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2607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2607A
KR20200112607A KR1020190105701A KR20190105701A KR20200112607A KR 20200112607 A KR20200112607 A KR 20200112607A KR 1020190105701 A KR1020190105701 A KR 1020190105701A KR 20190105701 A KR20190105701 A KR 20190105701A KR 20200112607 A KR20200112607 A KR 20200112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ep
freezing compartment
temperature
hous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성민
추윤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112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6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4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deep-frozen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0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6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004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 F16B5/0008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substantially in their own plane, perpendicular to the abutting edge
    • F16B5/002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substantially in their own plane, perpendicular to the abutting edge both sheets, plates or panels having a groove, e.g. with strip-type connec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4Preventing the formation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3Mounting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5Removal of heat
    • F25B2321/0251Removal of heat by a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저장공간 내부에서, 구획된 별도의 심온공간이 구비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심온공간을 형성하는 심온냉동칸의 개폐 시, 심온냉동칸이 냉장고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심온냉동칸을 고정시키는 냉장고를 게시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심온냉동칸을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써, 심온냉동칸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적 개선을 수행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온으로 저장하는 가전 기기로써, 섭씨 3℃ 범위의 냉장 상태로 음식물을 저장하기 위한 냉장실과, 섭씨 -20℃ 범위의 냉동 상태로 음식물을 저장하기 위한 냉동실을 포함한다.
그러나, 육류나 해산물 같은 음식물을 현재의 냉동실 내에서 냉동 상태로 보관하는 경우, 음식물이 -20℃로 결빙되는 과정에서 육류나 해산물의 세포 내에 있는 수분이 세포 밖으로 빠져나가면서 세포가 파괴되고 해동 과정에서 식감이 변해버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러나, 저장실의 온도 조건을 현재의 냉동실 온도보다 현저히 낮은 극저온 상태로 만들어서, 음식물이 냉동 상태로 변화할 때 빙결점 온도 대역을 빠르게 지나가도록 하면 세포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해동 후에도 육질과 식감이 냉동 전의 상태에 가까운 상태로 되돌아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극저온이라 함은 -40℃~-50℃ 범위의 온도를 말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최근에는 냉동실 온도보다 더 낮은 온도로 유지되는 심온냉동칸이 구비된 냉장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심온냉동칸에 대한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의 냉매를 이용한 냉각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열전 소자(TEM: ThermoElectric Module)를 이용하여 심온냉동칸 온도를 극저온으로 낮추는 시도를 하고 있다. 선행 특허문헌(10-2013-0049496)에는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보관온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게시하고 있다.
심온냉동칸의 극저온을 원활하게 구현하기 위해서는 심온냉동칸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해야 되는데, 심온냉동칸이 효율적인 유지, 보수를 위해 냉동실 내부에서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를 인입 및 인출 할 시 상기 심온냉동칸이 냉동실에서 함께 탈착 되어 냉기가 유출될 수 있으며, 또한 심온냉동칸은 냉동실의 후벽에 밀착하여야만 열전소자의 냉기가 상기 심온냉동칸에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데 상기 심온냉동칸의 탈착 시 상기 심온냉동칸이 냉동실의 후벽에 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될 경우, 열전소자의 냉기가 유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심온냉동칸은 냉동실에서 별도의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여 냉동실의 도어를 회전하여 개방한 후, 심온냉동칸의 도어를 개폐해야 하는데, 이 때 상기 심온냉동칸의 도어의 개폐 시 상기 심온냉동칸이 냉동실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 사용자는 심온냉동칸을 지지한 상태에서 심온냉동칸의 도어를 개폐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덧붙여 심온냉동칸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이로 인해, 심온냉동칸 도어의 주위에 빙결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심온냉동칸의 도어와 하우징이 만나는 면으로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도어와 하우징에서 만나는 면에 성에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실정이다.
즉, 상기 심온냉동칸의 냉동실의 내부에서 극저온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심온냉동칸의 냉기가 외부로 배출될 시 에너지 손실뿐만 아니라, 냉동실에 구비되는 음식물에도 영향을 미칠 수가 있어 심온냉동칸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밀폐하는 것이 필요하며, 동시에 심온냉동칸 도어에 성에, 빙결 등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0-2013-0049496 (공개일자: 2013년05월14일)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냉동실 내에 설치되는 심온냉동칸을 강하게 고정시켜주는 구조가 적용된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심온냉동칸의 개폐 시, 심온냉동칸이 냉장고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심온냉동칸을 고정시키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심온냉동칸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성에, 빙결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심온냉동칸이 냉동실 후벽에 고정되어 심온냉동칸 내부의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심온냉동칸에 다중 체결구조를 적용하여 심온냉동칸 내부의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심온냉동칸이 냉장고 내 조립될 시, 심온냉동칸은 냉장고 내부에 고정되고 심온냉동칸을 개폐 시 심온냉동칸이 이탈되지 않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심온냉동칸의 좌우측 가이드 레일에 심온냉동칸을 고정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되어 심온냉동칸의 외부에 형성된 홈에 상기 고정구조가 끼워짐에 따라 상기 홈 축으로 응력이 작용하여 심온냉동칸이 고정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심온냉동칸의 도어와 하우징 내부에 자석을 삽입하여 도어와 하우징이 자석 인력에 의해 밀착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심온냉동칸 도어에 후크가 형성되고, 하우징에 홈을 적용하여 후크가 홈에 삽입됨으로써 도어와 하우징이 밀착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심온냉동칸 도어와 하우징의 맞닿는 면에 열선을 적용하여 상기 맞닿는 면이 심온냉동칸 내부보다 높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전면이 개방된 저장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전면으로부터 후면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냉동실 및 상기 냉동실 내부에서 상기 저장공간과 구획되어 상기 저장공간보다 더 낮은 온도를 유지하는 심온공간을 형성하는 심온냉동칸을 포함하고, 상기 심온냉동칸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냉동실 내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심온냉동칸의 외면 중 일부에 형성되는 끼움홈 및 상기 가이드레일에서 상기 심온냉동칸의 이동경로 밖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심온냉동칸의 후면이 상기 냉동실의 후면과 접촉 시 상기 끼움홈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온냉동칸은, 전면이 개방되고, 상기 심온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끼움홈에 결합된 후,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개폐 시 상기 심온냉동칸의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가이드레일에서 탄성 지지되며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끼움홈에 결합 시 상기 고정부재의 위치는 탄성 변형되었다가 복원될 수 있고, 상기 고정부재는 곡률을 형성하는 반원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끼움홈은 상기 곡률에 대응되어 굴곡진 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심온냉동칸은, 전면이 개방되고, 상기 심온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또는 하우징의 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도어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어 자력을 제공하는 제1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는, 후크와 상기 후크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제2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후크는 중력방향에 대해 탄성 지지되어 상기 후크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 시, 상기 후크의 위치는 탄성 변형되었다가 복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심온냉동칸은, 상기 도어와 상기 하우징의 전면이 접촉하는 면에 구비되는 열선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열선은 상기 하우징의 전면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선은, 상기 열선과 연결되어 상기 심온냉동칸의 외부에서 상기 열선에 전력을 공급하는 도선을 포함하며, 상기 도선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될 수 있고, 상기 도선은 상기 가이드레일에서 상기 심온냉동칸의 이동경로 상에 인출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도선이 인출되는 홀 및 상기 홀의 상부에서 상기 홀의 적어도 일부분을 가리며 형성되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의 각각의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과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심온냉동칸을 냉장고에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심온냉동칸의 도어 개폐 시 심온냉동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심온냉동칸을 냉장고 내부에 설치 시, 심온냉동칸의 후방을 냉장고 내부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심온냉동칸의 고정이 이루어져, 열전소자모듈에서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심온냉동칸의 개폐 부위에 다중 체결구조가 형성되어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심온냉동칸의 도어와 하우징이 맞닿는 접촉면의 온도를 심온냉동칸 내부의 온도보다 높게 유지하여 성에, 빙결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도면.
도2는 도1의 심온냉동칸을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적용된 냉동사이클을 나타낸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온냉동칸이 냉동실에서 분리된 도면.
도6a는 냉동실 내벽의 가이드레일 확대도, 도6b는 도5의 심온냉동칸 후면도.
도7은 심온냉동칸이 냉동실에 고정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8 및 도9는 도5의 심온냉동칸 사시도.
도10 및 도11은 심온냉동칸 도어와 바스켓을 나타낸 도면.
도12는 심온냉동칸의 후면사시도.
도13는 도12의 단면도.
도14은 심온냉동칸 도어의 인입 상태도.
도15은 심온냉동칸 도어의 인출거리를 제한하는 구조 및 탈거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16은 심온냉동칸 내부의 냉기 흐름을 나타낸 단면도.
도17a는 심온냉동칸의 측단면도, 도17b는 심온냉동칸의 내부 상면도.
도18a는 냉동실의 측단면도, 도18b는 그릴팬 어셈블리의 측단면도.
도19는 심온냉동칸 내부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a),(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도면이고, 도2는 도1의 심온냉동칸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적용된 냉동사이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 내지 도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직육면제 형태의 냉장고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전방에서 냉장고(1)의 각 공간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냉장고(1)는 냉장실(20)이 상부에 구비되고 냉동실(10)이 하부에 구비되는 바텀프리저(Bottom Freezer) 구조로써, 냉장실(20)과 냉동실(10)은 각각 양단부의 힌지(8)를 기준으로 회전하며 개방되는 양문형 도어를 구비한다.
다만, 본 발명은 바텀프리저 구조의 냉장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냉동실에 심온냉동칸을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의 냉장고라면, 냉장실과 냉동실이 좌우로 각각 배치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구조의 냉장고, 냉동실이 냉장실의 위쪽에 배치되는 탑 마운트(Top Mount) 구조의 냉장고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냉장고 본체(2)는 외장을 구성하는 아웃케이스(3)와 상기 아웃케이스(3)와 소정의 공간을 두고 설치되며 냉장실(20)과 냉동실(10)의 내장을 구성하는 이너케이스(4)를 포함한다. 상기 아웃케이스(3)와 이너케이스(4) 사이의 공간에는 단열재가 발포되어 채워짐으로써 실내공간으로부터 냉장실(20)과 냉동실(10)의 단열이 이루어지게 된다.
냉장실(20)과 냉동실(10)의 저장 공간에는 공간 활용 효율을 높여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도록 선반(7)과 서랍(11)이 설치되어 있으며, 선반(7)과 서랍(11)은 그 좌우에 배치된 레일(14)을 따라 가이드 되어 저장 공간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냉장실 도어(5)와 냉동실 도어(6)의 내측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바스켓(9)이 설치되어 있어 음료수 등의 용기를 저장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온냉동칸(100)은 냉동실(10) 내에 구비된다. 냉동실(10)의 공간은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좌우로 분할되어 있으며, 이는 냉동실의 중앙에서 상하로 연장된 형태의 분할벽(12)에 의해 구획된다. 도2를 참조하면, 이러한 분할벽(12)은 캐비닛의 전방으로부터 안쪽으로 끼워져 설치되며, 냉장고 바닥에 마련된 설치 가이드(13)를 통해 냉동실(10) 내에서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심온냉동칸(100)이 냉동실(10)의 우측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예시된다. 다만, 본 발명의 심온냉동칸(100)이 반드시 냉동실 내에 구비되어야 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온냉동칸(100)은 냉장실(20)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냉동실(10)에 심온냉동칸(100)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심온냉동칸(100)의 내부와 외부(냉동실 분위기)의 온도 차이가 더 작으므로, 냉기의 누설 방지나 단열의 관점에서는 냉동실(100)에 설치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 할 것이다.
한편, 열전소자모듈(200)은 콜드싱크(210), 열전소자(230), 단열재(220), 및 히트싱크(240)가 적층되어 모듈하우징(250)에 설치됨으로써 모듈 형태를 이루게 되는 조립체이다.
열전소자(230)는 펠티어 효과를 이용한 소자이다. 펠티어 효과란 서로 다른 두 개의 소자 양단에 직류 전압을 가했을 때 전류의 방향에 따라 한쪽 면에서는 흡열을 하고 반대 면에서는 발열을 일으키는 현상을 말한다.
열전소자는 전자가 주 캐리어인 n형 반도체 물질과, 정공이 캐리어인 p형 반도채 물질을 교호적으로 직렬로 연결한 구조로써, 전류가 흐르는 어느 일 방향을 기준으로 제1면에는 p형 반도체 물질로부터 n형 반도체 물질로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전극 부위를 배치하고, 제2면에는 n형 반도체 물질로부터 p형 반도체 물질로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전극 부위를 배치함으로써, 제1방향으로 전류를 공급하면 제1면이 흡열면이 되고 제2면이 발열면이 되며,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전류를 공급하면 제1면이 발열면이 되고 제2면이 흡열면이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전소자모듈(200)은 그릴팬 어셈블리(15)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삽입 고정되며, 열전소자모듈(200)의 전방에 심온냉동칸(100)이 구비되므로, 열전소자(230)의 전방을 이루는 면, 즉 심온냉동칸(100)과 마주하는 면에서 흡열이 일어나고, 열전소자의 후방을 이루는 면, 즉 심온냉동칸(100)을 등지고 있는 면 내지 심온냉동칸(100)을 바라보는 방향의 대향면에서 발열이 일어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열전소자(230)에서 심온냉동칸(100)과 마주하는 면에서 흡열이 일어나고 그 대향면에서 발열이 일어나도록 하는 제1방향으로 전류를 공급하면, 심온냉동칸(100)의 냉동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열전소자(230)는 전면과 후면을 구비하는 평평한 플레이트와 같은 형태를 가지고, 전면은 흡열면(230a)이 되고 후면은 발열면(230b)이 되는 것이 예시된다. 열전소자(230)에 공급되는 직류 전원은 펠티어 효과를 일으키게 되고, 이에 따라 열전소자(230)의 흡열면(230a)의 열을 발열면(230b) 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열전소자(230)의 전면은 차가운 면이 되고, 뒷면은 열이 나는 부분이 된다. 즉 이는 심온냉동칸(100)의 내부의 열을 심온냉동칸(100) 외부로 방출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열전소자(230)에 공급되는 전원은 열전소자(230)에 마련된 도선을 통해 열전소자(230)에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열전소자(230)의 전면, 즉 심온냉동칸(230)을 바라보는 흡열면(230a)에는 콜드싱크(210)가 접하며 적층된다. 콜드싱크(210)는 열전도도가 높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 또는 합금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전방 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열교환핀(211)이 복수 개 좌우로 이격 형성된다. 상기 열교환핀(211)은 상하로 길게 연장된 형태이면서, 끊김 없이 연속적으로 연장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콜드싱크(210) 제상 시 콜드싱크에서 녹아 내리는 물이 중력 방향으로 상하로 연장된 열교환핀(211)의 연속적인 형태를 타고 원활하게 흘러내리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열교환핀(211) 사이의 간격은 최소환 이웃하는 두 열교환핀(211) 사이에 맺힌 물이 표면장력에 의해 흘러내리지 않는 것이 방지될 정도의 간격을 가지는 것이 좋다.
열전소자의 흡열면에 부착되어 있는 콜드싱크(210)에는 심온냉동칸(100) 내부의 공기가 유동하며 열교환을 하게 되는데, 심온냉동칸(100) 내부의 음식을 냉각하며 공기가 함유된 수분은 더 차가운 콜드싱크(210)의 표면에 결빙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결빙수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앞서 설명한 전류의 공급방향, 즉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전원을 인가한다. 그러면 제1방향으로 전원을 인가하였을 때와 대비하여 열전소자(200)의 흡열면과 발열면이 서로 바뀌게 된다. 이에 따라 히트싱크가 접하는 열전소자의 면이 흡열면으로서 작용하고 콜드싱크(210)가 접하는 면이 발열면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콜드싱크(210)에 결빙되어 있던 결빙수는 용융되어 중력 방향으로 흘러 내림으로써 제상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콜드싱크(210)에 결로가 발생하여 제상이 필요한 경우, 심온 냉각 작용을 일으키기 위해 가하던 전류의 방향인 제1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전류를 가함으로써 제상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열전소자(230)의 후면, 즉 심온냉동칸(100)이 배치된 방향과 대향되는 발열면(230b)에는 히트싱크(240)가 접하며 적층된다. 히트싱크(240)는 펠티어 효과에 의해 발열면(230b)에 발생한 열을 빠르게 소산 내지 방출시켜 주기 위한 구성으로써, 냉장고의 냉각을 위해 사용되는 냉동사이클 냉각장치(30)의 증발기(37)에 해당하는 부분을 히트싱크(240)로 구성할 수 있다. 즉 히트싱크(240)에서 냉동사이클 상 팽창장치(35)를 거친 저온 저압의 액상의 냉매가 흡열을 하는 과정 또는 흡열을 하며 증발하는 과정이 일어나도록 하면, 열전소자(230)의 발열면(230b)에서 발생한 열을 냉동사이클의 냉매가 흡수하거나 흡수하면서 증발하게 되어, 발열면(230b)의 열을 매우 즉각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상술한 콜드싱크(210)와 히트싱크(240)는 납작한 형상의 열전소자(230)를 사이에 두고 서로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사이의 열을 격리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열전소자모듈(200)은 열전소자(230)의 둘레를 에워싸며 콜드싱크(210)와 히트싱크(240) 사이의 간극을 채워주는 형태의 단열재(220)가 적층된다. 즉 콜드싱크(210)의 면적은 열전소자(230)보다는 크고, 열전소자(230)와 단열재(220)의 면적과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히트싱크(240)의 면적도 열전소자(230)와 단열재(220)의 면적과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한편 콜드싱크(210)와 히트싱크(240)의 크기는 서로 동일한 정도의 크기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열 배출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히트싱크(240)를 더 크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히트싱크(240)의 열 배출 효율이 즉각적이고 확실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유입관(241)과 유출관(243)이 히트싱크(240)를 관통하여 냉동사이클 냉각장치(30)의 냉매가 흐르도록 하되, 냉매의 유동로가 히트싱크(240)의 면적 전체에 결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히트싱크(240) 내에서 냉매가 증발하며 기화열로서 열전소자(230)의 발열면으로부터 열을 빠르게 흡수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모듈하우징(250)에는 배관관통홀(255)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관(241)과 유출관(243)이 상기 배관관통홀(255)을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본 실시예에 도시된 히트싱크(240)의 크기는 열전소자(230)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즉각적으로 흡수하여 배출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도록 설계되었으며, 콜드싱크(210)는 이보다는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콜드싱크(210)쪽이 기체 대 고체 간의 열교환인 반면, 히트싱크(240) 쪽은 액체 대 고체간의 열교환인 점을 감안하여, 콜드싱크(210)의 크기를 더 키움으로써 콜드싱크(210) 쪽의 열교환 효율도 더욱 높게 한 것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콜드싱크의 크기를 확대하는 정도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는 열전소자모듈의 컴팩트함을 고려하여 콜드싱크가 히트싱크와 대응하는 크기로 설계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콜드싱크 부분의 열교환 효율을 더욱 높이기 위해 히트싱크보다 콜드싱크가 더 크게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모듈하우징(250)은 콜드싱크(210), 열전소자(230), 단열재(220), 및 히트싱크(240)가 적층되어 수용되는 수용부(251)가 상기 수용부(251)가 형성된 상기 모듈하우징(250)의 반대 면에는 고정부(257)가 구비되어 상기 모듈하우징(250)을 이너케이스(4)에 고정시킬 수 있다. 덧붙여 수용부(251)에는 체결보스(253)가 형성되며, 상기 콜드싱크(210), 단열재(220), 히트싱크(240)는 상기 체결보스(253)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체결부재(213)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보스(253)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적층된 콜드싱크(210), 열전소자(230), 단열재(220), 및 히트싱크(240)가 수용부(251)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사이클 냉각장치(30)는 증발, 압축, 응축, 팽창의 열역학적 사이클을 거치는 냉매를 통해 냉동실 내부의 열을 냉장고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이다. 상기 냉각장치(30)의 압축기(31)와 응축기(33)는 냉동실(100)의 후방 하부에는 냉동실(100)과 격리되어 있는 기계실에 위치하며, 냉동실을 이루는 공간과 이너케이스(4)의 후방 벽 사이에는 냉동실의 후 벽면을 규정하는 그릴팬과 상기 그릴팬의 후방에 결합되어 냉각실 내의 냉기를 분배하는 쉬라우드를 포함하는 그릴팬 어셈블리(1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릴팬어셈블리(15)와 이너케이스(4)의 후방 벽 사이의 소정 공간에는 냉동사이클 냉각장치(30)의 증발기(37)가 설치되어 있다. 증발기(37) 내부의 냉매가 증발될 때 증발하는 냉매는 냉동실(10) 내부 공간을 유동하게 되는 공기와 열 교환을 하고, 이러한 열 교환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상기 그릴팬과 쉬라우드에 의해 규정되는 냉기 분배 공간 내에서 분배되어 냉동실(10)을 유동함으로써, 냉동실(10)의 냉각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냉동사이클 냉각장치는 저압 분위기의 액체 상의 냉매가 냉각실(그릴팬어셈블리와 이너하우징 사이의 공간) 공기와 열 교환하며 증발하는 증발기(37), 증발기에서 기화된 기체 상의 냉매를 가압하여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로 토출하는 압축기(31), 압축기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가 냉장고 외부(기계실)의 공기와 열교환하며 응축함으로써 열을 배출하는 응축기(33), 응축기(33)에서 응축된 냉매를 저온의 분위기로 압력 강하시키는 모세관 등의 팽창장치(35)를 포함한다. 팽창장치(35)에서 압력이 낮아진 액체 상의 저온 저압의 냉매는 다시 증발기로 유입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전소자모듈(200)의 히트싱크(240)의 열을 빠르게 냉각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팽창장치(35)를 거친 후 압력과 온도가 낮아진 저온 저압의 액체 상의 냉매가 증발기(37)로 유입되기 전에 먼저 열전소자모듈(200)의 히트싱크(240)를 지나도록 구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압축기(31)는 저온 저압의 기체 상의 냉매를 가압하여 고온 고압의 기체 상의 냉매를 토출한다. 그리고 이러한 냉매는 응축기(33)에서 발열하며 응축 즉 액화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들 압축기(31)와 응축기(33)는 냉장고의 기계실에 배치된다.
응축기(33)를 거치며 액화된 고온 고압의 액 냉매는 모세관과 같은 팽창밸브 등의 장치를 거치며 압력이 떨어진 채로 증발기(37)에 유입된다. 증발기(37)에서 냉매는 주변의 열을 흡수하며 증발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응축기(33)를 거친 냉매가 냉장실측 증발기(37b) 또는 냉동실측 증발기(37a)로 분기되는데, 이때 열전소자모듈(200)의 히트싱크(240)가 냉매의 유동 경로 상 상기 냉동실측 증발기(37a)보다 전방에 구비되고, 팽창장치(35)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심온냉동칸(100)은 최대 섭씨 영하 50도를 유지해야 하는 공간으로서, 열전소자(230)의 발열면(230b)을 매우 차갑게 유지해주어야, 흡열면(230a)이 그보다 더 차가운 상태를 유지하기가 원활하다. 따라서 냉매가 경유하며 지나가는 히트싱크(240) 부분을 냉동실측 증발기(37a)보다 냉매의 유동 상 전방에 둠으로써 가장 차가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히트싱크(240)는 열전소자(230)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금속과 같은 열전도체를 통한 전도 방식으로 열전소자(230)로부터 열을 흡수하기 때문에, 열전소자(230)의 발열면(230b)을 확실히 냉각할 수 있다.
한편 심온냉동칸(100)을 섭씨 영하 50도의 심온으로 냉각하지 않고, 통상적인 냉동실처럼 섭씨 영하 20도 정도로 사용하고 싶을 때에는, 단지 열전소자(230)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것만으로 일반 냉동칸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열전소자(230)에 전원을 가하지 않으면, 열전소자(230)의 히트싱크(240)에서는 흡열과 발열이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히트싱크(240)를 거치게 되는 냉매는 흡열을 하지 않아 증발하지 않은 액 냉매 상태로 냉동실측 증발기(37a)로 유입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냉동실 도어(6)가 완전히 개방되었음은 도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실 도어(6)의 도어 바스켓(9)이 냉동실(10)의 전방을 벗어나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며, 불완전 개방되었음은, 상기 도어 바스켓(9)의 일부분이 상기 냉동실(10)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하 본 문서에 의해 설명되는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심온냉동칸의 전면, 하우징의 전면, 냉동실의 전면, 또는 같은 맥락에서 전방은 냉장고의 도어측을 의미하고, 심온냉동칸의 후면, 하우징의 후면, 냉동실의 후면 또는 같은 맥락에서 후방은 상기 전면과 대향되는 측, 즉 냉장고 도어와 마주보는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일부 명칭이 동일한 구성이 개시되나, 상기 구성은 서로 다른 구성으로써 도면의 부호를 달리하며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다르게 구별되어 설명된다. 예를 들어 도5, 도6 및 도12에서 설명되는 가이드레일(16)과 도15 및 도16에서 설명되는 가이드레일(173)은 서로 다른 구성으로써, 도면 부호를 달리하여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다른 구성으로 명확하게 구분되어 설명되고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온냉동칸이 냉동실에서 분리된 도면이고, 도6a는 냉동실 내벽의 가이드레일 확대도, 도6b는 도5의 심온냉동칸 후면도이며, 도7은 심온냉동칸이 냉동실에 고정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8 및 도9는 도5의 심온냉동칸 사시도이다.
도5 내지 도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냉장고는, 전면이 개방된 냉장실(20)과 상기 냉장실(20)과 구획되며 전면이 개방된 냉동실(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동실(10)의 내부에는 상기 냉동실(10)의 내부에서 분리된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는 심온냉동칸(1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심온 냉동칸(100)은 유지 보수를 위해 상기 냉동실(10)의 내부에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냉동실(10)의 내부는 설치 가이드(13)에 끼워 맞춰지는 구획벽을 통해 냉동실(10) 내부의 공간이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심온냉동칸(100)은 상기 구획된 공간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냉동실(10)의 내부 측벽에는 가이드레일(16)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 측멱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6)에 슬라이딩 가능한 가이드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재가 상기 가이드레일(16)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심온냉동칸(100)은 상기 냉동실(10)의 내부 구획된 공간 중 어느 하나로 인입 및 입출 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냉동실(10)의 후방에는 냉동 증발실이 위치하며 상기 냉동 증발실에는 냉동사이클 냉각장치(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냉동 증발실과 냉동실(10)은 그릴팬 어셈블리(15) 및 이너케이스(4)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15)는 냉동실 후방면을 형성하는 그릴팬과 냉동 증발실에서 발생한 냉기를 냉동실(10)로 공급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쉬라우드 및 팬(17)을 포함하여 냉동실(1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그릴팬은 팬(17)의 상부와 하부에 상부로(18a), 하부로(18b)를 형성하여 상기 팬(17)에서 토출되어 상기 심온냉동칸(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심온냉동칸(100) 내부에서 순환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심온냉동칸(100) 내부에서 형성되는 유로는 후술한다.
한편, 상기 쉬라우드와 상기 이너케이스(4)의 사이에는 열전소자모듈(200)이 위치하며 상기 열전소자모듈(200)의 전면에는 상기 팬(17)이 위치하고, 상기 팬(17)의 전면에는 상기 심온냉동칸(100)이 위치한다. 여기서 전면은 상기 냉동실(10)의 이너케이스(4)에서 상기 냉동실(10)의 내부 방향으로 향하는 면을 의미하며, 후면은 상기 냉동실(10)의 내부에서 상기 냉동실(10)의 이너케이스(4) 방향으로 향하는 면을 의미한다.
즉, 상기 팬(17)은 상기 심온냉동칸(100)에 열전소자모듈(200)에 의해 '심온'의 냉기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써, 상기 냉동실(10)에 냉기를 공급하는 팬과는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하우징(110)은 도어(130)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111F)와 상기 열전소자모듈(200), 팬(17) 등이 위치할 수 있는 개구부(111R)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개구부(111F)는 하우징(110)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써, 이하 하우징의 전면에 개방된 부분으로 설명될 것이며, 상기 개구부(111R)는 하우징의 후면에 개방된 부분으로 설명될 것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는 도선(L)이 관통되어 인출되어 하우징(110)의 전면에 개방된 개구부(111F)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열선(1117) 등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이가 심해 상기 개구부(111F)와 심온냉동칸 도어(130)의 주위에 액체가 얼어붙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상기 열선이 구비되어 상기 빙결된 액체를 녹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선(L)을 통해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의 일부분에 유도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심온냉동칸(100)을 보다 견고히 밀폐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도선(L)은 상기 심온냉동칸(1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 부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도선(L)은 가이드레일(16)을 따라 위치하여 상기 심온냉동칸(100)이 상기 가이드레일(16)을 따라 인입 및 인출될 시 함께 가이드 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도선(L)이 상기 하우징(110)과 상기 냉동실(10) 측면의 틈에 끼일 경우 상기 심온냉동칸(100)의 인입 및 인출이 원활하지 않으며, 나아가 도선(L)의 피복이 벗겨져 고장, 사고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도선(L)은 상기 가이드레일(16)의 홈에서 가이드 될 수 있다.
도8의 하우징(110) 하부 측면 확대도면을 참고하면,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부재의 일측에 홀(1101)이 형성되고 상기 홀(1101)을 통해 상기 도선(L)이 하우징(11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도선(L)이 상기 하우징(110)과 상기 냉동실(10)의 측면 틈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홀(1101)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홀(1101)의 상부에서 상기 홀(1101)의 적어도 일부분을 가리는 커버부(1102)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심온냉동칸(100)이 상기 냉동실(10)의 내부에서 분리되는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냉동실(10)은 전면이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전면으로부터 후면을 향해 가이드레일(16)이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레일(16)은 상기 냉동실(10)의 후면 측에 상기 하우징(110)에 형성된 끼움홈(115)에 결합되는 고정부재(16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16)을 따라 상기 심온냉동칸(100)이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냉동실(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심온냉동칸(100)이 상기 냉동실(10)의 내부에 구비될 경우 상기 심온냉동칸(100)의 후방에는 팬(17), 열전소자모듈(200)이 위치한다.
이 때 상기 심온냉동칸(100)이 상기 냉동실(10)의 내부에서 상기 팬(17), 열전소자모듈(200)이 개구부(111R)에 어긋나거나, 틈이 형성될 경우 심온냉동칸(100) 내부로 유입되는 냉기가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끼움홈(115)과 고정부재(161)에 의한 물리적 결합에 의해 상기 심온냉동칸(100)이 냉동실(10) 내부에서 정위치에 구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끼움홈(115)과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심온냉동칸(100)의 후면이 상기 열전소자모듈(200)과 틈이 없게 위치한 것을 직관적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각각 끼움홈(115)은 하우징(110)의 후면 측에, 고정부재(161)는 가이드레일(16)에서 냉동실(10)의 후면 측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끼움홈(115)과 고정부재(161)는 상기 위치적 제한에 구애받지 않고, 상기 끼움홈(115)은 하우징(110)의 외면 중 일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161)는 상기 가이드레일(16)에서 상기 심온냉동칸(100)의 이동경로 밖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161)는 상기 심온냉동칸(100)의 후면이 상기 냉동실(10)의 후면과 접촉 시, 상기 끼움홈(11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심온냉동칸(100)의 후면은 상기 하우징(110)의 개구부(111R)가 형성된 면을 지칭할 수 있으며, 상기 심온냉동칸(100)의 후면은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15)가 구비되는 면을 지칭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면과 후면은 냉동실의 저장공간을 기준으로 냉동실 전방의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전면과, 상기 전방과 마주보는 후면을 의미하며, 각각의 구성요소에 따라 그 기준을 달리 해석할 것은 아니다.
상기 고정부재(161)는 상기 가이드레일(16)의 상부에서 탄성 지지되며 상기 끼움홈(115)에 결합 시 상기 고정부재(161)의 위치는 탄성 변형되었다가 복원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변형 및 복원이란, 상기 고정부재(161)가 상기 가이드레일(16)의 상부에서 돌출된 정도가 탄성적으로 변형됨을 의미하며 상기 끼움홈(115)에 결합 시 상기 돌출된 정도가 탄성력에 의해 복원될 수 있다.
자세히, 상기 고정부재(161)는 곡률을 가진 반원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16)의 상부에서 상기 냉동실(10)의 후면 측에 근접한 위치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16)의 일측은 상기 냉동실(10)의 전면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레일(16)의 타측은 상기 냉동실(10)의 후면에 위치하여 상기 가이드레일(16)은 상기 냉동실(10)의 전면에서부터 상기 냉동실(10)의 후면까지 연장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161)는 상기 가이드레일(16)의 타측 상부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상기 고정부재(161)가 가이드레일(161)의 일측(냉동실의 전면을 향하는 부분)에 형성될 경우 상기 심온냉동칸(100)이 상기 냉동실(10)에 인입 및 인출 시 마찰에 의한 간섭이 일어날 수 있으며, 상기 심온냉동칸(100)의 후면은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15)와 접촉하여 상기 열전소자모듈(200)에서 발생하는 냉기가 상기 냉동실(10)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해야 하므로, 상기 고정부재(161)는 상기 냉동실(10)의 후면측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고정부재(161)는 상기 끼움홈(115)에 면 접촉하도록 상기 끼움홈(1115)은 상기 고정부재(161)의 외형과 대응되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고정부재(161)가 곡률을 가진 반원형으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끼움홈(115)은 상기 곡률에 대응하는 반원형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161)와 상기 끼움홈(115)의 결합을 통해, 사용자가 심온냉동칸 도어(130)를 인출할 시 상기 하우징(110)이 상기 냉동실(10)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10)을 인출할 시 사용자는 상기 고정부재(161)의 돌출된 정도가 탄성 변형될 정도로 상기 하우징(110)을 잡아당겨야만 될 것이다.
즉,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심온냉동칸(100)의 내부에서 저장물을 꺼내거나, 집어넣을 시 심온냉동칸 ㄴ도어(130)를 당겨서 하우징(110)으로부터 인출할 시, 상기 심온냉동칸(100)은 상기 냉동실(10)의 내부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도8을 참고하여, 심온냉동칸(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심온냉동칸(100)은 전면이 개방(111F)되고, 심온공간(100S)이 형성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심온냉동칸 전면의 개방된 개구부(111F)를 개폐하는 심온냉동칸 도어(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의 하부에는 가이드부(170)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재(170)는 하우징(110)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173)을 따라 이동 가능하여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가 하우징(110)의 상기 내부 공간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173) 및 가이드부재(170)에 대한 구성은 도14 내지 도17을 참고하여 후술한다.
한편, 상기 냉동실은 도어(6)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냉동실(6)의 개방된 전면이 개폐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6)가 회전하여 상기 냉동실의 전면이 개방되어 심온냉동칸(100)이 개방되고, 도어(130)가 하우징(110)에 슬라이딩 하여 하우징의 개구부(111F)를 개폐함에 따라 바스켓(150)이 상기 하우징(110)에서 인입 및 인출하여 상기 심온냉동칸(100) 내부에 저장된 음식물을 저장하거나 꺼낼 수 있다.
한편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의 양측에는 상기 개구부(111F)의 전방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재(113)가 구비되어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가 개구부(111F)에 접하여 개구부를 밀폐할 시,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심온냉동칸 도어(130)의 폭은 하우징(110)의 폭보다 더 작게 구비되어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의 폭과 하우징(110)의 폭의 차이만큼,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의 인출 시 냉동실 도어(6)의 도어 바스켓(9)에 간섭을 덜 받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심온냉동칸 도어(130) 또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체결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도어(130)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어 자력을 제공하는 제1체결부(1115)와 후크(1313)와 상기 후크(1313)가 삽입되는 결합홈(1113)을 포함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1115)는 자성을 지닌 자석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는 자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전면 개구된 공간(111F)을 개폐할 수 있다. 나아가 심온냉동칸 도어(130)는 상기 전면의 개구부(111F)를 향해 돌출 형성된 후크(13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후크(1313)는 상기 전면 개구부(111F)의 일부분에 형성된 결합홈(1113)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심온냉동칸(100)은 내부가 냉동실의 내부보다 더 낮은 온도인 '심온' 으로 유지되고 있으므로, 상기 심온냉동칸(100) 내부에서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해야 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심온냉동칸 도어(130)는 상기 개구부(111F)에 밀착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즉,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에 의해 상기 도어(130)를 하우징(110)에 고정시킴으로써, 다중 체결구조가 적용되어 심온냉동칸 내부에서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체결부(1115)는 그 자체로도 자성을 갖는 물질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전류가 흐를 경우 자성을 갖는 물질로도 구비될 수 있으며, 심온냉동칸(100) 외부로 인출되는 도선(L)에 의해 전류를 공급받을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류의 공급 정도에 따라 자성을 조절하여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가 상기 개구부(111F)에 접촉하여 밀폐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체결부(1115)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심온냉동칸 도어(130) 또는 개구부(111F) 하나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각각 심온냉동칸 도어(130)와 개구부(111F)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서로 인력에 의한 결합을 수행할 수도 있다. 만약 제1체결부(1115)가 심온냉동칸 도어(130) 또는 개구부(111F) 중 어느 하나에만 구비된다면 제1체결부(1115)가 구비되지 않는 부분은 자석이 부착되어야 하는 철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야 하는바 상기 심온냉동칸(100) 전체의 무게, 원가, 등이 상승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예와 같이 심온냉동칸 도어(130)와 개구부(111F) 각각에 자석이 구비되어 서로 인력에 의한 결합을 수행할 경우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 또는 개구부(111F)의 재질을 단열을 위한 최적의 재료로 채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후크(1313)는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에서 개구부(111F)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에 중력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상기 후크(1313)가 상기 결합홈(1113)에 삽입 시 상기 후크(1313)의 위치는 탄성 변형되었다가 복원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변형 및 복원이란, 상기 후크(1313)가 상기 결합홈(1113)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후크(1313)는 상부로 탄성력을 받으며 이동하였다가,상기 후크(1313)가 상기 결합홈(1113)에 결합될 시 상기 후크(1313)의 위치가 복원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후크(1313)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 변형되었다가 복원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후크(1313)는 심온냉동칸 도어(130)의 일측에 형성된 스위치, 버튼 등에 의해 상기 결합홈(1313)에 결합되거나 결합이 해제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후크(1313), 결합홈(1113), 자석(1115)에 의한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가 개구부(111F)를 개폐하는 것 외에 상기 심온냉동칸(100)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의 내부면의 둘레를 따라 가스켓(13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스켓(1311)이 형성하는 둘레를 벗어난 범위에서 상기 후크(1313), 결합홈(1113), 자석(111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기 후크(1313), 결합홈(1113), 자석(1115)이 상기 가스켓(1311)과 중복되는 영역에서 구비될 경우 상기 가스켓(1311)에 의한 냉기의 유출 방지효과가 현저하게 떨어질 수 있는 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후크(1313), 결합홈(1113), 자석(1115)은 상기 가스켓(1311)의 둘레를 벗어난 범위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개구부(111F)의 둘레를 따라 열선(1117)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열선(1117)은 상기 심온냉동칸(100)의 외부로 인출되는 도선(L)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고,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는 홀(1101)이 형성되어 상기 도선(L)은 상기 홀(1101)을 통해 심온냉동칸(100)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홀(110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심온냉동칸(1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심온냉동칸(10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돌출부재가 상기 냉동실의 가이드레일(16)에 의해 가이드 되는 경로상에 위치하여 상기 심온냉동칸(100)이 상기 냉동실에 인입 및 인출 시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덧붙여 상기 홀(110h)의 일측에는 상기 도선(L)이 상기 심온냉동칸(100)과 냉동실(10)의 내벽에 끼여 피복이 벗겨지는 등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홀(1101)의 상부를 감싸는 형상의 커버부재(1102)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10 및 도11는 심온냉동칸 도어와 바스켓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0 및 도11을 참고하면, 상기 심온냉동칸(100)의 내부에는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가 개폐됨에 따라 상기 심온냉동칸(100)에서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심온냉동칸 바스켓(15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심온냉동칸 바스켓(150)은 상기 심온냉동칸 바스켓(15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재(153)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153)는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1315)에 삽입되어 상기 심온냉동칸 바스켓(150)이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53)는 상기 홈(1315)에 삽입되는 다양한 형상을 포함하며,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고정부재(153)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심온냉동칸 바스켓(150)은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와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심온냉동칸 바스켓(150)은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의 내면과 마주하는 제1면(152)과 상기 제1면(152)과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그릴이 형성되는 제2면(151)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후크(153)는 상기 제1면(152)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면(152)의 하부에는 제1지지부재(1521)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의 내면과 접촉할 수 있으며, 상기 제2면(151)의 하부에는 제2지지부재(1511)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바닥면(112)과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153)와 상기 제1지지부재(1521)는 상기 바스켓(150)의 제1면(152)에서 돌출 형성되되, 상기 고정부재(153)는 상기 제1면(152)의 상부, 상기 제1지지부재(1521)는 상기 제1면(152)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53)와 상기 제1지지부재(1521)는 상기 제1면(152)에서 상대적인 높이차이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1지지부재(1521)는 상기 도어(130)의 내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바스켓(150)에서 상기 고정부재(153)를 기준으로 발생하는 회전모멘트를 지지하여 상기 바스켓(150)이 상기 도어(130)의 내면에 안정적으로 파지된다.
덧붙여 상기 바스켓(150)은 도어(13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재(170)와 소정간격 이격된 높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바스켓(150)이 상기 도어(130)의 내면에 직접 고정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가이드부재(170)는 상기 도어(130)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이 넓게 활용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바스켓(150)이 상기 도어(130)에 파지되는 구조가 아니라면, 상기 바스켓(150)은 도어(130)의 개폐에 따라 인출되어야 하므로 상기 가이드부재(170)에 거치되어야 하고, 이 경우에 상기 가이드부재(170)는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될 수 밖에 없으므로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을 좁히는 일 요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가이드부재(170)는 상기 도어(130)의 하단측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공간 바깥에서 상기 하우징(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야 하고, 상기 바스켓(150)은 상기 가이드부재(170)가 아닌 다른 구성에 파지되어 도어(130)의 개폐에 의해 인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야 하므로, 본 실시예에서 게시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바스켓(150)은 상기 가이드부재(170)와 소정간격 이격된 높이에서 상기 도어(130)의 내면에 안정적으로 파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면(151)은 그릴이 형성된 면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릴(151)은 상기 심온냉동칸(100)의 후방에 위치한 열전소자모듈(200)에서 발생한 냉기가 유입되는 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릴(151)의 하부에는 상기 제2지지부재(1511)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바닥면(112)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어 각각 개구부(111F, 111R)가 형성되고, 바닥면(112), 상면(114), 측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바닥면(112)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하면을 형성하고, 상기 상면(114)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상면을 형성하고, 상기 후면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후면을 형성하며, 상기 후면은 팬(17)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뚫려 있어 열전소자모듈(200)의 냉기가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상기 측면은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에서 후면을 향해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의 심온냉동칸 바스켓(150)은 제1면(152) 상부에 후크(153)가 형성되어 심온냉동칸 도어의 홈(1315)에 끼워지는 구조로써, 상기 홈(1315)과 상기 후크(153)가 접촉하는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심온냉동칸 바스켓(15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심온냉동칸 바스켓(150)의 수평 위치를 고정하며,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에 보다 견고히 결합되도록 상기 제1면(152)의 하부 즉, 제1면(152)에서 상기 후크(153)가 형성된 상부의 반대측에서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의 내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의 내면과 접촉하는 제1지지부재(152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심온냉동칸 바스켓(150)이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하우징(110)의 바닥면(112)에 상기 심온냉동칸 바스켓(150)이 끌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그릴(151)의 하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112)과 접촉하는 제2지지부재(1511)가 형성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제2지지부재(1511)에는 접촉부재(1513)가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재(1513)가 상기 지지부재(1511)에서 중력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112)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지지부재(1521)와 상기 제2지지부재(1511)는 바스켓(150)에서 동일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자세히, 제1지지부재(1521)는 상기 고정부재(153)가 상기 바스켓(150)의 상부에 형성됨에 따라, 발생하는 회전모멘트를 지지하기 위해 바스켓(150)의 하부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지지부재(1511)는 상기 바스켓(150)이 상기 하우징(110)의 바닥면(112)에 끌려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바스켓(150)의 하부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면(151)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지지부재(1511)에 상기 접촉부재(1513)가 별도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제2지지부재(1511)는 상기 접촉부재(1513)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부재(1513)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112)에 직접 접촉함으로, 상기 제2지지부재(1511)는 상기 심온냉동칸 바스켓(150)과 동일한 재질로 일련의 공정을 통해 사출될 수 있어 공정이 간소화되고, 상기 접촉부재(1513)는 POM 재질을 포함하는 높은 강도, 경도 및 강성을 가지는 별도의 재질로 만들어져 상기 제2지지부재(1511)에 끼워 맞춰질 수 있다.
도12는 심온냉동칸의 후면사시도이고, 도13는 도12의 단면도이고, 도14은 심온냉동칸 도어의 인입 상태도이며, 도15은 심온냉동칸 도어의 인출거리를 제한하는 구조 및 탈거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2 내지 도1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심온냉동칸(100)은 전면이 개방되고, 상기 전면으로부터 후면까지 소정 길이를 갖는 심온공간(100S)이 형성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서 상기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레일(173), 상기 가이드레일(17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이드부재(170) 및 상기 가이드부재(170)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130)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레일(173)은 상기 심온공간(100S)의 길이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심온공간(100S)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형성되어 상기 냉동실의 내부 저장공간과 구획되며, 상기 저장공간보다 더 낮은 온도를 유지하는 공간으로써,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전면, 후면, 측면 및 후면으로 경계가 정의되고, 상기 심온공간(100S)의 길이란,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에서부터 후면까지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심온공간(100S)의 내부가 극저온으로 유지되는 특성상, 상기 하우징(110)은 단열을 위한 소정의 두께를 형성해야 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173)은 상기 심온공간(100S)의 길이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173)이 연장되는 길이는 상기 하우징의 외각 전면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각 후면까지의 거리에 근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1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상기 가이드레일(173)은 하우징(110)의 외각 하부면에서 상기 하우징(110)의 길이방향(하우징의 외각 전면에서부터 하우징의 외각 후면까지의 거리)을 따라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외각 전면이란,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111F)가 형성된 외면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10)의 외각 후면이란, 상기 하우징(110)이 그릴팬 어셈블리(15)에 접하는 외면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는 하우징(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17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는 상기 가이드레일(173)에 삽입되는 가이드부재(170)에 의해 슬라이딩 방식에 의한 인입 및 인출이 구현된다. 본 실시예의 심온냉동칸(100)은 섭씨 40도 이하의 온도로 유지되므로 일반적인 냉동실이 섭씨 20도 정도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과 달리 '심온' 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레일(173)은 상기 섭씨 40도 이하의 온도로 유지되는 공간을 벗어난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의 슬라이딩을 구현한다.
만약, 가이드레일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될 경우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의 개폐 시 더 많은 냉기가 외부로 유출될 우려가 있으며, 더군다나 상기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부 사이에 빙결이 발생하여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의 슬라이딩 구현을 저해할 수 있고, 내구성이 약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가이드레일(173)의 하우징(110)의 외각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재(170)는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의 슬라이딩이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의 하단에 상기 가이드부재(170)가 연결될 경우 상기 심온냉동칸 바스켓(150)은 상기 가이드부재(170)에 의해 지탱될 수 없다. 즉 상기 심온냉동칸(100)은 내부가 '심온'으로 유지되므로 상기 심온냉동칸(100)의 내부 단열을 위한 두께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110)의 외각 하단면에 상기 가이드레일(173)이 형성되므로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바닥면(112)은 상기 가이드레일(173)과 상기 하우징(110)의 외각 두께만큼 이격되므로 상기 심온냉동칸 바스켓(150)은 상기 가이드부재(170)로부터 일정 높이 떨어진 위치에서 고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심온냉동칸 바스켓(150)은 상기 가이드부재(170)에 의해 지지되며 고정될 수 없고,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부재(170)와 일정한 간격 떨어진 높이에서 고정되어야 하므로 상기 심온냉동칸 바스켓(150)에 고정부재(153)가 형성되고,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의 내면에 홈(1315)이 형성되고, 상기 심온냉동칸 바스켓(15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상기 제1지지부재(1521)가 상기 심온냉동칸 바스켓의 제1면(152)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심온냉동칸 바스켓(150)이 상기 하우징(110)의 바닥면(112)에 끌려 마모되거나, 상기 심온냉동칸 바스켓(150)에 마찰이 가해져 심온냉동칸 바스켓(150)에 수용되는 음식물에 외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릴(151)의 하부에 제2지지부재(151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재(170)는 일측이 상기 도어(130)와 연결되고, 상기 도어(130)가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 개구부(111F)를 폐쇄 시, 상기 가이드부재(170)의 타단은 상기 심온공간(100S)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173)은 전후방이 연통되어 구비될 수 있어, 상기 도어(130)가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을 폐쇄 시, 상기 가이드부재(170)는 상기 가이드레일(173)의 후단에서 돌출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후면은 상기 냉동실의 내측에서 상기 냉동실의 저장공간의 후방면을 규정하는 그릴팬 어셈블리(15)와 맞닿으며 냉동실의 내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가이드부재(170)의 타단이 상기 가이드레일(173)의 후단에서 돌출되어 위치될 경우,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15)와 접촉하여 상기 도어(130)가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을 완전 밀폐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15)는 상기 가이드레일(173)을 수용하는 함몰부(15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함몰부(15a)의 함몰된 깊이와 상기 가이드레일(173)의 길이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재(170)의 슬라이딩 이동거리가 늘어나 도어(130)의 인출거리가 보다 길게 확보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레일(173)이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 외각 전면에서 후면까지 연장 형성됨에 따라 가이드부재(170)의 인출 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재(170)는 상기 심온냉동칸 바스켓(150)의 길이방향보다 더 길게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73)에 삽입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심온냉동칸 바스켓(150)의 인출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2단 또는 3단 등의 다수의 단을 형성하는 레일을 구비할 경우,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구성이 약해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심온냉동칸의 하부에 상기 다수의 단을 형성하는 레일을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본 실시예의 가이드부재(170)를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레일(173)보다 더 큰 부피를 차지하기 때문에 심온공간의 공간적 활용도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단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부재(170)의 인출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레일(173)은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하우징(110)의 외각 전면부터 상기 하우징(110)의 외각 후면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의 인출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가이드부재(170)의 일단에는 롤러(171)가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재(170)가 상기 가이드레일(173) 내부에서 마찰을 최소화 하며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재(170)는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의 슬라이딩 거리를 제한하는 걸림부재(172)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레일(173)은 상기 가이드레일(173)의 일측에 형성된 스타퍼(1731)를 포함하여, 상기 걸림부재(172)는 상기 스타퍼(1731)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의 슬라이딩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부재(172)는 상기 가이드부재(170)에서 상기 롤러(171)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전방이란,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을 기준으로 도어(130)가 구비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즉, 가이드부재(170)의 일단이 상기 도어(130)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부재(170)의 타단에 상기 롤러(171)가 형성되므로, 상기 가이드부재(170)에서 상기 걸림부재(172)는 상기 롤러(171)보다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타퍼(1731)는 상기 가이드레일(173) 중 하우징(110)의 개구부(111F)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재(172)는 가이드부재(170) 일단에 형성된 롤러(171)보다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타퍼(1731)는 하우징(110)의 외각 전면 하부에 위치하는 가이드레일(173)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부재(172)는 가이드부재(170)가 상기 심온냉동칸 바스켓(150)의 길이방향보다 더 연장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심온냉동칸 바스켓(150)을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에서 분리하여 외부로 꺼낼 시,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는 상기 하우징(110)에서 상기 심온냉동칸 바스켓(150)의 깊이 방향(심온냉동칸 도어에서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향하는 방향)에 해당하는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스타퍼(1731)에 상기 걸림부재(172)가 접촉함으로써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의 슬라이딩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의 슬라이딩 거리를 제한하지 않을 경우,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가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질 위험이 존재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재(172)와 상기 스타퍼(1731)가 접촉하여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가 최대로 인출될 시,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의 인출 거리에 따른 회전 모멘트가 발생하여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가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질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레일(173)은 상기 가이드레일(173)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리브(1733)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브(1733)는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20)가 중력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가이드부재(170)와 접촉하여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20)의 탈거를 방지할 수 있다.
자세히, 상기 리브(1733)는 상기 스타퍼(1731)보다 상기 가이드레일(173)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20)가 모멘트를 받아 회전 시 상기 가이드부재(170)의 상부에 접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이드부(170)의 하부에는 롤러(17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재(170)의 상부는 상기 가이드부(170)의 하부보다 더 짧게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부재(170)는 상, 하부가 일정거리 이격되어 연장되는 로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재(170)의 상부에는 걸림부재(172)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재(170)의 상, 하부 사이에 위치되는 스타퍼(1731)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의 인출거리를 제한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재(170)의 하부는 상기 가이드부재(170)의 상부보다 상기 심온냉동칸 도어(130)에서 상기 하우징(110)의 길이(깊이)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연장된 단에 롤러(17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173) 상기 하우징(110)에서 상기 가이드부재(170)의 슬라이딩 가능한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부재(170)를 지지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가이드레일(173)은 상기 하우징(110)의 외면에 함몰된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레일(173)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부재(170)를 지지하는 레일커버(174)가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재(170)의 이동과 지지를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레일커버(174)는 상기 가이드레일(173)이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에서 일측이 개방되어 함몰된 형상으로 구비될 때, 상기 개방된 부분을 덮어 사면으로 이루어진 일종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레일커버(174)는 상기 가이드부재(170)의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레일(173)에서 상기 가이드부재(170)가 이동 가능케 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면에 상기 가이드레일(173)이 사면으로 이루어진 통로로 구비될 경우, 상기 하우징(110)의 두께가 증가되어 냉동실 내부의 저장공간 또는 심온냉동칸의 심온공간 중 어느 하나의 저장공간을 줄이게 되는 일 요소로 작용될 수 있으며, 또는 하우징(110)의 제작 과정에서 사출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하우징(110)은 내부의 극저온을 유지하기 위해 단열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가이드레일(173)의 모든 면을 단열재로 구성함과 동시에 사면을 형성하는 일종의 통로를 형성하면서 제작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10)에 일면이 개방되어 함몰된 형상의 가이드레일(173)이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10)이 제작되고, 상기 가이드레일(173)의 개방된 부분을 덮는 레일커버(174)가 구비되는 것이 제작이 용이하다.
덧붙여 상기 레일커버(174)는 고정부(1741)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부(1741)를 통해 상기 하우징(11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1741)는 상기 레일커버(174)를 상기 하우징(110)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레일커버(174)가 상기 가이드레일(173)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재(170)가 이동할 수 있는 전후방이 연통된 일종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도어(130)가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 개구부(111F)를 폐쇄할 시, 상기 가이드부재(170)의 타단은 상기 레일커버(174)의 후단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일커버(174)는 상기 가이드레일(173)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상기 가이드레일(173)의 길이보다 더 짧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심온냉동칸 바스켓(150)은 구성 자체로도 음식물을 담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별도의 선반(155)이 구비되어 상기 심온냉동칸 바스켓(150)의 내부에서 저장공간을 구획할 수도 있다.
도16은 심온냉동칸 내부의 냉기 흐름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17a는 심온냉동칸의 측단면도, 도17b는 심온냉동칸의 내부 상면도이고, 도18a는 냉동실의 측단면도, 도18b는 그릴팬 어셈블리의 측단면도이며, 도19는 심온냉동칸 내부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16 내지 도1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열전소자모듈(200)은 흡열면(230a)과 발열면(230b)을 형성하는 열전소자(2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열전소자의 흡열면(230a)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심온냉동칸(110) 내부로 냉기를 유입시키는 팬(17), 상기 팬(17)이 수용되고 상기 냉동실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수용부(19)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9)는 상기 수용부(19)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냉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18)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하우징의 내면 중 일부에 형성되는 유로부(1141)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부(1141)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8)는 상기 수용부(19)를 기준으로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로(18a)와 상기 수용부(19)를 기준으로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로(18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면과 후면에 각각 개구부(111F, 111R)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은 심온냉동칸 바스켓(150)의 하부와 마주하여 상기 하우징(110) 내부의 하면을 형성하는 바닥면(112), 상기 바닥면(112)과 마주보는 면을 형성하는 상면(114), 상기 상면(114), 바닥면(112), 전면 및 후면을 연결하여 상기 내부 공간을 정육면체 형상으로 구획하는 측면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의 상면(114) 중 일부에는 단차지게 형성된 유로부(11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부(1141)는 상기 하우징(110)에서 상기 심온공간(110S)을 확장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부(1141)는 상기 유로부의 폭을 형성하며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심온냉동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부(1141a) 및 상기 세로부의 일측에서 상기 세로부를 연결하는 가로부(1141b)를 포함하여 상기 유로부(1141)는 상기 상면(114)에서 'U'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로부(1141a)는 상기 심온냉동칸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유로부(1141)의 폭을 점진적으로 좁히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세로부(1141a)의 일측 폭은 상기 가로부(1141b)와 대응되고, 상기 세로부(1141a)의 타측 폭(W)은 상기 가로부(1141b)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세로부(1141a)의 타측은 상기 가이드부(18)와 연통되고, 상기 세로부(1141a)의 타측 폭(W)은 상기 가이드부(18)의 폭과 일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부(1141)는 하우징의 상면(114)에서 상기 하우징의 후면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유로부(1141)의 다양한 형상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는 냉기는 상기 가이드부(18)를 향해 안내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로부(1141a)는 일측에서 상기 가로부(1141b)의 폭을 유지하며 평행하게 연장되다가, 세로부(1141a)의 타측 소정구간에서 상기 세로부의 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부(114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유로부(1141)에 형성되는 경사는 상기 절곡부(1145)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부(1141)가 형성하는 단차는 하우징 내부에서 냉기가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므로, 상기 유로의 면적을 확보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부(18)에 상기 냉기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세로부(1141a)의 타측에 절곡부(1145) 및 경사부(1143)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심온냉동칸 바스켓(150)은 상기 바닥면(112)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바닥면(112)과 상기 바스켓(150)의 사이 공간에 제2유로부(11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유로부가 하우징(110)의 상면(114) 및 바닥면(112)에 각각 형성될 경우, 상술한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되는 유로부(1141)는 제1유로부를 의미한다.
상기 바스켓(150)의 높이는 상기 하우징(110)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바스켓(150)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114) 및 바닥면(112)과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도어(130)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냉기의 이동경로를 살펴보면, 상기 수용부(19)의 내부에 구비되는 열전소자모듈, 팬에 의해 냉기가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냉기는 바스켓(150)의 후면에 형성되는 그릴을 통과한다. 즉 상기 냉기는 상기 하우징(110)의 후면에서 전면을 향해 이동하고, 상기 전면에서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와 하부로 나뉘어져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순환하는 흐름을 형성한다.
자세히, 도16을 참고하면, 열전소자모듈, 팬을 거쳐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냉기의 흐름(f1)은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서 전면을 향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순환하는 흐름은 상기 하우징의 제1유로부(1141)를 따라 안내되는 흐름(f2)과 상기 제2유로부(1121)를 따라 안내되는 흐름(f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부(1141)는 상기 상부로(18a)와 연통되고, 상기 제1유로부(114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로부(1141b), 세로부(1141a)에 의해 상기 냉기가 이동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절곡부(1145), 경사부(1143)에 의해 상기 상부로(18a)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로(18a)는 상기 절곡부(1145) 및 경사부(1143)를 따라 유입되는 냉기의 흐름에 저항으로 작용될 수 있는 요소를 최소화 하기 위해, 상기 냉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가이드경사(18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경사(181a)는 상기 상부로(18a)의 하부에서 상기 냉기가 이동하는 경로를 따라 하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유로부(1141)와 상기 상부로(18a)의 연통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동의 끊김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유로부(1121)는 상기 하부로(18b)와 연통되고, 상기 제2유로부(1121)와 상기 하부로(18b)는 단차를 형성하지 않고, 바람직하게 평행한 면을 형성하며 연통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로(18b)의 높이는 상기 바스켓(150)의 하부면과 상기 바닥면(112) 사이의 높이와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부와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하우징(110)이 상기 냉동실의 내부에 위치가 고정될 경우, 즉 하우징(110)의 후면 개구부(111R)에 수용부(19)가 삽입되어 안착될 경우에 연통된다.
한편, 상기 절곡부(1145)는 상기 세로부(1141a)의 타측에서 상기 제1유로부(1141)의 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므로, 상기 경사부(1143)는 상기 절곡부(1145)의 경계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상기 절곡부(1145)가 형성하는 폭(W)은 상기 상부로(18a)의 폭과 대응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냉장고 2 : 본체 3 : 아웃케이스
4 : 이너케이스 5 : 냉장실 도어 6 : 냉동실 도어
7 : 선반 8 : 힌지 9 : 도어 바스켓
10 : 냉동실 11 : 서랍 12 : 분할 벽
13 : 설치 가이드 14 : 레일 15 : 그릴팬 어셈블리
16 : 가이드 레일 17 : 팬 18a : 상부로
18b : 하부로 19 : 수용부 20 : 냉장실
30 : 냉각장치 31 : 압축기 33 : 응축기
35 : 팽창장치 37 : 증발기
100 : 심온냉동칸 110 : 하우징
130 :심온냉동칸 도어 150 : 심온냉동칸 바스켓
170 : 가이드부 200 : 열전소자모듈

Claims (15)

  1. 전면이 개방된 저장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전면으로부터 후면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냉동실; 및
    상기 냉동실 내부에서 상기 저장공간과 구획되어 상기 저장공간보다 더 낮은 온도를 유지하는 심온공간을 형성하는 심온냉동칸;을 포함하고,
    상기 심온냉동칸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냉동실 내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온냉동칸의 외면 중 일부에 형성되는 끼움홈; 및
    상기 가이드레일에서 상기 심온냉동칸의 이동경로 밖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심온냉동칸의 후면이 상기 냉동실의 후면과 접촉 시 상기 끼움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심온냉동칸은,
    전면이 개방되고, 상기 심온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끼움홈에 결합된 후,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개폐 시 상기 심온냉동칸의 위치는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가이드레일에서 탄성 지지되며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끼움홈에 결합 시 상기 고정부재의 위치는 탄성 변형되었다가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곡률을 형성하는 반원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끼움홈은 상기 곡률에 대응되어 굴곡진 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온냉동칸은,
    전면이 개방되고, 상기 심온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또는 하우징의 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도어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어 자력을 제공하는 제1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후크와 상기 후크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제2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중력방향에 대해 탄성 지지되어 상기 후크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 시, 상기 후크의 위치는 탄성 변형되었다가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심온냉동칸은,
    상기 도어와 상기 하우징의 전면이 접촉하는 면에 구비되는 열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은 상기 하우징의 전면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은,
    상기 열선과 연결되어 상기 심온냉동칸의 외부에서 상기 열선에 전력을 공급하는 도선을 포함하며,
    상기 도선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은 상기 가이드레일에서 상기 심온냉동칸의 이동경로 상에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도선이 인출되는 홀; 및
    상기 홀의 상부에서 상기 홀의 적어도 일부분을 가리며 형성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90105701A 2019-03-22 2019-08-28 냉장고 KR202001126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33077 2019-03-22
KR1020190033078 2019-03-22
KR1020190033077 2019-03-22
KR20190033078 2019-03-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607A true KR20200112607A (ko) 2020-10-05

Family

ID=72809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701A KR20200112607A (ko) 2019-03-22 2019-08-28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260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9496A (ko) 2011-11-04 2013-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각장치와 보조저장실을 구비하는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9496A (ko) 2011-11-04 2013-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각장치와 보조저장실을 구비하는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9893B2 (en) Refrigerator
KR102361832B1 (ko) 냉장고
EP3385641B1 (en) Refrigerator
KR102320983B1 (ko) 냉장고
US11313606B2 (en) Refrigerator having very low temperature freezer compartment
CN107110589B (zh) 冰箱
US10488096B2 (en) Refrigerator
KR20180080652A (ko) 냉장고 및 냉장고에 설치되는 심온 냉동칸
JP5450462B2 (ja) 冷蔵庫
KR20200112605A (ko) 냉장고
KR20200112607A (ko) 냉장고
KR20200112606A (ko) 냉장고
KR20200112604A (ko) 냉장고
EP3943845A1 (en) Refrigerator
EP3943844A1 (en) Refrigerator
EP3943846A1 (en) Refrigerator
KR20200112491A (ko) 냉장고
KR20200112492A (ko) 냉장고
KR20110012376A (ko) 냉장고
KR20180080650A (ko) 심온 냉동칸을 구비하는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