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2454A - System for calculating the appropriate royalty rate for technology or business item evaluation - Google Patents

System for calculating the appropriate royalty rate for technology or business item evalu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2454A
KR20200112454A KR1020190032960A KR20190032960A KR20200112454A KR 20200112454 A KR20200112454 A KR 20200112454A KR 1020190032960 A KR1020190032960 A KR 1020190032960A KR 20190032960 A KR20190032960 A KR 20190032960A KR 20200112454 A KR20200112454 A KR 20200112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chnology
score
calculation module
business
con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9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현재호
이민섭
Original Assignee
(주)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filed Critical (주)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Priority to KR1020190032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2454A/en
Publication of KR20200112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45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ppropriate royalty rate calculation system comprises: an expected operating margin calculation module which detects the expected operating margin according to the business type and size of a company from a database according to a business type code or business type characteristics; a maximum technology contribution calculation module which calculates an upper limit of technology contribution derived for each technology/industry group from the operating margin and royalties of the technology/industry group classified according to the business type code or business type characteristics; and a technology contribution adjustment factor calculation module which calculates a technology contribution adjustment factor to calculate the degree to which the technology to be evaluated contributes to the total sales or operating margin generation (appropriate technology contribution) from the maximum technology contribution.

Description

기술 또는 사업 아이템 가치평가를 위한 적정 로열티요율 산정 시스템{System for calculating the appropriate royalty rate for technology or business item evaluation}System for calculating the appropriate royalty rate for technology or business item evaluation

본 발명은 기술 또는 사업 아이템 가치평가를 위한 적정 로열티요율 산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기술 또는 사업 아이템에 대한 가치평가를 위한 적정 로열티요율(reasonable royalty rate)을 산정함에 있어, 가치평가 비용을 절감하고, 가치평가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또는 사업 아이템 가치평가를 위한 적정 로열티요율 산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calculating an appropriate royalty rate for valuation of a technology or business item. In calculating a reasonable royalty rate for valuation of a technology or business item, the valuation cost is reduced, It relates to a system for calculating an appropriate royalty rate for valuation of technology or business items that can shorten the valuation time.

일반적으로, 기술 또는 사업 아이템 가치평가는 기술의 사업화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경제적 가치를 산정하는 것으로, 기술 라이센싱, 사업추진여부 등의 의사결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업무이다.In general, valuation of technology or business items is a very important task in making decisions such as technology licensing and business promotion, as it is to calculate the economic value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commercialization of technology.

이와 같은, 기술 또는 사업 아이템 가치평가 방법의 유형은 크게 수익접근법, 시장접근법, 비용접근법으로 구분되며, 실제 산업현장에서는 수익접근법과 시장접근법이 활용되고 있다.The types of technology or business item valuation methods are largely divided into a revenue approach, a market approach, and a cost approach, and in actual industrial sites, the revenue approach and the market approach are used.

여기서, 수익접근법(income approach)은 기술이 적용된 제품으로부터 미래에 발생할 기업잉여현금흐름(free cash flow)의 현재가치를 계산한 후 기술이 기여한 만큼을 해당기술의 가치로 산정하는 방법이다.Here, the income approach is a method of calculating the present value of the free cash flow that will occur in the future from the product to which the technology is applied, and then calculating the contribution of the technology as the value of the technology.

이러한 수익접근법은 현금흐름추정, 기술기여도 추정, 경제적 수명추정 등 많은 자료의 수집분석이 필요하기 때문에, 고가의 기술가치 평가비용이 소요되며, 또한 수익접근법은 평가시점에 설정한 가정과 평가자의 주관적 판단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평가자와 평가시점에 의해 가치값이 달라지는 문제를 안고 있다.As such a revenue approach requires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a lot of data such as cash flow estimation, technology contribution estimation, economic life estimation, etc., expensive technology value evaluation costs are required, and the revenue approach also requires the assumptions set at the time of evaluation and subjective judgment of the evaluator. Because this works large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alue value varies depending on the evaluator and the evaluation point.

또한, 시장접근법(market approach)은 시장에서 유사 기술라이센싱 사례를 참고하여 협상을 통하여 "매출액의 일정 퍼센트"형태로 로열티요율을 정하는 방법으로서, 이러한 시장접근법은 사용상의 간편성 때문에 실제 산업계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로열티요율에 대한 과학적 근거와 논리가 부족하고, 적정 로열티요율을 산정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market approach is a method of determining the royalty rate in the form of "a certain percentage of sales" through negotiation by referring to similar technology licensing cases in the market. This market approach is widely used in the actual industry due to its simplicity in use.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cientific basis and logic for the royalty rate is lacking, and it is difficult to calculate an appropriate royalty rate.

더욱이, 종래의 수익접근법과 시장접근법의 기술 또는 사업 아이템 가치평가 방법은 기술적 완성도, 지식재산보호정도, 기술 또는 사업 아이템의 우수성 등 기술의 가치를 결정하는 결정적 요소를 명시적으로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Moreover, the technology or business item valuation method of the conventional revenue approach and market approach does not explicitly reflect the decisive factors that determine the value of the technology, such as technical completeness,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and excellence of technology or business items. Have.

위에서 설명한 수익접근법과 시장접근법 외에 평가대상기술에 해당하는 업종의 로열티 통계자료를 활용하는 방법도 있다. 즉, 하기 [수식]과 같이 업계 상위 로열티요율에 대해서 로열티 조정계수를 곱해서 계산하는 방법이다.In addition to the revenue approach and market approach described above, there is also a method of using royalties statistics for the industry that corresponds to the technology to be evaluated. In other words, it is a method of calculating by multiplying the royalty adjustment coefficient for the industry's top royalty rates as shown in [Equation] below.

[수식] [Equation]

적정 로열티요율(F) = 업계 상위 로열티요율 * 조정계수 Appropriate royalty rate (F) = industry-leading royalty rate * adjustment factor

상기의 방법에서 조정계수는 어떠한 요소를 어떻게 반영하는가에 따라 달라지는데, IP가치평가실무가이드(특허청)에서는 기술성(차별성, 혁신성, 파급성, 전망성, 대체성)과 시장성(수요성, 수익성, 생산용이성, 성장성, 경쟁성) 요인을 반영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In the above method, the adjustment factor varies depending on what factors and how it is reflected.In the IP Valuation Practice Guide (Patent Office), technology (differentiation, innovation, ripple effect, prospect, substitution) and marketability (demand, profitability, and ease of production) , Growth, competitiveness) factors.

공개특허 제10-2017-0114203호에서는 11개 영향요소(보호가능성, 기존 방법 대비 유용성, 배타성 범위, 도입자의 예상수익, 상업 성공가능성, 활용지역 제한성, 비교 가능한 로열티율, 보호기간, 제공자의 예상수익, 상업적 연관성, 기존 유사자산과 동일가격 판매가능성)를 반영하고 있다.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14203, 11 influencing factors (protection possibility, usefulness compared to existing methods, range of exclusion, expected revenue of the introducer, commercial success possibility, limited use area, comparable royalty rate, protection period, provider's prediction) Revenue, commercial relevance, and the likelihood of selling at the same price as existing similar assets).

그러나, 위와 같은 방법들은 로열티 조정계수를 산정함에 있어서 너무 많은 변수를 사용하거나 주관적 판단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조정계수 값 산출근거와 논리적 연관성을 가지기 어렵고, 시나리오에 따른 시뮬레이션 분석도 어려워진다.However, since the above methods use too many variables in calculating the royalty adjustment coefficient or subjective judgment is inevitable, it is difficult to have a logical relationship with the basis for calculating the adjustment coefficient value, and simulat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scenario becomes difficult.

또한, 공개특허 제10-2017-011420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유사업종 평균 로열티에 조정계수(1±α)를 적용하는 방법도 있는데, 이러한 방법은 어떠한 영향 요소로 인하여 로열티 조정계수가 1.0보다 높은지 낮은지를 판단하기가 어렵고, 의미있는 시뮬레이션 분석을 수행하는 데 한계가 존재한다.In addition,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7-0114203, there is also a method of applying an adjustment factor (1±α) to the average royalties of similar business types.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nd there are limitations in performing meaningful simulation analysis.

본 발명의 목적은, 기술 또는 사업 아이템에 대한 가치평가를 수행함에 있어서 기술 또는 사업 아이템 컨셉의 우수성, 기술적 완성도, 지식재산보호정도 등 기술가치 결정에 중요한 요소를 활용하여 적정 로열티요율(reasonable royalty rate)을 간편하게 산출함으로써, 가치평가 비용을 절감하고, 가치평가 시간을 단축하도록 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tilize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technology value, such as excellence of technology or business item concept, technical completeness, and degree of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in performing valuation on technology or business items, to provide reasonable royalty rates. ) Is simply calculated to reduce valuation cost and shorten valuation tim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업 아이템의 컨셉, 기술적 완성도, 지식재산보호정도 등의 점수 변화에 따른 로열티요율 변동에 대한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하여 스마트한 의사결정을 가능케 함에 있따.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smart decision-making through a simulation analysis of the change in the royalty rate according to the score change such as the concept of a business item, technical completeness, and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degree.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았으나 아래 수단들 또는 실시예상의 구체적인 구성에 따른 다른 목적들은 그 기재로부터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 and although not mentioned, other objects according to the following means or specific configurations of the embodiments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There will be.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또는 사업 아이템 가치평가를 위한 적정 로열티요율 산성 시스템은 기업의 업종과 규모에 따라 기대할 수 있는 영업 이익률을 업종 코드 또는 업종 특성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하는 기대 영업이익률 산정 모듈과, 업종 코드 또는 업종 특성에 따라 구분된 기술/산업군의 영업 이익률과 로열티로부터 기술/산업군 별로 도출되는 기술기여도의 상한선을 산정하는 최대 기술기여도 산정 모듈 및 최대 기술기여도로부터 평가대상기술이 전체 매출 또는 영업이익 발생에 기여하는 정도(적정 기술기여도)를 산출하기 위한 기술기여도 조정계수를 산출하는 기술 기여도 조정계수 산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ystem for calculating the appropriate royalty rate for valuation of technology or business ite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pected operating margin calculation module that detects the expected operating profit rate from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type of business and the size of the business type, and The maximum technology contribution calculation module that calculates the upper limit of the technology contribution derived by technology/industry group from the operating profit rate and royalties of the technology/industry group classified according to code or industry characteristics, and the total sales or operating profit of the technology to be evaluated from the maximum technology contribu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echnology contribution adjustment coefficient calculation module for calculating a technology contribution adjustment coefficient for calculating the degree of contribution to (appropriate technical contribution).

여기서, 상기 기술 기여도 조정계수 산정 모듈은 기술을 통한 최종 제품 또는 사업 아이템이 타겟고객에게 매력적인지 여부에 대하여 혜택의 우수성, 차별성에 따라 평가하는사업 컨셉 스코어 산정 모듈과, 아이디어 단계로부터 제품 적용 및 생산에까지 적용되는 기술의 완성 정도를 측정하는 기술적 완성도 스코어 산정 모듈 및 기술 및 제품 개발 중 획득하는 지식재산의 보호 수준을 보호 방식, 보호 강도에 따라 측정하는 지식재산 보호 스코어 산정 모듈을 구비한다.Here, the technology contribution adjustment coefficient calculation module includes a business concept score calculation module that evaluates whether the final product or business item through technology is attractive to target customers according to the excellence and differentiation of benefits, and product application and production from the idea stage. It has a technology maturity score calculation module that measures the degree of completion of the technology applied to and an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score calculation module that measures the protection level of intellectual property acquired during technology and product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protection method and protection strength.

이러한 상기 사업 컨셉 스코어 산정 모듈은 기술을 통한 최종 제품 또는 사업 아이템을 통해 제공되는 혜택이 고객에게 필요한 것이었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혜택 스코어 산정 모듈과, 기술을 통한 최종 제품 또는 사업 아이템과 기존 제품과의 차이 및 혁신성을 측정하는 차별성 스코어 산정 모듈 및 상기 혜택 스코어 산정 모듈 및 상기 차별성 스코어 산정 모듈을 통해 혜택 및 차별성을 제공하는 최종 제품 및 사업 아이템이 개발 가능하지 여부 및 제공/구현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수준을 측정하는 신뢰도 스코어 산정 모듈을 구비한다.The above business concept score calculation module includes a benefit score calculation module that measures whether the benefit provided through the final product or business item through technology was necessary for the customer, and the final product or business item through technology and the existing product. The level of whether final products and business items that provide benefits and differentiation through the difference and innovation score calculation module and the benefit score calculation module and the difference score calculation module can be developed and provided/implemented And a reliability score calculation module that measures

그리고, 상기 기술 기여도 조정계수 산정 모듈은 상기 사업 컨셉 스코어 산정 모듈에서 산출된 사업 컨셉 스코어, 상기 기술적 완성도 스코어 산정 모듈에서 산출된 기술적 완성도 스코어 및 상기 지식재산 보호 스코어 산정 모듈에서 산출된 지식재산 보호 스코어를 이용하여 기술 기여도 조정계수를 결정한다.In addition, the technology contribution adjustment coefficient calculation module includes a business concept score calculated in the business concept score calculation module, a technical maturity score calculated in the technical maturity score calculation module, and an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score calculated in the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score calculation module. The technology contribution adjustment factor is determined using.

여기서, 상기 기술 기여도 조정계수는 (w1 * 사업 컨셉 스코어) * (w2 * 기술적 완성도 스코어) * (w3 * 지식재산보호 스코어)(단, w1, w2, w3는 가중계수임)의 수식으로 결정한다.Here, the technology contribution adjustment factor is determined by the formula of (w1 * business concept score) * (w2 * technical perfection score) * (w3 *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score) (however, w1, w2, w3 are weighting factors). .

또한, 상기 사업 컨셉 스코어 산정 모듈은 상기 혜택 스코어 산정 모듈에서 산출된 혜택 스코어, 상기 차별성 스코어 산정 모듈에서 산출된 차별성 스코어 및 상기 신뢰도 스코어 산정 모듈에서 산출된 신뢰도 스코어를 이용하여 사업 컨셉 스코어를 결정한다.In addition, the business concept score calculation module determines a business concept score using the benefit score calculated by the benefit score calculation module, the difference score calculated by the difference score calculation module, and the reliability score calculated by the reliability score calculation module. .

여기서, 상기 사업 컨셉 스코어는 (w4 * 혜택 스코어) + (w5 * 차별성 스코어) + (w6 * 신뢰도 스코어)(단, w4, w5, w6은 가중계수임)의 수식으로 결정한다.Here, the business concept score is determined by the formula of (w4 * benefit score) + (w5 * discrimination score) + (w6 * reliability score) (however, w4, w5, and w6 are weighting factors).

이러한 상기 혜택 스코어, 상기 차별성 스코어 및 상기 신뢰도 스코어는 미리 정해진 체크리스트를 복수의 리뷰어가 각각 검토, 수치화된 평균 의견 점수를 반영하여 산출한다.The benefit score, the discrimination score, and the reliability score are calculated by reflecting a numerical average opinion score by reviewing a predetermined checklist,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기술적 완성도 스코어 산정 모듈은 기술성숙도(Technology Readiness Levels, TRL) 단계별로 미리 정해진 기술적 완성도 스코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되는 TRL 단계를 검출하여 기술적 완성도 스코어를 산출한다.In addition, the technical maturity score calculation module calculates a technical maturity score by detecting a corresponding TRL step from a predetermined technical maturity score database at each level of technology readiness (TRL).

또한, 상기 지식재산보호 스코어 산정 모듈은 관련된 체크리스트를 통해 단계별로 미리 정해진 지식재산보호 스코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되는 지식재산 보호 단계를 검출하여 지식재산보호 스코어를 산출한다.In addition, the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score calculation module calculates an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score by detecting a corresponding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step from a predetermined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score database step by step through a related checklist.

본 발명은, 기술 또는 사업 아이템 가치평가를 위한 적정 로열티요율 산정 시스템은 적은 비용과 빠른 시간 내에 적정 로열티율을 산정하고, 시뮬레이션 분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술 라이센싱 또는 사업화 투자의사 결정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for calculating the appropriate royalty rate for valuation of technology or business items calculates the appropriate royalty rate at a low cost and in a short time, and enables simulation analysis, so that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technology licensing or commercialization investment decisions It ha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또는 사업 아이템 가치평가를 위한 적정 로열티요율 산정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또는 사업 아이템 가치평가를 위한 적정 로열티요율 산정 시스템의 기술적 완성도 스코어를 산출하는 모듈의 개념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또는 사업 아이템 가치평가를 위한 적정 로열티요율 산정 시스템의 지식재산 보호 스코어를 산출하는 모듈의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ystem for calculating an appropriate royalty rate for valuation of technology or business ite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odule for calculating a technical completeness score of a system for calculating an appropriate royalty rate for valuation of technology or business ite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odule for calculating an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score of an appropriate royalty rate calculation system for valuation of technology or business ite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cusing on the part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ope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졌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technical contents that are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more clearly conve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mitting unnecessary description.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ent reference numerals may be assigned to constituent elements of the same name according to the drawing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denoted even in different drawings.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 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However, even in such a case, it does not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has different functio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r that it has the same function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function of each component is the corresponding implementation. It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e description of each component in the example.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하여야 한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In addition,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meaning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a meaning or an excessively reduced meaning.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singular expression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plurality of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nsist of" or "include"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elements or various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some of the elements or some steps It may not be included, or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it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elements or steps.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또는 사업 아이템 가치평가를 위한 적정 로열티요율 산정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a system for calculating an appropriate royalty rate for valuation of technology or business ite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또는 사업 아이템 가치평가를 위한 적정 로열티요율 산정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ystem for calculating an appropriate royalty rate for valuation of technology or business ite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적정 로열티요율을 산정하기 위한 적정 로열티요율 산정 모듈(200)은 기업의 업종과 규모에 따라 기대할 수 있는 영업 이익률 업종 코드 또는 업종 특성에 따라 해당되는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하는 기대 영업이익률 산정 모듈(190)에서 구해진 기대 영업이익률과, 업종 코드 또는 업종 특성에 따라 구분된 기술/산업군의 영업 이익률과 로열티로부터 기술/산업군 별로 도출되는 기술기여도의 상한선을 산정하는 최대 기술기여도 산정 모듈(180)에서 구해진 최대 기술기여도 및 최대 기술기여도로부터 기술완성도, 기술 보호정도, 최종적인 사업 아이템의 매력도에 따라 할인하여 평가대상기술이 전체 매출 또는 영업이익 발생에 기여하는 정도(적정 기술 기여도)를 산출하기 위한 기술기여도 조정계수를 산출하는 기술 기여도 조정계수 산정 모듈(170)에서 구해진 기술 기여도 조정 계수를 이용한다.The appropriate royalty rate calculation module 200 for calculating the appropriate royalty rate is an expected operating profit rate calculation module that detects the expected operating profit rate from a database stor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dustry code or business type characteristics that can be expected according to the business type and size of the company ( 190), the maximum technology contribution calculation module 180 that calculates the upper limit of the technology contribution derived by technology/industry group from the operating profit rate and royalties of the technology/industry group classified according to the industry code or industry characteristics. Technology to calculate the degree to which the technology to be evaluated contributes to the total sales or operating profit generation (appropriate technology contribution) by discounting from the maximum technical contribution and the maximum technical contribu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technology completion, degree of technology protection, and the attractiveness of the final business item The technology contribution adjustment coefficient obtained in the technology contribution adjustment coefficient calculation module 170 for calculating the contribution adjustment coefficient is used.

즉, 적정 로열티요율은 기대 영업이익률과, 최대 기술기여도와, 기술 기여도 조정 계수의 곱으로 산출, 다시 말해 (적정 로열티요율) = (기대 영업이익률) * (최대 기술기여도) * (기술 기여도 조정 계수)의 수식으로 산출되며, 이를 통해 로열티율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기술개발 완성도, 지식재산 보호 수준, 사업 매력도와 같은 요소들의 영향력을 명시적으로 수치화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appropriate royalty rate is calculated as the product of the expected operating margin, the maximum technology contribution, and the technology contribution adjustment factor, that is, (appropriate royalty rate) = (expected operating margin) * (maximum technology contribution) * (technology contribution adjustment factor ), and through this, the influence of factors such as technology development maturity,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level, and business attractiveness can be explicitly quantified.

상기와 같은 적정 로열티요율을 산정하기 위해, 먼저 기대 영업이익률 산정 모듈(190)은 기대 영업이익률을 산정한다.In order to calculate the appropriate royalty rate as described above, the expected operating margin calculation module 190 first calculates the expected operating margin.

다시 말해, 기대 영업이익률 산정 모듈(190)은 업종의 영업이익률 정보와 이용자가 업종의 영업이익률 중 해당 혹은 고려하고 있는 상위 % 를 활용하여 기대 영업이익률을 산정한다.In other words, the expected operating margin calculation module 190 calculates the expected operating margin by using the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margin of the business type and the upper percentage of the operating margin of the business type by the user.

그리고, 기술 기술기여도 산정 모듈(180)은 최대 기술기여도를 산정한다.In addition, the technical contribution degree calculation module 180 calculates the maximum technical contribution degree.

여기서, 최대 기술기여도는 이용자의 업종을 토대로, 신뢰성 있는 로열티율 데이터베이스와 영업이익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치를 활용하여 산정한다.Here, the maximum technical contribution is calculated by using numerical values from a reliable royalty rate database and an operating margin database based on the user's business type.

예를 들면, 업종별 로열티율 상위 25 % 수치를 기대 영업이익률로 나누어 최대 기술기여도를 산정할 수 있고, 이때 최대 기술기여도의 상한선을 정해둘 필요가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해당 상한선을 경험적으로 0.75로 설정한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maximum technology contribution by dividing the top 25% of the royalty rate by industry by the expected operating margin, and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set an upper limit of the maximum technology contribution, and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limit is empirically set to 0.75. Set.

기술기여도 조정계수 산정 모듈(170)은 하기의 [수식 1]과 같이 기술을 통한 최종 제품 또는 사업 아이템이 타겟고객에게 매력적인지 여부에 대해 혜택의 우수성, 차별성에 따라 평가하는 사업 컨셉 스코어 산정 모듈(140)에서 구해진 사업 컨셉 스코어와, 아이디어 단계로부터 제품 적용 및 생산에까지 적용되는 기술의 완성 정도를 측정하는 기술적 완성도 스코어 산정 모듈(150)에서 구해진 기술적 완성도 스코어 및 기술 및 제품 개발 중 획득하는 지식재산의 보호 수준을 보호 방식, 보호 강도에 다라 측정하는 지식재산 보호 스코어 산정 모듈(160)에서 구해진 지식재산보호 스코어를 이용하여 기술기여도 조정계수를 산출한다. The technology contribution adjustment coefficient calculation module 170 is a business concept score calculation module that evaluates whether the final product or business item through technology is attractive to the target customer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 140), the technical maturity score obtained from the technology maturity score calculation module 150, which measures the degree of completion of the technology applied from the idea stage to product application and production, and the intellectual property acquired during technology and product development. The technical contribution degree adjustment coefficient is calculated using the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score obtained in the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score calculation module 160, which measures the level of protection according to the protection method and protection strength.

[수식 1][Equation 1]

기술기여도 조정계수 = (w1 * 사업 컨셉 스코어) * (w2 * 기술적 완성도 스코어) * (w3 * 지식재산보호 스코어)Technology Contribution Adjustment Coefficient = (w1 * Business Concept Score) * (w2 * Technical Completeness Score) * (w3 *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Score)

여기서, w1, w2, w3은 가중계수로, 초기값으로 "= 1/3", "= 1/3", "= 1/3"으로 선정하며, 각종 기업 데이터를 포함한 빅데이터를 토대로, 업종과 분야, 기술 종류와 같은 배경이 정해지면 해당 분야의 과거 로열티 및 영업이익률 등의 통계를 반영하여 적절한 w1, w2, w3를 도출하도록 딥러닝 또는 베이지안 등에 기반한 최적화 기법을 활용한다.Here, w1, w2, w3 are weighting factors, and initial values are selected as "= 1/3", "= 1/3", and "= 1/3", and based on big data including various corporate data, When the background, such as the field of study and the type of technology, is determined, optimization techniques based on deep learning or Bayesian are used to derive appropriate w1, w2, and w3 by reflecting statistics such as past royalties and operating margin of the field.

한편, 기술적 완성도 스코어는 도 2에서와 같이 기술적 완성도 스코어 산정 모듈(150)에 의해서 산출되고, 기술성숙도(Technology Readiness Levels, 이하 TRL) 데이터베이스에 각각의 TRL 단계에 따른 점수가 미리 저장되어 있어, 입력되는 TRL 단계를 검출하여 자동으로 기술적 완성도 스코어가 산출된다. On the other hand, the technical maturity score is calculated by the technical maturity score calculation module 150 as shown in FIG. 2, and the score according to each TRL step is previously stored in the technology readiness level (TRL) database, so input The technical maturity score is automatically calculated by detecting the TRL stage.

또한, 지식재산보호 스코어는 도 3에서와 같이 지식재산 보호 스코어 산정 모듈(160)에 의해서 산출되고, 지식재산 보호 데이터베이스에 각각의 지식재산 보호 단계에 따른 점수가 미리 저장되어 있어, 입력되는 지식재산 보호 단계를 검출하여 자동으로 지식재산보호 스코어가 산출된다.In addition, the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score is calculated by the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score calculation module 160 as shown in FIG. 3, and the score according to each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step is pre-stored in the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database. The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score is automatically calculated by detecting the protection level.

즉, 지식재산 보호 스코어는 관련 체크리스트를 토대로 산정하며 지식재산 보호 정도, 기능, 효과 복제 난이도 등의 조건을 확인하여 해당하는 지식재산보호 단계 검출하여 지식재산보호 수준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하는 지식재산보호 단계의 점수를 지식재산보호 스코어로 결정한다.In other words, the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score is calculated based on the relevant checklist, and the corresponding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level is detected by checking conditions such as the degree of protection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the function, and the difficulty of replicating the effect, and protecting the corresponding intellectual property in the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level database. The score of the step is determined as the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score.

사업 컨셉 스코어 산정 모듈(140)은 하기의 [수식 2]와 같이, 기술을 통한 최종 제품 또는 사업 아이템을 통해 제공되는 혜택이 고객에게 필요한 것이었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혜택 스코어 산정 모듈(110)에서 구해진 혜택 스코어와, 기술을 통한 최종 제품 또는 사업 아이템과 기존 제품과의 차이 및 혁신성을 측정하는 차별성 스코어 산정 모듈(120)에서 구해진 차별성 스코어 및 혜택 스코어 산정 모듈(110) 및 차별성 스코어 산정 모듈(120)을 통해 혜택 및 차별성을 제공하는 최종 제품 및 사업 아이템이 개발 가능한지 여부 및 제공/구현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수준을 측정하는 신뢰도 스코어 산정 모듈(130)에서 구해진 신뢰도 스코어를 이용하여 사업 컨셉 스코어를 산출하게 되며, 이러한 사업 컨셉 스코어는 0점에서 100점 사이의 값을 가진다.The business concept score calculation module 140 is obtained from the benefit score calculation module 110 that measures whether the benefit provided through the final product or business item through technology was required by the customer, as shown in [Equation 2] below. The benefit sco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nal product or business item and the existing product through technology,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fference and the innovation score obtained from the module 120 and the benefit score calculation module 110 and the difference score calculation module 120 ) To calculate the business concept score by using the reliability score obtained from the reliability score calculation module 130 that measures the level of whether the final product and business item providing benefits and differentiation can be developed and provided/implemented. This business concept score has a value between 0 and 100 points.

[수식 2][Equation 2]

사업 컨셉 스코어 = (w4 * 혜택 스코어) + (w5 * 차별성 스코어) + (w6 * 신뢰도 스코어)Business concept score = (w4 * benefit score) + (w5 * difference score) + (w6 * confidence score)

여기서, w4, w5, w6는 가중계수에 해당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되며, 수집된 유관 데이터를 토대로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가중계수 w4, w5, w6 을 사전 설정 값에서 일부 조정하고 정규화된 값으로 결정한다.Here, w4, w5, and w6 correspond to weighting factors, which are preset, and based on the collected relevant data, the weighting factors w4, w5, and w6 are partially adjusted from the preset values using a deep learning algorithm and converted to normalized values. Decide.

기술적 완성도 스코어는, TRL 또는 CRL관련 체크리스트를 토대로 산정하며 TRL 또는 CRL에 유관한, 기술 메커니즘 규명 정도, 기능ㅇ효과 등이 규명된 환경 및 범위 등의 조건을 확인하여 해당하는 TRL 또는 CRL 단계 검출하여 TRL(또는 CRL)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하는 TRL(또는 CRL)의 점수를 기술적 완성도 스코어로 결정한다.The technical maturity score is calculated based on the TRL or CRL-related checklist, and the relevant TRL or CRL stage is detected by checking conditions such as the degree of technical mechanism identification, the environment and scope of which functions and effects are identified, related to the TRL or CRL. Thus, the score of the corresponding TRL (or CRL) in the TRL (or CRL) database is determined as the technical completeness score.

지식재산 보호 스코어는 관련 체크리스트를 토대로 산정하며, 지식재산 보호 정도, 기능ㅇ효과 복제 난이도 등의 조건을 확인하여 해당하는 지식재산보호 단계 검출, 미리 정해진 지식재산 보호 수준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하는 지식재산 보호 단계의 점수를 지식재산보호 스코어로 결정한다.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score is calculated based on the relevant checklist, and the corresponding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level is detected by checking conditions such as the degree of protection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and the difficulty of replicating functions and effects, and protection of the corresponding intellectual property in the pre-determined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level database. The score of the step is determined as the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score.

한편, 사업 컨셉 스코어 산정 모듈(140)은 혜택 스코어, 차별성 스코어 및 신뢰도 스코어를 통해 산정되는데, 이를 위해 혜택 스코어 산정 모듈(110)은 입력된 사업 아이템에 따라 혜택 스코어를 산정한다. Meanwhile, the business concept score calculation module 140 is calculated through a benefit score, a discrimination score, and a reliability score. To this end, the benefit score calculation module 110 calculates a benefit score according to the input business item.

그리고, 차별성 스코어 산정 모듈(120)은 사업 아이템에 따라 차별성 스코어를 산정한다. Then, the difference score calculation module 120 calculates a difference score according to the business item.

또한, 신뢰도 스코어 산정 모듈(130)은 사업 아이템에 따라 신뢰도 스코어를 산정한다. In addition, the reliability score calculation module 130 calculates a reliability score according to the business item.

여기서, 혜택/차별성/신뢰성 스코어는 응답자가 작성한 사업 개념서 또는 계획서에 대해 혜택/차별성/신뢰도 측면에서의 평가를 통해 산정하게 되고, 이러한 산정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 the benefit/discrimination/reliability score is calculated through an evaluation in terms of benefit/discrimination/reliability for a business concept document or plan prepared by the respondent, and this calculation method is described as follows.

먼저, 각 스코어는 최대 100.0점의 점수를 가지며, 각 측면에 대한 사업 계획의 체크리스트를 통해 계산한다.First, each score has a maximum score of 100.0 points and is calculated through a checklist of the business plan for each aspect.

체크리스트에 따라 각 질문에 대해 최소 1.0점부터 최대 20.0점까지 응답자가 점수를 매겨, 각 혜택/차별성/신뢰성별 스코어는 최대 100.0점의 점수가 되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checklist, respondents score from a minimum of 1.0 to a maximum of 20.0 points for each question, so that the score for each benefit/differentiation/reliability is a maximum of 100.0 points.

또한, 전문성, 경험 등을 바탕으로 선별된 다수의 리뷰어가 응답자가 작성한 사업 개념서를 검토하여, 각각의 혜택/차별성/신뢰성 스코어에 대해 1.0점~100.0점 사이의 점수를 결정하며, 리뷰어들에 의해 결정된 혜택/차별성/신뢰도 스코어의 평균 또는 수치화된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산식을 통해 사업 개념서 또는 계획서가 가지는 혜택/차별성/신뢰도 부문 스코어를 산정한다.In addition, a number of reviewers selected based on expertise and experience review the business concept book written by respondents, and determine a score between 1.0 and 100.0 points for each benefit/discrimination/reliability score. Calculate the benefit/differentiation/confidence category score of the business concept document or plan through an average of the determined benefit/discrimination/confidence score or an equation that can reflect the quantified opinion.

이러한 체크리스트의 예시는 아래와 같다.An example of such a checklist is shown below.

<체크리스트 예시><Example checklist>

(Benefit Clarity) 제공하는 혜택에 대해 명확하게 표현하고 있습니까?(Benefit Clarity) Are you clearly expressing the benefits you provide?

① (Vague) 설명이 애매모호하거나 없음① (Vague) Description is ambiguous or missing

② (Background) 배경 지식이 없으면 이해하기 어려움② (Background) Difficulty understanding without background knowledge

③ (Clear to potential user) 불편을 겪어 본 적이 있다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됨③ (Clear to potential user) If you have experienced any inconvenience, it is expressed so that you can easily understand it.

④ (Clear to an adult) 평범한 성인이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됨④ (Clear to an adult) Expressed so that i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ordinary adults.

⑤ (Clear to a child) 10살짜리 아이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됨⑤ (Clear to a child) Expressed so that even a 10-year-old can easily understand

(Unmet Needs)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얼마나 중요합니까?(Unmet Needs) How important is the problem you are trying to solve?

"문제(problem)는 손실/불편함 뿐만 아니라 소망/희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Problem means not only loss/discomfort, but also hope/hope"

"문제의 중요도 = 문제발생의 임팩트(impacts) x 발생/수요 빈도(frequency)""The importance of the problem = the impacts of the problem x the frequency of occurrence/demand"

① (Insignificant) 기존 제품/서비스에 문제가 없음 ① (Insignificant) No problem with existing products/services

② (Average) 문제가 있으나, 반드시 해결되어야 하는 수준은 아님② (Average) There is a problem, but it is not a level that must be solved.

③ (Above Average) 문제해결 니즈가 높으나, 임팩트는 크지 않음③ (Above Average) Problem solving needs are high, but the impact is not high.

④ (Significant) 문제해결 니즈가 높음④ (Significant) High problem solving needs

⑤ (Extremely Significant) ⑤ (Extremely Significant)

(Value Relative to Benefits) 혜택에 대한 고객의 가치 (비용지불의사)는 어떠합니까?(Value Relative to Benefits) What is the customer's value for benefits (willingness to pay)?

① (Below average) 평균 이하 혹은 좋지 않은 소비라고 생각할 것① (Below average) Think of it as below average or poor consumption

② (Reasonable) 비용만큼의 가치를 제공하는, 합리적인 소비라고 생각할 것② (Reasonable) Think of it as reasonable consumption that provides value as much as the cost

③ (Above average) 비용보다 더 큰 가치를 제공하는, 평균보다 조금 더 좋은 거래라고 생각할 것③ (Above average) Think of it as a slightly better deal than average, offering more value than cost.

④ (Significantly better) 다른 상품/서비스보다 훨씬 나은 가치를 제공한다고 생각할 것④ (Significantly better) to think that it provides much better value than other products/services

⑤ (Wow value) 무조건 사야만 한다고 생각할 것⑤ (Wow value) Think you have to buy it unconditionally

(Reason to Believe) 제품/서비스 혜택에 대한 구현가능성은 어느 정도입니까?(Reason to Believe) What is the feasibility of implementing product/service benefits?

① (Impossible) 구현 불가능함① (Impossible) Impossible to implement

② (Unconvincing) 설득력 없음/구현 가능할 것 같지 않음② (Unconvincing) Not convincing/not likely to be implemented

③ (Maybe) 구현 가능할 것 같지만 확신할 수 없음③ (Maybe) It seems to be possible to implement, but I am not sure

④ (Few hurdles) 구현에 어려움이 다소 있으나, 충분히 구현 가능하다고 보임④ (Few hurdles) There is some difficulty in implementation, but it seems that it can be implemented sufficiently.

⑤ (Convincing) 어렵지 않게 구현할 수 있다고 확신함⑤ (Convincing) Convincing that it can be implemented without difficulty

(Clarity of Difference) 차별성/혁신성/독창성이 얼마나 명확합니까?(Clarity of Difference) How clear is the difference/innovation/originality?

① (Vague) 설명이 애매모호하거나 없음① (Vague) Description is ambiguous or missing

② (Background) 배경 지식이 없으면 이해하기 어려움② (Background) Difficulty understanding without background knowledge

③ (Clear to potential user) 불편을 겪어 본 적이 있다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③ (Clear to potential user) If you have ever experienced discomfort, express it so that you can easily understand it.

④ (Clear to an adult) 평범한 성인이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됨④ (Clear to an adult) Expressed so that i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ordinary adults.

⑤ (Clear to a child) 10살짜리 아이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됨⑤ (Clear to a child) Expressed so that even a 10-year-old can easily understand

(Level of Difference) 제품/서비스는 기존과 비교했을 때, 얼마나 차별적&혁신적&독창적입니까?(Level of Difference) How differentiated, innovative, and original are your products/services compared to existing ones?

① (Totally similar) 기존 제품과 비교했을 때, 새로운 점이 없음① (Totally similar) Compared to existing products, nothing new

② (Variation) 기존 제품과 비교했을 때, 일부 변형이 있음② (Variation) There are some variations compared to existing products

③ (Improvement) 기존 제품과 비교했을 때, 상당한 개선이 이뤄짐③ (Improvement) Significant improvement is achieved when compared to existing products.

④ (First of it's kind) 해당 분야의 최초 제품임④ (First of it's kind) This is the first product in the field

⑤ (Wow) 세계 최초 수준으로, 유사한 아이디어가 없을 정도임⑤ (Wow) It is the world's first level, so there is no similar idea.

(Reason to Believe) 차별적인 제품/서비스를 구현할 가능성은 어느 정도입니까?(Reason to Believe) How likely are you to implement differentiated products/services?

① (Impossible) 차별성에 대한 신뢰가 없음① (Impossible) No trust in differentiation

② (Unconvincing) 설득력 없음/구현 가능할 것 같지 않음② (Unconvincing) Not convincing/not likely to be implemented

③ (Maybe) 구현 가능할 것 같지만 확신할 수 없음③ (Maybe) It seems to be possible to implement, but I am not sure

④ (Few hurdles) 구현에 어려움이 다소 있으나, 충분히 구현 가능함④ (Few hurdles) There is some difficulty in implementation, but it can be implemented sufficiently

⑤ (Convincing) 어렵지 않게 구현할 수 있다고 확신함⑤ (Convincing) Convincing that it can be implemented without difficulty

[실시예 1][Example 1]

첫 번째 실시예로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업종코드 C21)의 적정 로열티율을 추정한다.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의 영업 이익률은 대기업은 12.23%, 중소기업은 5.74%이며 업종 상위 25% 로열티율은 5.0%, 중앙값은 3.00%, 평균 로열티율은 3.10%이다. As a first example, an appropriate royalty rate is estimated for medical substances and drugs (industry code C21). The operating margin of medical substances and drugs is 12.23% for large companies, 5.74% for SMEs, and the top 25% royalty rate is 5.0%, the median is 3.00%, and the average royalty rate is 3.10%.

이로부터, 적정한 수치 또는 기업의 영업이익률을 기대 영업이익률로 결정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인 중소기업을 가정하여 5.74%를 기대 영업이익률로 설정한다. 최대 기술기여도는 상위 25% 로열티율 5.0%를 중소기업의 영업이익률 5.74%로 나눈 값 0.87이 최대 최대 기술기여도 상한치 0.75보다 높으므로, 본 실시예에서의 최대 기술기여도는 0.75=75%로 설정한다.From this, an appropriate number or the operating margin of the company is determined as the expected operating margin, and in this embodiment, 5.74% is set as the expected operating margin on the assumption of a general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 As for the maximum technology contribution, 0.87 obtained by dividing the top 25% royalty rate of 5.0% by the operating margin of SMEs of 5.74% is higher than the maximum maximum technology contribution of 0.75, so the maximum technology contribution in this example is set to 0.75=75%.

또한, 기술의 개발완성도가 인증받기 직전까지 완료되어 있고, 전략적으로 특허 및 기술의 복제를 방지하고 있다면, 기술개발 완성도 점수와 지식재산권 보호 점수가 각기 77점과 73점이며, 또한 사업 컨셉 스코어가 60점으로 양호한 수준이라고 가정한다면, 기술 기여도 조정계수 산정 모듈(170)에 따라 기술 기여도 조정계수는 1/3(77.0+73.0+60.0)=70.0(%)로 산출된다.In addition, if the technology development completion level is completed just before certification, and the copying of patents and technologies is strategically prevented, the technology development completion score and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score are 77 points and 73 points, respectively, and the business concept score is Assuming that it is a good level with 60 points, the technology contribution adjustment coefficient is calculated as 1/3 (77.0 + 73.0 + 60.0) = 70.0 (%) according to the technology contribution adjustment coefficient calculation module 170.

사업 컨셉 스코어는 다수의 선별된 리뷰어가 사업 개념서 또는 계획서를 검토하여, 혜택/차별성/신뢰성 스코어에 대해, 각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산정하며,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리뷰어에 의한 사업 계획서 검토 결과(실시예1)가 아래 표 1과 같이 계산된다.The business concept score is calculated by using each checklist for the benefit/discrimination/reliability score by multiple selected reviewers reviewing the business concept document or plan, and specifically, the result of reviewing the business plan by a number of reviewers. Example 1) is calculated as shown in Table 1 below.

혜택Benefits 차별성Differentiation 신뢰도Reliability 리뷰어 1Reviewer 1 68.068.0 62.762.7 51.051.0 리뷰어 2Reviewer 2 63.263.2 65.265.2 55.155.1 리뷰어 3Reviewer 3 52.452.4 67.867.8 54.6-54.6- 사업 컨셉 스코어Business concept score 60.060.0

이로부터 적정 기술기여도는 최대 기술기여도(0.75)와 기술기여도 조정계수(0.70)의 곱으로 얻어져, 0.525=52.5%가 되고, 기대 영업이익률 5.74%와의 곱을 통해 적정 로열티율 3.0135%가 도출된다.From this, the appropriate technology contribution is obtained as the product of the maximum technology contribution (0.75) and the technology contribution adjustment factor (0.70), resulting in 0.525 = 52.5%, and an appropriate royalty rate of 3.0135% is derived by multiplying the expected operating margin of 5.74%.

해당 업종(C21)의 평균 로열티율은 3.10%이며, 중앙값은 3.00%로, 본 실시예를 통해 얻은 예상 적정 로열티율 3.0135%가 가이드라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The average royalty rate of the industry (C21) is 3.10%, and the median value is 3.00%, and it can be seen that the estimated proper royalty rate of 3.0135% obtained through this example can serve as a guideline.

[실시예 2][Example 2]

두 번째 실시예로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업종코드 C23)의 적정 로열티율을 추정한다.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의 영업 이익률은 대기업은 10.66%, 중소기업은 6.21%이며, 업종 상위 25% 로열티율은 2.00%, 중앙값은 2.00%, 평균 로열티율은 2.60%이다. As a second example, an appropriate royalty rate is estimated for the non-metallic mineral product manufacturing industry (Industry code C23). The non-metallic mineral product manufacturing industry has an operating margin of 10.66% for large companies and 6.21% for SMEs, and the top 25% royalty rate in the industry is 2.00%, the median is 2.00%, and the average royalty rate is 2.60%.

이로부터, 적정한 수치 또는 기업의 영업이익률을 기대 영업이익률로 결정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다소 우수한 중소기업을 가정하여 7.5%를 기대 영업이익률로 설정한다. 최대 최대 기술기여도는 상위 25% 로열티율 2.0%를 중소기업의 영업 이익률 6.21%로 나눈 값(0.322)이 최대 최대 기술기여도의 상한치 0.75보다 작으므로, 본 실시예에서의 최대 기술기여도는 0.322=32.2%로 설정한다.From this, an appropriate value or the operating margin of the company is determined as the expected operating margin, and in this embodiment, 7.5% is set as the expected operating margin on the assumption of a somewhat superior SME. The maximum technology contribution is less than the upper limit of 0.75 (0.322) obtained by dividing the top 25% royalty rate of 2.0% by the operating margin of SMEs by 6.21% (0.322), so the maximum technology contribution in this example is 0.322 = 32.2%. Set to

또한, 기술의 개발완성도가 제품화 완료되어 있고, 향후 3년간 경쟁자에게 복제될 가능성이 없다면, 기술개발완성도 점수와 지식재산권보호 점수가 각기 100점과 100점이며, 또한 사업 컨셉 스코어가 70점으로 우수한 수준이라고 가정한다면, 기술기여도 조정계수 산정 모듈(170)에 따라 기술 기여도 조정계수는 1/3(100.0+100.0+70.0)=90.0(%)로 산출된다.In addition, if the technology development completion degree has been commercialized and there is no possibility of being copied to competitors for the next three years, the technology development completion degree score and the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score are respectively 100 and 100 points, and the business concept score is excellent with 70 points. Assuming that it is a level, the technology contribution adjustment coefficient is calculated as 1/3 (100.0 + 100.0 + 70.0) = 90.0 (%) according to the technology contribution adjustment coefficient calculation module 170.

단, 사업 컨셉 스코어는 다수의 선별된 리뷰어가 사업 개념서 또는 계획서를 검토하여, 혜택/차별성/신뢰성 스코어에 대해 각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산정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생략한다.However, the business concept score is calculated by using each checklist for the benefit/discrimination/reliability score by a plurality of selected reviewers reviewing the business concept document or plan, and is omitted in this embodiment.

이로부터 적정 기술기여도는 최대 기술기여도(0.322)와 기술 기여도 조정계수(0.90)의 곱으로 얻어져, 0.2898=28.98%가 되고, 기대 영업이익률 7.5%와의 곱을 통해 적정 로열티율 2.1735%가 도출된다.From this, the appropriate technology contribution is obtained as the product of the maximum technology contribution (0.322) and the technology contribution adjustment factor (0.90), resulting in 0.2898 = 28.98%, and an appropriate royalty rate of 2.1735% is derived by multiplying the expected operating margin of 7.5%.

해당 업종(C23)의 평균 로열티율은 2.60%이며 중앙값은 2.00%로, 본 실시예를 통해 얻은 예상 적정 로열티율 2.1735%가 가이드라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The average royalty rate of the industry (C23) is 2.60% and the median value is 2.00%, and it can be seen that the expected proper royalty rate of 2.1735% obtained through this example can serve as a guideline.

[실시예 3][Example 3]

세 번째 실시예로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제조업(업종코드 C27)의 적정 로열티율을 추정한다.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제조업의 영업 이익률은 대기업은 18.11%, 중소기업은 4.12%이며 업종 상위 25% 로열티율은 3.00%, 중앙값은 3.00%, 최대값은 10.00%, 평균 로열티율은 3.10%이다. As a third example, an appropriate royalty rate for the medical, precision, optical equipment and watch manufacturing industries (Industry Code C27) is estimated. The operating margin of medical, precision, optical equipment and watch manufacturing industries is 18.11% for large companies, 4.12% for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and the top 25% of the industry has a royalties rate of 3.00%, a median value of 3.00%, a maximum value of 10.00%, and an average royalty rate of 3.10%. to be.

이로부터, 적정한 수치 또는 기업의 영업이익률을 기대 영업이익률로 결정하며, 본 예시에서는 일반적인 대기업을 가정하여 18.11%를 기대 영업이익률로 설정한다. 최대 기술기여도는 상위 25% 로열티율 3.00%를 중소기업의 영업이익률 4.12%로 나눈 값(0.728155)이 최대 기술기여도의 상한치 0.75보다 작으므로, 본 실시예에서의 최대 기술기여도는 72.82%로 설정한다. From this, an appropriate number or the company's operating margin is determined as the expected operating margin, and in this example, 18.11% is set as the expected operating margin, assuming a general large company. As for the maximum technology contribution, since the value (0.728155) obtained by dividing the top 25% royalty rate of 3.00% by the operating margin of SMEs by 4.12% (0.728155) is less than the upper limit of the maximum technology contribution rate of 0.75, the maximum technology contribution in this embodiment is set to 72.82%.

또한, 기술의 개발완성도가 인증을 앞두고 있고, 향후 3년간 경쟁자에게 복제될 가능성이 없다면, 기술개발완성도 점수와 지식재산권보호 점수가 각기 77점과 100점이며, 또한 사업 컨셉 스코어가 51점으로 다소 우수한 수준이라고 가정한다면, 기술 기여도 조정계수 산정 모듈(170)에 따라 기술 기여도 조정계수는 1/3(77.0+100.0+51.0)=76.0(%)로 산출된다.In addition, if the technology development completion level is about to be certified and there is no possibility of being copied to competitors for the next 3 years, the technology development completion score and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score are 77 points and 100 points, respectively, and the business concept score is 51 points. Assuming that the level is excellent, the technology contribution adjustment coefficient is calculated as 1/3 (77.0 + 100.0 + 51.0) = 76.0 (%) according to the technology contribution adjustment coefficient calculation module 170.

단, 사업 컨셉 스코어는 다수의 선별된 리뷰어가 사업 개념서 또는 계획서를 검토하여, 혜택/차별성/신뢰성 스코어에 대해, 각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산정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생략한다.However, the business concept score is calculated by using each checklist for the benefit/discrimination/reliability score by reviewing the business concept document or plan by a plurality of selected reviewers, and is omitted in this embodiment.

이로부터 적정 기술기여도는 최대 기술기여도(0.7282)와 기술기여도 조정계수(0.76)의 곱으로 얻어져, 55.34%가 되고, 기대 영업이익률 18.11%와의 곱을 통해 적정 로열티율 10.02%가 도출된다.From this, the appropriate technology contribution is obtained as the product of the maximum technology contribution (0.7282) and the technology contribution adjustment factor (0.76), resulting in 55.34%, and an appropriate royalty rate of 10.02% is derived through the product of the expected operating margin of 18.11%.

해당 업종(C27)의 평균 로열티율은 3.10%이며 최대값은 10.00%로, 본 실시예를 통해 얻은 예상 적정 로열티율 10.02%가 가이드라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The average royalty rate of the industry (C27) is 3.10% and the maximum value is 10.00%, and it can be seen that the expected proper royalty rate of 10.02% obtained through this example can serve as a guidelin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will be.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it should be construed that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혜택 스코어 산정 모듈
120 : 차별성 스코어 산정 모듈
130 : 신뢰도 스코어 산정 모듈
140 : 사업 컨셉 스코어 산정 모듈
150 : 기술적 완성도 스코어 산정 모듈
160 : 지식재산 보호 스코어 산정 모듈
170 : 기술 기여도 조정계수 산정 모듈
180 : 최대 기술기여도 산정 모듈
190 : 기대 영업 이익률 산정 모듈
200 : 적정 로열티요율 산정 모듈
110: benefit score calculation module
120: Difference score calculation module
130: reliability score calculation module
140: Business concept score calculation module
150: Technical maturity score calculation module
160: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score calculation module
170: technology contribution adjustment coefficient calculation module
180: Maximum technical contribution calculation module
190: Expected operating margin calculation module
200: Module for calculating the appropriate royalty rate

Claims (10)

기업의 업종과 규모에 따라 기대할 수 있는 영업 이익률을 업종 코드 또는 업종 특성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하는 기대 영업이익률 산정 모듈;
업종 코드 또는 업종 특성에 따라 구분된 기술/산업군의 영업 이익률과 로열티로부터 기술/산업군 별로 도출되는 기술기여도의 상한선을 산정하는 최대 기술기여도 산정 모듈; 및
최대 기술기여도로부터 평가대상기술이 전체 매출 또는 영업이익 발생에 기여하는 정도(적정 기술기여도)를 산출하기 위한 기술기여도 조정계수를 산출하는 기술 기여도 조정계수 산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 또는 사업 아이템 가치평가를 위한 적정 로열티요율 산정 시스템.
An expected operating margin calculation module that detects the expected operating profit margin according to the business type and size of the company from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business type code or business type characteristics;
A maximum technology contribution calculation module that calculates the upper limit of the technology contribution derived for each technology/industry group from the operating profit ratio and royalties of the technology/industry group classified according to the industry code or industry characteristics; And
A technology comprising: a technology contribution adjustment coefficient calculation module that calculates a technology contribution adjustment coefficient for calculating a degree (appropriate technical contribution) that the technology to be evaluated contributes to the generation of total sales or operating profit from the maximum technical contribution; or Appropriate royalty rate calculation system for valuation of business item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술 기여도 조정계수 산정 모듈은,
기술을 통한 최종 제품 또는 사업 아이템이 타겟고객에게 매력적인지 여부에 대하여 혜택의 우수성, 차별성에 따라 평가하는 사업 컨셉 스코어 산정 모듈;
아이디어 단계로부터 제품 적용 및 생산에까지 적용되는 기술의 완성 정도를 측정하는 기술적 완성도 스코어 산정 모듈; 및
기술 및 제품 개발 중 획득하는 지식재산의 보호 수준을 보호 방식, 보호 강도에 따라 측정하는 지식재산 보호 스코어 산정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 또는 사업 아이템 가치평가를 위한 적정 로열티요율 산정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technology contribution adjustment coefficient calculation module,
A business concept score calculation module that evaluates whether a final product or business item through technology is attractive to a target customer according to the superiority and differentiation of benefits;
A technology completeness score calculation module that measures the degree of completion of technology applied from the idea stage to product application and production; And
An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score calculation module that measures the level of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acquired during technology and product development according to a protection method and protection strength; an appropriate royalty rate calculation system for valuation of technology or business item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업 컨셉 스코어 산정 모듈은,
기술을 통한 최종 제품 또는 사업 아이템을 통해 제공되는 혜택이 고객에게 필요한 것이었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혜택 스코어 산정 모듈;
기술을 통한 최종 제품 또는 사업 아이템과 기존 제품과의 차이 및 혁신성을 측정하는 차별성 스코어 산정 모듈; 및
상기 혜택 스코어 산정 모듈 및 상기 차별성 스코어 산정 모듈을 통해 혜택 및 차별성을 제공하는 최종 제품 및 사업 아이템이 개발 가능하지 여부 및 제공/구현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수준을 측정하는 신뢰도 스코어 산정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 또는 사업 아이템 가치평가를 위한 적정 로열티요율 산정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business concept score calculation module,
A benefit score calculation module that measures whether a customer needs a benefit provided through a final product or business item through technology;
A difference score calculation module that measures the difference and innovation between the final product or business item through technology and the existing product; And
Having the benefit score calculation module and the reliability score calculation module measuring a level of whether a final product and business item providing benefits and differentiation through the difference score calculation module can be developed and provided/implemented. A system for calculating an appropriate royalty rate for valuation of a characteristic technology or business item.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술 기여도 조정계수 산정 모듈은,
상기 사업 컨셉 스코어 산정 모듈에서 산출된 사업 컨셉 스코어, 상기 기술적 완성도 스코어 산정 모듈에서 산출된 기술적 완성도 스코어 및 상기 지식재산 보호 스코어 산정 모듈에서 산출된 지식재산 보호 스코어를 이용하여 기술 기여도 조정계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 또는 사업 아이템 가치평가를 위한 적정 로열티요율 산정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technology contribution adjustment coefficient calculation module,
Determining a technology contribution adjustment factor using the business concept score calculated in the business concept score calculation module, the technical maturity score calculated in the technical maturity score calculation module, and the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score calculated in the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score calculation module An appropriate royalty rate calculation system for valuation of technology or business items, characterized in tha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술 기여도 조정계수는,
(w1 * 사업 컨셉 스코어) * (w2 * 기술적 완성도 스코어) * (w3 * 지식재산보호 스코어)
(단, w1, w2, w3는 가중계수임)의 수식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 또는 사업 아이템 가치평가를 위한 적정 로열티요율 산정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The technology contribution adjustment factor is,
(w1 * Business Concept Score) * (w2 * Technical Completion Score) * (w3 *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Score)
(Where, w1, w2, w3 are weighting factors) The system for calculating an appropriate royalty rate for valuation of technology or business item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by the formula.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업 컨셉 스코어 산정 모듈은,
상기 혜택 스코어 산정 모듈에서 산출된 혜택 스코어, 상기 차별성 스코어 산정 모듈에서 산출된 차별성 스코어 및 상기 신뢰도 스코어 산정 모듈에서 산출된 신뢰도 스코어를 이용하여 사업 컨셉 스코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 또는 사업 아이템 가치평가를 위한 적정 로열티요율 산정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business concept score calculation module,
A technology or business item value, characterized in that a business concept score is determined using the benefit score calculated by the benefit score calculation module, the difference score calculated by the difference score calculation module, and the reliability score calculated by the reliability score calculation module. Appropriate royalty rate calculation system for evalua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업 컨셉 스코어는,
(w4 * 혜택 스코어) + (w5 * 차별성 스코어) + (w6 * 신뢰도 스코어)
(단, w4, w5, w6은 가중계수임)의 수식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 또는 사업 아이템 가치평가를 위한 적정 로열티요율 산정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above business concept score is:
(w4 * benefit score) + (w5 * difference score) + (w6 * confidence score)
(Where, w4, w5, and w6 are weighting factors) The system for calculating an appropriate royalty rate for valuation of technology or business item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by the formula.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혜택 스코어, 상기 차별성 스코어 및 상기 신뢰도 스코어는,
미리 정해진 체크리스트를 복수의 리뷰어가 각각 검토, 수치화된 평균 의견 점수를 반영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 또는 사업 아이템 가치평가를 위한 적정 로열티요율 산정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The benefit score, the difference score, and the reliability score,
A system for calculating an appropriate royalty rate for valuation of technology or business items, characterized in that a predetermined checklist is reviewed by a plurality of reviewers and calculated by reflecting the numerical average opinion scor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술적 완성도 스코어 산정 모듈은,
기술성숙도(Technology Readiness Levels, TRL) 단계별로 미리 정해진 기술적 완성도 스코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되는 TRL 단계를 검출하여 기술적 완성도 스코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 또는 사업 아이템 가치평가를 위한 적정 로열티요율 산정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technical completeness score calculation module,
Technology Readiness Levels (TRL) Appropriate royalty rate calculation system for valuation of technology or business item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L level is calculated by detecting the corresponding TRL level from a predetermined technical maturity score database for each step.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식재산보호 스코어 산정 모듈은,
관련된 체크리스트를 통해 단계별로 미리 정해진 지식재산보호 스코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되는 지식재산 보호 단계를 검출하여 지식재산보호 스코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 또는 사업 아이템 가치평가를 위한 적정 로열티요율 산정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score calculation module,
An appropriate royalty rate calculation system for valuation of technology or business item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score is calculated by detecting the corresponding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level from a predetermined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score database step by step through a related checklist.
KR1020190032960A 2019-03-22 2019-03-22 System for calculating the appropriate royalty rate for technology or business item evaluation KR2020011245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960A KR20200112454A (en) 2019-03-22 2019-03-22 System for calculating the appropriate royalty rate for technology or business item evalu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960A KR20200112454A (en) 2019-03-22 2019-03-22 System for calculating the appropriate royalty rate for technology or business item evalu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454A true KR20200112454A (en) 2020-10-05

Family

ID=72809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960A KR20200112454A (en) 2019-03-22 2019-03-22 System for calculating the appropriate royalty rate for technology or business item evalu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245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43100A (en) * 2021-08-30 2021-11-12 北京值得买科技股份有限公司 Commodity similarity judgment module contribution quantification method and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43100A (en) * 2021-08-30 2021-11-12 北京值得买科技股份有限公司 Commodity similarity judgment module contribution quantification method and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u et al. Platform-led green advertising: Promote the best or promote by performance
McIntyre et al. Logistics performance measurement and greening supply chains: diverging mindsets
Altaf et al. Internationalization and firm performance of Indian firms: Does product diversity matter?
US20110213644A1 (en) Consumer goods price prediction and optimization
Tahirov et al. Manufacturer encroachment and channel conflict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Vosooghidizaji et al. Coordinati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a two-level supply chain under bilateral information asymmetry
Tasdemir et al. Achieving cost efficiency through increased inventory leanness: Evidences from oriented strand board (OSB) industry
White Market power: how does it arise? How is it measured?
Zhang et al. Optimal channel strategies in a supply chain under green manufacturer financial distress with advance payment discount
Holgado de Frutos et al. A literature review on operational decisions applied to collaborative supply chains
Aloini et al. E‐reverse auction design: critical variables in a B2B context
Khan et al. Integrating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nd quality function deployment in automotive supplier selection
Escaith Accumulated trade costs and their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value chains
Hofmann et al. Performance Measurement and Incentive Systems in Purchasing: more than just savings
Yang et al. Production and carbon emission abatement decisions under different carbon policies: supply chain network equilibrium models with consumers’ low‐carbon awareness
KR20200112454A (en) System for calculating the appropriate royalty rate for technology or business item evaluation
Raj et al. Assessing the e-commerce last-mile logistics’ hidden risk hurdles
Dari-Mattiacci et al. Learning in Standard-Form Contracts: Theory and Evidence
Steingrímsson et al. Business strategies for competition and collaboration for remanufacturing of production equipment
Buehler et al. Recent developments at DG competition: 2013–2014
Huang et al. Revenue and risk sharing in view of uncertain demand during the pandemics
Noorizadeh et al. Incorporating undesirable outputs into the best and worst practice DEA models for customers scoring
Brynjolfsson et al. Markets, hierarchies and the impact of information technology
Soopramanien et al.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exchange context when developing a decision support tool to target prospective customers of business insurance
Kumar et al. Big data driven supply chain innovative capability for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food supply chain: Resource‐based view perspect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