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4065A - 일체형 기기를 통한 영상과 음향의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일체형 기기를 통한 영상과 음향의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4065A
KR20200114065A KR1020190035165A KR20190035165A KR20200114065A KR 20200114065 A KR20200114065 A KR 20200114065A KR 1020190035165 A KR1020190035165 A KR 1020190035165A KR 20190035165 A KR20190035165 A KR 20190035165A KR 20200114065 A KR20200114065 A KR 20200114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video
image
sound control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5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찬
김재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디사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디사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디사운드
Priority to KR1020190035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4065A/ko
Publication of KR20200114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0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04H60/04Studio equipment; Interconnection of studi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이브 공연장, 교회를 포함한 종교시설과 소형 공연장 등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영상 및 음향 제어 시스템으로서, 통합된 하나의 기기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일체형 기기를 통한 영상과 음향의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기기를 통한 영상 및 음향의 제어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영상과 음향의 제어를 서로 다른 장비에서 각각 하지 않고서도 영상과 음향을 통합화하여 동시 제어 가능하며, 특히 소형화되어 휴대성도 갖춰진 장비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영상 및 음향 제어 시스템의 가격 및 복잡도를 크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일체형 기기를 통한 영상과 음향의 제어 방법 및 장치{VIDEO AND SOUND CONTROL METHOD USING INTEGRAL EQUIPMENT AND DEVICE THEREFOR}
본 발명은 공연장 등에 사용되는 영상 및 음향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영상 및 음향의 제어를 함께 통합화하여 할 수 있는 일체형 기기를 통한 영상과 음향의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송, 공연장, 교회를 포함한 종교시설 등의 음향 시스템에서 화자가 자신의 소리를 정확하고 편안하게 듣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공연/연설/멘트 중 자신의 소리를 명확하게 듣지 못하면 귀를 막고 이야기하는 것과 다름없기 때문이다. 특히 크건 작건 공연장에는 수많은 스피커들에서 쏟아져 나오는 소리들로 인해 상대적으로 자체 음량이 작은 보컬, 관악기, 현악기 등이 자신의 소리를 명확히 듣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엔지니어가 있는 큰 공연에서도 개개인이 자신의 소리를 제대로 듣는 것은 매우 어렵다. 그 이유는 기존의 음향 시스템은 무대 위 개개인의 모니터의 조정을 메인 엔지니어나 모니터 엔지니어에 의존하는데 이는 다수의 보컬들 각자에게 만족시키기엔 많은 기술적인 문제들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본 공연이 시작되면 청중들의 소리에 더 많은 신경을 써야하는 엔지니어들은 무대 위 개개인의 모니터 조정을 개개인의 취향에 맞추어 세부적으로 조정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리허설에 많은 시간이 소비하며 사운드를 맞추지만 이 역시 본무대에서의 한두명의 실수나 착각으로 인해 전체 사운드 밸런스가 무너지게 되면 다시 자신의 사운드 체크와 공연진행에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거기에다, 이것이 대규모 공연이 아닌 대중의 영역으로 왔을 때에는 더 큰 문제가 발생한다. 비싸고 복잡한 시스템을 구비하거나 활용하는 것이 불가능해서 비용을 들여서 스튜디오를 찾아가거나 자신들의 소리를 모니터링을 하지 못하고 공연을 진행하게 되어 공연의 질을 떨어트리는 하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대규모 공연장 등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운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소규모 공연장 등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규모의 사운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사운드 모니터링에 대한 수요가 '엔지니어가 있는 프로나 시설의 영역'에서 '작은 공연, 종교단체, 1인미디어등 대중'에게로 확대되고 있는데 기존 판매중인 모니터링 제품은 여전히 너무 어렵고, 시설 지향적으로 만들어져서 늘어나는 수요자의 눈높이를 맞춰주지 못하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공연장 등에 도입된 영상 제어 시스템과 음향 제어 시스템은 상호간 연동되기는 하지만 각각 별개의 장비로 갖추어져 사용되어 왔으며, 아직까지 영상과 음향의 제어를 통합된 하나의 기기에서 수행할 수 있는 장비, 특히 소형화되어 휴대성도 갖춰진 장비는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공연장 등에 적용 가능한 영상 및 음향 제어 시스템으로서, 영상 및 음향의 제어를 함께 통합화하여 할 수 있는 일체형 기기를 통한 영상과 음향의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라이브 공연장, 교회를 포함한 종교시설과 소형 공연장 등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영상 및 음향 제어 시스템으로서, 영상과 음향의 제어를 서로 다른 장비에서 각각 하지 않고서도 통합된 하나의 기기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일체형 기기를 통한 영상과 음향의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영상과 음향의 통합 제어를 위한 통합 제어 기기로서, 공연 환경 내에 설치된 각각의 사운드 출력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사운드 출력 장치의 출력 음향 제어를 위한 음향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음향 제어 모듈; 및 공연 환경 내에 설치된 각각의 영상 출력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영상 출력 장치의 출력 영상 제어를 위한 영상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영상 및 음향의 통합 제어 기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기기를 통한 영상 및 음향의 제어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영상과 음향의 제어를 서로 다른 장비에서 각각 하지 않고서도 영상과 음향을 통합화하여 동시 제어 가능하며, 특히 소형화되어 휴대성도 갖춰진 장비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영상 및 음향 제어 시스템의 가격 및 복잡도를 크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의 공연장용 영상 및 음향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기기를 통한 영상 및 음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사운드 이펙터에 관한 일 실시예의 하드웨어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디제잉 효과를 부여하는 DSP 소프트웨어 모듈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HRA(High Resolution Audio) H/W 및 S/W 플랫폼.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기기를 통한 영상 및 음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사운드 이펙터에 관한 일 실시예의 하드웨어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디제잉 효과를 부여하는 DSP 소프트웨어 모듈의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HRA(High Resolution Audio) H/W 및 S/W 플랫폼이다.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및 음향의 통합 제어 시스템 구현을 위한 통합 제어 기기는, 공연 환경 내에 설치된 각각의 사운드 출력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사운드 출력 장치의 출력 음향 제어를 위한 음향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음향 제어 모듈; 및 공연 환경 내에 설치된 각각의 영상 출력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영상 출력 장치의 출력 영상 제어를 위한 영상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향 제어 모듈 및 상기 영상 제어 모듈은, 외부의 휴대통신단말과 연동되어, 외부의 휴대통신단말로부터 각종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제어 신호에 따른 특정 기능 또는 동작의 원격 실행이 가능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도 2 참조).
또한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및 음향의 통합 제어 시스템 구현을 위한 통합 제어 기기는, 도 3 ~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가 탑재되어 특정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음향 제어 모듈은 사운드 이펙트 처리를 위한 디지털 신호 처리 블록을 포함하거나, 디제잉 효과를 위한 디지털 신호 처리 블록을 포함하거나, HRA(High Resolution Audio)를 위한 디지털 신호 처리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일체형 기기를 통한 영상과 음향의 제어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영상과 음향의 제어를 서로 다른 장비에서 각각 하지 않고서도 영상과 음향을 통합화하여 동시 제어 가능하며, 특히 소형화되어 휴대성도 갖춰진 장비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영상 및 음향 제어 시스템의 가격 및 복잡도를 크게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교회 등의 종교단체, 콘서트, 오케스트라, 개인 스튜디오 기존의 어떠한 공간에서도 사용 가능하며 간편한 설치, 쉬운 사용법으로 누구나 쉽게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영상과 음향의 통합 제어를 위한 통합 제어 기기로서,
    공연 환경 내에 설치된 각각의 사운드 출력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사운드 출력 장치의 출력 음향 제어를 위한 음향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음향 제어 모듈; 및 공연 환경 내에 설치된 각각의 영상 출력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영상 출력 장치의 출력 영상 제어를 위한 영상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영상 및 음향의 통합 제어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제어 모듈 및 상기 영상 제어 모듈은,
    외부의 휴대통신단말과 연동되어, 외부의 휴대통신단말로부터 각종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제어 신호에 따른 특정 기능 또는 동작의 원격 실행이 가능하도록 제작되는, 영상 및 음향의 통합 제어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제어 모듈은, 사운드 이펙트 처리를 위한 디지털 신호 처리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및 음향의 통합 제어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제어 모듈은, 디제잉 효과를 위한 디지털 신호 처리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및 음향의 통합 제어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제어 모듈은, HRA(High Resolution Audio)를 위한 디지털 신호 처리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및 음향의 통합 제어 기기.
KR1020190035165A 2019-03-27 2019-03-27 일체형 기기를 통한 영상과 음향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001140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165A KR20200114065A (ko) 2019-03-27 2019-03-27 일체형 기기를 통한 영상과 음향의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165A KR20200114065A (ko) 2019-03-27 2019-03-27 일체형 기기를 통한 영상과 음향의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065A true KR20200114065A (ko) 2020-10-07

Family

ID=72883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5165A KR20200114065A (ko) 2019-03-27 2019-03-27 일체형 기기를 통한 영상과 음향의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406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09141B (zh) 具有声道重新映射器和对象渲染器的音频处理装置
US9031262B2 (en) Distributed, self-scaling, network-based architecture for sound reinforcement, mixing, and monitoring
JP5877351B2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CN107168518B (zh) 一种用于头戴显示器的同步方法、装置及头戴显示器
CN117412237A (zh) 合并音频信号与空间元数据
US20060283310A1 (en) VoIP music conferencing system
US20110193935A1 (en) Controlling a video window position relative to a video camera position
US20110296484A1 (en) Audio and video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business and entertainment environments
TW200718195A (en) Television conference system
CA27651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udio signals
US11399249B2 (en) Reproduction system and reproduction method
US200900943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An Event Using An Electronic Device
US10231051B2 (en) Integration of a smartphone and smart conference system
CN111145773A (zh) 声场还原方法和装置
US10708679B2 (en) Distributed audio capture and mixing
Kentgens et al. From Spatial Recording to Immersive Reproduction—Design & Implementation of a 3DOF Audio-Visual VR System
KR101694925B1 (ko) 오디오 디바이스의 오디오 교정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14065A (ko) 일체형 기기를 통한 영상과 음향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00114066A (ko) 미디 기반의 영상과 음향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551252B1 (ko) 음향조명기기의 밸런스 조절 제어 방법
WO2018173139A1 (ja) 撮影収音装置、収音制御システム、撮影収音装置の制御方法、及び収音制御システムの制御方法
Bates et al. A recording technique for 6 degrees of freedom VR
KR20170066962A (ko) 외국어 사용 공연장의 더빙음성 제공시스템
KR20200043179A (ko) 복수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111990B1 (ko)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