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1854A - 히터 패널 장치 - Google Patents

히터 패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1854A
KR20200111854A KR1020190031202A KR20190031202A KR20200111854A KR 20200111854 A KR20200111854 A KR 20200111854A KR 1020190031202 A KR1020190031202 A KR 1020190031202A KR 20190031202 A KR20190031202 A KR 20190031202A KR 20200111854 A KR20200111854 A KR 20200111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 medium
pipe
hollow pip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0048B1 (ko
Inventor
박병용
Original Assignee
박병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용 filed Critical 박병용
Priority to KR1020190031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048B1/ko
Publication of KR20200111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24D13/024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in walls, floors, cei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233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the conduits having a particular shape, e.g. non-circular cross-section, annu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7Heat pip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관 형상의 중앙관부와, 상기 중앙관부의 상부에서 양측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 측면 연장부와, 상기 중공관의 내측에 형성된 제1열매체 및 상기 제1열매체를 발열시키도록 형성되는 제1전기 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기 히터에 의해 제1열매체가 발열되어 중앙관부가 가열되면, 상기 상부 측면 연장부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패널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히터 패널 장치{Heater panel device}
본 발명은 히터 패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세히 설명하면 난방 장치에 사용되는 히터 패널의 열전달 구조를 향상시킨 히터 패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독 주택, 아파트 및 빌딩 등의 바닥에 사용되는 난방 장치는 바닥 하부에 난방 파이프를 시공하고, 상기 난방 파이프로 온수를 전달하는 보일러 형태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상기 난방 파이프 대신 전기 히터를 이용한 난방 패널형 난방 장치도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전기 히터를 이용한 경우에는 원통형 난방 패널에 중공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부에 열매체를 주입하며, 상기 열매체를 가열하는 전기 히터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난방 패널의 형태는 난방 파이프와 같이 원통형 관으로 형성되어 상부로 전달되는 열전달 속도가 원통형 관의 수직 상부가 가장 빠르고, 측면으로 갈수록 늦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6-0044130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부로 열전달이 신속하고 균일하게 진행되는 구조를 갖는 히터 패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중공관 형상의 중앙관부와, 상기 중앙관부의 상부에서 양측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 측면 연장부와, 상기 중공관의 내측에 형성된 제1열매체 및 상기 제1열매체를 발열시키도록 형성되는 제1전기 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기 히터에 의해 제1열매체가 발열되어 중앙관부가 가열되면, 상기 상부 측면 연장부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패널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상부 측면 연장부에는 일측 단열판과 타측 단열판이 각각 이격 형성되어 중앙관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전달받아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측면 연장부에 일측 중공관와 타측 중공관이 형성되며, 상기 일측 중공관과 타측 중공관의 내부에는 제1-1열매체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측면 연장부에서 상기 중앙관부의 양측으로 일측 보조 중공관부와 타측 보조 중공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측면 연장부에 이격 형성된 일측 단열판과 타측 단열판 사이가 연결되어 하나의 상부 단열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측면 연장부에는 상기 일측 중공관과 타측 중공관 사이가 연결된 상부 중공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보조 중공관부와 타측 보조 중공관부에는 각각 제1-3열매체가 유입되어 있고, 상기 제1-3열매체에는 제1-3전기 히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상부 측면 연장부의 끝단을 하방으로 절곡한 연장 절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부가 하부보다 넓게 형성된 제1역삼각형 관부와, 상기 제1역삼각형 관부 내부에 유입된 제1-4열매체 및 상기 제1-4열매체를 가열하는 제1-4전기 히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패널 장치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게 형성된 티자형 관부와, 상기 티자형 관부의 하부에 유입된 제1-5열매체 및 상기 제1-5열매체를 가열하는 제1-5전기 히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패널 장치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으며,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면이 형성된 상기 제2역삼각형 관부와, 상기 제2역삼각형 관부의 내측에 중심부와 경사면 사이의 공간을 점유하도록 형성되는 내측 공간 점유부와, 상기 제2역삼각형 관부의 하부에 유입된 제1-6열매체 및 상기 제1-6열매체를 가열하는 제1-6전기 히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패널 장치도 제공한다.
상기 내측 공간 점유부는 방사형으로 공간을 점유하는 방사형 공간 점유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폭에 비해 높이가 작은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하되, 하면의 형상은 중심부가 가장 낮게 되도록 형성된 하부 중심 수렴형 관부와, 상기 하부 중심 수렴형 관부의 하면 중심으로 유입된 제1-8열매체 및 상기 제1-8열매체를 가열하는 제1-8전기 히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패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중앙관부로부터 발생된 열이 수직 상부로 전달되어 상부 측면 연장부에 형성된 일측 단열판과 타측 단열판에 전달되며, 상기 일측 단열판과 타측 단열판은 전달된 열을 상방으로 균일하게 전달하는 작용을 하여 열전달 속도가 균일하게 진행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중앙관부에서 전달되는 열이 일측 중공관과 타측 중공관에 의하여 고르게 상부로 전달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히터 패널 장치의 제1실시예가 설치된 마루바닥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부분 절개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2의 (b)는 도 2의 (a)에 대한 제1-1변형례이다.
도 3의 (a)는 도 2의 (a)에 대한 제1-2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3의 (b)는 도 2의 (b)에 대한 제1-3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도 2의 (a)에 대한 제1-4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에 대한 개략 일부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5의 (b)는 도 5의 (a)에 대한 제2-1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에 대한 제2-2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의 (a)는 도 5의 (a)에 대한 제2-3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7의 (b)는 도 5의 (a)에 대한 제2-4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히터 패널 장치의 제1실시예가 설치된 마루바닥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부분 절개사시도이고, 도 2의 (a)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2의 (b)는 도 2의 (a)에 대한 제1-1변형례이다.
본 발명인 히터 패널 장치(100)의 제1실시예는 마루바닥(300) 등의 하부에 형성된 히터 패널(110)의 형상이 상부로 전달되는 열이 최대한 고르고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즉, 상기 히터 패널(110)은 중공관 형상의 중앙관부(130)와, 상기 중앙관부(130)의 상부에서 양측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 측면 연장부(150) 및 상기 상부 측면 연장부(150)의 끝단을 하방으로 절곡한 연장 절곡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관부(130)는 긴 관 형상이며, 단면이 중공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공관의 내측에 제1열매체(190)가 액체 상태로 유입되어 있으며, 상기 제1열매체(190)가 액체 상태로 있는 경우에 상기 제1열매체(190)에는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발열이 되는 제1전기 히터(210)가 위치된다.
상기 제1전기 히터(210)는 전기가 통하면 발열이 되는 니크롬선 등의 발열체가 사용된다.
상기 제1열매체(190)는 증류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측면 연장부(150)에는 일측 단열판(152)과 타측 단열판(154)이 각각 이격 형성되어 중앙관부(130)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전달받아서 배출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난방장치를 가동시키면 설정온도까지 실내 온도가 상승하도록 상기 제1전기 히터(210)가 제1열매체(190)를 가열하며, 제1열매체(190)가 가열되어 상기 중앙관부(130) 전체가 기체로 승화된 제1열매체(190)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다.
상기 중앙관부(130)로부터 발생된 열이 수직 상부로 전달되어 상부 측면 연장부(150)에 형성된 일측 단열판(152)과 타측 단열판(154)에 전달되며, 상기 일측 단열판(152)과 타측 단열판(154)은 전달된 열을 상방으로 균일하게 전달하는 작용을 하여 열전달 속도가 균일하게 진행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상기 연장 절곡부(170)는 상부 측면 연장부(150)의 끝단에 전달되는 열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게되고, 연장 절곡부(170)에서 주위로 전달되는 열에 의하여 용이하게 온도가 감소되는 부분이라 연장 절곡부(170)의 형상에 의해 열을 포함하는 면적을 증가시켜 열이 유지되는 시간을 증가시키고, 주위에 전달되는 열에 의해서 온도가 용이하게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도 2의 (b)는 도 2의 (a)에 대한 제1-1변형례로서 도 2의 (a)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1변형례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 상부 측면 연장부(150)에 이격 형성된 일측 단열판(152)과 타측 단열판(154) 사이가 연결되어 하나의 상부 단열판(156)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 단열판(156)은 중앙관부(130)의 상부에도 단열판이 형성된 형태이며, 도 2의 (a)에 형성된 일측 단열판(152)과 타측 단열판(154)에 비하여 단열판의 전체 면적이 증가하여 재료비가 증가하나 중앙관부(130)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하나의 상부 단열판(156)에서 고르게 전달받아 상방으로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3의 (a)는 도 2의 (a)에 대한 제1-2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3의 (b)는 도 2의 (b)에 대한 제1-3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2변형례는 도 3의 (a)와 같으며, 도 2의 (a)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상부 측면 연장부(150)에 일측 중공관(252)와 타측 중공관(254)이 형성되며, 상기 일측 중공관(252)과 타측 중공관(254)은 중앙관부(13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일측 중공관(252)와 타측 중공관(254)은 각각 수직 높이가 작고 수평 넓이는 크게 형성된 납작한 관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일측 중공관(252)과 타측 중공관(254)의 내부에는 제1-1열매체(190-1)가 유입되어 있고, 상기 중앙관부(130)에서 전달되는 열에 의하여 상기 제1-1열매체(190-1)가 액체에서 기체로 승화되어 일측 중공관(252)과 타측 중공관(254)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본 발명은 제1-2변형례를 통하여 중앙관부(130)에서 전달되는 열이 일측 중공관(252)과 타측 중공관(254)에 의하여 고르게 상부로 전달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제1-3변형례는 도 3의 (b)와 같으며, 제1-2변형례인 도 3의 (a)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3변형례는 상기 일측 중공관(252)과 타측 중공관(254) 사이가 연결된 상부 중공관(256)이 형성된 형태이다.
상기 상부 중공관(256)의 형태는 중앙관부(130)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중공관(256)은 수직 높이가 작고 수평 넓이는 크게 형성된 납작한 관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 중공관(256)에는 제1-2열매체(190-2)가 유입되어 있고, 상기 중앙관부(130)에서 전달되는 열에 의해 제1-2열매체(190-2)가 액체에서 기체로 승화되어 상부 중공관(256)을 가열하고 상방으로 균일한 열을 전달한다.
상부 중공관(256)은 일측 중공관(252)과 타측 중공관(254)에 유입된 제1-1열매체(190-1) 양에 비하여 많은 제1-2열매체(190-2) 양이 필요할 수도 있으나, 중앙관부(130)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신속하게 전달받아 제1-2열매체(190-2)가 상부 중공관(256)을 가열할 수 있어서 열효율이 더 상승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의 (a)는 도 2의 (a)에 대한 제1-4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에 대한 개략 일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4변형례는 도 2의 (a)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4변형례는 중앙관부(130)의 상부에 상부 측면 연장부(150)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측면 연장부(150)에서 상기 중앙관부(130)의 양측으로 보조 중공관부(352, 354)를 형성하는 형태이다.
즉, 상기 상부 측면 연장부(150)에는 상기 중앙관부(130)의 일측으로 일측 보조 중공관부(352)가 형성되고, 중앙관부(130)의 타측으로 타측 보조 중공관부(354)가 형성된다.
상기 일측 보조 중공관부(352)와 타측 보조 중공관부(354)는 각각 중앙관부(130)와 평행하게 중앙관부(130)의 길이 방향으로 병렬로 형성된다.
상기 일측 보조 중공관부(352)와 타측 보조 중공관부(354)에는 각각 제1-3열매체(190-3)가 유입되어 있고, 상기 제1-3열매체(190-3)에는 제1-3전기 히터(310-3)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4변형례는 중앙관부(130)에 형성된 제1열매체(190) 및 제1전기 히터(210)와 별개로 일측 보조 중공관부(352)와 타측 보조 중공관부(354)에도 각각 제1-3열매체(190-3)와 제1-3전기 히터(310-3)가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3곳에서 모두 가열작용이 진행되어 신속한 열전달이 가능한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5의 (b)는 도 5의 (a)에 대한 제2-1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도 5의 (a)와 같으며, 도 2 내지 도 4와 차이점은 상부 측면 연장부(150)가 중앙관부(130) 상부에 형성되는 구조가 아니고, 중앙관부(130)의 상부 자체 구조가 양측면으로 확장된 제1역삼각형 관부(450) 형태라는 점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도 5의 (a)와 같이 히터 패널(110) 형상이 상부가 하부보다 넓게 형성된 제1역삼각형 관부(450)로 형성되며, 상기 제1역삼각형 관부(450)는 개략적으로 역삼각형 형상이다.
상기 제1역삼각형 관부(450)는 내부에 제1-4열매체(190-4)가 유입되고, 상기 제1-4열매체(190-4)를 가열하는 제1-4전기 히터(210-4)가 형성된다.
상기 제1역삼각형 관부(450)의 특징은 상부로의 열전달이 단열판이나 별도의 보조 중공관부를 통하지 않고 직접 제1역삼각형 관부(450)에 형성된 제1-4열매체(190-4)의 가열에 의하여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즉, 상기 제1-4열매체(190-4)가 제1-4전기 히터(210-4)에 의해 가열되면 기체로 승화되면서 제1역삼각형 관부(450)의 전체에 열을 전달함으로써 상부에 넓은 면적으로 고르게 열전달이 진행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1역삼각형 관부(450) 형상이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면(452)이 형성된 형태이며, 상기 경사면(452)에 인접한 공간은 제1-4열매체(190-4)에 의해 가열되더라도 상부로의 열전달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5의 (b)는 도 5의 (a)에 대한 제2-1변형례로서 도 5의 (a)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1변형례는 상부폭(a)은 넓고 하부폭(b)은 좁은 티자(T)형 관부(470)로 형성된다.
상기 티자형 관부(470)의 하부에는 제1-5열매체(190-5)가 유입되고, 상기 제1-5열매체(190-5)를 가열하는 제1-5전기 히터(210-5)가 형성된다.
상기 제1-5전기 히터(210-5)를 통하여 제1-5열매체(190-5)를 가열하면 제1-5열매체(190-5)가 티자형 관부(470)의 상부로 이동되면서 상부를 고르게 가열한다.
본 발명의 제2-1변형례는 티자형 관부(470) 상부에서 하부로 연결되는 부분이 유선형으로 만곡면(472)으로 형성되며, 상부에 비하여 하부는 매주 좁은 홈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제2-1변형례를 통하여 제1-5열매체(190-5)가 하부에서 상부로 전달될 때 불필요한 공간을 가열하여 열을 소비함이 없이 최소한의 통로를 통하여 상부로 전달될 수 있어 열전달이 효과적으로 진행된다.
도 6은 도 5의 (a)에 대한 제2-2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에 대한 제2-2변형례로서 도 5의 (a) 및 도 5의 (b)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도 5의 (a)에서 제1역삼각형 관부(450)의 형상은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면(552)이 형성된 형태이며, 상기 경사면(552)에 인접한 공간은 제1열매체(190)에 의해 가열되더라도 상부로의 열전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도 5의 (b)와 같은 제2-1변형례는 티자형 관부(470)로 형성되어 하부에서 전달되는 제1열매체(190)의 열이 상부의 중앙으로 전달된 후에 양측으로 이동되면서 열을 전달하게 되어 상부 양측으로의 열전달이 상부 중앙으로의 열전달에 비하여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위와 같은 제2실시예와 제2-1변형례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2-2변형례는 히터 패널(110)의 형상이 제2역삼각형 관부(550)로 형성되고, 상기 제2역삼각형 관부(550)의 내측에는 중심부와 경사면(552) 사이의 공간을 점유하는 내측 공간 점유부(554)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공간 점유부(554)를 고정하기 위한 점유부 고정부재(556)가 형성된다.
상기 제2역삼각형 관부(550)의 하부에는 제1-6열매체(190-6)가 유입되고, 상기 제1-6열매체(190-6)를 가열하는 제1-6전기 히터(210-6)가 형성된다.
상기 제1-6전기 히터(210-6)가 제1-6열매체(190-6)를 가열하면 제1-6열매체(190-6)는 액체에서 기체로 승화되면서 상부로 이동되어 상부면을 가열한다.
제1-6열매체(190-6)가 상부로 이동할 때 상기 내측 공간 점유부(554)가 점유한 공간에는 제1-6열매체(190-6)가 전달되지 않아서 결과적으로 제1-6열매체(190-6)가 가열하는 공간은 상부 공간에 집중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내측 공간 점유부(554)가 제2역삼각형 관부(550)의 중앙과 경사면(552)에는 통로를 형성하고 있어서, 상기 제1-6열매체(190-6)는 상부로 이동시에 상부의 중앙으로만 이동되지 않고, 상부의 양측으로도 이동된다.
결과적으로 제2역삼각형 관부(550)의 상부는 제1-6열매체(190-6)에 의하여 거의 동시에 중앙부와 양측부가 가열되어 전체적으로 가열되는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7의 (a)는 도 5의 (a)에 대한 제2-3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7의 (b)는 도 5의 (a)에 대한 제2-4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3변형례는 상기 제2-2변형례와 유사한 형태이며, 제2-2변형례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3변형례인 히터 패널(110) 형상은 제3역삼각형 관부(650)로 형성된다.
상기 제3역삼각형 관부(650)는 제2역삼각형 관부(550)에 비하여 상부의 공간 높이가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어 상부의 공간을 가열하는 제1-7열매체(190-7)에 의해 상부에 가열층이 일정 높이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제1-7열매체(190-7)에는 제1-7열매체(190-7)를 가열하는 전기 히터(210-7)가 형성된다.
또한, 제3역삼각형 관부(650)에는 방사형 공간 점유부(652)가 형성되어 하부에서 가열된 제1-7열매체(190-7)가 상부로 이동되는 경로를 방사형으로 형성한다.
이를 통하여 제1-7열매체(190-7)가 상부로 이동하는 경로를 다양하게 형성하여 상부에 도달되는 제1-7열매체(190-7)가 고르게 도달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상기 제3역삼각형 관부(650)에는 방사형 공간 점유부(652)를 지지하는 방사형 지지부재(654)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제2-3변형례를 통하여 제1-7열매체(190-7)가 상부에 고르게 동시에 도달되고, 상부에 도달된 제1-7열매체(190-7) 기체가 상부에서 일정 두께의 가열층을 형성하여 상부로의 열전달이 지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제2-4변형례는 도 7의 (b)와 같이 히터 패널(110)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폭에 비해 높이가 작은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하되, 하면의 형상은 중심부가 가장 낮게 되도록 형성된 하부 중심 수렴형 관부(750)로 형성한다.
상기 하부 중심 수렴형 관부(750)는 하면 중심으로 제1-8열매체(190-8)가 유입되고, 상기 제1-8열매체(190-8)를 가열하는 제1-8전기 히터(210-8)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 중심 수렴형 관부(750)는 하부에서 상부로 제1-8열매체(190-8)가 전달되는 경로를 구비하거나, 상기 전달되는 경로에 방사형 공간 점유부(652)를 구비하는 것을 생략하고 하부와 상부 사이의 거리를 극소화하는 구조이다.
이를 통하여 하부에서 가열된 제1-8열매체(190-8)가 바로 상부로 전달되어 상부의 일정 높이의 가열층을 형성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 히터 패널 장치 110: 히터 패널
130: 중앙관부 150: 상부 측면 연장부
152: 일측 단열판 154: 타측 단열판
156: 상부 단열판 170: 연장 절곡부
190: 열매체 210: 전기 히터
252: 일측 중공관 254: 타측 중공관
310-3: 제1-3전기 히터 352: 일측 보조 중공관부
354: 타측 보조 중공관부 390-3: 제1-3열매체
450: 제1역삼각형 관부 470: 티자형 관부
550: 제2역삼각형 관부 552: 경사면
554: 내측 공간 점유부 556: 점유부 고정부재

Claims (6)

  1. 중공관 형상의 중앙관부와,
    상기 중앙관부의 상부에서 양측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 측면 연장부와,
    상기 중공관의 내측에 형성된 제1열매체 및
    상기 제1열매체를 발열시키도록 형성되는 제1전기 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기 히터에 의해 제1열매체가 발열되어 중앙관부가 가열되면, 상기 상부 측면 연장부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패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측면 연장부에는 일측 단열판과 타측 단열판이 각각 이격 형성되어 중앙관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전달받아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패널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측면 연장부에 일측 중공관와 타측 중공관이 형성되며,
    상기 일측 중공관과 타측 중공관의 내부에는 제1-1열매체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패널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 측면 연장부에 이격 형성된 일측 단열판과 타측 단열판 사이가 연결되어 하나의 상부 단열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패널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 측면 연장부에는 상기 일측 중공관과 타측 중공관 사이가 연결된 상부 중공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패널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측면 연장부의 끝단을 하방으로 절곡한 연장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패널 장치.
KR1020190031202A 2019-03-19 2019-03-19 히터 패널 장치 KR102300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202A KR102300048B1 (ko) 2019-03-19 2019-03-19 히터 패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202A KR102300048B1 (ko) 2019-03-19 2019-03-19 히터 패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854A true KR20200111854A (ko) 2020-10-05
KR102300048B1 KR102300048B1 (ko) 2021-09-09

Family

ID=72809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202A KR102300048B1 (ko) 2019-03-19 2019-03-19 히터 패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04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3219A (ko) * 2008-04-25 2009-10-29 최영길 히트 파이프
KR20100097258A (ko) * 2009-02-26 2010-09-03 이병호 친환경 진공히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난방장치
KR101558333B1 (ko) * 2015-02-16 2015-10-12 정춘식 평판형 히트파이프
KR101578905B1 (ko) * 2014-08-20 2015-12-18 양철훈 히트파이프를 구비하는 난방패널
KR20160044130A (ko) 2014-10-14 2016-04-25 주식회사 삼광글로벌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온풍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3219A (ko) * 2008-04-25 2009-10-29 최영길 히트 파이프
KR20100097258A (ko) * 2009-02-26 2010-09-03 이병호 친환경 진공히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난방장치
KR101578905B1 (ko) * 2014-08-20 2015-12-18 양철훈 히트파이프를 구비하는 난방패널
KR20160044130A (ko) 2014-10-14 2016-04-25 주식회사 삼광글로벌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온풍기
KR101558333B1 (ko) * 2015-02-16 2015-10-12 정춘식 평판형 히트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048B1 (ko) 2021-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61266A (zh) 热交换单元和方法
KR100813807B1 (ko) 콘덴싱보일러의 열교환기 구조
KR101373319B1 (ko) 이동가능한 조립식 구들장
KR20110127450A (ko) 태양열 온수기용 집열장치
KR20200111854A (ko) 히터 패널 장치
KR100827469B1 (ko) 고주파유도가열방식의 전기온풍기
KR20150028468A (ko) 전기 순간온수기용 가열장치
KR101168836B1 (ko) 에너지 절약형 온수 난방바닥
CN210463583U (zh) 一种烟气回收循环锅炉
US2286677A (en) Water heater
CN101625138B (zh) 一种盘式电热取暖器
JP2021009003A (ja) 近赤外加温装置
KR200284723Y1 (ko) 가정용 가스보일러의 열교환기
KR20100097258A (ko) 친환경 진공히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난방장치
CN201488097U (zh) 一种碳纤维取暖器
US20130098353A1 (en) Solar water heating system with double-row vacuum tubes
JP7323145B1 (ja) 過熱蒸気を用いた温水ボイラ装置
KR100802261B1 (ko) 태양열 난방 및 급탕용 축열조
JP2021513725A (ja) エアヒータ
CN209196810U (zh) 一种蒸汽锅炉
KR102190405B1 (ko) 대류식 난방장치
US1805222A (en) Water heater
KR200353325Y1 (ko) 이중관식 히트파이프 난방유니트
KR100413076B1 (ko) 잠열회수 콘덴싱 가스보일러
KR200374223Y1 (ko) 열전도 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