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2206A - 케이스 스터디 문제 로직 맵 시스템 - Google Patents

케이스 스터디 문제 로직 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2206A
KR20200112206A KR1020190032297A KR20190032297A KR20200112206A KR 20200112206 A KR20200112206 A KR 20200112206A KR 1020190032297 A KR1020190032297 A KR 1020190032297A KR 20190032297 A KR20190032297 A KR 20190032297A KR 20200112206 A KR20200112206 A KR 20200112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tudy
instructor
logic building
present
que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연주
Original Assignee
진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연주 filed Critical 진연주
Priority to KR1020190032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2206A/ko
Publication of KR20200112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2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케이스 스터디 콘텐츠 로직 구성 시스템은 교습자 소프트웨어 개발 지식 없이도 케이스 스터디의 문제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교습자는 자신이 원하는 문제와 후속 문제들간의 상관 관계를 마우스의 클릭과 더블클릭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케이스 스터디 생성 프로그램을 통해 생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스 스터디 문제 로직 맵 시스템 {System for Case Study Logic Building System}
본 발명은 케이스 스터디의 문제 간의 논리적 연결을 구성해 주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교육 환경이 향상되며 개인용 컴퓨터와 이동형 장치, 그리고 통신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교육 방법이 개발되어 왔다. 또한 여러 학습 기법 중 케이스 스터디를 이용한 학습 기법의 경우, 경영학, 회계학, 의학, 법학, 그리고 입시 교육 등에까지 활발하게 활용될 수 있는 매우 효율적인 학습 방법으로 평가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문제 기반 학습 기법을 이용한 케이스 스터디를 할 수 있는 솔루션은 그리 많지 않은 것도 현실이다.
본 발명은 교육자가 직접 소프트웨어 개발 지식 없이 케이스 스터디 문제들을 논리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기존에는 소프트웨어 개발 당시부터 구현되어야 할 구성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개발자의 도움 없이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교육자가 직접 소프트웨어 개발 지식 없이 케이스 스터디 문제들을 논리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기존에는 소프트웨어 개발 당시부터 구현되어야 할 구성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개발자의 도움 없이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케이스 스터디의 문제들 간의 로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스터디 학습 문제 구성 로직 시스템은, 교습자에 의해 케이스 스터디 콘텐츠를 이용한 케이스 스터디 콘텐츠 구성이 선택되면, 학습자가 케이스 스터디 문제를 지속적으로 풀어나갈 수 있도록 문제의 세트를 구성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1번 항목의 문제의 답이 객관식으로 4가지가 주어질 경우, 각 객관식 항목들에 따른 후속 문제를 차별화하여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학습의 교습자가 자신의 의도에 따라 후속 문제들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문제 로직 구성 맵을 마우스의 클릭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소프트웨어 개발 지식이 전혀 없는 교습자라 하더라도 이러한 문제들의 집합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핵심이다.
케이스 스터디 구성 메뉴를 선택하면 교습자는 각 문제를 제출할 수 있도록 하며, 후속 문제들 간의 논리적 연결관계를 교습자가 임의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교습자가 소프트웨어 개발 지식이 없어도 케이스 스터디 문제들을 논리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Claims (1)

  1. 교습자의 조작에 따라 케이스 스터디의 콘텐츠를 이용한 학습 콘텐츠를 요청하는 단말 장치와, 상기 단말 장치의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콘텐츠 서버를 포함하고, 서버는 단말장치로부터 케이스 스터디의 콘텐츠를 콘텐츠 분류에 따른 로직 생성 시스템.
    케이스 스터디 콘텐츠의 논리적 연결을 마우스의 클릭만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KR1020190032297A 2019-03-21 2019-03-21 케이스 스터디 문제 로직 맵 시스템 KR202001122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297A KR20200112206A (ko) 2019-03-21 2019-03-21 케이스 스터디 문제 로직 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297A KR20200112206A (ko) 2019-03-21 2019-03-21 케이스 스터디 문제 로직 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206A true KR20200112206A (ko) 2020-10-05

Family

ID=72808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297A KR20200112206A (ko) 2019-03-21 2019-03-21 케이스 스터디 문제 로직 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22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587A (ko) 2021-05-27 2024-01-02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587A (ko) 2021-05-27 2024-01-02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 et al. iPads for STEM teachers: A case study o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proficiency, intention to adopt, and integration in K-12 instruction
Bargaoui et al. Smart classroom: Design of a gateway for ubiquitous classroom
Nielit et al. E-discovery components of E-teaching and M-learning: An overview
Phillips Re-imagining higher education: A cohort of teachers’ experiences to face the ‘new normal’during COVID19
Markamah et al. The effectiveness of augmented reality app to improve students achievement in learning introduction to animals
Adam et al. Do your students get it? Quiz it! The android classroom response system
Gregory et al. How are Australia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contributing to change through innovative teaching and learning in virtual worlds?
Sarıer et al. Emergency remote teaching during Covid-19 pandemic: Challenges, opportunities and future suggestions
Aristeidou et al. Virtual Museum Tours for Schools: Teachers’ Experiences and Expectations
Mohammad et al. Media dependency, uses and gratifications, and knowledge gap in online learn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case of Afghanistan and Turkey
Yudha et al. Learning in network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hmed et al. Impact and analysis of a collaborative augmented reality educational environment
Gardner et al. Systems to support co-creative collaboration in mixed-reality environments
KR102099945B1 (ko) 학습자의 집중력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멘토자를 이용한 학습시스템
KR20200112206A (ko) 케이스 스터디 문제 로직 맵 시스템
Isa et al. 3D virtual learning environment
Ng et al. Engaging students in virtual tours to learn language and digital literacy
Karakostas et al. A pilot study of QuizIt: The new android classroom response system
Sacher et al. A Blended Approach to Canadian First Nations Education.
KR20140111165A (ko) 실시간 상호 협동가능 온라인 프레젠테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Mwasaga et al. Integrating high performance computing into a Tanzanian IT engineering curriculum
Alkhafaji et al. The Reaction of the University Ecosystem to the Pandemics in a Mid-East Country: The Case of IRAQ—A Compared Analysis of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Laohajaratsang The effects of tablet-based learning on pre-service teachers' learning experiences at Chiang Mai University
Li et al. When E-learning Meets Web 3.0: Applications and Challenges
Vaughan et al. A blended approach to Canadian First Nations education: The Sunchild e-learning commun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