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0799A - Draw-out breaker - Google Patents
Draw-out break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10799A KR20200110799A KR1020207024719A KR20207024719A KR20200110799A KR 20200110799 A KR20200110799 A KR 20200110799A KR 1020207024719 A KR1020207024719 A KR 1020207024719A KR 20207024719 A KR20207024719 A KR 20207024719A KR 20200110799 A KR20200110799 A KR 2020011079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utter
- circuit breaker
- fixed
- terminal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24—Shutters or guar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20—Terminals; Connec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Frameworks
- H02B1/012—Details of mechanical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eakers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Abstract
인출형 차단기는, 단자 장치와, 셔터 장치를 구비한다. 단자 장치는, 복수의 인출 프레임 측 도체가 삽입되는 절연 베이스(21)를 복수 가진다. 셔터 장치는, 복수의 고정 셔터를 가진다. 복수의 절연 베이스(21)는, 차단기 본체가 인출되는 방향인 제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배열된다. 복수의 절연 베이스(21) 각각은, 제2 방향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벽부(213, 214)를 가지고, 한 쌍의 벽부(213, 214) 각각은, 고정 셔터와 걸리는 걸림부(213f, 214f)를 가진다. 걸림부(213f, 214f) 각각은, 제1 방향으로 연신되는 제1 연신부(213f1, 214f1)와, 제1 연신부(213f1, 214f1)의 선단으로부터 제2 방향을 향해서 연신되는 제2 연신부(213f2, 214f2)를 가진다. 한 쌍의 벽부(213, 214) 중 일방의 제2 연신부(213f2)와 타방의 제2 연신부(214f2)는,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신된다. The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includes a terminal device and a shutter device. The terminal device has a plurality of insulating bases 21 into which a plurality of lead frame-side conductors are inserted. The shutter device has a plurality of fixed shutters. The plurality of insulating bases 21 are arranged in a second direction that is orthogonal to a first direction that is a direction in which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is drawn out. Each of the plurality of insulating bases 21 has a pair of wall portions 213 and 214 that face in the second direction, and each of the pair of wall portions 213 and 214 has a fixed shutter and engaging portions 213f and 214f that are engaged with each other. ). Each of the locking portions 213f and 214f is a first extending portion 213f1 and 214f1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extend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tip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s 213f1 and 214f1 toward the second direction. (213f2, 214f2). Of the pair of wall portions 213 and 214, one second stretched portion 213f2 and the other second stretched portion 214f2 are stretched in a direction apart from each other.
Description
본 발명은, 단자 장치가 배치되는 인출 프레임 내에 인출 가능하게 차단기 본체가 수납되는 인출형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in which a circuit breaker main body is accommodated in a pull-out frame in which a terminal device is disposed.
종래, 셔터 장치를 구비하는 인출형 차단기가 알려져 있다. 셔터 장치를 구비하는 인출형 차단기는, 인출 프레임과, 인출 프레임에 배치되는 단자 장치와, 인출 프레임 내로부터의 인출이 가능한 차단기 본체와, 단자 장치의 전면(前面)에 장착되는 셔터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BACKGROUND ART A pull-out type circuit breaker having a shutter device has been known in the art. A pull-out type circuit breaker equipped with a shutter device includes a pull-out frame, a terminal device disposed on the pull-out frame, a breaker main body capable of being pulled out from within the pull-out frame, and a shutter device mounted on a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device. have.
단자 장치는, 전원 측 도체 및 부하 측 도체에 접속되는 복수의 인출 프레임 측 도체와, 복수의 인출 프레임 측 도체가 삽입되는 절연 베이스를 상(相)마다 가지고 있다. 또, 차단기 본체는, 인출 프레임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복수의 인출 프레임 측 도체와 접속되는 복수의 차단기 측 도체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셔터 장치는, 인출 프레임으로부터 차단기 본체가 인출되었을 때에 인출 프레임 측 도체가 차단기 본체 측으로부터 보아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인출 프레임 측 도체를 덮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The terminal device has a plurality of lead frame side conductor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side conductor and the load side conductor, and an insulating base into which the plurality of lead frame side conductors are inserted, for each phase. Further,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has a plurality of circuit breaker side conductor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lead frame side conductors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lead frame. Further, the shutter device has a function of covering the lead frame side conductor in order to prevent the lead frame side conductor from being exposed as viewed from the breaker body side when the breaker main body is drawn out from the lead frame.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차단기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차단기 측 도체의 삽입이 가능한 개구를 가지는 고정 셔터와, 차단기 본체가 인출될 때에 구동 기구에 의해서 고정 셔터의 개구를 덮는 위치로 이동되는 가동 셔터를 구비하는 셔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인출형 차단기는, 상(相)마다 마련되는 절연 베이스가 좌우 대칭형의 반체(半體)를 조립시킴으로써 구성되어 있고, 2개의 반체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마련된 가이드 홈에 고정 셔터를 삽입함으로써, 고정 셔터를 절연 베이스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그렇지만, 상(相)마다 마련되는 절연 베이스를 몰드 성형에 의해 일체 형성하는 경우, 고정 셔터를 삽입할 수 있는 가이드 홈을 절연 베이스에 마련하는 것이 곤란한 것과 같은 과제가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종래의 인출형 차단기에서는, 단자 유닛의 조립 또는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However, when the insulating base provided for each phase is integrally formed by mold mold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provide a guide groove into which a fixed shutter can be inserted in the insulating base. For this reason, in the conventional draw-out circuit breaker, assembly or maintenance of the terminal unit may not be easily performed in some cases.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절연 베이스를 일체 형성한 경우라도, 고정 셔터를 절연 베이스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인출형 차단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btain a pull-out type circuit breaker capable of easily attaching a fixed shutter to the insulating base even when the insulating base is integrally formed.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인출형 차단기는, 인출 프레임과, 단자 장치와, 차단기 본체와, 셔터 장치를 구비한다. 단자 장치는, 전원 측 도체 및 부하 측 도체에 접속되는 복수의 인출 프레임 측 도체와, 복수의 인출 프레임 측 도체가 삽입되는 절연 베이스를 포함하는 단자 유닛을 복수 가지고, 인출 프레임 내에 배치된다. 차단기 본체는, 인출 프레임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복수의 인출 프레임 측 도체와 접속되는 복수의 차단기 측 도체를 가지고, 인출 프레임 내로부터의 인출이 가능하다. 셔터 장치는, 차단기 본체의 인출 프레임 내로의 수납시에 복수의 차단기 측 도체가 삽입되는 복수의 개구를 가지는 복수의 고정 셔터와, 차단기 본체가 인출 프레임 내로부터 인출된 경우에 복수의 개구를 막는 가동 셔터를 가진다. 복수의 절연 베이스는, 차단기 본체가 인출되는 방향인 제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배열된다. 복수의 절연 베이스 각각은, 제2 방향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벽부를 가진다. 한 쌍의 벽부 각각은, 고정 셔터와 걸리는 걸림부를 가진다. 걸림부 각각은, 제1 방향으로 연신되는 제1 연신부와, 제1 연신부의 선단으로부터 제2 방향으로 연신되는 제2 연신부를 가진다. 한 쌍의 벽부 중 일방의 제2 연신부와 타방의 제2 연신부는,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신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achieve the object, the pull-out type circuit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ull-out frame, a terminal device, a circuit breaker body, and a shutter device. The terminal device has a plurality of terminal units including a plurality of lead frame side conductor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side conductor and the load side conductor, and an insulating base into which the plurality of lead frame side conductors are inserted, and is disposed in the lead frame.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has a plurality of circuit breaker-side conductor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lead-out frame-side conductors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lead-out frame, and can be withdrawn from the lead-out frame. The shutter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fixed shutters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into which a plurality of breaker-side conductors are inserted when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is accommodated in the withdrawal frame, and movable to close the plurality of openings when the breaker main body is withdrawn from the withdrawal frame. I have a shutter. The plurality of insulating bases are arranged in a second direction that is orthogonal to a first direction that is a direction in which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is drawn out. Each of the plurality of insulating bases has a pair of wall portions facing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Each of the pair of wall portions has a fixed shutter and a locking portion to be engaged. Each of the locking portions has a first extending portion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extending portion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from the tip end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Of the pair of wall portions, one second stretched portion and the other second stretched portion are stretched in a direction apart from each other.
본 발명에 의하면, 절연 베이스를 일체 형성한 경우라도, 고정 셔터를 절연 베이스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insulating base is integrally form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ixed shutter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insulating bas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인출형 차단기의 외관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인출형 차단기에서 차단기 본체가 인출 프레임 내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단자 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자 유닛을 인출 프레임 내에 배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단자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인출 프레임 측 도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단자 장치에 셔터 장치를 장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단자 장치에 셔터 장치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가동 셔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셔터 구동 유닛의 일 예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셔터 구동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셔터 구동 유닛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셔터 구동 유닛의 로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나타내는 유닛 베이스에 로드 및 링크를 장착한 상태의 셔터 구동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나타내는 유닛 베이스에 로드 및 링크를 장착한 상태의 셔터 구동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1에 나타내는 XV-X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차단기 본체가 인출 프레임 내에 수납된 상태의 인출형 차단기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7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차단기 본체가 인출 프레임 내로부터 인출된 상태의 인출형 차단기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8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절연 베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9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절연 베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20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제1 고정 셔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제2 고정 셔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절연 베이스로 셔터 구동 유닛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절연 베이스로 가동 셔터부를 장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절연 베이스로 제1 고정 셔터를 장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절연 베이스로 제2 고정 셔터를 장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셔터 장치가 장착된 단자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나타내는 XXII-XX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8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절연 베이스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29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고정 셔터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0은 도 28에 나타내는 절연 베이스로 도 29에 나타내는 고정 셔터부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1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단자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2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단자 장치에 셔터 장치를 장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33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제3 고정 셔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4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보조 패널의 외관 사시도이다. 1 is an external view of a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Fig. 2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is pulled out from the pull-out frame in the pull-out typ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3 is a rear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terminal units constituting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re arranged in a lead fram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erminal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5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lead frame side condu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6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e in which a shutter device is attached to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7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hutter device is attached to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8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movable shut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9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hutter drive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hutter drive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11 is a bottom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hutter drive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1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rod of the shutter drive unit shown in FIG. 11.
13 is a plan view of a shutter driving unit in a state in which a rod and a link are attached to the unit base shown in FIG. 11.
14 is a plan view of a shutter drive unit in a state in which a rod and a link are attached to the unit base shown in FIG. 11.
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V-XV shown in FIG. 11.
1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in a state in which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accommodated in a draw-out frame.
Fig. 1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in a state in which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pulled out from within the pull-out frame.
18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insulating b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19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insulating b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20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first fixed shut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21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second fixed shut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22 is a diagram showing a mode in which the shutter drive unit is attached to the insulating b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23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shutter unit is attached to the insulating b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24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fixed shutter is attached to the insulating b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25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fixed shutter is attached to the insulating b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26 is a front view of a terminal device equipped with a shutter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2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II-XXII shown in FIG. 26.
28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insulating b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29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fixed shutter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30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ed shutter unit shown in Fig. 29 is attached to the insulating base shown in Fig. 28;
31 is a front view of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3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e in which a shutter device is attached to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33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third fixed shutt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34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pane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인출형 차단기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a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is embodiment.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인출형 차단기의 외관도이며, 도 2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인출형 차단기에서 차단기 본체가 인출 프레임 내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또, 도 1 및 도 2를 포함하는 도면에서,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연직 상향이 정방향인 Z축과, 실시 형태 1에 관한 인출형 차단기(100)의 전방을 정방향으로 하는 X축과, 인출형 차단기(100)의 우측 방향을 정방향으로 하는 Y축을 포함하는 3차원의 직교좌표계를 도시하고 있다. Fig. 1 is an external view of a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reaker main body is pulled out from within a draw-out frame in the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addition, in the drawings including FIGS. 1 and 2, in order to make the explanation easier to understand, the Z axis whose vertical upward is in the positive direction, and the X axis whose front of the draw-out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 형태 1에 관한 인출형 차단기(100)는, 3상(相) 회로의 전기회로의 개폐를 행하는 차단기 본체(1)와, 차단기 본체(1)에 접속되는 단자 장치(2)와, 단자 장치(2)가 배치되고 또한 차단기 본체(1)를 인출 가능하게 수납하는 인출 프레임(3)을 구비한다. 게다가, 인출형 차단기(10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단기 본체(1)와 인출 프레임(3)을 연결하는 인출 레일(4)을 구비한다. 이러한 인출 레일(4)에 의해서, 차단기 본체(1)를 인출 프레임(3) 내로부터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또, 인출형 차단기(100)는, 예를 들면, 미도시의 폐쇄 배전반의 케이스 내에 차단기 본체(1)를 인출할 수 있게 수납된다. As shown in Fig. 1, the lead-out
차단기 본체(1)는, 3상(相) 회로의 전기회로의 개방 동작 및 폐쇄 동작을 행하는 주지의 구성을 가진다. 개방 동작은, 3상 회로에서의 R상, S상, 및 T상 각각의 전기회로를 차단하는 동작이며, 폐쇄 동작은, 3상 회로에서의 R상, S상, 및 T상 각각의 전기회로를 접속하는 동작이다. The circuit breaker
차단기 본체(1)는, 미도시의 고정 접점, 가동 접점, 개폐 기구, 및 트리핑(tripping) 기구를 내장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차단기 측 도체(11-1, 11-2, 11-3, 12-1, 12-2, 12-3)를 구비한다.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은, 상(相)마다 마련된다. 또, 차단기 측 도체(11-1, 11-2, 11-3) 각각을 개별로 구별하지 않고 차단기 측 도체(11)라고 기재하고, 차단기 측 도체(12-1, 12-2, 12-3) 각각을 개별로 구별하지 않고 차단기 측 도체(12)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The
하우징(10)의 전면부(前面部)(10a)에는 미도시의 조작 버튼이 마련되어 있고, 이러한 조작 버튼이 조작됨으로써, 상(相)단위로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으로 접촉하는 폐쇄 동작 및 상단위로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으로부터 괴리하는 개방 동작이 행해진다. 상단위로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으로 접촉함으로써 3상 회로의 전기회로가 접속되어 차단기 본체(1)가 통전(通電) 상태가 된다. 또, 상단위로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으로부터 괴리함으로써 3상 회로의 전기회로가 차단되어 차단기 본체(1)가 비통전 상태가 된다. 또, 하우징(10) 내에 마련된 트리핑 기구는, 3상 회로에 과전류가 흘렀을 때, 상단위로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으로부터 자동적으로 괴리시켜 3상 회로의 전기회로를 차단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An operation button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차단기 측 도체(11)는, 하우징(10) 내에 마련된 고정 접점에 접속되고, 단자 장치(2)를 매개로 하여 미도시의 전원 측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체이다. 차단기 측 도체(12)는, 하우징(10) 내에 마련된 가동 접점에 접속되고, 단자 장치(2)를 매개로 하여 미도시의 부하 측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체이다. 차단기 측 도체(11-1, 12-1)는, R상의 전기회로를 형성하는 도체이고, 차단기 측 도체(11-2, 12-2)는, S상의 전기회로를 형성하는 도체이며, 차단기 측 도체(11-3, 12-3)는, T상의 전기회로를 형성하는 도체이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차단기 측 도체(11)가 차단기 측 도체(12)보다도 상부에 위치하고 있지만, 차단기 측 도체(11)가 차단기 측 도체(12)보다도 하부에 위치하고 있어도 괜찮다. The circuit breaker side conductor 11 is a conductor connected to a fixed contact provided in the
단자 장치(2)는, 복수의 절연 베이스(21)와, 이러한 복수의 절연 베이스(21)에 후방이 돌출된 상태에서 수납되는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1, 22-2, 22-3, 23-1, 23-2, 23-3)를 구비한다.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1, 23-1)는, R상의 전기회로를 형성하는 도체이고,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2, 23-2)는, S상의 전기회로를 형성하는 도체이며,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3, 23-3)는, T상의 전기회로를 형성하는 도체이다. 또,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1, 22-2, 22-3) 각각을 개별로 구별하지 않고 나타내는 경우,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라고 기재하고, 인출 프레임 측 도체(23-1, 23-2, 23-3) 각각을 개별로 구별하지 않고 나타내는 경우, 인출 프레임 측 도체(23)라고 기재한다. The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는, 절연 베이스(21)로부터 돌출된 일단부가 미도시의 전원 측 도체에 접속되고, 차단기 본체(1)가 인출 프레임(3) 내에 수납된 경우에 타단부가 차단기 측 도체(11)에 접속된다. 또, 인출 프레임 측 도체(23)는, 절연 베이스(21)로부터 돌출된 일단부가 미도시의 부하 측 도체에 접속되고, 차단기 본체(1)가 인출 프레임(3) 내에 수납된 경우에 타단부가 차단기 측 도체(12)에 접속된다. 또, 전원 측 도체는, 전원 장치와 인출형 차단기(100)를 접속하는 도체이다. 또, 부하 측 도체는, 전원 장치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부하와 인출형 차단기(100)를 접속하는 도체이다. 부하는, 예를 들면, 전원 장치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동작하는 전기 기기이다. 단자 장치(2)의 구성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술한다. The lead frame-
인출 프레임(3)은, 좌우의 측판(31, 32)을 구비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단기 본체(1)는, 좌우의 측판(31, 32)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인 인출 프레임(3) 내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된다. 또, 단자 장치(2)는, 인출 프레임(3) 내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인출 프레임(3) 내로의 차단기 본체(1)의 수납은, 차단기 본체(1)의 전면부(10a)가 노출된 상태에서 행해지고, 인출 프레임(3) 내로의 단자 장치(2)의 배치는,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 23)가 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행해진다. 또, 인출 프레임(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또, 인출 프레임(3) 내로의 차단기 본체(1)의 수납 위치 및 인출 프레임(3) 내로의 단자 장치(2)의 배치 위치도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pull-out
인출 레일(4)은, 차단기 본체(1)를 인출 프레임(3) 내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차단기 본체(1)와 인출 프레임(3)을 연결하는 인출 레일이며, 전후 방향으로 인출 레일(4)의 길이가 신축 가능하게 되도록 연결된 복수의 레일 부재(41, 42)로 구성된다. 또, 인출 레일(4)은, 차단기 본체(1)를 인출 프레임(3) 내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차단기 본체(1)와 인출 프레임(3)을 연결하는 구성이면 되고, 도 2에 나타내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인출 레일(4)을 대신하여, 차단기 본체(1)를 인출 프레임(3) 내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차단기 본체(1)와 인출 프레임(3)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부재를 인출형 차단기(100)에 마련해도 좋다. The take-out
차단기 본체(1)는, 예를 들면, 미도시의 인출 핸들 및 인출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인출 핸들을 인출 기구에 걸리게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인출 기구에 의해서 인출 레일(4)을 전후 방향으로 신축시킬 수 있다. 인출 레일(4)이 전후 방향으로 신장됨으로써 인출 프레임(3) 내로부터 차단기 본체(1)가 인출된다. 또, 인출 레일(4)이 전후 방향으로 줄어듦으로써 인출 프레임(3) 내에 차단기 본체(1)가 수납되고, 차단기 본체(1)의 차단기 측 도체(11, 12)와 단자 장치(2)의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 23)가 접속된다. The
다음으로, 단자 장치(2)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단자 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자 유닛을 인출 프레임 내에 배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장치(2)는, 3개의 단자 유닛(20-1, 20-2, 20-3)을 구비한다. Next,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단자 유닛(20-1, 20-2, 20-3)이 인출 프레임(3) 내에 배치될 때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쌍방향의 화살표는, 단자 유닛(20-1, 20-2)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단자 유닛(20-1, 20-2, 20-3)은, 인출 프레임(3)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인출 프레임(3) 내에 배치할 수 있고, 또, 상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인출 프레임(3)으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example shown in FIG. 3, the state when the terminal units 20-1, 20-2, 20-3 are arrange|positioned in the lead-out
단자 유닛(20-1, 20-2, 20-3)의 하단부는, 인출 프레임(3)을 구성하는 유지판(33)의 미도시의 개구에 삽입되어 유지판(33)에 의해 유지된다. 또, 단자 유닛(20-1, 20-2, 20-3)의 상단부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출 프레임(3)을 구성하는 유지판(34)의 미도시의 개구에 삽입되어 유지판(34)에 의해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단자 장치(2)가 인출 프레임(3)에 고정된다. 유지판(33, 34)은, 측판(31, 32)에 고정되어 있고, 측판(31, 32)으로부터 유지판(33)을 떼어냄으로써, 단자 유닛(20-1, 20-2, 20-3)을 인출 프레임(3) 내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자 장치(2)는, 인출 프레임(3) 내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다. The lower ends of the terminal units 20-1, 20-2, and 20-3 are inserted into an opening (not shown) of the holding plate 33 constituting the
단자 유닛(20-1)은,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1, 23-1)를 구비한다. 또, 단자 유닛(20-2)은,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2, 23-2)를 구비한다. 단자 유닛(20-3)은,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3, 23-3)를 구비한다. 단자 유닛(20-1, 20-2, 20-3)은 서로 동일한 구성이다. 단자 유닛(20-1, 20-2, 20-3) 각각을 개별로 구별하지 않고 나타내는 경우, 단자 유닛(20)이라고 기재한다. The terminal unit 20-1 includes lead frame side conductors 22-1 and 23-1. Moreover, the terminal unit 20-2 is provided with the lead-out frame side conductors 22-2 and 23-2. The terminal unit 20-3 includes lead frame side conductors 22-3 and 23-3. The terminal units 20-1, 20-2, and 20-3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each other. In the case where each of the terminal units 20-1, 20-2, and 20-3 is not individually distinguished, it is described as a
도 4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단자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인출 프레임 측 도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유닛(20)은, 절연 베이스(21)와,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 23)를 구비한다. 절연 베이스(21)는,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가 삽입되는 단자 수납부(215)와, 인출 프레임 측 도체(23)가 삽입되는 단자 수납부(216)와, 후술하는 2개의 셔터 구동 유닛(53)이 각각 삽입되는 2개의 유닛 수납부(217)를 구비한다.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lead frame side condu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the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는, 단자 도체(221)와, 중계 단자 도체(222)와, 커넥터(223)를 구비한다. 또, 인출 프레임 측 도체(23)는, 단자 도체(231)와, 중계 단자 도체(232)와, 커넥터(233)를 구비한다.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 23)는 서로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의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The lead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의 단자 도체(221)는, 제1 연직면인 Z-Y평면을 따라서 펼쳐지는 저부(221a)와, 저부(221a)로부터 후방으로 연신되고 또한 수평면인 X-Y평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단자부(221b)를 구비한다. 단자 도체(221)의 단자부(221b)에 미도시의 전원 측 도체가 접속된다. 또, 단자 도체(231)의 단자부에는 미도시의 부하 측 도체가 접속된다.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저부(221a)는, 정면에서 볼 때 4변의 길이가 동일한 정방형 형상을 가지고 있고, 직방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단자부(221b)는, 저부(221a)의 상하 방향에서 대향하는 변 사이에 낀 영역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저부(221a)에 수직하게 후방으로 연신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저부(221a)의 저면은, 평탄면이다. 또, 단자부(221b)는, 측면에서 볼 때 T자 모양으로 형성되지만, 도 4에 나타내는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중계 단자 도체(222)는, 제1 연직면인 Z-Y평면을 따라서 펼쳐지는 저부(222a)와, 저부(222a)로부터 전방으로 제1 연직면에 직교하는 제2 연직면인 X-Z평면을 따라서 연신되고 또한 평면에서 볼 때 Y자 모양으로 형성된 선단부(222b)를 구비한다. 중계 단자 도체(222)는, 단자 수납부(215)에 삽입되고, 중계 단자 도체(222)의 저부(222a)가 복수의 나사(25)에 의해서 고정된다. 또, 나사(25)는, 절연 베이스(21)에 마련된 나사 구멍(219)을 통해서 중계 단자 도체(222)에 장착된다.The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계 단자 도체(222)의 저부(222a)는, 단자 도체(221)의 저부(221a)와 복수의 볼트(24)에 의해서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 중계 단자 도체(222)와 단자 도체(221)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중계 단자 도체(222)와 단자 도체(221)는, 4개의 볼트(24)에 의해 고정되지만, 볼트(24)의 수는 4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중계 단자 도체(222)와 단자 도체(221)는, 볼트(24) 이외의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어도 괜찮다. As shown in FIG. 5, the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의 커넥터(223)는, 중계 단자 도체(222)와 접속된다. 이러한 커넥터(223)는, 차단기 본체(1)가 인출 프레임(3)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차단기 본체(1)의 차단기 측 도체(11)에 접속된다. 커넥터(223)는, 중계 단자 도체(222)와 걸리는 홈부(223a)와, 차단기 측 도체(11)와 걸리는 홈부(223b)를 구비한다. As shown in FIG. 5, the
커넥터(223)와 중계 단자 도체(222)와의 접속은, 커넥터(223)의 홈부(223a)에 중계 단자 도체(222)의 선단부(222b)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홈부(223a)를 구성하는 부재와 선단부(222b)를 구성하는 부재는, 탄성을 가지고 있고, 선단부(222b)가 홈부(223a)에 걸리면, 선단부(222b)의 외면과 홈부(223a)의 내벽면이 서로 민다. 그 때문에, 선단부(222b)와 홈부(223a)와의 걸림을 강고한 것으로 할 수 있고, 차단기 측 도체(11)를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로부터 빼낼 때에, 중계 단자 도체(222)와 커넥터(223)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단부(222b)와 홈부(223a)와의 걸림은, 스토퍼의 역할도 한다. The connection between the
또, 커넥터(223)와 차단기 측 도체(11)와의 접속은, 커넥터(223)의 홈부(223b)에 차단기 측 도체(11)의 선단부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서 행해진다. 차단기 측 도체(11)의 선단부가 커넥터(223)의 홈부(223b)에 삽입될 때에, 커넥터(223)는, 스윙(swing)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선단부(222b)와 홈부(223a)와의 걸림 부분이 커넥터(223)의 스윙 동작의 지점(支点)이 된다. 또, 커넥터(223)는, 스윙 동작을 행하지 않는 구성이라도 괜찮다. 또, 중계 단자 도체(222)와 단자 도체(221)는 일체 성형에 의해서 구성되어도 되고, 단자 도체(221)와 중계 단자 도체(222)와 커넥터(223)는, 일체 성형에 의해서 구성되어도 괜찮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다음으로, 단자 유닛(20)에 장착되는 셔터 장치(5)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단자 장치에 셔터 장치를 장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며, 도 7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단자 장치에 셔터 장치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Next, the shutter device 5 attached to the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 장치(5)는, 단자 장치(2)의 전면을 덮는 고정 셔터부(51)와, 고정 셔터부(51)와 단자 장치(2)와의 사이에 배치된 가동 셔터부(52)와, 2개의 셔터 구동 유닛(53)을 구비한다. 고정 셔터부(51)는, 제1 고정 셔터(511)와, 2개의 제2 고정 셔터(512)를 구비한다. 가동 셔터부(52)는, 2개의 가동 셔터(521)를 구비한다. 2개의 가동 셔터(521) 중 상측의 가동 셔터(521)는, 전원측용의 가동 셔터이며, 하측의 가동 셔터(521)는, 부하측용의 가동 셔터이다. 6 and 7, the shutter device 5 is disposed between the fixed
셔터 구동 유닛(53)은, 도 4에 나타내는 절연 베이스(21)에 형성된 유닛 수납부(217)에 삽입된다. 셔터 구동 유닛(53)이 유닛 수납부(217)에 삽입된 후, 2개의 가동 셔터(521)가 단자 유닛(20-1, 20-2, 20-3)의 절연 베이스(21)에 장착된다. 그 후, 고정 셔터부(51)가, 단자 유닛(20-1, 20-2, 20-3)의 절연 베이스(21)에 장착된다. 제1 고정 셔터(511)는, 단자 유닛(20-2)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2개의 제2 고정 셔터(512) 중 일방은, 단자 유닛(20-1)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타방은, 단자 유닛(20-3)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The
먼저, 가동 셔터(521)의 구성, 셔터 구동 유닛(53)의 구성, 및 가동 셔터(521)와 셔터 구동 유닛(53)과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가동 셔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셔터(521)는, 폐색판부(521a, 521b, 521c)와, 폐색판부(521a, 521b, 521c)의 일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521d)와, 폐색판부(521a, 521b, 521c)의 타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521e)와, 연결부(521e)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볼록부(521f)를 구비한다. 볼록부(521f)에는 개구(521g)가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8, the
가동 셔터(521)는, 절연 베이스(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절연 베이스(21)에는, 슬라이딩 면(211a, 21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가동 셔터(521)는, 슬라이딩 면(211a) 또는 슬라이딩 면(212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각 가동 셔터(521)는, 슬라이딩 면(211a) 또는 슬라이딩 면(212a)을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폐색 위치와 개방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폐색 위치는, 폐색판부(521a, 521b, 521c)에서 고정 셔터부(51)의 개구(511a, 512a) 또는 개구(511b, 512b)를 폐색하는 위치이다. 또, 개방 위치는, 폐색판부(521a, 521b, 521c)에서 개구(511a, 512a) 또는 개구(511b, 512b)를 폐색하지 않는 위치이다. The closing position is a position in which the
도 9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셔터 구동 유닛의 일 예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며, 도 10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셔터 구동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 구동 유닛(53)은, 하우징부(530)와, 하우징부(530)에 일단이 고정되는 압축 스프링(533)과, 압축 스프링(533)의 타단에 기단이 가압되는 로드(534)를 구비한다. 또, 셔터 구동 유닛(53)은, 하우징부(530)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하우징부(530)에 일단이 걸려진 코일 스프링(535)과, 코일 스프링(535)의 타단에 의해서 가압되고, 가동 셔터(521)에 걸려지는 링크(536)를 구비한다. 9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shutter drive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hutter drive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9 and 10, the
하우징부(530)는, 로드(534)가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홈(531a)과, 링크(53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원기둥 모양의 축부(531b)가 형성되는 유닛 베이스(531)와, 유닛 베이스(531)에 상부로부터 장착되는 유닛 커버(532)를 구비한다. 유닛 커버(532)에는, 우측 방향 또는 좌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볼록부(532a, 532b)가 형성된다. 유닛 베이스(531)와 유닛 커버(53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압축 스프링(533)과, 코일 스프링(535)과, 링크(536)와, 로드(534)의 일부가 배치된다. The
로드(534)는, 전후 방향으로 연신되는 연신부(534a)와, 연신부(534a)의 후단으로 연속되고, 압축 스프링(533)의 타단에 고정되는 기단부(534b)와, 기단부(534b)로부터 압축 스프링(533)을 따라서 후방으로 돌출되고 또한 링크(536)와 좌우 방향에서 대향하는 면이 호(弧) 모양으로 형성된 걸림부(534c)와, 차단기 본체(1)에 접촉하여 차단기 본체(1)로부터 밀리는 접촉부(534d)를 가진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로드(534)는, 압축 스프링(533)에 의해서 기단부(534b)가 전방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기단부(534b)가 하우징부(530)에 걸려져 있다. 차단기 본체(1)가 인출 프레임(3) 내에 수납되는 경우에, 압축 스프링(533)이 되밀어내는 힘에 저항하여, 로드(534)의 접촉부(534d)가 차단기 본체(1)에 의해서 후방으로 밀려, 로드(534)가 후방으로 이동한다. The
링크(536)는, L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모서리부가 유닛 베이스(531)의 축부(531b)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링크(536)는, 축부(531b)가 삽입되는 개구(536a)와, 코일 스프링(535)의 타단에 의해서 가압되고, 로드(534)의 걸림부(534c)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제1 암부(536b)와, 선단(536d)이 하우징부(530)의 개구(530a)로부터 돌출되어 가동 셔터(521)의 개구(521g)에 삽입되는 제2 암부(536c)를 가진다. The
로드(534)가 차단기 본체(1)에 의해서 후방으로 이동된 경우, 제1 암부(536b)의 선단이 로드(534)의 걸림부(534c)에 의해서 후방으로 밀린다. 걸림부(534c)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제1 암부(536b)가 평면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때문에, 제2 암부(536c)가 축부(531b)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평면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암부(536c)의 선단(536d)이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제2 암부(536c)의 선단(536d)은, 가동 셔터(521)의 개구(521g)와 걸려져 있다. 그 때문에, 선단(536d)의 우측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서, 가동 셔터(521)가 개방 위치로 이동한다. When the
셔터 구동 유닛(53)은,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가동 셔터(521)가 해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로드를 유지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도 괜찮다. 도 11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셔터 구동 유닛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셔터 구동 유닛의 로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1에 나타내는 유닛 베이스에 로드 및 링크를 장착한 상태의 셔터 구동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1에 나타내는 XV-X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The
도 11에 나타내는 셔터 구동 유닛(53)은, 유닛 베이스(531)의 일부의 형상, 및 로드(534)의 형상의 일부가, 도 9에 나타내는 셔터 구동 유닛(53)과 다르다. 로드(534)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단부(534b)의 하부로부터 하부로 돌출되는 돌기부(534e)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유닛 베이스(531)는, 도 11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드(534)에 마련된 돌기부(534e)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531c)과, 좌측 방향에서 가이드 홈(531c)에 연속되는 오목부(531d)를 가진다. 오목부(531d)는, 후방으로의 로드(534)의 이동에 따라서 돌기부(534e)를 가이드 홈(531c)에 가이드하는 경사부(531e)를 가진다. The
차단기 본체(1)가 인출 프레임(3) 내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경우,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드(534)의 연신부(534a)는, 미도시의 압축 스프링(533)에 의한 가압에 의해서 전방으로 인출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차단기 본체(1)를 인출 프레임(3)으로 향하여 이동시키면, 로드(534)는, 돌기부(534e)가 가이드 홈(531c)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후방으로 이동하고, 도 14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가동 셔터(521)는 차단 위치로부터 해방 위치로 이동된다. When the
또, 차단기 본체(1)가 인출 프레임(3) 내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로드(534)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돌기부(534e)가 오목부(531d)와 대향하는 위치가 되었을 때에 로드(534)를 회전시키면, 돌기부(534e)가 오목부(531d)에 진입한다. 이 상태에서, 로드(534)를 후방으로 미는 힘을 없애면, 돌기부(534e)가 오목부(531d)에 의해서 걸려진다. 돌기부(534e)가 오목부(531d)와 대향하는 위치가 되기까지, 가동 셔터(521)는 차단 위치로부터 해방 위치로 이동되기 때문에, 가동 셔터(521)를 해방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따라서, 보수 점검시에 전원 측의 가동 셔터(521)와 부하 측의 가동 셔터(521)를 개별로 또는 동시에 해방 위치로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단자 장치(2) 내의 전원 측의 회로와 부하 측의 회로를 개별로 또는 동시에 점검할 수 있다. 또, 로드(534)의 기단부(534b)는 연신부(534a)를 축 중심으로 하여 원호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로드(534)를 회전시켜도 로드(534)의 기단부(534b)는 제1 암부(536b)와의 거리가 실질적으로 변화하지 않고, 이것에 의해, 로드(534)로부터 링크(536)로 가해지는 힘이 너무 커져서 링크(536)가 좌굴(座屈)하는 등의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Therefore, during maintenance and inspection, the
또, 돌기부(534e)가 오목부(531d)에 의해서 걸려진 상태에서, 차단기 본체(1)를 인출 프레임(3)으로 향하여 이동시키면, 차단기 본체(1)에 의해서 로드(534)가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 때, 오목부(531d)로 이동시킨 돌기부(534e)는, 오목부(531d)의 경사부(531e)를 슬라이딩하면서 후방으로 이동할 때에 회전하기 때문에, 차단기 본체(1)가 인출 프레임(3)에 수납된 상태가 되기까지, 회전시킨 로드(534)의 자세가 원래대로 되돌아가, 돌기부(534e)와 오목부(531d)와의 걸림이 해제된다. 따라서, 그 후에 차단기 본체(1)가 인출 프레임(3)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로드(534)가 압축 스프링(533)에 의해서 이동된다. 이 때, 돌기부(534e)는 가이드 홈(531c)으로 되돌아간 상태이기 때문에, 가이드 홈(531c)을 따라서 이동해 가, 돌기부(534e)가 오목부(531d)보다도 전방으로 이동한다. 그 때문에, 가동 셔터(521)의 위치가 해방 위치대로 되지 않는다. In addition, when the
도 16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차단기 본체가 인출 프레임 내에 수납된 상태의 인출형 차단기의 일부 단면도이며, 도 17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차단기 본체가 인출 프레임 내로부터 인출된 상태의 인출형 차단기의 일부 단면도이다. 또, 도 16 및 도 17에서는, 인출 프레임(3) 및 인출 레일(4)은 생략되어 있다. Fig. 1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in a state in which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accommodated in a draw-out frame, and Fig. 17 is a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in a state in which the breaker main bod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pulled out from the draw-out frame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n addition, in Figs. 16 and 17, the take-out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단기 본체(1)가 인출 프레임(3)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차단기 측 도체(11-1)가 제2 고정 셔터(512)의 개구(512a)를 통해서 단자 장치(2)의 단자 수납부(215)에 삽입되어 있다. 단자 수납부(215)에서, 차단기 측 도체(11-1)는,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1)의 커넥터(223)에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차단기 측 도체(11-2)는, 제1 고정 셔터(511)의 개구(511a)를 통해서 단자 장치(2)의 단자 수납부(215)에 삽입되고,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2)의 커넥터(223)에 접속된다. 차단기 측 도체(11-3)는, 제2 고정 셔터(512)의 개구(512a)를 통해서 단자 장치(2)의 단자 수납부(215)에 삽입되고,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3)의 커넥터(223)에 접속된다. 차단기 본체(1)가 인출 프레임(3)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로드(534)는, 셔터 구동 유닛(53)에 밀어넣어져 있다. As shown in FIG. 10, in the state where the circuit breaker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출형 차단기(100)는, 도 16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차단기 본체(1)가 인출 프레임(3) 내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되면, 차단기 본체(1)의 유닛 수납부(217)에 밀어넣어져 있던 로드(534)가 도 10에 나타내는 압축 스프링(533)의 신장력에 의해서 전방으로 밀린다. 그 때문에, 차단기 측 도체(11-1, 11-2, 11-3)가 개구(511a, 512a)를 통과한 후에, 셔터 구동 유닛(53)의 제2 암부(536c)의 선단(536d)이 가동 셔터(521)를 폐색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개구(511a, 512a)가 폐색판부(521a, 521b, 521c)에 의해서 폐색된다. As shown in Fig. 17, when the breaker
다음으로, 절연 베이스(21)의 구성, 고정 셔터부(51)의 구성, 및 절연 베이스(21)와 고정 셔터부(51)와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절연 베이스(21)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8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절연 베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19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절연 베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insulating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 베이스(21)는,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절연 베이스(21)는, 상벽부인 벽부(211)와, 저벽부인 벽부(212)와, 왼쪽의 측벽부인 벽부(213)와, 오른쪽의 측벽부인 벽부(214)를 가진다. 벽부(211, 212, 213, 214)에 의해 둘러싸여진 공간에, 단자 수납부(215, 216)와, 2개의 유닛 수납부(217)가 형성된다. 2개의 유닛 수납부(217) 각각은, 상술한 셔터 구동 유닛(53)이 수납되는 공간이며, 단자 수납부(215)와 단자 수납부(216)와의 사이에 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18 and 19, the insulating
벽부(211)는, 가동 셔터(521)가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면(211a)과, 슬라이딩 면(211a)의 전방에 배치되어 하부로 돌출되는 가이드부(211b)를 가진다. 가이드부(211b)에 의해서, 가동 셔터(521)가 슬라이딩 면(211a)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이 억제된다. The
벽부(212)는, 가동 셔터(521)가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면(212a)과, 슬라이딩 면(212a)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가이드부(212b)를 가진다. 가이드부(212b)에 의해서, 가동 셔터(521)가 슬라이딩 면(212a)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이 억제된다. The
벽부(213, 214)는, 슬라이딩 홈(213a, 214a)과, 스토퍼부(213b, 214b)를 가진다. 도 10에 나타내는 셔터 구동 유닛(53)의 복수의 볼록부(532a)는, 셔터 구동 유닛(53)이 유닛 수납부(217)에 삽입될 때에, 슬라이딩 홈(213a, 214a)을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도 10에 나타내는 셔터 구동 유닛(53)의 복수의 볼록부(532b)가 스토퍼부(213b, 214b)에 닿음으로써, 셔터 구동 유닛(53)의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The
또, 벽부(213, 214)는, 슬라이딩 면(213c, 214c)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슬라이딩 면(211a, 212a)과 슬라이딩 면(213c, 214c)을 2개의 가동 셔터(521)가 슬라이딩함으로써, 2개의 가동 셔터(521)의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Moreover, the
또, 벽부(213, 214)는, 슬라이딩 면(213c, 214c)보다도 전방으로 각각 돌출된 제1 돌출부(213d, 214d), 제2 돌출부(213e, 214e), 및 걸림부(213f, 214f)가 형성된다. 제2 돌출부(213e, 214e)는, 제1 돌출부(213d, 214d)보다도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걸림부(213f, 214f)는, 제2 돌출부(213e, 214e)보다도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돌출부(213d, 214d)의 전면은, 제1 고정 셔터(511)의 배면이 접촉하는 제1 셔터 장착면이며, 제2 돌출부(213e, 214e)의 전면은, 제2 고정 셔터(512)의 배면이 접촉하는 제2 셔터 장착면이다. 제1 돌출부(213d, 214d)의 전면과 슬라이딩 면(213c, 214c)과의 전후 방향의 간격은, 가동 셔터(521)의 전후 방향의 두께보다도 크다. In addition, in the
걸림부(213f)는, L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방으로 연신되는 제1 연신부(213f1)와, 제1 연신부(213f1)의 선단으로부터 좌측 방향을 향해서 연신되는 제2 연신부(213f2)를 가진다. 걸림부(214f)는, 전방으로 연신되는 제1 연신부(214f1)와, 제1 연신부(214f1)의 선단으로부터 우측 방향을 향해서 연신되는 제2 연신부(214f2)를 가진다. The locking
이와 같이, 걸림부(213f, 214f)는, 선단이 좌우 방향이고 또한 차단기 본체(1)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 즉 선단이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따라서, 걸림부(213f, 214f)는, 전후 방향에서 대향하는 다른 부위가 없는 위치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고, 몰드 성형에 의해서 절연 베이스(21)를 일체 형성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engaging
도 20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제1 고정 셔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고정 셔터(511)는, 차단기 측 도체(11)가 삽입되는 개구(511a)와, 차단기 측 도체(12)가 삽입되는 개구(511b)와, 로드(534)가 삽입되는 개구(511c)를 가진다. 또, 제1 고정 셔터(511)는, 제2 암부(536c)의 선단(536d)이 삽입되는 개구(511d)와, 제2 돌출부(213e)가 삽입되는 복수의 개구(511e, 511h)와, 걸림부(213f)가 삽입되는 복수의 개구(511f, 511i)와, 복수의 가이드부(211b)와 걸리는 2개의 오목부(511g)를 가진다. 또, 복수의 오목부(511g)는, 복수의 가이드부(211b, 212b)와 감합(嵌合)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걸릴 수 있는 형상이면 되며, 도 20에 나타내는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2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first fixed shut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 20, the first
도 21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제2 고정 셔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고정 셔터(512)는, 차단기 측 도체(11)가 삽입되는 개구(512a)와, 차단기 측 도체(12)가 삽입되는 개구(512b)와, 하부로 돌출되고, 걸림부(213f, 214f)와 걸리는 볼록 모양의 복수의 걸림부(512c, 512d)와, 복수의 가이드부(211b, 212b)와 걸리는 복수의 오목부(512e)를 가진다. 또, 복수의 오목부(512e)는, 복수의 가이드부(211b, 212b)와 걸릴 수 있는 형상이면 되며, 도 21에 나타내는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21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second fixed shut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 21, the second
또, 제2 고정 셔터(512)는, 제1 연신부(213f1, 214f1) 중 적어도 하나가 삽입되는 복수의 절결부(512f, 512g, 512h)를 가지고 있다. 절결부(512f)는, 좌측을 향해서 절결되어 있고, 절결부(512g, 512h)는, 우측을 향해서 절결되어 있다. 절결부(512f)는 상술한 걸림부(512c)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절결부(512g)는 상술한 512d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절결부(512h)는, 절결부(512g)의 하부에 배치된다. Further, the second
다음으로, 절연 베이스(21)로의 고정 셔터부(51) 및 가동 셔터부(52)의 장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2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절연 베이스로 셔터 구동 유닛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절연 베이스로 가동 셔터부를 장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절연 베이스로 제1 고정 셔터를 장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절연 베이스로 제2 고정 셔터를 장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셔터 장치가 장착된 단자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나타내는 XXII-XX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또, 도 22, 도 23, 도 24, 도 25, 도 26, 및 도 27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절연 베이스(21)에는,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 및 인출 프레임 측 도체(23)는 도시하고 있지 않다. Next, a method of attaching the fixed
먼저,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개의 단자 유닛(20-1, 20-2, 20-3)이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다음으로, 3개의 단자 유닛(20-1, 20-2, 20-3) 중 한가운데의 단자 유닛(20-2)의 절연 베이스(21)에 형성된 2개의 유닛 수납부(217)에, 2개의 셔터 구동 유닛(53)이 삽입된다. 또, 2개의 셔터 구동 유닛(53)은, 서로 상하 좌우가 반전된 상태에서 2개의 유닛 수납부(217)에 삽입된다. First, as shown in Fig. 22, three terminal units 20-1, 20-2, and 20-3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Next, in the two
계속하여,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가동 셔터(521)가 단자 유닛(20-1, 20-2, 20-3)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가동 셔터(521)의 일방은, 상측의 슬라이딩 면(211a, 213c, 214c)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개구(521g)가 상측의 셔터 구동 유닛(53)에서의 제2 암부(536c)의 선단(536d)에 삽입된다. 또, 타방의 가동 셔터(521)는, 하측의 슬라이딩 면(212a, 213c, 214c)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개구(521g)가 하측의 셔터 구동 유닛(53)에서의 제2 암부(536c)의 선단(536d)에 삽입된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23, two
또, 일방의 가동 셔터(521)는, 슬라이딩 면(211a)과 가이드부(211b)와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단자 유닛(20)으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된다. 또, 타방의 가동 셔터(521)는, 슬라이딩 면(212a)과 가이드부(212b)와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단자 유닛(20)으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된다. In addition, the one
계속하여,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유닛(20-2)의 절연 베이스(21)에 제1 고정 셔터(511)가 장착된다. 도 24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제1 고정 셔터(511)의 상하의 오목부(511g)는, 단자 유닛(20-2)의 절연 베이스(21)의 가이드부(211b, 212b)에 끼워넣어진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24, the first
게다가, 제1 고정 셔터(511)의 개구(511h)에, 단자 유닛(20-1)의 제2 돌출부(213e)와 단자 유닛(20-2)의 제2 돌출부(214e)가 끼워넣어진다. 제1 고정 셔터(511)의 개구(511e)에, 단자 유닛(20-2)의 제2 돌출부(213e)와 단자 유닛(20-3)의 제2 돌출부(214e)가 끼워넣어진다. 제1 고정 셔터(511)의 개구(511i)에, 단자 유닛(20-1)의 걸림부(213f)와 단자 유닛(20-2)의 걸림부(214f)가 끼워넣어지고, 제1 고정 셔터(511)의 개구(511f)에, 단자 유닛(20-2)의 걸림부(213f)와 단자 유닛(20-3)의 걸림부(214f)가 끼워넣어진다. 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제1 고정 셔터(511)가 단자 유닛(20-1, 20-2, 20-3)에 감합된다. 그 때문에, 제1 고정 셔터(511)를 단자 유닛(20-2)에 장착하면서, 제1 고정 셔터(511)에 의해 3개의 단자 유닛(20-1, 20-2, 20-3)을 연결할 수 있다. 또, 도 24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2개의 셔터 구동 유닛(53)의 상술한 로드(534)는, 제1 고정 셔터(511)의 상술한 개구(511b)로부터 돌출된 상태이다. In this way, the first
계속하여, 도 25 및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고정 셔터(511)가 장착된 상태의 각 단자 유닛(20-1, 20-3)에 제2 고정 셔터(512)가 장착된다. 도 25 및 도 27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제2 고정 셔터(512)의 각 걸림부(512c)는, 인접하는 2개의 단자 유닛(20)의 걸림부(213f, 214f)에 걸리고, 제2 고정 셔터(512)의 걸림부(512d)는, 단자 유닛(20)의 걸림부(213f, 214f) 중 어느 하나에 걸려 있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S. 25 and 27, the second
구체적으로는, 제2 고정 셔터(512)의 걸림부(512c)는, 인접하는 2개의 단자 유닛(20)의 걸림부(213f, 214f)와 제1 고정 셔터(511)의 전면과의 사이에 삽입된다. 그 때문에, 제2 고정 셔터(512)의 걸림부(512c)는, 걸림부(213f, 214f)의 제2 연신부(213f2, 214f2)의 배면과 제1 고정 셔터(511)의 전면 사이에 끼워 지지된다. Specifically, the locking
또, 제2 고정 셔터(512)의 걸림부(512d)는, 제2 돌출부(213e)의 전면을 포함하는 평면과 걸림부(213f)의 제2 연신부(213f2)의 배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또는 제2 돌출부(214e)의 전면을 포함하는 평면과 걸림부(214f)의 제2 연신부(214f2)의 배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제2 고정 셔터(512)의 걸림부(512d)는, 걸림부(213f, 214f) 중 어느 하나와 걸린다. In addition, the engaging
또, 제2 고정 셔터(512)의 절결부(512f, 512g)에는, 제1 연신부(213f1, 214f1) 중 적어도 하나가 삽입되어 걸림부(213f, 214f) 중 적어도 하나와 걸린다. 절결부(512f)는, 걸림부(512c)의 좌우 및 하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512f) 중 걸림부(512c)의 하부에 위치하는 영역에 제1 연신부(213f1, 214f1)가 삽입되고, 또한, 절결부(512g)에 제1 연신부(213f1, 214f1) 중 적어도 일방이 삽입된다. 그 후, 제2 고정 셔터(512)를 하부로 이동시킴으로써, 걸림부(213f, 214f) 중 적어도 하나가 절결부(512f, 512g)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부(213f, 214f) 중 적어도 하나가 절결부(512f, 512g)와 걸리고, 또한 걸림부(512c, 512d)가 걸림부(213f, 214f)와 걸린다. 마찬가지로, 제2 고정 셔터(512)의 절결부(512h)에는, 제1 연신부(213f1, 214f1) 중 적어도 하나가 삽입되어 걸림부(213f, 214f) 중 적어도 하나와 걸린다.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s 213f1 and 214f1 is inserted into the
제1 고정 셔터(511)의 판 두께는, 제1 돌출부(213d, 214d)의 전면과 제2 돌출부(213e, 214e)의 전면과의 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 때문에, 제2 고정 셔터(512)의 배면은, 제1 고정 셔터(511)의 전면과 제2 돌출부(213e)의 전면에 맞닿아 밀리게 된다. 또, 제2 고정 셔터(512)의 걸림부(512d)는, 걸림부(213f)의 제2 연신부(213f2)의 배면 또는 걸림부(214f)의 제2 연신부(214f2)의 배면에 맞닿아 밀리게 된다. The plate thickness of the first
이와 같이, 2개의 제2 고정 셔터(512)는, 일부가 제1 고정 셔터(511)의 일부와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제1 고정 셔터(511)가 장착된 단자 유닛(20)에 장착된다. 그 때문에, 제1 고정 셔터(511)는, 단자 유닛(20)과 제2 고정 셔터(512)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단자 유닛(20)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이 방지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two second
상술한 예에서는, 차단기 본체(1)에서, 절연 베이스(21)에 제2 돌출부(213e, 214e)를 마련했지만, 차단기 본체(1)는, 절연 베이스(21)에 제2 돌출부(213e, 214e)를 마련하지 않는 구성이라도 괜찮다. 이 경우, 고정 셔터부(51)의 구성도 일부 다르다. 도 28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절연 베이스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29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고정 셔터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0은, 도 28에 나타내는 절연 베이스로 도 29에 나타내는 고정 셔터부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in the circuit breaker
도 28에 나타내는 절연 베이스(21)에는, 도 18에 나타내는 제2 돌출부(213e, 214e)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또, 제1 돌출부(213d, 214d)의 전면을 포함하는 평면과 걸림부(213f, 214f)의 제2 연신부(213f2, 214f2)의 이면과의 간격은, 제1 고정 셔터(511) 및 제2 고정 셔터(512) 각각의 판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The insulating
도 29에 나타내는 제1 고정 셔터(511)는, 도 20에 나타내는 개구(511e, 511f, 511h, 511i)를 대신하여, 하부로 돌출되는 볼록 모양의 걸림부(511k)를 가진다. 또, 도 29에 나타내는 제2 고정 셔터(512)는, 도 21에 나타내는 걸림부(512c)를 대신하여, 하부로 돌출되는 볼록 모양의 걸림부(512i)를 가진다. 걸림부(511k, 512i)는, 걸림부(213f, 214f)의 제1 연신부(213f1, 214f1)가 삽입되는 절결부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걸림부(512i)의 폭은, 걸림부(512c)의 폭보다도 작다. 또, 제1 고정 셔터(511) 및 제2 고정 셔터(512) 각각의 폭은, 절연 베이스(21)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 여기서의 「폭」은, 좌우 방향의 길이를 의미한다. The first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유닛(20-2)의 절연 베이스(21)에 마련된 걸림부(213f, 214f)와 도 29에 나타내는 제1 고정 셔터(511)의 복수의 걸림부(511k)가 걸린다. 또, 단자 유닛(20-1)의 절연 베이스(21)에 마련된 걸림부(213f)와 도 29에 나타내는 제2 고정 셔터(512)의 걸림부(512i)가 걸린다. 또, 단자 유닛(20-3)의 절연 베이스(21)에 마련된 걸림부(214f)와 도 29에 나타내는 제2 고정 셔터(512)의 걸림부(512i)가 걸린다. 이와 같이, 차단기 본체(1)는, 절연 베이스(21)에 제2 돌출부(213e, 214e)를 마련하지 않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 차단기 본체(1)는, 하나의 단자 유닛(20)을 가지고, 단상(單相) 회로의 전기회로의 개방 동작 및 폐쇄 동작을 행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As shown in FIG. 30, the locking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 1에 관한 인출형 차단기(100)는, 차단기 본체(1)와, 단자 장치(2)와, 인출 프레임(3)과, 셔터 장치(5)를 구비한다. 단자 장치(2)는, 전원 측 도체 및 부하 측 도체에 접속되는 복수의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 23)와, 복수의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 23)가 삽입되는 절연 베이스(21)를 포함하는 단자 유닛(20)을 복수 가지고, 인출 프레임(3) 내에 배치된다. 차단기 본체(1)는, 인출 프레임(3)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복수의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 23)와 접속되는 복수의 차단기 측 도체(11, 12)를 가지고, 인출 프레임(3) 내로부터의 인출이 가능하다. 셔터 장치(5)는, 제1 고정 셔터(511)와, 제2 고정 셔터(512)와, 가동 셔터(521)를 가진다. 제1 고정 셔터(511)는, 차단기 본체(1)의 인출 프레임(3) 내로의 수납시에 복수의 차단기 측 도체(11, 12)가 삽입되는 복수의 개구(511a, 511b)를 가진다. 제2 고정 셔터(512)는, 차단기 본체(1)의 인출 프레임(3) 내로의 수납시에 복수의 차단기 측 도체(11, 12)가 삽입되는 복수의 개구(512a, 512b)를 가진다. 가동 셔터(521)는, 차단기 본체(1)가 인출 프레임(3) 내로부터 인출된 경우에 복수의 개구(511a, 512a) 또는 복수의 개구(511b, 512b)를 막는다. 복수의 절연 베이스(21)는, 차단기 본체(1)가 인출되는 방향인 인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된다. 복수의 절연 베이스(21) 각각은, 인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벽부(213, 214)를 구비한다. 한 쌍의 벽부(213, 214) 각각은, 제1 고정 셔터(511) 및 제2 고정 셔터(512) 중 적어도 하나와 걸리는 걸림부(213f, 214f)를 구비한다. 걸림부(213f, 214f) 각각은, 인출 방향으로 연신되는 제1 연신부(213f1, 214f1)와, 제1 연신부(213f1, 214f1)의 선단으로부터, 인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서 연신되는 제2 연신부(213f2, 214f2)를 가진다. 한 쌍의 벽부(213, 214) 중 일방의 제2 연신부(213f2)와 타방의 제2 연신부(214f2)는,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신된다. 걸림부(213f, 214f)는, 선단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연신되기 때문에, 걸림부(213f, 214f)를 전후 방향에서 대향하는 다른 부위가 없는 위치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고, 몰드 성형에 의해서 절연 베이스(21)를 일체 형성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lead-out
또, 제1 고정 셔터(511)는, 제1 연신부(213f1, 214f1)가 삽입되는 개구(511f, 511i)를 가진다. 개구(511f, 511i)는, 제1 개구의 일 예이다. 제2 고정 셔터(512)는, 제1 연신부(213f1, 214f1) 중 적어도 하나가 삽입되는 절결부(512f, 512g)와, 하부로 돌출되고, 제1 고정 셔터(511)의 개구(511f, 511i)가 제1 연신부(213f1, 214f1)가 삽입된 상태의 걸림부(213f, 214f)의 제2 연신부(213f2, 214f2)와 걸리는 걸림부(512c, 512d)를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제2 고정 셔터(512)는, 일부가 제1 고정 셔터(511)의 일부와 서로 겹친 상태에서, 제1 고정 셔터(511)가 장착된 단자 장치(2)에 장착된다. 그 때문에, 제1 고정 셔터(511)는, 단자 장치(2)와 제2 고정 셔터(512)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단자 장치(2)로부터 제1 고정 셔터(511)가 탈락되는 것이 방지된다. 걸림부(512c, 512d)는, 셔터 측 걸림부의 일 예이다. Further, the first
또, 한 쌍의 벽부(213, 214) 각각은, 인출 방향으로 연신되는 제2 돌출부(213e, 214e)를 가진다. 제1 고정 셔터(511)는, 제2 돌출부(213e, 214e)가 삽입되는 개구(511e)를 가진다. 개구(511e)는, 제2 개구의 일 예이다. 제2 고정 셔터(512)는, 차단기 본체(1)와 대향하는 면과 반대의 면에서 제2 돌출부(213e, 214e)의 전면에 맞닿는다. 이것에 의해, 제2 돌출부(213e, 214e)에 제1 고정 셔터(511)와 걸리면서, 제2 돌출부(213e, 214e)의 전면에 제2 고정 셔터(512)를 맞닿게 누른 상태에서 제2 고정 셔터(512)를 유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1 고정 셔터(511) 및 제2 고정 셔터(512)를 보다 안정된 상태에서 단자 장치(2)에 장착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of the pair of
또, 개구(511e)에는, 복수의 절연 베이스(21) 중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절연 베이스(21) 각각의 제2 돌출부(213e)가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제1 고정 셔터(511)를 복수의 절연 베이스(21)에 걸쳐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복수의 절연 베이스(21) 사이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the
또, 제1 고정 셔터(511)는 제2 고정 셔터(512)는, 서로의 일부가 오버랩 된 상태에서 단자 장치(2)에 장착된다. 이것에 의해, 제1 고정 셔터(511) 및 제2 고정 셔터(512)를 보다 안정된 상태에서 단자 장치(2)에 장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또, 셔터 장치(5)는, 차단기 본체(1)의 인출 프레임(3)으로부터의 인출에 연동하여 가동 셔터(521)를 이동시키는 셔터 구동 유닛(53)을 구비한다. 셔터 구동 유닛(53)은, 복수의 절연 베이스(21) 중 하나의 절연 베이스(21)의 내부에서의 복수의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 23) 사이에 배치된다. 복수의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 23) 사이에 셔터 구동 유닛(53)이 배치되기 때문에, 절연 베이스(21)의 폭 및 인출형 차단기(100)의 폭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절연 베이스(21)에서의 상하 방향의 중앙에 셔터 구동 유닛(53)이 배치된다. 그 때문에, 차단기 본체(1)가 비틀어져 인출 프레임(3)에 수납되는 경우라도, 인출 프레임 측 도체(22)의 상부과 인출 프레임 측 도체(23)의 하부에 각각 셔터 구동 유닛(53)이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가동 셔터(521)를 정밀도 좋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셔터 구동 유닛(53)이 단자 유닛(20-1, 20-3)에 배치된 경우, 셔터 구동 유닛(53)이 좌우로 떨어져 배치되게 되고, 차단기 본체(1)가 좌우로 비틀어져 삽입되면, 일방의 셔터 구동 유닛(53)은 빨리 구동되고, 타방의 셔터 구동 유닛(53)은 늦게 구동되게 되며, 늦게 구동되는 가동 셔터(521)가 차단기 측 도체(11) 또는 차단기 측 도체(12)가 부딪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셔터 구동 유닛(53)을 복수의 절연 베이스(21) 중 중앙의 절연 베이스(21)에 배치함으로써, 인출형 차단기(100)가 좌우로 비틀어진 상태에서 인출 프레임(3)에 수납되는 경우라도, 가동 셔터(521)를 정밀도 좋게 이동시킬 수 있다. Further, the shutter device 5 includes a
또, 셔터 구동 유닛(53)은, 인출 방향으로 가압된 로드(534)와, 링크(536)를 가진다. 링크(536)는, 인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로드(534)의 이동에 따라서 회전하여 가동 셔터(521)를 복수의 개구(511a, 511b, 512a, 512b)를 막는 차단 위치로부터 복수의 개구(511a, 511b, 512a, 512b)를 노출시키는 해방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셔터 구동 유닛(53)은, 비교적 작은 힘에 의해 가동 셔터(521)를 이동시킬 수 있다. Further, the
또, 셔터 구동 유닛(53)은, 링크(536)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인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의 로드(534)의 이동에 따라서 로드(534)가 삽입되는 유닛 베이스(531)를 구비한다. 유닛 베이스(531)는, 가동 셔터(521)가 해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로드(534)를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보수 점검시에 전원 측의 회로와 부하 측의 회로를 개별로 또는 동시에 가동 셔터(521)를 해방 위치로 하여 단자 장치(2) 내를 점검할 수 있다. Further, the
또, 로드(534)는, 인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하부로 돌출되는 돌기부(534e)를 구비한다. 셔터 구동 유닛(53)은, 돌기부(534e)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531c)과, 인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가이드 홈(531c)에 연속하여, 돌기부(534e)를 걸리게 하는 오목부(531d)를 가진다. 이것에 의해, 용이하게 가동 셔터(521)를 해방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Further, the
또, 오목부(531d)는, 인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로드(534)의 이동에 따라서 돌기부(534e)를 가이드 홈(531c)으로 진입시키는 경사부(531e)를 가진다. 이것에 의해, 차단기 본체(1)를 인출 프레임(3)으로 수납하는 것에 의해서, 돌기부(534e)를 가이드 홈(531c)으로 되돌릴 수 있고, 가동 셔터(521)의 위치가 해방 위치에서 유지되는 것을 용이하게 회피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2에 관한 인출형 차단기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인출형 차단기(100)와, 단자 유닛(20)의 수와 고정 셔터부의 구성이 다르다. 이하에서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의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하고, 실시 형태 1의 인출형 차단기(100)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The lead-out typ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differs from the lead-out
도 31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단자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2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단자 장치에 셔터 장치를 장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31 및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 형태 2에 관한 단자 장치(2A)는, 서로 동일 구성을 가지는 4개의 단자 유닛(20-1, 20-2, 20-3, 20-4)을 구비한다. 또, 셔터 장치(5A)는, 고정 셔터부(51A)와, 가동 셔터부(52A)와, 2개의 셔터 구동 유닛(53)을 구비한다. 31 is a front view of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FIG. 3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e in which a shutter device is attached to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31 and 32, the
가동 셔터부(52A)는, 2개의 가동 셔터(521A)를 가지고 있다. 가동 셔터(521A)는, 폐색판부가 4개 있는 점에서, 3개의 폐색판부(521a, 521b, 521c)를 가지는 가동 셔터(521)와 다르다. The
고정 셔터부(51A)는, 제1 고정 셔터(511)와, 제2 고정 셔터(512)와, 제3 고정 셔터(513)와, 보조 패널(514)을 구비한다. 제1 고정 셔터(511)는, 단자 유닛(20-2)에 장착된다. 제2 고정 셔터(512)는, 단자 유닛(20-1)에 장착된다. 제3 고정 셔터(513)는, 2개의 단자 유닛(20-3, 20-4)에 장착된다. 또, 보조 패널(514)은, 단자 유닛(20-3)의 벽부(213)와 단자 유닛(20-4)의 벽부(214)에 장착된다.The fixed
도 33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제3 고정 셔터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34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보조 패널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고정 셔터(513)는, 차단기 측 도체(11)가 삽입되는 개구(513a)와, 차단기 측 도체(12)가 삽입되는 개구(513b)와, 하부로 돌출되고, 걸림부(213f, 214f) 중 적어도 하나와 걸리는 볼록 모양의 복수의 걸림부(513c, 513d, 513i)와, 복수의 가이드부(211b, 212b)와 걸리는 복수의 오목부(513e)를 가진다. 33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third fixed shut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and FIG. 34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pane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 33, the third
또, 제3 고정 셔터(513)는, 제1 연신부(213f1, 214f1) 중 적어도 하나가 삽입되는 복수의 절결부(513f, 513g, 513h)와 제1 연신부(213f1, 214f1)가 삽입되는 개구(513j)를 가지고 있다. 절결부(513f, 513g, 513h)는, 상술한 절결부(512f, 512g, 512h)와 동일한 구성이다. 개구(513j)는 걸림부(513i)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제3 고정 셔터(513)의 장착 공정에서는, 개구(513j) 중 걸림부(513i)의 하부에 위치하는 영역에 제1 연신부(213f1, 214f1)를 삽입하고, 그 후, 제3 고정 셔터(513)를 하부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걸림부(213f, 214f)가 개구(513j)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부(213f, 214f)가 개구(513j) 및 걸림부(513i)와 걸린다. In addition, the third
제3 고정 셔터(513)의 걸림부(513c, 513d, 513i)는, 제2 고정 셔터(512)의 걸림부(512c, 512d)와 동일하게 기능한다. 또, 제3 고정 셔터(513)의 오목부(513e)는, 제2 고정 셔터(512)의 오목부(512e)와 동일하게 기능한다. 따라서, 제3 고정 셔터(513)는, 일부가 제1 고정 셔터(511)의 일부와 서로 겹친 상태에서, 제1 고정 셔터(511)가 장착된 단자 유닛(20-2, 20-3, 20-4)에 장착된다.The locking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 패널(514)은, 복수의 개구(514a)와, 복수의 개구(514b)를 가진다. 복수의 개구(514a)에는, 단자 유닛(20-3)의 제2 돌출부(213e)와 단자 유닛(20-4)의 제2 돌출부(214e)가 삽입된다. 또, 복수의 개구(514b)에는, 단자 유닛(20-3)의 걸림부(213f)와 단자 유닛(20-4)의 걸림부(213f)가 삽입된다. 보조 패널(514)은, 제3 고정 셔터(513)와 단자 유닛(20-3, 20-4)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3 고정 셔터(513)의 배면은, 제2 돌출부(213e)의 전면에 더하여, 보조 패널(514)의 전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제3 고정 셔터(513)를 안정적으로 단자 장치(2A)에 장착할 수 있다. 또, 셔터 장치(5A)는, 보조 패널(514)을 마련하지 않는 구성이라도 괜찮다. As shown in FIG. 34, the
이와 같이, 극수(極數)가 증가하여 4극 이상이 된 경우라도, 실시 형태 1에 관한 인출형 차단기(100)와 동일한 원리로, 고정 셔터부(51A)를 단자 장치(2A)에 장착할 수 있다. In this way, even when the number of poles increases and becomes more than 4 poles, the fixed
이상의 실시 형태에 나타낸 구성은, 본 발명의 내용의 일 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다른 공지의 기술과 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일부를 생략,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above embodiment shows an example of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ombined with other known techniques, and parts of the configuration may be omitted or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1 : 차단기 본체
2, 2A : 단자 장치
3 : 인출 프레임
4 : 인출 레일
5, 5A : 셔터 장치
10 : 하우징
10a : 전면부
11, 11-1, 11-2, 11-3, 12, 12-1, 12-2, 12-3 : 차단기 측 도체
20, 20-1, 20-2, 20-3, 20-4 : 단자 유닛
21 : 절연 베이스
22, 22-1, 22-2, 22-3, 23, 23-1, 23-2, 23-3 : 인출 프레임 측 도체
24 : 볼트
25 : 나사
31, 32 : 측판
33, 34 : 유지판
41, 42 : 레일 부재
51, 51A : 고정 셔터부
52, 52A : 가동 셔터부
53 : 셔터 구동 유닛
100 : 인출형 차단기
211, 212, 213, 214 : 벽부
211a, 212a, 213c, 214c : 슬라이딩 면
211b, 212b : 가이드부
213a, 214a : 슬라이딩 홈
213b, 214b : 스토퍼부
213d, 214d : 제1 돌출부
213e, 214e : 제2 돌출부
213f, 214f, 512c, 512d, 511 k, 512 i, 513c, 513d, 513i, 534c : 걸림부
213f1, 214f1 : 제1 연신부
213f2, 214f2 : 제2 연신부
215, 216 : 단자 수납부
217 : 유닛 수납부
219 : 나사 구멍
221, 231 : 단자 도체
221a, 222a : 저부
221b : 단자부
222, 232 : 중계 단자 도체
222b : 선단부
223, 233 : 커넥터
223a, 223b : 홈부
511 : 제1 고정 셔터
511a, 511b, 511c, 511d, 511e, 511f, 511h, 511i, 512A, 512b, 513a, 513b, 513j, 514a, 514b, 521g, 536a : 개구
511g, 512e, 513e, 531d : 오목부
512 : 제2 고정 셔터
512f, 512g, 512h, 513f, 513g, 513h : 절결부
513 : 제3 고정 셔터
514 : 보조 패널
521, 521A : 가동 셔터
521a, 521b, 521c : 폐색판부
521d, 521e : 연결부
521f, 532a, 532b : 볼록부
530 : 하우징부
531 : 유닛 베이스
531a : 슬라이딩 홈
531b : 축부
531c : 가이드 홈
531e : 경사부
532 : 유닛 커버
533 : 압축 스프링
534 : 로드
534a : 연신부
534b : 기단부
534d : 접촉부
534e : 돌기부
535 : 코일 스프링
536 : 링크
536b : 제1 암부
536c : 제2 암부
536d : 선단1:
3: drawout frame 4: drawout rail
5, 5A: shutter device 10: housing
10a: front part
11, 11-1, 11-2, 11-3, 12, 12-1, 12-2, 12-3: Circuit breaker side conductor
20, 20-1, 20-2, 20-3, 20-4: terminal unit
21: insulation base
22, 22-1, 22-2, 22-3, 23, 23-1, 23-2, 23-3: lead frame side conductor
24: bolt 25: screw
31, 32: side plate 33, 34: holding plate
41, 42:
52, 52A: movable shutter portion 53: shutter drive unit
100: draw-out
211a, 212a, 213c, 214c: sliding surface
211b, 212b: guide
213b, 214b:
213e, 214e: second protrusion
213f, 214f, 512c, 512d, 511 k, 512 i, 513c, 513d, 513i, 534c: locking part
213f1, 214f1: first stretch 213f2, 214f2: second stretch
215, 216: terminal storage unit 217: unit storage unit
219:
221a, 222a:
222, 232:
223, 233:
511: first fixed shutter
511a, 511b, 511c, 511d, 511e, 511f, 511h, 511i, 512A, 512b, 513a, 513b, 513j, 514a, 514b, 521g, 536a: opening
511g, 512e, 513e, 531d: recess
512: second fixed shutter
512f, 512g, 512h, 513f, 513g, 513h: notch
513: third fixed shutter 514: auxiliary panel
521, 521A:
521d, 521e:
530: housing part 531: unit base
531a: sliding
531c: guide
532: unit cover 533: compression spring
534:
534b:
534e: protrusion 535: coil spring
536:
536c:
Claims (9)
전원 측 도체 및 부하 측 도체에 접속되는 복수의 인출 프레임 측 도체와,
상기 복수의 인출 프레임 측 도체가 삽입되는 절연 베이스를 포함하는 단자 유닛을 복수 가지고, 상기 인출 프레임 내에 배치되는 단자 장치와,
상기 인출 프레임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인출 프레임 측 도체와 접속되는 복수의 차단기 측 도체를 가지고, 상기 인출 프레임 내로부터의 인출이 가능한 차단기 본체와,
상기 차단기 본체의 상기 인출 프레임 내로의 수납시에 상기 복수의 차단기 측 도체가 삽입되는 복수의 개구를 가지는 복수의 고정 셔터와, 상기 차단기 본체가 상기 인출 프레임 내로부터 인출된 경우에 상기 복수의 개구를 막는 가동 셔터를 가지는 셔터 장치를 구비하며,
복수의 상기 절연 베이스는, 상기 차단기 본체가 인출되는 방향인 제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절연 베이스 각각은,
상기 제2 방향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벽부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벽부 각각은,
상기 고정 셔터와 걸리는 걸림부를 가지고,
상기 걸림부 각각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신(延伸)되는 제1 연신부와, 상기 제1 연신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신되는 제2 연신부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벽부 중 일방의 상기 제2 연신부와 타방의 상기 제2 연신부는,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차단기.With a draw frame,
A plurality of lead frame-side conductors connected to the power-side conductor and the load-side conductor,
A terminal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terminal units including an insulating base into which the plurality of lead frame side conductors are inserted, and disposed in the lead frame,
A circuit breaker body having a plurality of breaker-side conductor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lead-out frame-side conductors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lead-out frame, and capable of withdrawing from the lead-out frame;
A plurality of fixed shutters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into which the plurality of breaker-side conductors are inserted when the breaker main body is accommodated into the withdrawal frame, and the plurality of openings when the breaker main body is withdrawn from the withdrawal frame It is provided with a shutter device having a movable shutter blocking,
The plurality of insulating bases are arranged in a second direction that is orthogonal to a first direction that is a direction in which the breaker body is drawn out,
Each of the plurality of insulating bases,
Having a pair of wall portions facing in the second direction,
Each of the pair of wall portions,
Having the fixed shutter and the engaging portion,
Each of the locking portions,
A first stretched portion stretch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stretched portion stretched in the second direction from a tip end of the first stretched portion,
One of the pair of wall portions, one of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and the other of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a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상기 복수의 고정 셔터는, 제1 고정 셔터와, 제2 고정 셔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 셔터는,
상기 걸림부의 상기 제1 연신부가 삽입되는 제1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고정 셔터는,
상기 걸림부의 상기 제1 연신부가 삽입되는 절결부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 각각에 직교하는 제3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고정 셔터의 제1 개구에 상기 제1 연신부에 삽입된 상태의 상기 걸림부의 상기 제2 연신부와 걸리는 셔터 측 걸림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차단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fixed shutters include a first fixed shutter and a second fixed shutter,
The first fixed shutter,
And a first opening into which the first extension part of the locking part is inserted,
The second fixed shutter,
A cutout portion into which the first extension portion is inserted in the locking portion;
Protruding in a third direction orthogonal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and engaging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of the locking portion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first extending portion in the first opening of the first fixed shutter Withdrawal type circuit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hutter-side locking portion.
상기 한 쌍의 벽부 각각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신되는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제1 고정 셔터는,
상기 절연 베이스의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제2 개구를 가지고,
상기 제2 고정 셔터는,
상기 차단기 본체와 대향하는 면과는 반대의 면에서 상기 돌출부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차단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Each of the pair of wall portions,
Having a protrusion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fixed shutter,
Has a second opening into which the protrusion of the insulating base is inserted,
The second fixed shutter,
A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abuts against the protrusion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pposite to the circuit breaker body.
상기 제2 개구에는,
상기 복수의 절연 베이스 중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절연 베이스의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차단기.The method of claim 3,
In the second opening,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s of two insulating bases adjacent to each other are inserted among the plurality of insulating bases.
상기 셔터 장치는,
상기 차단기 본체의 상기 인출 프레임으로부터의 인출에 연동하여 상기 가동 셔터를 이동시키는 셔터 구동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셔터 구동 유닛은,
상기 복수의 절연 베이스 중 하나의 절연 베이스의 내부에서의 상기 복수의 인출 프레임 측 도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차단기.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shutter device,
And a shutter driving unit for moving the movable shutter in association with the withdrawal of the breaker body from the withdrawal frame,
The shutter driving unit,
A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lead-out frame-side conductors inside one of the plurality of insulation bases.
상기 셔터 구동 유닛은,
상기 제1 방향으로 가압된 로드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상기 로드의 이동에 따라서 회전하여 상기 가동 셔터를 상기 복수의 개구를 막는 차단 위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개구를 노출시키는 해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링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차단기.The method of claim 5,
The shutter driving unit,
A rod pressed in the first direction,
A pull-out having a link that rotat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ro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o move the movable shutter from a blocking position blocking the plurality of openings to a released position exposing the plurality of openings Type breaker.
상기 셔터 구동 유닛은,
상기 링크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의 상기 로드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로드가 삽입되는 유닛 베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유닛 베이스는,
상기 가동 셔터가 상기 해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로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차단기.The method of claim 6,
The shutter driving unit,
And a unit base into which the rod is insert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ro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nd maintaining the link rotatably,
The unit base,
A pull-out type circuit breaker, wherein the rod can be held in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shutter is in the released position.
상기 로드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셔터 구동 유닛은,
상기 돌기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과,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기 가이드 홈에 연속하고, 상기 돌기부를 걸리게 하는 오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차단기.The method of claim 7,
The rod,
And a protrusion protru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The shutter driving unit,
A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protrusion,
A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cave portion that is continuous with the guide groov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nd catches the protrusion.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상기 로드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돌기부를 상기 가이드 홈으로 진입시키는 경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차단기.The method of claim 8,
The concave portion,
A pull-out type circuit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inclined portion for entering the protrusion into the guide groov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ro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8/008796 WO2019171500A1 (en) | 2018-03-07 | 2018-03-07 |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0799A true KR20200110799A (en) | 2020-09-25 |
KR102357014B1 KR102357014B1 (en) | 2022-02-08 |
Family
ID=67846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24719A KR102357014B1 (en) | 2018-03-07 | 2018-03-07 | Draw-out circuit breaker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6843294B2 (en) |
KR (1) | KR102357014B1 (en) |
CN (1) | CN111801862B (en) |
TW (1) | TWI699058B (en) |
WO (1) | WO2019171500A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01503A (en) * | 1992-06-30 | 1994-01-11 | 기타오카 다카시 | Safety Shutter Device of Drawout Circuit Breaker |
KR20030090843A (en) * | 2002-05-22 | 2003-12-01 | 엘지산전 주식회사 | assembly structure of shutter plate for draw-out type air circuit breaker |
JP2007209124A (en) * | 2006-02-02 | 2007-08-16 | Terasaki Electric Co Ltd | Shutter system of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
KR20080079566A (en) * | 2007-02-27 | 2008-09-01 |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 Shutter locking system for draw-out circuit breakers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3544664A1 (en) * | 1985-12-13 | 1987-06-19 | Siemens Ag | PULL-IN FRAME WITH A DRIVE RAIL FOR AN ELECTRICAL SWITCHGEAR |
CN2199617Y (en) * | 1994-08-18 | 1995-05-31 | 浙江省鄞县电器开关厂 | Insulative spacer plate for high-voltage switch cabinet |
JP4074038B2 (en) * | 1999-11-10 | 2008-04-09 | 三菱電機株式会社 | Circuit breaker insertion / extraction device |
JP2005045970A (en) * | 2003-07-24 | 2005-02-17 | Mitsubishi Electric Corp | Drawer type circuit breaker |
JP4597816B2 (en) * | 2005-08-26 | 2010-12-15 | 三菱電機株式会社 | Pull-out type circuit breaker |
JP4641978B2 (en) * | 2006-06-21 | 2011-03-02 | 三菱電機株式会社 | Pull-out type circuit breaker |
JP2008131818A (en) * | 2006-11-24 | 2008-06-05 | Mitsubishi Electric Corp | Drawer type circuit breaker and drawer handle thereof |
JP4925974B2 (en) * | 2007-08-28 | 2012-05-09 | 三菱電機株式会社 | Drawer type circuit breaker, terminal device of drawer type circuit breaker, and interphase insulating plate of terminal device |
KR100924431B1 (en) * | 2007-12-13 | 2009-10-29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Cradle of air circuit breaker |
JP5630380B2 (en) * | 2011-05-27 | 2014-11-26 | 三菱電機株式会社 | Pull-out type circuit breaker |
WO2015052328A1 (en) * | 2013-10-10 | 2015-04-16 | Schneider Electric Industries Sas | A withdrawable circuit breaker arrangement |
US9312668B2 (en) * | 2014-06-20 | 2016-04-12 | Schneider Electric USA, Inc. | Arc resistant shutters |
CN206313347U (en) * | 2016-12-13 | 2017-07-07 | 东莞同济大学研究院 | A kind of device for switching drawer chassis |
-
2018
- 2018-03-07 CN CN201880090664.8A patent/CN111801862B/en active Active
- 2018-03-07 WO PCT/JP2018/008796 patent/WO2019171500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8-03-07 JP JP2020504558A patent/JP6843294B2/en active Active
- 2018-03-07 KR KR1020207024719A patent/KR102357014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1-14 TW TW108101350A patent/TWI699058B/en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01503A (en) * | 1992-06-30 | 1994-01-11 | 기타오카 다카시 | Safety Shutter Device of Drawout Circuit Breaker |
JPH0622418A (en) | 1992-06-30 | 1994-01-28 | Mitsubishi Electric Corp | Safety shutter apparatus of drawer type breaker |
KR20030090843A (en) * | 2002-05-22 | 2003-12-01 | 엘지산전 주식회사 | assembly structure of shutter plate for draw-out type air circuit breaker |
JP2007209124A (en) * | 2006-02-02 | 2007-08-16 | Terasaki Electric Co Ltd | Shutter system of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
KR20080079566A (en) * | 2007-02-27 | 2008-09-01 |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 Shutter locking system for draw-out circuit breakers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1801862B (en) | 2022-04-05 |
TW201939834A (en) | 2019-10-01 |
JPWO2019171500A1 (en) | 2020-08-20 |
KR102357014B1 (en) | 2022-02-08 |
JP6843294B2 (en) | 2021-03-17 |
TWI699058B (en) | 2020-07-11 |
WO2019171500A1 (en) | 2019-09-12 |
CN111801862A (en) | 2020-10-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55640A (en) | Multi-pin vacuum switch arrangement | |
US20110080238A1 (en) | Position switch and circuit breaker having the same | |
CN109844883B (en) | Actuation assembly for an electrical switch housed in a housing | |
CN109065406A (en) | Vacuum arc-extinguishing chamber assembly with built-in isolation fracture and vacuum circuit breaker | |
US20010025773A1 (en) | Draw out arrangement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s | |
JP4304776B2 (en) | Drawer device for drawer type electrical equipment | |
KR20200110799A (en) | Draw-out breaker | |
US3470422A (en) | Electrical instrumentation and switchgear panels | |
KR20040067785A (en) | Breaker | |
US4686334A (en) | Frame with clip-on draw-in grips for a withdrawable multipole circuit breaker | |
WO2019116498A1 (en) | Drawer-type breaker | |
US2723329A (en) | Folding handle construction for electric switchgear | |
CN211701114U (en) | Electrical distribution box convenient for wiring operation | |
JP2000050426A (en) | Control box | |
KR100990263B1 (en) | The position switch in circuit breaker | |
JPS6237375Y2 (en) | ||
KR870000268Y1 (en) | Shutter device for control center control unit | |
JPH043522Y2 (en) | ||
CN218958030U (en) | Binding post plate structure that protection effect is good | |
CN212136984U (en) | Cubical switchboard convenient to maintain | |
CN220325106U (en) | High-low voltage power distribution cabinet | |
JP6899956B1 (en) | Power converter | |
JP2816010B2 (en) | Earth leakage breaker | |
JP2018163795A (en) | Fuse switch | |
JP2024108190A (en) | Adjustment mechanism used in the operating mechanism of a vacuum circuit break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