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8638A - 주조 장치 및 주조 방법 - Google Patents
주조 장치 및 주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18638A KR20200118638A KR1020190040812A KR20190040812A KR20200118638A KR 20200118638 A KR20200118638 A KR 20200118638A KR 1020190040812 A KR1020190040812 A KR 1020190040812A KR 20190040812 A KR20190040812 A KR 20190040812A KR 20200118638 A KR20200118638 A KR 202001186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lten steel
- partition wall
- accommodation spaces
- casting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7/00—Casting ingots, e.g. from ferrous metals
- B22D7/06—Ingot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B22D7/08—Divided ingot moul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7/00—Treating the metal in the mould while it is molten or ductile ; Pressure or vacuum casting
- B22D27/08—Shaking, vibrating, or turning of moul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7/00—Casting ingots, e.g. from ferrous metals
- B22D7/02—Casting compound ingots of two or more different metals in the molten state, i.e. integrally 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異種)의 용강을 이용하여, 복층 주편을 주조하는 주조 장치로서, 용강의 수용이 가능한 내부 공간을 가지는 본체 및 본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본체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수용 공간으로 분할하며, 용융 가능한 격벽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복수의 응고물을 하나의 주조 장치 내에서 동시에 제조할 수 있고, 복수의 응고물이 상호 결합된 복층 주편을 제조할 수 있다.따라서, 복수의 응고물 간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별도로 접합시키는 종래의 복층 주편 제조 방법에 비해 간단한 방법으로 복층 주편을 제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복층 주편 생산성이 향상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접합성 향상을 위한 전, 후 처리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복층 주편 제조를 위한 비용 및 시간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복수의 응고물을 하나의 주조 장치 내에서 동시에 제조할 수 있고, 복수의 응고물이 상호 결합된 복층 주편을 제조할 수 있다.따라서, 복수의 응고물 간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별도로 접합시키는 종래의 복층 주편 제조 방법에 비해 간단한 방법으로 복층 주편을 제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복층 주편 생산성이 향상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접합성 향상을 위한 전, 후 처리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복층 주편 제조를 위한 비용 및 시간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조 장치 및 주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층 주편을 주조할 수 있는 주조 장치 및 주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층 주편이란, 성질이 다른 두 가지 이상의 이종 주편이 다층 또는 복층을 이루는 복합 주편으로, 클래드 주편이라고도 불린다. 예컨대, 강도가 높은 탄소강 주편과 내식성을 가지는 스테인레스 주편이 복층을 이루도록 구성된 복층 주편일 수 있다.
복층 주편을 제조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조성이 다른 이종의 주편을 각각 마련하는 과정 및 각기 마련된 이종의 주편을 브레이징 용접 방법으로 접합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용접 전에 접합 강도를 높이기 위해 주편 표면을 밀링(milling)하는 과정 및 산화에 의한 접합부의 접합 강도 저하 방지를 위해, 용접 후 진공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이종의 주편을 별도로 제조하여 이를 접합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접합 강도 저하 방지를 위한 추가적인 공정이 수반되어야 하므로, 생산성이 낮고, 대량 생산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공정을 단순화하여 복층 주편을 주조할 수 있는 주조 장치 및 주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비용을 절감하여 복층 주편을 주조할 수 있는 주조 장치 및 주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종(異種)의 용강을 이용하여, 복층 주편을 주조하는 주조 장치로서, 상기 용강의 수용이 가능한 내부 공간을 가지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수용 공간으로 분할하며, 용융 가능한 격벽;을 포함한다.
상기 격벽은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연장 방향의 양 끝단이 상기 본체의 내벽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이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타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격벽은 복수개로 마련되고, 복수의 상기 격벽은 상기 타 방향으로 나열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은 3 개 이상으로 마련된다.
상기 격벽은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으로 장입되는 이종(異種)의 용강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다.
상기 격벽의 두께는 5mm 내지 5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벽의 상하 방향 길이가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 내 용강의 장입 높이에 비해 길고, 상기 격벽의 상단 높이가 상기 용강 탕면 높이에 비해 높은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격벽의 상단 높이가 상기 본체의 상단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격벽에 연결되어, 상기 격벽을 진동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부는, 상기 격벽이 진동되도록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 상기 진동 발생부와 체결 및 분리 가능하고, 상하 이동 및 수평 방향 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가능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장착되며, 상기 격벽과 체결 및 분리 가능한 체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조 방법은 조성이 서로 다른 복수의 용강을 마련하는 과정; 상호 분할된 복수의 수용 공간 중 적어도 2 개의 수용 공간 각각으로 이종(異種)의 용강을 장입하는 과정;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 각각에서 용강을 응고시키는 과정; 및 용강을 응고시키면서,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 사이에 위치된 격벽을 이용하여 응고물 사이를 결합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격벽을 이용하여 응고물 사이를 결합시키는데 있어서, 상기 용강을 응고시키면서 상기 격벽을 용융시키고, 상기 용강과 함께 격벽을 응고시켜,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에서 응고되는 응고물 사이를 결합시킨다.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으로 장입되는 용강의 높이에 따라 상기 격벽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으로 장입되는 용강이 상기 격벽을 따라 응고셸을 형성하는 시간 및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으로 장입되는 용강에 의해 상기 격벽이 용융되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여 상기 격벽의 두께를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용강을 장입하는데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으로 용강을 동시에 장입한다.
상호 분할된 복수의 수용 공간 중 적어도 2 개의 수용 공간 각각으로 이종(異種)의 용강을 장입하는데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이 3 개 이상으로 마련될 때, 3개 이상의 수용 공간 중, 연속 배치된 수용 공간에 서로 다른 조성의 용강을 장입시킨다.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으로 용강의 장입이 개시되는 시점부터 상기 격벽이 용융될 때까지 상기 격벽을 진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복수의 응고물을 하나의 주조 장치 내에서 동시에 제조할 수 있고, 복수의 응고물이 상호 결합된 복층 주편을 제조할 수 있다.따라서, 복수의 응고물 간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별도로 접합시키는 종래의 복층 주편 제조 방법에 비해 간단한 방법으로 복층 주편을 제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복층 주편 생산성이 향상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접합성 향상을 위한 전, 후 처리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복층 주편 제조를 위한 비용 및 시간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층 주편을 제조하기 위한 용강과 동일한 조성으로 격벽을 마련함으로써, 격벽에 의한 복층 주편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 내로 용강 장입 및 용강 응고시에 격벽을 진동시킴으로써, 용강과 격벽의 계면 사이에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이에, 기포에 의한 강도 저하를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조 장치를 나타낸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조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조 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조 장치로 제조된 복층 주편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조 장치를 나타낸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조 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조 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조 장치로 제조된 복층 주편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조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조 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조 장치로 제조된 복층 주편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조 장치를 나타낸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조 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조 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조 장치로 제조된 복층 주편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복층 주편을 제조할 수 있는 주조 장치 및 주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층 주편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공정이 단순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조 장치 및 주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조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조 장치를 나타낸 입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조 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조 장치로 제조된 복층 주편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조 장치는 용강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120)을 가지는 본체(100) 및 내부 공간(120)을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하도록 본체(100) 내부에 설치 가능한 격벽(200)을 포함한다. 또한, 주조 장치는 격벽(200)을 진동시키는 진동부(300) 및 격벽(200)을 본체(100)에 체결 또는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용강의 수용이 가능한 내부 공간(120)을 가지며, 상측이 개방되고, 하측이 폐쇄된 구조일 수 있다. 여기서, 상측의 개구는 용강이 장입되는 장입구일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0)는 최외각벽인 철피 및 철피의 내벽면에 설치되며 용강과 접촉되는 내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철피는 예컨대 탄소강일 수 있다.
본체(100) 내부 공간(120)의 형상은 사각형일 수 있고, 이를 위해 본체(100)는 4개의 벽체(111, 112, 113, 114)와 바닥판(115)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체(100)는 각각이 제 1 방향(예컨대, X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 1 방향과 교차 또는 직교하는 제 2 방향(예컨대, Y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호 마주보게 배치된 제 1 및 제 2 벽체(111, 112), 각각이 제 2 방향(즉, Y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 1 벽체(111)와 제 2 벽체(112) 사이에서 제 1 방향(즉, X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호 마주보게 배치된 제 3 및 제 4 벽체(113, 114), 제 1 내지 제 4 벽체(111, 112, 113, 114)의 하부를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된 바닥판(115)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내지 제 4 벽체(111, 112, 113, 114)와 바닥판(115) 각각은 최외각벽을 이루는 철피 및 철피의 내벽면에 설치되며 용강과 접촉되는 내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벽체(111, 112)의 연장 길이는 제 3 및 제 4 벽체(113, 114)의 연장 길이에 비해 길고, 제 1 벽체(111)와 제 2 벽체(112)의 연장 길이가 동일하며, 제 3 벽체(113)와 제 4 벽체(114)의 연장 길이가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제 3 벽체(113)는 제 1 벽체(111)의 일단과 제 2 벽체(112)의 일단을 연결하고, 제 4 벽체(114)는 제 1 벽체(111)의 타단과 제 2 벽체(112)의 타단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00)는 상측이 개방, 하측이 폐쇄되며, 횡단면의 형상이 직사각형인 내부 공간(120)을 가지는 직사각형의 중공형일 수 있다.
하지만, 본체(100) 및 그 내부 공간(120)의 형상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조하고자 하는 복층 주편(CS)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 예컨대 사각형외의 다각형, 원형 등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내지 제 4 벽체(111, 112, 113, 114) 및 바닥판(115)이 상호 분리된 별도의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제 1 내지 제 4 벽체(111, 112, 113, 114)와 바닥판(115)은 상호 결합된 일체형일 수 있다.
격벽(200)은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120)을 복수개로 분할한다.
격벽(200)은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연장된 방향과 교차 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본체(100)의 내부 공간(120)을 분할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격벽(20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제 2 방향(Y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 3 벽체(113)와 제 4 벽체(114) 사이에 위치하도록 본체(1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격벽(200)은 그 연장 방향의 양 끝단이 이와 마주하는 본체(100)의 벽체 즉, 제 1 및 제 2 벽체(111, 112)와 연결되며, 격벽(200)의 하단은 바닥판(115)과 연결된다.
격벽(200)은 본체(100)의 내부 공간(120)으로 장입되는 용강의 높이에 따라 상하 연장 길이 또는 높이를 조절하여 마련한다. 격벽(200)은 그 상단의 높이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공간(121, 122)으로 장입되는 용강(M1, M2)의 장입 높이(즉, 탕면 높이)에 비해 높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격벽(200)의 상하 방향(Z 축 방향) 길이(H1)는 수용 공간(121, 122)으로 장입되는 용강(M1, M2)의 장입 높이(H2)에 비해 길도록 마련되어, 격벽(200) 상단이 수용 공간(121, 122)으로 장입된 용강 탕면에 비해 상측에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격벽(200)의 상단 높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상단과 동일 높이에 있거나, 그 보다 상측에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물론, 격벽(200)은 그 상단의 높이가 수용 공간(121, 122)으로 장입되는 용강(M1, M2)의 장입 높이(즉, 탕면 높이)와 동일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격벽(200)에 의해, 본체(100)의 내부 공간(120)은 제 1 방향(X 축 방향)으로 분할된다. 다른 말로 설명하면, 본체(100)의 내부 공간(120)은 제 1 방향으로 분할, 나열된 2 개의 공간(이하, 제 1 및 제 2 수용 공간(121, 122))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수용 공간(121)과 제 2 수용 공간(122)은 제 1 방향의 길이가 상호 동일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조하고자 하는 복층 주편(CS)의 종류에 따라 제 1 수용 공간(121)과 제 2 수용 공간(121)의 제 1 방향 길이를 서로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본체(100)의 내부 공간(120)은 용강이 장입, 수용되어 응고되는 공간으로서, 제 1 및 제 2 수용 공간(121, 122)에 서로 다른 성분의 용강(즉, 이종 용강)이 장입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조성의 용강인 제 1 및 제 2 용강(M1, M2)을 준비하고, 2 개의 수용 공간(121, 122) 중 하나에 제 1 용강(M1)을, 다른 하나의 수용 공간에 제 2 용강(M2)을 장입한다.
이때, 제 1 용강(M1)은 예컨대, 복층 주편(CS)의 강도 확보를 위한 탄소강 제조용 용강일 수 있고, 제 2 용강(M2)은 내식성을 가지는 스테인레스강 제조용 용강 또는 니켈 합금강 제조용 용강일 수 있다.
물론, 용강의 종류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조하고자 하는 복층 주편(CS)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예컨대 알루미늄 합금강 제조용 용강, 고망간강 제조용 용강, 초내열 합금강(super alloy) 제조용 용강, Al과 Cu 함금강 제조용 용강 등일 수 있다.
본체(100)의 제 1 및 제 2 수용 공간(121, 122)에 용강이 장입되면, 각 수용 공간(121, 122)에서 용강이 응고되어 응고물(S1, S2)이 제조된다. 즉, 제 1 수용 공간(121)에서 제 1 용강(M1)이 응고된 제 1 응고물(S1), 제 2 수용 공간(122)에서 제 2 용강(M2)이 응고된 제 2 응고물(S2)이 제조된다. 이때, 각 수용 공간(121, 122)에서 용강의 응고시에, 먼저 본체(100)의 내벽과 격벽(200)을 따라 응고되기 시작하여 응고셸을 형성하고, 점차 수용 공간(121, 122)의 중심 방향으로 응고가 진행된다.
복층 주편(CS)은 제 1 및 제 2 수용 공간(121, 122) 각각에서 응고된 제 1 응고물(S1)과 제 2 응고물(S1, S2)의 결합체이다(도 4 참조). 다른 말로 하면, 복층 주편(CS)은 서로 다른 성분을 가지는 복수의 응고물(S1, S2)이 상호 결합된 주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복수의 응고물(S1, S2)을 하나의 본체(100) 내에서 동시에 제조하여, 복수의 응고물(S1, S2)이 상호 결합된 복층 주편(CS)을 제조한다. 다른 말로 하면, 종래와 같이 복수의 응고물(S1, S2)을 별도로 마련하여 이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접합시키지 않고, 하나의 본체(100) 내에서 동시에 제조하여 복수의 응고물(S1, S2)이 상호 결합된 복층 주편(CS)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는 각 수용 공간(121, 122)에서 응고된 응고물(S1, S2)을 상호 결합시키기 위해, 용강의 열에 의해 가열되어 용융 가능한 재료로 격벽(200)을 마련한다. 또한, 격벽(200)은 복층 주편(CS)에 있어서 불순물로 작용하지 않는 재료 또는 복층 주편(CS)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재료로 마련된다. 이에, 격벽(200)은 본체(100) 내로 장입되는 이종의 용강 중 어느 하나의 용강과 동일한 성분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격벽(200)은 제 1 및 제 2 수용 공간(121, 122)으로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용강(M1, M2) 중 어느 하나의 용강을 응고시켜 마련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수용 공간(121, 122)으로 제 1 및 제 2 용강(M1, M2)이 장입되면, 제 1 및 제 2 용강(M1, M2)과 접촉하는 본체(100)의 내벽 및 격벽(200)을 따라 먼저 응고가 시작되어 응고셸이 형성되고, 이후 수용 공간(121, 122)의 중심 방향으로 응고가 진행된다. 이때, 격벽(200)은 장입된 용강에 의해 가열되는데, 용강의 응고가 시작되고 소정 시간 후에 격벽(200)은 용융점에 도달하게 되고, 이에 격벽(200)이 용융된다. 이렇게, 격벽(200)이 모두 용융되고, 이후 제 1 및 제 2 용강(M1, M2)과 함께 격벽(200)이 응고되면서 제 1 응고물(S1)과 제 2 응고물(S2)이 상호 결합된 복층 주편(CS)이 제조된다.
격벽(200)은 복수의 수용 공간(121, 122)으로 장입되는 용강이 상기 격벽(200)을 따라 응고셸을 형성하는 시간 및 복수의 수용 공간(121, 122)으로 장입되는 용강에 의해 격벽(200)이 용융되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여 격벽(200)의 두께를 조절하여 마련한다.
격벽(200)은 5mm 내지 50mm(5mm 이상, 50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mm 내지 30mm(10mm 이상, 30mm 이하)의 두께(t)로 마련된다. 여기서, 격벽(200)의 두께(t)는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로서, 격벽(200)이 제 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경우 제 1 방향의 길이가 두께(t)이다.
한편, 격벽(200)의 두께가 5mm 미만인 경우, 그 두께(t)가 너무 얇아 격벽(200)을 따라 응고셸이 형성되기 전에 격벽(200)이 용융될 수 있다. 이에 이종 용강 간의 혼합이 다량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복층 주편(CS)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반대로 격벽(200)의 두께(t)가 50mm을 초과하는 경우 격벽(200)의 용융이 지연되면서, 격벽(200)과 용강 간의 계면에서 응고 수축이 발생되고, 이에 따른 결함이 발생되어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격벽(200)의 두께(t)를 5mm 내지 50mm(5mm 이상, 50mm 이하)로 마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격벽(200)은 그 상단의 높이가 용강 장입 높이에 비해 높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이종 용강의 혼합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용 공간(121, 122)으로 용강이 장입되면, 격벽(200)이 하부에서부터 상부 방향으로 순차 가열될 수 있다. 이에, 격벽(200)이 용융되는데 있어서, 하부에서 상부 순으로 용융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격벽(200)의 용융이 시작되면 그 상단의 높이가 점차 낮아질 수 있다.
그런데, 격벽(200) 상단의 높이가 용강 장입 높이(H2)에 비해 높도록 격벽(200)의 상하 방향(Z 축 방향) 길이(H1)가 조절된 경우, 격벽(200)의 용융이 시작되어 상기 격벽(200)의 상단의 높이가 점차 낮아지더라도, 본체(100) 내 상부 영역에서 응고셸이 형성될 때까지 격벽(200)이 존재할 수 있어, 이종 용강의 혼합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른 말로 설명하면, 수용 공간(121, 122) 사이에서 바닥에서부터 상부까지 용강 장입 높이로 응고셸이 형성될 때까지 격벽(200)이 용강 장입 높이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어, 이종 용강의 혼합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격벽(200)의 상하 방향의 길이(H1) 또는 용강 탕면 상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용강 장입 높이로 응고셸이 형성될 때까지 격벽(200)이 용강 장입 높이 이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격벽(200)을 본체(100) 내부에 삽입 설치하는데 있어서, 격벽(200)을 본체(10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400)를 이용할 수 있다. 고정부(400)는 본체(100)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며, 본체(100)의 상부와 격벽(200)의 상부가 상호 연결 및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400)는 본체(100) 상부와 격벽(200) 상부를 상호 결합, 체결할 수 있는 수단 예컨대 클램프를 포함하는 수단일 수 있다. 물론 고정부(400)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100)와 격벽(200)을 상호 결합 시킬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에서는 고정부(400)가 본체(100)와 격벽(200) 상부를 상호 연결하도록 체결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고정부(400)의 체결 또는 설치 위치는 본체(100) 및 격벽(200) 간을 상호 연결 및 체결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 예컨대 본체(1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400)는 복수의 수용 공간(121, 122)으로 장입되는 이종의 용강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조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 1 및 제 2 수용 공간(121, 122) 각각으로 용강을 장입하면, 용강과 본체(100) 내벽 간의 계면 및 용강과 격벽(200) 간의 계면에서 기포가 발생될 수 있다. 용강과 본체(100) 내벽 간의 계면에서 발생된 기포는 복층 주편(CS)의 외측 표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복층 주편(CS) 제조 후에 실시되는 압연 조업에 의해 제거가 가능하다.
그런데, 용강과 격벽(200) 간의 계면에서 발생된 기포는 복층 주편(CS)의 내부에 존재하는 것이므로, 이후 압연 조업에서 제거가 어렵다. 그리고, 기포는 불순물인 S(황) 및 P(인) 중 적어도 하나가 유입되는 채널로 작용하여, 기포로 유입된 S(황) 또는 P(인)에 의해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특히, 복층 주편(CS) 또는 이를 압연하여 제조한 복합 강재의 중심부의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용강과 격벽(200) 간의 계면에서의 기포 발생을 억제 또는 방지하기 위하여, 격벽(200)을 진동시키는 진동부(300)를 마련한다.
진동부(300)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310), 진동 발생부(310)와 체결 및 분리 가능하며, 상하 이동 및 수평 방향 이동 동작이 가능한 연결부(320) 및 연결부(320)에 장착되며, 격벽(200)과 체결 및 분리 가능한 체결부(330)를 포함한다.
또한, 진동부(300)는 체결부(330) 및 연결부(320)와 각기 연결되어, 체결부(330)가 격벽(200)과 체결되거나 분리되도록 동작시키고, 연결부(320)를 상하 이동 및 수평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 시키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로 구동시키는 구동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발생부(310)는 연결부(320)를 통해 격벽(200)을 진동시키는 수단이다. 진동 발생부(310)의 동작에 의해 격벽(200)을 진동시키는 방향은 제 1 방향(X 축 방향) 및 제 2 방향(Y 축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일 수 있다. 그리고 진동 발생부(310)는 진폭 또는 진동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진동 발생부(310)는 용강과 격벽(200) 계면 사이에서 기포 발생을 억제하면서, 격벽(200)이 설치 위치로부터 이동되거나, 격벽(200)이 본체(100)로부터 분리되거나, 본체(100) 내벽과 이격되지 않도록 진폭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발생부(310)는 전기 에너지를 초음파로 바꿔 진동을 발생 발생시키는 초음파 진동자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하지만, 진동 발생부(310)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격벽(200)을 진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장치의 적용이 가능하다.
연결부(320)는 진동 발생부(310)와 체결부(330) 사이를 연결하며, 진동 발생부(310)와 체결 및 분리 가능한 수단일 있다. 그리고, 연결부(320)는 구동부(340)에 의해 승하강 및 수평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 중 적어도 하나가 가능하다. 연결부(320)는 진동 발생부(310)에 연결된 상태로 승하강 가능하고, 신장 및 수축 동작이 가능한 수단일 수 있다.
체결부(330)는 예컨대 구동부(340)에 의해 동작 가능한 클램프를 포함하는 수단일 수 있다. 물론 체결부(330)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연결부(320)의 단부에 연결되며, 격벽(200)과 체결 및 분리 가능한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320) 및 체결부(330)는 격벽(200)에 비해 용융점이 높은 재료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3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체(100) 내 복수의 수용 공간으로 용강을 장입시키기 전에, 진동부(300)의 체결부(330)를 격벽(200)에 체결한다. 이를 위해, 구동부(340)를 동작시켜, 연결부(320) 및 이에 연결된 체결부(330)가 격벽(200) 및 본체(100)와 간섭되지 않도록 연결부(320)를 상승시키고, 연결부(320)를 격벽(200) 방향으로 신장시켜 체결부(330)가 격벽(200)의 상측에 대응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체결부(330)가 격벽(200)의 상단을 클램핑 할 수 있도록 연결부(320)를 하강시킨 후, 체결부(330)를 동작시켜 격벽(200)에 체결한다.
격벽(200)에 체결부(330)가 연결되면, 본체(100) 내부로 용강을 장입시켜 용강을 응고시킨다. 이때, 본체(100) 내로 용강이 장입되기 시작하는 시점부터 진동 발생부(310)를 동작시켜 격벽(200)을 진동시키며, 격벽(200)의 용융이 시작되기 직전에 격벽(200) 진동을 중지시킨다. 바람직하게는 격벽(200) 상단의 용융이 시작되기 직전에 격벽(200) 진동을 중지한다.
이후, 격벽(200)의 상단이 용융되기 직전에 구동부(340)를 동작시켜 체결부(330)가 격벽(20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고, 연결부(320)를 상승시키거나, 수축시킨다. 이에, 체결부(330) 및 연결부(320)가 격벽(200)으로부터 분리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조 장치를 나타낸 입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조 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조 장치로 제조된 복층 주편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는 본체(100) 내에 하나의 격벽(200)이 설치되어, 본체(100)의 내부 공간(120)을 2 개의 수용 공간(121, 122)으로 분할하는 구조를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격벽이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본체의 내부 공간이 3 개 이상의 수용 공간으로 분할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격벽(이하, 제 1 및 제 2 격벽(200a, 200b))이 마련되고, 제 1 및 제 2 격벽(200a, 200b)이 일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이격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1 및 제 2 격벽(200a, 200b) 각각은 제 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연장된 방향과 교차 또는 직교하는 방향인 제 1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이격 설치된다. 이에, 본체(100)의 내부 공간(120)은 3 개의 수용 공간(이하, 제 1 내지 제 3 수용 공간(121, 122, 123))으로 분할되며, 제 1 내지 제 3 수용 공간(121, 122, 123)은 제 1 방향으로 나열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격벽(200a, 200b) 각각을 진동시키도록 제 1 및 제 2 진동부(300a, 300b)가 마련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진동부(300a, 300b) 각각은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310a, 310b), 진동 발생부(310a, 310b)에서 발생된 진동을 제 1 및 제 2 격벽(200a, 200b)으로 전달하는 연결부(320a, 320b), 연결부(320a, 320b)에 장착되며, 격벽(200a, 200b)과 체결 및 분리 가능한 체결부(330a, 330b), 체결부(330a, 330b) 및 연결부(320a, 320b)와 각기 연결되어, 체결부(330a, 330b)가 격벽(200a, 200b)과 체결되거나 분리되도록 동작시키고, 연결부(320a, 320b)를 상하 이동 및 수평 방향으로 전후진시키는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동시키는 구동부(340a, 340b)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진동부의 구성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진동 발생부 및 진동 발생부와 제 1 및 제 2 격벽(200a, 200b)을 각기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연결부, 제 1 및 제 2 체결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층 주편(CS) 제조를 위해 3 개 이상의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본체(100) 내로 용강을 장입하는데 있어서, 연속 배치된 수용 공간에는 서로 다른 조성의 용강을 장입한다.
이에, 제 1 내지 제 3 수용 공간(121, 122, 123)으로 용강을 장입하는데 있어서, 중간에 위치된 제 2 수용 공간(122)에 제 1 용강(M1)을, 제 2 수용 공간(122)의 일측 및 타측에 위치한 제 1 및 제 3 수용 공간(121, 123)에 제 2 용강(M2)을 장입할 수 있다.
이때, 제 1 용강(M1)은 복층 주편(CS)의 강도 확보를 위한 탄소강 제조용 용강일 수 있고, 제 2 용강(M2)은 내식성을 가지는 스테인레스강 제조용 용강 또는 니켈 합금강 제조용 용강일 수 있다.
이러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조 장치에 의하면, 제 1 내지 제 3 응고물(S1, S2, S3)이 상호 결합된 또는 샌드위치 구조의 복층 주편(CS)이 제조된다.즉, 제 2 수용 공간(122)에서 제 1 용강(M1)이 응고된 제 2 응고물(S2), 제 1 및 제 3 수용 공간(121, 123)에서 제 2 용강(M2)이 응고된 제 1 및 제 3 응고물(S1, S3)이 제조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용강의 응고 과정에서 제 1 및 제 2 격벽(200a, 200b)의 용융 및 응고에 의해 제 1 내지 제 3 응고물(S1, S2, S3)이 상호 결합된 복층 주편(CS)이 제조된다.
이러한 복층 주편(CS)에 의하면, 제 1 및 제 3 응고물(S1, S3)과 제 2 응고물(S2)의 조성 및 특성이 다르고, 제 1 응고물(S1)과 제 3 응고물(S3)의 조성 및 특성이 동일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3 개의 수용 공간(121, 122, 123)을 포함하는 본체(100) 내에 2 종의 용강을 공급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즉, 3 개의 수용 공간(121, 122, 123) 중 2 개의 수용 공간에 동일한 성분의 용강을 장입하고, 다른 하나의 수용 공간에 이와 다른 성분의 용강을 장입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용 공간의 갯수만큼의 이종 용강을 마련하고, 복수의 수용 공간 각각에 서로 다른 용강을 장입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내지 제 3 수용 공간(121, 122, 123)을 가지는 경우, 서로 다른 성분의 용강인 제 1 내지 제 3 용강을 마련하고, 제 1 수용 공간(121)에 제 1 용강, 제 2 수용 공간(122)에 제 2 용강, 제 3 수용 공간(123)에 제 3 용강을 장입하여 응고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내지 제 3 응고물(S1, S2, S3)이 모두 상이한 조성 및 특성을 가지는 복층 주편(CS)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격벽(200a, 200b)이 2 개로 마련되고, 본체(100)의 내부 공간(120)이 3 개의 수용 공간(121, 122, 123)으로 분할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격벽은 3 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본체(100)의 내부 공간(120)이 4 개 이상의 수용 공간으로 분할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따른 주조 장치는 용강을 연속으로 공급하여 주편을 연속으로 주조하는 연속 주조 장치와 다른 주조 장치이다. 즉, 실시예들에 따른 주조 장치는 본체(100) 내 각 수용 공간으로 용강을 1회 장입하고, 1회 장입된 용강을 이용하여 복층 주편(CS)을 주조하는 장치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조 장치를 이용한 복층 주편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조 장치를 이용한 복층 주편 제조 방법이 동일하므로,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조 장치를 예를들어 설명한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복층 주편(CS)을 제조하고자 하는 제 1 용강(M1)과 제 2 용강(M2)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조성으로 제조된 격벽(200)을 마련하고, 이를 본체(100) 내에 삽입시킨다.
이때, 제 1 내지 제 4 벽체(111, 112, 113, 114) 및 바닥판(115)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그 내부로 격벽(200)을 삽입시킬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내지 제 4 벽체(111, 112, 113, 114) 간을 상호 결합시킬 때, 제 3 벽체(113)와 제 4 벽체(114) 사이에 격벽(200)을 위치시키고, 격벽(200)의 양단이 제 1 벽체(111) 및 제 2 벽체(112)의 내벽과 연결 또는 밀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한편에서는 성분이 서로 다른 이종 용강인 제 1 및 제 2 용강(M1, M2)을 마련한다. 여기서 제 1 용강(M1)은 탄소강 제조용 용강일 수 있고, 제 2 용강(M2)은 스테인레스강 제조용 용강일 수 있다.
이후, 본체(100) 내 제 1 수용 공간(121)에 제 1 용강(M1), 제 2 수용 공간(122)에 제 2 용강(M2)을 장입한다. 이때 제 1 및 제 2 용강(M1, M2)을 동시에 장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수용 공간(121, 122)으로 용강이 장입되기 시작하면, 진동부(130)를 동작시켜 격벽(200)을 진동시킨다.
제 1 및 제 2 수용 공간(121, 122)으로 용강(M1, M2)이 장입되면, 먼저 용강과 접촉되는 본체(100)의 내벽 및 격벽(200)에서부터 응고가 시작되어 응고셸이 형성되며, 점차 제 1 및 제 2 수용 공간(121, 122)의 중심 방향으로 응고가 진행된다. 이에 제 1 및 제 2 수용 공간(121, 122) 각각의 용강의 응고되어 제 1 및 제 2 응고물(S1, S2)이 제조된다.
이렇게, 제 1 및 제 2 수용 공간(121, 122)으로 용강이 응고되는 동안, 격벽(200)은 용강의 열에 의해 가열된다. 그리고, 격벽(200)을 따라 응고셸이 형성된 후에 격벽(200)의 온도가 용융점에 도달하여 격벽(200)이 용융되며, 이후 제 1 및 제 2 용강(M1, M2)과 함께 응고된다.
따라서, 제 1 응고물(S1)과 제 2 응고물(S2)이 격벽(200)의 용융에 의해 상호 결합된 복층 주편(CS)이 제조된다. 이때, 두께 및 높이가 조절된 격벽(200)을 이용함으로써, 이종 용강 간의 혼합을 최소화시키면서, 제 1 응고물(S1)과 제 2 응고물(S2)이 상호 결합된 복층 주편(CS)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복층 주편(CS)에 의하면, 제 1 응고물(S1)과 제 2 응고물(S2)의 조성 및 특성이 다르다. 즉, 제 1 응고물(S1)은 탄소강이고, 제 2 응고물(S2)은 스테인레스 강일 수 있다.
복층 주편(CS)이 제조되면, 본체(100)로부터 복층 주편(CS)을 반출한다. 이때, 복층 주편(CS)을 본체(100)의 상측 개구로 인출하거나, 본체(100)의 벽체들(111, 112, 113, 114) 및 바닥판(115)을 분리시켜 복층 주편(CS)을 반출할 수 있다.
이후, 반출된 복층 주편(CS)을 압연하면, 복층 강재가 제조된다.이때, 제 1 응고물(S1)과 제 2 응고물(S2)을 사이에 두고 압하력을 가하여 압연시킨다.
이렇게 제조된 복층 강재는 예컨대, 미국 석유협회 (American Petroleum Institute)에서 규정한 규격을 지닌 API(American Petroleum Institute) 강재일 수 있다.
그리고, 제조된 복층 강재는 심층의 유전에서 지상으로 원유나 가스를 운반하는 유정용 강관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관(pipe) 형상이 되도록 복층 강재를 마는데, 탄소강인 제 1 응고물이 외측, 내식성을 가지는 제 2 응고물이 내측이 되도록 만다. 이에 따라, 소정의 강도를 가지면서, 석유가 이동하는 내측에 내식성을 가지는 유정용 강관이 제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본체(100) 내에 용융 가능한 격벽(200)을 설치하여,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120)을 복수의 수용 공간(121, 122)으로 분할한 주조 장치를 이용하여 복층 주편(CS)을 제조한다. 이에, 복수의 응고물(S1, S2)을 하나의 본체(100) 내에서 동시에 제조할 수 있고, 복수의 응고물(S1, S2)이 상호 결합된 복층 주편(CS)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응고물 간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접합시키는 종래의 복층 주편 제조 방법에 비해 간단한 방법으로 복층 주편(CS)을 제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복층 주편(CS) 생산성이 향상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접합성 향상을 위한 전, 후 처리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복층 주편(CS) 제조를 위한 비용 및 시간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층 주편(CS)을 제조하기 위한 용강과 동일한 조성으로 격벽을 마련함으로써, 격벽에 의한 복층 주편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0) 내로 용강 장입 및 용강 응고시에 격벽(200)을 진동시킴으로써, 용강과 격벽(200)의 계면 사이에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이에, 기포에 의한 강도 저하를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개시된 구성과 방식은 서로 결합하거나 교차하여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것이고, 이 같은 변형 예들도 본 발명의 범주로 볼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본체
200: 격벽
200a: 제 1 격벽 200b: 제 2 격벽
121: 제 1 수용 공간 122: 제 2 수용 공간
123: 제 3 수용 공간 CS: 복층 주편
S1: 제 1 응고물 S2: 제 2 응고물
S3: 제 3 응고물
200a: 제 1 격벽 200b: 제 2 격벽
121: 제 1 수용 공간 122: 제 2 수용 공간
123: 제 3 수용 공간 CS: 복층 주편
S1: 제 1 응고물 S2: 제 2 응고물
S3: 제 3 응고물
Claims (16)
- 이종(異種)의 용강을 이용하여, 복층 주편을 주조하는 주조 장치로서,
상기 용강의 수용이 가능한 내부 공간을 가지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수용 공간으로 분할하며, 용융 가능한 격벽;
을 포함하는 주조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연장 방향의 양 끝단이 상기 본체의 내벽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이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타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마련된 주조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복수개로 마련되고, 복수의 상기 격벽은 상기 타 방향으로 나열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은 3 개 이상으로 마련된 주조 장치.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으로 장입되는 이종(異種)의 용강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 주조 장치.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두께는 5mm 내지 50mm인 주조 장치.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상하 방향 길이가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 내 용강의 장입 높이에 비해 길고, 상기 격벽의 상단 높이가 상기 용강 탕면 높이에 비해 높은 주조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상단 높이가 상기 본체의 상단 높이와 동일한 주조 장치.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 연결되어, 상기 격벽을 진동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는 주조 장치.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상기 격벽이 진동되도록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
상기 진동 발생부와 체결 및 분리 가능하고, 상하 이동 및 수평 방향 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가능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장착되며, 상기 격벽과 체결 및 분리 가능한 체결부;
를 포함하는 주조 장치. - 조성이 서로 다른 복수의 용강을 마련하는 과정;
상호 분할된 복수의 수용 공간 중 적어도 2 개의 수용 공간 각각으로 이종(異種)의 용강을 장입하는 과정;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 각각에서 용강을 응고시키는 과정; 및
용강을 응고시키면서,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 사이에 위치된 격벽을 이용하여 응고물 사이를 결합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는 주조 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격벽을 이용하여 응고물 사이를 결합시키는데 있어서,
상기 용강을 응고시키면서 상기 격벽을 용융시키고, 상기 용강과 함께 격벽을 응고시켜,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에서 응고되는 응고물 사이를 결합시키는 주조 방법. -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으로 장입되는 용강의 높이에 따라 상기 격벽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주조 방법. -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으로 장입되는 용강이 상기 격벽을 따라 응고셸을 형성하는 시간 및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으로 장입되는 용강에 의해 상기 격벽이 용융되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여 상기 격벽의 두께를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주조 방법. -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용강을 장입하는데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으로 용강을 동시에 장입하는 주조 방법. -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호 분할된 복수의 수용 공간 중 적어도 2 개의 수용 공간 각각으로 이종(異種)의 용강을 장입하는데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이 3 개 이상으로 마련될 때, 3개 이상의 수용 공간 중, 연속 배치된 수용 공간에 서로 다른 조성의 용강을 장입시키는 주조 방법. -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으로 용강의 장입이 개시되는 시점부터 상기 격벽이 용융될 때까지 상기 격벽을 진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주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0812A KR20200118638A (ko) | 2019-04-08 | 2019-04-08 | 주조 장치 및 주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0812A KR20200118638A (ko) | 2019-04-08 | 2019-04-08 | 주조 장치 및 주조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8638A true KR20200118638A (ko) | 2020-10-16 |
Family
ID=73035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0812A KR20200118638A (ko) | 2019-04-08 | 2019-04-08 | 주조 장치 및 주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118638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02021104829U1 (de) | 2020-09-15 | 2021-12-08 | Hyundai Mobis Co., Ltd. | Vorrichtung zum Fixieren eines Druckbehälters |
KR20220079255A (ko) | 2020-12-04 | 2022-06-13 | 명화공업주식회사 | 차압 주조 장치 |
KR20220079256A (ko) | 2020-12-04 | 2022-06-13 | 명화공업주식회사 | 차압 주조 장치 |
KR20220079254A (ko) | 2020-12-04 | 2022-06-13 | 명화공업주식회사 | 차압 주조 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32440A (ko) | 2009-09-23 | 2011-03-30 | 주식회사 덕원식품 | 훈제 옻오리 및 그 제조방법 |
-
2019
- 2019-04-08 KR KR1020190040812A patent/KR2020011863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32440A (ko) | 2009-09-23 | 2011-03-30 | 주식회사 덕원식품 | 훈제 옻오리 및 그 제조방법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02021104829U1 (de) | 2020-09-15 | 2021-12-08 | Hyundai Mobis Co., Ltd. | Vorrichtung zum Fixieren eines Druckbehälters |
KR20220079255A (ko) | 2020-12-04 | 2022-06-13 | 명화공업주식회사 | 차압 주조 장치 |
KR20220079256A (ko) | 2020-12-04 | 2022-06-13 | 명화공업주식회사 | 차압 주조 장치 |
KR20220079254A (ko) | 2020-12-04 | 2022-06-13 | 명화공업주식회사 | 차압 주조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00118638A (ko) | 주조 장치 및 주조 방법 | |
CN105458264B (zh) | 一种接触式机械振动条件下增材制造方法 | |
JP6014663B2 (ja) | マルチ合金の垂直半連続鋳造方法 | |
US3234603A (en) | Butt joining of steel bars and the like | |
RU2421300C2 (ru) | Металлическое формованное изделие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 |
JP2006346708A (ja) | 層流ダイカスト鋳造方法および層流ダイカスト鋳造装置 | |
US20220001483A1 (en) | Ultrasonic Resistance Welding Process And Apparatus | |
JP2017512138A (ja) | 複合成分の形成 | |
JP2020062654A (ja) | 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構造体 | |
JP2015167987A (ja) | 引上式連続鋳造装置及び引上式連続鋳造方法 | |
JP2004025307A (ja) | 軽量部材、その製造方法及び装置 | |
US20170326632A1 (en) |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material | |
KR20130073542A (ko) | 이종금속 접합소재의 연속주조방법 | |
JPH0371937B2 (ko) | ||
JP5083862B2 (ja) | クラッド金属板の製造方法 | |
JP6765360B2 (ja) | 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構造体 | |
JP2002512129A (ja) | バイメタル・プレート | |
CN103934551B (zh) | 表面机械研磨处理和超声波协同辅助异种金属tig熔-钎焊方法 | |
US6641028B2 (en) | Friction filler welding | |
JP5410579B2 (ja) | クラッド金属板の製造方法 | |
JP2019093415A (ja) | 構造体、及び構造体の製造方法 | |
JP4844447B2 (ja) | 異鋼種連続鋳造用継目金物及び鋼の連続鋳造方法 | |
US4130931A (en) | Electroslag boss and process | |
JPS5815743A (ja) | 内燃機関用ピスト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CN107538126A (zh) | 腔密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