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2397A -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광테라피 장치 - Google Patents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광테라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2397A
KR20200112397A KR1020190032787A KR20190032787A KR20200112397A KR 20200112397 A KR20200112397 A KR 20200112397A KR 1020190032787 A KR1020190032787 A KR 1020190032787A KR 20190032787 A KR20190032787 A KR 20190032787A KR 20200112397 A KR20200112397 A KR 20200112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 control
leds
phototherapy
switch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창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투엠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투엠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투엠에이
Priority to KR1020190032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2397A/ko
Publication of KR20200112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3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1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ultraviol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64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테리피 장치에 간단한 부품을 추가하여 해충 퇴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복합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직류/직류 변환기(210)로부터 직류전압을 공급받고, 오프 모드, 광테라피 모드 및 해충퇴치모드로 스위칭 동작하는 스위치(230); 광테라피 모드에서 스위치(23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복수 개의 광테라피용 엘이디들을 구비한 광테라피용 광원부(240); 해충퇴치모드에서 스위치(23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복수 개의 해충퇴치용 엘이디들을 구비한 해충퇴치용 광원부(250); 및 복수 개의 볼록렌즈들을 구비한 볼록렌즈층(130);을 포함하되, 상기 광테라피용 엘이디들과 상기 해충퇴치용 엘이디들은 회로기판(120)상에서 서로 쌍을 이루어 각기 배열되고, 상기 볼록렌즈들은 상기 쌍을 이루어 배열된 각각의 광테라피용 엘이디와 해충퇴치용 엘이디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광테라피 장치{PHOTOTHERAPY APPARATUS HAVING A FUNCTION OF DRIVING AWAY HARMFUL INSECT}
본 발명은 광테라피와 해충 퇴치 기능의 겸용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테리피 장치에 간단한 부품을 추가하여 해충 퇴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광테라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비타민 D는 별도로 섭취하지 않더라도 태양광을 일정 시간 동안 쬐기만 하면 태양광에 포함된 자외선에 의해 피하층의 7-탈수소 콜레스테롤이 비타민 D로 전환되므로 비타민 D의 결핍에 따른 각종 질환 예를 들어, 구루병, 골연화성 질병, 고혈압, 우울증, 당뇨병 및 관절염 등을 예방할 수 있다.
그런데, 현대인의 생활 특성상 태양광에 노출되는 시간이 비타민 D 합성을 유도하는데 필요한 시간에 미치지 못하여 비타민 D가 결핍되고, 이로 인하여 그에 따른 각종 질환에 노출되고, 신체 활력성 부족, 생체 시계리듬 파괴로 인한 피로누적, 침체된 기분, 계절적 정서장애(SAD), 바디 블루(body blues), 집중력 부족, 성적욕구 감소, 탄수화물 중독으로 인한 폭식 등을 유발하게 된다.
근래 들어, 이와 같은 실정에 부응하여 광테라피 장치가 개발되었다. 광테라피 장치는 자외선 램프를 구비하여 자외선을 발산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태양광을 쬐지 않더라도 광테라피 장치에서 발산되는 자외선을 일정 시간이상 쬐면 체내에서 필요한 양의 비타민 D 생성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광테라피 장치는 단순히 비타민 D 생성을 유도하기 위한 자외선만을 발산하는 용도로만 잠시 사용될 뿐 나머지 시간에는 계속 방치되어 활용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각기 쌍을 이루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광테라피용 엘이디와 해충퇴치용 엘이디들을 구비하여 저전력으로 광테라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쌍을 이룬 형태로 배열된 광테라피용 엘이디와 해충퇴치용 엘이디들의 대향되는 위치에 볼록렌즈들을 구비한 볼록렌즈층을 포함 함으로써, 별도의 확산층을 사용하지 않고 광테라피용 엘이디에서 발산되는 광이나 해충퇴치용 엘이디에서 발산되는 광을 확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광테라피 장치는, 충전용 배터리; 직류전원 입력포트를 통해 공급되는 직류전압을 그대로 출력하거나 직류/직류 변환하여 상기 충전용 배터리에 출력하고, 상기 직류전압이 공급되지 않을 때 상기 충전용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압을 승압하여 출력하는 직류/직류 변환기; 상기 직류/직류 변환기로부터 직류전압을 공급받고, 오프 모드, 광테라피 모드 및 해충퇴치모드로 스위칭 동작하는 스위치; 상기 광테라피 모드에서 상기 스위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복수 개의 광테라피용 엘이디들을 구비한 광테라피용 광원부; 상기 해충퇴치모드에서 상기 스위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복수 개의 해충퇴치용 엘이디들을 구비한 해충퇴치용 광원부; 및 복수 개의 볼록렌즈들을 구비한 볼록렌즈층;을 포함하되, 상기 광테라피용 엘이디들과 상기 해충퇴치용 엘이디들은 회로기판상에서 서로 쌍을 이루어 각기 배열되고, 상기 볼록렌즈들은 상기 쌍을 이루어 배열된 각각의 광테라피용 엘이디와 해충퇴치용 엘이디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광테라피 장치는, 외부로부터 직류전원을 공급받는 직류전원 입력포트; 상기 직류전원 입력포트로부터 직류전압을 공급받고, 오프 모드, 광테라피 모드 및 해충퇴치모드로 스위칭 동작하는 스위치; 상기 광테라피 모드에서 상기 스위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복수 개의 광테라피용 엘이디들을 구비한 광테라피용 광원부; 상기 해충퇴치모드에서 상기 스위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복수 개의 해충퇴치용 엘이디들을 구비한 해충퇴치용 광원부; 및 복수 개의 볼록렌즈들을 구비한 볼록렌즈층;을 포함하되, 상기 광테라피용 엘이디들과 상기 해충퇴치용 엘이디들은 회로기판상에서 서로 쌍을 이루어 각기 배열되고, 상기 볼록렌즈들은 상기 쌍을 이루어 배열된 각각의 광테라피용 엘이디와 해충퇴치용 엘이디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각기 쌍을 이루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광테라피용 엘이디와 해충퇴치용 엘이디들을 구비하여 광테라피 기능을 수행 함으로써, 제한된 전력을 사용하여 보다 오랫동안 광테라피 기능과 해충퇴치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쌍을 이룬 형태로 배열된 광테라피용 엘이디와 해충퇴치용 엘이디들의 대향되는 위치에 볼록렌즈들을 구비한 볼록렌즈층을 포함 함으로써, 별도의 확산층을 사용하지 않고 광테라피용 엘이디에서 발산되는 광이나 해충퇴치용 엘이디에서 발산되는 광을 확산시킬 수 있어 제품의 크기와 가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광테라피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광테라피 장치의 종단면도.
도 3의 (a),(b)는 광테라피용 엘이디와 해충퇴치용 엘이디의 광이 볼록렌즈를 통해 조사되는 것을 나타낸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광테라피 장치의 구동회로도.
도 5는 해충이 좋아하는 파장대역과 싫어하는 파장대역을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한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광테라피 장치의 사용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광테라피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동회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광테라피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광테라피 장치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의 (a),(b)는 광테라피용 엘이디와 해충퇴치용 엘이디의 광이 볼록렌즈를 통해 조사되는 것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광테라피 장치(100)는 하부 케이스(110) 및 상부 케이스(140); 각기 쌍을 이루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광테라피용 엘이디(LW)와 해충퇴치용 엘이디(LO)들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110)에 고정 설치된 인쇄회로기판(120); 및 쌍을 이룬 형태로 배열된 상기 광테라피용 엘이디(LW)와 해충퇴치용 엘이디(LO)들의 대향되는 위치에 볼록렌즈(131)들을 구비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120)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상부 케이스(140)에 고정 설치된 볼록렌즈층(130)을 포함한다.
인쇄회로기판(120)에는 광테라피용 엘이디(LW)와 해충퇴치용 엘이디(LO)들이 각기 쌍을 이룬 형태로 배열된다. 광테라피용 엘이디(LW)와 해충퇴치용 엘이디(LO)들이 각기 쌍을 이루어 배열되는 형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테라피용 엘이디(LW)와 해충퇴치용 엘이디(LO)들이 인쇄회로기판(120)상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되, 첫 번째 행에 7개 쌍의 광테라피용 엘이디(LW)와 해충퇴치용 엘이디(LO)가 배열되고, 두 번째 행에 6개 쌍의 광테라피용 엘이디(LW)와 해충퇴치용 엘이디(LO)가 배열되고, 마지막의 세 번째 행에는 7개 쌍의 광테라피용 엘이디(LW)와 해충퇴치용 엘이디(LO)가 배열되어 총 20개 쌍의 광테라피용 엘이디(LW)와 해충퇴치용 엘이디(LO)가 배열된다.
상기 광테라피용 엘이디(LW)들은 엘이디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이외의 다른 광원으로 구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해충퇴치용 엘이디(LO)들도 엘이디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이외의 다른 광원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해충퇴치용 엘이디(LO)를 이용하여 퇴치하고자 하는 해충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모기 및 나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열된 광테라피용 엘이디(LW)와 해충퇴치용 엘이디(LO)들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점등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광테라피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와 같이 배열된 20개의 광테라피용 엘이디(LW)들이 각기 점등되고, 해충퇴치용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와 같이 배열된 20개의 해충퇴치용 엘이디(LO)들이 각기 점등된다.
볼록렌즈층(130)의 볼록렌즈(131)들은 도 2에서와 같이 쌍을 이룬 형태로 배열된 광테라피용 엘이디(LW)와 해충퇴치용 엘이디(LO)들에 각기 대향되는 위치에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여기서, 상기 볼록렌즈(131)의 형상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한쪽 면은 평평하고 그 반대쪽 면이 볼록한 형상을 갖는 볼록렌즈를 예로 하였다. 볼록렌즈(131)의 볼록한 면이 광테라피용 엘이디(LW)와 해충퇴치용 엘이디(LO)를 향하게 배열된다.
따라서, 광테라피 모드에서 상기 광테라피용 엘이디(LW)들로부터 각기 발산되는 광테라피용 광은 도 3의 (a)와 같이 대향되는 볼록렌즈(131)들을 각기 통해 상부로 확산되어 사용자 측으로 조사된다. 또한, 해충퇴치 모드에서 상기 해충퇴치용 엘이디(LO)로부터 각기 발산되는 광테라피용 광은 도 3의 (b)와 같이 대향되는 볼록렌즈(131)들을 각기 통해 상부로 확산되어 사용자 측으로 조사된다.
따라서, 별도의 확산층을 사용하지 않고 광테라피용 엘이디(LW)에서 발산되는 테라피용 광이나 해충퇴치용 엘이디(LO)에서 발산되는 해충퇴치용 광을 볼록렌즈층(130)의 해당 볼록렌즈(131)들을 각기 통해 확산시켜 사용자측으로 조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광테라피 장치의 구동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회로(100A)는 직류전원 입력포트(IP), 직류/직류 변환기(210), 충전용 배터리(220), 스위치(230), 광테라피용 광원부(240) 및 해충퇴치용 광원부(250)를 포함한다.
직류전원 입력포트(IP)는 외부기기로부터 직류전원을 공급받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기기의 종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외부기기로써 휴대폰이나 보조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기기가 휴대폰이나 보조 배터리가 사용될 경우 직류전원 입력포트(IP)는 그들로부터 직류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OTG(On-The-Go)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외부기기로부터 직류전원 입력포트(IP)에 직류전원이 공급될 때, 직류/직류 변환기(210)는 그 직류전원의 전압(예: 5V)을 직류/직류 변환하거나 또는 그대로 출력포트(P5) 및 저항(R2,R3)을 통해 스위치(230)에 출력한다. 여기서, 트랜지스터(Q1)는 상기 스위치(230)로부터 상기 출력포트(P5)의 방향으로 역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직류전원 입력포트(IP)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이 저항(R1)을 통해 파워온표시용 엘이디(LED1)에 공급되어 그 엘이디(LED1)가 점등된다.
이와 동시에, 직류/직류 변환기(210)는 상기 직류전원 입력포트(IP)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소정 레벨(예: 3.7V)로 감압하여 정전압용 코일(L1)을 통해 충전용 배터리(220)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충전용 배터리(220)가 외부전원에 의해 충전되기 시작한다. 이때, 직류/직류 변환기(210)는 출력포트(P2)에 엘이디구동전압을 출력하여 충전표시용 엘이디(LED2)가 점등된다.
상기 직류전원 입력포트(IP)로부터 외부기기가 분리되면, 직류/직류 변환기(210)는 정전압용 코일(L1)을 통해 충전용 배터리(22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예: 3.7V)을 일정 레벨의 전압(예: 5V)으로 승압하여 스위치(230)에 출력한다.
직류/진류 변환기(210)가 상기와 같이 외부기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감압하거나 충전용 배터리(22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승압하기 위하여, 벅 컨버터(Buck Converter)와 부스트 컨버터(Boost Converter)를 구비할 수 있다.
스위치(230)는 오프모드, 광테라피 모드 및 해충퇴치모드로 스위칭 동작한다. 이를 위해 스위치(23)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배열된 고정단자(a1,b1),(a2, b2),(a3, b3)와 슬라이딩 동작하면서 상기 고정단자(a1,b1),(a2,b2),(a3,b3) 중에서 임의의 고정단자들을 단락시키는 가동단자(c)를 구비한다.
스위치(230)의 오프모드는 가동단자(c)에 의해 고정단자(a1,b1)가 서로 단락(on)된 상태로써 이때, 스위치(230)로부터 광테라피용 광원부(240) 또는 해충퇴치용 광원부(25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스위치(230)의 광테라피모드는 가동단자(c)에 의해 고정단자(a2,b2)가 서로 단락된 상태로서 이때, 스위치(230)로부터 광테라피용 광원부(240)에 전원이 공급된다. 스위치(230)가 해충퇴치모드는 가동단자(c)에 의해 고정단자(a3,b3)가 서로 단락된 상태로서 이때, 스위치(230)로부터 해충퇴치용 광원부(250)에 전원이 공급된다.
광테라피용 광원부(240)의 광테라피용 엘이디(LW1-LW20)와 해충퇴치용 광원부(250)의 해충퇴치용 엘이디(LO1-LO20)는 상기와 같이 서로 쌍을 이루어 배열된다. 예컨대, 도 1에서와 같이 첫 번째 행에 7개 쌍의 광테라피용 엘이디와 해충퇴치용 엘이디(LW1,LO1),(LW2,LO2),(LW3,LO3),(LW4,LO4),(LW5,LO5),(LW6,LO6),(LW7,LO7)가 인쇄회로기판(120)상에 배열되고, 두 번째 행에 6개 쌍의 광테라피용 엘이디와 해충퇴치용 엘이디(LW8,LO8),(LW9,LO9),(LW10,LO10),(LW11,LO11),(LW12,LO12),(LW13, LO13)가 인쇄회로기판(120)상에 배열되고, 마지막의 세 번째 행에는 7개 쌍의 광테라피용 엘이디와 해충퇴치용 엘이디(LW14,LO14),(LW15,LO15),(LW16,LO16), (LW17,LO17),(LW18,LO18),(LW19,LO19),(LW20,LO20)가 인쇄회로기판(120)상에 배열된다.
광테라피용 광원부(240)의 광테라피용 엘이디(LW1-LW20)들은 광테라피 모드에서 상기 스위치(23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광테라피 장치(100)를 이용하여 광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된다.
그런데, 광테라피 장치(100)가 충전용 배터리(220)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 그 충전용 배터리(220)의 제한된 전력으로 필요로 하는 시간동안 광테라피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보다 적은 전력을 소모하는 광테라피용 광원부(240)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광테라피용 광원부(240)는 병렬 연결구조의 광테라피용 엘이디(LW1-LW20)들을 구비한다.
예컨대, 광테라피용 광원부(240)는 스위치(230)의 일측 고정단자(b2)에 일측 단자가 공통으로 연결된 저항(R5-R7), 상기 저항(R5)의 타측 단자가 연결된 제1공통노드(CN1)와 접지 단자 간에 병렬 연결된 광테라피용 엘이디(LW1-LW5), 상기 저항(R6)의 타측 단자가 연결된 제2공통노드(CN2)와 접지 단자 간에 병렬 연결된 광테라피용 엘이디(LW6-LW10) 및 상기 저항(R7)의 타측 단자가 연결된 제3공통노드(CN3)와 접지 단자 간에 병렬 연결된 광테라피용 엘이디(LW11-LW20)을 구비한다.
또한, 광테라피 장치(100)가 충전용 배터리(220)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 그 충전용 배터리(220)의 제한된 전력으로 필요로 하는 시간동안 해충퇴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보다 낮은 전력을 소모하는 해충퇴치용 광원부(250)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해충퇴치용 광원부(250)는 병렬 연결구조의 해충퇴치용 엘이디(LO1-LO20)들을 구비한다.
예컨대, 해충퇴치용 광원부(250)는 스위치(230)의 타측 고정단자(a4)와 제4공통노드(CN4) 간에 병렬 연결된 저항(R8,R9), 상기 스위치(230)의 고정단자(a3)와 제4공통노드(CN4) 간에 병렬 연결된 저항(R8,R9), 상기 제4공통노드(CN4)와 제5공통노드(CN5) 간에 병렬연결된 해충퇴치용 엘이디(LO1-LO5), 상기 제5공통노드(CN5)와 접지단자 간에 병렬연결된 해충퇴치용 엘이디(LO6-LO10), 상기 스위치(230)의 타측 고정단자(a4)와 제6공통노드(CN6) 간에 병렬 연결된 저항(R10,R11), 상기 제6공통노드(CN6)와 제7공통노드(CN7) 간에 병렬연결된 해충퇴치용 엘이디(LO11-LO15) 및 상기 제7공통노드(CN7)와 접지단자 간에 병렬연결된 해충퇴치용 엘이디(LO15-LO20)를 구비한다.
해충퇴치용 광원부(250)의 해충퇴치용 엘이디(LO11-LO15)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파장 대역은 도 5에서와 같이 해충이 싫어하는 600~700nm의 파장대이므로, 해충퇴치용 엘이디(LO11-LO15)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주변에 있는 해충들을 퇴치할 수 있다.
도 6은 광테라피 장치(100)의 사용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하부케이스(110)에 힌지 결합된 거치대(111)를 펼쳐서 광테라피 장치(100)를 소정 각도(예: 45도)로 고정되게 지지하고, 윈도우(141)를 사용자의 얼굴이나 원하는 신체부위를 향하게 함으로써, 광테라피 장치(100)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광 치료를 받거나 해충을 퇴치할 수 있다.
참고로, 광테라피 모드에서는 광테라피 장치(100)와 치료 부위(예: 얼굴) 간의 이격 거리를 30~60CM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적당하고, 해충퇴치 모드에서는 광테라피 장치(100)와 신체 간의 이격 거리를 1.5M 이내로 유지하는 것이 적당하다.
본 발명에 대한 실험에서, 해충퇴치용 광원부(250)는 상기와 같이 낮은 전력을 소모하는 병렬 구조로 설계되어 충전용 배터리(220)의 전원을 사용하여 15W 이상의 출력과 120LM의 광량으로 5 시간 이상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실험에서 해충퇴치용 광원부(250)는 토고 숲 모기의 경우 65% 이상의 퇴치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중국 얼룩날개 모기(ANOPHELES SINENSIS)의 경우 51%의 퇴치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해충퇴치용 광원부(250)에 대한 실험에서, 0.5W 출력에서는 62.5%의 퇴치효과가 있고, 2W 출력에서는 66.1%의 퇴치효과가 있고, 5W 출력에서는 71.4%의 퇴치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광테라피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동회로도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회로(100B)는 직류전원 입력포트(IP), 스위치(230), 광테라피용 광원부(240) 및 해충퇴치용 광원부(250)를 포함한다.
도 7을 도 4와 비교할 때, 직류/직류 변환기(210)와 그의 주변회로, 충전용 배터리(220)가 생략되고 직류전원 입력포트(IP)가 스위치(230)에 직접 연결된 것이 차이점이다.
상기와 같이 광테라피용 광원부(240)를 점등시키거나 해충퇴치용 광원부(250)를 점등시켜 랜턴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보다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들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0 : 하부케이스 120 : 인쇄회로기판
130 : 오목렌즈층 131 : 오목렌즈
140 : 상부케이스 141 : 윈도우
210 : 직류/직류 변환기 220 : 충전용 배터리
230 : 스위치 240 : 광테라피용 광원부
250 : 해충퇴치용 광원부

Claims (11)

  1. 충전용 배터리;
    직류전원 입력포트를 통해 공급되는 직류전압을 그대로 출력하거나 직류/직류 변환하여 상기 충전용 배터리에 출력하고, 상기 직류전압이 공급되지 않을 때 상기 충전용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압을 승압하여 출력하는 직류/직류 변환기;
    상기 직류/직류 변환기로부터 직류전압을 공급받고, 오프 모드, 광테라피 모드 및 해충퇴치모드로 스위칭 동작하는 스위치;
    상기 광테라피 모드에서 상기 스위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복수 개의 광테라피용 엘이디들을 구비한 광테라피용 광원부;
    상기 해충퇴치모드에서 상기 스위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복수 개의 해충퇴치용 엘이디들을 구비한 해충퇴치용 광원부; 및
    복수 개의 볼록렌즈들을 구비한 볼록렌즈층;을 포함하되,
    상기 광테라피용 엘이디들과 상기 해충퇴치용 엘이디들은 회로기판상에서 서로 쌍을 이루어 각기 배열되고, 상기 볼록렌즈들은 상기 쌍을 이루어 배열된 각각의 광테라피용 엘이디와 해충퇴치용 엘이디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광테라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전원 입력포트는
    OTG(On-The-Go)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광테라피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직류 변환기는
    입력전압을 감압하거나 출력하기 위해 벅 컨버터(Buck Converter) 및 상기 입력전압을 승압하여 출력하기 위해 부스트 컨버터(Boost Converter)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광테라피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슬라이딩 방식의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광테라피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렌즈는
    상기 광테라피용 엘이디에서 발산되는 광을 상부로 확산시키거나, 상기 해충퇴치용 엘이디에서 발산되는 광을 상부로 확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광테라피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렌즈는
    반쪽 면은 평평하고 나머지 반쪽면은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평평한 면이 사용자 측을 향하고 볼록한 면이 상기 광테라피용 엘이디와 상기 해충퇴치용 엘이디를 향하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광테라피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테라피용 광원부는
    상기 스위치의 일측 고정단자에 일측 단자가 공통으로 연결된 제5 내지 제7저항;
    상기 제5저항의 타측 단자가 연결된 제1공통노드와 접지 단자 간에 병렬 연결된 제1 내지 제5 광테라피용 엘이디;
    상기 제6저항의 타측 단자가 연결된 제2공통노드와 접지 단자 간에 병렬 연결된 제6 내지 제10 광테라피용 엘이디; 및
    상기 제7저항의 타측 단자가 연결된 제3공통노드와 접지 단자 간에 병렬 연결된 제11 내지 제20 광테라피용 엘이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광테라피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퇴치용 광원부는
    상기 스위치의 타측 고정단자와 제4공통노드 간에 병렬 연결된 제8저항 및 제9저항;
    상기 제4공통노드와 제5공통노드 간에 병렬연결된 제1 내지 제5 해충퇴치용 엘이디;
    상기 제5공통노드와 접지단자 간에 병렬연결된 제6 내지 제10 해충퇴치용 엘이디;
    상기 타측 고정단자와 제6공통노드 간에 병렬 연결된 제10저항 및 제11저항;
    상기 제6공통노드와 제7공통노드 간에 병렬연결된 제11 내지 제15 해충퇴치용 엘이디; 및
    상기 제7공통노드와 접지단자 간에 병렬연결된 제15 내지 제20 해충퇴치용 엘이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광테라피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광테라피 장치는
    상기 광테라피 장치를 거치하기 위한 힌지 결합된 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광테라피 장치.
  10. 외부로부터 직류전원을 공급받는 직류전원 입력포트;
    상기 직류전원 입력포트로부터 직류전압을 공급받고, 오프 모드, 광테라피 모드 및 해충퇴치모드로 스위칭 동작하는 스위치;
    상기 광테라피 모드에서 상기 스위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복수 개의 광테라피용 엘이디들을 구비한 광테라피용 광원부;
    상기 해충퇴치모드에서 상기 스위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복수 개의 해충퇴치용 엘이디들을 구비한 해충퇴치용 광원부; 및
    복수 개의 볼록렌즈들을 구비한 볼록렌즈층;을 포함하되,
    상기 광테라피용 엘이디들과 상기 해충퇴치용 엘이디들은 회로기판상에서 서로 쌍을 이루어 각기 배열되고, 상기 볼록렌즈들은 상기 쌍을 이루어 배열된 각각의 광테라피용 엘이디와 해충퇴치용 엘이디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광테라피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전원 입력포트는
    OTG(On-The-Go)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광테라피 장치.
KR1020190032787A 2019-03-22 2019-03-22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광테라피 장치 KR202001123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787A KR20200112397A (ko) 2019-03-22 2019-03-22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광테라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787A KR20200112397A (ko) 2019-03-22 2019-03-22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광테라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397A true KR20200112397A (ko) 2020-10-05

Family

ID=72809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787A KR20200112397A (ko) 2019-03-22 2019-03-22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광테라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23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0241A (ko) * 2020-12-22 2022-06-29 박헌수 휴대용 법광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0241A (ko) * 2020-12-22 2022-06-29 박헌수 휴대용 법광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9355B1 (ko) 가시광 살균기능 겸용 led 조명등기구
US20180343846A1 (en) Portable Light and Insect Extermination Device
US20180345034A1 (en) Myopia inhibition apparatus and ocular method
CA2317319A1 (en) Light therapy device
US20170274222A1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s to the eye
KR20200112397A (ko) 해충 퇴치 기능을 구비한 광테라피 장치
US7147319B2 (en) Eyewear providing colored light therapy
CN102572041A (zh) 具有半导体激光理疗功能的手机
CN201066412Y (zh) mp3蓝牙自动调光液晶眼镜
KR101836885B1 (ko) 독서실 책상용 조명장치
WO2018222992A1 (en) Portable light and insect extermination device
KR101766417B1 (ko) 모바일을 이용한 광조사형 피부 케어 장치
US20210368764A1 (en) Multi-Frequency Targeting Insect Control
US20070007399A1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optical module having muscles suppleness effect by emitting light rays into hand and wrist operating thereon
CN214790619U (zh) 一种光疗护眼台灯
CN102343125A (zh) 便携式眼用光治疗装置
CN202334652U (zh) 具有半导体激光理疗功能的手机
CN221084444U (zh) 一种具有多重光功率保护的视力护眼仪
US20190024409A1 (en) Portable and Rechargeable Night Light for Illuminating Door Knobs
CN105444043B (zh) 光纤传导护眼台灯
JP2016043228A (ja) 有機el照明装置高照度光療法補助器具
KR101079208B1 (ko) 전신 광 사우나기
CN201799010U (zh) 便携式眼用光治疗装置
KR200304122Y1 (ko) 살균기능을 가지는 핸드폰 충전기
CN214413079U (zh) 一种照明电路、照明装置以及除湿暖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