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3265A - 모바일 디바이스 위치확인 정확도의 증가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 위치확인 정확도의 증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3265A
KR20200113265A KR1020207024865A KR20207024865A KR20200113265A KR 20200113265 A KR20200113265 A KR 20200113265A KR 1020207024865 A KR1020207024865 A KR 1020207024865A KR 20207024865 A KR20207024865 A KR 20207024865A KR 20200113265 A KR20200113265 A KR 20200113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ssage
cells
measur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4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4524B1 (ko
Inventor
쉬 리우
보 다이
시우빈 샤
팅 뤼
Original Assignee
지티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티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00113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36Assistance data, e.g. base station almana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44Accuracy or reliability of position solution or of measurements contributing theret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비(UE)를 위치확인하기 위한 데이터 송신 및 정확도와 관련된 방법들, 시스템들 및 디바이스들이 설명된다. 하나의 예시적인 양상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확인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하나 이상의 셀들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하나 이상의 선택된 셀들에 대응하는 보조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네트워크 노드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 위치확인 정확도의 증가
본 특허 문헌은 일반적으로 디지털 무선 통신들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통신 기술들은 점점 더 연결되고 네트워크화된 사회로 세계를 움직이고 있다. 모바일 통신들의 급속한 성장 및 기술에서의 진보들은 용량 및 접속성에 대한 더 큰 요구를 도출해왔다. 에너지 소비, 디바이스 비용, 스펙트럼 효율 및 레이턴시와 같은 다른 양상들이 또한 다양한 통신 시나리오들의 요구들을 충족시키는데 중요하다. 더 높은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방식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본 문헌은, 디지털 무선 통신, 및 더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비(UE)를 위치확인하기 위한 데이터 송신 및 정확도와 관련된 기술들에 관한 방법들, 시스템들 및 디바이스들을 개시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양상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확인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하나 이상의 셀들을 선택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선택된 셀들에 대응하는 보조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네트워크 노드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셀들을 선택하는 단계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개별적인 이웃 셀들에 대응하는 신호 품질들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다수의 이웃 셀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셀들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하나 이상의 셀들을 선택하는 단계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확인을 위해 이전에 사용된 셀들의 목록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셀들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이볼브드 서빙 모바일 위치 센터(Evolv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를 포함한다.
다른 예시적인 양상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방법은, 네트워크 노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메시지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확인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셀들에 대응하는 보조 데이터에 대한 요청을 포함함 -;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셀들에 대응하는 보조 데이터를,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이볼브드 서빙 모바일 위치 센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셀들에 대응하는 보조 데이터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이전에 저장된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다른 예시적인 양상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방법은, 무선 통신 노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위치확인 요청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서 능력들 및 보조 데이터 교환의 완료를 표시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무선 통신 노드로부터, 접속 상태에서 위치확인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에 명령하기 위한 제2 메시지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무선 통신 노드로부터, 유휴 상태에서 위치확인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해 현재 접속의 신속한 해제를 수행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에 명령하기 위한 제2 메시지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무선 통신 노드에서, 제1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제3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3 메시지는 접속 상태에서 위치확인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능력을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3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송신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3 메시지는 Msg3 또는 Msg5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메시지는 접속 상태에서 위치확인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능력을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서빙 셀의 커버리지 레벨 및 접속 상태에서 위치확인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능력에 기초하여, 접속 상태에서 위치확인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에 명령하기 위한 제2 메시지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예시적인 양상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제1 메시지를 무선 통신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메시지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위치확인 요청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서의 능력들 및 보조 데이터 교환의 완료를 표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접속 상태에서 위치확인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에 명령하기 위한 제2 메시지를 무선 통신 노드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유휴 상태에서 위치확인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해 현재 접속의 신속한 해제를 수행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에 명령하기 위한 제2 메시지를 무선 통신 노드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접속 상태에서 위치확인 측정들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제1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에, 무선 통신 노드에 제3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3 메시지는 접속 상태에서 위치확인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능력을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3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송신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3 메시지는 Msg3 또는 Msg5를 포함한다.
다른 예시적인 양상에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프로세서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양상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술들은 프로세서 실행가능 코드로서 구현되고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들의 세부사항들은 아래에 수반되는 첨부물들, 도면들, 및 설명에서 기술된다. 다른 특징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로부터 그리고 청구항들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현재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사용되는 위치확인 프로세스의 대표적인 시그널링 단계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개시된 기술들에 따른 대표적인 시그널링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 표현이다.
도 4는 무선 통신을 위한 다른 방법의 흐름도 표현이다.
도 5는 개시된 기술들에 따른 대표적인 시그널링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는 개시된 기술들에 따른 대표적인 시그널링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b는 개시된 기술들에 따른 다른 대표적인 시그널링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a는 개시된 기술들에 따른 조기 데이터 송신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시그널링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b는 개시된 기술들에 따른 조기 데이터 송신(EDT)을 사용하는 다른 대표적인 시그널링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a는 개시된 기술들에 따른 EDT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시그널링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b는 개시된 기술들에 따른 EDT를 사용하는 다른 대표적인 시그널링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a는 개시된 기술들에 따른 대표적인 시그널링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b는 개시된 기술들에 따른 다른 대표적인 시그널링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 표현이다.
도 11은 무선 통신을 위한 다른 방법의 흐름도 표현이다.
도 12는 본 기술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술들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무선 스테이션의 일부분의 블록도 표현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위치확인 기능은, 무선 신호들을 측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어, UE)의 지리적 위치의 계산을 지원 또는 보조하는 메커니즘들을 제공한다. UE의 위치 지식은 예를 들어, 무선 자원 관리 기능들 뿐만 아니라 운영자들, 가입자들 및 제3자 서비스 제공자들에 대한 위치-기반 서비스들의 지원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현재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사용되는 위치확인 프로세스의 대표적인 시그널링 단계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유휴 상태에 있는 UE의 경우, 위치확인 프로세스는 네트워크측이 위치확인 요건을 가질 때 트리거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103)가 기지국(102)(예를 들어, 이볼브드 NodeB(eNB) 또는 gNB)에 제1 페이징 메시지(111)를 전송한다. UE(101)는 초기에 유휴 상태에 있다. 기지국(102)은 UE에 제2 페이징 메시지(112)를 전송함으로써 UE(101)를 웨이크 업한다. 이어서, UE(101)는 접속 상태로 스위칭할 수 있도록 랜덤 액세스 절차(113)를 트리거링한다. UE(101)가 접속 상태가 된 후, 위치확인 서버(104), 예를 들어, 이볼브드 서빙 모바일 위치 센터(E-SMLC)는 관련 위치확인 정보를 UE(101)와 교환한다. 예를 들어, E-SMLC(104)는 UE(101)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114)를 UE(101)에 전송한다. UE는 먼저 자신의 위치확인 능력들을 보고하기 위한 메시지(115)를 E-SMLC(104)에 전송한다. 이어서, UE는 보조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116)를 E-SMLC(104)에 전송한다. UE가 E-SMLC(104)로부터의 메시지(117)에서 보조 데이터를 수신한 후, UE는 위치확인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해 다시 유휴 상태(118)로 진입한다. 측정들이 완료된 후, UE는 메시지(120)에서 E-SMLC(104)에 자신의 측정들을 보고하기 위해 다시 접속 상태(119)로 스위칭한다. E-SMLC(104)는 UE(101)로부터 측정들을 수신한 후 UE의 위치 정보(121)를 획득할 수 있다.
현재, 협대역(Narrow Band; NB)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시스템들은 오직 유휴 상태 위치확인만을 지원한다. 즉, 위치확인 측정은 오직 유휴 상태에서만 수행된다. 위치확인 프로세스를 완료하기 위해, UE는 몇몇 상태 전환들을 겪어야 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후 유휴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로 스위칭하고,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해 유휴 상태로 스위칭하고, 측정들을 보고하기 위해 다시 접속 상태로 스위칭한다. 또한, 보조 데이터의 양은 많다. 많은 경우들에서, UE에 대한 보조 데이터는 불변으로 유지되지만, UE는 자신의 위치가 변했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각각의 위치확인 프로세스에 대해 이를 요청한다.
따라서, 현재 위치확인 프로세스는 대역폭 활용 및 구현 복잡도 관점에서 비효율적이다. 본 문헌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UE가 위치확인 프로세스의 정확도를 개선하면서 더 적은 양의 보조 데이터의 요청할 수 있는 실시예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개시된 기술들은 또한, UE가 접속 상태에서 위치확인 측정들을 수행할 수 있을 때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더 적은 수의 상태 전환들을 겪을 수 있는 실시예들에 의해 사용되어, 시스템 자원 오버헤드 및 UE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개시된 기술들의 세부사항들은 하기 실시예들에서 설명된다.
예시적인 실시예 1
현재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E-SMLC는 그 서빙 셀 내의 UE의 특정 위치를 알지 못한다. 따라서, E-SMLC는 UE에 대해 비교적 큰 이웃 셀 목록을 구성하는 경향이 있다. 큰 목록에서 셀들에 대한 보조 데이터를 포착하는 것은 UE의 전력 소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UE-특정 정보가 없다면, UE 위치확인에 도움이 되는 고품질 셀(들)이 큰 목록으로부터 여전히 생략되어, 최종 위치확인 결과들에서 차선의 정확도를 초래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보조 데이터의 양을 감소시키지만 UE 위치확인 프로세스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기술들을 설명한다.
도 2는 개시된 기술들에 따른 대표적인 시그널링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위치확인 프로세스는 네트워크측이 위치확인 요건을 가질 때 트리거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ME(203)는 제1 페이징 메시지(211)를 eNB(202)에 전송한다.
UE(201)는 초기에 유휴 상태에 있다. eNB(202)는 UE(201)에 제2 페이징 메시지(212)를 전송한다. 제2 페이징 메시지(212)를 수신한 후, UE(201)는 접속 상태로 진입하기 위해 무선 자원 제어(RRC) 접속 확립 절차(213)를 시작한다. UE(201)가 접속 상태가 된 후, UE는 E-SMLC(204)로부터 능력 요청(214)을 수신하고, 메시지(215)에서 자신의 위치확인 능력들을 E-SMLC(204)에 보고한다.
이어서, UE(201)는 UE의 위치확인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추천된 셀들(216)의 목록을 선택한다. 관측된 도달 시간 차이(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OTDOA) 방법과 같은 현재의 위치확인 방법들을 사용하여, UE(201)는 정확한 위치 정보를 계산하기 위해 적어도 3개의 셀들을 필요로 한다. UE(201)는 셀들 내의 신호 품질에 기초하여 추천된 셀들의 목록을 형성하기 위해 3개 초과의 셀들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상의 신호 품질을 갖는 3개의 셀들이 UE(201)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이어서, UE(201)는 선택된 셀들에 대한 보조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217)를 E-SMLC(204)에 송신한다. E-SMLC(204)는 선택된 셀들(218)에 대한 요청된 보조 데이터를 결정하고, 대응하는 보조 데이터를 메시지(219)에서 UE에 제공한다.
UE(201)가 보조 데이터를 수신한 후, UE(201)는 위치확인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해 다시 유휴 상태(220)로 진입한다. 이어서, UE(201)는 측정들이 완료된 후 측정들을 메시지(222)에서 E-SMLC(204)에 보고하기 위해 다시 접속 상태(221)로 스위칭한다. E-SMLC(204)는 UE(201)로부터 측정들을 계산함으로써 UE의 위치 정보(223)를 획득할 수 있다.
도 3은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300)의 흐름도 표현이다. 방법(300)은 302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확인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하나 이상의 셀들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300)은 또한 304에서, 하나 이상의 선택된 셀들에 대응하는 보조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네트워크 노드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4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400)의 흐름도 표현이다. 방법(400)은 402에서,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치확인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셀들에 대응하는 보조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네트워크 노드에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400)은 또한 404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셀들에 대응하는 보조 데이터를,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 2
많은 경우들에서, 보조 데이터는 장기간 동안 불변으로 유지된다. UE가 자신의 서빙 셀 내에서 이동할 때, 그 이웃 셀들은 많이 변하지 않는다. UE가 자신의 서빙 셀 밖으로 이동할 때, 그 기준 셀 및 이웃 셀들은 더 큰 변경들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UE는 위치확인 프로세스에 대해 이전에 사용된 셀들을 저장할 수 있다. UE가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한 신호를 통해 이웃 셀들의 새로운 목록을 표시하는 정보를 수신할 때, UE는 이웃 셀들에서의 변경들을 검출하고 대응하는 보조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보조 데이터의 양을 감소시키지만 UE 위치확인 프로세스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기술들을 설명한다.
도 5는 개시된 기술들에 따른 대표적인 시그널링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UE(501)는 이전의 위치확인 프로세스에 대해 사용된 셀들의 목록(511)(예를 들어, CellListold)을 저장할 수 있다. 새로운 위치확인 프로세스는 네트워크측이 위치확인 요건을 가질 때 트리거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ME(503)는 제1 페이징 메시지(513)를 eNB(202)에 전송한다.
UE(501)는 초기에 유휴 상태에 있다. eNB(502)는 UE(501)에 제2 페이징 메시지(514)를 전송한다. 제2 페이징 메시지(514)를 수신한 후, UE(501)는 접속 상태로 진입하기 위해 무선 자원 제어(RRC) 접속 확립 절차(515)를 시작한다. UE(501)가 접속 상태가 된 후, UE는 E-SMLC(504)로부터 능력 요청(516)을 수신하고, 메시지(517)에서 자신의 위치확인 능력들을 E-SMLC(504)에 보고한다.
그 저장된 셀 목록을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시그널링된 현재의 이웃 셀들(예를 들어, CellListnew)과 비교함으로써, UE는 셀(들)(518)에서의 변경들을 결정할 수 있다(예를 들어, ΔCellList = CellListnew - CellListold). 이어서, UE는 변경된 셀들에 대한 보조 데이터(예를 들어, ΔCellList)를 메시지(519)에서 요청하고 대응하는 보조 데이터를 메시지(521)에서 수신한다. 예를 들어, UE는 자신의 이전의 위치확인 프로세스에 대해 사용된 셀들 {A, B, C}을 저장한다. 이어서, UE는 이동하고 자신의 현재의 이웃 셀들이 {B, C, D}임을 통지받는다.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UE는 오직 셀 {D}에 대한 보조 데이터만을 요청한다.
UE(501)가 보조 데이터를 수신한 후, UE(501)는 위치확인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해 다시 유휴 상태(522)로 진입한다. 이어서, UE(501)는 측정들이 완료된 후 측정들을 메시지(524)에서 E-SMLC(504)에 보고하기 위해 다시 접속 상태(523)로 스위칭한다. E-SMLC(504)는 UE(501)로부터 측정들을 계산함으로써 UE의 위치 정보(525)를 획득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UE 위치확인 프로세스에서 보조 데이터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기술들을 설명한다.
도 6a는 개시된 기술들에 따른 대표적인 시그널링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E-SMLC(604)는 보조 데이터를 국부적으로 저장하여, 보조 데이터에서의 변경들을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보조 데이터는 E-SMLC(604)에 대해 액세스가능한 별개의 노드에 저장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ME(603)는 E-SMLC(604)에 위치확인 요청 메시지(611)를 전송한다. 메시지(611)는 UE의 추적 영역 내에 있는 셀들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611)를 수신한 후, E-SMLC(604)는 저장된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UE의 추적 영역 내의 셀들 각각에 대한 보조 데이터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E-SMLC(604)는 UE에 대한 셀-특정 보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셀-특정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E-SMLC(604)는 UE의 추적 영역 내의 셀들 각각에 대한 보조 데이터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613)를 MME(603)에 전송한다. 추적 영역 내의 하나 이상의 셀들에 대해 보조 데이터가 변경되었다면, E-SMLC(604)는 이러한 변경들을 표시하는 정보를 메시지(613)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시지(613)는 추적 영역 내의 셀들에 대해 보조 데이터가 변경되었음을 표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표시자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시지(613)는 추적 영역 내의 각각의 변경된 셀에 대한 보조 데이터의 변경된 부분(예를 들어, ΔAssistanceData = AssistanceDatanew - AssistanceDataold)을 포함한다. 추적 영역 내의 셀들에 대해 보조 데이터가 변경되지 않았다면, E-SMLC(604)는 셀들에 대해 보조 데이터가 변경되지 않았음을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표시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E-SMLC(604)는 UE에 대한 UE-특정 위치확인 보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E-SMLC(604)는 마지막 위치확인 프로세스의 결과들에 기초하여 UE의 서빙 셀을 MME(603)에 통지할 수 있다. E-SMLC(604)는 또한 서빙 셀에 대한 보조 데이터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서빙 셀의 보조 데이터가 변경되었다면, E-SMLC(604)는 이러한 변경들을 표시하는 정보를 메시지(613)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시지(613)는 서빙 셀에 대해 보조 데이터가 변경되었음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자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시지(613)는 서빙 셀에 대한 보조 데이터의 변경된 부분(예를 들어, ΔAssistanceData = AssistanceDatanew - AssistanceDataold)을 포함한다. 서빙 셀에 대해 보조 데이터가 변경되지 않았다면, E-SMLC(604)는 서빙 셀들에 대해 보조 데이터가 변경되지 않았음을 표시하는 표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E-SMLC(604)는 또한 추적 영역 내의 비-서빙 셀(들)에 대한 보조 데이터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비-서빙 셀(들)의 보조 데이터가 변경되었다면, E-SMLC(604)는 이러한 변경들을 표시하는 정보를 메시지(613)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시지(613)는 추적 영역 내의 비-서빙 셀(들)에 대해 보조 데이터가 변경되었음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자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시지(613)는 추적 영역 내의 비-서빙 셀(들)에 대한 보조 데이터의 변경된 부분(예를 들어, ΔAssistanceData = AssistanceDatanew - AssistanceDataold)을 포함한다. 추적 영역 내의 비-서빙 셀(들)에 대해 보조 데이터가 변경되지 않았다면, E-SMLC(604)는 비-서빙 셀(들)에 대해 보조 데이터가 변경되지 않았음을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표시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b는 개시된 기술들에 따른 다른 대표적인 시그널링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UE(601)는 이전의 위치확인 프로세스(611)에 대해 사용된 셀들의 목록(예를 들어, CellListold)을 저장할 수 있다. E-SMLC(604)는 또한 UE 위치확인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보조 데이터(612)를 저장한다. 새로운 위치확인 프로세스는 네트워크측이 위치확인 요건을 가질 때 트리거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ME(603)는 제1 페이징 메시지(613)를 eNB(602)에 전송한다.
UE(601)는 초기에 유휴 상태에 있다. eNB(602)는 UE(601)에 제2 페이징 메시지(613)를 전송한다. 제2 페이징 메시지(614)를 수신한 후, UE(601)는 접속 상태로 진입하기 위해 무선 자원 제어(RRC) 접속 확립 절차(615)를 시작한다. UE(601)가 접속 상태가 된 후, UE는 E-SMLC(604)로부터 능력 요청(616)을 수신하고, 메시지(617)에서 자신의 위치확인 능력들을 E-SMLC(504)에 보고한다.
그 저장된 셀 목록을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시그널링된 현재의 이웃 셀들(예를 들어, CellListnew)과 비교함으로써, UE는 이어서 셀(들)(618)에서의 변경들을 결정할 수 있다(예를 들어, ΔCellList = CellListnew - CellListold). UE는 메시지(619)에서 변경된 셀들(예를 들어, ΔCellList)에 대한 보조 데이터를 요청한다.
메시지(619)를 수신한 후, E-SMLC(604)는 저장된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요청된 셀들(620)에 대한 보조 데이터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E-SMLC(604)는 요청된 셀들에 대한 변경된 보조 데이터를 메시지(621)에서 UE(601)에 전송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시지(621)는 또한 UE(601)에 의해 요청되지 않은 셀들에 대한 변경된 보조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UE(601)는 자신의 셀 목록이 {A, B, C}로부터 {B, C, D}로 변경된 것을 검출하여, ΔCellList = {D}에 대한 보조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러나, E-SMLC(604)는 셀 E에 대한 보조 데이터가 또한 변경된 것을 검출한다. 따라서 E-SMLC(604)는 셀들 {D, E}에 대한 변경된 보조 데이터를 UE(601)로의 메시지(621)에 포함시킬 수 있다.
UE(601)가 E-SMLC(604)로부터의 메시지(621)에서 변경된 보조 데이터를 수신한 후, UE는 위치확인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해 다시 유휴 상태(622)로 진입한다. 이어서, UE(601)는 측정들이 완료된 후 측정들을 메시지(624)에서 E-SMLC(604)에 보고하기 위해 다시 접속 상태(623)로 스위칭한다. E-SMLC(604)는 UE(601)로부터 측정들을 계산함으로써 UE의 위치 정보(625)를 획득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 4
조기 데이터 송신은 UE 및 eNB가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메시지들에 데이터를 첨부하도록, 예를 들어, Msg3에 업링크 데이터를 그리고 Msg4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첨부하도록 허용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가능한 경우 위치확인 프로세스에 대한 상태 전환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조기 데이터 송신(EDT) 가능한 UE를 인에이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대표적인 시그널링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특히, UE가 접속 상태에서 위치확인 측정들을 지원할 때, UE가 위치확인 프로세스를 위해 겪는 상태 전환들의 수는 감소될 수 있다.
도 7a는 개시된 기술들에 따른 조기 데이터 송신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시그널링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위치확인 프로세스는 네트워크측이 위치확인 요건을 가질 때 트리거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ME(703)는 제1 페이징 메시지(711)를 eNB(702)에 전송한다. UE(701)는 초기에 유휴 상태에 있다. eNB(702)는 UE(701)에 제2 페이징 메시지(712)를 전송한다.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서, eNB(702)는 조기 데이터 송신(EDT)을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EDT에 의한 랜덤 액세스 절차를 개시하도록 UE(701)에 명령한다. UE가 제2 페이징 메시지(712)를 수신한 후, UE는 EDT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고 랜덤 액세스 절차를 개시한다. UE는 먼저 eNB(702)에 Msg1(713)을 전송하고 eNB(702)로부터 Msg2(714)에서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한다. 조기 데이터 송신으로 동작하는 UE는 Mg3(715) 또는 Mg5(717)의 송신과 병렬적으로 접속 상태(718)에서 자신의 위치확인 능력들(예를 들어, UE가 지원하는 위치확인 방법들)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sg3은 특수한 정보 요소(예를 들어, dedicatedInfoNAS)를 포함할 수 있어서, UE는 Msg3(715)에 자신의 위치확인 능력들을 포함시킬 수 있다. 유사하게, Msg5는 특수한 정보 요소(예를 들어, dedicatedInfoNAS)를 포함할 수 있어서, UE는 Mg5(717)에 자신의 위치확인 능력들을 포함시킬 수 있다.
UE(701)가 랜덤 액세스 절차를 완료한 후, UE(701)는 다른 UE 위치확인 능력들(719) 및 보조 데이터(720)에 관한 정보를 E-SMLC(704)와 교환한다. 이어서, UE(701)는 정보 교환의 완료를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721)를 eNB(702)에 전송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701)는 eNB(702)로의 메시지(721)에 위치확인 요청을 포함시킨다.
UE(701)가 접속 상태에서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허용하는 위치확인 방법을 UE(701)가 지원하면, eNB(702)는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획득된 UE의 위치확인 능력들(718)에 기초하여,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위치확인 방법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서빙 셀의 커버리지 레벨이 정규의 커버리지 레벨 또는 미리 결정된 임계치(예를 들어, CEL2)보다 낮은 커버리지 향상 레벨(CEL)이면, eNB는 UE가 접속 상태에서 측정들을 수행할 수 있다고 판정한다. 이어서 eNB(702)는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도록 UE(701)에 명령하기 위한 메시지(722)를 전송한다.
UE(701)가 eNB(702)로부터 메시지(722)를 수신한 후, UE(701)는 접속 상태(723)에서 위치확인 측정들을 수행한다. 이어서, UE(601)는 임의의 상태 전환들 없이 E-SMLC(704)에 측정들(724)을 보고한다. E-SMLC(704)는 UE(701)로부터 측정들을 계산함으로써 UE의 위치 정보(725)를 획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eNB는, UE가 접속 상태에서 위치확인 측정들을 지원하는 경우에도, 상이한 위치확인 방법이 더 바람직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빙 셀의 커버리지 레벨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예를 들어, CEL2)보다 높은 CEL이면, eNB(702)는 UE가 유휴 상태에서 측정들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정한다. 이어서, eNB(702)는, 현재의 접속의 신속한 해제를 수행하고 유휴 상태에서 위치확인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UE(701)에 명령하기 위한 메시지(726)를 UE(701)에 전송한다.
UE(701)가 eNB(702)로부터 메시지(726)를 수신한 후, UE(701)는 현재의 접속을 해제하고 위치확인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해 유휴 상태(727)로 진입한다. 이어서, UE(701)는 측정들이 완료된 후 측정들을 메시지(724)에서 E-SMLC(704)에 보고하기 위해 다시 접속 상태(728)로 스위칭한다. E-SMLC(704)는 UE(701)로부터 측정들을 계산함으로써 UE의 위치 정보(725)를 획득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 5
이러한 실시예는 가능한 경우 위치확인 프로세스에 대한 상태 전환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조기 데이터 송신(EDT) 가능한 UE를 인에이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대표적인 시그널링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도 8a는 개시된 기술들에 따른 EDT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시그널링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위치확인 프로세스는 네트워크측이 위치확인 요건을 가질 때 트리거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ME(803)는 제1 페이징 메시지(811)를 eNB(802)에 전송한다.
UE(801)는 초기에 유휴 상태에 있다. eNB(802)는 UE(801)에 제2 페이징 메시지(812)를 전송한다.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서, eNB(802)는 조기 데이터 송신(EDT)을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EDT에 의한 랜덤 액세스 절차를 개시하도록 UE(801)에 명령한다. UE가 제2 페이징 메시지(812)를 수신한 후, UE는 EDT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고 랜덤 액세스 절차를 개시한다. UE는 먼저 eNB(802)에 Msg1(813)을 전송하고 eNB(802)로부터 Msg2(814)에서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한다. 조기 데이터 송신으로 동작하는 UE는 Mg3(815) 또는 Mg5(817)의 송신과 병렬적으로 자신의 위치확인 능력들(818)(예를 들어, UE가 지원하는 위치확인 방법들)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sg3은 특수한 정보 요소(예를 들어, dedicatedInfoNAS)를 포함할 수 있어서, UE는 Msg3(815)에 자신의 위치확인 능력들을 포함시킬 수 있다. 유사하게, Msg5는 특수한 정보 요소(예를 들어, dedicatedInfoNAS)를 포함할 수 있어서, UE는 Mg5(817)에 자신의 위치확인 능력들을 포함시킬 수 있다.
UE(801)가 랜덤 액세스 절차를 완료한 후, eNB(802)는 UE의 능력들(예를 들어, UE가 지원하는 위치확인 방법들)을 메시지(819)에서 E-SMLC에 보고한다. UE(801)는 또한 UE의 다른 능력들(820) 및 보조 데이터(821)에 관한 정보를 E-SMLC(804)와 교환한다. 이어서, E-SMLC는 정보 교환의 완료를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822)를 eNB(802)에 전송한다.
UE(801)가 접속 상태에서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허용하는 위치확인 방법을 UE(801)가 지원하면, eNB(802)는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획득된 UE의 위치확인 능력들(818)에 기초하여,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위치확인 방법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서빙 셀의 커버리지 레벨이 정규의 커버리지 레벨 또는 미리 결정된 임계치(예를 들어, CEL2)보다 낮은 커버리지 향상 레벨(CEL)이면, eNB는 UE가 접속 상태에서 측정들을 수행할 수 있다고 판정한다. 이어서 eNB(802)는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도록 UE(801)에 명령하기 위한 메시지(823)를 전송한다.
UE(801)가 eNB(802)로부터 메시지(823)를 수신한 후, UE(801)는 접속 상태(824)에서 위치확인 측정들을 수행한다. 이어서, UE(801)는 임의의 상태 전환들 없이 E-SMLC(804)에 측정들(825)을 보고한다. E-SMLC(804)는 UE(801)로부터 측정들을 계산함으로써 UE의 위치 정보(826)를 획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eNB는, UE가 접속 상태에서 위치확인 측정들을 지원하는 경우에도, 상이한 위치확인 방법이 더 바람직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빙 셀의 커버리지 레벨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예를 들어, CEL2)보다 높은 CEL이면, eNB(802)는 UE가 유휴 상태에서 측정들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정한다. 이어서, eNB(802)는, 현재의 접속의 신속한 해제를 수행하고 유휴 상태에서 위치확인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UE(801)에 명령하기 위한 메시지(827)를 UE(801)에 전송한다.
UE(801)가 eNB(802)로부터의 메시지(827)에서 변경된 보조 데이터를 수신한 후, UE(801)는 현재의 접속을 해제하고 위치확인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해 유휴 상태(828)로 진입한다. 이어서, UE(801)는 측정들이 완료된 후 측정들을 메시지(825)에서 E-SMLC(804)에 보고하기 위해 다시 접속 상태(829)로 스위칭한다. E-SMLC(804)는 UE(801)로부터 측정들을 계산함으로써 UE의 위치 정보(826)를 획득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 6
이러한 실시예는 가능한 경우 UE에 대한 상태 전환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대표적인 시그널링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특히, UE가 접속 상태에서 위치확인 측정들을 지원할 때, UE가 위치확인 프로세스를 위해 겪는 상태 전환들의 수는 감소될 수 있다.
도 9a는 개시된 기술들에 따른 대표적인 시그널링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위치확인 프로세스는 네트워크측이 위치확인 요건을 가질 때 트리거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ME(903)는 제1 페이징 메시지(911)를 eNB(902)에 전송한다.
UE(901)는 초기에 유휴 상태에 있다. eNB(902)는 UE(901)에 제2 페이징 메시지(912)를 전송한다. 제2 페이징 메시지(912)를 수신한 후, UE(901)는 접속 상태로 진입하기 위해 무선 자원 제어(RRC) 접속 확립 절차(913)를 시작한다. UE(901)가 접속 상태가 된 후, UE는 E-SMLC(904)로부터 능력 요청(914)을 수신하고, 메시지(915)에서 자신의 위치확인 능력들을 E-SMLC(904)에 보고한다. UE(901)는 또한 선택된 셀들에 대한 보조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917)를 E-SMLC(904)에 송신하고, E-SMLC(904)로부터의 메시지(918)에서 대응하는 보조 데이터를 수신한다.
UE는 또한 다른 능력들(915)의 송신 또는 보조 데이터(917)에 대한 요청과 병렬적으로 접속 상태(916)에서 자신의 위치확인 능력들(예를 들어, UE가 지원하는 위치확인 방법들)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다른 위치확인 능력들과 함께 접속 상태에서 자신의 위치확인 능력들을 메시지(915)에 포함시킬 수 있다. UE(901)와의 정보 교환 이후, E-SMLC(904)는 정보 교환의 완료를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919)를 eNB(920)에 전송한다. E-SMLC(904)는 또한 접속 상태에서 UE의 위치확인 능력들(예를 들어, UE가 지원하는 위치확인 방법들)을 메시지(919)에 포함시킨다.
UE(901)가 접속 상태에서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허용하는 위치확인 방법을 UE(901)가 지원하면, eNB(902)는 메시지(919)에 포함된 UE의 위치확인 능력들에 기초하여,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위치확인 방법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서빙 셀의 커버리지 레벨이 정규의 커버리지 레벨 또는 미리 결정된 임계치(예를 들어, CEL2)보다 낮은 커버리지 향상 레벨(CEL)이면, eNB는 UE가 접속 상태에서 측정들을 수행할 수 있다고 판정한다. 이어서 eNB(902)는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도록 UE(901)에 명령하기 위한 메시지(920)를 전송한다.
UE(921)가 eNB(902)로부터 메시지(920)를 수신한 후, UE(921)는 접속 상태(921)에서 위치확인 측정들을 수행한다. 이어서, UE(901)는 임의의 상태 전환들 없이 E-SMLC(904)에 측정들(922)을 보고한다. E-SMLC(904)는 UE(901)로부터 측정들을 계산함으로써 UE의 위치 정보(923)를 획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eNB는, UE가 접속 상태에서 위치확인 측정들을 지원하는 경우에도, 상이한 위치확인 방법이 더 바람직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빙 셀의 커버리지 레벨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예를 들어, CEL2)보다 높은 CEL이면, eNB(902)는 UE가 유휴 상태에서 측정들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정한다. 이어서, eNB(902)는, 현재의 접속의 신속한 해제를 수행하고 유휴 상태에서 위치확인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UE(901)에 명령하기 위한 메시지(924)를 UE(901)에 전송한다.
UE(901)가 eNB(902)로부터 메시지(924)를 수신한 후, UE(901)는 현재의 접속을 해제하고 위치확인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해 유휴 상태(925)로 진입한다. 이어서, UE(901)는 측정들이 완료된 후 측정들을 메시지(922)에서 E-SMLC(904)에 보고하기 위해 다시 접속 상태(926)로 스위칭한다. E-SMLC(904)는 UE(901)로부터 측정들을 계산함으로써 UE의 위치 정보(923)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0은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1000)의 흐름도 표현이다. 방법은 1002에서, 무선 통신 노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위치확인 요청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서 능력들 및 보조 데이터 교환의 완료를 표시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1은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1100)의 흐름도 표현이다. 방법은 1102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제1 메시지를 무선 통신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메시지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위치확인 요청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서 능력들 및 보조 데이터 교환의 완료를 표시한다.
도 12는 본 기술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술들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1200)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BS들)(1205a, 1205b),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들(1210a, 1210b, 1210c, 1210d) 및 코어 네트워크(1225)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205a, 1205b)은 하나 이상의 무선 섹터들 내의 무선 디바이스들(1210a, 1210b, 1210c 및 1210d)에 무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기지국(1205a, 1205b)은 상이한 섹터들에서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하도록 둘 이상의 지향성 빔들을 생성하기 위한 지향성 안테나들을 포함한다.
코어 네트워크(1225)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1205a, 1205b)과 통신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1225)는 다른 유선 통신 시스템들 및 무선 통신 시스템들과의 접속을 제공한다. 코어 네트워크는 가입된 무선 디바이스들(1210a, 1210b, 1210c 및 1210d)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서비스 가입 데이터베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205a)은 제1 무선 액세스 기술에 기초하여 무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반면, 제2 기지국(1205b)은 제2 무선 액세스 기술에 기초하여 무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들(1205a 및 1205b)은 공동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배치 시나리오에 따라 필드에 별개로 설치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들(1210a, 1210b, 1210c 및 1210d)은 다수의 상이한 무선 액세스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이한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는 다수의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듀얼-모드 또는 멀티-모드 무선 디바이스는 상이한 무선 네트워크들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둘 이상의 무선 기술들을 포함한다.
도 13은 무선 스테이션의 일부분의 블록도 표현이다. 무선 스테이션(1305), 예를 들어, 기지국 또는 무선 디바이스(또는 UE)는 본 문헌에 제시된 무선 기술들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프로세서 전자장치(131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스테이션(1305)은 안테나(1320)와 같은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무선 신호들을 전송 및/또는 수신하기 위해 트랜시버 전자장치(1315)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스테이션(1305)은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다른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스테이션(1305)은 데이터 및/또는 명령들과 같은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메모리들(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프로세서 전자장치(1310)는 트랜시버 전자장치(1315)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개시된 기술들, 모듈들 또는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스테이션(1305)을 사용하여 구현된다.
따라서,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비(UE)를 위치확인하기 위한 데이터 송신 및 정확도와 관련된 방법들 및 대응하는 장치가 개시되는 것이 자명하다. 개시된 기술들을 사용하여, UE는 위치확인 프로세스의 정확도를 개선하면서 더 적은 양의 보조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UE는 또한, 접속 상태에서 위치확인 측정들을 수행할 수 있을 때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더 적은 수의 상태 전환들을 겪을 수 있어서, 시스템 자원 오버헤드 및 UE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내용으로부터, 본 개시된 기술의 특정 실시예들이 예시의 목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된 기술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하지 않고는 제한되지 않는다.
본 문헌에 설명된 개시된 및 다른 실시예들, 모듈들 및 기능 동작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또는 본 문헌에서 개시된 구조들 및 이들의 구조적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또는 이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개시된 및 다른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 즉,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해 또는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의 하나 이상의 모듈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머신 판독가능 저장 디바이스, 머신 판독가능 저장 기판, 메모리 디바이스, 머신 판독가능 전파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재료의 조성 또는 하나 이상의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용어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는 예를 들어,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들 또는 컴퓨터들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모든 장치, 디바이스들 및 머신들을 포함한다. 장치는 하드웨어에 추가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생성하는 코드, 예를 들어, 프로세서 펌웨어,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시스템 또는 이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을 구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전파 신호는 인공적으로 생성된 신호, 예를 들어, 적절한 수신기 장치로의 송신을 위해 정보를 인코딩하도록 생성된 머신-생성된 전기적, 광학적 또는 전자기적 신호이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스크립트 또는 코드로 또한 공지됨)은 컴파일된 또는 해석된 언어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록될 수 있고, 독립형 프로그램 또는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또는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반드시 파일 시스템 내의 파일에 대응하지는 않는다. 프로그램은 다른 프로그램들 또는 데이터, 예를 들어, 마크업 언어 문서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들, 문제의 프로그램에 전용되는 단일 파일, 또는 다수의 조정된 파일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모듈들, 서브-프로그램 또는 코드의 일부들을 저장하는 파일들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컴퓨터 또는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되거나 다수의 사이트들에 걸쳐 분산되어 있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연결된 다수의 컴퓨터들 상에서 실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문헌에서 설명된 프로세스들 및 로직 흐름들은 입력 데이터에 대해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특수 목적 로직 회로에 의해 프로세스들 및 로직 흐름들이 또한 수행될 수 있고, 장치가 또한 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들은 예시의 방식으로, 범용 및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둘 모두, 및 임의의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둘 모두로부터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필수 엘리먼트들은 명령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 및 명령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디바이스들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또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대용량 저장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자기, 자기 광학 디스크들 또는 광학 디스크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이들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둘 모두를 위해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이러한 디바이스들을 가질 필요가 없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예를 들어,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EPROM, EEPROM 및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자기 디스크들, 예를 들어, 내부 하드 디스크들 또는 착탈식 디스크들; 자기-광학 디스크들; 및 CD-ROM 및 DVD-ROM 디스크들을 포함하는 모든 형태들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들 및 메모리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특수 목적 로직 회로에 의해 보완되거나 그에 통합될 수 있다.
본 특허 문헌은 많은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임의의 발명 또는 청구될 수 있는 것의 범위에 대한 제한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오히려 특정 발명들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해 특정된 특징들의 설명들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별개의 실시예들의 상황에서 본 특허 문헌에 설명된 특정 특징들은 또한 조합하여 단일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예의 맥락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또한 다수의 실시예들에서 별개로 또는 임의의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특징들은 특정 조합들로 작용하는 것으로 앞서 설명되고 심지어 초기에 이와 같이 청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들에서 조합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 또는 하위 조합의 변형으로 유도될 수 있다.
유사하게, 동작들이 특정 순서로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들을 달성하기 위해 이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 순서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모든 예시된 동작들이 수행되도록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본 특허 문헌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들의 분리는 모든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분리를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오직 일부 구현들 및 예들만이 설명되고, 본 특허 문헌에 설명되고 예시된 것에 기초하여 다른 구현들, 향상들 및 변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24)

  1.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확인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하나 이상의 셀들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선택된 셀들에 대응하는 보조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네트워크 노드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셀들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개별적인 이웃 셀들에 대응하는 신호 품질들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다수의 이웃 셀들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셀들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셀들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확인을 위해 이전에 사용된 셀들의 목록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셀들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이볼브드 서빙 모바일 위치 센터(Evolv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5.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노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메시지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확인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셀들에 대응하는 보조 데이터에 대한 요청을 포함함 -;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선택된 상기 하나 이상의 셀들에 대응하는 상기 보조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이볼브드 서빙 모바일 위치 센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셀들에 대응하는 상기 보조 데이터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이전에 저장된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8.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무선 통신 노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위치확인 요청 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서의 능력들 및 보조 데이터 교환의 완료를 표시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노드로부터, 접속 상태에서 위치확인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명령하기 위한 제2 메시지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노드로부터, 유휴 상태에서 위치확인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해 현재 접속의 신속한 해제를 수행하도록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명령하기 위한 제2 메시지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노드에서, 상기 제1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제3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메시지는 접속 상태에서 위치확인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능력을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송신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메시지는 Msg3 또는 Msg5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접속 상태에서 위치확인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능력을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서빙 셀의 커버리지 레벨 및 상기 접속 상태에서 위치확인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능력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 상태에서 위치확인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명령하기 위한 상기 제2 메시지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6.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제1 메시지를 무선 통신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위치확인 요청 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서 능력들 및 보조 데이터 교환의 완료를 표시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접속 상태에서 위치확인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명령하기 위한 제2 메시지를 상기 무선 통신 노드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유휴 상태에서 위치확인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해 현재 접속의 신속한 해제를 수행하도록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명령하기 위한 제2 메시지를 상기 무선 통신 노드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접속 상태에서 위치확인 측정들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무선 통신 노드에 제3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메시지는 접속 상태에서 위치확인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능력을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송신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메시지는 Msg3 또는 Msg5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3.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4. 코드가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코드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인용된 방법을 구현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207024865A 2018-02-09 2018-02-09 모바일 디바이스 위치확인 정확도의 증가 KR1024845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8/075949 WO2019153231A1 (en) 2018-02-09 2018-02-09 Increasing mobile device positioning accurac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265A true KR20200113265A (ko) 2020-10-06
KR102484524B1 KR102484524B1 (ko) 2023-01-03

Family

ID=67549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4865A KR102484524B1 (ko) 2018-02-09 2018-02-09 모바일 디바이스 위치확인 정확도의 증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601909B2 (ko)
KR (1) KR102484524B1 (ko)
CN (2) CN111630910B (ko)
WO (1) WO201915323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8941A1 (ko) * 2021-10-05 2023-04-13 주식회사 블랙핀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조건부 도움데이터를 요청하고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3063789A1 (ko) * 2021-10-15 2023-04-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포지셔닝을 위한 도움 데이터의 기 설정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524B1 (ko) 2018-02-09 2023-01-03 지티이 코포레이션 모바일 디바이스 위치확인 정확도의 증가
US11356804B2 (en) * 2018-02-25 2022-06-0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ly supporting broadcast of location assistance data in a wireless network
TWI728420B (zh) * 2018-08-07 2021-05-21 財團法人資訊工業策進會 在隨機存取程序進行提早資料傳輸的基地台與使用者設備
AU2020220894B2 (en) 2019-02-14 2022-06-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Beam information in early measurements
CN114095859A (zh) * 2020-08-07 2022-02-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定位方法及通信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9835A (ja) * 2006-03-07 2009-08-20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端末装置によるネットワーク選択
KR20170075733A (ko) * 2014-10-28 2017-07-0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추정들에 기초한 보조 데이터 셀 선택
WO2017172138A1 (en) * 2016-03-28 2017-10-05 Qualcomm Incorporated Enhancing prs searches via runtime conditions
KR20170140629A (ko) * 2016-06-13 2017-12-2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측정 셀 선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07498B4 (de) 2009-02-05 2022-12-08 Osram Gmbh Optoelektronisches Leuchtmodul
CN101931973A (zh) 2009-06-22 2010-12-29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改善定位量测功能的方法及其相关通讯装置
CN101990297A (zh) * 2009-08-03 2011-03-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定位业务的方法及装置
US8682310B2 (en) * 2010-05-28 2014-03-2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Network-based area positioning for capacity and coverage improvement
CN103609161B (zh) * 2011-04-13 2018-04-20 瑞典爱立信有限公司 减少基于模式的测量的复杂性
CN102307385B (zh) 2011-08-19 2014-09-1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多载波系统中的定位方法、装置及系统
US9271256B2 (en) 2011-08-30 2016-02-23 Qualcomm Incorporated Verifying generic broadcast of location assistance data
CN104735775B (zh) 2013-12-18 2019-12-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增强型小区定位终端的方法及系统、基站
US9998872B2 (en) 2014-02-12 2018-06-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returning an early positioning fix
WO2016045723A1 (en) 2014-09-24 2016-03-3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in communication device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US9986373B2 (en) * 2015-01-12 2018-05-29 Intel Corporation LTE-A systems and method of DRS based positioning
US9482742B1 (en) * 2015-05-12 2016-11-01 Qualcomm Incorporated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PRS) generation for multiple transmit antenna systems
EP3295731B1 (en) * 2015-05-13 2020-07-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pparatuses and methods therein for positioning measurements
US10516986B2 (en) 2015-08-12 2019-12-2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iscovering relay UE via D2D link at 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WO2017051384A1 (en) * 2015-09-25 2017-03-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measurement reporting resolution adaptation
US10772064B2 (en) * 2017-02-02 2020-09-08 Apple Inc. Positioning enhancements for 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US10383081B2 (en) * 2017-05-05 2019-08-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positioning of a mobile device using broadcast of assistance data
KR102484524B1 (ko) * 2018-02-09 2023-01-03 지티이 코포레이션 모바일 디바이스 위치확인 정확도의 증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9835A (ja) * 2006-03-07 2009-08-20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端末装置によるネットワーク選択
KR20170075733A (ko) * 2014-10-28 2017-07-0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추정들에 기초한 보조 데이터 셀 선택
WO2017172138A1 (en) * 2016-03-28 2017-10-05 Qualcomm Incorporated Enhancing prs searches via runtime conditions
KR20170140629A (ko) * 2016-06-13 2017-12-2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측정 셀 선택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8941A1 (ko) * 2021-10-05 2023-04-13 주식회사 블랙핀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조건부 도움데이터를 요청하고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3063789A1 (ko) * 2021-10-15 2023-04-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포지셔닝을 위한 도움 데이터의 기 설정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4524B1 (ko) 2023-01-03
US20230199700A1 (en) 2023-06-22
US20210045084A1 (en) 2021-02-11
CN111630910A (zh) 2020-09-04
CN115278873A (zh) 2022-11-01
US11877257B2 (en) 2024-01-16
WO2019153231A1 (en) 2019-08-15
US11601909B2 (en) 2023-03-07
CN111630910B (zh) 2022-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7257B2 (en) Increasing mobile device positioning accuracy
JP7278395B2 (ja) 位置決定ビーム情報取得方法および装置
JP6465238B2 (ja) eNodeB、モビリティ管理装置、及びこれらの方法
US11265840B2 (en) Data transmission and management for positioning mobile devices
WO2019029422A1 (zh) 一种定位、测量上报方法及装置
CN107710823B (zh) 用于管理供源无线电网络节点使用的地理围栏的方法和网络节点
JP6843895B2 (ja) 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
RU2747052C1 (ru) Управление измерениями сигнала в беспроводных устройствах с формированием луча
CN110557719B (zh) 定位方法及装置
CN110121907A (zh) Rstd测量的条件终止
CN113767230B (zh) 上行链路定位期间的接收器波束选择
US20190274071A1 (en) Enhanced reactivation for light connection
US20220393748A1 (en) Beamforming and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s
EP3681215B1 (en) Method and device for sending positioning signal
CN112292877A (zh) 用于双连接的自动邻居关系增强
CN114223170A (zh) 按需定位的方法和设备
CN111385817B (zh) 邻区上报方法、装置、e-smlc及终端
CN110602629B (zh) 定位参考信号的发送及接收方法、基站、终端、可读介质
EP3609232B1 (en) Handover management
CN115278865A (zh) 定位配置方法和电子设备
CN111818552B (zh) 一种基于cu-du架构的定位方法及装置
CN109565786A (zh) 寻呼装置、方法以及通信系统
CN109495864B (zh) 一种终端测速方法及基站
CN115150937B (zh) 一种通信方法和装置
US20230262570A1 (en) Improvements in the Handling of Wireless Devices Within a C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