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2792A - Mask with dual structure with air base layer - Google Patents

Mask with dual structure with air base la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2792A
KR20200112792A KR1020200123263A KR20200123263A KR20200112792A KR 20200112792 A KR20200112792 A KR 20200112792A KR 1020200123263 A KR1020200123263 A KR 1020200123263A KR 20200123263 A KR20200123263 A KR 20200123263A KR 20200112792 A KR20200112792 A KR 20200112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hole
cover
cover part
mas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2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88859B1 (en
Inventor
오정덕
Original Assignee
오정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2672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65908B1/en
Application filed by 오정덕 filed Critical 오정덕
Priority to KR1020200123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859B1/en
Publication of KR20200112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7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8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k having a dual structure with an air base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arm mask comprises: a mask main body (10) having a hole (11) perforated at a central part; a ring part (2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sk main body (10) to be hung to a wearer′s ears; a cover part (30)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sk main body (10) to cover the hole (11). The mask main body (10) has a sewn part (13) upwardly formed from both end parts of the hole (11), such that an air base layer (15) is formed between the hole (11) and the cover part (30) for close attachment between the inner sides of the mask main body (10) and the cover part (30) and the wearer′s lip and nose end portions, fogging prevention, and air reception. The upper side and left, and right edges of the cover part (30) are sewn to the front edge of the mask main body (10) and the inner side of a lower edge is closely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sk main body (10). The lower part of the cover part (30) is selectively folded to the outside, such that the hole (11) can be opened, thereby providing user convenience and blocking external cold air doubly.

Description

공기기층이 형성된 이중구조를 갖는 마스크{Mask with dual structure with air base layer} Mask with dual structure with air base layer

본 발명은 공기기층이 형성된 이중구조를 갖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분할된 형태의 본체원단의 상호 대응하는 면에 봉제부를 형성하여 구성된 마스크본체의 전면에 덮개부를 더 구성하여서 마스크본체의 외측과 덮개부 사이에 공기기층을 형성하여 마스크본체가 착용자의 입과 코에 밀착 및 김서림 방지와 공기응접을 통해 사용상의 편리성과 덮개부의 밀착력을 통해 호흡기로 기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k having a dual structure in which an air base layer is formed, and in more detail, the outer side of the mask body is further configured by forming a cover part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sk body configured by forming a sewing part on the mutually corresponding surfaces of the divided body fabric. A technology that allows the mask body to adhere to the mouth and nose of the wearer and prevent fogging by forming an air layer between the and the cover part, and to prevent the inflow of other foreign substances into the respirator through the convenience of use and the adhesion of the cover part through air response. It is about.

통상적으로 마스크는 사용 용도에 따라서 방한, 황사, 먼지 등 방지용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Typically, the mask is mainly used for preventing cold weather, yellow dust, dust, etc.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

이러한 마스크는 사용자들의 입과 코를 밀폐시켜서, 공기 중에 포함된 기타 이물질을 걸러내서 공기만 사용자의 호흡기 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마스크의 특성상 사용자의 입과 코에 완전히 밀착됨에 따라 호흡 시, 입 또는 코방향으로 붙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여 오히려 호흡에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운동 등과 같은 갑작스런 호흡량이 증가할 경우, 마스크가 오히려 불필요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여성들의 경우 립스틱을 바른 입술이 마스크의 표면과 맞붙어 마스크의 세척 또는 여성의 립스틱이 입술 이외의 얼굴 부분으로 번지는 현상이 있었다. These masks seal users' mouths and noses, filter out oth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and allow only air to flow into the user's respiratory tract to help health.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the mask, the user's mouth and nose As it is completely adhered to, the phenomenon of adhering to the mouth or nose direction during breathing often occurs, which not only interferes with breathing, but also when sudden increase in breathing volume such as exercise, masks are often rather unnecessary. In the case of, there was a phenomenon in which the lips with lipstick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mask, and the mask was washed or the female lipstick spread to the face other than the lips.

이에,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마스크의 일측에 사용자의 입부분이 마스크의 표면과 맞닿지 않도록 관통된 홀을 형성하고, 상기 홀을 밀폐시킬 수 있는 별도의 보조수단(홀을 덮는 덮개)이 구성되어서, 공기중의 이물질이 그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되고 있다. Thus, in recent years, in consideration of these problems, a separate auxiliary means (cover covering the hole) capable of forming a through hole on one side of the mask so that the user's mouth does not contact the surface of the mask, and sealing the hole. 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used so that foreign matter in the air does not flow in as it is.

하지만, 이러한 마스크들은 최초 사용목적과 달리, 관통된 홀이 형성된 마스크가 착용자의 입 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나, 별도의 보조수단(홀을 덮는 덮개)이 구성됨에 따라서, 아무 미세한 차이만 있을 뿐, 상기 보조수단(홀을 덮는 덮개)에 입술부분이 밀착되어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이 그대로 노출됨과 동시에, 오히려 초기 제작비용이 더 증가하는 현상이 초래되었고, 보조수단(홀을 덮는 덮개)가 유동성을 지니지 않게 되어, 호흡이 많이 필요할 경우, 마스크를 벗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However, unlike their initial purpose of use, these masks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the wearer's mouth part can be inserted through a mask with a through hole, but as a separate auxiliary means (a cover covering the hole) is configured, there is no slight difference. There is only one, and the lip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auxiliary means (the cover covering the hole), so that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 is exposed as it is, and at the same time, the phenomenon that the initial manufacturing cost is further increased, and the auxiliary means (the cover covering the hole) ) Does not have fluidity, so if you need a lot of breathing, you have to take off the mask.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First of all, looking at the conventional technologies,

등록번호 제10-0610331호(특) 착용자의 코와 입이 일체로 삽입되도록 중앙에 소정의 관통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관통부로 삽입되는 인체의 코와 입이 감싸지도록 관통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본체에 결합되되, 하부는 외부와 간접적으로 통기될 수 있도록 개방부가 형성되는 입체형상가리개; 상기 본체 양단부에 결합되어 귀를 통해 착용되도록 연설되는 귀걸이; 및 상기 입체형상가리개로 감싸지는 코와 입 부위가 상기 입체형상가리개의 내측에 밀착되지 않도록 테두리 재봉부위를 따라 내삽되는 고정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정지지체를 갖는 마스크에 관한 기술이다. Registration No. 10-0610331 (Special) A body having a predetermined through part formed in the center so that the wearer's nose and mouth are integrally inserted; A three-dimensional cover that is coupled to the body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through part so as to surround the nose and mouth of the human body inserted into the through part, the lower part being formed with an opening part to allow indirect ventilation from the outside; Earring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main body to be worn through ears; And it relates to a mask having a fixed support comprising a; and a fixed support that is interpolated along the edge sewing portion so that the nose and mouth portions wrapped with the three-dimensional shade are not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ide of the three-dimensional shade.

상기한 종래 기술은 입체형상가리개가 항상 고정된 형태를 취함에 따라서 운동 등 숨을 많이 들이마시고 뱉어야 할 경우 사용상 불편한 점이 있을 수밖에 없고, 입체형상가리개가 대체적으로 본체와 거의 근접함에 따라서, 숨을 들이마실 때, 상기 입체형상가리개가 사용자의 입과 닿을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ology is inevitable to be inconvenient in use when you need to inhale and exhale a lot of breath, such as exercise, as the three-dimensional shade is always in a fixed form, and as the three-dimensional shade is generally close to the main body, breathing in When drinking, the three-dimensional shade is inevitable to contact the user's mouth.

등록번호 제20-0424343호(실) 공기중에 함유되어 있는 미세먼지가 차단되도록 하는 겉면과 상기 겉면을 통과한 공기를 항균 방취시키는 중면 및 상기 중면을 통과한 공기를 재차 항균 방취시키는 안면이 중첩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좌우 양측단에 각각 부착되어 있는 끈타입의 걸이부로 구성된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의 본체 안면에 배출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김서림 방지용 마스크에 관한 기술이다. Registration No. 20-0424343 (Room) The outer surface that blocks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the middle surface that antibacterial deodorizes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outer surface, and the face that antibacterial and deodorizes the air passing through the middle surface are overlapped. In the mask consisting of a main body and a string-type hook attached to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 ends of the main body, the technology relates to a mask for preventing fogging in which a discharge hole is formed through the face of the main body of the mask.

상기한 종래 기술은 겉면, 중면, 안면으로 이루어진 마스크의 안면 중앙부에 홀을 뚫어서 마스트 착용 시 김서림을 방지토록 하고 있으나, 호흡이 많이 필요한 운동 등을 할 경우, 마스크를 벗어야 함은 물론, 코와 입부분이 중면과 맞닿을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is to prevent fogging when wearing the mast by piercing a hole in the center of the face of the mask consisting of the outer, middle, and face, but in case of exercise that requires a lot of breathing, the mask must be removed, as well as the nose and mouth. It is a structure where the part has no choice but to touch the middle surface.

등록번호 제10-1283551호(특) 코와 입을 비롯해 얼굴을 감싸고 있고, 입이 위치한 지점에는 공기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메인마스크, 상기 메인마스크의 내측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의 코와 입을 가릴 수 있으며 입과 코를 가리고 있는 지점에 상기 공기배출공과 연결된 호흡유도공이 형성되어 있는 보조마스크, 그리고 상기 메인마스크 중 상기 공기배출공의 상측 테두리 위쪽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차단판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마스크 중 상기 공기배출공의 상측 테두리 위쪽에는 절개공이 형성되어 상기 차단판은 상기 보조마스크의 전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절개공을 관통하고 있는 방한마스크에 관한 기술이다. Registration No. 10-1283551 (Special) The main mask, which covers the face including the nose and mouth, and the air outlet hole is formed at the point where the mouth is located,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inner side of the main mask, and is connected to the user's nose. An auxiliary mask that can cover a mouth and has a breathing hole connected to the air discharge hole at a point covering the mouth and nose, and a blocking plate protruding from an upper edge of the air discharge hole among the main masks, and the Among the main masks, a cutout hole is formed above the upper edge of the air outlet hole, and the blocking plate protrudes from the front side of the auxiliary mask to penetrate the cutout hole.

등록번호 제10-1653614호(특) 사용자의 얼굴에서 입과 코를 포함하는 부위를 덮도록 착용되고, 직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입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가 형성되는 마스크본체; 상기 마스크본체에 부착되고, 변형에 의해 형태가 고정되는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마스크본체가 사용자의 코 주변에 밀착되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입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프레임; 상기 마스크본체의 개구에 장착되는 배출기본체가 마련되고, 상기 공간이 상기 개구를 통해서 외측과 통하도록 상기 배출기본체에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기본체에서 상기 유로의 전단에 변형에 대한 복원력을 가지는 개폐부재가 장착됨으로써, 사용자의 날숨시에만 압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가 변형되어 상기 유로를 개방시키는 배출기; 및 상기 배출기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배출기와 사용자의 입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사용자의 날숨을 상기 유로에 공급하도록 가이드하는 날숨가이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마스크본체의 상단에 수평되게 위치하고, 변형에 의해 상기 마스크본체가 사용자의 코 주변에 밀착되도록 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이 나란하도록 형성되고, 변형에 의해 상기 마스크본체가 사용자의 입과의 사이에 상기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수직부; 를 포함하는 기능성 마스크에 관한 기술이다. Registration No. 10-1653614 (Special) A mask body worn to cover a portion of the user's face including the mouth and nose, made of a fabric,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mouth; A frame that is attached to the mask body and made of a material that is fixed in shape by deformation, so that the mask bod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nose and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user's mouth; A discharge main body mounted in the opening of the mask main body is provided, a flow path is formed in the discharge main body so that the space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and the opening and closing having a restoring force against deformation at the front end of the flow passage in the discharge main body When the member is mounte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deformed by pressure only when the user exhales, thereby opening the flow path; And an exhalation guide attached to the ejector, positioned between the ejector and the mouth of the user, and guiding the user's exhalation to the flow path. Including, the frame, a horizontal portion positioned horizontally on the upper end of the mask body, the mask bod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nose by deformation; And a vertical portion formed such that a pai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portion is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space is formed between the mask body and the user's mouth by deformation. It is a technology related to a functional mask comprising a.

상기한 종래 기술은 마스크본체에 형성된 개구에 프레임, 배출기, 날숨가이드를 각각 구성시켜서 사용자의 침 등에 의한 악취해결, 마스크내 이산화탄소가 남지 않게 되어 건강에 이로움을 줄 수 있도록 구성되나,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마스크를 제작함에 있어,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마스크 가격이 높을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provide health benefits by configuring a frame, an ejector, and an exhalation guide in the opening formed in the mask body, respectively, to resolve odors caused by the user's saliva, etc., and no carbon dioxide remains in the mask, but the structure is very It is complex and requires a lot of cost in manufacturing the mask, and thus has a problem that the mask price is inevitably high.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본체원단이 맞닿는 부분에 봉제루를 형성하여 중앙부에 홀을 형성하는 한편 마스크본체의 형상변형이 최대한 이루어지지 않도록 마스크본체를 구성하여 자체적인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마스크본체의 전면에 구성되는 덮개부가 홀을 덮되, 상기 봉제부에 의해, 상기 마스크본체의 외측 및 홀과 상기 덮개부의 내측 사이에 자연스레 공기기층을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착용자의 착용 시, 김서림 방지 및 공기응접과 여성착용자의 경우 립스틱과 같은 화장품이 마스크에 닿지 않아 사용상의 편리성과, 필요에 따라서 상기 덮개부의 하부를 외측방향으로 접어서 홀이 개방되도록 하여 호흡상의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공기기층이 형성된 이중구조를 갖는 마스크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a sewing thread in a portion where a pair of body fabrics abut to form a hole in the center, and to increase its own durability by configuring the mask body so that shape deformation of the mask body is not made as much as possible. And, the cover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sk body is configured to cover the hole, and by the sewing part, an air base layer is naturally formed between the outside of the mask body and between the hole and the inside of the cover, when worn by the wearer. , Anti-fog and air response, and in the case of female wearers, cosmetics such as lipstick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mask, so it is convenient to use, and if necessary, the lower part of the cover is folded outward to open the hole to provide breathing comfort. The technical task was completed with the focus on providing a mask having a dual structure with an air base layer formed there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중앙부에 관통된 홀(11)이 형성되는 마스크본체(10);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양측에 착용자의 귀에 걸림하는 걸림부(20);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전면에 구성되어 상기 홀(11)을 덮는 덮개부(30); 로 구성되는 방한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본체(10)는 상기 홀(11)의 양끝부에서 상측방향으로 봉제부(13)가 형성되어, 착용자가 마스크 시 상기 마스크본체(10) 및 덮개부(30)의 내측과 상기 착용자의 입술 및 코끝부분의 밀착 및 김서림 방지와 공기응접을 위해 상기 홀(11)과 덮개부(30) 사이에 공기기층(15)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30)는 상측 및 좌, 우측 테두리가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전면 테두리와 봉제되고, 하측테두리의 내측이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전면과 밀착되게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30)는 하부를 외측으로 선택적으로 접어 상기 홀(11)을 개방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As a technical idea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mask body 10 having a hole 11 penetrating in the center portion is formed; Locking portions 20 for engaging the wearer's ears on both sides of the mask body 10; A cover part 30 configur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sk body 10 to cover the hole 11; In the cold protection mask consisting of, the mask body 10 is formed with sewing portions 13 in the upward direction from both ends of the hole 11, the mask body 10 and the cover portion ( An air base layer (15) is formed between the hole (11) and the cover part (30) for close contact between the inside of 30) and the end of the wearer's lips and nose, and to prevent fogging and to air contact, and the cover part (30) The upper and left and right edges are sewn with the front edge of the mask body 10, the inside of the lower edge is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mask body 10, and the cover part 30 has the lower portion outsi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folded to open the hole 11.

상기 덮개부(30)의 하측테두리와 중앙부의 상하양측 방향에는 덮개부(30)가 홀(11)을 덮음 또는 개방상태에서 고정 및 상기 덮개부(30)가 고정된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텐션을 갖는 텐션부(31)가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lower edge and the center of the cover part 30, the cover part 30 covers the hole 11 or is fixed in the open state, and the cover part 30 is tensioned to form a fixed form. It is a technical feature that the tension unit 31 is configured.

상기 덮개부(30)에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길게 접힘부(33)가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The cover part 30 is characterized in that a long folded part 33 is form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원단을 편직, 염색, 가공처리, 재단 및 봉제를 통해 제조되는 마스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단 시, 가공처리된 원단을 제조하려는 마스크본체(10)와 덮개부(30)의 형상에 맞춰 한 쌍의 본체원단(100)과 덮개부원단(200)을 각각 형성하되, 상기 본체원단(100)은 상호 마주하는 면 양측에 만곡진 면을 가지는 돌출부(110)를 형성시켜 그 사이에 내삽부(120)를 형성하고, 각각의 본체원단(100)의 돌출부(110)가 상호 마주하게 배치시키되 일부분이 겹쳐지도록 한 후, 그 겹쳐진 부분을 봉제하여 봉제부(13)와 각각의 봉제부(13) 사이에 홀(11)이 형성된 마스크본체(10)를 형성하며, 각각의 덮개부원단(200)의 일측면을 상호 마주하게 배치시킨 후 마주하는 면을 봉제하여 덮개부(30)를 형성한 다음, 상기 덮개부(30)의 하부면이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외측테두리 하부를 제외한 상부와 양측면과 맞닿게 한 후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양측에 걸림부(20)를 연결하여 맞닿은 부분을 마감처리 마감부(17)를 형성하고, 상기 마스크본체(10)의 홀(11) 및 외측과 덮개부(30)의 내측 사이에 공기기층(15)을 형성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mask manufactured by knitting, dyeing, processing, cutting, and sewing fabric, a pair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mask body 10 and the cover part 30 for manufacturing the processed fabric during the cutting The body fabric 100 and the cover fabric 200 are formed respectively, but the body fabric 100 forms protrusions 110 having curved surfaces on both sides of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and the interpolation portion 120 therebetween ), and arrange the protrusions 110 of each of the body fabrics 100 to face each other, but partially overlap, and then sew the overlapped parts to between the sewing parts 13 and each sewing part 13 A mask body 10 having a hole 11 formed thereon is formed, and one side of each cover fabric 200 i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then the facing faces are sewn to form the cover 30, After making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art 30 in contact with the upper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mask body 10 except for the lower outer edge of the mask body 10, the engaging parts 20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mask body 10 so that the abutting part is remov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finishing part 17 is formed, and an air base layer 15 is formed between the hole 11 and the outer side of the mask body 10 and the inner side of the cover part 30.

상기 덮개부(30)의 중앙부에는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접힘부(33)를 형성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It is technically characterized in that a folded portion 33 is formed in a direction from one side to the other in a central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30.

상기 마감부(17)는 상기 홀(11)의 외측을 따라서 더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The closing part 17 is technicall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formed along the outside of the hole 11.

본 발명에 따른 공기기층이 형성된 이중구조를 갖는 마스크에 의하면, 마스크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착용자로 하여금 편안함을 제공하는 한편, 마스크가 2중구조로 이루어져 기본적인 내구성이 향상되고, 무엇보다 봉제부에 의해 마스크본체의 외측 및 홀과 덮개부의 내측 사이에 공기기층이 형성되어, 김서림 방지 및 공기응접을 통해 호흡의 편안함이 가능하고, 운동 등과 같은 호흡이 많이 필요한 활동을 할 시, 접힘부를 통해 덮개부를 접어 홀을 개방시킬 수가 있어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야외활동 등이 가능한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According to the mask having a dual structure in which an air base layer is 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purpose of the mask as it is, while providing comfort to the wearer, the mask is made of a double structure to improve basic durability, and above all, An air layer is formed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mask body and between the hole and the inner side of the cover part by the sewing part,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fogging and breathe comfortably through air reception. When performing activities that require a lot of breathing, such as exercise, the folded part It is a useful invention that allows outdoor activities or the like while wearing a mask because the cover can be folded to open the hole.

도 1은 본 발명의 본체원단과 덮개부원단을 제조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마스크본체의 제조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덮개부를 제조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마스크본체에 걸림부와 덮개부를 구성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마스크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마스크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덮개부의 접힘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마스크본체의 홀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1 is a view showing the steps of manufacturing a main fabric and a cover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ep of manufacturing the mask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steps of manufacturing the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steps of configuring a locking portion and a cover portion in the mask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folded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hole in the mask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and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rear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분할된 형태의 본체원단의 상호 대응하는 면에 봉제부를 형성하여 구성된 마스크본체의 전면에 덮개부를 더 구성하여서 마스크본체의 외측과 덮개부 사이에 공기기층을 형성하여 마스크본체가 착용자의 입과 코에 밀착 및 김서림 방지와 공기응접을 통해 사용상의 편리성과 덮개부의 밀착력을 통해 호흡기로 기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기층이 형성된 이중구조를 갖는 마스크를 제공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ver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mask body, which is formed by forming a sewing part on the surfac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f the divided body fabric to form an air base layer between the outside of the mask body and the cover. Provides a mask having a dual structure with an air base layer that prevents the inflow of other foreign substances into the respirator through the convenience of use and the adhesion of the cover part through close contact with the nose and nose and air contact.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 preferr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도 5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중앙부에 관통된 홀(11)이 형성되는 마스크본체(10);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양측에 착용자의 귀에 걸림하는 걸림부(20);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전면에 구성되어 상기 홀(11)을 덮는 덮개부(30); 로 구성되는 방한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본체(10)는 상기 홀(11)의 양끝부에서 상측방향으로 봉제부(13)가 형성되어, 착용자가 마스크 시 상기 마스크본체(10) 및 덮개부(30)의 내측과 상기 착용자의 입술 및 코끝부분의 밀착 및 김서림 방지와 공기응접을 위해 상기 홀(11)과 덮개부(30) 사이에 공기기층(15)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30)는 상측 및 좌, 우측 테두리가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전면 테두리와 봉제되고, 하측테두리의 내측이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전면과 밀착되게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30)는 하부를 외측으로 선택적으로 접어 상기 홀(11)을 개방할 수 있게 구성된다. First of all, prior to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11. A mask body 10 in which a hole 11 penetrating through a central portion is formed; Locking portions 20 for engaging the wearer's ears on both sides of the mask body 10; A cover part 30 configur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sk body 10 to cover the hole 11; In the cold protection mask consisting of, the mask body 10 is formed with sewing portions 13 in the upward direction from both ends of the hole 11, the mask body 10 and the cover portion ( An air base layer (15) is formed between the hole (11) and the cover part (30) for close contact between the inside of 30) and the end of the wearer's lips and nose, and to prevent fogging and to air contact, and the cover part (30) The upper and left and right edges are sewn with the front edge of the mask body 10, the inside of the lower edge is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mask body 10, and the cover part 30 has the lower portion outside It is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folded to open the hole 11.

상기 마스크본체(1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 2, 4,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단한 한 쌍의 본체원단(100)의 상호 마주하며 끝단에 봉제부(13)가 형성되며, 그 사이에 실질적으로 착용자의 코끝부분과 입술이 위치될 수 있는 홀(11)이 형성된다. When describing the mask body 10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s. 1, 2, 4, 5, and 6, a sewing part 13 faces each other and at the ends of a pair of cut body fabrics 100 Is formed, and a hole 11 is formed between which the end of the nose and the lips of the wearer can be substantially positioned.

먼저, 상기 본체원단(100)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마주하는 면 양측에 만곡진 면을 가지는 돌출부(110)를 형성시켜 그 사이에 내삽부(120)를 형성되는데, 상기 돌출부(110)는 끝단이 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삽부(120)는 반원호 형성로 형성되되, 정원이 아닌, 타원형의 반원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본체원단(100)의 돌출부(110)를 서로 마주하게 배치하여 맞닿게 위치시키게 되면 자연스레 상기 내삽부(120)에 의해 타원형의 홀(11)이 형성되게 되고, 상기 상호 마주하며 맞닿는 돌출부(110)의 부분을 봉제하여 봉제부(13)를 형성하게 되면, 한 쌍의 본체원단(100)에 의해 하나의 마스크본체(10)가 구성된다. First, the body fabric 100 is formed with protrusions 110 having curved surfaces on both sides of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as shown in FIGS. 1 to 2 to form an interpolation part 120 therebetween. The protrusion 110 has a straight end, and the inner insert 120 is formed in a semicircular arc, and is formed in an elliptical semicircular shape rather than a round shape, and the protrusion 110 of each of the main body fabric 100 )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nd ar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the oval-shaped hole 11 is naturally formed by the inner insertion portion 120, and the portions of the protrusions 110 that face each other are sewn to sew the sewing part ( When 13) is formed, one mask body 10 is formed by a pair of body fabrics 100.

이때, 상기 마스크본체(100)의 봉제부(13)는 도 2,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마스크본체(10)의 내측에 형성되되, 홀(11)의 중심으로 직선 또는 곡선방향으로 상기 홀(11)의 외측에서부터 마스크본체(10)의 내측의 끝단까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본체원단(100)의 돌출부(110)와 마주하는 돌출부(110)를 완전히 고정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At this time, the sewing part 13 of the mask body 100 is formed substantially inside the mask body 10, as shown in FIGS. 2 and 4, in a straight or curved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hole 11 It is configured to be formed from the outer side of the hole 11 to the inner end of the mask body 10 so that the protrusion 110 facing the protrusion 110 of the body fabric 100 can be completely fixed.

이때, 상기 봉제부(13)는 본체원단(100)의 소재 특성과 더불어 홀(11)에 의해 쉽게 형태의 고정이 어려운 것을 보완하여, 하기될 덮개부(30)를 전면에 덧대어 봉제할 경우, 상기 봉제부(13)에 의해 완성된 마스크본체(10)의 형태변형을 최소화하여, 공기기층(15)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목적으로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sewing part 13 complements that it is difficult to easily fix the shape by the hole 11 in addition to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 main fabric 100, and when sewing by adding the cover part 30 to be described on the front side , It is formed for the purpose of minimizing the deformation of the shape of the mask body 10 completed by the sewing part 13, so that the air base layer 15 can be formed.

다시 말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봉제부(13)의 역할은 각각의 본체원단(100)을 연결하는 목적과 더불어, 완성된 마스크본체(10)의 전면으로 덧대어져, 양끝단이 마감부(17)에 의해 마감 처리되는 덮개부(30)를 구성한 후, 형성되는 공기기층(15)을 형성하기 위해 마스크를 착용 시 또는 착용 전, 마스크본체(10)의 형상변형과 더불어, 마스크본체(10)의 외측과 덮개부(30)의 내측과 상호 맞닿아, 상기 덮개부(30)의 내측을 지지하도록 하여서, 덮개부(30)의 눌림, 등에서도 쉽게 변형이 일어나지 않게 되어, 공기기층(15)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가 있다. 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ure 2, the role of the sewing part 13 is added to the front of the finished mask body 10, along with the purpose of connecting each of the body fabrics 100, so that both ends are finished. After configuring the cover part 30 to be finished by the part 17, when or before wearing the mask to form the formed air base layer 15, along with the shape change of the mask body 10, the mask body The outer side of (10) and the inner side of the lid part 30 are mutually abutted to support the inner side of the lid part 30, so that deformation does not occur easily even when the lid part 30 is pressed, etc. (15) can be secured stably.

또한, 상기 봉제부(13)는 통상적으로 원단을 봉제할 때 사용하는 바느질 등 봉제작업을 통해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sewing part 13 is configured through sewing operations such as sewing, which is commonly used when sewing fabric.

상기 걸림부(20)는 통상적으로 방한마스크 및 마스크에 구성된 것으로써, 착용자들의 귀에 걸림될 수 있는 구성임에 따라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locking part 20 is typically configured in a cold protection mask and a mask, a separat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since it is a configuration that can be caught in the ears of wearers.

상기 덮개부(30)는 도 1, 3,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마스크본체(10)의 전면에 덮여져, 내부 하측면 테두리를 제외한 상측면과 양측면 데두리가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전면과 맞닿게 되어, 마감처리되어, 마감부(17)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마스크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1, 3, 4, and 5, the cover part 30 is substantially cover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mask body 10, so that the upper and both sides excluding the inner lower side borders are provided with the mask body ( It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10), is finished, and forms a finished portion 17, thereby being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sk body 10.

이때, 상기 덮개부(30)는 원단을 재단하여 덮개부원단(200)을 형성한 후, 상호 대응하는 면을 맞닿게 하여, 봉제작업을 통해 최종적으로 덮개부(30)를 구성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cover portion 30 is formed by cutting the fabric to form the cover portion fabric 200, and then the corresponding surface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cover portion 30 is finally configured by sewing.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30)가 홀(11)을 덮음 또는 개방상태에서 고정 및 상기 덮개부(30)가 고정된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텐션을 갖는 텐션부(31)가 구성되어,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 the cover part 30 is fixed in a state where the hole 11 is covered or opened, and the tension part 31 having a tension so that the cover part 30 is fixed. Is configured, and stable fixing is possible.

여기서, 상기 덮개부(30)에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길게 접힘부(33)가 형성되는 상기 덮개부(30)를 접어, 마스크본체(10)의 홀(11)의 일부를 개방시킬 시, 보다 편리하게 접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Here, it is more convenient when the cover part 30 is folded in which the cover part 30 is form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nd a part of the hole 11 of the mask body 10 is open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fold it.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30)를 조금 작게 형성한 후, 마스크본체(10)의 외측에 배치되어 홀(11)을 가리되, 상기 덮개부(30)의 내부 양측테두리부분이 마스크본체(10)의 외측면에 봉제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다양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after forming the cover part 30 a little smaller, it is disposed outside the mask body 10 to cover the hole 11, and the inner both sides of the cover part 30 It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portion can be sew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sk body 10, and this structure has the effect of providing various designs.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마스크의 제조방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원단을 편직, 염색, 가공처리, 재단 및 봉제를 통해 제조되는 마스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단 시, 가공처리된 원단을 제조하려는 마스크본체(10)와 덮개부(30)의 형상에 맞춰 한 쌍의 본체원단(100)과 덮개부원단(200)을 각각 형성하되, 상기 본체원단(100)은 상호 마주하는 면 양측에 만곡진 면을 가지는 돌출부(110)를 형성시켜 그 사이에 내삽부(120)를 형성하고, 각각의 본체원단(100)의 돌출부(110)가 상호 마주하게 배치시키되 일부분이 겹쳐지도록 한 후, 그 겹쳐진 부분을 봉제하여 봉제부(13)와 각각의 봉제부(13) 사이에 홀(11)이 형성된 마스크본체(10)를 형성하며, 각각의 덮개부원단(200)의 일측면을 상호 마주하게 배치시킨 후 마주하는 면을 봉제하여 덮개부(30)를 형성한 다음, 상기 덮개부(30)의 하부면이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외측테두리 하부를 제외한 상부와 양측면과 맞닿게 한 후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양측에 걸림부(20)를 연결하여 맞닿은 부분을 마감처리 마감부(17)를 형성하고, 상기 마스크본체(10)의 홀(11) 및 외측과 덮개부(30)의 내측 사이에 공기기층(15)을 형성하게 된다. Whe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in the mask manufacturing method manufactured by knitting, dyeing, processing, cutting, and sewing fabric, when the cutting, A pair of body fabric 100 and cover fabric 200 are respectively 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mask body 10 and the cover part 30 for manufacturing the processed fabric, but the body fabric 100 is mutually Protrusions 110 having curved surfac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acing surface to form an interpolation part 120 therebetween, and the protrusions 110 of each of the main body fabrics 100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but some overlap After that, the overlapped portion is sewn to form a mask body 10 in which a hole 11 is formed between the sewing part 13 and each sewing part 13, and one of the cover fabric 200 After the sides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he facing sides are sewn to form the cover part 30, and the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art 30 is with the upper and both sides except the lower outer border of the mask body 10. After contacting the mask body 10, the engaging portions 20 are connected to the both sides of the mask body 10 to form a finishing portion 17, and the hole 11 and the outside and the cover of the mask body 10 An air base layer 15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ides of the portion 30.

상기 덮개부(30)의 중앙부에는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접힘부(33)를 형성하도록 하여서, 덮개부(30)를 외측으로 선택적으로 접어, 마스크본체(10)의 홀(11)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By forming a folded portion 33 from one side to the other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30, the cover portion 30 is selectively folded outward to selectively open the hole 11 of the mask body 10 You can make it.

상기 마감부(17)는 상기 홀(11)의 외측을 따라서 더 형성되도록 하여서 마스크본체(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상기 마감부(17)의 경우, 제조된 마스크의 전체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외관상 세련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홀(11)의 경우, 원단이 쉽게 찢어질 수가 있는 등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가 있다. The closing part 17 may be further formed along the outer side of the hole 11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mask body 10. In the case of the finishing part 17, while improving the overall durability of the manufactured mask, there is an effect of expressing a refined design in appearance, and in the case of the hole 11, the fabric may be easily torn. It can be supplemented.

이러한 본 발명은 공기기층(15)을 형성하면서도 그 공기기층(15)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고, 종래와 달리, 마스크본체(10)와 덮개부(30)에 의해 2겹의 형태로 형성되어 보온성이 뛰어나며 무엇보다, 공기기층(15)의 안정적인 형태변형방지 및 필요에 따라서 덮개부(30)를 접어 운동 등과 같은 호흡량이 많을 경우 사용자들이 사용상 편리성을 가질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This invention can prevent the shape of the air base layer 15 from being deformed while forming the air base layer 15, and unlike the prior art, the mask body 10 and the cover part 30 form a double layer. It is formed with excellent warmth, and above all, it is a useful invention that users can have convenience in use when there is a large amount of breathing such as exercise by folding the cover part 30 as necessary and preventing the stable shape deformation of the air layer 15.

10 : 마스크본체 11 : 홀 13 : 봉제부
15 : 공기기층 17 : 마감부
20 : 걸림부
30 : 덮개부 31 : 텐션부 33 : 접힘부
100 : 본체원단 110 : 돌출부 120 : 내삽부
200 : 덮개부원단
10: mask body 11: hole 13: sewing part
15: air base 17: finish
20: locking part
30: cover portion 31: tension portion 33: folded portion
100: body fabric 110: protrusion 120: inner part
200: cover fabric

Claims (2)

중앙부에 관통된 홀(11)이 형성되는 마스크본체(10);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양측에 착용자의 귀에 걸림하는 걸림부(20);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전면에 구성되어 상기 홀(11)을 덮는 덮개부(30); 로 구성되는 방한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본체(10)는 상기 홀(11)의 양끝부에서 상측방향으로 봉제부(13)가 형성되어, 착용자가 마스크 시 상기 마스크본체(10) 및 덮개부(30)의 내측과 상기 착용자의 입술 및 코끝부분의 밀착 및 김서림 방지와 공기응접을 위해 상기 홀(11)과 덮개부(30) 사이에 공기기층(15)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30)는 상측 및 좌, 우측 테두리가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전면 테두리와 봉제되고, 하측테두리의 내측이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전면과 밀착되게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30)는 하부를 외측으로 선택적으로 접어 상기 홀(11)을 개방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덮개부(30)의 하측테두리와 중앙부의 상하양측 방향에는 덮개부(30)가 홀(11)을 덮음 또는 개방상태에서 고정 및 상기 덮개부(30)가 고정된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텐션을 갖는 텐션부(31)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기층이 형성된 이중구조를 갖는 마스크.
A mask body 10 in which a hole 11 penetrating through the central portion is formed; Locking portions 20 for engaging the wearer's ears on both sides of the mask body 10; A cover part 30 configur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sk body 10 to cover the hole 11; In the cold protection mask consisting of,
The mask body 10 has sewing parts 13 formed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hole 11, so that the inside of the mask body 10 and the cover part 30 and the wearer's An air base layer 15 is formed between the hole 11 and the cover 30 for close contact with the lips and the tip of the nose and for preventing fogging and for air contact,
The cover part 30 has upper and left and right edges sewn with the front edge of the mask body 10, and the inner side of the lower edge is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face of the mask body 10,
The cover part 30 is configured to open the hole 11 by selectively folding the lower part outward,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lower edge and the center of the cover part 30, the cover part 30 covers the hole 11 or is fixed in the open state, and the cover part 30 is tensioned to form a fixed form. A mask having a dual structure in which an air base layer is formed, characterized in that the tension part 31 is 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30)에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길게 접힘부(3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기층이 형성된 이중구조를 갖는 마스크.





The method of claim 1,
A mask having a dual structure with an air base la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part 30 has a long folded part 33 form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KR1020200123263A 2019-03-08 2020-09-23 Mask with dual structure with air base layer KR1022888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263A KR102288859B1 (en) 2019-03-08 2020-09-23 Mask with dual structure with air base la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720A KR102165908B1 (en) 2019-03-08 2019-03-08 Method for manufacturing a mask having a dual structure in which an air base layer is formed
KR1020200123263A KR102288859B1 (en) 2019-03-08 2020-09-23 Mask with dual structure with air base lay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720A Division KR102165908B1 (en) 2019-03-08 2019-03-08 Method for manufacturing a mask having a dual structure in which an air base layer is forme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792A true KR20200112792A (en) 2020-10-05
KR102288859B1 KR102288859B1 (en) 2021-08-10

Family

ID=72808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263A KR102288859B1 (en) 2019-03-08 2020-09-23 Mask with dual structure with air base lay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885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065Y1 (en) * 2005-12-30 2006-03-15 손세화 A Mask Having Holding Object
KR20110024310A (en) * 2009-09-01 2011-03-09 홍기복 Anti-steam mask
KR20110031052A (en) * 2009-09-18 2011-03-24 김봄 Made a mask fold and glueing
KR20210034377A (en) * 2019-09-20 2021-03-30 김회철 Fire Smokeproof Mas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065Y1 (en) * 2005-12-30 2006-03-15 손세화 A Mask Having Holding Object
KR20110024310A (en) * 2009-09-01 2011-03-09 홍기복 Anti-steam mask
KR20110031052A (en) * 2009-09-18 2011-03-24 김봄 Made a mask fold and glueing
KR20210034377A (en) * 2019-09-20 2021-03-30 김회철 Fire Smokeproof Mas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8859B1 (en) 202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9398B2 (en) Earless filter mask
US11388939B2 (en) Earless filter mask
KR101134604B1 (en) Facemask structure improvement
KR101650167B1 (en) Mask
KR101710046B1 (en) A Mask Unit Having Defensing of a Glass Steam Removing
JP2021147748A (en) Infection prevention mask having function for smoking, eating and drinking
KR102165908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mask having a dual structure in which an air base layer is formed
KR102188331B1 (en) Separate mouth and nose mask
KR102568995B1 (en) Mask
KR102288859B1 (en) Mask with dual structure with air base layer
JP3116947U (en) mask
KR20210060062A (en) Nose mask for fine dust
KR20190002556U (en) Mask for blocking fine dust
JP3230824U (en) Auxiliary tool for mask
KR101527776B1 (en) Mask using korean paper yarn
KR20170095647A (en) Mask
WO2020163064A1 (en) Earless filter mask
KR101920146B1 (en) Yellow dust wrinkle mask
KR102317119B1 (en) mask
KR200383933Y1 (en) Functional Mask
JP6887703B1 (en) mask
KR20170075622A (en) Mask
JP6622350B2 (en) Dustproof hood
KR102667364B1 (en) Support pad for sanitary mask
KR101348257B1 (en) A Multifunction Handkerchie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