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4128A - 노년층의 안전 관리를 위한 알림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노년층의 안전 관리를 위한 알림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4128A
KR20200114128A KR1020190035330A KR20190035330A KR20200114128A KR 20200114128 A KR20200114128 A KR 20200114128A KR 1020190035330 A KR1020190035330 A KR 1020190035330A KR 20190035330 A KR20190035330 A KR 20190035330A KR 20200114128 A KR20200114128 A KR 20200114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safety
notification syste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5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디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디어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디어인
Priority to KR1020190035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4128A/ko
Publication of KR20200114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1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 G08B3/1033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with voice message aler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년층의 안전 관리를 위한 알림 시스템은,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한 제1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의 안전 및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관리자가 사용하기 위한 제2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모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제1 단말기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 센서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적어도 문턱 기간 동안 감지되지 않는 제1 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1 단말기를 사용자 확인 모드로 진입시키고, 알림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생성된 상기 알림 신호를 상기 제2 단말기로 전송한다.

Description

노년층의 안전 관리를 위한 알림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NOTIFICATION SYSTEM FOR SAFETY MANAGEMENT OF ELDERLY PEOPL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노년층의 안전 관리를 위한 알림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특히 노년층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알림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 사회가 초 고령화 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혼자 거주하는 독거 노인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독거 노인들은 응급 상황이 발생하거나 신변에 위험이 발생하는 경우, 외부인이 알기 쉽지 않고, 독거 노인들이 별도의 보호자가 없어 제대로 관리 받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방지 하기 위하여 국가나 여러 사회 단체에서 독거 노인의 건강 상태 및 안전 상황을 체크하고 관리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현실적인 인력과 지원 시스템이 부족한 실정이다.
한편,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독거 노인의 가정에 다양한 센서들을 배치하여 독거 노인의 거주 상황을 감지하는 다양한 방안들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5G 기술을 비롯한 통신 네트워크의 발달로 통신 속도가 고속화되고 지연 시간이 획기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초저 지연시간(super low delay)에 기반한 사람-장치 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지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7-0077708호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2017.07.06.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1607032호 '위급문자 발송시스템'(2016.03.28.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노년층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노년층의 안전 관리를 위한 알림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년층의 안전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노년층의 안전 관리를 위한 알림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년층의 안전 관리를 위한 알림 시스템은,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한 제1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의 안전 및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관리자가 사용하기 위한 제2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모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제1 단말기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 센서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적어도 문턱 기간 동안 감지되지 않는 제1 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1 단말기를 사용자 확인 모드로 진입시키고, 알림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생성된 상기 알림 신호를 상기 제2 단말기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용자 확인 모드에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사용자의 안전 상태를 상기 사용자에게 직접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확인 창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확인 창을 통해 안전 확인을 입력받는 경우, 안전 확인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생성된 상기 안전 확인 신호를 상기 제2 단말기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1 단말기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행동 패턴을 취함으로써, 상기 안전 확인을 입력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기 위한 촬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촬영부를 통해 얼굴을 인식시킴으로써, 상기 안전 확인을 입력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촬영부를 통해 기설정된 QR 코드를 촬영함으로써, 상기 안전 확인을 입력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며,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고, 외부 소리를 증폭률에 따라 증폭시키기 위한 보조 장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소리를 생성하기 위한 스피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스피커부를 통해 상기 메시지의 내용을 출력하고, 상기 보조 장치의 상기 증폭률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조절 신호를 상기 보조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보조 장치는, 상기 조절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증폭률을 제1 증폭 값으로부터 제2 증폭 값으로 변경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증폭 값은, 상기 제1 증폭 값보다 크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조 장치는, 상기 증폭률을 변경하기 전에 진동 패턴에 따라 진동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에게 증폭률 변경을 예고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체온 및 체온을 포함하는 상기 생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체온 및 체온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개별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1 단말기를 관리자 확인 모드로 진입시키고, 상기 관리자 확인 모드에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개별 정보의 확인 여부를 상기 사용자에게 직접 확인하기 위한 수신 확인 창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수신 확인 창을 통해 수신 확인을 입력받는 경우, 수신 확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수신 확인 신호를 상기 제2 단말기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모션 센서는,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년층의 안전 관리를 위한 알림 시스템은,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한 제1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의 안전 및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관리자가 사용하기 위한 제2 단말기를 포함하고, 알림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단말기의 센서부에 포함된 모션 센서가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감지를 시작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의 제어부가, 상기 모션 센서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적어도 문턱 기간 동안 감지되지 않는 제1 상황이 발생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1 단말기를 사용자 확인 모드로 진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확인 모드로 진입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알림 신호를 상기 제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용자 확인 모드로 진입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의 표시부가, 상기 사용자의 안전 상태를 상기 사용자에게 직접 확인받기 위한 사용자 확인 창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확인 창을 통해 안전 확인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안전 확인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안전 확인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안전 확인 신호를 상기 제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안전 확인을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단말기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행동 패턴을 취함으로써, 상기 안전 확인을 입력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알림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며,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고, 외부 소리를 증폭률에 따라 증폭시키기 위한 보조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외부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단말기의 스피커부를 통해 상기 메시지의 내용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보조 장치의 상기 증폭률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조절 신호를 상기 보조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보조 장치가, 진동 패턴에 따라 진동하는 단계; 및 상기 보조 장치가, 상기 조절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증폭률을 제1 증폭 값으로부터 제2 증폭 값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증폭 값은, 상기 제1 증폭 값보다 크다.
본 발명의 노년층의 안전 관리를 위한 알림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은 노년층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노년층의 안전 관리를 위한 알림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은 노년층의 안전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림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림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확인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림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림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확인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림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그 밖에 당업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상세히 기재한다. 다만,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하기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표현 여부에 불구하고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림 시스템(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알림 시스템(10)은 노년층의 건강 및 안전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알림 시스템(10)은 제1 단말기(100), 제2 단말기(200), 보조 장치(300) 및 이동 경로 저장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는 사용자(예컨대, 노년층)사 사용하기 위한 단말 장치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단말기(100)는 스마트 장치(예컨대,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웨어러블 장치) 또는 소형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범위 내에서 제1 단말기(100)는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은 도 2 및 도 3에서 설명된다.
제2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안전 및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관리자(예컨대, 후견인, 관리 책임자, 복지 사무원 등)가 사용하기 위한 단말 장치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단말기(200)는 상술한 제1 단말기(100)로 구현 가능한 장치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장치(300)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장치로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장치(300)는 노년층이 보다 소리를 잘 듣기 위해 외부에서 발생한 소리를 증폭시켜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보조 장치(300)는 보청기, 골전도 스피커 장치 및 무선 이어폰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범위 내에서 보조 장치(300)는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장치(3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은 도 4에서 설명된다.
이동 경로 저장 장치(40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시간대 별로 분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이동 경로 저장 장치(400)는 제1 단말기(100) 또는 보조 장치(300)로부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동 경로 저장 장치(400)는 시간대 별로 사용자의 위치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추출하고,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동 경로 저장 장치(400)는 별도의 저장 서버로 구현되거나, 제1 단말기(100) 또는 제2 단말기(200)와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 제2 단말기(200), 보조 장치(300) 및 이동 경로 저장 장치(400) 중 적어도 둘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데이터 및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네트워크는 유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유선 네트워크는 라피넷(RAPIEnet), 이더넷(Ethernet), 프로피넷(profinet)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는 LTE(Long Term Evolution)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Zigbee), 쓰레드(Thread), 와이파이(WiFi),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로라(LoRa)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1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단말기(100)는 사용자(예컨대, 노년층)사 사용하기 위한 단말 장치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단말기(100)는 센서부(110), 통신부(120), 제어부(130), 표시부(140), 촬영부(150), 위치 측정부(160) 및 스피커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모션 센서(111)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모션 센서(111)는 제1 단말기(100)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및 제1 단말기(100)의 이동 가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모션 센서(111)를 통해 제1 단말기(100)를 소지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10)는 온도 센서(113), 습도 센서(114), 근접 센서(115) 및 조도 센서(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113)는 외부 환경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온도 센서(113)는 온도에 따른 저항값 변화를 기초로 온도를 측정하는 저항형 온도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습도 센서(114)는 외부 환경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습도 센서(114)는 습도에 따른 정전 용량 값의 변화를 기초로 습도를 측정하는 정전 용량형 습도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근접 센서(115)는 사용자와 제1 단말기(100)와의 근접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근접 센서(115)는 자기장을 발산하여 자기장 변화에 따라 사용자와의 근접도를 측정하는 자기장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조도 센서(116)는 외부 환경의 밝기를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조도 센서(116)는 외부 광의 세기에 따라 내부 전류 세기 변화를 측정하는 황화 카드뮴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1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제2 단말기(200, 도 1 참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120)는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2 단말기(200), 보조 장치(300) 및 이동 경로 저장 장치(400) 각각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1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안전 상황을 체크하고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140)는 사용자에게 안전 상황을 체크할 수 있는 UX 및 UI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140)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또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ssion Display Panel) 등의 모든 종류의 표시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촬영부(150)는 외부 환경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고, 특히,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촬영부(150)는 이미지 촬영을 위한 카메라 및 얼굴 인식 기능을 위한 영상 분석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위치 측정부(160)는 제1 단말기(100)의 위치를 측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위치 측정부(16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에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GPS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스피커부(170)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스피커부(170)는 복수의 스피커(speaker)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단말기(10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제2 단말기(200)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제2 단말기(200)는 관리자를 위한 단말 장치로서, 제1 단말기(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장치(3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조 장치(300)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장치(300)는 외부 소리를 증폭률에 따라 증폭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보조 장치(300)는 소리 수신부(310), 소리 증폭부(320), 소리 출력부(330), 생체 센서부(340), 진동부(350), 통신부(360), 및 위치 측정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소리 수신부(310)는 외부 소리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소리 수신부(310)는 마이크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소리 증폭부(320)는 소리 수신부(310)에 수신된 소리를 증폭률에 따라 증폭시킬 수 있다. 예컨대, 증폭률은 제어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소리 출력부(330)는 소리 증폭부(320)에 의해 증폭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소리 출력부(330)는 스피커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보조 장치(300)는 사용자의 귀에 위치하여 외부 소리를 증폭하여 출력함으로써, 난청 증상이 있는 노년층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생체 센서부(340)는 사용자의 체온 및 맥박을 감지하고, 체온 및 맥박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생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30, 도 2 참조)는 생체 정보에 포함된 체온 및 맥박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진동부(350)는, 사용자에게 진동의 감각을 전달하기 위하여, 진동 패턴에 따라 진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진동부(350)는 진동 모터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360)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36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제1 단말기(100, 도 1 참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측정부(370)는 보조 장치(300)의 위치를 측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위치 측정부(37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에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GPS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구체적인 구성에 따라, 알림 시스템(10)은 아래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알림 시스템(10)의 복수의 동작들 중 어느 하나로, 제1 단말기(100)에 의해 사용자의 움직임이 장기간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200)로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제1 상황이 발생한 경우, 제1 단말기(100)를 사용자 확인 모드로 진입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상황은, 모션 센서(111)에 의해 사용자의 움직임이 적어도 문턱 기간 동안 감지되지 않는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문턱 기간은 기 설정된 기간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결정된 기간일 수 있다. 예컨대, 문턱 기간은 시간대별로 변화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잠이 드는 밤 시간대에는 문턱 기간이 12시간 이상으로 설정되고, 활동을 시작하는 낮 시간대에는 6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문턱 기간이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 확인 모드에서, 제어부(130)는 알림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120)를 통해 제2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사용자가 장기간 이동이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상태 또는 위험 상황을 체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확인 모드에서, 표시부(140)는 사용자의 안전 상태를 사용자에게 직접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확인창을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확인 창을 통해 안전 확인을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안전 확인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120)를 통해 제2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사용자가 장기간 이동이 없음에도 건강 또는 안전 상태에 이상이 없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제1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행동 패턴(예컨대, 3회 좌우로 흔들기, 원형 그리기 등)을 취함으로써, 안전 확인을 입력할 수 있다. 모션 센서(111)는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130)는 행동 패턴이 인식되는 경우, 안전 확인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는 자신의 안전 상태에 이상이 없음을 별도의 입력 과정 없이 직관적으로 입력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제1 단말기(100)의 촬영부(150)를 통해 얼굴을 인식함으로써, 안전 확인을 입력할 수 있다. 촬영부(150)는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얼굴이 인식되는 경우, 안전 확인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는 자신의 안전 상태에 이상이 없음을 별도의 입력 과정 없이 직관적으로 입력함으로써, 본 발명의 알림 시스템(10)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촬영부(150)는 사용자의 표정을 분석하여, 위급 상황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표정이 찡그림 또는 고통을 나타내는 경우, 촬영부(150)는 이를 분석하고, 제어부(130)는 촬영부(150)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위급 상황에 처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의 표정이 밝음 또는 미소를 나타내는 경우, 촬영부(150)는 이를 분석하고, 제어부(130)는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안전 상황임을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는 자신의 안전 상태에 이상이 없음 또는 위험 상황임을 별도의 입력 과정 없이 직관적으로 입력함으로써, 본 발명의 알림 시스템(10)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촬영부(150)를 통해 다양한 주변 사물(예컨대, 신분증, TV, 가구, 컴퓨터 등)에 부착되어 있는 코드(예컨대, QR 코드 등)를 촬영함으로써, 안전 확인을 입력할 수 있다. 촬영부(150)는 코드를 촬영하고, 제어부(130)는 코드의 내용에 따라 사용자의 상태(예컨대, TV 시청중, 외출중, 위급 상황 등)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다양한 상황을 입력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알림 시스템(10)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알림 시스템(10)의 복수의 동작들 중 다른 어느 하나로, 제1 단말기(100)는 외부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스피커부(170)를 통해 메시지의 내용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단말기(100)는 메시지의 내용, 발신자, 수신 시간 등의 내용을 스피커부(170)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별도의 동작없이 용이하게 내용을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보조 장치(300)의 증폭률을 조절하기 위해, 조절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통신부(120)를 통해 조절 신호를 보조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보조 장치(300)는 조절 신호에 기초하여, 증폭률을 제1 증폭 값으로부터 제2 증폭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증폭 값은 제1 증폭 값보다 클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난청 증상이 있는 사용자는 보다 메시지의 내용을 더 잘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장치(300)는 조절 신호에 기초하여, 진동부(350)를 통해 진동할 수 있다. 즉, 보조 장치(300)는 증폭률을 변경하기 전에 진동 패턴에 따라 진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증폭률 변경을 예고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갑작스러운 증폭률 변경으로 사용자에게 쇼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알림 시스템(10)의 복수의 동작들 중 다른 어느 하나로, 제1 단말기(100)가 제2 단말기(200)로부터 개별 정보(예컨대, 사용자 개개인에 대한 건강 정보 등)를 수신하는 경우, 제1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개별 정보에 대한 수신 여부를 제2 단말기(200)로 피드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제2 상황이 발생한 경우, 제1 단말기(100)를 관리자 확인 모드로 진입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상황은, 제2 단말기(200)로부터 개별 정보를 수신하는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관리자 확인 모드에서, 표시부(140)는 사용자의 개별 정보 확인 여부를 사용자에게 직접 확인 받기 위한 수신 확인 창을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수신 확인 창은 "수신 확인" 버튼을 포함할 수 있어, 사용자는 이를 클릭하여 수신 확인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수신 확인이 입력되는 경우, 수신 확인 신호를 생성하고, 통신부(120)를 통해 제2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관리자는 전송된 개별 정보를 명확하게 수신 및 확인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알림 시스템(10)의 복수의 동작들 중 다른 어느 하나로, 사용자의 이동 경로가 통상의 이동 경로와 매치되지 않는 경우,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200)로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제3 상황이 발생한 경우, 제1 단말기(100)를 사용자 확인 모드로 진입시킬 수 있다. 이때, 제3 상황은, 이동 경로 저장 장치(400)에 저장된 사용자 이동 경로와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매치되지 않는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확인 모드는 상술한 내용과 같다.
이동 경로 저장 장치(400)는 시간대별 및 요일별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이동 경로 저장 장치(400)에 저장된 위치 정보와 상이한 경우, 제어부(130)는 관리자에게 이를 통지하고 사용자 확인 모드를 통해 사용자의 상태에 이상이 없음을 확인 받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림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는 제1 단말기(100)에 의해 사용자의 움직임이 장기간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200)로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가 도시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센서부(110)에 포함된 모션 센서(111)는 사용자의 움직임 감지를 시작할 수 있다(S10). 즉, 모션 센서(111)는 자이로 센서(1111) 및 가속도 센서(1112)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즉, 노년층)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모션 센서(111)에 의해 사용자의 움직임이 적어도 문턱 기간 동안 감지되지 않는 제1 상황이 발생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장기간 제1 단말기(100)를 사용하지 않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기간이 얼마나 되는지 측정하고, 측정된 시간을 기 설정된 기간인 문턱 기간과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1 상황이 발생한 경우(S12의 YES), 제1 단말기(100)를 사용자 확인 모드로 진입시킬 수 있다(S13).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문턱 기간 이상 제1 단말기(100)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사용자의 안전을 확인하기 위하여 제1 단말기(100)를 사용자 확인 모드로 진입시킬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1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 감지를 시작하는 단계(S10)로 진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제1 단말기(100)를 계속해서 사용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모선 센서(111)를 이용하여 계속해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확인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는 도 5에 도시된 제1 단말기(100)를 사용자 확인 모드로 진입시키는 단계(S13)를 나타내는 순서도가 도시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한 상태 확인 요청을 나타내는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131).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움직임 상태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통신부(120)를 통하여, 알림 신호를 제2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S132). 즉, 제어부(130)는 생성된 알림 신호를 관리자의 제2 단말기(200)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안전 확인이 필요한 상황임을 알릴 수 있다.
표시부(140)는 사용자의 안전 상태를 사용자에게 직접 확인 받기위한 사용자 확인 창을 표시할 수 있다(S133). 즉, 표시부(140)는 사용자가 스스로 안전 상태임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창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확인 창을 통해 안전 확인의 입력을 대기할 수 있다(S134).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안전 확인이 입력될 때 까지 대기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안전 확인이 입력된 경우(S135의 YES), 제어부(130)는 안전 확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136). 예컨대, 사용자는 제1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행동 패턴을 취함으로써, 안전 확인을 입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안전 확인 신호는 사용자의 상태가 안전함 또는 위험함을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안전 확인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S135의 NO), 제어부(130)는 안전 확인의 입력을 대기하는 단계(S134)로 진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안전 확인이 입력될 때 까지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통신부(120)를 통해 안전 확인 신호를 제2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S137).즉, 제어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안전 확인이 입력된 경우, 안전 확인 신호를 관리자의 제2 단말기(200)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안전 상황임을 관리자에게 알릴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림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서는,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30)가 외부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제1 단말기(100)가 스피커부(170)를 통해 메시지의 내용을 출력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가 도시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통신부(120)를 통해 외부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20). 예컨대, 메시지는 전화 통화 메시지, 메신저의 메시지, 및 문자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스피커부(170)를 통해 메시지의 내용을 출력할 수 있다(S21).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즉, 노년층)의 이용 편의성 증대를 위하여 메시지 내용을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보조 장치(300)의 증폭률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22).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스피커로 출력되는 소리를 보다 자세히 들을수 있도록, 증폭률을 조절하기 위하여 조절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조절 신호를 통신부(120)를 통해 보조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S23).
보조 장치(300)는 조절 신호에 기초하여, 진동 패턴에 따라 진동할 수 있다(S24). 예컨대, 진동 패턴은 조절 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즉, 보조 장치(300)는 사용자가 갑작스러운 증폭률 변경에 놀라지 않도록,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증폭률이 변경될 것임을 미리 알릴 수 있다.
보조 장치(300)는 조절 신호에 기초하여, 증폭률을 제1 증폭 값으로부터 제2 증폭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S25). 실시예에 따라, 제2 증폭 값은 제1 증폭 값보다 클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림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서는, 제1 단말기(100)가 제2 단말기(200)로부터 개별 정보(예컨대, 사용자 개인에 대한 건강 정보 등)를 수신하는 경우, 제1 단말기(100)가 사용자의 개별 정보에 대한 수신 여부를 제2 단말기(200)로 피드백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가 도시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개별 정보를 수신 대기할 수 있다(S30). 즉, 제어부(130)는 관리자로부터 사용자 개인에 대한 개별 정보(예컨대, 개인 건강 정보, 금융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2 상황이 발생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1). 이때, 제2 상황은, 제2 단말기(200)로부터 개별 정보를 수신하는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상황이 발생한 경우(S32의 YES), 제어부(130)는 제1 단말기(100)를 관리자 확인 모드로 진입시킬 수 있다(S33). 즉, 제어부(130)는 개별 정보의 수신 여부를 사용자에게 직접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화면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제2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S32의 NO), 제어부(130)는 개별 정보를 수신 대기하는 단계(S30)로 진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확인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S33)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서는 도 8에 도시된 제1 단말기(100)를 관리자 확인 모드로 진입시키는 단계(S33)를 나타내는 순서도가 도시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표시부(140)는 사용자의 개별 정보 확인 여부를 사용자에게 직접 확인 받기 위한 수신 확인 창을 표시할 수 있다(S331).
제어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 확인 창을 통해 수신 확인의 입력을 대기할 수 있다(S332). 즉,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입력창 또는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수신 확인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수신 확인이 입력된 경우(S333의 YES), 제어부(130)는 수신 확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334). 즉, 제어부(130)는 수신 확인을 입력받음에 따라, 관리자에게 수신 확인을 통지확인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안전 확인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S333의 NO), 제어부(130)는 안전 확인의 입력을 대기하는 단계(S332)로 진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 확인 신호를 제2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S335).즉, 제어부(130)는 수신 확인 신호를 제2 단말기(200)로 전송함으로써, 관리자에게 수신 여부를 피드백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림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서는, 사용자의 위치가 이동 경로 저장 장치(400)에 저장된 이동 경로와 매치되지 않는 경우,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200)로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S40).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제1 단말기(100)의 위치 측정부(160) 및 보조 장치(300)의 위치 측정부(37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3 상황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1). 이때, 제3 상황은, 이동 경로 저장 장치(400)에 저장된 사용자 이동 경로와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매치되지 않는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기 저장된 이동 경로와 현재 위치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갑작스럽게 평소와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3 상황이 발생한 경우(S42의 YES), 제어부(130)는 제1 단말기(100)를 사용자 확인 모드로 진입시킬 수 있다(S43). 이때, 사용자 확인 모드의 동작은 도 6에 도시된 내용에 따른다.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이상 행동을 보이는 경우, 관리자에게 이를 통지하고 사용자의 확인을 입력받기 위하여, 제1 단말기(100)를 사용자 확인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제3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S42의 NO), 사용자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S40)로 진행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노년층의 안전 관리를 위한 알림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은 노년층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노년층의 안전 관리를 위한 알림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은 노년층의 안전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능적 동작과 본 주제에 관한 실시형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구조들 및 그들의 구조적인 등가물을 포함하여 디지털 전자 회로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에서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이 조합에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주제의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또는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 상에 인코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이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는 전파형 신호이거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전파형 신호는 컴퓨터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적절한 수신기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예컨대 기계가 생성한 전기적, 광학적 또는 전자기 신호와 같은 인공적으로 생성된 신호이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합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이 조합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또는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또는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또는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장치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또는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이 모듈, 하위 프로그램 또는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또는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이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특허문헌에서 기술하는 논리 흐름과 구조적인 블록도는 개시된 구조적인 수단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기능과 단계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행위 및/또는 특정한 방법을 기술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와 알고리즘과 그 등가물을 구축하는 데에도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프로세스와 논리 흐름은 입력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이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는, 예컨대 범용 및 특수 목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양자 및 어떤 형태의 디지털 컴퓨터의 어떠한 하나 이상이 프로세서라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읽기 전용 메모리나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양자로부터 명령어와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핵심적인 요소는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이 메모리 장치 및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이다. 또한,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자기, 자기 광학 디스크나 광학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이 대량 저장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그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그러한 동작 둘 다를 수행하기 위하여 동작가능 하도록 결합되거나 이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그러한 장치를 가질 필요가 없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 알림 시스템 100: 제1 단말기
200: 제2 단말기 300: 보조 장치
400: 이동 경로 저장 장치

Claims (17)

  1.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한 제1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의 안전 및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관리자가 사용하기 위한 제2 단말기를 포함하는 알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모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제1 단말기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 센서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적어도 문턱 기간 동안 감지되지 않는 제1 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1 단말기를 사용자 확인 모드로 진입시키고, 알림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생성된 상기 알림 신호를 상기 제2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년층의 안전 관리를 위한 알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확인 모드에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사용자의 안전 상태를 상기 사용자에게 직접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확인 창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확인 창을 통해 안전 확인을 입력받는 경우, 안전 확인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생성된 상기 안전 확인 신호를 상기 제2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년층의 안전 관리를 위한 알림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1 단말기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행동 패턴을 취함으로써, 상기 안전 확인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년층의 안전 관리를 위한 알림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기 위한 촬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촬영부를 통해 얼굴을 인식시킴으로써, 상기 안전 확인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년층의 안전 관리를 위한 알림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촬영부를 통해 기설정된 QR 코드를 촬영함으로써, 상기 안전 확인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년층의 안전 관리를 위한 알림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며,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고, 외부 소리를 증폭률에 따라 증폭시키기 위한 보조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년층의 안전 관리를 위한 알림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소리를 생성하기 위한 스피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스피커부를 통해 상기 메시지의 내용을 출력하고, 상기 보조 장치의 상기 증폭률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조절 신호를 상기 보조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보조 장치는, 상기 조절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증폭률을 제1 증폭 값으로부터 제2 증폭 값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년층의 안전 관리를 위한 알림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증폭 값은, 상기 제1 증폭 값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년층의 안전 관리를 위한 알림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장치는, 상기 증폭률을 변경하기 전에 진동 패턴에 따라 진동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에게 증폭률 변경을 예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년층의 안전 관리를 위한 알림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체온 및 체온을 포함하는 상기 생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체온 및 체온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년층의 안전 관리를 위한 알림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개별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1 단말기를 관리자 확인 모드로 진입시키고,
    상기 관리자 확인 모드에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개별 정보의 확인 여부를 상기 사용자에게 직접 확인하기 위한 수신 확인 창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수신 확인 창을 통해 수신 확인을 입력받는 경우, 수신 확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수신 확인 신호를 상기 제2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년층의 안전 관리를 위한 알림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센서는,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년층의 안전 관리를 위한 알림 시스템.
  13.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한 제1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의 안전 및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관리자가 사용하기 위한 제2 단말기를 포함하는 알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의 센서부에 포함된 모션 센서가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감지를 시작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의 제어부가, 상기 모션 센서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적어도 문턱 기간 동안 감지되지 않는 제1 상황이 발생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1 단말기를 사용자 확인 모드로 진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확인 모드로 진입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알림 신호를 상기 제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년층의 안전 관리를 위한 알림 시스템의 동작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확인 모드로 진입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의 표시부가, 상기 사용자의 안전 상태를 상기 사용자에게 직접 확인받기 위한 사용자 확인 창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확인 창을 통해 안전 확인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안전 확인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안전 확인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안전 확인 신호를 상기 제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년층의 안전 관리를 위한 알림 시스템의 동작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확인을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단말기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행동 패턴을 취함으로써, 상기 안전 확인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년층의 안전 관리를 위한 알림 시스템의 동작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며,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고, 외부 소리를 증폭률에 따라 증폭시키기 위한 보조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외부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단말기의 스피커부를 통해 상기 메시지의 내용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보조 장치의 상기 증폭률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조절 신호를 상기 보조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보조 장치가, 진동 패턴에 따라 진동하는 단계; 및
    상기 보조 장치가, 상기 조절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증폭률을 제1 증폭 값으로부터 제2 증폭 값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년층의 안전 관리를 위한 알림 시스템의 동작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증폭 값은, 상기 제1 증폭 값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년층의 안전 관리를 위한 알림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190035330A 2019-03-27 2019-03-27 노년층의 안전 관리를 위한 알림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001141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330A KR20200114128A (ko) 2019-03-27 2019-03-27 노년층의 안전 관리를 위한 알림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330A KR20200114128A (ko) 2019-03-27 2019-03-27 노년층의 안전 관리를 위한 알림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128A true KR20200114128A (ko) 2020-10-07

Family

ID=72883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5330A KR20200114128A (ko) 2019-03-27 2019-03-27 노년층의 안전 관리를 위한 알림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412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397B1 (ko) * 2022-10-06 2023-04-25 이현수 노약자 운동 관리를 위한 트레이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노약자 건강 관리 방법
KR20230155759A (ko) 2022-05-04 2023-11-13 한종휘 사용자의 사고 정보 서비스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032B1 (ko) 2014-12-30 2016-03-28 김형욱 위급문자 발송시스템
KR20170077708A (ko) 2015-12-28 2017-07-06 손현익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032B1 (ko) 2014-12-30 2016-03-28 김형욱 위급문자 발송시스템
KR20170077708A (ko) 2015-12-28 2017-07-06 손현익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5759A (ko) 2022-05-04 2023-11-13 한종휘 사용자의 사고 정보 서비스 시스템
KR102524397B1 (ko) * 2022-10-06 2023-04-25 이현수 노약자 운동 관리를 위한 트레이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노약자 건강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01059B2 (en) Coordination of message alert presentations across devices based on device modes
US10642699B2 (en) Blockchain-based consensus method and device
CN108306771B (zh) 日志上报方法、装置及系统
US20200051046A1 (en) Smart broadcasting method and apparatus
KR102489876B1 (ko)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90051198A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공유 방법
CN111092809B (zh) 实时推送信息的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10638320B2 (en) Wireless network type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WO2019144760A1 (zh) 数据处理方法、终端设备和数据处理系统
KR20170053372A (ko) 서비스의 이용 권한을 공유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KR102356968B1 (ko) 외부장치와의 연결 방법 및 장치
KR102262218B1 (ko) 이어잭 인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256683B1 (ko) 재난 관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90320032A1 (en) Method, apparatus, user device and server for displaying personal homepage
KR20200114128A (ko) 노년층의 안전 관리를 위한 알림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90005360A (ko) 푸시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0335386A (zh) 一种身份验证方法、装置、终端以及存储介质
US20180176140A1 (en) Method, server, and termi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KR20190045562A (ko) 알림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662050B1 (ko)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카메라에서 획득한 이미지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33431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2462692B1 (ko) 전자 장치 및 그 메시지 수신 알림 방법
KR102515282B1 (ko)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US20230067489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for emergency monitoring
KR20200063673A (ko) 복수의 태스크들을 스케줄링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