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6881A - Flexible bus bar - Google Patents

Flexible bus b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6881A
KR20200116881A KR1020200126073A KR20200126073A KR20200116881A KR 20200116881 A KR20200116881 A KR 20200116881A KR 1020200126073 A KR1020200126073 A KR 1020200126073A KR 20200126073 A KR20200126073 A KR 20200126073A KR 20200116881 A KR20200116881 A KR 20200116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conductor portion
bus bar
flexible bu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60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38106B1 (en
Inventor
신일곤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이브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이브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이브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6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106B1/en
Publication of KR20200116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8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1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5Heat-activa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bus bar, which is convenient to be used in a complex and narrow space where cable connection is not suitable, easily secures sufficient allowable currents, and furthermore, secures fire resistance. The flexible bus bar includes a conductor portion, a terminal portion, and a fireproof tape.

Description

플렉서블 버스바{FLEXIBLE BUS BAR}Flexible bus bar {FLEXIBLE BUS BAR}

본 발명은 플렉서블 버스바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케이블 연결이 적합하지 않은 복잡하고 협소한 공간에서 사용이 편리하며, 충분한 허용 전류 확보가 용이하고, 나아가 내화(耐火)성이 확보된 플렉서블 버스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busbar. In more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bus bar that is convenient to use in a complex and narrow space where cable connection is not suitable, it is easy to secure a sufficient allowable current, and further, has fire resistance.

전기자동차 등의 전장공간은 구조가 복잡하고 협소하다. 전기자동차는 전기에너지를 사용하므로,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케이블은 일반 자동차에 사용되는 케이블에 비해 큰 통전 능력이 요구된다.The structure of the electric vehicle, etc., is complex and narrow. Since electric vehicles use electric energy, cables used in electric vehicles require greater energization capability than cables used in general vehicles.

충분한 통전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케이블의 직경을 증대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케이블의 두께가 증가되는 경우 전기자동차 전장공간(예컨대, 배터리 팩(Battery Pack)) 내의 협소하고 복잡한 공간 내에서 필요한 굴곡성 또는 배치 공간을 확보하기 어렵다.There is a method of increasing the diameter of the cable in order to secure sufficient energization capacity, but when the thickness of the cable is increased, the required flexibility or arrangement space within a narrow and complex space in the electric vehicle electric space (e.g., battery pack) Difficult to secure.

도 7은 종래의 일반적인 차량 내부의 전자 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원형 케이블을 도시한다. 7 shows a conventional circular cable for connecting an electronic device inside a vehicle.

도 7(a)와 같이, 케이블의 길이가 어느 정도 확보되는 경우에는 케이블을 변형시켜 절곡부(C)를 형성하는 것이 어렵지 않지만,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절곡부(C)를 형성하는 것이 쉽지 않다.As shown in Fig. 7(a), when the length of the cable is secured to some extent, it is not difficult to form the bent part (C) by deforming the cable, but when the length of the cable is short as shown in Fig. 7(b) It is not easy to form the bent portion (C).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소선으로 구성된 케이블은 케이블 자체가 전기자동차를 구성하는 전자 기기에 접속될 수 없으므로 별도의 체결부 역할을 수행하는 접속단자(2)와 압착 등의 방법으로 접합되고, 접속단자(2)가 양 전자 기기의 단자부에 체결되어 양 전자 기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And, as shown in Fig. 7, a cable composed of a plurality of wires cannot be connected to an electronic device constituting an electric vehicle, so a method such as crimping with a connection terminal 2 serving as a separate fastening part. And the connection terminals 2 are fastened to the terminal portions of both electronic devices, so that both electronic devic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케이블의 두께 문제를 논외로 하여도 일반적인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 양단에 유닛측 접속을 위한 접속단자를 구비해야 하며, 별도의 접속단자는 케이블 연결을 위한 압착지그를 필요로 하고, 접속단자 개발을 위한 별도의 프레스 금형 등의 제조설비를 요하므로 비용이 증가될 수 있다.Even if the problem of the thickness of the cable is not discussed, in the case of using a general cable, connection terminals for unit side connection must be provided at both ends, and separate connection terminals require a crimp jig for cable connection, and development of connection terminals is required. The cost may increase because a separate manufacturing facility such as a press mold is required.

또한, 전기자동차의 전장공간 내에서 전기적 연결을 요하는 구성요소 사이의 길이는 통상적인 케이블의 양산 적합 길이보다 작으므로, 별도의 케이블을 설계 및 제작하는 것은 비용의 증가를 유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ength between components requiring electrical connection in the electric vehicle's electrical space is smaller than the length suitable for mass production of a conventional cable, designing and manufacturing a separate cable may induce an increase in cost.

나아가, 이러한 케이블은 화재 발생시 화염에 노출되어도 도체 등이 화염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일정한 내화성 확보도 요구된다.Furthermore, such cables are also required to secure a certain fire resistance so that conductors, etc., are not directly exposed to the flame even when exposed to flames during a fire.

본 발명은 케이블 연결이 적합하지 않은 복잡하고 협소한 공간에서 사용이 편리하며, 충분한 허용 전류 확보가 용이하고, 나아가 내화(耐火)성이 확보된 플렉서블 버스바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exible bus bar that is convenient to use in a complex and narrow space where cable connection is not suitable, it is easy to secure a sufficient allowable current, and further has fire resistanc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판형 도체가 적층되어 구성되는 도체부, 상기 도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양단부에 각각 용접되어 형성되는 단자부 및 상기 도체부의 미리 결정된 구간에서 적어도 2겹의 겹침을 가지도록 상기 도체부에 권취되는 내화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ductor portion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plate-shaped conductors, a terminal portion formed by welding each of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ductor portion, and at least two layers of overlap in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conductor por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lexible bus ba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ire-resistant tape wound on the conductor to have.

여기서, 상기 내화 테이프는 상기 도체부의 미리 결정된 구간에서 2겹 또는 3겹의 겹침을 가지도록 상기 도체부에 권취된다. 한편, 상기 내화 테이프는 유리사 직물층의 상부에 마이카층이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fireproof tape is wound on the conductor portion so as to have two or three overlapping layers in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conductor portion. On the other hand, the fireproof tape may be configured by bonding a mica layer on top of the glass yarn fabric layer by an adhesive.

또한, 상기 내화 테이프를 감싸는 튜브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a tube member surrounding the fireproof tape may be further provided.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판형 도체가 적층되어 구성되는 도체부, 상기 도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양단부에 각각 용접되어 형성되는 단자부 및 미리 결정된 크기의 폭을 가지며, 상기 도체부의 미리 결정된 구간에서 상기 폭의 1/2 이상이 겹치도록 상기 도체부에 권취되는 내화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에 의해 달성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ductor portion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plate-shaped conductors, a terminal portion formed by welding each of both ends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onductor portion, and a width of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conductor portion It is achieved by a flexible busba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eproof tape wound on the conductor portion so as to overlap at least 1/2 of the width in a predetermined section.

여기서, 상기 내화 테이프는 상기 도체부의 미리 결정된 구간에서 상기 폭의 1/2 이상 및 2/3 이하가 겹치도록 상기 도체부에 권취된다.Here, the fireproof tape is wound on the conductor portion so that 1/2 or more and 2/3 or less of the width overlap in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conductor portion.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판형 도체가 적층되어 구성되는 도체부, 상기 도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양단부에 각각 용접되어 형성되는 단자부 및 상기 도체부의 미리 결정된 구간에서 상기 도체부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65도 내지 8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도체부에 권취되는 내화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에 의해 달성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ductor portion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plate-shaped conductors, a terminal portion formed by welding to both ends of the conductor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ength of the conductor portion in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conductor portion. It is achieved by a flexible busba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eproof tape wound on the conductor portion so as to achieve an angle of 65 degrees to 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여기서, 상기 내화 테이프는 상기 도체부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65도 내지 75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도체부에 권취될 수 있다.Here, the fireproof tape may be wound on the conductor to form an angle of 65 to 7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onductor.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판형 도체가 적층되어 구성되는 도체부, 상기 도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양단부에 각각 용접되어 형성되는 단자부 및 미리 결정된 크기의 폭을 가지며, 상기 도체부의 미리 결정된 구간에서 적어도 2겹의 겹침을 가지고, 상기 폭의 1/2 이상이 겹치며, 상기 도체부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65도 내지 8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도체부에 권취되는 내화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에 의해 달성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ductor portion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plate-shaped conductors, a terminal portion formed by welding each of both ends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onductor portion, and a width of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conductor portion It includes a fireproof tape wound on the conductor so as to have at least two overlaps in a predetermined section, overlap at least 1/2 of the width, and form an angle of 65 degrees to 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onductor part. This is achieved by a flexible busbar.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에 의하면, 케이블 연결이 적합하지 않은 복잡하고 협소한 공간에서 전자기기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lexible bus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used to connect electronic devices in a complex and narrow space where cable connection is not suita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에 의하면, 플렉서블 버스바의 양단 용접 부위가 허용 전류를 만족한다면,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접합되지 않은 중간 부위는 전류 표면효과 등에 의하여 전류량 확보가 용이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lexible b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welding portions at both ends of the flexible bus bar satisfy the allowable current, it is easy to secure the amount of current in an intermediate portion not joined by a method such as welding due to a current surface effec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에 의하면, 도체의 미리 결정된 영역을 감싸는 내화 테이프를 구비하며 비상 시에 외부 화염으로부터 내부의 도체를 보호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flexible bus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eproof tape surrounding a predetermined area of the conductor may be provided, and the inner conductor may be protected from external flames in an emergenc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에 의하면, 접속 거리가 짧아 통상의 케이블을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나 다양한 용량 또는 규격의 케이블을 필요로 하는 경우 최소 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flexible b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ifficult to use a conventional cable due to a short connection distance, or when a cable of various capacities or standards is required, it can be implemented at a minimum cos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내화 테이프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내화 테이프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의 평면도,
도 5는 일 실시예에서 도 4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다른 실시예에서 도 4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전기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케이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exible b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eproof tape is removed from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reproof tape;
4 is a plan view of a flexible b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V-V' of FIG. 4 in an embodiment;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V-V' of FIG. 4 in another embodiment;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ble used in a conventional electric vehicl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content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ame reference numb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enote the sam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1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내화 테이프(200)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lexible bus ba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eproof tape 200 is removed from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100)는 복수 개의 판형 도체(10)가 적층되어 제조된다. 상기 플렉서블 버스바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판재 형태의 도체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는 얇고 긴 판형 도체(10)를 복수 개를 적층시켜 하나의 플렉서블 버스바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판형 도체(10)의 개수는 증감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flexible bus ba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plate-shaped conductors 10. The flexible busbar is generally composed of a single plate-shaped conductor. However, in the flexible bus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hin and long plate-shaped conductors 10 are stacked to form one flexible busbar. The number of plate-shaped conductors 10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한편, 금속 도체에 교류 전류를 통전하는 경우, 표면 효과(Skin effect) 등에 따라 주파수가 높을수록 표면 전류가 증가하게 되므로 금속 도체의 표면적이 클수록 최대 허용 전류도 함께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일 도체로 버스바를 구성하는 경우보다 복수 개의 판형 도체(10)를 사용하여 플렉서블 버스바를 구성하는 경우, 판형 도체의 개수에 따라 표면적이 증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허용 가능한 통전 전류가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n alternating current is applied to a metal conductor, the surface current increases as the frequency increases according to the skin effect, and thus the maximum allowable current may also increase as the surface area of the metal conductor increases. Therefore, when configuring a flexible busbar using a plurality of plate-shaped conductors 10, rather than configuring a busbar with a single conductor, an effect of increasing the surface area according to the number of plate-shaped conductors can be obtained, so that the allowable conduction current increases. You can get the effect.

또한, 복수 개의 판형 도체를 적층하여 플렉서블 버스바를 구성하는 경우, 적층되는 각각의 판형 도체의 두께 또는 폭을 변화시키면 다양한 용량 또는 규격의 버스바를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a flexible busbar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plate-shaped conductors, there is an advantage that busbars of various capacities or specifications can be manufactured by changing the thickness or width of each of the plate-shaped conductors to be stacked.

한편, 적층된 판형 도체(10)는 그 길이방향 양단이 각각 제1 단자부(130) 및 제2 단자부(150)로 사용되고 양 단자부(130, 150) 사이에 도체부(110)로 구획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laminated plate-shaped conductor 10, it is described th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used as the first terminal portion 130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50, respectively, and divided into a conductor portion 110 between the terminal portions 130 and 150 Can be.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100)는 복수 개의 판형 도체(10)로 구성되지만 커넥터 역할을 수행하는 양단은 용접으로 일체화하여 단자부(130, 150) 형성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100)를 구성하는 적층된 판형 도체(100)의 제1 단자부(130) 형성을 위하여 적층된 판형 도체(100)의 일단을 용접할 수 있다.The flexible bus ba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late-shaped conductors 10, but both ends serving as a connector are integrated by welding to form the terminal portions 130 and 150. Accordingly, one end of the laminated plate-shaped conductor 100 may be welded to form the first terminal portion 130 of the laminated plate-shaped conductor 100 constituting the flexible bus ba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100)는 복수 개의 판형 도체(10)의 양단이 각각 용접되어 제1 단자부(130) 및 제2 단자부(150)를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양 단자부 사이의 도체부(110) 영역은 접합되지 않은 상태로 피복되며, 절곡 여부와 무관하게 그 내부에 어느 정도의 유격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유격은 도체부를 따라 흐르는 전류에 의한 발열 시 냉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절곡된 부분(절곡부 등)에서는 복수 개의 판형 도체(10) 사이의 유격이 더 확보될 수 있으므로 발열 문제 해결에 더 효과적이다.In the flexible bus ba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plate-shaped conductors 10 are welded to each other to constitute the first terminal portion 130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50. Accordingly, the region of the conductor portion 110 between the two terminal portions is covered without being bonded, and a certain amount of clearance may exist therein regardless of whether it is bent or not. This clearance can help to cool when heat is generated by the current flowing along the conductor. In particular, in the bent portion (bending portion, etc.), a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plate-shaped conductors 10 can be further secured, so it is more effective in solving the heating problem.

결국,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100)는 용접된 단자부가 허용전류를 만족하게 된다면 용접되지 않은 도체부는 표면적 증대 및 냉각을 위한 유격을 구비하는 것이 되어 단일 도체로 구성된 버스바에 비해 피복된 도체부 영역에서의 과열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As a result, in the flexible bus ba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welded terminal portion satisfies the allowable current, the non-welded conductor portion has a clearance for increasing the surface area and cooling, so that the coated conductor compared to the bus bar composed of a single conductor. It can effectively solve the overheating problem in the sub area.

즉, 플렉서블 버스바(100)의 양 단자부(130, 150)만 용접되고 양 단자부를 연결하는 도체부(110)는 용접 등으로 접합되지 않고 피복되는 영역이므로, 양 단자부(130, 150)를 통해 공급되는 전류가 양 단자부(130, 150)의 허용전류의 크기 이하의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는 양 단자부(130, 150)를 연결하며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는 도체부(110)는 내부에 유격도 존재하고 표면적도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허용 전류가 단자부에 비해 커서 발열에 의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That is, since only both terminal portions 130 and 150 of the flexible bus bar 100 are welded, and the conductor portion 110 connecting both terminals is covered without being joined by welding, etc., through both terminal portions 130 and 150 When the supplied current flows less than the size of the allowable current of both terminal portions 130 and 150, both terminal portions 130 and 150 are connected, and the conductor portion 110 made of the same material has a gap therein. Since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urface area can be obtained, the allowable current is larger than that of the terminal portion, so that the problem due to heat generation can be effectively reduced.

제1 단자부(130) 형성을 위한 용접이 수행된 후 제1 단자부(130)의 체결 편의성 향상을 위하여 체결공(130h)을 형성할 수 있다.After welding to form the first terminal part 130 is performed, a fastening hole 130h may be formed to improve the fastening convenience of the first terminal part 130.

한편, 상기 제1 단자부(130)에 체결공(130h)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1 단자부(130) 또는 타공부위의 표면을 매끄럽게 연마(硏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fter forming the fastening hole 130h in the first terminal portion 130, the surface of the first terminal portion 130 or the perforated portion may be smoothly polished (硏磨).

여기서, 연마(硏磨)란 단지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일련의 과정 이외에도 모따기, 길이 절단 등의 개념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연마단계가 완료된 도 1의 제1 단자부는 표면이 매끄러워지고, 모서리의 라운드 처리가 완료되어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하고 주변 부품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He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polishing includes all concepts such as chamfering, length cutting, etc. in addition to a series of processes that merely smooth the surface. Accordingly, the surface of the first terminal portion of FIG. 1 on which the polishing step is completed is smooth, and round processing of the corners is completed, thereby preventing injury to an operator and minimizing friction with surrounding parts.

한편, 플렉서블 버스바의 적층된 판형 도체의 제1 단자부(130) 및 제2 단자부(150)는 용접, 타공 및 연마되어 커넥터 또는 접속수단으로서 사용될 것이므로 피복되지 않지만, 제1 단자부(130) 및 제2 단자부(150)를 연결하는 용접되지 않은 도체부(110)는 절연 및 화재시 화염으로부터 내부의 도체부(110)를 보호하기 위하여 피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렉서블 버스바는 차량 등에서 협소한 공간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화재 시에 외부 화염으로부터 내부의 도체를 보호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내화성(耐火性)을 가지는 재질로 피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100)는 이를 위하여 상기 도체부(110)를 감싸도록, 또는 상기 도체부(110)의 미리 결정된 영역을 감싸는 내화 테이프(200)를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terminal portion 130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50 of the laminated plate-shaped conductor of the flexible busbar are welded, perforated, and polished to be used as connectors or connecting means, so they are not covered, but the first terminal portion 130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50 2 It is preferable that the non-welded conductor portion 110 connecting the terminal portion 150 is insulated and coated to protect the inner conductor portion 110 from flames in case of fire. The flexible busbar may be used in a narrow space in a vehicle or the like, and it is necessary to protect the inner conductor from external flames in case of a fir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be coated with a material having fire resistance. For this purpose, the flexible bus ba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eproof tape 200 to surround the conductor portion 110 or to surround a predetermined area of the conductor portion 11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화 테이프(200)는 플렉서블 버스바(200)의 도체부(110)를 감싸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체부(110)의 미리 결정된 영역을 감싸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도체부(110)의 전영역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fireproof tape 200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conductor portion 110 of the flexible bus bar 200, and configured to surround a predetermined area of the conductor portion 110, or It may be configured to cover the entire area of the conductor part 110.

상기 내화 테이프(200)는 내화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위 '마이카 테이프(mica tape)'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e resistant tape 20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fire resistance, for example, may be made of a so-called'mica tape'.

마이카란 운모(雲母) 재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규산염광물의 일종으로 불에 강한 내화성을 가진다.Mica is a material of mica and is a kind of silicate mineral and has strong fire resistance against fire.

도 3은 마이카 테이프로 구성된 내화 테이프(2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reproof tape 200 made of mica tape.

도 3을 참조하면, 내화 테이프(200)는 마이카 분말의 응집에 의해 형성된 마이카층(210), 마이카층(21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층으로서 유리섬유의 직조물에 의해 형성된 유리사 직물층(220)을 구비한다. 나아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내화 테이프(200)에 내수성을 부여하고 절연 특성 및 강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금속수산화물 코팅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3, the fireproof tape 200 is a mica layer 210 formed by agglomeration of mica powder, a reinforcing layer for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mica layer 210, and a glass yarn fabric layer formed by a weave of glass fibers ( 220). Further,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metal hydroxide coating layer for imparting water resistance to the fireproof tape 200 and further improving insulation properties and strength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내화 테이프(200)의 외형을 보면, 예를 들어 두께가 대략 0.15±0.03 밀리미터(mm), 그 폭이 대략 55±0.5 밀리미터(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내화 테이프(200)의 각종 물성치를 살펴보면, 단위면적당 질량은 대략 260±25 g/㎡, 유연성(flexibility)은 대략 80 N/m 이하, 인장 강도(tensile strength)는 대략 120 N/cm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내화 테이프(200)의 절연파괴전압(B.D.V)은 대략 2.5 KV 이상이며, 상기 마이카층(210)을 구성하는 마이카량(mica weight)은 대략 60 %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외부 화염 등이 작용하는 경우에 가열감량(heating loss)은 대략 8.0 % 이하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Looking at the outer shape of the fireproof tape 200, for example, the thickness may be approximately 0.15±0.03 millimeters (mm), and the width may be approximately 55±0.5 millimeters (mm). In addition, looking at various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reproof tape 200, the mass per unit area is approximately 260±25 g/m2, the flexibility is approximately 80 N/m or less, and the tensile strength is approximately 120 N/cm. It can be made more than one. Meanwhile, the insulation breakdown voltage (B.D.V) of the fireproof tape 200 may be approximately 2.5 KV or higher, and the mica weight constituting the mica layer 210 may be approximately 60% or higher. Further, when an external flame or the like acts, the heating loss may be configured to be approximately 8.0% or less.

여기서, 상기 마이카층(210)을 구성하는 마이카 분말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연질 마이카 분말, 경질 마이카 분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내열온도가 900~1,000℃인 연질 마이카 분말의 응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카층(210)은 단위면적당 마이카 분말의 중량을 의미하는 마이카 중량 밀도가 140 내지 170 g/㎡일 수 있다.Here, the mica powder constituting the mica layer 2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a soft mica powder, a hard mica powder, or a mixture thereof, preferably agglomeration of the soft mica powder having a heat resistance temperature of 900 to 1,000°C Can be formed by Preferably, the mica layer 210 may have a mica weight density of 140 to 170 g/m 2, which means the weight of mica powder per unit area.

상기 마이카 중량 밀도가 140 g/㎡ 미만인 경우 내화특성이 불충분하여 IEC 60331-21 (750℃, 90분)의 내화시험은 통과할 수 있지만 화염 온도 830~950℃의 IEC 60331-1,2, BS 6387, BS 8491 등의 내화시험은 통과할 수 없다. 한편, 상기 마이카 중량 밀도가 170 g/㎡ 초과인 경우 상기 마이카층(210)을 구성하는 마이카 분말 간 접착력이 상대적으로 저하되고 도체 위 상기 마이카 테이프의 테이핑 작업 시 크랙 및 부서짐이 발생할 수 있다.If the mica weight density is less than 140 g/㎡, the fire resistance is insufficient, and the fire resistance test of IEC 60331-21 (750℃, 90 minutes) can pass, but IEC 60331-1,2, BS with flame temperature of 830~950℃ Fire resistance tests such as 6387 and BS 8491 cannot be pass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mica weight density is more than 170 g/m2, the adhesion between the mica powders constituting the mica layer 210 is relatively lowered, and cracks and breakages may occur during the taping operation of the mica tape on the conductor.

또한, 상기 마이카층(210)과 상기 유리사 직물층(220)은 접착제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실리콘계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제일 수 있으며, 이러한 접착제는 접착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벤질알코올, 에탄, 헥사 클로로, 7,9-디-3급-부틸-1-옥사스피로(4,5)데카-6,9-디엔-28-돈(7,9-Di-tert-butyl-1-oxaspiro(4,5)deca-6,9-diene-28-done) 등의 첨가제가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내화 테이프(200)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량(resin content)는 대략 13±3 %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mica layer 210 and the glass yarn fabric layer 220 may be adhered by an adhesive. The adhesiv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an adhesive including a silicone resin, and such an adhesive is benzyl alcohol, ethane, hexachloro, 7,9-di-tert-butyl- 1-oxaspiro(4,5)deca-6,9-diene-28-done(7,9-Di-tert-butyl-1-oxaspiro(4,5)deca-6,9-diene-28-done ) And the like may be added. In the fireproof tape 200, the adhesive amount (resin content) may be made of approximately 13 ± 3%.

상기 유리사 직물층(220)은 상기 마이카층(210)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층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두께가 80~120 마이크로미터(㎛)인 유리사가 가로 간격 200~500 마이크로미터(㎛), 세로 간격 100~300 마이크로미터(㎛)로 직조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The glass yarn fabric layer 220 functions as a reinforcing layer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mica layer 210, and the glass yarn having a thickness of 80 to 120 micrometers (㎛) is 200 to 500 micrometers (㎛) horizontally , It may be formed by weaving with a vertical spacing of 100 to 300 micrometers (㎛).

상기 유리사 직물층(220)은 단위면적당 유리사의 중량을 의미하는 유리사 중량 밀도가 20~26 g/㎡이고, 마이카층(210)의 전체 면적에서 유리사 직물층(220)이 차지하는 면적(s)의 백분율로서 유리사 직조 밀도가 35~50% 일 수 있다.The glass yarn fabric layer 220 has a glass yarn weight density of 20 to 26 g/m2, which means the weight of glass yarn per unit area, and the area occupied by the glass yarn fabric layer 220 in the total area of the mica layer 210 ( As a percentage of s), the glass yarn weaving density may be 35-50%.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100)의 평면도이다.Meanwhile, FIG. 4 is a plan view of the flexible bus ba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버스바(100)의 도체부(110)의 미리 결정된 영역을 따라 내화 테이프(200)가 권취된다.Referring to FIG. 4, the fireproof tape 200 is wound along a predetermined area of the conductor portion 110 of the flexible bus bar 100.

이 때, 상기 내화 테이프(200)를 권취하는 경우에 상기 도체부(110)의 길이방향과 이루는 각도(θ), 상기 내화 테이프(200)의 겹침 상태 및/또는 겹침양에 따라 상기 도체부(110)에 대한 내화성의 정도가 달라진다.At this time, when the fireproof tape 200 is wound, the conductor part (?) according to the angle θ formed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ductor part 110, the overlapping state and/or the amount of overlapping of the fireproof tape 200 110), the degree of fire resistance varies.

예를 들어, 상기 내화 테이프(200)의 겹침 상태를 볼 때, 상기 내화 테이프(200)가 겹치지 않게 권취되는 경우, 1 겹으로 상기 도체부(110)를 감싸는 경우에는 상기 내화 테이프(200)에 의한 내화성이 매우 떨어질 수 있다. 반대로, 4겹 이상으로 상기 내화 테이프(200)에 의해 상기 도체부(110)를 감싸는 경우에는 내화성을 높일 수 있지만, 플렉서블 버스바(100)의 무게가 필요 이상으로 증가하게 되며, 나아가 제품 단가의 상승 요인이 된다.For example, when looking at the overlapping state of the fireproof tape 200, when the fireproof tape 200 is wound without overlapping, when wrapping the conductor part 110 with one layer, the fireproof tape 200 The fire resistance by this can be very poor. Conversely, when the conductor part 110 is wrapped by the fire-resistant tape 200 in four or more layers, fire resistance can be increased, but the weight of the flexible bus bar 100 increases more than necessary, and furthermore, the unit cost of the product is increased. It becomes a rising factor.

따라서, 상기 내화 테이프(200)를 권취하는 경우에 상기 도체부(110)의 미리 결정된 구간에서 적어도 2겹의 겹침을 가지도록 상기 도체부(110)에 상기 내화 테이프(200)를 권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내화 테이프(200)는 상기 도체부(110)의 미리 결정된 구간에서 2겹 또는 3겹의 겹침을 가지도록 상기 도체부(110)에 권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when winding the fireproof tape 200, the fireproof tape 200 may be wound around the conductor part 110 so as to have at least two overlapping layers in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conductor part 110, and In detail,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eproof tape 200 is wound around the conductor portion 110 so as to have two or three overlapping layers in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conductor portion 110.

이 경우, 상기 내화 테이프(200)를 권취하는 권취각도의 측면에서 상기 도체부(110)의 미리 결정된 구간에서 상기 도체부(110)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65도 내지 80도의 각도(θ)가 되도록 권취될 수 있다. In this case, in the side of the winding angle at which the fireproof tape 200 is wound, the angle θ of 65 degrees to 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ductor portion 110 in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conductor portion 110 Can be wound up.

예를 들어, 상기 도체부(110)의 미리 결정된 영역의 전영역에서 상기 내화 테이프(200)가 2겹의 겹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도체부(110)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65도 내지 75의 각도(θ)를 이루면서 권취된다. 나아가, 상기 각도가 75도 내지 80도를 이루는 경우에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3겹의 겹침 상태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도체부(110)의 미리 결정된 영역의 모두에서 상기 내화 테이프(200)가 3겹의 겹침 상태를 이루도록 권취될 수 있지만, 상기 플렉서블 버스바(100)의 무체 및 제품 단가를 고려하여 겹침 상태는 적어도 2겹을 이루도록 구비되되, 3겹의 겹침을 이루는 영역은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For example, in order to maintain a two-ply overlapping state of the fireproof tape 200 in the entire area of the predetermined area of the conductor portion 110, the length of 65 degrees to 7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onductor portion 110 It is wound while forming an angle (θ). Further, when the angle is 75 degrees to 80 degrees, a three-layer overlapping state may occur in at least some areas. Although the fire-resistant tape 200 may be wound up to achieve a three-ply overlapping state in all of the predetermined areas of the conductor part 110, the overlapping state is in consideration of the non-body and product cost of the flexible bus bar 100 Doedoe provided to form at least two plies, the area forming the overlap of three plies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한편, 도 5는 상기 내화 테이프(200)가 2겹의 겹침을 이루면서 상기 도체부(110)에 권취되는 경우에 도 4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다.Meanwhile,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V-V' of FIG. 4 when the fireproof tape 200 is wound around the conductor 110 while forming two layers of overlapping.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내화 테이프(200)가 미리 결정된 크기의 폭을 가지며 2겹 이상의 겹침을 이루는 경우에 상기 도체부(110)의 미리 결정된 구간에서 상기 내화 테이프(200)는 상기 폭의 1/2 이상이 겹치도록 상기 도체부(110)에 권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화 테이프(200)가 2겹 내지는 3겹의 겹침을 이루는 경우에 상기 도체부(110)의 미리 결정된 구간에서 상기 내화 테이프(200)는 상기 폭의 1/2 이상 및 2/3 이하가 겹치도록 상기 도체부(110)에 권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when the fireproof tape 200 has a width of a predetermined size and forms two or more overlapping layers, the fireproof tape 200 is 1 of the width in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conductor part 110. It may be wound around the conductor part 110 so that /2 or more overlap. Specifically, in the case where the fireproof tape 200 forms two or three layers of overlap, the fireproof tape 200 in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conductor part 110 is at least 1/2 and 2/3 of the width It may be wound around the conductor part 110 so that the following overlap.

즉, 도 5와 같이 2겹의 겹침을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내화 테이프(200)의 폭의 1/2이 겹치도록 권취된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상기 내화 테이프(200)가 미리 결정된 폭(W)을 가지고 상기 도체부(110)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상기 내화 테이프(200)를 권취한다고 할 때, 권취방향을 따라 상기 폭의 상반부 영역(W1)에서 일부 내화 테이프(200A)는 이웃한 내화 테이프(200C)와 겹침 상태를 이루어 상기 상반부 영역(W1)에서 2겹의 겹침 상태를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폭의 하반부 영역(W2)에서 일부 내화 테이프(200A)는 이웃한 내화 테이프(200B)와 겹침 상태를 이루어 상기 하반부 영역(W2)에서 2겹의 겹침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반부 영역(W1) 및 하반부 영역(W2)의 폭은 상기 내화 테이프(200)의 폭(W)의 1/2에 해당한다. That is, in the case of forming a two-ply overlap as shown in FIG. 5, it is wound so that 1/2 of the width of the fireproof tape 200 overlaps. For example, in FIG. 5, when the fireproof tape 200 has a predetermined width W and winds the fireproof tape 200 from left to right of the conductor part 110, the fireproof tape 200 is wound along the winding direction. In the upper half area W1 of the width, some of the fireproof tapes 200A overlap with the neighboring fireproof tapes 200C to form a two-ply overlapping state in the upper half area W1. Likewise, in the lower half region W2 of the width, some of the fireproof tapes 200A overlap with the neighboring fireproof tape 200B to form a two-ply overlapping state in the lower half region W2. Here, the widths of the upper half region W1 and the lower half region W2 correspond to 1/2 of the width W of the fireproof tape 200.

한편, 도 6은 상기 내화 테이프(200)가 3겹의 겹침을 이루면서 상기 도체부(110)에 권취되는 경우에 도 4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다.Meanwhile,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V-V' of FIG. 4 when the fireproof tape 200 is wound around the conductor part 110 while forming three layers of overlapping.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내화 테이프(200)의 폭의 2/3가 겹치도록 권취된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상기 내화 테이프(200)가 미리 결정된 폭(W)을 가지고 상기 도체부(110)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상기 내화 테이프(200)를 권취한다고 할 때, 권취방향을 따라 상기 폭의 상반부 영역(W3)에서 일부 내화 테이프(200D)는 이웃한 내화 테이프(200E) 및 다른 영역의 내화 테이프(200G)와 겹침 상태를 이루어 상기 상반부 영역(W3)에서 3겹의 겹침 상태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폭의 중간 영역(W4)에서 일부 내화 테이프(200D)는 이웃한 내화 테이프(200F) 및 내화 테이프(200E)와 겹침 상태를 이루어 상기 중간 영역(W4)에서 3겹의 겹침 상태를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폭의 하반부 영역(W5)에서 일부 내화 테이프(200D)는 이웃한 내화 테이프(200F) 및 다른 영역의 내화 테이프(200H)와 겹침 상태를 이루어 상기 하반부 영역(W5)에서 3겹의 겹침 상태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상반부 영역(W3), 중간 영역(W4) 및 하반부 영역(W5)의 폭은 상기 내화 테이프(200)의 폭(W)의 1/3에 해당한다. Referring to FIG. 6, 2/3 of the width of the fireproof tape 200 is wound so as to overlap. For example, in FIG. 6, when the fireproof tape 200 has a predetermined width W and winds the fireproof tape 200 from left to right of the conductor part 110, the fireproof tape 200 is wound along the winding direction. In the upper half area (W3) of the width, some fireproof tapes (200D) overlap with the adjacent fireproof tape (200E) and the fireproof tape (200G) in another area to form a three-ply overlapping state in the upper half area (W3). do. In addition, in the middle area W4 of the width, some of the fireproof tapes 200D overlap with the adjacent fireproof tape 200F and the fireproof tape 200E to form a three-ply overlapping state in the middle area W4. do. Likewise, in the lower half area W5 of the width, some of the fireproof tapes 200D overlap with the adjacent fireproof tape 200F and the fireproof tape 200H in another area, and overlap three layers in the lower half area W5. Form a state Here, the widths of the upper half region W3, the middle region W4, and the lower half region W5 correspond to 1/3 of the width W of the fireproof tape 200.

결국, 일부 내화 테이프(200D)는 상기 상반부 영역(W3) 및 중간 영역(W4)에서 이웃한 내화 테이프(200E)와 그 폭의 2/3이 겹치도록 권취된다. 또한, 일부 내화 테이프(200D)는 상기 중간 영역(W4) 및 하반부 영역(W5)에서 이웃한 내화 테이프(200F)와 그 폭의 2/3이 겹치도록 권취된다. 따라서, 상기 내화 테이프(200)가 3겹의 겹침을 이루는 경우에 상기 내화 테이프(200)의 폭의 2/3가 겹치도록 권취된다. As a result, some of the fireproof tapes 200D are wound so that the adjacent fireproof tapes 200E in the upper half region W3 and the middle region W4 overlap with 2/3 of the width thereof. In addition, some of the fireproof tapes 200D are wound so that the adjacent fireproof tapes 200F and 2/3 of the width thereof overlap in the intermediate area W4 and the lower half area W5. Therefore, when the fire-resistant tape 200 forms a three-ply overlap, it is wound so that 2/3 of the width of the fire-resistant tape 200 overlaps.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플렉서블 버스바(100)의 외부에 상기 내화 테이프(200)를 감싸는 튜브 부재(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tube member (not shown) surrounding the fireproof tape 200 may be further provided outside the flexible bus bar 100.

상기 튜브 부재는 양 단자부(130, 150) 중 어느 하나의 단자부를 용접하기 전에 용접되지 않은 단자부 방향에서 끼워져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ube member is fitted and mounted in the direction of an unwelded terminal portion before welding any one of the terminal portions 130 and 150.

상기 피복용 튜브부재는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elastomer)일 수 있다. 열가소성 탄성체는 고온에서 유연하게 되는 플라스틱과 마찬가지로 성형할 수 있고, 상온에서는 고무탄성체(elastomer)의 성질을 내는 고분자 재료이다. The covering tube member may be a thermoplastic elastomer. Thermoplastic elastomers are polymeric materials that can be molded like plastics that become flexible at high temperatures and exhibit the properties of rubber elastomers at room temperature.

열가소성 탄성체(TPE)는 보통의 열가소성 플라스틱 가공에 사용되는 여러 방법을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고 가공 중에 생기는 찌꺼기를 다시 쓸 수 있어 경제성이 우수하며, 가소제의 사용도 필요 없다는 특징을 갖는다. Thermoplastic elastomers (TPE) have the characteristics that they can use various methods used in general thermoplastic plastic processing as they are, and are excellent in economics because they can re-use waste generated during processing, and there is no need for use of plasticizers.

또한 열경화성(Thermoset) 고무에 비하여 비중이 낮으며, 품질관리가 용이하고, 사출성형(중공성형) 등의 생산성이 높은 가공기기 사용이 가능하여 딱딱한 부분과 부드러운 부분의 부분적인 변화를 통해 제품생산의 다양화가 가능해서 부품설계가 용이하다. 열가소성 탄성체는 사용 조건하에서 고무 탄성을 나타내며, 성형조건하에서는 열가소성 플라스틱과 같이 성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compared to thermoset rubber, the specific gravity is low, quality control is easy, and high-productivity processing equipment such as injection molding (blow molding) can be used, so the product production can be improved through partial changes in the hard and soft parts. It is possible to diversify, so it is easy to design parts. Thermoplastic elastomers have the advantage that they exhibit rubber elasticity under conditions of use and can be molded like thermoplastics under molding conditions.

또한, 상기 튜브 부재는 열가소성 탄성체 이외의 연성 플라스틱 재질로도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ube member may be made of a soft plastic material other than a thermoplastic elastomer.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described below. You will be able to do it. Therefore, if the modified implementation basically includes the elem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should be considered to b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플렉서블 버스바
10 : 적층된 판형 도체
110 : 도체부
130, 150 : 단자부
200 : 내화 테이프
100: flexible bus bar
10: laminated plate conductor
110: conductor part
130, 150: terminal part
200: fireproof tape

Claims (12)

복수 개의 판형 도체가 적층된 도체부;
상기 도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양단부에 각각 용접되어 형성되는 단자부; 및
상기 도체부의 미리 결정된 구간에서 적어도 2겹의 겹침을 가지도록 상기 도체부에 권취되는 내화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A conductor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plate-shaped conductors are stacked;
A terminal portion formed by welding at both ends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onductor portion; And
And a fire-resistant tape wound on the conductor portion so as to have at least two overlapping layers in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conductor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 테이프는 상기 도체부의 미리 결정된 구간에서 2겹 또는 3겹의 겹침을 가지도록 상기 도체부에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eproof tape is a flexible bus bar, characterized in that the winding of the conductor portion so as to have two or three layers of overlap in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conductor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 테이프는 유리사 직물층의 상부에 마이카층이 접착제의 의해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eproof tape is a flexible busbar, characterized in that the mica layer is adhered to the top of the glass yarn fabric layer by an adhesiv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 테이프를 감싸는 튜브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The method of claim 2,
A flexible bus bar, further comprising a tube member surrounding the fireproof tape.
복수 개의 판형 도체가 적층된 도체부;
상기 도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양단부에 각각 용접되어 형성되는 단자부; 및
미리 결정된 크기의 폭을 가지며, 상기 도체부의 미리 결정된 구간에서 상기 폭의 1/2 이상 및 2/3 이하가 겹치도록 상기 도체부에 권취되는 내화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A conductor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plate-shaped conductors are stacked;
A terminal portion formed by welding at both ends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onductor portion; And
A flexible busbar comprising: a fireproof tape having a width of a predetermined size and wound on the conductor portion so that 1/2 or more and 2/3 or less of the width overlap in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conductor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복수 개의 판형 도체가 관통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The method of claim 5,
The flexible bus bar, characterized in that the terminal portion is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plate-shaped conductors pas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부는 적어도 1회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The method of claim 6,
The flexible bus ba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ductor portion is bent at least on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 테이프를 감싸는 튜브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The method of claim 6,
A flexible bus bar, further comprising a tube member surrounding the fireproof tape.
복수 개의 적층된 판형 도체;
상기 판형 도체의 길이방향으로 양단에 구비되는 단자부; 및
상기 판형 도체의 미리 결정된 구간에서 상기 도체부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65도 내지 8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판형 도체에 권취되는 내화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A plurality of laminated plate conductors;
Terminal portions provid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shaped conductor; And
And a fireproof tape wound around the plate-shaped conductor so as to form an angle of 65 degrees to 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onductor portion in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plate-shaped conducto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 테이프는 상기 도체부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65도 내지 75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도체부에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e-resistant tape is a flexible bus bar, characterized in that wound on the conductor portion to form an angle of 65 to 7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onductor por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용접되며, 복수 개의 상기 판형 도체를 함께 관통하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The method of claim 10,
The flexible bus bar, characterized in that the terminal portion is welded, and a fastening hole penetrating the plurality of plate-shaped conductors is formed together.
복수 개의 판형 도체가 적층되어 구성되는 도체부;
상기 도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양단부에 각각 용접되어 형성되는 단자부; 및
미리 결정된 크기의 폭을 가지며, 상기 도체부의 미리 결정된 구간에서 적어도 2겹의 겹침을 가지고, 상기 폭의 1/2 이상이 겹치며, 상기 도체부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65도 내지 8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도체부에 권취되는 내화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A conductor portion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plate-shaped conductors;
A terminal portion formed by welding at both ends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onductor portion; And
The conductor has a width of a predetermined size, has at least two overlaps in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conductor part, overlaps more than 1/2 of the width, and forms an angle of 65 degrees to 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onductor part. A flexible bus bar comprising: a fireproof tape wound around the portion.
KR1020200126073A 2020-09-28 2020-09-28 Flexible bus bar KR1022381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073A KR102238106B1 (en) 2020-09-28 2020-09-28 Flexible bus b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073A KR102238106B1 (en) 2020-09-28 2020-09-28 Flexible bus ba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6053A Division KR20160049260A (en) 2014-10-27 2014-10-27 Flexible bus b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881A true KR20200116881A (en) 2020-10-13
KR102238106B1 KR102238106B1 (en) 2021-04-07

Family

ID=72884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073A KR102238106B1 (en) 2020-09-28 2020-09-28 Flexible bus b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10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91597B2 (en) * 2021-02-05 2023-10-17 Aptiv Technologies (2) S.À R.L. Flexible electrical bus ba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2646A (en) * 1994-04-01 1995-10-27 Yazaki Corp Fireproof electric wire
KR20010008075A (en) * 2000-11-07 2001-02-05 박철순 Method of making terminals for a laminated flexible connector
KR20100054626A (en) * 2008-11-14 2010-05-25 박병주 Plate-shaped conductive bod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2646A (en) * 1994-04-01 1995-10-27 Yazaki Corp Fireproof electric wire
KR20010008075A (en) * 2000-11-07 2001-02-05 박철순 Method of making terminals for a laminated flexible connector
KR20100054626A (en) * 2008-11-14 2010-05-25 박병주 Plate-shaped conductive bod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91597B2 (en) * 2021-02-05 2023-10-17 Aptiv Technologies (2) S.À R.L. Flexible electrical bus ba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106B1 (en) 202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98471B2 (en) How to manufacture wire harnesses and wire harnesses
US5300733A (en) Water impervious rubber or plastic insulated power cable
US3723797A (en) Insulated coil for arrangement in a slot in the stator or rotor of an electrical machine
JP6585034B2 (en) Edge insulation structure for electrical cables
CN104183311B (en) Have inside the electric automobile of super soft aluminium conductor and connect cable and manufacture method with high pressure
EP0688461A1 (en) Multi-component cable assembly
US9928943B1 (en) Communication cables incorporating separator structures
CN104167254A (en) Double-sheath high voltage connecting cable used in electric vehicle and provided with ultra-soft aluminum condu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ouble-sheath high voltage connecting cable
KR20160049260A (en) Flexible bus bar
TWI731316B (en) Connection conductor for connecting different conductors and connection structure of power cables
JP2014204485A (en) Wiring harness
KR101915637B1 (en) Insulated cable having thermal curing improvement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38106B1 (en) Flexible bus bar
US6825419B2 (en) Electric cable for connection of mobile electric consumers
KR20200116880A (en) Flexible bus bar
WO2018235788A1 (en) Wiring harness and method for producing wiring harness
JP2023178314A (en) Wiring member
US10137847B2 (en) Exterior wiring harness
JP4374229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flat shielded cable
CN105845220A (en) New energy resource vehicular high voltage cable
CN218783645U (en) Novel insulation structure
WO2020026762A1 (en) Splice section anchoring structure
CN112543981A (en) Wiring member
JP2001510014A (en) Mounting equipment for rotating electrical equipment
WO2014129011A1 (en) Wire harne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