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1651A -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1651A
KR20200111651A KR1020200102377A KR20200102377A KR20200111651A KR 20200111651 A KR20200111651 A KR 20200111651A KR 1020200102377 A KR1020200102377 A KR 1020200102377A KR 20200102377 A KR20200102377 A KR 20200102377A KR 20200111651 A KR20200111651 A KR 20200111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housing
air conditioner
case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3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79938B1 (en
Inventor
김학재
이은순
윤형욱
이태연
도승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3142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31059B1/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2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938B1/en
Publication of KR20200111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6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9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a fan motor while minimizing the number of parts.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filter; a dust box module having a dust collecting space in which dust separated from the filter is accommodated; and a suc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dust collection space and sucks and exhausts air from the dust collection space. The suction unit includes: a suction housing with an opening on one side, a fan motor accommodation space inside, and an exhaust hole on the other side; and a fan motor housed in the fan motor accommodation space and combined with the suction housing. The fan motor includes a motor in which a rotor and a stator are accommodated in a motor housing and a rotating shaft is connected to the rotor; an impeller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and an impeller housing surrounding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impeller; a first vibration isolat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impeller housing and the opening and having an inlet flow path for guiding air to the impeller therein; and a second vibration isolat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housing and the motor.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를 청소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cleaning a filter.

공기 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기기이다. An air conditioner is a device for maintaining the indoor air in the most suitable state according to its use and purpose.

공기 조화기는 설치위치에 따라, 직립형, 벽걸이 형 또는 천장형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직립형 실내기는 실내공간에 세워지도록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 조화기이며, 상기 벽걸이형 실내기는 벽면에 부착되도록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 조화기로서 이해된다. 그리고, 상기 천장형 타입의 실내기는 천장에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 조화기로서 이해된다.The air conditioner can be classified into an upright type, a wall-mounted type, or a ceiling type,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The upright indoor unit is a type of air conditioner installed to be erected in an indoor space, and the wall-mounted indoor unit is understood as a type of air conditioner installed to be attached to a wall surface. In addition, the ceiling type indoor unit is understood as a type air conditioner installed on the ceiling.

공기 조화기는 소정 공간을 냉방시키는 냉방기와, 소정 공간을 난방시키는 난방기와, 소정 공간을 냉방시키거나 난방시키는 냉난방기와, 소정 공간 내 공기를 청정시키는 청정기 등일 수 있고,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기능은 공기조화기 내부에 설치된 공조유닛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may be an air conditioner that cools a predetermined space, a heater that heats a predetermined space, an air conditioner that cools or heats a predetermined space, and a purifier that purifies the air in a predetermined space. The function of the air conditioner is air I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air condition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conditioner.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가 포함할 수 있고,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수행하는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어, 상기 소정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device, and an evaporator, and a refrigeration cycle for compressing, condensing, expanding and evaporating the refrigerant is driven to cool or heat the predetermined space.

공기조화기는 전기 히터를 포함할 수 있고, 전기 히터로 전류가 인가되어, 상기 소정공간을 난방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n electric heater, and current is applied to the electric heater to heat the predetermined space.

공기조화기는 필터 유닛 등의 청정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소정공간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 cleaning unit such as a filter unit, and may purify the air in the predetermined space.

공기조화기는 공기 중의 먼지가 걸러지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고, 필터에서 분리된 먼지가 집진되는 집진 통과, 필터의 먼지를 공기와 함께 집진 통으로 흡입되게 하는 흡입력 발생기구를 포함할 수 있고, 필터는 공기조화기 외부로 인출되지 않고, 공기조화기에 배치된 상태에서 청소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 filter through which dust in the air is filtered, and a dust collecting passage through which dust separated from the filter is collected, and a suction force generating mechanism that allows dust from the filter to be sucked in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together with air, the filter It is not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air conditioner, and can be cleaned while being placed in the air conditioner.

상기와 같은 필터 및 집진 통 및 흡입력 발생유닛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일 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392322 B1(2014년04월29일 공고)에 개시되어 있고,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필터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집진 통으로 송출하는 흡입력 발생기구를 포함하고, 흡입력 발생기구는 이물질과 공기를 흡입하여 집진 통으로 토출하는 청소 송풍기를 포함한다. An example of an air conditioner having such a filter, a dust collecting container, and a suction force generating unit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10-1392322 B1 (announced on April 29, 2014), and such an air conditioner removes foreign matter from the filter. It includes a suction force generating mechanism for suctioning and sending it to the dust collecting box, and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mechanism includes a cleaning blower that sucks foreign substances and air and discharges it to the dust collecting box.

이러한 청소 송풍기는 새시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된 청소 팬모터와, 상기 청소 팬모터에 연결된 청소 팬과, 상기 청소 팬모터와 결합된 청소 팬 하우징을 포함하고, 집진 통은 청소 송풍기의 토출부가 삽입되는 흡입 플랜지부가 사각 덕트 형상으로 형성된다.Such a cleaning blower includes a cleaning fan motor fastened with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to the chassis, a cleaning fan connected to the cleaning fan motor, and a cleaning fan housing combined with the cleaning fan motor, and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discharges the cleaning blower. The suction flange portion to be inserted is formed in a square duct shape.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청소 팬 모터의 진동이 청소 팬 하우징 및 집진 통으로 전달될 수 있고, 공기 및 먼지가 청소 팬 하우징과 집진 통 사이의 틈을 통해 유출될 수 있어 청소 송풍기의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vibration of the cleaning fan motor may be transmitted to the cleaning fan housing and the dust collecting bin, and air and dust may leak through the gap between the cleaning fan housing and the dust collecting bin, so that the efficiency of the cleaning blower is low. There is thi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392322 B1(2014년04월29일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1392322 B1 (announced on April 29, 2014)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팬 모터의 진동이 더스트 박스 모듈이나 석션 하우징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minimizing transmission of vibrations of a fan motor to a dust box module or a suction housing with a simple structur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수를 최소화하면서 팬 모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a fan motor while minimizing the number of part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필터와; 상기 필터에서 분리된 먼지가 수용되는 집진 공간이 형성된 더스트 박스 모듈과; 상기 집진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집진 공간의 공기를 흡인하여 배기하는 석션 유닛을 포함한다.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er; A dust box module having a dust collecting space for receiving the dust separated from the filter; And a suc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dust collection space and sucks and exhausts air in the dust collection space.

상기 석션 유닛은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팬 모터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타측에 배기공이 형성된 석션 하우징과; 상기 팬 모터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셕션 하우징과 결합된 팬 모터를 포함한다. The suction unit includes: a suction housing having an opening formed at one side, a fan motor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and an exhaust hole formed at the other side; And a fan motor accommodated in the fan motor accommodating space and coupled to the section housing.

상기 팬 모터는 모터 하우징 내부에 로터 및 스테이터가 수용되고 상기 로터에 회전축이 연결된 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된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의 외둘레를 둘러싸는 임펠러 하우징을 포함한다.The fan motor includes a motor in which a rotor and a stator are accommodated in a motor housing and a rotation shaft is connected to the rotor; An impeller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It includes an impeller housing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mpeller.

상기 팬 모터는 상기 임펠러 하우징과 상기 개구부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 공기를 상기 임펠러로 안내하는 인렛 유로가 형성된 제1방진부재를 포함한다. The fan motor includes a first vibration-isolat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impeller housing and the opening and having an inlet flow path therein to guide air to the impeller.

상기 임펠러 하우징의 진동은 상기 제1방진부재에 의해 흡수될 수 있고, 상기 석션 하우징이나 더스트 박스 모듈로 전달되는 진동은 최소화될 수 있다. Vibration of the impeller housing may be absorbed by the first vibration isolating member, and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suction housing or the dust box module may be minimized.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과 임펠러 하우징 사이가 상기 제1방진부재에 의해 실링될 수 있어, 상기 제1방진부재 외둘레 외측 공기가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과 임펠러 하우징의 사이를 통해 상기 임펠러 하우징으로 흡입되는 것이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팬 모터의 흡입 효율이 높다.It is possible to seal between the dust box module and the impeller housing by the first vibration isolating member, minimizing that air outside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vibration isolating member is sucked into the impeller hous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dust box module and the impeller housing. And the suction efficiency of the fan motor is high.

상기 제1방진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주변을 감싸면서 상기 개구부에 끼워지는 제1끼움부와, 상기 임펠러 하우징에 끼워지는 제2끼움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anti-vibration member may include a first fitting portion fitted into the opening while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and a second fitting portion fitted into the impeller housing.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에는 공기가 상기 집진 공간에서 유출되기 위해 통과하는 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방진부재는 상기 출구부의 주변과 접촉되는 접촉단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ust box module may be provided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air passes through the dust collecting space. The first vibration isolating member may include a contact end contacting the periphery of the outlet.

상기 팬 모터는 상기 석션 하우징과 상기 모터 사이에 배치된 제2방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an moto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vibration isolat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housing and the motor.

상기 팬 모터의 모터가 상기 석션 하우징과 직접 접촉되지 않고, 상기 모터의 진동은 상기 제2방진부재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The motor of the fan motor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suction housing, and vibration of the motor may be absorbed by the second vibration isolating member.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필터가 수용되는 필터 공간과,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이 수용되는 더스트 박스 모듈 공간이 형성된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 케이스가 수용되는 수용 바디가 형성되며 내부에 이너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이너 공간에 수용된 송풍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filter case having a filter space in which the filter is accommodated and a dust box module space in which the dust box module is accommodated; A case having a receiving body accommodating the filter case and having an inner space therein; It may further include a blowing fan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상기 수용 바디에는 상기 제1방진부재의 일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A through hole in which a part of the first vibration isolating member is inserted and received may be formed in the receiving body.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집진 공간이 상기 인렛 유로과 연통되는 위치로 상기 필터 케이스을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 moving mechanism for moving the filter case to a position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space communicates with the inlet flow path.

상기 석션 하우징은 상기 수용 바디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uction housing may be disposed under the receiving body.

상기 석션 하우징은 상기 이너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석션 하우징에는 상기 케이스에 체결되는 케이스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suction housing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The suction housing may be provided with a case fastening part fastened to the case.

상기 석션 하우징은 상부에 상기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고, 하부에 상기 배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The suction housing may have the opening formed at an upper portion and the exhaust hole formed at the lower portion.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모터에 연결된 전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셕션 하우징은 상기 배기공 주변에 상기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 wire connected to the motor. In the section housing, a wire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wire passes may be formed around the exhaust hole.

상기 셕션 하우징은 하판에 상기 제2방진부재가 수용되는 중공 바디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기공은 상기 중공 바디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The section housing may have a hollow body in which the second vibration isolating member is accommodated on a lower plate. The exhaust hole may be formed around the hollow body.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방진부재가 진동을 흡수하는 기능과 집진 공간의 공기를 임펠러로 안내하는 기능을 겸하므로, 방진을 위한 방진부재와, 공기를 안내하는 에어 가이드가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되고 각각 별도로 장착되는 경우 보다 부품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며, 컴팩트화가 가능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vibration isolating member has a function of absorbing vibration and a function of guiding air in the dust collecting space to the impeller, the vibration isolating member for vibration isolating and the air guide for guiding air are separate parts. The number of parts can be minimized, the structure is simple, and compactness is possible than when it is composed of and mounted separately.

또한, 팬 모터의 흔들림이 크더라도, 임페러 하우징 및 모터가 석션 하우징과 접촉되지 않고, 제1방진부재와 제2방진부재가 외부로 유출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the fan motor shakes large, the impeller housing and the motor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suction housing, and noise from the first and second vibration isolating members to the outside can be minimized.

또한, 임펠러 하우징 및 모터 각각이 석션 하우징과 직접 접촉되지 않고, 제1방진부재 및 제2방진부재를 통해 상기 석션 하우징과 연결되므로, 상기 임페러 하우징이나 모터에서 석션 하우징으로 전달되는 진동은 최소화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each of the impeller housing and the motor is not in direct contact with the suction housing, and is connected to the suction housing through the first vibration isolating member and the second vibration isolating member,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impeller housing or motor to the suction housing is minimized. I ca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벽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스 및 전면 패널이 샤시에서 분리되었을 때의 공기조화기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저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면 패널이 제1위치일 때의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전면 패널이 제2위치일 때의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전면 패널이 제3위치일 때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평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A-A'선 단면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B-B'선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내부가 도시된 저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 및 이동기구가 도시된 도,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필터 어셈블리가 전방으로 인출되었을 때의 평면도,
도 14는 도 8에 도시된 필터 어셈블리가 전방으로 인출되었을 때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케이스에서 더스트 박스 모듈이 분리되었을 때의 저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 필터의 저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가 석션 유닛과 접속되었을 때의 확대 단면도,
도 20은 도 8에 도시된 C-C'선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 필터가 청소되지 않을 때의 프리 필터와 롤러와 브러시가 도시된 확대 단면도,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프리 필터가 청소될 때의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션 유닛의 사시도,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석션 유닛에 더스트 박스 모듈이 접속되었을 때의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션 유닛의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션 유닛의 저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션 유닛이 케이스에 체결되었을 때의 배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방진부재 및 수용 바디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air conditioner installed on a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onditioner when the case and the front panel shown in FIG. 1 are separated from the chassis;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ottom view of a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front panel shown in FIG. 1 is in a first posi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panel shown in FIG. 1 in a second posi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panel shown in FIG. 1 in a third position;
8 is a plan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shown in FIG. 8;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shown in FIG. 8;
11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dielectric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filter assembly and a mov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lan view when the filter assembly shown in FIG. 8 is drawn forward;
14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filter assembly shown in FIG. 8 is pulled forward;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bottom view when the dust box module is separated from the filter ca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bottom view of a pre-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nnected to a suction unit;
2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shown in FIG. 8;
2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e-filter, rollers, and brushes when the pre-filter is not clea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pre-filter shown in FIG. 21 is cleaned;
2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perspective view when a dust box module is connected to the suction unit shown in FIG. 23;
2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bottom view of a su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7 is a rear view when a su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to a case;
28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first vibration isolating member and a receivin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ogether with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벽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은 도 1에 도시된 케이스 및 전면 패널이 샤시에서 분리되었을 때의 공기조화기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저면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n air conditioner installed on a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onditioner when the case and front panel shown in FIG. 1 are separated from the chassis, and FIG. 3 is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bottom view of a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는 벽(W)에 설치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of this embodiment may be installed on the wall (W).

상기 공기 조화기는 내부에 이너 공간(S1)이 형성된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본체(10)에는 흡입부 및 토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송풍팬(40) 및 공조 유닛이 수용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 body 10 having an inner space S1 formed therein. The main body 10 may form the exterior of an air conditioner, and the main body 10 may have a suction part and a discharge part. In addition, a blowing fan 40 and an air conditioning unit may be accommodated in the body 10.

상기 송풍팬(40)의 회전시, 상기 본체(10) 외부의 공기는 흡입부를 통해 이너 공간(S1)으로 흡입될 수 있고, 상기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공조유닛에 의해 공조된 후, 상기 토출부를 통해 상기 본체(10)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When the blowing fan 40 rotates, air outside the main body 10 can be sucked into the inner space S1 through the suction unit,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10 is air-conditioned by the air conditioning unit. After that, it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discharge part.

상기 본체(10)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본체(10)의 일예는 샤시(30) 및 케이스(1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ody 10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members, and an example of the body 10 may include a chassis 30 and a case 100.

상기 본체(10)는 설치 플레이트(20)에 의해 벽(W)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설치 플레이트(20)는 상기 본체(10)를 벽(W)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품일 수 있다. 상기 설치 플레이트(20)는 상기 벽(W)에 결합될 수 있고, 샤시(30)는 설치 플레이트(20)에 거치될 수 있다. 상기 설치 플레이트(20)는 얇은 판상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샤시(30)의 후면에 결합되는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샤시(30)의 하부를 지지하는 양측부가 포함할 수 있다. The body 10 may be installed on the wall W by the installation plate 20. The installation plate 20 may be a component for fixing the body 10 to the wall W. The installation plate 20 may be coupled to the wall W, and the chassis 30 may be mounted on the installation plate 20. The installation plate 20 has a thin plate shape and may include a central portion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hassis 30 and both side portions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chassis 30.

상기 샤시(30)는 상기 설치 플레이트(20)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결합부(31) 및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31)로부터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어 송풍팬(4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리어 가이드(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assis 30 is a plate coupling portion 31 coupled to the installation plate 20 and a rear guide 33 that extends round downward from the plate coupling portion 31 to surround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owing fan 40. ) Can be included.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31)는 얇은 판상의 형상일 수 있다.The plate coupling part 31 may have a thin plate shape.

상기 리어 가이드(33)는 상기 송풍팬(40)에서 토출된 기류를 토출부 측으로 가이드 하는 유동 가이드로서 기능할 수 있다.The rear guide 33 may function as a flow guide for guiding the airflow discharged from the blowing fan 40 toward the discharge unit.

상기 송풍팬(40)는 횡류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횡류팬은 본체(10)의 상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원주 방향으로 흡입하여 원주 방향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송풍팬(40)의 축방향은 본체(10)의 가로 방향일 수 있다. The blowing fan 40 may include a cross-flow fan. The cross flow fan may suck air suck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discharge i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axial direction of the blowing fan 40 may be a horizont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상기 송풍팬(40)은 상기 샤시(30)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The blowing fan 40 may be rotatably supported on both sides of the chassis 30.

상기 샤시(30)는 상기 송풍팬(40)의 양측단을 지지하는 2개의 팬 지지부(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팬 지지부(35)는 상기 리어 가이드(33)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chassis 30 may further include two fan support portions 35 supporting both side ends of the blowing fan 40. The two fan support portions 35 may protrude forward from both sides of the rear guide 33.

상기 2개의 팬 지지부(35)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는 상기 송풍팬(40)을 구동하는 송풍모터(4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송풍모터(45)의 축은 상기 팬 지지부(35)를 관통하여 상기 송풍팬(40)에 결합될 수 있다.A blowing motor 45 driving the blowing fan 40 may be installed outside any one of the two fan support parts 35. The shaft of the blowing motor 45 may pass through the fan support 35 and be coupled to the blowing fan 40.

상기 송풍팬(40)은 상기 송풍모터(45)와 함께 상기 이너 공간(S1)에 수용될 수 있다. The blowing fan 40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S1 together with the blowing motor 45.

상기 송풍모터(45)에는 모터 커버(47)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팬 지지부(35)와 상기 모터 커버(47)가 이루는 내부 공간에, 상기 송풍모터(45)가 수용될 수 있다.A motor cover 47 may be coupled to the blower motor 45. The blower motor 45 may be accommodated in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fan support 35 and the motor cover 47.

상기 샤시(30)에는 본체(1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5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0)는 상기 송풍모터(45)의 측방에 위치될 수 있고, 케이스(10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0)은 외관을 형성하는 컨트롤 박스(52)와, 컨트롤 박스(53)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위한 제어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A controller 50 for controlling the main body 10 may be installed in the chassis 30. The controller 50 may be located at the side of the blower motor 45 and may be supported by the case 100. The controller 50 may include a control box 52 forming an exterior, and a control component disposed inside the control box 53 to operate the air conditioner.

상기 공기조화기는 본체(10)의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하부 플레이트(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터(55)는 상기 샤시(3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 lower plate 55 forming a lower exterior of the body 10. The lower plater 55 may be disposed under the chassis 30.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샤시(30)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시(30)와 케이스(100)의 사이에는 송풍팬(40)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샤시(30) 및 케이스(100)의 사이에는 이너 공간(S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이너 공간(S1)에는 송풍팬(40)이 수용될 수 있다. The case 100 may be coupled to the front of the chassis 30. In addition, a blowing fan 40 may be accommodated between the chassis 30 and the case 100. An inner space S1 may be formed between the chassis 30 and the case 100, and a blowing fan 40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S1.

상기 케이스(100)는 입체적 형상일 수 있고, 상기 이너 공간(S1)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The case 100 may have a three-dimensional shape, and the inner space S1 may be formed inside the case 100.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이너 공간(S1)에 수용된 공조 유닛(Air conditioning uni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조 유닛의 일예는 냉매가 통과하는 열교환기(60)일 수 있다. 상기 공조 유닛의 다른 예는 열전소자일 수 있다. 상기 공조 유닛의 또 다른 예는 전기 히터일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n air conditioning unit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S1. An example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may be a heat exchanger 60 through which a refrigerant passes. Another example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may be a thermoelectric device. Another example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may be an electric heater.

이하, 공기조화기는 상기 이너 공간(S1)에 열교환기(60)가 수용된 예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너 공간(S1)에 열교환기(60)가 수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열전소자, 전기 히터, 가습장치, 정화 유닛 등이 다양한 공조 유닛이 이너 공간(S1)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Hereinafter, the air conditione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the heat exchanger 60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S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heat exchanger 60 being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S1, and various air conditioning units including thermoelectric elements, electric heaters, humidifiers, and purification units are selectively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S1.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become.

상기 샤시(30)와 상기 케이스(100)가 이루는 이너 공간(S1)에는 열교환기(60)가 수용될 수 있다. 공기 유동을 기준으로, 상기 열교환기(60)는 상기 샤시(30) 및 토출 그릴 어셈블리(80) 중 적어도 하나에 지지될 수 있다.A heat exchanger 60 may be accommodated in an inner space S1 formed between the chassis 30 and the case 100. Based on the air flow, the heat exchanger 60 may be supported by at least one of the chassis 30 and the discharge grill assembly 80.

상기 열교환기(60)는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열교환기(60)에는, 상기 본체(10)의 전면부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하 연장되는 제 1 열교환부(61)와, 상기 제 1 열교환부(61)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2 열교환부(63) 및 상기 제 2 열교환부(63)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3 열교환부(65)가 포함된다. 상기 제 1~3 열교환부(61,63,65)는 상기 송풍팬(40)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송풍팬(40)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영역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e heat exchanger 60 may have a bent shape. In detail, the heat exchanger 60 includes a first heat exchange part 61 extending vertically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part of the main body 10, and a first heat exchange part 61 extending obliquely upward from the first heat exchange part 61. A second heat exchange part 63 and a third heat exchange part 65 extending obliquely downward from the second heat exchange part 63 are included. The first to third heat exchange units 61, 63, and 65 are disposed outside the blowing fan 40 and may be understood as being disposed in a suction area of the air sucked by the blowing fan 40.

상기 열교환기(60)에는 열교환기 홀더(67)가 결합된다. 상기 열교환기 홀더(67)는 상기 열교환기(60)의 측방에 결합되며, 케이스(100)의 내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A heat exchanger holder 67 is coupled to the heat exchanger 60. The heat exchanger holder 67 is coupled to the side of the heat exchanger 60 and may be supported on the inner side of the case 100.

상기 열교환기(60)에는 냉매 튜브(70)가 결합된다. 상기 냉매 튜브(70)는 냉매를 상기 열교환기(60)로 유입시키거나, 상기 열교환기(60)에서 배출된 냉매의 유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냉매 튜브(70)는 상기 열교환기(60)의 측방에 결합되며, 상기 냉매 튜브(70)의 외측에는 튜브 커버(75)가 감싸지도록 구성된다.A refrigerant tube 70 is coupled to the heat exchanger 60. The refrigerant tube 70 may introduce a refrigerant into the heat exchanger 60 or guide a flow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heat exchanger 60. The refrigerant tube 70 is coupled to a side of the heat exchanger 60, and a tube cover 75 is wrapped outside the refrigerant tube 70.

상기 샤시(30)의 전방에는 케이스(100)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공기유로가 형성된다. A case 100 is provided in front of the chassis 30. An air flow path is formed inside the case 100.

상기 공기조화기는 필터 어셈블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어세블리(300)는 상기 본체(10)에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 filter assembly 300. The filter assembly 300 may be disposed on the main body 10 so as to be withdrawn to the outside.

상기 공기조화기는 그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한 쌍의 측면부(111)(1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기는 그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면부(1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 pair of side portions 111 and 112 forming the side appearance thereof.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surface portion 113 forming the upper surface appearance.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기는 필터 어셈블리(300)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 바디(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 receiving body 114 in which the filter assembly 300 is inserted and received.

한 쌍의 측면부(111)(112) 및 상면부(113)는 상기 샤시(30)와 케이스(10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pair of side portions 111 and 112 and the upper surface portion 113 may be formed by at least one of the chassis 30 and the case 100.

상기 수용 바디(114)은 상기 상면부(113)에서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 바디(114)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의 적어도 일면을 커버하는 필터 어셈블리 수용 바디일 수 있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필터 케이스(310)의 적어도 일면을 커버하는 필터 케이스 하우징일 수 있다.The receiving body 114 may be formed in a shape recessed from the upper surface portion 113. The receiving body 114 may be a filter assembly receiving body that covers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lter assembly 300, and a filter that covers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lter case 310 forming an exterior of the filter assembly 300 It may be a case housing.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는 상기 수용 바디(114)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공기조화기의 상면 외관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는 수용 바디(114)에 삽입되었을 때, 샤시(30)와 케이스(100)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공기조화기 외부의 공기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후, 상기 샤시(30)와 케이스(100)의 사이로 유입될 수 있다. When the filter assembly 300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body 114,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may be formed. When the filter assembly 30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body 114, the filter assembly 300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chassis 30 and the case 100, and air outside the air conditioner may be supplied to the filter assembly 300. After being purified while passing through ), it may be introduced between the chassis 30 and the case 100.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은 상기 수용 바디(114)에 삽입되었을 때, 그 상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의 상면은 공기조화기의 상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는 수용 바디(114)에 수용된 상태에서, 공기조화기의 상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When the filter assembly 30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body 114, its upper surface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assembly 300 may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The filter assembly 300 may be drawn upward from the air conditioner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body 114.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토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부는 하부 토출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토출부(126)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토출부(126)는 공기가 하측 방향으로 토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A discharge part is formed under the case 100. The discharge part may include a lower discharge part 126. The lower discharge part 126 may be formed under the case. The lower discharge part 126 may be formed to discharge air in a downward direction.

상기 케이스(100)는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거나 복수개 부재(110)(120)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가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일 경우, 상기 케이스(100)는 샤시(30)에 결합되는 케이스 본체(110)와,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전방에 배치된 그릴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ase 100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member or may be configured a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members 110 and 120. When the case 100 i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members, the case 100 includes a case body 110 coupled to the chassis 30 and a grill frame 120 disposed in front of the case body 110. Can include.

상기 공기조화기는 토출그릴 어셈블리(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grill assembly 80.

상기 토출그릴 어셈블리(80)는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그릴 어셈블리(80)는 상기 샤시(30)과 이격된 토출그릴 바디(8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그릴 어셈블리(80)에는 토출기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좌우 베인(82)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좌우 베인(82)은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어 토출기류의 좌우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좌우 베인(83)는 다수 개가 구비되어 하나의 링크(84)에 연결될 수 있으며, 다수 개의 좌우 베인(82)은 상기 링크(84)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토출그릴 어셈블리(80)는 좌우 베인(82)을 회전시키는 좌우베인 모터(86)를 포함할 수 있다. 좌우베인 모터(86)는 토출그릴 바디(81)에 설치될 수 있다. The discharge grill assembly 80 may be disposed under the case 100. The discharge grill assembly 80 may include a discharge grill body 81 spaced apart from the chassis 30. The discharge grill assembly 80 may include left and right vanes 82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air flow. The left and right vanes 82 may be rot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based on a vertical line to control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air flow. A plurality of the left and right vanes 83 may be provided and connected to one link 84, and the plurality of left and right vanes 82 may rotate togethe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link 84. The discharge grill assembly 80 may include a left and right vane motor 86 that rotates the left and right vanes 82. The left and right vane motors 86 may be installed on the discharge grill body 81.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토출기류의 상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상하 베인(8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하 베인(88)의 측방에는 링크(89)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링크(89)에는 상기 상하 베인(88)을 구동하기 위한 상하베인 모터(9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하베인 모터(90)는 샤시(30)와, 하부 플레이트(55)와, 토출그릴 바디(81)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The upper and lower vanes 88 for controlli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air may be provided below the case 100. A link 89 may be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vanes 88, and an upper and lower vane motor 90 for driving the upper and lower vanes 88 may be connected to the link 89. The upper and lower vane motor 90 may be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chassis 30, the lower plate 55, and the discharge grill body 81.

상기 케이스(100)에는 전면 패널(15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50)은 상기 케이스(100)의 전방에 배치되어 본체(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A front panel 150 may be disposed on the case 100. The front panel 15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case 100 to form a front appearance of the main body 10.

상기 전면 패널(150)에는 본체(10)의 작동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1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5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52)가 위치되는 디스플레이 홀(154)이 형성될 수 있다.A display unit 152 capable of check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main body 10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panel 150. A display hole 154 in which the display unit 152 is located may be formed in the front panel 150.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전면 패널(150)에 연결되어 전면 패널(150)을 복수 위치로 작동시키는 구동기구(170, 도 3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기구(170)는 케이스(100) 또는 샤시(3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기구(170)은 전면 패널(150)와 기어 등의 동력전달부재로 연결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mechanism 170 (refer to FIG. 3) connected to the front panel 150 to operate the front panel 150 in multiple positions. The driving mechanism 170 may be installed in the case 100 or the chassis 30. The driving mechanism 170 may be connected to the front panel 150 by a power transmission member such as a gear.

일 예로, 전면 패널(150)에는 상하 방향으로 긴 랙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구(170)는 모터(17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모터(172)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랙과 치합된 피니언(1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a long rack may be formed on the front panel 150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driving mechanism 170 may include a motor 172, and may further include a pinion 174 rotated by the motor 172 and meshed with the rack.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로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전원공급기(180, High Voltage Power Supply, 도 2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 high voltage power supply 180 (refer to FIG. 2) for applying a high voltage to the filter assembly 300.

상기 고전압 전원공급기(180)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 및 후술하는 대전 모듈(360, 도 9 참조)으로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대전 모듈(360)은 공기 중의 먼지 등의 이물질을 이온화시킬 수 있고, 상기 대전 모듈(360)에 의해 이온화된 이물질은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의 내부에 집진될 수 있다.The high voltage power supply 180 may apply a high voltage to the filter assembly 300 and a charging module 360 (refer to FIG. 9) to be described later. The charging module 360 may ionize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in the air, and foreign substances ionized by the charging module 360 may be collected inside the filter assembly 300.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는 필터 케이스(310)와, 필터 케이스(310) 내부에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는 필터 케이스(310)의 내부에 수용된 프리 필터(340, Pre Filter, 도 3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lter assembly 300 may include a filter case 310 and at least one filter accommodated in the filter case 310. The filter assembly 300 may include a pre-filter 340 (see FIG. 3) accommodated in the filter case 310.

상기 프리 필터(340)는 공기조화기 특히, 필터 어셈블리(300)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일 수 있다. 상기 프리 필터(340)는 메쉬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프리 필터(340)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공조유닛(예를 들면, 열교환기(60)) 이전에 위치될 수 있다. The pre-filter 340 may be an air conditioner, in particular, a filter that filters foreign substances flowing into the filter assembly 300. The pre-filter 340 may have a mesh shape. The pre-filter 340 may be located before the air conditioning unit (eg, the heat exchanger 60) in the air flow direction.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는 복수개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는 집진 필터(350, 도 4 참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ilter assembly 3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lters, and in this case, the filter assembly 300 may further include a dust collection filter 350 (see FIG. 4 ).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가 프리 필터(340)와, 집진 필터(350)를 포함할 경우, 상기 프리 필터(340)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집진 필터(350)의 이전에 위치될 수 있다. When the filter assembly 300 includes a pre-filter 340 and a dust collection filter 350, the pre-filter 340 may be positioned before the dust collection filter 350 in an air flow direction.

상기 집진 필터(350)의 일 예는 미세 먼지 등이 걸러질 수 있는 헤파 필터 등의 고성능 필터일 수 있다. An example of the dust collecting filter 350 may be a high-performance filter such as a HEPA filter through which fine dust or the like can be filtered.

상기 집진 필터(350)의 다른 예는 전기를 이용하여 먼지를 포집하는 전기 집진필터일 수 있다. 상기 집진 필터(350)는 상기 필터 케이스(310)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정전 필터(350)는 상기 고전압 전원공급기(180)와 전선 및 단자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집진 필터(350)는 상기 집진 필터(350)는 상기 대전 모듈(360)에 의해 이온화된 이물질의 정전기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집진하는 정전 필터일 수 있다. Another example of the dust collection filter 350 may be an electric dust collection filter that collects dust using electricity. While the dust collecting filter 350 is accommodated in the filter case 310, the electrostatic filter 3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igh voltage power supply 180 through wires and terminals. The dust collecting filter 350 may be an electrostatic filter that collects foreign substances by using static electricity of foreign substances ionized by the charging module 360.

이하, 집진 필터(350)가 정전 필터인 예에 대해 설명하고, 정전 필터에 대해서는 집진 필터(350)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집진 필터(350)가 정전 필터인 것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Hereinafter, an exampl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filter 350 is an electrostatic filter will be described, and the electrostatic filter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e dust collecting filter 350. Howev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ust collecting filter 350 being an electrostatic filter.

상기 프리 필터(340)는 상기 정전 필터(350)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정전 필터(350)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 중의 큰 먼지를 거를 수 있다. The pre-filter 340 may filter large dust in air flowing toward the electrostatic filter 350 while being positioned above the electrostatic filter 350.

상기 정전 필터(350)는 상기 프리 필터(340)와 필터 케이스(3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electrostatic filter 3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re-filter 340 and the filter case 310.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필터(예를 들면, 프리 필터(340))에 부착된 먼지 등의 이물질(이하, '먼지'라 칭함)을 상기 필터에서 분리시키는 브러시 유닛(380, 도 4 참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further includes a brush unit 380 (refer to FIG. 4) for separat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hereinafter referred to as'dust') attached to the filter (for example, the pre-filter 340) from the filter. Can include.

상기 브러시 유닛(380)은 상기 필터 특히, 프리 필터(340)가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The brush unit 38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filter, in particular, the pre-filter 340 may contact.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필터에서 분리된 먼지가 수용되는 더스트 박스 모듈(390, 도 4 참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스트 박스(390)의 내부에는 필터에서 분리된 먼지가 수용되는 집진 공간(S6, 도 19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 dust box module 390 (refer to FIG. 4) in which dust separated from the filter is accommodated. A dust collecting space (S6 (refer to FIG. 19) in which dust separated from the filter is accommodated) may be formed inside the dust box 390.

상기 프리 필터(340)에 부착된 먼지는 상기 브러시 유닛(380)과 접촉되어 상기 프리 필터(340)에서 분리될 수 있고, 상기 프리 필터(340)에서 분리된 먼지는 더스트 박스 모듈(390)로 유입되어 더스트 박스 모듈(390) 내부의 집진 공간(S6)에 수용될 수 있다. The dust attached to the pre-filter 340 may be separated from the pre-filter 340 by contacting the brush unit 380, and the dust separated by the pre-filter 340 is transferred to the dust box module 390. It may be introduced and accommodated in the dust collecting space S6 inside the dust box module 390.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은 공기조화기 외부로 인출되게 배치될 수 있고, 그 내부에 저장된 먼지는 사용자 등에 의해 버려질 수 있다. The dust box module 390 may be disposed to be drawn out of the air conditioner, and dust stored therein may be discarded by a user or the like.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필터 특히, 프리 필터(340)에 쌓여진 먼지를 상기 프리 필터(340)에 분리하기 위해 흡입력을 발생하는 석션 유닛(400, 도 2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unit 400 (refer to FIG. 2) that generates a suction force to separate dust accumulated in the filter 340 from the pre-filter 340.

상기 석션 유닛(400)은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석션 유닛(400)는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이 상기 공기조화기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석션 유닛(400)는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이 외부로 인출될 때,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과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석션 유닛(400)은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이 연결되었을 때,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 내부의 공기 즉, 집진 공간(S6)의 공기를 흡인하여 배기할 수 있다. The suction unit 400 may communicate with the dust box module 390. When the dust box module 390 is mounted on the air conditioner, the suction unit 400 may communicate with the dust box module 390. The suction unit 400 may be separated from the dust box module 390 when the dust box module 390 is drawn out. That is, the suction unit 400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dust box module 390, and when the dust box module 390 is connected, the air inside the dust box module 390, that is, a dust collecting space The air in (S6) can be sucked in and exhausted.

상기 석션 유닛(400)는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에 연결되어 더스트 박스 모듈(390)의 공기를 석션하는 흡입력 발생유닛 또는 필터 청소장치일 수 있다. 상기 석션 유닛(400)는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의 공기를 흡인하여 배기하는 팬 모터 어셈블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석션 유닛(400)는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이 분리 가능하게 접촉되는 팬 모터 어셈블리일 수 있다.The suction unit 400 may be a suction force generating unit or a filter cleaning device connected to the dust box module 390 to suck air from the dust box module 390. The suction unit 400 may include a fan motor assembly that sucks and exhausts air from the dust box module 390. The suction unit 400 may be a fan motor assembly to which the dust box module 390 is detachably contacted.

상기 석션 유닛(400)의 온시,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 내부의 공기는 석션 유닛(400)으로 흡인될 수 있고,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 내부의 압력은 더스트 박스 모듈(390) 외부의 압력 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프리 필터(340) 주변의 공기는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의 내부를 향해 흡인되면서 상기 프리 필터(340)의 먼지를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의 내부로 운반할 수 있다. When the suction unit 400 is turned on, the air inside the dust box module 390 may be sucked into the suction unit 400, and the pressure inside the dust box module 390 is outside the dust box module 390. Can be lower than the pressure. The air around the pre-filter 340 may be sucked toward the inside of the dust box module 390 to transport the dust of the pre-filter 340 to the inside of the dust box module 390.

상기 석션 유닛(400)는 본체(10)에 위치 고정되게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석션 유닛(400)에는 전선이 연결될 수 있다.The suction unit 400 may be mounted in a fixed position on the main body 10, and an electric wire may be connected to the suction unit 400.

상기 석션 유닛(400)은 상기 케이스(100)와 샤시(30)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석션 유닛(400)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석션 유닛(400)는 상기 컨트롤러(50)의 상측에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suction unit 400 may be accommodated between the case 100 and the chassis 30. The suction unit 4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case 100. The suction unit 400 may be disposed above the controller 50.

상기 석션 유닛(400)이 구동하면, 상기 석션 유닛(400)의 흡입력은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 및 브러시 유닛(380)을 통해 상기 필터(특히, 프리 필터(340)에 작용될 수 있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의 필터에 부착되어 있던 먼지는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으로 유입되어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 내부에 임시 저장될 수 있다. When the suction unit 400 is driven,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unit 400 may be applied to the filter (in particular, the pre-filter 340) through the dust box module 390 and the brush unit 380, The dust attached to the filter of the filter assembly 300 may be introduced into the dust box module 390 and temporarily stored in the dust box module 390.

상기 브러시 유닛(380)과 더스트 박스 모듈(39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 케이스(310)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 케이스(310)와 함께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brush unit 380 and the dust box module 390 may be disposed in the filter case 310 and may be drawn out of the air conditioner together with the filter case 310.

이 경우, 상기 브러시 유닛(380)과 더스트 박스 모듈(390)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은 후술하는 석션 유닛(400)와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brush unit 380 and the dust box module 390 may form a part of the filter assembly 300, and the dust box module 390 is connected to or separated from the suction unit 40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반면에, 상기 브러시 유닛(380)과 더스트 박스 모듈(390)는 상기 필터 케이스(310)에 배치되지 않고, 샤시(30)나 케이스(100)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브러시 유닛(380)과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00)는 석션 유닛(400)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30)가 장착되었을 때, 상기 필터 어셈블리(30)와 접속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rush unit 380 and the dust box module 390 may not be disposed in the filter case 310, but may be disposed in the chassis 30 or the case 100. In this case, the brush unit 380 and the dust box module 300 may be kept connected to the suction unit 400, and connected to the filter assembly 30 when the filter assembly 30 is mounted. Can be.

상기 브러시 유닛(380)과 더스트 박스 모듈(390)는 사용자나 서비스업자에 의해 세척될 필요가 있고, 그 인출이나 장착이 용이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rush unit 380 and the dust box module 390 need to be cleaned by a user or a service provider,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withdrawal or mounting thereof is easily arranged.

상기 브러시 유닛(380)과 더스트 박스 모듈(390)이 상기 프리 필터(340) 및 정전 필터(350)와 함께 필터 케이스(310)에 배치될 경우, 사용자나 작업자는 필터 어셈블리(300)를 외부로 인출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상기 프리 필터(340) 및 정전 필터(350)와, 브러시 유닛(380) 및 더스트 박스 모듈(390)을 함께 인출할 수 있고, 상기 프리 필터(340) 및 정전 필터(350) 및 브러시 유닛(380)을 세척할 수 있고,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을 비울 수 있다.When the brush unit 380 and the dust box module 390 are disposed in the filter case 310 together with the pre-filter 340 and the electrostatic filter 350, the user or the operator may move the filter assembly 300 to the outside. With a simple drawing operation, the pre-filter 340 and the electrostatic filter 350, the brush unit 380 and the dust box module 390 may be drawn out together, and the pre-filter 340 and the electrostatic filter 350 ) And the brush unit 380 may be cleaned, and the dust box module 390 may be emptied.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면 패널이 제1위치일 때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전면 패널이 제2위치일 때의 사시도이며, 도 7는 도 1에 도시된 전면 패널이 제3위치일 때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panel shown in FIG. 1 when it is in a first posi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front panel shown in FIG. 1 is in a second position, and FIG. 7 is a front panel shown in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when it is in this 3rd position.

구동기구(170, 도 2 참조)는 전면 패널(150)을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구동기구(170)는 전면 패널(150)을 승강시키는 전면 패널 승강기구일 수 있다. The driving mechanism 170 (see FIG. 2) may raise or lower the front panel 150 as shown in FIGS. 5 to 7. The driving mechanism 170 may be a front panel lifting mechanism for lifting the front panel 150.

상기 케이스(100)에 형성된 토출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토출부(1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토출부(129)는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 하부에 일부분이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discharge part formed in the case 100 may further include a front discharge part 129. The front discharge part 129 may be formed by opening a part of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case 100 in the front-rear direction.

상기 구동기구(170)는 상기 전면 패널(150)을 복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The driving mechanism 170 may move the front panel 150 to a plurality of positions.

상기 복수의 위치는 제1위치(P1)와, 제2위치(P2)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ositions may include a first position P1 and a second position P2.

상기 제1위치(P1)는 상기 전면 패널(150)이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의 전면(301)을 커버하는 위치일 수 있다. The first position P1 may be a position where the front panel 150 covers the front surface 301 of the filter assembly 300.

상기 제2위치(P2)는 제1위치(P1)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제2위치(P1)는 상기 전면 패널(150)이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의 전면(301)을 노출시키는 위치일 수 있다. 제1위치(P1) 및 제2위치(P2)는 상기 전면 패널(150)이 상기 전방 토출구(129)를 차폐하는 위치일 수 있다.The second position P2 may be a position relatively lower than the first position P1. The second position P1 may be a position where the front panel 150 exposes the front surface 301 of the filter assembly 300. The first position P1 and the second position P2 may be positions where the front panel 150 shields the front discharge port 129.

상기 전면 패널(150)은 제1위치일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의 전면(301) 및 전방 토출구(129)를 차폐할 수 있다. When the front panel 150 is in the first position, as shown in FIG. 5, the front surface 301 and the front discharge port 129 of the filter assembly 300 may be shielded.

상기 전면 패널(150)은 제2위치일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의 전면(301)을 노출시키되, 전방 토출구(129)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50)이 제2위치일 때, 상기 전면 패널(150)의 상단은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의 전방 하측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는 상기 전면 패널(150)의 상단 위를 지나 전방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When the front panel 150 is in the second position, as shown in FIG. 6, the front surface 301 of the filter assembly 300 may be exposed, but the front discharge port 129 may be shielded. When the front panel 150 is in the second position, an upper end of the front panel 150 may be located at a front lower side of the filter assembly 300, and the filter assembly 300 is the front panel 150 It may be possible to move forward past the top of the.

사용자 또는 공기조화기는 상기 전면 패널(150)이 제2위치(P2)에 위치된 상태일 때,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를 전진시킬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전면 패널(150)이나 케이스(100)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를 전방으로 쉽게 인출할 수 있다. The user or the air conditioner can move the filter assembly 300 forward when the front panel 150 is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P2, and the user can move the front panel 150 or the case 100 Without separating, the filter assembly 300 can be easily pulled out forward.

사용자는 상기 수용 바디(114)의 전방으로 인출된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를 물 등의 세척액으로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필터 어셈블리(300)를 세척한 후,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를 수용 바디(114)에 안착하면서 삽입할 수 있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는 수용 바디(114)에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The user can conveniently wash the filter assembly 300 drawn out to the front of the receiving body 114 with a washing liquid such as water. After washing the filter assembly 300, the user may insert the filter assembly 300 while being seated in the receiving body 114, and the filter assembly 300 may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body 114 to be accommodated. have.

한편, 상기 복수의 위치는 제3위치(P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위치(P3)는 제1위치(P1)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일 수 있다. 제3위치(P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패널(150)이 상기 전방 토출구(129)를 개방하는 위치일 수 있고, 상기 전면 패널(150)이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의 전면(301)을 커버하는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50)이 제3위치일 때,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전면 패널(150)의 배면에 안내된 후,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로 흡입될 수 있다. Meanwhile, the plurality of positions may further include a third position P3. The third position P3 may be a position relatively higher than the first position P1. The third position P3 may be a position in which the front panel 150 opens the front discharge port 129, as shown in FIG. 7, and the front panel 150 is positioned at the filter assembly 300. It may be a position that covers the front surface 301. When the front panel 150 is in the third position, air flowing toward the filter assembly 300 may be guid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50 and then sucked into the filter assembly 300.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하부 토출부(126, 도 1 참조)를 통해 케이스(100)의 하방으로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는 하방 기류모드와, 상기 전방 토출부(129, 도 6 참조)를 통해 케이스(100)의 전방으로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는 전방 기류모드를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has a downward airflow mode for discharging air conditioned to the lower side of the case 100 through the lower discharge part 126 (see FIG. 1), and the case through the front discharge part 129 (refer to FIG. 6).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implement a front airflow mode that discharges air conditioned to the front of 100).

상기 전면 패널(150)이 제1위치(P1)이거나 제2위치(P2)일 때, 상기 공기조화기는 하부 토출부(126)을 통해 공조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When the front panel 150 is at the first position P1 or the second position P2, the air conditioner may discharge air conditioned through the lower discharge unit 126.

상기 전면 패널(150)이 제3위치일 때, 상기 공기조화기는 전방 토출부(129) 및 하부 토출부(126)를 통해 공조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When the front panel 150 is in the third position, the air conditioner may discharge air conditioned through the front discharge unit 129 and the lower discharge unit 126.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B-B'선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내부가 도시된 저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 및 이동기구가 도시된 도이다. 8 is a plan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shown in FIG. 8,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shown in FIG. 11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dielectric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view showing a filter assembly and a mov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공기조화기는 대전 모듈(360 또는 전리 모듈, 도 8 및 도 9 참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 charging module (360 or an ionizing module, see FIGS. 8 and 9).

상기 대전 모듈(360)은 공기 중의 이물질을 이온화시키는 이온화 모듈 또는 전리 모듈일 수 있다. 상기 대전 모듈(360)은 공기 중 이물질이 정전 필터(350)를 유입되기 이전에 이온화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The charging module 360 may be an ionization module or an ionization module that ionizes foreign substances in air. The charging module 360 may be installed so that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may be ionized before entering the electrostatic filter 350.

상기 대전 모듈(360)은 정전 필터(350)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이온화시키는 것으로서, 고전압이 인가되면 공기 중의 이물질을 이온화시키는 방전 전극(36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harging module 360 ionizes foreign substances in air flowing toward the electrostatic filter 350, and may include a discharge electrode 361 for ioniz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when a high voltage is applied.

상기 방전 전극(361)는 탄소 섬유 또는 카본 섬유 등의 섬유 다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전 전극(361)은 도 2에 도시된 고전압 전원공급기(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discharge electrode 361 may include a fiber bundle such as carbon fiber or carbon fiber. The discharge electrode 36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igh voltage power supply 170 shown in FIG. 2.

상기 방전 전극(361)은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에 내장되어 정전 필터(350)에 이온화된 이물질이 부착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방전 전극(361)이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 내부에 배치될 경우, 상기 방전 전극(361)의 두께 및 상기 방전 전극(361)과 정전 필터(350) 사이의 거리 등에 의해,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가 두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의 세척을 위해 사용자가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를 샤시(30)나 케이스(100)에서 분리할 경우, 방전 전극(361)이 고전압 전원공급기(170)와 전기적으로 분리되어야 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이 세척될 때, 상기 방전 전극(361)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을 수 있다. The discharge electrode 361 may be embedded in the filter assembly 300 to allow ionized foreign substances to adhere to the electrostatic filter 350. However, when the discharge electrode 361 is disposed inside the filter assembly 300, the filter is determined by the thickness of the discharge electrode 361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 361 and the electrostatic filter 350. The assembly 300 can be thickened. In addition, when the user separates the filter assembly 300 from the chassis 30 or case 100 for cleaning the filter assembly 300, the discharge electrode 36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igh voltage power supply 170. It must be separated, and when the filter assembly 300 is cleane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discharge electrode 361 is damaged.

상기 방전 전극(361)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 외부에 위치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터 어셈블리(300)를 세척시키기 위해 필터 어셈블리(300)를 인출하더라도 상기 방전 전극(361)은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와 함께 인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ischarge electrode 361 is preferably disposed to be positioned outside the filter assembly 300, and even when the filter assembly 300 is pulled out to clean the filter assembly 300, the discharge electrode 361 is the filter assembly It is desirable not to withdraw with 300.

상기 방전 전극(361)은 샤시(30) 또는 케이스(100)에 위치될 수 있고, 일예로, 공기조화기의 외부를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방전 전극(361)는 공기조화기 외부 특히, 필터 어셈블리(300) 외부 공기의 이물질을 이온화시킬 수 있다.The discharge electrode 361 may be positioned on the chassis 30 or the case 100, and for example, may be disposed to face the outside of the air conditioner. In this case, the discharge electrode 361 may ionize foreign substances outside the air conditioner, particularly the air outside the filter assembly 300.

상기 공기조화기 외부 공기 내 이물질은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 외부에서 이온화될 수 있고, 상기 방전 전극(361)에 의해 이온화된 이물질은 필터 어셈블리(300)로 흡입되어 필터 어셈블리(300)를 통과하면서 정전 필터(350)에 집진될 수 있다.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outside the air conditioner may be ionized outside the filter assembly 300, and foreign substances ionized by the discharge electrode 361 are sucked into the filter assembly 300 and pass through the filter assembly 300. It may be collected by the electrostatic filter 350.

한편, 상기 방전 전극(361)는 가급적 필터 어셈블리(300) 주변 공기의 이물질을 이온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상기 방전 전극(361)은 상기 수용 바디(114)에 근접하게 배치돌 수 있고, 일예로 상기 수용 바디(114)의 상측을 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ischarge electrode 361 is preferably ionized foreign matter in the air surrounding the filter assembly 300, for this purpose, the discharge electrode 361 may be disposed close to the receiving body 114, As an example, it may face upwards of the receiving body 114.

상기 송풍팬(40)의 구동시 공기조화기의 외부 공기는 상기 수용 바디(114) 및 필터 어셈블리(300)의 상측으로 유동된 후,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로 흡입될 수 있으므로, 수용 바디(114) 및 필터 어셈블리(300)의 상측으로 유동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은 상기 방전 전극(361)에 의해 이온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blowing fan 40 is driven, the external air of the air conditioner may flow upwards of the receiving body 114 and the filter assembly 300 and then be sucked into the filter assembly 300, so that the receiving body ( 114) and the foreign matter in the air flowing to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assembly 300 is preferably ionized by the discharge electrode 361.

상기 수용 바디(114)의 상측을 향하는 방전 전극(361)는 공기 중 이물질을 이온화시키기 위한 전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discharge electrode 361 facing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body 114 may minimize power loss for ionizing foreign substances in air.

상기 대전 모듈(360)은 상기 샤시(30)와 케이스(100)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에 배치된 모듈 마운터(3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harging module 360 may further include a module mounter 364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chassis 30 and the case 100.

상기 모듈 마운터(364)의 내부에는 상기 방전 전극(361)이 수용되는 공간(S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S5)는 상기 방전 전극(361)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A space S5 in which the discharge electrode 361 is accommodated may be formed in the module mounter 364. This space S5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discharge electrode 361.

상기 방전 전극(361)은 그 상단이 상기 모듈 마운터(364)의 상단 보다 낮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방전 전극(361)은 상기 모듈 마운터(364)에 의해 보호될 수 있고, 사용자가 방전 전극(361)가 만질 때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나 상기 방전 전극(361)의 손상은 최소화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electrode 361 is disposed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module mounter 364. In this case, the discharge electrode 361 may be protected by the module mounter 364, and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when the user touches the discharge electrode 361 or damage to the discharge electrode 361 are minimized. Can be.

상기 모듈 마운터(364)에는 상기 방전 전극(361)에 연결된 전선(362)이 통과하는 전선 관통공(36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선(362)는 상기 전선 관통공(365)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방전 전극(361)에 연결된 전선(362)은 도 2에 도시된 고전압 전원공급기(180)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A wire through hole 365 through which the wire 362 connected to the discharge electrode 361 passes may be formed in the module mounter 364. The wire 362 may be inserted into the wire through hole 365 to be fixed, and the wire 362 connected to the discharge electrode 361 may extend into the high voltage power supply 180 shown in FIG. 2. .

한편, 상기 대전 모듈(360)은 공기조화기에 한 쌍 제공될 수 있다. 한 쌍의 대전 모듈(360A)(360B)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의 길이 방향(Y)으로 이격될 수 있다. Meanwhile, a pair of charging modules 360 may be provided to the air conditioner. The pair of charging modules 360A and 360B may b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f the filter assembly 300.

상기 한 쌍의 대전 모듈(360A)(360B)은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를 사이에 두고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pair of charging modules 360A and 360B may be symmetrically disposed with the filter assembly 300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송풍팬(40)의 회전시,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의 상측으로 유동된 공기 중 이물질은 상기 방전 전극(361) 주변을 지나면서 이온화될 수 있고, 상기 방전 전극(361)에 의해 이온화된 이물질 중 상기 프리 필터(340)를 통과한 이물질은 정전 필터(350)에 흡착되어 집진될 수 있다. When the blowing fan 40 is rotated,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flowing upward of the filter assembly 300 may be ionized while passing around the discharge electrode 361, and ionized by the discharge electrode 361 Among the foreign substances, foreign substance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pre-filter 340 may be absorbed by the electrostatic filter 350 and collected.

이하, 필터 어셈블리(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filter assembly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필터 케이스(31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가 수용된 공간(S3)이 형성될 수 있다. A space S3 in which at least one filter is accommodated may be formed inside the filter case 310.

상기 필터 케이스(310)는 공기가 통과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필터 케이스(310)에는 외부의 공기가 필터 케이스(310)로 흡입되기 위한 아우터 인렛(312)이 형성될 수 있다. 필터 케이스(310)에는 필터 케이스(310)의 공간(S3)을 통과한 공기가 이너 공간(S1)으로 유동되기 위해 토출되는 이너 아웃렛(314)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lter case 310 may be configured to pass air. An outer inlet 312 for sucking external air into the filter case 310 may be formed in the filter case 310. In the filter case 310, an inner outlet 314 which is discharged to allow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pace S3 of the filter case 310 to flow to the inner space S1 may be formed.

상기 아우터 인렛(312)는 필터 어셈블리(300)를 수용 바디(114)에 삽입하였을 때, 상측을 향할 수 있고, 아우터 인렛(312)은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When the filter assembly 30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body 114, the outer inlet 312 may face upward, and the outer inlet 312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ir conditioner.

상기 이너 아웃렛(314)는 필터 어셈블리(300)를 수용 바디(114)에 삽입하였을 때, 하측을 향할 수 있고, 상기 이너 아웃렛(314)는 공기조화기의 내부를 향할 수 있다. When the filter assembly 30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body 114, the inner outlet 314 may face downward, and the inner outlet 314 may face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er.

상기 필터 케이스(310)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ilter case 310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members.

상기 필터 케이스(310)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아우터 인렛(312)이 형성된 어퍼 커버(320)와;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개구부(115)으로 유동되는 이너 아웃렛(314)이 형성된 로어 케이스(3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case 310 includes an upper cover 320 having an outer inlet 312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sucked; It may include a lower case 330 having an inner outlet 314 through whic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flows to the opening 115.

상기 어퍼 커버(320)는 후크 등의 걸이부나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로어 케이스(3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어퍼 커버(320)가 로어 케이스(330)에서 분리되었을 때, 필터 케이스(310)의 내부는 오픈될 수 잇다. The upper cover 32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case 330 by hooks such as hooks or fastening members such as screws, and when the upper cover 320 is separated from the lower case 330, the filter The inside of the case 310 may be open.

상기 어퍼 커버(320)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가 공기조화기의 장착되었을 때, 공기조화기의 상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는 아우터 커버일 수 있다. The upper cover 320 may be an outer cover capable of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when the filter assembly 300 is mounted on the air conditioner.

상기 로어 케이스(330)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가 공기조화기의 장착되었을 때, 그 하면이 공기조화기의 내부, 특히 이너 공간(S1)을 향할 수 있는 이너 케이스일 수 있다. When the filter assembly 300 is mounted on the air conditioner, the lower case 330 may be an inner case whose lower surface may face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er, particularly the inner space S1.

상기 프리 필터(3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된 필터 망(3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리 필터(340)는 필터 망(342)을 지지하는 필터 바디(344)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filter 340 may include a filter net 342 in whic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ir can pass is formed, as shown in FIG. 10. The pre-filter 340 may include a filter body 344 that supports the filter net 342.

상기 프리 필터(340)는 상기 정전 필터(350)와 어퍼 커버(320)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The pre-filter 340 may be accommodated between the electrostatic filter 350 and the upper cover 320.

상기 정전 필터(350)는 상기 대전 모듈(360)에 의해 이온화된 이물질이 포집되는 포집 모듈일 수 있다. 상기 정전 필터(350)는 공기유동방향으로 상기 프리 필터(340) 이후에 위치되게 수용될 수 있다. The electrostatic filter 350 may be a collection module in which foreign substances ionized by the charging module 360 are collected. The electrostatic filter 350 may be accommodated to be positioned after the pre-filter 340 in the air flow direction.

상기 정전 필터(350)는 전극이 유전체에 의해 둘러싸이게 배치된 유전체 필터일 수 있고, 상기 정전 필터(350)는 물 등의 세척액에 의해 세척될 수 있다. The electrostatic filter 350 may be a dielectric filter in which an electrode is surrounded by a dielectric material, and the electrostatic filter 350 may be washed with a cleaning solution such as water.

상기 정전 필터(350)는 제1전극(351A)을 제1유천체(351B)가 감싸는 제1필터바디(351)와; 제2전극(352A)을 제2유전체(352B)가 감싸는 제2필터바디(35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ostatic filter 350 includes a first filter body 351 surrounding the first electrode 351A by a first fluid 351B; It may include a second filter body 352 surrounding the second electrode 352A with the second dielectric 352B.

상기 제1유전체(351B) 및 제2유전체(351B)는 이물질이 제1전극(351A)나 제2전극(352A)의 노출을 막는 코팅부재일 수 있고, 이온화된 이물질이 제1전극(351A)과 제2전극(352A)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에 의해 흡착되는 흡착 바디일 수 있다. The first dielectric 351B and the second dielectric 351B may be a coating member that prevents foreign materials from exposing the first electrode 351A or the second electrode 352A, and the ionized foreign material is the first electrode 351A. It may be an adsorption body adsorbed by an electric field formed between the and the second electrode 352A.

상기 제1필터바디(351)과 제2필터바디(35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의 흡입 방향(Z)과 직교한 방향(X)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바디(351)과 제2필터바디(352)는 공기의 흡입 방향(Z)과 직교한 방향(X)으로 교대로 위치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1, the first filter body 351 and the second filter body 352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in a direction X orthogonal to the suction direction Z of air. The first filter body 351 and the second filter body 352 may be alternately positioned in a direction X orthogonal to the suction direction Z of air.

상기 정전 필터(350)에는 전극 단자가 배치될 수 있다. 전극 단자는 정전 필터(350)에 한 쌍 제공될 수 있고, 한 쌍의 전극 단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단자(353)와 접지단자(354)일 수 있다. An electrode terminal may be disposed on the electrostatic filter 350. A pair of electrode terminals may be provided to the electrostatic filter 350, and the pair of electrode terminals may be a positive terminal 353 and a ground terminal 354, as shown in FIG. 11.

상기 양극단자(353) 및 접지단자(354)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의 길이 방향(Y)으로 이격될 수 있다. The positive terminal 353 and the ground terminal 354 may b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f the filter assembly 300.

상기 양극단자(353)은 상기 제1전극(351A)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필터 바디(352)와 이격될 수 있다. The anode terminal 353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351A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filter body 352.

상기 제1필터 바디(351)는 상기 제1전극(351A)의 일부가 상기 양극단자(353)에 접속될 있다. In the first filter body 351, a part of the first electrode 351A may be connected to the anode terminal 353.

상기 양극 단자(353)와 접지 단자(354) 각각은 상기 정전 필터(350)의 필터 프레임에 관통되게 배치될 수 있고, 일부가 정전 필터(350)의 필터 프레임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Each of the positive terminal 353 and the ground terminal 354 may be disposed to penetrate the filter frame of the electrostatic filter 350, and some may be located outside the filter frame of the electrostatic filter 350.

상기 접지단자(354)는 상기 제2전극(352A)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1필터바디(351)와 이격될 수 있다. The ground terminal 354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352A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ilter body 351.

상기 제2필터 바디(352)는 상기 제2전극(352A)의 일부가 상기 접지단자(354)에 접촉될 수 있다.In the second filter body 352, a part of the second electrode 352A may contact the ground terminal 354.

이하, 상기 양극단자(353)와 접지단자(354)의 공통된 구성에 대해서는, 전극 단자(353)(354)로 칭하여 설명하고, 상기 양극단자(353)와 접지단자(354)의 구분이 필요한 경우에는 양극단자(353)와 접지단자(354)로 구분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mmon configuration of the positive terminal 353 and the ground terminal 354 will be referred to as electrode terminals 353 and 354, and when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the positive terminal 353 and the ground terminal 354 In the following, a positive terminal 353 and a ground terminal 354 will be described.

상기 정전 필터(350)는 내부에 공간(S4)이 형성된 필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프레임은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356)(357)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체(356)(367)은 어퍼 프레임(356)과 로어 프레임(357)을 포함할 수 있고, 어퍼 프레임(356)과 로어 프레임(357)은 후크 등의 걸이부(358)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electrostatic filter 350 may include a filter frame having a space S4 formed therein. The filter frame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members 356 and 357. This combination 356, 367 may include an upper frame 356 and a lower frame 357, the upper frame 356 and the lower frame 357 can be separated by hooks 358 such as hooks Can be combined together.

상기 본체(10)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기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기구(500)는 필터 어셈블리(300)를 진퇴시키는 필터 어셈블리 진퇴기구일 수 있다. The main body 10 may further include a moving mechanism 500 capable of moving the filter assembly 300 in position. The moving mechanism 500 may be a filter assembly advancing and retreating mechanism for advancing and retreating the filter assembly 300.

이러한 이동기구(500)는 모터 등의 구동원과, 구동원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기구(500)의 일예는 모터(510)와, 모터(512)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52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oving mechanism 500 may include a drive source such as a motor and at least one power transmission member connected to the drive source. An example of the moving mechanism 500 may include a motor 510 and a pinion 520 rotated by the motor 512.

상기 모터(510)는 공기조화기 내부에 위치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샤시(30)와 케이스(10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브래킷(5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510)은 상기 브래킷(540)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장착될 수 있다. The motor 510 may be installed in a fixed position inside the air conditioner. 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 bracket 540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chassis 30 and the case 100. The motor 510 may be mounted to the bracket 540 with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상기 피니언(520)은 상기 모터(510)의 회전축에 직접 연결되거나, 별도의 중간 기어를 통해 상기 모터(510)의 회전축에 연결될 수 있다. The pinion 52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a rotation shaft of the motor 510 or may be connected to a rotation shaft of the motor 510 through a separate intermediate gear.

상기 이동기구(500)는 상기 피니언(520)에 치합된 랙(5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기구(500)는 랙(530)이 형성된 기어부재와, 상기 기어부재와 결합된 캐리어(5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는 상기 캐리어 (542) 위에 올려질 수 있고, 상기 캐리어(542)의 이동시,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는 캐리어(542)와 함께 전진되거나 후퇴될 수 있다. The moving mechanism 500 may include a rack 530 engaged with the pinion 520. The moving mechanism 500 may include a gear member having a rack 530 formed thereon, and a carrier 542 coupled to the gear member. The filter assembly 300 may be mounted on the carrier 542, and when the carrier 542 moves, the filter assembly 300 may be advanced or retracted together with the carrier 542.

상기 이동기구(500)는 컨트롤러(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0)이 상기 모터(510)를 전진 모드로 제어하면, 상기 모터(510)은 회전축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랙(530)을 전진시킬 수 있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는 캐리어(542)에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수용 바디(114)의 전방으로 상기 캐리어(542)와 함께 전진될 수 있다. The moving mechanism 500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50. When the controller 50 controls the motor 510 in the forward mode, the motor 510 may advance the rack 530 by rotating the rotation shaft in one of a clockwise direction and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filter assembly 300 may move forward along with the carrier 542 to the front of the receiving body 114 while being mounted on the carrier 542.

상기 컨트롤러(50)는 사용자가 리모컨 등이 입력부를 통해 필터 어셈블리(300)의 인출 명령(또는 필터 청소 명렁)이 입력하거나, 상기 공기조화기가 필터 어셈블리 인출 조건일 때, 상기 모터(510)로 전진 모드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50 advances to the motor 510 when a user inputs a drawing command (or filter cleaning command) of the filter assembly 300 through an input unit such as a remote control, or when the air conditioner is a filter assembly drawing condition. The signal of the mode can be transmitted.

상기 컨트롤러(50)이 상기 모터(510)를 후퇴 모드로 제어하면, 상기 모터(510)은 회전축을 상기 전진 모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랙(530)을 후퇴시킬 수 있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는 상기 캐리어(542)에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캐리어(542)와 함께 후퇴될 수 있고, 상기 수용 바디(114)의 내측으로 깊숙히 삽입될 수 있다. When the controller 50 controls the motor 510 in the retreat mode, the motor 510 rotates the rotation shaf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orward mode to retreat the rack 530, and the filter assembly ( The 300 may be retracted together with the carrier 542 while being mounted on the carrier 542 and may be inserted deeply into the receiving body 114.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는 센싱유닛(550)을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 sensing unit 550 capable of sensing the position of the filter assembly 300.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필터 케이스(310)에 설치된 마그넷(560)과, 상기 이동기구(500)에 설치되어 상기 마그넷(560)을 센싱하는 마그넷 센서(5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넷(560)과 마그넷 센서(570)은 상기 센싱유닛(550)을 구성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 magnet 560 installed on the filter case 310 and a magnet sensor 570 installed on the moving mechanism 500 to sense the magnet 560. The magnet 560 and the magnet sensor 570 may constitute the sensing unit 550.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 특히, 로어 케이스(330)에는 상기 마그넷(560)이 안착되어 수용되는 마그넷 장착부(337, 도 10 참조)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마그넷(560)은 마그넷 장착부(337)에 장착되어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와 함께 전진되거나 후퇴될 수 있다.The filter assembly 300, in particular, the lower case 330 may be provided with a magnet mounting portion 337 (refer to FIG. 10) in which the magnet 560 is seated and received, and the magnet 560 is a magnet mounting portion 337 It is mounted on and may be advanced or retracted together with the filter assembly 300.

상기 마그넷 센서(570)는 상기 이동기구(500) 특히, 상기 캐리어(54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542)에는 상기 마그넷 센서(570)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마그넷 센서 수용부(544)가 형성될 수 있다.The magnet sensor 570 may be installed on the moving mechanism 500, in particular, the carrier 542. A magnet sensor accommodating part 544 into which the magnet sensor 570 is inserted and received may be formed in the carrier 542.

상기 마그넷 센서(570)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가 캐리어(542)에 올려졌을 때, 상기 마그넷(560)을 센싱할 수 있고, 상기 컨트롤러(50)은 상기 마그넷 센서(570)에 의해 마그넷(560)이 센싱되면, 상기 모터(510)를 후퇴 모드로 제어할 수 있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는 상기 수용 바디(114)의 내부로 후퇴되어 상기 수용 바디(114)에 수용될 수 있다. The magnet sensor 570 may sense the magnet 560 when the filter assembly 300 is placed on the carrier 542, and the controller 50 may sense the magnet 560 by the magnet sensor 570. When 560 is sensed, the motor 510 may be controlled in a retreat mode, and the filter assembly 300 may be retracted into the receiving body 114 and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body 114.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필터 어셈블리가 전방으로 인출되었을 때의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8에 도시된 필터 어셈블리가 전방으로 인출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다. FIG. 13 is a plan view when the filter assembly shown in FIG. 8 is pulled forward, and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filter assembly shown in FIG. 8 is pulled forward.

상기 수용 바디(114)은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가 삽입되어 수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 바디(114)의 상면과 상기 수용 바디(114)의 전면 각각은 개방될 수 있다. The receiving body 114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lter assembly 300 is inserted and received. Eac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body 114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receiving body 114 may be opened.

상기 수용 바디(114)은 입체적 형상일 수 있고, 상기 수용 바디(114)의 내측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가 수용되는 어퍼 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The receiving body 114 may have a three-dimensional shape, and an upper space S2 in which the filter assembly 300 is accommodated may be formed inside the receiving body 114.

상기 수용 바디(114)의 하부에는 상기 어퍼 공간(S2) 및 이너 공간(S1) 각각과 통하는 개구부(115)이 형성될 수 있다. An opening 115 communicating with each of the upper space S2 and the inner space S1 may be formed under the receiving body 114.

상기 수용 바디(114)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필터 케이스(310)의 측면(302)(303)을 향하는 한 쌍의 사이드 바디(116)(117)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바디(116)(117)을 잇고 상기 필터 케이스(310)의 후면(304)을 향하는 리어 바디(118)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eiving body 114 is spaced apar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 pair of side bodies 116 and 117 facing the side surfaces 302 and 303 of the filter case 310, and the pair of side bodies 116 It may include a rear body 118 facing the rear surface 304 of the filter case 310 connected to 117.

상기 한 쌍의 사이드 바디(116)(117)와, 리어 바디(118) 각각은 상하 방향(Z)으로 소정 길이를 갖을 수 있고, 이러한 한 쌍의 사이드 바디(116)(117)와, 리어 바디(118) 각각의 길이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의 두께(즉,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의 상하 방향 길이) 보다 길거나 같을 수 있다. Each of the pair of side bodies 116 and 117 and the rear body 118 may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Z), and such a pair of side bodies 116 and 117 and the rear body Each length may be longer than or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filter assembly 300 (ie, the length of the filter assembly 300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수용 바디(114)은 필터 어셈블리(300)가 안착되는 제1바디(119)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1바디(119)는 한 쌍의 사이드 바디(116)(117)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The receiving body 114 may further include a first body 119 on which the filter assembly 300 is mounted, and the first body 119 may be formed under the pair of side bodies 116 and 117. I can.

상기 제1바디(119)는 상기 한 쌍의 사이드 바디(116)(117)와, 리어 바디(118) 각각의 상단과 단차를 갖을 수 있다. The first body 119 may have a step with an upper end of each of the pair of side bodies 116 and 117 and the rear body 118.

상기 한 쌍의 사이드 바디(116)(117) 및 상기 제1바디(119)는 전후 방향(X)으로 폭을 갖을 수 있고, 이러한 폭은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의 전후 방향(X) 폭 보다 길거나 같을 수 있다.The pair of side bodies 116 and 117 and the first body 119 may have a wid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X), and this width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filter assembly 300 in the front-rear direction (X). Can be long or the same.

상기 수용 바디(114)는 케이스(100)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수용 바디(114)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의 필터 케이스(310)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The receiving body 114 may be formed in the case 100, and the filter case 310 of the filter assembly 300 may be inserted and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body 114.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는 수용 바디(114) 내부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의 상면(305)이 상기 공기조화기의 상면부(113)와 일치될 수 있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의 전면(301)이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과 일치될 수 있다. When the filter assembly 30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body 114, the upper surface 305 of the filter assembly 300 may coincide with the upper surface 113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filter assembly ( The front surface 301 of 300) may match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100.

상기 수용 바디(114)에는 상기 전극 단자(353)(354)가 접촉되는 공급 단자(121)(122)가 배치될 수 있다. Supply terminals 121 and 122 to which the electrode terminals 353 and 354 are in contact may be disposed on the receiving body 114.

상기 공급 단자(121)(122)는 상기 샤시(30) 또는 케이스(100)에 고정된 고정 단자일 수 있다. 상기 공급단자(121)(122)는 상기 전극 단자(353)(354)와 1:1 대응될 수 있다. 상기 공급단자(121)(122)는 상기 양극단자(353)가 접촉되거나 분리되는 양극 고정단자(121)과, 상기 접지단자(354)가 접촉되거나 분리되는 접지 고정단자(1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ly terminals 121 and 122 may be fixed terminals fixed to the chassis 30 or case 100. The supply terminals 121 and 122 may correspond 1:1 to the electrode terminals 353 and 354. The supply terminals 121 and 122 may include a positive fixed terminal 121 to which the positive terminal 353 is contacted or separated, and a ground fixed terminal 122 to which the ground terminal 354 is contacted or separated. have.

상기 양극 고정단자(121)와, 상기 접지 고정단자(122)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의 길이 방향(Y)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이하, 공통된 구성에 대해서는 공급단자(121)(122)로 칭하여 설명하고, 구분이 필요한 경우에는 양극 고정단자(121)와, 접지 고정단자(122)로 구분하여 설명한다.The positive fixed terminal 121 and the ground fixed terminal 122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f the filter assembly 300. Hereinafter, for a common configuration, the supply terminals 121 and 122 ), and if necessary, a positive fixed terminal 121 and a ground fixed terminal 122 will be described.

상기 양극 고정단자(121)는 도 2에 도시된 고전압 전원공급기(180)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양극 고정단자(121)에 연결된 전선이나 버스 바 등은 고전압 전원공급기(180)로 연장될 수 있다. The positive fixed terminal 121 may be connected to the high voltage power supply 180 shown in FIG. 2, and a wire or bus bar connected to the positive fixed terminal 121 may be extended to the high voltage power supply 180. .

상기 접지 고정단자(122)는 상기 양극 고정단자(121)과 같이, 도 2에 도시된 고전압 전원공급기(180)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접지 고정단자(122)에 연결된 전선이나 버스 바 등은 고전압 전원공급기(180)로 연장될 수 있다.The ground fixed terminal 122 may be connected to the high voltage power supply 180 shown in FIG. 2, like the positive fixed terminal 121, and the wire or bus bar connected to the ground fixed terminal 122 is It may be extended to the power supply 180.

상기 필터 케이스(310)에는 상기 전극 단자(353)(354)와 공급 단자(121)(122) 중 적어도 하나가 관통되는 단자 홀(338, 도 15 참조)이 형성될 수 있고, 일예로, 단자 홀(338)은 로어 케이스(330)에 형성될 수 있다. In the filter case 310, a terminal hole 338 (refer to FIG. 15) through which at least one of the electrode terminals 353, 354 and the supply terminals 121, 122 penetrates may be formed. For example, a terminal The hole 338 may be formed in the lower case 330.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케이스에서 더스트 박스 모듈이 분리되었을 때의 저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 필터의 저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가 석션 유닛과 접속되었을 때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20은 도 8에 도시된 C-C'선 단면도이다.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bottom view when the dust box module is separated from the filter ca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 is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8 is a bottom view of a pre-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9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suction unit And FIG. 2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shown in FIG. 8.

상기 필터 케이스(310)는 대략 육면체 형상일 수 있고, 좌우 방향(Y)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The filter case 310 may have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and may be elong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Y).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필터 케이스(310)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롤러(3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37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 케이스(310) 내부에 상기 정전 필터(350)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롤러(370)는 상기 정전 필터(350)의 옆에 위치되게 상기 필터 케이스(310)에 배치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 roller 370 rotatably disposed inside the filter case 310. As shown in FIG. 19, the roller 370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lter case 31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electrostatic filter 350. The roller 370 may be disposed on the filter case 310 to be positioned next to the electrostatic filter 350.

상기 롤러(370)은 상기 프리 필터(34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기어를 갖을 수 있다. 상기 구동기어는 한 쌍의 피니언(372)(374)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피니언(372)(374)는 공기 유동 방향(Z) 및 상기 프리 필터(340)의 길이 방향(Y) 각각과 직교한 방향(X)으로 이격될 수 있다.The roller 370 may have a driving gear for moving the pre-filter 340. The driving gear may include a pair of pinions 372 and 374. The pair of pinions 372 and 374 may be spaced apart in a direction X perpendicular to each of the air flow direction Z and the length direction Y of the pre-filter 340.

상기 롤러(370)는 상기 한 쌍의 피니언(372)(374)을 연결하는 회전축(37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피니언(372)(374)과 회전축(376)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The roller 370 may include a rotation shaft 376 connecting the pair of pinions 372 and 374. The pair of pinions 372 and 374 and the rotation shaft 376 may be rotated integrally.

상기 프리 필터(340)에는 상기 롤러(370)의 구동기어에 치합된 종동 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종동 기어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리 필터(340)에 형성된 한 쌍의 랙(346)(348)일 수 있다. The pre-filter 340 may be provided with a driven gear engaged with the driving gear of the roller 370. As shown in FIG. 18, the driven gear may be a pair of racks 346 and 348 formed on the pre-filter 340.

상기 한 쌍의 랙(346)(348)은 상기 구동기어를 구성하는 상기 한 쌍의 피니언(372)(374)과 치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랙(346)(348)은 필터 바디(344)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랙(346)(348)은 필터 바디(344)의 저면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랙(346)(348) 각각은 상기 프리 필터(340)의 길이 방향(Y)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프리 필터(346)(348)의 길이 방향(Y)과 직교한 방향(X)으로 이격될 수 있다. The pair of racks 346 and 348 may be engaged with the pair of pinions 372 and 374 constituting the driving gear. The pair of racks 346 and 348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lter body 344. The pair of racks 346 and 348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er body 344. Each of the pair of racks 346 and 348 is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f the pre-filter 340 and 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f the pre-filters 346 and 348 (X ) Can be separated.

상기 프리 필터(340)는 상기 롤러(370)의 회전시,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370)의 외둘레를 따라 상기 필터 케이스(310)의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다. The pre-filter 340 may be moved inside the filter case 310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ller 370 as shown in FIGS. 21 and 22 when the roller 370 rotates. .

상기 프리 필터(340)는 휠 수 있는 플렉서블 필터일 수 있다. The pre-filter 340 may be a flexible filter that can be bent.

상기 프리 필터(340) 중 상기 롤러(370)와 접속된 부분은 상기 롤러(370)의 외둘레를 따라 호 형상으로 휠 수 있고, 상기 프리 필터(340) 중 상기 롤러(370)와 접속되지 않은 부분은 상기 필터 케이스(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대략 평평한 형상으로 펼쳐질 수 있다. A portion of the pre-filter 340 connected to the roller 370 may be bent in an arc shape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ller 370, and not connected to the roller 370 among the pre-filter 340 The portion may be unfolded in a substantially flat shap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lter case 310.

상기 프리 필터(340)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 케이스(310) 내부에서 먼지 등의 이물질을 거를 수 있고, 상기 프리 필터(340)에 걸러진 먼지 등의 이물질은 상기 프리 필터(340)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370)의 외둘레를 따라 이동되는 동안 상기 필터 케이스(310)의 내부에서 분리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1, the pre-filter 340 may filter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the inside of the filter case 310, and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iltered by the pre-filter 340 may be removed from the pre-filter ( As illustrated in FIG. 22, while 340 is mov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ller 370, it may be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filter case 310.

상기 프리 필터(340)의 구동기어는 상기 프리 필터(340)의 위치와 상관없이 롤러(370)에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정전 필터(350)는 상기 롤러(370)의 옆에 상기 롤러(370)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driving gear of the pre-filter 340 is kept engaged with the roller 370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pre-filter 340, and the electrostatic filter 350 is located next to the roller 370. It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oller 370.

상기 프리 필터(340)의 길이(L6)는 상기 정전 필터(350)의 길이(L7) 보다 길 수 있고, 상기 프리 필터(340)의 일부 영역은 상기 정전 필터(350)과 상기 롤러(370)의 사이를 향할 수 있다. 상기 프리 필터(340)는 상기 정전 필터(350)와 롤러(370) 사이의 틈으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length L6 of the pre-filter 340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L7 of the electrostatic filter 350, and a partial region of the pre-filter 340 includes the electrostatic filter 350 and the roller 370 You can face between. The pre-filter 340 may minimize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flowing into the gap between the electrostatic filter 350 and the roller 370.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롤러(370)을 회전시키기 위한 롤러 회전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 회전기구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에 장착되거나 본체(10)에 장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 roller rotating mechanism for rotating the roller 370. The roller rotating mechanism may be mounted on the filter assembly 300 or mounted on the main body 10.

상기 롤러 회전기구는 상기 샤시(30) 또는 케이스(100)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롤러 회전기구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의 인출시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와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롤러 회전기구가 샤시(30) 또는 케이스(100)에 장착될 경우, 상기 롤러(370)는 상기 롤러 회전기구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roller rotating mechanism may be mounted on the chassis 30 or the case 100, and the roller rotating mechanism may be separated from the filter assembly 300 when the filter assembly 300 is withdrawn. That is, when the roller rotating mechanism is mounted on the chassis 30 or the case 100, the roller 370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roller rotating mechanism.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의 장착시 상기 롤러(370)는 상기 롤러 회전기구와 접속되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의 인출시, 상기 롤러는 상기 롤러 회전기구와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는 그 전체가 물 등의 세척액에 의해 간편하게 세척될 수 있다. When the filter assembly 300 is mounted, the roller 370 may be connected to and connected to the roller rotating mechanism, and when the filter assembly 300 is withdrawn, the roller may be separated from the roller rotating mechanism. The entire filter assembly 300 can be easily cleaned with a washing liquid such as water.

상기 롤러 회전기구는 상기 롤러(370) 특히, 한 쌍의 피니언(372)(374) 중 어느 하나(372)와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는 커넥터(377)와, 상기 커넥터(377)를 회전시키는 롤러 회전모터(378)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oller rotation mechanism includes a connector 377 detachably connected to the roller 370, in particular, any one 372 of a pair of pinions 372 and 374, and a roller rotating the connector 377. It may include a motor 378.

상기 롤러 회전모터(378)는 상기 커넥터(377)에 연결된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The roller rotation motor 378 may include a rotation shaft connected to the connector 377.

상기 브러시 유닛(380)은 상기 필터 케이스(31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롤러(370)의 회전시 상기 프리 필터(340)는 상기 브러시 유닛(380)과 접촉될 수 있다. The brush unit 380 may be disposed on the filter case 310. When the roller 370 rotates, the pre-filter 340 may contact the brush unit 380.

상기 필터 케이스(310)에는 상기 브러시 유닛(380)이 삽입되는 브러시 유닛 수용부(34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러시 유닛 수용부(349)는 상기 어퍼 커버(320)와 로어 케이스(33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러시 유닛(380)은 상기 브러시 유닛 수용부(349)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A brush unit accommodating part 349 into which the brush unit 380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filter case 310. The brush unit accommodating part 349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upper cover 320 and the lower case 330. The brush unit 380 may be inserted into the brush unit accommodating part 349.

상기 필터 케이스(310)에는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이 삽입되어 수용되는 더스트 박스 모듈 공간(S7)과, 필터가 수용되는 필터 공간(S8)이 형성될 수 있다. The filter case 310 may include a dust box module space S7 in which the dust box module 390 is inserted and accommodated, and a filter space S8 in which a filter is accommodated.

상기 브러시 유닛 수용부(349)는 필터 케이스(310)의 내부를 더스트 박스 모듈 공간(S7)과, 필터가 수용되는 필터 공간(S8)으로 구획할 수 있다. The brush unit accommodating part 349 may divide the inside of the filter case 310 into a dust box module space S7 and a filter space S8 in which the filter is accommodated.

상기 브러시 유닛(380)은 더스트 박스 모듈 수용공간(S7)로 삽입된 후,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 수용공간(S7)에서 상기 브러시 유닛 수용부(349)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The brush unit 380 may be inserted into the dust box module receiving space S7 and then inserted into the brush unit receiving part 349 from the dust box module receiving space S7.

상기 브러시 유닛(380)은 상기 필터 케이스(310)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롤러(370) 옆에 위치되게 상기 필터 케이스(310)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브러시 유닛(380)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370)와 더스트 박스 모듈(39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brush unit 380 is disposed on the filter case 310, it may be disposed on the filter case 310 to be positioned next to the roller 370, and the brush unit 380 is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roller 370 and the dust box module 390.

상기 브러시 유닛(380)은 상기 프리 필터(340) 중 상기 롤러(370)를 따라 호 형상으로 굽은 부분과 접촉될 수 있다. The brush unit 380 may contact a portion of the pre-filter 340 bent in an arc shape along the roller 370.

상기 브러시 유닛(380)은 상기 브러시 유닛 수용부(349)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브러시 바디(382)와, 상기 브러시 바디(382)에 형성되어 상기 프리 필터(340)에 접촉되는 브러시 모(384)를 포함할 수 있다.The brush unit 380 includes a brush body 382 inserted and disposed in the brush unit accommodating portion 349, and a brush hair 384 formed in the brush body 382 to contact the pre-filter 340 It may include.

상기 브러시 바디(382)에는 공기 및 먼지가 통과할 수 있는 먼지 통로(38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먼지 통로(381)는 상기 롤러(370)를 향할 수 있고, 상기 프리 필터(340) 중 상기 롤러(370)와 브러시 바디(382)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분리된 먼지는 상기 먼지 통로(381)를 통해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으로 흡입될 수 있다. A dust passage 381 through which air and dust can pass may be formed in the brush body 382. The dust passage 381 may face the roller 370, and the dust separated at a portion of the pre-filter 340 located between the roller 370 and the brush body 382 is the dust passage ( It may be sucked into the dust box module 390 through 381.

상기 브러시 모(384)는 브러시 바디(382) 중 상기 롤러(370)를 향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프리 필터(340) 중 상기 롤러(370)를 따라 굽은 부분과 접촉될 수 있다. The brush bristle 384 may be formed on a surface of the brush body 382 facing the roller 370, and may be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pre-filter 340 bent along the roller 370.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은 상기 필터 케이스(31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은 상기 브러시 유닛 수용부(349) 옆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브러시 유닛(380)과 연결될 수 있다. The dust box module 390 may be disposed on the filter case 310. The dust box module 390 may be disposed next to the brush unit accommodating part 349 and may be connected to the brush unit 380.

상기 어퍼 커버(320)의 길이(L4)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어 케이스(330)의 길이(L5) 보다 길 수 있다. 상기 로어 케이스(330)와 어퍼 커버(320)의 사이에는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이 수용되는 더스트 박스 모듈 수용공간(S7)이 형성될 수 있다.The length L4 of the upper cover 320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L5 of the lower case 330 as shown in FIG. 16. A dust box module accommodation space S7 in which the dust box module 390 is accommodated may be formed between the lower case 330 and the upper cover 320.

상기 브러시 유닛 수용부(349)이 상기 로어 케이스(330)에 형성될 경우, 상기 어퍼 커버(320)는 상기 브러시 유닛 수용부(349)와 이격된 일측벽(32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 커버(320)의 일측벽은 수평 방향으로 상기 브러시 유닛 수용부(349)를 향할 수 있다.When the brush unit accommodating portion 349 is formed in the lower case 330, the upper cover 320 may include a side wall 329 spaced apart from the brush unit accommodating portion 349. One side wall of the upper cover 320 may face the brush unit accommodating part 349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 수용공간(S7)은 브러시 유닛 수용부(349)와, 상기 어퍼 커버(320)의 일측벽(329)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The dust box module accommodation space S7 may be defined as an empty space formed between the brush unit accommodation part 349 and one side wall 329 of the upper cover 320.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에는 상기 필터 특히, 프리 필터(340)에서 분리된 먼지가 수용되는 집진 공간(S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는 더스트 박스(393)를 포함할 수 있다.The dust box module 390 may be provided with a dust collecting space S6 in which dust separated from the filter, in particular, the pre-filter 340 is accommodated. The dust box module 390 may include a dust box 393.

상기 더스트 박스(393)의 내부에는 먼지가 쌓이는 집진 공간(S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더스트 박스(390)에는 공기 및 먼지가 상기 집진 공간(S6)으로 유입되기 위해 통과하는 입구부(39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더스트 박스(390)에는 먼지와 분리된 공기가 상기 집진 공간(S6)에서 유출되기 위해 통과하는 출구부(392)가 형성될 수 있다. A dust collecting space S6 in which dust accumulates may be formed in the dust box 393. The dust box 390 may be provided with an inlet portion 391 through which air and dust are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space S6. The dust box 390 may be provided with an outlet portion 392 through which air separated from dust passes to flow out of the dust collecting space S6.

상기 더스트 박스(393)은 내부가 개폐될 수 있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있다. 상기 더스트 박스(393)는 제1바디(394)와, 제1바디(394)에 연결된 제2바디(39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394)와 제2바디(395)의 사이에는 먼지가 수용되는 집진 공간(S6)이 형성될 수 있다. The dust box 393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members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inside. The dust box 393 may include a first body 394 and a second body 395 connected to the first body 394. A dust collecting space S6 in which dust is accommodated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body 394 and the second body 395.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은 상기 필터 케이스(3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필터 케이스(310)와 함께 상기 수용 바디(114)에서 인출되거나 상기 수용 바디(114)로 삽입될 수 있다. The dust box module 39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lter case 310, and may be extracted from the receiving body 114 or inserted into the receiving body 114 together with the filter case 310. have.

상기 더스트 박스(393)에는 상기 필터 케이스(310)에 지지되는 걸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더스트 박스(393)는 상기 더스트 박스(393)와 필터 케이스(31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자석과 상기 더스트 박스(393)와 필터 케이스(310)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된 상자성체 또는 강자성체에 의해 상기 필터 케이스(31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더스트 박스(393)는 더스트 박스(393)와 필터 케이스(31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후크과 상기 더스트 박스(393)와 필터 케이스(310)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된 후크 걸이에 의해 상기 필터 케이스(31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A hook portion supported by the filter case 310 may be formed in the dust box 393. The dust box 393 is formed by a magnet disposed in one of the dust box 393 and the filter case 310 and a paramagnetic or ferromagnetic material disposed in the other of the dust box 393 and filter case 310. It is also possible to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lter case 310. The dust box 393 is the filter case by a hook disposed in one of the dust box 393 and the filter case 310 and a hook hanger disposed in the other of the dust box 393 and the filter case 310.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detachably to (310).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은 상기 집진 공간(S6)에 수용된 더스트 필터(39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스트 필터(396)은 상기 프리 필터(340)에서 이동된 먼지가 걸러지되, 공기는 통과할 수 있는 먼지 수집필터일 수 있다. The dust box module 390 may further include a dust filter 396 accommodated in the dust collecting space S6. The dust filter 396 may be a dust collection filter through which dust moved from the pre-filter 340 is filtered, but air can pass therethrough.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은 이너 셔터(39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셔터(397)은 상기 더스트 박스(393) 내부에서 상기 입구부(391)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셔터(397)은 상기 더스트 박스(393)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dust box module 390 may further include an inner shutter 397. The inner shutter 397 may open and close the inlet 391 inside the dust box 393. The inner shutter 397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dust box 393.

상기 이너 셔터(397)은 상기 집진 공간(S6)의 공기가 상기 셕션 유닛(400)으로 석션되어 상기 집진 공간(S6)의 압력이 상기 먼지 통로(381)의 압력 보다 낮으면, 상기 먼지 통로(381)와 상기 집진 공간(S6)의 압력 차에 의해 상측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입구부(391)를 개방할 수 있다. In the inner shutter 397, when the air in the dust collecting space S6 is sucked into the section unit 400 and the pressure in the dust collecting space S6 is lower than the pressure of the dust passage 381, the dust passage ( 381 and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dust collecting space (S6) can be rotated upward, and the inlet portion 391 can be opened.

상기 이너 셔터(397)는 상기 석션 유닛(400)이 오프되고, 상기 먼지 통로(381)의 압력과 상기 집진 공간(S6)의 압력이 균일해지면, 상기 이너 셔터(397)의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입구부(391) 주변에 접촉될 수 있고, 상기 입구부(391)를 차폐할 수 있다. When the suction unit 400 is turned off and the pressure of the dust passage 381 and the pressure of the dust collecting space S6 become uniform, the inner shutter 397 moves downward by the weight of the inner shutter 397. It may be rotated to contact the periphery of the inlet 391 and shield the inlet 391.

상기 이동기구(500)는 후퇴모드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의 집진 공간(S6)이 석션 유닛(400)에 형성된 인렛 유로(462)과 연통되는 위치로 상기 필터 케이스(310)을 이동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19 in the retreat mode, the moving mechanism 500 is positioned at a position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space S6 of the dust box module 390 communicates with the inlet flow path 462 formed in the suction unit 400. The filter case 310 can be moved.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 필터가 청소되지 않을 때의 프리 필터와 롤러와 브러시가 도시된 확대 단면도이며,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프리 필터가 청소될 때의 단면도이다.FIG. 2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e-filter, rollers, and brushes when the pre-filt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cleaned, and FIG. 2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pre-filter shown in FIG.

상기 필터 케이스(310)에는 상기 프리 필터(34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A guid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pre-filter 340 may be formed in the filter case 310.

상기 가이드는 상기 롤러(370)의 회전시 상기 프리 필터(340)가 상기 롤러(370)의 외둘레를 따라 이동되게 안내하는 필터 가이드(334)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may include a filter guide 334 for guiding the pre-filter 340 to move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ller 370 when the roller 370 is rotated.

상기 필터 가이드(334)에는 상기 프리 필터(340)가 접촉되는 가이드면(3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가이드(334)는 상기 필터 케이스(310)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는 상기 필터 가이드(3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guide surface 335 to which the pre-filter 340 contacts may be formed on the filter guide 334. The filter guide 334 may be disposed on the filter case 310, and the filter assembly 300 may further include the filter guide 334.

상기 필터 가이드(334)는 상기 롤러(370)의 외둘레면을 둘러싸는 형상일 수 있고, 상기 가이드면(335)은 상기 필터 가이드(334) 중 상기 롤러(370)의 외둘레면을 향하는 내둘레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The filter guide 334 may have a shape surround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ller 370, and the guide surface 335 is an inner surface of the filter guide 334 fac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ller 370. It can be defined as the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필터 가이드(334)의 적어도 일부는 호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필터 가이드(334) 중 상기 호 형상인 부분의 반경은 상기 롤러(370)의 반경 보다 클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filter guide 334 may have an arc shape. A radius of the arc-shaped portion of the filter guide 334 may be larger than a radius of the roller 370.

상기 필터 가이드(334)는 상기 롤러(370)의 직경 보다 큰 간격으로 이격된 제1가이드(336) 및 제2 가이드(337)와, 상기 제1 가이드(336) 및 제2 가이드(337)를 잇는 제3 가이드(339)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lter guide 334 includes a first guide 336 and a second guide 337, and the first guide 336 and the second guide 337 spaced apart at intervals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roller 370. It may include a connecting third guide 339.

상기 가이드는 상기 프리 필터(340)가 공기유동방향으로 상기 정전 필터(350) 이후로 이동되게 안내하는 가이드 바디(3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guide may further include a guide body 324 guiding the pre-filter 340 to be moved after the electrostatic filter 350 in the air flow direction.

상기 가이드 바디(324)는 상기 프리 필터(340)가 상기 정전 필터(350)와 로어 케이스(330) 사이로 이동되게 안내할 수 있다.The guide body 324 may guide the pre-filter 340 to move between the electrostatic filter 350 and the lower case 330.

상기 가이드 바디(324)는 상기 필터 케이스(3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디(323)는 상기 필터 케이스(310)의 내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거나 상기 로어 케이스(33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디(323)는 상기 로어 케이스(330)의 하판 일부일 수 있다.The guide body 324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lter case 310. The guide body 323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case 310 or may be formed under the lower case 330. The guide body 323 may be a part of the lower plate of the lower case 330.

상기 가이드 바디(324)는 상기 프리 필터(340) 중 상기 롤러(370)의 외둘레를 따라 이동된 부분이 상기 정전 필터(350)와 로어 케이스(330) 사이로 이동되게 안내할 수 있다. The guide body 324 may guide a portion of the pre-filter 340 that is mov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ller 370 to be moved between the electrostatic filter 350 and the lower case 330.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는 필터 청소의 신뢰성 및 청소 성능을 위해, 흡입력이 큰 고성능 석션 유닛(40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석션 유닛(400)은 그 내부에서 발생된 진동이 케이스(100)나 더스트 박스 모듈(390)으로 전달되는 것이 최소화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air conditioner as described above, for reliability and cleaning performance of filter cleaning, it is preferable that a high-performance suction unit 400 having a large suction power is installed, and in such a suction unit 400,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case 100 is It is desirable to be configured to minimize the transmission to the dust box module 390.

이하, 석션 유닛(4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uction unit 4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션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석션 유닛에 더스트 박스 모듈이 접속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며,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션 유닛의 단면도이다. 2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4 is a perspective view when a dust box module is connected to the suction unit shown in FIG. 23, and FIG. 25 is a su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상기 석션 유닛(400)은 석션 하우징(410)과, 팬 모터(42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uction unit 400 may include a suction housing 410 and a fan motor 420.

상기 석션 하우징(410)은 석션 유닛(4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The suction housing 410 may form the exterior of the suction unit 400.

상기 석션 하우징(410)의 일측에는 개구부(4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석션 하우징(410)의 내부에는 팬 모터 수용공간(S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석션 하우징(410)은 팬 모터 수용공간(S9)에 수용되는 팬 모터(420)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석션 하우징(410)의 타측에는 타측에 배기공(413)가 형성될 수 있다.An opening 411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suction housing 410. A fan motor accommodation space S9 may be formed inside the suction housing 410. The suction housing 410 may protect the fan motor 420 accommodated in the fan motor accommodating space S9. An exhaust hole 413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ction housing 410.

상기 석션 하우징(410)은 상부에 상기 개구부(411)가 형성될 수 있고, 하부에 상기 배기공(413)이 형성될 수 있다.The suction housing 410 may have the opening 411 formed at an upper portion and the exhaust hole 413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uction housing 410.

상기 개구부(411)는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과 근접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이 상기 석션 유닛(400)의 상측에서 상기 석션 유닛(400)과 접속될 경우, 상기 개구부(411)는 상기 석션 하우징(4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opening 411 is preferably located close to the dust box module 390, and when the dust box module 390 is connected to the suction unit 400 from the upper side of the suction unit 400, The opening 411 is preferably formed above the suction housing 410, and may be formed to be open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배기공(413)은 상기 팬 모터(420)에서 송풍된 공기가 상기 석션 하우징(410) 외부로 배기되는 홀일 수 있다. 상기 배기공(413)은 상기 석션 하우징(410)에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The exhaust hole 413 may be a hole through which the air blown from the fan motor 420 is exhausted to the outside of the suction housing 410. A plurality of exhaust holes 413 may be formed in the suction housing 410.

상기 배기공(413)은 상기 프리 필터(340) 및 더스트 박스 모듈(390)와 최대한 이격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이 상기 석션 유닛(400)의 상측에서 상기 석션 유닛(400)과 접속될 경우, 상기 배기공(413)은 상기 석션 하우징(4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공기를 하측 방향으로 배기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xhaust hole 413 is preferably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re-filter 340 and the dust box module 390 as much as possible, and the dust box module 390 is positioned above the suction unit 400. When connected to 400, the exhaust hole 413 is preferably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uction housing 410, and is preferably formed to exhaust air in a downward direction.

상기 석션 하우징(410)는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고, 샤시(30)와 케이스(100) 중 적어도 하나에 체결될 수 있다. The suction housing 410 may be coupled to the body 10 and may be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chassis 30 and the case 100.

상기 석션 하우징(410)은 상기 팬 모터(420)의 외면을 둘러싸는 구성이고, 상기 팬 모터(420)가 내장될 수 있도록 복수개 하우징 바디(414)(415)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uction housing 410 may be configur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an motor 420 and may be configured a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housing bodies 414 and 415 so that the fan motor 420 may be embedded.

상기 석션 하우징(410)은 제1하우징 바디(414)와, 상기 제1하우징 바디와 결합된 제2하우징 바디(4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ction housing 410 may include a first housing body 414 and a second housing body 415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body.

상기 제1하우징바디(414)와 제2하우징바디(415)의 사이에 상기 팬 모터 수용공간(S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바디(414)와 제2하우징바디(415)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다.The fan motor accommodation space S9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housing body 414 and the second housing body 415. The first housing body 414 and the second housing body 415 may be fastened with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상기 개구부(411)는 상기 제1하우징(414)와 제2하우징(415)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opening 411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housing 414 and the second housing 415.

상기 배기공(413)은 상기 제1하우징(414)와 제2하우징(415)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The exhaust hole 413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first housing 414 and the second housing 415.

상기 팬 모터(420)는 상기 팬 모터 수용공간(S9)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팬 모터(420)는 상기 셕션 하우징(410)에 연결되어 상기 석션 하우징(410)에 지지될 수 있다. The fan motor 420 may be accommodated in the fan motor accommodation space S9. The fan motor 420 may be connected to the section housing 410 and supported by the suction housing 410.

상기 팬 모터(420)는 모터(420)와, 임펠러(440)와, 임펠러 하우징(45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an motor 420 may include a motor 420, an impeller 440, and an impeller housing 450.

상기 모터(420)는 모터 하우징(431) 내부에 스테이터(432) 및 로터(433)이 수용될 수 있고, 상기 로터(433)에 회전축(434)이 연결될 수 있다. In the motor 420, a stator 432 and a rotor 433 may be accommodated in the motor housing 431, and a rotation shaft 434 may be connected to the rotor 433.

상기 회전축(434)는 상기 모터 하우징(432)을 관통할 수 있고, 일부가 상기 임펠러 하우징(450)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The rotation shaft 434 may pass through the motor housing 432, and a part of the rotation shaft 434 may extend into the impeller housing 450.

상기 임펠러(440)는 상기 회전축(434)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회전축(434) 중 상기 임펠러 하우징(450)로 연장된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440)는 상기 모터(420)의 구동시 상기 회전축(434)와 함게 회전될 수 있다. The impeller 440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434, and may be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rotation shaft 434 extending to the impeller housing 450. When the motor 420 is driven, the impeller 440 may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shaft 434.

상기 팬 모터는 원심팬 또는 사류팬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임펠러(440)는 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원심 방향으로 송풍하거나 하측 경사 방향으로 송풍할 수 있다. 상기 임펠러(440)의 그 상측의 공기를 흡인하여 수평 방향으로 송풍하거나 하측 경사 방향으로 송풍할 수 있다. The fan motor may include a centrifugal fan or a four-flow fan, and the impeller 440 may suck air in an axial direction and blow it in a centrifugal direction or blow it in a downward oblique direction. Air on the upper side of the impeller 440 may be sucked and blown in a horizontal direction or in a downward inclined direction.

상기 임펠러(440)는 상기 회전축(434)에 연결된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mpeller 440 may include a hub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434 and a plurality of blade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ub.

상기 임펠러 하우징(450)는 상기 임펠러(440)의 외둘레를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 하우징(450)는 상기 모터 하우징(431)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 하우징(450)은 상기 모터 하우징(421)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The impeller housing 450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mpeller 440. The impeller housing 450 may be coupled to the motor housing 431. The impeller housing 450 may b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otor housing 421.

상기 팬 모터(420)는 상기 임펠러 하우징(450)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모터 하우징(431)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임펠러 하우징(450)과 모터 하우징(432)의 사이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fan motor 420 may have a discharge port formed in the impeller housing 450, and a discharge port may be formed in the motor housing 431, and the impeller housing 450 and the motor housing 432 It is possible that a discharge port is formed between.

상기 팬 모터(420)를 구성하는 모터(420)는 회전축(434)이 수만 RPM 이상의 고속으로 회전될 수 있는 고속 모터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팬 모터(420)는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과 상기 임펠러 하우징(450) 사이의 공기 누설을 최소화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otor 420 constituting the fan motor 420 may be configured as a high-speed motor capable of rotating the rotating shaft 434 at a high speed of tens of thousands of RPM or more, and the fan motor 420 is the dust box module 390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leakage between the and the impeller housing 450 is minimized.

한편, 상기 모터(420)의 구동시, 상기 팬 모터(420)의 진동은 클 수 있고, 이러한 진동은 임펠러 하우징(450)이나 더스트 박스 모듈(39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임펠러 하우징(450)은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과 직접 접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when the motor 420 is driven, the vibration of the fan motor 420 may be large, and such vibr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impeller housing 450 or the dust box module 390, and the impeller housing 450 ) Is preferably not in direct contact with the dust box module 390.

상기 팬 모터(420)는 적어도 하나의 방진부재에 의해 상기 석션 하우징(4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펠러 하우징(450)은 이러한 방진부재에 의해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과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an motor 420 may be connected to the suction housing 410 by at least one anti-vibration member. In addition, the impeller housing 450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dust box module 390 by such a vibration isolating member.

상기 팬 모터(420)가 방진부재를 포함할 경우, 상기 팬 모터(420)에서 발생된 진동은 상기 방진부재에 흡수될 수 있으며, 상기 상기 셕션 하우징(410)로 전달되는 진동 및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으로 전달되는 진동은 최소화될 수 있다. When the fan motor 420 includes a vibration isolating member,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fan motor 420 may be absorbed by the vibration isolating member, and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section housing 410 and the dust box module Vibration transmitted to 390 can be minimized.

이를 위해, 상기 팬 모터(420)는 상기 임펠러 하우징(450)과 상기 개구부(431) 사이에 배치된 제1방진부재(460)를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fan motor 420 may include a first anti-vibration member 460 disposed between the impeller housing 450 and the opening 431.

상기 제1방진부재(460)의 내부에는 공기를 임펠러(440)로 안내하는 인렛 유로(46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렛 유로(462)는 상기 제1방진부재(460)의 내부에 대략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An inlet flow path 462 for guiding air to the impeller 440 may be formed inside the first vibration isolating member 460. The inlet flow path 462 may be formed to be opened substanti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first vibration isolating member 460.

상기 인렛 유로(462)는 상기 집진 공간(S6)과 연통되어 상기 집진 공간(S6)에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 형성 유로일 수 있다. The inlet passage 462 may be a vacuum forming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dust collecting space S6 to form a vacuum in the dust collecting space S6.

상기 제1방진부재(460)은 상기 개구부(411)의 주변을 감싸면서 상기 개구부(411)에 끼워지는 제1끼움부(46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vibration isolating member 460 may include a first fitting portion 464 that is fitted into the opening 411 while surrounding the opening 411.

상기 제1끼움부(464)는 제1방진부재(460)의 상부에 형성된 어퍼 끼움부일 수 있고, 상기 석션 하우징(410)과 끼움되는 석션 하우징 끼움부일 수 있다. The first fitting portion 464 may be an upper fitting portion formed on the first vibration isolating member 460, and may be a suction housing fitting portion fitted with the suction housing 410.

상기 제1끼움부(464)의 상단은 상기 제1방진부재(460)의 상단일 수 있다.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이 상기 수용 바디(114)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제1끼움부(464)의 상단은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의 저면 특히,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의 출구부(392) 주변과 접촉되는 접촉단일 수 있다. An upper end of the first fitting part 464 may be an upper end of the first vibration isolating member 460. When the dust box module 39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body 114, the upper end of the first fitting part 464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dust box module 390, particularly, the outlet of the dust box module 390 It may be a contact end contacting the periphery of the part 392.

상기 제1방진부재(460)는 상기 임펠러 하우징(450)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제2끼움부(4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vibration isolating member 46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fitting portion 466 inserted into and fitted into the impeller housing 450.

상기 제2끼움부(466)는 제1방진부재(460)의 하부에 형성된 로어 끼움부일 수 있고, 상기 임펠러 하우징(450)과 끼움되는 임펠러 하우징 끼움부일 수 있다.The second fitting portion 466 may be a lower fitting portion formed under the first vibration-isolating member 460, and may be an impeller housing fitting portion fitted with the impeller housing 450.

상기 제1방진부재(460)는 소정 높이를 갖는 입체적 형상일 수 있고, 제2끼움부(466)가 상기 제1끼움부(464)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휘거나 수직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고무 재질 등의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vibration isolating member 460 may have a three-dimension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second fitting portion 466 may be bent in a horizontal direction or lift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fitting portion 464. It may be formed of a material, and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a rubber material.

상기 제1방진부재(460)는 공기를 임펠러 하우징(450)의 안내하는 에어 가이드로 기능할 수 있고, 상기 인렛 유로(462)는 상기 집진 공간(S6)과 연통되어 상기 집진 공간(S6)의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 형성 통로일 수 있다.The first vibration isolating member 460 may function as an air guide for guiding air to the impeller housing 450, and the inlet flow path 462 communicates with the dust collection space S6 to form the dust collection space S6. It may be a vacuum forming passage for forming a vacuum.

상기 모터(420)의 진동은 상기 모터 하우징(431)으로 전달될 수 있고, 상기 팬 모터(420)는 상기 모터 하우징(431)이 별도의 방진부재에 의해 상기 석션 하우징(410)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Vibration of the motor 420 may be transmitted to the motor housing 431, and the fan motor 420 may be supported by the suction housing 410 by a separate vibration-isolating member. desirable.

이를 위해, 상기 팬 모터(420)는 상기 석션 하우징(410)과 상기 모터(420) 사이에 배치된 제2방진부재(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fan motor 42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vibration isolating member 470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housing 410 and the motor 420.

상기 제2방진부재(470)은 모터 하우징(431)에서 전달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 예를 들면,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vibration isolating member 47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motor housing 431, for example,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상기 셕션 하우징(410)은 하판(416)에 상기 제2방진부재(470)가 수용되는 중공 바디(417)가 형성될 수 있다.A hollow body 417 in which the second vibration isolating member 470 is accommodated may be formed on a lower plate 416 of the section housing 410.

상기 중공 바디(417)는 상기 제1하우징 바디(414)와 상기 제2하우징 바디(414)의 결합시 중공 원통 형상일 수 있다. The hollow body 417 may have a hollow cylindrical shape when the first housing body 414 and the second housing body 414 are combined.

상기 제2방진부재(470)은 상기 모터(420)의 모터 하우징(431) 외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상기 중공 바디(417)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The second vibration isolating member 470 may be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motor housing 431 of the motor 420 and may be accommodated in the hollow body 417.

상기 석션 유닛(400)은 상기 모터(420)에 연결된 전선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선은 상기 셕션 하우징(410)을 관통하여 상기 모터(420)에 연결될 수 있다. The suction unit 400 may further include a wire connected to the motor 420, and the wire may pass through the section housing 410 and be connected to the motor 420.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션 유닛의 저면도이다.26 is a bottom view of a su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석션 유닛(400)은 석션 하우징(410)에 공기가 석션 하우징(410) 외부로 배기되는 배기공(413)과, 상기 모터(420)와 연결된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 통공(418)이 함께 형성될 수 있다. In the suction unit 400 of this embodiment, an exhaust hole 413 through which air is exhausted to the outside of the suction housing 410 and a wire through hole 418 through which the wire connected to the motor 420 passes. Can be formed together.

이러한 배기공(413)과 전선 통공(418)은 상기 석션 하우징(410)의 하판(418)에 함께 형성될 수 있다.The exhaust hole 413 and the wire through hole 418 may be formed together in the lower plate 418 of the suction housing 410.

상기 배기공(413) 및 전선 통공(418)은 상기 중공 바디(417)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전선 통공(418)은 상기 배기공(413) 주변에 상기 배기공(413)과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exhaust hole 413 and the wire through hole 418 may be formed around the hollow body 417, and the wire through hole 418 is spaced apart from the exhaust hole 413 around the exhaust hole 413 Can be formed.

상기 배기공(413)은 원형 홀로 형성될 수 있다.The exhaust hole 413 may be formed as a circular hole.

상기 전선 통공(414)은 제조업자나 서비스업자가 배기공(413)과 전선 통공(414)을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사각형 등의 다각형 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선 통공(414)는 제1하우징 바디(414)와 제2하우징바디(415)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wire through hole 414 may be formed as a polygonal hole such as a square so that a manufacturer or service provider can easily distinguish the exhaust hole 413 from the wire through hole 414. The wire through-hole 414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housing body 414 and the second housing body 415.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션 유닛이 케이스에 체결되었을 때의 배면도이며,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방진부재 및 수용 바디가 도시된 평면도이다.27 is a rear view when a su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to a case, and FIG. 28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vibration isolating member and a receivin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석션 하우징(410)은 상기 케이스(100) 내부의 이너 공간(S1)에 수용될 수 있다. The suction housing 410 may be accommodated in an inner space S1 inside the case 100.

상기 석션 하우징(410)에는 상기 케이스(100)에 체결되는 케이스 체결부(41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체결부(418)은 상기 석션 하우징(410)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A case fastening part 418 fastened to the case 100 may be formed in the suction housing 410. A plurality of case fastening parts 418 may be formed on the suction housing 410.

상기 석션 하우징(410)은 상기 수용 바디(114)의 하측에 위치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셕션 하우징(410)은 수용 바디(114)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uction housing 410 may be coupled to be positioned under the receiving body 114, and the section housing 410 may be disposed under the receiving body 114.

상기 수용 바디(114)에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진부재(460)의 일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통공(114')이 형성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28, a through hole 114 ′ in which a part of the first vibration isolating member 460 is inserted and accommodated may be formed in the receiving body 114.

상기 통공(114')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30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이너 공간(S1)으로 유입되기 통과하는 개구부(115, 도 14 참조)와 이격된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through hole 114 ′ may be formed to be open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pening 115 (refer to FIG. 14) through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assembly 300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S1. have.

상기 석션 유닛(400)은 제1방진부재(460)의 내부에 형성된 인렛 그릴(46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390)이 수용 바디(114)에 수용되지 않고, 상기 필터 케이스(310)와 함께 상기 케이스(100) 외부로 이동될 경우,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제1방진부재(460)의 인렛 통로(462)의 내부는 노출될 수 있고, 상기 인렛 그릴(468)는 상기 팬 모터(420)의 내부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제1방진부재(46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렛 그릴(468)은 격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인렛 그릴(468)은 상기 제1방진부재(460)와 별도로 제조된 후 접착부재 등에 의해 상기 제1방진부재(460)의 내면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제1방진부재(46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suction unit 400 may further include an inlet grill 468 formed inside the first vibration isolating member 460. When the dust box module 390 is not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body 114 and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00 together with the filter case 310, the air conditioner is The inside of the inlet passage 462 may be exposed, and the inlet grill 468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rst vibration isolating member 460 to protect the inside of the fan motor 420. The inlet grill 468 may have a lattice shape. The inlet grill 468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first vibration isolating member 460 and then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vibration isolating member 460 by an adhesive member or the like, and the first vibration isolating member 460 and It is also possible to be formed integrall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390: 더스트 박스 모듈, 400: 석션 유닛
410: 석션 하우징 411: 개구부
413: 배기공 420: 모터
431: 모터 하우징 432: 스테이터
433: 로터 434: 회전축
440: 임펠러 450: 임펠러 하우징
460: 제1방진부재 470: 제2방진부재
S6: 집진 공간 S9: 팬 모터 수용공간
390: dust box module, 400: suction unit
410: suction housing 411: opening
413: exhaust hole 420: motor
431: motor housing 432: stator
433: rotor 434: rotation shaft
440: impeller 450: impeller housing
460: first vibration isolating member 470: second vibration isolating member
S6: Dust collection space S9: Fan motor accommodation space

Claims (10)

필터;
상기 필터에서 분리된 먼지가 수용되는 집진 공간이 형성된 더스트 박스 모듈; 및
상기 집진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집진 공간의 공기를 흡인하여 배기하는 석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석션 유닛은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팬 모터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타측에 배기공이 형성된 석션 하우징 및
상기 팬 모터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석션 하우징과 결합된 팬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팬 모터는
모터 하우징 내부에 로터 및 스테이터가 수용되고 상기 로터에 회전축이 연결된 모터;
상기 회전축에 연결된 임펠러;
상기 임펠러의 외둘레를 둘러싸는 임펠러 하우징; 및
상기 임펠러 하우징과 상기 개구부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 공기를 상기 임펠러로 안내하는 인렛 유로가 형성된 제1방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방진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주변을 감싸면서 상기 개구부에 끼워지는 제1끼움부와,
상기 임펠러 하우징에 끼워지는 제2끼움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filter;
A dust box module having a dust collecting space in which dust separated from the filter is accommodated; And
And a suc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dust collection space and suctioning and exhausting air in the dust collection space,
The suction unit is
A suction housing with an opening on one side, a fan motor accommodation space, and an exhaust hole on the other side, and
And a fan motor accommodated in the fan motor accommodation space and coupled to the suction housing,
The fan motor
A motor in which a rotor and a stator are accommodated in the motor housing and a rotation shaft is connected to the rotor;
An impeller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An impeller housing surrounding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impeller; And
A first vibration isolat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impeller housing and the opening and having an inlet flow path for guiding air to the impeller therein,
The first vibration isolating member
A first fitting portion that is fitted into the opening while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second fitting portion fitted to the impeller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에는 공기가 상기 집진 공간에서 유출되기 위해 통과하는 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방진부재는 상기 출구부의 주변과 접촉되는 접촉단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dust box module is provided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air passes to flow out of the dust collection space,
The first vibration isolating member is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contact end contacting the periphery of the outl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가 수용되는 필터 공간과, 상기 더스트 박스 모듈이 수용되는 더스트 박스 모듈 공간이 형성된 필터 케이스;
상기 필터 케이스가 수용되는 수용 바디가 형성되며 내부에 이너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이너 공간에 수용된 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
A filter case in which a filter space in which the filter is accommodated and a dust box module space in which the dust box module is accommodated are formed;
A case in which an accommodation body in which the filter case is accommodated is formed and an inner space is formed therein; And
An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ing a blower fan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공간이 상기 인렛 유로과 연통되는 위치로 상기 필터 케이스를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3,
An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ing a moving mechanism for moving the filter case to a position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space communicates with the inlet flow path.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 하우징은 상기 수용 바디의 하측에 배치된 공기조화기. .
The method of claim 3,
The suction housing is an air conditioner disposed under the receiving body.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 하우징은 상기 이너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석션 하우징에는 상기 케이스에 체결되는 케이스 체결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suction housing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An air conditioner having a case fastening part fastened to the case in the suction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 하우징은
상부에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배기공이 형성된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uction housing is
The opening is formed at the top,
An air conditioner having the exhaust hol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연결된 전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석션 하우징은 상기 배기공 주변에 상기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 통공이 형성된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ire connected to the motor,
The suction housing is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wire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wire passes is formed around the exhaust ho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 모터는 상기 석션 하우징과 상기 모터 사이에 배치된 제2방진부재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an motor further comprises a second vibration isolat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housing and the moto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 하우징은 하판에 상기 제2방진부재가 수용되는 중공 바디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공은 상기 중공 바디 주변에 형성된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9,
The suction housing has a hollow body in which the second vibration isolating member is accommodated on a lower plate,
The exhaust hole is an air conditioner formed around the hollow body.
KR1020200102377A 2019-03-19 2020-08-14 Air conditioner KR1022799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377A KR102279938B1 (en) 2019-03-19 2020-08-14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425A KR102231059B1 (en) 2019-03-19 2019-03-19 Air conditioner
KR1020200102377A KR102279938B1 (en) 2019-03-19 2020-08-14 Air condition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425A Division KR102231059B1 (en) 2019-03-19 2019-03-19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651A true KR20200111651A (en) 2020-09-29
KR102279938B1 KR102279938B1 (en) 2021-07-22

Family

ID=72661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377A KR102279938B1 (en) 2019-03-19 2020-08-14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93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1393A (en) * 1999-12-21 2001-09-07 Seiko Seiki Co Ltd Vacuum pump
JP2008145074A (en) * 2006-12-12 2008-06-26 Toshiba Kyaria Kk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2010029259A (en) * 2008-07-25 2010-02-12 Panasonic Corp Vacuum cleaner
KR101392322B1 (en) 2007-08-29 2014-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1393A (en) * 1999-12-21 2001-09-07 Seiko Seiki Co Ltd Vacuum pump
JP2008145074A (en) * 2006-12-12 2008-06-26 Toshiba Kyaria Kk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392322B1 (en) 2007-08-29 2014-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JP2010029259A (en) * 2008-07-25 2010-02-12 Panasonic Corp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9938B1 (en) 2021-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7846B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CN107461807B (en) Dust collector of air conditioner and have its air conditioner
KR20080007858A (en) Air conditioner
KR102245799B1 (en) Air conditioner
KR102194007B1 (en) Air conditioner
KR102267826B1 (en) Air conditioner
KR102469227B1 (en) Air conditioner
KR102231059B1 (en) Air conditioner
KR102279938B1 (en) Air conditioner
KR20200095956A (en) Air conditioner
EP4227589A1 (en) Air conditioner
CN111503744B (en) Air conditioner
KR100511979B1 (en) A duct type air-conditioner
CN105188320A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inside shielding equipment cabinet
KR102463318B1 (en) Air conditioner
KR102216681B1 (en) Air conditioner
CN205093072U (en) Inside air conditioning equipment of shielding cabinet
KR102279950B1 (en) Air conditioner
CN108633203A (en) A kind of special machine cabinet of network field
CN217235991U (en) Air purifier
KR100484868B1 (en) electric air cleaner
KR100505220B1 (en) electric dust collector fixing structure of air cleaner
KR20210009530A (en) Air conditioner
KR20050015893A (en) A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