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4025A - 데이터 변환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데이터 변환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4025A
KR20200114025A KR1020190035095A KR20190035095A KR20200114025A KR 20200114025 A KR20200114025 A KR 20200114025A KR 1020190035095 A KR1020190035095 A KR 1020190035095A KR 20190035095 A KR20190035095 A KR 20190035095A KR 20200114025 A KR20200114025 A KR 20200114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web page
widget
computer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5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3178B1 (ko
Inventor
지환태
김신우
이현주
박평우
이영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맥스 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맥스 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맥스 소프트
Priority to KR1020190035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3178B1/ko
Priority to JP2019076164A priority patent/JP6938557B2/ja
Priority to US16/383,977 priority patent/US20200311097A1/en
Publication of KR20200114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025A/ko
Priority to KR1020210108749A priority patent/KR20210104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04Abstract machines for programme code execution, e.g. Java virtual machine [JVM], interpreters, emulators
    • G06F9/45529Embedded in an application, e.g. JavaScript in a Web brow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06F16/972Access to data in other repository systems, e.g. legacy data or dynamic Web page gen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5Integrating or interfacing systems involving database management systems
    • G06F16/254Extract, transform and load [ETL] procedures, e.g. ETL data flows in data warehou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5Integrating or interfacing systems involving database management systems
    • G06F16/258Data format conversion from or to a databa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06F16/986Document structures and storage, e.g. HTML exten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4Tree-structured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51Trans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데이터 변환 서버로 하여금 이하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며, 상기 동작들은: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제 1 데이터 셋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 1 데이터 셋을 웹 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한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타입의 제 1 데이터로 변환하는 동작; 상기 제 1 데이터에 기초하여,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웹 페이지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출력되도록 상기 웹 브라우저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웹 페이지는, 사용자 인터랙션(User Interaction)을 허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변환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DATA CONVERSION SERVER AND COMPUTER PROGRAMS}
본 개시는 데이터 변환 서버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메인 프레임 시스템은 1960~70년대 정부와 금융기관 그리고 대기업들이 기업 활동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하여 많이 도입하였다. 메인 프레임 시스템은 다수의 단말기를 하나의 컴퓨터에 연결하는 중앙 집중 방식을 채택하여 여러 가지 작업을 수행하는 범용 목적의 대형 컴퓨터이며, 예를 들어, IBM사의 System/360 등이 이에 해당한다.
한편, 메인 프레임 시스템은 외부 터미널을 통해 데이터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메인 프레임에 저장된 데이터가 외부 터미널에 출력될 때, 특정 프로토콜(예를 들어, IBM 3270 protocol)에 따라 외부 터미널은 메인 프레임에 대응하는 특정 에뮬레이터(예를 들어, 3270 emulato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 경우, 외부 터미널은 메인 프레임 시스템에서 제공한 데이터를 가공 없이 그대로 표현하게 되고, 메인 프레임 시스템에서 제공한 데이터를 수정할 수도 없어, 확장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메인 프레임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이 가능하고, 메인 프레임 시스템의 데이터 수정이 용이한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3289호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메인 프레임의 데이터 셋을 사용자 단말에서 다양한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 변환 서버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데이터 변환 서버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이하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며, 상기 동작들은: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제 1 데이터 셋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 1 데이터 셋을 웹 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한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타입의 제 1 데이터로 변환하는 동작; 상기 제 1 데이터에 기초하여,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웹 페이지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출력되도록 상기 웹 브라우저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웹 페이지는, 사용자 인터랙션(User Interaction)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데이터 셋을 JSON 타입의 제 1 데이터로 변환하는 동작은, EBCDIC(extended binary-coded decimal interchange code) 타입으로 작성된 상기 제 1 데이터 셋을 UTF-16(16-bit Unicode Transformation Format) 타입으로 변환하는 동작; 상기 UTF-16 타입으로 변환된 상기 제 1 데이터 셋을 자바 객체(JAVA Object)로 저장하는 동작; 및 상기 자바 객체를 JSON 타입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데이터에 기초하여,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데이터의 구조를 분석하여, 상기 웹 페이지에서 출력 가능한 위젯(Widget)들 중 상기 제 1 데이터를 출력할 제 1 위젯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위젯과 상기 제 1 데이터를 맵핑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위젯과 상기 제 1 데이터를 맵핑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위젯의 속성 값을 인식하는 동작; 상기 제 1 데이터 중 상기 속성 값에 대응되는 키-벨류 스토어(Key-Value Store)를 인식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위젯에 인식된 상기 키-벨류 스토어를 적용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웹 페이지에서 출력 가능한 위젯들은, 테이블 타입 위젯, 텍스트 영역 타입 위젯 및 버튼 타입 위젯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데이터의 구조를 분석하여, 상기 웹 페이지에서 출력 가능한 위젯들 중 상기 제 1 데이터를 출력할 제 1 위젯을 결정하는 동작은, 제 1 데이터에 포함된 속성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위젯을 정의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제 1 데이터에 포함된 속성들은, 좌표 속성, 언더라인(underline) 속성, 컬러(color) 속성, 블링크(blink) 속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웹 페이지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출력되도록 상기 웹 브라우저로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웹 페이지에 기초하여,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코드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HTML 코드를 상기 웹 브라우저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들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데이터와 관련된 제 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사용자 입력을 JSON 타입의 제 2 데이터로 변환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들은, 상기 제 2 데이터를 제 2 데이터 셋으로 변환하는 동작; 및 상기 제 2 데이터 셋을 상기 메인 프레임으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들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웹 페이지의 커스터마이즈(Customize)와 관련된 제 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 2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웹 페이지를 변경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변환 서버가 개시된다. 상기 서버는: 메인 프레임 및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데이터를 변환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제 1 데이터 셋을 수신하고, 상기 제 1 데이터 셋을 웹 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한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타입의 제 1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제 1 데이터에 기초하여, 웹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웹 페이지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출력되도록 상기 웹 브라우저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웹 페이지는, 사용자 인터랙션(User Interaction)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데이터 셋을 JSON 타입의 제 1 데이터로 변환하는 경우, EBCDIC(extended binary-coded decimal interchange code) 타입으로 작성된 상기 제 1 데이터 셋을 UTF-16(16-bit Unicode Transformation Format) 타입으로 변환하고, 상기 UTF-16 타입으로 변환된 상기 제 1 데이터 셋을 자바 객체(JAVA Object)로 저장하고, 상기 자바 객체를 JSON 타입의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데이터에 기초하여,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제 1 데이터의 구조를 분석하여, 상기 웹 페이지에서 출력 가능한 위젯(Widget)들 중 상기 제 1 데이터를 출력할 제 1 위젯을 결정하고, 상기 제 1 위젯과 상기 제 1 데이터를 맵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위젯과 상기 제 1 데이터를 맵핑하는 경우, 상기 제 1 위젯의 속성 값을 인식하고, 상기 제 1 데이터 중 상기 속성 값에 대응되는 키-벨류 스토어(Key-Value Store)를 인식하고, 상기 제 1 위젯에 인식된 상기 키-벨류 스토어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웹 페이지에서 출력 가능한 위젯들은, 테이블 타입 위젯, 텍스트 영역 타입 위젯 및 버튼 타입 위젯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데이터의 구조를 분석하여, 상기 웹 페이지에서 출력 가능한 위젯들 중 상기 제 1 데이터를 출력할 제 1 위젯을 결정하는 경우, 제 1 데이터에 포함된 속성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위젯을 정의하고, 제 1 데이터에 포함된 속성들은, 좌표 속성, 언더라인(underline) 속성, 컬러(color) 속성, 블링크(blink) 속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웹 페이지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출력되도록 상기 웹 브라우저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경우, 상기 웹 페이지에 기초하여,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HTML 코드를 상기 웹 브라우저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데이터와 관련된 제 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제 1 사용자 입력을 JSON 타입의 제 2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데이터를 제 2 데이터 셋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 2 데이터 셋을 상기 메인 프레임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웹 페이지의 커스터마이즈(Customize)와 관련된 제 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제 2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웹 페이지를 변경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는 메인 프레임의 데이터 셋을 사용자 단말에서 다양한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 변환 서버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가 구현될 수 있는 메인 프레임, 데이터 변환 서버 및 사용자 단말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환 서버가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셋을 변환하여 웹 브라우저로 전송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환 서버가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셋을 JSON 타입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환 서버가 위젯과 데이터를 맵핑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환 서버가 웹 페이지를 웹 브라우저로 전송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환 서버가 생성한 웹 페이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환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입력을 변환하여 메인 프레임으로 전송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에 대한 간략하고 일반적인 개략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감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하나 이상의 장치들, 단말들, 서버들,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단말들, 서버들,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단말들, 서버들,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의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컴퓨터 프로그램"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은 서로 호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그리고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처리과정(procedure), 프로세서, 객체,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장치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다. 일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내에 로컬화 될 수 있다. 일 컴포넌트는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그 내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을 갖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갖는 신호(예를 들면, 로컬 시스템, 분산 시스템에서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통해 다른 시스템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처리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이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나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나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나 구성요소를 다른 소자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나 구성요소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나 구성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더불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정보" 및 "데이터"는 종종 서로 상호교환 가능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가 구현될 수 있는 메인 프레임, 데이터 변환 서버 및 사용자 단말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변환 시스템은, 데이터 변환 서버(100), 메인 프레임(200) 및 사용자 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요소들은 데이터 변환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데이터 변환 시스템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데이터 변환 서버(100), 메인 프레임(200) 및 사용자 단말(300)은 네트워크를 통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데이터 변환 시스템을 위한 데이터를 상호 송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는 공중전화 교환망(PSTN:Public Switiched Telephone Network), xDSL(x Digital Subscriber Line), RADSL(Rate Adaptive DSL), MDSL(Multi Rate DSL), VDSL(Very High Speed DSL), UADSL(Universal Asymmetric DSL), HDSL(High Bit Rate DSL) 및 근거리 통신망(LAN) 등과 같은 다양한 유선 통신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제시되는 네트워크는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SC-FDMA(Single Carrier-FDMA) 및 다른 시스템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단거리 통신망(PAN: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WAN: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World Wide Web)일 수 있으며, 적외선(IrDA:Infrared Data Assoication)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이 단거리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 전송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들은 위에서 언급된 네트워크들뿐만 아니라, 다른 네트워크들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에서, 데이터 변환 서버(100)는 메인 프레임(200)의 데이터를 변환하는 서버로서, 프로세서(110) 및 통신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0)는 제 1 컨버터(111) 및 제 2 컨버터(1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데이터 변환 서버(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데이터 변환 서버(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별개의 칩이나 모듈이나 장치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장치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통신부(120)는, 데이터 변환 서버(100)와 통신 시스템 사이, 데이터 변환 서버(100)와 메인 프레임(200) 사이, 데이터 변환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300) 사이, 또는 데이터 변환 서버(100)와 웹 브라우저(프로그램)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20)는, 데이터 변환 서버(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20)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120)는 메인 프레임(200)으로부터 제 1 데이터 셋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데이터 셋은 1 차원 형식의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바이트(Byte) 값에 대응하여, 데이터의 속성 값들이 상기 데이터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변환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제 1 데이터 셋을 웹 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한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타입의 제 1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의 제 1 컨버터(111)는 제 1 데이터 셋의 데이터 타입을 JSON 타입으로 변환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10)는 1 차원 형식의 데이터 셋을 구조체 형식의 JSON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제 1 데이터에 기초하여,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프로세서(110)의 제 2 컨버터(112)는 제 1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 1 데이터와 제 1 위젯을 맵핑할 수 있다. 또한, 제 2 컨버터(112)는 제 1 데이터와 맵핑된 제 1 위젯을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웹 페이지를 웹 브라우저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웹 페이지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웹 페이지는 사용자 인터랙션(User Interaction)을 허용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300)은 상기 사용자 단말(300)에 설치된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통해 데이터 변환 서버(100)가 생성한 웹 페이지를 다운 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은 상기 웹 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데이터 변환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다양한 화면 표현 도구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 친화적이고, 현대적인 웹 페이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제 1 데이터와 맵핑된 제 1 위젯을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메인 프레임(200)의 데이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웹 페이지를 확인할 때, 메인 프레임(200)의 데이터 타입(예컨대, EBCDIC 타입)을 인지할 필요가 없다.
상술한 데이터 변환 서버(100)의 프로세서(110)가 메인 프레임(200)으로부터 수신한 제 1 데이터 셋을 변환하여 웹 페이지를 생성하고, 웹페이지를 웹 브라우저로 전송하는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변환 서버(100)는 메모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는 데이터 변환 서버(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는 데이터 변환 서버(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데이터 변환 서버(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데이터 변환 서버(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데이터 변환, 메인 프레임이나 공중망을 통한 다른 네트워크와의 연결, 장치 공유)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데이터 변환 서버(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데이터 변환 서버(100) 상에 설치되어,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상기 데이터 변환 서버(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데이터 변환 서버(100)의 제어와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데이터 변환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1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메모리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데이터 변환 서버(1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1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데이터 변환 서버(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데이터 변환 서버(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변환 서버(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데이터 변환 서버(100)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개시 내용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에서, 메인 프레임(200)은 IBM사와 같은 큰 회사에서 만든 대형 컴퓨터를 일컫는 산업계 용어로서, 대기업이나 금융기관과 같은 회사들의 기업활동에 필요한 컴퓨팅 업무에 주로 사용되며, 분산 컴퓨팅 방식을 취하기보다는 중앙 집중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200)의 프로그램은 코볼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프레임(200)은 메인 프레임 데이터베이스, 에이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메인 프레임(200)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메인 프레임(200)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메인 프레임 데이터베이스는 메인 프레임(20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 셋을 통칭하는 용어로서, 메인 프레임(200)에 저장된 원시 데이터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 데이터베이스는 메인 프레임(200)의 프로그래밍 언어 체계를 따르며, 메인 프레임(200)의 코드 체계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레임 데이터베이스는 EBCDIC(Extended Binary Coded Decimal Interchange Code) 코드 체계를 가질 수 있다. 메인 프레임(200)의 데이터 셋은 레코드 조직을 보유하고 있는 파일일 수 있다. 데이터 셋은 DSORG(data set organization), RECFM(record format) 등의 매개 변수들에 의해 결정되는 다양한 논리 레코드와 블록 구조로 조직될 수 있다. 데이터 셋은 일반적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에 대응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00)의 에이전트는 데이터 변환 서버(100)와 통신을 수행하고, 메인 프레임 데이터베이스와 통신하여, 메인 프레임 데이터베이스가 데이터 변환 서버(100)와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00)과 데이터 변환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한 소켓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00)과 데이터 변환 서버는 TCP 또는 UDP 방식으로 소켓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에이전트는 데이터 변환 서버(100)와 메인 프레임(200)의 소켓 통신의 접속점이 될 수 있다. 에이전트는 데이터 변환 서버(100)의 프로그래밍 언어 체계를 해석할 수 있고, 메인 프레임(200)의 프로그래밍 언어 체계를 해석할 수 있어, 데이터 변환 서버(100)와 메인 프레임(200)사이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에이전트는 데이터 변환 서버(100)와의 통신을 위한 모듈일 수 있다. 에이전트는 데이터 변환 서버(100)와 소켓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00)과 데이터 변환 서버(100)는 별개의 컴퓨팅 디바이스로 존재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에이전트는 데이터 변환 서버(100)에서 요청한 정보를 해독하고 이에 대한 처리 및 응답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듈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에이전트는 데이터 변환 서버(100)로부터 레코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 서버(100)는 메인 프레임(200)의 주소 및 포트 정보를 이용하여 메인 프레임(200)에 접속할 수 있다. 에이전트는 데이터 변환 서버(100)가 메인 프레임(200)에 접속한 경우, 정상적으로 접속되었다는 메시지를 데이터 변환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레코드 요청은 메인 프레임(200)에 저장된 데이터 셋의 이름 및 레코드 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레코드 요청은 메인 프레임(200)에 저장된 특정한 레코드를 요청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에이전트는 데이터 셋의 이름 및 레코드 키 (또는 레코드 번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셋의 이름에 의하여 식별된 데이터 셋에서 레코드 키에 의하여 식별된 레코드를 메인 프레임 데이터베이스에 요청할 수 있다. 데이터 셋의 이름은 데이터 셋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레코드 키 또는 레코드 번호는 데이터 셋에 포함된 레코드들 중 어느 레코드를 요청하는 것인지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레코드 요청은, 데이터 변환 서버(100) 언어로 작성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에이전트는 레코드 요청을 메인 프레임(200) 언어로 변환하여 메인 프레임 데이터베이스에 전달할 수 있다.
에이전트는 메인 프레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데이터 변환 서버(100)에서 요청한 레코드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데이터 변환 서버(100)에 전달할 수 있다. 레코드 데이터는 메인 프레임(200)의 데이터 셋의 일부로서, 데이터 셋의 레코드 키에 대응되는 특정 로우의 레코드이며, 메임 프레임 시스템의 레코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데이터 변환 서버(100)는 메인 프레임(200)의 데이터 셋 전체를 요청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변환 서버(100)는 메인 프레임(200)의 데이터 셋을 요청하여 수신하고, 이를 웹 페이지에 포함된 위젯 타입으로 변형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데이터 변환 서버(100)는 사용자가 해당 데이터 셋에 수정을 행하는 경우 수정된 사항이 메인 프레임(200)에 저장된 원시 데이터 반영되도록 수정사항을 메인 프레임(200)에 전달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외부 컴퓨팅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300)은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0)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디지털 TV, 디지털 사이니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300)은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사용자 단말(300)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사용자 단말(300)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별개의 칩이나 모듈이나 장치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장치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300)의 메모리는 사용자 단말(3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300)의 메모리는 상기 사용자 단말(3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사용자 단말(3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 단말(3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데이터 변환, 메인 프레임이나 공중망을 통한 다른 네트워크와의 연결, 장치 공유)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사용자 단말(3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300)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사용자 단말(300) 상에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300)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3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의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300)의 제어와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사용자 단말(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사용자 단말(300)의 프로세서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사용자 단말(300)의 메모리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300)은 상기 사용자 단말(300) 상에 설치된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데이터 변환 서버(100)가 생성한 웹 페이지를 다운 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은 웹 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제 1 데이터와 맵핑된 제 1 위젯을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인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은 상기 사용자 입력을 데이터 변환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변환 서버(1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메인 프레임(200)의 데이터 셋을 수정하거나, 웹 페이지를 수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메인 프레임(200)의 변경 없이 데이터 변환 서버(100)의 도움으로 웹 페이지를 만들어 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데이터 변환 서버(100)가 제공하는 다양한 위젯을 통해 웹 페이지를 쉽게 변경 및/또는 생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환 서버가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셋을 변환하여 웹 브라우저로 전송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변환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통신부(120)를 통해 메인 프레임(200)으로부터 제 1 데이터 셋을 수신할 수 있다(S100). 여기서, 제 1 데이터 셋은 1 차원 형식의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바이트(Byte) 값에 대응하여, 데이터의 속성 값들이 상기 데이터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변환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제 1 데이터 셋을 웹 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한 JSON 타입의 제 1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S200).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의 제 1 컨버터(111)는 제 1 데이터 셋의 데이터 타입을 JSON 타입으로 변환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10)는 1 차원 형식의 데이터 셋을 구조체 형식의 JSON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상술한 프로세서(110)의 제 1 컨버터(111)가 제 1 데이터 셋을 JSON 타입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은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한다.
데이터 변환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제 1 데이터에 기초하여,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S300).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의 제 2 컨버터(112)는, 제 1 데이터의 구조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제 2 컨버터(112)는 웹 페이지에서 출력 가능한 위젯(Widget)들 중 제 1 데이터를 출력할 제 1 위젯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 2 컨버터(112)는 제 1 위젯과 제 1 데이터를 맵핑하여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프로세서(110)의 제 2 컨버터(112)가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은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한다.
한편, 데이터 변환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웹 페이지를 웹 브라우저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환 서버가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셋을 JSON 타입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변환 서버(100)의 프로세서(110)에 포함된 제 1 컨버터(111)는 EBCDIC(Extended Binary Coded Decimal Interchange Code) 타입으로 작성된 제 1 데이터 셋을 UTF-16(16-bit Unicode Transformation Format) 타입으로 변환할 수 있다(S210).
또한, 프로세서(110)의 제 1 컨버터(111)는 UTF-16 타입으로 변환된 제 1 데이터 셋을 자바 객체로 데이터 변환 서버(100)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S220). 또한, 프로세서(110)의 제 1 컨버터(111)는 자바 객체를 JSON 타입의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S230).
즉, 데이터 변환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제 1 컨버터(111)를 통해 제 1 데이터 셋을 JSON 타입의 제 1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변환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JSON 타입의 제 1 데이터에 기초하여,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환 서버가 위젯과 데이터를 맵핑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변환 서버(100)의 프로세서(110)에 포함된 제 2 컨버터(112)는 제 1 데이터의 구조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의 제 2 컨버터(112)는 제 1 데이터의 구조를 분석하여, 웹 페이지에서 출력 가능한 위젯들 중 제 1 데이터를 출력할 제 1 위젯을 결정할 수 있다(S310).
구체적으로, 제 2 컨버터(112)는 제 1 데이터의 구조를 분석하여, 테이블 타입 위젯, 텍스트 영역 타입 위젯 및 버튼 타입 위젯 중 상기 제 1 데이터를 표현 가능한 타입의 제 1 위젯을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데이터 변환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제 1 위젯을 결정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의 제 2 컨버터(112)는 제 1 위젯과 제 1 데이터를 맵핑할 수 있다(S320).
구체적으로, 제 2 컨버터(112)는 제 1 위젯의 속성 값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 2 컨버터(112)는 제 1 데이터 중 제 1 위젯의 속성 값에 대응되는 키-벨류 스토어(Key-Value Store)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 2 컨버터(112)는 제 1 위젯에 인식된 상기 키-벨류 스토어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컨버터(112)는 제 1 위젯의 제 1 영역의 좌표 값에 대응하는 키 값을 인식함으로써 제 1 위젯의 속성 값에 대응되는 키-벨류 스토어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컨버터(112)는 제 1 위젯의 속성 값에 대능되는 키-벨류 스토어의 벨류 값을 상기 제 1 위젯의 제 1 영역에 표시되도록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의 제 2 컨버터(112)는, 제 1 데이터를 출력할 제 1 위젯을 결정하는 경우, 제 1 데이터에 포함된 속성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위젯을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데이터에 포함된 속성들은, 좌표 속성, 언더라인(underline) 속성, 컬러(color) 속성, 블링크(blink) 속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10)의 제 2 컨버터(112)는, 제 1 데이터에 포함된 속성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테이블 타입 위젯을 정의하는 경우, 좌표 속성에 따라 제 1 셀에 대응하는 제 1 벨류 값을 인식하여, 제 1 셀에 제 1 벨류 값을 삽입하도록 테이블 타입 위젯을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컨버터(112)는 상기 제 1 셀을 기준으로, 인접한 복수의 셀들 각각에 대응하는 벨류 값 각각을 삽입하도록 상기 테이블 타입 위젯을 정의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프로세서(110)의 제 2 컨버터(112)는 상기 제 1 셀에 제 1 벨류 값을 삽입하고, 상기 제 1 셀에 대응하는 언더라인 속성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제 1 셀이 포함된 행 및/또는 열에 언더라인이 표시되도록 테이블 타입 위젯을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언더라인 속성은 행에 대한 언더라인을 표시하는 속성 또는 열에 대한 언더라인을 표시하는 속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프로세서(110)의 제 2 컨버터(112)는 상기 제 1 셀에 제 1 벨류 값을 삽입한 후, 상기 제 1 셀에 대응하는 블링크 속성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제 1 셀에 삽입된 제 1 벨류 값이 깜빡이도록 테이블 타입 위젯을 정의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프로세서(110)의 제 2 컨버터(112)는 상기 제 1 셀에 제 1 벨류 값을 삽입한 후, 상기 제 1 셀에 대응하는 컬러 속성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제 1 셀에 삽입된 제 1 벨류 값이 컬러로 표시되도록 테이블 타입 위젯을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제 2 컨버터(112)는 제 1 데이터에 포함된 속성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정의한 위젯을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환 서버가 웹 페이지를 웹 브라우저로 전송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변환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제 1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한 웹 페이지에 기초하여, HTML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S410).
구체적으로, 데이터 변환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단말(300)에서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페이지가 출력될 수 있도록,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HTML 코드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HTML은 웹 브라우저 상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마크업 심볼 또는 파일(여기서, 제 1 데이터의 키-벨류 스토어가 적용된 위젯을 포함하는 웹 페이지) 내에 넣어진 코드물의 집합을 의미한다.
또한, 데이터 변환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HTML 코드를 웹 브라우저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S420).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HTML 브라우저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300)은 상기 사용자 단말(300) 상에 설치된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통해 HTML을 수신하여, 웹 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환 서버가 생성한 웹 페이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웹 페이지는 위젯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웹 페이지는 키-벨류 스코어를 포함하는 위젯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변환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키-벨류 스코어에 따라, 웹 페이지에 포함된 위젯 상에 메인 프레임(200)의 데이터를 적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웹 페이지에 포함된 위젯의 속성 값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메인 프레임(200)의 데이터 중 웹 페이지에 포함된 위젯의 속성 값에 대응되는 키-벨류 스토어(Key-Value Store)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웹 페이지에 포함된 위젯에 인식된 상기 키-벨류 스토어를 적용할 수 있다.
자세한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웹 페이지에 포함된 위젯의 특정 영역의 좌표 값에 대응하는 키 값을 인식함으로써 웹 페이지에 포함된 위젯의 속성 값에 대응되는 키-벨류 스토어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웹 페이지에 포함된 위젯의 속성 값에 대응되는 키-벨류 스토어의 벨류 값을 상기 웹 페이지에 포함된 위젯의 특정 영역에 표시되도록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데이터 변환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다양한 화면 표현 도구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 친화적이고, 현대적인 웹 페이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메인 프레임(200)의 데이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웹 페이지를 확인할 때, 메인 프레임(200)의 데이터 타입(예컨대, EBCDIC 타입)을 인지할 필요가 없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변환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테이블 타입 위젯(11)을 포함하는 웹 페이지(10)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테이블 타입 위젯(11)은 키(12) 및 벨류(1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6에 도시된 상기 웹 페이지(10)의 형태는 이해를 돕기 위한 몇몇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환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입력을 변환하여 메인 프레임으로 전송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변환 서버(100)의 통신부(12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제 1 데이터와 관련된 제 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500).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300)은 제 1 데이터와 관련된 웹 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은 출력된 웹 페이지에서 제 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300)은 제 1 사용자 입력을 데이터 변환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변환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제 1 사용자 입력을 JSON 타입의 제 2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S600). 또한, 데이터 변환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제 2 데이터를 제 2 데이터 셋으로 변환할 수 있다(S700).
여기서, 제 2 데이터 셋은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이전에 수신한 제 1 데이터 셋과 상이한 데이터 셋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데이터 셋은 제 1 데이터 셋의 키-벨류가 일부 변경된 데이터 셋 일 수 있다.
한편, 데이터 변환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제 2 데이터 셋을 메인 프레임(200)으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S800).
즉, 데이터 변환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메인 프레임(200)의 제 1 데이터 셋을 사용자가 수정한 경우, 제 1 데이터 셋이 수정된 제 2 데이터 셋을 메인 프레임(200)으로 전송하여, 메인 프레임(200)에 저장된 데이터 셋을 수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변환 서버(100)의 통신부(12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웹 페이지의 커스터마이즈와 관련된 제 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변환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제 2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웹 페이지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웹 페이지의 일 영역에 이미지를 추가하는 제 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10)는 상기 웹 페이지의 일 영역에 상기 이미지를 추가하여, 웹 브라우저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메인 프레임(200)의 변경 없이 데이터 변환 서버(100)의 도움으로 웹 페이지를 만들어 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데이터 변환 서버(100)가 제공하는 다양한 위젯을 통해 웹 페이지를 쉽게 생성하고, 변경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에 대한 간략하고 일반적인 개략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와 관련하여 전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본 개시가 기타 프로그램 모듈들과 결합되어 및/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의 모듈은 특정의 태스크를 수행하거나 특정의 추상 데이터 유형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시져, 프로그램,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기타 등등을 포함한다. 또한,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방법이 단일-프로세서 또는 멀티프로세서 컴퓨터 시스템, 미니컴퓨터, 메인 프레임 컴퓨터는 물론 퍼스널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또는 프로그램가능 가전 제품, 기타 등등(이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연관된 장치와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음)을 비롯한 다른 컴퓨터 시스템 구성으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본 개시의 설명된 실시예들은 또한 어떤 태스크들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원격 처리 장치들에 의해 수행되는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될 수 있다.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 둘다에 위치할 수 있다.
컴퓨터는 통상적으로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매체는 그 어떤 것이든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될 수 있고,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일시적(transitory) 및 비일시적(non-transitory) 매체,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를 저장하는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일시적 및 비-일시적 매체,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메모리 기술, CD-ROM, DVD(digital video disk)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 장치,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 장치, 또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는 통상적으로 반송파(carrier wave)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transport mechanism)과 같은 피변조 데이터 신호(modulated data signal)에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등을 구현하고 모든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피변조 데이터 신호라는 용어는 신호 내에 정보를 인코딩하도록 그 신호의 특성들 중 하나 이상을 설정 또는 변경시킨 신호를 의미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직접 배선 접속(direct-wired connection)과 같은 유선 매체, 그리고 음향, RF, 적외선, 기타 무선 매체와 같은 무선 매체를 포함한다. 상술된 매체들 중 임의의 것의 조합도 역시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의 범위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컴퓨터(1102)를 포함하는 본 개시의 여러가지 측면들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환경(1100)이 나타내어져 있으며, 컴퓨터(1102)는 처리 장치(1104), 시스템 메모리(1106) 및 시스템 버스(1108)를 포함한다. 시스템 버스(1108)는 시스템 메모리(1106)(이에 한정되지 않음)를 비롯한 시스템 컴포넌트들을 처리 장치(1104)에 연결시킨다. 처리 장치(1104)는 다양한 상용 프로세서들 중 임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듀얼 프로세서 및 기타 멀티프로세서 아키텍처도 역시 처리 장치(1104)로서 이용될 수 있다.
시스템 버스(1108)는 메모리 버스, 주변장치 버스, 및 다양한 상용 버스 아키텍처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는 로컬 버스에 추가적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는 몇가지 유형의 버스 구조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1106)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1110)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112)를 포함한다. 기본 입/출력 시스템(BIOS)은 ROM, EPROM,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1110)에 저장되며, 이 BIOS는 시동 중과 같은 때에 컴퓨터(1102) 내의 구성요소들 간에 정보를 전송하는 일을 돕는 기본적인 루틴을 포함한다. RAM(1112)은 또한 데이터를 캐싱하기 위한 정적 RAM 등의 고속 RAM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1102)는 또한 내장형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1114)(예를 들어, EIDE, SATA)―이 내장형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114)는 또한 적당한 섀시(도시 생략) 내에서 외장형 용도로 구성될 수 있음―, 자기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FDD)(1116)(예를 들어, 이동식 디스켓(1118)으로부터 판독을 하거나 그에 기록을 하기 위한 것임),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1120)(예를 들어, CD-ROM 디스크(1122)를 판독하거나 DVD 등의 기타 고용량 광 매체로부터 판독을 하거나 그에 기록을 하기 위한 것임)를 포함한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114),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116)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1120)는 각각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4),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6) 및 광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8)에 의해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될 수 있다. 외장형 드라이브 구현을 위한 인터페이스(1124)는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및 IEEE 1394 인터페이스 기술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둘다를 포함한다.
이들 드라이브 및 그와 연관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데이터, 데이터 구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기타 등등의 비휘발성 저장을 제공한다. 컴퓨터(1102)의 경우, 드라이브 및 매체는 임의의 데이터를 적당한 디지털 형식으로 저장하는 것에 대응한다. 상기에서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대한 설명이 HDD, 이동식 자기 디스크, 및 CD 또는 DVD 등의 이동식 광 매체를 언급하고 있지만, 당업자라면 집 드라이브(zip drive), 자기 카세트, 플래쉬 메모리 카드, 카트리지, 기타 등등의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다른 유형의 저장 매체도 역시 예시적인 운영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또 임의의 이러한 매체가 본 개시의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운영 체제(1130),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132), 기타 프로그램 모듈(1134) 및 프로그램 데이터(1136)를 비롯한 다수의 프로그램 모듈이 드라이브 및 RAM(1112)에 저장될 수 있다. 운영 체제, 애플리케이션, 모듈 및/또는 데이터의 전부 또는 그 일부분이 또한 RAM(1112)에 캐싱될 수 있다. 본 개시가 여러가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운영 체제 또는 운영 체제들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유선/무선 입력 장치, 예를 들어, 키보드(1138) 및 마우스(1140) 등의 포인팅 장치를 통해 컴퓨터(1102)에 명령 및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기타 입력 장치(도시 생략)로는 마이크, IR 리모콘, 조이스틱, 게임 패드, 스타일러스 펜, 터치 스크린, 기타 등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 및 기타 입력 장치가 종종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 장치 인터페이스(1142)를 통해 처리 장치(1104)에 연결되지만, 병렬 포트, IEEE 1394 직렬 포트, 게임 포트, USB 포트, IR 인터페이스, 기타 등등의 기타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모니터(1144) 또는 다른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도 역시 비디오 어댑터(1146)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된다. 모니터(1144)에 부가하여,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스피커, 프린터, 기타 등등의 기타 주변 출력 장치(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컴퓨터(1102)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을 통한 원격 컴퓨터(들)(1148) 등의 하나 이상의 원격 컴퓨터로의 논리적 연결을 사용하여 네트워크화된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다. 원격 컴퓨터(들)(1148)는 워크스테이션, 서버 컴퓨터, 라우터, 퍼스널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오락 기기, 피어 장치 또는 기타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컴퓨터(1102)에 대해 기술된 구성요소들 중 다수 또는 그 전부를 포함하지만, 간략함을 위해, 메모리 저장 장치(1150)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논리적 연결은 근거리 통신망(LAN)(1152) 및/또는 더 큰 네트워크, 예를 들어, 원거리 통신망(WAN)(1154)에의 유선/무선 연결을 포함한다. 이러한 LAN 및 WAN 네트워킹 환경은 사무실 및 회사에서 일반적인 것이며, 인트라넷 등의 전사적 컴퓨터 네트워크(enterprise-wide computer network)를 용이하게 해주며, 이들 모두는 전세계 컴퓨터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LAN 네트워킹 환경에서 사용될 때, 컴퓨터(1102)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또는 어댑터(1156)를 통해 로컬 네트워크(1152)에 연결된다. 어댑터(1156)는 LAN(1152)에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해줄 수 있으며, 이 LAN(1152)은 또한 무선 어댑터(1156)와 통신하기 위해 그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고 있다. WAN 네트워킹 환경에서 사용될 때, 컴퓨터(1102)는 모뎀(1158)을 포함할 수 있거나, WAN(1154) 상의 통신 서버에 연결되거나, 또는 인터넷을 통하는 등, WAN(1154)을 통해 통신을 설정하는 기타 수단을 갖는다. 내장형 또는 외장형 및 유선 또는 무선 장치일 수 있는 모뎀(1158)은 직렬 포트 인터페이스(1142)를 통해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된다. 네트워크화된 환경에서, 컴퓨터(1102)에 대해 설명된 프로그램 모듈들 또는 그의 일부분이 원격 메모리/저장 장치(1150)에 저장될 수 있다. 도시된 네트워크 연결이 예시적인 것이며 컴퓨터들 사이에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기타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컴퓨터(1102)는 무선 통신으로 배치되어 동작하는 임의의 무선 장치 또는 개체, 예를 들어, 프린터, 스캐너, 데스크톱 및/또는 휴대용 컴퓨터, PDA(portable data assistant), 통신 위성, 무선 검출가능 태그와 연관된 임의의 장비 또는 장소, 및 전화와 통신을 하는 동작을 한다. 이것은 적어도 Wi-Fi 및 블루투스 무선 기술을 포함한다. 따라서, 통신은 종래의 네트워크에서와 같이 미리 정의된 구조이거나 단순하게 적어도 2개의 장치 사이의 애드혹 통신(ad hoc communication)일 수 있다.
Wi-Fi(Wireless Fidelity)는 유선 없이도 인터넷 등으로의 연결을 가능하게 해준다. Wi-Fi는 이러한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가 실내에서 및 실외에서, 즉 기지국의 통화권 내의 아무 곳에서나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게 해주는 셀 전화와 같은 무선 기술이다. Wi-Fi 네트워크는 안전하고 신뢰성 있으며 고속인 무선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IEEE 802.11(a,b,g, 기타)이라고 하는 무선 기술을 사용한다. 컴퓨터를 서로에, 인터넷에 및 유선 네트워크(IEEE 802.3 또는 이더넷을 사용함)에 연결시키기 위해 Wi-Fi가 사용될 수 있다. Wi-Fi 네트워크는 비인가 2.4 및 5 GHz 무선 대역에서, 예를 들어, 11Mbps(802.11a) 또는 54 Mbps(802.11b) 데이터 레이트로 동작하거나, 양 대역(듀얼 대역)을 포함하는 제품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프로세서들, 수단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편의를 위해, 여기에서 "소프트웨어"로 지칭되는) 다양한 형태들의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 또는 이들 모두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이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위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하여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따라 좌우된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여기서 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한 제조 물품(articl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매체(media)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자기 저장 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 광학 디스크(예를 들면, CD, DVD,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쉬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E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기계-판독가능 매체"는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보유, 및/또는 전달할 수 있는 무선 채널 및 다양한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데이터 변환 서버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이하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며, 상기 동작들은: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제 1 데이터 셋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 1 데이터 셋을 웹 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한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타입의 제 1 데이터로 변환하는 동작;
    상기 제 1 데이터에 기초하여,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웹 페이지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출력되도록 상기 웹 브라우저로 전송하는 동작;
    을 포함하고,
    상기 웹 페이지는,
    사용자 인터랙션(User Interaction)을 허용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셋을 JSON 타입의 제 1 데이터로 변환하는 동작은,
    EBCDIC(extended binary-coded decimal interchange code) 타입으로 작성된 상기 제 1 데이터 셋을 UTF-16(16-bit Unicode Transformation Format) 타입으로 변환하는 동작;
    상기 UTF-16 타입으로 변환된 상기 제 1 데이터 셋을 자바 객체(JAVA Object)로 저장하는 동작; 및
    상기 자바 객체를 JSON 타입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에 기초하여,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데이터의 구조를 분석하여, 상기 웹 페이지에서 출력 가능한 위젯(Widget)들 중 상기 제 1 데이터를 출력할 제 1 위젯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위젯과 상기 제 1 데이터를 맵핑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젯과 상기 제 1 데이터를 맵핑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위젯의 속성 값을 인식하는 동작;
    상기 제 1 데이터 중 상기 속성 값에 대응되는 키-벨류 스토어(Key-Value Store)를 인식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위젯에 인식된 상기 키-벨류 스토어를 적용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웹 페이지에서 출력 가능한 위젯들은,
    테이블 타입 위젯, 텍스트 영역 타입 위젯 및 버튼 타입 위젯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의 구조를 분석하여, 상기 웹 페이지에서 출력 가능한 위젯들 중 상기 제 1 데이터를 출력할 제 1 위젯을 결정하는 동작은,
    제 1 데이터에 포함된 속성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위젯을 정의하는 동작;
    을 포함하고,
    제 1 데이터에 포함된 속성들은,
    좌표 속성, 언더라인(underline) 속성, 컬러(color) 속성, 블링크(blink) 속성 중 적어도 하나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웹 페이지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출력되도록 상기 웹 브라우저로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웹 페이지에 기초하여,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코드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HTML 코드를 상기 웹 브라우저로 전송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8.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데이터와 관련된 제 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사용자 입력을 JSON 타입의 제 2 데이터로 변환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데이터를 제 2 데이터 셋으로 변환하는 동작; 및
    상기 제 2 데이터 셋을 상기 메인 프레임으로 전송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0.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웹 페이지의 커스터마이즈(Customize)와 관련된 제 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 2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웹 페이지를 변경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1. 데이터 변환 서버로서,
    메인 프레임 및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데이터를 변환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제 1 데이터 셋을 수신하고,
    상기 제 1 데이터 셋을 웹 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한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타입의 제 1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제 1 데이터에 기초하여, 웹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웹 페이지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출력되도록 상기 웹 브라우저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웹 페이지는,
    사용자 인터랙션(User Interaction)을 허용하는,
    데이터 변환 서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데이터 셋을 JSON 타입의 제 1 데이터로 변환하는 경우, EBCDIC(extended binary-coded decimal interchange code) 타입으로 작성된 상기 제 1 데이터 셋을 UTF-16(16-bit Unicode Transformation Format) 타입으로 변환하고,
    상기 UTF-16 타입으로 변환된 상기 제 1 데이터 셋을 자바 객체(JAVA Object)로 저장하고,
    상기 자바 객체를 JSON 타입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 서버.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데이터에 기초하여,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제 1 데이터의 구조를 분석하여, 상기 웹 페이지에서 출력 가능한 위젯(Widget)들 중 상기 제 1 데이터를 출력할 제 1 위젯을 결정하고,
    상기 제 1 위젯과 상기 제 1 데이터를 맵핑하는,
    데이터 변환 서버.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위젯과 상기 제 1 데이터를 맵핑하는 경우, 상기 제 1 위젯의 속성 값을 인식하고,
    상기 제 1 데이터 중 상기 속성 값에 대응되는 키-벨류 스토어(Key-Value Store)를 인식하고,
    상기 제 1 위젯에 인식된 상기 키-벨류 스토어를 적용하는,
    데이터 변환 서버.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웹 페이지에서 출력 가능한 위젯들은,
    테이블 타입 위젯, 텍스트 영역 타입 위젯 및 버튼 타입 위젯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변환 서버.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데이터의 구조를 분석하여, 상기 웹 페이지에서 출력 가능한 위젯들 중 상기 제 1 데이터를 출력할 제 1 위젯을 결정하는 경우, 제 1 데이터에 포함된 속성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위젯을 정의하고,
    제 1 데이터에 포함된 속성들은,
    좌표 속성, 언더라인(underline) 속성, 컬러(color) 속성, 블링크(blink) 속성 중 적어도 하나인,
    데이터 변환 서버.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웹 페이지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출력되도록 상기 웹 브라우저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경우, 상기 웹 페이지에 기초하여,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HTML 코드를 상기 웹 브라우저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데이터 변환 서버.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데이터와 관련된 제 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제 1 사용자 입력을 JSON 타입의 제 2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 서버.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데이터를 제 2 데이터 셋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 2 데이터 셋을 상기 메인 프레임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데이터 변환 서버.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웹 페이지의 커스터마이즈(Customize)와 관련된 제 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제 2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웹 페이지를 변경하는,
    데이터 변환 서버.
KR1020190035095A 2019-03-27 2019-03-27 데이터 변환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93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095A KR102293178B1 (ko) 2019-03-27 2019-03-27 데이터 변환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19076164A JP6938557B2 (ja) 2019-03-27 2019-04-12 データ変換サーバおよび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US16/383,977 US20200311097A1 (en) 2019-03-27 2019-04-15 Data conversion server and computer programs
KR1020210108749A KR20210104013A (ko) 2019-03-27 2021-08-18 데이터 변환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095A KR102293178B1 (ko) 2019-03-27 2019-03-27 데이터 변환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8749A Division KR20210104013A (ko) 2019-03-27 2021-08-18 데이터 변환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025A true KR20200114025A (ko) 2020-10-07
KR102293178B1 KR102293178B1 (ko) 2021-08-25

Family

ID=726078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5095A KR102293178B1 (ko) 2019-03-27 2019-03-27 데이터 변환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108749A KR20210104013A (ko) 2019-03-27 2021-08-18 데이터 변환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8749A KR20210104013A (ko) 2019-03-27 2021-08-18 데이터 변환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311097A1 (ko)
JP (1) JP6938557B2 (ko)
KR (2) KR1022931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4189A (ko) * 2020-11-11 2022-05-18 주식회사 티맥스 소프트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068530A (ko) * 2020-11-19 2022-05-26 주식회사 티맥스 소프트 메인프레임의 데이터를 변환하는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7590A (ja) * 1998-12-01 2002-11-05 ユニバーシティ・オブ・フロリダ データベースおよびメインフレームのウェブページアクセス
KR20140110240A (ko) * 2013-03-07 2014-09-17 에스피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저작도구와 통합개발환경의 연동을 위한 장치와 그 제어 방법
KR101456505B1 (ko) * 2012-08-06 2014-10-31 인크로스 주식회사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레임워크
KR101563289B1 (ko) 2013-12-23 2015-11-06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업무정보 제공 기반의 모바일 웹 서비스 환경구현을 위한 모바일 웹 라이브러리 제공 시스템
KR20170112171A (ko) * 2016-03-31 2017-10-12 주식회사 티맥스 소프트 다중 플랫폼 위에서 실행되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 개발용 프레임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사용한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7590A (ja) * 1998-12-01 2002-11-05 ユニバーシティ・オブ・フロリダ データベースおよびメインフレームのウェブページアクセス
KR101456505B1 (ko) * 2012-08-06 2014-10-31 인크로스 주식회사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레임워크
KR20140110240A (ko) * 2013-03-07 2014-09-17 에스피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저작도구와 통합개발환경의 연동을 위한 장치와 그 제어 방법
KR101563289B1 (ko) 2013-12-23 2015-11-06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업무정보 제공 기반의 모바일 웹 서비스 환경구현을 위한 모바일 웹 라이브러리 제공 시스템
KR20170112171A (ko) * 2016-03-31 2017-10-12 주식회사 티맥스 소프트 다중 플랫폼 위에서 실행되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 개발용 프레임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사용한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4189A (ko) * 2020-11-11 2022-05-18 주식회사 티맥스 소프트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068530A (ko) * 2020-11-19 2022-05-26 주식회사 티맥스 소프트 메인프레임의 데이터를 변환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38557B2 (ja) 2021-09-22
KR20210104013A (ko) 2021-08-24
JP2020161095A (ja) 2020-10-01
US20200311097A1 (en) 2020-10-01
KR102293178B1 (ko) 202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4740B2 (en) Virtual library providing content accessibility irrespective of content format and type
EP3451154B1 (en) Embedded analytics for applications and interfaces across multiple platforms
US9524283B2 (en) Techniques to remotely access form information and generate a form
US11681723B1 (en) Modeling of a non-relational database as a normalized relational database
US20180295194A1 (en) Techniques for supporting remote micro-services as native functions in spreadsheet applications
JP2016511883A (ja) コンテンツキュレーションのための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ミングインタフェース
KR20150115850A (ko) 특징의 버전 또는 다수의 편집기를 사용하는 공동 작업
US20170098008A1 (en) Mobile application manager system and method
CN103608799A (zh) 自动用户界面对象变换和代码生成
US8977950B2 (en) Techniques for selection and manipulation of table boarders
KR20210104013A (ko) 데이터 변환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140082523A1 (en) Collaborative form filling and dynamic transfer of redacted information
US20150269130A1 (en) System and method of using multi-level hierarchical data in displaying real-time web-service objects
WO2014202323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facilitating a data interchange protocol
US8135716B2 (en) Systems and method for mapping large object data content in a database table to a work area
KR101997494B1 (ko) 메인프레임 시스템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개방형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
US20220147327A1 (e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Menu Model of a Character User Interface
US11119975B2 (en) Digital design application plugin for content updates and delivery
CN111736929B (zh) 用于创建任务实例的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9519629B1 (en) Style consolidation and optimization with strong ownership
CN111886607A (zh) 用于电子文档的内容语料库
JP6802591B1 (ja) プログラム、端末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20200358844A1 (en) Server and method for sharing collaborative editing file
US20200265022A1 (en) Intent Signaling with Collaborators
KR20190082696A (ko) 메인프레임 시스템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개방형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