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2516A - Apparatus for welding pip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welding pi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2516A
KR20200112516A KR1020190033132A KR20190033132A KR20200112516A KR 20200112516 A KR20200112516 A KR 20200112516A KR 1020190033132 A KR1020190033132 A KR 1020190033132A KR 20190033132 A KR20190033132 A KR 20190033132A KR 20200112516 A KR20200112516 A KR 20200112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ocket
pipe
welding torch
welding
distance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1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17145B1 (en
Inventor
윤훈성
김경수
박평원
유화웅
이동훈
정상호
함효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3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145B1/en
Publication of KR20200112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5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1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23K37/053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external pipe alignment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23K37/053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for rotating tubes, e.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3K2101/10Pipe-l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ipe welding apparatus capable of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performing welding work. The pipe welding apparatus comprises: a first body which is caught and moved on a chain mounted on the circumference of a pipe, and includes an accommodation space to allow the chain to pass therethrough, at least one sprocket arranged across the accommodation space to be engaged with the chain, and a first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sprocket; a second body which is arranged to be separated from the first body, and includes a welding torch of which an end fac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a second driving unit to move the welding torch straight in one direction, and a third driving unit arranged on one side of the welding torch to change the angle of the welding torch; a first distance adjustment bar extended from the first body towards the second body to support the second body and formed to be stretched; and a pair of second distance adjustment bars separated from the first adjustment bar to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mutually connected to be sli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Description

배관용접장치{Apparatus for welding pipe}Pipe welding device {Apparatus for welding pipe}

본 발명은 파이프 둘레를 주행하며 용접하는 배관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접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배관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welding apparatus for welding while traveling around a pip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pe welding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the welding operation more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용접은 금속물체를 매우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방식으로 산업 전반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상대적으로 작은 물품으로부터 크기가 큰 금속 구조물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다양한 제품의 제작에 용접방식이 적용되고 있다.Welding is a method capable of bonding metal objects very firmly and is widely used throughout the industry. Welding methods are applied to the manufacture of various products ranging from relatively small items to large metal structures.

예를 들어, 대형 구조물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분할되어 제작된 금속판이나 금속프레임 등을 용접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파이프를 연결하여 배관을 형성하는 데에도, 용접은 필수적이다. 용접과정은 사람이 직접 수행할 수도 있으나 작업이 반복적이거나 위험한 경우 등에는 자동화된 용접장비를 사용하여 진행할 수도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a larg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connect a metal plate or a metal frame that has been divided and manufactured by a welding method. Even in forming a pipe by connecting pipes, welding is essential. The welding process can be carried out by a person, but if the work is repetitive or dangerous, it can also be carried out using an automated welding equipment.

그러나 종래 용접장비의 경우 구조나 동작방식 등이 정형화되어 있어 다양한 상황에서 용접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특히 용접장비를 파이프 용접에 적용하는 경우, 장비의 장착과 토치의 위치 조정에 관한 문제, 소모품 교환이나 상황 발생시 대처에 관한 문제, 파이프의 예열이나 후열 등이 이루어질 때 장치의 적용에 관한 문제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있었으나, 이러한 문제들이 원만히 해결되지 못하여 개선이 필요하였다.However, in the case of conventional welding equipme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efficiently perform welding in various situations because the structure or operation method is standardized. In particular, when welding equipment is applied to pipe welding, problems related to the installation of equipment and adjustment of the position of the torch, problems related to replacement of consumables or coping with situations, problems related to the application of the device when preheating or postheating of the pipe occurs, etc. There were several problems, but these problems were not solved smoothly, so improvement was needed.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315135호, (2013. 10. 07)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315135, (2013. 10. 07)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용접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배관용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and to provide a pipe welding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a welding operation more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접장치는, 파이프 둘레에 장착된 체인에 걸려 상기 체인을 따라 상기 파이프 둘레를 이동하며, 상기 체인을 통과시키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을 가로질러 배치되어 상기 체인과 치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로킷, 및 상기 스프로킷과 연결되어 상기 스프로킷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를 포함하는 제1몸체; 상기 제1몸체로부터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말단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향하는 용접토치와, 상기 용접토치를 일 방향으로 직선운동시키는 제2구동부, 및 상기 용접토치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용접토치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제3구동부를 포함하는 제2몸체; 상기 제1몸체로부터 상기 제2몸체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2몸체를 지지하며 신축이 가능하게 형성된 제1거리조정 바; 및 상기 제1거리조정 바와 이격되어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 양 측에서 각각 돌출되며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 사이에서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속되는 한 쌍의 제2거리조정 바를 포함한다.The pipe we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space for moving around the pipe along the chain by being hooked on a chain mounted around the pipe and passing the chain, and a receiving space disposed across the receiving space to engage with the chain. A first body including at least one sprocket and a first driving part connected to the sprocket to rotate the sprocket; The welding torch is locate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the end of which fac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a second driving part for linearly moving the welding torch in one direction, and one side of the welding torch A second body disposed and including a third driving unit for changing an angle of the welding torch; A first distance adjustment bar extending from the first body toward the second body to support the second body and to be stretchable; And a pair of second distance adjustment bars that ar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istance adjustment bar and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respectively, and are slidably connected to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do.

상기 제2몸체는, 상기 제2구동부와 상기 용접토치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형성하며 힌지축을 중심으로 굴절되어 상기 용접토치의 배열상태를 변경시키는 가동조인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body may further include a movable joint part which forms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second driving part and the welding torch, and is bent about a hinge axis to change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welding torch.

상기 제3구동부는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에 치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용접토치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회전기어가 형성된 회전모듈, 및 상기 용접토치를 상기 회전모듈에 고정시키되 나사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중심과 상기 용접토치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driving unit includes a worm gear, a rotation module having a rotation gear engaged with the worm gear and rotating to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welding torch, and fixing the welding torch to the rotation module, but rotating by screwing. It may include a distance adjusting screw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rotation center and the welding torch.

상기 스프로킷은 상기 제1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스프로킷, 상기 제1스프로킷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제2스프로킷, 및 상기 수용공간 내부를 평행 이동하여 상기 제2스프로킷과의 거리가 변경되는 제3스프로킷을 포함하고, 상기 제3스프로킷의 양 단부에 상기 제3스프로킷과 각각 수직하게 연결되어 정역 회전하며 상기 제3스프로킷을 평행 이동시키는 한 쌍의 가이드스크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procket is a first sprocket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unit and rotated, a second sprocket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procket, and a third sprocket moving in parallel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to change the distance to the second sprocket. A pair of guide screws including a sprocket and vert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sprocket at both ends of the third sprocket to rotate forward and backward, and move the third sprocket in parallel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제2몸체는, 상기 가이드스크류의 사이에 위치하며 외부 구동장치와 접속 가능하게 축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중앙기어, 상기 중앙기어의 양 편에 치합되어 각각 상기 중앙기어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접속기어, 및 각각 상기 가이드스크류의 말단에 결합되고 상기 접속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중앙기어와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한 쌍의 전달기어를 포함하는 이동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body is positioned between the guide screws and is a central gear with a part of the shaft exposed to the outside so as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riving device, and is engaged with both sides of the central gear to rotat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entral gear, respectively. It may further include a movement control unit including a pair of connection gears, and a pair of transmission gears each coupled to an end of the guide screw and engaged with the connection gear to rotate the guide screw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entral gear. have.

본 발명에 의하면, 대형 파이프 등의 용접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특히 파이프 둘레에 용접장치를 보다 신속하고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파이프 둘레에 장치가 장착된 상태로도 다양한 상황변화에 대응이 가능하고, 특히 용접 시 파이프의 예열이나 후열이 필요한 경우에도 문제없이 장치를 적용할 수 있어, 상황에 구애되지 않고 매우 원활한 용접작업의 수행이 가능하다. 또한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적 개선을 통해 용접토치의 다양한 위치조정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유지가 가능하여, 용접작업의 안정성과 정밀성도 큰 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Advantageous Effects of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elding work for large pipes or the like can be performed more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In particular, the welding device can be installed more quickly and firmly around the pipe, and even when the device is installed around the pipe, it is possible to respond to various changes in the situation. Since the device can be applied, it is possible to perform very smooth welding work regardless of the situation. In addition, through the overall structural improvement of the device, various positions of the welding torch as well as stable maintenance are possible, so that the stability and precision of the welding operation can be greatly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관용접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관용접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배관용접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배관용접장치의 제1몸체와 제2몸체를 분리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배관용접장치의 거리조정 바의 작동도이다.
도 6은 도 1의 배관용접장치의 제2몸체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7은 도 1의 배관용접장치의 제1몸체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8은 도 1의 배관용접장치의 이동조절부의 작동도이다.
도 9는 도 1의 배관용접장치의 접촉 휠의 작동도이다.
도 10은 도 1의 배관용접장치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pe wel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the pipe welding apparatus of FIG. 1.
3 is a plan view of the pipe welding apparatus of FIG. 1.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ipe welding apparatus of FIG. 1 in which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separated.
5 is an operation diagram of a distance adjustment bar of the pipe welding apparatus of FIG. 1.
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second body of the pipe welding apparatus of FIG. 1.
7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a first body of the pipe welding apparatus of FIG. 1.
8 is an operation diagram of a movement control unit of the pipe welding apparatus of FIG. 1.
9 is an operation diagram of a contact wheel of the pipe welding apparatus of FIG. 1.
10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the pipe welding apparatus of FIG. 1.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rovide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e possessor,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관용접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ipe wel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관용접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관용접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배관용접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배관용접장치의 제1몸체와 제2몸체를 분리한 분해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pe wel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the pipe welding apparatus of FIG. 1, FIG. 3 is a plan view of the pipe welding apparatus of FIG. 1, and FIG. 4 is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ipe welding device separated by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접장치(1)는 하중이 집중되는 몸체부분이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로 분리되며, 서로 분리된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가 제1거리조정 바(30) 및 한 쌍의 제2거리조정 바(41, 42)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지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는 파이프(도 10의 B참조)에 고정되는 제1몸체(10)로부터 용접토치(210)가 형성된 제2몸체(20)가 보다 자유롭게 확장되고, 동시에 확장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제2몸체(10)가 제1몸체(20)로부터 확장된 상태에서도 용접토치(210)를 매우 원활하게 구동할 수 있는 구조이다. 즉, 제1몸체(10)는 파이프의 둘레를 주행하기 위해 필요한 제1구동부(도 7의 120참조) 등의 구동구조가 내장되어 있어 파이프에 장착된 채 자유로운 주행이 가능하며, 제2몸체(20)는 용접토치(210)를 구동하기 위한 제2구동부(도 6의 220참조) 및 제3구동부(도 6의 230참조) 등의 구동부가 제1몸체(10)와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제1몸체(10)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이격된 상태에서도 문제없이 용접토치(210)를 구동시킬 수 있다.1 to 4, in the pipe weld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where the load is concentrated is separated into a first body 10 and a second body 20, and a first body separated from each other. (10) and the second body 20 is made of a structure that is mutually connected and supported by a first distance adjustment bar 30 and a pair of second distance adjustment bars (41, 42). In this structure, the second body 20 on which the welding torch 210 is formed from the first body 10 fixed to the pipe (see B in FIG. 10) is expanded more freely and at the same time is stably supported in an expanded state, It is a structure capable of very smoothly driving the welding torch 210 even when the second body 10 is extended from the first body 20. That is, the first body 10 has a built-in driving structure such as a first driving unit (refer to 120 in Fig. 7) required to travel around the pipe, so that it is possible to freely travel while being mounted on the pipe, and the second body ( 20) is a second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welding torch 210 (refer to 220 in Fig. 6) and a third driving unit (refer to 230 in Fig. 6), and other driving units are formed independently of the first body 10 Thus, it is possible to drive the welding torch 210 without problems even in a state relatively far away from the first body 10.

특히, 이와 같이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된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는 그 사이에서 적어도 2가지 서로 다른 구조로 이들을 연결 및 접속시키는 제1거리조정 바(30) 및 한 쌍의 제2거리조정 바(41, 42)를 통해 매우 견고하게 지지된다. 제1거리조정 바(30)는 제1몸체(10)로부터 제2몸체(20)를 향해 연장되어 제2몸체(20)를 지지하는 단일 지지체로 형성되며, 한 쌍의 제2거리조정 바(41, 42)는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 양 측에서 그보다 짧은 길이로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대향되는 지지체로 형성된다. 특히 한 쌍의 제2거리조정 바(41, 42)는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서로 반대편에서 각각 캔틸레버 형태로 돌출되어 그 사이에서 맞닿아 지지점을 형성함으로써, 단일 지지체의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쳐짐 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하고 제2몸체(20)가 제1몸체(10)에서 충분히 확장된 상태에서도 매우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을 통해 배관용접장치(1)가 적용되는 파이프 둘레에 예열패드(도 10의 C참조) 등 부착물이 형성된 경우에도 제2몸체(20)를 충분히 확장시켜 이를 회피하면서 장비를 문제없이 구동하는 등 매우 편리하고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다.In particular,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form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n this way have at least two different structures between them and a first distance adjustment bar 30 and a pair of It is supported very firmly through the 2-distance adjustment bar (41, 42). The first distance adjustment bar 30 extends from the first body 10 toward the second body 20 and is formed as a single support to support the second body 20, and a pair of second distance adjustment bars ( 41 and 42 are formed of a pair of opposing supports each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to a shorter length. In particular, the pair of second distance adjustment bars 41 and 42 protrude in the form of cantilevers from opposite sides of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respectively, and contact between them to form a support point. It has a feature of effectively solving problems such as sagging that may occur in the case of and supporting the second body 20 very stably even when the second body 20 is sufficiently extended from the first body 10. Through this structural feature, even if an attachment such as a preheating pad (see C in Fig. 10) is formed around the pipe to which the pipe welding device 1 is applied, the second body 20 is sufficiently extended to avoid this and the equipment is driven without problems. Very convenient and efficient work is possible.

이러한 본 발명의 배관용접장치(1)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배관용접장치(1)는, 파이프(도 10의 C참조) 둘레에 장착된 체인(도 8 및 도 10의 A참조)에 걸려 체인을 따라 파이프 둘레를 이동하며, 체인을 통과시키는 수용공간(도 7의 101참조)과, 수용공간(101)을 가로질러 배치되어 상기 체인과 치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로킷[도 7 및 도 8의 제1스프로킷(111) 참조] 및 상기 스프로킷과 연결되어 상기 스프로킷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도 7의 120참조)를 포함하는 제1몸체(10), 제1몸체(10)로부터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말단이 파이프의 외주면을 향하는 용접토치(210)와, 용접토치(210)를 일 방향으로 직선운동시키는 제2구동부(220), 및 용접토치(210)의 일 측에 배치되어 용접토치(210)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제3구동부(230)를 포함하는 제2몸체(20), 제1몸체(10)로부터 제2몸체(20)를 향해 연장되어 제2몸체(20)를 지지하며 신축이 가능하게 형성된 제1거리조정 바(30), 및 제1거리조정 바(30)와 이격되어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 양 측에서 각각 돌출되며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사이에서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속되는 한 쌍의 제2거리조정 바(41, 42)를 포함한다[도 1 내지 도 4참조]. 이하, 이러한 본 발명의 배관용접장치(1)의 각 구성과 작용효과 등에 대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pipe weld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ecifically configured as follows. The pipe welding device 1 moves around the pipe along the chain by being caught in a chain mounted around the pipe (see C in Fig. 10) (see A in Fig. 8 and Fig. 10), and a receiving space (Fig. 7 (see 101), at least one sprocket disposed across the receiving space 101 and engaged with the chain (see the first sprocket 111 of FIGS. 7 and 8) and the sprocket connected to the sprocket A first body 10 including a first driving part (see 120 in FIG. 7) to rotate, and a welding torch 210 that is locate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ody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and has an end fac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 and a second driving unit 220 for linearly moving the welding torch 210 in one direction, and a third driving unit 23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welding torch 210 to change the angle of the welding torch 210 A second body 20 including, a first distance adjustment bar 30 extending from the first body 10 toward the second body 20 to support the second body 20 and to be stretchable,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istance adjustment bar 30,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respectively, and slidable between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It includes a pair of second distance adjustment bars (41, 42) to be connected (see Figs. 1 to 4). 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and effect of the pipe weld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몸체(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종의 함체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몸체(10)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골격구조 외측에 차단커버(102) 등이 결합될 수 있으며 차단커버(102)를 개방하여 내부 수용공간(도 7의 101참조)으로 접근할 수 있다. 차단커버(102)는 일 측이 힌지 등으로 결합되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고 닫힌 상태에서는 고정클립(102a) 등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차단커버(102)를 개방하고 내부 수용공간(101)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전술한 체인 등을 수용공간(101)으로 통과시키며 제1몸체(10)에 결합할 수 있다. 제1몸체(10)에는 전술한 제1구동부(도 7의 120참조), 제1스프로킷(도 7 및 도 8의 111참조), 제2스프로킷(도 8의 112참조), 제3스프로킷(도 8의 113참조), 제4구동부(도 4의 140참조), 이동조절부(도 7 및 도 8의 130참조) 등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을 통해 체인에 걸려 파이프 둘레를 주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몸체(10)의 구체적인 구조와 동작은 후술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first body 10 may be formed in a shape such as a kind of enclosure. The first body 10 may b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skeleton structure made of a frame, such as a blocking cover 102, and the blocking cover 102 can be opened to access the internal accommodation space (see 101 in FIG. 7). The blocking cover 102 may be formed such that one side is coupled with a hinge or the like to be opened and closed, and in a closed state, it may be fixed with a fixing clip 102a or the like. In a state in which the blocking cover 102 is opened and the inner receiving space 101 is exposed, the chain or the like is passed through the receiving space 101 and coupled to the first body 10. The first body 10 includes the aforementioned first driving unit (see 120 in FIG. 7), a first sprocket (see 111 in FIGS. 7 and 8), a second sprocket (see 112 in FIG. 8), and a third sprocket (see FIG. 8, 113), a fourth driving part (see 140 of FIG. 4), a movement adjusting part (see 130 of FIGS. 7 and 8), and the like may be formed, and through these, it is possible to travel around the pipe by being caught in a chain. The specific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first body 10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제2몸체(2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토치(210) 주변에 서로 다른 구동부들이 집약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몸체(20)는 용접토치(210)를 파이프 외측에서 파이프를 향하는 방향으로 직선 운동시키는 제2구동부(220), 제2구동부(220)와 용접토치(2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형성하며 힌지축(도 2의 241참조)을 중심으로 굴절되어 용접토치(210)의 배열상태를 변경시키는 가동조인트부(240), 용접토치(210) 일 측에 배치되어 배관용접장치(1)의 파이프 둘레를 따르는 원주상의 이동에 대응하여 용접토치(210)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제3구동부(230)등이 상호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들을 통해 제2몸체(20)는 제1몸체(10)와 독립된 구동구조를 보유하게 되며 이를 통해 용접토치(210)의 위치를 매우 정밀하고 섬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제2몸체(20)의 구체적인 구조와 동작 역시 후술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The second body 20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different driving parts are integrated around the welding torch 210 as shown in FIGS. 1 to 4. The second body 20 forms a second driving part 220 for linearly moving the welding torch 210 in a direction from the outside of the pipe toward the pipe,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second driving part 220 and the welding torch 210 It is refracted around the hinge axis (refer to 241 in FIG. 2) to change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welding torch 210, and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welding torch 210 and the pipe welding device 1 The third driving unit 230 for changing the angle of the welding torch 210 in response to the circumferential movement along the pipe circumference may be formed in an interconnected form. Through these, the second body 20 has a drive structure independent from the first body 10, and through this, the position of the welding torch 210 can be adjusted very precisely and delicately. The specific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second body 20 will also be described later an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제1거리조정 바(30)는 이러한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사이에 연결된다. 제1거리조정 바(30)는 제1몸체(10)로부터 제2몸체(20)를 향해 연장되어 제2몸체(20)를 지지하며 신축이 가능하게 형성된다[도 5참조]. 제1거리조정 바(30)의 일단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10)의 제4구동부(140)와 결합되어 신축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몸체(10) 내측에는 제4구동부(1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4구동부(140)는 제1거리조정 바(30)에 연결되어 제1거리조정 바(30)를 신축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4구동부(140)는 제1거리조정 바(3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제2스크류(142), 제2스크류(142)에 나사 결합되어 직선 운동하는 제2이동블록(143), 및 제2스크류(142)를 회전시키는 제4모터(1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거리조정 바(30)는 제4구동부(140)의 제2이동블록(143)에 결합되어 제2스크류(142)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며 신축될 수 있다. 제1거리조정 바(30)는 신축과정에서 적어도 일부가 제1몸체(10)의 내측으로 삽입되거나 노출되며 길이가 조정될 수 있다. 제1거리조정 바(30)의 타단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몸체(20)의 일 측에 고정되며 따라서 제1거리조정 바(30)가 신축되며 제2몸체(20)와 제1몸체(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The first distance adjustment bar 30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The first distance adjustment bar 30 extends from the first body 10 toward the second body 20 to support the second body 20 and is formed to be stretchable (see FIG. 5). One end of the first distance adjustment bar 30 may be combined with the fourth driving part 140 of the first body 10 to expand and contract, as shown in FIG. 4. That is, as described above, a fourth driving part 140 may be formed inside the first body 10, and the fourth driving part 140 is connected to the first distance adjusting bar 30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distance adjusting bar 30. It can provide a driving force to stretch and contract. The fourth driving unit 140 includes a second screw 142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distance adjustment bar 30, a second moving block 143 that is screwed to the second screw 142 to move linearly, and It may include a fourth motor 141 that rotates the second screw 142. The first distance adjustment bar 3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moving block 143 of the fourth driving unit 140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crew 142 and expand and contract.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distance adjustment bar 30 is inserted or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body 10 during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process, and the length may be adjusted. The other end of the first distance adjustment bar 3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second body 20 as shown in FIG. 3, and thus the first distance adjustment bar 30 is stretched and contracted, and the second body 20 and The spacing between the first bodies 10 can be adjusted.

제1거리조정 바(30)는 적어도 일부가 서로 수직하게 맞닿아 지지되는 복수 개의 판 형상 프레임[제1프레임(31) 및 제2프레임(3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외면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다른 하나의 외면에 지지되는 돌출편(32a)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의 프레임[제1프레임(31) 및 제2프레임(32)]이 서로 맞닿아 지지되는 구조를 이용하여 제1거리조정 바(30)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강성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본 발명과 같이 제2몸체(20)와 제1몸체(10)를 독립적으로 형성하고 둘의 사이를 상대적으로 멀리 이격시키는 경우 하중의 분산 및 구조적 강성을 확보하는 데 매우 유리하다. 돌출편(32a)은 복수 개가 서로 다른 지점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거리조정 바(30) 전체의 지지력을 강화하여 제1거리조정 바(3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지는 경우에도 구조의 변형 등을 막을 수 있다. 제1거리조정 바(30)는 길이가 긴 블록 형상 등으로 형성되는 제3프레임(3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프레임(31)과 제2프레임(32)과 제3프레임(33)이 서로 연결되어 단일 지지체를 형성할 수 있다. 제3프레임(33)은 제1거리조정 바(30)의 제1몸체(10) 내측으로 삽입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프레임(31)과 제2프레임(32)은 제1몸체(10)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외부로 노출되는 제1프레임(31)과 제2프레임(32)에는 커버(34) 등을 결합하여 갈무리해 줄 수 있다.The first distance adjustment bar 3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late-shaped frames (first frame 31 and second frame 32), at least partial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supported, at least one of the frames It may include a protruding piece 32a which is vertically protruded from the outer surface and supported on the other outer surface. That is, as shown in FIG. 4, by using a structure in which a plate-shaped frame (first frame 31 and second frame 32)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supported, the weight of the first distance adjustment bar 30 is reduced. At the same time, it can effectively increase the rigidity. This structure is very advantageous in securing load distribution and structural rigidity when the second body 20 and the first body 10 are independently formed and the two are separated relatively far apart as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rotruding pieces (32a) may be disposed at different points, and through this, the structure of the first distance adjustment bar 30 is reinforced, even when the length of the first distance adjustment bar 30 is relatively long.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The first distance adjustment bar 30 may include a third frame 33 formed in a long block shape, and the first frame 31, the second frame 32, and the third frame 33 They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single support. The third frame 33 may be disposed at a portion inserted into the first body 10 of the first distance adjustment bar 30, and the first frame 31 and the second frame 32 are the first body ( 10) It can be placed on a part exposed to the outside. The first frame 31 and the second frame 32 that are exposed to the outside may be combined with a cover 34 and the like to capture it.

한편 한 쌍의 제2거리조정 바(41, 4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의 양 측에서 각각 돌출된다. 각각은 일단부가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에 각각 고정된 구조로서 그 반대편 말단이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사이에서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속된다[도 4참조]. 따라서 한 쌍의 제2거리조정 바(41, 42)는 서로 슬라이딩 되면서 접촉하는 부분의 면적이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도 5참조].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거리조정 바(41, 42)는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에서 서로 대향되게 돌출되어 제2몸체(20)와 제1몸체(10)의 사이에서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며 지지된다. 즉, 한 쌍의 제2거리조정 바(41, 42)는 서로 이격되는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사이에서 서로 접촉하여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사이에 가변 가능한 지지점을 형성함으로써 제1몸체(10)와 제2몸체(20)가 상대적으로 멀어지는 경우에도 배관용접장치(1) 전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단순한 바 형상의 단일 지지체만으로 물체를 지지하는 경우 길이가 길어질수록 자체하중으로 인해 지지체의 처짐이나 변형 등이 발생하기 쉬우나, 본원 발명은 서로 반대측에서 돌출되고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사이에서 접속되어 지지점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2거리조정 바(41, 42)를 이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장치 전체를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pair of second distance adjustment bars 41 and 42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respectively, as described above. Each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is fixed to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respectively, and the opposite end is slidably connected to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 See Fig. 4]. Accordingly, the pair of second distance adjustment bars 41 and 42 may increase or decrease the area of the contacting portion while sliding with each other (see FIG. 5). As shown, the second distance adjustment bars 41 and 42 protrude from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to face each other, and between the second body 20 and the first body 10 At least some of them overlap each other and are supported. That is, the pair of second distance adjustment bars 41 and 42 contact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By forming a variable support point therebetween, structural stability of the entire pipe welding device 1 can be ensured even when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are relatively distant. In the case of supporting an object with only a simple bar-shaped single support, the longer the length, the more liable to sag or deformation of the support due to its own load, but the present invention protrudes from opposite sides and protrudes from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 20) By using a pair of second distance adjustment bars (41, 42) that are connected between the two to form a support point, this problem can be solved and the entire device can be maintained very stably.

제2거리조정 바(41, 42)는 각각에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면이 상호 중첩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으며 상기 면에 각각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슬라이딩 레일(41a, 42a)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한 슬라이딩 레일(41a, 42a)을 각 제2거리조정 바(41, 42)의 서로 다른 면에 배치하고 홀더(41b, 42b)와 같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이용하여 제2거리조정 바(41, 42) 상호간을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접속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전체적으로 제2거리조정 바(41, 42)를 이용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제1거리조정 바(30)의 신축작용으로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사이의 거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The second distance adjustment bars 41 and 42 may slide by overlapping at least two different surfaces formed on each of the surfaces, and may include at least a pair of sliding rails 41a and 42a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surfaces. . As shown in Fig. 4, the sliding rails 41a and 42a parallel to each other are arranged on different surfaces of each second distance adjustment bar 41, 42, and a structure capable of sliding movement such as the holders 41b and 42b is provided. By using the second distance adjustment bar (41, 42)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enable sliding movement. Through this structure, while securing structural stability by using the second distance adjustment bar (41, 42) as a whole,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are spaced between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due to the stretching action of the first distance adjustment bar (30) The distance can be adjusted more effectively.

도 5는 도 1의 배관용접장치의 거리조정 바의 작동도이다.5 is an operation diagram of a distance adjustment bar of the pipe welding apparatus of FIG. 1.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조정 바[제1거리조정 바(30) 및 한 쌍의 제2거리조정 바(41, 42)]를 이용하여 제2몸체(20)를 제1몸체(10)로부터 매우 자유롭게 확장할 수 있다. 제1몸체(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체인(도 10의 A참조)에 걸려 고정되나 제2몸체(20)는 그로부터 이탈된 상태로도 제1거리조정 바(30)와 한 쌍의 제2거리조정 바(41, 42)의 지지구조를 통해서 매우 안정적으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속되어 지지점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2거리조정 바(41, 42)를 통해서 도 5의 (a)와 같이 제1몸체(10)와 제2몸체(20)가 상대적으로 인접한 경우뿐만 아니라, 도 5의 (b)와 같이 제1몸체(10)와 제2몸체(20)가 상대적으로 멀어지는 경우에도 장치 전체의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예를 들어, 제1거리조정 바(30)와 제2거리조정 바(41, 42)는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사이의 거리를 적어도 제1몸체(10)의 길이만큼 이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파이프 둘레에 형성된 장애물[도 10의 예열패드(C) 등일 수 있다]도 용이하게 회피하며 용접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구조적인 안정성도 유지되므로 용접토치(210)의 보다 정밀한 조작도 가능하다. 배관용접장치(1) 전체의 작동과정은 후술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As shown in Figure 5, using a distance adjustment bar (the first distance adjustment bar 30 and a pair of second distance adjustment bars (41, 42)), the second body 20 is connected to the first body 10 It can be extended very freely from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body 10 is fixed by being hooked on a chain (see A in FIG. 10), but the second body 2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body 20 and the first distance adjustment bar 30 and a pair of secon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position very stably through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distance adjustment bars (41, 42). In particular, through a pair of second distance adjustment bars 41 and 42 that are slidably connected between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to form a support point, as shown in FIG. The structure of the entire device not only when the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are relatively adjacent, but also when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are relatively distant, as shown in FIG. 5B. Can be kept stable. Through this structure, for example, the first distance adjustment bar 30 and the second distance adjustment bar 41, 42 may reduc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at least the first body ( It is possible to separate it by the length of 1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avoid obstacles formed around the pipe (may be the preheating pad (C) of FIG. 10, etc.), and to proceed with the welding operation, and since structural stability is also maintained, a more precise operation of the welding torch 210 is also possible. The entire operation process of the pipe welding device 1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도 6은 도 1의 배관용접장치의 제2몸체의 부분확대도이다.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second body of the pipe welding apparatus of FIG. 1.

전술한 제2몸체(20)는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몸체(20)는 직선운동하는 구조의 제2구동부(220)를 일종의 베이스로 하여 제2구동부(220)에 가동조인트부(240)가 연결되고, 가동조인트부(240)가 다시 용접토치(210)와 제3구동부(230)를 지지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3구동부(230)는 용접토치(210)와 인접한 측의 가동조인트부(240)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구동부(220)는 파이프의 직경 방향을 향해 배치된 제1스크류(222), 제1스크류(222)에 나사 결합되어 직선 운동하는 제1이동블록(223),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모터(221), 및 제2모터(221)와 제1스크류(222)의 사이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벨트연결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가동조인트부(240)는 일단부가 제1이동블록(223)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용접토치(210) 측으로 연장되어 용접토치(210)를 지지할 수 있다. 제2구동부(220)의 외측에는 하우징[점선부분 참조]이 형성되어 있어 하우징을 매개로 전술한 제1거리조정 바(30) 및 제2거리조정 바(41)와 고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second body 20 may have a structu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The second body 20 is a movable joint part 240 is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part 220 by using the second driving part 220 having a linear motion structure as a base, and the movable joint part 240 is again a welding torch. It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supports 210 and the third driving unit 230. The third driving part 230 may be formed on the movable joint part 240 adjacent to the welding torch 210. The second driving unit 220 includes a first screw 222 dispos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pipe, a first moving block 223 that is screwed to the first screw 222 to move linearly, and a second motor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221, and a belt connection part 224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motor 221 and the first screw 222 to transmit a driving force. The movable joint part 240 has one end fixed to the first moving block 223 and the other end extending toward the welding torch 210 to support the welding torch 210. A housing (refer to the dotted line)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second driving unit 220, so that the first distance adjustment bar 30 and the second distance adjustment bar 41 and the fixed coupling state can be maintained through the housing. have.

가동조인트부(240)는 굴절이 가능하여 용접토치(210)의 배열상태를 보다 편리하게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조인트부(240)는 힌지축(241)을 포함할 수 있으며 힌지축(241)을 매개로 고정지지부(242)와 가동지지부(243)의 서로 다른 부분이 굴절 가능하게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고정지지부(242) 및 가동지지부(243)는 정형화되지 않은 형상일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하우징이나 프레임 구조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고정지지부(242)는 전술한 제2구동부(220)에 결합되며 특히 제2구동부(220)의 제1이동블록(도 6의 223참조)과 결합될 수 있다. 가동지지부(243)는 용접토치(210) 측으로 연장되어 제3구동부(230)와 용접토치(210)에 연결되어 이들을 지지할 수 있다. 힌지축(241)을 중심으로 가동지지부(243)를 회전시켜 고정지지부(242)에 대한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동지지부(243)가 연결되어 지지하고 있는 용접토치(210) 전체의 배열을 바꾸어 줄 수 있다. 이를 통해 용접토치(210)에 사용되는 소모품[용접 와이어, 용접 팁 등] 등을 보다 쉽게 교환할 수 있으며 용접 와이어의 절단 작업 등도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용접토치(210)로 인해 접근하기 어려운 부분도 보다 쉽게 노출시켜 보수하는 등의 작업이 가능하다. 가동조인트부(240)는 힌지축(241) 둘레에 곡선 형태로 타공된 가이드홈(244)과, 가이드홈(244)에 삽입되어 가동조인트부(24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위치고정나사(24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위치에서 위치고정나사(245)를 조여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Since the movable joint part 240 is bendable, it is possible to more conveniently change the arrangement of the welding torch 210. As shown in FIG. 2, the movable joint part 240 may include a hinge shaft 241, and different portions of the fixed support part 242 and the movable support part 243 are bent through the hinge shaft 241. It can be formed by combining possible. The fixed support portion 242 and the movable support portion 243 may have a non-standardized shape and may be formed using various types of housings or frame structures. The fixed support part 242 is coupled to the above-described second driving unit 220, and in particular, may be coupled to the first moving block (see 223 in FIG. 6) of the second driving unit 220. The movable support part 243 extends toward the welding torch 210 and is connected to the third driving part 230 and the welding torch 210 to support them. By rotating the movable support part 243 around the hinge shaft 241, the angle with respect to the fixed support part 242 can be changed, through which the movable support part 243 is connected and supported by the entire arrangement of the welding torch 210 You can change it. Through this, consumables (welding wires, welding tips, etc.) used in the welding torch 210 can be more easily exchanged, and cutting of the welding wire can be conveniently performed. In addition, a part that is difficult to access due to the welding torch 210 can be exposed and repaired more easily. The movable joint part 240 includes a guide groove 244 perforated in a curved shape around the hinge shaft 241 and a position fixing screw 245 that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244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movable joint part 240. ) May be included, and the shape may be maintained by tightening the positioning screw 245 at a desired position.

제3구동부(230)는 용접토치(210)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3구동부(230)는 전술한 가동조인트부(240)의 가동지지부(243) 측에 연결될 수 있으며 가동조인트부(240)의 굴절상태에 따라서 용접토치(210)와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구동부(230)는 특히 웜기어(232)와, 웜기어(232)에 치합되어 회전하며 용접토치(210)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회전기어(233)가 형성된 회전모듈(234), 및 용접토치(210)를 회전모듈(234)에 고정시키되 나사 결합되어 회전하며 회전모듈(234)의 회전중심과 용접토치(21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나사(235)를 포함할 수 있다. 웜기어(232)는 예를 들어 가동조인트부(240)의 가동지지부(도 2의 243참조)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제3모터(231)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웜기어(232)의 회전축[제3모터(231)의 회전축과 동일한 축일 수 있다]과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기어(233)를 도시된 바와 같이 웜기어(232)에 치합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웜기어(232)의 회전량을 조절하여 회전기어(233)를 회전시키고 회전기어(233)에 연결된 회전모듈(234) 전체의 각도를 바꿀 수 있다. The third driving unit 23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welding torch 210. The third driving part 230 may be connected to the movable support part 243 side of the movable joint part 240 described above, and may be integrally moved with the welding torch 210 according to the refractive state of the movable joint part 240. As shown in Figure 6, the third driving unit 230 is a rotation module in which a rotation gear 233 is formed which rotates by being engaged with the worm gear 232 and the worm gear 232 and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welding torch 210 ( 234), and a distance adjusting screw 235 that fixes the welding torch 210 to the rotation module 234, but rotates by being screwed and adjusts the distance between the rotation center of the rotation module 234 and the welding torch 210. Can include. The worm gear 232 may be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movable support part (refer to 243 in FIG. 2) of the movable joint part 240, and may be rotated by a third motor 231. The rotation gear 233 rotating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of the worm gear 232 (which may be the same axis as the rotation axis of the third motor 231) may be engaged with the worm gear 232 as shown. Through this, the rotational amount of the worm gear 232 can be adjusted to rotate the rotation gear 233 and the angle of the entire rotation module 234 connected to the rotation gear 233 can be changed.

회전모듈(234)은 거리조절나사(235)를 통해 용접토치(21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웜기어(232), 회전기어(233) 및 회전모듈(234)의 연속적인 동작에 의해 용접토치(210)의 회전각도를 용이하게 바꾸어 줄 수 있다. 웜기어(232)와 회전기어(233)의 치합구조로 인해 불필요한 역회전은 방지되며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제3구동부(230)에 의한 용접토치(210)의 회전은 파이프(도 10의 B참조)의 횡단면과 평행한 평면 상에서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용접토치(210)의 말단이 향하는 방향을 중력방향과 파이프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 사이에서 적절히 변경시켜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관용접장치(1)가 파이프 둘레를 주행할 때 파이프의 상부, 측부, 또는 하부로 위치가 바뀌며 장치에 대한 중력방향이 변경되고 용접부위에 대한 보다 정밀한 제어[용접부위에 형성되는 용융물 등의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가 필요할 수 있는바. 제3구동부(230)를 이용하여 용접토치(210)의 회전각을 바꾸어 줌으로써 이러한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Since the rotation module 234 is connected to the welding torch 210 through the distance adjusting screw 235, the welding torch 210 is continuously operated by the worm gear 232, the rotation gear 233, and the rotation module 234. The rotation angle of can be easily changed. Due to the meshing structure of the worm gear 232 and the rotation gear 233, unnecessary reverse rotation is prevented and the rotation angle can be more stably maintained. The rotation of the welding torch 210 by the third driving unit 230 is made on a plane parallel to the cross-section of the pipe (see B in FIG. 10), and through th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end of the welding torch 210 is directed is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the pipe. It can be changed appropriately between the directions toward the center of. For example, when the pipe welding device 1 travels around the pipe, its position changes to the top, side, or bottom of the pipe, the direction of gravity for the device is changed, and more precise control of the welding area (melt formed on the welding area, etc.) May include control of] may be necessary. This operation can be smoothly performed by chang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welding torch 210 using the third driving unit 230.

용접토치(210)는 거리조절나사(235)를 통해 회전모듈(234)에 연결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조절나사(235)는 용접토치(210)의 헤드(211) 일 측을 관통하여 회전모듈(234)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거리조절나사(235)를 회전시키면 용접토치(210)가 나사결합에 의해 거리조절나사(235)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며 회전모듈(234)과의 간격이 변경될 수 있다. 거리조절나사(235)에는 핸들(235a)이 형성되어 있어 핸들(235a)을 조작하여 거리조절나사(235)를 회전시킬 수 있다. 특히 거리조절나사(235)는 용접토치(210)의 헤드(211)를 관통하여 회전모듈(234)의 회전중심[회전기어(233)의 축일 수 있다]을 향해 배열되어 있으므로 거리조절나사(235)를 회전시켜 용접토치(210)와 회전모듈(234)의 회전중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용접토치(210)와 파이프 사이의 간격 등을 보다 정밀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전술한 제2구동부(220)의 직선 운동을 통해 용접토치(210)와 파이프 외주면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고, 제3구동부(230)의 회전 운동을 통해 용접토치(210)의 회전각을 바꿀 수 있으며, 거리조절나사(235)를 이용하여 용접토치(210)와 파이프 외주면 사이의 거리를 더욱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몸체(20)에 독립적으로 배치된 여러 구동부와 다양한 조정구조를 활용하여 용접토치(210)를 다양한 방식으로 조정하며 원활하게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The welding torch 210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module 234 through a distance adjusting screw 235. As shown in FIG. 6, the distance adjusting screw 235 may pass through one side of the head 211 of the welding torch 210 and may be screwed with the rotation module 234. When the distance adjustment screw 235 is rotated, the welding torch 210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tance adjustment screw 235 by screwing, and the distance with the rotation module 234 may be changed. Since the handle 235a is formed on the distance adjusting screw 235, the distance adjusting screw 235 can be rotated by manipulating the handle 235a. In particular, the distance adjusting screw 235 is arranged toward the rotation center of the rotation module 234 (which may be the axis of the rotation gear 233) through the head 211 of the welding torch 210, so the distance adjusting screw 235 )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welding torch 210 and the rotation center of the rotation module 234.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more precisely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welding torch 210 and the pipe.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welding torch 210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ipe is adjusted through the linear motion of the second driving unit 220,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welding torch 210 is changed throug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third driving unit 230. 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welding torch 210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may be more precisely adjusted using the distance adjusting screw 235. In this way, the welding torch 210 can be adjusted in various ways by utilizing various driving units and various adjustment structures independently arranged on the second body 20 and welding can be performed smoothly.

도 7은 도 1의 배관용접장치의 제1몸체의 부분확대도이고, 도 8은 도 1의 배관용접장치의 이동조절부의 작동도이며, 도 9는 도 1의 배관용접장치의 접촉 휠의 작동도이다. 도 8은 제1몸체의 저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제1몸체의 배면을 도시한 것이다.7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first body of the pipe welding apparatus of FIG. 1, FIG. 8 is an operation diagram of a movement control unit of the pipe welding apparatus of FIG. 1, and FIG. 9 is an operation of a contact wheel of the pipe welding apparatus of FIG. Is also. FIG. 8 shows the bottom of the first body, and FIG. 9 shows the rear of the first body.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10)는 내부에 수용공간(101)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용공간(101)은 차단커버(도 1의 102참조)를 개방하여 노출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체인(도 8 및 10의 A참조)등을 결합하고 내부로 통과시키는 데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제1몸체(10)에는 수용공간(101)을 가로질러 배치되며 체인과 치합되는 스프로킷이 배치된다. 스프로킷은 제1구동부(12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스프로킷(111), 제1스프로킷(111)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제2스프로킷(도 8의 112참조), 및 수용공간(101) 내부를 평행 이동하여 제2스프로킷(112)과의 거리가 변경되는 제3스프로킷(도 8의 113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부(120)는 제1모터(121) 및 제1모터(121)와 제1스프로킷(111)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모터(121)의 구동력을 제1스프로킷(111)에 전달하는 구동기어(122, 123, 124)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기어(122, 123, 124)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중 하나는 제1모터(121)에, 다른 하나는 제1스프로킷(111)에 결합되고 그 사이에 위치하는 구동기어로 기어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구동기어의 배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다양하게 바뀔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first body 10 includes an accommodation space 101 therein. As described above, the receiving space 101 can be exposed by opening the blocking cover (see 102 in Fig. 1), through which the chain (see A in Figs. 8 and 10), etc. can be easily used to couple and pass inside. I can. In the first body 10, a sprocket is disposed across the receiving space 101 and engaged with the chain. The sprocket is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unit 120 to rotate the first sprocket 111, the second sprocket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procket 111 (see 112 in FIG. 8), and the interior of the receiving space 101. It may include a third sprocket (see 113 of FIG. 8) in which a distance to the second sprocket 112 is changed by moving in parallel. The first driving unit 12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motor 121 and the first motor 121 and the first sprocket 111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of the first motor 121 to the first sprocket 111. It may include driving gears 122, 123, 124. The driving gears 122, 123, 124 may be formed in plural, one of which is coupled to the first motor 121 and the other is coupled to the first sprocket 111, and is a driving gear positioned therebetween. Can be adjusted. The arrangement of the drive gear need not be limited as shown and can be variously changed.

제3스프로킷(113)의 양 단부에는 제3스프로킷(113)과 각각 수직하게 연결되어 정역 회전하며 제3스프로킷(113)을 평행 이동시키는 한 쌍의 가이드스크류(도 8의 114, 115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제3스프로킷(113)은 고정된 제2스프로킷(112)을 향해 평행 이동하며 체인과의 결합상태를 조정할 수 있으며 특히, 한 쌍의 가이드스크류(114, 115)와 가이드스크류(114, 115)를 구동하는 이동조절부(130)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평행 이동할 수 있다. 이동조절부(130)는 가이드스크류(114, 115)의 사이에 위치하며 외부 구동장치와 접속 가능하게 축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중앙기어(131), 중앙기어(131)의 양 편에 치합되어 각각 중앙기어(131)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접속기어(132, 133), 및 각각 가이드스크류(114, 115)의 말단에 결합되어 접속기어(132, 133)와 치합되어 중앙기어(131)와 동일한 방향으로 가이드스크류(114, 115)를 회전시키는 한 쌍의 전달기어(134, 1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조절부(130)는 제1몸체(10)의 프레임 상에 배열된 복수 개의 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이동조절부(130)의 구조를 이용하여 한 쌍의 가이드스크류(114, 115)를 동기화시켜 작동시키며 제3스프로킷(113)을 안정적으로 평행이동 시킬 수 있다.At both ends of the third sprocket 113, a pair of guide screws (see 114 and 115 in Fig. 8) that are vert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sprocket 113 to rotate forward and backward, and move the third sprocket 113 in parallel. Can be formed. The third sprocket 113 moves in parallel toward the fixed second sprocket 112 and can adjust the coupling state with the chain. In particular, a pair of guide screws 114 and 115 and guide screws 114 and 115 It is possible to move more stably in parallel by the moving control unit 130 to be driven. The movement control unit 130 is located between the guide screws 114 and 115, and is engaged with both sides of the central gear 131 and the central gear 131 in which a part of the shaft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as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riving device. A pair of connection gears 132 and 133 rota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entral gear 131, respectively, are coupled to the ends of the guide screws 114 and 115 to engage the connection gears 132 and 133, respectively, and the central gear ( It may include a pair of transmission gears (134, 135) for rotating the guide screws (114, 115) in the same direction as 131. The movement control unit 130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gears arranged on the frame of the first body 10. Using the structure of the movement control unit 130, the pair of guide screws 114 and 115 are synchronized to operate, and the third sprocket 113 can be stably moved in parallel.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기어(131)의 말단에는 축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형성된 결합모듈(131a)이 배치될 수 있다. 결합모듈(131a)에는 외부의 구동장치[수동 또는 자동으로 회전력을 전달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중앙기어(131)를 좌 우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시킬 수 있다. 중앙기어(131)가 회전하면 한 쌍의 접속기어(132, 133)는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다시 한 쌍의 가이드스크류(114, 115) 각각에 연결된 한 쌍의 전달기어(134, 135)는 중앙기어(131)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서로 동기화 되어 회전한다. 이를 통해 한 쌍의 가이드스크류(114, 115)를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가이드스크류(114, 115) 사이에 연결된 제3스프로킷(113) 전체를 매우 안정적으로 평행이동 시킬 수 있다. 제3스프로킷(113)의 양 말단에는 연결블록(113a, 113b)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스크류(114, 115)는 각각의 연결블록(113a, 113b)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가이드스크류(114, 115)가 회전하면서 나사산을 통해 각각 연결블록(113a, 113b)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제3스프로킷(113)을 안정적으로 평행 이동 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8, a coupling module 131a formed by exposing a part of the shaft to the outside may be disposed at an end of the central gear 131. An external driving device (which may be a device capable of manually 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module 131a to rotate the central gear 131 in either left or right direction. When the central gear 131 rotates, the pair of connection gears 132 and 133 ro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a pair of transmission gears 134 and 135 connected to each of the pair of guide screws 114 and 115 Are rotated in synchronization with each other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entral gear 131. Through this, a pair of guide screws 114 and 115 can b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entire third sprocket 113 connected between the guide screws 114 and 115 can be moved in parallel very stably. Connection blocks 113a and 113b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third sprocket 113, and guide screws 114 and 115 may be screwed through each of the connection blocks 113a and 113b. Accordingly, while the pair of guide screws 114 and 115 rotates,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connection blocks 113a and 113b respectively through a screw thread, so that the third sprocket 113 can be stably moved in parallel.

이러한 이동조절부(130)의 구조를 이용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101)을 통과하는 체인(A)을 스프로킷과 매우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결합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2스프로킷(112)과 제3스프로킷(113)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여 장력도 조절해 줄 수 있다. 체인(A)은 제3스프로킷(113)의 외측을 지나 그 상부에 위치한 제1스프로킷(111)에 걸린 후 다시 제2스프로킷(112)의 외측을 지나는 형태로 체결될 수 있으며 제3스프로킷(113) 및 제2스프로킷(112)의 외측으로 빠져나간 나머지 부분은 파이프(도 10의 B참조)의 둘레에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제2스프로킷(112) 및 제1스프로킷(111)은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여 체인(A)과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제3스프로킷(113)을 이동조절부(130)를 이용한 평행 이동방식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간편하면서도 더욱 안정적으로 체인(A)과 결합할 수 있다. 제3스프로킷(113)은 한 쌍의 가이드스크류(114, 115)를 따라 안정적으로 움직이며 체인(A)에 밀착될 수 있고 따라서 가동구조를 가지면서도 양 말단이 가이드스크류(114, 115)에 의해 지지되어 밀착된 상태로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하다.Using the structure of the movement control unit 130, as shown in FIG. 8, the chain A passing through the accommodation space 101 can be very easily coupled to the sprocket or released. In addition, tension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sprocket 112 and the third sprocket 113. The chain (A) can be fastened in a form passing through the outside of the third sprocket 113 and being caught by the first sprocket 111 located at the top thereof and then passing through the outside of the second sprocket 112 again, and the third sprocket 113 ) And the rest of the second sprocket 112 that has passed outward may be connected to the periphery of the pipe (see B of FIG. 10). In particular, the second sprocket 112 and the first sprocket 111 are kept in a fixed state to maintain a stable coupling state with the chain (A), and the third sprocket 113 is parallel to the movement control unit 130. By moving in a movable method, it can be combined with the chain (A) simply and more stably. The third sprocket 113 stably moves along a pair of guide screws 114 and 115 and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hain A. Therefore, while having a movable structure, both ends are provided by guide screws 114 and 115. Stable rotation is possible while being supported and in close contact.

제1몸체(10)의 외면에는 배관용접장치에 연결된 케이블이나 와이어 등을 고정하기 위한 결속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1몸체(10)의 외면에 배치되고 일 측이 개방된 클램핑부재(151)와, 클램핑부재(151)의 외측을 둘러싸며 클램핑부재(151)에 밀착되어 클램핑부재(151)를 압박하는 고정쉐클(152)로 이루어진 결속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클램핑부재(151)는 탄성적으로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쉐클(152)은 접철 가능하게 형성된 제1암(152a) 및 제2암(152b)을 포함하여 제1암(152a)과 제2암(152b)이 클램핑부재(151) 외측에서 교차하여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암(152a)에 가압나사(152c)를 결합하고 제2암(152b)과 교차되었을 때 가압나사(152c)로 제2암(152b)을 가압하여 제1암(152a)과 제2암(152b) 사이의 간격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내측의 클램핑부재(151)를 압박할 수 있으며 클램핑부재(151)에 삽입된 케이블 등을 매우 견고하게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A binding structure for fixing cables or wires connected to the pipe welding device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0. As shown in FIG. 7, for example, a clamping member 151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0 and one side is open, and the clamping member 151 surrounds the outer side of the clamping member 151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lamping member 151 Thus, it is possible to form a binding structure composed of a fixing shackle 152 that presses the clamping member 151. The clamping member 151 may be formed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and the fixing shackle 152 includes a first arm 152a and a second arm 152b formed to be foldable, and the first arm 152a And the second arm 152b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clamping member 151 crosses and is coupled to each other. For example, when the pressure screw 152c is coupled to the first arm 152a and crosses the second arm 152b, the second arm 152b is pressed with the pressure screw 152c to form the first arm 152a. The distance between the and the second arm 152b may be changed. Through this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ss the inner clamping member 151 and it is possible to very firmly grip the cable or the like inserted into the clamping member 151.

제1몸체(10)의 파이프(도 10의 B참조)를 향하는 면에는 파이프에 접촉하여 제1몸체(10)를 파이프로부터 이격시키는 복수 개의 접촉 휠(16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휠(160)은 가동축(162)을 통해 제1몸체(10)에 연결된 베이스(16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베이스(161)는 가동축(162)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휠(160) 전체의 배열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접촉 휠(160)의 배열상태를 변경시켜 파이프와의 밀착된 정도를 조정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파이프로부터 제1몸체(10)를 보다 멀리 이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를 통해 파이프의 직경이 달라지는 경우에도 장치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접촉 휠(160)은 베이스(161)와 제1몸체(10)의 프레임에 형성된 위치고정홈(163, 164)을 관통하는 위치고정핀(165)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위치고정핀(165)은 배열상태 변경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결합될 수 있고 대응하는 위치에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위치고정홈(163, 164)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위치고정핀(165)을 관통시켜 결합함으로써 접촉 휠(160)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A plurality of contact wheels 160 may be formed on a surface of the first body 10 facing the pipe (see B of FIG. 10) to contact the pipe to separate the first body 10 from the pipe. As shown in Figure 9, the contact wheel 160 may include a base 161 connected to the first body 10 through a movable shaft 162, and the base 161 is centered on the movable shaft 162. As shown by rotation, the arrangement of the entire contact wheel 160 may be changed. By changing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contact wheel 160, the degree of close contact with the pipe may be adjusted, and if necessary, the first body 10 may be further separated from the pipe. In addition, through this, even when the diameter of the pipe is changed, the device can be easily mounted. The contact wheel 160 may be fixed by a position fixing pin 165 penetrating the base 161 and the position fixing grooves 163 and 164 formed in the frame of the first body 10. The position fixing pins 165 may be coupled to different positions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arrangement state, and a plurality of different position fixing grooves 163 and 164 may be form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respectively. The contact wheel 160 may be more firmly fixed by passing through the position fixing pin 165 and combining it.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배관용접장치의 사용예를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using the pipe welding devic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0.

도 10은 도 1의 배관용접장치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10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the pipe welding apparatus of FIG. 1.

배관용접장치(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파이프(B)에 장착될 수 있다. 배관용접장치(1)는 파이프(B) 둘레에 장착된 체인(A)에 걸려 체인(A)을 따라 파이프(B) 외주면을 이동하며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체인(A)은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B)의 외주면을 둘러싸 연결되며 적어도 일부는 제1몸체(10) 내측의 수용공간(도 7의 101참조)으로 통과되어 수용공간(101) 내부의 스프로킷[제1스프로킷(111), 제2스프로킷(112), 제3스프로킷(113)]에 치합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이동조절부(도 7 및 도 8의 130참조)의 조작을 통해 제3스프로킷(도 8의 113참조)을 평행 이동시킴으로써 체인(A)과 제1몸체(10)를 매우 편리하고 견고하게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배관용접장치(1)는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로 체인(A)을 따라서 파이프(B) 외주면을 이동하며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The pipe welding apparatus 1 may be mounted on the pipe B in a state as shown in FIG. 10. The pipe welding device 1 can perform a welding operation while mov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B) along the chain (A) by being caught by a chain (A) mounted around the pipe (B). The chain (A) is connected by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B) as shown, and at least a part is passed through the receiving space (see 101 in Fig. 7) inside the first body 10, and the sprocket inside the receiving space 101 It may be engaged with [the first sprocket 111, the second sprocket 112, and the third sprocket 113]. Particularly, the chain A and the first body 10 are very convenient and robust by moving the third sprocket (see 113 of FIG. 8) in parallel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movement control unit (see 130 in FIGS. 7 and 8). It is possible to combine them. The pipe welding device 1 may perform a welding operation while mov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B) along the chain (A) in such a coupled state.

이때 전술한 제1거리조정 바(30) 및 한 쌍의 제2거리조정 바(41, 42)를 이용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사이의 거리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즉 도 10의 (a)와 같이 제2몸체(20)를 제1몸체(10)에 상대적으로 근접시키거나 또는 도 10의 (b)와 같이 제2몸체(20)를 제1몸체(10)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이격시킨 다양한 상태로 용접 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파이프(B) 외주면에 예열패드(C)와 같은 부착물이 넓게 형성된 경우에도 구애되지 않고 이를 용이하게 회피하며 편리하게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열패드(C) 등 부착물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 제1거리조정 바(30) 및 한 쌍의 제2거리조정 바(41, 42) 전체 길이는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 즉 파이프(B)의 예열이나 후열 등의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도 용접토치(210)가 형성된 제2몸체(20)를 제1몸체(10) 외측으로 확장시키며 예열패드(C)와의 불필요한 간섭을 제거하고 원활하게 용접을 진행할 수 있다. 특히 제1거리조정 바(30) 및 한 쌍의 제2거리조정 바(41, 42)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적 특징을 통해 확장된 상태로도 매우 견고하고도 안정된 지지구조를 형성하는바 각각 하중이 집중된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를 서로 이격된 상태로도 견고하게 지지하며 구조적인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술한 구동구조를 이용한 용접토치(210)의 위치 조정 등도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용접작업의 질도 개선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is freely adjusted as shown by using the aforementioned first distance adjustment bar 30 and a pair of second distance adjustment bars 41 and 42. Can be adjusted. That is, as shown in Fig. 10 (a), the second body 20 is relatively close to the first body 10, or as shown in Fig. 10 (b), the second body 20 is moved to the first body 10 The weld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very conveniently in various states relatively far away from. Through this, even if an attachment such as a preheating pad (C) is wide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B), it is easily avoided and welding can be performed conveniently. When the size of the attachment such as the preheating pad (C) is changed, the total length of the first distance adjustment bar 30 and the pair of second distance adjustment bars 41 and 42 may be changed correspondingly. That is, even when preheating or postheating of the pipe (B) is required, the second body 20 on which the welding torch 210 is formed is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body 10 and unnecessary interference with the preheating pad (C) is eliminated. And the welding can proceed smoothly. In particular, the first distance adjustment bar 30 and the pair of second distance adjustment bars 41 and 42 form a very strong and stable support structure even in an extended state through the structural features as described above. The concentrated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are firmly supported even whe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structural stability can be maintain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more precise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welding torch 210 using the above-described driving structure, and thus improve the quality of the welding operation.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can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1: 배관용접장치 10: 제1몸체
20: 제2몸체 30: 제1거리조정 바
31: 제1프레임 32: 제2프레임
32a: 돌출편 33: 제3프레임
34: 커버 41, 42: 제2거리조정 바
41a, 42a: 슬라이딩 레일 41b, 42b: 홀더
101: 수용공간 102: 차단커버
102a: 고정클립 111: 제1스프로킷
112: 제2스프로킷 113: 제3스프로킷
113a, 113b: 연결블록 114, 115: 가이드스크류
120: 제1구동부 121: 제1모터
122, 123, 124: 구동기어 130: 이동조절부
131: 중앙기어 131a: 결합모듈
132, 133: 접속기어 134, 135: 전달기어
140: 제4구동부 141: 제4모터
142: 제2스크류 143: 제2이동블록
151: 클램핑부재 152: 고정쉐클
152a: 제1암 152b: 제2암
152c: 가압나사 160: 접촉 휠
161: 베이스 162: 가동축
163, 164: 위치고정홈 165: 위치고정핀
210: 용접토치 211: 헤드
220: 제2구동부 221: 제2모터
222: 제1스크류 223: 제1이동블록
224: 벨트연결부 230: 제3구동부
231: 제3모터 232: 웜기어
233: 회전기어 234: 회전모듈
235: 거리조절나사 235a: 핸들
240: 가동조인트부 241: 힌지축
242: 고정지지부 243: 가동지지부
244: 가이드홈 245: 위치고정나사
A: 체인 B: 파이프
C: 예열패드
1: pipe welding device 10: first body
20: second body 30: first distance adjustment bar
31: first frame 32: second frame
32a: protruding piece 33: third frame
34: cover 41, 42: second distance adjustment bar
41a, 42a: sliding rail 41b, 42b: holder
101: accommodation space 102: blocking cover
102a: fixing clip 111: first sprocket
112: second sprocket 113: third sprocket
113a, 113b: connection block 114, 115: guide screw
120: first driving unit 121: first motor
122, 123, 124: drive gear 130: movement control unit
131: central gear 131a: coupling module
132, 133: connection gear 134, 135: transmission gear
140: fourth driving unit 141: fourth motor
142: second screw 143: second moving block
151: clamping member 152: fixed shackle
152a: first arm 152b: second arm
152c: pressure screw 160: contact wheel
161: base 162: movable shaft
163, 164: position fixing groove 165: position fixing pin
210: welding torch 211: head
220: second driving unit 221: second motor
222: first screw 223: first moving block
224: belt connection 230: third driving unit
231: third motor 232: worm gear
233: rotation gear 234: rotation module
235: distance adjusting screw 235a: handle
240: movable joint part 241: hinge shaft
242: fixed support 243: movable support
244: guide groove 245: positioning screw
A: Chain B: Pipe
C: preheating pad

Claims (5)

파이프 둘레에 장착된 체인에 걸려 상기 체인을 따라 상기 파이프 둘레를 이동하며, 상기 체인을 통과시키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을 가로질러 배치되어 상기 체인과 치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로킷, 및 상기 스프로킷과 연결되어 상기 스프로킷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를 포함하는 제1몸체;
상기 제1몸체로부터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말단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향하는 용접토치와, 상기 용접토치를 일 방향으로 직선운동시키는 제2구동부, 및 상기 용접토치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용접토치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제3구동부를 포함하는 제2몸체;
상기 제1몸체로부터 상기 제2몸체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2몸체를 지지하며 신축이 가능하게 형성된 제1거리조정 바; 및
상기 제1거리조정 바와 이격되어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 양 측에서 각각 돌출되며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 사이에서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속되는 한 쌍의 제2거리조정 바를 포함하는 배관용접장치.
A receiving space that is hooked on a chain mounted around a pipe and moves around the pipe along the chain and passes the chain, at least one sprocket disposed across the receiving space and engaged with the chain, and the sprocket A first body connected to the first body including a first driving part for rotating the sprocket;
The welding torch is locate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the end of which fac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a second driving part for linearly moving the welding torch in one direction, and one side of the welding torch A second body disposed and including a third driving unit for changing an angle of the welding torch;
A first distance adjustment bar extending from the first body toward the second body to support the second body and to be stretchable; And
And a pair of second distance adjustment bars that ar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istance adjustment bar and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respectively, and are slidably connected to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Pipe weld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는, 상기 제2구동부와 상기 용접토치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형성하며 힌지축을 중심으로 굴절되어 상기 용접토치의 배열상태를 변경시키는 가동조인트부를 더 포함하는 배관용접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body further comprises a movable joint part that forms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second driving part and the welding torch, and is bent about a hinge axis to change an arrangement state of the welding tor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구동부는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에 치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용접토치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회전기어가 형성된 회전모듈, 및 상기 용접토치를 상기 회전모듈에 고정시키되 나사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중심과 상기 용접토치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나사를 포함하는 배관용접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hird driving unit includes a worm gear, a rotation module having a rotation gear engaged with the worm gear and rotating to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welding torch, and fixing the welding torch to the rotation module, but rotating by screwing. Pipe welding apparatus comprising a distance adjusting screw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rotation center and the welding tor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로킷은 상기 제1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스프로킷, 상기 제1스프로킷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제2스프로킷, 및 상기 수용공간 내부를 평행 이동하여 상기 제2스프로킷과의 거리가 변경되는 제3스프로킷을 포함하고,
상기 제3스프로킷의 양 단부에 상기 제3스프로킷과 각각 수직하게 연결되어 정역 회전하며 상기 제3스프로킷을 평행 이동시키는 한 쌍의 가이드스크류를 더 포함하는 배관용접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procket is a first sprocket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unit and rotated, a second sprocket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procket, and a third sprocket moving in parallel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to change the distance to the second sprocket. Including sprockets,
A pipe weld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guide screws at both ends of the third sprocket vert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sprocket to rotate forward and backward, and move the third sprocket in paralle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는, 상기 가이드스크류의 사이에 위치하며 외부 구동장치와 접속 가능하게 축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중앙기어, 상기 중앙기어의 양 편에 치합되어 각각 상기 중앙기어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접속기어, 및 각각 상기 가이드스크류의 말단에 결합되고 상기 접속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중앙기어와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한 쌍의 전달기어를 포함하는 이동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배관용접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body is positioned between the guide screws and is a central gear with a part of the shaft exposed to the outside so as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riving device, and is engaged with both sides of the central gear to rotat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entral gear, respectively. Pipe further comprising a movement control unit including a pair of connection gears, and a pair of transmission gears each coupled to an end of the guide screw and engaged with the connection gear to rotate the guide screw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enter gear Welding device.
KR1020190033132A 2019-03-22 2019-03-22 Apparatus for welding pipe KR1025171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132A KR102517145B1 (en) 2019-03-22 2019-03-22 Apparatus for welding pi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132A KR102517145B1 (en) 2019-03-22 2019-03-22 Apparatus for welding pi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516A true KR20200112516A (en) 2020-10-05
KR102517145B1 KR102517145B1 (en) 2023-04-03

Family

ID=72808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132A KR102517145B1 (en) 2019-03-22 2019-03-22 Apparatus for welding pi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14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0445A (en) * 2020-12-22 2022-06-29 주식회사 웰드텍 Automatic welding system for pipes
KR102459244B1 (en) * 2022-06-29 2022-10-26 탐코리아 주식회사 Automatic overlay welding apparatus for inner or outer of a pip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236Y1 (en) * 2004-07-16 2004-10-11 정홍준 Mini welding carriager's welding angle controller of all cirection
KR101157014B1 (en) * 2011-03-11 2012-06-21 주식회사 에치에스테크 Automatic welding device of pipes
KR101315135B1 (en) 2012-04-09 2013-10-07 신우산업 주식회사 Apparatus welding for pipe
KR20130143456A (en) * 2012-06-21 2013-12-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Carriage for processing pipe
KR20140039818A (en) * 2012-09-25 2014-04-02 오동원 Weaving type welding apparatus for welding pip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236Y1 (en) * 2004-07-16 2004-10-11 정홍준 Mini welding carriager's welding angle controller of all cirection
KR101157014B1 (en) * 2011-03-11 2012-06-21 주식회사 에치에스테크 Automatic welding device of pipes
KR101315135B1 (en) 2012-04-09 2013-10-07 신우산업 주식회사 Apparatus welding for pipe
KR20130143456A (en) * 2012-06-21 2013-12-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Carriage for processing pipe
KR20140039818A (en) * 2012-09-25 2014-04-02 오동원 Weaving type welding apparatus for welding pip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0445A (en) * 2020-12-22 2022-06-29 주식회사 웰드텍 Automatic welding system for pipes
KR102459244B1 (en) * 2022-06-29 2022-10-26 탐코리아 주식회사 Automatic overlay welding apparatus for inner or outer of a pi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7145B1 (en) 202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3967B2 (en) Five-degree-of-freedom hybrid robot with rotational supports
KR20200112516A (en) Apparatus for welding pipe
RU2012473C1 (en) Device for welding the automotive body
ITMI20130725A1 (en) MANIPULATOR FOR THE COLLECTION AND POSITIONING OF PIECES
US20190030734A1 (en) Robot arm mechanism and rotary joint apparatus
GB2045720A (en) Automatic apparatus for holding workpieces or work tools
WO2012108226A1 (en) Cable support device
JPS62502326A (en) A lock transmission for produc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two mutually guided mechanical parts
US6658708B2 (en) Tenter apparatus
CN214134630U (en) Positioning fixture for welding
CN107440798B (en) Robot control device
JP2009501647A (en) Module for forming mechanized movable structure and mechanized movable module structure
BR0007730B1 (en) method and device for welding two pipes together.
KR101450182B1 (en) pipe bending apparatus for securing of flatness
US1321729A (en) Tube-drawing apparatus.
ITMI20130726A1 (en) MANIPULATOR FOR THE COLLECTION AND POSITIONING OF PIECES
US3464685A (en) Pipe cutting machine
JP2017008971A (en) Uniaxial actuator device
JP2016022487A (en) Shell welder
JPS61244986A (en) Flexible supporter for cable, etc.
JP5605775B2 (en) Belt conveyor
JP2021053707A (en) Multiaxial robot
JP5976594B2 (en) vendor
CN112605600B (en) Clamping equipment suitable for clamping requirements of helical blades with different plate surface angles
CN112475750A (en) Method for adjusting outer diameter, spacing and orien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