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3631A -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 - Google Patents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3631A
KR20200113631A KR1020190034124A KR20190034124A KR20200113631A KR 20200113631 A KR20200113631 A KR 20200113631A KR 1020190034124 A KR1020190034124 A KR 1020190034124A KR 20190034124 A KR20190034124 A KR 20190034124A KR 20200113631 A KR20200113631 A KR 20200113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quipment
control unit
bio
war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9534B1 (ko
Inventor
임근홍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90034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534B1/ko
Priority to PCT/KR2019/003550 priority patent/WO2020196951A1/ko
Publication of KR20200113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61B5/024Measur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sychia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감지부, 외부 장비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상기 생체신호 감지부 및 통신부에 연결되어 있는 동작 제어부,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장비의 종류 정보에 따라 정해져 값을 갖는 기준 수치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및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동작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경고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장비와 통신 상태로 연결되면 상기 장비로부터 전송되는 장비의 종류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장비의 종류 정보에 해당하는 값의 기준 수치를 판정하고, 상기 생체신호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사용자의 현재 생체 수치를 판정하고, 판정된 기준 수치와 현재 생체 수치를 이용하여 상기 경고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BIO-SIGNAL AND WARN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측정된 생체 신호를 이용하여 장비의 사용자에게 위험 상태를 경고하는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건강관리 제품들이 크게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사용자의 손목 등에 착용하여 생체 신호를 측정해 사용자의 현재 신체 상태를 알려주는 웨어러블 형태(wearable type)의 생체 신호 측정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에서 측정한 생체 신호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졸음 상태를 판정하여, 운전자에게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것과 같이,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차와 같은 장비의 운전자의 운전 상태를 판정해, 운전 상태가 정상 상태가 아닌 경우 운전자에게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 10-2018-0124327호(공개일자: 2018년11월21일, 발명의 명칭: 사용자의 졸음의 정도 혹은 집중력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866724호(공고일자: 2018년06월15일, 발명의 명칭: 웨어러블 디바이스, 그와 통신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생체신호 측정 장치와 연결된 장비에 따라 사용자의 상태를 정확히 판정하여 부정확한 경고 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생체신호 측정 장치에 연결된 장비의 사용자의 편리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생체신호 판정 및 경고 장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감지부, 외부 장비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상기 생체신호 감지부 및 통신부에 연결되어 있는 동작 제어부,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장비의 종류 정보에 따라 정해져 값을 갖는 기준 수치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및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동작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경고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장비와 통신 상태로 연결되면 상기 장비로부터 전송되는 장비의 종류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장비의 종류 정보에 해당하는 값의 기준 수치를 판정하고, 상기 생체신호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사용자의 현재 생체 수치를 판정하고, 판정된 기준 수치와 현재 생체 수치를 이용하여 상기 경고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 수치는 상기 장비의 종류와 장비의 운전상태 정보에 따라 값이 정해질 수 있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장비로 운전상태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장비로부터 현재의 운전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현재의 운전상태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장비의 종류 정보 및 현재의 운전상태 정보에 해당하는 값의 기준 수치를 판정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생체신호 판정 및 경고 장치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현재 시각을 측정하는 시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 수치는 상기 장비의 종류, 상기 장비의 운전상태 정보 및 시각에 따라 값이 정해질 수 있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시계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시각을 판정하고, 상기 저장부에서 장비의 종류 정보, 현재의 운전상태 정보 및 현재 시각에 해당하는 값의 기준 수치를 판정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생체신호 판정 및 경고 장치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현재 시각을 측정하는 시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 수치는 상기 장비의 종류 및 시각에 따라 값이 정해질 수 있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시계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시각을 판정하고, 상기 저장부에서 장비의 종류 정보 및 현재 시각에 해당하는 값의 기준 수치를 판정할 수 있다.
상기 생체신호 감지부는 맥파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생체 수치는 맥박 수일 수 있다.
상기 장비는 자동차일 수 있다.
상기 운전상태 정보는 상기 자동차의 주행 속도일 수 있다.
상기 생체신호 판정 및 경고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형태의 기기일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와 연결된 장비의 종류에 따라 장비 사용자의 현재 신체 상태를 판정하는 기준 수치의 값이 변하므로, 사용되는 장비의 사용 목적에 맞는 적절한 경고 동작을 수행한다.
이로 인해, 좀더 정밀하게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판정하여, 장비 사용 시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정확히 판정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만족도가 향상된다.
또한, 사용자의 장비 사용 목적에 연동하여 측정된 생체 정보의 상태를 판정하므로 정확하게 현재 사용자의 상태를 판정해 위험 여부에 대한 판정의 정확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무분별한 경고 동작으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함이 없어지고, 위급 상황 시 정확하게 경고 동작이 행해지므로 동작의 정확도와 신뢰도가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경고 시스템의 개략적인 개념도로서,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와 연결된 장비가 자동차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경고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경고 시스템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경고 시스템의 개략적인 개념도로서,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와 연결된 장비가 러닝 머신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경고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를 구비한 사용자 경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고로 하며, 본 예의 사용자 경고 시스템은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10), 그리고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10)와 통신하는 장비(20)를 구비한다.
도 1에서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10)와 통신으로 연결된 장비(20)는 한 예로 자동차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10)의 사용자가 현재 이용하고 있는 러닝 머신(running machine)(20)이나 안마 의자(미도시)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장비일 수 있다.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10)는 장비(20)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손목 등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형태로 이루어진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예로서,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사용자의 손목에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10)를 착용한 것으로 도시한다.
이러한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10)는 생체신호 측정 모듈(100)과 생체신호 측정 모듈(100)에 연결되어 있는 착용부(B10)를 구비한다.
생체신호 측정 모듈(100)은 원형이나 사각형과 같은 다양한 평면 형태를 갖는 시계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착용부(B1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가 생체신호 측정 모듈(100)의 본체 측면에 위치한다.
착용부(B10)는 가늘고 긴 띠(strip)와 같이 형태로 이루어져 손목 등과 같은 사용자가 원하는 신체 부위에 착용할 수 있는 시계 띠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생체신호 측정 모듈(100)에 형성된 결합부에 연결핀 등을 이용한 체결 구조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착용부(B10)에는 사용자에 의해 착용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잠금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생체신호 측정 장치(10)는 생체신호 측정 모듈(100)의 양 측면에 시계 줄 형태의 착용부(B10)가 결합되어 있고, 사용자에 의해 손목 등 해당 신체 부위에 착용되거나 착용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도 2를 참고로 하면, 생체신호 측정 모듈(100)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감지부(110), 자동차(2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120), 생체신호 감지부(110)와 통신부(120)에 연결되어 있는 동작 제어부(130), 동작 제어부(130)에 연결되어 있는 저장부(140), 동작 제어부(130)에 연결되어 있는 정보 출력부(150), 동작 제어부(130)에 연결되어 있는 경고부(160) 및 동작 제어부(130)에 연결되어 있는 시계부(170)를 구비한다.
생체신호 감지부(110)는 접촉되거나 인접하게 위치하는 사용자 피부로부터 출력되는 생체 신호를 감지하는 부분으로서, 맥파(PPG) 센서일 수 있다.
맥파(PPG, photo-plethysmography) 센서는 정해진 색상(예, 녹색과 적색)의 빛을 각각 발광하는 발광부[예, 발광 다이오드(LED)]와 피부에 의해 반사되는 발광부의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예, 포토다이오드(photodiode)]를 구비하고 있고, 동맥과 정맥의 상태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여 심박수와 산소 포화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대안적인 예에서, 생체신호 감지부(110)는 맥파 센서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체온 센서나 혈당 센서 등과 같이 다른 종류의 생체신호 감지부로 대체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생체신호 감지부가 추가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자동차(20)와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서,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또는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동작 제어부(130)는 본 예의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1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유닛으로서, 통신부(120)를 통해 현재 통신하고 있는 장비의 종류, 즉, 도 1의 경우는 자동차(20), 현재 시각 및 현재 통신하고는 장비인 자동차(20)의 운전 상태에 따라 경고부(160)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 수치를 판정한다.
따라서, 동작 제어부(130)는 판정된 기준 수치의 값과 현재 측정된 생체 수치(예, 맥박 수)를 이용하여 경고부(160)의 동작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현재 자동차의 주행 속도가 120rpm일 때와 60rpm일 때, 사용자 즉 운전자의 운전에 대한 집중도는 60rpm일 때보다 120rpm일 때 높아야 한다.
또한, 동일한 속도로 운전을 하더라도 낮 시간에 운전하는 경우와 밤 시간에 운전하는 경우, 밤에 운전하는 경우 운전자는 낮의 경우보다 높은 집중도를 발휘해야 운전을 실시해야 한다.
이처럼, 주변 환경과 해당 장비의 운전 상태를 고려하여, 생체 신호를 이용해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판정하여 안전 운전 상태가 아닌 위험 상태라고 판정되면, 즉, 현재 생체 수치가 기준 수치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제어부(130)는 경고부(160)를 동작시키게 된다.
또한,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10)와 통신하고 있는 장비가 도 4와 같이 러닝 머신(20)인 경우, 사용자는 러닝 머신을 이용하여 운동을 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맥박 수는 운동을 하지 않는 경우보다 높다.
또한, 러닝 머신(20)을 이용한 운동 상태라고, 러닝 머신(20)의 동작 상태, 즉 러닝 머신(20)의 속도가 빠르면 빠를수록 사용자의 맥박 수는 증가하게 된다.
이처럼, 사용자가 러닝 머신(20)을 이용하는 경우, 경고부(160)의 동작 여부를 판정하는 기준 수치의 값은 자동차(20)의 경우와 달라지게 된다.
또 다른 예로서,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10)와 연결된 장비가 안마 의자일 경우, 사용자의 맥박 수는 거의 수면 상태의 맥박 수에 인접하게 매우 낮은 수치를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10)의 사용자가 안마 의자를 이용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한 예로서 측정된 맥박 수가 급작스럽게 큰 폭으로 변할 때 경고부(160)를 동작시킬 수 있고, 이때 기준 수치의 값은 생체 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10)가 자동차나 러닝 머신(20)과 연결될 때의 경우에 비해 매우 낮은 수치를 가질 수 있다.
저장부(140)는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1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나 명령 또는 동작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 등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memory) 등으로 이루어진 저장 매체이다.
또한, 저장부(140)는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10)와 통신부(120)를 통해 연결되는 장비의 종류 및 운전 상태, 그리고 시각에 따라 경고부(160)의 동작 여부를 정하는 기준 수치의 값은 이미 정해져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통신부(120)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장비(20)의 종류 및 운전 상태와 현재 시각에 해당하는 값의 기준 수치를 판정하여, 현재 측정된 생체 정보와의 비교 동작을 통해 경고 신호의 출력 여부를 판정하게 된다.
정보 출력부(150)는 동작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생체신호 감지부(110)에 의해 측정된 생체 정보 및 현재 시각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출력부(150)는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나 유기 발광 표시 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고부(160)는 통신부(120)를 통해 연결된 장비(20)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상태가 장비(20)의 사용에 적합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졸음 운전 상태나 운전의 집중도가 현재 운전 상태에 맞지 않는 경우(즉, 미치지 못하는 경우), 심장 마비의 우려가 있는 경우, 또는 심정지 상태 등과 같이 비정상 상태인 경우, 사용자에게 현재 자신의 몸 상태가 비정상임을 알려주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경고부(16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동작 상태가 정해지며, 으로서, 경고음을 출력하는 경고음 발생기 및 진동 발생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경고부(160)의 동작에 따라 졸음 운전을 중지하는 등과 같은 필요한 응급 조치를 신속히 취할 수 있다.
통신부(120)를 통해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10)와 연결되는 장비의 한 종류인 자동차(20)는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운전상태 감지부인 주행속도 감지부(210), 통신부(220), 주행속도 감지부(210) 및 통신부(220)에 연결된 동작 제어부(230), 동작 제어부(230)에 연결된 저장부(240)를 구비한다.
대안적인 예로서,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10)와 연결된 장비가 러닝 머신의 경우에도, 운전상태 감지부는 주행속도 감지부일 수 있고, 안마 의자인 경우에는 운전상태 감지부는 경사각 감지부일 수 있다.
통신부(220)는 생체신호 측정 모듈(100)과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서, 생체신호 측정 모듈(100) 등과 같은 다른 전자 기기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부(22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동작 제어부(230)는 도 1의 경우 엔진 제어부일 수 있고, 통신부(220)의 동작에 의해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10)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면, 저장부(24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에 속한 장비(예, 자동차)(20)에 대한 장비 정보를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10)로 전송한다.
이로 인해,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10)는 현재 자신과 연결된 장비(20)의 종류(예, 자동차, 러닝 머신 또는 안마 의지)를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동작 제어부(230)는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10)의 요청에 의해 현재 운전 상태 정보(예, 현재 주행 속도)를 판정하여 전송한다.
저장부(240)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자신이 속한 장비(20)에 대한 장비 정보 등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이다.
다음, 도 3을 참고로 하여, 이러한 구조를 갖는 사용자 경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10) 및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10)와 설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해당 자동차(20)는 서로 통신부(120, 220)를 이용하여 무선 연결된 상태가 된다(S11).
이와 같이,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10)와 자동차(20)가 서로 통신 상태가 되면, 자동차(20)의 동작 제어부(230)는 저장부(240)에 저장되어 있는 장치 정보(즉, 장비의 종류를 알 수 있는 정보)를 읽어와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10)로 전송한다(S12).
이로 인해,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10)의 동작 제어부(130)는 전송된 장비 정보를 저장부(140)에 저장한다(S13).
다음,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10)의 동작 제어부(130)는 통신부(120)를 통해 자동차(20)로 운전 상태 정보를 요청한다(S14).
이에 따라, 자동차(20)의 동작 제어부(230)는 주행속도 감지부(21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자동차의 운전 상태 정보인 현재 주행 속도를 판정한 후(S15), 판정된 주행 속도를 통신부(230)를 통해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10)로 전송한다(S16).
통신부(120)를 통해 통신하고 있는 자동차(20)로부터 현재 운전 상태 정보인 주행 속도가 전송되면,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10)의 동작 제어부(130)는 전송된 주행 속도를 저장부(140)에 저장한다(S17).
이와 같이, 자동차(20)로부터 장비 정보와 운전 상태 정보가 전송되면,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10)의 제어부(130)는 시계부(170)로부터 시각 정보를 읽어와 현재 시각을 판정한 후 저장부(140)에 저장한다(S18).
그런 다음 저장되어 있는 장비 정보, 운전 상태 정보 및 현재 시각을 이용하여 저장부(140)에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등으로 저장되어 있는 기준 수치 중에서 판정된 장비 정보, 운전 상태 정보 및 현재 시각에 해당하는 값의 기준 수치를 읽어와 현재의 기준 수치로서 저장한다(S19, S20).
이와 같이, 현재 통신하고 있는 장비(20)의 종류 및 운전 상태, 그리고 현재 시각에 맞는 값의 기준 수치가 정해지면, 동작 제어부(130)는 생체신호 감지부(11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현재 운전자의 상태, 예를 들어, 맥박 수를 판정한다(S21).
다음, 판정된 현재 맥박 수와 기준 수치를 비교하여 판정된 현재 맥박 수가 기준 수치보다 낮을 경우(S22), 동작 제어부(130)는 경고부(160)로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경고부(160)를 동작시킨다(S23).
이로 인해, 자동차(20)의 운전자 즉,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10)의 사용자는 경고부(160)의 동작으로 자신의 불안전하고 불량한 운전 상태를 인지하여 운전에 대한 집중도를 높이거나 잠시 휴식을 취하는 것과 같은 적절한 동작을 취하게 된다.
이와 달리,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10)와 통신하는 장비(20)가 러닝 머신이나 안마 의자인 경우, 동작 제어부(130)는 장비(20)의 종류 및 운전 상태, 그리고 현재 시각에 따라 정해진 기준 수치의 값은 복수 개로서 제1 값을 갖는 제1 기준 수치와 제1 값보다 큰 제2 값을 갖는 제2 기준 수치일 수 있다.
이런 경우, 동작 제어부(130)는 현재의 생체 수치(예, 맥박 수)가 제1 기준 수치보다 낮거나(예, 심정지 현상이 발생한 경우), 제2 기준 수치보다 높은 경우(예, 맥박 수가 비정상적으로 급격히 경우), 경고부(160)를 동작 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장비(20)의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10)는 장비(20)의 종류뿐만 아니라 현재 장비(20)의 운전 상태 및 현재 시각을 이용하여 경고 동작의 판단 기준인 기준 수치를 판정한다.
하지만, 대안적인 예에서,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10)는 통신하고 있는 장비(20)의 종류에 따라, 장비(20)의 종류만을 이용하거나, 장비(20)의 종류와 운전 상태 또는 장비(20)의 종류와 현재 시각을 이용하여 경고 동작의 판단 기준인 기준 수치를 판정한다.
이런 경우, 동작 제어부(130)의 제어 속도가 향상되고, 장비(20)의 종류에 맞게 필요한 정보(예, 현재 시각)만을 추가하여 제어하므로,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10)의 제어 속도와 동작의 정확도 모두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를 구비한 사용자 경고 시스템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생체신호 측정 장치 20: 장비
100: 생체신호 측정 모듈 110: 생체신호 감지부
120, 220: 통신부 130, 230: 동작 제어부
140, 240: 저장부 150: 정보 출력부
160: 경고부 170: 시계부
210: 운전상태 감지부

Claims (10)

  1.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감지부;
    외부 장비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상기 생체신호 감지부 및 통신부에 연결되어 있는 동작 제어부;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장비의 종류 정보에 따라 정해져 값을 갖는 기준 수치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및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동작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경고부
    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장비와 통신 상태로 연결되면 상기 장비로부터 전송되는 장비의 종류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장비의 종류 정보에 해당하는 값의 기준 수치를 판정하고,
    상기 생체신호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사용자의 현재 생체 수치를 판정하고,
    판정된 기준 수치와 현재 생체 수치를 이용하여 상기 경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생체신호 판정 및 경고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 수치는 상기 장비의 종류와 장비의 운전상태 정보에 따라 값이 정해져 있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장비로 운전상태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장비로부터 현재의 운전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현재의 운전상태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장비의 종류 정보 및 현재의 운전상태 정보에 해당하는 값의 기준 수치를 판정하는
    생체신호 판정 및 경고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현재 시각을 측정하는 시계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 수치는 상기 장비의 종류, 상기 장비의 운전상태 정보 및 시각에 따라 값이 정해져 있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시계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시각을 판정하고, 상기 저장부에서 장비의 종류 정보, 현재의 운전상태 정보 및 현재 시각에 해당하는 값의 기준 수치를 판정하는
    생체신호 판정 및 경고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현재 시각을 측정하는 시계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 수치는 상기 장비의 종류 및 시각에 따라 값이 정해져 있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시계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시각을 판정하고, 상기 저장부에서 장비의 종류 정보 및 현재 시각에 해당하는 값의 기준 수치를 판정하는
    생체신호 판정 및 경고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감지부는 맥파 센서인 생체신호 판정 및 경고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수치는 맥박 수인 생체신호 판정 및 경고 장치.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는 자동차인 생체신호 판정 및 경고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상태 정보는 상기 자동차의 주행 속도인 생체신호 판정 및 경고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판정 및 경고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형태의 기기인 생체신호 판정 및 경고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 모듈인 생체신호 판정 및 경고 장치.

KR1020190034124A 2019-03-26 2019-03-26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 KR102209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124A KR102209534B1 (ko) 2019-03-26 2019-03-26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
PCT/KR2019/003550 WO2020196951A1 (ko) 2019-03-26 2019-03-27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124A KR102209534B1 (ko) 2019-03-26 2019-03-26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631A true KR20200113631A (ko) 2020-10-07
KR102209534B1 KR102209534B1 (ko) 2021-01-29

Family

ID=72611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124A KR102209534B1 (ko) 2019-03-26 2019-03-26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09534B1 (ko)
WO (1) WO2020196951A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522B1 (ko) * 2012-05-23 2013-09-1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생체 신호를 이용한 실시간 혈압 모니터링 및 바이오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
US20150196256A1 (en) * 2012-06-22 2015-07-16 Fitbit, Inc. Wearable heart rate monitor
KR20150114781A (ko) * 2014-04-02 2015-10-13 자동차부품연구원 운전자 건강 상태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1663922B1 (ko) * 2016-01-26 2016-10-14 이호석 조종사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20170127889A (ko) * 2016-05-13 2017-11-22 주식회사 위자드랩 졸음운전 방지 시스템 및 졸음운전 방지 방법
JP2018061580A (ja) * 2016-10-11 2018-04-19 株式会社デンソー 体調判定方法、体調判定プログラム、及び体調判定装置
KR101866724B1 (ko) 2016-06-23 2018-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그와 통신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108033A (ko) * 2017-03-23 2018-10-04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정보를 활용한 운전자 상태 정보 알람 시스템
KR20180124327A (ko) 2017-05-11 2018-11-21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의 졸음의 정도 혹은 집중력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JP2018195250A (ja) * 2017-05-22 2018-12-0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運転支援システム及び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522B1 (ko) * 2012-05-23 2013-09-1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생체 신호를 이용한 실시간 혈압 모니터링 및 바이오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
US20150196256A1 (en) * 2012-06-22 2015-07-16 Fitbit, Inc. Wearable heart rate monitor
KR20150114781A (ko) * 2014-04-02 2015-10-13 자동차부품연구원 운전자 건강 상태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1663922B1 (ko) * 2016-01-26 2016-10-14 이호석 조종사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20170127889A (ko) * 2016-05-13 2017-11-22 주식회사 위자드랩 졸음운전 방지 시스템 및 졸음운전 방지 방법
KR101866724B1 (ko) 2016-06-23 2018-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그와 통신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JP2018061580A (ja) * 2016-10-11 2018-04-19 株式会社デンソー 体調判定方法、体調判定プログラム、及び体調判定装置
KR20180108033A (ko) * 2017-03-23 2018-10-04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정보를 활용한 운전자 상태 정보 알람 시스템
KR20180124327A (ko) 2017-05-11 2018-11-21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의 졸음의 정도 혹은 집중력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JP2018195250A (ja) * 2017-05-22 2018-12-0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運転支援システム及び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9534B1 (ko) 2021-01-29
WO2020196951A1 (ko) 202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2801B2 (en) Enhancing vehicle system control
US9396642B2 (en) Control using connected biometric devices
US9044136B2 (en) Wearable mini-size intelligent healthcare system
US11334066B2 (en) Safety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human-driven vehicle
AU2006306629B2 (en) Single use pulse oximeter
US20160302677A1 (en) Calibrating for Blood Pressure Using Height Difference
US10646145B2 (en) Reflective SpO2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US20150164351A1 (en) Calculating pulse transit time from chest vibrations
US20050234317A1 (en) Low power and personal pulse oximetry systems
US2014027587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ng and/or identifying a wireless sensor associated with a patient monitor
US20130274565A1 (en) Outpatient health emergency warning system
JP2017086524A (ja) 疲労度管理装置、疲労度管理システムおよび疲労度判定方法
US10076287B2 (en) Method for monitoring physiological status of vehicle driver
KR102209534B1 (ko)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
KR102251207B1 (ko) 생체신호 측정장치
CA2811326A1 (en) System for early detection of life-threatening conditions of persons
WO2016137698A1 (en) Calculating pulse transit time from chest vibrations
Das et al. Accident prevention by detection of Drowsiness using Heart rate and body temperature sensing
CN212346510U (zh) 一种监测生命体征的腕表
US20240371493A1 (en) Feedback loop using wearable-based tactile indications
KR20190067336A (ko) 생체신호 측정 장치
ES2782951T3 (es) Sistema para garantizar la seguridad de una máquina para hacer ejercicio y método para garantizar la seguridad durante el uso de la máquina para hacer ejercici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