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1460A - Rhythm pad and karaoke device for employing to it - Google Patents

Rhythm pad and karaoke device for employing to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1460A
KR20200111460A KR1020190031152A KR20190031152A KR20200111460A KR 20200111460 A KR20200111460 A KR 20200111460A KR 1020190031152 A KR1020190031152 A KR 1020190031152A KR 20190031152 A KR20190031152 A KR 20190031152A KR 20200111460 A KR20200111460 A KR 20200111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mpaniment
midi
user
sound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1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규연
Original Assignee
황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규연 filed Critical 황규연
Priority to KR1020190031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1460A/en
Publication of KR20200111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46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10H1/0025Automatic or semi-automatic music composition, e.g. producing random music, applying rules from music theory or modifying a musical pie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7/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05Musical accompaniment, i.e. complete instrumental rhythm synthesis added to a performed melody, e.g. as output by drum machines
    • G10H2210/015Accompaniment break, i.e. interrupting then restart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011Files or data streams containing coded musical information, e.g. for transmission
    • G10H2240/016File editing, i.e. modifying musical data files or streams as such
    • G10H2240/021File editing, i.e. modifying musical data files or streams as such for MIDI-like files or data strea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011Files or data streams containing coded musical information, e.g. for transmission
    • G10H2240/031File merging MIDI, i.e. merging or mixing a MIDI-like file or stream with a non-MIDI file or stream, e.g. audio or video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81Protocol or standard connector for transmission of analog or digital data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 G10H2240/311MIDI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hythm pad and a karaoke device linked with the same. Specifically, when singing a song, the karaoke device linked with the rhythm pad converts a MIDI code such as instrument sound according to at least one instrument or type of effect sound from the rhythm pad into a MIDI signal of the karaoke device for providing accompaniment music by converting user improvised accompaniment into accompaniment of the karaoke device. When the rhythm pad is improvised, user accompaniment information is generated from strike caused by the user accompaniment by simply generating the user accompaniment information through a pad instead of a response sound such as a separate instrument, for example, a tambourine or ′Wow′ of a nearby person for user accompaniment. Here, the MIDI note is set to convert the user accompaniment to accompaniment of the karaoke device by converting the MIDI signal to correspond to a different MIDI code in the karaoke device when the rhythm pad is stroke by the user accompaniment. Therefore, the karaoke device of karaoke is played by receiving and adding a MIDI code of sound according to at least one instrument of type of effect sound from the rhythm pad to a sound source as sound effect when the rhythm pad is stroke so that a singer directly intervenes in music as well as song. Therefore, when singing a song, n fixed karaoke accompaniment music, novel content in the form of user improvisation is simply generated through the pad instead of a real instrument, and the accompaniment of the song and atmosphere are easily and immediately created according to the interest of the singer.

Description

리듬 패드 및 그와 연동하는 반주기{Rhythm pad and karaoke device for employing to it}Rhythm pad and karaoke device for employing to i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노래방에서 사용하는 노래 반주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노래를 부를 시 사용자로부터 연주를 제공받아 반주로 변환해서 제공함으로써 더욱 노래 분위기와 흥 등을 일으키는 반주기에 관한 것이다.The conten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song accompaniment used in a karaoke roo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ccompaniment that generates a more singing atmosphere and excitement by receiving a performance from a user and converting it into accompaniment when singing a song.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Unless otherwise indicated herein, 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is not prior art to the claims of this application, and inclusion in this section is not admitted to be prior art.

일반적으로, 노래 반주기는 다수의 가요에 대하여 각 가요별로 식별코드가 부여되고 각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반주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가요반주기는 사용자가 특정 식별코드를 선택함에 따라 대응하는 가요 반주를 영상 정보와 함께 출력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지원한다.In general, in the song accompaniment, an identification code is assigned to each song for a plurality of songs, and accompani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identification code is stored. Accordingly, the music accompaniment supports the user to easily sing a song by outputting a corresponding music accompaniment along with image information as the user selects a specific identification code.

한편, 이러한 경우 더 나아가서 그 노래 반주기는 노래의 반주가 될 시, 사용자에서 개인적으로 구사하는 리듬반주를 별도로 표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흥겹고 개성적인 분위기를 창출해 낼 수 있도록 하였다.On the other hand, in this case, furthermore, when the song accompaniment becomes the accompaniment of the song, the rhythmic accompaniment used by the user can be expressed separately, thereby creating a more enjoyable and individual atmosphere.

이러한 배경의 선행기술은 최근 무렵까지 아래의 특허문헌 등을 통해 대표적인 기술을 공개해서 대체적으로 적은 편이다.The prior art of this background is generally few, as representative technologies have been disclosed through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s until recently.

(특허문헌 1) KR1020030045722 A (Patent Document 1) KR1020030045722 A

그리고, 이러한 특허문헌 1의 기술은 노래방기기가 사용자를 통해 터치패드가 조작될 시, 그 터치패드에서 신호를 받아 노래의 반주와 그의 효과음이 믹싱되어 박진감 있는 음악적인 효과를 얻는다.In addition, when the touch pad is operated by the user of the karaoke device, the technology of Patent Document 1 receives a signal from the touch pad and mixes the accompaniment of the song and its sound effect to obtain a thrilling musical effect.

그런데, 이러한 반주는 이렇게 음악이 발생될 시, 노래방기기에서 사용자의 터치에 따른 효과음과 노래의 곡의 반주음을 간단히 믹싱해서 된 것이다.However, such accompaniment is obtained by simply mixing the sound effect according to the user's touch and the accompaniment sound of the song in the karaoke device when music is generated in this way.

한편, 그러나 기존의 최근 가라오케 반주기는 가창자가 노래를 부를 시, 반주기에 탑재된 음원인 사운드 뱅크를 저장장치에 내장된 미디 파일을 통해 음악을 재생해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이다.On the other hand, however, the recent karaoke accompaniment is a method of playing music through a MIDI file built into a storage device by playing a sound bank, a sound source mounted on the accompaniment, when a singer sings.

그래서, 그 믹싱은 기존 노래방기기의 최근의 높은 양질의 다양한 고정적인 가라오케 반주음에 적용될 시, 고정적인 가라오케 반주 음악에서 즉흥 연주에 따른 반주음을 가창자의 연주에 따라 생성하는 것이 쉽지 않아 새로운 기술이 필요하다.So, when the mixing is applied to a variety of high-quality and high-quality fixed karaoke accompaniment notes of the existing karaoke equipment, it is not easy to generate accompaniment notes according to improvisation in fixed karaoke accompaniment music according to the singer's performance. need.

개시된 내용은, 노래를 부를 시 고정적인 가라오케 반주 음악에서 즉흥 반주의 형태의 신규 콘텐츠를 노래뿐만 아니라 가창자 등이 음악에도 직접 개입해서 발생할 수 있도록 리듬 패드 및 그와 연동하는 반주기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disclosed contents are intended to provide a rhythm pad and an accompaniment linked thereto so that new content in the form of improvised accompaniment in the fixed karaoke accompaniment music when singing a song can be generated by not only a song but also a singer directly intervening in the music.

실시예에 따른 리듬 패드와 연동하는 반주기는,The half cycle interlocked with the rhythm pa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노래를 부를 시, 리듬 패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악기 또는 효과음 종류에 따른 악기음 등의 미디 코드를 반주기의 자체적인 미디 신호로 변환해서 사용자즉흥반주를 노래 반주기반주로 변환해서 반주 음악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singing a song, it provides accompaniment music by converting at least one instrument from a rhythm pad or a MIDI chord such as an instrument sound according to the type of effect sound into its own MIDI signal of the accompaniment, and converting the user's improvised accompaniment into a song accompaniment base. To do.

이러한 경우, 실시예에 따른 반주기에 적용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듬 패드는,In this case, the rhythm p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pplied to the half cy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이렇게 즉흥 연주가 될 시, 사용자반주에 따른 타격으로부터 사용자반주정보를 간단히 패드를 통해 별도의 악기 예를 들어, 템버린 또는 주변 사람의 '와' 등의 호응 소리를 대신하여 발생해서 사용자반주한다. 이때, 그 미디 노트는 사용자반주에 따라 타격이 될 시, 반주기에서 미디 신호를 상이한 미디 코드에 대응되도록 변환해서 사용자반주가 반주기반주로 변환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improvisation is performed in this way, the user accompaniment information from the hits caused by the user accompaniment is generated instead of a response sound such as a separate instrument, for example, a tembourine or'wa' of a nearby person through a pad, and accompanied by the user. At this time, the MIDI no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t to convert the user accompaniment to an accompaniment-based note by converting the MIDI signal to correspond to a different MIDI code in the accompaniment when a hit occurs according to the user accompaniment.

실시예들에 의하면, 노래 반주기는 리듬 패드타격될 시 리듬 패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악기나 효과음 종류에 따른 음의 미디 코드를 제공받아 음원에 효과음등으로서 추가해서 재생하므로 가창자등이 노래뿐만 아니라 음악에도 직접 개입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when the song accompaniment is hit by the rhythm pad, the rhythm pad receives MIDI codes of at least one instrument or sound according to the type of sound effect, and is added to the sound source as a sound effect. Intervene directly.

따라서, 이를 통해 노래를 부를 시, 고정적인 가라오케 반주 음악에서 사용자즉흥반주의 형태의 신규 콘텐츠를 간단히 패드를 통해 실제 악기 등을 대신하여 발생해서 가창자의 흥에 따라 노래의 반주와 이의 분위기 등을 쉽게 즉시 만든다.Therefore, when a song is sung, new contents in the form of user improvised accompaniment from fixed karaoke accompaniment music are simply generated through the pad instead of real musical instruments, and the accompaniment of the song and its atmosphere are easily and immediately displayed according to the singer's excitement. Make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리듬 패드 및 그와 연동하는 반주기가 적용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적용된 일실시예에 따른 리듬 패드와 연동하는 반주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2의 반주기에 적용된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음원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도 2의 반주기에 적용된 일실시예에 따른 리듬 패드와 연동하는 반주기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5는 도 1의 리듬 패드에 적용된 일실시예에 따른 패드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ystem to which a rhythm pad and a half cycle interlocking with the rhythm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applied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half cycle interlocking with a rhythm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pplied to the system of FIG. 1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IDI sound sourc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pplied to the half cycle of FIG.
4 is a flow chart sequentially showing an operation of a half cycle in connection with a rhythm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pplied to the half cycle of FIG. 2
5 is a view for explaining in more detail a pa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pplied to the rhythm pad of FIG. 1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리듬 패드 및 그와 연동하는 반주기가 적용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ystem to which a rhythm pad and a half cycle interlocking with the rhythm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appli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시스템은 반주할 시 사용자에서 반주를 해서 즉흥반주하는 리듬 패드(100)와 즉흥반주될 시 사용자반주를 반주기반주로 변환해서 음원에서 사운드뱅크를 재생하므로 반주하는 반주기(2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system of one embodiment converts the rhythm pad 100 for improvised accompaniment by the user when accompaniment is performed and the user accompaniment to accompaniment-based notes when improvised accompaniment is performed to reproduce the sound bank from the sound source. It includes a half-cycle 200.

상기 리듬 패드(100)는 사용자 예를 들어, 노래를 부르는 사람 또는 이의 주변 사람에 의해 패드부가 타격될 시, 이러한 타격으로부터 대응되는 미디 노트를 발생해서 반주기로 신호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연주가 된다. 그래서, 이러한 리듬 패드(100)는 노래 반주기를 통해 반주가 될 시, 패드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악기/효과음 종류에 따른 음을 발생해서 간단히 패드를 통해 실제 악기를 예를 들어, 템버린 또는 '와'의 효과음을 대신해서 사용자반주가 된다. 이를 위해, 리듬 패드(100)는 반주기에 의해 반주가 될 시, 적어도 하나의 악기/효과음 종류에 대응되는 패드부로부터 사용자반주를 상기 패드부의 타격에 따라 상기 반주기로 제공해서 패드를 통해 실제 악기를 대신해서 사용자반주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우, 그 신호 전송은 예를 들어, 사용자연주에 따른 정보가 전송될 시 미리 설정된 BLE(Bluetooth Low Energy) 미디 규격으로부터 리듬 패드(100)의 미디 노트를 대응되는 무선신호의 송출 또는 유선신호로 해서 사용자반주가 전달된다. 이때, 그 BLE 미디 규격은 미디 노트가 송출될 시, 리듬 패드와 반주기 간에 미디 정보의 전송과 반주 정보로의 변환에 대응되는 무선전송에 따라 미리 설정된 통신 포맷에 의해 타격될 시마다의 미디 노트를 대응되는 무선신호로 송출해서 된다.When the pad part is hit by a user, for example, a person singing a song or a person around it, the rhythm pad 100 generates a corresponding MIDI note from the hit and transmits a signal in a half cycle to become a user performance. Thus, when the rhythm pad 100 becomes accompaniment through a song accompaniment, it generates a sound according to at least one instrument/effect sound type from the pad unit, and simply uses the pad to create a real instrument, for example, a tembourine or'wa'. It becomes the user accompaniment instead of the sound effect of. To this end, when accompaniment is performed by the accompaniment, the rhythm pad 100 provides the user accompaniment from the pad unit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type of instrument/effect sound in the accompaniment according to the hit of the pad unit, thereby providing a real musical instrument through the pad. Instead, user accompaniment takes place. In this case, the signal is transmitted, for example, from the preset BLE (Bluetooth Low Energy) MIDI standard whe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performance is transmitted, the MIDI note of the rhythm pad 100 as a transmission of a corresponding wireless signal or a wired signal. Thus, user accompaniment is delivered. At this time, the BLE MIDI standard corresponds to the MIDI note each time it is hit by a communication format set in advance according to the wireless transmission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of MIDI information between the rhythm pad and the accompaniment information when a MIDI note is transmitted and conversion to accompaniment information. This is done by transmitting it as a wireless signal.

상기 반주기(200)는 상기 리듬 패드(100)에 의해 사용자반주가 될 시, 사용자반주를 반주기반주로 변환해서 음원에서 사운드뱅크를 재생하므로 사용자즉흥반주에 따른 노래의 반주음악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개념적으로 설명하면, 이러한 경우 그 반주기(200)는 예를 들어, 일실시예의 반주음악이 제공될 시, BLE에서 사용자반주의 미디 노트를 분석하고 CPU에서 대응되는 반주기의 미디 신호를 음원으로 전달해서 음원에서 사운드 뱅크를 재생하는 것이다. 이때, 그 반주기(200)는 이러한 반주음악이 제공될 시, BLE에서 미디 노트의 반주정보의 인식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된 BLE USB 리시버류로부터 미디 노트를 수신해서 실시간으로 미디 노트가 원활히 전달되도록 한다. 그래서, 반주기(200)는 기존과 동일하게 반주기에 탑재된 음원을 저장장치에 내장된 파일을 통해 음악을 재생하나 외부 장치인 리듬 패드가 연결될 시, 사용자에서 미디 정보를 추가적으로 전송해서 음원 내 드럼 및 효과음등이 재생된다. 그래서, 이로 인해 노래 반주기는 노래를 부를 시, 고정적인 가라오케 반주 음악에서 즉흥 반주의 형태의 신규 콘텐츠를 발생해서 가창자의 흥에 맞추어 노래의 분위기를 즉시 만든다. 따라서, 기존 반주기는 노래만 부르는 수동적 형태를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면 일실시예에 따른 리듬 패드 반주기는 가창자가 노래 뿐만 아니라 음악에도 직접 개입하는 방식이다.
When the accompaniment 200 becomes a user accompaniment by the rhythm pad 100, the accompaniment of the user is converted into an accompaniment-based accompaniment and a sound bank is reproduced from a sound source, thereby providing accompaniment music of a song according to the user's improvised accompaniment. To explain this conceptually, in this case, the accompaniment 200 is, for example, when the accompaniment music of one embodiment is provided, the BLE analyzes the MIDI note of the user accompaniment, and the CPU transmits the corresponding half-cycle MIDI signal to the sound source. This is to play the sound bank from the sound source. At this time, the accompaniment 200 receives MIDI notes from BLE USB receivers provided to recognize accompaniment information of MIDI notes in BLE when such accompaniment music is provided, so that the MIDI notes are smoothly delivered in real time. . Thus, the accompaniment 200 plays music through a file built in the storage device, but when an external device, a rhythm pad, is connected, the accompaniment 200 additionally transmits MIDI information to the drum in the sound source and Sound effects, etc. are played. Therefore, when singing, the song accompaniment generates new contents in the form of improvised accompaniment from the fixed karaoke accompaniment music, and instantly creates the atmosphere of the song in accordance with the excitement of the singer. Therefore, if the existing accompaniment had a passive form of singing only a song, the rhythm pad accompani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method in which the singer directly intervenes in music as well as song.

그리고, 이러한 시스템에 적용된 일실시예의 리듬 패드(100)는 반주가 될 시 사용자에서 타격을 해서 반주하는 패드 조작부(미도시)와 사용자반주에 따라 미디 코드를 발생하는 노트 발생부(미도시) 및 그 신호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 일실시예에 따른 리듬 패드(100)는 그 미디 코드가 사용자반주에 따라 타격이 될 시, 미디 코드별로 대응되는 반주기의 미디 신호를 반주기에서 변환하도록 설정해서 사용자반주가 반주기반주화로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rhythm pa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pplied to such a system includes a pad operation unit (not shown) that accompanies the user by hitting when it becomes accompaniment, a note generation unit (not shown) that generates a MIDI code according to the user accompaniment, and It includes a signal transmission unit (not shown). In this case, the rhythm pa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sets the MIDI signal of the half cycle corresponding to each MIDI code to be converted from the half cycle when the MIDI code is hit according to the user accompaniment, so that the user accompaniment becomes an accompaniment-based coin. will be.

상기 패드 조작부는 반주기에 의해 반주가 될 시, 적어도 하나의 악기/효과음 종류에 대응되는 패드부로부터 사용자반주를 상기 패드부의 타격에 따라 상기 반주기로 제공해서 패드를 통해 실제 악기를 대신해서 사용자반주가 되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그 패드 조작부는 예를 들어, 다수의 상이한 악기와 효과음에 대응되는 패드부별로부터 사용자반주를 제공해서 다수의 상이한 사용자반주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사용자반주는 노래를 부를 시, 사용자에서 템버린소리를 대응되는 패드부의 타격에 따라 반주기로 제공하거나 또는 '와'의 주변사람의 호응소리를 대응되는 패드부의 타격에 따라 반주기로 제공해서 다양한 사용자반주가 된다.When the pad operation unit is accompanied by the accompaniment, the user accompaniment is provided as the accompaniment from the pad unit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type of instrument/effect sound as the accompaniment according to the hit of the pad unit, so that the user accompaniment is replaced by the actual instrument through the pad. Make it possible. In this case, the pad operation unit provides a user accompaniment from each pad unit corresponding to a number of different musical instruments and sound effects, for example, so that a number of different user accompaniments are provided. For example, when the user sings a song, the user provides a tembourine sound as a half cycle according to the hitting of the corresponding pad, or the response sound of people around'wa' is provided as a half cycle according to the hit of the corresponding pad. It becomes a variety of user accompaniment.

노트 발생부는 사용자반주의 타격이 될 시, 사용자반주타격으로부터 미디 코드를 대응되는 악기/효과음 종류에 따라 타격강도에 따른 상이한 음레벨로써 발생하는 미리 설정된 포맷으로부터 미디 코드를 발생해서 사용자반주가 된다.When a user accompaniment strikes, the note generator generates a MIDI chord from a preset format that generates a MIDI chord from the user accompaniment strike as a different sound level according to the striking intensity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instrument/effect sound type to become the user accompaniment.

신호 전송부는 상기 노트 발생부에 의해 사용자반주에 따라 미디 코드가 발생될 시, 반주기와의 미리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 포맷에 따라 상기 미디 코드를 미리 등록된 반주기로 송출해서 반주기에 사용자반주가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 그 통신 프로토콜 포맷은 예를 들어, 전술한 BLE 미디 규격 또는 유선 통신 프로토콜 포맷이다.When a MIDI code is generated according to a user accompaniment by the note generator,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transmits the MIDI code in a pre-registered half cycle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protocol format set in advance with the half cycle, thereby providing a user accompaniment to the half cycle.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protocol format is, for example, the aforementioned BLE MIDI standard or wired communication protocol format.

미디 노트는 리듬 패드타격될 시 다수의 상이한 패드부별로 대응되는 악기/효과음 종류와 타격강도의 음레벨로 미디 코드가 생성되도록 미리 설정된 포맷으로부터 악기/효과음종류별로 음을 제공해서 사용자반주별로 악기와 음이 제공된다.
MIDI notes provide notes for each instrument/effect sound type from a preset format so that when a rhythm pad is hit, MIDI chords are generated with the sound level of the corresponding instrument/effect sound type and striking intensity for a number of different pads. A note is provided.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적용된 일실시예에 따른 리듬 패드와 연동하는 반주기(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half cycle 200 interlocking with a rhythm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pplied to the system of FIG.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반주기(200)는 미디음원모듈(201), 제어부(202) 및 신호 합성부(203)를 포함하고 있으며, 통신부(211) 및 리듬 패드의 미디 코드를 분석해서 반주기의 미디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212)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 일실시예에 따른 리듬 패드와 연동하는 반주기(200)는 제어부(202)가 리듬 패드의 미디 코드가 전송될 시 그 변환부(212)로부터 대응되는 미디 신호를 입력받아 미디음원모듈(201)로 전달해서 사용자즉흥반주에 따른 노래반주를 한다.As shown in Fig. 2, the half cycle 200 of an embodiment includes a MIDI sound source module 201, a control unit 202, and a signal synthesis unit 203, and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11 and a MIDI code of a rhythm pad. It includes a converter 212 that analyzes and converts it into a half-period MIDI signal. In this case, the half cycle 200 interlocking with the rhythm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ceives the corresponding MIDI signal from the conversion unit 212 when the control unit 202 transmits the MIDI code of the rhythm pad, and the MIDI sound source module ( 201) and perform the song accompaniment along with the user's improvised accompaniment.

추가적으로, 일실시예의 반주기는 사용자선곡과 반주기기능제어의 명령을 입력받는 키신호 입력부(204)와 자막/영상의 정보를 영상신호변환하는 자막/영상 처리부(205), 코러스정보를 음성신호변환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206)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half cycle of one embodiment includes a key signal input unit 204 receiving a command for user selection and half cycle function control, a caption/image processing unit 205 for converting the information of the caption/video to a video signal, and a voice signal for converting the chorus information. And an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206.

상기 미디음원모듈(201)은 노래를 부르는 사람을 통해 곡이 선택될 시, 사운드 뱅크에서 선택된 곡의 미디 신호 내의 연주 신호를 대응되는 신시사이저 악기음 등으로 변환하여 재생하면서 연주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그 미디 신호는 연주 신호와 신시사이저 사운드 합성(synthesizing)의 환경설정 명령을 포함해서 이루어진다.The MIDI sound source module 201 converts the performance signal in the MIDI signal of the song selected from the sound bank into a corresponding synthesizer instrument sound, etc., and plays it while playing when a song is selected by a singer. In this case, the MIDI signal includes a performance signal and an environment setting command for synthesizing the synthesizer sound.

상기 제어부(202)는 반주가 될 시, 사용자를 통해 지정받은 곡에 따라 상기 미디음원모듈(201)의 악기음 변환 동작을 제어해서 노래의 반주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control unit 202 controls the musical instrument sound conversion operation of the MIDI sound source module 201 according to the song designated by the user when the accompaniment becomes the accompaniment of the song.

상기 신호 합성부(203)는 상기 제어부(202)에 의해 악기음 변환 동작이 제어될 시, 상기 미디음원모듈(201)의 악기음으로부터 반주음악을 사용자 노래신호와 합성하여 앰프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예를 들어, 그 신호 합성부(203)는 이러한 악기음 변환 동작이 제어될 시, 상기 미디음원모듈(100)의 악기음으로부터 반주음악을 오디오 신호 처리부(202)의 코러스정보와 마이크의 사용자노래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하므로 반주음악과 노래를 듣도록 한다.When the instrument sound conversion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02, the signal synthesis unit 203 synthesizes accompaniment music from the instrument sound of the MIDI sound source module 201 with a user song signal to be output through an amplifier. will be. For another example, the signal synthesizing unit 203 converts the accompaniment music from the instrument sound of the MIDI sound source module 100 to the chorus information of the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202 and the user of the microphone when such a musical instrument sound conversion operation is controlled. Since the song signal is synthesized and output, you can listen to accompaniment music and songs.

상기 통신부(211)는 상기 미디음원모듈(201)에 의해 반주가 될 시, 사용자의 연주를 위한 리듬 패드로부터 상기 리듬 패드가 타격될 시의 미디 노트를 전송받아 사용자반주를 제공받는다. 이러한 통신부(211)는 이러한 미디 노트가 전송될 시, 예를 들어, 전술한 BLE 미디 규격에 따라 미디 노트를 전송받아 리듬 패드의 연주 정보가 원활히 전달되도록 한다.When accompanied by the MIDI sound source module 201, the communication unit 211 receives a MIDI note when the rhythm pad is hit from a rhythm pad for a user's performance, and receives a user accompaniment. When such a MIDI note is transmitted, the communication unit 211 receives the MIDI note according to the aforementioned BLE MIDI standard so that the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rhythm pad is smoothly transmitted.

변환부(212)는 사용자반주될시 리듬패드미디 코드를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악기/효과음의 종류/음레벨의 반주기의 미디 신호로 변환하는 미리 설정된 포맷으로부터 리듬패드타격미디 코드를 변환해서 사용자반주를 반주기반주로 변환한다. 이러한 경우, 그 미디 신호는 반주가 될 시, 반주기의 미디 파일에서 미디 노트를 재생하도록 노래 반주기에 적용된 미디 신호로 이루어진다.The conversion unit 212 converts the rhythm pad hitting MIDI code from a preset format that converts the rhythm pad MIDI code into a MIDI signal of at least one corresponding instrument/effect sound type/sound level accompaniment when the user is accompanied by the user. Is converted to accompaniment-based music. In this case, the MIDI signal is composed of a MIDI signal applied to the song accompaniment so as to play a MIDI note from a MIDI file of the half period when it becomes the accompaniment.

제어부(202)는 상기 변환부(212)에 의해 리듬 패드의 미디 노트가 미디 신호로 변환될 시, 상기 변환부(212)로부터 상기 미디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미디음원모듈(201)로 전달해서 사용자에 의한 즉흥 반주의 노래 반주가 되도록 한다. 그래서, 그 미디음원모듈(201)은 이러한 리듬 패드의 미디 신호가 전송될 시, 사운드 뱅크에서 미디 신호 내의 연주 신호를 예를 들어, 대응되는 신시사이저 드럼 또는 효과음으로 변환하여 재생하면서 연주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그 미디 파일은 미디 신호가 재생될 시, 리듬 패드의 미디 신호에 대응되는 악기와 효과음을 미리 설정해서 음을 대응되는 사용자즉흥반주의 미디 신호에 따라 변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를 통해 노래 반주기에 의해 반주가 될 시, 이러한 반주음악에서 즉흥 반주의 형태의 신규 콘텐츠를 발생하므로 노래를 부르는 사람이 노래 뿐만 아니라 음악에도 직접 개입하도록 된다.
When the MIDI note of the rhythm pad is converted into a MIDI signal by the conversion unit 212, the control unit 202 receives the MIDI signal from the conversion unit 212 and transmits the received MIDI signal to the MIDI sound source module 201 for the user. Make the song accompaniment to the improvised accompaniment by. Thus, the MIDI sound source module 201 converts the playing signal in the MIDI signal from the sound bank into a corresponding synthesizer drum or sound effect, for example, so that the sound bank can be played while playing when the MIDI signal of the rhythm pad is transmitted. . In this case, when the MIDI signal is reproduced, the MIDI file is formed by presetting musical instruments and sound effects corresponding to the MIDI signal of the rhythm pad and converting the sound according to the MIDI signal of the corresponding user improvisation. Accordingly, when accompaniment is performed by a song accompaniment through this, a new content in the form of improvised accompaniment is generated from this accompaniment music, so that a person who sings is directly involved in music as well as the song.

도 3은 도 2의 반주기에 적용된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음원모듈(201)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IDI sound source module 2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applied to the half cycle of FI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미디음원모듈(201)은 노래를 부를 시, 사용자즉흥반주에 대응되는 사운드 합성으로부터 사운드환경을 설정해서 사용자즉흥반주에 따른 반주환경이 되도록 하는 시퀀스부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MIDI sound source module 201 of an embodiment includes a sequence unit that sets a sound environment from sound synthesis corresponding to the user's improvised accompaniment to become an accompaniment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user's improvised accompaniment when singing a song. do.

또한, 미디음원모듈(201)은 사운드환경이 설정될 시 사운드 뱅크에서 반주음악을 사운드환경에 따라 사용자즉흥반주에 대응되는 악기음과 효과음으로 변환해서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즉흥반주에 따른 노래반주를 하는 신시사이저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when the sound environment is set, the MIDI sound source module 201 converts the accompaniment music into musical instrument sounds and sound effects corresponding to the user's improvised accompaniment according to the sound environment, and creates a synthesizer that performs song accompaniment according to the user's improvised accompaniment. Includes wealth.

그리고 또한, 이러한 반주가 될 시, 그 반주음악에서 음성신호를 변환해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즉흥반주의 노래 반주가 들려지도록 하는 오디오 아웃부를 포함한다.
In addition, when the accompaniment is performed, an audio out unit converts and outputs a voice signal from the accompaniment music so that a song accompaniment of the user's improvised accompaniment can be heard.

상기 시퀀스부는 노래를 부를 곡이 지정될 시, 곡별로 대응되는 반주정보의 미디파일을 재생하여 연주 신호를 포함한 미디신호와 미디신호 내의 사운드 합성의 환경설정 명령을 포함하여 전송해서 재생시마다 사운드환경을 설정한다. 그 환경설정 명령은 예를 들어, 미디 리셋 명령이다. 이러한 경우, 그 시퀀스부는 예를 들어, 리듬 패드의 미디 신호가 전달될 시, 리듬 패드의 미디신호에 대응되는 사운드 합성의 환경을 사용자지정곡의 반주정보의 사운드 합성의 환경에 추가해서 조합함으로부터 사운드환경설정이 된다.When a song to be sung is designated, the sequence unit reproduces a MIDI file of accompani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song and transmits a MIDI signal including a performance signal and an environment setting command for sound synthesis within the MIDI signal. Set. The configuration command is, for example, a MIDI reset command. In this case, for example, when the MIDI signal of the rhythm pad is transmitted, the sequence unit adds and combines the environment of sound synthesis corresponding to the MIDI signal of the rhythm pad to the environment of sound synthesis of the accompaniment information of the user-specified song. It becomes the environment setting.

상기 신시사이저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그 시퀀서부에서 미디신호가 전송될 시, 신시사이저 사운드 합성 정보에 따라 미디신호를 악기음으로 변환하는 사운드 뱅크에서 리듬 패드의 미디신호의 연주 신호를 악기음으로 변환해서 반주한다.When a MIDI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equencer unit by the control unit, the synthesizer unit converts the performance signal of the MIDI signal of the rhythm pad into an instrument sound in a sound bank that converts the MIDI signal into instrument sound according to the synthesizer sound synthesis information. do.

상기 오디오 아웃부는 상기 신시사이저부에 의해 악기음 또는 효과음으로 변환이 될 시, 이러한 악기음 등으로부터 음성신호를 변환해서 출력하므로 사용자가 노래 뿐만 아니라 음악에도 직접 개입한 즉흥 반주를 듣는다. 이러한 경우, 그 오디오 아웃부는 이러한 즉흥 반주가 될 시, 각 사운드뱅크에서 반주된 음악을 소리로 재생해서 사용자즉흥반주에 따른 노래 반주음악을 듣도록 한다.
When the audio out unit is converted to a musical instrument sound or a sound effect by the synthesizer, the audio signal is converted and output from the instrument sound, so that the user listens to the improvised accompaniment directly intervened in music as well as song. In this case, the audio out unit plays the music accompanied by each sound bank as sound when such improvised accompaniment is performed, and listens to the song accompaniment music according to the user improvised accompaniment.

도 4는 도 2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듬 패드와 연동하는 반주기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FIG. 4 is a flow chart sequentially showing an operation of a half cycle linked to a rhythm pa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리듬 패드와 연동하는 반주기는 먼저 노래를 부를 시, 일실시예에 따른 리듬 패드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리듬 패드가 타격될 시의 미디 코드를 전송받아 사용자반주를 제공받는다(S401).As shown in FIG. 4, in the half cycle interlocking with the rhythm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song is first sung, the user receives a MIDI code when the rhythm pad is hit by the user from the rhythm pa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ccompaniment is provided (S401).

그리고, 이러한 사용자반주제공될 시 리듬패드미디 코드를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악기/효과음 종류/음레벨의 반주기의 미디 신호로 변환하는 미리 설정된 포맷으로부터 미디 코드를 변환해서 사용자반주를 반주기반주로 변환한다(S402).In addition, when such user accompaniment is provided, the user accompaniment is converted into accompaniment-based notes by converting the MIDI code from a preset format that converts the rhythm pad MIDI code into a MIDI signal of at least one corresponding instrument/effect sound type/sound level accompaniment. (S402).

그래서, 이러한 리듬 패드의 미디 코드가 반주기의 미디 신호로 변환될 시, 반주기의 미디 신호를 입력받아 반주기의 미디음원모듈로 전달해서 미디음원모듈을 통해 사용자즉흥반주가 실린 노래 반주가 되도록 한다(S403).So, when the MIDI code of the rhythm pad is converted into a half-period MIDI signal, the half-period MIDI signal is received and transmitted to the half-period MIDI sound source module, so that the user's improvised accompaniment is carried through the MIDI sound source module (S403. ).

그래서, 노래방 등의 반주기는 리듬 패드가 타격될 시 리듬 패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악기 또는 효과음 종류에 따른 음의 미디 코드를 제공받아 음원에 효과음 등으로서 추가해서 재생하므로 가창자가 노래뿐만 아니라 음악에도 직접 개입한다.So, in the accompaniment of karaoke, when the rhythm pad is hit, the rhythm pad receives at least one instrument or MIDI code of the sound according to the type of sound effect, and plays it by adding it to the sound source as a sound effect, so the singer directly intervenes in the music as well as the song. do.

따라서, 이를 통해 노래를 부를 시, 고정적인 가라오케 반주 음악에서 사용자즉흥반주의 형태의 신규 콘텐츠를 간단히 패드를 통해 실제 악기 등을 대신하여 발생해서 가창자의 흥에 따라 노래의 반주와 이의 분위기 등을 쉽게 즉시 만든다.
Therefore, when a song is sung, new contents in the form of user improvised accompaniment from fixed karaoke accompaniment music are simply generated through the pad instead of real musical instruments, and the accompaniment of the song and its atmosphere are easily and immediately displayed according to the singer's excitement. Make

이상과 같이, 일실시예는 노래부를 시 리듬 패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악기 또는 효과음 종류에 따른 악기음 등의 미디 코드를 반주기의 자체적인 미디 신호로 변환해서 사용자즉흥반주를 노래 반주기반주로 변환해서 반주 음악을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one embodiment converts a MIDI code such as at least one musical instrument or musical instrument sound according to the type of effect sound from the rhythm pad during singing into its own MIDI signal of the accompaniment, and converts the user improvised accompaniment into a song accompaniment-based accompaniment. Provide music.

이러한 경우, 그 리듬 패드는 이렇게 즉흥반주가 될 시, 사용자반주에 따른 타격으로부터 사용자반주정보를 간단히 패드를 통해 별도의 악기 예를 들어, 템버린 또는 주변 사람의 '와' 등의 호응 소리를 대신하여 발생해서 사용자반주한다. In this case, when the rhythm pad becomes an improvised accompaniment in this way, the user accompaniment information from the hit by the user accompaniment is simply replaced by a separate instrument, for example, a tembourine or a response sound such as'wa' of a nearby person through the pad. Occurs and accompanies the user.

그리고, 이때 그 미디 노트는 사용자반주에 따라 타격이 될 시, 반주기에서 미디 신호를 상이한 미디 코드에 대응되도록 변환해서 사용자반주가 반주기반주로 변환되도록 설정된다.In this case, when the MIDI note is hit according to the user accompaniment, the MIDI signal is converted to correspond to a different MIDI code in the accompaniment and the user accompaniment is set to be converted to an accompaniment-based note.

따라서, 이를 통해 노래방에서 노래를 부를 시 고정적인 가라오케 반주 음악에서 즉흥 반주의 형태의 신규 콘텐츠를 노래뿐만 아니라 가창자의 직접 개입한 음악에 따라 발생해서 노래의 분위기를 가창자등의 흥에 맞추어 적절히 즉시 만든다.
Therefore, when singing in a karaoke room, new contents in the form of improvised accompaniment from the fixed karaoke accompaniment music are generated not only with the song, but also with the music directly intervened by the singer, creating the atmosphere of the song appropriately and immediately according to the excitement of the singer, etc.

도 5는 도 1의 리듬 패드(100)에 적용된 일실시예에 따른 패드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in more detail a pa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pplied to the rhythm pad 100 of FIG. 1.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패드부는 사용자반주될 시 다수의 상이한 악기 종류 또는 효과음 종류에 대응되는 패드부(패드 1등)로부터 사용자반주음악을 발생해서 다양한 악기음 또는 효과음을 실제 악기 대신에 반주기에서 낸다.As shown in FIG. 5, the pad unit of an embodiment generates user accompaniment music from a pad unit (pad 1, etc.)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of musical instruments or sound effects when the user is accompanied, and various musical instruments or sound effects are actually musical instruments. Instead, it is served in the half cycle.

이러한 경우, 그 사용자반주음악은 예를 들어, 사용자반주가 될 시, 패드 1로부터 템버린소리를 패드 1에 대한 사용자의 타격강도에 따라 상이하게 발생해서 반주기에서 템버리 소리를 패드 1을 타격함으로써 실제 템버린 대신에 낸다.In this case, the user accompaniment music, for example, when the user accompaniment is used, the temper sound from pad 1 is gener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user's striking strength against the pad 1, and the temporal sound is actually applied by striking the pad 1 in the accompaniment. Serve instead of tembourine.

또는, 그 사용자반주음악은 예를 들어, 사용자반주가 될 시, 패드 5로부터 '와'의 주변 사람의 호응하는 효과음소리를 패드 5에 대한 사용자의 타격강도에 따라 상이하게 발생해서 반주기에서 간단히 효과음을 패드 5의 타격을 통해 낸다.Alternatively, the user accompaniment music, for example, when it becomes a user accompaniment, the sound effect sound corresponding to the person around'wa' from the pad 5 is gener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user's striking strength against the pad 5, so it is simply a sound effect in the accompaniment. Hit through pad 5.

그래서, 이를 통해 노래 반주가 될 시, 일실시예에 따른 리듬 패드로부터 사용자반주음악을 발생해서 노래 반주기를 통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템버린 등의 별도의 실제 악기 또는 효과음을 대신하여 간단히 즉시 사용자반주가 이루어진다.Therefore, when a song accompaniment is performed through this, user accompaniment music is generated from a rhythm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provided through a song accompaniment, so that a user accompaniment is simply performed immediately instead of a separate real instrument or sound effect such as a tembourine.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리듬 패드 200 : 반주기
201 : 미디음원모듈 202 : 제어부
203 : 신호 합성부 211 : 통신부
212 : 변환부
*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rhythm pad 200: half cycle
201: MIDI sound source module 202: control unit
203: signal synthesis unit 211: communication unit
212: conversion unit

Claims (5)

반주정보의 미디 신호를 악기음으로 변환하는 미디음원모듈;
사용자 지정 곡에 따라 상기 미디음원모듈의 악기음 변환 동작을 제어해서 반주가 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미디음원모듈의 악기음과 사용자 노래신호를 합성하여 앰프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신호 합성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미디음원모듈에 의해 반주기의 반주가 될 시, 사용자의 반주를 위한 리듬 패드로부터 상기 리듬 패드가 타격될 시의 미디 코드를 전송받아 사용자반주를 제공받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반주제공될 시 리듬패드미디 코드를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악기/효과음 종류/음레벨의 반주기의 미디 신호로 변환하는 미리 설정된 포맷으로부터 미디 코드를 변환해서 사용자반주를 반주기반주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부에 의해 리듬 패드의 미디 코드가 반주기의 미디 신호로 변환될 시, 상기 변환부로부터 상기 반주기의 미디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미디음원모듈로 전달해서 사용자즉흥반주가 실린 노래 반주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듬 패드와 연동하는 반주기.
A MIDI sound source module for converting a MIDI signal of accompaniment information into musical instrument sou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musical instrument sound conversion operation of the MIDI sound source module to become accompaniment according to a user-designated song; And
It includes a signal synthesis unit for synthesizing the musical instrument sound of the MIDI sound source module and a user's song signal to be output through an amplifier,

A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a MIDI code when the rhythm pad is hit from a rhythm pad for accompaniment of a user, and receiving a user accompaniment when the accompaniment is performed by the MIDI sound source module; And
When the user accompaniment is provided, a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user accompaniment into an accompaniment-based note by converting a MIDI code from a preset format that converts the rhythm pad MIDI code into a MIDI signal of at least one corresponding instrument/effect sound type/sound level Including,
When the MIDI code of the rhythm pad is converted into a half-period MIDI signal by the conversion unit,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half-period MIDI signal from the conversion unit and transfers it to the MIDI sound source module, so that a song accompaniment with a user's improvised accompaniment is performed. The accompaniment to be linked with the rhythm pad, characterized in that to b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듬 패드의 미디 코드는,
상기 리듬 패드타격될 시, 다수의 상이한 패드부별로 대응되는 악기/효과음 종류와 타격강도에 따른 음레벨로 미디 코드가 생성되는 미리 설정된 포맷으로부터 악기/효과음 종류와 음레벨을 제공해서 사용자반주의 악기와 음을 제공하고,

상기 변환부의 포맷은,
상기 미디 코드가 변환될 시, 상기 패드부별의 악기/효과음 종류와 타격강도에 따른 음레벨의 미디 코드를 악기/효과음 종류별로 반주기의 미디 신호로 변환하도록 설정되어 미디 코드를 변환해서 상이한 사용자반주별로 반주기반주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듬 패드와 연동하는 반주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MIDI code of the rhythm pad,
When the rhythm pad is hit, a user accompaniment instrument by providing the instrument/effect sound type and sound level from a preset format in which MIDI chords are generated at a sound level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instrument/effect sound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different pad units and the sound level according to the strike intensity. And provide a sound,

The format of the conversion unit,
When the MIDI code is converted, it is set to convert the MIDI code of the sound level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rument/effect sound and the strike intensity of each pad unit into a MIDI signal of the accompaniment for each type of instrument/effect sound, and convert the MIDI code to each different user accompaniment. An accompaniment that is linked with a rhythm pad, characterized in that accompaniment-based periphery convers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의 포맷은
상기 미디 코드변환될 시 상기 패드부별의 악기/효과음 종류와 타격강도의 음레벨의 미디 코드를 노래장르별악기특성으로 반주기의 미디 신호로 변환되도록 설정되어 미디 코드를 변환해서 사용자반주를 노래장르별로 반주기반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듬 패드와 연동하는 반주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format of the conversion unit is
When the MIDI code is converted, it is set to convert the MIDI code of the sound level of the instrument/effect sound type and striking intensity of each pad unit into a MIDI signal of the accompaniment with the instrument characteristics of each song genre, and convert the MIDI code to accompany the user accompaniment by song genre. Accompaniment in conjunction with a rhythm pad characterized in that it converts into accompaniment.
반주기에 의해 반주가 될 시, 적어도 하나의 악기/효과음 종류에 대응되는 패드부로부터 사용자반주를 상기 패드부의 타격에 따라 상기 반주기로 제공해서 패드를 통해 실제 악기를 대신해서 사용자반주가 되도록 하는 패드 조작부;
상기 사용자반주의 타격이 될 시, 사용자반주타격으로부터 미디 코드를 대응되는 악기/효과음 종류에 따라 타격강도에 따른 상이한 음레벨로써 발생하는 미리 설정된 포맷으로부터 미디 코드를 발생해서 사용자반주되는 노트 발생부; 및
상기 사용자반주에 따라 미디 코드가 발생될 시, 반주기와의 미리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 포맷에 따라 상기 미디 코드를 미리 등록된 반주기로 송출해서 반주기에 사용자반주가 제공되는 신호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디 코드는
상기 사용자반주에 따라 타격이 될 시, 상기 반주기의 미디 신호를 반주기에서 악기/효과음 종류와 음레벨에 따라 미디 코드에 대응되도록 변환해서 사용자반주가 반주기반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듬 패드.
When accompaniment is performed by the accompaniment, the user's accompaniment from the pad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type of instrument/effect sound is provided as the accompaniment according to the hit of the pad unit, so that the user accompaniment is replaced by the actual instrument through the pad. ;
When the user accompaniment hits, a note generator for generating a MIDI code from a preset format that generates a MIDI code from the user accompaniment strike as a different sound level according to the hitting intensity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instrument/effect sound type, thereby accompaniing the user; And
When the MIDI code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user accompaniment, the MIDI code is transmitted in a pre-registered half cycle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protocol format set in advance with the half cycle, and a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providing a user accompaniment to the half cycle,
The MIDI code above is
When a hit is made according to the user accompaniment, the MIDI signal of the accompaniment is converted to correspond to the MIDI code according to the instrument/effect sound type and sound level in the accompaniment so that the user accompaniment is converted into an accompaniment-based not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 코드는
상기 리듬 패드타격될 시 다수의 상이한 패드부별로 대응되는 악기/효과음 종류와 타격강도에 따른 음레벨로 미디 코드가 생성되도록 미리 설정된 포맷으로부터 악기/효과음 종류와 음레벨을 제공해서 사용자반주별로 악기와 음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듬 패드.
The method of claim 5,
The MIDI code above is
When the rhythm pad is hit, the instrument/effect sound type and sound level are provided from a preset format so that a MIDI code is generated at a sound level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instrument/effect sound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different pad units and the sound level according to the strike intensity. Rhythm pad,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sound.
KR1020190031152A 2019-03-19 2019-03-19 Rhythm pad and karaoke device for employing to it KR2020011146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152A KR20200111460A (en) 2019-03-19 2019-03-19 Rhythm pad and karaoke device for employing to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152A KR20200111460A (en) 2019-03-19 2019-03-19 Rhythm pad and karaoke device for employing to 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460A true KR20200111460A (en) 2020-09-29

Family

ID=72661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152A KR20200111460A (en) 2019-03-19 2019-03-19 Rhythm pad and karaoke device for employing to 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146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2048A (en) * 2021-05-07 2022-11-15 박규태 Electronic dru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2048A (en) * 2021-05-07 2022-11-15 박규태 Electronic dr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8869B1 (en) Music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0717491B1 (en) Music compos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14169700A1 (en) Performance method of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and music
JPH0744183A (en) Karaoke playing device
TW201312547A (en) Music generator
KR20200111460A (en) Rhythm pad and karaoke device for employing to it
JP2016206496A (en) Controller, synthetic singing sound creation device and program
JP5130348B2 (en) Karaoke collaboration us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4038836B2 (en) Karaoke equipment
KR100928152B1 (en) Karaoke system using karaoke mic having vibration function and method there of
JPH10268895A (en) Voice signal processing device
JP5969421B2 (en) Musical instrument sound output device and musical instrument sound output program
JP3618203B2 (en) Karaoke device that allows users to play accompaniment music
JP4759888B2 (en) Karaoke system
JP6651729B2 (en) Electronic music device and program
JP6582517B2 (en) Control device and program
JP2015191087A (en) Musical performance device and program
JP5847049B2 (en) Instrument sound output device
KR101842282B1 (en) Guitar playing system, playing guitar and, method for displaying of guitar playing information
KR20120067622A (en) Karaoke system for producing music signal dynamically from wireless electronic percurssion
JP2022145465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6492521B2 (en) Mixing equipment
JP2023143803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response prediction model, method, and program
JP3565065B2 (en) Karaoke equipment
JP2978745B2 (en) Karaoke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