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9891A - Thermoelectric based energy harvester - Google Patents

Thermoelectric based energy harves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9891A
KR20200109891A KR1020190029691A KR20190029691A KR20200109891A KR 20200109891 A KR20200109891 A KR 20200109891A KR 1020190029691 A KR1020190029691 A KR 1020190029691A KR 20190029691 A KR20190029691 A KR 20190029691A KR 20200109891 A KR20200109891 A KR 20200109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fluid
pipe
low temperature
low
energy harv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6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77179B1 (en
Inventor
정재원
윤수열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9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179B1/en
Publication of KR20200109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8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1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35/3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7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configuration of the cell or thermocouple forming the device
    • H01L35/04
    • H01L35/20
    • H01L35/34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1Structural details of the junc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5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 H10N10/851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inorganic compositions
    • H10N10/854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inorganic compositions comprising only met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rmoelectric element-based energy harves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ermoelectric element-based energy harvester comprises: a first thermoelectric conductive plate (10); a second thermoelectric conductive plate (20) whose one surface faces one surface of the first thermoelectric conductive plate (10); a thermoelectric element unit (30) including a plurality of thermoelectric elements (31) placed by being distanced from each other between one surface of the first thermoelectric conductive plate (10) and one surface of the second thermoelectric conductive plate (20); a high-temperature fluid pipe unit (40) which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branch pipes (41) distanced from each other and having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each coming in contact with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thermoelectric conductive plate (10), and transfers a high-temperature fluid; and a low-temperature fluid pipe unit (50) which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branch pipes (51) distanced from each other and having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each coming in contact with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thermoelectric conductive plate (20), and transfers a low-temperature fluid. The thermoelectric element-based energy harvester is able to separately transfer high-temperature heat source fluid and low-temperature heat source fluid.

Description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THERMOELECTRIC BASED ENERGY HARVESTER}Thermoelectric device-based energy harvester{THERMOELECTRIC BASED ENERGY HARVESTER}

본 발명은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제벡효과를 이용하는 열전소자를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버려지는 미활용 유체열원의 에너지를 회수하는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rmoelectric device-based energy harvester, and to a thermoelectric device-based energy harvester that recovers energy from an unused fluid heat source that is generally not used and is discarded by using a thermoelectric device using the Seebeck effect.

에너지 수요 급증과 기후변화의 원인으로 화석연료가 지목되면서 기존의 화석연료를 대체하기 위한 에너지원 확보에 세계적인 노력이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가장 경제성 있는 대체 에너지원으로 평가를 받아온 원자력발전은 원전 사고 등으로 안정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고, 태양광이나 풍력, 조력 등의 대체 에너지는 기술진보의 한계와 경제성 부족 등으로 큰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 As fossil fuels have been pointed out as the cause of rapid increase in energy demand and climate change, global efforts are being made to secure energy sources to replace existing fossil fuels. However, nuclear power generation, which has been evaluated as the most economical alternative energy source, has raised questions about its stability due to nuclear accidents, and alternative energy such as solar, wind and tidal power has made great progress due to limitations in technological progress and lack of economic feasibility. I can't.

이러한 상황에서,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낭비되는 폐열 등을 회수해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연료효율을 향상시키는 에너지 하베스팅(energy harvesting)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이에 사용되는 열전소자는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직접 변환하는 소자로서, 양단에 온도 차이가 있을 때에 소자 내부의 캐리어(carrier)가 이동함으로써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열전현상인 제벡효과(seebeck effect)를 이용한다.In this situation, as disclosed in the patent document of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 energy harvesting technology for improving fuel efficiency by recovering waste heat and the like and converting it into electrical energy is attracting attention. The thermoelectric device used for this is a device that directly converts therm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and uses the Seebeck effect, which is a thermoelectric phenomenon that generates electromotive force by moving a carrier inside the device when there is a temperature difference at both ends.

그러나 열전소자를 이용한 종래의 발전장치들은 상용화가 어렵다. 왜냐하면, 고온 열원과 저온 열원에 각각 1개의 유로가 배치되어 있어 열원 유체의 유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손실수두가 발생하여 실용화에 많은 에너지가 요구되며, 대형화 제작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However, conventional power generation devices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are difficult to commercialize. This is because, since one flow path is disposed in each of the high temperature heat source and the low temperature heat source, as the flow rate of the heat source fluid increases, a high loss head occurs, which requires a lot of energy for practical use, and it is impossible to manufacture a large size.

이에 종래 열전소자를 기반으로 하는 발전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method to solve the problem of a power generation device based on a conventional thermoelectric device.

KRKR 10-2010-002523410-2010-0025234 AA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열전소자 유닛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열전도판 상에 다수의 유로가 배치되어, 고온 및 저온 열원 유체를 각각 분기시켜 수송하는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low paths are disposed on each of the heat conduction plates facing each other with the thermoelectric element unit interposed therebetween, thereby providing high and low temperature heat source fluids. It is to provide an energy harvester based on thermoelectric elements that branch and transport each.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고온 열원 유체가 배출되는 출구 측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기존 공조시스템에서 열교환기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hermoelectric element-based energy harvester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the function of a heat exchanger in an existing air conditioning system by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at the outlet side from which the high-temperature heat source fluid is discharg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는 제1 열전도판; 상기 제1 열전도판과 일면끼리 서로 마주보는 제2 열전도판; 상기 제1 열전도판의 일면과 상기 제2 열전도판의 일면 사이에서 서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열전소자 유닛; 서로 이격 배치되고 각각의 외주면이 상기 제1 열전도판의 타면에 접촉되는 다수의 제1 지관을 포함하며, 고온 유체를 수송하는 고온 유체 관부; 및 서로 이격 배치되고 각각의 외주면이 상기 제2 열전도판의 타면에 접촉되는 다수의 제2 지관을 포함하고, 저온 유체를 수송하는 저온 유체 관부;를 포함한다.A thermoelectric device-based energy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eat conduction plate; A second heat conduction plate facing each other with the first heat conduction plate and one surface thereof; A thermoelectric element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thermoelectric elemen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tween one surface of the first heat conduction plate and one surface of the second heat conduction plate; A high-temperature fluid pipe portion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eac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branch pipes in contact with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heat conductive plate, and transporting a high-temperature fluid; And a plurality of second branch pipes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having respectiv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in contact with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heat conduction plate, and a low-temperature fluid pipe portion for transporting a low-temperature flui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에 있어서, 제1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지관이 고정되도록 상기 제1 열전도판의 타면, 및 상기 제1 지관의 외주면을 일체로 커버하는 제1 고정층; 및 제2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지관이 고정되도록 상기 제2 열전도판의 타면, 및 상기 제2 지관의 외주면을 일체로 커버하는 제2 고정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hermoelectric device-based energy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heat-conducting plat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branch are integrally covered so that the first metal is formed and the first branch is fixed. A first pinned layer; And a second fixing layer made of a second metal and integrally covering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heat conductive plat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branch pipe so that the second branch pipe is fix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전도판, 및 상기 제2 열전도판은,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금속, 및 상기 제2 금속은, 구리(Cu)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hermoelectric device-based energy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eat conduction plate and the second heat conduction plate are made of aluminum (Al), and the first metal and the second metal are , May be copper (Cu).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전도판의 타면, 및 상기 제1 지관의 외주면을 일체로 커버하는 제1 단열재; 및 상기 제2 열전도판의 타면, 및 상기 제2 지관의 외주면을 일체로 커버하는 제2 단열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hermoelectric device-based energy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eat insulating material integrally covering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heat conduction plat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branch pipe; And a second insulating material integrally covering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heat conduction plat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branch pip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에 있어서, 상기 고온 유체 관부는, 각각의 상기 제1 지관의 일단과 연통되어, 상기 제1 지관으로 상기 고온 유체를 공급하는 고온 유체 공급 매니폴드; 및 각각의 상기 제1 지관의 타단과 연통되어, 상기 제1 지관으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고온 유체를 통합 배출하는 고온 유체 배출 매니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온 유체 관부는, 각각의 상기 제2 지관의 일단과 연통되어, 상기 제2 지관으로 상기 저온 유체를 공급하는 저온 유체 공급 매니폴드; 및 각각의 상기 제2 지관의 타단과 연통되어, 상기 제2 지관으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저온 유체를 통합 배출하는 저온 유체 배출 매니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hermoelectric device-based energy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temperature fluid pipe portion is in communication with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branch pipes, and a high-temperature fluid supply manifold supplying the high-temperature fluid to the first branch pipe. Fold; And a high-temperature fluid discharge manifold which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first branch pipes and integrally discharges the high-temperature fluid flowing out from the first branch pipe, wherein the low-temperature fluid pipe portion includes each of the second branch pipes. A low temperature fluid supply manifold communicating with one end of the low temperature fluid to supply the low temperature fluid to the second branch pipe; And a low-temperature fluid discharge manifold communicating with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second branch pipes to integrally discharge the low-temperature fluid flowing out from the second branch pip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고온 유체 관부, 및 상기 저온 유체 관부가 순차적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고, 서로 마주보는 상기 고온 유체 관부와 상기 저온 유체 관부 사이에, 상기 제1 열전도판, 상기 제2 열전도판, 및 상기 열전소자 유닛으로 이루어진 열전모듈이 하나씩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고온 유체 공급 매니폴드와 연통되어, 상기 고온 유체 공급 매니폴드에 상기 고온 유체를 공급하는 고온 유체 공급 메인 매니폴드; 각각의 상기 고온 유체 배출 매니폴드와 연통되어, 상기 고온 유체 배출 매니폴드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고온 유체를 통합 배출하는 고온 유체 배출 메인 매니폴드; 각각의 상기 저온 유체 공급 매니폴드와 연통되어, 상기 저온 유체 공급 매니폴드로 상기 저온 유체를 공급하는 저온 유체 공급 메인 매니폴드; 및 각각의 상기 저온 유체 배출 매니폴드와 연통되어, 상기 저온 유체 배출 매니폴드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저온 유체를 통합 배출하는 저온 유체 배출 메인 매니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hermoelectric device-based energy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he high temperature fluid pipe portion and the low temperature fluid pipe portion are sequenti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between the high temperature fluid pipe portion and the low temperature fluid pipe portion facing each other A thermoelectric module including the first heat conduction plate, the second heat conduction plate,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unit is disposed one by one, and communicates with each of the high temperature fluid supply manifolds, and the high temperature fluid is supplied to the high temperature fluid supply manifold. A high-temperature fluid supply main manifold for supplying; A high-temperature fluid discharge main manifold communicating with each of the high-temperature fluid discharge manifolds to integrally discharge the high-temperature fluid discharged from the high-temperature fluid discharge manifold; A low temperature fluid supply main manifold communicating with each of the low temperature fluid supply manifolds to supply the low temperature fluid to the low temperature fluid supply manifold; And a low temperature fluid discharge main manifold communicating with each of the low temperature fluid discharge manifolds to integrally discharge the low temperature fluid discharged from the low temperature fluid discharge manifol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에 있어서, 일방향 최외곽에 배치되고 서로 접촉하는, 상기 제1 열전도판의 타면, 및 상기 제1 지관의 외주면을 일체로 커버하는 제1 단열재; 및 타방향 최외곽에 배치되고 서로 접촉하는, 상기 제2 열전도판의 타면, 및 상기 제2 지관의 외주면을 일체로 커버하는 제2 단열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hermoelectric device-based energy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heat insulator that integrally covers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heat conduction plat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branch pipe, disposed at the outermost side in one direction and in contact with each other. ; And a second heat insulator disposed at the outermost side in the other direction and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tegrally covering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heat conduction plat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branch pip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에 있어서, 상기 고온 유체 배출 매니폴드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고온 유체의 온도를 조절하는 바이패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hermoelectric device-based energy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ypass unit configured to control a temperature of the high temperature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high temperature fluid discharge manifold may further be inclu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부는, 상기 고온 유체 공급 매니폴드에 상기 고온 유체를 공급하는 고온 유체 공급관; 상기 고온 유체 배출 매니폴드로부터 상기 고온 유체를 전달받아 배출하는 고온 유체 배출관; 상기 고온 유체 공급관과 상기 고온 유체 배출관을 연결하여, 공급되는 상기 고온 유체의 전부 또는 일부가 통과하는 제1 보조관; 및 상기 제1 보조관을 통해 상기 고온 유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우회시키는 바이패스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hermoelectric device-based energy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ypass unit includes: a high-temperature fluid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high-temperature fluid to the high-temperature fluid supply manifold; A high-temperature fluid discharge pipe receiving and discharging the high-temperature fluid from the high-temperature fluid discharge manifold; A first auxiliary pipe connecting the high temperature fluid supply pipe and the high temperature fluid discharge pipe to pass all or part of the supplied high temperature fluid; And a bypass valve for bypassing all or part of the high-temperature fluid through the first auxiliary pip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부는, 상기 고온 유체 공급관에 배치되어, 우회되기 전 상기 고온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 및 상기 고온 유체 배출관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상기 고온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hermoelectric device-based energy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ypass unit includes: a first temperature sensor disposed in the high-temperature fluid supply pipe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high-temperature fluid before being bypassed; And a second temperature sensor disposed on the high-temperature fluid discharge pipe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d high-temperature flui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부는, 상기 고온 유체 공급관에 배치되어, 상기 고온 유체 공급 매니폴드로 공급되는 상기 고온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1 유량계; 및 상기 제1 보조관에 배치되어, 우회되는 상기 고온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2 유량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hermoelectric device-based energy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ypass unit is disposed in the high-temperature fluid supply pipe and measures a flow rate of the high-temperature fluid supplied to the high-temperature fluid supply manifold. ; And a second flow meter disposed on the first auxiliary pipe to measure the flow rate of the bypassed high-temperature flui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부는, 상기 저온 유체 공급 매니폴드에 상기 저온 유체를 공급하는 저온 유체 공급관; 상기 저온 유체 공급관에 배치되어, 공급되는 상기 저온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3 온도센서; 및 상기 저온 유체 공급관에 배치되어, 공급되는 상기 저온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3 유량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hermoelectric device-based energy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ypass unit includes: a low temperature fluid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low temperature fluid to the low temperature fluid supply manifold; A third temperature sensor disposed on the low temperature fluid supply pipe and measuring a temperature of the supplied low temperature fluid; And a third flow meter disposed in the low temperature fluid supply pipe and measuring a flow rate of the supplied low temperature flui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부는, 상기 저온 유체 공급관과 상기 고온 유체 배출관을 연결하여, 공급되는 상기 저온 유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배출되는 상기 고온 유체에 통합하는 제2 보조관; 및 상기 제2 보조관을 통해 상기 저온 유체의 전부 또는 일부를 통과시키고 차단하는 유로전환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hermoelectric device-based energy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ypass unit connects the low-temperature fluid supply pipe and the high-temperature fluid discharge pipe to discharge all or part of the supplied low-temperature fluid, and the discharged high-temperature fluid. A second auxiliary pipe integrated into the fluid; And a flow path switching valve for passing and blocking all or part of the low temperature fluid through the second auxiliary pip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에 있어서, 배출되는 상기 고온 유체는 30 ~ 50℃의 온도 범위로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hermoelectric device-based energy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d high-temperature fluid may be controlled in a temperature range of 30 to 50°C.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describe hi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본 발명에 따르면, 열원 유체의 유량을 고려한 다수의 지관을 통해 고온 열원 유체 및 저온 열원 유체 각각이 공급/배출되면서 열전소자 양단 사이의 온도차를 발생시켜 발전하므로, 열원 유체 유량의 증가에 따른 손실수두를 최소화하고, 열전소자와 유체 간 열교환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대형화가 가능하며 실제 상용화 가능성이 높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temperature heat source fluid and the low-temperature heat source fluid are supplied/discharged through a plurality of branch pipes taking into account the flow rate of the heat source fluid, generating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both ends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generate power. As the heat exchange structure betwe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the fluid is simpl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ize and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commercialization is high.

또한, 기존의 공조시스템, 및 고온, 저온 열원 유체가 사용되는 시스템에 적용되어, 열교환 기능을 수행하면서 두 유체 간 열교환 시에 회수되지 못하고 버려질 수 있는 폐열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applied to an existing air conditioning system and a system in which high-temperature and low-temperature heat source fluids are used, and while performing a heat exchange function, electric energy can be produced from waste heat that may not be recovered and discarded during heat exchange between the two fluid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가 기존 공조시스템에 적용되는 구성도이고, 도 4b 및 도 4c는 기존 공조시스템에 적용되는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를 실시예별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ergy harvester based on a thermoelectric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ergy harvester based on a thermoelectric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hermoelectric device-based energy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an existing air conditioning system, and FIGS. 4B and 4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thermoelectric device-based energy harvester applied to an existing air conditioning system by example to be.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only the same elements are to have the same number as possible. 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s.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ergy harvester based on a thermoelectric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는, 제1 열전도판(10); 제1 열전도판(10)과 일면끼리 서로 마주보는 제2 열전도판(20); 제1 열전도판(10)의 일면과 제2 열전도판(20)의 일면 사이에서 서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열전소자(31)를 포함하는 열전소자 유닛(30); 서로 이격 배치되고 각각의 외주면이 제1 열전도판(10)의 타면에 접촉되는 다수의 제1 지관(41)을 포함하며, 고온 유체를 수송하는 고온 유체 관부(40); 및 서로 이격 배치되고 각각의 외주면이 제2 열전도판(20)의 타면에 접촉되는 다수의 제2 지관(51)을 포함하고, 저온 유체를 수송하는 저온 유체 관부(50);를 포함한다.1 and 2, a thermoelectric device-based energy harves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eat conduction plate 10; A first heat conduction plate 10 and a second heat conduction plate 20 facing each other; A thermoelectric element unit 30 including a plurality of thermoelectric elements 3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tween one surface of the first heat conduction plate 10 and one surface of the second heat conduction plate 20; A high-temperature fluid pipe portion 40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branch pipes 41 in which eac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heat conduction plate 10, and transports a high-temperature fluid; And a plurality of second branch pipes 51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each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contact with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heat conduction plate 20, and a low-temperature fluid pipe part 50 for transporting a low-temperature fluid.

본 발명은 제벡효과(seebeck effect)를 이용하는 열전소자를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버려지는 미활용 유체열원의 에너지를 회수하는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에 관한 것이다. 화석연료를 대체하기 위한 에너지원으로 고려되었던 원자력, 태양광, 풍력, 조력 등에 대해 안정성 및 경제성에 의문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낭비되는 폐열 등을 회수해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에너지 하베스팅(energy harvesting) 기술이 최근 들어 주목받기 시작했지만, 열전소자를 이용한 종래 발전장치들은 상용화 및 대형화에 어려움이 있는바,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가 안출되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rmoelectric element-based energy harvester that recovers energy from an unused fluid heat source that is generally not used and is discarded by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using the Seebeck effect. Energy harvesting, which recovers waste heat and converts it into electric energy in a situation where questions about the stability and economics of nuclear, solar, wind, tidal power, etc., which were considered as energy sources to replace fossil fuels, are recovered. Although the technology has recently begun to attract attention, conventional power generation devices using thermoelectric devices are difficult to commercialize and increase in size, and as a solution to this, a thermoelectric device-based energy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는, 제1 열전도판(10), 제2 열전도판(20), 열전소자 유닛(30), 고온 유체 관부(40), 및 저온 유체 관부(5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thermoelectric element-based energy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eat conduction plate 10, a second heat conduction plate 20, a thermoelectric element unit 30, a high-temperature fluid pipe part 40, and a low-temperature fluid pipe part 50. ).

제1 열전도판(10), 및 제2 열전도판(20)은 열전도가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재료로서, 알루미늄(Al) 등과 같은 금속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열전도가 가능하기만 하면 소재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이러한 제1 열전도판(10), 및 제2 열전도판(20)은 플레이트(plat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판면 중 어느 하나인 일면이나 반대쪽 타면은 평면 형태가 바람직하지만, 굴곡이나 요철과 같은 것을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제1 열전도판(10), 및 제2 열전도판(20)은 일면끼리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그 사이에 열전소자 유닛(30)이 삽입 배치된다.The first heat conduction plate 10 and the second heat conduction plate 20 are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heat conduction. As such a material, a metal such as aluminum (Al) may be exemplified,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material as long as heat conduction is possible. The first heat conduction plate 10 and the second heat conduction plate 2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t this time, one of the plate surfaces or the other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is preferably in a flat shape, but may be provided with a curved or uneven surface. Meanwhile, the first heat conduction plate 10 and the second heat conduction plate 20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a thermoelectric element unit 30 is inserted therebetween.

열전소자 유닛(30)은 다수의 열전소자(31)가 이격되어 배열된 기기이다. 열전소자(31)는 제백효과를 이용하여 양단에 온도 차이가 있을 때에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소자로서, 이에 대해서는 다양한 기술이 공개되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열전소자(31) 각각의 일단은 제1 열전도판(10)의 일면에, 반대쪽 타단은 제2 열전도판(20)의 일면에 접촉한다. 여기서, 고온 유체가 흐르는 고온 유체 관부(40)가 제1 열전도판(10)과 접촉하고, 저온 유체가 흐르는 저온 유체 관부(50)가 제2 열전도판(20)에 접촉함으로써, 열전소자(31) 양단에 온도차를 발생시켜 전기를 생성한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unit 30 is a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thermoelectric elements 31 are spaced apart and arranged.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is an element that generates an electromotive force when there is a temperature difference at both ends using the Seebeck effect, and various technologies are disclosed for thi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One end of each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s 31 contacts one surface of the first heat conduction plate 10 and the other end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contacts one surface of the second heat conduction plate 20. Here, the high-temperature fluid pipe portion 40 through which the high-temperature fluid flows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heat-conducting plate 10, and the low-temperature fluid pipe portion 50 through which the low-temperature fluid flows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heat-conducting plate 20, so that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 Electricity is generated by generating a temperature difference at both ends.

상기 고온 유체 관부(40)는 다수의 제1 지관(41)을 포함한다. 제1 지관(41)은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하는 중공관이다. 제1 지관(41)은 곧게 뻗은 일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지그재그 형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제1 지관(41)끼리는 서로 이격 배열되는데, 일례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관(41)의 외주면은 상기 제1 열전도판(10)의 타면에 접촉된다. 이때, 제1 지관(41)은 제1 열전도판(10)을 사이에 두고 다수의 열전소자(31)의 일단을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배치되는 각각의 제1 지관(41)으로는 고온 유체가 흐른다.The high temperature fluid pipe portion 4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branch pipes 41. The first branch pipe 41 is a hollow pipe that provides a flow path through which a fluid can flow. The first branch pipe 41 is preferably formed in a straight line shape, but may be formed in a zigzag shape. These first branch pipes 41 ar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or example,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Her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branch pipe 41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heat conduction plate 10. In this case, the first branch pipe 41 may be disposed to pass through one end of the plurality of thermoelectric elements 31 with the first heat conduction plate 10 interposed therebetween. A high-temperature fluid flows through each of the first branch pipes 41 arranged in this way.

여기서, 다수의 제1 지관(41)의 일단은 고온 유체 공급 매니폴드(43)에, 그 반대쪽 타단은 고온 유체 배출 매니폴드(45)에 각각 연결되어 소통될 수 있다. 따라서, 고온 유체 공급 매니폴드(43)를 따라 흐르는 고온 유체가 분기되어 제1 지관(41)을 통해 흐르고, 제1 지관(41)으로부터 유출되는 고온 유체가 고온 유체 배출 매니폴드(45)에서 통합되어 배출될 수 있다.Here, one end of the plurality of first branch pipes 41 may be connected to the high-temperature fluid supply manifold 43 and the other end thereof may be connected to and communicated with the high-temperature fluid discharge manifold 45. Therefore, the hot fluid flowing along the hot fluid supply manifold 43 branches off and flows through the first branch pipe 41, and the hot fluid flowing out from the first branch pipe 41 is integrated in the hot fluid discharge manifold 45. Can be discharged.

저온 유체 관부(50)는 다수의 제2 지관(51)을 포함한다. 제2 지관(51)은 상술한 제1 지관(41)의 내용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제2 지관(51)의 외주면은 제2 열전도판(20)의 타면에 접촉되는데, 이때 제2 지관(51)은 제2 열전도판(20)을 사이에 두고 다수의 열전소자(31)의 타단을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관(51)의 내부를 통해서는 저온 유체가 흐른다.The low temperature fluid pipe part 50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branch pipes 51. Since the second branch pipe 51 is the same as the content of the first branch pipe 41 described above, a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nd a description will be made focusing on differences hereinaft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ranch pipe 51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heat conduction plate 20, wherein the second branch pipe 51 is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thermoelectric elements 31 with the second heat conduction plate 20 interposed therebetween. Can be arranged to pass through. A low-temperature fluid flows through the inside of the second branch pipe 51.

여기서, 다수의 제2 지관(51)의 일단은 저온 유체 공급 매니폴드(53)에, 그 반대쪽 타단은 저온 유체 배출 매니폴드(55)에 각각 연결되어 소통될 수 있으므로, 저온 유체 공급 매니폴드(53)를 따라 공급되는 저온 유체가 분기되어 제2 지관(51)을 따라 흐르다가, 저온 유체 배출 매니폴드(55)에서 통합 배출될 수 있다.Here, since one end of the plurality of second branch pipes 51 is connected to and communicated with the low temperature fluid supply manifold 53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ranch pipe 51 is connected to the low temperature fluid discharge manifold 55, respectively, the low temperature fluid supply manifold ( The low temperature fluid supplied along 53 may branch and flow along the second branch pipe 51, and then may be integrated and discharged from the low temperature fluid discharge manifold 55.

한편, 제1 지관(41) 및 제2 지관(51)을 고정하기 위한 부재로서, 제1 고정층(60) 및 제2 고정층(70)이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s a member for fixing the first branch pipe 41 and the second branch pipe 51, a first fixing layer 60 and a second fixing layer 70 may be formed.

제1 고정층(60)은 제1 열전도판(10)에 제1 지관(41)을 고정하기 위해, 제1 열전도판(10)의 타면 및 제1 지관(41)의 외주면을 일체로 커버한다. 여기서, 제1 고정층(60)은 고온 유체로부터의 열전달이 가능한 재료로서, 제1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일례로 구리(Cu)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제1 금속이 반드시 구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열전도가 가능한 금속이기만 하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The first fixing layer 60 integrally covers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heat conduction plate 1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ranch pipe 41 in order to fix the first branch pipe 41 to the first heat conduction plate 10. Here, the first fixing layer 60 is a material capable of transferring heat from a high-temperature fluid, and may be made of a first metal.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use copper (Cu). However, the first metal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copper,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 metal capable of heat conduction.

제2 고정층(70)은 제2 열전도판(20)의 타면 및 제2 지관(51)의 외주면을 일체로 커버하고, 구리 등과 같이 열전도가 가능한 제2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pinned layer 70 integrally covers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heat conduction plate 2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ranch pipe 51, and may be formed of a second metal capable of thermally conducting such as copper.

한편, 제1 고정층(60) 및 제2 고정층(70) 각각은 제1 지관(41) 및 제2 지관(51)의 외주면 전체를 커버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그 외주면 중 일부만을 커버해도 무방하다.Meanwhile, each of the first fixed layer 60 and the second fixed layer 70 does not have to cover the entir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branch 41 and the second branch 51, and may cover only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또한, 제1 열전도판(10) 및 제1 지관(41), 그리고 제2 열전도판(20) 및 제2 지관(51)을 통해, 열전소자 유닛(30) 측이 아닌 외부로의 열 방출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단열재(80) 및 제2 단열재(90)가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first heat conduction plate 10 and the first branch pipe 41, and the second heat conduction plate 20 and the second branch pipe 51, heat dissipation to the outside rather than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unit 30 is prevented. In order to prevent, the first heat insulator 80 and the second heat insulator 90 may be disposed.

여기서, 제1 단열재(80)는 제1 열전도판(10)의 타면, 및 제1 지관(41)의 외주면을 일체로 커버하거나, 또는 제1 고정층(60)이 형성된 경우에는 제1 고정층(60)의 외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first heat insulating material 80 integrally covers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heat conduction plate 1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ranch pipe 41, or when the first fixed layer 60 is formed, the first fixed layer 60 ) Can be arranged to cover the outer surface of.

제2 단열재(90)도 마찬가지로, 제2 열전도판(20)의 타면, 및 제2 지관(51)의 외주면을 일체로 커버하거나, 또는 제2 고정층(70)의 외면을 커버할 수 있다.Similarly, the second heat insulator 90 may integrally cover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heat conduction plate 20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branch pipe 51, or may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layer 70.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는 열전소자(31)와 유체 간 열교환 구조가 단순하므로 용이하게 대형화가 가능한바, 이하에서 이에 대해 설명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hermoelectric element-based energy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heat exchange structure betwe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and a fluid, it can be easily enlarged.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ergy harvester based on a thermoelectric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의 대형화 구조는, 제1 열전도판(10)과 제2 열전도판(20) 사이에 열전소자 유닛(30)이 삽입 배치되어 하나의 열전모듈(TM)을 구성한다. 또한, 다수의 고온 유체 관부(40), 및 저온 유체 관부(50)가 순차적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고, 그 사이에 상기 열전모듈(TM)이 하나씩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3, in the structure of the thermoelectric device-based energy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hermoelectric element unit 30 is inserted and disposed between the first heat conduction plate 10 and the second heat conduction plate 20 to form one thermoelectric element. Configure the module (TM). In addition, a plurality of high-temperature fluid pipe portions 40 and low-temperature fluid pipe portions 50 are sequenti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thermoelectric modules TM are arranged one by one therebetween.

이때, 다수의 고온 유체 관부(40)의 고온 유체 공급 매니폴드(43)는 고온 유체 공급 메인 매니폴드(100)에 연결되어 소통하고, 다수의 고온 유체 관부(40)의 고온 유체 배출 매니폴드(45)는 고온 유체 배출 메인 매니폴드(110)에 연결되어 소통한다. 따라서, 고온 유체는 고온 유체 공급 메인 매니폴드(100)를 통해, 다수의 고온 유체 공급 매니폴드(43)로 분기되어 공급되고, 다수의 고온 유체 배출 매니폴드(45)로부터 배출되어 고온 유체 배출 메인 매니폴드(110)에 의해 통합 배출된다.At this time, the high-temperature fluid supply manifold 43 of the plurality of high-temperature fluid pipe portions 40 is connected to and communicates with the high-temperature fluid supply main manifold 100, and the high-temperature fluid discharge manifold ( 45) is connected to and communicates with the hot fluid discharge main manifold 110. Accordingly, the high-temperature fluid is branched and supplied to a plurality of high-temperature fluid supply manifolds 43 through the high-temperature fluid supply main manifold 100, and is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high-temperature fluid discharge manifolds 45 to discharge the high-temperature fluid main. It is integrally discharged by the manifold 110.

또한, 마찬가지로, 다수의 저온 유체 공급 매니폴드(53)는 저온 유체 공급 메인 매니폴드(120)에, 다수의 저온 유체 배출 매니폴드(55)는 저온 유체 배출 메인 매니폴드(130)에 각각 연통되어, 저온 유체 공급 메인 매니폴드(120)를 통해 각각의 저온 유체 관부(50)에 저온 유체가 공급되고, 저온 유체 배출 메인 매니폴드(130)를 통해 저온 유체가 통합 배출된다.In addition, similarly, the plurality of low-temperature fluid supply manifolds 53 communicate with the low-temperature fluid supply main manifold 120, and the plurality of low-temperature fluid discharge manifolds 55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low-temperature fluid discharge main manifold 130. , Low-temperature fluid is supplied to each of the low-temperature fluid pipe portions 50 through the low-temperature fluid supply main manifold 120, and the low-temperature fluid is integrat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low-temperature fluid discharge main manifold 130.

이러한 구조하에서, 제1 단열재(80)가, 일방향 최외곽에 배치되고 서로 접촉하는 제1 열전도판(10)의 타면 및 고온 유체 관부(40a)의 제1 지관(41)의 외주면을 일체로 커버하거나, 또는 그 위에 형성된 제1 고정층(60)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단열재(90)가 타방향 최외곽에 배치되고 서로 접촉하는 제2 열전도판(20)의 타면 및 저온 유체 관부(50a)의 제2 지관(51)의 외주면을 일체로 커버하거나, 또는 그 위에 형성된 제2 고정층(70)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Under this structure, the first heat insulator 80 integrally covers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heat conduction plate 1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ranch pipe 41 of the high-temperature fluid pipe portion 40a, which are disposed at the outermost side in one direction and contact each other. Alternatively, it may be disposed to cover the first fixing layer 60 formed thereon. In addition, the second heat insulator 90 is disposed at the outermost side in the other direction and integrally covers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heat conduction plate 20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ranch pipe 51 of the low-temperature fluid pipe portion 50a, or Alternatively, it may be disposed to cover the second fixing layer 70 formed thereon.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는, 기존의 공조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는바, 이하에서 이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thermoelectric device-based energy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existing air conditioning system and the like,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가 기존 공조시스템에 적용되는 구성도이고, 도 4b 및 도 4c는 기존 공조시스템에 적용되는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를 실시예별로 도시한 단면도이다.4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hermoelectric device-based energy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an existing air conditioning system, and FIGS. 4B and 4C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thermoelectric device-based energy harvester applied to an existing air conditioning system. to be.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는 기존의 공조시스템, 및 고온, 저온 열원 유체가 사용되는 시스템에 적용되어, 열교환 기능을 수행하면서 두 유체 간 열교환 시에 회수되지 못하고 버려질 수 있는 폐열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도 4a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TEH)는 유기랭킹사이클 기반 액체식 제습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이렇게 기존의 공조시스템 등에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가 적용되는 경우에, 제1 지관(41) 및 제2 지관(51)의 개수는 기존 공조시스템 등에서의 고온 유체 및 저온 열원 유체의 유량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이때, 유체 간의 온도차와 필요 출구 온도에 의해 제1 지관(41) 및 제2 지관(51)의 길이가 정해질 수 있다. The thermoelectric device-based energy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existing air conditioning system and a system in which high-temperature and low-temperature heat source fluids are used, and while performing a heat exchange function, electricity from waste heat that can not be recovered and discarded during heat exchange between two fluids It can produce energy. As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 4A, the thermoelectric element-based energy harvester (TE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liquid dehumidification system based on an organic ranking cycle. Thus, when the thermoelectric element-based energy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existing air conditioning system, the number of the first branch pipe 41 and the second branch pipe 51 is the flow rate of the high temperature fluid and the low temperature heat source fluid in the existing air conditioning system, etc. It can be decided according to. In this case, the lengths of the first branch pipe 41 and the second branch pipe 51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fluids and a required outlet temperature.

한편, 기존 공조시스템 등이 정상적으로 작동되기 위해서는, 열교환되어 배출되는 고온 유체의 온도가 일정 범위를 유지해야 하는바, 도 4b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이패스부(140)는 고온 유체 배출 매니폴드(45)를 통해 배출되는 고온 유체의 온도를 조절하는 수단으로 제공된다. 이때,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고온 유체의 온도는 30 ~ 50℃로 유지될 수 있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그 온도 범위를 달리 설정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order for the existing air conditioning system to operate normally, the temperature of the high-temperature fluid discharged through heat exchange must be maintained within a certain range. As shown in FIGS. 4B to 4C, a bypass unit 140 may be further included. I can. Here, the bypass unit 140 is provided as a mean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hot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hot fluid discharge manifold 45.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of the finally discharged high-temperature fluid may be maintained at 30 to 50°C, and the temperature range may be set differently if necessary.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부(140)는, 고온 유체 공급관(141), 고온 유체 배출관(142), 제1 보조관(143a), 및 바이패스 밸브(145)를 포함할 수 있다.The bypass unit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igh temperature fluid supply pipe 141, a high temperature fluid discharge pipe 142, a first auxiliary pipe 143a, and a bypass valve 145.

여기서, 고온 유체 공급관(141)은 고온 유체 공급 매니폴드(43)에 연결되어 고온 유체를 공급하고, 고온 유체 배출관(142)은 고온 유체 배출 매니폴드(45)에 연결되어 고온 유체를 전달받아 배출하는 중공관 부재이다. 제1 보조관(143a)은 중공관 부재로서, 고온 유체 공급관(141)과 고온 유체 배출관(142)을 연결한다. 따라서, 고온 유체 공급관(141)을 통해 공급되는 고온 유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제1 보조관(143a)을 통해, 제1 지관(41)을 우회하여 고온 유체 배출관(142)으로 배출됨으로써, 제1 지관(41)을 통과한 고온 유체와 통합된다. 이때, 제1 지관(41)을 통과하는 고온 유체는 열교환으로 인해 온도가 하강하지만, 이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고 우회한 고온 유체와 합쳐지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고온 유체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바이패스 밸브(145)는 제1 보조관(143a)을 통해 고온 유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우회시키는 밸브이다. 이러한 바이패스 밸브(145)는, 3방 밸브(3 way valve)로서 고온 유체 공급관(141)과 제1 보조관(143a)의 연결부위에 장착되거나, 또는 2방 밸브(2 way valve)로서 제1 보조관(143a)에 장착될 수 있다.Here, the high temperature fluid supply pipe 141 is connected to the high temperature fluid supply manifold 43 to supply the high temperature fluid, and the high temperature fluid discharge pipe 142 is connected to the high temperature fluid discharge manifold 45 to receive and discharge the high temperature fluid. It is a hollow tube member. The first auxiliary pipe 143a is a hollow pipe member and connects the high temperature fluid supply pipe 141 and the high temperature fluid discharge pipe 142. Accordingly, all or part of the high-temperature fluid supplied through the high-temperature fluid supply pipe 141 is discharged to the high-temperature fluid discharge pipe 142 through the first auxiliary pipe 143a, bypassing the first branch pipe 41, and the first It is integrated with the hot flui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branch pipe 41.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of the high-temperature fluid passing through the first branch pipe 41 decreases due to heat exchange, but the temperature of the high-temperature fluid that is finally discharged rises because the temperature is relatively higher and merges with the bypassed high-temperature fluid. Here, the bypass valve 145 is a valve that bypasses all or part of the high-temperature fluid through the first auxiliary pipe 143a. This bypass valve 145 is mounted on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high temperature fluid supply pipe 141 and the first auxiliary pipe 143a as a three-way valve, or manufactured as a two-way valve. 1 It can be mounted on the auxiliary pipe (143a).

한편, 제1 보조관(143a)을 통해 우회되는 고온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고온 유체 공급관(141)에 제1 온도센서(146a)가 배치되고,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고온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2 온도센서(146b)가 고온 유체 배출관(142)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온도센서(146a) 및 제2 온도센서(146b)는 써머커플(thermocouple) 등과 같은 공지의 온도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high-temperature fluid bypassed through the first auxiliary pipe 143a,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46a is disposed in the high-temperature fluid supply pipe 141, and the temperature of the finally discharged high-temperature fluid is measured. A second temperature sensor 146b for may be disposed on the high temperature fluid discharge pipe 142. Here,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46a and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146b may use a known temperature sensor such as a thermocouple.

또한, 우회하는 고온 유체와 통합되어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고온 유체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제1 지관(41)으로 공급되는 고온 유체의 유량 및 우회하는 고온 유체의 유량을 측정해야 하므로, 제1 유량계(147a), 및 제2 유량계(147b)가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유량계(147a)는 고온 유체 공급관(141)에 배치되어 고온 유체 공급 매니폴드(43)로 공급되는 고온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고, 제2 유량계(147b)는 제1 보조관(143a)에 배치되어 우회하는 고온 유체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고온 유체 공급관(141), 제1 보조관(143a)에 제1 유량 조절밸브(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되어 고온 유체의 유량을 제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hot fluid that is integrated with the bypassing hot fluid and finally discharged, the flow rate of the hot fluid supplied to the first branch pipe 41 and the flow rate of the bypassing hot fluid must be measured. (147a), and the second flow meter 147b may be mounted. Here, the first flow meter 147a is disposed on the high temperature fluid supply pipe 141 to measure the flow rate of the high temperature fluid supplied to the high temperature fluid supply manifold 43, and the second flow meter 147b is a first auxiliary pipe 143a. ),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flow rate of the hot fluid bypassing. In this case, a first flow rate control valve (not shown) may be mounted on the high temperature fluid supply pipe 141 and the first auxiliary pipe 143a to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high temperature fluid.

한편, 제1 지관(41)을 흐르는 고온 유체는 제2 지관(51)을 흐르는 저온 유체와의 사이에 열교환이 일어나므로, 우회하는 고온 유체와의 통합 전에 배출되는 고온 유체는 저온 유체의 온도 및 유량에 영향을 받는바, 저온 유체 공급 매니폴드(53)에 연결되어 저온 유체를 공급하는 저온 유체 공급관(148)에, 제3 온도센서(146c)가 배치되어 공급되는 저온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고, 여기에 제3 유량계(147c)가 장착되어 저온 유체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유량 조절밸브(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되어 저온 유체의 유량을 제어할 수도 있다.Meanwhile, since the high-temperature fluid flowing through the first branch pipe 41 undergoes heat exchange with the low-temperature fluid flowing through the second branch pipe 51, the high-temperature fluid discharged before integration with the bypassing high-temperature fluid is the temperature of the low-temperature fluid and Affected by the flow rate, a third temperature sensor 146c is disposed in the low temperature fluid supply pipe 148 connected to the low temperature fluid supply manifold 53 to supply the low temperature fluid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low temperature fluid. , Here, a third flow meter 147c is mounted to measure the flow rate of the low-temperature fluid. Further, a second flow rate control valve (not shown) may be mounted to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low temperature fluid.

도 4c를 참고로, 제2 보조관(143b)이 저온 유체 공급관(148)과 고온 유체 배출관(142)을 연결하여, 제2 지관(51)으로 공급되기 전의 저온 유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배출되는 고온 유체와 통합시켜,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고온 유체의 온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 보조관(143b)을 통해 상기 저온 유체의 전부 또는 일부를 통과시키고 차단하는 것은 유로전환 밸브(149)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유로전환 밸브(149)는, 3방 밸브(3 way valve)로서 저온 유체 공급관(148)과 제2 보조관(143b)의 연결부위에 장착되거나, 또는 2방 밸브(2 way valve)로서 제2 보조관(143b)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보조관(143b)에 제4 유량계가 장착되어 저온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고, 추가적으로 제3 유량 조절밸브가 장착되어 유량을 제어할 수도 있다.4C, the second auxiliary pipe 143b connects the low temperature fluid supply pipe 148 and the high temperature fluid discharge pipe 142 to discharge all or part of the low temperature fluid before being supplied to the second branch pipe 51. By integrating with the hot fluid, the temperature of the finally discharged hot fluid can also be controlled. Here, passing all or part of the low-temperature fluid through the second auxiliary pipe (143b) and blocking it is made by a flow path switching valve 149, which is a three-way valve (3-way) valve) may be mounted on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low temperature fluid supply pipe 148 and the second auxiliary pipe 143b, or may be mounted on the second auxiliary pipe 143b as a two-way valve. 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a fourth flow meter is mounted on the second auxiliary pipe 143b to measure the flow rate of the low-temperature fluid, and a third flow control valve may be additionally mounted to control the flow rate.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is i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lear that the transform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de clear by the appended claims.

10: 제1 열전도판 20: 제2 열전도판
30: 열전소자 유닛 31: 열전소자
40: 고온 유체 관부 41: 제1 지관
43: 고온 유체 공급 매니폴드 45: 고온 유체 배출 매니폴드
50: 저온 유체 관부 51: 제2 지관
53: 저온 유체 공급 매니폴드 55: 저온 유체 배출 매니폴드
60: 제1 고정층 70: 제2 고정층
80: 제1 단열재 90: 제2 단열재
100: 고온 유체 공급 메인 매니폴드 110: 고온 유체 배출 메인 매니폴드
120: 저온 유체 공급 메인 매니폴드 130: 저온 유체 배출 메인 매니폴드
140: 바이패스부 141: 고온 유체 공급관
142: 고온 유체 배출관 143a: 제1 보조관
143b: 제2 보조관 145: 바이패스 밸브
146a: 제1 온도센서 146b: 제2 온도센서
146c: 제3 온도센서 147a: 제1 유량계
147b: 제2 유량계 147c: 제3 유량계
148: 저온 유체 공급관 149: 유로전환 밸브
10: first heat conduction plate 20: second heat conduction plate
30: thermoelectric element unit 31: thermoelectric element
40: high temperature fluid pipe part 41: first branch pipe
43: hot fluid supply manifold 45: hot fluid discharge manifold
50: low temperature fluid pipe part 51: second branch pipe
53: low temperature fluid supply manifold 55: low temperature fluid discharge manifold
60: first fixed layer 70: second fixed layer
80: first insulating material 90: second insulating material
100: hot fluid supply main manifold 110: hot fluid discharge main manifold
120: low temperature fluid supply main manifold 130: low temperature fluid discharge main manifold
140: bypass part 141: high temperature fluid supply pipe
142: high temperature fluid discharge pipe 143a: first auxiliary pipe
143b: second auxiliary pipe 145: bypass valve
146a: first temperature sensor 146b: second temperature sensor
146c: third temperature sensor 147a: first flow meter
147b: second flow meter 147c: third flow meter
148: low temperature fluid supply pipe 149: flow path switching valve

Claims (14)

제1 열전도판;
상기 제1 열전도판과 일면끼리 서로 마주보는 제2 열전도판;
상기 제1 열전도판의 일면과 상기 제2 열전도판의 일면 사이에서 서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열전소자 유닛;
서로 이격 배치되고 각각의 외주면이 상기 제1 열전도판의 타면에 접촉되는 다수의 제1 지관을 포함하며, 고온 유체를 수송하는 고온 유체 관부; 및
서로 이격 배치되고 각각의 외주면이 상기 제2 열전도판의 타면에 접촉되는 다수의 제2 지관을 포함하고, 저온 유체를 수송하는 저온 유체 관부;를 포함하는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
A first heat conduction plate;
A second heat conduction plate facing each other with the first heat conduction plate and one surface thereof;
A thermoelectric element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thermoelectric elemen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tween one surface of the first heat conduction plate and one surface of the second heat conduction plate;
A high-temperature fluid pipe portion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eac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branch pipes contacting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heat-conducting plate, and transporting a high-temperature fluid; And
Thermoelectric device-based energy harvester comprising a; a low-temperature fluid pipe portion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eac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branch pipes in contact with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heat conductive plate, and transporting a low-temperature fluid.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지관이 고정되도록 상기 제1 열전도판의 타면, 및 상기 제1 지관의 외주면을 일체로 커버하는 제1 고정층; 및
제2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지관이 고정되도록 상기 제2 열전도판의 타면, 및 상기 제2 지관의 외주면을 일체로 커버하는 제2 고정층;을 더 포함하는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fixing layer made of a first metal and integrally covering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heat-conducting plate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ranch pipe so that the first branch pipe is fixed; And
Thermoelectric device-based energy harvester further comprising a second fixing layer made of a second metal and integrally covering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heat conduction plat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branch pipe so that the second branch pipe is fixe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전도판, 및 상기 제2 열전도판은,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금속, 및 상기 제2 금속은, 구리(Cu)인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heat conductive plate and the second heat conductive plate are made of aluminum (Al),
The first metal and the second metal are copper (Cu) based energy harvester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전도판의 타면, 및 상기 제1 지관의 외주면을 일체로 커버하는 제1 단열재; 및
상기 제2 열전도판의 타면, 및 상기 제2 지관의 외주면을 일체로 커버하는 제2 단열재;를 더 포함하는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heat insulating material integrally covering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heat conduction plat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branch pipe; And
Thermoelectric device-based energy harvester further comprising; a second insulating material integrally covering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heat conduction plat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branch pip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온 유체 관부는,
각각의 상기 제1 지관의 일단과 연통되어, 상기 제1 지관으로 상기 고온 유체를 공급하는 고온 유체 공급 매니폴드; 및
각각의 상기 제1 지관의 타단과 연통되어, 상기 제1 지관으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고온 유체를 통합 배출하는 고온 유체 배출 매니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온 유체 관부는,
각각의 상기 제2 지관의 일단과 연통되어, 상기 제2 지관으로 상기 저온 유체를 공급하는 저온 유체 공급 매니폴드; 및
각각의 상기 제2 지관의 타단과 연통되어, 상기 제2 지관으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저온 유체를 통합 배출하는 저온 유체 배출 매니폴드;를 더 포함하는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igh temperature fluid pipe part,
A high-temperature fluid supply manifold communicating with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branch pipes to supply the high-temperature fluid to the first branch pipe; And
A high-temperature fluid discharge manifold communicating with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first branch pipes to integrally discharge the high-temperature fluid flowing out from the first branch pipe;
The low temperature fluid pipe part,
A low temperature fluid supply manifold communicating with one end of each of the second branch pipes to supply the low temperature fluid to the second branch pipes;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based energy harvester further comprising a; low temperature fluid discharge manifold communicating with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second branch pipes to integrally discharge the low temperature fluid flowing out from the second branch pipe.
청구항 5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고온 유체 관부, 및 상기 저온 유체 관부가 순차적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고,
서로 마주보는 상기 고온 유체 관부와 상기 저온 유체 관부 사이에, 상기 제1 열전도판, 상기 제2 열전도판, 및 상기 열전소자 유닛으로 이루어진 열전모듈이 하나씩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고온 유체 공급 매니폴드와 연통되어, 상기 고온 유체 공급 매니폴드에 상기 고온 유체를 공급하는 고온 유체 공급 메인 매니폴드;
각각의 상기 고온 유체 배출 매니폴드와 연통되어, 상기 고온 유체 배출 매니폴드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고온 유체를 통합 배출하는 고온 유체 배출 메인 매니폴드;
각각의 상기 저온 유체 공급 매니폴드와 연통되어, 상기 저온 유체 공급 매니폴드로 상기 저온 유체를 공급하는 저온 유체 공급 메인 매니폴드; 및
각각의 상기 저온 유체 배출 매니폴드와 연통되어, 상기 저온 유체 배출 매니폴드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저온 유체를 통합 배출하는 저온 유체 배출 메인 매니폴드;를 더 포함하는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
The method of claim 5,
A plurality of the high temperature fluid pipe portion, and the low temperature fluid pipe portion are sequentially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tween the high-temperature fluid pipe portion and the low-temperature fluid pipe portion facing each other, a thermoelectric module comprising the first heat conduction plate, the second heat conduction plate,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unit is disposed one by one,
A high-temperature fluid supply main manifold communicating with each of the high-temperature fluid supply manifolds to supply the high-temperature fluid to the high-temperature fluid supply manifold;
A high-temperature fluid discharge main manifold communicating with each of the high-temperature fluid discharge manifolds to integrally discharge the high-temperature fluid discharged from the high-temperature fluid discharge manifold;
A low temperature fluid supply main manifold communicating with each of the low temperature fluid supply manifolds to supply the low temperature fluid to the low temperature fluid supply manifold;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based energy harvester further comprising a low temperature fluid discharge main manifold communicating with each of the low temperature fluid discharge manifolds to integrally discharge the low temperature fluid discharged from the low temperature fluid discharge manifold.
청구항 6에 있어서,
일방향 최외곽에 배치되고 서로 접촉하는, 상기 제1 열전도판의 타면, 및 상기 제1 지관의 외주면을 일체로 커버하는 제1 단열재; 및
타방향 최외곽에 배치되고 서로 접촉하는, 상기 제2 열전도판의 타면, 및 상기 제2 지관의 외주면을 일체로 커버하는 제2 단열재;를 더 포함하는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
The method of claim 6,
A first heat insulator disposed at the outermost side in one direction and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tegrally covering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heat-conducting plat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branch pipe; And
The thermoelectric device-based energy harvester further comprising a second insulating material disposed at the outermost side in the other direction an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integrally covering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heat conduction plat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branch pip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온 유체 배출 매니폴드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고온 유체의 온도를 조절하는 바이패스부;를 더 포함하는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
The method of claim 5,
Thermoelectric device-based energy harvester further comprising a; bypass unit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high temperature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high temperature fluid discharge manifold.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부는,
상기 고온 유체 공급 매니폴드에 상기 고온 유체를 공급하는 고온 유체 공급관;
상기 고온 유체 배출 매니폴드로부터 상기 고온 유체를 전달받아 배출하는 고온 유체 배출관;
상기 고온 유체 공급관과 상기 고온 유체 배출관을 연결하여, 공급되는 상기 고온 유체의 전부 또는 일부가 통과하는 제1 보조관; 및
상기 제1 보조관을 통해 상기 고온 유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우회시키는 바이패스 밸브;를 포함하는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
The method of claim 8,
The bypass unit,
A high temperature fluid supply pipe supplying the high temperature fluid to the high temperature fluid supply manifold;
A high-temperature fluid discharge pipe receiving and discharging the high-temperature fluid from the high-temperature fluid discharge manifold;
A first auxiliary pipe connecting the high temperature fluid supply pipe and the high temperature fluid discharge pipe to pass all or part of the supplied high temperature fluid; And
Thermoelectric device-based energy harvester comprising a; bypass valve for bypassing all or part of the high-temperature fluid through the first auxiliary pip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부는,
상기 고온 유체 공급관에 배치되어, 우회되기 전 상기 고온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 및
상기 고온 유체 배출관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상기 고온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
The method of claim 9,
The bypass unit,
A first temperature sensor disposed in the high temperature fluid supply pipe and measuring a temperature of the high temperature fluid before being bypassed; And
A second temperature sensor disposed on the high-temperature fluid discharge pipe and measuring a temperature of the discharged high-temperature fluid.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부는,
상기 고온 유체 공급관에 배치되어, 상기 고온 유체 공급 매니폴드로 공급되는 상기 고온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1 유량계; 및
상기 제1 보조관에 배치되어, 우회되는 상기 고온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2 유량계;를 더 포함하는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
The method of claim 9,
The bypass unit,
A first flow meter disposed in the high temperature fluid supply pipe and measuring a flow rate of the high temperature fluid supplied to the high temperature fluid supply manifold; And
A second flow meter disposed on the first auxiliary pipe to measure the flow rate of the bypassed high-temperature fluid; a thermoelectric device-based energy harvester further comprising.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부는,
상기 저온 유체 공급 매니폴드에 상기 저온 유체를 공급하는 저온 유체 공급관;
상기 저온 유체 공급관에 배치되어, 공급되는 상기 저온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3 온도센서; 및
상기 저온 유체 공급관에 배치되어, 공급되는 상기 저온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제3 유량계;를 더 포함하는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
The method of claim 9,
The bypass unit,
A low temperature fluid supply pipe supplying the low temperature fluid to the low temperature fluid supply manifold;
A third temperature sensor disposed on the low temperature fluid supply pipe and measuring a temperature of the supplied low temperature fluid; And
A third flow meter disposed in the low temperature fluid supply pipe and measuring a flow rate of the supplied low temperature fluid; a thermoelectric device-based energy harvester further comprising.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부는,
상기 저온 유체 공급관과 상기 고온 유체 배출관을 연결하여, 공급되는 상기 저온 유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배출되는 상기 고온 유체에 통합하는 제2 보조관; 및
상기 제2 보조관을 통해 상기 저온 유체의 전부 또는 일부를 통과시키고 차단하는 유로전환 밸브;를 더 포함하는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
The method of claim 12,
The bypass unit,
A second auxiliary pipe connecting the low temperature fluid supply pipe and the high temperature fluid discharge pipe to integrate all or part of the supplied low temperature fluid into the discharged high temperature fluid; And
Thermoelectric device-based energy harvester further comprising a; flow path switching valve for passing and blocking all or part of the low temperature fluid through the second auxiliary pipe.
청구항 8에 있어서,
배출되는 상기 고온 유체는 30 ~ 50℃의 온도 범위로 조절되는 열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터.
The method of claim 8,
The discharged high-temperature fluid is a thermoelectric element-based energy harvester controlled in a temperature range of 30 ~ 50 ℃.
KR1020190029691A 2019-03-15 2019-03-15 Thermoelectric based energy harvester KR1021771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691A KR102177179B1 (en) 2019-03-15 2019-03-15 Thermoelectric based energy harves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691A KR102177179B1 (en) 2019-03-15 2019-03-15 Thermoelectric based energy harves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891A true KR20200109891A (en) 2020-09-23
KR102177179B1 KR102177179B1 (en) 2020-11-10

Family

ID=72708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691A KR102177179B1 (en) 2019-03-15 2019-03-15 Thermoelectric based energy harves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17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912A1 (en) * 2021-06-22 2022-12-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hermoelectric device
WO2022270914A1 (en) * 2021-06-22 2022-12-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hermoelectric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1265A (en) * 2000-09-14 2002-03-20 박호군 Air-conditioning system for real time contro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25234A (en) 2008-08-27 2010-03-09 문점식 Thermoelectrocity generating system with thermoelectric ele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5012173A (en) * 2013-06-28 2015-01-19 株式会社東芝 Temperature difference power generator
KR20180032237A (en) * 2016-09-21 2018-03-30 한국기계연구원 Thermoelectric module for heat recovery attachable to refrigerating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1265A (en) * 2000-09-14 2002-03-20 박호군 Air-conditioning system for real time contro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25234A (en) 2008-08-27 2010-03-09 문점식 Thermoelectrocity generating system with thermoelectric ele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5012173A (en) * 2013-06-28 2015-01-19 株式会社東芝 Temperature difference power generator
KR20180032237A (en) * 2016-09-21 2018-03-30 한국기계연구원 Thermoelectric module for heat recovery attachable to refrigerating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912A1 (en) * 2021-06-22 2022-12-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hermoelectric device
WO2022270914A1 (en) * 2021-06-22 2022-12-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hermoelectr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7179B1 (en) 2020-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30231B (en) Energy storage system with heat pipe heat management
US6385976B1 (en) Thermoelectric module with integrated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use
RU2360328C2 (en) Advanced thermoelectric heat pumps
KR101024619B1 (en) Smart Junction Box for Solar Module
US20090325051A1 (en) Battery Module Having a Rubber Cooling Manifold
KR102177179B1 (en) Thermoelectric based energy harvester
EP2311109A2 (en) Split thermo-electric structure and devices and systems that utilize said structure
JP2011507473A (en) Heat tracing device including thermoelectric generator
ATE498912T1 (en) COOLING CIRCUIT FOR A SOLAR RADIATION RECEIVER
KR101736784B1 (en) Modular Electricity Generator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20120305043A1 (en) Thermoelectric devices with reduction of interfacial losses
US20120023970A1 (en) Cooling and heating water system using thermoelectric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30066061A (en) Thermoelectric generator of vehicle
US20080142069A1 (en) Thermoelectric module
JP4479408B2 (en) Thermoelectric generator
US9112108B2 (en) Energy source and method for supplying an autonomous electrical load system and the use of same
JPH11274574A (en) Manufacture of heat exchange block for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device
WO2014177336A1 (en) Solid oxide stack system with thermally matched stack integrated heat exchanger
JP2005072080A (en) Power generator utilizing evaporation heat of lng
US20050126618A1 (en) Device for producing electric energy
KR102109486B1 (en) Multi-multi-array themoeletric generator and its generating system
US11581466B2 (en) Thermoelectric generator
CN101313419A (en) Multifunctional energy converter
CN110400950B (en) Distributed energy network, energy network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1024138A2 (en) Solar water heating and thermal power gener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