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8953A - 기준 지수를 이용한 분산자원 거래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기준 지수를 이용한 분산자원 거래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8953A
KR20200118953A KR1020190041130A KR20190041130A KR20200118953A KR 20200118953 A KR20200118953 A KR 20200118953A KR 1020190041130 A KR1020190041130 A KR 1020190041130A KR 20190041130 A KR20190041130 A KR 20190041130A KR 20200118953 A KR20200118953 A KR 20200118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ed
index
power
distributed resource
trans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헌영
Original Assignee
(주)누리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누리텔레콤 filed Critical (주)누리텔레콤
Priority to KR1020190041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8953A/ko
Priority to PCT/KR2019/004318 priority patent/WO2020209407A1/ko
Publication of KR20200118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89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준 지수를 이용한 분산자원 거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지수를 이용한 분산자원 거래 장치는, 분산자원 거래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분산자원에 대해 각 시간 별로 가격 지수, 제어 지수 및 환경 지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수를 복합적으로 고려한 거래 우선권에 따라 분산자원의 거래를 수행함으로써, 분산자원을 적절하게 거래할 수 있고 분산자원 거래를 빠르게 판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준 지수를 이용한 분산자원 거래 방법 및 장치{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DING DISTRIBUTED RESOURCE USING REFERENCE INDEX}
본 발명은 기준 지수를 이용한 분산자원 거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산업의 발달과 국가 제도적인 변화에 따라, 신재생 에너지의 도입이 늘어나고 에너지 체계가 분산화되면서 에너지 저장 장치의 도입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신재생 에너지는 신에너지와 재생에너지를 합쳐 부르는 말이다. 기존 화석연료를 변환하여 이용하거나 햇빛, 물, 강수, 생물유기체 등을 포함하여 재생이 가능한 에너지로 변환하여 이용하는 에너지를 말한다. 재생에너지에는 태양광, 태양열, 바이오, 풍력, 수력 등이 있고, 신에너지에는 연료전지, 수소에너지 등이 있다.
에너지 저장 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는 태양광으로 대표되는 신재생 에너지 발전 시스템과 전력 저장 시스템을 연계한 것으로,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배터리에 신재생 에너지 또는 전력 계통의 잉여 전력을 저장하고 필요 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시스템이다.
대형 발전소 또는 관공서뿐만 아니라 상업시설 및 가정에도 에너지 저장 장치를 도입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는 신재생 에너지의 도입이 늘어날 뿐만 아니라 시간대별 차등 요금제 등 에너지 가격 체계의 변화로 인해 도입이 증가하고 있다. 에너지 저장 장치가 발전원이 발전한 전력을 단순히 저장하여 그 전력을 사용하는 목적뿐만 아니라, 전력 수급을 안정화하고 전력 피크 수요와 시간대별 수요를 조절함으로써 수요절감과 전력 요금 절감을 할 수 있는 목적을 가지고 도입하는 경우가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에너지 저장 장치를 도입한 소규모 분산자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분산자원에 대한 거래 기술의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분산 에너지 자원을 거래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분산 에너지 자원의 거래는, 전력 거래소를 통하여 단일 분산 에너지 자원을 거래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다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분산 에너지 자원의 거래 가용도가 제한적이다.
분산 에너지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거래하기 위하여는, 분산 에너지 자원을 다중 분할하여 에너지 수용가에서 필요로 하는 분산 에너지 자원만이 거래될 수 있도록, 분산 에너지 자원 거래 중계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특히, 넓은 지역에 분산되어 있는 이종의 분산 에너지 자원을 효율적으로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분산 에너지 자원 거래 중계 시스템의 구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분산자원에 대해 각 시간 별로 가격 지수, 제어 지수 및 환경 지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수를 복합적으로 고려한 거래 우선권에 따라 분산자원의 거래를 수행함으로써, 분산자원을 적절하게 거래할 수 있고 분산자원 거래를 빠르게 판단할 수 있는, 기준 지수를 이용한 분산자원 거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산자원 거래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분산자원에 대해 각 시간 별로 가격 지수, 제어 지수 및 환경 지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수를 복합적으로 고려한 거래 우선권에 따라 분산자원의 거래를 수행함으로써, 분산자원을 적절하게 거래할 수 있고 분산자원 거래를 빠르게 판단할 수 있는, 기준 지수를 이용한 분산자원 거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분산자원에 대해 각 시간 별로 가격 지수, 제어 지수 및 환경 지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수를 복합적으로 고려한 거래 우선권에 따라 분산자원의 거래를 수행함으로써, 분산자원을 적절하게 거래할 수 있고 분산자원 거래를 빠르게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지수를 이용한 분산자원 거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지수를 이용한 분산자원 거래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지수를 이용한 분산자원 거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지수를 이용한 분산자원 거래 시스템(100)은 가상 발전소(110), 분산자원 거래 장치(120) 및 전력 거래소(130)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분산자원 거래 시스템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분산자원 거래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1의 분산자원 거래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가상 발전소(110)는 분산 에너지 자원(DER: Distributed Energy Resource)을 소프트웨어로 통합 운영해 지역적 제한 없이 수요자원으로 활용하는 가상의 단일 발전소를 뜻한다. 예컨대, 가상 발전소(110)는 물리적으로 실재하는 발전소는 아니지만, 특정지역의 태양광, 풍력, 소수력 등 다양한 신 재생 에너지 발전과 열병합발전 등을 하나의 플랫폼으로 결합하여 외부와 독립적인 분산형 발전설비로 활용하는 것이다. 가상 발전소(110)는 태양광, 소수력, 풍력, 조력 등과 같은 이종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을 수행하는 발전 설비를 나타낸다. 추가로 가상 발전소(110)는 자연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 또는 열에너지 등으로 변환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가상 발전소(110)는 태양광 발전원, 소수력 발전원 및 풍력 발전원 등이 포함된 복수의 분산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가상 발전소(110)는 분산자원 #1(111), 분산자원 #2(112), …, 에너지 저장 장치(113)를 포함할 수 있다. 에너지 저장 장치(113)는 가상 발전소(110)에서 생산된 전력을 구비된 배터리에 충전하여 에너지를 저장한다. 에너지 저장 장치(113)는 분산자원 거래 장치(12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를 방전시켜 저장된 전력을 부하나 전력망으로 공급할 수 있다. 에너지 저장 장치(113)는 배터리, PCS(Power Conditioning System) 및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부하는 전력을 소비하는 수용가를 나타내며, 가정, 빌딩, 공장 등의 전력을 소비하는 시설을 나타낸다. 가정용 또는 산업용 설비가 전력의 소비 주체가 될 수 있으며, 각 소비 주체의 종류 및 시간에 따라 필요한 전력량, 전압 등의 구체적인 요구 사항이 달라질 수 있다.
전력 거래소(130)는 전력 시장 운영 주체이다. 예컨대, 전력 거래소(100)에는 국내 전력 시장 운영 주체인 한국 전력 거래소(Korea Power eXchange, KPX)가 포함되며, 국내의 전력 시장과 전력 계통 운영을 전담하고 있는 기관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에 따른 분산자원 거래 장치(120)는 다양한 분산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도록 관리함으로써, 전력 시장 참여자의 수익을 극대화하고, 국내 실정에 알맞은 전력 수요관리 시장에서의 연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분산자원 거래 장치(120)는 각 시간 별로 가격 지수, 제어 지수 및 환경 지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수를 복합적으로 고려한 거래 우선권에 따라 분산자원의 거래를 수행함으로써, 분산자원을 적절하게 거래할 수 있고 분산자원 거래를 빠르게 판단할 수 있다.
이하, 분산자원 거래 장치(120)에서 고려하는 지수 고려사항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가격 지수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격 지수는 시간단위로 각 분산전원의 전력판매 단가를 지수로 표현한 것이다. 단가는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SMP 가격은 계통한계가격(SMP, System Marginal Cost)을 나타내며, REC 가중치는 신재생 에너지 공급인증서(REC, Renewable Energy Certificate)의 가중치를 나타내고, REC 단가는 신재생 에너지 공급인증서(REC, Renewable Energy Certificate)의 단가를 나타낸다.
가격지수는 태양광, 풍력 발전과 같은 신재생 발전원은 판매 단가만 고려가 될 수 있으나, 연료전지, 가스발전 등은 연료비가 고려되어야 한다.
일례로, 우기와 건기가 명확한 계절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 소수력 발전은 우기에 발전량과 발전 효율이 가장 좋아 발전 단가가 가장 낮다. 하지만, 건기 시에는 반대로 태양광 발전이 가장 좋고, 소수력은 발전량도 적고 발전 효율도 떨어져 실제 발전 단가 측면에서 좋지 않다.
따라서 우기 시에는 소수력 발전원은 지속 발전하고 있지만, 태양광은 간헐적으로 발전한다. 반대로, 분산자원 거래 장치(120)는 건기 시에서는 태양광 발전을 에너지 저장 장치(113)에 저장한다. 그리고 분산자원 거래 장치(120)는 건기 시에서는 소수력 발전을 수문 제어를 통해서 저장된 물을 가장 전력 비용이 비싼 시간에 사용하여 분산자원 거래를 수행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다음으로, 제어 지수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계측기나 전력거래소 등의 수요에 따라, 수요는 미리 예측이 가능하다. 이렇게 예측된 수요에 맞추어 발전원 별로 운용 가능한 발전 비율(%)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일례로, 맑은 날 낮 2시에는 태양광 발전량이 설치 용량에 맞추어 발전이 될 수도 있고, 이를 탈락시켜 발전시키지 않을 수도 있다. 이 때를 100%로 본다면, 새벽 2시에는 발전을 시킬려고 해도 제어가 되지 않으며, 이 때의 제어 지수는 0%로 본다. 분산자원 거래 장치(120)는 분산전원에 따라 시간별 제어 지수를 학습함으로써, 신뢰할만한 제어 지수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환경 지수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신재생 에너지의 경우, 날씨 등의 환경상황에 따라 발전량이 변동되고 영향을 받게 된다. 분산자원 거래 장치(120)는 이러한 기상에 따른 영향을 지수로 하여 시스템에서 관리한다.
일례로, 건기 시에도 온도가 상승하여 어느 지점에 다다르면 태양광 발전 효율이 저하되는 효과가 생긴다. 분산자원 거래 장치(120)는 이때는 에너지 저장 장치(113)에 저장한다. 분산자원 거래 장치(120)는 역시 전력 비용이 비싸거나 피크 전력 수요가 발생하는 시간에 에너지 저장 장치(113)에 저장된 전력을 사용함으로써, 실제로 발전된 전기 단가 대비 사용된 전기 비용 차이가 가장 크게 함으로써 전력 공급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일사량 정보와 실제 태양광 패널 정보, 그리고 전력 시장 가격 정보가 운전을 결정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종합 지수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분산자원 거래 장치(120)는 가격 지수, 제어 지수, 또는 환경 지수를 개별적으로 고려하여 분산자원 거래를 세분화시켜 운영할 수 있다. 즉, 분산자원 거래 장치(120)는 각 지수 별로 세분화된 분산자원을 운영할 수 있다. 또한, 분산자원 거래 장치(120)는 가격 지수, 제어 지수, 환경 지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수를 종합하여 운영 및 거래에 적용되는 종합 지수로 산출하고, 그 산출된 종합 지수를 기초로 하여 종합지수에 따른 운영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각 지수가 이에 맞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는 분산자원 거래 시스템을 경량화하기 위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지수를 이용한 분산자원 거래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지수를 이용한 분산자원 거래 장치(120)는 통신 모듈(210), 메모리(220) 및 프로세서(230)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분산자원 거래 장치(12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분산자원 거래 장치(120)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2의 분산자원 거래 장치(120)의 각 구성요소들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통신 모듈(210)은 가상 발전소(110)와 통신하고, 이종 신재생 에너지와 대응되는 각각의 환경 정보를 수신한다. 또는 통신 모듈(210)은 분산자원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분산자원과 관련된 제어명령을 송부하기 위해, 에너지 저장 장치 또는 외부 서버(에컨대, 전력 서버, 기상 서버 등)와 통신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프로세서(230)는 통신 모듈(210) 및 메모리(220)와 연결된다. 프로세서(2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분산자원에 대해 각 시간 별로 가격 지수, 제어 지수 및 환경 지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수를 복합적으로 고려한 거래 우선권에 따라 분산자원의 거래를 수행함으로써, 분산자원을 적절하게 거래할 수 있고 분산자원 거래를 빠르게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30)는 시간단위로 각 분산전원의 전력판매 단가를 지수로 표현한 가격 지수를 고려한 거래 우선권에 따라 분산자원의 거래를 수행함으로써, 분산자원을 적절하게 거래할 수 있고 분산자원 거래를 빠르게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30)는 미리 예측된 수요에 따라 분산전원별로 운용 가능한 제어 비율을 고려한 거래 우선권에 따라 분산자원의 거래를 수행함으로써, 분산자원을 적절하게 거래할 수 있고 분산자원 거래를 빠르게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30)는 날씨 등의 환경 상황에 따라 변동되거나 영향을 받게 되는 발전량을 고려한 거래 우선권에 따라 분산자원의 거래를 수행함으로써, 분산자원을 적절하게 거래할 수 있고 분산자원 거래를 빠르게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준 지수를 이용한 분산자원 거래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준 지수를 이용한 분산자원 거래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상기 도면 또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된 특징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그들의 조합들 내에서 실행될 수 있다. 특징들은 예컨대,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해, 기계 판독 가능한 저장 디바이스 내의 저장장치 내에서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서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특징들은 입력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설명된 실시예들의 함수들을 수행하기 위한 지시어들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설명된 특징들은, 데이터 저장 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 및 지시어들을 수신하기 위해, 및 데이터 저장 시스템으로 데이터 및 지시어들을 전송하기 위해,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시스템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 내에서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소정 결과에 대해 특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내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지시어들의 집합을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된 또는 해석된 언어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 중 어느 형태로 쓰여지고, 모듈, 소자, 서브루틴(subroutine), 또는 다른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을 위해 적합한 다른 유닛으로서, 또는 독립 조작 가능한 프로그램으로서 포함하는 어느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지시어들의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적합한 프로세서들은, 예를 들어, 범용 및 특수 용도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둘 모두, 및 단독 프로세서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터의 다중 프로세서들 중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설명된 특징들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지시어들 및 데이터를 구현하기 적합한 저장 디바이스들은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쉬 메모리 디바이스들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들, 내부 하드 디스크들 및 제거 가능한 디스크들과 같은 자기 디바이스들, 광자기 디스크들 및 CD-ROM 및 DVD-ROM 디스크들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모든 형태들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ASIC들(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내에서 통합되거나 또는 ASIC들에 의해 추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일련의 기능 블록들을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조합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구현 및/또는 필요에 따라 전술한 실시예들 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서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난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는 다양한 양태의 예시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양태들을 나타내기 위한 모든 가능한 조합을 기술할 수는 없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른 조합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다른 교체,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100: 분산자원 거래 시스템
110: 가상 발전소
111: 분산전원 #1
112: 분산전원 #2
113: 에너지 저장 장치
120: 분산자원 거래 장치
130: 전력 거래소

Claims (1)

  1. 분산자원 거래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분산자원에 대해 각 시간 별로 가격 지수, 제어 지수 및 환경 지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수를 복합적으로 고려한 거래 우선권에 따라 분산자원의 거래를 수행함으로써, 분산자원을 적절하게 거래할 수 있고 분산자원 거래를 빠르게 판단할 수 있는, 기준 지수를 이용한 분산자원 거래 장치.
KR1020190041130A 2019-04-09 2019-04-09 기준 지수를 이용한 분산자원 거래 방법 및 장치 KR2020011895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130A KR20200118953A (ko) 2019-04-09 2019-04-09 기준 지수를 이용한 분산자원 거래 방법 및 장치
PCT/KR2019/004318 WO2020209407A1 (ko) 2019-04-09 2019-04-11 기준 지수를 이용한 분산자원 거래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130A KR20200118953A (ko) 2019-04-09 2019-04-09 기준 지수를 이용한 분산자원 거래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953A true KR20200118953A (ko) 2020-10-19

Family

ID=72750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130A KR20200118953A (ko) 2019-04-09 2019-04-09 기준 지수를 이용한 분산자원 거래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118953A (ko)
WO (1) WO202020940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65134A (ja) * 2011-09-16 2013-04-11 Hitachi Ltd エネルギー取引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756511B1 (ko) * 2014-03-31 2017-07-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원 거래 방법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20150117085A (ko) * 2014-04-09 2015-10-19 전자부품연구원 가상 발전 관리 플랫폼 시스템 및 에너지 관리 방법
JP6254109B2 (ja) * 2015-01-15 2017-12-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力取引管理システムおよび電力取引管理方法
KR101965301B1 (ko) * 2018-07-31 2019-04-03 (주)대연씨앤아이 잉여 전력 생산을 유도하는 전력 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09407A1 (ko) 202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vičević et al. The potential of sector coupling in future European energy systems: Soft linking between the Dispa-SET and JRC-EU-TIMES models
Guerra et al. Facing the high share of variable renewable energy in the power system: Flexibility and stability requirements
Yan et al. Operation and design optimization of microgrids with renewables
Gabrielli et al. Electrochemical conversion technologies for optimal design of decentralized multi-energy systems: Modeling framework and technology assessment
Nosratabadi et al. Economic evaluation and energy/exergy analysis of PV/Wind/PEMFC energy resources employment based on capacity, type of source and government incentive policies: Case study in Iran
Ge et al. Increasing operational flexibility of integrated energy systems by introducing power to hydrogen
Ehrlich et al. The potential of decentralized power-to-heat as a flexibility option for the german electricity system: A microeconomic perspective
Trømborg et al. Flexible use of electricity in heat-only district heating plants
Bourennani et al. Optimal design methods for hybrid renewable energy systems
Nazari et al. A two-stage stochastic model for energy storage planning in a microgrid incorporating bilateral contracts and demand response program
Ruth et al. Energy systems integration: An evolving energy paradigm
Ferrari et al. Development of an optimization algorithm for the energy management of an industrial Smart User
Chiandone et al. Electrical storage in distribution grids with renewable energy sources
Kuznetsova et al. Prosumers and energy pricing policies: When, where, and under which conditions will prosumers emerge? A case study for Ontario (Canada)
Vijay et al. Impact of dynamic aspects on economics of fuel cell based micro co-generation in low carbon futures
Kneiske et al. Testing a model predictive control algorithm for a PV-CHP hybrid system on a laboratory test-bench
Varbanov et al. Municipal power plan optimisation accounting for environmental footprints
KR102240556B1 (ko) 이종 신재생 에너지원이 결합된 발전원 운영 방법 및 장치
Jayawardana et al. Optimisation framework for the operation of battery storage within solar‐rich microgrids
Koivunen et al. Contributing factors for electricity storage in a carbon‐free power system
Bui et al. Techno-economic analysis of high-power solid oxide electrolysis cell system
Li et al. Role of different energy storage methods in decarbonizing urban distributed energy systems: A case study of thermal and electricity storage
Zhang et al. Probabilistic chronological production simulation-based coordinated dispatching for cascaded hydro-PV-PSH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Haghi et al. Assessing the potential of surplus clean power in reducing GHG emissions in the building sector using game theory; a case study of Ontario, Canada
Balza et al. Potential for energy storage in combination with renewable energy in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