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2466A - 소비전력 절감과 물 배출영역 확대가 가능한 임펠러 및 이를 적용한 전기식 물 순환장치 - Google Patents

소비전력 절감과 물 배출영역 확대가 가능한 임펠러 및 이를 적용한 전기식 물 순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2466A
KR20200112466A KR1020190033000A KR20190033000A KR20200112466A KR 20200112466 A KR20200112466 A KR 20200112466A KR 1020190033000 A KR1020190033000 A KR 1020190033000A KR 20190033000 A KR20190033000 A KR 20190033000A KR 20200112466 A KR20200112466 A KR 20200112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re
blade
overlapping
imp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규
Original Assignee
리녹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녹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리녹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3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2466A/ko
Publication of KR20200112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4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ropellers
    • B01F7/22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0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01F2215/005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펠러 및 이를 적용한 전기식 물 순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날개와 코어의 형상 구조를 개량하여 소비전력 절감과 물 배출영역 확대가 가능한 임펠러 및 이를 적용한 전기식 물 순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용수원 내에 설치되어 물을 강제로 순환시켜 상기 용수원의 수질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전기 물 순환장치에서 물에 상승흐름을 유도하는 것으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의 구동축 단부에 외삽된 코어와, 상기 코어의 외주면 양측에 각각 서로 대칭되게 환설되고 회전 운동시 앞이 되는 일측에서 회전 운동시 뒤가 되는 타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각각의 일측에 서로 상하로 중첩되는 중첩날개부가 구비되는 적어도 두 개의 회전날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감과 물 배출영역 확대가 가능한 임펠러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소비전력 절감과 물 배출영역 확대가 가능한 임펠러 및 이를 적용한 전기식 물 순환장치{Impeller and electric water circul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용수원 내에 설치되어 용수원에 저수된 물을 인위적으로 순환시켜 물의 흐름을 안정적으로 유도하여 부유물질을 제거하고 녹조현상을 억제하여 용수원의 수질 환경을 보호하는 소비전력 절감과 물 배출영역 확대가 가능한 임펠러 및 이를 적용한 전기식 물 순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속이 낮은 강이나 수심이 낮은 수원지, 저수지, 호소 등을 포함하는 크고 작은 용수원에는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부유물질과 녹조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용수원은 유속이 낮고 수심이 낮은 환경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하면서 물의 흐름이 전혀 또는 거의 없거나 상대적으로 적으면서 부유물질과 녹조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용수원에서 발생하는 부유물질과 녹조현상을 억제하기 위한 일환으로 용수원 내에서 인위적으로 물을 하부에서 상부로 순환시켜 물의 용존산소량을 높이고자 하는 다양한 구조의 전기식 물 순환 장치가 안출되었다.
전기식 물 순환 장치는 수중에 잠입된 수중관, 수중관의 상부에 설치되고 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 운동하여 수중관의 하부 인근인 수중 하층에 위치한 물을 수중관을 통해 수중관의 상부 인근인 수중 상층으로 토출하는 임펠러와, 수중관의 상부에 설치되어 임펠러에 의해 토출된 물을 수면 부근에서 사방으로 고르게 배출하는 분배접시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임펠러는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외삽되고 상하 직경이 일정한 코어와, 코어의 외주면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각각 설치되고 동일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회전날개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날개는 반원판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분배접시는 상부가 확개된 형태이고 상부 내주면에 복수 개의 가이드베인이 직선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종래의 전기식 물 순환 장치의 임펠러에 적용된 한 쌍의 회전날개는 반원판 형태임에 따라 상하로 서로 겹치지는 전혀 없어 회전 운동에 따른 물의 상승흐름이 순간순간 단절되면서 물을 상승시키는 견인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회전날개의 외주면 양단이 각이 진 형태임에 따라 회전 운동시 물에 의한 저항력이 강하게 작용하여 구동모터의 작동부하를 증가시키고 소비전력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코어가 상하로 직경이 일정한 원통 형태임에 따라 회전날개의 면적이 상하 구분없이 동일하여 물의 토출시 유속 변화가 거의 없으므로 분배접시를 통한 물의 배출영역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 물의 용존산소량을 높이는 효과가 미미한 문제점이 있다.
회전 운동에 따른 물의 상승흐름을 단절 없이 연속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고 물의 토출 유속을 증대시킬 수 있고 물에 의한 회전저항을 줄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임펠러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7318호, 2006.01.26.자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5021호, 2011.09.26.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64262호, 2018.07.09.자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소비전력을 절감하여 운용비용을 줄일 수 있고 물의 배출영역을 확대하여 물의 용존산소량을 높일 수 있도록, 물의 상승흐름을 단절 없이 연속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고 회전저항을 줄일 수 있으며 물의 토출 유속을 증대시킬 수 있는 소비전력 절감과 물 배출영역 확대가 가능한 임펠러 및 이를 적용한 전기식 물 순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 절감과 물 배출영역 확대가 가능한 임펠러는 용수원 내에 설치되어 물을 강제로 순환시켜 상기 용수원의 수질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전기 물 순환장치에서 물에 상승흐름을 유도하는 것으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의 구동축 단부에 외삽된 코어와, 상기 코어의 외주면 양측에 각각 서로 대칭되게 환설되고 회전 운동시 앞이 되는 일측에서 회전 운동시 뒤가 되는 타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각각의 일측에 서로 상하로 중첩되는 중첩날개부가 구비되는 적어도 두 개의 회전날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식 물 순환장치는 용수원 내에 설치되어 물을 강제로 순환시켜 상기 용수원의 수질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용수원 내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되고 부력을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를 수면 위로 부상시키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를 수중으로 잠입시키는 부력부재;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하 길이방향 내부에 토출로가 형성되는 토출관; 상기 토출관의 상부 내측에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토출로의 내부에 존재하는 물에 와류형태의 상승흐름을 발생시켜 상기 토출관의 내부에 존재하는 물을 상기 토출관의 상부로 상승 견인하여 토출하는 임펠러; 및 상기 토출관의 상부에 설치되고 중심 내부에 상기 토출로와 연통하는 확대배출통로가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확대되게 형성되어 상기 임펠러에 의해 상기 토출관의 상부로 토출된 물을 수면 위에서 사방으로 배출하여 공기와 접촉되도록 하는 확대배출관;을 포함하되, 상기 임펠러는 상기 구동축의 단부에 외삽된 코어와, 상기 코어의 외주면 양측에 각각 서로 대칭되게 환설되고 회전 운동시 앞이 되는 일측에서 회전 운동시 뒤가 되는 타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각각의 일측에 서로 상하로 중첩되는 중첩날개부가 구비되는 적어도 두 개의 회전날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임펠러의 회전날개가 일정부분이 상하로 중첩되도록 중첩날개부가 일측에 구비되어 임펠러의 회전 운동시 물의 상승흐름을 단절 없이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물의 토출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중첩날개부의 외주면 단부에 곡률지게 형성된 회전저항감소부가 구비되어 임펠러의 회전 운동시 회전날개가 작용하는 물에 의한 회전저항을 줄일 수 있으므로 구동모터의 작동 부하를 줄이고 이에 소비되는 전력도 줄일 수 있다.
회전날개의 일측 단부면에 물을 상방으로 더 견인하기 위한 상방날개부가 구비되어 물에 상승흐름을 더욱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임펠러의 코어가 상하 외경이 일정한 원통코어와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축소되는 경사코어로 구성되어 중첩날개부와 회전날개의 면적을 상부로 갈수록 축소되다가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임펠러의 회전 운동시 회전날개에 의해 상승흐름을 타고 상방으로 견인되는 물의 유속을 증대시켜 확대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배출영역을 확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비전력 절감과 물 배출영역 확대를 위한 임펠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비전력 절감과 물 배출영역 확대를 위한 임펠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비전력 절감과 물 배출영역 확대를 위한 임펠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물 순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용수원 내에 설치되어 용수원에 저수된 물을 인위적으로 순환시켜 물의 흐름을 안정적으로 유도하여 부유물질을 제거하고 녹조현상을 억제하여 용수원의 수질 환경을 보호하는 소비전력 절감과 물 배출영역 확대가 가능한 임펠러 및 이를 적용한 전기식 물 순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소비전력 절감과 물 배출영역 확대가 가능한 임펠러 및 이를 적용한 전기식 물 순환장치는 물의 배출영역을 확대할 수 있으므로 물의 용존산소량을 높여 용수원의 수질 개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소비전력을 절감하고 작동부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운용비용을 줄이고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물에 상승흐름을 발생시켜 물을 상방으로 견인하여 토출하는 임펠러를 이루는 회전날개와 코어의 형상 구조를 개량한 구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비전력 절감과 물 배출영역 확대가 가능한 임펠러 및 이를 적용한 전기식 물 순환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물 순환장치(100)는 용수원 내에 설치되어 용수원에 존재하는 물의 수질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 부력부재(20), 정체수단(30), 구동모터(40), 토출관(50), 임펠러(60) 및 확대배출관(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상부가 수면 위로 부상하고 하부가 수중으로 잠입하여 구동모터(40)와 토출관(50)과 임펠러(60)와 확대배출관(70)을 지지하는 구성이다.
지지프레임(10)는 수면 위로 부상하는 부상플레이트(11)와, 부상플레이트(11)의 하부에 복수 개의 수직지지간에 의해 이격되게 연결되고 수중으로 잠입하는 잠입림(12)으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부력부재(20)는 지지프레임(10)의 외측에 복수 개가 일정간격으로 연결되어 자체 부력을 통해 지지프레임(10)을 수면 위로 안정적으로 부상시키고 토출관(50)과 임펠러(60)와 확대배출관(70)을 수중에 잠입시키는 구성이다.
부력부재(20)는 부력을 발휘하는 복수 개의 부구(21)와, 각각의 부구(21)를 부상플레이트(11)와 잠입림(12)의 외측에 일정간격으로 연결하여 부구(21)의 부력을 이용하여 부상플레이트(11)가 수면 위로 부상하게 상방으로 견인하고 잠입플레이트(12)를 수중으로 잠입되게 하방으로 견인하는 견인다리(22)와, 각각의 부구(21)를 설치위치별로 일정개수씩 연결하는 연결구(23)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정체수단(30)은 지지프레임(10)이 용수원 내에서 물의 흐름에 따라 자유롭게 이동하지 않고 정해진 위치에서 정체되도록 정체 하중을 수직 하방으로 작용하는 구성이다.
정체수단(30)은 부력부재(20)에 연결된 연결체인(31)과, 연결체인(31)의 단부에 고정되고 정체 하중을 가지며 수중 바닥에 안착되는 앵커(32)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모터(40)는 부상플레이트(11)의 중심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임펠러(60)의 회전을 위해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구동모터(40)는 모터몸체(41)가 부상플레이트(11)의 중심에 고정되고 부상플레이트(11)와 잠입림(12)의 사이에서 모터몸체(41)가 상방을 향하고 구동축(42)이 하방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토출관(50)은 수중에 수직으로 잠입되도록 잠입림(12)에 상부가 고정 거치되어 임펠러(60)의 회전에 따라 물이 상방으로 토출되도록 물의 토출로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토출관(50)은 내부에 물이 토출되는 토출로가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관(50)은 용수원의 수심이나 구동모터(40)의 출력에 대응되게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신축을 위한 주름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임펠러(60)는 토출관(50)의 상부에서 구동모터(40)의 구동축(42)에 연결되어 구동모터(40)의 구동에 따라 회전 운동하면서 토출관(50)의 내부에 존재하는 물을 토출로를 따라 상방으로 견인하여 토출관(50)의 상부로 토출하는 구성이다.
임펠러(60)는 회전 운동에 따라 토출관(50)의 토출로 내부에 존재하는 물에 와류형태의 상승흐름을 인위적으로 발생시켜 물이 상승흐름을 타고 토출관(50)의 상부로 상승하도록 견인력을 유도함으로써 토출관(50)의 하부에 존재하는 물을 토출관(50)의 상부로 자연스롭게 토출할 수 있다.
임펠러(6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42)에 외삽되는 코어(61)와, 코어(61)의 외주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서로 대칭되게 환설되어 코어(61)와 함께 일체로 회전하면서 물에 상승흐름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두 개의 전날개로 구성된다.
회전날개는 실시예에 따라 한 쌍을 이루도록 제1회전날개(621)와 제2회전날개(622)로 구성될 수 있다. 제1회전날개(621)와 제2회전날개(622)는 각각 임펠러(60)의 회전시 앞이 되는 일측에서 뒤가 되는 타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회전날개(621)와 제2회전날개(622)는 회전 운동에 따라 물을 상부로 견인하여 토출할 수 있도록 물에 와류형태의 상승흐름을 인위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제1회전날개(621)와 제2회전날개(622)에는 각각 적어도 반원보다 큰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에 상하 동일선상에서 서로 중첩되고 하방으로 곡률지게 경사진 제1중첩날개부(621a)와 제2중첩날개부(622a)가 각각 구비된다.
회전날개가 3개로 구성될 경우 적어도 1/3원보다 큰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4개로 구성될 경우 적어도 1/4원보다 큰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5개로 구성될 경우 적어도 1/5원보다 큰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중첩날개부(621a)와 제2중첩날개부(622a)는 회전날개(62)가 회전 운동하여 물에 상승흐름을 인위적으로 발생시킬 때 물의 상승흐름이 단절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제1중첩날개부(621a)는 제1회전날개(621)에 의해 발생되는 물의 상승흐름이 제1회전날개(621)의 타측에서 제2회전날개(622)의 일측까지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하여 물의 상승흐름을 연속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제2중첩날개부(622a)는 제2회전날개(622)에 의해 발생되는 물의 상승흐름이 제1회전날개(621)의 타측에서 제2회전날개(622)의 일측까지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하여 물의 상승흐름을 연속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제1중첩날개부(621a)와 제2중첩날개부(622a)에는 도 1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 단부에 수평으로 곡률지게 형성된 제1회전저항감소부(621b)와 제2회전저항감소부(622b)가 각각 구비된다.
제1회전저항감소부(621b)와 제2회전저항감소부(622b)는 제1회전날개(621)와 제2회전날개(622)가 회전 운동하여 물의 상승흐름을 유도할 때 회전시 전방에 있는 물과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하는 회전저항을 감소시켜 구동모터(40)의 작동부하를 줄일 수 있다.
제1회전날개(621)와 제2회전날개(622)의 타측 단부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곡률지게 경사진 제1상승날개부(621c)와 제2상승날개부(622c)가 각각 구비된다.
제1상승날개부(621c)와 제2상승날개부(622c)는 제1회전날개(621)와 제2회전날개(622)의 회전을 따라 물의 상승흐름을 유도할 때 물을 상방으로 더 견인함으로써 물에 상승흐름을 더욱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제1중첩날개부(621a)와 제2중첩날개부(621b)가 하향으로 경사진 곡률과, 제1상승날개부(621c)와 제2상승날개부(622c)가 상향으로 경사진 곡률은 제1회전날개(621)와 제2회전날개(622)의 곡률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제1상승날개부(621c)와 제2상승날개부(622c)의 곡률과, 제1상승날개부(621c)와 제2상승날개부(622c)의 곡률에 의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물을 임펠러(60)로 유입시킬 수 있고 임펠러(60)로 유입된 물의 유속도 증대시켜 신속하게 상방으로 견인하여 토출할 수 있다.
코어(6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며 외주면에 제1중첩날개부(621a)와 제2중첩날개부(622a)의 내주면 전체와 제1회전날개(621)와 제2회전날개(622)의 일측 내주면이 연결되는 경사코어(612)와, 경사코어(612)의 상부에 연장되고 상하로 외경이 일정하고 외주면에 제1회전날개(621)와 제2회전날개(622)의 타측 내주면이 연결되는 원통코어(611)로 구성된다.
경사코어(612)는 제1중첩날개부(621a)와 제2중첩날개부(622a)의 면적과, 제1회전날개(621)와 제2회전날개(622)의 일측 면적을 상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축소시키고, 원통코어(611)는 제1회전날개(621)와 제2회전날개(622)의 타측 면적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경사코어(612)는 제1중첩날개부(621a)와 제2중첩날개부(622a)와 제1회전날개(621)와 제2회전날개(622)의 면적을 점진적으로 축소시킴으로써 물의 상승흐름에 유속을 증대시켜 확대배출관(70)을 통해 수면 위로 배출되는 물의 배출영역을 확대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확대배출관(70)은 토출관(50)의 상부에 설치되어 토출관(50)을 통해 토출되는 물이 공기와 접촉되도록 수면 위에서 사방으로 배출하여 물의 용존산소량을 높여 주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전기식 물 순환장치
10: 지지프레임 11: 부상플레이트
12: 잠입림 20: 부력부재
21: 부구 22: 견인다리
23: 연결구 30: 앵커부재
32: 연결체인 32: 앵커
40: 토출관 50: 구동모터
51: 모터몸체 52: 구동축
60: 임펠러 61: 코어
611: 원통코어 612: 경사코어
62: 회전날개 621: 제1회전날개
621a: 제1중첩날개부 621b: 제1회전저항감소부
621c: 제1상승날개부 622: 제2회전날개
622a: 제2중첩날개부 622b: 제2회전저항감소부
622c: 제2상승날개부 70: 확대배출관

Claims (8)

  1. 용수원 내에 설치되어 물을 강제로 순환시켜 상기 용수원의 수질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전기 물 순환장치에서 물에 상승흐름을 유도하는 것으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의 구동축 단부에 외삽된 코어와,
    상기 코어의 외주면 양측에 각각 서로 대칭되게 환설되고 회전 운동시 앞이 되는 일측에서 회전 운동시 뒤가 되는 타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각각의 일측에 서로 상하로 중첩되는 중첩날개부가 구비되는 적어도 두 개의 회전날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감과 물 배출영역 확대가 가능한 임펠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날개부의 외주면 단부에는
    수평으로 곡률지게 형성된 회전저항감소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감과 물 배출영역 확대가 가능한 임펠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의 타측 단부면에는
    상방으로 곡률지게 경사진 상승날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감과 물 배출영역 확대가 가능한 임펠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점진적으로 축소되고 외주면에 상기 중첩날개부의 내주면 전체와 상기 회전날개의 일측 내주면이 각각 연결되어 상부로 갈수록 상기 중첩날개부의 면적과 상기 회전날개의 일측 면적이 점진적으로 축소되게 하는 경사코어와,
    상기 경사코어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하 외경이 일정하며 외주면에 상기 회전날개의 타측 내주면이 연결되어 상기 회전날개의 타측 면적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하는 원통코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감과 물 배출영역 확대가 가능한 임펠러.
  5. 용수원 내에 설치되어 물을 강제로 순환시켜 상기 용수원의 수질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용수원 내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되고 부력을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를 수면 위로 부상시키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를 수중으로 잠입시키는 부력부재;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하 길이방향 내부에 토출로가 형성되는 토출관;
    상기 토출관의 상부 내측에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토출로의 내부에 존재하는 물에 와류형태의 상승흐름을 발생시켜 상기 토출관의 내부에 존재하는 물을 상기 토출관의 상부로 상승 견인하여 토출하는 임펠러; 및
    상기 토출관의 상부에 설치되고 중심 내부에 상기 토출로와 연통하는 확대배출통로가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확대되게 형성되어 상기 임펠러에 의해 상기 토출관의 상부로 토출된 물을 수면 위에서 사방으로 배출하여 공기와 접촉되도록 하는 확대배출관;을 포함하되,
    상기 임펠러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 단부에 외삽된 코어와,
    상기 코어의 외주면 양측에 각각 서로 대칭되게 환설되고 회전 운동시 앞이 되는 일측에서 회전 운동시 뒤가 되는 타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각각의 일측에 서로 상하로 중첩되는 중첩날개부가 구비되는 적어도 두 개의 회전날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물 순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날개부의 외주면 단부에는
    수평으로 곡률지게 형성된 회전저항감소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물 순환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의 타측 단부면에는
    상방으로 곡률지게 경사진 상승날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물 순환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점진적으로 축소되고 외주면에 상기 중첩날개부의 내주면 전체와 상기 회전날개의 일측 내주면이 각각 연결되어 상부로 갈수록 상기 중첩날개부의 면적과 상기 회전날개의 일측 면적이 점진적으로 축소되게 하는 경사코어와,
    상기 경사코어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하 외경이 일정하며 외주면에 상기 회전날개의 타측 내주면이 연결되어 상기 회전날개의 타측 면적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하는 원통코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물 순환장치.
KR1020190033000A 2019-03-22 2019-03-22 소비전력 절감과 물 배출영역 확대가 가능한 임펠러 및 이를 적용한 전기식 물 순환장치 KR202001124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000A KR20200112466A (ko) 2019-03-22 2019-03-22 소비전력 절감과 물 배출영역 확대가 가능한 임펠러 및 이를 적용한 전기식 물 순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000A KR20200112466A (ko) 2019-03-22 2019-03-22 소비전력 절감과 물 배출영역 확대가 가능한 임펠러 및 이를 적용한 전기식 물 순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466A true KR20200112466A (ko) 2020-10-05

Family

ID=72809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000A KR20200112466A (ko) 2019-03-22 2019-03-22 소비전력 절감과 물 배출영역 확대가 가능한 임펠러 및 이를 적용한 전기식 물 순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2466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318Y1 (ko) 2005-11-15 2006-01-26 한국수자원공사 수중폭기장치
KR20110105021A (ko) 2010-03-18 2011-09-26 주식회사 솔라비 내파성이 향상된 태양광 물 순환장치
KR101876426B1 (ko) 2017-10-27 2018-07-09 주식회사 씨앤씨솔루션 전기케이블 및 앵커체인 꼬임이 방지되게 하는 전기식 물 순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318Y1 (ko) 2005-11-15 2006-01-26 한국수자원공사 수중폭기장치
KR20110105021A (ko) 2010-03-18 2011-09-26 주식회사 솔라비 내파성이 향상된 태양광 물 순환장치
KR101876426B1 (ko) 2017-10-27 2018-07-09 주식회사 씨앤씨솔루션 전기케이블 및 앵커체인 꼬임이 방지되게 하는 전기식 물 순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9050B2 (ja) 水により駆動される少なくともひとつのタービンのための支持装置
KR101813440B1 (ko) 부유식 기반을 가진 부유식 풍력 터빈, 및 이 풍력 터빈의 설치 방법
RU2349791C2 (ru) Погружные гидравлические турбины, установленные на деке
JP5242135B2 (ja) 水流発電装置
AU2008338257B2 (en) Apparatus for extracting energy from flowing water
JP2007515588A5 (ko)
KR101032455B1 (ko) 수차를 이용한 발전장치
KR101828455B1 (ko) 평형수 방식의 잠수형 부력체와 강체형 수중 고정부재를 구비한 조류제거용 물순환 장치
JP5103571B2 (ja) 発電装置
KR101876426B1 (ko) 전기케이블 및 앵커체인 꼬임이 방지되게 하는 전기식 물 순환장치
WO2015173477A1 (en) System for forming an artificial wave
GB2119449A (en) Abstracting energy from water subject to wave motion
JP2008133819A5 (ko)
KR20140101710A (ko) 부력을 이용한 유수발전기 고정방법
KR101710653B1 (ko) 내만 빈산소 수괴 해소를 위한 수층 혼합확산장치
JP2001221142A (ja) 水力、波力、および、風力のエネルギー変換装置
KR20200112466A (ko) 소비전력 절감과 물 배출영역 확대가 가능한 임펠러 및 이를 적용한 전기식 물 순환장치
KR101550453B1 (ko) 잠수식 부잔교를 구비하는 도교
KR100718553B1 (ko) 수중 환경 개선 장치
JP6393893B1 (ja) 幕式水路
JP3464134B2 (ja) 底層水揚水装置
CN213417970U (zh) 一种适用于泵站进水池的浮动式消除漩涡装置
CN213625426U (zh) 除涡装置
TWI762295B (zh) 利用導流/自動調整吃水深度以增加發電效率的水輪發電裝置
KR101991741B1 (ko) 현장 설치 용이성과 운영 안정성을 향상시킨 물 순환식 수질개선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질개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