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2030A - System for water content measurement of hydroponic substrate - Google Patents

System for water content measurement of hydroponic substr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2030A
KR20200112030A KR1020190031856A KR20190031856A KR20200112030A KR 20200112030 A KR20200112030 A KR 20200112030A KR 1020190031856 A KR1020190031856 A KR 1020190031856A KR 20190031856 A KR20190031856 A KR 20190031856A KR 20200112030 A KR20200112030 A KR 20200112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medium
water content
measuring
impe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8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51785B1 (en
Inventor
박주성
김상만
박영주
Original Assignee
(주) 텔로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텔로팜 filed Critical (주) 텔로팜
Priority to KR1020190031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785B1/en
Publication of KR20200112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0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7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48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of the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for measuring water content which can measure the average water content across a wide area without being limited to a specific portion of a culture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for measuring the water content of a hydroponic culture medium comprises: a first electrode plate attached to a first surface of a packing material in which a hydroponic culture medium is packed; a second electrode plate attached to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of the packing material to face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a measurement device which applies a sine-wave alternating current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to measure imped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nd measure the water content of the culture medium or a change thereof based on the measured impedance.

Description

수경재배용 배지의 함수량을 측정하는 시스템{System for water content measurement of hydroponic substrate}System for water content measurement of hydroponic substrate}

본 발명은 수경재배용 배지의 함수량을 측정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경재배에서 식물이 식재되는 인공토양 등 배지의 함수량을 콘덴서 방식으로 측정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measuring the water content of a medium for hydroponic cultiv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measuring the water content of a medium such as artificial soil on which plants are planted in hydroponic cultivation using a condenser method.

그린하우스의 장점은 토마토, 딸기, 파프리카 등 다양한 과수를 1년 365일 생산할 수 있으며, 식물이 필요한 영양분을 인위적으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윤작의 필요성이 없고, 병충해로부터 비교적 자유롭다는 것이다. 식물에 공급되는 양액은 소량의 액체 영양소와 다량의 물을 혼합하여 만든다. 수경재배 식물은 비닐 등의 포장재로 포장된 배지 위에 식재되고, 양액은 배지의 상부나 하부에서 공급된다.The advantage of a green house is that it can produce a variety of fruit trees such as tomatoes, strawberries, and paprika 365 days a year, and because plants can artificially supply necessary nutrients, there is no need for crop rotation, and it is relatively free from diseases and pests. The nutrient solution supplied to the plant is made by mixing a small amount of liquid nutrients and a large amount of water. Hydroponic plants are planted on a medium packed with packaging materials such as vinyl, and nutrient solutions are supplied from the top or bottom of the medium.

배지에 공급된 양액은 식물의 뿌리를 통하여 식물로 흡수되고, 과다하게 양액이 공급되면 배지 아랫부분의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된다(배출되는 양액을 배액이라 한다). 일사량이 많고 온도가 높으면 식물의 광합성과 증산이 활발하여 배지의 수분이 감소하게 된다. 배지의 수분이 과도하게 소비되어 배지의 함수량이 부족하면 식물의 성장이 느릴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스트레스를 받아 고사하게 된다. 따라서 배지의 수분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함수량이 어느 정도 이하가 되면 양액을 공급해야 하여 과다한 배액 소모를 줄여야 한다. 양액의 적절한 공급은 식물의 생장뿐만 아니라 과일의 품질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원하는 성분의 양액을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양을 공급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배지의 함수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기술이 있다.The nutrient solution supplied to the medium is absorbed by the plant through the roots of the plant, and when excessive nutrient solution is supplied,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at the bottom of the medium (the discharged nutrient solution is called drainage). When the amount of insolation is high and the temperature is high, photosynthesis and evaporation of plants are active, and moisture in the medium decreases. When the water in the medium is excessively consumed and the water content of the medium is insufficient, the growth of the plant is not only slow, but in severe cases, it is stressed and dies. Therefore, whe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medium is measured in real time and the moisture content is below a certain level, a nutrient solution must be supplied to reduce the consumption of excessive drainage. Since the proper supply of nutrient solution affects not only the growth of plants but also the quality of fruit, a device is required to supply the nutrient solution of a desired component at an appropriate time. For this, there are the following techniques as a method of measuring the water content of the medium.

TDR(Time Domain Reflectometry)은 전송선에 전자파를 인가하여 되돌아오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여 토양의 수분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어떤 물질에 금속의 전송선을 통하여 높은 주파수의 전자파 펄스를 인가하면 전송선이 끝나는 위치에서 임피던스 불일치가 발생하여 전송선이 끝나는 위치에서 소스로 전자파가 되돌아온다. 전송선을 따라 움직이는 전자파의 속도는 전송선 주변 물질의 유전율과 전도도에 따라 다르다. 전송선 주변의 유전율은 식 ε=(tㅇc/L)2으로 표현된다. 여기서 ε, t, c, L은 각각 반사된 위치의 유전율, 되돌아오는데 걸리는 시간, 빛의 속도, 전송선의 길이이다. 전송선 주변의 토양에 수분이 많은 경우 ε이 커져 반사시간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반사시간을 측정하여 수분의 함량을 결정할 수 있다. TDR 방식의 경우 전송선의 길이가 짧아 반사시간이 피코초 단위이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 복잡하고 정교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므로 센서 가격이 비싸다.Time Domain Reflectometry (TDR) is a method of measuring soil moisture by measuring the time it takes to return by applying an electromagnetic wave to a transmission line. When a high-frequency electromagnetic wave pulse is applied to a material through a metal transmission line, an impedance mismatch occurs at the end of the transmission line, and the electromagnetic wave returns to the source at the end of the transmission line. The speed of electromagnetic waves moving along a transmission line depends on the dielectric constant and conductivity of the material around the transmission line. The permittivity around the transmission line is expressed by the equation ε=(tㅇc/L)2. Here, ε, t, c, and L are the permittivity of the reflected position, the time it takes to return, the speed of light, and the length of the transmission line, respectively. When there is a lot of moisture in the soil around the transmission line, ε increases and the reflection time increases. Therefore, the moisture content can be determined by measuring the reflection time. In the case of the TDR method, since the length of the transmission line is short and the reflection time is in picoseconds, the sensor is expensive because complex and sophisticated hardware and software are required for accurate measurement.

FDR(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은 금속 전송선 막대(rod)를 통하여 수백 MHz 급의 주파수의 교류신호를 토양에 인가하는 경우 소스와 토양까지 연결하는 선의 임피던스와 토양내부에 설치된 금속 로드의 임피던스와의 불일치로 인하여 소스로 되돌아오는 반사계수를 측정하여 토양의 함수율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토양의 함수율에 따라 금속 로드의 임피던스가 변화하므로 반사계수가 달라진다. 물의 유전율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특징을 갖고 있으므로 FDR 방식의 경우 여러 주파수 밴드에서 반사계수를 측정하여 평균적인 유전율을 구하여 토양의 수분을 측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FDR (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is a mismatch between the impedance of the line connecting the source and the soil and the impedance of the metal rod installed inside the soil when an AC signal of a frequency of several hundred MHz is applied to the soil through a metal transmission line rod. This is a method of measuring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oil by measuring the reflection coefficient returned to the source. Since the impedance of the metal rod changes according to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oil, the reflection coefficient varies. Since the dielectric constant of water has a characteristic that decreases as the frequency increases, in the case of the FDR method, it is inconvenient to measure the moisture of the soil by measuring the average dielectric constant by measuring the reflection coefficient in several frequency bands.

그린하우스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관수 방식은 일사량에 따라 관수하는 형태로, 일정기간 동안 일사량을 적분하여 기준치 이상이면 양액을 일정기간 동안 관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관수하면 수분 부족으로 인한 식물스트레스를 막기 위하여 안전하게 많은 양을 관수하게 되어 양액 낭비와 배액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가져온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FDR이나 TDR 형태의 함수량 센서를 이용하여 배지의 함수량을 측정하여 함수량이 낮으면 관수하고 높으면 관수를 멈추는 방식으로 관수하는 시도도 있다. FDR과 TDR 센서는 극히 일부분의 배지 함수량을 측정하기 때문에 배지전체의 평균적 함수량이라고 할 수 없다. 배지내의 식물의 뿌리는 불규칙적으로 분포하기 때문에 배지 일부분을 측정하여 관수하게 되면 효율적인 관수를 할 수 없다. 그린하우스에 사용되는 배지의 경우 중력 때문에 수분 즉 물은 대부분 배지의 아래 부분에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식물의 뿌리도 배지의 하부에 분포한다. TDR과 FDR 센서는 구조적으로 수분이 몰리게 되어있는 배지 아래 부분의 함수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 The irrigation method, which is widely used in green houses, is a form of irrigation according to the amount of insolation. If the amount of insolation is integrated ove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above the standard value, the nutrient solution is irriga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irrigation in this way, a large amount of water is safely irrigated to prevent plant stress due to lack of moisture, resulting in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waste of nutrient solution and drainage. On the other hand, there is an attempt of irrigation by measuring the water content of the medium using the FDR or TDR type water content sensor, and irrigation when the water content is low and stopping irrigation when the water content is high. Since the FDR and TDR sensors measure the water content of a very small part of the medium, it cannot be said to be the average water content of the entire medium. Since the roots of plants in the medium are irregularly distributed, efficient irrigation cannot be performed if a part of the medium is measured and watered. In the case of the green house medium, moisture, or water, is mostly present in the lower part of the medium due to gravity. And plant roots are also distributed under the medium. The TDR and FDR sensors cannot accurately measure the moisture content of the lower part of the medium, which is structurally moist.

이에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지의 특정 부분에 국한되지 않고 보다 넓은 영역에 걸쳐 평균적인 함수량을 측정할 수 있는 함수량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content measuring system capable of measuring an average water content over a wider area without being limit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medium.

또한 그린하우스 운영에 필요한 것 중 하나는 배지의 전기전도도(EC: Electric Conductivity)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것이다. 그린하우스를 운영하는 농부들은 작물의 종류, 성장상태, 환경변수(일사량, 온도, 습도 등)에 따라 실시간으로 배지의 함수량 및 배액율, 배액의 전기전도도와 산화도(pH)를 측정하여 그 값들에 따라 양액을 조절하여 공급하기를 원한다. 현재 농가에서는 수분센서와 별도로 상용화된 전기전도도 측정기를 사용하고 있다. In addition, one of the things required for green house operation is to measure the electric conductivity (EC) of the medium in real time. Farmers who operate green houses measure the moisture content and drainage rate of the medium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type of crop, growth state, and environmental variables (insolation, temperature, humidity, etc.), and measur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oxidation level (pH) of the drainage. You want to supply by controlling the nutrient solution according to. Currently, farms are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electrical conductivity meter separate from the moisture sensor.

이에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함수량과 함께 전기전도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함수량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content measurement system capable of simultaneously measuring both water content and electrical conductivity.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경재배용 배지의 함수량을 측정하는 시스템은, 수경재배용 배지를 포장한 포장재의 제1 면에 부착되는 제1 전극판; 상기 포장재의 상기 제1 면의 반대편의 제2 면에 상기 제1 전극판을 마주보도록 부착되는 제2 전극판; 및 상기 제1 전극판과 상기 제2 전극판에 정현파 교류를 인가하여 상기 제1 전극판과 상기 제2 전극판 사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를 바탕으로 상기 배지의 함수량 또는 그 변화를 측정하는 측정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system for measuring the water content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medium comprises: a first electrode plate attached to a first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packaging the hydroponic cultivation medium; A second electrode plate attached to a second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to face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measuring the imped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by applying a sinusoidal alternating current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nd determining the water content of the medium or its change based on the measured impedanc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1 전극판을 둘러싸는 제1 방수절연체; 및 상기 제2 전극판을 둘러싸는 제2 방수절연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ystem includes: a first waterproof insulator surrounding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a second waterproof insulator surrounding the second electrode plate.

상기 제1 및 제2면은 각각 상기 포장재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이거나, 상기 포장재의 상면 및 하면일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may be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of the packaging material, respectively, or may be an upper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상기 제1 및 제2면은 각각 상기 포장재의 상면 및 하면이고, 상기 제2 전극판은 상기 배지의 양액 배출구 아래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may be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respectively,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may not be located under the nutrient solution outlet of the medium.

상기 제1 및 제2면은 각각 상기 포장재의 상면 및 하면이고, 상기 제1 전극판은 상기 배지에 식재된 식물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is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and the first electrode plate may be formed to surround a plant planted in the medium.

상기 제1 및 제2면은 각각 상기 포장재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이고, 상기 제1 전극판과 상기 제2 전극판은 상기 배지에 식재된 식물의 양쪽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are respectively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of the packaging material, and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plants planted in the medium.

상기 제1 및 제2 면은 각각 상기 포장재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이고, 상기 제1 및 제2 전극판의 하단은 상기 제1 및 제2 측면의 하단 또는 그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may be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of the packaging material, respectively, and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may be located at or below the first and second side surfaces.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의 크기의 증가 및 감소에 따라 상기 함수량의 감소 및 증가를 측정할 수 있다.The measuring device may measure a decrease or increase in the water content according to an increase or decrease in the magnitude of the measured impedance.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를 등가 병렬 또는 직렬인 저항 및 커패시턴스로 변환하고, 상기 커패시턴스의 증가 및 감소에 따라 상기 함수량의 증가 및 감소를 측정하거나, 상기 저항의 증가 및 감소에 따라 상기 함수량의 감소 및 증가를 측정할 수 있다.The measuring device converts the measured impedance into equivalent parallel or series resistance and capacitance, and measures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water content according to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capacitance, or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water content according to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resistance. Decrease and increase can be measured.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를 바탕으로 상기 배지의 전기전도도 또는 그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The measuring device may measur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medium or its change based on the measured impedance.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의 크기의 증가 및 감소에 따라 상기 전기전도도의 감소 및 증가를 측정할 수 있다.The measuring device may measure a decrease or increase in electrical conductivity according to an increase or decrease in the magnitude of the measured impedance.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를 등가 병렬 또는 직렬인 저항 및 커패시턴스로 변환하고, 상기 저항의 증가 및 감소에 따라 상기 전기전도도의 감소 및 증가를 측정할 수 있다.The measuring device may convert the measured impedance into equivalent parallel or series resistance and capacitance, and measure the decrease and increase of the electrical conductivity according to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resistanc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경재배용 배지의 함수량을 측정하는 시스템은, 상기 배지의 제1 부분에 삽입되는 제1 전극판; 상기 제1 전극판을 마주보도록 상기 배지의 제2 부분에 삽입되는 제2 전극판; 및 상기 제1 전극판과 상기 제2 전극판 사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를 바탕으로 상기 배지의 함수량 또는 그 변화를 측정하는 측정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system for measuring the water content of a medium for hydroponic cultivation includes: a first electrode plate inserted into a first portion of the medium; A second electrode plate inserted into the second portion of the culture medium to face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a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an imped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nd measuring a water content of the medium or a change thereof based on the measured impedance.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1 전극판을 둘러싸는 제1 방수절연체; 및 상기 제2 전극판을 둘러싸는 제2 방수절연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ystem includes: a first waterproof insulator surrounding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a second waterproof insulator surrounding the second electrode plate.

상기 제1 전극판과 상기 제2 전극판은 상기 배지에 식재된 식물의 양쪽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plants planted in the medium.

상기 제1 방수절연체 및 상기 제2 방수절연체는 상기 제1 전극판과 상기 제2 전극판 사이가 전기적으로 도통되지 않고 컨덴서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waterproof insulator and the second waterproof insulator may prevent electrical conduction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nd form a capacitor.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정현파 교류를 생성하는 PLL; 상기 정현파 교류를 소정의 크기로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제1 전극판과 상기 제2 전극판 사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부; 및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를 바탕으로 상기 배지의 함수량 또는 그 변화를 측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asuring device includes: a PLL for generating the sinusoidal alternating current; An amplifying unit for amplifying the sine wave alternating current to a predetermined size; An impedance measuring unit measuring imped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nd a control unit measuring the water content of the medium or a change thereof based on the measured impedance.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면, 배지의 특정 부분에 국한되지 않고 보다 넓은 영역에 걸쳐 평균적인 함수량을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verage water content can be measured over a wider area without being limit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medium.

또한, 하나의 시스템으로 함수량과 함께 전기전도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어 별도의 측정 장치를 이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water content and electrical conductivity simultaneously with one system, so there is no hassle of using a separate measuring device and cost can be reduced.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함수량 측정 시스템의 전극 센서 구조의 일 예로서, 도 1은 전극 센서가 설치된 모습의 사시도를, 도 2는 전극 센서 부분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함수량 측정 시스템의 전극 센서 구조의 다른 예로서, 도 3은 전극 센서가 설치된 모습의 사시도를, 도 4는 전극 센서 부분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식물이 배지에 식재된 상태에서 도 1의 전극 센서가 설치된 모습의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식물이 배지에 식재된 상태에서 도 3의 전극 센서가 설치된 모습의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함수량 측정 시스템의 전극 센서 구조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함수량 측정 시스템의 측정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9는 임피던스 측정부를 통해 측정되는 임피던스의 크기와 위상의 시간에 따른 그래프의 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측정된 임피던스로부터 변환된 서로 병렬인 저항 및 커패시턴스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11은 측정된 임피던스로부터 변환된 서로 직렬인 저항 및 커패시턴스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12 내지 14는 각각 배지의 배액의 전기전도도가 변화될 때 임피던스의 크기 및 위상, 임피던스로부터 변환된 등가 병렬저항 및 커패시턴스, 임피던스로부터 변환된 등가 직렬저항 및 커패시턴스의 그래프이다.
도 15 및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함수량 측정 시스템의 전극 센서 구조의 일 예로서, 도 15는 전극 센서가 설치된 모습의 사시도를 도 16은 전극 센서 부분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1 and 2 are examples of an electrode sensor structure of a water content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de sensor installed,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sensor.
3 and 4 are other examples of the electrode sensor structure of the water content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de sensor installed,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sensor.
5 shows an example of an electrode sensor of FIG. 1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plants are planted in a medium.
6 shows an example of the installation of the electrode sensor of FIG. 3 in a state in which plants are planted in a medium.
7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electrode sensor structure of the water content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measuring apparatus of a water content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shows an example of a graph of the magnitude and phase of the impedance measured by the impedance measuring unit over time.
10 shows graphs of resistance and capacitance in parallel with each other converted from the measured impedance.
11 shows a graph of resistance and capacitance in series with each other converted from the measured impedance.
12 to 14 are graphs of the magnitude and phase of the impedance when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drainage of the medium is changed, the equivalent parallel resistance and capacitance converted from the impedance, and the equivalent series resistance and capacitance converted from the impedance.
15 and 16 are examples of an electrode sensor structure of a water content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de sensor installed, and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sensor.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substantially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에 앞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기술적 원리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Before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id understanding, the technical principles underly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일반적으로 토양의 비유전율은 3~5 정도이나, 물의 비유전율은 80 정도이다. 토양에 물이 있으면 유전율이 증가하게 된다. 토양을 유전체로 생각하여 커패시터를 만들면 토양의 함수량에 따라 유전체의 유전율이 변하게 되어 커패시터의 용량이 변하게 된다.In general, the relative dielectric constant of soil is about 3 to 5, but the relative dielectric constant of water is about 80. The presence of water in the soil increases the dielectric constant. When a capacitor is made by thinking of soil as a dielectric,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dielectric changes according to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oil, and the capacity of the capacitor changes.

컨덴서는 유전체의 양측에 도체 전극의 붙여서 만들고 컨덴서의 용량은 수학식 1로 표시할 수 있다. The capacitor is made by attaching conductor electrodes to both sides of the dielectric, and the capacitance of the capacitor can be expressed by 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서 ε은 유전율, A는 도체 전극의 면적, d는 두 전극 간의 거리를 나타낸다. 배지의 경우 인공 토양과 양액(물)이 혼합된 유전체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배지에 수분이 많아지면 유전율이 커지게 되어 컨덴서 용량이 커지게 되므로 컨덴서 용량을 측정함으로써 배지의 함수량 또는 그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배지 양측에 금속 전극을 부착하고 금속 전극에 교류 신호를 인가하여 임피던스를 측정하면 수학식 2와 같이 실수부(R)과 허수부(X)로 표시할 수 있다.Where ε is the dielectric constant, A is the area of the conductor electrode, and d is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electrodes. In the case of medium, it can be thought of as a dielectric mixture of artificial soil and nutrient solution (water). Therefore, when the amount of moisture in the medium increases, the dielectric constant increases and the capacitor capacity increases. Thus, the moisture content of the medium or its change can be measured by measuring the capacitor capacity. When a metal electrode i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medium and an AC signal is applied to the metal electrode to measure the impedance, it can be expressed as a real part (R) and an imaginary part (X) as shown in Equation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여기서 실수부 R은 저항, 허수부 X는 리액턴스 성분이다. 임피던스는 크기(Zm)와 위상(θ)으로 표시될 수 있고, 위상값이 양이면 인덕터, 음이면 커패시터이다. 따라서 배지, 즉 인공토양과 양액이 혼합된 배지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허수부를 구하면 배지의 커패시턴스를 구할 수 있다.Here, the real part R is the resistance and the imaginary part X is the reactance component. Impedance can be expressed in terms of magnitude (Z m ) and phase (θ). If the phase value is positive, it is an inductor, and if it is negative, it is a capacitor. Therefore, by measuring the impedance of a medium, that is, a medium in which an artificial soil and a nutrient solution are mixed to obtain the imaginary part, the capacitance of the medium can be obtained.

간단한 직선형 구조의 저항은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The resistance of a simple linear structure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여기서 σ, L, A는 각각 저항체 물질의 전도도(electric conductivity: EC), 길이, 면적을 나타낸다. 수학식 3에서 전도도가 커지면 저항이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저항이 작아지면 임피던스도 작아진다.Here, σ, L, and A represent the electric conductivity (EC), length, and area of the resistive material, respectively. From Equation 3, it can be seen that as the conductivity increases, the resistance decreases. As the resistance decreases, the impedance decreases.

기하학적으로 복잡한 구조의 컨덴서라고 할지라도 저항(R)과 커패시턴스(C)는 수학식 4와 같은 관계를 가진다.Even if the capacitor has a geometrically complex structure, the resistance (R) and the capacitance (C) have the same relationship as in Equation 4.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즉, 저항과 컨덴서의 임피던스 크기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으면 수학식 4에 의하여 R이 증가하면 C가 감소하고 반대로 C가 증가하면 R이 감소한다. 만약 유전율(ε)이나 전도도의 임피던스가 다른 하나보다 월등히 크면 큰 변수에 따라 변화한다. 배지의 유전율은 재질의 종류나 수분의 상태에 따라 변화가 큰 편이다.That is, if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mpedance size of the resistor and the capacitor, C decreases when R increases according to Equation 4, and when C increases, R decreases. If the dielectric constant (ε) or the impedance of the conductivity is much larger than the other, it changes according to a large variable.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medium tends to vary greatly depending on the type of material or the state of moisture.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그린하우스 수경재배용 배지의 보다 넓은 영역에 걸쳐 평균적인 함수량을 측정할 수 있고, 함수량과 함께 전기전도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함수량 측정 시스템을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above principle, an average water content can be measured over a wider area of a green house hydroponic cultivation medium, and a water content measurement system capable of simultaneously measuring both water content and electrical conductivity is provided.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함수량 측정 시스템의 전극 센서 구조의 일 예로서, 도 1은 전극 센서가 설치된 모습의 사시도를, 도 2는 전극 센서 부분의 단면도를 나타낸다.1 and 2 are examples of an electrode sensor structure of a water content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de sensor installed,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sensor.

수경재배용 배지(11)는 예컨대 비닐 등의 포장재(10)에 의해 포장되는데, 배지(11)와 포장재(10)는 대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기다랗게 형성될 수 있다.The culture medium 11 for hydroponic cultivation is packaged by a packaging material 10 such as vinyl, for example, and the culture medium 11 and the packaging material 10 generally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may be elongated.

도 1을 참조하면, 전극 센서는 포장재(10)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1 전극판부(20)와, 포장재(10)의 하면에 제1 전극판부(20)를 마주보도록 부착되는 제2 전극판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판부(20)와 제2 전극판부(30)의 쌍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배지(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제1 전극판부(20)와 제2 전극판부(30)는 그 사이의 배지(11)를 유전체로 하는 컨덴서를 형성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electrode sensor includes a first electrode plate portion 20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10 and a second electrode plate portion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10 to face the first electrode plate portion 20. (30) may be included. As illustrated, a plurality of pairs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part 2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part 30 may be install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adge 11. The first electrode plate portion 2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portion 30 form a capacitor having the medium 11 as a dielectric material therebetween.

도 2를 참조하면, 제1 전극판부(20)는 제1 전극판(21) 및 이를 둘러싸는 제1 방수절연체(22)로 구성되고, 제2 전극판부(30)는 제2 전극판(31) 및 이를 둘러싸는 제2 방수절연체(32)로 구성될 수 있다. 포장재(10)도 일반적으로 절연체 역할을 하므로 방수절연체(22, 32) 없이 제1 전극판(21)과 제2 전극판(31)을 직접 포장재(10)에 부착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배지(11) 내의 수분이 포장재(10) 밖으로 스며 나오거나 포장재(10) 표면에 물기가 생기면 제1 전극판(21)과 제2 전극판(31)이 전기적으로 도통되어 배지 함수량에 비례하는 컨덴서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극판(21)과 제2 전극판(31)을 각각 방수절연체(22, 32)로 둘러쌈으로써 제1 전극판(21)과 제2 전극판(31) 사이가 전기적으로 도통되지 않고 컨덴서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2, the first electrode plate part 20 includes a first electrode plate 21 and a first waterproof insulator 22 surrounding the first electrode plate part 2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part 30 includes a second electrode plate 31. ) And a second waterproof insulator 32 surrounding it. Since the packaging material 10 generally serves as an insulator, the first electrode plate 2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31 may be directly attached to the packaging material 10 without the waterproof insulators 22 and 32, but in this case, the badge ( 11) When moisture in the inside seeps out of the packaging material 10 or moisture occurs on the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10, the first electrode plate 2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31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form a condenser proportional to the moisture content of the medium. May not be. Therefore, by enclosing the first electrode plate 2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31 with waterproof insulators 22 and 32, respectively, electrical conduction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2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31 is prevented. It is desirable to have a capacitor formed without it.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판(21)과 제2 전극판(31)을 배지(11)의 폭 방향 전체를 커버하도록 설치하면, 배지(11)의 폭 방향 (및 높이 방향) 전체에 걸친 함수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2 전극판(21, 31)을 배지(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하거나, 다수의 제1 전극판(21)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다수의 제2 전극판(31)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배지(11)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함수량이 측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As shown, if the first electrode plate 2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31 are installed to cover the entire width direction of the medium 11, the water content over the entire width direction (and height direction) of the medium 11 Can be measured.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21 and 31 are formed to be elong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dium 11, or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lates 21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lates 31 )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water content is measured over the entire length direction of the medium 11.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지(11)에 양액이 과다하게 공급되었을 때 잉여 양액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지(11)의 아랫부분에 양액 배출구가 형성된다. 이때 배출되는 양액이 포장재(10)의 하면과 제2 전극판부(30) 사이로 들어가면 함수량 측정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2 전극판부(30)가 양액 배출구 아래에 위치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a nutrient solution outlet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edium 11 so that excess nutrient solution can be discharged when the nutrient solution is excessively supplied to the medium 11. At this time, if the discharged nutrient solution enters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30, an error may occur in the measurement of water content, so the second electrode plate 30 should not be located under the nutrient solution outlet.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함수량 측정 시스템의 전극 센서 구조의 다른 예로서, 도 3은 전극 센서가 설치된 모습의 사시도를, 도 4는 전극 센서 부분의 단면도를 나타낸다.3 and 4 are other examples of the electrode sensor structure of the water content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de sensor installed,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sensor.

도 3을 참조하면, 전극 센서는 포장재(10)의 제1 측면(길이 방향 측면)에 부착되는 제1 전극판부(40)와, 포장재(10)의 제1 측면의 반대편의 제2 측면에 부착되는 제2 전극판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판부(40)와 제2 전극판부(50) 역시 배지(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제1 전극판부(40)와 제2 전극판부(50)는 그 사이의 배지(11)를 유전체로 하는 컨덴서를 형성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electrode sensor is attached to a first electrode plate portion 40 attached to a first side (longitudinal side) of the packaging material 10 and a second side opposite to the first side of the packaging material 10. It may include a second electrode plate portion 50.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late portions 40 and second electrode plate portions 50 may also be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dge 11. The first electrode plate portion 4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portion 50 form a capacitor with the medium 11 as a dielectric material therebetween.

도 4를 참조하면, 도 2와 마찬가지로, 제1 전극판부(40)는 제1 전극판(41) 및 이를 둘러싸는 제1 방수절연체(42)로 구성되고, 제2 전극판부(50)는 제2 전극판(51) 및 이를 둘러싸는 제2 방수절연체(52)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s in FIG. 2, the first electrode plate portion 40 includes a first electrode plate 41 and a first waterproof insulator 42 surrounding the first electrode plate 4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portion 50 is It may be composed of a second electrode plate 51 and a second waterproof insulator 52 surrounding the electrode plate 51.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판(41)과 제2 전극판(51)을 배지(11)의 높이 방향 전체를 커버하도록 설치하면, 배지(11)의 높이 방향 (및 폭 방향) 전체에 걸친 함수량을 측정할 수 있다. 특히 배지(11) 하부의 함수량이 측정되도록 하기 위해 제1 전극판(41)과 제2 전극판(51)의 하단이 배지(11)의 제1, 2 측면의 하단 또는 그 아래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2 전극판(41, 51)을 배지(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하거나, 다수의 제1 전극판(41)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다수의 제2 전극판(51)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배지(11)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함수량이 측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As shown, if the first electrode plate 4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51 are installed to cover the entire height direction of the medium 11, the water content over the entire height direction (and width direction) of the medium 11 Can be measured. In particular, in order to measure the water content under the medium 11, the lower ends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4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51 should be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sides of the medium 11 or below it. I can.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41 and 51 are formed to be elong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dium 11, or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lates 41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lates 51 )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water content is measured over the entire length direction of the medium 11.

도 5는 식물이 배지(11)에 식재된 상태에서 도 1의 전극 센서가 설치된 모습의 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판부(20)와 제2 전극판부(30)의 쌍은 식물(P)들 사이 혹은 식물(P) 옆에 설치될 수 있다. FIG. 5 shows an example of the electrode sensor of FIG. 1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plants are planted in the medium 11. As shown, a pair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portion 2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portion 3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plants P or next to the plants P.

도 6은 식물이 배지(11)에 식재된 상태에서 도 3의 전극 센서가 설치된 모습의 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P) 주변의 배지(11)를 유전체로 하는 콘덴서를 형성하도록 제1 전극판부(40)와 제2 전극판부(50)는 식물(P)의 양쪽에 배치될 수 있다. 6 shows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electrode sensor of FIG. 3 is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plants are planted in the medium 11. As shown, the first electrode plate portion 4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portion 50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plant P so as to form a capacitor using the medium 11 as a dielectric material around the plant P. .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함수량 측정 시스템의 전극 센서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7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electrode sensor structure of the water content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판부(20_1, 2)와 제2 전극판부(30)는 포장재(10)의 상면과 하면에 부착되면서 식물(P)이 식재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판부(20_1, 2)는 배지(11)에 식재된 식물(P)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ㄷ' 자형의 제1 부분(20_1)과 제2 부분(20_2)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the first electrode plate portions 20_1 and 2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portion 30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ackaging material 10 and installed at a planted position. At this time, the first electrode plate portions 20_1 and 2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plant P planted in the medium 11, for example, the first portion 20_1 and the second portion 20_1 of a'c' shape as shown. It may be formed as a portion 20_2.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함수량 측정 시스템의 측정 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다.8 shows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measuring apparatus 100 of the water content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측정 장치(100)는 도 1 내지 7을 통해 설명한 전극 센서의 제1 전극판과 제2 전극판에 정현파 교류를 인가하여 제1 전극판과 제2 전극판 사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측정된 임피던스를 바탕으로 배지(11)의 함수량 또는 그 변화를 측정한다. 또한 측정 장치(100)는 측정된 임피던스를 바탕으로 배지(11)의 전기전도도 또는 그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The measuring device 100 measures the imped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by applying a sinusoidal alternating current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electrode sensor described through FIGS. 1 to 7, and measures the measured impedance. Based on the basis, the water content of the medium 11 or its change is measured. In addition, the measuring device 100 may measur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medium 11 or a change thereof based on the measured impedance.

도 8을 참조하면, 측정 장치(100)는 PLL(110), 증폭부(120), 임피던스 측정부(130), MUX(140), 통신부(150),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measurement device 100 may include a PLL 110, an amplification unit 120, an impedance measurement unit 130, a MUX 140, a communication unit 150, and a control unit 160.

PLL(110)은 제1, 2 전극판에 인가할 정현파 교류를 생성하고, 증폭부(120)는 정현파 교류를 소정의 크기로 증폭한다. MUX(14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여러 개의 전극 센서 중에서 임피던스를 측정할 전극 센서를 선택한다. MUX(140)는 예컨대 아날로그 스윗치나 릴레이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임피던스 측정부(130)는 MUX(140)를 통해 선택된 전극 센서의 제1, 2 전극판에 정현파 교류를 인가하고 제1, 2 전극판 사이의 임피던스를 측정한다. 필요에 따라서 임피던스 측정부(130)는 서로 연결된 복수 개의 전극 센서로부터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MUX(140)는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어부(160)는 PLL(110), 증폭부(120), 임피던스 측정부(130), MUX(140), 통신부(160) 등 측정 장치(100)의 전반을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PLL(110)이 생성할 정현파 교류의 주파수를 결정하고, 증폭부(120)의 증폭율을 결정하며, MUX(140)가 선택할 전극 센서를 결정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임피던스 측정부(130)의 임피던스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함수량 또는 그 변화, 전기전도도 또는 그 변화를 측정한다. 통신부(160)는 함수량과 전기전도도의 측정 결과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농장을 관리하는 호스트 컴퓨터나 관수 제어 장치 등 다른 장치로 전송한다. The PLL 110 generates sine wave AC to be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and the amplifying unit 120 amplifies the sine wave AC to a predetermined size. The MUX 140 selects an electrode sensor to measure impedance from among a plurality of electrode sensor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60. The MUX 140 may be configured using, for example, an analog switch or a relay. The impedance measuring unit 130 applies sinusoidal AC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of the electrode sensor selected through the MUX 140 and measures the imped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If necessary, the impedance measurement unit 130 may measure impedance from a plurality of electrode sensors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MUX 140 may not be used.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overall measurement device 100 such as the PLL 110, the amplification unit 120, the impedance measurement unit 130, the MUX 14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6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60 determines the frequency of the sine wave AC to be generated by the PLL 110, determines an amplification factor of the amplification unit 120, and determines an electrode sensor to be selected by the MUX 14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measures a water content or a change thereof, an electrical conductivity or a change thereof based on the impedance measurement result of the impedance measurement unit 130. The communication unit 160 transmits the measurement result of water content and electrical conductivity to another device such as a host computer or irrigation control device that manages the farm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도 9는 임피던스 측정부(130)를 통해 측정되는 임피던스의 크기와 위상의 시간에 따른 그래프의 예를 나타낸다. 제어부(160)는 측정되는 임피던스를 그것과 등가의 서로 병렬인 저항(R) 및 커패시턴스(C) 또는 서로 직렬인 저항(R) 및 커패시턴스(C)로 변환할 수 있다. 9 shows an example of a graph of the magnitude and phase of the impedance measured by the impedance measuring unit 130 over time. The control unit 160 may convert the measured impedance into a resistance (R) and a capacitance (C) equivalent to each other in parallel, or a resistance (R) and a capacitance (C) in series with each other.

도 10은 측정된 임피던스로부터 변환된 등가 병렬저항(R) 및 커패시턴스(C)의 그래프를 나타내고, 도 11은 측정된 임피던스로부터 변환된 등가 직렬저항(R) 및 커패시턴스(C)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9 내지 11은 배지(11)에 양액이 공급되어 수분이 증가하면 커패시턴스(C)는 증가하고 임피던스의 크기 및 저항(R)은 감소하며, 양액 공급 후 수분이 점차 감소함에 따라 커패시턴스(C)는 점차 감소하고 임피던스의 크기 및 저항(R)은 점차 증가하는 현상을 보여준다. FIG. 10 shows a graph of equivalent parallel resistance (R) and capacitance (C) converted from the measured impedance, and FIG. 11 shows a graph of equivalent series resistance (R) and capacitance (C) converted from the measured impedance. 9 to 11 show that when the nutrient solution is supplied to the medium 11 and the moisture increases, the capacitance (C) increases, the magnitude of the impedance and the resistance (R) decrease, and the capacitance (C) is gradually decreased after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Is gradually decreased, and the magnitude of the impedance and resistance (R) gradually increase.

따라서 제어부(160)는 측정되는 임피던스의 크기, 임피던스로부터 변환된 저항(R) 또는 커패시턴스(C)의 변화를 이용하여 배지(11)의 함수량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커패시턴스(C)의 증가 및 감소에 따라 함수량의 증가 및 감소를 측정하거나, 임피던스의 크기 또는 변환된 저항(R)의 증가 및 감소에 따라 함수량의 감소 및 증가를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60 may measure a change in the water content of the medium 11 by using the magnitude of the measured impedance and a change in resistance R or capacitance C converted from the impedance. That is, the controller 160 may measure an increase or decrease in water content according to an increase or decrease in capacitance C, or a decrease or increase in water content according to an increase or decrease in the impedance or the converted resistance R. I can.

한편, 상기 수학식 3을 통해 전기전도도(σ)가 증가하면 저항이 감소하고 임피던스의 크기가 감소하며, 수학식 4를 통해 저항이 감소하게 되면 커패시턴스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도 12 내지 14는 각각 배지(11)의 배액의 전기전도도가 2mS에서 4mS로 변화될 때 임피던스의 크기(Z) 및 위상(θ), 임피던스로부터 변환된 등가 병렬저항(R) 및 커패시턴스(C), 임피던스로부터 변환된 등가 직렬저항(R) 및 커패시턴스(C)를 측정한 결과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10 내지 12를 참조하면 배액의 전기전도도가 2mS에서 4mS로 증가함에 따라 임피던스의 크기(Z)와 저항(R)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from Equation 3 that when the electrical conductivity (σ) increases, the resistance decreases and the magnitude of the impedance decreases, and when the resistance decreases through Equation 4, the capacitance increases. 12 to 14 show the magnitude (Z) and phase (θ) of the impedance when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drainage of the medium 11 is changed from 2mS to 4mS, and the equivalent parallel resistance (R) and capacitance (C) converted from the impedance. , The graph of the result of measuring equivalent series resistance (R) and capacitance (C) converted from impedance is shown. Referring to FIGS. 10 to 12, it can be seen that the magnitude (Z) and resistance (R) of the impedance decrease as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drainage increases from 2mS to 4mS.

따라서 제어부(160)는 측정되는 임피던스의 크기 또는 임피던스로부터 변환된 저항(R)의 변화를 이용하여 배지(11)의 전기전도도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임피던스의 크기 또는 변환된 저항(R)의 증가 및 감소에 따라 전기전도도의 감소 및 증가를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160 may measure a change in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medium 11 by using the magnitude of the measured impedance or the change in the resistance R converted from the impedance. That is, the controller 160 may measure a decrease or increase in electrical conductivity according to an increase or decrease in the magnitude of the impedance or the converted resistance R.

도 15 및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함수량 측정 시스템의 전극 센서 구조의 일 예로서, 도 15는 전극 센서가 설치된 모습의 사시도를 도 16은 전극 센서 부분의 단면도를 나타낸다.15 and 16 are examples of an electrode sensor structure of a water content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de sensor installed, and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sensor.

도 1 내지 7의 실시 예는 배지(11)가 대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이므로 포장재(10)의 측면 또는 상하면에 전극판을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나, 도 15 및 16과 같이 배지(11')가 그 바깥쪽 측면이나 하면에 전극판을 부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극 센서는 배지(11') 및 포장재(10')의 상부에서 배지(11')의 제1 부분에 삽입되는 제1 전극판부(40')와 제1 전극판부(40')를 마주보도록 배지(11')의 제2 부분에 삽입되는 제2 전극판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판부(40')와 제2 전극판부(50')는 배지(11')에 식재된 식물(P)의 양쪽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판부(40')와 제2 전극판부(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배지(11')의 폭 방향을 따라 마주보거나 배지(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s of FIGS. 1 to 7, since the badge 11 is generally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it is possible to attach the electrode plate to the side or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ackaging material 10. However, as shown in FIGS. 15 and 16, the badge 11' It may have a shape that is not suitable for attaching the electrode plate to the side or bottom side. In this case, the electrode sensor faces the first electrode plate portion 40' and the first electrode plate portion 40' inserted into the first portion of the badge 11' from the top of the badge 11' and the packaging material 10'. It may include a second electrode plate portion 50 ′ inserted into the second portion of the badge 11 ′ for viewing. In this case, the first electrode plate portion 40 ′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portion 50 ′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plant P planted in the culture medium 11 ′. As shown, the first electrode plate portion 4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portion 50'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dge 11' or face each other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adge 11'. have.

도 16을 참조하면, 도 2, 4와 마찬가지로 제1 전극판부(40') 역시 제1 전극판(41') 및 이를 둘러싸는 제1 방수절연체(42')로 구성되고, 제2 전극판부(50') 역시 제2 전극판(51') 및 이를 둘러싸는 제2 방수절연체(52')로 구성되어, 제1 전극판(41')과 제2 전극판(51') 사이가 전기적으로 도통되지 않고 컨덴서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전극판부(40')와 제2 전극판부(50')는 배지(11')의 상부로부터 하부에 걸쳐 전체적으로 함수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단은 배지(11')의 상부 또는 그 위에 위치하고 하단은 배지(11')의 바닥면에 위치하도록(즉, 포장재(11')이 내면과 맞닿도록)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like FIGS. 2 and 4, the first electrode plate portion 40 ′ is also composed of a first electrode plate 41 ′ and a first waterproof insulator 42 ′ surrounding it,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portion ( 50') is also composed of a second electrode plate 51' and a second waterproof insulator 52' surrounding it, so that the first electrode plate 4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51' are electrically connected. It is desirable to allow the capacitor to be formed without not being used. In addition, the first electrode plate portion 4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portion 50' are positioned above or above the medium 11' so that the water content can be measured as a whole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medium 11'. The lower end may be installed to be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charge medium 11 ′ (ie, so that the packaging material 11 ′ contacts the inner surface).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면, 배지의 특정 부분에 국한되지 않고 배지의 하부를 포함하는 보다 넓은 영역에 걸쳐 평균적인 함수량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배지 전체의 평균수분 측정이 가능하여 식물성장에 필요한 양액을 골고루 공급할 수 있어 식물의 고른 성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식물이 고르게 성장하면 수확량이 증가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verage water content can be measured over a wider area including the lower portion of the medium without being limit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medium.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average moisture of the entire medium, so that the nutrient solution required for plant growth can be evenly supplied, thereby enabling the even growth of plants. When plants grow evenly, yields increase.

또한, 배지의 함수량과 전기전도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으므로 수동으로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전기전도도 측정 장치가 필요 없어 상용 전기전도도 측정기를 장착하는 경우보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ater content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medium can be measured at the same time, it not only eliminates the hassle of manually measuring electrical conductivity, but also requires no separate electrical conductivity measuring device, which reduces the cost of installing a commercial electrical conductivity meter. You can save.

식물을 재배함에 따라 배지에는 양액의 영양분이 인공토양에 누적되어 배지 자체의 전기전도도가 배지로부터 배출되는 배액의 전기전도도다 커지게 된다. 대부분의 상용화된 전기전도도 측정기는 배지로부터 나온 배액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배지 자체의 전기전도도 변화를 측정하므로 식물의 성장환경을 직접적으로 체크할 수 있어 최적의 식물성장 조건을 만들 수 있다.As plants are grown, nutrients of nutrient solution are accumulated in artificial soil in the medium, so that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medium itself increases as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drainage discharged from the medium. Most commercially available electrical conductivity meters measur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drainage from the medium, but the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change in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medium itself, so it is possible to directly check the growth environment of the plant. Plant growth conditions can be created.

또한, 배지의 함수량을 실시간으로 측정 가능하므로 함수량의 최대값과 최저값을 설정하여 배지 함수량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재배식물에 따른 함수량 조절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water content of the medium can be measured in real tim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water content of the medium by setting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the water content, so that the water conten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ultivated plants.

또한, 배지의 함수량의 최대값을 조절함으로써 급액과 배액량 조절이 가능하여 양액 낭비와 배액의 과다배출을 막을 수 있다. 급액량 조절이 가능하면 농산물생산 원가절감이 가능하고, 배액량 조절이 가능하면 불필요한 배액을 줄임으로써 토양과 수질 오염을 막을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mount of supply and drainage by adjusting the maximum value of the water content of the medium, thereby preventing waste of nutrient solution and excessive discharge of drainage. If the supply amount can be adjusted, the production cost of agricultural products can be reduced. If the amount of water supply can be adjusted, the soil and water pollution can be prevented by reducing unnecessary drainage.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집적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presented by functional block configurations and various processing steps. These functional blocks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numbers of hardware or/and software configurations that perform specific functions. For example, the embodiment is a configuration of an integrated circuit such as memory, processing, logic, a look-up table, etc., capable of executing various functions by controlling one or more microprocessors or by other control devices. Can be hired. Similar to how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with software programming or software elements, embodiments include various algorithms implemented with a combination of data structures, processes, routines or other programming components, including C, C++. , Java, assembler, etc. may be implemented in a programming or scripting language. Functional aspects can be implemented with an algorithm running on one or more processors. In addition, the embodiment may employ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electronic environment setting, signal processing, and/or data processing. Terms such as "mechanism", "element", "means", and "configuration" may be widely used, and are not limited to mechanical and physical configurations. The term may include a meaning of a series of routines of software in connection with a processor or the like.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Specific implementation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re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in any way. For brevity of the specification, descriptions of conventional electronic configurations, control systems, software, and other functional aspects of the systems may be omitted. In addition, the connection or connection members of the line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exemplarily represent functional connections and/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and in an actual device,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that can be replaced or additionally It may be referred to as a connection, or circuit connections. In addition, if there is no specific mention such as "essential", "important", etc., it may not be an essential component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looked at around its preferred embodiment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illustrative point of view rather than a limiting point of view.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 10' : 포장재
11, 11' : 수경재배용 배지
20, 40, 40' : 제1 전극판부
30, 50, 50' : 제2 전극판부
21, 41, 41' : 제1 전극판
31, 51, 51' : 제2 전극판부
22, 42, 42' : 제1 방수절연체
32, 52, 52' : 제2 방수절연체
100 : 측정 장치
10, 10': packing material
11, 11': medium for hydroponic cultivation
20, 40, 40': first electrode plate portion
30, 50, 50': second electrode plate portion
21, 41, 41': first electrode plate
31, 51, 51': second electrode plate portion
22, 42, 42': first waterproof insulator
32, 52, 52': 2nd waterproof insulator
100: measuring device

Claims (17)

수경재배용 배지의 함수량을 측정하는 시스템으로서,
수경재배용 배지를 포장한 포장재의 제1 면에 부착되는 제1 전극판;
상기 포장재의 상기 제1 면의 반대편의 제2 면에 상기 제1 전극판을 마주보도록 부착되는 제2 전극판; 및
상기 제1 전극판과 상기 제2 전극판에 정현파 교류를 인가하여 상기 제1 전극판과 상기 제2 전극판 사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를 바탕으로 상기 배지의 함수량 또는 그 변화를 측정하는 측정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As a system for measuring the water content of the hydroponic culture medium,
A first electrode plate attached to the first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packaging the hydroponic culture medium;
A second electrode plate attached to a second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to face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Measure the imped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by applying sinusoidal alternating current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nd measure the water content of the medium or its change based on the measured impedance A system comprising a measur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판을 둘러싸는 제1 방수절연체; 및
상기 제2 전극판을 둘러싸는 제2 방수절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waterproof insulator surrounding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And a second waterproof insulator surrounding the second electrode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면은 각각 상기 포장재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이거나, 상기 포장재의 상면 및 하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are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of the packaging material, respectively, or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packaging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면은 각각 상기 포장재의 상면 및 하면이고, 상기 제2 전극판은 상기 배지의 양액 배출구 아래에 위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ar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ackaging material, respectively,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is not located under the nutrient solution outlet of the mediu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면은 각각 상기 포장재의 상면 및 하면이고,
상기 제1 전극판은 상기 배지에 식재된 식물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ar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ackaging material, respectively,
The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electrode plate is formed to surround the plant planted in the mediu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면은 각각 상기 포장재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이고,
상기 제1 전극판과 상기 제2 전극판은 상기 배지에 식재된 식물의 양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are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of the packaging material, respectively,
The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plants planted in the mediu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면은 각각 상기 포장재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이고,
상기 제1 및 제2 전극판의 하단은 상기 제1 및 제2 측면의 하단 또는 그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sides are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of the packaging material, respectively,
Th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are located at or below the first and second side surfa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의 크기의 증가 및 감소에 따라 상기 함수량의 감소 및 증가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easuring device is a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measuring the decrease and increase of the water content according to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magnitude of the measured imped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를 등가 병렬 또는 직렬인 저항 및 커패시턴스로 변환하고, 상기 커패시턴스의 증가 및 감소에 따라 상기 함수량의 증가 및 감소를 측정하거나, 상기 저항의 증가 및 감소에 따라 상기 함수량의 감소 및 증가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easuring device converts the measured impedance into equivalent parallel or series resistance and capacitance, and measures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water content according to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capacitance, or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water content A system for measuring decreases and increa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를 바탕으로 상기 배지의 전기전도도 또는 그 변화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easuring device is a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measuring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medium or a change thereof based on the measured impedan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의 크기의 증가 및 감소에 따라 상기 전기전도도의 감소 및 증가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And the measuring device measures a decrease and an increase in the electrical conductivity according to an increase or decrease in the magnitude of the measured impedan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를 등가 병렬 또는 직렬인 저항 및 커패시턴스로 변환하고, 상기 저항의 증가 및 감소에 따라 상기 전기전도도의 감소 및 증가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measuring device converts the measured impedance into equivalent parallel or series resistance and capacitance, and measures the decrease and increase of the electrical conductivity according to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resistance.
수경재배용 배지의 함수량을 측정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배지의 제1 부분에 삽입되는 제1 전극판;
상기 제1 전극판을 마주보도록 상기 배지의 제2 부분에 삽입되는 제2 전극판; 및
상기 제1 전극판과 상기 제2 전극판 사이에 정현파 교류를 인가하여 상기 제1 전극판과 상기 제2 전극판 사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를 바탕으로 상기 배지의 함수량 또는 그 변화를 측정하는 측정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As a system for measuring the water content of the hydroponic culture medium,
A first electrode plate inserted into the first portion of the culture medium;
A second electrode plate inserted into the second portion of the culture medium to face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A sinusoidal alternating current is appli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to measure the imped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nd the moisture content of the medium or its change is determined based on the measured impedance. A system comprising a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판을 둘러싸는 제1 방수절연체; 및
상기 제2 전극판을 둘러싸는 제2 방수절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3,
A first waterproof insulator surrounding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And a second waterproof insulator surrounding the second electrode plat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판과 상기 제2 전극판은 상기 배지에 식재된 식물의 양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3,
The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plants planted in the medium.
제2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수절연체 및 상기 제2 방수절연체는 상기 제1 전극판과 상기 제2 전극판 사이가 전기적으로 도통되지 않고 컨덴서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or 14,
And the first waterproof insulator and the second waterproof insulator are configured to form a capacitor without electrical conduction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제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정현파 교류를 생성하는 PLL;
상기 정현파 교류를 소정의 크기로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제1 전극판과 상기 제2 전극판 사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부; 및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를 바탕으로 상기 배지의 함수량 또는 그 변화를 측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or 13, wherein the measuring device,
A PLL generating the sine wave alternating current;
An amplifying unit for amplifying the sine wave alternating current to a predetermined size;
An impedance measuring unit measuring imped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nd
And a control unit for measuring the water content of the medium or a change thereof based on the measured impedance.
KR1020190031856A 2019-03-20 2019-03-20 System for water content measurement of hydroponic substrate KR1022517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856A KR102251785B1 (en) 2019-03-20 2019-03-20 System for water content measurement of hydroponic substr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856A KR102251785B1 (en) 2019-03-20 2019-03-20 System for water content measurement of hydroponic substr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030A true KR20200112030A (en) 2020-10-05
KR102251785B1 KR102251785B1 (en) 2021-05-18

Family

ID=72809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856A KR102251785B1 (en) 2019-03-20 2019-03-20 System for water content measurement of hydroponic substr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178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5294B1 (en) * 2021-12-08 2022-07-27 대한민국 An electrical conductivity sensor for sensing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a nutrient solution and a nutrient solution supply module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7552A (en) * 1993-05-06 1994-11-15 Mitsubishi Rayon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 of water content
JPH095269A (en) * 1995-06-22 1997-01-10 Maeda Corp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water content ratio of sample
JP2002277426A (en) * 2001-03-21 2002-09-25 Kawata Mfg Co Ltd Dielectric physical property measuring instrument
JP2013200194A (en) * 2012-03-23 2013-10-03 Mega Chips Corp Moisture detection device, electrical conductivity detection device, sensor network system, program, method of detecting moisture, and method of detecting electrical conductivit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7552A (en) * 1993-05-06 1994-11-15 Mitsubishi Rayon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 of water content
JPH095269A (en) * 1995-06-22 1997-01-10 Maeda Corp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water content ratio of sample
JP2002277426A (en) * 2001-03-21 2002-09-25 Kawata Mfg Co Ltd Dielectric physical property measuring instrument
JP2013200194A (en) * 2012-03-23 2013-10-03 Mega Chips Corp Moisture detection device, electrical conductivity detection device, sensor network system, program, method of detecting moisture, and method of detecting electrical conductiv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1785B1 (en) 202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68339A1 (en) Solid state soil moisture sensor
Vimal et al. IOT based greenhouse environment monitoring and controlling system using Arduino platform
Navarro-Hellín et al. A wireless sensors architecture for efficient irrigation water management
US9949450B2 (en) Soil moisture probe and system with temperature adjustment
Hanson et al. Monitoring soil moisture helps refine irrigation management
US5224769A (en) Method and device for non-invasive monitoring of hydration state of plants
KR101979751B1 (en) Nutrient supply control system based on water content of plants growing medium and weight of plants
US20030230638A1 (en) Automatic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irrigation
EP3893629A1 (en) Probe for measuring the penetration time of water through the soil layers and the vertical moisture profile of the soil
Doltra et al. Evaluation of plant-based water status indicators in mature apple trees under field conditions
Abdelfattah et al. Calibration of soil humidity sensors of automatic irrigation controller
Shan et al. Monitoring tomato root zone water content variation and partitioning evapotranspiration with a novel horizontally-oriented mobile dielectric sensor
KR102251785B1 (en) System for water content measurement of hydroponic substrate
Gong et al. Evaluation of several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models and determination of crop water requirement for tomato in a solar greenhouse
Vijay Application of sensor networks in agriculture
Hermawan et al. A quick dielectric method to determine insitu soil water content for precision water use under sustainable agricultural practices
JP3992939B2 (en) Irrigation control device for rooftop and aboveground greening system
US2468972A (en) Moisture measuring and calibrating apparatus for tree culture
Kim et al. Design and testing of an autonomous irrigation controller for precision water management of greenhouse crops
Manikandan et al. Automatic monitoring system for a precision agriculture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s
KR0120905Y1 (en) Humidity sensor
Caya et al. Capacitance-based soil moisture sensor for irrigation scheduling application
JP4208764B2 (en) Automatic irrigation method and automatic irrigation apparatus therefor
CN102100168A (en) Monopolar plate type automatic soil humidity controller
KR20220097785A (en) Irrigation control system using drainage volume and water content of hydroponic substr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