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2433A - Home Appliance and controlling method - Google Patents

Home Appliance and controll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2433A
KR20200112433A KR1020190032904A KR20190032904A KR20200112433A KR 20200112433 A KR20200112433 A KR 20200112433A KR 1020190032904 A KR1020190032904 A KR 1020190032904A KR 20190032904 A KR20190032904 A KR 20190032904A KR 20200112433 A KR20200112433 A KR 20200112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appliance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9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2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2433A/en
Publication of KR20200112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43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re configured so that other devices can product-register for home appliances even without accessing to the home appliances by sharing registration information about the home appliances with other devices by a terminal that has completed product registration by accessing the home appliance, so that multiple terminals can easily register the home appliances through the sharing of registration information with one product registration, thereby remotely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s and monitoring their operation status by using the multiple terminals, and improving the ease and convenience of product registration.

Description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Home Appliance and controlling method}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Home Appliance and controlling method}

본 발명은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전기기를 원격에서 용이하게 제어하는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to a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and a control method for easily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remotely.

가정에는 TV, 에어컨, 세탁기, 건조기, 냉장고, 이동 로봇은 물론, 식기세척기, 선풍기와 같은 다양한 가전기기가 구비된다. 이동 로봇은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 내를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면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자동으로 청소하는 기기이다.Homes are equipped with TVs, air conditioners, washing machines, dryers, refrigerators, mobile robots, as well as various home appliances such as dishwashers and fans. A mobile robot is a device that automatically cleans by inhal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the floor while traveling by itself in an area to be cleaned without a user's manipulation.

이러한 가전기기는 가정 내에 소규모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가전기기를 연결하고, 인터넷 인프라를 이용하여 이를 제어하도록 하는 기술이 다양한 형태로 적용되고 있다. 그 예로 IOT기술이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가전기기가 자체적으로 네트워크 접속이 불가능하더라도 간단한 기기를 추가설치함으로써 원격제어가 가능해 진다. These home appliances form a small network in the home to connect the home appliances, and a technology for controlling them using Internet infrastructure is applied in various forms. As an example, IOT technology is being used in various ways. Even if the home appliance cannot connect to the network by itself, remote control is possible by adding a simple device.

최근에는 IOT 기능을 지원하는 가전기기가 증가함에 따라, IOT제품을 단말에 등록하여 원격지에서 동작을 제어하고 모니터링하는 추세이다. In recent years, as home appliances supporting the IOT function increase, there is a trend of registering IOT products in a terminal to control and monitor operations at a remote location.

예를 들어, 이동 로봇 또한 IOT 기능을 탑재한 제품이 증가하고 있고, 단말에 등록하여, 사용자가 어디서든 이동 로봇을 제어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For example, mobile robots also have an increasing number of products equipped with IOT functions, and by registering them in terminals, users can control and monitor mobile robots from anywhere.

그에 따라 단말을 통해 이동 로봇에 청소명령을 전송함은 물론, 이동 로봇이 영역을 주행하며 청소하면, 생성되는 지도를 단말과 공유하여 사용자가 청소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ly, a cleaning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robot through the terminal, and when the mobile robot travels and cleans the area, the generated map is shared with the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cleaning state.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3-0013238 (2013. 6. 19)은 외부와 통신 가능하도록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등록모드의 설정을 통해 단말 등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3-0013238 (2013. 6. 19)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and enables a device to be controlled using an application in a terminal or the like through setting of a registration mode.

그러나 단말에 가전기기를 등록하여 원격지에서 제어 및 모니터링을 하기 위해서는 단말에 기기를 등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동 로봇과 같은 가전기기를 단말에 등록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가전기기에 접근하여 상호 페어링 과정을 진행해야 실질적인 원격제어가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However, in order to register the home appliance in the terminal and control and monitor it at a remote location, a process of registering the appliance in the terminal is required. In order to register a home appliance such as a mobile robot in the terminal,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practical remote control is possible only when the home appliance is accessed and a pairing process is performed.

특히 다수의 사용자가 가전기기를 원격제어 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사용자가 가전기기에 접근하여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여 제품을 등록해야만 한다. In particular, in order for multiple users to remotely control the home appliance, each user must access the home appliance and perform the same task to register the product.

그에 따라, 보다 편리하게 제품을 단말에 등록하여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way to more conveniently register a product in a terminal and control it remotel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전기기를 기 등록한 단말을 이용하여 가전기기에 대한 등록정보를 공유하여 용이하게 제품을 등록하여 제어하는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and a control method for easily registering and controlling products by sharing registration information on home appliances using a terminal in which the home appliance is registered.

본 발명은 가전기기에 대한 등록정보를 공유하여 가전기기에 접근하지 않더라도 원거리에서 가전기기를 등록할 수 있는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and a control method for registering home appliances from a distance even if the home appliance is not accessed by sharing registration information about the home appliance.

본 발명은 다수의 단말에 반복적으로 등록작업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가전기기를 등록하여 제어하는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and a control method for easily registering and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even without repeatedly performing the registration operation on a plurality of terminals.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가전기기가 기 등록된 단말로부터 가전기기에 대한 등록정보를 공유하여 복수의 단말에 가전기기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me appliance registers the home appliance in a plurality of terminals by sharing registration information about the home appliance from a terminal in which the home appliance is previously registered.

본 발명은 가전기기에 대한 등록정보를 이메일, 메신저, 웹하드를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등록정보에 대한 접속링크, 바코드, QR코드를 생성하여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home appliance is transmitted through e-mail, messenger, web hard, or a connection link, barcode, and QR code for the registered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shared.

본 발명은 새로운 단말이 공유된 등록정보를 바탕으로 가전기기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ew terminal registers the home appliance based on the shared registr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공유된 등록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에 가전기기를 자동으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me appliance is automatically registered in the terminal using the shared registr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등록된 가전기기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제어하고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gistered home appliance is remotely controlled and monitored using an application.

또한, 본 발명의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은, 통신기능이 구비된 가전기기; 상기 가전기기를 제품등록하여 동작을 제어하고 모니터링하는 단말; 및 상기 가전기기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가전기기에 근접하여 상기 가전기기와 통신하며 상기 가전기기를 제품등록하고, 상기 가전기기에 대한 등록정보를 공유하는 제 1 단말; 및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등록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등록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가전기기를 제품등록하는 제 2 단말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me appliance with a communication function; A terminal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an operation by registering the home appliance; And a server collecting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and providing it to the terminal, wherein the terminal communicates with the home appliance in proximity to the home appliance, registers the home appliance as a product, and registers information on the home appliance. A first terminal to share; And a second terminal which receives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terminal and registers the home appliance product based on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제 1 단말이 가전기기에 접근하여, 수신되는 상기 가전기기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가전기기를 제품등록하는 단계; 상기 가전기기에 대한 등록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 1 단말이 상기 등록정보를 제 2 단말에 공유하는 단계; 상기 제 2 단말이 상기 등록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가전기기를 제품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단말 및 상기 제 2 단말이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고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control method of the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first terminal accessing the home appliance and registering the home appliance on the basis of the received home appliance information; Storing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home appliance; The first terminal sharing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with a second terminal; Registering, by the second terminal, the home appliance based on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controlling and monitoring the home appliance by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본 발명의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은 가전기기에 접근하여 가전기기에 대한 제품등록을 완료한 하나의 단말로부터, 가전기기에 대한 등록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가전기기를 다른 단말에 용이하게 등록할 수 있다. The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register the home appliance to another terminal by sharing registration information about the home appliance from one terminal that has completed product registration for the home appliance by accessing the home appliance.

본 발명은 가전기기에 접근하지 않더라도 제품등록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제품등록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제품등록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product registration can be performed even without access to home appliances, the time required for product registration can be shortened and the convenience of product registration is improved.

본 발명은 등록정보의 공유를 통해 복수의 단말에 가전기기를 등록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me appliance can be registered in a plurality of terminals through the sharing of registr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등록정보를 바탕으로 가전기기를 자동으로 등록할 수 있어 효율성 및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register home appliances based on registration information, thereby improving efficiency and convenience.

본 발명은 가전기기에 대한 등록정보를 다양한 형태로 공유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home appliances can be shared in various forms.

본 발명은 공유된 정보를 이용한 제품등록에 있어서, 인증과정을 거쳐 불필요한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product registration using shared information, unnecessary access can be blocked through an authentication process.

본 발명은 가전기기를 단말에 등록하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용이하게 제어하고 그 동작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by registering a home appliance in a terminal, it is possible to easily control it through an application and monitor its operation state.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이 도시된 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의 가전기기 등록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의 가전기기에 대한 등록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의 단말에 대한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에서 가전기기를 등록하는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에서 공유된 등록정보를 이용한 가전기기 등록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referenced for explaining registration of a home appliance in the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referenced for explaining a method of sharing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a home appliance in a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of the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gistering a home appliance in the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ome appliance registration method using shared registration information in the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제어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are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sist of at least one processor.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이 도시된 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은, 가전기기(1), 네트워크를 통해 가전기기와 연결되는 서버(50),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50) 및 가전기기와 연결되는 단말(8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 1, the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ome appliance (1), a server 50 connected to the home appliance through a network, the server 50 and connected to the home appliance through a network. It includes the terminal 80.

또한, 본 발명의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은, 가전기기(1)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통신기기(70),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보조통신기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device 70 for connecting the home appliance 1 to a network, and an auxiliary communication device (not shown) for network access.

가전기기(1)는 건물 또는 가정 내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한다. 가전기기(1)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네트워크(N)에 연결가능한 기기이다. The home appliance 1 is installed in a building or home and is operated by power supplied. The home appliance 1 is a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network N includ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module.

가전기기(1)는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 로봇, 에어컨, TV, 세탁기, 건조기, 냉장고, 선풍기, 오디오, 스피커, 밥솥, 오븐레인지, 조리기기, 식기세척기와 같은 복수의 가전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ome appliance 1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such as a mobile robot, an air conditioner, a TV, a washing machine, a dryer, a refrigerator, a fan, an audio device, a speaker, a rice cooker, an oven range, a cooking appliance, and a dishwasher. have.

또한, 본 발명의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은, 가전기기뿐 아니라, 스탠드, 천장등과 같은 조명기기, 도어락, 침입감지장치 등의 보안기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In addition, it is stated that the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equally to not only home appliances, but also to lighting devices such as stands and ceiling lamps, and security devices such as door locks and intrusion detection devices.

이하, 가전기기(1)는 이동 로봇인 것을 예로하여 설명한다. 이하 이동 로봇은 가전기기(1)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함을 명시한다. Hereinafter, the home appliance 1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mobile robot. Hereinafter, it is specified that the mobile robot use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the home appliance 1.

이동 로봇(1)은 주행영역 중 소정의 청소영역에 대한 청소명령을 수신하여 청소영역을 주행하며 청소를 수행한다. 이동 로봇(1)은 주행 중에 이물질을 흡입하고 또는 바닥을 물걸레질하며 청소영역을 청소할 수 있다. 이동 로봇(1)은 주행방향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감지하며 이동한다. The mobile robot 1 receives a cleaning command for a predetermined cleaning area among the driving areas, travels through the cleaning area, and performs cleaning. The mobile robot 1 may suck foreign substances while driving or clean the cleaning area by mopping the floor. The mobile robot 1 moves while detecting an obstacle located in the driving direction.

가전기기(1)의 통신방식은 와이파이(Wi-Fi)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와이파이는 통신방식의 일예일 뿐, 본 발명은 통신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home appliance 1 may be a Wi-Fi communication method. Wi-Fi is only an example of a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communication method.

또한, 가전기기(1)는 다른 종류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거나 복수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기기는 NFC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me appliance 1 may include other types of communication modules 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For example, the home appliance may include an NFC module,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and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가전기기(1)는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각 기기가 1:1 로 연결되어 다이렉트 통신이 가능하고, 또한 복수의 가전기기가 상호 연결되어 소정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가전기기(1)는 가정 내에, 가전기기 네트워크는 형성할 수 있다.In the home appliance 1, each device is connected 1:1 using a communication module to enable direct communication, and a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may be interconnected to form a predetermined network. For example, a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1 may form a home and a home appliance network.

가전기기(1)는 통신기기(70)를 통해 외부의 네트워크(N), 예를 들어 인터넷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가전기기(1)는 네트워크 연결이 불가능한 제품이라도, 보조통신기기가 연결되는 경우, 통신 가능하다. The home appliance 1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network N, for example, the Internet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70. In addition, even if the home appliance 1 is a product that cannot be connected to a network, communication is possible when an auxiliary communication device is connected.

통신기기(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N)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시스템의 장치로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상호 연결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이다. 통신기기(70)는 가전기기(1) 간에 상호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고, 각 가전기기가 외부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통신 가능하도록 한다. 통신기기(70)는 모뎀, 라우터, 게이트웨이, 무선통신을 위한 접속포인트(Access Point, AP) 등의 통신장치를 포함한다. The communication device 70 is a device of a communication system for connecting to the network N by wire or wirelessly, and is a device that interconnects different networks and transmits data. The communication device 70 enables mutual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home appliances 1, and allows each home appliance to communicate by connecting to an external network. The communication device 70 includes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modem, a router, a gateway, and an access point (AP) for wireless communication.

보조통신기기는 네트워크 접속이 불가능한 가전기기에 연결되어, 가전기기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되는 데이터를 가전기기로 입력하여, 통신이 불가능한 가전기기를 보조하는 통신장치이다. 보조통신장치는 가전기기에 소정의 신호를 전달할 수 있고, 또는 송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가전기기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통신기기는 스마트플러그, 스마트멀티탭이 사용될 수 있다. An auxiliary communication device is a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connected to a home appliance that cannot be connected to a network, transmits data of the home appliance, and inputs the received data to the home appliance to assist the home appliance in which communication is impossible. The auxiliary communication device may transmit a predetermined signal to the home appliance, or may be a device that applies a physical force to the home appliance according to the transmitted/received signal. For example, as an auxiliary communication device, a smart plug or a smart multi-tap may be used.

단말(80)은 통신 기능이 구비된 장치로, 서버(50) 또는 가전기기(1)에 접속하여 가전기기(1)를 제어하고, 가전기기의 동작을 모니터링한다. 단말(80)은 가전기기의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또는 가전기기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기기로,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명령을 입력하고, 가전기기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The terminal 80 is a device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controls the home appliance 1 by accessing the server 50 or the home appliance 1, and monitors the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The terminal 80 is a device in which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or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is installed, inputs a control command for the home appliance, and outputs data of the home appliance.

단말(80)은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서버(50)에 접속함으로써, 가전기기(1)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단말(80)은 가전기기(1)와 다이렉트로 연결될 수 있다. The terminal 80 can remotely control the home appliance 1 by executing a program or application and accessing the server 50. In addition, the terminal 8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home appliance 1.

단말(80)은 서버(50)로부터 할당된 아이디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에서 서버(50) 또는 가전기기(1)에 접속할 수 있다. The terminal 80 may access the server 50 or the home appliance 1 from a remote location through a network using the ID assigned from the server 50.

복수의 단말(81, 82)이 각각 가전기기(1)를 제어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terminals 81 and 82 may each control the home appliance 1.

단말(80)은 컴퓨터, 랩탑, 스마트폰, PDA, 태블릿PC 등의 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스마트워치 등의 웨어러블(wearable) 장치 또한 사용될 수 있다. The terminal 80 may be a computer, a laptop, a smart phone, a PDA, a device such as a tablet PC. In addition, the terminal may also be used as a wearable device such as a smart watch.

서버(50)는 복수의 가전기기(1)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가전기기로 제어명령을 전송하여 그 동작을 제어한다. The server 50 collects and stores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1, and transmits a control command to the home appliance to control its operation.

서버(50)는 가전기기를 등록하는 단말(80)에 아이디를 할당하여 가전기기에 대한 단말(80)의 접속을 제어한다. 서버(50)는 접속되는 단말(8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The server 50 controls the connection of the terminal 80 to the home appliance by assigning an ID to the terminal 80 for registering the home appliance. The server 50 may perform authentication for the connected terminal 80.

서버(50)는 단말(80)의 요청에 대응하여 가전기기의 데이터를 단말로 전송하고, 단말(8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가전기기(1)로 전송할 수 있다. The server 50 may transmit data of the home appliance to the terminal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terminal 80 and transmit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a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terminal 80 to the home appliance 1.

서버(50)는 하나의 단일기기로 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서버기기가 상호 연결되어 요청되는 데이터를 복수의 서버기기에서 분산하여 처리하는 분산처리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서버(50)는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서버시스템일 수 있다. The server 50 may not be a single device, but may be a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server devic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distribute and process data requested by a plurality of server devices. In addition, the server 50 may be a cloud service-based server system.

서버(50)는 가전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데이터에 대하여,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서버, 이미지를 분석하여 장애물을 판단하는 장애물인식서버, 가전기기의 상태에 대하여 고장을 진단하는 진단서버로 동작할 수 있다. The server 50 is a voice recognition server that analyzes data received from home appliances and recognizes voice for the data, an obstacle recognition server that determines obstacles by analyzing images, and a diagnosis server that diagnoses failures with respect to the state of home appliances. Can be operated as

서버(50)는 경우에 따라 가전기기의 동작상태에 대하여 이상을 진단하고, 제조사 또는 서비스센터로 수리를 요청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서버(50)는 제조사서버 또는 서비스센터일 수 있다. 또한, 서버(50)는 보안시스템에 연결되어, 보안경고를 전송할 수 있다. In some cases, the server 50 diagnoses an abnormality in the operation state of the home appliance, and may request repair to a manufacturer or a service center. In some cases, the server 50 may be a manufacturer server or a service center. In addition, the server 50 may be connected to a security system and transmit a security warning.

가전기기 중, 이동 로봇은 청소구역의 바닥을 따라 이동하며, 바닥 상의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본체와,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어 장애물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이동로봇은, 케이싱에 배치되어 먼지나 쓰레기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유닛과,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좌륜과 우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로봇은, 좌륜과 우륜이 회전함에 따라 본체가 청소구역의 바닥을 따라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흡입유닛을 통해 이물질이 흡입된다.Among household appliances, the mobile robot includes a main body that moves along the floor of the cleaning area and sucks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on the floor, and a sensing mean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to detect an obstacle. In addition, the mobile robot may include a suction unit disposed in a casing to suck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or garbage, and a left wheel and a right wheel rotatably provided in the casing. In the mobile robot, as the left and right wheels rotate, the body moves along the floor of the cleaning area, and in this process, foreign substances are sucked through the suction unit.

또한, 이동로봇은, 사용자로부터 제어를 위한 각종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컨트롤 패널이 구비되며,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감지유닛을 포함하며, 복수의 센서와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획득부를 포함한다. 이동로봇은 전방 또는 천장을 촬영하여, 주행방향의 장애물을 감지하고,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동로봇은 초음파, 적외선 등의 센서, 패턴을 조사하는 3D센서, 카메라 등이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robot includes a control panel including a manipulation unit that receives various commands for control from a user, and includes an obstacle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n obstacle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and captures a plurality of sensors and images. It includes an image acquisition unit. The mobile robot may photograph the front or the ceiling, detect obstacles in the driving direction, and determine the current position. The mobile robot may include sensors such as ultrasonic waves and infrared rays, 3D sensors that irradiate patterns, and cameras.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의 가전기기 등록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2 is a diagram referenced for explaining registration of a home appliance in the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전기기(1)는 통신기기를 통해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서버와 연결된다. As shown in FIG. 2, the home appliance 1 is connected to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through a communication device and connected to a server.

또한, 가전기기(1)는 단말(80)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me appliance 1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80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가전기기(1)는 통신기기를 통해, 건물 또는 가정 내에 형성되는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80)과 연결될 수 있고, 단말과 일대일로 직접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home appliance 1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80 through a communication device, a network formed in a building or a home, and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terminal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단말(80)은 가전기기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되고,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가전기기(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terminal 80 is provided with a program or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and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1 by executing the program or application.

단말(80)은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가전기기의 제어에 앞서, 가전기기에 대한 제품등록을 선행해야한다. The terminal 80 needs to register a product for the home appliance before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using a program or application.

가전기기(1)와 단말(80)은 각각 통신기기(70)를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된다(S1). The home appliance 1 and the terminal 8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network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70 (S1).

단말(80)은 가전기기(1)에 접근하여 가전기기에 대한 제품등록을 시작한다. The terminal 80 approaches the home appliance 1 and starts product registration for the home appliance.

사용자는 가전기기(1)에 구비되는 버튼 등을 조작하여 등록대기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The user may operate a button or the like provided on the home appliance 1 to set it to a standby state for registration.

단말(80)은 가전기기(1)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등록을 시작하면, 가전기기(1)와 단말(80)이 상호 연결되어 페어링됨에 따라 가전기기가 제어가능한 기기로써 제품등록된다(S1). When the terminal 80 receiv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home appliance 1 and starts registration, the home appliance 1 and the terminal 80 are interconnected and paired, so that the home appliance is registered as a controllable device ( S1).

단말(80)은 가전기기(1)의 제품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한다. The terminal 80 receives and registers product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1.

한편, 단말(80)은 제어용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서버(50)에 접속하여 아이디를 할당받을 수 있다. Meanwhile, the terminal 80 may access the server 50 and receive an ID when executing a control program or application.

단말(80)은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버에 접속된 상태에서 가전기기의 제품등록을 진행함에 따라 가전기기를 제품등록함과 동시에 서버에 가전기기를 자동으로 등록할 수 있다. The terminal 80 may register the home appliance and automatically register the home appliance in the server at the same time as the home appliance is registered as the home appliance is registered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server through a program or application.

경우에 따라 가전기기(1)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가전기기(1)에 통신기기(70) 연결을 위한 접속정보를 입력할 입력수단이 구비되지 않는 등의 이유로 연결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에 대하여 단말(80)은 가전기기에 대한 제품등록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통신기기(1)에 대한 접속정보를 가전기기(1)에 전송할 수 있다(S2). 접속정보는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SSID명, 비밀번호, 포트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In some cases, when the home appliance 1 is not connected to the network, for example, the home appliance 1 is not equipped with an input means for inputting connection information for connection to the communication device 70. Cases can arise. 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80 may transmit connection information for the communication device 1 to the home appliance 1 in the process of registering a product for the home appliance (S2). The access information may include an SSID name, password, and port number for network access.

그에 따라 가전기기(1) 또한 통신기기(70)를 통해 가정 내의 네트워크 및 인터넷 등의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된다(S3). Accordingly, the home appliance 1 is also connected to an external network such as a network in the home and the Internet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70 (S3).

이와 같이, 복수의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 예를 들어 제 1 단말(81)이 가전기기(1)에 접근하여 제품등록을 완료하면, 가전기기(1)를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for example, the first terminal 81, approaches the home appliance 1 and completes product registration, the home appliance 1 can be controlled.

단말(80)은 가전기기(1)와, 가정 내 구축되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단말과 가전기기(1)는 WIFI로 연결됨은 물론, 블루투스, 적외선통신, 지그비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상호 통신할 수 있다. 단말과 가전기기의 통신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The terminal 80 may be interconnected with the home appliance 1 through a network built in the home. The terminal and the home appliance 1 are not only connected by WIFI, but can als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Bluetooth, infrared communication, and ZigBee. It is specified that the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home appliance is not limited thereto.

단말(80)은 제어용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가전기기, 즉 이동 로봇의 현재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이동 로봇에 의해 생성된 지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청소명령을 전송하여 청소 진행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The terminal 80 can check the current location of a home appliance, that is, a mobile robot, through a control program or application, can check a map generated by the mobile robot, and transmit a cleaning command to monitor the cleaning progress. .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의 가전기기에 대한 등록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FIG. 3 is a diagram referenced for explaining a method of sharing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a home appliance in a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 예를 들어 제 1 단말(81)이 가전기기(1)에 접근하여 제품등록을 완료한다(S11). 이때 제 1 단말(81)은 서버(50)로부터 아이디(ID1)를 할당받은 후 제품등록을 실시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any one of a plurality of terminals, for example, the first terminal 81 approaches the home appliance 1 and completes product registration (S11). At this time, the first terminal 81 may perform product registration after receiving an ID (ID1) from the server 50.

가전기기(1)를 등록한 제 1 단말(81)은, 등록된 가전기기에 대한 등록정보를 다른 단말과 공유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81 registering the home appliance 1 may share registration information on the registered home appliance 1 with other terminals.

제 1 단말(81)은 제 2 단말(82)로 가전기기(1)에 대한 등록정보를 전송하고(S12), 제 2 단말은 가전기기에 대한 등록정보를 수신하여 제어용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품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81 transmits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home appliance 1 to the second terminal 82 (S12), and the second terminal receives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home appliance and supplies the product through a control program or application. Registration can be completed.

제 2 단말(82)은 제 1 단말(81)로부터 등록정보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한, 제 2 단말(82)은 제 1 단말(81)로부터 수신된 링크를 통해 접속하여 가전기기에 대한 등록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제 2 단말(82)은 제어용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등록정보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고, 또는 등록정보 읽어오기와 같은 메뉴를 통해 등록정보를 호출하여, 가전기기에 접근하지 않더라도 가전기기에 대한 제품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The second terminal 82 may receive data of registra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terminal 81. In addition, the second terminal 82 may access through a link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81 and download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home appliance. The second terminal 82 can automatically recognize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when executing a control program or application, or call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through a menu such as reading registration information, so that the product for the home appliance is not accessed even if the home appliance is not accessed. Registration can be completed.

한편, 제 2 단말(82)은 제 1 단말로부터 수신한 등록정보를 제 3 단말(83)과 공유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 3 단말(83)은 제 2 단말로부터 가전기기에 대한 등록정보를 수신하여 제품을 등록할 수 있다(S13).Meanwhile, the second terminal 82 may share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with the third terminal 83. Accordingly, the third terminal 83 may register the product by receiving registration information about the home appliance from the second terminal (S13).

제 1 단말(81), 제 2 단말(82) 및 제 3 단말(83)은, 각각 제어용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서버에 가입하여 아이디(ID1, ID2, ID3)를 할당받을 수 있다. 복수의 단말은 등록정보를 공유함으로써 하나의 가전기기를 복수의 단말(복수의 아이디)에 각각 등록할 수 있다. The first terminal 81, the second terminal 82, and the third terminal 83 may subscribe to a server and receive IDs (ID1, ID2, ID3) when executing a control program or application, respectively. A plurality of terminals can register one home appliance to a plurality of terminals (plural IDs) by sharing registration information.

서버(50)는 접속되는 단말(80)에 아이디를 할당하여 단말에 대한 계정을 생성하고, 단말에 의해 제품등록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에 대한 정보를 단말의 계정에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The server 50 may create an account for the terminal by assigning an ID to the terminal 80 to be connected, and stor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home appliance registered by the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the account of the terminal.

가전기기가 지정된 동작을 시작하고 종료하는 때에, 서버(50-)는 가전기기의 동작상태에 따라 동작을 시작과 종료에 대한 알림을, 가전기기를 등록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home appliance starts and ends a designated operation, the server 50-may transmit a notification about the start and end of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home appliance to at least one terminal registering the home appliance.

또한, 가전기기에 이상이 있는 경우, 서버(50)는 해당 가전기기를 등록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이상발생에 따른 경고를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home appliance, the server 50 may transmit a warning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the abnormality to at least one terminal registering the home appliance.

한편, 복수의 단말로부터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되는 경우, 서버(50)는 제일 처음 수신된 명령에 따라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a control command for a home appliance i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terminals, the server 50 may control the home appliance according to the first received command.

서버는 하나의 가전기기에 복수의 아이디가 등록된 경우 어느 하나의 아이디에 대하여 우선권을 부여하여 동시에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우선권이 있는 아이디의 제어명령에 따라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When a plurality of IDs are registered in a single home appliance, the server may control the home appliance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ID having the priority when a control command is inputted simultaneously by giving priority to any one ID.

또한, 서버는 복수의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에 가전기기가 제어되는 경우, 다른 단말은 모니터링만 가능하도록 권한을 제한하여 동시에 제어명령이 입력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제어명령의 충돌에 대한 에러메시지를 복수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home appliance is controlled by any on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the server may restrict the authority so that only monitoring is possible so that the control command is not input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 server may transmit an error message for a collision of a control command to a plurality of terminals.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의 단말에 대한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of the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80)은 입력부(120), 출력부(130), 카메라(미도시), 센서부(140), 데이터부(160), 통신부(150), 그리고 동작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또한, 단말은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구성에 대하여 그 설명을 생략함을 명시한다. As shown in FIG. 4, the terminal 80 includes an input unit 120, an output unit 130, a camera (not shown), a sensor unit 140, a data unit 160, a communication unit 150, and an overall operation. It includes a control unit 110 for controlling. In addition, the terminal may include a variety of configurations, but the description of configurations not related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입력부(120)는 버튼, 스위치, 터치입력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사용자 명령 또는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한다. 입력부(120)는 터치입력수단이 출력부의 디스플레이와 레이어드된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The input unit 120 includes at least one of a button, a switch, and a touch input means to input a user command or predetermined data. The input unit 120 may be a touch screen in which the touch input means is layered with the display of the output unit.

입력부(120)는 오디오 입력부(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입력부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인식하고, 그에 대한 명령을 제어부로 입력한다. 오디오입력부(3220)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포함한다. The input unit 120 may include an audio input unit (microphone). The audio input unit receives and recognizes the user's voice, and inputs a command for it to the control unit. The audio input unit 3220 includes at least one microphone.

출력부(130)는 디스플레이, 오디오 출력부, 조명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130 may include a display, an audio output unit, and a lighting unit.

디스플레이는 LCD, LED, OLED 등의 표시수단으로 구성되고, 터치패드가 레이어드된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단말의 동작설정 또는 동작정보를, 문자, 이미지, 특수문자, 기호, 이모티콘,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표시한다. The display is composed of display means such as LCD, LED, and OLED, and may include a touch screen in which a touch pad is layered. The display displays the operation setting or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s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characters, images, special characters, symbols, emoticons and icons.

조명부는 점등 여부, 점등색상, 점멸 여부에 따라 동작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출력부는 음성안내, 소정의 경고음, 효과음을 출력한다. 오디오출력부는 버저 또는 스피커를 포함한다. The lighting unit can output the operation status according to whether it is lit, light color, or blinking. The audio output unit outputs voice guidance, predetermined warning sounds, and sound effects. The audio output unit includes a buzzer or speaker.

데이터부(160)에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161), 동작상태에 대한 동작데이터(164),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 및 그에 따른 설정정보가 포함된 어플리케이션데이터(162), 가전기기에 대한 등록정보가 포함된 제품등록데이터(163)가 저장된다. The data unit 160 includes control data 161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peration data 164 for an operation state, a program or application for controlling a home appliance, and application data 162 including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 thereto, Product registration data 163 including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home appliances is stored.

또한, 데이터부(160)에는 동작상태에 대한 데이터, 센서부(140)로부터 감지되는 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 통신부(15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 연산과정에서 도출되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ata unit 160 may store data on an operation state, data sensed from the sensor unit 140, data input/output, data transmitted/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0, and data derived during an operation process.

데이터부(16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에 의해 읽힐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ata unit 160 stores data that can be read by a micro processor, and includes a hard disk drive (HDD), a solid state disk (SSD), a silicon disk drive (SDD), a ROM, a RAM, and a CD- It may include 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

통신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유선 또는 무선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150)는 LAN, 전력선통신, 시리얼통신 등의 유선통신, 지그비, 블루투스, 적외선, NFC 태그의 근거리 무선통신, 그리고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등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50, includ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unit 15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including wired communication such as LAN,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serial communication, ZigBee, Bluetooth, infrare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f NFC tags, and communication modules such as WiFi and WiBro. can do.

통신부(150)는 WIFI 등의 무선통신을 통해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서버(50)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WIFI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가전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이 스마트폰, PDA 등의 휴대단말의 경우 통신부를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타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communicate with the server 50 by connecting to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WIFI.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communicate with the home appliance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WIFI or Bluetooth. In case the terminal is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or PDA, the communication unit can communicate with other terminals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센서부(140)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측정되는 데이터를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센서부(140)는 온도센서, 근접센서, 햅틱센서, 기울기센서, 생체인증용 센서, 모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인증용 센서로, 지문인식센서, 홍채인식센서, 페이스인식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sensor unit 140 inputs measured data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to the control unit 110. The sensor unit 140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a proximity sensor, a haptic sensor, a tilt sensor, a biometric authentication sensor, and a motion sensor. As a sensor for biometric authentication, a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an iris recognition sensor, a face recognition sensor,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촬영부는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의해 활성화되어,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한다. 촬영부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한다. 촬영부는 전면과 후면에 각각 하나의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고, 전면 또는 후면에 복수의 카메라가 설치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촬영부는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3차원 영상 또한 촬영할 수 있다.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는 데이터부에 저장된다. The photographing unit is activated by a control command from the controller to capture an image or video. The photographing unit includes at least one camera. The photographing unit may have one camera installed at each of the front and rear sides, and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a plurality of cameras at the front or rear. The photographing unit may also photograph a 3D image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The captured image data is stored in the data unit.

제어부(110)는 가전기기(1), 예를 들어 이동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메뉴를 출력부를 통해 표시하고, 입력부 또는 음성인식을 통해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메뉴를 실행하여 가전기기(1)에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10 includes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1, for example, a mobile robot, and displays a control menu for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through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through the output unit, and input unit or voice recognition. A control command can be transmitted to the home appliance 1 by executing any one menu selected through.

제어부(11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서버(50)에 접속하며, 기 할당된 아이디 및 그에 대한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10 accesses the server 50 through execution of an application, and may perform user authentication using a pre-allocated ID and a password therefor.

제어부(110)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통신부를 통해 서버(50) 또는 이동로봇(1)과 통신함으로써, 이동로봇(1)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The controller 110 executes an application and communicates with the server 50 or the mobile robot 1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of the mobile robot 1.

제어부(110)는 메뉴선택을 통해 이동로봇(1)에 청소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동 로봇(1)이 청소할 주행구역에 대한 지도를 화면에 표시하고, 지도상에 특정 영역을 청소하도록 영역을 지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10 may input a cleaning command to the mobile robot 1 through menu selection. The controller 110 may display a map of a driving area to be cleaned by the mobile robot 1 on the screen and designate an area to clean a specific area on the map.

제어부(110)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동로봇(1)에 의해 생성되는 지도를 화면에 표시하고, 이동로봇(1)의 현재 위치, 현재 동작상태를 표시하고, 청소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Based on the received data, the control unit 110 displays a map generated by the mobile robot 1 on the screen, displays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current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robot 1, and displays information on the cleaning state. Indicate.

제어부(110)는 서버 또는 가전기기의 동작상태에 대한 데이터가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면, 그에 대응하는 알림을 생성하여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서버 또는 가전기기로부터 이상신호가 수신되면, 그에 대응하는 경고를 생성하여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When data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server or home appliance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he control unit 110 generates a notification corresponding thereto and outputs it through the output unit. In addition, when an abnorma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rver or home appliance, the control unit 110 generates a corresponding warning and outputs it through the output unit.

제어부(110)는 알림 또는 경고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소정의 효과음 또는 경고음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단말(80)은 수신되는 데이터에 따라, 가전기기의 동작의 시작, 동작의 종료, 동작상태, 장애물 발견, 침입감지, 보안이상, 위험상황, 고립상황과 같은 상황에 따라 각각 그에 대응하는 알림 또는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10 generates a message corresponding to a notification or warning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and causes a predetermined sound effect or warning sound to be output through a speaker.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received data, the terminal 80 responds to situations such as the start of the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the end of the operation, the operation state, obstacle detection, intrusion detection, security abnormality, danger situation, isolation situation, etc. You can print a notification or warning.

제어부(110)는 가전기기에 대한 제품등록이 완료되면 그에 대한 등록정보를 제품등록데이터(163)로 저장한다.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하여 타 사용자와 가전기기에 대한 등록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선택된 가전기기에 대한 등록정보를 이메일, 메신저, 웹하드를 통해 타 단말로 전송할 수 있고, 또한, 등록정보 전송을 위한 접속링크,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생성하여 타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When product registration for the home appliance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110 stores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home appliance as product registration data 163. When the user selects a menu and wants to share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n the home appliance with another user, the control unit 110 can transmit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n the selected home appliance to another terminal through e-mail, messenger, or web hard. , You can create a connection link, barcode or QR code for transmission of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 it to other terminals.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에서 가전기기를 등록하는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gistering a home appliance in the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를 시작한다(S310). As shown in Fig. 5, the terminal starts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by executing the application (S310).

단말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서버에 접속한다. 단말은 서버로부터 기 할당된 아이디(ID)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미등록된 단말인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버에 단말을 등록하고 그에 따라 아이디를 할당받을 수 있다. The terminal connects to the server by executing the application. The terminal can access the server using an ID (ID) previously allocated from the server. In the case of an unregistered terminal, the terminal can be registered in the server through an application and an ID can be assigned accordingly.

단말은 서버에 접속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가전기기의 제어화면을 표시한다. 기 등록된 가전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화면에는 제어할 가전기기가 아이콘, 이미지, 문자 등으로 표시된다. The terminal connects to the server and displays the control screen of the home appliance using the application. When there is a previously registered home appliance, the home appliance to be controlled is displayed as icons, images, text, etc. on the control screen.

단말은 제어화면 중, 등록메뉴를 선택하면(S320), 단말을 통해 제어할 대상인 가전기기를 등록할 수 있다. 단말은 가전기기에 소정 거리 내로 접근한다. 단말은 가전기기와 일정거리 이상 떨어져 있는 경우 가전기기에 접근하도록 안내를 출력할 수 있다. When the terminal selects the registration menu from the control screen (S320), the home appliance to be controlled through the terminal may be registered. The terminal approaches the home applianc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terminal may output a guide to access the home appliance when it is separated from the home appliance by a certain distance.

단말은 등록메뉴를 통해, 등록한 가전기기를 선택하여 가전기기에 대한 제품 등록을 시작한다(S340). The terminal starts product registration for the home appliance by selecting the registered home appliance through the registration menu (S340).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가전기기의 제품등록을 통해, 서버는 가전기기의 정보를 저장하여 등록한다. 또한, 서버는 단말에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Through product registration of the home appliance through an application, the server stores and registers information on the home appliance. In addition, the server may grant control rights to the home appliance to the terminal.

단말은 소정의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에서, 선택된 가전기기와 접속하고, 연결된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가전기기로 전송하여 가전기기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연결을 설정한다(S350). While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network, the terminal connects to the selected home appliance,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connected network to the home appliance, and establishes a network connection so that the home appliance can access the network (S350).

정상적으로 가전기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면, 네트워크를 통해 가전기기가 서버에 접속하고, 가전기기에 대한 제품등록이 완료된다(S340). When the home appliance is normally connected to the network, the home appliance connects to the server through the network, and product registration for the home appliance is completed (S340).

서버는 연결된 가전기기의 데이터를 수집한다. The server collects data of the connected home appliance.

단말은 가전기기에 대한 등록정보를 저장한다. 단말은 복수의 가전기기가 등록된 경우, 복수의 가전기기에 대한 등록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단말은 가전기기 단위로 데이터를 저장한다. The terminal stores registration information on the home appliance. When a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are registered, the terminal stores registration information on the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In addition, the terminal stores data in units of household appliances.

단말은 가전기기와 일정거리 이상 떨어진 상태에서도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가전기기에 접속하고, 가전기기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며, 그 동작을 제어한다(S350). The terminal connects to the home appliance through a network connection even when the home appliance is separated by a certain distance or more, monitors the operation state of the home appliance, and controls the operation (S350).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가전기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화면에 표시하고,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서버를 통해 가전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The terminal may access the server through a network, receive information on the home appliance, display it on a control screen, and transmit an input control command to the home appliance through the server.

가전기기가 이동로봇인 경우, 단말은 이동로봇의 위치변경, 운전모드의 설정, 청소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청소할 영역을 지정할 수 있으며, 청소 외에도 방범순찰모드, 보안모드 등을 지정할 수 있다. When the home appliance is a mobile robot, the terminal can change the location of the mobile robot, set the operation mode, input a cleaning command, designate an area to be cleaned, and designate a security patrol mode, security mode, etc. in addition to cleaning.

또한, 단말은 가전거리와 근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제어명령을 가전기기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rminal may directly transmit a control command to the home appliance when it is located in the home appliance distance and near.

단말은 가전기기 또는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가전기기의 동작상태를 제어화면에 표시한다. The terminal displays the operation state of the home appliance on the control screen based on data received from the home appliance or server.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에서 공유된 등록정보를 이용한 가전기기 등록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ome appliance registration method using shared registration information in the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단말 중 제 1 단말(81)이 가전기기를 등록하여 제어하는 경우, 제 2 단말(82)은 가전기기에 접근하지 않더라도 제 1 단말을 통해 가전기기를 등록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when the first terminal 81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registers and controls the home appliance, the second terminal 82 registers the home appliance through the first terminal even if the home appliance is not accessed. can do.

제 1 단말(81)은 가전기기에 대한 제품등록을 완료하면(S410), 그에 대한 등록정보를 저장한다(S420). 등록정보는 가전기기의 동작에 대한 데이터와는 별도로 저장되며, 가전기기의 종류, 모델명, 가전기기에 대한 접속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terminal 81 completes product registration for the home appliance (S410), the first terminal 81 stores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thereon (S420).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is stored separately from data on the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and may include the type, model name, and connection information for the home appliance.

제 1 단말(81)은 기 저장된 등록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제 2 단말로 공유할 수 있다(S430). The first terminal 81 may select at least one of the previously stored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share it with the second terminal (S430).

제 1 단말(81)은 등록정보데이터를 이메일, 메신저, 웹하드 등을 통해 제 2 단말(82)로 전송하여 등록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제 1 단말(81)은 등록정보 데이터와 연결되는 링크를 생성하여 제 2 단말(82)로 전송함으로써 등록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The first terminal 81 may share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by transmitting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data to the second terminal 82 through e-mail, messenger, web hard, or the like. In addition, the first terminal 81 may share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by creating a link connected to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data and transmitting it to the second terminal 82.

제 2 단말(82)은 제 1 단말로부터 공유된 등록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다(S440). 제 2 단말(82)은 등록정보데이터를 직접 수신하거나, 링크접속을 통해 다운로드할 수 있다. The second terminal 82 receives and stores the shared registration information data from the first terminal (S440). The second terminal 82 may directly receive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data or download it through a link connection.

제 2 단말(82)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하여 기 할당된 아이디로 서버에 로그인함으로써 서버에 접속한다(S450). 제 2 단말(82)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등록정보데이터에 포함된 가전기기에 대한 등록정보를 바탕으로 가전기기에 대한 제품등록을 수행한다. The second terminal 82 accesses the server by executing the application and logging in to the server with the previously assigned ID (S450). The second terminal 82 performs product registration for the home appliance based on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home appliance included in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data through the application.

제 2 단말(82)은 가전기기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등록메뉴를 통해 기 저장된 등록정보를 호출하여 가전기기에 대한 제품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S460). 경우에 따라, 제 2 단말은 등록정보데이터의 실행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할 수 있다. The second terminal 82 may execute the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and complete product registration for the home appliance by calling the previously stored registr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registration menu (S460). In some cases, the second terminal may call and execute the application through execution of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data.

제 2 단말(82)은 제품등록을 통해 가전기기 제어에 관한 권한을 서버로부터 할당받을 수 있다. The second terminal 82 may be assigned the authority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s from the server through product registration.

제 2 단말은 제어화면을 통해 가전기기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한다(S470). The second terminal monitors and controls the home appliance through the control screen (S470).

이와 같이 제 2 단말(82)은 가전기기에 접근하지 않더라도 제 1 단말로부터 공유된 등록정보를 바탕으로 가전기기를 등록하여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second terminal 82 may register and control the home appliance based on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shared from the first terminal even if the home appliance is not accessed.

복수의 단말이 하나의 가전기기를 등록한 경우, 서버는 복수의 단말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동시에 상이한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우선수위에 따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When a plurality of terminals registers one home appliance, the server may give priority to the plurality of terminals so that when different control commands are simultaneously input, the server may execute according to the priority level.

또한, 서버는 복수의 단말로부터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명령이 입력된 순서에 따라 가전기기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어느 하나의 단말에 의해 가전기기가 제어되는 경우, 타 단말은 모니터링만 가능하도록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control command is input from a plurality of terminals, the server may cause the home appliance to operate according to the order in which the control command is input. In addition, when the home appliance is controlled by any one terminal, the server may limit the function so that the other terminal can only monitor.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1: 가전기기 50: 서버
70: 통신장치 80, 81, 82: 단말
110: 제어부 150: 통신부
160: 데이터부
1: home appliance 50: server
70: communication device 80, 81, 82: terminal
110: control unit 150: communication unit
160: data part

Claims (20)

통신기능이 구비된 가전기기;
상기 가전기기를 제품등록하여 동작을 제어하고 모니터링하는 단말; 및
상기 가전기기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가전기기에 근접하여 상기 가전기기와 통신하며 상기 가전기기를 제품등록하고, 상기 가전기기에 대한 등록정보를 공유하는 제 1 단말; 및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등록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등록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가전기기를 제품등록하는 제 2 단말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Home appliance with communication function;
A terminal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an operation by registering the home appliance; And
It includes a server that collects the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and provides it to the terminal,
The terminal,
A first terminal proximate the home appliance to communicate with the home appliance, register the home appliance as a product, and share registration information on the home appliance; And
A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second terminal receiving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terminal and registering the home appliance product based on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가전기기에 대한 제품등록을 완료하면, 상기 가전기기에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접속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가전기기는 상기 접속정보를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product registration for the home appliance is completed, the terminal sets access information for connecting to the home appliance to the network,
The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wherein the home appliance accesses the server through the access information and transmits dat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 및 상기 제 2 단말은 이메일, 메신저, 웹하드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등록정보를 전송하고, 또는 상기 등록정보에 대한 접속링크,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등록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transmit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through any one of e-mail, messenger, web hard, or share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by generating an access link, barcode, or QR code for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 단말은 상기 가전기기에 접근하여, NFC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과 같은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가전기의 제품정보를 수신하여 제품등록을 완료하여 상기 등록정보를 저장하고,
와이파이, 와이브로 등의 무선통신모듈 또는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단말로 상기 등록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terminal 1 accesses the home appliance, receives product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through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n NFC module,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and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nd completes product registration. Save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A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is shared with the second terminal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Wi-Fi or WiBro or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말은 상기 가전기기와 떨어져 원거리에서 상기 등록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가전기기를 제품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terminal is a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registering the home appliance product based on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at a distance away from the home applian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말은 제 3 단말에 상기 등록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terminal shares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with a third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가전기기의 종류, 모델명, 상기 가전기기에 대한 접속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등록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erminal stores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type of the home appliance, a model name, and access information for the home applian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terminal is installed with a program or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프로그램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The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wherein the terminal accesses the server by executing the program or the applicatio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프로그램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등록정보를 호출하여 상기 가전기기에 대한 제품등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terminal executes the program or the application, calls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performs product registration for the home applian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는 상기 서버 또는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home appliance operates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server or th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는 감지되는 장애물을 회피하며 주행하고, 주행중에 이물질을 흡입하는 이동 로봇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wherein the home appliance is a mobile robot that runs while avoiding detected obstacles and sucks foreign substances while driv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는 통신기능이 구비된, 세탁기, 건조기, 청소기, 에어컨, TV, 냉장고, 조리기기, 조명기기, 오디오, 선풍기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wherein the home appliance is one of a washing machine, a dryer, a vacuum cleaner, an air conditioner, a TV, a refrigerator, a cooking appliance, a lighting appliance, an audio device, and an electric fan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fun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가전기기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상기 단말이 접속하면 상기 가전기기의 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며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을 상기 가전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rver collects and stores data of the home appliance, provides data of the home appliance to the terminal when the terminal is connected, and transmits a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terminal to the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가전기기를 제품 등록한 상기 제 1 단말 및 상기 제 2 단말에 대하여 제어권한을 부여하여, 상기 제 1 단말 및 상기 제 2 단말의 명령이 충돌하는 경우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어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rver grants control rights to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which have registered the home appliance as a product, and selects any one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when the commands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collide to determine control priority.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set.
제 1 단말이 가전기기에 접근하여, 수신되는 상기 가전기기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가전기기를 제품등록하는 단계;
상기 가전기기에 대한 등록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 1 단말이 상기 등록정보를 제 2 단말에 공유하는 단계;
상기 제 2 단말이 상기 등록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가전기기를 제품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단말 및 상기 제 2 단말이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고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A first terminal accessing the home appliance and registering the home appliance product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home appliance;
Storing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home appliance;
The first terminal sharing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with a second terminal;
Registering, by the second terminal, the home appliance based on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The control method of a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the step of controlling and monitoring the home appliance by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이 가전기기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가전기기를 관리하는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근거리에 위치한 상기 가전기기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Accessing a server for managing the home appliance by the first terminal executing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And
Recognizing the home appliance located in a short distance through the application; control method of the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further comprising.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정보를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단말이 상기 등록정보를 이메일, 메신저, 웹하드를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등록정보에 대한 접속링크,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제 2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The step of sharing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terminal transmits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through e-mail, messenger, web hard, or generates an access link, barcode, or QR code for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second terminal Control method.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이 상기 가전기기의 정보를 수신한 후,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정보를 상기 가전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가전기기가 상기 접속정보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Transmitting, by the first terminal, access information for accessing a network to the home appliance after receiving the information on the home appliance; And
Accessing, by the home appliance, a server through the access information; Control method of a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further comprising a.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말이 상기 가전기기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떨어진 원거리에서, 가전기기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등록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가전기기에 대한 제품등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The control method of a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wherein the second terminal performs product registration for the home appliance based on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through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at a distance from the home appliance at least a predetermined distance.
KR1020190032904A 2019-03-22 2019-03-22 Home Appliance and controlling method KR2020011243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904A KR20200112433A (en) 2019-03-22 2019-03-22 Home Appliance and controll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904A KR20200112433A (en) 2019-03-22 2019-03-22 Home Appliance and controll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433A true KR20200112433A (en) 2020-10-05

Family

ID=72809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904A KR20200112433A (en) 2019-03-22 2019-03-22 Home Appliance and controll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2433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0528A (en) * 2020-10-16 2022-04-2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changing configuration of consumer electronics based on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appratus using thereof
KR20220129872A (en) * 2021-03-17 2022-09-26 김창구 Method, and system for universally controlling device home appliance on networ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0528A (en) * 2020-10-16 2022-04-2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changing configuration of consumer electronics based on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appratus using thereof
KR20220129872A (en) * 2021-03-17 2022-09-26 김창구 Method, and system for universally controlling device home appliance on netwo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4158B2 (en) Home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US10682032B2 (en) Robot cleaner, robot cleaner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20070021867A1 (en) Home networking system using self-moving robot
CN104885406A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home device remotely in home network system
CN109672720B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IoT device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11327759B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EP1548679A2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s
US20160004231A1 (en) Method of managing electrical device, managing system, electrical device, operation terminal, and program
KR20200112433A (en) Home Appliance and controlling method
US20230119043A1 (en) Operating-system-level permission management for multi-ecosystem smart-home devices
KR102032223B1 (en) Network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network system
CN106406132A (en) Device control method and system thereof
US20220221179A1 (en) Hvac control system
CN107852340B (en) Hub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KR102508073B1 (en) A moving-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24168B1 (en) Robot cleaner, method for the robot cleaner and remote controlling system for the same
KR20150126106A (en)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80129260A (en) SERIAL TO LoRa CONVERTER
KR20170132017A (en)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KR20200115691A (en) A moving-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M606098U (en) Non-invasive IoT control equipment and system thereof
US20230119058A1 (en) Operating-system-level setup for multi-ecosystem smart-home devices
TW202209244A (en) Non-intrusive Internet of Things (IoT) control device and system thereof further avoid contact infection as disease due to control keypad touching among users
TWI734340B (en) Control device for smart electrical equipment
KR20230025278A (en)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outputing information by home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