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9153A - Secondary battery - Google Patents

Secondary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9153A
KR20200109153A KR1020190028298A KR20190028298A KR20200109153A KR 20200109153 A KR20200109153 A KR 20200109153A KR 1020190028298 A KR1020190028298 A KR 1020190028298A KR 20190028298 A KR20190028298 A KR 20190028298A KR 20200109153 A KR20200109153 A KR 20200109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assembly
foam member
secondary battery
electrolyte
suppor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2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정현
이용희
최주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8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9153A/en
Publication of KR20200109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15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68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81Compression means other than 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2/0275
    • H01M2/3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with an improved structure and, more specifically, to a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n electrode assembly; a support cas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thereof, and provided to surround the electrode assembly; and a foam member positioned between the support case and the electrode assembly.

Description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Secondary battery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최근, 충방전이 가능하고 가벼우면서도 에너지 밀도 및 출력 밀도가 높은 리튬 이차 전지가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기존 내연 기관 자동차의 대기오염 및 온실가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체 방안으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PHEV), 배터리 전기 자동차(BEV), 전기 자동차(EV) 등이 제시되고 있는데, 리튬 이차 전지는 이러한 내연기관 대체 자동차의 동력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Recently,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and having a high energy density and power density while being light and capable of being charged and discharged has been widely used as an energy source of wireless mobile devices. In addition, 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PHEVs), battery electric vehicles (HEVs), and battery electric vehicles (e.g., gasoline vehicles, diesel vehicles, etc.) BEV) and electric vehicles (EV) are being proposed, an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re also attracting attention as a power source for such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replacement vehicle.

리튬 이차 전지는 전해액의 종류에 따라 리튬 이온 전지와 리튬 폴리머 전지로 분류되며, 전극 조립체가 수용되는 외장재의 형상에 따라 원통형, 각형 또는 파우치형으로 분류된다. 통상적으로, 이차전지에 채용되는 전극 조립체는 양극판, 분리막, 음극판을 적층하고 이를 권취한 젤리-롤 형태를 가진다.Lithium secondary batteries are classified into lithium ion batteries and lithium polymer batteries according to the type of electrolyte, and are classified into a cylindrical shape, a square shape, or a pouch ty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exterior material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accommodated. Typically, an electrode assembly employed in a secondary battery has a jelly-roll form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plate, a separator,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are stacked and wound up.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의 수명을 늘이는 것에 대한 요구가 강할 뿐만 아니라, 장시간 사용에도 전지의 성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there is a strong demand for extending the life of such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there is a demand for a technology that enables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to be maintained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이차 전지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충방전시 전극의 팽창 및 수축으로 인해 유발되는 응력이 전극조립체 내부에 축적되게 되고, 그러한 응력축적이 일정한 한계를 넘어서면 전극조립체의 영구적인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스웰링(swelling)현상에 의해 전지의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고, 내부 단락으로 인해 전지의 안전성이 위협받게 되는 문제를 초래한다. When the secondary battery is used for a long time, stress caused by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electrode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is accumulated inside the electrode assembly, and when such stress accumulation exceeds a certain limit,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occurs. This swelling phenomenon causes a problem in that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is rapidly deteriorated, and the safety of the battery is threatened due to an internal short circui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구조를 개선한 이차전지를 제공한다.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condary battery with improved structure.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내구성을 향상시킨 이차전지를 제공한다.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condary battery with improved durability.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성능을 향상시킨 이차전지를 제공한다.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condary battery with improved performance.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전극조립체; 적어도 일면에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지지케이스로서, 상기 전극조립체를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지지케이스; 상기 지지케이스와 상기 전극조립체 사이에 위치하는 폼부재;를 포함한다.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A support cas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thereof, the support case provided to surround the electrode assembly; It includes; a foam member positioned between the support case and the electrode assembly.

상기 폼부재는 상기 지지케이스의 상기 적어도 일면과 상기 전극조립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oam memb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upport case and the electrode assembly.

상기 폼부재는, 전해액이 흡수된 제 1 상태; 상기 제 1 상태로부터 수축되어, 흡수된 전해액을 배출하는 제 2 상태;를 동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foam member has a first state in which the electrolyte is absorbed; It may be provided to operate a second state in which the absorbed electrolyte is discharged by contracting from the first state.

상기 폼부재는 상기 전극조립체의 팽창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2 상태로 동작되며, 상기 팽창된 전극조립체는 상기 폼부재가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2 상태로 동작되면서 배출한 전해액을 흡수할 수 있다.The foam member is pressed by the expans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is operated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and the expanded electrode assembly is discharged while the foam member is operated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It can absorb electrolyte.

상기 지지케이스의 외면을 감싸도록 마련되며, 탄성변형되도록 구성되는 외장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n exterior material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case and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deformed.

상기 외장재는 상기 제 2 상태의 상기 폼부재로부터 배출되는 전해액에 가압되어 상기 지지케이스의 외면과 사이에 전해액이 저장되는 담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외장재는 상기 담지공간에 위치한 전해액이 상기 팽창된 전극조립체로 이동되면서 탄성복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exterior material is pressurized by the electrolyte discharged from the foam member in the second state to form a supporting space in which the electrolyte is stor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ing case, and the exterior material is an electrode in which the electrolyte located in the supporting space is expanded. It may be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restored while moving to the assembly.

상기 폼부재는 상기 지지케이스에 대해 상기 전극조립체가 지지되도록 상기 지지케이스와 상기 전극조립체에 각각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oam member may be configured to contact each of the support case and the electrode assembly so that the electrode assembly is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case.

상기 전극조립체의 둘레면은 제 1 측면과 상기 제 1 측면보다 넓은 제 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폼부재는, 그 내면이 상기 제 2 측면과 접촉하며, 그 외면이 상기 지지케이스에서 상기 제 2 측면과 마주하는 케이스내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includes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wider than the first side, and the foam member has an inn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econd side, and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ide in the support case. It may be arranged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facing the side.

상기 폼부재는 상기 내면의 넓이가 상기 전극조립체의 상기 제 2 측면의 넓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foam member may have a width of the inner surface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side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상기 지지케이스는, 상기 폼부재와 접촉하도록 그 내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가압돌기로서, 상기 전극조립체와 함께 상기 폼부재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가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cas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essing protrusions formed on an inner surface thereof to contact the foam member, and a plurality of pressing protrusions configured to press the foam member together with the electrode assembly.

상기 복수의 가압돌기는, 상기 복수의 관통홀 사이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지지케이스의 내면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ressing protrusions ar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may be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case.

상기 폼부재는 한 쌍이 마련되며, 상기 지지케이스는, 상기 전극조립체의 일측과, 상기 한 쌍의 폼부재 중 어느 하나의 폼부재를 덮는 제 1 케이스; 상기 전극조립체의 타측과, 상기 한 쌍의 폼부재 중 다른 하나의 폼부재를 덮으며, 상기 제 1 케이스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A pair of the foam members is provided, and the support case includes: a first case covering one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any one of the pair of foam members; And a second case that covers the other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other of the pair of foam members,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ase.

상기 지지케이스는 수지와 금속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cas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resin and metal.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상기 지지케이스의 상기 적어도 일면에 균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may be uniformly disposed on the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upport case.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이차전지는 제 1 측면과, 상기 제 1 측면보다 넓은 제 2 측면을 갖는 전극조립체; 상기 제 2 측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되, 상기 전극조립체를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지지케이스로서, 상기 제 2 측면과 마주하며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케이스내면을 갖는 지지케이스; 상기 케이스내면과 상기 제 2 측면 사이에 배치되며 전해액이 흡수되는 폼부재로서, 상기 전극조립체의 팽창여부에 따라 전해액이 배출가능하게 마련되는 폼부재;를 포함한다.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wider than the first side; A support cas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side surface and provided to surround the electrode assembly, the support case facing the second side surface and having a case inner surface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a foam member dis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and the second side surface and absorbing the electrolyte, and configured to discharge the electrolyte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electrode assembly is expanded.

상기 폼부재는 상기 전극조립체의 팽창에 의해 가압되어 수축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폼부재의 수축으로 배출된 전해액은 상기 팽창된 전극조립체로 유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oam member is provided so as to be compressed by expans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so as to be contractible, and the electrolyte discharged by contraction of the foam member may be configured to flow to the expanded electrode assembly.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구조를 개선하여, 스웰링에 의한 성능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mproving th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swelling.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폼부재와 지지케이스를 통해 외부충격에 대한 완충작용을 할 수 있어서, 전극조립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am member and the support case can act as a buffer against external shocks,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electrode assembly.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해질의 저장량을 늘릴 수 있어서, 이차전지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orage amount of the electrolyte, thereby increasing the life of the secondary batter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분해사시도.
도 3,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상태변화에 대한 도 1의 A-A’의 단면도.
도 5,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상태변화에 대한 도 1의 A-A’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지지케이스의 내면을 도시한 도면.
도 8,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상태변화에 대한 도 1의 A-A’의 단면도.
1 is a front view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for a state change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for a state change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case of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for a state change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preferred examples of the disclosed invention, and there may be various modifications that may replace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reference numerals shown in each drawing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dicate parts or components that substantially perform the same func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In addition,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used to describe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and/or limit the disclosed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are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 group", "~ block", "~ member", and "~ module" may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For example, the terms may refer to at least one hardware such as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t least one software stored in a memory, or at least one process processed by a processor. hav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분해사시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차전지(1)는 외장재(5)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재(5)는 이차전지(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외장재(5)의 내부에는 이후 설명하는 전극조립체(10), 지지케이스(20), 폼부재(40)가 위치할 수 있다. 외장재(5)는 실링되어, 그 내부의 전해액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장재(5)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외장재(5)는 캔 또는 파우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ary battery 1 may include an exterior material 5. The exterior material 5 may form the exterior of the secondary battery 1. An electrode assembly 10, a support case 20, and a foam member 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located inside the exterior material 5. The exterior material 5 may be sealed so that the electrolyte solution therein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material of the exterior material 5 is not limited. For example, the exterior material 5 may include a can or a pouch.

이차전지(1)는 전극조립체(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ary battery 1 may include an electrode assembly 10.

전극조립체(10)는 애노드(미도시), 캐소드(미도시), 분리막(미도시)가 층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형성되어 젤리-롤(jellyroll)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전극조립체(10)의 일측(즉, 제 1 면(11)) 또는 양측(즉, 제 1 면(11) 및 제 2 면(12))에는 애노드 단자(16) 및 캐소드 단자(18)가 마련될 수 있다. The electrode assembly 10 may be formed in a state in which an anode (not shown), a cathode (not shown), and a separator (not shown) are formed as a layer to have a jelly-roll shape. An anode terminal 16 and a cathode terminal 18 are provided on one side (ie, the first side 11) or both sides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ie, the first side 11 and the second side 12) Can be.

전극조립체(10)는 애노드, 캐소드 및 분리막이 다수의 층으로 접히면서 적층되거나 권취되어 형성되므로, 애노드 단자(16) 및 캐소드 단자(18)는 분리막에 의해 감싸지지 않는 부분에만 형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극 조립체가 직육면체 구조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다면, 애노드 단자(16) 및 캐소드 단자(18)는 직육면체의 제 1 면(11)에 모두 형성되거나, 제 1 면(11)과 제 1 면(11)과 대향하는 제 2 면(12)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전극조립체(10)의 측면은 제 1 면(11) 및 제 2 면(12)을 연결하도록 마련된다. 전극조립체(10)의 측면은 4개의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조립체(10)의 측면은 제 1 측면(13)과, 제 1 측면(13)보다 넓은 제 2 측면(14)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조립체(10)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제 1, 2 측면(13, 14)은 각각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Since the electrode assembly 10 is formed by stacking or winding an anode, a cathode, and a separator while being folded into a plurality of layers, the anode terminal 16 and the cathode terminal 18 can be formed only in portions that are not wrapped by the separator. For example, if the electrode assembly has a shape similar to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tructure, the anode terminal 16 and the cathode terminal 18 are both formed on the first side 11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or the first side 11 and the first side It may be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12 opposite to (11), respectively.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is provided to connect the first surface 11 and the second surface 12.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may be formed of four surfaces.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may include a first side surface 13 and a second side surface 14 that is wider than the first side surface 13. Since the electrode assembly 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 pair of first and second side surfaces 13 and 14 may be provided, respectively.

이차전지(1)는 지지케이스(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ary battery 1 may include a support case 20.

지지케이스(20)는 전극조립체(10)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지케이스(20)는 적어도 일부면이 전극조립체(10)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지지케이스(20)는 그 내면과 외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26)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case 20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electrode assembly 10. The support case 20 may be disposed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electrode assembly 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upport case 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6 penetrating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thereof.

지지케이스(20)는 전극조립체(10)의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support case 20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지지케이스(20)는 전극조립체(10)를 그 내측에 위치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케이스(20)는 일정강도를 갖는 수지, 금속 및 세라믹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에 비해 녹는점이 높은 수지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지케이스(20)는 그 내부에 위치한 전극조립체(10)에 대해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지지케이스(20)는 이차전지(1)의 외력에 대한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support case 20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10 can be positioned inside. The support case 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resin, metal, and ceramic having a certain strength. Specifically, the resin may be polypropylene or a resin having a higher melting point than that of polypropylene. Through this, the support case 20 can secure structural stability for the electrode assembly 10 located therein. That is, the support case 20 may improve the stiffness of the secondary battery 1 against an external force.

지지케이스(20)는 이차전지(1)의 과충전 또는 고온 저장시 전지의 내압이 증가하여 팽창하더라도 전극조립체(10)가 일정부피이상 팽창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서, 과변형에 의한 전극조립체(10)의 물리적 손상을 완화할 수 있으며, 이로써 내부 쇼트(internal short)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The support case 2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electrode assembly 10 does not expand by more than a certain volume even though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attery increases and expands when the secondary battery 1 is overcharged or stored at a high temperatur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alleviate physical damage to the electrode assembly 10 due to overdeformation, thereby preventing an internal short.

또한 지지케이스(20)는 전극조립체(10)를 감싸도록 마련됨에 따라, 전극조립체(1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흡수함으로서, 전극조립체(10)가 과도하게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케이스(20)는 외부에서 작용하는 열이 전극조립체(10)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case 20 is provided to surround the electrode assembly 10, it absorbs heat generated from the electrode assembly 10, thereby preventing the electrode assembly 10 from being excessively overheated. In addition, the support case 20 may prevent heat acting externally from being directly transferred to the electrode assembly 10.

지지케이스(20)는 제 1 케이스(21)와, 제 1 케이스(21)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케이스(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ort case 20 may include a first case 21 and a second case 22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ase 21.

제 1, 2 케이스(21, 31)는 제 1, 2 케이스몸체(22, 32)와, 제 1, 2 케이스몸체(22, 32)의 양단에 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플랜지(24, 34)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cases 21 and 31 include the first and second case bodies 22 and 32, and a plurality of coupling flanges 24 that are detachably coupled at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case bodies 22 and 32. , 34).

제 1, 2 케이스몸체(22, 32)는 전극조립체(10)의 한 쌍의 제 2 측면(14)과 각각 마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1, 2 케이스몸체(22, 32)의 내면(22a, 32a)이 각각 전극조립체(10)의 제 2 측면(14)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1, 2 케이스몸체(22, 32)의 내면(22a, 32a)과 전극조립체(10)의 제 2 측면(14)은 도 3과 같이 일정간격(G)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복수의 관통홀(26)은 제 1, 2 케이스몸체(22, 32)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case bodies 22 and 32 may be configured to face each of the pair of second side surfaces 14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That is, the inner surfaces 22a and 32a of the first and second case bodies 22 and 32 may be disposed to face the second side 14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respectively. The inner surfaces 22a and 32a of the first and second case bodies 22 and 32 and the second side surfaces 14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G as shown in FIG. 3.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26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case bodies 22 and 32.

복수의 결합플랜지(24, 34)는 제 1, 2 케이스몸체(22, 32)의 양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플랜지(24, 34)에는 각각 결합부들(28, 38, 도 3 참고)이 마련되어 제 1, 2 케이스(21, 31)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케이스몸체(22)의 양단에 한 쌍의 결합플랜지(24, 도 3 참고)가 마련되고, 제 2 케이스몸체(32)의 양단에 한 쌍의 결합플랜지(34, 도 3 참고)가 마련되어, 마주하는 결합부들(28, 38, 도 3 참고)끼리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결합플랜지(24, 34)는 제 1, 2 케이스(21, 31)가 분리가능하게 구성되면 이를 만족한다.A plurality of coupling flanges 24 and 34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case bodies 22 and 32. The plurality of coupling flanges 24 and 34 may be provided with coupling portions 28 and 38 (refer to FIG. 3 ), respectively,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ases 21 and 31 may be detachably coupled. In this embodiment, a pair of coupling flanges 24 (refer to Fig. 3)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rst case body 22, and a pair of coupling flanges 34, Fig. 3 at both ends of the second case body 32 Reference) is provided, and facing coupling portions (28, 38, see FIG. 3) are configur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upling flanges 24 and 34 satisfy this when the first and second cases 21 and 31 ar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복수의 결합플랜지(24, 34)와 제 1, 2 케이스몸체(22, 32)가 연결되는 그 외면은 도 2, 3의 R과 같이 일정 곡률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이차전지(1)에 가해지는 외력을 분산시킬 수 있어서, 이차전지(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결합플랜지(24, 34)와 제 1, 2 케이스몸체(22, 32)가 연결되는 그 외면은 각진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outer surface to which the plurality of coupling flanges 24 and 34 and the first and second case bodies 22 and 32 are connected may be pro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as shown in R of FIGS. 2 and 3.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secondary battery 1 can be dispersed, and thus durability of the secondary battery 1 can be improv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uter surface to which the plurality of coupling flanges 24 and 34 and the first and second case bodies 22 and 32 are connected may be formed in an angular shape.

지지케이스(20)는 복수의 관통홀(26)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ort case 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6.

복수의 관통홀(26)은 제 1, 2 케이스몸체(22, 32)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관통홀(26)은 제 1, 2 케이스몸체(22, 32)의 내면과 외면을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차전지(1) 내의 전해액은 관통홀(26)을 통해 제 1, 2 케이스몸체(22, 32)의 내외부를 이동할 수 있다.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6 may b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case bodies 22 and 32.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26 may be configured to penetrate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ase bodies 22 and 32. The electrolyte in the secondary battery 1 may move inside and outside the first and second case bodies 22 and 32 through the through hole 26.

관통홀(26)은 리튬 이차전지(1) 내에 전해액이 주입될 때, 전해액을 담지할 수 있다. 이차전지(1) 내에 전해액이 주입될 때, 관통홀(26)의 넓이와, 제 1, 2 케이스몸체(22, 32)의 두께가 형성하는 공간에도 전해액이 주입됨으로서, 해당 공간만큼 전해액의 주입량이 늘어날 수 있다. 지지케이스(20)의 관통홀(26)에 의한 전해액의 담지는 이차전지(1)의 전해액 주액량을 증가시키게 되어, 이차전지(1)의 장기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through hole 26 may carry the electrolyte when the electrolyte is injected into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1. When the electrolyte is injected into the secondary battery 1, the electrolyte is injected into a space formed by the width of the through hole 26 and the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case bodies 22 and 32, and the amount of the electrolyte injected by the corresponding space This can be increased. Loading of the electrolyte through the through hole 26 of the support case 20 increases the amount of electrolyte injected in the secondary battery 1, thereby improving the long-term reliability of the secondary battery 1.

복수의 관통홀(26)들은 제 1, 2 케이스몸체(22, 32)상에 균일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차전지(1)내의 전해액은 복수의 관통홀(26)에 고르게 담지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26 may be uniformly arranged on the first and second case bodies 22 and 32. Through this, the electrolyte in the secondary battery 1 may be evenly supported i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26.

복수의 관통홀(26)들의 넓이는 제 1, 2 케이스몸체(22, 32) 넓이의 반 이상일 수 있다. 복수의 관통홀(26)들의 넓이는 한정되지 않으나, 제 1, 2 케이스몸체(22, 32) 넓이의 반이상으로 형성됨으로서, 복수의 관통홀(26)에 의한 전해액의 담지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The width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26 may be more than half of the width of the first and second case bodies 22 and 32. The width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26 is not limited, but since they are formed to be more than half the width of the first and second case bodies 22 and 32,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ort the electrolyte solution by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26. .

도 3,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상태변화에 대한 도 1의 A-A’의 단면도이다.3 and 4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for a state change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리튬 이차전지(1)는, 전극 조립체 내부의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서 리튬 이온이 이동하기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하는 전해액을 포함한다. 전해액은 염, 용매, 및 첨가제로 이루어져 있으며, 염은 리튬 이온이 지나갈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며, 용매는 염을 용해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유기 액체이다. 또한, 첨가제는 일정 목적을 위해 첨가되는 물질이다.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1 includes an electrolyte that serves as a medium for moving lithium ions between an anode and a cathode inside an electrode assembly. The electrolyte is composed of a salt, a solvent, and an additive, and the salt acts as a passage through which lithium ions can pass, and the solvent is an organic liquid used to dissolve the salt. In addition, additives are substances added for certain purposes.

여기서, 리튬 이차전지(1)의 사용에 따라 전지가 충방전이 반복될수록 전해액은 점차 소모되게 된다. 나아가, 리튬 이차전지(1)가 고온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전해액이 화학적 부반응에 의해 소모되어 점차 감소되게 된다. 이러한 전해액의 감소는 리튬 이차전지(1)의 수명 및 안전성에 악영향을 주게 되는 바, 리튬 이차전지(1)의 내부에 주입되는 전해액 주액량은 리튬 이차전지(1)의 신뢰성에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전해액이 리튬 이차전지(1) 내에 많이 주입될수록, 즉 전해액 주액량이 증가할수록 리튬 이차전지(1)의 장기 신뢰성은 향상된다.Here, as the battery is repeatedly charged and discharg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1, the electrolyte is gradually consumed. Furthermore, even when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1 is exposed to a high temperature, the electrolyte is consumed by a chemical side reaction and gradually decreases. The reduction of the electrolyte solution adversely affects the life and safety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1, and the amount of electrolyte injected into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1 affects the reliability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1. . Accordingly, the longer the electrolyte is injected into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1, that is, as the electrolyte injection amount increases, the long-term reliability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1 is improved.

이차전지(1)는 폼부재(40)를 포함할 수 있다. 폼부재(40)는 전해액을 흡수가능하도록 마련된다. 폼부재(40)가 전해액을 흡수함으로서, 이차전지(1)는 전해액 수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폼부재(40)는 리튬 이차전지(1)에 주입될 수 있는 전해액 주액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리튬 이차전지(1)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리튬 이차전지(1)의 수명을 늘일 수 있다.The secondary battery 1 may include a foam member 40. The foam member 40 is provided to absorb the electrolyte. As the foam member 40 absorbs the electrolyte, the secondary battery 1 can improve the electrolyte capacity. The foam member 40 may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1 by increasing the amount of the electrolyte solution injected into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1 and extend the life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1.

폼부재(40)는 전해액을 흡수 또는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폼부재(40)는 변형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폼부재(40)는 스펀지와 같이, 전해액을 흡수하였다가 외력에 의해 가압되어 부피가 줄어들면 일정량의 전해액을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폼부재(40)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으며, 전도성이 없는 재질이면 이를 만족한다.The foam member 40 may be configured to absorb or discharge an electrolyte. The foam member 40 may be formed to be deformable. The foam member 40, like a sponge, is configured to absorb the electrolyte and discharge a certain amount of the electrolyte when the volume is reduced by being pressurized by an external force. The material of the foam member 40 is not limited, and any material without conductivity is satisfied.

폼부재(40)는 한 쌍이 마련될 수 있으며, 각각 제 1, 2 케이스(21, 31)와 전극조립체(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폼부재(40)는 제 1, 2 케이스몸체(22, 32)와 전극조립체(10)의 제 2 측면(14)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케이스(21)는 전극조립체(10)의 일측과 한 쌍의 폼부재 중 어느 하나의 폼부재를 덮으며, 제 2 케이스(22)는 전극조립체(10)의 타측과 한 쌍의 폼부재 중 다른 하나의 폼부재를 덮되 제 1 케이스(21)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폼부재(40)와 전극조립체(10)가 지지케이스(20) 내부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A pair of foam members 40 may be provided, and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ases 21 and 31 and the electrode assembly 10, respectively. Specifically, the foam member 4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ase bodies 22 and 32 and the second side surface 14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The first case 21 covers one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and one of a pair of foam members, and the second case 22 covers the other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and a pair of foam members. Covering the other one of the foam members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ase 21. Through this, the foam member 40 and the electrode assembly 10 can be stably positioned inside the support case 20.

폼부재(40)의 초기상태는 제 1, 2 케이스몸체(22, 32)의 내면(22a, 32a)과 제 2 측면(14)사이 간격인 일정간격(G)과 동일하거나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케이스몸체들과 전극조립체(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보다 큰 부피의 폼부재(40)를 배치할 수 있다. 제 1, 2 케이스(21, 31)는 상호 분리가능하게 마련되므로, 폼부재(40)가 일정간격보다 두껍게 형성되더라도, 폼부재(40)가 제 1, 2 케이스(21, 31)와 전극조립체(10) 사이에 위치하도록 조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폼부재(40)의 전해액 흡수량을 늘릴 수 있으며, 완충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initial state of the foam member 40 is the same as or thicker than the predetermined distance G, which is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surfaces 22a and 32a of the first and second case bodies 22 and 32 and the second side 14. I can. Through this, the foam member 40 having a larger volume tha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case bodies and the electrode assembly 10 can be disposed. Since the first and second cases 21 and 31 are provid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even if the foam member 40 is formed thicker than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foam member 40 is formed with the first and second cases 21 and 31 and the electrode assembly. (10) Can be assembled to be located betwee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mount of electrolyte absorbed by the foam member 40 and improve the buffering effect.

폼부재(40)는 전해액이 흡수된 제 1 상태(40a)와, 제 1 상태(40a)로부터 수축되어 흡수된 전해액을 배출하는 제 2 상태(40b)를 동작할 수 있다. The foam member 40 may operate in a first state 40a in which the electrolyte is absorbed and a second state 40b in which the absorbed electrolyte is discharged by contracting from the first state 40a.

폼부재(40)는 제 1 상태(40a)에서 도 3과 같이 전해액을 흡수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차전지(1)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전극조립체(10)는 응력누적으로 인해 팽창하게 된다. 폼부재(40)는 도 4와 같이 전극조립체(10)의 스웰링에 의한 팽창이 발생하는 경우 팽창된 전극조립체(10b, 도 4 참고)에 의해 눌림으로서, 제 1 상태(40a)에서 제 2 상태(40b)로 변형되면서 흡수하고 있던 전해액을 배출할 수 있다. The foam member 40 may maintain a state in which the electrolyte is absorbed as shown in FIG. 3 in the first state 40a. When the secondary battery 1 is used for a long time, the electrode assembly 10 expands due to stress accumulation. The foam member 40 is pressed by the expanded electrode assembly 10b (refer to FIG. 4) when expansion occurs due to the swelling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as shown in FIG. 4, and the second in the first state 40a While transforming into the state 40b, the absorbed electrolyte may be discharged.

폼부재(40)가 제 1 상태(40a)에서 제 2 상태(40b)로 변형되면서 배출된 전해액은 팽창된 전극조립체(10b)로 흡수될 수 있다. 즉, 전극조립체(10)는 팽창하지만, 전극조립체(10)내의 전해액은 일정하거나 줄어들게 되므로, 팽창된 전극조립체(10b)가 가진 전해액의 비중은 줄어들게 된다. 그러므로 전극조립체(10)의 팽창과 폼부재(40)의 수축변형으로 배출된 전해액은 도 4의 A와 같이 팽창된 전극조립체(10b)로 이동 및 흡수됨으로서, 전극조립체(10)의 성능의 저하를 최소화 시킬 수 있게 된다.As the foam member 40 is transformed from the first state 40a to the second state 40b, the discharged electrolyte may be absorbed by the expanded electrode assembly 10b. That is, the electrode assembly 10 expands, but since the electrolyte in the electrode assembly 10 is constant or decreased, the specific gravity of the electrolyte in the expanded electrode assembly 10b decreases. Therefore, the electrolyte discharged due to the expans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and the shrinkage deformation of the foam member 40 is moved and absorbed by the expanded electrode assembly 10b as shown in FIG. 4A, thereby deteriorating the performanc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Can be minimized.

폼부재(40)는 그 내면과 외면이 각각 제 1, 2 케이스몸체(22, 32)의 내면(22a, 32a)과 전극조립체(10)의 제 2 측면(14)에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폼부재(40)는 제 1, 2 케이스(21, 31)와 전극조립체(10) 사이에 배치됨으로서, 전극조립체(10)를 안정적으로 이차전지(1) 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즉, 폼부재(40)는 전극조립체(10)가 지지케이스(20)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마련된다. 이를 통해 이차전지(1)의 외부충격이 전극조립체(1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폼부재(40)는 변형가능한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므로, 외부충격을 흡수하는 댐퍼기능을 할 수도 있다. The foam member 4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thereof contact the inner surfaces 22a and 32a of the first and second case bodies 22 and 32 and the second side 14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respectively. . The foam member 4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ases 21 and 31 and the electrode assembly 10, so that the electrode assembly 10 can be stably positioned in the secondary battery 1. That is, the foam member 40 is provided so that the electrode assembly 10 is st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case 20.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ternal impact of the secondary battery 1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10. That is, since the foam member 4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deformable elasticity, it may function as a damper for absorbing external shock.

폼부재(40)는 복수의 관통홀(26)이 형성된 제 1, 2 케이스몸체(22, 32)의 내면(22a, 32a)과 전극조립체(10)의 제 2 측면(14)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폼부재(40)는 복수의 관통홀(26)이 위치한 제 1, 2 케이스몸체(22, 32)의 내면(22a, 32a)과 맞닿아있어서, 폼부재(40)가 전극조립체(10)의 팽창부피가 큰 경우에 그 몸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복수의 관통홀(26)로 삽입될 수 있다. 즉, 복수의 관통홀(26)이 형성하는 공간은 폼부재(40)의 과도한 수축을 방지하기 위한 공간으로 기능할 수 있다.The foam member 40 may be located between the inner surfaces 22a and 32a of the first and second case bodies 22 and 32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6 are formed and the second side 14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I can. The foam member 40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s 22a and 32a of the first and second case bodies 22 and 32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6 are located, so that the foam member 40 is formed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When the expanded volume is large, at least a portion of the body may b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26. That is, the space formed by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26 may function as a space for preventing excessive contraction of the foam member 40.

폼부재(40)의 외면(42)은 제 1, 2 케이스몸체(22, 32)에 균일하게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26)을 덮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폼부재(40)는 전극조립체(10)의 팽창에 의해 그 내면으로 가압되는 힘을 폼부재(40)의 전체면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폼부재(40)의 수축동작이 원활하게 일어날 수 있고, 폼부재(40)가 전체면적에 대해 균일하게 가압될 수 있다. 또한 폼부재(40)가 흡수한 전해액이 전면적에 대해 균일하게 배출될 수 있다.The outer surface 42 of the foam member 40 may cover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6 uniformly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case bodies 22 and 32. With this configuration, the foam member 40 may distribute a force press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oam member 40 by the expans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over the entire area of the foam member 40. Through this, the contraction operation of the foam member 40 may occur smoothly, and the foam member 40 may be uniformly pressed against the entire area. In addition, the electrolyte absorbed by the foam member 40 may be uniformly discharged over the entire area.

폼부재(40)가 제 1 상태(40a)에서 제 2 상태(40b)로 수축된 부피는, 전극조립체(10)가 팽창되면서(10b) 늘어난 부피와 동일할 수 있다. 즉, 폼부재(40)는 탄성변형가능하게 구성되므로, 팽창된 전극조립체(10b)가 팽창된 만큼 수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극조립체(10)의 팽창으로 인한 부하가 그 외측에 위치한 지지케이스(2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volume of the foam member 40 contracted from the first state 40a to the second state 40b may be the same as the volume increased as the electrode assembly 10 is expanded (10b). That is, since the foam member 40 is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the expanded electrode assembly 10b can be contracted as much as it is expanded. Through this, the load due to the expans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support case 20 located outside the electrode assembly 10.

폼부재(40)는 그 내면의 넓이가 전극조립체(10)의 제 2 측면(14)의 넓이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외장재(5)의 형성 및 실링에 있어서, 폼부재(40)에 의해 간섭되어, 실링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폼부재(40)의 넓이는 한정되지 않는다.The foam member 40 may have an inner surface that is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side 14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Throug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poor sealing due to interference by the foam member 40 in the formation and sealing of the exterior material 5. However, the area of the foam member 40 is not limited.

그 일례로, 폼부재(40)의 넓이는 전극조립체(10)의 제 2 측면(14)의 넓이보다 크고, 케이스몸체들(22, 32)의 내면(22a, 32a)보다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폼부재(40)는 지지케이스(20)에 대해 전극조립체(1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더 많은 양의 전해액을 담지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width of the foam member 40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side 14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and smaller than the inner surfaces 22a and 32a of the case bodies 22 and 32. have. Through this, the foam member 40 can support the electrode assembly 10 with respect to the support case 20 more stably, and can carry a larger amount of electrolyte.

도 3,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An opera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도 3과 같이 폼부재(40)는 제 1 상태(40a)에서 일정양의 전해액을 흡수하도록 마련된다. 이후 도 4와 같이 전극조립체(10)는 팽창되면서 폼부재(40)를 가압하게 된다. 폼부재(40)는 팽창된 전극조립체(10b)에 의해 가압되어, 제 2 상태(40b)로 동작하며 흡수한 전해액을 배출하고, 배출된 전해액은 도 4의 A와 같이 팽창된 전극조립체(10b)로 흡수된다.As shown in FIG. 3, the foam member 40 is provided to absorb a certain amount of electrolyte in the first state 40a. Thereafter, as shown in FIG. 4, the electrode assembly 10 is expanded to press the foam member 40. The foam member 40 is pressed by the expanded electrode assembly 10b, operates in the second state 40b, and discharges the absorbed electrolyte, and the discharged electrolyte is the expanded electrode assembly 10b as shown in FIG. 4A. ) Is absorbed.

도 5,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상태변화에 대한 도 1의 A-A’의 단면도이다.5 and 6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for a state change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외장재(5)는 탄성변형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외장재(5)는 영구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폼부재(40)로부터의 전해액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변형될 수 있다. 외장재(5)는 탄성변형되어 지지케이스(20)와 사이에 담지공간(7)을 형성할 수 있다.The exterior material 5 may be provid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The exterior material 5 may be elastically deformed by being pressed by the electrolyte solution from the foam member 40 within a range in which permanent deformation does not occur. The exterior material 5 may be elastically deformed to form a supporting space 7 between the support case 20 and the support case 20.

전극조립체(10)의 팽창이 빠르게 이루어지는 경우, 팽창되는 전극조립체(10)로의 전해액의 흡수속도가 전극조립체(10)의 팽창속도에 비해 적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폼부재(40)가 제 2 상태(40b)로 가압되면서 배출된 전해액은 지지케이스(20)의 관통홀(26)을 통해 이동하여 외장재(5)를 가압하게 된다. 외장재(5)는 제 2 상태(40b)의 폼부재(40)로부터 배출되는 전해액에 가압되어, 지지케이스(20)의 외면과 사이에 전해액이 저장되는 담지공간(7)을 형성할 수 있다. 폼부재(40)로부터 배출되는 전해액 중 일부는 도 5의 B1과 같이 팽창된 전극조립체(10b)로 흡수되며, 팽창된 전극조립체(10b)로 흡수되지 않은 일부는 도 5의 B2와 같이 외장재(5)가 형성하는 담지공간(7)으로 이동할 수 있다. When the electrode assembly 10 expands rapidly, the rate of absorption of the electrolyte into the expanded electrode assembly 10 may be less than that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In this case, while the foam member 40 is pressurized in the second state 40b, the discharged electrolyte moves through the through hole 26 of the support case 20 to press the exterior material 5. The exterior material 5 may be pressurized by the electrolyte discharged from the foam member 40 in the second state 40b to form a supporting space 7 in which the electrolyte is stor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case 20 and between. Some of the electrolyte discharged from the foam member 40 is absorbed by the expanded electrode assembly 10b as shown in B1 of FIG. 5, and a part not absorbed by the expanded electrode assembly 10b is an exterior material ( It can be moved to the supporting space 7 formed by 5).

담지공간(7)의 전해액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도 6의 B3와 같이 이동하여 팽창된 전극조립체(10b)로 흡수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외장재(5)는 탄성복귀력에 의해 원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이후 팽창된 전극조립체(10b)에서 지속적인 전해액의 흡수가 이루어지면서 담지공간(7)에 위치한 전해액은 지지케이스(20)의 관통홀(26)을 지나 B3와 같이 팽창된 전극조립체(10b)로 이동되면서, 외장재(5)는 탄성복귀하게 된다. 탄성복귀된 외장재(5)는 지지케이스(20)의 외면과 접촉하여 초기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The electrolyte in the supporting space 7 may move as shown in B3 of FIG. 6 over time and may be absorbed by the expanded electrode assembly 10b. In this process, the exterior material 5 can be operated in its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 return force. That is, as the electrolyte solution is continuously absorbed from the expanded electrode assembly 10b, the electrolyte located in the supporting space 7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26 of the support case 20, and the expanded electrode assembly 10b as shown in B3. While moving to, the exterior material 5 is elastically restored. The elastically restored exterior material 5 may be positioned in an initial state by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case 20.

이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에 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지지케이스의 내면을 도시한 도면, 도 8,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상태변화에 대한 도 1의 A-A’의 단면도이다.7 is a view showing an inner surface of a supporting case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8 and 9 are A-A' of FIG. 1 for a state change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지지케이스(20)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돌기(27, 37)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case 20 may include at least one pressing protrusion 27 and 37.

적어도 하나의 가압돌기(27, 37)는 지지케이스(20)의 내면(22a, 32a)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압돌기(27, 37)는 지지케이스(20)의 내면(22a, 32a)에서 폼부재(40)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압돌기(27, 37)는 도 9에서와 같이 팽창하는 전극조립체(10b)와 함께 폼부재(40)를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At least one pressing protrusion 27 and 37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s 22a and 32a of the support case 20. The at least one pressing protrusion 27 and 37 may be configured to contact the foam member 40 on the inner surfaces 22a and 32a of the support case 20. At least one pressing protrusion 27 and 37 may be provided to press the foam member 40 together with the electrode assembly 10b that expands as shown in FIG. 9.

적어도 하나의 가압돌기(27, 37)는 폼부재(40)의 외면(42)을 가압 또는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전극조립체(10)가 팽창으로 인해 폼부재(40)의 내면(41)을 가압시에 폼부재(40)에서 전해액 배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가압돌기(27, 37)는 폼부재(40)가 제 1 상태(40a)에서 제 2 상태(40b)로 동작하는 과정에서, 전해액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At least one pressing protrusion (27, 37) is configured to pressurize or support the outer surface 42 of the foam member 40, and the electrode assembly 10 presses the inner surface 41 of the foam member 40 due to expansion At the time, the electrolyte solution can be effectively discharged from the foam member 40. That is, the pressing protrusions 27 and 37 may facilitate the discharge of the electrolyte during the process of the foam member 40 operating from the first state 40a to the second state 40b.

가압돌기(27, 37)는 복수개가 마련되어, 복수의 관통홀 사이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가압돌기(27, 37)는 복수의 관통홀 중 지지케이스의 내면의 중심부에 배치되도록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가압돌기(27, 37)는 지지케이스의 내면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그 배치 및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A plurality of pressing protrusions 27 and 37 may be provided, and may be positioned betwee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n this embodiment, the plurality of pressing protrusions 27 and 37 are illustrated to be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case among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 plurality of pressing protrusions 27 and 37 may be uniformly arranged as a whol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case, and the arrangement and number thereof are not limited.

가압돌기(27, 37)는 그 외면이 적어도 일부가 곡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압돌기(27, 37)의 단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전극조립체(10)가 과도하게 팽창하는 경우에도 전극조립체(10)가 가압돌기(27, 37)와 접촉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sing protrusions 27 and 37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thereof includes a curved surface. Specifically, ends of the pressing protrusions 27 and 37 may be formed in a curved surface. Through this configuration, even when the electrode assembly 10 is excessively expand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ectrode assembly 10 from being damaged by contacting the pressing protrusions 27 and 37.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However, it is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perform various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

1 : 이차전지 10 : 전극조립체
11 : 제 1 면 12 : 제 2 면
13 : 제 1 측면 14 : 제 2 측면
16 : 애노드 단자 18 : 캐소드 단자
20 : 지지케이스 21, 31 : 제 1, 2 케이스몸체
24, 34 : 결합플랜지 26 : 관통홀
40 : 폼부재 40a : 제 1 상태
40b : 제 2 상태
1: secondary battery 10: electrode assembly
11: first side 12: second side
13: first side 14: second side
16: anode terminal 18: cathode terminal
20: support case 21, 31: first, second case body
24, 34: coupling flange 26: through hole
40: foam member 40a: first state
40b: second state

Claims (16)

전극조립체;
적어도 일면에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지지케이스로서, 상기 전극조립체를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지지케이스;
상기 지지케이스와 상기 전극조립체 사이에 위치하는 폼부재;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Electrode assembly;
A support cas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thereof, the support case provided to surround the electrode assembly;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foam member positioned between the support case and the electrode assemb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폼부재는 상기 지지케이스의 상기 적어도 일면과 상기 전극조립체 사이에 배치되는 이차 전지.The secondary battery of claim 1, wherein the foam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upport case and the electrode assemb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폼부재는,
전해액이 흡수된 제 1 상태;
상기 제 1 상태로부터 수축되어, 흡수된 전해액을 배출하는 제 2 상태;를 동작하도록 마련되는 이차 전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oam member,
A first state in which the electrolyte is absorbed;
A secondary battery provided to operate in a second state in which the absorbed electrolyte is discharged by contracting from the first sta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폼부재는 상기 전극조립체의 팽창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2 상태로 동작되며,
상기 팽창된 전극조립체는 상기 폼부재가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2 상태로 동작되면서 배출한 전해액을 흡수하는 이차 전지.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oam member is pressed by expans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to operate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The expanded electrode assembly absorbs the discharged electrolyte while the foam member is operated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케이스의 외면을 감싸도록 마련되며, 탄성변형되도록 구성되는 외장재;를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4, further comprising an exterior material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case and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deform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는 상기 제 2 상태의 상기 폼부재로부터 배출되는 전해액에 가압되어 상기 지지케이스의 외면과 사이에 전해액이 저장되는 담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외장재는 상기 담지공간에 위치한 전해액이 상기 팽창된 전극조립체로 이동되면서 탄성복귀되도록 구성되는 이차 전지.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exterior material is pressurized by the electrolyte discharged from the foam member in the second state to form a supporting space in which the electrolyte is stor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ing case, and the exterior material is located in the supporting space. A secondary battery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restored while the electrolyte is moved to the expanded electrode assemb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폼부재는 상기 지지케이스에 대해 상기 전극조립체가 지지되도록 상기 지지케이스와 상기 전극조립체에 각각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이차 전지.The secondary battery of claim 1, wherein the foam member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support case and the electrode assembly, respectively, so that the electrode assembly is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c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의 둘레면은 제 1 측면과 상기 제 1 측면보다 넓은 제 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폼부재는, 그 내면이 상기 제 2 측면과 접촉하며, 그 외면이 상기 지지케이스에서 상기 제 2 측면과 마주하는 케이스내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이차 전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includes a first side surface and a second side surface wider than the first side surface,
The foam member is a secondary battery disposed such that an inner surface thereof contacts the second side surface, and an outer surface thereof contacts an inner surface of the case facing the second side surface in the support cas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폼부재는 상기 내면의 넓이가 상기 전극조립체의 상기 제 2 측면의 넓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이차 전지.The secondary battery of claim 8, wherein the foam member has an inner surface area smaller than an area of the second side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케이스는,
상기 폼부재와 접촉하도록 그 내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가압돌기로서, 상기 전극조립체와 함께 상기 폼부재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가압돌기;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upport case,
And a plurality of pressing protrusions formed on an inner surface thereof to contact the foam member, the plurality of pressing protrusions configured to press the foam member together with the electrode assembly.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압돌기는,
상기 복수의 관통홀 사이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지지케이스의 내면 중심부에 배치되는 이차 전지.
The method of claim 10,
The plurality of pressing projections,
A secondary battery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c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폼부재는 한 쌍이 마련되며,
상기 지지케이스는, 상기 전극조립체의 일측과, 상기 한 쌍의 폼부재 중 어느 하나의 폼부재를 덮는 제 1 케이스;
상기 전극조립체의 타측과, 상기 한 쌍의 폼부재 중 다른 하나의 폼부재를 덮으며, 상기 제 1 케이스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foam member is provided with a pair,
The support case includes: a first case covering one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any one of the pair of foam members;
And a second case that covers the other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foam members,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케이스는 수지와 금속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The secondary battery of claim 1, wherein the support case includes at least one of a resin and a met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상기 지지케이스의 상기 적어도 일면에 균일하게 배치되는 이차 전지.The secondary battery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uniformly disposed on the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upport case. 제 1 측면과, 상기 제 1 측면보다 넓은 제 2 측면을 갖는 전극조립체;
상기 제 2 측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되, 상기 전극조립체를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지지케이스로서, 상기 제 2 측면과 마주하며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케이스내면을 갖는 지지케이스;
상기 케이스내면과 상기 제 2 측면 사이에 배치되며 전해액이 흡수되는 폼부재로서, 상기 전극조립체의 팽창여부에 따라 전해액이 배출가능하게 마련되는 폼부재;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 first side surface and a second side surface wider than the first side surface;
A support cas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side surface and provided to surround the electrode assembly, the support case facing the second side surface and having a case inner surface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a foam member dis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and the second side surface and absorbing the electrolyte, wherein the foam member is provided to discharge the electrolyte depending on whether the electrode assembly is expanded.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폼부재는 상기 전극조립체의 팽창에 의해 가압되어 수축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폼부재의 수축으로 배출된 전해액은 상기 팽창된 전극조립체로 유동하도록 구성되는 이차 전지.
The secondary battery of claim 15, wherein the foam member is provided to be compressed and contracted by expans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electrolyte discharged by contraction of the foam member flows to the expanded electrode assembly.
KR1020190028298A 2019-03-12 2019-03-12 Secondary battery KR2020010915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298A KR20200109153A (en) 2019-03-12 2019-03-12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298A KR20200109153A (en) 2019-03-12 2019-03-12 Secondary batte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153A true KR20200109153A (en) 2020-09-22

Family

ID=72706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298A KR20200109153A (en) 2019-03-12 2019-03-12 Secondary batt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915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9892A1 (en) 2021-01-08 2022-07-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ouch-type battery cell comprising foam layer,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same pouch-type battery cel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9892A1 (en) 2021-01-08 2022-07-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ouch-type battery cell comprising foam layer,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same pouch-type battery cell
KR20220100430A (en) 2021-01-08 2022-07-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ouch-type Battery Cell Comprising Foam Layer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Pouch-type Battery Ce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9151B1 (en) Secondary battery
US11121395B2 (en) Battery module with movable end plate responsive to cell swelling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KR101827493B1 (en)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safety and life cycle
JP5394502B2 (en) Battery cartridge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US9136555B2 (en) Rechargeable battery
US9160039B2 (en) Battery cell of excellent heat dissipation property and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module employed with the same
EP2827403B1 (en) Battery module having improved stability
US8852798B2 (en) Rechargeable battery including elastic member comprising tapering wall
KR102332442B1 (en) Rechargeable battery module
US7485392B2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impact buffer function
KR102055852B1 (en) Pouch-type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modified leads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same
KR20190046636A (en) Battery pack
US7521148B2 (en)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tilizing the same
US20200127269A1 (en) Battery Cell Including Electrode Lead Located So As To Face Outer Surface Of Electrode Assembly
JP2016152203A (en) Battery pack
US20130149598A1 (en) Secondary battery
US20230307807A1 (en) Pouch-Shaped Battery Cell Configured Such that Replenishment of Electrolytic Solution is Possible
US9853253B2 (en) Battery pack
KR20200109153A (en) Secondary battery
KR20130091031A (en) Battery cell
KR102563880B1 (en) Cartridge for increasing cooling effects
KR100601536B1 (en) Li Ion Secondary Battery
CN220065869U (en) Cover plate, battery monomer, battery and electric equipment
KR20190005405A (en) Battery Module
US20230223586A1 (en)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