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8698A - 지반 고결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반 고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8698A
KR20200108698A KR1020190027700A KR20190027700A KR20200108698A KR 20200108698 A KR20200108698 A KR 20200108698A KR 1020190027700 A KR1020190027700 A KR 1020190027700A KR 20190027700 A KR20190027700 A KR 20190027700A KR 20200108698 A KR20200108698 A KR 20200108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ground
capsule
compartment
solidify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6214B1 (ko
Inventor
박성식
이동은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7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214B1/ko
Publication of KR20200108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 고결 시스템은 파쇄 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에너지 발생기; 고결제를 형성하기 위한 제1성분을 함유하고 지반 내 설치된 제1캡슐; 및 고결제를 형성하기 위한 제2성분을 함유하고 지반 내 설치된 제2캡슐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발생기에 의해 발생된 파쇄 에너지에 의해 상기 제1캡슐 및 상기 제2캡슐이 파쇄되고, 상기 제1성분 및 상기 제2성분이 만나 고결제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지반 고결 시스템{SYSTEM FOR BINDING SOIL}
이하, 실시예들은 지반 고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반의 변형을 방지 및 복구를 위해 지반을 고결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연약 지반에 미생물이 담긴 용액 및 염화칼슘 용액을 적용하고, 미생물의 대사 활동을 통해 획득된 탄산염 이온 및 염화칼슘 용액으로부터 유래된 칼슘이온 사이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염인 탄산칼슘이 공극을 채움으로써 연약 지반이 고결되는 방식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30761호 (2011.04.26. 공고)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고결하고자 하는 지반에 고결제 또는 이를 생성하기 위한 성분 물질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캡슐을 설치하고, 파쇄 에너지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캡슐을 파쇄함으로써 지반을 고결시키는 지반 고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 고결 시스템은 파쇄 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에너지 발생기; 고결제를 형성하기 위한 제1성분을 함유하고 지반 내 설치된 제1캡슐; 및 고결제를 형성하기 위한 제2성분을 함유하고 지반 내 설치된 제2캡슐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발생기에 의해 발생된 파쇄 에너지에 의해 상기 제1캡슐 및 상기 제2캡슐이 파쇄되고, 상기 제1성분 및 상기 제2성분이 만나 고결제를 형성한다.
상기 제1캡슐 및 상기 제2캡슐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의 세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세트들은 지반 내 층별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성분은 고로 슬래그 수용액을 포함하고, 상기 제2성분은 수산화칼슘 수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성분 및 상기 제2성분은 지반 내 수분과 반응 가능한 분말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에너지 발생기는 전자기파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 고결 시스템은 고결제를 형성하기 위한 제1성분을 함유하는 제1구획부와, 고결제를 형성하기 위한 제2성분을 함유하는 제2구획부를 포함하는 캡슐을 포함하고, 상기 제1구획부의 상기 제1성분 및 상기 제2구획부의 상기 제2성분이 만나 고결제를 형성한다.
상기 캡슐은 상기 제1구획부 및 상기 제2구획부를 구분하도록 구성된 구획 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획부는 상기 캡슐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구획부는 상기 제1구획부를 둘러싸며 상기 캡슐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성분은 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성분은 분말 상태로서 시멘트 또는 고로슬래그와 수산화칼?㎱?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슐은 지반 내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파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반 고결 시스템은 상기 캡슐을 파쇄하는 전자기파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전자기파 발생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 고결 시스템은 고결하고자 하는 지반에 직접적으로 접근하지 않고 파쇄 에너지를 이용하여 지반을 고결시킴으로써 지반의 변형을 방지 또는 변형된 지반을 복구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 고결 시스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 고결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들이 매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반 고결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의 도면이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슐의 도면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반 고결 시스템의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 고결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 고결 시스템(1)은 지반(G) 위에서 지반(G) 내 변형이 이미 발생한 부분 또는 변형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부분에 매립된 적어도 하나의 캡슐 세트(12)로 파쇄 에너지를 전달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캡슐 세트(12)의 캡슐들(121, 122)을 파쇄하고, 파쇄된 캡슐들(121, 122)로부터 나온 고결제 형성 물질들의 반응을 통해 지반을 고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캡슐 세트(12)는 물, 기름, 가스 등과 같은 유체가 지나가는 파이프라인(P)의 주변의 지반에 매립될 수 있다.
지반 고결 시스템(1)은 에너지 발생기(11) 및 적어도 하나의 캡슐 세트(12)를 포함할 수 있다.
에너지 발생기(11)는 파쇄 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파쇄 에너지"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 세트(12)의 캡슐들(121, 122)을 파쇄시키기에 적합한 범위의 에너지를 말한다. 일 예에서, 에너지 발생기(11)는 전자기파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전자기파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에너지 발생기(11)는 지반(G)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에너지 발생기(11)는 지반(G) 위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에너지 발생기(11)는 지반(G) 내 파이프라인(P)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에너지 발생기(11)는 별도의 이동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캡슐 세트(12)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 개의 캡슐들(121, 12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캡슐들(121, 122)은 지반(G)을 고결시키도록 구성된 고결제를 형성하기 위한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캡슐들(121, 122)이 파쇄되기 전에는 고결제를 형성하기 위한 물질들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어 미반응 상태에 있다가, 에너지 발생기(11)에 의해 발생된 파쇄 에너지에 의해 복수 개의 캡슐들(121, 122)이 파쇄되면, 고결제를 형성하기 위한 성분들이 서로 만나 고결제를 형성할 수 있다. 형성된 고결제는 원-위치에서 지반(G)에 고결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캡슐 세트(12)들은 지반(G) 내에서 층별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층별로 배열된다는 것은 복수 개의 캡슐 세트(12)들이 다층으로 배열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캡슐 세트(12)들은 지질학적으로 구분되는 서로 다른 층들에 각각 배열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복수 개의 캡슐 세트(12)들은 지질학적으로 동일한 층 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캡슐들(121, 122)은 전자기파에 의해 파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캡슐들(121, 122)은 그 외벽에 존재하는 전자기파 반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파 반응 물질은 공진 주파수의 전자기파가 인가되면 진동이 크게 발생함으로써 복수 개의 캡슐들(121, 122)의 외벽을 파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자기파 반응 물질은 복수 개의 캡슐들(121, 122)의 외벽의 안쪽에 수용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캡슐들(121, 122)은 서로 상이한 시간에 파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캡슐들(121, 122) 중 어느 하나의 캡슐에 포함된 전자기파 반응 물질의 파쇄 에너지 임계치는 다른 하나의 캡슐에 포함된 전자기파 반응 물질의 파쇄 에너지 임계치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파쇄 에너지가 복수 개의 캡슐들(121, 122)에 인가되는 동안, 어느 하나의 캡슐에 누적되는 파쇄 에너지가 그 파쇄 에너지 임계치에 먼저 도달하는 한편, 다른 하나의 캡슐에 누적되는 파쇄 에너지가 그 파쇄 에너지 임계치에 나중에 도달함으로써, 복수 개의 캡슐들(121, 122)이 서로 상이한 시간에 파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캡슐들(121, 122)은 제1캡슐(121) 및 제2캡슐(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캡슐(121)은 고결제를 형성하기 위한 제1성분을 포함하고, 제2캡슐(122)은 고결제를 형성하기 위한 제2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성분 및 제2성분은 서로 만나 반응하여 고결제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성분은 지반(G)을 고결하는 고결 작용을 수행할 수 있고, 제2성분은 제1성분의 지반(G)에 대한 고결 작용을 촉진하는 촉매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제1성분 및 제2성분은 액상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성분은 고로슬래그(blast furnace slage)와 물이 혼합된 고로슬래그 수용액일 수 있고, 제2성분은 수산화칼슘과 물이 혼합된 수산화칼슘 수용액일 수 있다.
제1성분 및 제2성분은 분말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성분 및 제2성분은 제1캡슐(121) 및 제2캡슐(122)이 파쇄 에너지에 의해 녹거나 터지면서 흘러나와 제1캡슐(121) 및 제2캡슐(122)의 주변의 지반(G)에 존재하는 수분과 반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성분은 고로 슬래그이고, 제2성분은 수산화칼슘일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들이 매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캡슐(121) 및 제2캡슐(122)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의 캡슐 세트(12)들은 파이프라인(P)의 주변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캡슐 세트(12)들은 파이프라인(P)의 길이 방향인 제1방향(L)을 따라 배열되고, 파이프라인(P)의 수평 방향인 제1방향(L)에 교차하는 제2방향(H)을 따라 배열되고, 파이프라인(P)의 수직 방향인 제1방향(L) 및 제2방향(H)에 교차하는 제3방향(V)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한 예로, 제1방향(L), 제2방향(H) 및 제3방향(V)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도 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반 고결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 고결 시스템(2)은 지반(G) 내 일정 영역에 복수 개의 캡슐들(22, 23)을 매립하고, 지반(G) 내 발생하는 자연 현상에 의해, 예를 들어, 지반(G) 내 갈라짐(C) 등에 의해 발생된 파쇄 에너지에 의해 매립된 복수 개의 캡슐들(22, 23) 중 적어도 일부가 파쇄됨으로써 지반(G) 내 원-위치 고결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의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22)은 제1구획부(221), 제2구획부(222), 제1구획부(221)와 제2구획부(222)를 분리하며 제1구획부(221)를 둘러싸는 구획벽(223) 및 외부에 대해 제2구획부(222)를 둘러싸는 외벽(224)을 포함할 수 있다.
캡슐(22)은 구형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획부(221)는 캡슐(22)의 중앙부에 위치되고, 제2구획부(222)는 제1구획부(221)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1구획부(221) 및 제2구획부(222)는 동일한 부피를 가지도록 치수화(dimension)될 수 있다.
제1구획부(221)는 고결제를 형성하기 위한 제1성분을 함유하고, 제2구획부(222)는 고결제를 형성하기 위한 제2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제1성분 및 제2성분은 서로 만나 반응하여 고결제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성분은 지반(G)을 고결하는 고결 작용을 수행할 수 있고, 제2성분은 제1성분의 지반(G)에 대한 고결 작용을 촉진하는 촉매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제1성분 및 제2성분은 액상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성분은 고로슬래그(blast furnace slage)와 물이 혼합된 고로슬래그 수용액일 수 있고, 제2성분은 수산화칼슘과 물이 혼합된 수산화칼슘 수용액일 수 있다.
제1성분 및 제2성분은 분말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성분 및 제2성분은 구획벽(223) 및 외벽(224)이 파쇄될 때 캡슐(22)의 주변의 지반에 존재하는 수분과 반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성분은 고로 슬래그이고, 제2성분은 수산화칼슘일 수 있다.
제1성분은 액상 상태이고, 제2성분은 분말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성분은 물이고, 제2성분은 시멘트, 고로슬래그, 수산화칼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성분은 분말 상태이고, 제2성분은 분말 상태일 수 있다.
구획벽(223) 및 외벽(224)은 파쇄 에너지에 의해 파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구획벽(223) 및 외벽(224)은 지반에서 발생하는 갈라짐 등에 의한 물리적인 파쇄 에너지에 의해 파쇄되는 범위의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구획벽(223) 및 외벽(224)은 전자기파에 의해 파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구획벽(223) 및 외벽(224)은 전자기파 반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파 반응 물질은 공진 주파수의 전자기파가 인가되면 진동이 크게 발생함으로써 구획벽(223) 및 외벽(224)을 파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자기파 반응 물질은 제1구획부(221) 및/또는 제2구획부(222)에 수용될 수도 있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슐의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23)은 제1구획부(231), 제2구획부(232), 외벽(233) 및 구획벽(234)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캡슐(23)은 대체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벽(233)은 제1구획부(231) 및 제2구획부(232)를 모두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구획벽(234)은 외벽(233)의 일 부분으로부터 타 부분으로 연장하며 제1구획부(231) 및 제2구획부(232)를 분리할 수 있다. 제1구획부(231) 및 제2구획부(232)는 동일한 부피를 가지도록 치수화될 수 있다.
제1구획부(231)는 고결제를 형성하기 위한 제1성분을 함유하고, 제2구획부(232)는 고결제를 형성하기 위한 제2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제1성분 및 제2성분은 서로 만나 반응하여 고결제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성분은 지반(G)을 고결하는 고결 작용을 수행할 수 있고, 제2성분은 제1성분의 지반(G)에 대한 고결 작용을 촉진하는 촉매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제1성분 및 제2성분은 액상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성분은 고로슬래그(blast furnace slage)와 물이 혼합된 고로슬래그 수용액일 수 있고, 제2성분은 수산화칼슘과 물이 혼합된 수산화칼슘 수용액일 수 있다.
제1성분 및 제2성분은 분말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성분 및 제2성분은 외벽(223) 및 구획벽(234)이 파쇄될 때 캡슐(23)의 주변의 지반에 존재하는 수분과 반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성분은 고로 슬래그이고, 제2성분은 수산화칼슘일 수 있다.
제1성분은 액상 상태이고, 제2성분은 분말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성분은 물이고, 제2성분은 시멘트, 고로슬래그, 수산화칼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성분은 분말 상태이고, 제2성분은 분말 상태일 수 있다.
외벽(233) 및 구획벽(234)은 파쇄 에너지에 의해 파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외벽(233) 및 구획벽(234)은 지반에서 발생하는 갈라짐 등에 의한 물리적인 파쇄 에너지에 의해 파쇄되는 범위의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외벽(233) 및 구획벽(234)은 전자기파에 의해 파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벽(233) 및 구획벽(234)은 전자기파 반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파 반응 물질은 공진 주파수의 전자기파가 인가되면 진동이 크게 발생함으로써 외벽(233) 및 구획벽(234)을 파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자기파 반응 물질은 제1구획부(231) 및/또는 제2구획부(232)에 수용될 수도 있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반 고결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 고결 시스템(3)은 지반(G)에 배치되고 파쇄 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에너지 발생기(31), 지반(G) 내 매립된 제1캡슐(32) 및 제2캡슐(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캡슐(32) 및 제2캡슐(33)은 파이프라인(P)의 주위의 지반(G)에 매립될 수 있다. 제1캡슐(32) 및 제2캡슐(33)은 지반(G) 내에서 층별로 배열될 수 있다. 제1캡슐(32) 및 제2캡슐(33)은 각각 앞서 도 4를 참조하며 설명한 실시예의 캡슐(22) 및 도 5를 참조하며 설명한 실시예의 캡슐(23)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11)

  1. 파쇄 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에너지 발생기;
    고결제를 형성하기 위한 제1성분을 함유하고 지반 내 설치된 제1캡슐; 및
    고결제를 형성하기 위한 제2성분을 함유하고 지반 내 설치된 제2캡슐;
    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발생기에 의해 발생된 파쇄 에너지에 의해 상기 제1캡슐 및 상기 제2캡슐이 파쇄되고, 상기 제1성분 및 상기 제2성분이 만나 고결제를 형성하는 지반 고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캡슐 및 상기 제2캡슐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의 세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세트들은 지반 내 층별로 배열되는 지반 고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성분은 고로 슬래그 수용액을 포함하고, 상기 제2성분은 수산화칼슘 수용액을 포함하는 지반 고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성분 및 상기 제2성분은 지반 내 수분과 반응 가능한 분말 형태인 지반 고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발생기는 전자기파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지반 고결 시스템.
  6. 고결제를 형성하기 위한 제1성분을 함유하는 제1구획부와, 고결제를 형성하기 위한 제2성분을 함유하는 제2구획부를 포함하는 캡슐을 포함하고,
    상기 제1구획부의 상기 제1성분 및 상기 제2구획부의 상기 제2성분이 만나 고결제를 형성하는 지반 고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상기 제1구획부 및 상기 제2구획부를 구분하도록 구성된 구획 벽을 더 포함하는 지반 고결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획부는 상기 캡슐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구획부는 상기 제1구획부를 둘러싸며 상기 캡슐의 외측에 위치하는 지반 고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성분은 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성분은 분말 상태로서 시멘트 또는 고로슬래그와 수산화칼?㎱? 조합을 포함하는 지반 고결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지반 내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파쇄되도록 구성된 지반 고결 시스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을 파쇄하는 전자기파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전자기파 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지반 고결 시스템.
KR1020190027700A 2019-03-11 2019-03-11 지반 고결 시스템 KR102236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700A KR102236214B1 (ko) 2019-03-11 2019-03-11 지반 고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700A KR102236214B1 (ko) 2019-03-11 2019-03-11 지반 고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698A true KR20200108698A (ko) 2020-09-21
KR102236214B1 KR102236214B1 (ko) 2021-04-05

Family

ID=72707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700A KR102236214B1 (ko) 2019-03-11 2019-03-11 지반 고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21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698A (ko) * 2001-08-16 2004-03-10 워너-램버트 캄파니 엘엘씨 수용성 팩키지
JP2005113427A (ja) * 2003-10-03 2005-04-28 Airec Engineering Corp アンカ埋設用固結剤及びそれを用いたアンカの埋設方法
KR101030761B1 (ko) 2010-11-24 2011-04-26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미생물을 이용한 연약 지반의 고결화 방법
KR20120106322A (ko) * 2011-03-18 2012-09-26 주식회사 에코솔라텍 다기능 젤라틴 캡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34747B1 (ko) * 2011-09-23 2013-11-29 재 술 나 고정용 캡슐 충진형 그라운드 앵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698A (ko) * 2001-08-16 2004-03-10 워너-램버트 캄파니 엘엘씨 수용성 팩키지
JP2005113427A (ja) * 2003-10-03 2005-04-28 Airec Engineering Corp アンカ埋設用固結剤及びそれを用いたアンカの埋設方法
KR101030761B1 (ko) 2010-11-24 2011-04-26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미생물을 이용한 연약 지반의 고결화 방법
KR20120106322A (ko) * 2011-03-18 2012-09-26 주식회사 에코솔라텍 다기능 젤라틴 캡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34747B1 (ko) * 2011-09-23 2013-11-29 재 술 나 고정용 캡슐 충진형 그라운드 앵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6214B1 (ko) 2021-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40306A1 (en) Acoustic Imaging Agent
CN104321494A (zh) 利用掩埋的共振柱的地震波防尘壁
KR102236214B1 (ko) 지반 고결 시스템
Koneshwaran Blast response and sensitivity analysis of segmental tunnel
Kumar et al. Response of semi-buried structures subjected to multiple blast loading considering soil–structure interaction
SA519401255B1 (ar) جلبة مخفف كيميائي
KR102396126B1 (ko) 발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파 방법
CN104275344A (zh) 微爆炸法土壤修复方法
Zhou et al. Rotational failure mechanism for face stability of circular shield tunnels in frictional soils
JP2810970B2 (ja) 地中施設の躯体構造
JP2001336148A (ja) アンカー及びその施工方法
JP2010203211A (ja) 地下構造物および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JP2986697B2 (ja) 地中線状構造物
KR20180061631A (ko) Pele 탄두
Cardu et al. Origin of the vibrations induced by tunnels' excavation
Kim et al. X-ray Diffraction Study of Laser-shocked Forsterite (Mg 2 SiO 4) from 20-130 GPa
Yang et al. Juno Radio Science Observations and Gravity Science Calibrations of Plasma Electron Content in Io Plasma Torus
Krantsfel'd Structural solutions for shields providing engineered seismic protection to construction sites.
JP2016050470A (ja) 吸水ポリマー柱による地下水の遮蔽法
Silverstein Method for Estimating Critical Velocity for Damage to Reentering Fuels Impacting End On
Johnson et al. Fragmentation dynamics from an integrated seismo-acoustic approach
Madden et al. Dynamic Rupture Model of the 2004 Sumatra-Andaman Megathrust Earthquake
Montanaro et al. Experimental constraints of phreatic eruptions at Solfatara volcano, Campi Flegrei
Chevalier et al. Temporal Evolution of Magma Flow Conditions during Dome Growth, Insights from Numerical Modelling.
Freund et al. On the Generation of Ionospheric Atmospheric Gravity Waves (AGWs) before Major Earthquak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