this current A magnetic field may be generated in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second coil unit 713.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에서 자기장이 생성되므로, 적어도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의 전체 사이즈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무선충전이 가능하므로, 무선충전영역이 확대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코일(710)은 제1 코일부(711)만을 구비한 무선충전코일에 비해 무선충전영역이 확장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the magnetic field is generated in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second coil unit 713, at least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total size of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second coil unit 713 Since wireless charging is possible, the wireless charging area can be expanded. That is, in the wireless charging coil 7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wireless charging area may be extended compared to the wireless charging coil having only the first coil unit 711.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코일(710)에서,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는 기준선(725)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기준선(275)는 기준을 정하기 위한 가상의 선일 수 있다. 기준선(725)은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 사이에서 y축 방향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In the wireless charging coil 7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second coil unit 713 may have a structure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line 725. The reference line 275 may be an imaginary line for determining a reference. The reference line 725 may be positioned along the y-axis direction between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second coil unit 713.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가 기준선(725)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인 구조를 가지므로, 제1 코일부(711)에서 생성된 자기장의 세기와 제2 코일부(713)에서 생성된 자기장의 세기가 유사하거나 동일하므로, 균일한 무선충전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의 전체 사이즈에서 균일한 무선충전영역이 확보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second coil unit 713 have a symmetrical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line 725,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first coil unit 711 Since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second coil unit 713 is similar or the same, a uniform wireless charging area can be secured. That is, a uniform wireless charging area can be secured in the entire sizes of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second coil unit 713.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코일(710)에서,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는 기준면(730)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으로 경사지어 배치될 수 있다. 기준면(730)은 기준을 정하기 위한 가상의 면일 수 있다. 기준면(730)은 차폐재(800)의 상면 중 가상선(725)과 동일한 평면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는 기준면(730)에 대해 하부 방향을 향해 경사지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경사각은 음(-)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는 기준면(730)에 대해 상부 방향을 향해 경사지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경사각은 양(+)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가상선(725)으로부터 기준면(730)에 수직인 수직선을 기준으로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은 서로 대칭적으로 경사질 수 있다. 즉, 수직선을 기준으로 제1 코일부(711)의 기울어진 경사각과 제2 코일부(713)의 기울어진 경사각은 동일할 수 있다. In the wireless charging coil 7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second coil unit 713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surface 730. The reference surface 730 may be a virtual surface for determining a reference. The reference plane 730 may be the same plane as the virtual line 725 among the top surfaces of the shielding material 8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second coil unit 713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surface 730. In this case, the inclination angle may have a negative (-) angle. For example,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second coil unit 713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surface 730. In this case, the inclination angle may have a positive (+) angle.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second coil unit 713 may be symmetrically inclined with respect to a vertical line perpendicular to the reference plane 730 from the virtual line 725. That i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coil unit 713 may be the same based on the vertical line.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를 기준면(730)에 대해 경사지어 배치되므로, 자기장의 세기를 증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 코일부(711)과 제2 코일부(713)의 경사 배치에 의해 제1 코일부(711)과 제2 코일부(713)에서 생성된 자기장이 서로 영향을 주어 자기장의 세기가 커질 수 있다. 자기장의 세기는 자기장의 강도로 지칭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second coil unit 713 are arrange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surface 730,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can be increased. The magnetic fields generated by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second coil unit 713 influence each other due to the inclined arrangement of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second coil unit 713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I can.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can be referred to as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예컨대, 차폐재(800)의 상면은 제1 영역, 제1 영역과 이격된 제2 영역 및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위치된 제3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코일부(711)는 차폐재(800)의 제1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코일부(713)는 차폐재(800)의 제2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는 차폐재(800)의 제3 영역만큼 이격되는 이격거리(d)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pper surface of the shielding material 800 may include a first region, a second reg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egion, and a third region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For example, the first coil unit 711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area of the shielding material 800. For example, the second coil unit 713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area of the shielding material 800.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second coil unit 713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by a separation distance d spaced apart by a third area of the shielding material 800.

이하에서, 실시예에에 따른 무선충전코일(71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wireless charging coil 7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코일(710)은 제1 코일부(71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charging coil 7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coil unit 711.

제1 코일부(711)는 제1 코일도선(712), 제1 단자(711a) 및 제2 단자(7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일도선(712)은 복수의 턴으로 권선될 수 있다. 제1 코일도선(712)은 7턴 내지 10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코일도선(712)은 8턴을 가질 수 있다. 제1 코일도선(712)은 사각 형상으로 권선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형상을 갖는 경우, 제1 코일도선(712)은 각 모서리에서 절곡되고 모서리 사이에서는 직선을 가질 수 있다. 제1 코일도선(712)은 각 모서리에서 수직으로 절곡되거나 라운드 형상으로 절곡될 수 있다. 모서리 사이에서 직선을 갖는 인접하는 제1 코일도선(712)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단자(711a)는 제1 코일도선(712)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단자(711a)는 제1 코일도선(712)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단자(711b)는 제1 코일도선(71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단자(711b)는 제1 코일도선(712)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코일도선(712), 제1 단자(711a) 및 제2 단자(711b)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자(711a)와 제2 단자(711b)는 제1 코일도선(712)에 포함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제1 단자(711a)와 제2 단자(711b)는 생략될 수 있다. The first coil unit 711 may include a first coil conductor 712, a first terminal 711a and a second terminal 711b. The first coil conductor 712 may be wound in a plurality of turns. The first coil conductor 712 may have 7 to 10 turns. For example, the first coil conductor 712 may have 8 turns. The first coil conductor 712 may be wound in a rectangular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When having such a shape, the first coil conductor 712 may be bent at each corner and may have a straight line between the corners. The first coil conductor 712 may be vertically bent at each corner or bent in a round shape. Adjacent first coil conductors 712 having a straight line between corners may b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The first terminal 711a may be disposed outside the first coil conductor 712. The first terminal 711a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coil conductor 712. The second terminal 711b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rst coil conductor 712. The second terminal 711b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il conductor 712. The first coil conductor 712, the first terminal 711a, and the second terminal 711b may be integrally formed. The first terminal 711a and the second terminal 711b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coil conductor 712, and in this case, the first terminal 711a and the second terminal 711b may be omitted.

제1 코일부(711)는 내측에 제1 중공부(721)를 가질 수 있다. 제1 중공부(721)는 제1 코일도선(712)이 존재하지 않는 빈 영역일 수 있다. 제1 중공부(721)에 인접하는 제1 코일도선(712)의 일측에 제2 단자(711b)가 위치될 수 있다. The first coil part 711 may have a first hollow part 721 inside. The first hollow part 721 may be a blank area in which the first coil conductor 712 does not exist. A second terminal 711b may be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il conductor 712 adjacent to the first hollow part 721.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코일(710)은 제2 코일부(71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charging coil 7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second coil unit 713.

제2 코일부(713)는 제2 코일도선(714), 제3 단자(713a) 및 제4 단자(71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코일도선(714)은 복수의 턴으로 권선될 수 있다. 제2 코일도선(714)은 7턴 내지 10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2 코일도선(714)은 8턴을 가질 수 있다. 제2 코일도선(714)은 사각 형상으로 권선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형상을 갖는 경우, 제2 코일도선(714)은 각 모서리에서 절곡되고 모서리 사이에서는 직선을 가질 수 있다. 제2 코일도선(714)은 각 모서리에서 수직으로 절곡되거나 라운드 형상으로 절곡될 수 있다. 모서리 사이에서 직선을 갖는 인접하는 제2 코일도선(714)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단자(713a)는 제2 코일도선(714)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단자(713a)는 제2 코일도선(714)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4 단자(713b)는 제2 코일도선(714)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단자(713b)는 제2 코일도선(714)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코일도선(714), 제3 단자(713a) 및 제4 단자(713b)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단자(713a)와 제3 단자(713a)는 제2 코일도선(714)에 포함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제3 단자(713a)와 제4 단자(713b)는 생략될 수 있다. The second coil unit 713 may include a second coil conductor 714, a third terminal 713a, and a fourth terminal 713b. The second coil conductor 714 may be wound in a plurality of turns. The second coil conductor 714 may have 7 to 10 turns. For example, the second coil conductor 714 may have 8 turns. The second coil conductor 714 may be wound in a rectangular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When having such a shape, the second coil conductor 714 may be bent at each corner and have a straight line between the corners. The second coil conductor 714 may be vertically bent at each corner or bent in a round shape. Adjacent second coil conductors 714 having a straight line between the corners may b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The third terminal 713a may be disposed outside the second coil conductor 714. The third terminal 713a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coil conductor 714. The fourth terminal 713b may be disposed inside the second coil conductor 714. The fourth terminal 713b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il conductor 714. The second coil conductor 714, the third terminal 713a, and the fourth terminal 713b may be integrally formed. The third terminal 713a and the third terminal 713a may be included in the second coil conductor 714, and in this case, the third terminal 713a and the fourth terminal 713b may be omitted.

제2 코일부(713)는 내측에 제2 중공부(723)를 가질 수 있다. 제2 중공부(723)는 제2 코일도선(714)이 존재하지 않는 빈 영역일 수 있다. 제2 중공부(723)에 인접하는 제2 코일도선(714)의 일측에 제4 단자(713b)가 위치될 수 있다. The second coil part 713 may have a second hollow part 723 inside. The second hollow part 723 may be an empty area in which the second coil conductor 714 does not exist. A fourth terminal 713b may be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second coil conductor 714 adjacent to the second hollow part 723.

제1 코일부(711)의 제1 코일도선(712)과 제2 코일부(713)의 제2 코일도선(714)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권선된 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코일부(711)의 제1 코일도선(712)은 제2 단자(711b)로부터 시계방향을 따라 권선된 후 제1 단자(711a)로 이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2 코일부(713)의 제2 코일도선(714)은 제4 단자(713b)로부터 반시계방향을 따라 권선된 후 제3 단자(713a)로 이어질 수 있다. The first coil lead 712 of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second coil lead 714 of the second coil unit 713 may have turns woun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For example, the first coil conductor 712 of the first coil unit 711 may be wound from the second terminal 711b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n lead to the first terminal 711a. For example, the second coil conductor 714 of the second coil unit 713 may be wound from the fourth terminal 713b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n lead to the third terminal 713a.

제1 코일부(711)의 제1 코일도선(712)과 제2 코일부(713)의 제2 코일도선(714)은 기준선(725)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코일부(711)의 제1 단자(711a)와 제2 코일부(713)의 제3 단자(713a)는 기준선(725)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코일부(711)의 제2 단자(711b)와 제2 코일부(713)의 제4 단자(713b)는 기준선(725)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x축 방향을 따라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선이 정의될 수 있다. 이 가상선 상에 제1 코일부(711)의 제2 단자(711b)와 제2 코일부(713)의 제4 단자(713b)가 위치될 수 있다. 제1 코일부(711)의 제1 코일도선(712)과 제2 코일부(713)의 제2 코일도선(714) 사이의 거리는 제1 코일부(711)의 제2 단자(711b)와 제2 코일부(713)의 제4 단자(713b)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The first coil lead 712 of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second coil lead 714 of the second coil unit 713 may have a structure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line 725. The first terminal 711a of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third terminal 713a of the second coil unit 713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reference line 725. The second terminal 711b of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fourth terminal 713b of the second coil unit 713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reference line 725. For example, a virtu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second coil unit 713 along the x-axis direction may be defined. A second terminal 711b of the first coil unit 711 and a fourth terminal 713b of the second coil unit 713 may be positioned on the virtual lin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il lead 712 of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second coil lead 714 of the second coil unit 713 is the second terminal 711b of the first coil unit 711 2 It may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ourth terminals 713b of the coil unit 713.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코일(710)은 제1 연결부(7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715)는 제1 코일부(711)의 일측과 제2 코일부(713)의 일측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 연결부(715)는 제1 코일부(711)의 제1 단자(711a)와 제2 코일부(713)의 제3 단자(713a)를 연결시킬 수 있다. The wireless charging coil 7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unit 715. The first connection part 715 may electrically connect one side of the first coil part 711 and one side of the second coil part 713. For example, the first connection part 715 may connect the first terminal 711a of the first coil part 711 to the third terminal 713a of the second coil part 713.

제1 연결부(715)는 제1 코일부(711)와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연결부(715)는 제2 코일부(713)와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연결부(715)의 일부 영역은 차폐재(800)와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연결부(715)의 일부 영역은 차폐재(800)의 외측단으로부터 외측 방향을 따라 더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part 715 may not overlap with the first coil part 711. The first connection part 715 may not overlap with the second coil part 713. Some areas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715 may not overlap with the shielding material 800. A partial region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715 may be disposed to extend further along the outer direction from the outer end of the shielding material 800.

일예로, 제1 연결부(715)는 제1 코일부(711)의 제1 단자(711a)와 제2 코일부(713)의 제3 단자(713a)를 곡선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제1 연결부(715)는 제1 코일부(71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부(715)는 제2 코일부(713)와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연결부(715)는 제2 코일부(713)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연결부(715)는 제1 코일부(711)의 제1 단자(711a)로부터 제1 코일부(711)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1 연결부(715a), 제2 코일부(713)의 제3 단자(713a)로부터 제2 코일부(713)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2 연결부(715b) 및 제1-1 연결부(715a)와 제1-2 연결부(715b)를 연결하는 제1-3 연결부(715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연결부(715a)와 제1-2 연결부(715b)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1 연결부(715a), 제1-2 연결부(715b) 및 제1-3 연결부(715c)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부(715)의 일부 영역, 예컨대, 제1-1 연결부(715a)의 일부 영역, 제1-2 연결부(715b)의 일부 영역, 제1-3 연결부(715c)는 차폐재(8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1 연결부(715a)의 일부 영역, 제1-2 연결부(715b)의 일부 영역, 제1-3 연결부(715c)는 차폐재(800)와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first connection part 715 may connect the first terminal 711a of the first coil part 711 and the third terminal 713a of the second coil part 713 in a curve. The first connection part 715 may be disposed outside the first coil part 711. The first connection part 715 may not overlap with the second coil part 713. The first connection part 715 may be disposed outside the second coil part 713. For example, the first connection part 715 may include a 1-1 connection part 715a extending from the first terminal 711a of the first coil part 711 to the outside of the first coil part 711, and the second coil part ( Connecting the 1-2 connection part 715b and the 1-1 connection part 715a and the 1-2 connection part 715b extending outward of the second coil part 713 from the third terminal 713a of 713 A 1-3 connection part 715c may be included. The 1-1 connection part 715a and the 1-2 connection part 715b may b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The 1-1 connection part 715a, the 1-2 connection part 715b, and the 1-3 connection part 715c may be integrally formed. A partial region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715, for example, a partial region of the 1-1 connection part 715a, a partial region of the 1-2 connection part 715b, and the 1-3 connection part 715c of the shielding material 800 It can be placed on the outside. That is, a partial region of the 1-1 connection part 715a, a partial region of the 1-2 connection part 715b, and the 1-3 connection part 715c may not overlap the shielding material 800.

제1 연결부(715)의 제1-3 연결부(715c)의 일측이 컨넥터(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를 통해 인가된 정극성전압을 갖는 전력에 의해 전류가 제1 연결부(715)에서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로 흐를 수 있다. 제1 연결부(715)의 전류가 제1 코일부(711)의 제1 코일도선(712)에서 반시계방향을 따라 흐르고, 제2 코일부(713)의 제2 코일도선(714)에서 시계방향을 따라 흐를 수 있다. One side of the first-third connection part 715c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715 may be connected to a connector (not shown). Current may flow from the first connection part 715 to the first coil part 711 and the second coil part 713 by power having a positive voltage applied through the connector. The current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715 flow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from the first coil wire 712 of the first coil part 711, and a clockwise direction from the second coil wire 714 of the second coil part 713 Can flow along.

다른 예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연결부(715)는 제1 코일부(711)의 제1 단자(711a)와 제2 코일부(713)의 제3 단자(713a)를 직선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lthough not shown, the first connection part 715 may connect the first terminal 711a of the first coil part 711 and the third terminal 713a of the second coil part 713 in a straight line. .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코일(710)은 제2 연결부(71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부(717)는 제1 코일부(711)의 타측과 제2 코일부(713)의 타측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2 연결부(717)는 제1 코일부(711)의 제2 단자(711b)와 제2 코일부(713)의 제4 단자(713b)를 연결시킬 수 있다. 제1 코일부(711)의 제2 단자(711b)와 제2 코일부(713)의 제4 단자(713b)는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코일부(711)의 제2 단자(711b)와 제2 코일부(713)의 제4 단자(713b)는 최단거리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코일부(711)의 제2 단자(711b)는 기준선(725)에 최단거리로 인접하는 제1 코일도선(71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코일부(713)의 제4 단자(713b)는 기준선(725)에 최단거리로 인접하는 제2 코일도선(714)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부(717)는 제2 코일부(713)의 제2 단자(711b)와 제2 코일부(713)의 제4 단자(713b)를 직선으로 연결시킬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The wireless charging coil 7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second connection unit 717. The second connection part 717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il part 711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il part 713. For example, the second connection part 717 may connect the second terminal 711b of the first coil part 711 to the fourth terminal 713b of the second coil part 713. The second terminal 711b of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fourth terminal 713b of the second coil unit 713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second terminal 711b of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fourth terminal 713b of the second coil unit 713 may be disposed at the shortest distance. For example, the second terminal 711b of the first coil unit 711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rst coil conductor 712 adjacent to the reference line 725 at the shortest distance. For example, the fourth terminal 713b of the second coil unit 713 may be disposed inside the second coil conductor 714 adjacent to the reference line 725 at the shortest distance. The second connection part 717 may connect the second terminal 711b of the second coil part 713 and the fourth terminal 713b of the second coil part 713 in a straight li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2 연결부(717)는 제1 코일부(711)와 중첩될 수 있다. 제2 연결부(717)는 제2 코일부(713)와 중첩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연결부(717)는 제1 코일부(711)의 제1 코일도선(712)과 제2 코일부(713)의 제2 코일도선(714)을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ion part 717 may overlap the first coil part 711. The second connection part 717 may overlap the second coil part 713. For example, the second connection part 717 may be disposed across the first coil wire 712 of the first coil part 711 and the second coil wire 714 of the second coil part 713.

예컨대, 제2 연결부(717)는 차폐재(8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부(717)는 제1 코일부(711)와 차폐재(8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부(717)는 제2 코일부(713)와 차폐재(8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는 절연 피복층을 가질 수 있다.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는 리츠(Litz) 와이어나 USTC 와이어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cond connection part 717 may be disposed on the shielding material 800. The second connection part 717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il part 711 and the shielding material 800. The second connection part 717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coil part 713 and the shielding material 800. The first coil part 711 and the second coil part 713 may have an insulating coating layer.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second coil unit 713 may be Litz wire or USTC wire.

예컨대, 제2 연결부(717)는 차폐재(80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부(717)는 차폐재(800) 아래에서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를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는 피복되지 않은 와이어일 수 있다. 제2 연결부(717)의 일측은 차폐재(800)의 제1 영역을 통해 제1 코일부(711)의 제2 단자(711b)에 연결되고, 제2 연결부(717)의 타측은 차폐재(800)의 제2 영역을 통해 제2 코일부(713)의 제4 단자(713b)에 연결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cond connection part 717 may be disposed under the shielding material 800. The second connection part 717 may be disposed under the shielding material 800 and across the first coil part 711 and the second coil part 713. The first coil part 711 and the second coil part 713 may be uncoated wires.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717 is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711b of the first coil part 711 through a first region of the shielding material 800,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717 is the shielding material 800 It may be connected to the fourth terminal 713b of the second coil unit 713 through the second region of.

제2 연결부(717)은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ion part 717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coil part 711 and the second coil part 713.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코일(710)은 연장부(719)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charging coil 7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n extension part 719.

연장부(719)는 제2 연결부(717)의 일측으로부터 차폐재(800)의 외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719)는 제2 연결부(717)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차폐재(800)의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부(719)의 끝단은 컨넥터(미도시)에 연결될 있다. 커넥터를 통해 인가된 정극성전압을 갖는 전력에 의해 전류가 제2 연결부(717)에서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로 흐를 수 있다. 제2 연결부(717)의 전류가 제1 코일부(711)의 제1 코일도선(712)에서 시계방향을 따라 흐르고, 제2 코일부(713)의 제2 코일도선(714)에서 반시계방향을 따라 흐를 수 있다. The extension part 719 may extend from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717 toward the outside of the shielding material 800. The extension part 719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connection part 717,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end of the extension part 719 extending outward of the shielding material 800 may be connected to a connector (not shown). Current may flow from the second connection part 717 to the first coil part 711 and the second coil part 713 by power having a positive voltage applied through the connector. The current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717 flows in a clockwise direction from the first coil wire 712 of the first coil part 711, and counterclockwise from the second coil wire 714 of the second coil part 713 Can flow along.

연장부(719)는 제1 코일부(711), 제2 코일부(713) 및 제2 연결부(717)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extension part 719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coil part 711, the second coil part 713,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717.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연결부(717)는 제1 코일부(711)의 제2 단자(711b)로부터 차폐재(80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1 연결부, 제2 코일부(713)의 제4 단자(713b)로부터 차폐재(80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2 연결부 및 제1-1 연결부와 제1-2 연결부를 연결하는 제1-3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연결부, 제1-2 연결부 및 제1-3 연결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connection part 717 is a 1-1 connection part extending outward of the shielding material 800 from the second terminal 711b of the first coil part 711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713. 4 It may include a 1-2 connection part extending from the terminal 713b to the outside of the shielding material 800 and a 1-3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1-1 connection part and the 1-2 connection part. The 1-1 connection part, the 1-2 connection part, and the 1-3 connection part may be integrally formed.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 사이의 이격거리(d)는 제1 코일도선(712) 또는 제2 코일도선(714)의 직경의 3배 내지 5배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 사이의 이격거리(d)는 2.7mm 내지 4.5mm일 수 있다.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 사이의 이격거리(d)가 2.7mm 미만으로 이격되는 경우,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 사이에 자기장 쏠림 형상이 발생되어 균일한 자기장의 세기가 확보될 수 없다.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 사이의 이격거리(d)가 4.5mm 초과로 이격되는 경우, 제1 코일부(711)에서 생성된 자기장과 제2 코일부(713)에서 생성된 자기장이 분리되어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 사이에 자기장이 존재하지 않아 미충전영역이 발생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second coil unit 713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separation distance d between the first coil part 711 and the second coil part 713 may be 3 to 5 times the diameter of the first coil conductor 712 or the second coil conductor 714. For example, the separation distance d between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second coil unit 713 may be 2.7mm to 4.5mm.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d) between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second coil unit 713 is separated by less than 2.7 mm, the magnetic field is concentrated between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second coil unit 713 As a shape is generated, uniform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cannot be ensured.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d) between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second coil unit 713 is separated by more than 4.5mm,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second coil unit 713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is separated and there is no magnetic field between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second coil unit 713, so that an uncharged area may be generated.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코일(710)의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에 교류전압을 갖는 전력이 인가될 수 있다. 예컨대, 한 주기의 제1 구간 동안 제1 코일부(711)의 제1 단자(711a)와 제2 코일부(713)의 제2 단자(711b)로 정극성전압을 갖는 전력이 인가되고, 한 주기의 제2 구간 동안 제1 코일부(711)의 제2 단자(711b)와 제2 코일부(713)의 제4 단자(713b)로 정극성전압을 갖는 전력이 인가될 수 있다. Electric power having an AC voltage may be applied to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second coil unit 713 of the wireless charging coil 7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or example, power having a positive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terminal 711a of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second terminal 711b of the second coil unit 713 during the first period of one cycle. Power having a positive voltage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terminal 711b of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fourth terminal 713b of the second coil unit 713 during the second period of the cycle.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충전코일(710)의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면(730)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으로 경사지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는 기준면(730)에 대해 하부 방향을 향해 경사지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경사각은 음(-)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는 기준면(730)에 대해 상부 방향을 향해 경사지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경사각은 양(+)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second coil unit 713 of the wireless charging coil 710 ar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surface 730 as shown in FIGS. 8 and 9. It can be built and placed.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8,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second coil unit 713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surface 730. In this case, the inclination angle may have a negative (-) angle.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9,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second coil unit 713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surface 730. In this case, the inclination angle may have a positive (+) angle.

도 10은 비교예의 자기장의 세기를 도시하고, 도 11 내지 도 19는 실시예에서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의 경사각에 따른 자기장의 세기를 도시한다.10 shows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in the comparative example, and FIGS. 11 to 19 show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according to inclination angles of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second coil unit 713 in the embodiment.

도 10a 및 도 11a 내지 도 19a는 2차원적인 자기장 세기를 보여주고, 도 10b 및 도 11b 내지 도 19b는 3차원적인 자기장 세기를 보여준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비교예는 종래의 일반적인 일 방향으로 권선된 싱글 코일 구조일 수 있다. 10A and 11A to 19A show a two-dimensional magnetic field strength, and FIGS. 10B and 11B to 19B show a three-dimensional magnetic field strength. The comparative example shown in FIGS. 10A and 10B may have a conventional single coil structure wound in one direction.

도 10a 및 도 11a 내지 도 19a에서 가로축은 도 5에 도시된 x축 방향을 따라 무선충전코일(710)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거리이다. 도 10a에서 가로축에서 중심은 60mm이고, 이 중심은 싱글 코일의 중심이다. 도 11a 내지 도 19a에서 가로축은 중심은 60mm이고, 이 중심은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 사이의 기준선(725)과 제1 코일부(711)의 제2 단자(711b)와 제2 코일부(713)의 제4 단자(713b)를 연결하는 제2 연결선이 만나는 지점일 수 있다. 도 10a 및 도 11a 내지 도 19a에서 평균 자기장 세기는 중심과 이 중심에서 양측으로 20mm 이격된 지점 사이에서 측정되었다. In FIGS. 10A and 11A to 19A, the horizontal axis is a distance across the center of the wireless charging coil 710 along the x-axis direction shown in FIG. 5. In Fig. 10A,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axis is 60 mm, and this center is the center of the single coil. In FIGS. 11A to 19A, the horizontal axis has a center of 60 mm, and the center is a reference line 725 between the first coil part 711 and the second coil part 713 and the second terminal of the first coil part 711 ( 711b) and the second connection line connecting the fourth terminal 713b of the second coil unit 713 may meet. In FIGS. 10A and 11A to 19A, the average magnetic field strength was measured between the center and a point 20 mm apart from the center to both sides.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갈수록 자기장의 세기가 급격히 줄어들어 균일한 무선충전영역의 확보가 어렵고, 평균 자기장의 세기도 57A/m로 낮았다. 또한, 50A/m 이상의 자기장 세기를 갖는 범위가 42mm로 작아 무선충전영역이 좁음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0A and 10B,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decreases sharply toward both sides of the center, making it difficult to secure a uniform wireless charging area, and the average magnetic field intensity was also low at 57A/m. In addition, the range having a magnetic field strength of 50A/m or more is 42mm, so it can be seen that the wireless charging area is narrow.

도 11a 내지 도 19a에 도시된 자기장 세기는 하기 표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The magnetic field strength shown in FIGS. 11A to 19A can be expressed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도면drawing 경사각도(°)Inclination angle (°) 평균 자기장 세기(A/m)Average magnetic field strength (A/m) 50A/m 이상의 자기장 세기를 갖는 범위(mm)Range with magnetic field strength of 50A/m or more (mm) 도 11aFig. 11a -8-8 53.253.2 3838 도 12aFig. 12a -6-6 56.556.5 7272 도 13aFig. 13a -4-4 6161 7272 도 14aFig. 14a -2-2 66.566.5 5252 도 15aFig. 15a 00 6868 8484 도 16aFig. 16a +2+2 69.569.5 9696 도 17aFig. 17a +4+4 7272 9595 도 18aFig. 18a +6+6 7979 107107 도 19aFig. 19a +8+8 XX XX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의 경사각도가 +8°로 경사진 경우, 자기장 세기가 x축 방향을 따라 변동이 커 평균 자기장 세기가 측정될 수 없고, 또한 50A/m 이상의 자기장 세기를 갖는 범위도 산출될 수 없었다.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의 경사각도가 +8°로 경사진 경우,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가 너무 가깝게 인접하거나 접하여, 자기장 발생의 불안정을 유발하여 자기장의 세기가 x축 방향을 따라 변동이 커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의 경사각도가 -6°로 경사진 경우(도 12a)에는 50A/m 이상의 자기장 세기를 갖는 범위가 72mm로서 비교예에서의 커짐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의 경사각도가 -6°보다 커지는 경우(도 13a 내지 도 18a), 50A/m 이상의 자기장 세기가 비교예보다 큼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의 경사각도는 -6° 내지 +6°일 수 있다. As shown in Table 1,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coil part 711 and the second coil part 713 is inclined to +8°, the magnetic field strength fluctuates along the x-axis direction and the average magnetic field strength is measured. And also a range having a magnetic field strength of 50 A/m or more could not be calculated.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coil part 711 and the second coil part 713 is inclined to +8°, the first coil part 711 and the second coil part 713 are too close to each other or come into contact with the magnetic field. It is estimated that the fluctuation of the magnetic field strength increases along the x-axis direction due to instability of occurrence.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coil part 711 and the second coil part 713 is inclined to -6° (FIG. 12A), the range having a magnetic field strength of 50A/m or more is 72mm, indicating that the increase in the comparative example I can. In addition,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second coil unit 713 is greater than -6° (FIGS. 13A to 18A ), it can be seen that the magnetic field strength of 50A/m or more is great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example. From thi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coil part 711 and the second coil part 713 may be -6° to +6°.

아울러, 실시예에서의 평균 자기장 세기는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의 경사각도가 -4° 이상으로 경사진 경우(도 13a 내지 도 18a), 비교예보다 큼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의 경사각도는 -4° 내지 +6°일 수 있다.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average magnetic field strength in the embodiment is great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example when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second coil unit 713 are inclined to -4° or more (Figs. 13A to 18A). I can. From thi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coil part 711 and the second coil part 713 may be -4° to +6°.

다시 말해,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의 경사각도가 -4° 이상으로 경사진 경우(도 13a 내지 도 18a), 실시예에서의 평균 자기장 세기와 50A/m 이상의 자기장 세기를 갖는 범위 모두 비교예보다 크다. In other words,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coil part 711 and the second coil part 713 is inclined to -4° or more (FIGS. 13A to 18A), the average magnetic field strength in the embodiment and 50A/m or more All ranges having magnetic field strength are greater than those of the comparative example.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의 경사각도는 0° 내지 +6°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second coil unit 713 may be 0° to +6°.

실시예에 따르면, 이와 같이, 제1 코일부(711)와 제2 코일부(713)가 경사지어 배치되므로, 무선충전영역이 확대되고, 균일한 무선충전영역을 확보하며, 자시장의 세기가 증진될 수 있어, 보다 빠르고 보다 균일한 무선충전이 가능하여 제품 성능이 향상되어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제고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the first coil unit 711 and the second coil unit 713 are arranged in an inclined manner, the wireless charging area is expanded, a uniform wireless charging area is secured, and the strength of the self-market is increased. As it can be improved, faster and more uniform wireless charging is possible, and product performance is improved, and reli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실시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실시예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710: 무선충전코일
711: 제1 코일부
711a: 제1 단자
711b: 제2 단자
712: 제1 코일도선
713: 제2 코일부
713a: 제3 단자
713b: 제4 단자
714: 제2 코일도선
715: 제1 연결부
717: 제2 연결부
719: 연장부
721: 제1 중공부
723: 제2 중공부
725: 기준선
730: 기준면
800: 차폐재
710: wireless charging coil
711: first coil unit
711a: first terminal
711b: second terminal
712: first coil conductor
713: second coil unit
713a: third terminal
713b: fourth terminal
714: second coil conductor
715: first connection portion
717: second connection
719: extension
721: first hollow part
723: the second hollow section
725: baseline
730: reference plane
800: shielding material

Claims (20)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코일부; 및
상기 제1 코일부에 연결되고,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코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일부와 상기 제2 코일부는 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인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코일부와 상기 제2 코일부는 기준면에 대해 평행하거나 경사진 구조를 갖는 무선충전코일.
A first coil unit disposed on one side; And
And a second coil part connected to the first coil part and disposed on the other side,
The first coil part and the second coil part have a structure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a reference line,
A wireless charging coil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coil part and the second coil part are parallel or inclined with respect to a reference pla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부와 상기 제2 코일부는 상기 기준면에 대해 -6° 내지 +6°의 경사각도를 갖는 무선충전코일.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oil part and the second coil part wireless charging coil having an inclination angle of -6° to +6°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la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부와 상기 제2 코일부는 상기 기준면에 대해 -4° 내지 +6°의 경사각도를 갖는 무선충전코일.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oil part and the second coil part wireless charging coil having an inclination angle of -4° to +6°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la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부와 상기 제2 코일부는 상기 기준면에 대해 0° 내지 +6°의 경사각도를 갖는 무선충전코일.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oil part and the second coil part wireless charging coil having an inclination angle of 0° to +6°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la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부의 외측과 상기 제2 코일부의 외측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코일부의 내측과 상기 제2 코일부의 내측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무선충전코일.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connection part connecting an outside of the first coil part and an outside of the second coil part; And
A wireless charging coil comprising a second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inside of the first coil part and the inside of the second coil par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무선충전코일.
The method of claim 5,
Wireless charging coil comprising an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connec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부는,
복수로 턴을 갖는 제1 코일도선;
상기 제1 코일도선의 외측에 제1 단자; 및
상기 제1 코일도선의 내측에 제2 단자
를 포함하는 무선충전코일.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coil part,
A first coil conductor having a plurality of turns;
A first terminal outside the first coil conductor; And
A second terminal inside the first coil conductor
Wireless charging coil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일부는,
복수로 턴을 갖는 제2 코일도선;
상기 제2 코일도선의 외측에 제3 단자; 및
상기 제2 코일도선의 내측에 제4 단자
를 포함하는 무선충전코일.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coil part,
A second coil conductor having a plurality of turns;
A third terminal outside the second coil conductor; And
A fourth terminal on the inside of the second coil conductor
Wireless charging coil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도선과 상기 제2 코일도선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권선되는 무선충전코일.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coil lead and the second coil lead are woun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코일부의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코일부의 상기 제3 단자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코일부의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제2 코일부의 상기 제4 단자를 연결하는 무선충전코일.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connection part connects the first terminal of the first coil part and the third terminal of the second coil part,
The second connection part is a wireless charging coil connecting the second terminal of the first coil part and the fourth terminal of the second coil par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코일부 및 상기 제2 코일부와 중첩되지 않는 무선충전코일.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connection part,
A wireless charging coil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first coil unit and the second coil uni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코일부 및 상기 제2 코일부와 중첩되는 무선충전코일.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cond connection part,
A wireless charging coil overlapping the first coil unit and the second coil uni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부의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제2 코일부의 상기 제4 단자는 최단거리로 배치되는 무선충전코일.
The method of claim 12,
The second terminal of the first coil part and the fourth terminal of the second coil part are disposed at the shortest distan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부의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제2 코일부의 상기 제4 단자는 상기 기준선에 최단거리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무선충전코일.
The method of claim 13,
The second terminal of the first coil part and the fourth terminal of the second coil part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reference line with the shortest dist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부와 상기 제2 코일부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무선충전코일.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oil unit and the second coil unit is a wireless charging coil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부와 상기 제2 코일부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1 코일도선 또는 상기 제2 코일도선의 직경의 3배 내지 5배인 무선충전코일.
The method of claim 15,
A wireless charging coil in which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il unit and the second coil unit is 3 to 5 times the diameter of the first coil conductor or the second coil conducto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부와 상기 제2 코일부의 이격거리는 2.7mm 내지 4.5mm인 무선충전코일.
The method of claim 16,
A wireless charging coil having a separation distance of 2.7mm to 4.5mm between the first coil part and the second coil part.
차폐재; 및
상기 차폐재 상에 배치되는 무선충전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충전코일은,
상기 차폐재의 제1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제1 코일부;
상기 제1 코일부에 연결되고, 상기 차폐재의 제2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제2 코일부;
상기 제1 코일부의 외측과 상기 제2 코일부의 외측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코일부의 내측과 상기 제2 코일부의 내측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일부와 상기 제2 코일부는 상기 제1 코일도선 또는 상기 제2 코일도선의 직경의 3배 내지 5배로 이격되고,
상기 제1 코일부와 상기 제2 코일부는 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인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코일부와 상기 제2 코일부는 기준면에 대해 평행하거나 경사진 구조를 갖는 무선충전장치.
Shielding material; And
Including a wireless charging coil disposed on the shielding material,
The wireless charging coil,
A first coil part disposed on the first area of the shielding material;
A second coil part connected to the first coil part and disposed on a second area of the shielding material;
A first connection part connecting an outside of the first coil part and an outside of the second coil part; And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inside of the first coil part and the inside of the second coil part,
The first coil part and the second coil part are spaced apart by 3 to 5 times the diameter of the first coil conductor or the second coil conductor,
The first coil part and the second coil part have a structure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a reference lin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coil part and the second coil part are parallel or inclined with respect to a reference plan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차폐재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코일부와 상기 제2 코일부는 리츠 와이어나 USTC 와이어를 포함하는 무선충전장치.
The method of claim 18,
The second connection part is disposed on the shielding material,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ing the first coil unit and the second coil unit Litz wire or USTC wir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차폐재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부와 상기 제2 코일부는 피복되지 않은 와이어를 포함하는 무선충전장치.
The method of claim 18,
The second connection part is disposed under the shielding material,
A wireless charging device comprising a wire that is not coated with the coil unit and the second coil unit.
KR1020190041234A 2019-04-09 2019-04-09 Wireless charging coil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KR2020011899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234A KR20200118993A (en) 2019-04-09 2019-04-09 Wireless charging coil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234A KR20200118993A (en) 2019-04-09 2019-04-09 Wireless charging coil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993A true KR20200118993A (en) 2020-10-19

Family

ID=73042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234A KR20200118993A (en) 2019-04-09 2019-04-09 Wireless charging coil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8993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0628A1 (en) * 2021-11-19 2023-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Antenn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WO2023214737A1 (en) * 2022-05-04 2023-11-09 주식회사 아모센스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0628A1 (en) * 2021-11-19 2023-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Antenn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WO2023214737A1 (en) * 2022-05-04 2023-11-09 주식회사 아모센스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7847B2 (en)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and method thereof
KR102452017B1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power
KR20200118993A (en) Wireless charging coil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KR102225425B1 (en) Wireless charger having wireless communication coil
KR20190115573A (en) Wireless charging device
KR20190007321A (en) Wireless charger having wireless communication coil
KR20190038972A (en) Wireless charging coi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200125130A (en) Wireless charging device
KR20190114090A (en) Wireless charger having wireless communication coil
KR20200076304A (en) Wireless charging coil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KR20180097250A (en) Multi coil module and wireless power receiver
KR20200104589A (en) Wireless charging coil
KR20190029131A (en) Wireless charging coi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90118297A (en) Wireless charger having wireless communication coil
KR20190118000A (en) Wireless charger having wireless communication coil
KR20190076462A (en) Wireless charger
KR20200114072A (en) Wireless charging coil
KR20200020290A (en) Wireless charging coil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KR20190074767A (en) Wireless charger having wireless communication coil
KR20200122047A (en) Wireless charging coil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KR102357766B1 (en) Coil Device Of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Power
KR20190001161A (en) Wireless charger having wireless communication coil
KR20190061617A (en) Wireless charger having wireless communication coil
KR20200085479A (en) Wireless charging coil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KR20200061542A (en) Wireless charging coil and wireless charg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