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7705A - Private study room - Google Patents

Private study roo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7705A
KR20200117705A KR1020190040216A KR20190040216A KR20200117705A KR 20200117705 A KR20200117705 A KR 20200117705A KR 1020190040216 A KR1020190040216 A KR 1020190040216A KR 20190040216 A KR20190040216 A KR 20190040216A KR 20200117705 A KR20200117705 A KR 20200117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sound wave
sub
hole
b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2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종찬
이보람
황근배
박군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0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7705A/en
Publication of KR20200117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70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218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soundproof enclosur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2Rooms, e.g. ANC inside a room, office, concert hall or automobile cab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private study room, which includes: a booth having an inner space accommodating a user and a penetrating hole providing a path allowing the inner space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nd an active noise control unit installed on the booth and generating a sound wave having an antiphase with respect to a noise so as to minimize the noise flowing into the inner space of the booth through the penetrating hole from the outside. Therefore, the private study room can effectively reduce the noise transmitted to the user.

Description

개인용 공부방{PRIVATE STUDY ROOM}Private study room{PRIVATE STUDY ROO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개인용 공부방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개인용 공부방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personal study room, to a personal study room that can reduce the noise transmitted to the user.

최근 들어, 학생들뿐만 아니라 독서나 공부를 하기 위하여 도서관이나 독서실을 찾는 일반인들이 급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학습 행위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정숙한 환경이 조성되어야 하며, 아무리 정숙한 환경이 제공된다고 할지라도 개인의 성향에 따라 주위에서 발생하는 작은 소음이나 특이한 제스처에 의해서 집중력이 흐트러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도서관이나 독서실은 개인에게 제공되는 환경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모두 공공 장소라는 점에서 타인에 의한 집중력 상실은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 밖에 없다.In recent years, not only students but also the general public who visit the library or reading room to read or study is increasing rapidly. In general, in order to effectively perform these learning behaviors, a quiet environment must be created, and no matter how quiet the environment is provided, concentration is disturbed by small noises or unusual gestures generated by the individual's tendency. May occur. As described above, the degree of the library or reading room varie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provided to the individual, but since all are public places, loss of concentration by others inevitably occur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어디에 설치되더라도 사용자에게 충분한 개인적인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개인용 공부방이 유행하고 있다. 이러한 개인용 공부방은 사용자의 집중을 방해하는 요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책상이 설치된 내부를 외부 환경과 벽체로 격리시키는 구조를 갖고 있다. 하지만,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벽체의 일부는 개방되어야 하므로 내부를 완전히 밀폐할 수는 없으며, 이러한 개방된 공간을 통해 외부로부터 소음이 유입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recent years, personal study rooms that can provide sufficient personal space to users no matter where they are installed are popular. This personal study room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interior of the desk is installed with a wall in order to remove elements that obstruct the user's concentration. However, since a part of the wall must be opened in order to circulate air, the interior cannot be completely sealed, and noise may be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is open spa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개인용 공부방을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personal study room that can effectively reduce the noise transmitted to th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부로부터의 소음이 유입되는 관통홀을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높이에 형성함으로써 소음의 유입 경로를 단순화시키고, 관통홀 주위에 마이크를 설치하여 외부 소음의 특성을 파악하며, 소음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경로 상에 소음에 대해 역위상을 갖는 음파를 발생시키는 스피커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외부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개인용 공부방을 개시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mplifies the inflow path of noise by form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noise from outside is introduced at a height where the user's head is located, and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external noise by installing a microphone around the through hole. , Disclosed is a personal study room that can effectively reduce external noise transmitted to the user by installing a speaker that generates sound waves having a phase inverse to the noise on the path through which the noise is transmitted to the user.

본 실시예에 있어서, 소음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관통홀의 상류 측과 하류 측에 각각 마이크와 스피커를 모두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외부 소음과 내부 소음을 종합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by providing both a microphone and a speaker on the upstream side and the downstream side of the through-hole based on the direction of the noise, it is possible to comprehensively reduce the external and internal noise transmitted to th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과, 내부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통로를 제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부스와, 부스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관통홀을 통해 부스의 내부 공간으로 흘러 들어가는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소음에 대해 역위상을 갖는 음파를 발생시키는 능동 소음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개인용 공부방을 개시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oth having an inner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a user and a through hole providing a passage for communicating the inner space with the outside, and installed in the booth, and the inside of the booth through the through hole from the outside. Disclosed is a personal study room including an active noise control unit that generates sound waves having a phase inverse to the noise in order to minimize the noise flowing into the space.

본 실시예에 있어서, 능동 소음 제어 유닛은, 외부에서 상기 관통홀로 유입되는 소음을 집음하는 소음 감지부와, 소음 감지부에서 집음되는 소음에 대해 역위상을 갖는 음파를 발생시키는 음파 발생부와, 소음 감지부로 집음되는 소음을 전기적으로 변환한 소음 신호를 수신하고, 소음 신호를 분석하여 소음에 대해 역위상을 갖는 음파를 생성하여 음파를 전기적으로 변환한 음파 신호를 음파 발생부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active noise control unit includes a noise detection unit for collecting noise introduced into the through hole from the outside, a sound wave generator for generating sound waves having an inverse phase to the noise collected by the noise detection un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a noise signal that is electrically converted from the noise collected by the noise detection unit, analyzes the noise signal, generates a sound wave having an inverse phase with respect to the noise, and transmits the sound wave signal that is electrically converted to the sound wave to the sound wave generator. can do.

본 실시예에 있어서, 소음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음파 발생부는 소음 감지부의 하류 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ound wave generator may be install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noise detection unit based o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nois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소음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음파 발생부는 관통홀의 상류 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ound wave generator may be install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through hole, based o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nois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소음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소음 감지부는 관통홀의 상류 측에 설치되는 제1 서브 소음 감지부와, 관통홀의 하류 측에 설치되는 제2 서브 소음 감지부를 포함하고, 음파 발생부는 관통홀의 상류 측에 설치되는 제1 서브 음파 발생부와, 관통홀의 하류 측에 설치되는 제2 서브 음파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based on the direction of the noise, the noise detection unit includes a first sub-noise detection unit install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through hole, and a second sub-noise detection unit install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through hole, and generates sound waves. The unit may include a first sub sound wave generator install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through hole and a second sub sound wave generator install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through hol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소음의 진행 방향을 따라, 제1 서브 소음 감지부, 제1 서브 음파 발생부, 관통홀, 제2 서브 소음 감지부 및 제2 서브 음파 발생부가 차례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sub-noise detection unit, the first sub-sound wave generation unit, the through hole, the second sub-noise detection unit, and the second sub-sound wave generation unit are sequentially arranged along the direction of the noise. can do.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서브 소음 감지부는 외부에서 관통홀로 유입되는 외부 소음을 집음하고, 제1 서브 음파 발생부는 제1 서브 소음 감지부에서 집음되는 외부 소음에 대해 역위상을 갖는 제1 음파를 발생시키며, 제2 서브 소음 감지부는 관통홀을 통과하여 부스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외부 소음과 제1 음파 및 부스의 내부 공간에서 생성되는 내부 소음을 집음하고, 제2 서브 음파 발생부는 제2 서브 소음 감지부에서 집음되는 외부 소음과 제1 음파 및 내부 소음이 혼합된 혼합 소음에 대해 역위상을 갖는 제2 음파를 발생시키며, 제어부는, 제1 서브 소음 감지부에서 집음되는 외부 소음을 전기적으로 변환한 외부 소음 신호를 수신하고, 외부 소음 신호를 분석하여 외부 소음에 대해 역위상을 갖는 제1 음파를 생성하여 제1 음파를 전기적으로 변환한 제1 음파 신호를 제1 서브 음파 발생부로 전송하고, 제2 서브 소음 감지부에서 집음되는 혼합 소음을 전기적으로 변환한 혼합 소음 신호를 수신하고, 혼합 소음 신호를 분석하여 혼합 소음에 대해 역위상을 갖는 제2 음파를 생성하여 제2 음파를 전기적으로 변환한 제2 음파 신호를 제2 서브 음파 발생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ub-noise detection unit collects external noise introduced into the through hole from the outside, and the first sub-sound wave generator is a first sound wave having an inverse phase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noise collected by the first sub-noise detection unit. And the second sub-noise detection unit collects the first sound wave and internal noise gener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ooth, and the second sub-sound wave generation unit collects the first sound wave and the external noise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booth through the through hole. Generates a second sound wave having an opposite phase to the external noise collected by the sub-noise detection unit and the mixed noise of the first sound wave and the internal noise, and the control unit electrically detects the external noise collected by the first sub-noise detection unit. Receives the external noise signal converted to and analyzes the external noise signal to generate a first sound wave having an inverse phase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noise, and transmits the first sound wave signal electrically converted from the first sound wave to the first sub sound wave generator. Then, the second sound wave is electrically converted by receiving a mixed noise signal obtained by electrically converting the mixed noise collected by the second sub-noise detection unit, and analyzing the mixed noise signal to generate a second sound wave having an inverse phase to the mixed nois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ransmitting the converted second sound wave signal to the second sub sound wave generator.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서브 음파 발생부는 복수개가 부스의 내측에 설치되되, 사용자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짝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second sub sound wave generators may be installed inside the booth, and an even number may be provided so as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around a user.

본 실시예에 있어서, 관통홀은 부스의 일면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고, 음파 발생부는 관통홀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복수개가 구비되어 각각의 관통홀에 하나의 음파 발생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along one surface of the booth, and a plurality of sound wave generators ar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hrough holes, and one sound wave generator is installed in each through hole. .

본 실시예에 있어서, 관통홀은 사용자가 부스의 상기 공간에 앉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높이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through hole may be formed to be adjacent to a height at which the user's head is positioned while the user sits in the space of the booth.

본 실시예에 있어서, 관통홀은 부스의 내부 공간에서 사용자의 발이 닿는 면으로부터 1 내지 1.5 미터의 높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through-hol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at a height of 1 to 1.5 meters from the surface where the user's foot touches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booth.

본 실시예에 있어서, 부스의 내측 표면에는 소음을 흡수하기 위한 방음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sound insulation material for absorbing noise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oth.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방음재는 사용자가 부스의 내부 공간에 앉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높이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oundproofing material may be formed so as to be adjacent to a height at which the user's head is positioned while the user sits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booth.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개인용 공부방에 따르면, 외부 소음이 유입되는 관통홀을 소정의 위치에 집중 형성함으로써 외부 소음의 유입 경로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ersonal study room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external noise is introduce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ereby simplifying the introduction path of the external noise.

또한, 관통홀 주위에 소음 감지부를 설치하여 외부 소음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by installing a noise detector around the through hole, it is possible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external noise.

또한, 소음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경로 상에 소음에 대해 역위상을 갖는 음파를 발생시키는 음파 발생부를 설치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외부 소음을 능동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installing a sound wave generator that generates sound waves having a phase inverse to the noise on a path through which noise is transmitted to the user, external noise transmitted to the user may be actively reduced.

또한, 외부 소음뿐만 아니라 내부 소음의 특성도 함께 파악하여, 외부와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들을 종합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집중력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grasping not only the external noise but al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l noise, it is possible to comprehensively reduce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outside and inside, and thus the concentration of the user can be remarkably improved.

또한, 개인용 공부방의 내측 표면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높이에 방음재를 설치함으로써 내부에서 반사되는 소음을 흡수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by installing a soundproof material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ersonal study room at the height where the user's head is located, it is possible to absorb or block the noise reflected from the inside.

물론 이러한 효과들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f course,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ffect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자세한 설명과 그에 수반되는 도면들의 결합으로 쉽게 이해될 수 있으며, 참조 번호(reference numerals)들은 구조적 구성요소(structural elements)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개인용 공부방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개인용 공부방에 설치되는 능동 소음 제어 유닛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개인용 공부방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개인용 공부방에 설치되는 능동 소음 제어 유닛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개인용 공부방 내부에서 측정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소음의 강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써, 구체적으로 능동 소음 제어 유닛을 작동시킨 상태와 작동을 중단한 상태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개인용 공부방의 외부에서 500Hz의 단음을 갖는 외부 소음을 발생시켜 개인용 공부방 내부에서 측정되는 소음의 강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써, 구체적으로 능동 소음 제어 유닛을 작동시킨 상태와 작동을 중단한 상태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 combination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reference numerals denote structural elements.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ersonal study 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active noise control unit installed in the personal study room shown in FIG.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ersonal study roo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active noise control unit installed in the personal study room shown in FIG.
5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the intensity of noise over time measured in a personal study room, specifically a graph showing a comparison between a state in which the active noise control unit is operated and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is stopped.
6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the intensity of noise measured inside the personal study room by generating an external noise having a single tone of 500 Hz outside the personal study room, specif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ctive noise control unit is operated and the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is stopped. It is a graph shown by comparis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have selected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possible while taking the function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consideration, but this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the like.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ar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of the term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not a simple name of the term.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In addition,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ber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size and shape of each component member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hav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 can easily implement. Howev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개인용 공부방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개인용 공부방에 설치되는 능동 소음 제어 유닛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ersonal study 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n active noise control unit installed in the personal study room shown in FIG. 1.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개인용 공부방(100)은 외관을 형성하는 부스(110)와 부스(110)로 유입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능동 소음 제어 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1, the personal study room 100 may include a booth 110 forming an exterior and an active noise control unit 120 for reducing noise flowing into the booth 110.

부스(110)는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111)과, 내부 공간(111)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통로를 제공하는 관통홀(112)을 구비할 수 있다.The booth 110 may include an inner space 111 capable of accommodating a user and a through hole 112 providing a passage for communicating the inner space 111 with the outside.

구체적으로, 부스(110)는 전방 패널(1101) 및 후방 패널(1102)과, 전방 패널(1101)과 후방 패널(1102)을 좌우에서 각각 연결하는 좌측 패널(1103)과 우측 패널(1104), 그리고 전방 패널(1101)과 후방 패널(1102), 좌측 패널(1103) 및 우측 패널(1104)을 각각 상측과 하측에서 덮어 내부 공간(111)을 형성하는 상부 패널(1105)과 하부 패널(1106)로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ooth 110 includes a front panel 1101 and a rear panel 1102, a left panel 1103 and a right panel 1104 connecting the front panel 1101 and the rear panel 1102, respectively, from left and right, And the front panel 1101 and the rear panel 1102, the left panel 1103, and the right panel 1104 are covered from the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to form an inner space 111, the upper panel 1105 and the lower panel 1106. It can be composed of.

편의 상, 도면에는 전방 패널(1101)에 관통홀(112)이 형성된 것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관통홀(112)은 후방 패널(1102)이나 좌측 패널(1103), 또는 우측 패널(1104)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관통홀(112)은 외부 소음이 부스(110)의 내부 공간(111)에 착석한 사용자의 머리 측으로 진행하는 방향, 즉 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convenience, it is depicted in the drawing that the through hole 112 is formed in the front panel 1101, bu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through hole 112 may be formed in the rear panel 1102, the left panel 1103, or the right panel 1104. That is, the through hole 112 is preferably formed along a direction in which external noise proceeds toward the head of the user seated in the inner space 111 of the booth 110, that is, along the side.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앉은 키를 고려하면, 관통홀(112)은 부스(110)의 내부 공간(111)에서 사용자의 발이 닿는 면, 즉 하부 패널(1106)으로부터 1 내지 1.5 미터의 높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considering the height of the user's seat, the through hole 112 is formed at a height of 1 to 1.5 meters from the lower panel 1106, that is, the side where the user's foot touches in the inner space 111 of the booth 110. It is desirable.

하지만,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부 패널(1105)에 관통홀(112)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측면에서 발생하는 외부 소음뿐만 아니라 상측에서도 소음이 발생하는 환경에 개인용 공부방(100)이 설치될 경우, 상부 패널(1105)에 관통홀(112)이 형성되고, 관통홀(112) 주위에 능동 소음 제어 유닛(120)이 설치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관통홀(112)이 부스(110)의 전방 패널(1101)에 형성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owever,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hereto, and in some cases, a through hole 112 may be formed in the upper panel 1105. That is, when the personal study room 100 is installed in an environment where not only external noise generated from the side but also noise is generated from the upper side, a through hole 112 is formed in the upper panel 1105, and the through hole 112 is surrounded by An active noise control unit 120 may be installed. Howev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ase where the through hole 112 is formed in the front panel 1101 of the booth 110 will be mainly described.

이와 같이, 관통홀(112)을 부스(110)의 소정 위치에 형성하는 동시에, 나머지 부스(110)에는 소음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각각의 패널들이 연결되는 부위는 소음이 통과하지 않도록 밀폐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외부 소음이 유입되는 관통홀(112)을 소정의 위치, 즉 전방 패널(1101)에 집중 형성함으로써 외부 소음의 유입 경로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In this way, it is preferable that the through hole 112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ooth 110 and at the same time, a space through which noise can pass through the remaining booth 110 is not formed. For example, a portion to which each panel is connected may be hermetically coupled so that noise does not pass through.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through hole 112 through which the external noise is introduced is concentrat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that is, the front panel 1101, thereby simplifying the introduction path of the external noise.

한편, 부스(110)는 부스에 힌지 결합되어 관통홀(112)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 위치와 관통홀(112)을 폐쇄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커버(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커버(113)가 관통홀(112)을 개방하는 제1 위치에 고정된 모습을 나타낸다.Meanwhile, the booth 110 may further include a cover 113 that is hinged to the booth and movable between a first position communicating the through hole 112 with the outside and a second position closing the through hole 112. have. 1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ver 113 is fixed in a first position to open the through hole 112.

만약 커버(113)가 관통홀(112)을 폐쇄하는 제2 위치로 이동할 경우, 능동 소음 제어 유닛(120)은 부스(110)의 내부 공간(111)에 보관될 수 있다. 이 상태로, 개인용 공부방(1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능동 소음 제어 유닛(120)은 커버(113)가 관통홀(112)을 폐쇄하는 제2 위치로 이동한 경우 부스(110)에서 분리되어 별도로 보관될 수도 있다.If the cover 113 moves to the second position to close the through hole 112, the active noise control unit 120 may be stored in the inner space 111 of the booth 110. In this state, the personal study room 100 can be moved. Meanwhile, the active noise control unit 120 may be separated from the booth 110 and stored separately when the cover 113 moves to the second position to close the through hole 112.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관통홀(112)이 전방 패널(1101)에 형성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부스(110)로 드나들 수 있도록 좌측 패널(1103)이나 우측 패널(1104)은 부스(110)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는 문(door)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n a state in which the through hole 112 is formed in the front panel 1101, the left panel 1103 or the right panel 1104 is a booth ( 110) can perform the function of a door that is hinged to open and close.

예컨대, 우측 패널(1104)과 후방 패널(1102)이 연결되는 지점에는 힌지축(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고, 우측 패널(1104)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후방 패널(1102)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우측 패널(1104)에는 외부로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가 쥐고 우측 패널(1104)을 당기거나 밀 수 있는 손잡이(미도시)가 구비되어, 사용자는 손잡이를 조작하여 우측 패널(1104)을 열거나 닫을 수 있다. 한편, 힌지축은 좌측 패널(1103)과 후방 패널(1102) 사이를 연결할 수도 있고, 손잡이는 좌측 패널(1103)에 구비될 수도 있다.For example, a hinge shaft (not shown) may be installed at a point where the right panel 1104 and the rear panel 1102 are connected, and the right panel 1104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panel 1102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hinge axis. I can. In addition, the right panel 1104 is provided with a handle (not shown) that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so that the user can pull or push the right panel 1104, and the user manipulates the handle to open the right panel 1104 or I can close it. Meanwhile, the hinge shaft may connect between the left panel 1103 and the rear panel 1102, and the handle may be provided on the left panel 1103.

이와 같이 우측 패널(1104)이 도어의 기능을 수행할 경우, 우측 패널(1104)과 전방 패널(1101)이 만나는 모서리와, 우측 패널(1104)과 상부 패널(1105)이 만나는 모서리와, 우측 패널(1104)과 하부 패널(1106)이 만나는 모서리와, 그리고 힌지축이 설치된 우측 패널(1104)과 후방 패널(1102)의 모서리에는 우측 패널(1104)의 개폐에 따라 소정의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우측 패널(1104)의 폐쇄 시 우측 패널(1104)과 각 패널들의 모서리 사이로 소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각 패널의 모서리에는 소음을 차폐 또는 흡음하는 동시에 각 패널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right panel 1104 functions as a door, the corner where the right panel 1104 and the front panel 1101 meet, the corner where the right panel 1104 and the upper panel 1105 meet, and the right panel A predetermined empty space may be formed at the corner where the lower panel 1104 and the lower panel 1106 meet, and at the corner of the right panel 1104 and the rear panel 1102 on which the hinge axis is installed, as the right panel 1104 is opened and closed. have. Therefore, to prevent noise from flowing between the right panel 1104 and the corners of each panel when the right panel 1104 is closed, the elasticity that shields or absorbs noise at the corners of each panel and at the same time elastically supports each panel. A member (not shown) may be installed.

다음으로, 능동 소음 제어 유닛(120)은 부스(110)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관통홀(112)을 통해 부스(110)의 내부 공간(111)으로 흘러 들어가는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소음에 대해 역위상을 갖는 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Next, the active noise control unit 120 is installed in the booth 110, in order to minimize the noise flowing into the internal space 111 of the booth 110 through the through hole 112 from the outside It can generate a phased sound wave.

도 1과 2를 함께 참조하면, 능동 소음 제어 유닛(120)은 외부에서 관통홀(112)로 유입되는 소음을 집음하는 소음 감지부(121)와, 소음 감지부(121)에서 집음되는 소음에 대해 역위상을 갖는 음파를 발생시키는 음파 발생부(122)와, 소음 감지부(121)에서 집음되는 소음을 전기적으로 변환한 소음 신호를 수신하고, 소음 신호를 분석하여 소음에 대해 역위상을 갖는 음파를 생성하여 음파를 전기적을 변환한 음파 신호를 음파 발생부(122)로 전송하는 제어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ogether, the active noise control unit 120 includes a noise detection unit 121 that collects noise flowing into the through hole 112 from the outside, and the noise collected by the noise detection unit 121 A sound wave generator 122 that generates a sound wave having an inverse phase with respect to the noise, and a noise signal that electrically converts the noise collected by the noise detector 121, and analyzes the noise signal to have an inverse phase with respect to the noise. The control unit 123 may generate sound waves and transmit the sound wave signals obtained by converting the sound waves into electricity to the sound wave generator 122.

소음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음파 발생부(122)는 소음 감지부(121)의 하류 측에 설치될 수 있고, 관통홀(112)의 상류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외부에서 발생한 소음(EN)은 소음 감지부(121)와 음파 발생부(122) 및 관통홀(112)을 차례대로 지나 부스(110)의 내부 공간(111)으로 유입되어 소음 저감 목표 위치(P)로 진행될 수 있다.Based o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noise, the sound wave generator 122 may be install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noise detection unit 121 and may be install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through hole 112. That is, referring to FIG. 2, the noise EN generated from the outside passes through the noise detection unit 121, the sound wave generation unit 122, and the through hole 112 in order to the internal space 111 of the booth 110. It may be introduced and proceed to the target noise reduction position (P).

여기서, 관통홀(112)은 부스(110)의 일면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고, 음파 발생부(122)는 관통홀(112)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복수개가 구비되어 각각의 관통홀(112)에 하나의 음파 발생부(122)가 설치될 수 있다.Here, a plurality of through-holes 112 are formed along one surface of the booth 110, and a plurality of sound wave generators 122 ar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hrough-holes 112 to each through-hole 112. One sound wave generator 122 may be installed.

구체적으로, 외부에서 발생한 소음(EN)은 소음 감지부(121)에서 집음될 수 있고, 소음 감지부(121)는 소음(EN)을 전기적으로 변환한 소음 신호를 제어부(123)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통홀(112)의 주위에 소음 감지부(121)를 설치함으로써 외부 소음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noise EN generated from the outside may be collected by the noise detector 121, and the noise detector 121 may transmit a noise signal obtained by converting the noise EN to the control unit 123. . In this way, by installing the noise detection unit 121 around the through hole 112, it is possible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ternal noise.

제어부(123)는 소음 감지부(121)로부터 수신한 소음(EN)에 대한 소음 신호를 분석하고, 소음(EN)에 대해 역위상을 갖는 음파(SW)를 생성할 수 있도록 음파(SW)를 전기적으로 변환한 음파 신호를 음파 발생부(122)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3 analyzes the noise signal for the noise EN received from the noise detection unit 121, and generates a sound wave SW so as to generate a sound wave SW having an inverse phase with respect to the noise EN. The electrically converted sound wave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sound wave generator 122.

음파 발생부(122)는 제어부(123)로부터 음파(SW)를 전기적으로 변환한 음파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다시 음파 신호를 음파(SW)로 변환하여 사용자가 가청할 수 있는 음파(SW)를 소음 저감 목표 위치(P)를 향해 발생시킬 수 있다.The sound wave generator 122 may receive a sound wave signal obtained by electrically converting the sound wave SW from the control unit 123, and convert the sound wave signal into a sound wave SW so that a user can audible sound wave SW. Can be generated toward the noise reduction target position P.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소음 저감 목표 위치(P)에 전달되는 소리는 외부 소음(EN)과 음파 발생부(122)에서 발산된 음파(SW)가 혼합된 제어음(CS)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음(CS)은 외부 소음(EN)과, 외부 소음(EN)에 대해 역위상을 갖는 음파(SW)가 혼합되어 외부 소음(EN)의 물리적인 크기(magnitude)가 저감된 형태의 소리일 수 있다.As a result, the sound transmitted to the noise reduction target position (P) in which the user can be seated may be a control sound (CS) in which the external noise (EN) and the sound wave (SW) emitted from the sound wave generator 122 are mixed. have. Specifically, the control sound (CS) is a form in which the physical magnitude of the external noise (EN) is reduced by mixing the external noise (EN) and the sound wave (SW) having an inverse phase to the external noise (EN). It can be the sound of.

이와 같이, 소음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경로 상에 소음에 대해 역위상을 갖는 음파를 발생시키는 음파 발생부(122)를 설치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외부 소음을 능동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In this way, by installing the sound wave generator 122 that generates sound waves having a phase inverse to the noise on the path through which the noise is transmitted to the user, external noise transmitted to the user may be actively reduced.

한편, 부스(110)의 내측 표면에는 소음을 흡수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방음재(130)가 설치될 수 있다. 방음재(130)는 사용자가 부스(110)의 내부 공간(111)에 앉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높이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soundproof material 130 for absorbing or blocking noise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oth 110. The soundproofing material 130 may be formed so as to be adjacent to the height at which the user's head is located while the user sits in the inner space 111 of the booth 110.

구체적으로, 방음재(130)는 흠음재와 차음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흡음재는 소음과 진동을 흡수하는 물질이며, 차음재는 소음을 차단하여 투과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물질로서, 흠음재와 차음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음재(130)를 부스(110)의 내측 표면에 설치함으로써 부스(110)의 내부 공간(111)에서 반사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sound insulation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ound insulation material and a sound insulation material. Here, the sound-absorbing material is a material that absorbs noise and vibration, and the sound-absorbing material is a material that blocks noise to reduce transmitted noise, and a sound-absorbing material 130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ound-absorbing material and a sound-insulating material is plac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oth 110. By installing in the booth 110, noise reflected from the inner space 111 can be effectively reduced.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개인용 공부방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개인용 공부방에 설치되는 능동 소음 제어 유닛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ersonal study roo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n active noise control unit installed in the personal study room shown in FIG. 3.

도 3과 4를 참조하면, 소음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소음 감지부(121)는 관통홀(112)의 상류 측에 설치되는 제1 서브 소음 감지부(1211)와, 관통홀(112)의 하류 측에 설치되는 제2 서브 소음 감지부(12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음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음파 발생부(122)는 관통홀(112)의 상류 측에 설치되는 제1 서브 음파 발생부(1221)와, 관통홀(112) 하류 측에 설치되는 제2 서브 음파 발생부(1222)를 포함할 수 있다.3 and 4, based on the direction of noise, the noise detection unit 121 includes a first sub-noise detection unit 1211 install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through hole 112, and the through hole 112 It may include a second sub-noise detector 1212 install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In addition, based o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noise, the sound wave generator 122 includes a first sub sound wave generator 1221 install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through hole 112 and a first sub sound wave generator 1221 install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through hole 112. 2 may include a sub sound wave generator 1222.

구체적으로, 소음의 진행 방향을 따라, 제1 서브 소음 감지부(1211)와, 제1 서브 음파 발생부(1221)와, 관통홀(112)과, 제2 서브 소음 감지부(1212) 및 제2 서브 음파 발생부(1222)는 차례대로 배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along the direction of the noise, the first sub noise detector 1211, the first sub sound wave generator 1221, the through hole 112, the second sub noise detector 1212, and the second The 2 sub sound wave generators 1222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한편, 제2 서브 음파 발생부(1222)는 복수개가 부스(110)의 내측에 설치되되, 사용자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짝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second sub sound wave generators 1222 may be installed inside the booth 110, and an even number may be provided so as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around the user.

도 3 및 4에 도시된 개인용 공부방(100')의 경우 도 1 및 2에 도시된 개인용 공부방(100)과 비교하여 능동 소음 제어 유닛(120')의 음파 발생부(122)가 제1 서브 음파 발생부(1221)와 제2 서브 음파 발생부(1222)를 포함하는 구조를 더 포함하는 것 이외 다른 구성요소들은 모두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음파 발생부(122)의 구조와 작용에 대해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고, 도 1 및 2를 통해 설명한 개인용 공부방(100)과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 1과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들을 원용하기로 한다.In the case of the personal study room 100 ′ shown in FIGS. 3 and 4, the sound wave generator 122 of the active noise control unit 120 ′ is the first sub sound wave compared to the personal study room 100 shown in FIGS. 1 and 2 Since the other components are all the same, except that the structure further including the generator 1221 and the second sub sound wave generator 1222 are included,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sound wave generator 12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It will be described, and for the same or corresponding configuration as the personal study room 100 described through FIGS. 1 and 2, the cont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will be used.

구체적으로, 제1 서브 소음 감지부(1211)는 외부에서 관통홀(112)로 유입되는 외부 소음(EN)을 집음할 수 있다. 제1 서브 소음 감지부(1211)는 외부 소음(EN)을 전기적으로 변환한 외부 소음 신호를 제어부(123)로 전달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sub-noise detector 1211 may collect external noise EN flowing into the through hole 112 from the outside. The first sub-noise detector 1211 may transmit an external noise signal obtained by converting the external noise EN to the control unit 123.

제어부(123)는 제1 서브 소음 감지부(1211)로부터 수신한 외부 소음(EN)에 대한 외부 소음 신호를 분석하고, 외부 소음(EN)에 대해 역위상을 갖는 제1 음파(SW1)를 생성할 수 있도록 제1 음파(SW1)를 전기적으로 변환한 제1 음파 신호를 제1 서브 음파 발생부(1221)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23 analyzes the external noise signal for the external noise EN received from the first sub-noise detection unit 1211, and generates a first sound wave SW1 having an inverse phase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noise EN. The first sound wave signal obtained by electrically converting the first sound wave SW1 to the first sound wave SW1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sub sound wave generator 1221.

제1 서브 음파 발생부(1221)는 제어부(123)로부터 제1 음파(SW)를 전기적으로 변환한 제1 음파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다시 제1 음파 신호를 제1 음파(SW1)로 변환하여 사용자가 가청할 수 있는 제1 음파(SW1)를 소음 저감 목표 위치(P)를 향해 발생시킬 수 있다. 이렇게 제1 서브 음파 발생부(1221)에서 발생된 제1 음파(SW1)는 외부 소음(EN)과 함께 관통홀(112)을 지나 부스(110)의 내부 공간(111)으로 유입될 수 있다.The first sub sound wave generator 1221 may receive a first sound wave signal obtained by electrically converting the first sound wave SW from the control unit 123, and convert the first sound wave signal back to the first sound wave SW1 Thus, the first sound wave SW1 that can be audible by the user may be generated toward the target noise reduction position P. In this way, the first sound wave SW1 generated by the first sub sound wave generator 1221 may flow into the internal space 111 of the booth 110 through the through hole 112 along with the external noise EN.

제2 서브 소음 감지부(1212)는 관통홀(112)을 통과하여 부스(110)의 내부 공간(111)으로 유입된 외부 소음(EN)과 제1 음파(SW1), 그리고 부스(110)의 내부 공간(111)에서 생성되는 내부 소음(IN)을 집음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서브 소음 감지부(1212)는 외부 소음(EN)과 제1 음파(SW1) 및 내부 소음(IN)이 혼합된 혼합 소음을 전기적으로 변환한 혼합 소음 신호를 제어부(123)로 전달할 수 있다.The second sub-noise detection unit 1212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12 and flows into the inner space 111 of the booth 110, the first sound wave (SW1), and the Internal noise IN generated in the inner space 111 may be collected. In addition, the second sub-noise detection unit 1212 transmits a mixed noise signal obtained by electrically converting the mixed noise of the external noise EN, the first sound wave SW1, and the internal noise IN, to the controller 123. I can.

제어부(123)는 제2 서브 소음 감지부(1212)로부터 수신한 혼합 소음에 대한 혼합 소음 신호를 분석하고, 혼합 소음에 대해 역위상을 갖는 제2 음파(SW2)를 생성할 수 있도록 제2 음파(SW2)를 전기적으로 변환한 제2 음파 신호를 제2 서브 음파 발생부(1222)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3 analyzes the mixed noise signal for the mixed noise received from the second sub-noise detection unit 1212, and generates a second sound wave SW2 having an inverse phase with respect to the mixed noise. The second sound wave signal converted from SW2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sub sound wave generator 1222.

제2 서브 음파 발생부(1222)는 제어부(123)로부터 제2 음파(SW2)를 전기적으로 변환한 제2 음파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다시 제2 음파 신호를 제2 음파(SW2)로 변환하여 사용자가 가청할 수 있는 제2 음파(SW2)를 소음 저감 목표 위치(P)를 향해 발생시킬 수 있다.The second sub sound wave generator 1222 may receive a second sound wave signal obtained by electrically converting the second sound wave SW2 from the control unit 123, and converts the second sound wave signal back to the second sound wave SW2. Accordingly, a second sound wave SW2 that can be audible by the user may be generated toward the target noise reduction position P.

이렇게 관통홀(112) 외부에 설치되는 제1 서브 소음 감지부(1211)와 제1 서브 음파 발생부(1221), 그리고 관통홀(112)의 내부, 즉 부스(110)의 내부 공간(111)에 설치되는 제2 서브 소음 감지부(1212) 및 제2 서브 음파 발생부(1222)를 구비함으로써, 부스(110)의 외부에서 발생하는 외부 소음(EN)과 부스(110)의 내부 공간(111)에서 발생하는 내부 소음(IN)을 종합적으로 저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first sub noise detection unit 1211 and the first sub sound wave generator 1221 installed outside the through hole 112, and the inside of the through hole 112, that is, the inner space 111 of the booth 110 By providing a second sub noise detection unit 1212 and a second sub sound wave generator 1222 installed in the booth 110, external noise EN generated from the outside of the booth 110 and the internal space 111 of the booth 110 The internal noise (IN) generated from) can be comprehensively reduced, and the user's concentration can be improved through this.

이와 같이, 외부 소음뿐만 아니라 내부 소음의 특성도 함께 파악하여, 외부와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들을 종합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집중력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way, by grasping not only the external noise but al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l noise, it is possible to comprehensively reduce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outside and the inside, thereby remarkably improving the concentration of the user.

도 5는 개인용 공부방 내부에서 측정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소음의 강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써, 구체적으로 능동 소음 제어 유닛을 작동시킨 상태와 작동을 중단한 상태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6은 개인용 공부방의 외부에서 500Hz의 단음을 갖는 외부 소음을 발생시켜 개인용 공부방 내부에서 측정되는 소음의 강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써, 구체적으로 능동 소음 제어 유닛을 작동시킨 상태와 작동을 중단한 상태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그래프이다.5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the intensity of noise over time measured inside a personal study room, specifically a 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ctive noise control unit is operated and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is stopped, and FIG. 6 is for personal use It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the intensity of noise measured inside a private study room by generating an external noise having a single tone of 500Hz outside of the study room. Specifically, a graph showing the active noise control unit in operation and the state in which operation is stopped. to be.

도 5를 참조하여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능동 소음 제어 유닛(120)을 작동시키지 않았을 경우(상대적으로 연하게 표시된 부분)보다 능동 소음 제어 유닛(120)을 작동시킬 경우(상대적으로 진하게 표시된 부분), 개인용 공부방(100)의 내부 공간(111)에 착석한 사용자의 입장에서 소음이 50% 이상 저감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여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특정 주파수, 즉 500Hz의 주파수 영역에서 소음(dBA)이 71.24에서 62.37으로 저감될 수 있다. 이는 저감폭이 약 9dBA라고 가정할 경우, 소음이 약 1/8정도로 저감된 것을 의미한다.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 5, when the active noise control unit 120 is operated (relatively darkly displayed portion) than when the active noise control unit 120 is not operated (relatively lightened portion) , Noise can be reduced by 50% or more from the perspective of a user seated in the inner space 111 of the personal study room 100. In addition, 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 6, noise dBA in a specific frequency, that is, in a frequency region of 500 Hz, may be reduced from 71.24 to 62.37. This means that, assuming that the reduction width is about 9 dBA, the noise is reduced to about 1/8.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개인용 공부방(100)의 내부 공간(111)에 착석한 사용자의 입장에서, 실시예들에 따른 능동 소음 제어 유닛(120)에 의해 적게는 절반, 많게는 1/8 정도로 가청할 수 있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개인용 공부방(100)의 내부 공간(111)에서 소음의 방해 없이 집중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In this way, from the perspective of a user seated in the inner space 111 of the personal study room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ittle as half, as many as 1 by the active noise control unit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Since the audible noise can be reduced to about /8, the user can maximize concentration without disturbing the noise in the inner space 111 of the personal study room 100.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rela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appreciate that i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ly modified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above-described substrate.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illustrative point of view rather than a limiting point of view.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개인용 공부방 1211: 제1 서브 소음 감지부
110: 부스 1212: 제2 서브 소음 감지부
111: 내부 공간 122: 음파 발생부
112: 관통홀 1221: 제1 서브 음파 발생부
113: 커버 1222: 제2 서브 음파 발생부
120: 능동 소음 제어 유닛 123: 제어부
121: 소음 감지부 130: 방음재
100: personal study room 1211: first sub-noise detection unit
110: booth 1212: second sub-noise detection unit
111: inner space 122: sound wave generator
112: through hole 1221: first sub sound wave generator
113: cover 1222: second sub sound wave generator
120: active noise control unit 123: control unit
121: noise detection unit 130: sound insulation

Claims (14)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통로를 제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부스; 및
상기 부스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부스의 상기 내부 공간으로 흘러 들어가는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소음에 대해 역위상을 갖는 음파를 발생시키는 능동 소음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개인용 공부방.
A booth having an inner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a user and a through hole providing a passage for communicating the inner space with the outside; And
An active noise control unit installed in the booth and generating a sound wave having an inverse phase with respect to the noise in order to minimize noise flowing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booth through the through hole from outside; including, a personal study room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 소음 제어 유닛은,
외부에서 상기 관통홀로 유입되는 상기 소음을 집음하는 소음 감지부와,
상기 소음 감지부에서 집음되는 상기 소음에 대해 역위상을 갖는 상기 음파를 발생시키는 음파 발생부와,
상기 소음 감지부로 집음되는 상기 소음을 전기적으로 변환한 소음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소음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소음에 대해 역위상을 갖는 음파를 생성하여 상기 음파를 전기적으로 변환한 음파 신호를 상기 음파 발생부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개인용 공부방.
The method of claim 1,
The active noise control unit,
A noise detector configured to collect the noise introduced into the through hole from the outside,
A sound wave generation unit generating the sound wave having an inverse phase with respect to the noise collected by the noise detection unit,
Receives a noise signal electrically converted from the noise collected by the noise detection unit, analyzes the noise signal to generate a sound wave having an inverse phase with respect to the noise, and generates the sound wave signal electrically converted to the sound wave Personal study room containing a control unit to transmit to the department.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음파 발생부는 상기 소음 감지부의 하류 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공부방.
The method of claim 2,
Based on the direction of the noise,
The sound wave generator is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noise detection unit, personal study room.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음파 발생부는 상기 관통홀의 상류 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공부방.
The method of claim 2,
Based on the direction of the noise,
The sound wave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through hole, personal study room.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소음 감지부는 상기 관통홀의 상류 측에 설치되는 제1 서브 소음 감지부와, 상기 관통홀의 하류 측에 설치되는 제2 서브 소음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파 발생부는 상기 관통홀의 상류 측에 설치되는 제1 서브 음파 발생부와, 상기 관통홀의 하류 측에 설치되는 제2 서브 음파 발생부를 포함하는, 개인용 공부방.
The method of claim 2,
Based on the direction of the noise,
The noise detection unit includes a first sub noise detection unit installed at an upstream side of the through hole, and a second sub noise detection unit installed at a downstream side of the through hole,
The sound wave generator comprises a first sub sound wave generator installed on an upstream side of the through hole, and a second sub sound wave generator installed on a downstream side of the through hol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의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서브 소음 감지부, 상기 제1 서브 음파 발생부, 상기 관통홀, 상기 제2 서브 소음 감지부 및 상기 제2 서브 음파 발생부가 차례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공부방.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sub-noise detection unit, the first sub-sound wave generation unit, the through hole, the second sub-noise detection unit, and the second sub-sound wave generation unit are sequentially disposed along the direction of the noise. To do, private study room.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소음 감지부는 외부에서 상기 관통홀로 유입되는 외부 소음을 집음하고,
상기 제1 서브 음파 발생부는 상기 제1 서브 소음 감지부에서 집음되는 상기 외부 소음에 대해 역위상을 갖는 제1 음파를 발생시키며,
상기 제2 서브 소음 감지부는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부스의 상기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외부 소음과 상기 제1 음파 및 상기 부스의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생성되는 내부 소음을 집음하고,
상기 제2 서브 음파 발생부는 상기 제2 서브 소음 감지부에서 집음되는 상기 외부 소음과 상기 제1 음파 및 상기 내부 소음이 혼합된 혼합 소음에 대해 역위상을 갖는 제2 음파를 발생시키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서브 소음 감지부에서 집음되는 상기 외부 소음을 전기적으로 변환한 외부 소음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외부 소음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외부 소음에 대해 역위상을 갖는 상기 제1 음파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음파를 전기적으로 변환한 제1 음파 신호를 상기 제1 서브 음파 발생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서브 소음 감지부에서 집음되는 상기 혼합 소음을 전기적으로 변환한 혼합 소음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혼합 소음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혼합 소음에 대해 역위상을 갖는 상기 제2 음파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음파를 전기적으로 변환한 제2 음파 신호를 상기 제2 서브 음파 발생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공부방.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sub-noise detection unit collects external noise introduced into the through hole from the outside,
The first sub sound wave generator generates a first sound wave having an inverse phase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noise collected by the first sub noise detection unit,
The second sub-noise detection unit collects the external noise and the first sound wave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booth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internal noise gener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ooth,
The second sub sound wave generator generates a second sound wave having an inverse phase with respect to the mixed noise of the external noise collected by the second sub noise detection unit and the first sound wave and the internal noise,
The control unit,
Receives an external noise signal obtained by electrically converting the external noise collected by the first sub-noise detection unit, analyzes the external noise signal, and generates the first sound wave having an inverse phase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noise. 1 transmits a first sound wave signal obtained by electrically converting the sound wave to the first sub sound wave generator,
A mixed noise signal obtained by electrically converting the mixed noise collected by the second sub-noise detection unit is received, the mixed noise signal is analyzed to generate the second sound wave having an inverse phase to the mixed noise 2 A personal study room, characterized in that transmitting a second sound wave signal obtained by electrically converting the sound wave to the second sub sound wave generator.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 음파 발생부는 복수개가 상기 부스의 내측에 설치되되, 상기 사용자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짝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공부방.
The method of claim 5,
A plurality of second sub sound wave generators are installed inside the booth, and an even number is provided so as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around the user.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부스의 일면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음파 발생부는 상기 관통홀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복수개가 구비되어 각각의 상기 관통홀에 하나의 상기 음파 발생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공부방.
The method of claim 2,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along one surface of the booth,
A plurality of sound wave generators ar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hrough holes, and one of the sound wave generators is installed in each of the through hol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는 상기 부스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관통홀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 위치와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커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공부방.
The method of claim 1,
The booth is hinged to the booth and further comprises a cover movable between a first position communicating the through hole with the outside and a second position closing the through hol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부스의 상기 내부 공간에 앉은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높이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공부방.
The method of claim 1,
The through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so as to be adjacent to the height at which the user's head is located while the user sits in the inner space of the booth.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부스의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사용자의 발이 닿는 면으로부터 1 내지 1.5 미터의 높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공부방.
The method of claim 11,
The through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t a height of 1 to 1.5 meters from the surface of the user's foot in the inner space of the booth, personal study room.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의 내측 표면에는 상기 소음을 흡수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방음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공부방.
The method of claim 1,
A personal study room, characterized in that a sound insulation material for absorbing or blocking the noise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oth.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재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부스의 상기 내부 공간에 앉은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높이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공부방.
The method of claim 13,
The soundproofing material is formed so as to be adjacent to a height at which the user's head is located while the user sits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booth.
KR1020190040216A 2019-04-05 2019-04-05 Private study room KR2020011770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216A KR20200117705A (en) 2019-04-05 2019-04-05 Private study ro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216A KR20200117705A (en) 2019-04-05 2019-04-05 Private study roo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705A true KR20200117705A (en) 2020-10-14

Family

ID=72847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216A KR20200117705A (en) 2019-04-05 2019-04-05 Private study roo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770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99003A1 (en) * 2021-06-10 2022-12-15 Katsunori SUETSUGU Sound insulation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99003A1 (en) * 2021-06-10 2022-12-15 Katsunori SUETSUGU Sound insulation apparatus
US11776523B2 (en) * 2021-06-10 2023-10-03 Katsunori SUETSUGU Sound insulation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3017A (en) Noise suppression system
JP5118205B2 (en) Vehicle audio system with components mounted on the door
US2011018866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overhearing of private conversations in public places
EP0722526A1 (en) Acoustical virtual environment
KR20200117705A (en) Private study room
KR200463932Y1 (en) A personal studying room
JPH06214575A (en) Sound absorption device
Lim et al. Potential-based methodology for active sound control in three dimensional settings
KR20210093083A (en) Flat Speaker For Using Exciter
WO1993011529A1 (en) Active noise control of an enclosure with multiple transducers
US20210254330A1 (en) Acoustic Isolation Booth
WO2013129903A2 (en) System for suppression of sound and remote controlled generation thereof
JP2022095115A (en) Keyboard device and method for emitting musical sound
Ganguly et al. Real-time remote cancellation of multi-tones in an extended acoustic cavity using directional ultrasonic loudspeaker
WO2015107605A1 (en) Active sound wave control system
JP2006138078A (en) Partition wall and music room
JPH0630488A (en) Acoustic panel
JPH0934472A (en) Silencing device
Torres-Guijarro et al. Sound Field Characterization and Absorption Measurement of Wideband Absorbers
US20140254833A1 (en) Portable isolation cabinet
Montazeri et al. Modal analysis for global control of broadband noise in a rectangular enclosure
JPH10177391A (en) Three-dimensional space active noise control device
CN215595725U (en) Cabinet door for silent box of diesel generator set and silent box
JP7258220B2 (en) Elevator sound system
CN115315401B (en) Sound system for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