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4207A -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나잘 캐뉼라 조립체 - Google Patents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나잘 캐뉼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4207A
KR20200114207A KR1020190035519A KR20190035519A KR20200114207A KR 20200114207 A KR20200114207 A KR 20200114207A KR 1020190035519 A KR1020190035519 A KR 1020190035519A KR 20190035519 A KR20190035519 A KR 20190035519A KR 20200114207 A KR20200114207 A KR 20200114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nula
nasal cannula
adhesive
exhal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5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5350B1 (ko
Inventor
박상익
Original Assignee
박상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익 filed Critical 박상익
Priority to KR1020190035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5350B1/ko
Publication of KR20200114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61M16/0666Nasal cannulas or tubing
    • A61M16/0672Nasal cannula assemblies for oxygen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21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operated by electrical means
    • A61M16/022Control means therefor
    • A61M16/024Control means therefor including calculation means, e.g. using a proces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61M16/0683Holding devices therefor
    • A61M16/0688Holding devices therefor by means of an adhes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51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with alarm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0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secured by using devices worn by the patient, e.g. belt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13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means specifically adapted to a part of the human body
    • A61M2025/022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means specifically adapted to a part of the human body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53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straps, bands or the like secured by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2Gases
    • A61M2202/0208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40Respiratory characteristics
    • A61M2230/43Composition of exhalation
    • A61M2230/432Composition of exhalation partial CO2 pressure (P-CO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40Respiratory characteristics
    • A61M2230/43Composition of exhalation
    • A61M2230/435Composition of exhalation partial O2 pressure (P-O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는 캐뉼라 홀 및 날숨 수집 구멍을 포함하는 고정판, 날숨 수집 구멍과 연통된 날숨 수집관, 인중 접촉부 및 인중 접촉부의 양 측부로 연장된 점착부를 포함한다. 나잘 캐뉼라를 안면에 고정하고 날숨을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Description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나잘 캐뉼라 조립체{ASSISTING APPARATUS FOR NASAL CANNULA AND NASAL CANNULA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나잘 캐뉼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나잘 캐뉼라를 안면에 고정할 수 있는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나잘 캐뉼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사고나 질병에 의해 호흡계의 활동이 정지되거나 약화된 환자의 경우, 인공호흡기를 통해 호흡을 강제 또는 보조하여 생명활동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전신마취 중 호흡기관의 활동이 감소되거나 정지될 때에도 인공호흡기를 통해 산소가 인체에 공급되어 생명활동이 유지될 수 있다.
비록 인공호흡기를 통해 인위적으로 폐포에 공기가 주입된다고 하더라도, 피시술자가 안정적인 생명활동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폐가 수축되면서 날숨이 방출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날숨 기체 성분 내의 이산화탄소량, 산소량 등은 인공호흡기를 통해 정상적인 호흡(산소의 흡수와 이산화탄소 등의 배출)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중요한 지표가 되며, 특히, 의식이 없거나 미약한 중환자의 경우 호흡의 이상 징후를 쉽게 관찰하기 어려운 바, 날숨의 빈도와 기체 조성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예를 들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53039호에는 인공 호흡기를 자동 제어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컨셉이 개시되어 있으나, 인공호흡기는 환자의 생명과 직결된 장치인 바, 이를 환자에게 안전하게 고정하고 호흡을 안정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더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53039호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나잘 캐뉼라를 안면에 고정하고 날숨을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안면에 효과적으로 고정되고 날숨을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나잘 캐뉼라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1. 나잘 캐뉼라가 삽입되는 캐뉼라 홀 및 날숨 수집 구멍을 포함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일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날숨 수집 구멍에 연통된 날숨 수집관;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아래로 꺾여 결합된 인중 접촉부; 및 상기 인중 접촉부의 양 측부로 연장되며 안면에 부착되는 점착부를 포함하는,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2. 위 1에 있어서, 상기 캐뉼라 홀은 나잘 캐뉼라의 직경에 대하여 ±5%의 직경을 갖는,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3. 위 1에 있어서, 상기 캐뉼라 홀의 직경은 나잘 캐뉼라의 직경의 1배 내지 0.95배인,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4. 위 1에 있어서, 상기 캐뉼라 홀은 상기 인중 접촉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2 이상의 구멍이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된 형상을 갖는,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5. 위 1에 있어서, 상기 날숨 수집 구멍은 상기 캐뉼라 홀보다 상기 인중 접촉부로부터 더 멀리 배치되는,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6. 위 1에 있어서, 상기 날숨 수집관은 상기 고정판과 직각으로 결합된,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7. 위 1에 있어서, 상기 인중 접촉부는 얼굴에 접촉되는 면의 반대 면에 점착제를 포함하는,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8. 위 1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는 테이프 또는 점착제를 통해 안면에 부착되는,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9. 위 1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는 양면에 각각 형성된 제1 점착제 및 제2 점착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점착제는 안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2 점착제는 나잘 캐뉼라를 고정하는,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10. 위 1에 있어서, 상기 인중 접촉부 및 상기 점착부 사이에 형성된 중개부를 더 포함하는,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11. 위 10에 있어서, 상기 중개부와 상기 인중 접촉부 사이에 제1 접힘 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중개부와 상기 점착부 사이에 제2 접힘 라인이 형성되는,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12. 위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둘레를 따라 소정 높이로 형성된 날숨 수집 벽을 더 포함하는,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13. 위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 상기 날숨 수집관, 상기 인중 접촉부 및 상기 점착부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EVA(Ethylene-Vinyl Acetate), 실리콘 및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tyrene-Butadiene Rubber, SB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14. 위 1에 있어서, 상기 날숨 수집관에 연결된 날숨 튜브를 더 포함하는,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15. 위 1의 나잘 캐뉼라 고정 장치; 및 상기 캐뉼라 홀을 관통하는 나잘 캐뉼라를 포함하는, 나잘 캐뉼라 조립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고정판은 캐뉼라 홀 및 날숨 수집 구멍을 포함한다. 나잘 캐뉼라의 나잘 프롱은 캐뉼라 홀을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날숨 수집 구멍을 통해 날숨이 수집되어 날숨의 빈도 및 성분(산소, 이산화탄소 등의 농도)가 측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캐뉼라 홀의 직경은 나잘 캐뉼라의 직경의 1배 내지 0.95배일 수 있다. 이 경우, 나잘 캐뉼라가 캐뉼라 홀에 끼워맞춰질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고정 부재를 마련하지 않고 나잘 캐뉼라를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및 안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캐뉼라 홀은 2개의 구멍이 부분적으로 중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나잘 캐뉼라를 2개의 구멍이 중첩된 형상의 적절한 위치에 삽입함으로써,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코에 적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점착부는 양면에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인중 접촉부는 얼굴에 접촉되는 면의 반대 면에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얼굴에 접촉되는 면의 반대 면에 마련된 점착제는 나잘 캐뉼라와 접합될 수 있다. 따라서, 나잘 캐뉼라를 안면에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나잘 캐뉼라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나잘 캐뉼라 조립체를 안면에 장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베이스 플레이트, 캐뉼라 홀 및 날숨 수집 구멍을 포함하는 고정판, 날숨 수집 구멍과 연통된 날숨 수집관, 인중 접촉부 및 인중 접촉부의 양 측부로 연장된 점착부를 포함하는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및 나잘 캐뉼라 조립체를 제공한다. 나잘 캐뉼라를 안면에 고정하고 날숨을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제시하나, 이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10)는 고정판(100), 날숨 수집관(140), 인중 접촉부(200) 및 점착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판(100)은 캐뉼라 홀(110), 날숨 수집 구멍(120) 및 날숨 수집 벽(13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판(100)은 나잘 캐뉼라(Nasal cannula)를 코 하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피착용자가 나잘 캐뉼라를 착용한 상태에서 움직이더라도, 나잘 캐뉼라가 비강 밖으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고정판(100)은 캐뉼라 홀(110) 및 날숨 수집 구멍(120)을 포함할 수 있다.
캐뉼라 홀(110)은 고정판(100)을 관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캐뉼라 홀(110)은 고정판(100)의 두께 방향으로 개방된 것일 수 있다. 캐뉼라 홀(110)에는 나잘 캐뉼라가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나잘 캐뉼라의 위치는 캐뉼라 홀(110)이 형성된 영역으로 제한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캐뉼라 홀(110)의 직경은 나잘 캐뉼라의 직경(외경)에 대하여 ±5%의 범위일 수 있다. 따라서, 나잘 캐뉼라가 움직일 수 있는 영역이 제한되고, 나잘 캐뉼라가 고정판(100)에 고정될 수 있다. 캐뉼라 홀(110)의 직경이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나잘 캐뉼라의 유동이 심해질 수 있으며, 피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나잘 캐뉼라가 비강 밖으로 이탈될 수 있다. 캐뉼라 홀(110)의 직경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나잘 캐뉼라를 캐뉼라 홀(110)에 삽입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또한, 나잘 캐뉼라를 캐뉼라 홀(110)에 삽입하더라도, 나잘 캐뉼라의 내부 유로가 폐쇄되어 산소 공급량이 감소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캐뉼라 홀(110)은 나잘 캐뉼라 직경(외경)의 1배 내지 0.95배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나잘 캐뉼라가 캐뉼라 홀(110)을 실질적으로 완전히 채우거나, 캐뉼라 홀(110)에 (강제로) 끼워맞춰질 수 있다. 따라서, 다른 고정 부재(예를 들면, 점착 부재 등) 없이 나잘 캐뉼라가 고정판(100)에 고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캐뉼라 홀(110)은 적어도 2개 이상의 구멍이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구멍들은 인중 접촉부(2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나잘 캐뉼라는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구멍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거나, 상기 구멍들이 중첩된 영역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피착용자의 다양한 코 형상에 의해 나잘 캐뉼라의 위치가 변화하더라도, 나잘 캐뉼라를 고정판(100)에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구멍들이 중첩된 영역의 양 측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캐뉼라 홀(110)에 삽입된 나잘 캐뉼라를 압박할 수 있다. 따라서, 나잘 캐뉼라와 상기 돌출부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여 나잘 캐뉼라가 캐뉼라 홀(110)에 보다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캐뉼라 홀(110)은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나잘 캐뉼라의 나잘 프롱 2개가 각각 2개의 캐뉼라 홀(110)에 삽입될 수 있다.
날숨 수집 구멍(120)은 고정판(100)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날숨 수집 구멍(120)은 날숨 수집관(140)과 연통될 수 있다. 날숨 수집 구멍(120)은 코에서 방출된 날숨을 수집하고 날숨 수집관(140)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날숨 수집 구멍(120)은 캐뉼라 홀(110)을 기준으로 인중 접촉부(200)가 배치된 측의 반대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날숨 수집 구멍(120)은 안면을 기준으로 캐뉼라 홀(110) 보다 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캐뉼라 홀(110)에 삽입된 나잘 캐뉼라에 의한 방해 없이, 효과적으로 날숨을 수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날숨 수집 구멍(120)은 양 비강과 거리가 동일한 점의 연장선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날숨 수집 구멍(120)은 양 비강으로부터의 거리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피착용자의 비강 구조의 차이 및 비강 내 이물질 여부 등에 의해 양 비강에서 흡입 및 배출되는 기체의 양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날숨 수집 구멍(120)이 양 비강으로부터의 거리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경우, 하나의 날숨 수집 구멍(120)으로도 효과적으로 날숨을 수집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고정판(100)은 날숨 수집 벽(130)을 포함할 수 있다. 날숨 수집 벽(130)은 고정판(100)의 둘레를 따라 소정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날숨 수집 벽(130)은 날숨 수집관(140)이 배치된 면의 반대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날숨 수집 벽(130)은 비강에서 배출된 날숨이 퍼지는 경로의 일부를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날숨이 고정판(100) 상부에 머무는 시간이 증가할 수 있으며, 상기 날숨이 날숨 수집 구멍(120)으로 흐르는 유량이 증가할 수 있다.
날숨 수집관(140)은 고정판(100)의 일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날숨 수집관(140)은 날숨 수집 구멍(120)에 연결될 수 있다. 날숨 수집 구멍(120)으로 수집된 날숨은 날숨 수집관(140)을 통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날숨 수집관(140)은 고정판(100)과 직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직각은 실질적으로 직각인 관계를 의미하며, 수학적인 직각(각도 90°) 관계에서 ±10° 정도의 각도 범위를 포괄할 수 있다.
날숨 수집관(140)이 고정판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형성될 경우, 날숨이 날숨 수집 구멍(120)으로 수집되는 방향과 날숨 수집관(140)의 연장 방향이 실질적으로 일치할 수 있다. 따라서, 날숨의 흐름이 보다 원활해 짐으로써, 날숨이 측정부에 도달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날숨이 미량이더라도 측정부에 효과적으로 도달할 수 있다.
인중 접촉부(200)는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10)를 착용할 때, 인중에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중 접촉부(2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인중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접촉은 실질적인 접촉을 의미하며, 안면의 굴곡 또는 체모에 의해 인중 접촉부(200)가 부분적으로 안면에서 이격된 것을 포괄한다.
인중 접촉부(200)는 고정판(100)으로부터 아래로 꺾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중 접촉부(200)는 고정판(100)과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직각은 실질적으로 직각인 관계를 의미하며, 수학적인 직각(각도 90°) 관계에서 ±10° 정도의 각도 범위를 포괄할 수 있다. 따라서, 인중 접촉부(200)는 고정판(100)을 지지하여 비강의 연통 방향을 가로막는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비교예에 있어서, 인중 접촉부(200)는 안면과 접촉하는 면에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착용자가 성인 남성일 경우, 인중에 굵은 콧수염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점착제는 상기 콧수염과 접합될 수 있다. 따라서, 피착용자의 불편을 야기할 수 있으며,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10)를 떼어낼 때 상기 콧수염을 손상시키고 고통 및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인중 접촉부(200)는 안면과 접촉하는 면에 점착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인중 접촉부(200)는 얼굴에 접촉되는 면의 반대 면에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는 나잘 캐뉼라의 몸체를 인중 접촉부(200)와 접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나잘 캐뉼라가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10) 및 얼굴에 보다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점착부(210)는 인중 접촉부(200)의 양 측부로 연장될 수 있다. 점착부(210)는 안면에 부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점착부(210)는 안면에 접촉하는 면에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는 점착부(210)를 안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10)가 안면에 전체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점착부(210)는 테이프에 의해 안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점착부(210)는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얼굴과 접촉 면적이 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점착부(210)는 양면에 각각 형성된 제1 점착제 및 제2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점착제는 점착부(210)를 얼굴에 부착시키고, 상기 제2 점착제는 나잘 캐뉼라를 점착부(210)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나잘 캐뉼라가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10)에 고정되는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피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한 나잘 캐뉼라의 유동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점착부(210) 또는 인중 접촉부(200)의 적어도 일 면에 포함되는 상기 점착제는 하이드로 겔 또는 하이드로 콜로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폴리아크릴레이트, 실리콘,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알코올,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젤라틴 등의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인중 접촉부(200)와 점착부(210) 사이에 중개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중개부(220)는 예를 들면, 접힘 라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중 접촉부(200)에 대하여 점착부(210)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점착부(210)가 평탄하고 넓은 영역에 위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점착부(210)가 안면에 보다 강하게 부착되도록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개부(2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접힘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중개부(220) 및 인중 접촉부(200) 사이에 제1 접힘 라인이 형성되고, 중개부(220) 및 점착부(210) 사이에 제2 접힘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개부(220)는 상기 제1 접힘 라인 및 제2 접힘 라인 각각을 중심으로 서로 같은 방향 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따라서, 안면의 다양한 굴곡에 대응하여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10)를 안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나잘 캐뉼라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설명한 부재와 동일한 부재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나잘 캐뉼라 조립체는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10) 및 나잘 캐뉼라(300)를 포함할 수 있다.
나잘 캐뉼라(300)는 피착용자에게 산소를 공급하는 튜브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나잘 캐뉼라(300)는 공기 유로관으로 제공되는 몸체부 중앙에 나잘 프롱(310)을 포함할 수 있다. 나잘 프롱(310)은 비강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나잘 프롱(310)은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10)의 캐뉼라 홀(110)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나잘 캐뉼라(300)가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10)에 고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날숨 수집관(140)은 날숨 튜브(150)와 연결될 수 있다. 날숨 튜브(150)는 공기를 전송하는 부재가 비제한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날숨 수집 구멍(120) 및 날숨 수집관(140)으로 수집된 날숨이 날숨 튜브(150)를 통해 측정부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측정부에서는 날숨의 빈도 및/또는 날숨의 성분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는 날숨의 빈도 및 기체 성분을 분석할 수 있는 장치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감지된 날숨 빈도 및 기체 성분의 조성(특히, 산소 또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분석하여, 의식이 없거나 빈약한 피착용자가 인공호흡기를 통해 안정적으로 호흡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고정판(100), 날숨 수집관(140), 인중 접촉부(200) 및/또는 점착부(210)는 가요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안면 부착 시, 소정의 변형이 가능하여 안면의 굴곡에 따라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10)가 얼굴에 보다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고정판(100), 날숨 수집관(140), 인중 접촉부(200) 및 점착부(21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소재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EVA(Ethylene-Vinyl Acetate), 실리콘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tyrene-Butadiene Rubber, SBR)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TPU, EVA, SBR 및 실리콘은 안면의 굴곡에 따라 변형될 수 있는 적절한 가요성을 가지면서도 뛰어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TPU, EVA, SBR 및 실리콘으로 의료 등급의 소재가 사용됨으로써, 안면 피부에 대하여 염증 등의 질환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나잘 캐뉼라 조립체를 안면에 장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10)는 도 4와 같이 안면에 장착될 수 있으며,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10)에 나잘 캐뉼라(300) 및 날숨 튜브(150)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피착용자가 움직이더라도 나잘 캐뉼라(300) 및 날숨 튜브(150)가 분리되지 않고 산소 공급 및 날숨 분석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잘 캐뉼라(300)는 귀에 걸려서 장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10)는 안면에 접촉하는 면의 반대 면에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점착제가 나잘 캐뉼라(300)와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10)를 접할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나잘 캐뉼라(300)의 코와 귀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10)에 의해 안면에 밀착될 수 있으며, 나잘 캐뉼라(300)의 유동이 현저히 감소할 수 있다.
날숨은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10)의 날숨 수집관(140)에서 수집되어 날숨 튜브(150)를 통해 측정부로 이동할 수 있다. 측정부는 날숨의 빈도, 조성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정부는 날숨 감지 결과로서 피삽관자가 정상 호흡을 하는지 분석하는 호흡 분석기를 구비할 수 있으며, 호흡 분석 결과 이상으로 판정되면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 발생기를 구비할 수 있다.
나잘 캐뉼라(300)는 산소 공급기와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산소 공급기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산소 공급기는 날숨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산소 공급기의 기체 조성이나 기체 공급 빈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10: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100: 고정판 110: 캐뉼라 홀
120: 날숨 수집 구멍 130: 날숨 수집 벽
140: 날숨 수집관 150: 날숨 튜브
200: 인중 접촉부 210: 점착부
220: 중개부
300: 나잘 캐뉼라 310: 캐뉼라 프롱

Claims (15)

  1. 나잘 캐뉼라가 삽입되는 캐뉼라 홀 및 날숨 수집 구멍을 포함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일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날숨 수집 구멍에 연통된 날숨 수집관;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아래로 꺾여 결합된 인중 접촉부; 및
    상기 인중 접촉부의 양 측부로 연장되며 안면에 부착되는 점착부를 포함하는,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뉼라 홀은 나잘 캐뉼라의 직경에 대하여 ±5%의 직경을 갖는,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뉼라 홀의 직경은 나잘 캐뉼라의 직경의 1배 내지 0.95배인,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뉼라 홀은 상기 인중 접촉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2 이상의 구멍이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된 형상을 갖는,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날숨 수집 구멍은 상기 캐뉼라 홀보다 상기 인중 접촉부로부터 더 멀리 배치되는,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날숨 수집관은 상기 고정판과 직각으로 결합된,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중 접촉부는 얼굴에 접촉되는 면의 반대 면에 점착제를 포함하는,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는 테이프 또는 점착제를 통해 안면에 부착되는,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는 양면에 각각 형성된 제1 점착제 및 제2 점착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점착제는 안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2 점착제는 나잘 캐뉼라를 고정하는,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중 접촉부 및 상기 점착부 사이에 형성된 중개부를 더 포함하는,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중개부와 상기 인중 접촉부 사이에 제1 접힘 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중개부와 상기 점착부 사이에 제2 접힘 라인이 형성되는,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둘레를 따라 소정 높이로 형성된 날숨 수집 벽을 더 포함하는,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 상기 날숨 수집관, 상기 인중 접촉부 및 상기 점착부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EVA(Ethylene-Vinyl Acetate), 실리콘 및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tyrene-Butadiene Rubber, SB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날숨 수집관에 연결된 날숨 튜브를 더 포함하는,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15. 청구항 1의 나잘 캐뉼라 고정 장치; 및
    상기 캐뉼라 홀을 관통하는 나잘 캐뉼라를 포함하는, 나잘 캐뉼라 조립체.
KR1020190035519A 2019-03-28 2019-03-28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나잘 캐뉼라 조립체 KR102245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519A KR102245350B1 (ko) 2019-03-28 2019-03-28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나잘 캐뉼라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519A KR102245350B1 (ko) 2019-03-28 2019-03-28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나잘 캐뉼라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207A true KR20200114207A (ko) 2020-10-07
KR102245350B1 KR102245350B1 (ko) 2021-04-27

Family

ID=72883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5519A KR102245350B1 (ko) 2019-03-28 2019-03-28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나잘 캐뉼라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535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74724A1 (en) * 2005-09-30 2007-04-05 Steven Duquette Venturi geometry design for flow-generator patient circuit
JP2014213123A (ja) * 2013-04-30 2014-11-17 株式会社 メディカル プロジェクト 医療用チューブの固定器具
KR20170018560A (ko) * 2015-08-10 2017-02-20 안종요 의료용 비위관의 삽관 거치기구
KR101853039B1 (ko) 2011-04-04 2018-04-27 주식회사 멕 아이씨에스 인공 호흡기 자동 제어 방법
KR101915929B1 (ko) * 2018-02-01 2018-11-06 이광우 산소 공급과 호기말 이산화탄소 분압 측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나잘 캐뉼라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74724A1 (en) * 2005-09-30 2007-04-05 Steven Duquette Venturi geometry design for flow-generator patient circuit
KR101853039B1 (ko) 2011-04-04 2018-04-27 주식회사 멕 아이씨에스 인공 호흡기 자동 제어 방법
JP2014213123A (ja) * 2013-04-30 2014-11-17 株式会社 メディカル プロジェクト 医療用チューブの固定器具
KR20170018560A (ko) * 2015-08-10 2017-02-20 안종요 의료용 비위관의 삽관 거치기구
KR101915929B1 (ko) * 2018-02-01 2018-11-06 이광우 산소 공급과 호기말 이산화탄소 분압 측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나잘 캐뉼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5350B1 (ko) 202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2001B2 (ja) カプノグラフィーモニタリングポートを有する酸素フェイスマスク
US10105099B2 (en) Nasal and oral patient interfaces
JP2020014943A (ja) 換気デバイス及び関係する部品並びに方法
US20040015092A1 (en) Apparatus and method
US20160038709A1 (en) Oxygen face mask and component system
US20100163043A1 (en) Self-contained oral ventilation device
US20150217075A1 (en) Oxygen mask with means to sample expired gases
US6913017B2 (en) Apparatus for delivering inhalant and monitoring exhaled fluid, method of making same, and method of delivering inhalant and monitoring exhaled fluid
US11779724B2 (en) Respiration sensor attachment device
US20170095630A1 (en) Oxygen Port Nasal Cannula
KR102245350B1 (ko)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나잘 캐뉼라 조립체
KR101915929B1 (ko) 산소 공급과 호기말 이산화탄소 분압 측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나잘 캐뉼라 장치
CN214807652U (zh) 一种具有二氧化碳监测口的氧气鼻罩
CN219231098U (zh) 呼吸面罩
CN217472534U (zh) 一种可监测呼末的吸氧面罩
CN209316755U (zh) 无创呼吸面罩
CN209826731U (zh) 一种睡眠呼吸障碍检测装置
JP2022134418A (ja) 鼻呼吸測定装置
CN116492553A (zh) 一种呼吸检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