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1447A - Method for making video contents of singing in mobile device and application thereof and method for operating karaoke device employing it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king video contents of singing in mobile device and application thereof and method for operating karaoke device employing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1447A
KR20200111447A KR1020190031102A KR20190031102A KR20200111447A KR 20200111447 A KR20200111447 A KR 20200111447A KR 1020190031102 A KR1020190031102 A KR 1020190031102A KR 20190031102 A KR20190031102 A KR 20190031102A KR 20200111447 A KR20200111447 A KR 20200111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video
mobile device
song
video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1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81618B1 (en
Inventor
윤재환
Original Assignee
티제이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제이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제이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1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618B1/en
Publication of KR20200111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4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6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generating song video content of a mobile device, an application,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karaoke device applied to the same. By the method and the like, during singing at a karaoke, a command format synchronizes the sound source of the karaoke device with the video recording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video content is generated by registering a video content generation format from such video and voice files. In addition, during the singing, the mobile device and the karaoke device are connected by forming a wireless network from a preset communication protocol such that the video recording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song sound source recording of the karaoke device are performed by the synchronized network connection format. When the wireless network is formed, the video content is generated and produced from the format by the synthesis of the video content recording audio under video audio mute and the mobile device video from the execution of the start of the karaoke device sound source recording and the mobile device video recording. Accordingly, during singing in the karaoke, the video file generated by the mobile device and the voice file generated by the karaoke device are created as the video content synchronized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and the song video content is generated in the karaoke or the like in real time.

Description

모바일기기의 노래 동영상콘텐츠의 생성 방법과 애플리케이션 및 그에 적용된 반주기의 운영 방법{Method for making video contents of singing in mobile device and application thereof and method for operating karaoke device employing it}[Method for making video contents of singing in mobile device and application thereof and method for operating karaoke device employing i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노래방 등에서 노래를 부를 시, 노래 반주기에 연동해서 모바일기기에서 노래하는 모습의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해서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conten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providing entertainment by generating moving picture contents in the form of singing on a mobile device in connection with a song accompaniment when singing in a karaoke room.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Unless otherwise indicated herein, 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is not prior art to the claims of this application, and inclusion in this section is not admitted to be prior art.

일반적으로, 노래 반주기는 다수의 가요에 대하여 각 가요별로 식별코드가 부여되고 각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반주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가요반주기는 사용자가 특정 식별코드를 선택함에 따라 대응하는 가요 반주를 영상 정보와 함께 출력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지원한다.In general, in the song accompaniment, an identification code is assigned to each song for a plurality of songs, and accompani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identification code is stored. Accordingly, the music accompaniment supports the user to easily sing a song by outputting a corresponding music accompaniment along with image information as the user selects a specific identification code.

이러한 노래 반주기는 이렇게 사용자가 노래를 부를 시, 반주기 자체에서 사용자의 노래에 따른 노래음원녹음을 수행해서 사용자가 자신이 노래를 부르는 소리를 집 등에서 즐겁게 듣도록 하기도 한다.When a user sings a song, such a song accompaniment records a song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user's song in the accompaniment itself, so that the user can hear the sound of his singing at home and the like.

그런데,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때때로 이렇게 노래를 부를 시, 노래방 등에서 자신이 노래하는 모습을 전체적으로 저장해서 가지고 가서 집 등에서 즐겁게 보고 싶어하는 바램 등도 있다.However, in such a case, the user sometimes wishes to enjoy singing at home or the like by storing the whole image of himself singing in a karaoke room, etc.

그래서, 이러한 바는 최근 개인들이 늘 가지고 다니는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에서 이러한 노래하는 모습을 동영상으로 생성해서 쉽게 편리한 방식으로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Therefore, this bar can be expected to be achieved in an easy and convenient way by creating a video of such singing on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that individuals always carry.

그러나, 이러한 배경의 선행기술은 최근 무렵까지 아래의 특허문헌 등을 통해 기술을 소개하는 정도이며 많이 알려져 있지는 않은 편이다.However, the prior art of this background is the degree to which the technology is introduced through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s, etc. until recently, and not much is known.

(특허문헌 1) KR101250701 Y (Patent Document 1) KR101250701 Y

참고적으로, 이러한 특허문헌 1의 기술은 노래방기기가 노래반주가 될 시, 사용자의 모바일기기로부터 영상을 받아 노래반주음악과 합성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노래동영상이 제작되도록 한다.For reference, when the karaoke device becomes a song accompaniment, the technology of Patent Document 1 receives an image from the user's mobile device and combines it with karaoke music to produce a song video desired by the user.

개시된 내용은, 노래방에서 노래할 시 모바일기기에서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해서 노래하는 모습의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하는 모바일기기의 노래 동영상콘텐츠의 생성 방법과 애플리케이션 및 그에 적용된 반주기의 운영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disclosed contents are intended to provide a method of generating song video content, an applica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a half-cycle applied to the mobile device, which generates video content in a mobile device when singing in a karaoke room and generates video content in the form of singing.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의 노래 동영상콘텐츠의 생성 방법과 애플리케이션은,A method and application for generating song video content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노래방에서 노래를 부를 시, 모바일기기의 영상녹화에 반주기의 음원이 동기화되는 명령포맷으로 이러한 영상파일과 음성파일로부터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하는 포맷을 등록해서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하도록 한다.When singing a song in a karaoke room, it is a command format in which the sound source of the accompaniment is synchronized with the video recording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video content is created by registering a format that creates video content from these video files and audio files.

그리고, 이렇게 노래를 부를 시, 모바일기기의 동영상녹화와 반주기의 노래음원녹음을 동기화된 네트워크연결 포맷에 의해 하도록 미리 설정된 통신프로토콜로부터 무선네트워크를 형성해서 모바일기기와 반주기를 연결한다.When singing in this way, the mobile device and the accompaniment are connected by forming a wireless network from a communication protocol set in advance so that video recording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recording of a song sound source in a half cycle are performed by a synchronized network connection format.

그래서, 이 무선네트워크형성될 시 상기 포맷으로부터 동영상콘텐츠를 모바일기기영상녹화와 반주기음원녹음 개시 수행에 따른 모바일기기동영상과 동영상오디오 뮤트하 반주기녹음오디오의 합성으로 생성해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o, when this wireless network is formed, the mobile device video and the video audio mute and produce the video content from the above format by synthesizing the mobile device video and the video audio muting and producing the video content.

이러한 모바일기기의 노래 동영상콘텐츠의 생성 방법과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주기의 운영 방법은,The method of generating the song video content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operating method of the half cy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pplied to the application,

노래방에서 노래를 부를 시, 모바일기기의 영상녹화에 반주기의 음원이 동기화되는 명령포맷으로 이러한 영상파일과 음성파일로부터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하는 포맷을 등록해서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하도록 한다.When singing a song in a karaoke room, it is a command format in which the sound source of the accompaniment is synchronized with the video recording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video content is created by registering a format that creates video content from these video files and audio files.

그리고, 이렇게 노래를 부를 시, 모바일기기의 동영상녹화와 반주기의 노래음원녹음을 동기화된 네트워크연결 포맷에 의해 하도록 미리 설정된 통신프로토콜로부터 무선네트워크를 형성해서 모바일기기와 반주기를 연결한다.When singing in this way, the mobile device and the accompaniment are connected by forming a wireless network from a communication protocol set in advance so that video recording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recording of a song sound source in a half cycle are performed by a synchronized network connection format.

그래서, 이 무선네트워크형성될 시 상기 포맷으로부터 음원녹음을 모바일기기영상녹화에 따라 개시수행해서 모바일기기에서 모바일기기동영상과 동영상오디오 뮤트하 반주기녹음오디오의 합성으로 동영상콘텐츠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refore, when this wireless network is formed, the sound source recording is started from the format according to the mobile device video recording, and the mobile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device video and the video audio are combined with the half-cycle recording audio to generate the video content.

실시예들에 의하면, 노래방에서 노래를 부를 시, 모바일기기에서 생성한 영상파일과 반주기에서 생성한 음성파일을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동기화된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해서 실시간으로 노래방 등에서 노래하는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한다.According to embodiments, when singing in a karaoke room, video content that is synchronized with a video file generated by a mobile device and an audio file generated by the accompaniment through a wireless network is generated to generate video content for singing in a karaoke room in real time. .

또한, 이에 더하여 모바일기기에서 동영상 촬영시 모바일기기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는 주변잡음등으로 인해 오디오 품질이 떨어진다. 그러므로, 이렇게 오디오 품질이 떨어지는데 있어 반주기에서 생성된 깨끗한 오디오를 동영상에 합쳐 스튜디오 등에서 녹음한듯한 고품질의 동영상 제공이 주된 목적이다.In addition, when recording a video on a mobile device, audio input through a microphone of the mobile device is degraded due to ambient noise. Therefore, the main purpose is to provide a high-quality video, as if recorded in a studio or the like, by combining the clean audio generated in the half cycle with the video in this poor audio quality.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의 노래 동영상콘텐츠의 생성 방법에 적용되는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적용된 일실시예에 따른 반주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과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의 노래 동영상콘텐츠의 생성 방법을 전체적으로 시스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의 노래 동영상콘텐츠의 생성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6은 도 5의 모바일기기의 노래 동영상콘텐츠의 생성 방법에 적용된 일실시예에 따른 반주기의 운영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overall system applied to a method for generating song video content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half cy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pplied to the system of FIG. 1
3 and 4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generating song video content by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flow chart sequentially showing a method of generating song video content by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flow chart sequentially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a half cy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pplied to the method of generating song video content of the mobile device of FIG. 5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의 노래 동영상콘텐츠의 생성 방법에 적용되는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overall system applied to a method of generating song video content in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스마트 모바일기기(100)와 노래 반주기(200)를 포함한다. 그래서,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모바일기기(100)에서 생성한 영상파일과 반주기(200)에서 생성한 음성파일을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동기화된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한다.
As shown in FIG. 1,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smart mobile device 100 and a song accompaniment 200. Thus, th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generates video content synchronized with the video file generated by the mobile device 100 and the audio file generated by the half cycle 200 through a wireless network.

상기 모바일기기(100)는 사용자가 노래를 부를 시, 예를 들어, 모바일앱으로부터 노래 부르는 영상을 녹화하고 동기화하여 반주기에서 음원을 녹음하도록 해서 합성함으로써 실시간의 노래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모바일기기(100)는 이러한 노래 동영상콘텐츠가 생성될 시, 모바일기기의 동영상녹화와 반주기의 노래음원녹음을 동기화하는 네트워크연결 포맷을 구비해서 모바일기기와 반주기 간에 네트워크 연결을 한다. 그리고, 모바일기기(100)는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이 될 시 모바일기기의 영상녹화에 반주기의 음원이 동기화되는 명령포맷으로 영상파일과 음성파일을 합성해서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하는 포맷을 구비해서 실시간으로 노래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한다.When the user sings a song, for example, the mobile app records and synchronizes the singing image to record the sound source in the accompaniment, and synthesizes the song video content in real time. To this end, when such song video content is generated, the mobile device 100 has a network connection format that synchronizes the video recording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half-period song sound source recording to establish a network connection between the mobile device and the half-period. And, the mobile device 100 is provided with a format for generating video content by synthesizing a video file and an audio file in a command format in which the sound source of the half cycle is synchronized with the video recording of the mobile device when such a network connection is established. Create content.

상기 반주기(200)는 이러한 모바일기기(100)에 의해 노래 동영상콘텐츠가 생성될 시 모바일기기(100)로부터 무선네트워크를 상기 네트워크연결 포맷에 따라 형성하고 음원녹음을 그 동영상콘텐츠생성 포맷에 따라 수행해서 노래를 녹음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반주기(200)는 이러한 노래가 녹음될 시, 반주기 자체 내에 상기 네트워크연결 포맷을 구비하고 그 동영상콘텐츠생성 포맷을 구비해서 노래녹음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When the video content of the song is generated by the mobile device 100, the accompaniment 200 forms a wireless network from the mobil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network connection format and performs sound recording according to the video content generation format. Record a song. To this end, when such a song is recorded, the accompaniment 200 includes the network connection format within the accompaniment itself and the video content generation format so that the song is recorded.

추가적으로, 이러한 경우 전술한 모바일앱은 이렇게 노래 동영상콘텐츠가 생성될 시, 모바일기기에서 노래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Additionally, in this case, the mobile app described above is an application that generates song video content on a mobile device when song video content is generated in this way.

이러한 일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은 아래와 같이 이루어진다.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made as follows.

일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단말과 결합되어, 먼저 노래방을 통해 노래를 부를 시, 모바일기기에서 노래동영상을 생성해서 동영상콘텐츠를 제공하는 모바일기기의 노래 동영상콘텐츠의 생성 방법에 대한 것이다.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lates to a method of generating song video content of a mobile device that is combined with a mobile terminal and provides video content by generating a song video in the mobile device when singing through a karaoke first.

그 애플리케이션은 노래동영상이 생성될 시 모바일기기의 영상녹화에 반주기의 음원이 동기화되는 명령포맷으로 모바일기기의 영상파일과 반주기의 음성파일로부터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하는 포맷을 등록해서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하도록 한다.The application creates video content by registering a format that creates video content from a video file of a mobile device and an audio file of a half cycle in a command format in which the sound source of the half cycle is synchronized with the video recording of the mobile device when a song video is created. .

그리고, 노래방에서 노래부를 시, 모바일기기의 동영상녹화와 반주기의 노래음원녹음을 동기화된 네트워크연결 포맷에 의해 하도록 미리 설정된 통신프로토콜로부터 무선네트워크를 형성해서 모바일기기와 반주기를 연결한다.And, when singing in a karaoke room, a wireless network is formed from a communication protocol set in advance so as to record a video of a mobile device and a song sound source of a half cycle using a synchronized network connection format to connect the mobile device and the half cycle.

그래서, 이렇게 무선네트워크가 형성될 시 상기한 포맷으로부터 동영상콘텐츠를 모바일기기영상녹화와 반주기음원녹음 개시 수행에 따른 모바일기기동영상과 동영상오디오 뮤트하 반주기녹음오디오의 합성으로 생성해서 제작한다.
So, when the wireless network is formed in this way, the video content is generated from the above format by synthesizing the mobile device video and the half-cycle recording audio under the video audio mute according to the mobile device video recording and the accompaniment sound source recording start.

추가적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은 상기한 동영상콘텐츠 생성은 이러한 무선네트워크가 형성될 시, 상기한 포맷으로부터 녹화시작을 개시하고 반주기로 알림해서 노래 동영상콘텐츠의 생성이 개시되도록 한다.Additionally, in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such a wireless network is formed, the above-described video content generation starts recording from the above format and notifies it in a half cycle so that the creation of the song video content starts.

그리고, 이렇게 녹화시작이 개시될 시, 상기한 포맷으로부터 반주기의 녹음 온을 전송받아 녹화시작해서 노래 동영상콘텐츠의 생성이 개시된다.Then, when the start of recording is started in this way, half-cycle recording on is received from the above-described format and recording starts to start the creation of the song video content.

그리고 나서, 이렇게 녹화가 시작될 시, 상기한 포맷으로부터 녹화를 플레이하고 반주기로 동기화해서 녹음이 플레이되도록 알림해서 노래 동영상콘텐츠가 생성되도록 한다.Then, when the recording starts in this way, the recording is played from the above-described format, and the recording is notified so that the recording is played by synchronizing it in a half cycle so that the song video content is generated.

그래서, 이렇게 녹화와 녹음이 플레이될 시, 상기한 포맷으로부터 반주기의 녹음파일을 다운로드받아 합성해서 실시간으로 노래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한다.
So, when recording and recording are played in this way, a half-cycle recording file is downloaded from the above format and synthesized to generate song video content in real time.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적용된 일실시예에 따른 반주기(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half cyc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pplied to the system of FIG.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반주기(200)는 그 노래 동영상콘텐츠가 생성될 시 사운드뱅크에서 반주를 해서 음원을 제공하는 미디음원모듈(201), 제어부(202) 및 반주와 노래를 합성하는 신호 합성부(203)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accompaniment 200 of an embodiment includes a MIDI sound source module 201, a control unit 202, and accompaniment and song accompaniment in a sound bank to provide a sound source when the song video content is generated. It includes a signal synthesis unit 203 to synthesize.

추가적으로, 일실시예의 반주기는 사용자선곡과 반주기기능제어의 명령을 입력받는 키신호 입력부(204)와 자막/영상의 정보를 영상신호변환하는 자막/영상 처리부(205), 코러스정보를 음성신호변환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206)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half cycle of one embodiment includes a key signal input unit 204 receiving a command for user selection and half cycle function control, a caption/image processing unit 205 for converting the information of the caption/video to a video signal, and a voice signal for converting the chorus information. And an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206.

상기 미디음원모듈(201)은 전술한 노래 동영상콘텐츠가 생성될 시 사운드 뱅크에서 사용자를 통해 선택된 곡의 미디 신호 내의 연주 신호를 전술한 동영상콘텐츠생성 포맷에 따라 신시사이저 악기음으로 변환하여 재생한다. 그래서, 상기 미디음원모듈(201)은 사용자가 노래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할려고 할 시, 이러한 재생으로부터 반주음악을 제공해서 음원이 녹음되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그 미디 신호는 연주 신호와 신시사이저 사운드 합성(synthesizing)의 환경설정 명령을 포함해서 이루어진다.The MIDI sound source module 201 converts the performance signal in the MIDI signal of the song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sound bank into a synthesizer musical instrument soun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video content generation format when the above-described video content is generated. Thus, the MIDI sound source module 201 provides accompaniment music from the reproduction when the user tries to create a song video content so that the sound source is recorded. In this case, the MIDI signal includes a performance signal and an environment setting command for synthesizing the synthesizer sound.

상기 제어부(202)는 이러한 노래 동영상콘텐츠가 생성될 시, 모바일기기로부터 전술한 명령포맷을 전송받아 사용자지정곡에 따라 상기 미디음원모듈(201)의 악기음 변환 동작을 제어해서 노래의 반주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When such song video content is generated, the control unit 202 receives the above-described command format from a mobile device and controls the instrument sound conversion operation of the MIDI sound source module 201 according to a user-designated song to become accompaniment to the song. will be.

상기 신호 합성부(203)는 상기 제어부(202)에 의해 악기음 변환 동작이 제어될 시, 상기 미디음원모듈(201)의 악기음과 마이크의 사용자노래음으로부터 반주음악과 사용자노래신호를 합성하여 앰프를 통해 출력되도록 해서 녹음을 한다.
When the instrument sound conversion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02, the signal synthesis unit 203 synthesizes accompaniment music and user song signals from the instrument sound of the MIDI sound source module 201 and the user song sound of the microphone. Record it by outputting it through an amplifier.

도 3과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의 노래 동영상콘텐츠의 생성 방법을 전체적으로 시스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3 and 4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song video content by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구체적으로, 도 3은 모바일기기에서 노래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하도록 영상녹화에 대해 제어하는 동작과 반주기에서 이러한 제어에 따라 녹음하는 동작을 절차대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의 동작에 따라 모바일기기에서 반주기로부터 녹음파일을 다운로드해서 노래 동영상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동작을 절차대로 나타내는 도면이다.Specifically,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controlling video recording so as to generate a song video content in a mobile device and an operation of recording according to this control in a half cycle, as a procedur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downloading a recorded file from a half cycle in a mobile device and generating a song video content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FIG. 3 as a procedure.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는 노래할시 모바일기기의 동영상녹화와 반주기의 노래음원녹음을 동기화된 네트워크연결 포맷으로 하도록 미리 설정된 통신프로토콜로부터 무선네트워크를 형성해서 모바일기기/반주기를 연결한다.As shown in FIGS. 3 and 4, in one embodiment, a wireless network is formed from a communication protocol set in advance so that video recording of a mobile device and recording of a half-cycle song sound source in a synchronized network connection format when singing, Connect the half cycle.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무선네트워크가 형성될 시, 상기한 노래 동영상콘텐츠생성 포맷으로부터 녹화시작을 개시하고 반주기로 알림해서 노래 동영상콘텐츠의 생성이 개시되도록 한다.In this state, when the wireless network is formed, recording starts from the above-described song video content generation format and is notified in a half cycle so that the creation of song video content is started.

그래서, 이에 따라 녹화시작이 개시될 시, 상기한 노래 동영상콘텐츠생성 포맷으로부터 반주기의 녹음 온을 전송받아 녹화시작해서 노래 동영상콘텐츠의 생성이 개시된다.Accordingly, when recording starts accordingly, half-cycle recording on is received from the above-described song video content creation format, and recording starts to start generating song video content.

이러한 경우, 일실시예는 반주기에 의해 녹음이 될 시, 반주기에서 예를 들어, 반주기 녹음모드 상태를 2가지로 구분 처리 적용한다. 그 반주기 녹음모드 상태 2가지는 일반녹음상태 / 앱 연동 녹음상태이다. 그리고, 일실시예는 앱 연동 녹음상태일 경우 예를 들어, '녹음 중 아이콘'으로 화면 상단 우측에 표출을 처리한다. 또한, 일반녹음 중 상태에서 중간에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기기 앱 연동 녹음은 되지 않도록 설정한다. 이에 더하여, 앱 연동 녹음상태에서는 녹음 중 녹음버튼의 독립적인 동작 예를 들어, 녹음 OFF는 차단처리 한다. 그리고, 정지버튼을 누르거나 완곡연주 이후에 녹음OFF대기 처리하는 것으로 한다.In this case, in an embodiment, when recording is performed by a half cycle, for example, a half cycle recording mode state is divided into two and applied. The two half-cycle recording mode states are the general recording state / the app-linked recording state. In addition, in an exemplary embodiment, in the case of an app-linked recording state, the display is processed on the upper right of the screen as, for example, a'recording icon'. In addition, it is set not to record interlocked with mobile device apps such as smartphones in the middle of normal recording. In addition, in an app-linked recording state, an independent operation of the record button during recording, for example, recording OFF is blocked.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e recording OFF standby process is performed after pressing the stop button or playing the euphemism.

그리고 나서, 이렇게 녹화가 시작될 시, 상기한 노래 동영상콘텐츠생성 포맷으로부터 녹화를 플레이하고 반주기로 동기화해서 녹음이 플레이되도록 알림해서 노래 동영상콘텐츠가 생성되도록 한다.Then, when the recording starts in this way, the recording is played from the above-described song video content creation format, and the recording is notified so that the recording is played by synchronizing it in a half cycle so that the song video content is generated.

따라서, 이를 통해 이렇게 녹화와 녹음이 플레이될 시, 상기한 노래 동영상콘텐츠생성 포맷으로부터 반주기의 녹음파일을 다운로드받아 합성해서 실시간으로 노래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하도록 한다.Accordingly, when the recording and recording are played in this way, a half-cycle recording file is downloaded from the above-described song video content creation format and synthesized to generate song video content in real time.

이러한 경우, 그 합성은 반주기의 녹음파일이 다운로드될 시, 모바일기기에서 동영상콘텐츠를 모바일기기영상녹화와 반주기음원녹음 개시 수행에 따른 모바일기기동영상과 동영상오디오 뮤트하 반주기녹음오디오의 합성으로 생성해서 된다.In this case, when the half-cycle recording file is downloaded, the video content is generated by the mobile device by synthesizing the mobile device video and the half-cycle recording audio under the video audio mute according to the mobile device video recording and the start of the half-cycle sound source recording. .

그리고, 이에 더하여 이러한 경우, 일실시예는 녹화가 완료되면 스마트폰앱 등의 모바일앱에서는반주기에서 녹음곡 저장 완료를 회신받을 때까지 대기하도록 하며, 동영상 촬영 버튼은 비활성화 처리한다. 그리고, 반주기에서는 동일하게 녹음편집 프로세스를 지원하도록 한다. 단, 녹음곡 저장 시 파일명 입력은 스킵한다. 그리고, 스마트폰앱등의 모바일앱에서 파일명 생성하여 공유한다. 이에 따라, 반주기 녹음곡 예를 들어, MP3가 생성이 완료되면, 스마트폰앱에서는 미리 설정된 MP3수신버튼을 활성화하여 선택 시 MP3를 전송받도록 한다. 이후 미리 설정된 믹싱 모드에서 동영상 녹화영상과 전송받은 녹음MP3파일의 싱크 보정 및 머지를 지원한다.In addition, in this case, in this case, when the recording is completed, a mobile app such as a smartphone app waits until a response is received for the completion of saving the recorded song in a half cycle, and the video recording button is deactivated. And, in the half cycle, the recording editing process is supported in the same way. However, when saving the recorded song, the file name input is skipped. In addition, file names are created and shared in mobile apps such as smartphone apps. Accordingly, when the generation of the half-cycle recorded song, for example, MP3, is completed, the smartphone app activates a preset MP3 receiving button to receive the MP3 when selected. After that, it supports sync correction and merging of the video recorded video and the transmitted recorded MP3 file in the preset mixing mode.

따라서, 이를 통해 일실시예는 노래방에서 노래를 부를 시, 모바일기기에서 생성한 영상파일과 반주기에서 생성한 음성파일을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동기화된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해서 실시간으로 노래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한다.
Accordingl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singing in a karaoke room, a video file generated by a mobile device and an audio file generated in a half cycle are synchronized through a wireless network to generate a song video content in real time.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의 노래 동영상콘텐츠의 생성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5 is a flowchart sequentially showing a method of generating song video content by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먼저 노래방을 통해 노래를 부를 시, 모바일기기에서 노래동영상을 생성해서 동영상콘텐츠를 제공하는 모바일기기의 노래 동영상콘텐츠의 생성 방법에 대한 것이다.As shown in FIG. 5, 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lates to a method of generating song video content by a mobile device that provides video content by generating a song video in a mobile device when singing through a karaoke room first.

구체적으로, 노래동영상이 생성될 시, 모바일기기의 영상녹화에 반주기의 음원이 동기화되는 명령포맷으로 모바일기기의 영상파일과 반주기의 음성파일로부터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하는 포맷을 등록해서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하도록 한다(S501).Specifically, when a song video is created, the video content is created by registering a format that generates video content from the video file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audio file of the half cycle in a command format in which the sound source of the half cycle is synchronized with the video recording of the mobile device. Do (S501).

이러한 경우, 상기 명령포맷은 동영상콘텐츠가 생성될 시, 모바일기기에서 동영상 촬영모드의 동작과 반주기의 플레이어의 동작을 동기화해서 제어함으로써 노래 동영상콘텐츠가 생성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동영상 촬영모드의 동작은 녹화/정지/타이머 등의 기능이고, 상기 플레이어의 동작은 녹음/시작/정지 등이다.In this case, when the video content is generated, the command format synchronizes and controls the motion of the video recording mode and the motion of the player in the half cycle in the mobile device to generate the song video content. For example, the operation of the video recording mode is a function such as recording/stop/timer, and the operation of the player is recording/start/stop.

그리고, 노래방에서 노래부를 시, 모바일기기의 동영상녹화와 반주기의 노래음원녹음을 동기화된 네트워크연결 포맷에 의해 하도록 미리 설정된 통신프로토콜로부터 무선네트워크를 형성해서 모바일기기와 반주기를 연결한다(S502).Then, when singing in a karaoke room, a wireless network is formed from a communication protocol set in advance so as to record a video of a mobile device and a song sound source of a half cycle using a synchronized network connection format to connect the mobile device and the half cycle (S502).

이러한 경우 그 네트워크연결 포맷은 모바일기기와 반주기가 연결될 시 반주기에서 동기화되어 선택된 노래의 연주와 녹음을 수행하며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 연결된 모바일기기에서 상호 규약된 명령절차에 따라 영상녹화를 수행해서 된다.In this case, when the mobile device and the accompaniment are connected, the network connection format is synchronized in the accompaniment to perform and record the selected song, and video recording is performed by the mobile device connected via a wireless access point according to mutually regulated command procedures.

그래서, 이렇게 무선네트워크가 형성될 시 S501의 포맷으로부터 동영상콘텐츠를 모바일기기영상녹화와 반주기음원녹음 개시 수행에 따른 모바일기기동영상과 동영상오디오 뮤트하 반주기녹음오디오의 합성으로 생성해서 제작한다(S503).Therefore, when the wireless network is formed in this way, the video content is generated from the format of S501 by synthesizing the mobile device video and the half cycle recording audio under the video audio mute according to the mobile device video recording and the half cycle sound source recording start (S503).

이러한 경우, 그 합성은 반주기의 녹음된 오디오가 다운로드될 시 모바일기기에서 동영상 오디오는 뮤트한 상태에서 동영상과 반주곡을 재생하고 이용자가 확인 후 미세하고 영상과 오디오 싱크가 맞지 않을 경우 별도 싱크작업을 수행한다.In this case, when the recorded audio of the accompaniment is downloaded, the video and the accompaniment song are played on the mobile device while the video audio is muted, and if the user confirms it is fine and the video and audio are not synchronized, a separate sync operation is performed. Perform.

그래서, 일반적으로 일반인이 보기엔 바로 합성을 할경우 크게 오디오와 영상의 싱크가 문제없을지 모르겠지만 동영상 촬영과 반주기 재생을 동일하게 스타트 하더라도 모바일기기의 환경등으로 미세하게 영상과 오디오가 싱크차이 발생한다.So, in general, if you do the synthesis right away, it may not be a problem for the synchronization of audio and video, but even if you start video recording and half-cycle playback at the same time,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in sync between video and audio due to the environment of the mobile device.

따라서, 이러한 싱크차이가 발생하는데 있어 녹화완료후 별도 후보정 단계를 추가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미리 확인 후 최종 동영상을 제작완료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장점이다.
Therefore, in the occurrence of such a difference in synch, it is an advantage that a separate candidate selection step is additionally provided after the recording is completed, so that the user can check in advance and then produce the final video.

이상과 같이, 일실시예는 노래방에서 노래를 부를 시, 모바일기기의 영상녹화에 반주기의 음원이 동기화되는 명령포맷으로 이러한 영상파일과 음성파일로부터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하는 포맷을 등록해서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in one embodiment, when singing in a karaoke room, a video content is generated by registering a format for generating video content from the video file and audio file in a command format in which the sound source of the half cycle is synchronized with the video recording of the mobile device. Do it.

그리고, 이렇게 노래를 부를 시, 모바일기기의 동영상녹화와 반주기의 노래음원녹음을 동기화된 네트워크연결 포맷에 의해 하도록 미리 설정된 통신프로토콜로부터 무선네트워크를 형성해서 모바일기기와 반주기를 연결한다.When singing in this way, the mobile device and the accompaniment are connected by forming a wireless network from a communication protocol set in advance so that video recording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recording of a song sound source in a half cycle are performed by a synchronized network connection format.

그래서, 이러한 무선네트워크가 형성될 시 상기한 포맷으로부터 동영상콘텐츠를 모바일기기의 영상녹화 개시수행과 반주기의 음원녹음 개시수행에 따른 영상과 음원의 합성에 따라 생성해서 실시간으로 노래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한다.Thus, when such a wireless network is formed, video content is generated from the above format according to the synthesis of the video and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video recording start performance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half-cycle sound recording start performance, thereby generating the song video content in real time.

따라서, 이를 통해 노래방에서 노래를 부를 시, 모바일기기에서 생성한 영상파일과 반주기에서 생성한 음성파일을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동기화된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해서 실시간으로 노래방 등에서 노래하는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한다.Accordingly, when singing in a karaoke room, a video file generated in a mobile device and an audio file generated in the accompaniment are synchronized through a wireless network to generate video content that is sung in a karaoke room in real time.

또한, 이에 더하여 모바일기기에서 동영상 촬영시 모바일기기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는 주변잡음등으로 인해 오디오 품질이 떨어진다. 그러므로, 이렇게 오디오 품질이 떨어지는데 있어 반주기에서 생성된 깨끗한 오디오를 동영상에 합쳐 스튜디오 등에서 녹음한듯한 고품질의 동영상 제공이 주된 목적이다.
In addition, when recording a video on a mobile device, audio input through a microphone of the mobile device is degraded due to ambient noise. Therefore, the main purpose is to provide a high-quality video, as if recorded in a studio or the like, by combining the clean audio generated in the half cycle with the video in this poor audio quality.

도 6은 도 5의 모바일기기의 노래 동영상콘텐츠의 생성 방법에 적용된 일실시예에 따른 반주기의 운영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6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half cy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pplied to the method of generating song video content of the mobile device of FIG. 5.

보다 상세하게,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이렇게 노래 동영상콘텐츠가 생성될 시, 반주기에서 노래음원녹음을 수행하도록 반주기의 운영 방법을 제공한다.In more detail,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provides a method of operating a half cycle to perform recording of a song sound source in the half cycle when song video content is generated in this way.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반주기의 운영 방법은 먼저 노래방을를 통해 노래를 부를 시, 모바일기기에서 노래동영상을 생성시켜 동영상콘텐츠가 제공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6, 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accompani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singing through a karaoke room first, a song video is generated by a mobile device to provide video content.

구체적으로 그 방법은 노래동영상생성될 시 모바일기기의 영상녹화에 반주기의 음원이 동기화되는 명령포맷으로 모바일기기의 영상파일과 반주기의 음성파일로부터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하는 포맷을 등록해서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하도록 한다.Specifically, the method is a command format in which the sound source of the half-cycle is synchronized with the video recording of the mobile device when the song video is created, and the video content is created by registering the format that creates the video content from the video file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audio file of the half-cycle. do.

그리고, 노래방에서 노래부를 시, 모바일기기의 동영상녹화와 반주기의 노래음원녹음을 동기화된 네트워크연결 포맷에 의해 하도록 미리 설정된 통신프로토콜로부터 무선네트워크를 형성해서 모바일기기에 연결한다.And, when singing in a karaoke room, a wireless network is formed from a communication protocol set in advance so as to record a video of a mobile device and a song sound source of a half cycle using a synchronized network connection format, and connect to the mobile device.

그래서, 이렇게 무선네트워크가 형성될 시 S601의 포맷으로부터 음원녹음을 모바일기기영상녹화에 따라 개시수행해서 모바일기기에서 모바일기기동영상과 동영상오디오 뮤트하 반주기녹음오디오의 합성으로 동영상콘텐츠가 생성되도록 한다.
So, when the wireless network is formed in this way, the sound source recording is started from the format of S601 according to the video recording of the mobile device, so that the video content is generated by the synthesis of the mobile device video and the half cycle recording audio under the video audio mute in the mobile device.

이상과 같이, 일실시예는 노래방에서 노래를 부를 시, 모바일기기의 영상녹화에 반주기의 음원이 동기화되는 명령포맷으로 이러한 영상파일과 음성파일로부터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하는 포맷을 등록해서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in one embodiment, when singing in a karaoke room, a video content is generated by registering a format for generating video content from the video file and audio file in a command format in which the sound source of the half cycle is synchronized with the video recording of the mobile device. Do it.

그리고, 이렇게 노래를 부를 시, 모바일기기의 동영상녹화와 반주기의 노래음원녹음을 동기화된 네트워크연결 포맷에 의해 하도록 미리 설정된 통신프로토콜로부터 무선네트워크를 형성해서 모바일기기와 반주기를 연결한다.When singing in this way, the mobile device and the accompaniment are connected by forming a wireless network from a communication protocol set in advance so that video recording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recording of a song sound source in a half cycle are performed by a synchronized network connection format.

그래서, 이러한 무선네트워크가 형성될 시 상기한 포맷으로부터 음원녹음을 모바일기기영상녹화에 따라 개시수행해서 모바일기기에서 모바일기기동영상과 동영상오디오 뮤트하 반주기녹음오디오의 합성으로 동영상콘텐츠가 생성되도록 한다.Therefore, when such a wireless network is formed, the sound source recording is started from the above format according to the mobile device video recording, so that the mobile device video and the video content are combined with the half-cycle recording audio under the video audio mute to generate the video content.

따라서, 이를 통해 노래방에서 노래를 부를 시, 모바일기기에서 생성한 영상파일과 반주기에서 생성한 음성파일을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동기화된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해서 실시간으로 노래방 등에서 노래하는 동영상콘텐츠가 생성된다.Accordingly, when singing in a karaoke room, video content that is synchronized with a video file generated by a mobile device and an audio file generated in the accompaniment through a wireless network is generated through a wireless network, thereby creating a video content for singing in a karaoke room in real time.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모바일기기 200 : 반주기
*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mobile device 200: half cycle

Claims (5)

노래를 부를 시, 모바일기기에서 노래동영상을 생성해서 동영상콘텐츠를 제공하는 모바일기기의 노래 동영상콘텐츠의 생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노래동영상이 생성될 시, 모바일기기의 영상녹화에 반주기의 음원이 동기화되는 명령포맷으로 모바일기기의 영상파일과 반주기의 음성파일로부터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하는 포맷을 등록해서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하도록 하는 제 1 단계;
상기 노래를 부를 시, 모바일기기의 동영상녹화와 반주기의 노래음원녹음을 동기화된 네트워크연결 포맷에 의해 하도록 미리 설정된 통신프로토콜로부터 무선네트워크를 형성해서 모바일기기와 반주기를 연결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무선네트워크가 형성될 시 상기 제 1 단계의 포맷으로부터 동영상콘텐츠를 모바일기기영상녹화와 반주기음원녹음 개시 수행에 따른 모바일기기동영상과 동영상오디오 뮤트하 반주기녹음오디오의 합성으로 생성해서 제작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의 노래 동영상콘텐츠의 생성 방법.
In the method of generating song video content for a mobile device that provides video content by creating a song video on a mobile device when singing a song,
When the song video is generated, the video content is generated by registering a format for generating video content from the video file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audio file of the half cycle in a command format in which the sound source of the half cycle is synchronized with the video recording of the mobile device. Level 1;
A second step of connecting a mobile device and a half cycle by forming a wireless network from a communication protocol set in advance to perform a video recording of a mobile device and a half cycle song sound source recording by a synchronized network connection format when singing the song; And
When the wireless network is formed, the third step of generating and producing a video content from the format of the first step by synthesizing a mobile device video and a half cycle recording audio under a video audio mute according to a mobile device video recording and a half cycle sound source recording start. A method of generating song video content for a mobile devic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무선네트워크가 형성될 시, 상기 제 1 단계의 포맷으로부터 녹화시작을 개시하고 반주기로 알림해서 노래 동영상콘텐츠의 생성이 개시되도록 하는 제 3-1 단계;
상기 녹화시작이 개시될 시, 상기 제 1 단계의 포맷으로부터 반주기의 녹음 온을 전송받아 녹화시작해서 노래 동영상콘텐츠의 생성이 개시되는 제 3-2 단계;
상기 녹화가 시작될 시, 상기 제 1 단계의 포맷으로부터 녹화를 플레이하고 반주기로 동기화해서 녹음이 플레이되도록 알림해서 노래 동영상콘텐츠가 생성되도록 하는 제 3-3 단계; 및
상기 녹화와 녹음이 플레이될 시, 상기 제 1 단계의 포맷으로부터 반주기의 녹음파일을 다운로드받아 합성해서 실시간으로 노래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하는 제 3-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의 노래 동영상콘텐츠의 생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third step
A step 3-1 of starting recording from the format of the first step when the wireless network is formed, and notifying in a half cycle so that the creation of song video content is started;
A step 3-2 in which, when the recording starts, the recording is started by receiving half-cycle recording-on from the format of the first step, and generation of the song video content is started;
A third step of playing the recording from the format of the first step when the recording starts, and notifying that the recording is played by synchronizing it in a half cycle so that the song video content is generated; And
And a 3-4 step of generating song video content in real time by downloading and synthesizing the recording file of a half cycle from the format of the first step when the recording and recording are played. How to create content.
모바일 단말과 결합되어,
노래를 부를 시, 모바일기기에서 노래동영상을 생성해서 동영상콘텐츠를 제공하는 모바일기기의 노래 동영상콘텐츠의 생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노래동영상이 생성될 시, 모바일기기의 영상녹화에 반주기의 음원이 동기화되는 명령포맷으로 모바일기기의 영상파일과 반주기의 음성파일로부터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하는 포맷을 등록해서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하도록 하는 제 1 단계;
상기 노래를 부를 시, 모바일기기의 동영상녹화와 반주기의 노래음원녹음을 동기화된 네트워크연결 포맷에 의해 하도록 미리 설정된 통신프로토콜로부터 무선네트워크를 형성해서 모바일기기와 반주기를 연결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무선네트워크가 형성될 시 상기 제 1 단계의 포맷으로부터 동영상콘텐츠를 모바일기기영상녹화와 반주기음원녹음 개시 수행에 따른 모바일기기동영상과 동영상오디오 뮤트하 반주기녹음오디오의 합성으로 생성해서 제작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의 노래 동영상콘텐츠의 생성 애플리케이션.
Combined with a mobile terminal,
In the method of generating song video content for a mobile device that provides video content by creating a song video on a mobile device when singing a song,
When the song video is generated, the video content is generated by registering a format for generating video content from the video file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audio file of the half cycle in a command format in which the sound source of the half cycle is synchronized with the video recording of the mobile device. Level 1;
A second step of connecting a mobile device and a half cycle by forming a wireless network from a communication protocol set in advance to perform a video recording of a mobile device and a half cycle song sound source recording by a synchronized network connection format when singing the song; And
When the wireless network is formed, the third step of generating and producing a video content from the format of the first step by synthesizing a mobile device video and a half cycle recording audio under a video audio mute according to a mobile device video recording and a half cycle sound source recording start. An application for generating song video content of a mobile device, comprising: a.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무선네트워크가 형성될 시, 상기 제 1 단계의 포맷으로부터 녹화시작을 개시하고 반주기로 알림해서 노래 동영상콘텐츠의 생성이 개시되도록 하는 제 3-1 단계;
상기 녹화시작이 개시될 시, 상기 제 1 단계의 포맷으로부터 반주기의 녹음 온을 전송받아 녹화시작해서 노래 동영상콘텐츠의 생성이 개시되는 제 3-2 단계;
상기 녹화가 시작될 시, 상기 제 1 단계의 포맷으로부터 녹화를 플레이하고 반주기로 동기화해서 녹음이 플레이되도록 알림해서 노래 동영상콘텐츠가 생성되도록 하는 제 3-3 단계; 및
상기 녹화와 녹음이 플레이될 시, 상기 제 1 단계의 포맷으로부터 반주기의 녹음파일을 다운로드받아 합성해서 실시간으로 노래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하는 제 3-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의 노래 동영상콘텐츠의 생성 애플리케이션.
The method of claim 3,
The third step
A step 3-1 of starting recording from the format of the first step when the wireless network is formed, and notifying in a half cycle so that the creation of song video content is started;
A step 3-2 in which, when the recording starts, the recording is started by receiving half-cycle recording-on from the format of the first step, and generation of the song video content is started;
A third step of playing the recording from the format of the first step when the recording starts, and notifying that the recording is played by synchronizing it in a half cycle so that the song video content is generated; And
And a 3-4 step of generating song video content in real time by downloading and synthesizing the recording file of a half cycle from the format of the first step when the recording and recording are played. Content creation application.
노래를 부를 시, 모바일기기에서 노래동영상을 생성시켜 동영상콘텐츠가 제공되는 반주기의 운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노래동영상이 생성될 시, 모바일기기의 영상녹화에 반주기의 음원이 동기화되는 명령포맷으로 모바일기기의 영상파일과 반주기의 음성파일로부터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하는 포맷을 등록해서 동영상콘텐츠를 생성하도록 하는 제 1 단계;
상기 노래를 부를 시, 모바일기기의 동영상녹화와 반주기의 노래음원녹음을 동기화된 네트워크연결 포맷에 의해 하도록 미리 설정된 통신프로토콜로부터 무선네트워크를 형성해서 모바일기기에 연결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무선네트워크가 형성될 시 상기 제 1 단계의 포맷으로부터 음원녹음을 모바일기기영상녹화에 따라 개시수행해서 모바일기기에서 모바일기기동영상과 동영상오디오 뮤트하 반주기녹음오디오의 합성으로 동영상콘텐츠생성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의 노래 동영상콘텐츠의 생성에 적용된 반주기의 운영 방법.






When singing a song, i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accompaniment that video content is provided by creating a song video on a mobile device,
When the song video is generated, the video content is generated by registering a format for generating video content from the video file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audio file of the half cycle in a command format in which the sound source of the half cycle is synchronized with the video recording of the mobile device. Level 1;
A second step of connecting to a mobile device by forming a wireless network from a communication protocol set in advance to perform a video recording of a mobile device and a song sound source recording of a half cycle by a synchronized network connection format when singing the song; And
The third step in which, when the wireless network is formed, the sound source recording is started from the format of the first step according to the video recording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video content is generated by synthesizing the mobile device video and the half cycle recording audio under the video audio mute in the mobile device. A method of operating a half cycle applied to the creation of song video content of a mobile device, comprising: a.






KR1020190031102A 2019-03-19 2019-03-19 Method for making video contents of singing in mobile device and application thereof and method for operating karaoke device employing it KR1021816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102A KR102181618B1 (en) 2019-03-19 2019-03-19 Method for making video contents of singing in mobile device and application thereof and method for operating karaoke device employing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102A KR102181618B1 (en) 2019-03-19 2019-03-19 Method for making video contents of singing in mobile device and application thereof and method for operating karaoke device employing 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447A true KR20200111447A (en) 2020-09-29
KR102181618B1 KR102181618B1 (en) 2020-11-23

Family

ID=72661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102A KR102181618B1 (en) 2019-03-19 2019-03-19 Method for making video contents of singing in mobile device and application thereof and method for operating karaoke device employing 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61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71235A (en) * 2014-09-30 2016-05-09 株式会社エクシング Karaoke control system, program, and karaoke syste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71235A (en) * 2014-09-30 2016-05-09 株式会社エクシング Karaoke control system, program, and karaoke syste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1618B1 (en) 2020-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09631B2 (en) Karaoke equipment
KR101414217B1 (en) Real time image synthesis apparatus and image synthesis method
JP6227456B2 (en) Music performance apparatus and program
KR102181618B1 (en) Method for making video contents of singing in mobile device and application thereof and method for operating karaoke device employing it
JP5109496B2 (en) Data distribution apparatus, data distribution method and program
JP4500754B2 (en) Karaoke system
JP4327165B2 (en) Music playback device
KR20150018194A (en) Evaluation Methods and System for mimicking song
JP6007098B2 (en) Singing video generation system
JP6220576B2 (en) A communication karaoke system characterized by a communication duet by multiple people
JP5780258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portable terminal program, server, and image browsing system
JP2002229576A (en) Pocket karaoke terminal, model song signal delivery device, and pocket karaoke system
JP6601615B2 (en) Movie processing system, movie processing program, and portable terminal
JP5198195B2 (en) Karaoke equipment
JP4171687B2 (en) Music player
JPH10319977A (en) Karaoke (sign-along machine) playing device and portable test hearing terminal for karaoke
JP2019040167A (en) Karaok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6184684A (en) Music reproducing device
JP4153453B2 (en) Music player
JP2008242264A (en) Karaoke system
JP2002300434A (en) Program transmission system and device thereof
JP2009008830A (en) System for displaying image corresponding to musical composition
JP2007093658A (en) Audio device and karaoke machine
JP4337726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06011190A (en) Sound field set up system for music-reproduc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