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1934A -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 - Google Patents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1934A
KR20200111934A KR1020190031602A KR20190031602A KR20200111934A KR 20200111934 A KR20200111934 A KR 20200111934A KR 1020190031602 A KR1020190031602 A KR 1020190031602A KR 20190031602 A KR20190031602 A KR 20190031602A KR 20200111934 A KR20200111934 A KR 20200111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contact
wires
harness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9770B1 (ko
Inventor
이선일
류정빈
이동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1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770B1/ko
Publication of KR20200111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를 이용한 직선운동, 회전운동 또는 왕복운동을 구현하는 구동부와 상기 모터의 구동을 위한 정보를 입력받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1제어부와 상기 제2제어부의 업데이트를 위해 연결하는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에 있어서, 제1제어부를 업데이트 하기 위한 플러그 혹은 소켓을 제2제어부를 업데이트 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플러그 내부의 핀 일부를 쇼트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An External Connector for Home Appliances}
본 발명은 모터를 이용한 직선운동, 회전운동 또는 왕복운동을 구현하는 구동부 와 상기 모터의 구동을 위한 정보를 입력받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를 각각 제어하는 제1제어부과 제2제어부를 갖춘 가전제품의 제1제어부내에 구비되는 제1마이컴과 제2제어부내에 구비되는 제2마이컴을 외부기기와 연결하여 업데이트 하기 위한 외부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 건조기와 같은 의류처리장치, 냉장고, 진공청소기 및 식기세척기와 같은 대부분의 가전제품은 모터를 이용하게 된다. 모터를 이용하여 직선운동, 회전운동, 또는 왕복운동을 구현하는 구동부를 통해 각 가전제품의 용도에 맞는 운동을 구현하여, 이를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에는 마이컴(이하 제2마이컴)이 들어가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가전제품 트렌드에 맞춰 터치패널을 갖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각종 구동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 선택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즉, 물리적인 전원 스위치를 사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정전식 모델이 아닌 사용자가 터치패널을 터치함에 따라 대기상태(혹은 스탠바이 상태)에서 다시 구동부가 동작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이 가능한 터치식 모델들이 나오고 있다. 또한 이러한 디스플레이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에도 마이컴(이하 제1마이컴)이 들어가게 된다. 그런데, 사용자의 터치를 통해 가전제품이 반응하고 동작을 하기 위해서는 항상 터치패널이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대기전력이 공급되어야 한다. 그러나 에너지 절약 차원에서 이를 최소화해야 하므로, 대기상태에서는 필수적인 일부 회로에만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2마이컴에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터치식 모델의 경우, 가전제품의 고장 판단, 유지 보수를 위한 디버그, 업데이트 혹은 다운로드 (이하 업데이트라 통칭)를 위해서 제1마이컴이나 제2마이컴을 외부에서 연결해야 할 수도 있다. 이 때, 구동부의 업데이트를 위해서는 제1마이컴 전용 외부커넥터를 이용하여 제1마이컴이 구비된 PCB내에 위치한 소켓 (혹은 하네스)와 연결해야 하며, 디스플레이부의 업데이트를 위해서는 제2마이컴 용 소켓 (혹은 하네스)와 연결되어야 한다. 그리고, 외부와의 연결 (예컨대 노트북컴퓨터 혹은 진단전용장비)을 통해 제어신호를 통해 목표로 하는 마이컴에 전원을 공급하고 업데이트를 진행해야 한다. 이를 공용화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비용절감 및 필요 없는 소켓의 삭제로 PCB내의 설계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지만, 제1마이컴용 연결부(예컨대 플러그)의 크기 및 접촉부(예컨대 핀) 의 개수(기존 8개)와 기능이 제2마이컴용(기존 6개의 핀)과 달라 공용화가 불가능하였다. 또한, 단순히 같은 부품을 사용하는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대기전력상태에서는 제2마이컴과 연결이 되지 않으므로 단순히 같은 부품을 사용해도 핀의 기능이 달라 업데이트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존 다운로드지그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디스플레이부와 구동부를 각각 업데이트 할 수 있는, 중간젠더 역할의 외부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와 구동부의 연결부에 공용화된 부품을 사용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PCB내의 공간을 더욱 줄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즉,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1마이컴과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2마이컴의 업데이트를 위해 기존의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데 사용한 플러그를 공용화 하는 한편, 업데이트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1마이컴을 위한 플러그(혹은 연결부)내부의 접촉부(예컨대 핀)는 제2마이컴을 위한 플러그 내부의 접촉부와 달리 SB 파워핀과 스탠바이시날핀이 서로 연결(혹은 쇼트)되어 있어 필요한 전압을 공급하여 업데이트가 가능하게 한 것이다. 따라서 외부와 연결되는 하나의 연결부 (예컨대 플러그)에서 양쪽 마이컴과 연결되는 각각의 연결부가 연결되는 Y자형 커넥터의 모양을 가지게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터를 이용한 직선운동, 회전운동 또는 왕복운동을 구현하는 구동부, 상기 모터의 구동을 위한 정보를 입력받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1마이컴 및 상기 제1마이컴과 외부와의 제어신호 연결을 위한 제1하네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2마이컴 및 상기 제2마이컴과 외부와의 제어신호 연결을 위한 제2하네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네스는 외부 제어신호 연결을 위한 복수 개의 제1터미날, 상기 제2하네스는 외부와 제어신호 연결을 위한 복수 개의 제2터미날을 포함하는 가전제품의 업데이트를 위해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제2제어부와 제어신호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하네스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1결합부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복수 개의 제1터미날과 대응되어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접촉부를 포함하는 제1연결부, 상기 제2하네스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결합부 및 성가 제2결합부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복수 개의 제2터미날과 대응되어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2접촉부를 포함하는 제2연결부, 및 외부단자와 연결되는 제3결합부 및 상기 제3결합부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외부단자내부의 복수 개의 외부 터미날과 대응되어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3접촉부를 포함하는 제3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3접촉부의 개수는 상기 복수 개의 제1접촉부의 개수 및 상기 복수 개의 제2접촉부의 개수보다 작아, 상기 제3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의 연결 혹은 상기 제3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의 연결시 상기 복수 개의 제1접촉부의 일부와 상기 복수 개의 제2접촉부의 일부는 연결되지 않으며, 상기 복수 개의 제2접촉부 중 하나는 상기 복수 개의 제2접촉부 중 연결되지 않은 일부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일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복수 개의 제1접촉부 개수와 상기 복수 개의 제2접촉부 개수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는 외형이 동일하여, 상기 제1하네스 혹은 상기 제2하네스에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는 서로 결합가능한 암/수 형상중 하나로 구비되고,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기 제1하네스와 상기 제2하네스도 각각 대응되어 결합가능한 암/수 형상중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같은 연결부(플러그)라고 하더라도 암놈과 수놈이 있으므로 이를 구별해서 사용하되 결합이 가능하게 이에 대응되는 소켓(혹은 플러그)도 암놈 혹은 수놈을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제1접촉부와 상기 복수 개의 제3접촉부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1와이어, 상기 복수 개의 제2접촉부와 상기 복수 개의 제3접촉부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2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복수 개의 제2와이어 중 하나를 분기시켜 연결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제2접촉부 중 하나는 상기 복수 개의 제2접촉부 중 다른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복수 개의 제1접촉부와 상기 복수 개의 제3접촉부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1와이어, 상기 복수 개의 제1와이어에서 각각 분기되어 상기 제3연결부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2와이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제2와이어 중 하나는 다시 분기되어 상기 복수 개의 제2접촉부중 다른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일한 전송할 수 도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접촉부는 제1송신핀, 제1수신핀, 제1그라운드핀, 제1SB파워핀, 제1공핀, 제1테스트핀, 제1스탠바이시그날핀, 제1디스플레이파워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접촉부는 상기 제1접촉부와 동일한 기능 및 순서를 갖는 제2송신핀, 제2수신핀, 제2그라운드핀, 제2SB파워핀, 제2공핀, 제2테스트핀, 제2스탠바이시그날핀, 제2디스플레이파워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3접촉부는 제3송신핀, 제3수신핀, 제3그라운드핀, 제3파워핀, 제3공핀, 제3테스트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제1와이어는 각각 상기 제1스탠바이시그날핀과 상기 제1디스플레이파워핀을 제외하고 상기 제1접촉부와 상기 제3접촉부를 연결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2와이어는 각각 상기 제1와이어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스탠바이시그날핀과 상기 제2디스플레이파워핀을 제외하고 상기 제2접촉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2스탠바이시그날핀은 상기 복수개의 제2와이어 중 상기 제1SB파워핀과 상기 제3파워핀 사이를 연결하는 제2와이어가 분기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제2SB파워핀과 상기 제2스탠바이시그날핀에의해 상기 제2마이컴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개의 제1와이어와 상기 복수개의 제2와이어는 각각의 와이어가 제1케이블 및 제2케이블로 각각 묶여질수도 있으며, 또한, 플랫케이블의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해결수단을 통해 얻게 되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스플레이부와 구동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에 공용화된 부품을 사용하므로, 제품군간 업데이트 혹은 다운로드를 위한 PCB 회로 공용화가 가능하다. 즉, 터치식 모델에만 적용하는 게 아닌, 물리적인 스위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정전식 모델이나 기타 모델의 경우에도 사용가능하다. 둘째, PCB 내에 구동부 제어를 위한 제1마이콤 전용 하네스 혹은 소켓을 삭제하여 비용절감 및 PCB내 공간 확보로 아트워크(Artwork) 설계자유도가 증가할 수 있다. 즉,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2마이컴의 PCB가 조밀하여 설계공간이 부족한 모델에 설계자유도를 증가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외부커넥터를 중간연결젠더로 사용하여 기존 업데이트를 위한 다운로드 지그에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도1은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를 이용하여 가전제품과 연결하는 것에 관한 개요도이다.
도2는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를 이용하여 제1마이컴과 제2마이컴을 전원을 키는 것에 대한 개념을 그린 것이다.
도3은 복수 개의 제1접촉부, 복수 개의 제2접촉부 및 복수 개의 제3접촉부 각각의 순서 및 기능에 대한 그림이다.
도4는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의 일 실시예의 개요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다. 한편, 후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조립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 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특정한 용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으로 예시된 실시예의 한정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부(top)", "하부(bottom)", "위(upper)", "아래(lower)", "왼쪽(left)", "오른쪽(right)", "수평(horizontal)", "수직(vertical)", "위로(upward)", 및 "아래로(downward)"는 단순히 도시된 구조에서의 형태를 기술하는 것이다. 도면 부호가 부여된 구성요소들은 어떠한 방향으로라도 틀어질 수 있기 때문에 달리 한정되지 않는 한 그와 같은 변화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어느 방향으로」, 「어느 방향을 따라」, 「평행」, 「직교」, 「중심」, 「동심」 혹은 「동축」등의 상대적 혹은 절대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그러한 배치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같은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각도나 거리를 가지고 상대적으로 변위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동일」, 「동일하다」 및 「균질」 등의 사물이 동일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동일한 상태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같은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차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사각 형상이나 원통 형상 등의 형상을 나타내는 표현은, 기하학적으로 엄밀한 의미에서의 사각 형상이나 원통 형상 등의 형상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같은 효과가 얻어지는 범위에서, 요철부나 모따기부등을 포함하는 형상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한편, 하나의 구성 요소를 「준비하다」, 「갖추다」, 「구비하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라고 하는 표현은, 다른 구성 요소의 존재를 제외하는 배타적인 표현은 아니다.
기존의 가전제품의 경우 물리적인 버튼으로 전원을 인가하고, 동작을 시키는 정전식 타입이었으나 최근에는 가전제품에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어, 터치패널을 사용자가 터치함으로써 가전제품이 대기상태에서 다시 동작상태로 전환되는 터치식 타입으로 바뀌고 있다. 이러한 터치식 타입의 가전제품 중 모터와 같은 구동부를 가지고 있는 제품의 경우, 예컨대 세탁기와 건조기 같은 의류처리장치, 냉장고, 청소기 혹은 식기세척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와,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별도로 가지고 있다. 이를 하나로 통합하는 경우에는 배선의 복잡성으로 인해 제조단가가 상승할 수 있으므로, 이 보다는 각각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 별도로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제어부는 입출력 신호를 제어하고,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마이컴을 포함하고 있다. 마이컴이란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 controller)의 약자로 연산을 담당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입출력 제어모듈 그리고 램과 저장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칩형태의 전자부품이다. 대부분의 전자제품에는 입출력 제어를 위해 마이컴이 들어가 있다. 즉, 전체의 제어를 담당하는 마이컴은 CPU, A/D 컨버터, RAM, ROM 등을 포함해서 구성되고 있어, ROM에는 가전제품에서 원하는 동작을 하기 위한 운전프로그램이 들어있다.
이러한 마이컴을 이용한 제품은 고장수리나 유지보수를 위해 내부의 프로그램(펌웨어 혹은 소프트웨어)을 디버그, 업데이트, 혹은 다운로드등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를 위해서 마이컴을 포함하는 대부분의 가전제품의 경우 외부커넥터(100)를 이용하여 외부 전용 단말 장치 혹은 이러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PC 나 노트북과 다운로드 지그를 통해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다운로드 지그는 USB와 외부커넥터를 연결해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고장수리나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가전제품의 전원을 켜지 않고도 상기 외부커넥터(100)의 연결을 통해 외부 전용 단말 장치, PC 혹은 노트북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목표로 하는 마이컴에 전원을 공급하고 이를 통해 해당 마이컴의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전제품에서 모터를 이용한 직선운동, 왕복운동, 회전운동을 담당하는 구동부(50), 상기 구동부(50)의 운전조건에 대해 필요한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부(60), 상기 센서부(60)와 상기 구동부(50)의 제어신호를 입출력하고 제어를 담당하는 제2제어부(620)가 있으며, 상기 제2제어부(620)에는 이러한 기능을 담당하는 핵심 구성요소인 제2마이컴(621)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마이컴(621)을 통해 상기 구동부(50)를 구동하는 제어신호를 내보내고 및 상기 센서부(60)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제어신호에는 전원도 포함된다. 즉, 연결된 회로를 통해 입출력에 필요한 정보신호뿐 만 아니라 전원 공급도 가능하므로 제2마이컴(621)을 통해 전원공급을 받을 수도 있으며 이와 별도로 전원공급을 받을 수도 있다. 이는 가전제품의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키입력부를 입력받는 키입력부(70), 사용자에게 동작상태 및 기타 필요한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80) , 사용자의 터치를 받아 들여 아날로그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스크린(90) 및 상기 터치스크린(90)에서 발생한 아날로그 제어신호를 디지털로 전환하는 신호변환부(95)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610)가 있으며, 상기 제1제어부(610)에는 이러한 기능을 담당하는 핵심 구성요소인 제1마이컴(611)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마이컴(611)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80)에 출력하거나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2마이컴(621)에 전송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마이컴(611)과 상기 제2마이컴(621)은 독립적으로도 작동할수도 있으나,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제어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다시 언급하지만, 제어신호에는 전원 공급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마이컴(611)과 상기 제2마이컴(621)을 업데이트하기 위해서, 외부와 연결이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 제1제어부(610)와 상기 제2제어부(620)는 각각 업데이트를 위한 제1하네스와 제2하네스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와 연결을 위한 외부커넥터(100)가 필요하다. 하네스(혹은 소켓)란, 상기 외부커넥터(100)를 연결하기 위해 PCB내 마련된 외부커넥터의 말단에 있는 연결부(혹은 플러그)와 결합되는 구성요소를 말한다. 따라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PCB내에 구비되는 하네스 (혹은 소켓)와 연결부(혹은 플러그)의 구조는 자명하므로 이에 대한 기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여기서는 연결부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접촉부 (예컨대 핀)의 개수와 기능에 대해서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특별한 말이 없으면, 플러그는 외부커넥터의 와이어 양 끝단에 위치하여 하네스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지칭하는 말이며, 하네스는 PCB에 위치하여 연결부(혹은 플러그)를 수용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에도 암/수형상이 있을 수 있으며 이와 대응되어 결합되는 하네스도 이에 맞게 암/수형상으로 구비될 수 도 있다. 또한 연결부 내부에는 복수개의 접촉부 (핀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가 존재하며, 하나의 접촉부에 한 개의 와이어가 연결되어 필요한 제어신호를 송수신 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하네스도 상기 복수개의 접촉부에 대응되어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터미날을 포함하고 있다. 즉,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와 하네스는 내부에 각각 복수 개의 접촉부와 이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터미날을 포함하고 있다.
기존의 터치식 가전제품의 경우, 상기 제1마이컴(611)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상기 제1하네스(미도시)는 상기 제1제어부의 PCB 상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마이컴(621)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제2하네스(미도시) 그리고, 상기 제1마이컴(611)과 상기 제2마이컴(621) 사이의 통신을 위해 연결하기 위한 연결하네스(미도시)가 상기 제2제어부의 PCB 상에 구비되었다. 상기 제2마이컴을 업데이트 하기 위한 상기 제2하네스(미도시)와 상기 연결하네스(미도시)를 별도로 구비했던 이유는 이에 대응하는 연결부내의 접촉부(예컨대 핀)의 개수 그리고 배열이 달라 공용으로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상기 제1마이컴 업데이트를 위한 연결부를 상기 제2제어부의 연결하네스(미도시)에 연결한다고 하더라도, 회로의 기능이 달라 상기 제2마이컴의 업데이트는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제2하네스(미도시)와 연결하네스(미도시)를 제2제어부의 PCB내에 공간이 협소함에도 모두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을 없애 도1에서 처럼 하나의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100)를 이용하여 상기 제1마이컴(611)과 상기 제2마이컴(621) 의 업데이트가 가능하도록 한데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도 2에서 보인것과 같이 상기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100)의 접촉부와 터미날의 배열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설명은 이에 대응하는 각각의 제1하네스, 제2하네스에 대한 설명에도 해당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마이컴(611)을 업데이트 하기 위해서는 도2(a)와 같이 복수 개의 제3접촉부(111)가 배열된 재1연결부(110)가 필요하다. 상기 제3접촉부(111)는 핀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연결부의 외형을 이루는 상기 제1결합부(112)는 이를 감싼 플라스틱 재질의 플러그 모양으로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자명한 구조이므로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각 배열을 보면, 상기 제1연결부(110) 내부에 구비된 상기 복수 개의 제3접촉부(111)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1수신핀(1131),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1송신핀(1132), 접지를 시키는데 이용하는 제1그라운드핀(1133), 예비적으로 구비하는 와이어로 연결되지 않는 제1공핀(1134), 가전제품이 꺼진다 하더라도 대기상태에서 상기 제1제어부(610)의 필수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위한 제1SB파워핀(1135), 상기 제1마이콤이 동작중인지 아니면 업데이트 중인지를 판별하기 위한 제1테스트핀(1136), 사용자가 상기 터치스크린(90)의 터치시 키를 상기 제2마이컴(621)에 전송하는 제1스탠바이시그날핀 (1137)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80)의 LED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디스플레이파워핀 (1138)을 포함한다. 이는 상기 제2마이컴(621)을 업데이트 하거나, 상기 제1마이컴(611)과 상기 제2마이컴(621)사이를 연결해주기 위해 사용된다.
반면 도2(c)는 기존 제2마이컴 전용 다운로드를 위해 구비되어야 하는 접촉부이자 외부와 연결을 위한 제3연결부(130)에 구비된 복수 개의 제3접촉부의 배열에 관한 것이다. 이는 기존 외부와 연결할 때 사용하던 다운로드 지그와 상기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100)을 그대로 연결해서 사용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3접촉부의 배열 순서는 도 2(c)를 참조하면,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3수신핀(1331),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3송신핀(1332), 접지를 시키는데 이용하는 제3그라운드핀(1333), 예비적으로 구비하는 와이어로 연결되지 않는 제3공핀(1134), 상기 제1마이컴(611) 혹은 상기 제2마이컴(621)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3파워핀(1335), 상기 제1마이컴(611) 혹은 상기 제2마이컴(621)이 동작중인지 아니면 업데이트 중인지를 판별하기 위한 제3테스트핀(1136) 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기 도2(a)에 있는 상기 제1연결부(110)와 도2(c)에 나와 있는 상기 제3연결부 혹은 기존에 사용하던 제2마이컴 전용 연결부의 내부 접촉부의 배열이 다르다. 즉, 상기 제1연결부의 복수 개의 제1접촉부의 개수가 상기 제3연결부의 복수 개의 제3접촉부의 개수보다 많다. 이는 디스플레이부와도 연결해야 하고, 입력된 키를 제2마이컴에도 전달해야 하고, 대기상태에서도 전원을 공급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대기상태에서도 전원을 공급하기 상기 제1SB파워핀(1134)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제3연결부(130)에 포함된 상기 제3파워핀(1334)와는 성질이 다르다. 비록 상기 제3파워핀(1334)와 상기 제1SB파워핀(1134)이 연결된다고 하더라도, 즉 같은 전압의 전원, 바람직하게는 5V의 전원,이 걸린다고 하더라도 상기 제1SB파워핀(1134)에는 대리전력 최소화를 위해 상기 제1제어부(610)에서 대기상태에서도 사용자의 터치에 반응하기 위한 필요적인 회로에만 연결되어 있을 뿐이며, 상기 제2마이컴(621)과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상기 제1연결부(110)를 그대로 기존에 있던 상기 연결하네스(미도시)에 결합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제2마이컴(621)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업데이트 등이 불가능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1연결부(110)와 상기 제3연결부(130)의 중간 형태로 도2(b)와 같은 상기 제2연결부(120)를 사용한다. 즉, 상기 제1연결부(110)의 접촉부의 개수가 상기 제3연결부의 접촉부의 개수보다 많으므로 상기 제1연결부와 동일한 형태와 배열을 갖는 상기 제2연결부(120)를 사용하되, 그 중 일부를 전기적으로 연결, 예컨대 쇼트, 시켜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제2연결부(120)내부의 제2접촉부의 배열은 상기 제1연결부(110)와 동일하다. 상기 제2접촉부(121)도 마찬가지로 핀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이를 감싸며 제2연결부의 외형을 이루는 제2결합부(122)를 포함하는 플러그의 형태로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자명한 구조이므로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각 배열을 보면, 상기 제2연결부(120) 내부에 구비된 상기 복수 개의 제2접촉부(121)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2수신핀(1231),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2송신핀(1232), 접지를 시키는데 이용하는 제2그라운드핀(1233), 예비적으로 구비하는 와이어로 연결되지 않는 제2공핀(1234), 가전제품이 꺼진다 하더라도 대기상태에서 상기 제2제어부(620)의 필수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위한 제2SB파워핀(1235), 상기 제2마이컴(621)이 동작 중인지 아니면 업데이트 중인지를 판별하기 위한 제2테스트핀(1236), 제2스탠바이시그날핀(1237) 그리고, 제2디스플레이파워핀 (1238)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파워핀(1238)은 의미가 없으므로 연결될 필요가 없으며, 상기 제2마이컴(62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2SB파워핀(1235)과 상기 제2스탠바이시그날핀(1137)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즉, 키입력시 신호를 상기 제2마이컴(621)에 전송하는 상기 제2스탠바이시그날핀(1237)을 이용하여 상기 제2SB파워핀(1235)에 연결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제2마이컴(621)에 동작할 수 있게 되는 원리이다.
따라서, 상기 제2마이컴(621) 전용 업데이트를 위한 하네스를 없애고, 상기 제1마이컴(611)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상기 제1하네스(미도시)와 동일한 크기와 배열로 상기 제2하네스(미도시)를 구성하여 사용하게 되면, 기존 상기 제1제어부(610)의 PCB내의 공간을 확보하여 회로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수 있고, 부품 공용화로 인한 비용절감 및 부품 단순화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3을 이용하여 다시 한번 설명하면, 상기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100)의 상기 제1연결부(110)를 상기 제1마이컴(611)의 업데이트를 위해 상기 제1하네스(미도시)에 연결하는 경우, 상기 제1마이컴(611)은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만약 상기 제1연결부(110)를 상기 제2마이컴(621)의 업데이트를 위해 상기 제2하네스(미도시)에 연결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SB파워핀(1135)의 성질상 상기 제2마이컴(621)은 업데이트가 불가능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2연결부(120)와 상기 제1연결부(110)에 같은 부품을 사용하면서도 내부적으로 상기 제2SB파워핀(1235)과 상기 제2스탠바이시그날핀(1137)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사용하게 되면, 상기 제2연결부(120)와 상기 제2하네스(미도시)를 연결시 상기 제2마이컴(621)의 업데이트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3파워핀(1335)과 상기 제1SB파워핀(1135), 상기 제2SB파워핀(1235), 상기 제1스탠바이시그날핀(1137) 및 상기 제2스탠바이시그날핀(1237)에는 같은 전압의 전원이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5V이다. 그러나 이는 상기 제1마이컴(611)과 상기 제2마이컴(621)에서 요구하는 전압이 달라지는 경우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2SB파워핀(1235)과 상기 제2스탠바이시그날핀(1137)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방법은 다양하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4에 나와 있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개요도를 가지고 전체적인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100)의 구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가전제품용 외부 커넥터(100)은 외부와의 연결을 위해 기존 다운로드 지그와 연결되거나 혹은 외부 전용 단말 장치에 연결할 수 있는 제3연결부(130), 상기 제1마이컴(611)과 연결되는 제1연결부(110), 상기 제2마이컴과 연결되는 제2연결부(120)를 포함한다. 각각의 연결부는 내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접촉부와 이를 감싸며 연결부의 외형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하네스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1연결부(110)는 제3접촉부(111)와 제1결합부(112)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부(120)는 제2접촉부(121)와 제2결합부(122)를 포함하고, 상기 제3연결부(130)는 제3접촉부(131)와 제3결합부(13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110)와 상기 제2연결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용화된 부품으로 동일하며, 내부의 위치한 상기 복수 개의 제2접촉부(121)중 상기 제2SB파워핀(1235)과 상기 제2스탠바이시그날핀(1137)만이 상기 제3접촉부(111)의 배열과 달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뿐이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110)및 상기 제2연결부(120)에 대응하여, 상기 제1제어부(610) 및 상기 제2제어부(620)의 PCB내에서는 공용화된 부품을 사용하는 제1하네스(미도시) 및 제2하네스를 각각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연결부(110)와 상기 제2하네스(미도시), 상기 제2연결부(120)와 상기 제1하네스(미도시)도 각각 결합은 가능하나, 전기적 배열이 달라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는 없다. 상기 제1연결부(110)와 상기 제1하네스(미도시), 상기 제2연결부(120)와 상기 제2하네스(미도시)가 연결되어야 만, 정상적인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상기 제1연결부(110)와 상기 제3연결부는 복수 개의 제1와이어(115)로 연결이 되며, 상기 제2연결부(120)와 상기 제3연결부도 복수 개의 제2와이어(125)로 연결이 된다. 여기서 와이어는 제어신호를 전송가능한 절연된 전선을 주로 사용하나, 이와 다른 형태라도 각각의 연결부 사이에 제어신호가 전송하면 무엇을 사용하든 무방하다.
상기 복수 개의 제1와이어(115)와 상기 복수개의 제2와이어(125)는 각각의 접촉부의 수에 맞게 구비되어 각각의 접촉부에 대응되게 연결된다. 이러한 대응을 위해 도4의 각각의 연결부는 도2에 설명된 순서와 동일하게 각각 D1, D2, D3의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다만, 상기 제1공핀(1134)과 상기 제3공핀(1334), 그리고 상기 제2공핀(1234)과 상기 제3공핀(1334)은 그 기능이 없으므로 와이어로 연결이 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제3접촉부(131)의 개수가 작으므로 상기 제1스탠바이시그날핀(1137)과 상기 제1디스플레이파워핀(1138)은 복수 개의 제1와이어에 의해 연결이 되지 않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제2디스플레이파워핀(1238)도 복수 개의 제2와이어에 의해 연결되지 않는다. 다만, 상기 제2스탠바이시그날핀(1237)은 상기 SB파워핀(123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므로, 이를 위해 제3파워핀(1335)에 2개의 와이어가 동시에 연결되어 각각 제2스탠바이시그날핀(1237)은 상기 제2SB파워핀(1235)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다른 일 실시예로, 상기 복수 개의 제1와이어(115)에서 각각 대응된 복수개의 제2와이어(125)가 A영역으로 표시된 임의의 중간지점에서 분기되어 연결되고, 이중 제3파워핀(1335)과 상기 제1SB파워핀(1135)를 연결하는 와이어에서 2개의 와이어가 분기되어 나와서 각각 제2스탠바이시그날핀(1237)은 상기 제2SB파워핀(1235)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도4에서 보인 것과 마찬가지로, 제3파워핀(1335)과 상기 제1SB파워핀(1135)를 연결하는 와이어에서 분기된 와이어가 다시 B지점에서 재차 분기되어 각각 각각 제2스탠바이시그날핀(1237)은 상기 제2SB파워핀(1235)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복수 개의 제1와이어(115)와 상기 복수 개의 제2와이어(125)의 개수는 같으며 상기 제2연결부 내부에서 제2스탠바이시그날핀(1237)은 상기 제2SB파워핀(1235)에 연결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연결 방법은 매우 다양하며, 여기에 서술되어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연결형태라면 본 발명의 권리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접촉부의 배열 및 연결방법은 이와 달리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도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1와이어(115) 및 상기 복수개의 제2와이어(125)는 여러 개의 와이어가 합쳐져 하나의 피복안에 합쳐진 케이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케이블에 복수 개의 와이어가 들어간 형태가 되며 각각은 간섭을 막기 위해 절연체로 피복될 수 있다. 혹은 원형의 케이블 대신 플랫(flat) 케이블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예컨대 꼬임방지를 위해 플랫케이블의 형태와 같은 플랫한 피복안에 복수개의 와이어가 구비될 수 도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는 특정한 실시예가 예시되었는 바, 도시된 특정한 실시예는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계산된 어떠한 재구성으로도 대체될 수 있고 개시된 본 발명은 다른 환경에서 달리 적용될 수 있음을 본 발명과 관련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즉, 본 출원은 본 발명의 개시에 대한 어떠한 적용이나 변화도 커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후속되는 청구범위는 본 명세서의 특정한 실시예와 관련한 개시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50 구동부 60 센서부 70 키입력부 80 디스플레이부
90 터치스크린 95 신호변환부 100 외부커넥터
110 제1연결부 111 제1접촉부 112 제1결합부 115 제1와이어
120 제2연결부 121 제2접촉부 122 제2결합부 125 제2와이어
130 제3연결부 131 제3접촉부 132 제3결합부
610 제1제어부 611 제1마이컴 620 제2제어부 621 제2마이컴
1131 제1수신핀 1132 제1송신핀 1133 제1그라운드핀 1134 제1공핀
1135 제1SB파워핀 1136 제1테스트핀 1137 제1스탠바이시그날핀 1138 제1디스플레이파워핀
1231 제2수신핀 1232 제2송신핀 1233 제2그라운드핀 1234 제2공핀
1235 제2SB파워핀 1236 제2테스트핀 1237 제2스탠바이시그날핀 1238 제2디스플레이파워핀
1331 제3수신핀 1332 제3송신핀 1333 제3그라운드핀 1334 제3공핀
1335 제3파워핀 1336 제3테스트핀

Claims (12)

  1. 모터를 이용한 직선운동, 회전운동 또는 왕복운동을 구현하는 구동부, 상기 모터의 구동을 위한 정보를 입력받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1마이컴 및 상기 제1마이컴과 외부와의 제어신호 연결을 위한 제1하네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2마이컴 및 상기 제2마이컴과 외부와의 제어신호 연결을 위한 제2하네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네스는 외부 제어신호 연결을 위한 복수 개의 제1터미날, 상기 제2하네스는 외부와 제어신호 연결을 위한 복수 개의 제2터미날을 포함하는 가전제품의 업데이트를 위해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제2제어부와 제어신호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하네스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1결합부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복수 개의 제1터미날과 대응되어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접촉부를 포함하는 제1연결부;
    상기 제2하네스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결합부 및 성가 제2결합부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복수 개의 제2터미날과 대응되어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2접촉부를 포함하는 제2연결부; 및
    외부와 연결되는 제3결합부 및 상기 제3결합부 내부에 수용되어 외부에 구비된 복수 개의 터미날과 대응되어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3접촉부를 포함하는 제3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3접촉부의 개수는 상기 복수 개의 제1접촉부의 개수 및 상기 복수 개의 제2접촉부의 개수보다 작아, 상기 제3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의 연결 혹은 상기 제3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의 연결시 상기 복수 개의 제1접촉부의 일부와 상기 복수 개의 제2접촉부의 일부는 연결되지 않으며, 상기 복수 개의 제2접촉부 중 하나는 상기 복수 개의 제2접촉부 중 연결되지 않은 일부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일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접촉부 개수와 상기 복수 개의 제2접촉부 개수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는 외형이 동일하여, 상기 제1하네스 혹은 상기 제2하네스에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는 서로 결합가능한 암/수 형상중 하나로 구비되고,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기 제1하네스와 상기 제2하네스도 각각 대응되어 결합가능한 암/수 형상중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접촉부와 상기 복수 개의 제3접촉부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1와이어;
    상기 복수 개의 제2접촉부와 상기 복수 개의 제3접촉부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2와이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2와이어 중 하나를 분기시켜 연결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제2접촉부 중 하나는 상기 복수 개의 제2접촉부 중 다른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접촉부와 상기 복수 개의 제3접촉부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1와이어;
    상기 복수 개의 제1와이어에서 각각 분기되어 상기 제3연결부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2와이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제2와이어 중 하나는 다시 분기되어 상기 복수 개의 제2접촉부중 다른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일한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부는 제1수신핀, 제1송신핀, 제1그라운드핀, 제1SB파워핀, 제1공핀, 제1테스트핀, 제1스탠바이시그날핀, 제1디스플레이파워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접촉부는 상기 제1접촉부와 동일한 기능 및 순서를 갖는 제2수신핀, 제2송신핀, 제2그라운드핀, 제2SB파워핀, 제2공핀, 제2테스트핀, 제2스탠바이시그날핀, 제2디스플레이파워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3접촉부는 제3수신핀, 제3송신핀, 제3그라운드핀, 제3파워핀, 제3공핀, 제3테스트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제1와이어는 각각 상기 제1스탠바이시그날핀과 상기 제1디스플레이파워핀을 제외하고 상기 제1접촉부와 상기 제3접촉부를 연결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2와이어는 각각 상기 제1와이어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스탠바이시그날핀과 상기 제2디스플레이파워핀을 제외하고 상기 제2접촉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2스탠바이시그날핀은 상기 복수개의 제2와이어 중 상기 제1SB파워핀과 상기 제3파워핀 사이를 연결하는 제2와이어가 분기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핀과 상기 제3공핀 사이와 상기 제2공핀과 상기 제3공핀 사이는 상기 제1와이어 및 상기 제2와이어로 연결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제2SB파워핀과 상기 제2스탠바이시그날핀에 의해 상기 제2마이컴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와이어와 상기 복수개의 제2와이어는 각각의 와이어가 제1케이블 및 제2케이블로 각각 묶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블과 상기 제2케이블은 플랫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
KR1020190031602A 2019-03-20 2019-03-20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 KR102609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602A KR102609770B1 (ko) 2019-03-20 2019-03-20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602A KR102609770B1 (ko) 2019-03-20 2019-03-20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934A true KR20200111934A (ko) 2020-10-05
KR102609770B1 KR102609770B1 (ko) 2023-12-05

Family

ID=72809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602A KR102609770B1 (ko) 2019-03-20 2019-03-20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77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1159A (ko) * 1998-04-27 1999-11-15 구자홍 단일화된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
JP2005516309A (ja) * 2002-01-28 2005-06-02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家電機器のソフトウェアアップグレードシステム
KR100763365B1 (ko) * 2000-11-09 2007-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20130047425A (ko) * 2011-10-31 2013-05-08 인포뱅크 주식회사 차량의 전자 제어 장치를 리프로그래밍하는 데이터 업데이트 장치, 연결 수단 및 데이터 업데이트 장치의 동작 방법
KR200468474Y1 (ko) * 2012-08-09 2013-08-14 김수현 멀티미디어용 복합 케이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1159A (ko) * 1998-04-27 1999-11-15 구자홍 단일화된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
KR100763365B1 (ko) * 2000-11-09 2007-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JP2005516309A (ja) * 2002-01-28 2005-06-02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家電機器のソフトウェアアップグレードシステム
KR20130047425A (ko) * 2011-10-31 2013-05-08 인포뱅크 주식회사 차량의 전자 제어 장치를 리프로그래밍하는 데이터 업데이트 장치, 연결 수단 및 데이터 업데이트 장치의 동작 방법
KR200468474Y1 (ko) * 2012-08-09 2013-08-14 김수현 멀티미디어용 복합 케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9770B1 (ko) 202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7723B2 (en) Floor-mounted domestic appliance
US20030062858A1 (en) Multi-joint type industrial robot and arm unit thereof
CN103682898B (zh) 具有便于主机设备和附件之间通信的数据结构的连接器
US9559470B2 (en) Power extension wire
CN104303250A (zh) 具有集成功率传感器的继电器
US20100122841A1 (en)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of electronic appliance
KR102609770B1 (ko) 가전제품용 외부커넥터
CA2822335C (en) Motor controller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plural types of interfaces
CN111198338A (zh) 插接件插针序号识别方法、系统及主机、从机
CN103809467A (zh) 智能连接器
US9343861B2 (en) Communication module adaptor
CN114116570B (zh) 电子装置控制系统与电子装置控制方法
CN210576862U (zh) 连接器固定结构、显示面板及家用电器
CN113659887A (zh) 一种多模块化电路板及其连接方法
US8675331B2 (en) Electronic gaming machine interface system
KR101858388B1 (ko) 상하좌우 구부릴 수 있는 전기 어댑터
CN203964389U (zh) 新型热水器
CN216622523U (zh) 一种第一tp测试工具和tp测试装置
CN114687083B (zh) 分时处理系统
CN214480161U (zh) 基于PoE的集成式电机
CN203869266U (zh) 新型空调
US11636060B2 (en) USB connector device
CN212846475U (zh) 一种可编程控制器编程通信接口装置
CN219371417U (zh) 一体化插线头
CN112601038A (zh) 一种具备交流转输出接口的电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