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0509A - 피부 미용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피부 미용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0509A
KR20200110509A KR1020190028875A KR20190028875A KR20200110509A KR 20200110509 A KR20200110509 A KR 20200110509A KR 1020190028875 A KR1020190028875 A KR 1020190028875A KR 20190028875 A KR20190028875 A KR 20190028875A KR 20200110509 A KR20200110509 A KR 20200110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scalp
mask
helmet
fa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정호
최귀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Priority to KR1020190028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0509A/ko
Publication of KR20200110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05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61N5/0617H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2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안면관리마스크가 사용자의 안면 피부에 엘이디 조명을 조사하고, 두피관리헬멧이 사용자의 머리에 엘이디 조명을 조사함으로써, 안면 피부관리와 두피관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피부 미용 관리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피부 미용 관리장치는 엘이디 조명을 조사하여 안면 피부를 관리하도록 사용자의 얼굴을 커버하는 안면관리마스크 및 상기 안면관리마스크의 상측에 구비되고, 엘이디 조명을 조사하여 두피를 관리하도록 사용자의 머리에 씌워지는 두피관리헬멧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부 미용 관리장치{SKIN BEAUTY MANAGEMENT DEVICE}
본 발명은 피부 미용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면관리마스크가 사용자의 안면 피부에 엘이디 조명을 조사하고, 두피관리헬멧이 사용자의 머리에 엘이디 조명을 조사함으로써, 안면 피부관리와 두피관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피부 미용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색채가 주는 에너지와 그 빛의 파장에 따라 인간에 미치는 영향력을 이용해 피부미용 목적에 쓰이는 것을 칼라테라피로 일컬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칼라테라피는 주로 색의 빛을 나타내기 위한 수단으로 엘이디를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660nm 정도의 파장을 가지는 적색 엘이디는 피부탄력, 혈액순환효과, 피하조직과 지방의 신진대사촉진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445nm 정도의 파장을 가지는 청색 엘이디는 여드름과 건성피부에 좋다고 알려져 있으며, 530nm 정도의 파장을 가지는 녹색 엘이디는 세포층의 기능을 강화하고, 노화 방지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각각의 특정 파장을 가지는 엘이디를 이용한 피부 관리장치는 주로, 피부 미용실이나 피부관리실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피부관리기는 대체적으로 스탠드형 조명탑으로 이루어진 형태로서, 조명부에 특정 파장을 가지는 엘이디를 수납하여 사용하거나, 휴대용으로 이온 마사지 겸용 칼라테라피용 엘이디를 결합하여 착용자가 직접 손으로 휴대용 마사지기를 얼굴 피부 또는 두피에 문지르는 형태이다.
이러한 종래의 피부관리기는 전자의 경우, 특정 파장의 엘이디광의 조사가 얼굴피부에 닿기까지는 그 거리가 매우 멀어 특정 파장이 얼굴 피부에 영향력을 미칠 확률이 매우 낮으므로 전시효과 정도를 나타내는 정도이어서 피부관리에 적합하지 않고, 후자의 경우에는 착용자가 이온 마사지 표면을 얼굴 피부에 문지르면서 내부에 발광되는 엘이디의 특정 파장으로 얼굴 피부를 관리하는데 매우 적합하나 착용자가마사지기를 직접 손으로 잡고 직접 얼굴 피부를 문질러야 함으로써, 사용상의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97169호(2016.02.18. 등록, 명칭: 안면치료용 마스크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안면관리마스크가 사용자의 안면 피부에 엘이디 조명을 조사하고, 두피관리헬멧이 사용자의 머리에 엘이디 조명을 조사함으로써, 안면 피부관리와 두피관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피부 미용 관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미용 관리장치는 엘이디 조명을 조사하여 안면 피부를 관리하도록 사용자의 얼굴을 커버하는 안면관리마스크 및 상기 안면관리마스크의 상측에 구비되고, 엘이디 조명을 조사하여 두피를 관리하도록 사용자의 머리에 씌워지는 두피관리헬멧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면관리마스크는 분리결합부에 의해 상기 두피관리헬멧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분리결합부는 상기 안면관리마스크와 상기 두피관리헬멧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결합홈부 및 상기 결합홈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안면관리마스크와 상기 두피관리헬멧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결합돌기부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돌기부는 상기 결합홈부에 수용시 전원통신접속부에 의해 상기 안면관리마스크의 전원을 상기 두피관리헬멧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통신접속부는 상기 결합돌기부에 구비되는 제1접속부 및 상기 제1접속부와 접속되도록 상기 결합홈부에 구비되는 제2접속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용 관리장치는 안면관리마스크가 사용자의 안면 피부에 엘이디 조명을 조사하고, 두피관리헬멧이 사용자의 머리에 엘이디 조명을 조사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안면 피부의 재생을 도모하여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모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결합부에 의해 안면관리마스크와 두피관리헬멧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안면관리마스크의 단독적인 이용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안면관리마스크를 개별적으로 이용하는 도중에 두피관리헬멧을 착용시 전원통신접속부에 의해 안면관리마스크의 전원이 두피관리헬멧에 공급됨으로써, 두피관리헬멧을 별도로 조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미용 관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미용 관리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미용 관리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용 관리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미용 관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미용 관리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미용 관리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미용 관리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면관리마스크(10) 및 두피관리헬멧(20)을 포함한다.
안면관리마스크(10)는 엘이디 조명을 조사하여 안면 피부를 관리하도록 사용자의 얼굴을 커버한다. 이러한 안면관리마스크(10)는 제1커버부재(11), 제1엘이디램프(12) 및 전원공급제어부(1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커버부재(11)는 사용자의 안면을 커버한다. 이때, 제1커버부재(11)는 사용자의 안면을 커버시 사용자의 눈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11a)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눈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커버부재(11)는 사용자의 안면에 커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사용자 머리의 둘레면을 감싸는 헤어밴드부(11b)를 구비할 수 있다.
물론, 제1커버부재(11)는 사용자의 안면을 커버하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재질 및 형상으로 변경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엘이디램프(12)는 제1커버부재(11)의 내측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안면 피부를 향해 발광한다. 즉, 제1엘이디램프(12)는 제1커버부재(11)가 사용자의 안면을 커버한 상태에서 전원공급제어부(13)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사용자의 안면 피부로 조명광을 조사하여 사용자의 안면 피부를 개선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제1엘이디램프(12)는 제1커버부재(11)가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된 상태에서 발광시 사용자의 볼, 이마, 턱 부위에 밀집하게 조명광을 제공하도록 배치되어 사용자의 눈부심을 방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엘이디램프(12)는 전원공급제어부(13)의 조작을 통해 다양한 색상의 조명을 제공하도록 색 변환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전원공급제어부(13)는 제1엘이디램프(12)의 전원공급 여부를 조작 가능하도록 제1커버부재(11)에 구비된다. 이러한 전원공급제어부(13)는 경우에 따라 터치패드 또는 버튼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전원공급제어부(13)는 제1엘이디램프(12)를 점등시킨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제1엘이디램프(12)를 자동적으로 소등시키도록 타이머를 구비할 수 있다.
즉, 타이머는 사용자가 전원공급제어부(13)를 조작하여 제1엘이디램프(12)를 점등시키면 제1엘이디램프(12)의 점등 시점부터 설정 시간만큼 제1엘이디램프(12)의 점등 상태를 유지시키고, 설정 시간을 초과시 전원공급제어부(13)가 제1엘이디프(12)를 자동적으로 소등시키도록 안내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안면관리마스크(10)를 사용하는 도중에 수면을 취할 경우 적정 시간으로 안면 피부를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주의로 제1엘이디램프(12)를 점등시키더라도 지속적인 전원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두피관리헬멧(20)은 안면관리마스크(10)에 구비되고, 엘이디 조명을 조사하여 두피를 관리하도록 사용자의 머리에 씌워진다. 이러한 두피관리마스크(20)는 제2커버부재(21) 및 제2엘이디램프(2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2커버부재(21)는 안면관리마스크(10)에 구비된 제1커버부재(11)의 상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커버한다. 이때, 제2커버부재(21)는 사용자의 머리를 커버하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재질 및 형상으로 변경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엘이디램프(22)는 제2커버부재(21)의 내측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두피를 향해 발광한다. 이때, 제2엘이디램프(22)는 안면관리마스크(10)에 구비된 전원공급제어부(13)의 조작을 통해 제1엘이디램프(12)와 함께 발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물론, 제2엘이디램프(22)는 안면관리마스크(10)에 구비된 전원공급제어부(13)의 조작을 통해 다양한 색상의 조명을 제공하도록 색 변환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안면관리마스크(10)는 분리결합부(30)에 의해 두피관리헬멧(20)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분리결합부(30)는 안면관리마스크(10)와 두피관리헬멧(2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결합홈부(31) 및 결합홈부(31)에 삽입되도록 안면관리마스크(10)와 두피관리헬멧(20)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결합돌기부(32)를 포함한다.
이로써, 결합돌기부(32)를 결합홈부(31)에 삽입시키면 안면관리마스크(10)와 두피관리헬멧(20)은 상호 연결되어 안면피부와 두피 케어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결합돌기부(32)를 결합홈부(31)에서 이탈시키면 안면관리마스크(10)만 단독적으로 사용 가능해진다. 물론, 결합홈부(31)와 결합돌기부(32)는 상호 간에 결합될 수 있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이때, 결합돌기부(32)는 결합홈부(31)에 수용시 전원통신접속부(40)에 의해 안면관리마스크(10)의 전원을 두피관리헬멧(20)에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통신접속부(40)는 결합돌기부(32)에 구비되는 제1접속부(41) 및 제1접속부(41)와 접속되도록 결합홈부(31)에 구비되는 제2접속부(42)를 포함한다.
즉, 제1접속부(41)와 제2접속부(42)는 안면관리마스크(10)과 두피관리헬멧(20)을 연결하기 위해 결합돌기부(32)를 결합홈부(31)에 수용시키는 순간, 상호 접속되어 안면관리마스크(10)의 전기와 통신을 두피관리헬멧(20)에 공급 가능하게 함으로써, 안면관리마스크(10)와 두피관리헬멧(20)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안면관리마스크(10)로 사용자의 안면 피부를 관리하는 도중에 결합돌기부(32)가 결합홈부(31)에 수용되도록 두피관리헬멧(20)을 착용하면 전원통신접속부(40)를 통해 안면관리마스크(10)의 전원이 자동적으로 두피관리헬멧(20)에 구비된 제2엘이디램프(22)로 공급되기 때문에 두피관리헬멧(20)을 별도로 조작할 필요가 없어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안면관리마스크 11: 제1커버부재
12: 제1엘이디램프 13: 전원공급제어부
20: 두피관리헬멧 21: 제2커버부재
22: 제2엘이디램프 30: 분리결합부
31: 결합홈부 32: 결합돌기부
40: 전원통신접속부 41: 제1접속부
42: 제2접속부

Claims (5)

  1. 엘이디 조명을 조사하여 안면 피부를 관리하도록 사용자의 얼굴을 커버하는 안면관리마스크; 및
    상기 안면관리마스크의 상측에 구비되고, 엘이디 조명을 조사하여 두피를 관리하도록 사용자의 머리에 씌워지는 두피관리헬멧;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용 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관리마스크는 분리결합부에 의해 상기 두피관리헬멧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용 관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결합부는,
    상기 안면관리마스크와 상기 두피관리헬멧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결합홈부; 및
    상기 결합홈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안면관리마스크와 상기 두피관리헬멧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결합돌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용 관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부는 상기 결합홈부에 수용시 전원통신접속부에 의해 상기 안면관리마스크의 전원을 상기 두피관리헬멧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용 관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통신접속부는,
    상기 결합돌기부에 구비되는 제1접속부; 및
    상기 제1접속부와 접속되도록 상기 결합홈부에 구비되는 제2접속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용 관리장치.
KR1020190028875A 2019-03-13 2019-03-13 피부 미용 관리장치 KR202001105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875A KR20200110509A (ko) 2019-03-13 2019-03-13 피부 미용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875A KR20200110509A (ko) 2019-03-13 2019-03-13 피부 미용 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509A true KR20200110509A (ko) 2020-09-24

Family

ID=72706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875A KR20200110509A (ko) 2019-03-13 2019-03-13 피부 미용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050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52936A1 (en) Mask device for facial skin care
US20060030908A1 (en) Skin treatment phototherapy device
US8252033B2 (en) Phototherapy apparatus for skin treatment
KR101597169B1 (ko) 안면치료용 마스크장치
KR101635927B1 (ko) 안면피부관리용 마스크장치
KR101616002B1 (ko) 안면 피부 클리닉 마스크 장치
KR20170008842A (ko) 피부 치료를 위한 광치료 장치
US20180221682A1 (en) Phototherapy apparatus for hair and skin treatment
KR200471948Y1 (ko) 안면 마스크
CN204563331U (zh) Led光疗美容装置
CA2683090A1 (en) Phototherapy light cap
KR101385707B1 (ko) 가시광선을 이용한 색광 치료 시스템
KR102083650B1 (ko) 사용자 맞춤 케어 뷰티 led 마스크
KR20220024872A (ko) 조절 가능한 치료용 안면 마스크
KR20160036250A (ko) 피부 관리용 마스크
US11642546B2 (en) LED facial mask
KR102091241B1 (ko) 산소공급 눈마스크가 구비되는 led 피부 마스크
KR20200110509A (ko) 피부 미용 관리장치
KR102388309B1 (ko) 입술용 엘이디 미용 장치
CN204972714U (zh) 一种用于皮肤治疗的led面具
CN106377846A (zh) 立式led光疗皮肤护理仪
KR102091249B1 (ko) 눈마스크가 구비되는 산소공급 led 피부 마스크
CN210078629U (zh) 一种背部光疗装置
AU2013101152B4 (en) Phototherapy light cap
CN220757823U (zh) 光护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