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6433A - 블록 체인 기반의 송수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 체인 기반의 송수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6433A
KR20200116433A KR1020200069708A KR20200069708A KR20200116433A KR 20200116433 A KR20200116433 A KR 20200116433A KR 1020200069708 A KR1020200069708 A KR 1020200069708A KR 20200069708 A KR20200069708 A KR 20200069708A KR 20200116433 A KR20200116433 A KR 20200116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address
metadata
account
remit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7815B1 (ko
Inventor
김재영
Original Assignee
김재영
스피너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영, 스피너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재영
Priority to KR1020200069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815B1/ko
Publication of KR20200116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8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주소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주소 생성부 및 상기 주소와 매핑되는 메타데이터(metadata)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메타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송수금자 어카운트를 실행하는 송수금자 노드, 및 송수금자 어카운트의 주소에 메타데이터를 매핑하도록 구성된 주소 매핑 처리부를 포함하는 검증 노드를 포함하고, 송수금자 어카운트는 전자 지갑 또는 스마트 계약 중 어느 하나인 것인, 키워드 검색을 이용한 블록 체인 기반의 송수금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 체인 기반의 송수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BLOCKCHAIN-BASED REMITTANCE AND COLLECTION METHOD AND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블록 체인 기반의 송수금 플랫폼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키워드 검색을 통해 전자 지갑 주소 또는 스마트 계약 주소를 용이하게 찾고, 사용자 편의성, 신뢰성, 보안성을 모두 갖는 블록 체인 기반의 송수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비트코인은 블록체인이라는 기술을 새로운 암호화폐를 통해 중앙서버의 관리에서 벗어난 분산원장의 피어투피어(Peer to Peer) 시스템을 도입한 블록체인 1세대의 기술이라면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분산 컴퓨팅 플랫폼을 제공하는 이더리움(Ethereum)은 블록체인 기술의 2세대이다. 이더리움이 제공하는 이더(Ether)는 비트코인과 마찬가지로 사이버 공간에서 암호화폐의 일종으로 거래되고 있으며 가장 대표적인 알트코인이며 블록체인의 플랫폼이다.
블록체인 플랫폼은 시스템에 참여한 구성원들(노드)이 각자의 컴퓨터에 데이터를 분산해서 저장함으로써 데이터의 위, 변조가 사실상 불가능해지고(신뢰성), 구성원들이 각자 분산된 정보를 보유할 수 있으며(투명성), 별도로 중앙서버의 관리자도 필요 없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블록체인 기술과 연계된 암호화폐를 보관, 송/수신 및 거래하기 위한 사용자의 정보와 암호키 등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를 구현한 것이 블록 체인 기반의 전자 지갑이다.
이와 같은 블록 체인 기반의 전자 지갑은 공개키 암호 시스템에서의 공개키(public key)를 이용하여 은행 통장의 계좌 번호처럼 사용하고, 이에 상응하는 개인키(private key)를 그 계좌의 비밀번호처럼 사용한다.
이때, 공개키와 개인키의 복잡한 해시함수 암호를 그대로 적용하여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주소와 같은 공개키는 상대방이 쉽게 검색 또는 인식할 수 없어 일반인들의 거래 접근성이 매우 낮고, 난독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키워드 검색 기능을 통해 전자 지갑 주소 또는 스마트 계약 주소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고, 검색 기능 제공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신뢰성, 보안성 문제를 해결가능한 블록 체인 기반의 송수금 플랫폼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44528호 (출원일자: 2018.01.17)
본 발명은 키워드 검색을 통해 전자 지갑 주소 또는 스마트 계약 주소를 용이하게 찾고, 사용자 편의성, 신뢰성, 보안성을 모두 갖는 블록 체인 기반의 송수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키워드 검색 기능을 통해 전자 지갑 주소 또는 스마트 계약 주소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고, 검색 데이터베이스(DB)의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는 블록체인 지갑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 송수금 플랫폼에 있어서, 수금자, 송금자 간의 정보 비대칭 및 정보 격차를 해소하여 관련 네트워크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예컨대 음악 창작자나 관련 이해 관계인들과 다국적 팬들 사이, 또는 다국적 팬들 간의 송수금 네트워크를 활성할 수 있는, 키워드 검색을 이용한 블록 체인 기반의 송수금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하면, 주소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주소 생성부 및 상기 주소와 매핑되는 메타데이터(metadata)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메타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송수금자 어카운트를 실행하는 송수금자 노드, 및 송수금자 어카운트의 주소에 메타데이터를 매핑하도록 구성된 주소 매핑 처리부를 포함하는 검증 노드를 포함하고, 송수금자 어카운트는 전자 지갑 또는 스마트 계약 중 어느 하나인 것인, 키워드 검색을 이용한 블록 체인 기반의 송수금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증 노드는, 상기 송수금자 어카운트의 주소에 상기 메타데이터를 매핑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증하도록 구성된 검증 처리부; 및 키워드 검색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송수금자 어카운트의 주소를 검색가능하도록 처리하는 키워드 검색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송수금자 어카운트와 연관되어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해시태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증 처리부는 검증(proof)을 통해 공인(official) 노드의 어카운트 주소에 메타데이터를 매핑가능하며, 상기 공인 노드의 검증은 계층(hierarchy) 구조에 기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증 처리부는 비공인(nonofficial) 노드와 상기 공인 노드 사이의 과거 거래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비공인 노드의 어카운트 주소에 상기 공인 노드의 메타데이터와 연관된 정보를 매핑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증 노드는 송수금자 주소의 키워드 검색 시에 상기 공인 노드의 메타데이터와 연관된 정보와 비공인 노드의 메타데이터와 연관된 정보가 서로 상이하게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메타 데이터 표시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수금자 어카운트와 연관되어 지정된 대신 송금자 어카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수금자 어카운트의 대신 송금 진행 요청 시에 상기 대신 송금자 어카운트에서 송금액의 적어도 일부가 송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수금자 어카운트의 사용자에 장착된 이어폰에서 귀 내부를 통해 수신된 소리 인식을 통하여 상기 송수금자 어카운트의 암호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키워드 검색을 통해 전자 지갑 주소 또는 스마트 계약 주소를 용이하게 찾고, 사용자 편의성, 신뢰성, 보안성을 모두 갖는 블록 체인 기반의 송수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키워드 검색 기능을 통해 전자 지갑 주소 또는 스마트 계약 주소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고, 검색 데이터베이스(DB)의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는 블록체인 지갑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 송수금 플랫폼에 있어서, 수금자, 송금자 간의 정보 비대칭 및 정보 격차를 해소하여 관련 네트워크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컨대 음악 창작자나 관련 이해 관계인들과 다국적 팬들 사이, 또는 다국적 팬들 간의 송수금 네트워크를 활성할 수 있는, 키워드 검색을 이용한 블록 체인 기반의 송수금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블록 체인 기반의 송수금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키워드 검색을 이용한 블록 체인 기반의 송수금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인(official) 노드를 검증하고 공인 메타데이터를 부여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공인(nonofficial) 노드를 검증하고 비공인 메타데이터를 부여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검색을 이용한 블록 체인 기반의 송수금이 수행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와 같은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구성부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되는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기술되고,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 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예 및 분리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블록 체인 기반의 송수금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송금자 어카운트(account)(110), 대신 송금자 어카운트(120) 및 수금자 어카운트(130)에서 어카운트(account)는 모든 거래 또는 트랜잭션(transaction)의 실행 주체이자 기본 단위를 의미하며, 전자 지갑 또는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거래 역할에 따라 송금의 주체인 송금자 어카운트(110), 대신 송금의 주체인 대신 송금자 어카운트(120) 및 수금의 주체인 수금자 어카운트(130)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 거래에 따라 그 역할은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어카운트를 설치하고 실행하는 각각의 노드는 네트워크(140)를 통해 블록 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동작되는 P2P(Peer to Peer) 구조의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104)는 예컨대, 인터넷, 하나 이상의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 셀룰러 네트워크, 모바일 네트워크, 저전력 광대역 네트워크(LPWAN, Low Power Wide Area Network) 등의 다양한 방식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등일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송금자 어카운트(account)(110), 대신 송금자 어카운트(120) 및 수금자 어카운트(130)는 각각 스마트 계약(contract)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계약은 블록 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계약 조건을 설정하고, 해당 조건에 부합하면 계약 내용이 이행되는 디지털 계약을 의미하며, 일종의 자동화 계약 시스템이다. 암호 화폐에는 제휴 업체 또는 관련 업체와 계약한 다양한 혜택 또는 계약 조건이 스마트 계약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전자 지갑에서 새로운 계약 조건을 암호 화폐에 적용하여 상대방에게 지급할 수도 있다.
예컨대 콘텐츠, 음악 앨범, 콘서트 등과 관련된 스마트 계약에 따라 거래가 진행될 때, 암호 화폐가 계약과 관련된 작곡가, 작사가, 세션, 가수들에게 미리 정해진 규칙에 의해 중간 개입자 없이 자동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각 스마트 계약 사이에도 정해진 예약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송수금이 처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체인 기반의 송수금 시스템은 송금자 어카운트(110)과 연관되어 지정된 대신 송금자 어카운트(120)를 포함하고, 송금자 어카운트(110)의 대신 송금 요청 시에 대신 송금자 어카운트(120)에서 송금액의 적어도 일부가 송금처리 될 수 있다. 또한, 송금자 어카운트(110)에 의해 대신 송금 요청 시에, 대신 송금자 어카운트(120)는 대신 송금의 수락, 거부 또는 송금액 변경 등 재요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내용이 송금자 어카운트(110)에 전달될 수 있다.
예컨대, 이더리움에서 사용하는 암호화폐인 이더(Ehter)를 통해 거래할 때, 수금자 어카운트(130)에 10이더를 송금해야 하는 경우, 송금자 어카운트(110)에서 송금 가능한 금액인 3이더만을 송금하고, 부족한 금액인 7이더를 지정된 대신 송금자 어카운트(120)를 통해 송금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대신 송금자 어카운트(120)는 둘 이상의 복수의 전자 지갑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블록체인 기반 송수금 플랫폼에 있어서, 키워드 검색을 통해 전자 지갑 주소 또는 스마트 계약 주소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면, 수금자, 송금자 간의 정보 비대칭 및 정보 격차를 해소하여 관련 네트워크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키워드 검색을 이용한 블록 체인 기반의 송수금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에는 설명의 간편화를 위해 검증 노드(100), 송수금자 노드(200) 및 송수금자 어카운트(210)가 하나만 도시되었지만, 송수금자 어카운트(210)는 복수의 송수금자 노드 각각에 존재하여 복수 개로 구성되며, 검증 노드(100) 또한 둘 이상의 노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송수금자 노드(200)는 송수금자 어카운트(210)를 실행시키는 주체로서,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이동 통신 장치, 컴퓨터 서버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 또는 처리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검증 노드(100)는 키워드 검색이 가능한 블록체인 네트워크(blockchain network)를 구성하는 복수의 송수금자 어카운트(200)를 관리 및 검증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송수금자 어카운트(210)는 도 1에서와 같이 송금 또는 수금 관련 주체에 따라 송금자 어카운트(100), 대신 송금자 어카운트 (120) 또는 수금자 어카운트(130)일 수 있으며, 각 송수금 거래 유형에 따라 역할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송수금자 어카운트(210)는 스마트 계약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송수금자 어카운트(210)는 개인키(private key)를 생성 및 발급하기 위한 개인키 생성부(201), 개인키를 통해 생성된 공개키(public key)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공개키 생성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개인키와 공개키의 쌍이 송수금자 어카운트(21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송수금자 어카운트(210)가 스마트 계약 형태인 경우에는 개인키 생성부(201)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송수금자 어카운트(210)는 공개키를 해싱(hashing)하거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각 어카운트 고유의 주소(address)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주소 생성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이더리움 플랫폼에서 전자 지갑 또는 스마트 계약의 주소는 20바이트의 고정 배열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송수금자 어카운트(210)는 자신의 주소와 매핑(mapping) 또는 대응되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메타데이터 생성부(20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주소와 매핑되어 생성된 메타데이터는 인덱스(index)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송수금자 어카운트(210) 주소의 키워드 검색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예컨대, 메타데이터는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검증(proof)을 통해 공인(official) 노드 또는 비공인(nonofficial) 노드를 구별하여 부여되는 속성 정보이거나, 송수금자 어카운트(210)에 의해 자유롭게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해시태그(hashtag) 정보이거나, 비공인 노드에서 선택된 공인 노드의 속성 정보와 관련된 해시태그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해시태그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나 마이크로 블로그에서 특정한 주제나 내용을 담은 내용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편리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메타데이터의 한 형태로서, 일반적으로 # 기호와 특정 단어를 붙여서 표현한다. 공인 노드 및 비공인 노드의 검증 구조 및 메타데이터 표시 방법에 대해서는 이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한편, 검증 노드(100)는 블록 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 중에서 승인된 특정 노드만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노드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든 노드가 검증에 참여할 필요가 없어 관리 및 검증 처리의 속도가 빠르다.
여기서, 검증 노드(100)는 송수금자 어카운트(210)의 주소에 메타데이터를 매핑하도록 구성된 주소 매핑 처리부(101) 및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전자 지갑의 주소를 검색가능하도록 처리하는 키워드 검색 처리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검증 노드(100)는 송수금자 어카운트(210)의 주소에 메타데이터를 매핑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증하도록 구성된 검증 처리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검증 방식은 예컨대 PoW(Proof of Work, 작업 증명), PoS(Proof of Stake, 지분 증명) 또는 PoC(Proof of Concept, 개념 증명) 등과 같이 종래의 알려진 다양한 검증 방식을 사용 가능하다. 이와 같은 검증 절차를 거친 후에 송수금자 어카운트(210)의 주소에 메타데이터를 매핑하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 검색 정보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검증 노드(100)는 송수금자 어카운트(210)의 주소의 키워드 검색 시에 공인 노드의 메타데이터와 연관된 정보와 비공인 노드의 메타데이터와 연관된 정보가 서로 상이하게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메타 데이터 표시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주소-메타데이터 매핑 처리 및 메타데이터의 상이한 표시 처리에 따라, 송수금자 어카운트(210)의 주소에 매핑되는 메타데이터는 키워드 검색을 가능하게 해줌으로써 주소를 빨리 찾기 위한 목적뿐만 아니라, 검증에 의해서 지정된 공인 노드와 일반 비공인 노드를 구분하여 표현하는 목적을 달성함으로써, 사용자 검색의 편의성과 신뢰성을 모두 유지할 수 있는, 키워드 검색을 이용한 블록 체인 기반의 송수금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인(official) 노드를 검증하고 공인 메타데이터를 부여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공인 노드란 블록 체인 시스템으로부터 공식적으로 인정 또는 검증받은 노드를 의미한다. 예컨대 도 3에서와 같이 음악 창작자와 팬들 사이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검색의 신뢰성이 특히 요구되는 엔터테인먼트 기획사, 소속 팀 또는 그룹, 소속 가수, 공인 팬클럽 등의 경우 진정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공인 노드로 지정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인 노드의 검증은 계층(hierarchy) 구조에 기초하여 진행될 수 있으며, 예컨대 연예 기획사인 빅히트 엔터테인먼트의 노드(310)에서 소속 가수인 방탄소년단(BTS)의 노드(320)로, 방탄소년단(BTS)의 노드(320)에서 소속 가수들 노드(330) 또는 공인 팬클럽의 아미(ARMY) 노드(340)로 검증이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공인 노드의 전자 지갑 주소에 매핑되는 메타데이터 정보도 계층 구조에 따라서 (기획사) - (소속 그룹) - (소속 가수, 공인 팬클럽)과 같은 트리(tree) 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검증 노드(100)의 검증 처리부(103)에서 검증을 통해 공인 노드로 인정한 경우 주소 매핑 처리부(101)를 통해 해당 공인 노드의 전자 지갑 주소에 공인 명칭 정보와 관련된 공인 메타데이터를 매핑가능하며, 이와 같은 공인 노드 관련 메타데이터 정보는 해당 노드에서 자유롭게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블록체인 시스템 상에서 합의에 의해 정해지는 것이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공인 노드의 전자 지갑 주소에 대응하는 명칭 또는 식별 정보는 비공인 노드와 구분하여 공인 노드임을 나타내기 위해 명칭 앞에 별표(star)와 같은 미리 약속된 마크를 함께 표시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분 표시는 사용자의 키워드 검색 시에 진정성 및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공인(nonofficial) 노드를 검증하고 비공인 메타데이터를 부여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공인 노드인 방탄소년단(BTS)의 노드(320) 및 아미(ARMY)의 노드(340)와 공인 노드가 아닌 비공인 노드들, 예컨대 팬들의 노드(410, 420, 430)의 사이의 검증, 또는 비공인 노드들 사이의 검증 예컨대 팬 1의 노드(410)와 팬 4의 노드(411) 사이의 검증 구조가 개시되며, 예컨대 3개의 티어(tier)의 계층적 구조로 표시하였다.
티어 1(Tier 1)에는 공인 팬클럽 또는 그룹과 연관된 공인 노드(320, 340)가 위치하고, 티어 2(Tier 2)에는 복수의 팬들로 구성된 비공인 노드(410, 420, 430)이 위치할 수 있다. 이때, 검증 노드(100)의 검증 처리부(103)는 비공인 노드(410, 420, 430)와 공인 노드(320, 340) 사이의 과거 거래 또는 활동 여부에 기초하여 비공인 노드(410, 420, 430)의 전자 지갑의 주소에 공인 노드(320, 340)의 메타데이터와 연관된 정보를 매핑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팬 1의 노드(410)는 이전에 아미(ARMY)의 노드(340)와 송수금 등의 거래 활동을 수행한 바 있는 경우, 팬 1의 노드(410)의 전자 지갑의 메타데이터로서 “#아미(ARMY)”와 같은 해시태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팬 2의 노드(420)의 경우 이전에 아미(ARMY)의 노드(340)와 송수금 등의 거래 활동을 수행한 바 없는 경우, 팬 2의 노드(420)의 전자 지갑의 메타데이터로서 임의로 지정한 자신을 식별할 수 있는 해시태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공인 노드인 아미(ARMY)의 노드(340)의 메타데이터와 동일한 “#아미(ARMY)”를 해시태그로 사용할 수 없게 할 수 있다.
또한, 팬 3의 노드(430)의 경우 아미(ARMY)의 노드(340)와 방탄소년단(BTS)의 노드(320) 모두와 거래 활동을 수행한 바 있어, “#아미(ARMY) #방탄소년단(BTS)”와 같이 2개의 공인 노드의 메타데이터와 동일한 이름의 해시태그를 메타데이터로 매핑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각 노드에 복수의 해시태그 또는 속성 정보를 매핑하여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티어 3(Tier 3)에 위치한 팬 4의 노드(411)의 경우 공인 노드인 아미(ARMY)의 노드(340)와 방탄소년단(BTS)의 노드(320) 모두와 거래 활동을 수행한 바 없으나, 티어 2의 팬 1의 노드(410)와 거래 활동을 수행한 바 있는 경우 팬 1의 노드(410)의 전자 지갑의 메타데이터인 “#아미(ARMY)”와 동일한 메타데이터를 사용가능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공인 노드와 직접적인 거래 활동이 없는 비공인 노드의 경우에도, 공인 노드와 거래 활동이 있는 비공인 노드와의 거래 활동 여부에 따라서 공인 노드의 메타데이터와 연관된 정보를 메타데이터로서 사용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지갑의 주소를 메타데이터에 매핑하여 키워드 검색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음악 창작자와 팬들 사이에 또는 다국적 팬들 사이에 블록 체인을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가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인 노드(320, 340)의 메타데이터와 연관된 정보를 표시하는 방식은 명칭 앞에 별표(star)를 표시하고, 비공인 노드(410, 411, 420, 430)의 메타데이터와 연관된 정보를 표시하는 방식은 명칭 앞에 #(해시태그) 등 서로 상이한 마크를 표시함으로써, 공인 노드의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검색을 이용한 블록 체인 기반의 송수금이 수행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안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개인키 생성 과정에서 이어폰 귀 내부소리 인식을 통해 전자 지갑의 암호를 설정할 수 있다.(S510) 사용자가 음성 신호를 외부의 마이크를 통해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이어폰 또는 이어셋에 내장된 마이크를 통해 얼굴 안쪽을 통해 귀 내부로 전달되는 음성 신호를 인식함으로써 사용자 고유의 생체 인식을 통한 암호 설정 및 입력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이어폰 또는 이어셋을 착용하고 있는 경우 보다 직관적이고 자연스럽게 전자 지갑의 로그인 인증이 가능하고, 외부로 전달되는 음성 신호를 인식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해킹이 힘들다는 점에서 보안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송수금자 어카운트(210)에서 개인키를 생성하고(S520), 개인키에 기초하여 공개키를 생성하고, 전자 지갑의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S530) 전자 지갑의 주소는 공개키를 해싱하여 생성되거나, 다른 방법을 통해 공개키를 이용하지 않고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개인키와 공개키의 쌍이 전자 지갑에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자 지갑의 주소와 매핑되는 매타데이터가 생성 및 처리될 수 있다.(S540) 송수금자 어카운트(210)는 전술한 공인 노드의 검증 또는 비공인 노드의 검증 절차를 통해 자신의 주소와 매핑 또는 대응되는 메타데이터를 생성가능하며, 생성된 메타데이터는 인덱스(index)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전자 지갑 주소의 키워드 검색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이에 따라 전자 지갑의 주소에 매핑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이 제공됨으로써(S550), 사용자는 복잡한 전자 지갑의 주소로 인한 난독성 문제를 해결하고, 웹 키워드 검색과 마찬가지로 편리하게 전자 지갑의 주소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키워드 검색 결과 공인 노드의 메타데이터 관련 정보와 비공인 노드의 메타데이터 관련 정보는 서로 상이하게 구분될 수 있도록 표시함으로써, 검색 주체인 사용자는 검색 결과에서 공인 노드를 신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키워드 검색을 통해 검색된 전자 지갑 주소를 이용하여 송수금 수행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S560)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체인 기반의 송수금 방법 및 시스템을 구체적인 다양한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10: 송금자 어카운트
120: 대신 송금자 어카운트
130: 수금자 어카운트
140: 네트워크
100: 검증 노드
101: 주소 매핑 처리부
102: 키워드 검색 처리부
103: 검증 처리부
104: 메타 데이터 표시 처리부
200: 송수금자 노드
210: 송수금자 어카운트
201: 개인키 생성부
202: 공개키 생성부
203: 주소 생성부
204: 메타데이터 생성부

Claims (7)

  1. 키워드 검색을 이용한 블록 체인 기반의 송수금 시스템에 있어서,
    주소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주소 생성부 및 상기 주소와 매핑되는 메타데이터(metadata)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메타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송수금자 어카운트를 실행하는 송수금자 노드; 및
    상기 송수금자 어카운트의 주소에 메타데이터를 매핑하도록 구성된 주소 매핑 처리부를 포함하는 검증 노드
    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금자 어카운트는 전자 지갑 또는 스마트 계약 중 어느 하나인 것이며,
    상기 검증 노드는,
    상기 송수금자 어카운트의 주소에 상기 메타데이터를 매핑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증하도록 구성된 검증 처리부; 및
    키워드 검색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송수금자 어카운트의 주소를 검색가능하도록 처리하는 키워드 검색 처리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증 처리부의 검증은 계층(hierarchy) 구조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것인, 블록 체인 기반의 송수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 처리부는 상기 검증 노드의 검증을 통해 검증된 공인(official) 노드와 비공인(nonofficial) 노드 사이의 과거 거래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비공인 노드의 어카운트 주소에 상기 공인 노드의 메타데이터와 연관된 정보를 매핑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인, 블록 체인 기반의 송수금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송수금자 어카운트와 연관되어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해시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블록 체인 기반의 송수금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인 노드와 과거 거래를 수행한 비공인 노드의 메타데이터는 상기 공인 노드와 동일한 해시태그 정보를 포함가능한 것인, 블록 체인 기반의 송수금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 노드는 송수금자 주소의 키워드 검색 시에 상기 공인 노드의 메타데이터와 연관된 정보와 상기 비공인 노드의 메타데이터와 연관된 정보가 서로 상이하게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메타 데이터 표시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블록 체인 기반의 송수금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금자 어카운트와 연관되어 지정된 대신 송금자 어카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수금자 어카운트의 대신 송금 진행 요청 시에 상기 대신 송금자 어카운트에서 송금액의 적어도 일부가 송금되는 것인, 블록 체인 기반의 송수금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금자 어카운트의 사용자에 장착된 이어폰에서 귀 내부를 통해 수신된 소리 인식을 통하여 상기 송수금자 어카운트의 암호를 설정하는 것인, 블록 체인 기반의 송수금 시스템.
KR1020200069708A 2020-06-09 2020-06-09 블록 체인 기반의 송수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2167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708A KR102167815B1 (ko) 2020-06-09 2020-06-09 블록 체인 기반의 송수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708A KR102167815B1 (ko) 2020-06-09 2020-06-09 블록 체인 기반의 송수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918A Division KR102123183B1 (ko) 2019-04-01 2019-04-01 키워드 검색을 이용한 블록 체인 기반의 송수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433A true KR20200116433A (ko) 2020-10-12
KR102167815B1 KR102167815B1 (ko) 2020-10-20

Family

ID=72886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708A KR102167815B1 (ko) 2020-06-09 2020-06-09 블록 체인 기반의 송수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78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812B1 (ko) * 2020-11-12 2021-06-28 (주)아이디엔디 블록체인 기반 도면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9314A (ko) * 2002-05-13 2002-05-25 임영희 구매자 중심의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28740A (ko) * 2013-04-29 2014-11-06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보안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기기 및 모바일 기기의 보안 강화 방법
KR20150098054A (ko) * 2014-02-19 2015-08-27 (주) 엠앤씨플러스 스마트 주소 생성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20170052161A (ko) * 2015-11-04 2017-05-12 김재영 메신저 서버를 이용한 송수금 방법
KR101944528B1 (ko) 2018-01-17 2019-02-01 (주)네오프레임 가상통화 지갑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9314A (ko) * 2002-05-13 2002-05-25 임영희 구매자 중심의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28740A (ko) * 2013-04-29 2014-11-06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보안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기기 및 모바일 기기의 보안 강화 방법
KR20150098054A (ko) * 2014-02-19 2015-08-27 (주) 엠앤씨플러스 스마트 주소 생성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20170052161A (ko) * 2015-11-04 2017-05-12 김재영 메신저 서버를 이용한 송수금 방법
KR101944528B1 (ko) 2018-01-17 2019-02-01 (주)네오프레임 가상통화 지갑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812B1 (ko) * 2020-11-12 2021-06-28 (주)아이디엔디 블록체인 기반 도면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7815B1 (ko) 2020-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67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payments in fiat currency using blockchain and tethered tokens
US10204339B2 (en) Method and system for blockchain-based combined identity, ownership, integrity and custody management
KR20200073283A (ko) 블록체인 기반 음악 독창성 분석 방법 및 장치
CN108023893A (zh) 一种区块链数据认证系统的方法
CN108876593A (zh) 一种在线交易方法和装置
CN113302610B (zh) 基于区块链的可信平台
Bhuiyan et al. BONIK: A blockchain empowered chatbot for financial transactions
CN109559164A (zh) 优惠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CN108737435A (zh) 一种账户初始化方法和装置
Zhao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digital education transaction subject two-factor identity authentication system based on blockchain
WO2022242572A1 (zh) 一种个人数字身份管理系统与方法
KR102167815B1 (ko) 블록 체인 기반의 송수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Garg Distributed ecosystem for identity management
KR20210131031A (ko) 블록체인 상의 스마트 계약을 이용한 사용자 키 관리 방법
US202304193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payments in fiat currency using blockchain and tethered tokens
KR102123183B1 (ko) 키워드 검색을 이용한 블록 체인 기반의 송수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N113491090B (zh) 基于区块链的可信平台
US11949795B2 (en) System for tracking resources using non-fungible tokens
Shah et al. A Study on Security and Privacy related Issues in Blockchain Based Applications
CN108920971A (zh) 数据加密的方法、校验的方法、加密的装置和校验的装置
KR102003733B1 (ko) 망분리를 이용한 암호화폐 보호 시스템
Rasheed et al. Blockchain Mobile Wallet with Secure Offline Transactions
US10491391B1 (en) Feedback-based data security
Jo et al. Blockchain Based Integrated Authentication System
JP7448191B2 (ja) データ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