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0075A - 콘텐츠 제공을 위한 증강현실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제공을 위한 증강현실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0075A
KR20200110075A KR1020190030166A KR20190030166A KR20200110075A KR 20200110075 A KR20200110075 A KR 20200110075A KR 1020190030166 A KR1020190030166 A KR 1020190030166A KR 20190030166 A KR20190030166 A KR 20190030166A KR 20200110075 A KR20200110075 A KR 20200110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augmented reality
performance
marker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직희
오인근
Original Assignee
정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직희 filed Critical 정직희
Priority to KR1020190030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0075A/ko
Publication of KR20200110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00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04Mark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Architectu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콘텐츠의 내용 또는 공연 무대의 형태에 따라 특정 위치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마커를 인식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인식된 마커와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디바이스 사이의 각도(angle)를 검출하는 모션센서부와, 증강현실 오브젝트의 위치, 크기 및 투영각도를 결정하고 상기 콘텐츠 또는 상기 공연의 진행 순서에 따라 상기 콘텐츠의 표시 내용 또는 상기 공연의 연출 내용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인식된 마커의 위치, 상기 인식된 마커의 크기, 상기 검출된 각도 및 상황 정보-상기 상황 정보는 상기 콘텐츠 또는 상기 공연의 상황 정보를 포함함-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증강현실 오브젝트와 상기 콘텐츠의 내용 또는 상기 공연 연출 내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을 위한 증강현실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위치나 상황에 관계없이 증강현실 연출결과가 무대 배경과 조화를 이루어 현실감을 느낄 수 있으며 사용자의 무대공연 등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마커 인식 단절 상황이 생기는 경우에도 증강현실 연출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텐츠 제공을 위한 증강현실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AUGMENTED REALITY DEVICE FOR PROVIDING CONTENTS AND CONTENTS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콘텐츠 제공을 위한 증강현실 장치에 관한 것이고,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연출결과가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제공을 위한 증강현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에 가상 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이다. 현실세계에 실시간으로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므로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이라고도 한다.
증강현실 기술에서는 사용자가 실제 환경을 볼 수 있으며, 실제 환경과 가상의 객체가 혼합된 형태를 띤다. 즉, 증강현실은 현실 세계에 가상의 물체를 중첩함으로써 현실 세계를 보충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준다는 차별성을 가지며,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에 비해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현실감을 제공한다는 특징이 있다.
마커인식형 증강현실(Marker-based Augmented Reality)은 시스템에 미리 저장된 시각적 마커를 식별함으로써 실사 이미지와 증강현실 오브젝트를 중첩하여 출력하는 기술로서 게임, 마케팅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증강현실을 이용해 무대공연 등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마커를 중심으로 고정된 위치에 증강현실 오브젝트가 투영되므로 사용자의 위치나 상황에 따라 연출결과가 무대 배경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증강현실을 이용한 무대공연 등 콘텐츠 제공 도중 주변 환경이나 사용자의 영향 등으로 인해 마커 인식이 단절되는 경우 증강현실 연출이 중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24174호 ("마커 인식 기반 증강현실 생성 시스템 및 방법",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개일 2019.3.8.)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증강현실을 이용한 무대공연 등 콘텐츠 제공에 있어서 사용자의 위치나 상황에 따라 연출결과가 배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콘텐츠 제공을 위한 증강현실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무대공연 등 콘텐츠 제공 도중 주변 환경이나 사용자의 영향 등으로 인해 마커 인식 단절 상황이 생기는 경우에도 증강현실 연출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제공을 위한 증강현실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콘텐츠 제공을 위한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디바이스는 콘텐츠의 내용 또는 공연 무대의 형태에 따라 특정 위치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마커를 인식하는 카메라부; 상기 인식된 마커와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디바이스 사이의 각도(angle)를 검출하는 모션센서부와, 증강현실 오브젝트의 위치, 크기 및 투영각도를 결정하고 상기 콘텐츠 또는 상기 공연의 진행 순서에 따라 상기 콘텐츠의 표시 내용 또는 상기 공연의 연출 내용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인식된 마커의 위치, 상기 인식된 마커의 크기, 상기 검출된 각도 및 상황 정보-상기 상황 정보는 상기 콘텐츠 또는 상기 공연의 상황 정보를 포함함-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증강현실 오브젝트와 상기 콘텐츠의 내용 또는 상기 공연 연출 내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마커의 위치, 상기 인식된 마커의 크기 및 상기 검출된 각도에 따라 증강현실 오브젝트의 위치, 크기 및 투영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저장부는 상기 카메라부에서 마커인식이 단절되는 경우 단절 시점의 상황 정보-상기 상황 정보는 상기 컨텐츠 또는 상기 공연의 상황 정보를 포함함-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에서 마커인식이 단절되는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마커의 위치, 마커의 크기 및 검출된 각도에 따라 증강현실 오브젝트의 위치, 크기 및 투영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에서 마커인식이 단절되는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마커의 위치, 마커의 크기 및 검출된 각도에 따라 증강현실 오브젝트의 위치, 크기 및 투영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디바이스에서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은, 콘텐츠의 내용 또는 공연 무대의 형태에 따라 특정 위치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마커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마커와 증강현실 디바이스 사이의 각도(angle)를 검출하는 단계와, 증강현실 오브젝트의 위치, 크기 및 투영각도를 결정하고 상기 콘텐츠 또는 상기 공연의 진행 순서에 따라 상기 콘텐츠의 표시 내용 또는 상기 공연의 연출 내용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마커의 위치, 상기 인식된 마커의 크기, 상기 검출된 각도 및 상황 정보-상기 상황 정보는 상기 콘텐츠 또는 상기 공연의 상황 정보를 포함함-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증강현실 오브젝트의 위치, 크기 및 투영각도를 결정하고 상기 콘텐츠 또는 상기 공연의 진행 순서에 따라 상기 콘텐츠의 표시 내용 또는 상기 공연의 연출 내용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결정된 상기 증강현실 오브젝트와 상기 콘텐츠의 내용 또는 상기 공연 연출 내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증강현실 오브젝트의 위치, 크기 및 투영각도를 결정하고 상기 콘텐츠 또는 상기 공연의 진행 순서에 따라 상기 콘텐츠의 표시 내용 또는 상기 공연의 연출 내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의 내용 또는 공연 무대의 형태에 따라 특정 위치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마커를 인식하는 단계에서 인식된 마커의 위치 및 크기와 상기 인식된 마커와 증강현실 디바이스 사이의 각도(angle)를 검출하는 단계에서 검출된 각도에 따라 증강현실 오브젝트의 위치, 크기 및 투영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인식된 마커의 위치, 인식된 마커의 크기, 검출된 각도 및 상황 정보-상기 상황 정보는 상기 콘텐츠 또는 상기 공연의 상황 정보를 포함함-를 저장하는 단계 는 상기 콘텐츠의 내용 또는 공연 무대의 형태에 따라 특정 위치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마커를 인식하는 단계에서 마커인식에 실패하는 경우 실패 시점의 상황 정보-상기 상황 정보는 상기 콘텐츠 또는 상기 공연의 상황 정보를 포함함-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증강현실 오브젝트의 위치, 크기 및 투영각도를 결정하고 상기 콘텐츠 또는 상기 공연의 진행 순서에 따라 상기 콘텐츠의 표시 내용 또는 상기 공연의 연출 내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의 내용 또는 공연 무대의 형태에 따라 특정 위치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마커를 인식하는 단계에서 마커인식에 실패하는 경우 상기 인식된 마커의 위치, 인식된 마커의 크기, 검출된 각도 및 상황 정보-상기 상황 정보는 상기 콘텐츠 또는 상기 공연의 상황 정보를 포함함-를 저장하는 단계에서 저장된 마커의 위치 및 크기, 검출된 각도에 따라 증강현실 오브젝트의 위치, 크기 및 투영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증강현실 오브젝트의 위치, 크기 및 투영각도를 결정하고 상기 콘텐츠 또는 상기 공연의 진행 순서에 따라 상기 콘텐츠의 표시 내용 또는 상기 공연의 연출 내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의 내용 또는 공연 무대의 형태에 따라 특정 위치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마커를 인식하는 단계에서 마커 인식에 실패하는 경우 상기 인식된 마커의 위치, 인식된 마커의 크기, 검출된 각도 및 상황 정보-상기 상황 정보는 상기 콘텐츠 또는 상기 공연의 상황 정보를 포함함-를 저장하는 단계에서 저장된 실패 시점의 연출상황 정보에 따라 연출 내용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디바이스 및 증강현실 디바이스에서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마커의 인식이 단절된 경우에도 저장된 사용자 정보 및 연출상황 정보를 이용해 증강현실 연출을 재개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나 상황에 관계없이 증강현실 연출결과가 무대 배경과 조화를 이루어 현실감을 느낄 수 있으며 사용자의 무대공연 등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콘텐츠의 제공 도중 주변 환경이나 사용자의 영향 등으로 인해 마커 인식 단절 상황이 생기는 경우에도 증강현실 연출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디바이스 및 증강현실 디바이스 에서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공연장의 현장 상황이나 무대 구성의 변화 등에 따른 조정을 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공연을 위한 증강현실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무대공연 환경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3a 내지 3c는 사용자가 무대를 기준으로 좌측에서 무대공연을 관람하는 경우 증강현실 오브젝트 생성 개념도이다.
도4a 내지 4c는 사용자가 무대를 기준으로 우측에서 무대공연을 관람하는 경우 증강현실 오브젝트 생성 개념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을 위한 증강현실 디바이스의 동작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콘텐츠는 게임, 인형극, 영화, 무대공연 등을 포함한다.
이하, 증강현실은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뿐만 아니라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을 포함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을 위한 증강현실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디바이스(120)는 카메라부(130), 모션센서부(140), 제어부(150), 저장부(170) 및 표시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증강현실 디바이스(120)는 스마트폰, 안경, 렌즈, 헤드셋 또는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될 수 있다.
카메라부(130)는 콘텐츠의 내용 또는 공연 무대 형태에 따라 특정 위치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마커(110)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마커의 위치 및 크기를 검출한다.
모션센서부(140)는 마커가 인식된 시점에서 마커(110)와 증강현실 디바이스(120) 사이의 각도를 검출한다.
제어부(150)는 증강현실 처리부(151)와 무대연출 처리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증강현실 처리부(151)는 상기 카메라부(130)에서 검출한 마커의 위치 및 크기, 상기 모션센서부(140)에서 검출한 마커(110)와 증강현실 디바이스(120) 사이의 각도에 따라 증강현실 오브젝트의 위치, 크기 및 투영각도를 결정한다.
무대연출 처리부(153)는 콘텐츠의 진행 순서에 따라 연출 내용을 결정한다.
저장부(170)는 상기 카메라부(130)가 검출한 마커의 위치 및 크기와 상기 모션센서부(140)가 검출한 마커(110)와 증강현실 디바이스(120) 사이의 각도를 사용자 정보 저장부(171)에 저장한다. 또, 상기 저장부(170)는 후술할 단절시점의 연출상황 정보를 연출상황 정보 저장부(173)에 저장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무대공연 환경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무대(210)의 특정 위치에 마커(110)가 설치되어 있고, 제1 사용자(230a)는 무대(210)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공연을 관람하며 제2 사용자(230b)는 무대(210) 중앙을 기준으로 우측에서 공연을 관람한다.
도3a 내지 3c는 제1 사용자(230a)가 무대공연을 관람하는 경우 증강현실 오브젝트 생성 개념도이다. 도3a은 상기 제1 사용자(230a)의 시선에서 마커(110) 및 무대(210)를 바라본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3b는 상기 제1 사용자(230a)의 증강현실 디바이스(120)(일 예로, 스마트폰)가 마커(110) 및 무대(210)를 인식한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3c는 상기 제1 사용자(230a)의 증강현실 디바이스(120)에서 마커(110)의 위치, 크기 및 증강현실 디바이스(120)의 각도에 따라 증강현실 오브젝트(300)를 표시한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상기 제1 사용자(230a)는 무대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공연을 관람한다. 이 때, 상기 제1 사용자와 무대 사이의 거리에 따라 마커(110)와 무대(210)의 크기가 다르게 보이며, 상기 제1 사용자(230a)의 시선에서는 마커(110)와 무대(210)가 무대 중앙에서 보는 것과는 다르게 도3a와 같이 비스듬히 보인다. 증강현실 디바이스(120)는 마커(110)의 위치 및 크기, 마커(110)와 증강현실 디바이스(120) 사이의 각도를 고려하여 상기 제1 사용자(230a)의 시선에 맞도록 증강현실 오브젝트(300)를 표시한다.
도4a 내지 4c는 제2 사용자(230b)가 무대공연을 관람하는 경우 증강현실 오브젝트 생성 개념도이다. 도4a은 상기 제2 사용자(230b)의 시선에서 마커(110) 및 무대(210)를 바라본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4b는 상기 제2 사용자(230a)의 증강현실 디바이스(120)(일 예로, 스마트폰)가 마커(110) 및 무대(210)를 인식한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4c는 상기 제2 사용자(230b)의 증강현실 디바이스(120)에서 마커(110)의 위치, 크기 및 증강현실 디바이스(120)의 각도에 따라 증강현실 오브젝트(400)를 표시한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상기 제2 사용자(230b)는 무대 중앙을 기준으로 우측에서 공연을 관람한다. 이 때, 상기 제2 사용자와 무대 사이의 거리에 따라 마커(110)와 무대(210)의 크기가 다르게 보이며, 상기 제2 사용자(230a)의 시선에서는 마커(110)와 무대(210)가 무대 중앙에서 보는 것과는 다르게 도4a와 같이 비스듬히 보인다. 증강현실 디바이스(120)는 마커(110)의 위치 및 크기, 증강현실 디바이스(120)의 각도를 고려하여 상기 제2 사용자(230b)의 시선에 맞도록 증강현실 오브젝트(400)를 표시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을 위한 증강현실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증강현실 디바이스(120)가 동작을 시작(S511)하면, 단계 S513에서 카메라부(130)를 통해 마커(110)의 인식여부를 확인한다. 마커(110)가 인식되는 경우 마커(110)의 위치 및 크기를 검출하며(S517), 마커(110)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이전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가 있는지 확인한다(S515).
단계 S515에서, 이전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그 정보에 기초하여 증강현실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이전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마커(110)의 인식여부를 다시 확인한다.
모션센서부(140)는 카메라 각도를 검출하고(S521), 상기 검출된 마커(110)의 위치 및 크기와 상기 검출된 카메라 각도 정보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171)에 저장된다(S519).
증강현실 처리부(151)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증강현실 오브젝트의 위치, 크기 및 투영각도를 결정하여 증강현실 오브젝트를 생성하며(S523), 무대연출 처리부(153)의 연출결과와 함께 콘텐츠 연출이 시작된다(S525).
제어부(150)는 상기 콘텐츠 연출 도중 마커 인식 단절 상황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S527) 마커 인식 단절이 없는 경우 연출을 지속하고(S529) 모든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한 후에는 연출이 종료된다(S533).
여기서, 상기 마커 인식 단절 상황은 예를 들어 사용자보다 앞 쪽에 위치한 다른 사용자에 의해 마커 인식이 단절되거나 사용자가 증강현실 디바이스(120)를 마커와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커 인식 단절 상황은 객석이 고정된 좌석으로 되어 있거나 간이의자로 되어 있는 경우 또는 스탠딩 공연인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마커 인식 단절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단절 시점에서의 연출상황 정보를 연출상황 정보 저장부(173)에 저장하고(S531), 마커가 재인식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535).
여기서, 상기 단절 시점에서의 연출상황 정보는 예를 들어 애니메이션의 진행 상황, 게임의 진행 상황 등이 될 수 있으며, 콘텐츠 제공에 필요한 내부 파라미터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 파라미터는 단절 시점에서의 마커(110)의 위치 및 크기 정보, 단절 시점에서의 증강현실 디바이스(120)의 각도를 포함한다.
마커 인식 단절 상황이 발생한 후 특정 시간동안 마커가 재인식되는지 확인한다(S537). 마커가 재인식 되는 경우에는 다시 재인식된 마커의 위치 및 크기를 검출한다(S517). 특정 시간동안 마커가 재인식 되지 않는 경우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연출상황 정보에 따라 공연을 재개한다(S537).
여기서, 특정 시간은 사용자가 콘텐츠 제공이 순간적으로 중단된 것을 느낄 수 있는 시간으로 예를 들어 2초 이내로 한다.
110: 마커 120: 증강현실 디바이스
130: 카메라부 140: 모션센서부
150: 제어부 151: 증강현실 처리부
153: 무대연출 처리부 170: 저장부
171: 사용자 정보 저장부 173: 연출상황 정보 저장부
190: 표시부

Claims (10)

  1. 콘텐츠의 내용 또는 공연 무대의 형태에 따라 특정 위치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마커를 인식하는 카메라부;
    상기 인식된 마커와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디바이스 사이의 각도(angle)를 검출하는 모션센서부;
    증강현실 오브젝트의 위치, 크기 및 투영각도를 결정하고 상기 콘텐츠 또는 상기 공연의 진행 순서에 따라 상기 콘텐츠의 표시 내용 또는 상기 공연의 연출 내용을 결정하는 제어부;
    상기 인식된 마커의 위치, 상기 인식된 마커의 크기, 상기 검출된 각도 및 상황 정보-상기 상황 정보는 상기 콘텐츠 또는 상기 공연의 상황 정보를 포함함-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증강현실 오브젝트와 상기 콘텐츠의 내용 또는 상기 공연 연출 내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을 위한 증강현실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마커의 위치, 상기 인식된 마커의 크기 및 상기 검출된 각도에 따라 증강현실 오브젝트의 위치, 크기 및 투영각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을 위한 증강현실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카메라부에서 마커인식이 단절되는 경우 단절 시점의 상황 정보-상기 상황 정보는 상기 컨텐츠 또는 상기 공연의 상황 정보를 포함함-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을 위한 증강현실 디바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에서 마커인식이 단절되는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마커의 위치, 마커의 크기 및 검출된 각도에 따라 증강현실 오브젝트의 위치, 크기 및 투영각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을 위한 증강현실 디바이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에서 마커인식이 단절되는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단절 시점의 상황 정보-상기 상황 정보는 상기 콘텐츠 또는 상기 공연의 상황 정보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콘텐츠의 내용 또는 공연 연출 내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을 위한 증강현실 디바이스.
  6. 증강현실 디바이스 에서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의 내용 또는 공연 무대의 형태에 따라 특정 위치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마커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마커와 증강현실 디바이스 사이의 각도(angle)를 검출하는 단계;
    증강현실 오브젝트의 위치, 크기 및 투영각도를 결정하고 상기 콘텐츠 또는 상기 공연의 진행 순서에 따라 상기 콘텐츠의 표시 내용 또는 상기 공연의 연출 내용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마커의 위치, 상기 인식된 마커의 크기, 상기 검출된 각도 및 상황 정보-상기 상황 정보는 상기 콘텐츠 또는 상기 공연의 상황 정보를 포함함-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증강현실 오브젝트의 위치, 크기 및 투영각도를 결정하고 상기 콘텐츠 또는 상기 공연의 진행 순서에 따라 상기 콘텐츠의 표시 내용 또는 상기 공연의 연출 내용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결정된 상기 증강현실 오브젝트와 상기 콘텐츠의 내용 또는 상기 공연 연출 내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디바이스에서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오브젝트의 위치, 크기 및 투영각도를 결정하고 상기 콘텐츠 또는 상기 공연의 진행 순서에 따라 상기 콘텐츠의 표시 내용 또는 상기 공연의 연출 내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의 내용 또는 공연 무대의 형태에 따라 특정 위치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마커를 인식하는 단계에서 인식된 마커의 위치 및 크기와 상기 인식된 마커와 증강현실 디바이스 사이의 각도(angle)를 검출하는 단계에서 검출된 각도에 따라 증강현실 오브젝트의 위치, 크기 및 투영각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디바이스에서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마커의 위치, 인식된 마커의 크기, 검출된 각도 및 상황 정보-상기 상황 정보는 상기 콘텐츠 또는 상기 공연의 상황 정보를 포함함-를 저장하는 단계 는 상기 콘텐츠의 내용 또는 공연 무대의 형태에 따라 특정 위치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마커를 인식하는 단계에서 마커인식에 실패하는 경우 실패 시점의 상황 정보-상기 상황 정보는 상기 콘텐츠 또는 상기 공연의 상황 정보를 포함함-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디바이스에서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오브젝트의 위치, 크기 및 투영각도를 결정하고 상기 콘텐츠 또는 상기 공연의 진행 순서에 따라 상기 콘텐츠의 표시 내용 또는 상기 공연의 연출 내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의 내용 또는 공연 무대의 형태에 따라 특정 위치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마커를 인식하는 단계에서 마커인식에 실패하는 경우 상기 인식된 마커의 위치, 인식된 마커의 크기, 검출된 각도 및 상황 정보-상기 상황 정보는 상기 콘텐츠 또는 상기 공연의 상황 정보를 포함함-를 저장하는 단계에서 저장된 마커의 위치 및 크기, 검출된 각도에 따라 증강현실 오브젝트의 위치, 크기 및 투영각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디바이스에서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오브젝트의 위치, 크기 및 투영각도를 결정하고 상기 콘텐츠 또는 상기 공연의 진행 순서에 따라 상기 콘텐츠의 표시 내용 또는 상기 공연의 연출 내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의 내용 또는 공연 무대의 형태에 따라 특정 위치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마커를 인식하는 단계에서 마커 인식에 실패하는 경우 상기 인식된 마커의 위치, 인식된 마커의 크기, 검출된 각도 및 상황 정보-상기 상황 정보는 상기 콘텐츠 또는 상기 공연의 상황 정보를 포함함-를 저장하는 단계에서 저장된 상기 실패 시점의 연출상황 정보에 따라 연출 내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0190030166A 2019-03-15 2019-03-15 콘텐츠 제공을 위한 증강현실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KR202001100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166A KR20200110075A (ko) 2019-03-15 2019-03-15 콘텐츠 제공을 위한 증강현실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166A KR20200110075A (ko) 2019-03-15 2019-03-15 콘텐츠 제공을 위한 증강현실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075A true KR20200110075A (ko) 2020-09-23

Family

ID=72708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166A KR20200110075A (ko) 2019-03-15 2019-03-15 콘텐츠 제공을 위한 증강현실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007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2900A (ko) 2021-05-10 2022-11-17 주식회사 앤더스팟 증강현실 콘텐츠 홀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
KR102557503B1 (ko) 2023-05-12 2023-07-20 주식회사 엘엑스디 행사 및 공연 관련 ar 기반 몰입형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174A (ko) 2017-08-31 2019-03-08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커 인식 기반 증강현실 생성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174A (ko) 2017-08-31 2019-03-08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커 인식 기반 증강현실 생성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2900A (ko) 2021-05-10 2022-11-17 주식회사 앤더스팟 증강현실 콘텐츠 홀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
KR102557503B1 (ko) 2023-05-12 2023-07-20 주식회사 엘엑스디 행사 및 공연 관련 ar 기반 몰입형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15671B (zh) 用于呈现与真实对象相关的数字信息的方法和系统
US10013812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head-mounted display system
US10834454B2 (en) Personalized presentation enhancement using augmented reality
US9645398B2 (en) Electronic correction based on eye tracking
US2006005007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esenting image combined with virtual image
US9784976B2 (en) Head mounted display,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system, method for sharing display of head mounted display, and computer program
US20090040233A1 (en) Wearable Type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US10977510B2 (en) Information-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processing method
US11373379B2 (en) Image generation apparatus and image generation method for generating augmented reality images based on user interaction
US10277814B2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executing the display control method
CN107589846A (zh) 场景切换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200110075A (ko) 콘텐츠 제공을 위한 증강현실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US20190347864A1 (en) Storage medium,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providing stereoscopic content based on viewing progression
US1174914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11961194B2 (en) Non-uniform stereo rendering
US11187895B2 (en) Content generation apparatus and method
WO2022075152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配信システム
JP6828235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表示を共有する方法、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CN111782051A (zh) 一种将虚拟视野回正到用户视野的方法
JP2016142966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情報処理装置、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表示を共有する方法、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EP4312105A1 (en) Head-mounted display and image displaying method
US10885716B1 (en) Mixed reality system user interface placement
US20230269407A1 (en) Apparatus and method
US20240236290A9 (en) Image generation device, program, image generation method, and image displaying system
WO2020080177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