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5044A - 시각 검색 쿼리를 사용하여 물리적 객체를 식별하는 기법 - Google Patents
시각 검색 쿼리를 사용하여 물리적 객체를 식별하는 기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15044A KR20200115044A KR1020190176449A KR20190176449A KR20200115044A KR 20200115044 A KR20200115044 A KR 20200115044A KR 1020190176449 A KR1020190176449 A KR 1020190176449A KR 20190176449 A KR20190176449 A KR 20190176449A KR 20200115044 A KR20200115044 A KR 2020011504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hysical object
- component
- physical
- image
- typ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9
- 238000013528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3423 ankl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55 networ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870659 Crassula perfoliata var. minor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683 foo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062 neural network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2 week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06F16/5854—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using shape and object relationship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7—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 G06F16/24578—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using rank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2—Query formulation
- G06F16/434—Query formulation using image data, e.g. images, photos, pictures taken by a us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4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Bio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시각 검색 쿼리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물리적 객체를 검색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물리적 객체에 대한 인덱스 시스템을 생성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시각 검색 쿼리를 작성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시각 검색 쿼리이다.
도 8은 머신 판독가능 매체로부터 명령어를 판독하고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에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는 컴퓨팅 머신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면은 예시의 목적으로만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당업자는 다음 논의로부터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구조 및 방법의 대안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를 벗어나지 않고 이용될 수 있음을 쉽게 인식할 것이다.
Claims (20)
- 온라인 시스템에 의해, 복수의 물리적 객체를 설명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 각각의 물리적 객체는 물리적 객체 유형과 연관되고, 각각의 물리적 객체는 구성요소 세트를 포함하며, 각각의 구성요소는 구성요소 유형과 연관됨 - 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특정 물리적 객체 유형의 사양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물리적 객체 유형에 대응하는 구성요소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물리적 객체 유형의 물리적 객체에 대한 시각 검색 쿼리를 작성(building)하는 단계 - 상기 작성 단계는,
이미지 세트를 합성(composing)함으로써 상기 특정 물리적 객체 유형의 예시적인 물리적 객체의 디폴트 이미지를 구성하는 단계 - 각각의 이미지는 상기 구성요소 세트 중에서 디폴트 구성요소 유형과 연관된 구성요소를 디스플레이함 - 와,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상기 디폴트 이미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예시적인 물리적 객체의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수정하는 단계 - 상기 수정 단계는, 선택된 구성요소의 구성요소 유형을 수정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정된 구성요소 유형과 연관된 상기 선택된 구성요소의 이미지를 사용하여 상기 예시적인 물리적 객체의 이미지를 재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상기 재구성된 이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포함함 - 와,
상기 수정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상기 예시적인 물리적 객체의 설명에 기초하여 상기 시각 검색 쿼리를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함 - 와,
상기 시각 검색 쿼리에 매칭되는 구성요소를 갖는 물리적 객체 세트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상기 물리적 객체 세트를 설명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물리적 객체 유형마다, 상기 물리적 객체 유형의 물리적 객체의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해, 상기 물리적 객체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상기 구성요소의 위치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물리적 객체의 이미지를 구성하는 단계는 각각의 구성요소의 상기 저장된 위치에 따라 상기 물리적 객체의 구성요소의 이미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시스템에 의해, 상기 복수의 물리적 객체 각각의 표현을 구성요소 유형 세트에 매핑하는 인덱스를 저장하는 단계 - 상기 구성요소 유형 세트 각각은 상기 물리적 객체의 구성요소에 대응함 - 와,
상기 인덱스에 기초하여 상기 시각 검색 쿼리에 의해 지정된 상기 구성요소 유형 세트에 매칭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갖는 물리적 객체의 표현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신경망 기반 모델을 사용하여 상기 인덱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각각의 신경망 기반 모델은 물리적 객체를 설명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물리적 객체의 구성요소의 구성요소 유형을 예측하도록 구성되는
방법.
- 온라인 시스템에 의해 복수의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복수의 물리적 객체를 설명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각각의 물리적 객체는 물리적 객체 유형을 갖고, 각각의 물리적 객체는 구성요소 세트를 포함하며, 각각의 구성요소는 구성요소 유형을 가짐 - 와,
상기 온라인 시스템에 의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시각 검색 쿼리를 위한 특정 물리적 객체 유형의 사양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물리적 객체 유형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의 각각에 대해,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특정 구성요소 유형의 사양을 수신하는 단계와,
예시적인 물리적 객체의 이미지를 구성하는 단계 - 상기 예시적인 물리적 객체의 이미지는 상기 구성요소 세트로부터 각각의 구성요소의 이미지를 합성함으로써 획득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각각의 이미지는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특정 구성요소 유형의 사양에 대응함 - 와,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상기 예시적인 물리적 객체의 이미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시각 검색 쿼리에 의해 지정된 상기 물리적 객체와 매칭되는 구성요소를 갖는 물리적 객체를 식별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에 기초하여 물리적 객체 세트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상기 물리적 객체 세트를 설명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물리적 객체 유형마다, 상기 물리적 객체 유형의 물리적 객체의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해, 상기 물리적 객체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상기 구성요소의 위치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물리적 객체의 이미지를 구성하는 단계는 각각의 구성요소의 상기 저장된 위치에 따라 상기 물리적 객체의 구성요소의 이미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시스템에 의해, 상기 복수의 물리적 객체 각각의 표현을 구성요소 유형 세트에 매핑하는 인덱스를 저장하는 단계 - 상기 구성요소 유형 세트 각각은 상기 물리적 객체의 구성요소에 대응함 - 와,
상기 인덱스에 기초하여 상기 시각 검색 쿼리에 의해 지정된 상기 구성요소 유형 세트에 매칭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갖는 물리적 객체의 표현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는 물리적 객체를 설명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물리적 객체의 구성요소의 구성요소 유형을 예측하도록 트레이닝된 신경망 기반 모델을 사용하여 생성되는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객체를 설명하는 입력은,
상기 물리적 객체의 텍스트 설명,
상기 물리적 객체의 이미지, 또는
상기 객체를 설명하는 메타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시스템에 의해 상기 복수의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물리적 객체를 설명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물리적 객체 각각에 대해, 상기 물리적 객체를 설명하는 정보를 제공한 상기 외부 시스템을 식별하는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물리적 객체의 각각의 물리적 객체에 대해, 상기 물리적 객체의 상기 구성요소 세트와 연관된 값의 가중 조합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가중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물리적 객체의 순위를 정하는 단계와,
상기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복수의 물리적 객체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세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물리적 객체를 설명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물리적 객체 각각에 대한 인기 점수(popularity score)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인기 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물리적 객체의 순위를 정하는 단계와,
상기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복수의 물리적 객체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세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명령어를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는, 디스플레이 제조 시스템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복수의 물리적 객체를 설명하는 정보를 수신 - 각각의 물리적 객체는 물리적 객체 유형을 갖고, 각각의 물리적 객체는 구성요소 세트를 포함하며, 각각의 구성요소는 구성요소 유형을 가짐 - 하게 하고,
시각 검색 쿼리를 위한 특정 물리적 객체 유형의 사양을 수신하게 하며,
상기 물리적 객체 유형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각각에 대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특정 구성요소 유형의 사양을 수신하게 하고,
예시적인 물리적 객체의 이미지를 구성 - 상기 예시적인 물리적 객체의 이미지는 상기 구성요소 세트로부터 각각의 구성요소의 이미지를 합성함으로써 획득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각각의 이미지는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특정 구성요소 유형의 사양에 대응함 - 하게 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상기 예시적인 물리적 객체의 이미지를 전송하게 하고,
상기 시각 검색 쿼리에 의해 지정된 상기 물리적 객체와 매칭되는 구성요소를 갖는 물리적 객체를 식별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게 하며,
상기 요청에 기초하여 물리적 객체 세트를 식별하게 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상기 물리적 객체 세트를 설명하는 정보를 전송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각각의 물리적 객체 유형마다, 상기 물리적 객체 유형의 물리적 객체의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해, 상기 물리적 객체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상기 구성요소의 위치를 저장하게 하는 명령어를 더 저장하되,
상기 물리적 객체의 이미지를 구성하는 것은 각각의 구성요소의 상기 저장된 위치에 따라 상기 물리적 객체의 구성요소의 이미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복수의 물리적 객체 각각의 표현을 구성요소 유형 세트에 매핑하는 인덱스를 저장 - 상기 구성요소 유형 세트 각각은 상기 물리적 객체의 구성요소에 대응함 - 하게 하고,
상기 인덱스에 기초하여 상기 시각 검색 쿼리에 의해 지정된 상기 구성요소 유형 세트에 매칭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갖는 물리적 객체의 표현에 액세스하게 하는
명령어를 더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는 물리적 객체를 설명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물리적 객체의 구성요소의 구성요소 유형을 예측하도록 트레이닝된 신경망 기반 모델을 사용하여 생성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객체를 설명하는 입력은,
상기 물리적 객체의 텍스트 설명,
상기 물리적 객체의 이미지, 또는
상기 물리적 객체를 설명하는 메타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복수의 물리적 객체를 설명하는 정보를 수신하게 하고,
상기 물리적 객체를 설명하는 정보를 제공한 외부 시스템을 식별하는 메타데이터를 저장하게 하는
명령어를 더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복수의 물리적 객체의 각각의 물리적 객체에 대해, 상기 물리적 객체의 상기 구성요소 세트와 연관된 값의 가중 조합을 생성하게 하고,
상기 가중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물리적 객체의 순위를 정하게 하며,
상기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복수의 물리적 객체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세트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명령어를 더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복수의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물리적 객체를 설명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물리적 객체 각각에 대한 인기 점수를 결정하게 하고,
상기 인기 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물리적 객체의 순위를 정하게 하며,
상기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복수의 물리적 객체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세트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명령어를 더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862658598P | 2018-04-17 | 2018-04-17 | |
US16/364,091 US20200081912A1 (en) | 2018-04-17 | 2019-03-25 | Identifying physical objects using visual search query |
US16/364,091 | 2019-03-2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5044A true KR20200115044A (ko) | 2020-10-07 |
KR102301663B1 KR102301663B1 (ko) | 2021-09-14 |
Family
ID=69719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76449A KR102301663B1 (ko) | 2018-04-17 | 2019-12-27 | 시각 검색 쿼리를 사용하여 물리적 객체를 식별하는 기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200081912A1 (ko) |
KR (1) | KR10230166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993825B (zh) * | 2019-03-11 | 2023-06-20 | 北京工业大学 | 一种基于深度学习的三维重建方法 |
US12072925B2 (en) * | 2021-03-19 | 2024-08-27 | Google Llc | Visual search via free-form visual feature selection |
US12067425B2 (en) * | 2021-03-24 | 2024-08-20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sioning cloud computing resource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86639A (ko) * | 2017-01-23 | 2018-08-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
-
2019
- 2019-03-25 US US16/364,091 patent/US2020008191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9-12-27 KR KR1020190176449A patent/KR10230166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86639A (ko) * | 2017-01-23 | 2018-08-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01663B1 (ko) | 2021-09-14 |
US20200081912A1 (en) | 2020-03-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062073B2 (en) | System and method allowing social fashion selection in an electronic marketplace | |
US10929896B1 (en) |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opulating field identifiers from in-store product pictures or deep-linking to unified display of virtual and physical products when in store | |
US9607010B1 (en) | Techniques for shape-based search of content | |
JP2022534933A (ja) | ウェブ構築システムサービスにユーザフィードバックを統合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 |
WO2017118937A1 (en) | Webinterface generation and testing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 |
US9324102B2 (en) | System and method to retrieve relevant inventory using sketch-based query | |
US20120203760A1 (en) | Automatically obtaining real-time, geographically-relevant product information from heterogeneus sources | |
TW201118620A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dvanced search result page content | |
KR102301663B1 (ko) | 시각 검색 쿼리를 사용하여 물리적 객체를 식별하는 기법 | |
US20110022635A1 (en) | Method and System to Formulate Queries With Minivisuals | |
US11763376B2 (en) | System, manufacture, and method for efficiently identifying and segmenting product webpages on an eCommerce website | |
US10839431B1 (en) |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cross-marketing related products and services based on machine learning algorithms involving field identifier level adjacencies | |
US10152734B1 (en) |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mapping field identifiers from and to delivery service, mobile storefront, food truck, service vehicle, self-driving car, delivery drone, ride-sharing service or in-store pickup for integrated shopping, delivery, returns or refunds | |
CA2968974A1 (en) | Navigation control for network clients | |
CN107766853B (zh) | 一种图像的文本信息的生成、显示方法及电子设备 | |
US11488223B1 (en) | Modification of user interface based on dynamically-ranked product attributes | |
US10339195B2 (en) | Navigation control for network clients | |
KR20220019737A (ko) | 패션 상품 추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
US10963926B1 (en) |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opulating field identifiers from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s, or modifying or selecting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s or content based on values from field identifiers | |
KR20220044715A (ko) | 패션 상품 추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
JP2022514156A (ja) | 確率的アイテムマッチングおよび検索 | |
KR102378072B1 (ko) | 코디네이션 패션 아이템을 추천하는 방법 | |
TWI870955B (zh) | 用於媒體項目中之產品辨識之方法及非暫時性機器可讀儲存媒體 | |
US20240420205A1 (en) | Us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to optimize product search queries | |
US20240202795A1 (en) | Search with Machine-Learned Model-generated Queri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9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