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3952A - 액적 트랩을 이용한 액적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 Google Patents
액적 트랩을 이용한 액적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13952A KR20200113952A KR1020190034922A KR20190034922A KR20200113952A KR 20200113952 A KR20200113952 A KR 20200113952A KR 1020190034922 A KR1020190034922 A KR 1020190034922A KR 20190034922 A KR20190034922 A KR 20190034922A KR 20200113952 A KR20200113952 A KR 202001139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oplet
- energy harvester
- trap
- base plate
- sha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00—Electrostatic generators or motors using a solid moving electrostatic charge carrier
- H02N1/04—Friction generator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액적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액적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작동원리 설명도.
도 4는 트랩부 구조의 여러 실시예.
도 5는 트랩부 형상의 여러 실시예.
도 6은 전극판 형상의 여러 실시예.
도 7은 전극판 및 충전부 간 연결의 여러 실시예.
도 8은 트랩부가 없는 종래의 액적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에서의 출력 전압 개형.
도 9는 본 발명의 액적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에서의 출력 전압 개형.
110: 기반판 120: 전극판
130: 트랩부 131: 확대부
135: 안내부
140: 충전부 141: 정류자
145: 부하
150: 지지판
Claims (21)
- 유전체 재질로 형성되는 기반판(110);
상기 기반판(110) 후면에 전도체 재질로 형성되는 전극판(120);
상기 기반판(110) 상부에 형성되어 액적을 수집 및 확대하며, 확대된 액적이 상기 기반판(110) 전면으로 흘러내리도록 배출하는 트랩부(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적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적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상기 트랩부(130)에 수집 및 확대된 액적이 배출되어 상기 기반판(110) 전면으로 흘러내림으로써 액적 및 상기 전극판(120) 간의 겹침면적이 변화됨에 따라 발생되는 마찰대전에 의한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적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적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상기 전극판(120) 및 접지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에너지를 축적하는 충전부(1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적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적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상기 기반판(110)이 유전체 및 소수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트랩부(130)가 친수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기반판(110) 전면 상부에 코팅된 박막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적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적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상기 트랩부(130)가 상기 기반판(110) 전면 상부가 후방으로 함몰된 단차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적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부(130)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방에서 하방으로 향하는 경사가 형성되는 단차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적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액적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상기 트랩부(130)에서 흘러내리는 액적을 미리 결정된 궤적 형태로 안내하는 안내부(13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적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135)는,
친수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기반판(110) 전면 일부에 코팅된 박막 형태로 형성되거나,
상기 기반판(110) 전면 상부가 후방으로 함몰된 단차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적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부(130)는,
전면에서 보았을 때,
하측이 평평한 하나의 변으로 형성되는 도형 형태이거나,
하방으로 돌출된 꼭지점 및 상기 꼭지점을 향해 마주보게 경사진 한 쌍의 변을 포함하는 형태가 하나 또는 좌우로 복수 개가 배열된 도형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적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부(130)는,
전면에서 보았을 때,
액적이 수집 및 확대되도록, 하측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하방으로 돌출되며 원 또는 타원 형태로 형성되는 확대부(1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적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부(131)는,
상기 트랩부(130)가 하방으로 돌출된 꼭지점 및 상기 꼭지점을 향해 마주보게 경사진 한 쌍의 변을 포함하는 형태가 하나 또는 좌우로 복수 개가 배열된 도형 형태일 경우,
상기 꼭지점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적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액적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상기 트랩부(130)에서 흘러내리는 액적을 미리 결정된 궤적 형태로 안내하는 안내부(135);
를 포함하되,
상기 안내부(135)는 상기 트랩부(130)의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적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135)는,
상기 트랩부(130)가 하방으로 돌출된 꼭지점 및 상기 꼭지점을 향해 마주보게 경사진 한 쌍의 변을 포함하는 형태가 하나 또는 좌우로 복수 개가 배열된 도형 형태일 경우,
상기 꼭지점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적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판(120)은,
적어도 하나의 수평으로 연장되는 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적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판(120)은,
복수 개의 서로 독립적인 바들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적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판(120)은,
복수 개의 바들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되, 각각의 바의 좌측 또는 우측 끝단이 연결되어 복수 개의 바들이 일체화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적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판(120)은,
각각의 바의 좌측 또는 우측 끝단이 교번되게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사행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적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판(120)은,
복수 개의 바들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바 세트가, 좌우 방향으로 복수 개 배열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적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액적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상기 전극판(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에너지를 축적하는 충전부(140);
를 포함하되,
복수 개의 상기 충전부(140)가 복수 개의 바 각각에 하나씩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거나,
단일 개의 상기 충전부(140)가 복수 개의 바 각각에 한꺼번에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적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140)는,
부하(145),
상기 부하(145)의 전단 또는 후단에 구비되어 전류를 정류하는 정류자(14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적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적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상기 기반판(110) 및 상기 전극판(120)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기반판(110) 및 상기 전극판(120)을 지지하는 지지판(1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적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4922A KR102163962B1 (ko) | 2019-03-27 | 2019-03-27 | 액적 트랩을 이용한 액적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4922A KR102163962B1 (ko) | 2019-03-27 | 2019-03-27 | 액적 트랩을 이용한 액적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3952A true KR20200113952A (ko) | 2020-10-07 |
KR102163962B1 KR102163962B1 (ko) | 2020-10-12 |
Family
ID=72841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34922A Active KR102163962B1 (ko) | 2019-03-27 | 2019-03-27 | 액적 트랩을 이용한 액적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6396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50061884A (ko) | 2023-10-30 | 2025-05-08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액체전극 기반 액적 에너지 하베스터 및 그 작동방법 |
KR20250061882A (ko) | 2023-10-30 | 2025-05-08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고유전율 중간층을 갖는 액적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 및 그 작동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6616B1 (ko) * | 2001-04-23 | 2008-07-16 | 키네티큐 리미티드 | 액체 수집 방법, 수집 시스템, 및 물 수집 키트 |
KR101737523B1 (ko) | 2015-09-15 | 2017-05-18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기포를 이용한 전기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
-
2019
- 2019-03-27 KR KR1020190034922A patent/KR10216396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6616B1 (ko) * | 2001-04-23 | 2008-07-16 | 키네티큐 리미티드 | 액체 수집 방법, 수집 시스템, 및 물 수집 키트 |
KR101737523B1 (ko) | 2015-09-15 | 2017-05-18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기포를 이용한 전기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
Non-Patent Citations (3)
Title |
---|
"Guided Transport of Water Droplets on Superhydrophobic-Hydrophilic Patterned Si Nanowires", Jungmok Seo, etc.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 (2011.11.17. 공개)* * |
"Interdigital electrode based triboelectric nanogenerator for effective energy harvesting from water", Byung Kil Yun etc., Nano Energy 2017(2017.04.22. 공개)* * |
"Tuning Drop Motion by Chemical Chessboard-Patterned Surfaces: A Many-Body Dissipative Particle Dynamics Study",Chensen Lin, etc.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8.02.01. 공개)*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63962B1 (ko) | 2020-10-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2564541B (zh) | 一种用于低频运动的电磁摩擦电混合式能量收集器 | |
Seol et al. | Vertically stacked thin triboelectric nanogenerator for wind energy harvesting | |
KR102233550B1 (ko) | 전방향 바람에너지 수확이 가능한 원주형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 |
Wang et al. | Sustainably powering wearable electronics solely by biomechanical energy | |
KR102163962B1 (ko) | 액적 트랩을 이용한 액적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터 | |
US8987973B2 (en) | Energy harvester | |
CN112104255B (zh) | 一种用于捕获水滴能和风能的摩擦纳米发电机 | |
CN105680723B (zh) | 一种复合式风能收集器 | |
JP2008161036A (ja) | 静電誘導型変換装置 | |
KR101743240B1 (ko) | 풍력을 이용한 접촉 대전 발전 장치 | |
CN112747841B (zh) | 一种自驱动压力传感器及其制备方法 | |
CN106685257A (zh) | 一种自驱动开关式摩擦纳米发电机和摩擦发电方法 | |
KR20190108453A (ko) | 캡슐 구조의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및 그 제조 방법 | |
CN204216797U (zh) | 接触摩擦式纳米发电机 | |
KR101775116B1 (ko) | 분말의 움직임을 이용한 접촉 대전 발전기 및 그 제조 방법 | |
KR20200117440A (ko) | 유체 기반 마찰발전 소자 | |
CN211670796U (zh) | 一种复合振动能量收集装置 | |
CN205725522U (zh) | 一种复合式风能收集器 | |
EP2874304B1 (en) | Vibration power generator | |
KR101560098B1 (ko) | 액체방울을 이용한 발전시스템 | |
CN108347192A (zh) | 驻极体自发电可穿戴装置 | |
Gao et al. | Three-terminal high-output triboelectric nanogenerator to achieve alternating current/direct current collaborative output by coupling three-dimensional porous structure, triboelectrification and corona discharge | |
KR20170062431A (ko) | 열-마찰전기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 | |
KR20200055423A (ko) | 바람을 이용한 마찰대전 발전기 | |
KR20180071132A (ko) | 신발형 접촉 대전 발전기, 자가발전 스마트 신발 및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0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0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