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8198A -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방법, 장치 및 단말 기기 - Google Patents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방법, 장치 및 단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8198A
KR20200118198A KR1020207026213A KR20207026213A KR20200118198A KR 20200118198 A KR20200118198 A KR 20200118198A KR 1020207026213 A KR1020207026213 A KR 1020207026213A KR 20207026213 A KR20207026213 A KR 20207026213A KR 20200118198 A KR20200118198 A KR 20200118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ing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paging
determin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6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7665B1 (ko
Inventor
리 첸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18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8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dependent on the time of the day, e.g. according to expected transmission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1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one node acting as a reference for the oth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4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04W56/004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by altering transmission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방법, 장치 및 단말 기기를 개시한다.상기 방법은, 비연속적 수신(DRX) 주기내의 동기 신호 블록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DRX 주기내의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의 위치 이후의 위치에서,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방법, 장치 및 단말 기기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2월 13일 중국에서 제출된 중국 특허 출원 제 201810150975.0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의 실시예는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방법, 장치 및 단말 기기에 관한 것이다.
미래 5세대(5 Generation, 5G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 링크 전송 레이트 20Gbps, 상향 링크 전송 레이트 10Gbps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고주파 통신 및 대형 스케일 안테나 기술이 도입되게 된다.
고주파 통신은 더 넓은 시스템 대역폭을 제공할 수 있고, 안테나 사이즈 또한 더 작아, 대형 스케일 안테나의 기지국 및 사용자 기기 또는 단말 기기(User Equipment, UE)에서의 배치에 더 유리하다.
고주파 통신은 경로 손실이 비교적 크고, 용이하게 간섭을 받으며, 링크가 비교적 취약하다는 단점이 존재하는데, 대형 스케일 안테나 기술은 비교적 큰 안테나 이득을 제공가능하므로, 고주파 통신과 대형 스케일 안테나의 결합은 미래 5G 이동 통신 시스템의 필연적인 추세이다.
5G 시스템에서, 현재 동기 신호 블록(SSB)의 주기는 5ms, 10ms, 20ms, 40ms, 80ms, 160ms일 수 있다. 상이한 SSB 주기의 경우에 대해, 기존 LTE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프레임의 연산 방식을 계속 사용한다면, 일부 UE는 비교적 오랜 시간 미리 각성하여 Paging(페이징)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하여야 하는바, 따라서 전력 낭비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LTE 시스템에서, 네트워크측이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 및 단말측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간 도메인 위치는 PF 및 PO에 의해 확정된다.
Paging Frame (PF):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 프레임으로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PO를 포함할 수 있다.
Paging Occasion (PO): 페이징 슬롯으로서, 상기 단말 페이징 메시지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DRX(비연속적 수신)이 인에이블된 후, 전기를 절약하기 위하여, 단말은 오직 DRX 주기내의 자신에게 귀속되는 PO만 모니터링하며, 프레임 번호는 0 ~ 1023이다.
UE_ID: IMSI MOD 1024로서, 즉, IMSI에 근거하여 1024 그룹으로 나뉠 수 있다.
T: DRX 주기로서, 값은 rf32, rf64, rf128, rf256이며, 파라미터는 고계층 RRC 레이어에 의해 구성된다.
i_s: 서브프레임 모드로서, 테이블 조회를 통해 얻는다.
nB: 4T, 2T, T, T/2, T/4, T/8, T/16, T/32이고; nB는 각각의 DRX 주기내에 몇개의 PO가 포함되는지를 나태내는 것으로, 즉 4T는 각각의 무선 프레임에 4개의 페이징을 위한 서브프레임이 있음을 나타내고, T/4는 4개의 무선 프레임에 1개의 페이징 을 위한 서브프레임이 있음을 나타낸다.
페이징 밀도는, 값이 클수록 페이징 밀도가 커지는바, 예컨대 nB=4T는 하나의 무선 프레임내에 4개의 PO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1보다 작을 경우, Ns 의 제어를 받게 된다.
N: min(T, nB):
Ns: max(1, nB/T): 값은 1, 2 또는 4이고; Ns는 각각의 무선 프레임내에 몇개의 PO가 포함되는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페이징 밀도 구성 Ns=1은 하나의 무선 프레임에 1개의 페이징 PO가 있음을 나타내고, 2는 2개의 PO가 있음을 나타내는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LET 시스템 내의 FDD(주파수 분할 듀플렉스)의 PO의 정의 규칙은 하기와 같다.
Figure pct00001
P-RNTI가 MPDCCH에서 전송될 경우, 시스템 대역폭은 1.4MHz ~ 3MHz이고, PO 정의 규칙은 하기와 같다.
Figure pct00002
LET 시스템 중의 TDD(시분할 듀플렉스)의 PO 정의 규칙은 하기와 같다.
Figure pct00003
P-RNTI가 MPDCCH에서 전송될 경우, 시스템 대역폭은 1.4MHz ~ 3MHz이고, PO 정의 규칙은 하기와 같다.
Figure pct00004
PF 페이징 주기와 각 파라미터의 관계는, 아래의 PF의 확정 공식에서 보아낼 수 있듯이, PF는 DRX 주기, UE_ID, 즉 IMSI와 관계가 있다.
PF: SFN mod T= (T div N)*(UE_ID mod N);
아래의 PO의 확정 공식에서 보아낼 수 있듯이, PO의 서브프레임 pattern 모드는 단말의 UE_ID, 즉 IMSI, 및 Ns 페이징 밀도와 관계가 있다.
PO: i_s = floor(UE_ID/N) mod Ns;
기타 파라미터 사이의 관계는 하기와 같다.
nB: 4T, 2T, T, T/2, T/4, T/8, T/16, T/32;
N: min(T, nB);
Ns: max(1, nB/T);
UE_ID: IMSI mod 1024.
LTE에서, 동기 신호의 주기는 5ms이다. UE는 아이들 상태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하여, 사전 각성 시간이 5ms를 초과하면 동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바, 따라서 동기화를 달성한다.
NR에서, SSB 주기가 비교적 클 경우, 만약 UE 각성 시간이 너무 짧으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동기화를 달성하지 못하는바, 따라서 페이징 수신 성공율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UE는, 동기화를 달성하기 위하여, 각성 시간이 매우 길 수 있는데, 이 경우 UE의 전력 소비를 초래하게 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방법, 장치 및 단말 기기를 제공하여, 관련 기술에서 페이징 수신 성공율이 낮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제1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비연속적 수신(DRX) 주기내의 동기 신호 블록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DRX 주기내의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의 위치 이후의 위치에서,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장치를 더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비연속적 수신(DRX) 주기내의 동기 신호 블록을 확정하기 위한 제1 확정 모듈; 및
상기 DRX 주기내의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의 위치 이후의 위치에서,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하기 위한 제2 확정 모듈; 을 포함한다.
제3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단말 기기는,
비연속적 수신(DRX) 주기내의 동기 신호 블록을 확정하고; 그리고 상기 DRX 주기내의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의 위치 이후의 위치에서,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하기 위한 프로세서; 를 포함한다.
제4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상기한 바와 같은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5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한 바와 같은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방법에 의하면, 우선, 비연속적 수신(DRX) 주기내의 동기 신호 블록을 확정하고 나서, 상기 DRX 주기내의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의 위치 이후의 위치에서,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한다. 따라서, 단말 기기가 PF의 위치를 확정가능하도록 하여, 페이징 수신 성공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단말의 전력 소모를 저감시킨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되어야 할 도면들을 간단하게 소개하기로 한다. 하기 설명에서의 도면들은 단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인 것으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있어서,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이러한 도면들에 의해 기타 도면들을 더 획득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방법의 일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도 2는 동기 신호 블록(SSB)와 PF 위치 관계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방법의 다른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방법의 또 다른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장치의 모듈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더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비록 도면에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었으나, 본 개시는 여기서 기술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반대로,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보다 투철하게 이해가능하도록 하고, 본 개시의 범위를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완전하게 전달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명세서와 특허청구범위에서의 용어 ‘제1’, ‘제2’ 등은 유사한 대상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지, 특정 순서 또는 선후 차례를 설명하기 위함이 아닐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데이터들은, 여기서 설명되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예컨대 여기서 도시 또는 설명되는 것 이외의 순서로 실시될 수 있도록, 적절한 상황에서 호환가능함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또한, 용어 ‘포함하다’와 ‘갖는다’ 및 그들의 임의의 변형은 비배타성 포함을 커버하는 것을 의도한다. 예를 들어,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이 포함된 과정,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기기는 명확하게 열거된 단계 또는 유닛들에 한정되지 않을수 있으며, 명확하게 열거되지 않은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제품 또는 기기에 고유한 기타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11: 비연속적 수신(DRX) 주기내의 동기 신호 블록(SSB)을 확정한다.
단계 12: 상기 DRX 주기내의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의 위치 이후의 위치에서,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방법에 의하면, 우선, 비연속적 수신(DRX) 주기내의 동기 신호 블록(SSB)을 확정하고 나서, 상기 DRX 주기내의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의 위치 이후의 위치에서,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한다. 따라서, 단말 기기가 PF의 위치를 확정가능하도록 하여, 페이징 수신 성공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단말의 전력 소모를 저감시킨다.
도 2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상기의 실시예에서, 상기 동기 신호 블록(SSB)은 상기 DRX 주기내의 첫번째 동기 신호 블록(SSB)이거나; 또는 상기 동기 신호 블록(SSB)은 상기 DRX 주기내의 복수 개의 동기 신호 블록(SSB)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동기 신호 블록(SSB)이다.
도 3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는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31: 비연속적 수신(DRX) 주기내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동기 신호 블록(SSB)을 확정한다.
단계 32: 상기 DRX 주기에서,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를 확정하고 -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는 상기 첫번째 동기 신호 블록 이후의 제1 사전 설정 오프셋(offset)의 무선 프레임의 위치 범위임 - ,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 내에서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한다.
여기서, 제1 사전 설정 오프셋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값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페이징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연산하여 얻은 것이다. 여기서, 페이징 파라미터는 UE_ID, DRX 주기 T, 서브프레임 모드 i_s, 각각의 DRX 주기내에 몇개의 PO가 포함되는가를 나타내는 nB, N= min(T, nB) 또는 Ns=max(1, nB/T) 중 하나 또는 여러 개일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 구성은 구체적으로 구성 시, 시스템 메시지 또는 RRC(무선 자원 제어) 메시지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당해 실시예에서, 단계 32는, 구체적으로 구현 시, 하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321: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 내에서, UE_ID의 순서에 근거하여,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한다. 또는,
단계 322: 단말 식별자와 제1 값의 나머지 구하기를 하여 얻은 제1 결과를 연산하고, DRX 주기와 상기 제1 값의 정제 나눗셈을 하여 얻은 제2 결과를 연산하고, 상기 제1 결과와 상기 제2 결과를 곱셈하여 얻은 제1 승적에 근거하여 PF의 프레임 번호를 확정하고,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 내에서, PF의 프레임 번호(SFN) 선후 순서에 따라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한다.
상기 PF의 프레임 번호와 상기 DRX 주기의 나머지 구하기 결과는 상기 제1 승적과 같고; 상기 제1 값은 DRX 주기 및 제2 값 중 작은 자이고, 상기 제2 값은 각각의 DRX 주기내에 포함된 페이징 기회(PO)의 개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 내에서, 공식 SFN mod T= (T div N)*(UE_ID mod N)에 의해 PF의 프레임 번호를 얻고, PF의 프레임 번호(SFN) 선후 순서에 따라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하며, T는 DRX 주기이고, N은 min(T, nB)이고, SFN은 PF의 프레임 번호이고, UE_ID는 단말 식별자로서, 구체적으로는 IMSI MOD 1024일 수 있으며, div는 정제 나눗셈 연산을 나타내고, nB의 값은 4T, 2T, T, T/2, T/4, T/8, T/16, T/32 중 임의의 하나이다. 또는,
단계 323: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 내에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페이징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한다. 여기서, 페이징 파라미터는 UE_ID, DRX 주기 T, 서브프레임 모드 i_s, 각각의 DRX 주기내에 몇개의 PO가 포함되는가를 나타내는 nB, N= min(T, nB) 또는 Ns=max(1, nB/T) 중 하나 또는 여러 개일 수 있다.
진일보하여, 당해 실시예에서는 하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33: 확정된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동기 신호 블록 이후의 전송 위치에 매핑한다. 여기서, 매핑 관계는 사전 확정된 것 또는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 것 또는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확정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매핑 시, 하기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방식 1: 확정된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UE_ID 순서에 따라 상기 동기 신호 블록 이후의 전송 위치에 매핑한다. 또는
방식 2: 확정된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PF의 프레임 번호(SFN) 선후 순서에 따라 상기 동기 신호 블록 이후의 전송 위치에 매핑하며, 상기 PF의 프레임 번호는 제3 결과와 제4 결과를 곱셈하여 얻은 제2 승적에 근거하여 확정된 것이고, 상기 제3 결과는 단말 식별자와 제3 값의 나머지 구하기를 하여 얻은 것이고, 상기 제4 결과는 DRX 주기와 상기 제3 값의 정제 나눗셈을 하여 얻은 것이고, 상기 PF의 프레임 번호와 상기 DRX 주기의 나머지 구하기 결과는 상기 제2 승적과 같고, 상기 제3 값은 DRX 주기 및 제4 값 중 작은 자이고, 상기 제4 값은 각각의 DRX 주기내에 포함된 페이징 기회(PO)의 개수이다.
구체적으로, 확정된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PF의 프레임 번호(SFN) 선후 순서에 따라 상기 동기 신호 블록 이후의 전송 위치에 매핑한다. 상기 PF의 프레임 번호는 공식 SFN mod T= (T div N)*(UE_ID mod N)에 의해 획득되며, T는 DRX 주기이고, N은 min(T, nB)이고, SFN은 PF의 프레임 번호이고, UE_ID는 단말 식별자인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IMSI MOD 1024이고, div는 정제 나눗셈 연산을 나타내고, nB의 값은 4T, 2T, T, T/2, T/4, T/8, T/16, T/32 중 임의의 하나이다. 또는
방식 3: 확정된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페이징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동기 신호 블록 이후의 전송 위치에 매핑한다.
본 개시의 당해 실시예에서, 페이징 프레임(PF)은 DRX 주기내의 첫번째 SSB 이후의 제1 사전 설정 오프셋 (offset)의 무선 프레임의 위치 범위내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단계 321 또는 322 또는 323의 방식에 의해 PF의 위치를 구체적으로 확정하고, 확정된 PF의 위치를 상응하는 전송 위치에 매핑하는바, 따라서 단말 기기가 PF의 위치를 확정가능하도록 하여, 페이징 성공율을 향상시킨다.
도 4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의 일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41: 비연속적 수신(DRX) 주기내의 복수 개의 동기 신호 블록(SSB)을 확정한다.
단계 42: 상기 DRX 주기내의 상기 복수 개의 동기 신호 블록 중 일 타겟 동기 신호 블록 이후의 제2 사전 설정 오프셋의 무선 프레임의 위치를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로 확정하고,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 내에서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한다.
상기 제2 사전 설정 오프셋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값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페이징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연산하여 얻은 것이다. 여기서, 페이징 파라미터는 UE_ID, DRX 주기 T, 서브프레임 모드 i_s, 각각의 DRX 주기내에 몇개의 PO가 포함되는가를 나타내는 nB, N=min(T, nB) 또는 Ns=max(1, nB/T) 중 하나 또는 여러 개일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 구성은 구체적으로 구성 시, 시스템 메시지 또는 RRC(무선 자원 제어) 메시지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당해 실시예에서, 단계 42는 구체적으로 하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421: 상기 DRX 주기내의 상기 복수 개의 동기 신호 중 일 타겟 동기 신호 블록의 위치를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구현 시, 단말 식별자와 DRX 주기내의 PF의 개수의 나머지 구하기를 하여 얻은 결과를 연산하고; DRX 주기의 동기 신호 블록의 주기에 대한 배수와 상기 DRX 주기내의 PF의 개수의 비율을 연산하고; 그리고 상기 결과와 상기 비율의 승적에 근거하여, 타겟 동기 신호 블록의 위치를 확정하며, 상기 타겟 동기 신호 블록의 위치와 상기 배수의 나머지 구하기의 결과는 상기 승적과 같다.
구체적으로는, 공식 X mod Y = Y/N * UE_ID mod N에 의해, 복수 개의 동기 신호 중 일 타겟 동기 신호 블록의 위치를 확정할 수 있으며;
X는 상기 타겟 동기 신호 블록의 위치이고, DRX 주기는 동기 신호 블록의 주기의 Y배이고, N은 하나의 DRX 주기내의 PF의 개수이고, UE_ID는 단말 식별자이고; 상기 N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값 또는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을 위해 구성한 페이징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확정된 값이고, 네트워크 기기 구성은 구체적으로 구성 시, 시스템 메시지 또는 RRC(무선 자원 제어) 메시지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단계 422: 상기 타겟 동기 신호 블록 이후의 제2 사전 설정 오프셋의 무선 프레임의 위치를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로 확정한다.
단계 423: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 내에서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한다. 당해 단계 423는, 구체적으로 구현 시, 하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4231: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 내에서, UE_ID의 순서에 근거하여,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한다. 또는,
단계 4232: 단말 식별자와 제1 값의 나머지 구하기를 하여 얻은 제1 결과를 연산하고, DRX 주기와 상기 제1 값의 정제 나눗셈을 하여 얻은 제2 결과를 연산하고, 상기 제1 결과와 상기 제2 결과를 곱셈하여 얻은 제1 승적에 근거하여 PF의 프레임 번호를 확정하고,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 내에서, PF의 프레임 번호(SFN) 선후 순서에 따라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하며, 상기 PF의 프레임 번호와 상기 DRX 주기의 나머지 구하기 결과는 제1 승적과 같고, 상기 제1 값은 DRX 주기 및 제2 값 중 작은 자이고, 상기 제2 값은 각각의 DRX 주기내에 포함되는 페이징 기회(PO)의 개수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 내에서, 공식 SFN mod T= (T div N)*(UE_ID mod N)에 의해 PF의 프레임 번호를 얻고, PF의 프레임 번호(SFN) 선후 순서에 따라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하며, T는 DRX 주기이고, N은 min(T, nB)이고, SFN는 PF의 프레임 번호이고, UE_ID는 단말 식별자인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IMSI MOD 1024일 수 있고, div는 정제 나눗셈 연산을 나타내고, nB의 값은 4T, 2T, T, T/2, T/4, T/8, T/16, T/32 중 임의의 하나일 수 있다. 또는,
단계 4233: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 내에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페이징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한다. 여기서, 페이징 파라미터는 UE_ID, DRX 주기 T, 서브프레임 모드 i_s, 각각의 DRX 주기내에 몇개의 PO가 포함되는가를 나타내는 nB, N= min(T, nB) 또는 Ns=max(1, nB/T) 중 하나 또는 여러 개일 수 있다.
진일보하여, 당해 실시예는 하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43: 확정된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동기 신호 블록 이후의 전송 위치에 매핑한다. 상기 매핑 관계는 사전 확정된 것 또는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 것 또는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연산하여 확정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매핑 시, 하기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방식 1: 확정된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UE_ID 순서에 따라 상기 동기 신호 블록 이후의 전송 위치에 매핑한다. 또는,
방식 2: 확정된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PF의 프레임 번호(SFN) 선후 순서에 따라 상기 동기 신호 블록 이후의 전송 위치에 매핑하며, 상기 PF의 프레임 번호는 제3 결과와 제4 결과를 곱셈하여 얻은 제2 승적에 근거하여 확정된 것이고, 상기 제3 결과는 단말 식별자와 제3 값의 나머지 구하기를 하여 얻은 것이고, 상기 제4 결과는 DRX 주기와 상기 제3 값의 정제 나눗셈을 하여 얻은 것이고, 상기 PF의 프레임 번호와 상기 DRX 주기의 나머지 구하기 결과는 상기 제2 승적과 같고, 상기 제3 값은 DRX 주기 및 제4 값 중 작은 자이고, 상기 제4 값은 각각의 DRX 주기내에 포함된 페이징 기회(PO)의 개수이다.
구체적으로는, 확정된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PF의 프레임 번호(SFN) 선후 순서에 따라 상기 동기 신호 블록 이후의 전송 위치에 매핑하며, 상기 PF의 프레임 번호는 공식 SFN mod T= (T div N)*(UE_ID mod N)에 의해 획득되며, T는 DRX 주기고, N은 min(T, nB)이고, SFN은 PF의 프레임 번호이고, UE_ID은 단말 식별자인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IMSI MOD 1024일 수 있고, div는 정제 나눗셈 연산을 나타내고, nB의 값은 4T, 2T, T, T/2, T/4, T/8, T/16, T/32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는,
방식 3: 확정된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페이징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동기 신호 블록 이후의 전송 위치에 매핑한다.
본 개시의 당해 실시예에서, 페이징 프레임(PF)은 DRX 주기내의 복수 개의 SSB 중 어느 한 타겟 SSB 이후의 제2 사전 설정 오프셋(offset)의 무선 프레임의 위치 범위내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단계 4231 또는 4232 또는 4231의 방식에 의해 PF의 위치를 구체적으로 확정하고, 확정된 PF의 위치를 상응하는 전송 위치에 매핑하는바, 따라서 단말 기기가 PF의 위치를 확정가능하도록 하여, 페이징 성공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단말의 전력 소모를 저감시킨다.
본 개시의 상기의 실시예는 5G 또는 eLTE 또는 기타 유사한 메시지 위치 확정의 시나리오에 응용될 수 있다.
도 5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장치(50)를 더 제공한다. 상기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장치(50)는,
비연속적 수신(DRX) 주기내의 동기 신호 블록을 확정하기 위한 제1 확정 모듈(51); 및
상기 DRX 주기내의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의 위치 이후의 위치에서,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하기 위한 제2 확정 모듈(52); 을 포함한다.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은 상기 DRX 주기내의 첫번째 동기 신호 블록이거나; 또는
상기 동기 블록은 상기 DRX 주기내의 복수 개의 동기 신호 블록 중 임의의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동기 신호 블록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확정 모듈(52)은 구체적으로,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를 확정하고 -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는 상기 첫번째 동기 신호 블록 이후의 제1 사전 설정 오프셋의 무선 프레임의 위치 범위임 - ; 그리고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 내에서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사전 설정 오프셋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값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페이징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연산하여 얻은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확정 모듈(52)은 또한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동기 신호 중 일 타겟 동기 신호 블록의 위치를 확정하고; 상기 타겟 동기 신호 블록 이후의 제2 사전 설정 오프셋의 무선 프레임의 위치를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로 확정하고; 그리고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 내에서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확정 모듈(52)은, 상기 DRX 주기내의 복수 개의 동기 신호 중 일 타겟 동기 신호 블록의 위치를 확정 시, 구체적으로, 단말 식별자와 DRX 주기내의 PF의 개수의 나머지 구하기를 하여 얻은 결과를 연산하고; DRX 주기의 동기 신호 블록의 주기에 대한 배수와 상기 DRX 주기내의 PF의 개수의 비율을 연산하고; 그리고 상기 결과와 상기 비율의 승적에 근거하여, 타겟 동기 신호 블록의 위치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타겟 동기 신호 블록의 위치와 상기 배수의 나머지 구하기의 결과는 상기 승적과 같다.
구체적으로는, 공식 X modY = Y/N * UE_ID mod N에 의해, 복수 개의 동기 신호 중 일 타겟 동기 신호 블록의 위치를 확정할 수 있으며, X는 상기 타겟 동기 신호 블록의 위치이고, DRX 주기는 동기 신호 블록의 주기의 Y배이고, N은 하나의 DRX 주기내의 PF의 개수이고, UE_ID는 단말 식별자이다. 상기 N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값 또는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을 위해 구성한 페이징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확정된 값이다.
본 개시의 당해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확정 모듈(52)은,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 내에서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 시, 구체적으로,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 내에서, UE_ID의 순서에 근거하여,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하거나; 또는
단말 식별자와 제1 값의 나머지 구하기를 하여 얻은 제1 결과를 연산하고, DRX 주기와 상기 제1 값의 정제 나눗셈을 하여 얻은 제2 결과를 연산하고, 상기 제1 결과와 상기 제2 결과를 곱셈하여 얻은 제1 승적에 근거하여 PF의 프레임 번호를 확정하고,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 내에서, PF의 프레임 번호(SFN) 선후 순서에 따라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하거나 - 상기 PF의 프레임 번호와 상기 DRX 주기의 나머지 구하기 결과는 제1 승적과 같고, 상기 제1 값은 DRX 주기 및 제2 값 중 작은 자이고, 상기 제2 값은 각각의 DRX 주기내에 포함되는 페이징 기회(PO)의 개수이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 내에서, 공식 SFN mod T= (T div N)*(UE_ID mod N)에 의해 PF의 프레임 번호를 얻고, PF의 프레임 번호(SFN) 선후 순서에 따라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하며, T는 DRX 주기이고, N은 min(T, nB)이고, SFN은 PF의 프레임 번호이고, UE_ID는 단말 식별자이고, div는 정제 나눗셈 연산을 나타내고, nB의 값은 4T, 2T, T, T/2, T/4, T/8, T/16, T/32 중 임의의 하나임 - ; 또는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 내에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페이징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장치는,
확정된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동기 신호 블록 이후의 전송 위치에 매핑하기 위한 매핑 모듈;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매핑 관계는 사전 확정되거나 또는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 것 또는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연산하여 확정된 것이다.
상기 매핑 모듈은 구체적으로,
확정된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UE_ID 순서에 따라 상기 동기 신호 블록 이후의 전송 위치에 매핑하거나; 또는
확정된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PF의 프레임 번호(SFN) 선후 순서에 따라 상기 동기 신호 블록 이후의 전송 위치에 매핑하거나 - 상기 PF의 프레임 번호는 제3 결과와 제4 결과를 곱셈하여 얻은 제2 승적에 근거하여 확정된 것이고, 상기 제3 결과는 단말 식별자와 제3 값의 나머지 구하기를 하여 얻은 것이고, 상기 제4 결과는 DRX 주기와 상기 제3 값의 정제 나눗셈을 하여 얻은 것이고, 상기 PF의 프레임 번호와 상기 DRX 주기의 나머지 구하기 결과는 제2 승적과 같고, 상기 제3 값은 DRX 주기 및 제4 값 중 작은 자이고, 상기 제4 값은 각각의 DRX 주기내에 포함된 페이징 기회(PO)의 개수이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PF의 프레임 번호(SFN)는 공식 SFN mod T= (T div N)*(UE_ID mod N)에 의해 획득되며, T는 DRX 주기이고, N은 min(T, nB)이고, SFN은 PF의 프레임 번호이고, UE_ID는 단말 식별자이고, div는 정제 나눗셈 연산을 나타내고, nB의 값은 4T, 2T, T, T/2, T/4, T/8, T/16, T/32 중 임의의 하나임; 또는
확정된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페이징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동기 신호 블록 이후의 전송 위치에 매핑하기 위한 것이다.
지적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장치는 상기한 방법과 동일한 구현 수단을 이용하였는바, 상기한 방법에서의 모든 구현 방식은 모두 당해 장치의 실시예에 적용되며, 마찬가지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의 단말의 각각의 모듈의 구획은 단지 로직 기능의 구획일 뿐, 실제 구현 시, 전부 또는 일부가 하나의 물리 엔티티에 집적될 수도 있고,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모듈들은 전부가 소프트웨어가 프로세싱 엘리먼트에 의해 호출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전부가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또한 일부 모듈은 소프트웨어가 프로세싱 엘리먼트에 의해 호출되는 형태로 구현돠고, 일부 모듈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확정 모듈은 단독으로 마련된 프로세싱 엘리먼트일 수도 있고, 상기한 장치의 어느 하나의 칩에 집적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상기한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한 장치의 어느 하나의 프로세싱 엘리먼트에 의해 호출되어 상기의 확정 모듈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기타 모듈의 구현도 이와 유사하다. 또한, 이러한 모듈들은 전부 또는 일부가 함께 집적될 수도 있고,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한 프로세싱 엘리먼트는 신호 처리 능력을 갖는 집적 회로일 수 있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한 방법의 각 단계 또는 상기 각각의 모듈은 프로세싱 엘리먼트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로직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에 의해 완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의 이러한 모듈들은 상기의 방법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집적 회로, 예컨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특정 용도 지향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으로 약칭), 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약칭), 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로 약칭) 등을 실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예컨대, 상기의 어느 한 모듈이 프로세싱 엘리먼트에 의해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는 형태로 구현될 경우, 당해 프로세싱 엘리먼트는 범용 프로세서, 예컨대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로 약칭) 또는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가능한 기타 프로세서일 수 있다. 또 예컨대, 이러한 모듈들은 함께 집적되어, 시스템 온 칩(system-on-a-chip, SOC로 약칭)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더 바람직하게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60)를 더 제공한다. 상기 단말 기기(60)는, 비연속적 수신(DRX) 주기내의 동기 신호 블록을 확정하고; 그리고 상기 DRX 주기내의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의 위치 이후의 위치를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로 확정하기 위한 프로세서; 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각각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일 단말 기기의 하드웨어 구조 개략도이다. 상기 단말 기기(60)는 무선 주파수 유닛(61), 네트워크 모듈(62), 오디오 출력 유닛(63), 입력 유닛(64), 센서(65), 표시 유닛(66), 사용자 입력 유닛(67), 인터페이스 유닛(68), 메모리(69), 프로세서(610) 및 전원(611) 등 컴포넌트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도 6에 나타내는 단말 구조는 단말에 대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으며, 단말은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또는 더 적은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 컴포넌트들을 조합하거나, 또는 상이한 컴포넌트를 배치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은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팜톱 컴퓨터, 차량 탑재 단말, 웨어러블 기기, 및 보수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610)는, 비연속적 수신(DRX) 주기내의 동기 신호 블록을 확정하고; 그리고 상기 DRX 주기내의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의 위치 이후의 위치에서,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는, 비연속적 수신(DRX) 주기내의 동기 신호 블록(SSB)을 확정하고 나서; 상기 DRX 주기내의 상기 동기 신호 블록(SSB)의 위치 이후의 위치를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로 확정한다. 따라서, 단말 기기가 PF의 위치를 확정가능하도록 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때, 페이징 수신 성공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단말의 전력 소모를 저감시킨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61)은 정보 송수신 또는 통화 과정에서,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610)에 의해 처리되도록 하고; 그리고, 상향 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통상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61)은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무선 주파수 유닛(61)은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기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은 네트워크 모듈(62)을 통해 사용자에게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하는바, 예컨대 사용자를 도와 이메일을 송수신하고, 웹 페이지를 브라우징하고, 스트리밍 미디어에 액세스하는 등이다.
오디오 출력 유닛(63)은 무선 주파수 유닛(61) 또는 네트워크 모듈(62)이 수신한 또는 메모리(6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시켜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출력 유닛(63)은 또한, 단말 기기(60)가 수행하는 특정 기능 관련 오디오 출력(예컨대, 콜 신호 수신 소리, 메시지 수신 소리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유닛(63)은 스피커, 버저 및 수화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 유닛(64)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입력 유닛(64)은 그래픽 프로세서(641,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및 마이크(6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641)는 비디오 캡쳐 모드 또는 이미지 캡쳐 모드에서 이미지 캡쳐 장치(예컨대,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스틸 사진 또는 비디오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표시 유닛(66) 상에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641)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69)(또는 기타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또는 무선 주파수 유닛(61) 또는 네트워크 모듈(62)을 경유하여 송신될 수 있다. 마이크(642)는 소리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소리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의 경우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 유닛(61)을 경유하여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가능한 포맷으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단말 기기(60)는 예컨대 광 센서, 운동 센서 및 기타 센서와 같은 적어도 한 가지 센서(65)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광 센서는 환경광 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한다. 환경광 센서는 환경 광선의 명도에 따라 표시 패널(661)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고, 근접 센서는 단말 기기(60)가 귓가로 이동했을 때, 표시 패널(661) 및/또는 백라이트를 턴 오프할 수 있다. 운동 센서의 일종으로서, 가속도계 센서는 각 방향에서의(통상적으로, 3 축) 가속도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고, 정지 시, 중력의 크기 및 방향을 검출할 수 있으며, 단말 자세(예컨대, 가로 및 세로 스크린 스위칭, 관련 게임, 자기력계 자세 교정), 진동 식별 관련 기능(예컨대, 보수계, 태핑) 등을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센서(85)는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을 더 포함하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표시 유닛(66)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 유닛(66)은 표시 패널(6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의 형태로 표시 패널(661)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67)은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부호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산생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유닛(67)은 터치 패널(671) 및 기타 입력 기기(6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671)은, 터치 스크린으로 칭하기도 하며, 사용자가 터치 패널 상 또는 부근에서의 터치 조작(예컨대,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 등 임의의 적합한 물체 또는 액세서리로 터치 패널(671) 상 또는 터치 패널(671) 부근에서의 조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671)은 터치 검출 장치 및 터치 제어기 등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검출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방위를 검출하고, 터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검출하고, 신호를 터치 제어기로 송신하고; 터치 제어기는 터치 검출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접점 좌표로 전환시키고 나서, 프로세서(610)로 보내고, 프로세서(610)가 보낸 명령을 수신하여 실행한다. 또한, 저항식, 정전용량식, 적외선 및 표면탄성파 등 다양한 유형으로 터치 패널(671)을 구현할 수 있다. 터치 패널(671)외에도, 사용자 입력 유닛(67)은 기타 입력 기기(6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타 입력 기기(672)는 물리 키보드, 기능키(예를 들어, 음량 제어 키버튼, 전원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및 조이스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진일보하여, 터치 패널(671)은 표시 패널(661)을 커버할 수 있으며, 터치 패널(671)은 터치 패널(671) 상 또는 부근의 터치 조작을 검출한 후, 프로세서(610)에 전송하여 터치 이벤트의 유형을 확정하도록 하고, 그 후, 프로세서(610)는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표시 패널(661) 상에 상응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6에서 터치 패널(671)과 표시 패널(661)이 독립된 두 컴포넌트로서 단말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하고 있으나,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터치 패널(671)과 표시 패널(661)을 집적하여 단말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바, 여기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 유닛(68)은 외부 장치가 단말 기기(60)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이다. 예컨대, 외부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을 갖는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 오디오 입력/출력(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헤드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68)은 외부 장치로부터의 입력(예컨대, 데이터 정보, 전력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을 단말 기기(60)내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소자에 전송하기 위한 것 또는 단말 기기(60)와 외부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메모리(6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메모리(69)는 주로 저장 프로그램 영역 및 저장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저장 프로그램 영역은 운영 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 등을 저장할 수 있고; 저장 데이터 영역은 휴대폰의 사용에 따라 작성된 데이터(예컨대, 오디오 데이터, 전화 번호부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6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고,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기타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저장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단말의 제어 중심이고, 각종 인터페이스 및 회선을 이용하여 전체 단말의 각 부분을 연결시킨다. 메모리(69)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실행 또는 수행하고, 그리고 메모리(69)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단말의 각종 기능 및 처리 데이터를 실행함으로써, 단말에 대해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한다. 프로세서(61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61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모뎀 프로세서를 집적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 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의 모뎀 프로세서가 프로세서(610)에 집적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단말 기기(60)는 각각의 컴포넌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611)(예컨대,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전원(6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610)와 로직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관리 및 전력 소비 관리 등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기기(60)는 도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를 더 제공한다. 상기 단말 기기는 프로세서(610), 메모리(69), 메모리(69)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610)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610)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한PF위치의 확정 방법의 실시예의 각각의 과정을 구현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단말은 무선 단말일 수도 있고, 유선 단말일 수도 있으며, 무선 단말은 사용자에게 음성 및/또는 기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연결성 기기로서, 무선 연결 기능을 갖는 핸드헬드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기타 프로세싱 기기를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무선 단말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으로 약칭)를 거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으며, 무선 단말은 이동 단말, 예컨대 모바일 폰(또는 '셀룰러' 폰) 및 이동 단말을 갖는 컴퓨터일 수 있는바, 예컨대 휴대용,포켓형, 핸드헬드형, 컴퓨터 내장형 또는 차량 탑재형 이동 장치일 수 있는데, 이들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음성 및/또는 데이터 교환을 진행한다. 예컨대, 개인 휴대 통신(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CS로 약칭)폰, 무선 전화기,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로 약칭) 수화기, 무선 가입자 회선(Wireless Local Loop, WLL로 약칭) 지국,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로 약칭) 등 기기일 수 있다. 무선 단말은 시스템,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지국(Subscriber Station),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이동국(Mobile), 원격 지국(Remote Station),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액세스 단말(Access Terminal), 사용자 단말(User Terminal), 사용자 에이전트(User Agent), 사용자 기기(User Device 또는 User Equipment)로 칭할 수도 있는바, 여기서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한 PF 위치 확정 방법 실시예의 각각의 과정을 구현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가능한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예컨대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으로 약칭),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으로 약칭),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이다.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문에서 개시된 실시예를 결부시켜 설명된 각각의 예시적인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는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에 의해 실현가능함을 의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능들이 하드웨어 형태로 실행되는지 소프트웨어 형태로 실행되는지는 기술방안의 특정 응용 및 디자인 약속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은 각각의 특정 응용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설 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난다고 간주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설명의 편의성과 간결성을 기하기 위하여, 상기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작업 과정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고할 수 있음을 잘 이해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본 출원이 제공하는 몇몇 실시예들에서, 개시된 장치 및 방법은 기타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예컨대, 위에서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개략적인 것으로, 예컨대, 상기 유닛의 구획은 단지 로직 기능의 구획일 뿐이며, 실제로 구현 시 다른 구획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복수 개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는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한 시스템에 집적될 수 있다. 또는, 일부 특징들은 무시하거나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표시 또는 토론된 상호간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을 통한 간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으며,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분리된 컴포넌트로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일 수도 있고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이 아닐 수도 있다. 유닛으로 표시된 컴포넌트는 물리 유닛일 수도 있고 물리 유닛이 아닐 수도 있는바, 즉 한 장소에 위치할 수도 있고, 또는 복수 개의 네트워크 유닛 상에 분포될 수도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그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의 방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의 각각의 실시예에서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직접될 수 도 있고, 각각의 유닛의 개별적인 물리적 존재일 수도 있으며, 둘 또는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어 독립된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될 경우,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토대로, 본 개시의 기술방안의 본질적 또는 관련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당해 기술방안의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당해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몇몇 명령들을 포함하여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이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도록 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디스크, 휴대용 하드 디스크, ROM,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가능한 각종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지적해야 할 것은, 본 개시에 따른 장치 및 방법에서, 각 컴포넌트 또는 각 단계가 분해 및/또는 재결합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이러한 분해 및/또는 재결합은 본 개시의 등가 방안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일련의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들은 자연적으로 설명되는 순서대로 시간적 순서에 따라 수행될 수 있으나, 반드시 시간적 순서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 단계들은 병행하여 수행되거나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개시에 따른 방법 및 장치의 전부 또는 임의의 단계 또는 컴포넌트는 임의의 컴퓨팅 장치(프로세서, 저장 매체 등을 포함) 또는 컴퓨팅 장치의 네트워크에서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가능하며, 이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개시의 설명을 열독한 상황하에 그들의 기본적인 프로그래밍 기술 능력을 활용하여 구현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목적은 임의의 컴퓨팅 장치에서 일 프로그램 또는 일 세트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공지된 범용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목적은 단지 상기 방법 또는 장치를 구현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즉, 이러한 프로그램 제품도 본 개시를 구성하며, 이러한 프로그램 제품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 매체도 본 개시를 구성한다. 상기 저장 매체는 임의의 공지된 저장 매체 또는 미래에 개발될 임의의 저장 매체일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더 지적해야 할 것은, 본 개시에 따른 장치 및 방법에서, 각 컴포넌트 또는 각 단계가 분해 및/또는 재결합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이러한 분해 및/또는 재결합은 본 개시의 등가 방안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일련의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들은 자연적으로 설명되는 순서대로 시간적 순서에 따라 수행될 수 있으나, 반드시 시간적 순서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 단계들은 병행하여 수행되거나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한 바는 본 개시의 선택적인 실시형태이다. 지적해야 할 것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있어서, 본 개시에 따른 원리를 일탈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일부 개량 및 윤색을 더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량 및 윤색도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2)

  1.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방법에 있어서,
    비연속적 수신(DRX) 주기내의 동기 신호 블록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DRX 주기내의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의 위치 이후의 위치에서,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은 상기 DRX 주기내의 첫번째 동기 신호 블록이거나; 또는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은 상기 DRX 주기내의 복수 개의 동기 신호 블록 중 임의의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동기 신호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하는 단계는,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를 확정하는 단계 -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는 상기 첫번째 동기 신호 블록 이후의 제1 사전 설정 오프셋의 무선 프레임의 위치 범위임 - ; 및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 내에서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전 설정 오프셋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값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페이징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연산하여 얻은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동기 신호 중 일 타겟 동기 신호 블록의 위치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타겟 동기 신호 블록 이후의 제2 사전 설정 오프셋의 무선 프레임의 위치를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로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 내에서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동기 신호 중 일 타겟 동기 신호 블록의 위치를 확정하는 단계는,
    단말 식별자와 DRX 주기내의 PF의 개수의 나머지 구하기를 하여 얻은 결과를 연산하는 단계;
    DRX 주기의 동기 신호 블록의 주기에 대한 배수와 상기 DRX 주기내의 PF의 개수의 비율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결과와 상기 비율의 승적에 근거하여, 타겟 동기 신호 블록의 위치를 확정하는 단계 - 상기 타겟 동기 신호 블록의 위치와 상기 배수의 나머지 구하기의 결과는 상기 승적과 같음 -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RX 주기내의 PF의 개수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값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페이징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확정된 값이고;
    상기 제2 사전 설정 오프셋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값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페이징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확정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방법.
  8.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 내에서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 내에서, UE_ID의 순서에 근거하여,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하는 단계; 또는
    단말 식별자와 제1 값의 나머지 구하기를 하여 얻은 제1 결과를 연산하고, DRX 주기와 상기 제1 값의 정제 나눗셈을 하여 얻은 제2 결과를 연산하고, 상기 제1 결과와 상기 제2 결과를 곱셈하여 얻은 제1 승적에 근거하여 PF의 프레임 번호를 확정하고,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 내에서, PF의 프레임 번호(SFN) 선후 순서에 따라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하는 단계 - 상기 PF의 프레임 번호와 상기 DRX 주기의 나머지 구하기 결과는 상기 제1 승적과 같고, 상기 제1 값은 DRX 주기 및 제2 값 중 작은 자이고, 상기 제2 값은 각각의 DRX 주기내에 포함되는 페이징 기회(PO)의 개수임 - ; 또는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 내에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페이징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방법.
  9.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확정된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동기 신호 블록 이후의 전송 위치에 매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관계는 사전 확정된 것 또는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 것 또는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연산하여 확정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확정된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상기 동기 신호 블록 이후의 전송 위치에 매핑하는 단계는,
    확정된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UE_ID 순서에 따라 상기 동기 신호 블록 이후의 전송 위치에 매핑하는 단계; 또는
    확정된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PF의 프레임 번호(SFN) 선후 순서에 따라 상기 동기 신호 블록 이후의 전송 위치에 매핑하는 단계 - 상기 PF의 프레임 번호는 제3 결과와 제4 결과를 곱셈하여 얻은 제2 승적에 근거하여 확정된 것이고, 상기 제3 결과는 단말 식별자와 제3 값의 나머지 구하기를 하여 얻은 것이고, 상기 제4 결과는 DRX 주기와 상기 제3 값의 정제 나눗셈을 하여 얻은 것이고, 상기 PF의 프레임 번호와 상기 DRX 주기의 나머지 구하기 결과는 상기 제2 승적과 같고, 상기 제3 값은 DRX 주기 및 제4 값 중 작은 자이고, 상기 제4 값은 각각의 DRX 주기내에 포함된 페이징 기회(PO)의 개수임 - ; 또는
    확정된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페이징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동기 신호 블록 이후의 전송 위치에 매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방법.
  12.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장치에 있어서,
    비연속적 수신(DRX) 주기내의 동기 신호 블록을 확정하기 위한 제1 확정 모듈; 및
    상기 DRX 주기내의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의 위치 이후의 위치에서,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하기 위한 제2 확정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은 상기 DRX 주기내의 첫번째 동기 신호 블록이거나; 또는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은 상기 DRX 주기내의 복수 개의 동기 신호 블록 중 임의의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동기 신호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는 상기 첫번째 동기 신호 블록 이후의 제1 사전 설정 오프셋의 무선 프레임의 위치 범위임 - ;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 내에서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하기 위한 것;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동기 신호 중 일 타겟 동기 신호 블록의 위치를 확정하고;
    상기 타겟 동기 신호 블록 이후의 제2 사전 설정 오프셋의 무선 프레임의 위치를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로 확정하고;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 내에서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확정 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동기 신호 중 일 타겟 동기 신호 블록의 위치를 확정할 때, 구체적으로,
    단말 식별자와 DRX 주기내의 PF의 개수의 나머지 구하기를 하여 얻은 결과를 연산하고;
    DRX 주기의 동기 신호 블록의 주기에 대한 배수와 상기 DRX 주기내의 PF의 개수의 비율을 연산하고;
    상기 결과와 상기 비율의 승적에 근거하여, 타겟 동기 신호 블록의 위치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타겟 동기 신호 블록의 위치와 상기 배수의 나머지 구하기 결과는 상기 승적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장치.
  17.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확정 모듈이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 내에서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하는 것은,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 내에서, UE_ID의 순서에 근거하여,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하는 것; 또는
    단말 식별자와 제1 값의 나머지 구하기를 하여 얻은 제1 결과를 연산하고, DRX 주기와 상기 제1 값의 정제 나눗셈을 하여 얻은 제2 결과를 연산하고, 상기 제1 결과와 상기 제2 결과를 곱셈하여 얻은 제1 승적에 근거하여 PF의 프레임 번호를 확정하고,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 내에서, PF의 프레임 번호(SFN) 선후 순서에 따라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하는 것 - 상기 PF의 프레임 번호와 상기 DRX 주기의 나머지 구하기 결과는 상기 제1 승적과 같고, 상기 제1 값은 DRX 주기 및 제2 값 중 작은 자이고, 상기 제2 값은 각각의 DRX 주기내에 포함되는 페이징 기회(PO)의 개수임 - ; 또는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 범위 내에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페이징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하는 것;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장치.
  18.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확정된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동기 신호 블록 이후의 전송 위치에 매핑하기 위한 매핑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모듈은 구체적으로,
    확정된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UE_ID 순서에 따라 상기 동기 신호 블록 이후의 전송 위치에 매핑하거나; 또는
    확정된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PF의 프레임 번호(SFN) 선후 순서에 따라 상기 동기 신호 블록 이후의 전송 위치에 매핑하거나 - 상기 PF의 프레임 번호는 제3 결과와 제4 결과를 곱셈하여 얻은 제2 승적에 근거하여 확정된 것이고, 상기 제3 결과는 단말 식별자와 제3 값의 나머지 구하기를 하여 얻은 것이고, 상기 제4 결과는 DRX 주기와 상기 제3 값의 정제 나눗셈을 하여 얻은 것이고, 상기 PF의 프레임 번호와 상기 DRX 주기의 나머지 구하기 결과는 상기 제2 승적과 같고, 상기 제3 값은 DRX 주기 및 제4 값 중 작은 자이고, 상기 제4 값은 각각의 DRX 주기내에 포함된 페이징 기회(PO)의 개수임 - ; 또는
    확정된 상기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페이징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동기 신호 블록 이후의 전송 위치에 매핑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장치.
  20. 단말 기기에 있어서,
    비연속적 수신(DRX) 주기내의 동기 신호 블록을 확정하고; 그리고 상기 DRX 주기내의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의 위치 이후의 위치에서, 페이징 프레임(PF)의 위치를 확정하기 위한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1. 단말 기기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2.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07026213A 2018-02-13 2019-02-03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방법, 장치 및 단말 기기 KR1023276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150975.0A CN110149682B (zh) 2018-02-13 2018-02-13 一种寻呼帧的位置确定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201810150975.0 2018-02-13
PCT/CN2019/074677 WO2019158017A1 (zh) 2018-02-13 2019-02-03 寻呼帧的位置确定方法、装置及终端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198A true KR20200118198A (ko) 2020-10-14
KR102327665B1 KR102327665B1 (ko) 2021-11-16

Family

ID=67588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6213A KR102327665B1 (ko) 2018-02-13 2019-02-03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방법, 장치 및 단말 기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470574B2 (ko)
EP (2) EP4243514A3 (ko)
JP (1) JP7052057B2 (ko)
KR (1) KR102327665B1 (ko)
CN (1) CN110149682B (ko)
ES (1) ES2960950T3 (ko)
HU (1) HUE063744T2 (ko)
PT (1) PT3742819T (ko)
WO (1) WO20191580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97690A (zh) * 2020-04-03 2021-10-12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参考信号确定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402668B (zh) * 2021-12-10 2024-02-2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确定寻呼预告指示pei对应的首寻呼帧的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6045A (ko) * 2007-03-21 2008-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의 호출정보 송수신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86286B2 (en) * 2001-06-01 2008-06-10 Broadband Innovations, Inc. High frequency low noise phase-frequency detector and phase noise reduction method and apparatus
US8645821B2 (en) 2010-09-28 2014-02-04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age frame detection
KR20060130356A (ko) 2005-06-14 2006-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통신장치의 절전방법
US7680071B2 (en) * 2005-09-16 2010-03-1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during a discontinuous reception mode
US8077677B2 (en) 2007-01-31 2011-12-1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aging group handling
US20090275368A1 (en) * 2008-05-01 2009-11-0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paging load in long term evolution
JP2010056740A (ja) * 2008-08-27 2010-03-11 Sharp Corp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IN2013CH02225A (ko) 2013-05-21 2015-10-02 Samsung R & D Inst India Bangalore Pvt Ltd
ES2585937T3 (es) * 2013-10-08 2016-10-10 Telefónica, S.A. Procedimiento, sistema y dispositivos para mejorar la recepción discontinua en redes de comunicación inalámbrica
US20160105869A1 (en) * 2014-10-08 2016-04-1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background public land mobile network (bplmn) search management
CN107409379B (zh) * 2015-04-09 2021-08-24 索尼公司 终端设备、无线通信设备、无线通信方法和计算机程序
CN106961729B (zh) * 2016-01-11 2022-01-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监听、发送寻呼、寻呼终端的方法和基站、终端
EP3473043B1 (en) * 2016-06-21 2021-0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of paging in next 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7079404B (zh) * 2017-01-06 2020-10-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寻呼信号发送方法、寻呼信号接收方法、装置及系统
KR20180093214A (ko) * 2017-02-10 2018-08-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연속 수신 모드의 수행 방법 및 단말
US10841876B2 (en) * 2017-05-15 2020-11-17 Qualcomm Incorporated Wake-up signal (WUS) and wake-up receiver (WUR) in a communication device
CN109803376B (zh) 2017-11-17 2024-04-09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寻呼消息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6045A (ko) * 2007-03-21 2008-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의 호출정보 송수신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80130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149682A (zh) 2019-08-20
EP3742819A4 (en) 2021-03-24
EP4243514A2 (en) 2023-09-13
ES2960950T3 (es) 2024-03-07
US11470574B2 (en) 2022-10-11
EP4243514A3 (en) 2023-11-01
JP2021513802A (ja) 2021-05-27
JP7052057B2 (ja) 2022-04-11
EP3742819B1 (en) 2023-09-13
EP3742819A1 (en) 2020-11-25
WO2019158017A1 (zh) 2019-08-22
US20200413367A1 (en) 2020-12-31
PT3742819T (pt) 2023-10-09
HUE063744T2 (hu) 2024-01-28
CN110149682B (zh) 2022-02-08
KR102327665B1 (ko) 202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38219B2 (ja) 下りチャネルの受信方法、送信方法、端末及び基地局
CN109587789B (zh) 随机接入方法、移动终端及网络设备
US11476915B2 (en) Method and terminal for processing conflict in communication service procedures
CN109788546B (zh) 一种定时提前信息的传输方法、网络设备及终端
WO2019076171A1 (zh) 非授权频段下的信息传输方法、终端及网络设备
WO2019179317A1 (zh) 信息传输方法、终端及网络设备
US11272477B2 (en) Method of determining position of paging message, communication device, network-side device and user equipment
CN109996351A (zh) 一种配置信息的传输方法和相关设备
JP2022501920A (ja) サイドリンクのリンク障害検出方法及び端末
WO2022206810A1 (zh) 业务处理方法、终端及网络设备
EP3735040A1 (en) Interference processing method, user terminal and network side device
JP7457703B2 (ja) 測定指示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WO2019076170A1 (zh) 非授权频段下的信息传输方法、网络设备及终端
US20210105651A1 (en) Measurement gap processing method, terminal, and network node
WO2020228537A1 (zh) 资源确定方法、资源指示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107439024A (zh) 来电处理方法、用户设备以及存储介质
CN110072295B (zh) 双通道通信方法、装置、第一终端及介质
KR102327665B1 (ko) 페이징 프레임의 위치 확정 방법, 장치 및 단말 기기
WO2019062502A1 (zh) 信息传输方法、终端、网络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012512A (zh) 一种状态处理方法及相关设备
JP7352560B2 (ja) Csiリソースタイプの決定方法、端末及びネットワーク側装置
CN111818444A (zh) 寻呼方法、装置及终端、网络侧设备
US11477591B2 (en) Audio data process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210092728A1 (en)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N111278005B (zh) 能力信息上报方法、预编码矩阵指示反馈方法和相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