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5349A - Sound absorbing panel for interior - Google Patents

Sound absorbing panel for interi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5349A
KR20200115349A KR1020200037496A KR20200037496A KR20200115349A KR 20200115349 A KR20200115349 A KR 20200115349A KR 1020200037496 A KR1020200037496 A KR 1020200037496A KR 20200037496 A KR20200037496 A KR 20200037496A KR 20200115349 A KR20200115349 A KR 20200115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interior
absorbing
profile
absorb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4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현용
Original Assignee
박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용 filed Critical 박현용
Publication of KR20200115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34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1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409Sound-absorbing elements sheet-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means for hanging lighting fixtures or other appliances to the framework of the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78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of the tray type
    • E04B9/0485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of the tray type containing a fill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23Tray or frame type panels or block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 E04B2001/8442Tray typ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2009/0492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with fabrics tensioned on fram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absorbing panel for an interi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absorbing panel for an interior includes: a frame surrounding a border of a sound absorbing portion; a sound absorbing material arranged in the sound absorbing portion; and a finishing material of which a border is supported on a lower end of the frame and which finishes a lower portion of the sound absorbing portion, wherein the frame includes a profile in which a receiving space having an opened lower portion is formed to be dented. Therefore, the sound absorbing panel for an interior can be easily installed to improve construction convenience.

Description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SOUND ABSORBING PANEL FOR INTERIOR}Sound absorption panel for interior {SOUND ABSORBING PANEL FOR INTERIOR}

본 발명은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가 용이하여 시공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absorbing panel for interior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und-absorbing panel for interiors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to improve construction convenience.

최근 들어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쾌적한 문화생활이 점차 요구되면서 건축 음향 설계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the standard of living is improved and a pleasant cultural life is increasingly required, the importance of acoustic design for architecture has emerged.

따라서, 강당, 극장, 연주회장, 음악실등 대중이 이용하는 공공의 장소에 있어서는 소리가 외부로 전달되는 것이나 외부의 소리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음시설을 가지며, 음악이나 음향 등이 반사되어 발생되는 울림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흡음 및 차음 설비를 갖는 것을 볼 수 있다.Therefore, in public places used by the public, such as auditoriums, theaters, concert halls, music rooms, etc., soundproofing facilities are provided to block the inflow of sound or sound from the outside. It can be seen that it has sound absorption and sound insulation equipment to eliminate the phenomenon.

또한 상기와 같은 공공시설뿐만 아니라 아파트와 같은 주거용 공동 주택에 있어서도 집안에서 발생되는 소음이나 진동 등이 옆집이나 아래, 윗집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며, 반대로 외부로부터 발생된 소음이나 진동 등이 집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음이나 차진설비를 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public facilities as described above, as well as in residential apartments such as apartments, noise or vibration generated in the house is block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next door, below, or to the upper house, and on the contrary, noise or vibration generated from outside flows into the house. It is equipped with soundproofing or shielding equipment to block the problem.

한편,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흡음패널을 살펴보면, 적당한 쿠션을 갖는 암면이나 유리면과 같은 판상의 무기섬유판재 위에 일반직물을 피복한 것을 사용하거나, 또는 적당한 쿠션을 갖는 판재의 표면에 수많은 작은 구멍을 형성한 것을 흡음재 및 방음재로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looking at a conventional general sound-absorbing panel such as Patent Document 1, a sheet-shaped inorganic fiber board such as rock wool or glass wool having an appropriate cushion is coated with a general fabric, or a number of small It can be seen that the holes formed are used as sound-absorbing and sound-absorbing materials.

그러나 종래의 암면이나 유리면과 같은 무기섬유 계통의 재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표면이 부식되면서 떨어져 나가 패널 자체가 훼손됨은 물론 공해 및 환경문제를 일으키는 단점이 있다.However, conventional inorganic fiber-based materials such as rock wool or glass wool have a disadvantage that over time, the surface is corroded and separated, causing damage to the panel itself as well as pollution and environmental problems.

또한, 판재의 표면에 형성된 수많은 작은 타공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먼지가 침착되면서 막히게 되며, 또한 패널 표면이 오염되거나 훼손되어 흡음 역할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게 된다.In addition, numerous small perforation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late are clogged as dust is deposited over time, and the panel surface is contaminated or damaged, resulting in a disadvantage in that the sound-absorbing role is inferior.

더욱이 종래의 인테리어용 천장 마감패널은 통상 특허문헌 2와 같이 타일 형태로 구성되어 천장의 경량 철골 구조물에 조립된다. Moreover, the conventional interior ceiling finishing panel is usually constructed in a tile shape as in Patent Document 2 and is assembled on a lightweight steel structure of the ceiling.

하지만, 마감패널을 특정 형태의 천장 구조물에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는 마감패널을 현수, 직접 설치 또는 매립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시공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when the finishing panel is configured to be assembled to a specific type of ceiling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nishing panel cannot be constructed in various forms such as suspension, direct installation, or burial.

또한, 실내 공간의 조명을 위해, 마감패널의 사이에 일정 공간을 마련한 뒤, 여기에 조명기구를 매립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경우에는 조명기구의 이동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illuminate an indoor space, after providing a certain space between the finishing panels, it is common to embed the lighting equipment there.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vement of the lighting equipment is impossible.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2193호(2016.06.24.)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6-0002193 (2016.06.24.)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0831호(2018.02.21.)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30831 (February 21, 2018)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설치가 용이하여 시공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에 관한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to a sound-absorbing panel for an interior that is easy to install and can improve construction convenience.

또한, 박막 무공시트를 이용해 흡음영역의 하부를 마감하여 인체에 유해한 유리섬유 분진의 방출을 방지하는 동시에,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음재를 향해 통과시켜 흡음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by using a thin non-porous sheet to close the lower part of the sound-absorbing area, it prevents the emission of glass fiber dust that is harmful to the human body,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sound-absorbing performance by passing the noise generated in the room toward the sound-absorbing material. In providing the panel.

또한, 조명기능과 흡음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sound-absorbing panel for an interior that can simultaneously provide a lighting function and a sound-absorbing function.

또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조명의 배치를 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조명 연출이 가능한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rrange lighting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and to provide a sound-absorbing panel for interiors capable of producing various types of lighting.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흡음영역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프레임; 상기 흡음영역 내에 배치되는 흡음재; 및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테두리가 지지되어 상기 흡음영역의 하부를 마감하는 마감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하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이 함몰 형성된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rame surrounding the rim of the sound-absorbing area; A sound absorbing material disposed in the sound absorbing area; And a finishing material supporting a lower end of the frame to finish the lower portion of the sound-absorbing area, wherein the frame includes a profile in which a receiving space with an open lower portion is recessed. Is achieved.

여기서, 상기 프로파일의 수용공간과 접하는 내벽에는 전원단자가 마련되고, 상기 프로파일의 수용공간에는 상기 전원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전자기기가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a power terminal is provided on an inner wall in contact with the receiving space of the profile, and an electronic device operating by receiving power through the power terminal is detachably assembl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profile.

또한,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housing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또한,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마련되고 상기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light emitting device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또한, 상기 전원단자는 상기 프로파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ower terminal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rofile.

또한, 상기 프로파일의 수용공간과 접하는 내벽면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자기기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결합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결합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first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 an inner wall surface in contact with the receiving space of the profile,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또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프로파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upling portion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file.

또한, 상기 프로파일의 수용공간 상측에는 상기 전자기기의 삽입위치를 안내하는 스토퍼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stopper for guiding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is provided above the receiving space of the profile.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프로파일의 수용공간과 접하는 상면으로부터 수용공간을 향해 이격 배치되어 상기 프로파일의 상면과 스토퍼 사이에 보조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스토퍼에는 상기 보조공간과 수용공간을 연결하는 개구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topper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receiving space of the profile toward the receiving space to form an auxiliary spac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file and the stopper, and the stopper has an opening connecting the auxiliary space and the receiving space. It is desirable to be.

또한, 상기 마감재는 신축 가능한 재질의 박막 무공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nishing material is preferably made of a thin non-porous sheet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또한, 상기 마감재는 상기 무공시트의 테두리에 연결되는 하푼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하푼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nishing material includes a harpoon connected to the rim of the non-porous sheet, and the profile includes a fixing groove to which the harpoon can be detachably coupled.

또한, 상기 고정홈은 상기 프로파일의 상기 흡음영역과 접하는 제1측면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무공시트의 장력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1측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보강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xing groove is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sid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ound-absorbing region of the profile, and the profile includes a reinforcing wall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side surface to support the tension of the non-hollow sheet. desirable.

또한, 상기 흡음재는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ound-absorbing material includes glass fibers.

또한, 상기 흡음영역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치되고 테두리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흡음재의 처짐을 방지하는 고정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fixing frame disposed in a shape crossing the sound-absorbing area and fixing the frame to the frame to prevent sagging of the sound-absorbing material.

또한, 상기 흡음영역의 상부를 마감하는 상부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upper cover for clo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ound-absorbing region.

또한, 상기 상부커버는 다공 시트 또는 금속 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cover is made of a porous sheet or a metal mesh.

또한, 상기 상부커버는 판면에 다수의 흡음공이 마련된 흡음 패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pper cover is preferably made of a sound-absorbing panel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ound-absorbing holes on the plate surface.

또한, 상기 프레임의 수용공간 내에는 전원단자를 구비한 전원소켓부가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의 수용공간에는 상기 전원소켓부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전원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전자기기가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power socket unit having a power terminal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frame, and an electronic device that is detachably assembled to the power socket unit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frame and is operated by receiving power through the power terminal It is preferable that is accommodated.

또한, 상기 전원소켓부는 수용공간 내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ower socket part is detachably assemb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includes a power lin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또한, 상기 전원소켓부의 양측면에는 걸림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프로파일의 수용공간과 접하는 내벽면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맞물릴 수 있는 소켓결합부가 상기 프로파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locking protrusions are provid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power socket part, and a socket coupling part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rofile on an inner wall surface in contact with the receiving space of the profile.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로파일의 외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측면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rame further includes a side cover detachably assemb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rofile.

또한, 상기 프레임의 설치를 위해 프레임의 외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액세서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ccessories detachably assemb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for installation of the frame.

또한,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액세서리는 상기 결합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coupling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accessory includes a coupling protrus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또한, 상기 액세서리는 상기 결합돌기가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인접한 한 쌍의 프레임을 연결하고, 인접한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프레임 사이의 조립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ccessory is preferably made of a connector having the coupling protrusions provided at both ends, respectively, to connect an adjacent pair of frames, and interposed between the adjacent pair of frames to maintain a constant assembly interval between the frames.

또한, 상기 액세서리는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의 결합에 의해 상기 프로파일의 상측에 고정되고, 천장 구조물에 미리 설치되는 현수부재에 고정될 수 있는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ccessory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profile by the coupling of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coupling groove, preferably made of a bracket that can be fixed to a suspension member installed in advance on the ceiling structure.

또한, 상기 액세서리는 상기 결합돌기가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인접한 한 쌍의 프레임을 고정하고, 인접한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프레임 간의 조립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구비한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ccessory is composed of a connecting member having a spacer having the coupling protrusions provided at both ends respectively to fix an adjacent pair of frames and interposed between the adjacent pair of frames to maintain a constant assembly interval between the frames. desirable.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가 용이하여 시공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ound-absorbing panel for an interior that is easy to install and can improve construction convenience.

또한, 박막 무공시트를 이용해 흡음영역의 하부를 마감하여 인체에 유해한 유리섬유 분진의 방출을 방지하는 동시에,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음재를 향해 통과시켜 흡음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이 제공된다.In addition, by using a thin non-porous sheet to close the lower part of the sound-absorbing area, it prevents the emission of glass fiber dust that is harmful to the human body,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sound-absorbing performance by passing the noise generated in the room toward the sound-absorbing material. Panels are provided.

또한, 조명기능과 흡음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이 제공된다.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n interior sound-absorbing panel capable of simultaneously providing a lighting function and a sound-absorbing function.

또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조명의 배치를 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조명 연출이 가능한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이 제공된다.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 sound-absorbing panel for interiors that not only can easily arrange lighting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but also can produce various types of lighting.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의 단면도,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의 다양한 설치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의 조명 배치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B"부분 확대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의 단면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프로파일에 측면커버를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15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의 설치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und-absorbing panel for an interi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terior sound-absorbing pane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A" of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ound-absorbing panel for an interi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9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various installation examples of an interior sound-absorbing pane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lighting arrangement of the sound-absorbing panel for the interior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ound-absorbing panel for an interi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B" of FIG. 11;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ound-absorbing panel for an interi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cess of assembling a side cover to the profile shown in FIG. 13;
15 to 16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installation example of a sound-absorbing panel for an interi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in various embodiments,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re typically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by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other embodiments, configuration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do.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sound absorbing panel for an interi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 단면도이다.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und-absorbing panel for an interi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ound-absorbing panel for an interi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A” of FIG. .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은 프레임(10), 흡음재(20), 마감재(30), 전자기기(40) 및 상부커버(60)를 포함한다.The sound-absorbing panel for interi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includes a frame 10, a sound-absorbing material 20, a finishing material 30, an electronic device 40, and an upper cover 60. .

상기 프레임(10)은 다수의 막대형 프로파일(11)이 연결되어 흡음영역(10a)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것으로, 구조물의 벽면 또는 천장과 같은 설치 대상면에 직접 설치되거나, 매립 또는 현수될 수 있으며, 다수의 프레임(10)이 타일 형태로 연결되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frame 1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rod-shaped profiles 11 to surround the rim of the sound-absorbing area 10a, and may be directly installed on, embedded or suspended on an installation target surface such as a wall or ceiling of a structure. , It is also possible that a plurality of frames 10 are connected and installed in a tile shape.

상기 프로파일(11)은 실내 공간과 마주하는 면에 수용공간(11j)이 함몰 형성된 'ㄷ'자 형태의 단면 형태를 이루며,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프로파일(11)의 양 측면 중 상기 흡음영역(10a)과 마주하는 면에 배치되어 내벽면을 구성하는 수직면을 제1측면(11a), 수용공간(11j)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측면(11a)의 반대쪽에 배치되어 외벽면을 구성하는 수직면을 제2측면(11b), 상기 제1측면(11a)과 제2측면(11b)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면을 상면(11c)으로 설명한다.The profile 11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a'C' shape in which the accommodation space 11j is recessed on the surface facing the indoor space, and in this embodiment, among both sides of the profile 11 A vertical surface that is disposed on a surface facing the sound-absorbing region 10a to constitute an inner wall surface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side surface 11a with the first side surface 11a and the receiving space 11j interposed therebetween. The vertical surface constituting the second side surface 11b, and the horizontal surface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first side surface 11a and the second side surface 11b will be described as the upper surface 11c.

상기 프로파일(11)의 수용공간(11j)과 접하는 제1측면(11a)과 제2측면(11b)의 내벽면에는 전원단자(12)가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전원단자(12)는 절연재질의 절연부(13)를 통해 상기 프로파일(11)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프로파일(11)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A power terminal 12 i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wall surfaces of the first side 11a and the second side 11b in contact with the receiving space 11j of the profile 11, and the power terminal 12 As it is fixed to the profile 11 through the insulating portion 13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it may b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profile 11.

상기 절연부(13)의 상기 수용공간(11j)을 향하는 측면에는 제1결합부(13a)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부(13a)를 통해 전원단자(12)가 노출된다.A first coupling portion 13a is recessed on a side surface of the insulating portion 13 facing the receiving space 11j, and the power terminal 12 is exposed through the first coupling portion 13a.

또한, 상기 프로파일(11)의 하단에는 상기 수용공간(11j)의 하부를 마감하는 하부커버(14)가 탈착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커버(14)는 상기 전자기기(40)의 발광소자(43)에서 제공되는 조명광을 확산시킬 수 있도록 반투명의 아크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 lower cover 14 closing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11j may be detachably assembled at the lower end of the profile 11. The lower cover 14 may be made of a translucent acrylic material so as to diffuse the illumination light provid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43 of the electronic device 40.

한편, 상기 프로파일(11)의 내측면을 구성하는 제1측면(11a)에는 마감재(30)의 인장력을 지지하기 위한 보강벽(11e)이 마련되고, 상기 제1측면(11a)과 보강벽(11e)의 하단에는 마감재(30)의 테두리가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홈(11d)이 마련되고, 상기 보강벽(11e)의 하단에는 마감재(3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11f)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대(11f)는 상기 고정홈(11d)의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제1측면(11a)을 향해 하향 경사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 reinforcing wall 11e for supporting the tensile force of the finishing material 30 is provided on the first side surface 11a constituting the inner side of the profile 11, and the first side surface 11a and the reinforcing wall ( The lower end of 11e) is provided with a fixing groove (11d) to which the rim of the finishing material (30) can be fixed, and a support (11f) for supporting the finishing material (3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ing wall (11e), The support (11f) is preferably disposed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irst side (11a) to minimize the exposure of the fixing groove (11d).

상기 프로파일(11)의 제2측면(11b)과 상면(11c)에는 상기 프레임(10)의 설치를 위한 각종 액세서리 등이 조립될 수 있는 결합홈(11g)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는 인접한 한 쌍의 패널을 연결하는 커넥터(A1, 도 6 참조), 패널 매립 설치시 패널과 설치대상면 사이의 조립면을 은폐시키는 마감부재(A2, 도 7 참조), 프레임(10)의 현수를 위하여 구조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와이어 등의 현수부재에 연결되는 와이어 브라켓(A3, 도 8 참조), 프레임(10)을 경량철골과 같은 천장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스커트부(A4, 도 9 참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액세서리에는 상기 결합홈(11g)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결합돌기(Aa)가 마련된다.The second side surface 11b and the upper surface 11c of the profile 11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11g through which various accessories for installation of the frame 10 may be assembled. These accessories include a connector for connecting a pair of adjacent panels (A1, see Fig. 6), a finishing member that conceals the assembly surface between the panel and the installation target surface (A2, see Fig. 7), and frame 10 A wire bracket (A3, see FIG. 8) connected to a suspension member such as a wire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structure, and a skirt part for fixing the frame 10 to a ceiling structure such as a lightweight steel frame (A4, FIG. 9) Reference) and the like, and each accessory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Aa that is detachably assembled to the coupling groove 11g.

또한, 상기 프로파일(11)의 수용공간(11j) 상측에는 전자기기(40)의 삽입위치를 안내하는 스토퍼(11h)가 마련된다. 이러한 상기 스토퍼(11h)는 상기 프로파일(11)의 수용공간(11j)과 접하는 상면(11c)으로부터 수용공간(11j)을 향해 이격 배치되어 상기 프로파일(11)의 상면(11c)과 스토퍼(11h) 사이에 보조공간(11k)을 형성하며, 상기 스토퍼(11h)에는 상기 보조공간(11k)과 수용공간(11j)을 연결하는 개구부(11i)가 마련된다. 즉, 상기 프로파일(11)을 설치 대상면에 직접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개구부(11i)를 통해 스크류를 삽입하여 프로파일(11)의 상면(11c)을 관통한 스크류가 설치 대상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스크류의 후단에 위치한 헤드부는 수용공간(11j)과 분리된 보조공간(11k) 내에 위치하게 되므로, 스크류의 헤드가 전자기기(40)의 설치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 stopper 11h for guiding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40 is provided above the receiving space 11j of the profile 11. The stopper (11h)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11c) in contact with the receiving space (11j) of the profile (11) toward the receiving space (11j), the upper surface (11c) and the stopper (11h) of the profile (11) An auxiliary space 11k is formed therebetween, and an opening 11i connecting the auxiliary space 11k and the receiving space 11j is provided in the stopper 11h. That is, when the profile 11 is to be directly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target surface, a screw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11i so that the screw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11c of the profile 11 is fixed to the installation target surface. In this case, since the head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screw is located in the auxiliary space 11k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space 11j, the head of the screw can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install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40. have.

상기 흡음재(20)는 주거 환경의 공해인 소음과 진동음, 공명음 등의 파상음 및 소음의 세기를 흡음하여 조용하고 쾌적한 주거환경을 만들기 위해 상기 프레임(10)의 흡음영역(10a) 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흡음영역(10a)에 대응하는 크기의 유리섬유(fiberglass) 매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처짐 등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고정틀(50)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10)에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틀(50)은 흡음재(20)의 크기에 따라 격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프레임(10)의 흡음영역(10a)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외측 테두리가 상기 프레임(10)의 흡음영역(10a)과 접하는 내측 테두리에 밀착 지지되므로, 프레임(10)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The sound-absorbing material 20 is disposed within the sound-absorbing area 10a of the frame 10 in order to create a quiet and comfortable residential environment by absorbing the noise, vibration, and resonance noise, which are pollu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 intensity of noise. As a result, it may include a fiberglass mat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ound-absorbing region 10a, and is fixed to the frame 10 while being supported by a separate fixing frame 50 to prevent sagging. . The fixing frame 50 may be formed in a grid shap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20, and the outer edge of the frame 10 is accommodated in the sound absorbing area 10a of the frame 10 Since it is suppo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rim,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frame 10.

상기 마감재(30)는 상기 프레임(10)의 하단에 테두리가 지지되어 상기 흡음영역(10a)의 하부를 마감하는 것으로, 상기 흡음영역(10a)의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재단되는 신축 가능한 재질의 무공(無孔)시트와, 상기 무공시트(31)의 테두리에는 고정되는 하푼(32, harpoon)을 포함한다.The finishing material 30 is an edge supported at the lower end of the frame 10 to finish the lower part of the sound-absorbing area 10a, and is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that is cut relatively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sound-absorbing area 10a. The sheet includes a sheet and a harpoon 32 that is fixed to the edge of the non-porous sheet 31.

상기 무공시트(31)는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과 같은 신축성 및 복원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단열성, 비부식성, 방염성, 방수성, 항습성 등이 우수하고 재활용 가능하기 때문에 환경 친화적이다.The non-porous sheet 31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elasticity and resilience, such as polyvinyl chloride, and is environmentally friendly because it has excellent thermal insulation, non-corrosion, flame retardancy, waterproofness, and humidity resistance, and is recyclable.

또한, 상기 무공시트(31)는 실내 공간에서 발생하는 음파를 상기 흡음영역(10a) 내에 배치된 흡음재(20)를 향해 대부분 투과할 수 있는 두께 및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팽팽하게 잡아당겨진 상태에서 상기 하푼(32)이 프레임(10)의 고정홈(11d)에 체결됨에 따라 연신된 상태로 상기 흡음영역(10a)의 하부를 마감할 수 있으며, 무공시트(31)에 의해 흡음영역(10a)의 하부가 완전히 밀폐되므로, 흡음재(20)의 분진이 실내 공간으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on-porous sheet 31 is preferably made of a thickness and material capable of transmitting most of the sound waves generated in the indoor space toward the sound-absorbing material 20 disposed in the sound-absorbing region 10a, and is pulled tightly. As the harpoon 32 is fastened to the fixing groove 11d of the frame 10, the lower portion of the sound-absorbing area 10a can be closed in a stretched state, and the sound-absorbing area 10a is formed by the non-porous sheet 31. ) Is completely seal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dust of the sound-absorbing material 20 from flowing into the indoor space.

상기 전자기기(40)는 상기 프레임(10)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며, 조립과 동시에 전원을 공급받아 조명광을 제공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40 is detachably assembled to the frame 10, and may be supplied with power at the same time as the assembly to provide illumination light.

이러한 전자기기(40)는 상기 프로파일(11)의 수용공간(11j)에 삽입되는 하우징(41)과, 상기 하우징(41)의 외측면 중 상기 전원단자(12)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전원단자(12)와 접속하는 접속단자(42)와, 상기 하우징(41)의 저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접속단자(42)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조명광을 제공하는 발광소자(43) 및 상기 제1결합부(13a)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제1결합부(13a)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결합부(44)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40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wer terminal 12 among the housing 41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11j of the profile 1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41 A connection terminal 42 connected to the terminal 12, a light emitting device 43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housing 41 to provide illumination light by power supplied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42, and the It may include a second coupling portion 44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13a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13a.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속단자(42)가 하우징(41)의 외면으로부터 탄력적으로 돌출되는 판스프링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결합부(13a)에 삽입되는 동시에 전원단자(12)에 접속됨에 따라, 접속단자(42)가 제2결합부(44)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on terminal 42 is formed in the form of a leaf spring that elastically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41, a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part 13a and at the same time As it is connected,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connection terminal 42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second coupling unit 44, but is not limited thereto.

아울러, 상기 전원단자(12)에는 고전압 AC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전자기기(40)의 하우징(41) 내에는 상기 고전압 AC전원을 발광수단용 저전압 DC전원으로 변환하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와 같은 컨버터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기기(40)의 내부에는 상기 발광소자(43)의 색이나 밝기, 점멸 패턴 등을 무선으로 제어하기 위해 통신모듈이 내장될 수 있다.In addition, a high voltage AC power is applied to the power terminal 12, and a 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 for converting the high voltage AC power into a low voltage DC power for light emitting means in the housing 41 of the electronic device 40 Such a converter can be arranged. In addition, a communication module may be embedded inside the electronic device 40 to wirelessly control the color, brightness, and blinking pattern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43.

상기 하우징(41)은 소정 길이의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결합부(44)는 전원단자(12)와 나란하게 형성된 제1결합부(13a)와 탄력적으로 맞물림에 따라 하우징(41)이 수용공간(11j) 내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프레임(10)의 전원단자(12)는 프로파일(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전자기기(40)의 접속단자(42)는 전원단자(12)에 탄력적으로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상기 전자기기(40)를 프로파일(11)의 수용공간(11j) 내에서 프로파일(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접속단자(42)와 전원단자(12)의 접촉상태가 유지되므로 전자기기(40)의 전원 공급이 끊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housing 41 is formed in a rod shape of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44 is elastically engaged with the first coupling portion 13a formed in parallel with the power terminal 12 so that the housing 41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bly coupled state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j. In particular, the power terminal 12 of the frame 10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file 11, and the connection terminal 42 of the electronic device 40 is in elastic contact with the power terminal 12 Since is maintained, the electronic device 40 can sl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file 11 within the receiving space 11j of the profile 11, and in this process, the connection terminal 42 and the power terminal 12 ) Is maintained so that the power supply of the electronic device 40 is not cut off.

한편, 상기 전자기기(40)는 실내공간의 용도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갖춘 스피커나 다양한 용도의 감지 센서 등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Meanwhile, the electronic device 40 may additionally include a speaker wit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r a sensor for various purposes according to the use of the indoor space.

상기 상부커버(60)는 상기 흡음영역(10a)의 상부를 마감하는 것으로서, 상기 흡음재(20)의 상측에 적층된 상태에서 프레임(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커버(60)를 알루미늄과 같이 가벼우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한 경량 금속 플레이트 또는 박막 시트의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흡음재(20)의 분진이 상측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upper cover 60 finishes the upper portion of the sound-absorbing region 10a, and may be fixed to the frame 10 while being stacked on the upper side of the sound-absorbing material 20. When the upper cover 60 is formed in the form of a lightweight metal plate or thin film sheet having excellent durability while being lightweight, such as aluminum,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ust of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20 from being discharged upward.

아울러, 상기 상부커버(60)를 타공 시트 또는 금속망 등의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부커버(60)의 상측으로부터 제공되는 상층소음을 흡음재(20)를 향해 원활하게 통과시킬 수 있으므로 층간소음과 같은 상층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상부커버(60)를 흡음공이 다수 마련된 흡음 스폰지 패널(일명 '폴리 계란판'이라고도 함)의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흡음재(40)의 분진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층소음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pper cover 6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erforated sheet or a metal mesh, the upper layer noise provid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upper cover 60 can be smoothly passed toward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20, thereby reducing interlayer noise and The same upper floor noise can be reduced. In particular, when the upper cover 6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ound-absorbing sponge panel (also referred to as a'poly egg plat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ound-absorbing holes, dust of the sound-absorbing material 40 is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t the same time makes the upper floor noise. Can be blocked more effectively.

즉, 상기 상부커버(60)는 패널의 설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예컨대, 패널이 벽면과 같은 설치 대상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부커버(60)를 플레이트 또는 박막 시트의 형태로 구성하고, 천장과 같은 설치 대상면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부커버(60)를 타공 시트나 금속망 또는 흡음 스폰지 패널의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at is, the upper cover 60 may be modifi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type of the panel. For example, when the panel is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an installation target surface such as a wall, the upper cover 6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late or thin film sheet, and when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an installation target surface such as a ceiling, the upper cover It would be desirable to configure 60 in the form of a perforated sheet or a metal mesh or a sound-absorbing sponge panel.

지금부터는 상술한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above-described interior sound-absorbing panel will be described.

첨부도면 중, 도 4는 본 발명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의 단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의 다양한 설치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의 조명 배치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ound-absorbing panel for an interi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 to 9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various installation examples of the sound-absorbing panel for an interi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lighting arrangement of the sound-absorbing panel for an interio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음재(20)는 프레임(10)을 구성하는 다수의 프로파일(11)에 의해 둘러싸인 흡음영역(10a) 내부에 배치되고, 고정틀(50)에 의해 프레임(10)에 고정되므로, 흡음영역(10a) 내에서의 처짐이나 임의 이동이 방지된다.4, the sound-absorbing material 20 is disposed inside the sound-absorbing area 10a surrounded by a plurality of profiles 11 constituting the frame 10, and is attached to the frame 10 by the fixing frame 50. Since it is fixed, sagging or arbitrary movement in the sound-absorbing area 10a is prevented.

특히, 상기 흡음재(20)는 유리섬유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유리섬유는 우수한 흡음 성능은 물론 화재에 강한 장점을 갖는 반면, 시공, 운반 과정에서 유리가루가 포함된 분진이 발생함에 따라 유해성 및 환경오염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실내 오염물질의 하나로서 발암성을 의심받고 있고 유리섬유 분진에 의한 호흡기 문제와 피부자극성이 문제되고 있다. In particular, the sound-absorbing material 20 is made of glass fiber, and while this glass fiber has excellent sound-absorbing performance as well as a strong advantage against fire, harmfulnes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the generation of dust including glass powder during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A problem is emerging, and it is suspected of carcinogenicity as one of the indoor pollutants, and respiratory problems and skin irritation caused by glass fiber dust are problematic.

이에 따라 본실시예에서는 상부커버(60)를 통해 상기 흡음재(20)가 배치되는 흡음영역(10a)의 상측을 마감하고, 마감재(30)를 통해 흡음영역(10a)의 하부를 마감하므로, 흡음영역(10a)에 배치된 흡음재(20)로부터 발생하는 분진이 흡음영역(10a)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side of the sound-absorbing area 10a in which the sound-absorbing material 20 is disposed is closed through the upper cover 60, and the lower part of the sound-absorbing area 10a is closed through the finishing material 30, Dust generated from the sound-absorbing material 20 disposed in the region 10a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flowing out of the sound-absorbing region 10a.

아울러, 상기 마감재(30)를 구성하는 박막 무공시트(31)는 팽팽하게 연신된 상태에서, 무공시트(31)의 테두리에 고정되어 있는 하푼(32)이 프로파일(11)의 고정홈(11d)에 삽입 고정됨에 따라, 흡음영역(10a)의 하부를 마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음영역(10a)의 하부를 마감하는 무공시트(31)는 실내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음영역(10a) 내부에 위치한 흡음재(20)를 향해 대부분 통과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in film non-porous sheet 31 constituting the finishing material 30 is in a state in which it is stretched taut, and the harpoon 32 fixed to the edge of the non-porous sheet 31 is the fixing groove 11d of the profile 11 As it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lower part of the sound-absorbing area 10a can be closed. At this time, the non-porous sheet 31 clos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ound-absorbing area 10a may pass most of the noise generated in the indoor space toward the sound-absorbing material 20 located inside the sound-absorbing area 10a.

따라서, 마감재(30)를 이용해 흡음영역(10a)의 하부를 마감하여 분진의 유출을 방지하면서도 마감재(30)에 의해 흡음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by clos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ound-absorbing area 10a by using the finishing material 3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utflow of dust while preventing the sound-absorbing performance from deteriorating by the finishing material 30.

또한, 상기 흡음영역(10a)을 둘러싸는 프로파일(11)에는 하부가 개방된 수용공간(11j)이 마련되는데, 여기에 조명기능을 갖춘 전자기기(40)를 삽입함으로써 실내 공간에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 receiving space 11j with an open lower part is provided in the profile 11 surrounding the sound-absorbing area 10a. By inserting an electronic device 40 having an illumination function therein, lighting can be provided to the indoor space. I can.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파일(11)의 수용공간(11j) 내에는 한 쌍의 전원단자(12)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기기(40)에는 상기 전원단자(12)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단자(42)와, 상기 접속단자(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발광소자(43)가 마련된다. Specifically, a pair of power terminals 12 are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11j of the profile 11, and the electronic device 40 has a connection terminal 42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12. ), and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43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s 42 are provided.

또한, 상기 전원단자(12)를 감싸는 절연부(13)에는 상기 전원단자(12)를 노출시키는 제1결합부(13a)가 함몰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기기(40)에는 상기 제1결합부(13a)와 맞물려 전자기기(40)이 수용공간(11j) 내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제2결합부(44)가 마련된다. In addition, a first coupling portion 13a exposing the power terminal 12 is recessed in the insulating portion 13 surrounding the power terminal 12,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 A second coupling portion 44 is provided that engages with 13a) so that the electronic device 4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11j.

따라서, 상기 전자기기(40)를 프로파일(11)의 수용공간(11j) 내에 삽입하면, 상기 전자기기(40)의 제1결합부(13a)가 프로파일(11)의 제2결합부(44)에 맞물리는 동시에 접속단자(42)와 전원단자(12)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발광소자(43)가 발광하면서 조명광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electronic device 4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11j of the profile 11, the first coupling part 13a of the electronic device 40 is the second coupling part 44 of the profile 11 At the same time, the connection terminal 42 and the power terminal 1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light emitting device 43 emits light and provides illumination light.

상기와 같은 전자기기(40)는 막대형의 조명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프로파일(11)의 수용공간(11j) 내에 일렬로 다수 조립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프로파일(11)의 수용공간(11j)은 광확산 하부커버(14)에 의해 마감되므로, 프로파일(11)의 수용공간(11j) 내에 설치된 전자기기(40)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전자기기(40)에서 제공되는 조명광을 확산시켜 부드러운 리니어 타입의 조명광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40 as described above may be made of a rod-shaped lighting module, and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may be assembled in a line in the receiving space 11j of the profile 11. In particular, since the receiving space 11j of the profile 11 is closed by the light diffusion lower cover 14, the electronic device 40 installed in the receiving space 11j of the profile 11 is not exposed, By diffusing the illumination light provid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40,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ovide a soft linear type of illumination light.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은 다양한 형태로 천장 또는 벽면과 같은 설치대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The sound-absorbing panel for the interior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may be installed on an installation target surface such as a ceiling or a wall in various forms.

먼저, 패널을 천장이나 벽면과 같은 설치대상면에 직접 고정 설치하는 경우에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에 의해 둘러싸인 흡음영역(10a)에 흡음재(20)가 설치되고, 흡음재(20)의 상부와 하부가 상부커버(60) 및 마감재(30)에 의해 마감된 상태에서, 패널을 설치 대상면에 밀착시킨 다음, 프로파일(11)의 상면(11c)을 관통하는 스크류(S)를 설치 대상면에 고정함으로써, 패널을 설치 대상면에 직접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류(S)의 후단에 마련된 헤드는 프로파일(11)의 상면(11c)과 스토퍼(11h) 사이에 마련되는 보조공간(11k) 내에 위치하게 되므로, 스크류(S)의 헤드가 수용공간(11j)으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First, in the case of directly fixing and installing the panel to an installation target surface such as a ceiling or a wall, as shown in FIG. 5(a), the sound-absorbing material 20 is placed in the sound-absorbing area 10a surrounded by the frame 10. In the state where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20 are closed by the upper cover 60 and the finishing material 30, the panel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tallation target surface, and then penetrates the upper surface 11c of the profile 11 By fixing the screw (S) to the mounting surface, the panel can be directly fixed to the mounting surface. At this time, the head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screw (S) is located in the auxiliary space (11k) provided between the upper surface (11c) of the profile (11) and the stopper (11h), so the head of the screw (S) is a receiving space It will not protrude to (11j).

이어, 도 5의 (b)와 같이 프로파일(11)의 수용공간(11j) 내에 전자기기(40)를 삽입하면, 전자기기(40)의 접속단자(42)가 프레임(10)의 전원단자(12)와 전기적으로 접속됨에 따라, 전자기기(40)의 발광소자(43)가 점등하게 되며, 도 5의 (c)와 같이 프로파일(11)의 하부 개구에 하부커버(14)를 결합하면 수용공간(11j) 내의 전자기기(40)가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n, when the electronic device 4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11j of the profile 11 as shown in FIG. 5B, the connection terminal 42 of the electronic device 40 becomes the power terminal of the frame 10 ( 12), the light emitting element 43 of the electronic device 40 is turned on, and when the lower cover 14 is coupled to the lower opening of the profile 11 as shown in Fig. 5(c), it is receiv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ectronic device 40 in the space 11j from being directly exposed.

한편, 전자기기(40)의 교환 및 점검 시에는 조립의 역순으로 하부커버(14)를 분리한 다음, 전자기기(40)를 삽입한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프레임(10)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ctronic device 40 is replaced and inspected, the lower cover 14 can be removed in the reverse order of assembly and then pull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40 was inserted, so that it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frame 10, so it is maintained. Easy to repair.

이어, 다수의 패널을 타일 형태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도 6의 (a)와 같이 스크류를 이용해 어느 하나의 패널을 설치 대상면에 먼저 고정하고, 서로 인접한 두 개의 패널 사이에 커넥터(A1)를 배치한 다음, 도 6의 (b)와 같이 한 쌍의 패널을 결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면, 커넥터(A1)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돌기(Aa)가 양측 패널에 형성된 결합홈(11g)에 각각 결합되면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패널을 연결할 수 있다. Then, in the case of installing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panels in the form of tiles, one panel is first fixed to the installation target surface using screws as shown in Fig. 6(a), and a connector A1 between two adjacent panels ), and then pressurized in the direction of coupling a pair of panels as shown in Fig. 6(b), the coupling protrusions (Aa)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or (A1) are placed in the coupling grooves (11g)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anel. As they are combined, two panels adjacent to each other can be connected.

커넥터(A1)를 이용하여 인접한 두 개의 패널을 연결하면 패널 간의 조립부위에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패널간의 조립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패널간의 조립 간격은 커넥터(A1)의 두께에 의해 결정되므로, 다양한 두께의 커넥터(A1)를 준비하고, 원하는 조립 간격에 맞는 커넥터(A1)를 선택하여 패널을 연결함으로써 패널 간의 조립 간격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When two adjacent panels are connected using the connector A1,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tep from occurring in the assembly portion between the panels, and the assembly interval between the panels can be kept constant. In particular, since the assembly interval between panels is determined by the thickness of the connector (A1), prepare a connector (A1) of various thickness, select a connector (A1) suitable for the desired assembly interval, and connect the panels to reduce the assembly interval between panels.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또한, 상기 커넥터(A1)를 고무나 실리콘과 같이 신축성을 갖는 탄성 재질로 구성하는 경우, 외부 진동과 같은 외력 발생시 충격 및 변형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패널간의 결합부위에서의 소음 발생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패널과 커넥터(A1)의 결합이 임의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onnector A1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rubber or silicone, since it can absorb shock and deformation when an external force such as external vibration is gener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noise at the joints between panels. Of cour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anel and the connector A1 from being arbitrarily disengaged.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널의 프로파일(11)에는 하부가 개방된 수용공간(11j)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커넥터(A1)를 이용해 한 쌍의 패널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시공자가 수용공간(11j) 내에 손가락이나 공구를 삽입한 다음, 결합돌기(Aa)와 결합홈(11g)의 결합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A1)를 이용한 연결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a receiving space 11j with an open lower part is provided in the profile 11 of the panel,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a pair of panels using the connector A1, the contractor has the receiving space ( After inserting a finger or a tool into 11j), sin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ressing force in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Aa) and the coupling groove (11g), the connection operation using the connector (A1) is very easy.

한편, 커넥터(A1)를 이용해 한 쌍의 패널을 연결한 후에는 스크류를 이용해 추가된 패널을 설치 대상면에 고정할 수 있으며, 다수의 패널의 연결 및 설치가 완료되면 원하는 위치의 수용공간(11j)에 전자기기(40)를 결합하고, 수용공간(11j)의 개구를 하부커버(14)로 마감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fter connecting the pair of panels using the connector (A1), the added panel can be fixed to the installation target surface using screws, and when the connection and installation of a number of panels is completed, the receiving space 11j at the desired location is completed. ) To the electronic device 40, and the opening of the receiving space 11j may be closed with the lower cover 14.

이어, 패널을 천장이나 벽면과 같은 설치대상면에 매립하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을 구성하는 프로파일(11)의 제2측면(11b) 외측 하단에 마감부재(A2)를 조립한다. 이러한 마감부재(A2)는 하단부에 걸림턱부가 절곡 형성되어 "ㄴ"자 단면의 형상을 가지며, 제2측면(11b)과 마주하는 면에 제2측면(11b)의 결합홈(11g)에 결합되는 결합돌기(Aa)가 마련된다. Subsequently, in the case of embedding the panel in an installation target surface such as a ceiling or a wall, as shown in FIG. 7, a finishing member at the outer lower end of the second side surface 11b of the profile 11 constituting the frame 10 ( Assemble A2). This finishing member (A2) has a shape of a "b"-shaped cross-section by bending the lower end portion, and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1g) of the second side (11b) on the side facing the second side (11b) The coupling protrusion (Aa) is provided.

따라서, 마감부재(A2)의 하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턱부가 설치 대상면의 설치홈 바깥쪽 주변에 지지되므로 패널의 삽입위치가 안내되는 것은 물론, 걸림턱부가 패널과 설치홈 사이의 조립면을 마감하므로 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locking projection formed horizontally bent at the lower end of the finishing member A2 is supported around the outside of the installation groove on the installation target surface,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panel is guided and the locking projection is assembled between the panel and the installation groove. Since the surface is finished, construction quality can be improved.

이어, 패널을 천장과 같은 설치 대상면에 팬던트 타입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을 구성하는 프로파일(11)의 상부에 와이어 브라켓(A3)을 조립한다. Next, when the panel is installed in a pendant type on an installation target surface such as a ceiling, as shown in FIG. 8, a wire bracket A3 is assembled on the upper part of the profile 11 constituting the frame 10.

이러한 와이어 브라켓(A3)은 양측에 결합돌기(Aa)가 마련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단이 설치 대상면에 고정되는 현수부재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 브라켓(A3)을 프로파일(11)의 상면(11c)에 마련된 결합홈(11g) 내에 삽입한 다음, 와이어 브라켓(A3)을 90도 회전시키면 와이어 브라켓(A3)의 결합돌기(Aa)를 프레임(10)의 상면(11c)에 형성된 결합홈(11g)에 조립할 수 있다. This wire bracket (A3) is made in a form in which coupling protrusions (Aa) are provided on both sides, and made in a wire shape, and the upp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uspension member fixed to the installation target surface. Therefore, when the wire bracket (A3)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1g)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11c) of the profile (11), and then the wire bracket (A3) is rotated 90 degrees, the coupling protrusion (Aa) of the wire bracket (A3) ) Can be assembled in the coupling groove (11g)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1c) of the frame (10).

이와 같이 다수의 와이어 브라켓(A3)을 프레임(10)의 상면(11c)에 형성된 결합홈(11g)에 결합함으로써, 패널을 설치 대상면에 팬던트 타입으로 현수하여 설치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by coupling a plurality of wire brackets (A3) to the coupling grooves (11g)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1c) of the frame (10), the panel can be suspended and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target surface in a pendant type.

또한, 패널을 경량 철골과 같은 구조물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을 구성하는 프로파일(11)의 상부에 스커트부(A4)를 조립한다. 이러한 스커트부(A4)는 경량 철골 구조물의 고정클립 내에 삽입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프레임(10)의 상면(11c)에 밀착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 마련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Aa)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커트부(A4)를 프레임(10)의 상부 결합홈(11g)에 조립한 상태에서, 패널을 수직방향으로 밀어올리면, 스커트부(A4)의 수직부가 경량 철골 구조물의 고정클립에 고정된다. In addition, when the panel is installed on a structure such as a lightweight steel frame, as shown in FIG. 9, the skirt portion A4 is assemb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ofile 11 constituting the frame 10. The skirt portion (A4) includes a vertical portion inserted into the fixing clip of the lightweight steel structure, a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11c of the frame 10, and the horizontal portion. It may include a pair of coupling protrusions (Aa) provided. Therefore, when the skirt part (A4) is assembled in the upper coupling groove (11g) of the frame 10, when the panel is pushed up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vertical part of the skirt part (A4) is fixed to the fixing clip of the lightweight steel structure. do.

상기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패널을 설치 대상면에 다양한 형태로 조립하고, 프레임(10)의 전원단자(12)에 외부 전원을 인가하면, 조명모듈 등의 전자기기(40)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의 수용공간(11j)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수용공간(11j) 내에 삽입된 전자기기(40)는 수용공간(11j)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으므로, 위치 선정 및 변경이 용이하다. As described above, when at least one panel is assembled in various forms on the installation target surface, and external power is applied to the power terminal 12 of the frame 10, the electronic device 40 such as the lighting module is placed at a desired location. The electronic device 40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11j can be us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11j, and since the electronic device 40 inserted in the receiving space 11j can slide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receiving space 11j, it is easy to select and change the location.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조명기구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으므로, 실내 공간의 용도나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조명기구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며, 조명기구 이외에도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스피커 등의 전자기기(40)를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다양한 형태의 전자기기(40)를 설치 대상면의 원하는 위치에 간편하게 설치하거나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position of the lighting equipment is not fixed as in the prior art, the position of the lighting equipment can be freely chang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indoor space or the user's taste, and in addition to the lighting equipment, a speaker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etc. Since it is also possible to insert the electronic device 40 of, various types of electronic devices 40 can be easily installed at a desired location on the installation target surface or the installation location can be easily changed.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가 서로 다른 다수의 패널(100)들을 타일 형태로 배치하여 설치 대상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원하는 위치에 전자기기(40)를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when a plurality of panels 100 of different sizes are arranged in a tile form and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target surface, the electronic device 40 is placed in a desired position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types of lighting.

아울러, 패널(100)의 프레임(10) 내에 마련된 수용공간(11j)에 전자기기(40)를 각각 설치하고, 다수의 전자기기(40)들을 그룹화하여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이나 주변 조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조명을 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의 (a)와 같이 각각의 패널(100)에 마련된 전자기기(40)를 각각 그룹화하여 빗금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각 패널(100)별로 전자기기(40)를 제어하거나, 도 10의 (b)와 같이 다수의 패널(100)에 각각 설치된 전자기기(40)를 선택적으로 그룹화하여 빗금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원하는 형태의 조명을 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by installing the electronic devices 40 in the receiving space 11j provided in the frame 10 of the panel 100, group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40 and controlling them wirelessly or wiredly, Various types of lighting can be produc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illumination.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0 (a), the electronic devices 40 provided in each panel 100 are grouped, and the electronic devices 40 are controlled for each panel 100, as indicated by hatching. As shown in (b) of 10,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group the electronic devices 40 installed on the plurality of panels 100 and display them with hatched marks, thereby producing a desired type of lighting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a sound absorbing panel for an interi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첨부도면 중,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100)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B"부분 확대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의 단면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프로파일에 측면커버를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15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의 설치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terior sound-absorbing panel 1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B” of FIG. 11, and FIG. 13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terior sound-absorbing panel according to,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cess of assembling a side cover to the profile shown in FIG. 13, and FIGS. 15 to 16 are installation of an interior sound-absorbing pane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100)은 프레임(10'), 흡음재(20), 마감재(30), 전자기기(40), 상부커버(60) 및 전원소켓부(70)를 포함한다.The sound-absorbing panel 100 for an interi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includes a frame 10', a sound-absorbing material 20, a finishing material 30, an electronic device 40, and an upper cover 60. And a power socket part 70.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레임(10')의 구조가 변형되고, 전원소켓부(70)가 부가되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구성의 차이가 있으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structure of the frame 10' is modified and the power socket part 70 is added, and the structure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of it will be omitted.

상기 프레임(10')은 다수의 막대형 프로파일(11')이 연결되어 흡음영역(10a)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형태를 가지며, 구조물의 벽면 또는 천장과 같은 설치 대상면(11c)에 직접 설치되거나, 매립 또는 현수될 수 있으며, 다수의 프레임(10')이 타일 형태로 서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frame 10 ′ has a shape surrounding the rim of the sound-absorbing area 10a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rod-shaped profiles 11 ′, and is directly installed on an installation target surface 11c such as a wall or ceiling of a structure , May be embedded or suspended, and a plurality of frames 1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tile form.

상기 프로파일(11')은 제1실시예와 같이 수용공간(11j)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측면(11a)과 제2측면(11b), 수용공간(11j)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면(11c)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측면(11a)에는 보강벽(11e)과 고정홈(11d) 및 지지대(11f)가 마련되고, 상면(11c)에는 결합홈(11g)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11j) 상측에는 스토퍼(11h), 보조공간(11k) 및 개구부(11i)가 마련된다.The profile 11 ′ has a first side surface 11a and a second side surface 11b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eceiving space 11j, and the upper surface 11c disposed above the receiving space 11j, as in the first embodiment. ), and a reinforcing wall 11e, a fixing groove 11d, and a support 11f are provided on the first side surface 11a, and a coupling groove 11g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11c, and the accommodation space (11j) A stopper 11h, an auxiliary space 11k, and an opening 11i are provided on the upper side.

또한, 상기 프로파일(11')은 상기 흡음영역(10a)과 접하는 내벽면 하부에서 흡음영역(10a)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리브(11o)와, 상기 흡음영역(10a)과 접하는 내벽면 상부에서 흡음영역(10a)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리브(1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리브(16)는 상기 프로파일(11')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제1리브(11o)의 하부에는 고정틀(50)이 고정되고, 상기 제1리브(11o)와 제2리브(16)의 사이영역에는 흡음재(20)가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file 11 ′ includes a first rib 11o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sound-absorbing region 10a under the inner wall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ound-absorbing region 10a, and the inner wall in contact with the sound-absorbing region 10a. A second rib 16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sound-absorbing region 10a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wall surface may be included, and the second rib 16 may be detachably assembled to the profile 11 ′. A fixing frame 50 may be fixed below the first rib 11o, and a sound absorbing material 20 may be disposed in a region between the first rib 11o and the second rib 16.

상기 스토퍼(11h)는 수용공간(11j)내에서 전원소켓부(70)의 삽입위치를 안내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제1측면(11a)과 제2측면(11b)에는 상기 전원소켓부(70)의 외측에 마련된 걸림돌기(72)가 맞물릴 수 있는 단턱 형태의 소켓결합부(11m)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소켓결합부(11m)와 걸림돌기(72)는 전원소켓부(70)를 프로파일(11')의 수용공간(11j) 내에 삽입하였을 때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소켓결합부(11m)는 상기 소켓결합부(11m)와 걸림돌기(72)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전원소켓부(70)가 프로파일(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상기 프로파일(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The stopper 11h is provided in a position capable of guiding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power socket part 70 in the receiving space 11j, and the power socket is provided on the first side 11a and the second side 11b. A stepped socket coupling portion 11m in the form of a step into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72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portion 70 can be engaged is formed, respectively. The socket coupling portion (11m) and the locking protrusion (72) are configured to engage with each other when the power socket portion (7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11j) of the profile (11'), and the socket coupling portion (11m) ) Is the length of the profile 11' so that the power socket portion 70 can slid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rofile 11' while the socket coupling portion 11m and the locking protrusion 72 are engaged with each other. Formed along the direction.

또한, 상기 제2측면(11b)의 외벽면에는 측면커버(15)가 조립될 수 있는 제1조립부(11n)가 마련되고, 상기 측면커버(15)의 내벽면에는 상기 제1조립부(11n)와 맞물려 결합할 수 있는 제2조립부(15a)가 마련되고, 상기 제1조립부(11n)와 제2조립부(15a)는 상기 측면커버(15)의 조립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복수 마련되어 상하로 이격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커버(15)의 외벽면에는 각종 액세서리를 조립할 수 있는 결합홈(11g)이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a first assembly portion 11n to which the side cover 15 can be assembled is provided on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second side surface 11b, and the first assembly portion ( 11n) is provided with a second assembly portion (15a) that can be engaged and coupled, and the first assembly portion (11n) and the second assembly portion (15a) are assembled in a stable state of the side cover (15). A plurality may be provided so as to be spaced apart vertically, and a coupling groove 11g capable of assembling various accessories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side cover 15.

예컨대 상기 제1조립부(11n)는 대략 'ㄴ'자 고리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조립부(15a)는 대략 'ㄱ'자 고리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assembly portion 11n may be formed in an approximately'b'-shaped ring, and the second assembly portion 15a may be formed in an approximately'b'-shaped ring.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커버(15)를 상기 프로파일(11')의 외측을 향하는 제2측면(11b)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하는 경우, 측면커버(15)를 이용하여 프로파일(11')의 외측면을 마감할 수 있어 프로파일(11') 간의 연결부위를 은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면커버(15)의 색상이나 재질을 변경하여 제품의 외관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측면(11b)에 측면커버(15)를 조립한 뒤에는, 고정부재(B)를 이용해 측면커버(15)의 위치를 고정하여 상기 제1조립부(11n)와 제2조립부(15a)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두볼트 형태로 이루어진 고정부재(B)를 제2측면(11b)과 측면커버(15) 사이에 끼워넣어 상기 제1조립부(11n)와 제2조립부(15a)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것을 제한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As shown in FIG. 14, when assembling the side cover 15 to the second side 11b facing the outside of the profile 11' detachably, the profile 11' using the side cover 15 ), it is possible to close the outer surface of the profile 11', thereby concealing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profiles 11', and changing the color or material of the side cover 15 to display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in various ways. In addition, after assembling the side cover 15 on the second side 11b, the position of the side cover 15 is fixed using a fixing member (B), and the first assembly portion 11n and the second assembly portion Separation of (15a) can be prevented. In this embodiment, the fixing member (B) in the form of a headless bolt is inserted between the second side surface (11b) and the side cover (15) so that the first assembly portion (11n) and the second assembly portion (15a)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lthough the example has been described as limiting the release, i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프레임(10')에는 다양한 액세서리가 조립될 수 있다. Various accessories may be assembled to the frame 10 ′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상기 측면커버(15)에 형성된 결합홈(11g)은 제1실시예에서 제2측면(11b)에 형성된 결합홈(11g)과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갖는다. 예컨대, 측면커버(15)의 결합홈(11g)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커넥터(A1)나 마감부재(A2)가 조립될 수 있다. The coupling groove 11g formed on the side cover 15 has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as the coupling groove 11g formed on the second side 11b in the first embodiment. For example, the connector A1 or the closing member A2 shown in FIGS. 6 and 7 may be assembled in the coupling groove 11g of the side cover 15.

또한, 상기 프로파일(11')의 상면(11c)에 형성된 결합홈(11g)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와이어 브라켓(A3)이나 스커트부(A4)가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 wire bracket A3 or a skirt portion A4 shown in FIGS. 8 and 9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1g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1c of the profile 11 ′.

아울러, 상기 프로파일(11')의 상면(11c)에 형성된 결합홈(11g)에는 프레임(10')을 천장에 현수하기 위한 전산볼트 브라켓(A5, 도 15 참조)이나, 인접 배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10')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재(A6, 도 16 참조)가 조립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upling groove (11g)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1c) of the profile (11') has a computerized bolt bracket (A5, see Fig. 15) for suspending the frame (10') to the ceiling, or a pair of adjacent A connection member (A6, see FIG. 16) for firmly fixing the frame 10' may be assembled.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산볼트 브라켓(A5)은 천장에 미리 설치되는 전산볼트 형태의 현수부재에 연결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전산볼트 브라켓(A5)의 결합돌기(Aa)를 프레임(10')의 상면(11c)에 형성된 결합홈(11g) 내에 고정할 수 있으며, 결합 방식은 상술한 와이어 브라켓(A3)과 동일하다. 이러한 전산볼트 브라켓(A5)는 스크류(S)에 의해 조립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전산볼트 브라켓(A5)의 일측에는 스크류(S)가 관통할 수 있는 통공이 마련되고, 상기 프로파일(11')의 상면(11c) 일측에는 상기 스크류(S)가 결합할 수 있는 체결홈이 마련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5, the computerized bolt bracket A5 can be connected to a computerized bolt-type suspension member that is pre-installed on the ceiling, and the coupling protrusion Aa of the computerized bolt bracket A5 is attached to the frame 10'. It can be fixed in the coupling groove (11g)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1c) of, the coupling method is the same as the wire bracket (A3) described above. Such a computerized bolt bracket (A5) may be fixed in an assembly position by a screw (S), and for this purpose,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crew (S) can penetrate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omputerized bolt bracket (A5), and the profile A fastening groove to which the screw S can be coupled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11c of (11').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A6)는 커넥터(A1)를 이용하여 한 쌍의 프레임(10')의 측면 부분을 연결한 상태에서, 연결부재(A6)의 양단부에 마련된 결합돌기(Aa)를 양측 프레임(10')의 상면(11c)에 형성된 결합홈(11g)에 각각 고정함으로써 한 쌍의 프레임(10')의 연결상태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고정 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A6)의 중앙 하부에는 양측 프레임(10')의 사이에 삽입되어 양측 프레임(10') 사이의 조립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스페이서(A6a)가 마련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6, the connecting member A6 is a coupling protrusion provided on both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 A6 in a state in which the side portions of the pair of frames 10' are connected using a connector A1. Aa) can be fixed so that the connection state of the pair of frames 10' is not released arbitrarily by fixing each of the coupling grooves 11g formed on the upper surfaces 11c of the frames 10' on both sides, and the connection member ( A spacer A6a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center of A6), which is inserted between the two frames 10 ′ to maintain the assembly distance between the two frames 10 ′.

상기 전원소켓부(70)는 저면부에 상기 전자기기(40)가 조립될 수 있는 수용홈(71a)이 마련되고 상기 프로파일(11')의 수용공간(11j) 내에 삽입될 수 있는 소켓몸체(71)와, 상기 소켓몸체(71)의 상기 수용홈(71a)과 접하는 양측 내벽면에 형성되는 전원단자(73)와, 상기 전원단자(73)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74)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ocket part 70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71a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40 can be assembled on a bottom surface, and a socket body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11j of the profile 11' 71), a power terminal 73 formed on both inner wall surfaces of the socket body 71 in contact with the receiving groove 71a, and a power line 74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wer terminal 73 can do.

예컨대, 상기 전자기기(40)는 프로파일(11')의 수용공간(11j) 내에 다수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소켓부(70)는 상기 수용공간(11j) 내에서 상기 전자기기(40)의 양측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전원소켓부(70) 중 어느 하나의 전원소켓부(70)의 전원선(74)은 외부 전원공급부에 연결되고, 나머지 전원소켓부(70)의 전원선(74)은 인접 전원소켓부(70)의 전원선(74)과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배선 구조에 의해 다수의 전자기기(40)가 하나의 전원공급부를 통해 동시에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40 may be disposed in a plurality of the receiving space 11j of the profile 11 ′, and the power socket unit 70 may be provided with the electronic device 40 within the receiving space 11j. It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both ends. At this time, the power line 74 of any one power socket part 70 among the plurality of power socket parts 7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upply, and the power line 74 of the remaining power socket part 70 is an adjacent power source. The power lines 74 of the socket unit 7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40 may be simultaneously supplied with power through a single power supply unit by such a wiring structure.

한편, 상기 프로파일(11')의 수용공간(11j) 하부 개구는 프로파일(11')의 하단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하부커버(14)에 의해 마감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커버(14)의 일단부는 상기 지지대(11f)의 하단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측면커버(15)의 하단에 지지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ower opening of the receiving space 11j of the profile 11 ′ may be closed by a lower cover 14 detachably assembled at the lower end of the profile 11 ′, and one end of the lower cover 14 The part may be support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11f and the other end may be supported at the lower end of the side cover 15.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any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s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various ranges that can be modified.

100:패널, 10,10':프레임, 10a:흡음영역,
11,11':프로파일, 11a:제1측면, 11b:제2측면,
11c:상면, 11d:고정홈, 11e:보강벽,
11f:지지대, 11g:결합홈, 11h:스토퍼,
11i:개구부, 11j:수용공간, 11k:보조공간,
11m:소켓결합부, 11n:제1조립부, 11o:제1리브,
12:전원단자, 13:절연부, 13a:제1결합부,
14:하부커버, 15:측면커버, 15a:제2조립부,
16:제2리브, 20:흡음재, 30:마감재,
31:무공시트, 32:하푼, 40:전자기기,
41:하우징, 42:접속단자, 43:발광소자,
44:제2결합부, 50:고정틀, 60:상부커버,
70:전원소켓부, 71:하우징, 72:걸림돌기,
73:전원단자, 74:전원선, A1:커넥터,
A2:마감부재, A3:와이어 브라켓, A4:스커트부,
A5:전산볼트 브라켓, A6:연결부재, A6a:스페이서,
Aa:결합돌기, B:고정부재, S:스크류,
100: panel, 10, 10': frame, 10a: sound absorption area,
11,11': profile, 11a: first side, 11b: second side,
11c: top surface, 11d: fixing groove, 11e: reinforcing wall,
11f: support, 11g: coupling groove, 11h: stopper,
11i: opening, 11j: receiving space, 11k: auxiliary space,
11m: socket connection, 11n: first assembly, 11o: first rib,
12: power terminal, 13: insulating part, 13a: first coupling part,
14: lower cover, 15: side cover, 15a: second assembly,
16: second rib, 20: sound absorbing material, 30: finishing material,
31: blank sheet, 32: harpoon, 40: electronic equipment,
41: housing, 42: connection terminal, 43: light emitting device,
44: second coupling portion, 50: fixing frame, 60: upper cover,
70: power socket part, 71: housing, 72: locking projection,
73: power terminal, 74: power line, A1: connector,
A2: Finishing member, A3: Wire bracket, A4: Skirt part,
A5: computerized bolt bracket, A6: connecting member, A6a: spacer,
Aa: coupling protrusion, B: fixing member, S: screw,

Claims (26)

흡음영역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프레임;
상기 흡음영역 내에 배치되는 흡음재; 및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테두리가 지지되어 상기 흡음영역의 하부를 마감하는 마감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하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이 함몰 형성된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
A frame surrounding an edge of the sound-absorbing area;
A sound absorbing material disposed in the sound absorbing area; And
Including; a finishing material that is supported at the lower end of the frame to finish the lower portion of the sound-absorbing area,
The frame is a sound-absorbing panel for interi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file in which a receiving space with an open lower part is recess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의 수용공간과 접하는 내벽에는 전원단자가 마련되고, 상기 프로파일의 수용공간에는 상기 전원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전자기기가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
The method of claim 1,
An interior sound-absorbing panel, characterized in that a power terminal is provided on an inner wall of the profile in contact with the receiving space, and an electronic device that operates by receiving power through the power terminal is detachably assembl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profil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
The method of claim 2,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housing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마련되고 상기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
The method of claim 3,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light emitting device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단자는 상기 프로파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
The method of claim 3,
The sound-absorbing panel for interior,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terminal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fil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의 수용공간과 접하는 내벽면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자기기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결합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결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
The method of claim 2,
A sound-absorbing panel for interior,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 an inner wall surface in contact with the receiving space of the profile,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프로파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
The method of claim 6,
The sound-absorbing panel for interio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upling portion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fil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의 수용공간 상측에는 상기 전자기기의 삽입위치를 안내하는 스토퍼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
The method of claim 2,
A sound-absorbing panel for interior, characterized in that a stopper for guiding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is provided above the receiving space of the profil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프로파일의 수용공간과 접하는 상면으로부터 수용공간을 향해 이격 배치되어 상기 프로파일의 상면과 스토퍼 사이에 보조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스토퍼에는 상기 보조공간과 수용공간을 연결하는 개구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
The method of claim 8,
The stopper is spaced apart from an upp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receiving space of the profile toward the receiving space to form an auxiliary spac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file and the stopper, and the stopper is provided with an opening connecting the auxiliary space and the receiving space. Sound-absorbing panel for interiors characterized b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는 신축 가능한 재질의 박막 무공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
The method of claim 1,
The finishing material is a sound-absorbing panel for interior,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thin non-porous sheet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는 상기 무공시트의 테두리에 연결되는 하푼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하푼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nishing material includes a harpoon connected to the rim of the hollow sheet,
The profile is a sound-absorbing panel for interior, characterized in that the harpoon comprises a fixing groove to be detachably coupled.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상기 프로파일의 상기 흡음영역과 접하는 제1측면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무공시트의 장력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1측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보강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xing groove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sid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ound-absorbing region of the profile,
The profile is a sound-absorbing panel for interi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inforcing wall arranged parallel to the first side to support the tension of the non-porous shee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는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
The method of claim 1,
The sound-absorbing panel for interi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ound-absorbing material comprises a glass fib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영역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치되고 테두리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흡음재의 처짐을 방지하는 고정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
The method of claim 1,
A sound-absorbing panel for interi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xing frame arranged in a shape crossing the sound-absorbing area and fixed to the frame to prevent sagging of the sound-absorbing materi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영역의 상부를 마감하는 상부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
The method of claim 1,
Interior sound-absorbing pane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upper cover for clo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ound-absorbing area.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는 다공 시트 또는 금속 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
The method of claim 15,
The upper cover is a sound-absorbing panel for interior,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porous sheet or a metal mesh.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는 판면에 다수의 흡음공이 마련된 흡음 패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
The method of claim 15,
The upper cover is a sound-absorbing panel for interio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ound-absorbing panel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ound-absorbing holes on the plate surf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수용공간 내에는 전원단자를 구비한 전원소켓부가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의 수용공간에는 상기 전원소켓부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전원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전자기기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
The method of claim 1,
A power socket portion having a power terminal is provid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frame,
An interior sound-absorbing panel,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frame, an electronic device that is detachably assembled to the power socket and operates by receiving power through the power terminal is accommodated.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소켓부는 수용공간 내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
The method of claim 18,
The power socket part is detachably assemb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he interior sound absorbing pane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wer lin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소켓부의 양측면에는 걸림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프로파일의 수용공간과 접하는 내벽면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맞물릴 수 있는 소켓결합부가 상기 프로파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
The method of claim 19,
A sound-absorbing panel for interior, characterized in that: locking protrusions are provid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power socket portion, and a socket coupling portion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file on an inner wall surface in contact with the receiving space of the profi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로파일의 외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측면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
The method of claim 1,
The frame is an interior sound-absorbing pane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ide cover detachably assemb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rofi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설치를 위해 프레임의 외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액세서리;를 포함하는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
The method of claim 1,
Interior sound-absorbing panel comprising; accessories detachably assemb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for installation of the frame.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액세서리는 상기 결합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
The method of claim 22,
An interior sound-absorbing panel, characterized in that a coupling groove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rame, and the accessory comprises a coupling protrus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는 상기 결합돌기가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인접한 한 쌍의 프레임을 연결하고, 인접한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프레임 사이의 조립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
The method of claim 23,
The accessory is a sound-absorbing panel for interi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rotrusions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ends to connect an adjacent pair of frames, and are interposed between the adjacent pair of frames to maintain a constant assembly interval between the frames. .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는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의 결합에 의해 상기 프로파일의 상측에 고정되고, 천장 구조물에 미리 설치되는 현수부재에 고정될 수 있는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
The method of claim 23,
The accessory is a sound-absorbing panel for interior,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cket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profile by the coupling of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coupling groove, which can be fixed to a suspension member pre-installed on the ceiling structure.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는 상기 결합돌기가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인접한 한 쌍의 프레임을 고정하고, 인접한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프레임 간의 조립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구비한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흡음 패널.
The method of claim 23,
The accessor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ng member provided with a spacer that the coupling protrusions are provided at both ends respectively to fix an adjacent pair of frames and interposed between the adjacent pair of frames to maintain a constant assembly interval between the frames. Sound-absorbing panel for interior.
KR1020200037496A 2019-03-27 2020-03-27 Sound absorbing panel for interior KR20200115349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34994 2019-03-27
KR1020190034994 2019-03-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349A true KR20200115349A (en) 2020-10-07

Family

ID=72883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496A KR20200115349A (en) 2019-03-27 2020-03-27 Sound absorbing panel for interi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5349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193U (en) 2016-05-23 2016-06-24 지득호 Hole type nuncombustion and sound absorbation panel
KR101830831B1 (en) 2017-08-25 2018-02-21 (주)유창 Ceiling pannel for reducing soun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193U (en) 2016-05-23 2016-06-24 지득호 Hole type nuncombustion and sound absorbation panel
KR101830831B1 (en) 2017-08-25 2018-02-21 (주)유창 Ceiling pannel for reducing sou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0828B2 (en) Felt array
US7303305B2 (en) Acoustic light emitting module
US9217247B2 (en) Ceiling system
US8967823B2 (en) Combination light diffuser and acoustical treatment and listening room including such fixtures
KR20120004980U (en) Assembling screen louver structure for ceiling
KR20200115349A (en) Sound absorbing panel for interior
KR20130003394U (en) Ceiling finish molding having indirect illumination therein
JP2010095899A (en) Indoor wiring structure and building
JP3167362U (en) Sound absorption panel
US11060675B2 (en) Acoustic and illuminating ceiling panel
KR20220113143A (en) A acoustic board in which a polyester sound absorbing felter in inserted into the grooved wood part
JP4730161B2 (en) Ceiling structure of living room
KR200347868Y1 (en) The soundproofing booth of assemble block
KR20110005440A (en) Construction structure for study-room
KR102605449B1 (en) Hidden Lighting Device
JP2023551099A (en) Perforated acoustic panel,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its use
CN219508951U (en) Lighting system convenient to installation
JP2009150098A (en) Acoustical panel
JP6252889B2 (en) Equipment
JP2005312101A (en) Indoor wiring containing structure
JP7231429B2 (en) Building equipment installation structure
JP2001020441A (en) Interior finishing construction
JP2024051285A (en) Indirect lighting structure
KR20230042874A (en) Lighting fixtures combined with color plates and sheets
JPS6310048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