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8520A - 금속 와이어 3d 프린터 - Google Patents

금속 와이어 3d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8520A
KR20200108520A KR1020190024561A KR20190024561A KR20200108520A KR 20200108520 A KR20200108520 A KR 20200108520A KR 1020190024561 A KR1020190024561 A KR 1020190024561A KR 20190024561 A KR20190024561 A KR 20190024561A KR 20200108520 A KR20200108520 A KR 20200108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shielding
metal wire
shielding jig
pr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3113B1 (ko
Inventor
이유철
Original Assignee
클래드코리아원주 주식회사
클래드코리아포항 주식회사
씨알에이파이핑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래드코리아원주 주식회사, 클래드코리아포항 주식회사, 씨알에이파이핑코리아(주) filed Critical 클래드코리아원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4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113B1/ko
Publication of KR20200108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22F3/105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0Additive manufacturing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 B22F10/20Direct sintering or melting
    • B22F10/25Direct deposition of metal particles, e.g. direct metal deposition [DMD] or laser engineered net shaping [L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2/00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Auxiliary means for additive manufacturing; Combinations of additive manufacturing apparatus or devices with other processing apparatus or devices
    • B22F12/20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2/00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Auxiliary means for additive manufacturing; Combinations of additive manufacturing apparatus or devices with other processing apparatus or devices
    • B22F12/70Gas flow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0Additive manufacturing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 B22F10/30Process control
    • B22F10/32Process control of the atmosphere, e.g. composition or pressure in a building chamber
    • B22F2003/105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5Process effici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재료를 와이어 형태로 제공하면서도 챔버를 사용하지 않고 티타늄 등의 금속 재료를 3D 프린팅할 수 있는 금속 와이어 3D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금속 재료가 적층되는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의 위쪽에 위치하며 금속 재료를 용융하기 위한 레이저를 아래로 조사하는 레이저장치; 상기 레이저장치에서 조사된 레이저의 초점 위치에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를 공급하는 피딩장치; 레이저의 초점 위치에 쉴딩가스를 분사하는 쉴딩지그를 포함하며, 상기 쉴딩지그는, 상기 레이저장치에서 조사된 레이저와 상기 피딩장치에서 공급되는 금속 와이어가 지나가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하면이 상기 레이저장치에서 조사된 레이저의 초점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하며, 하면에 형성된 분사홀을 통해서 쉴딩가스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쉴딩지그에 의해서 티타늄과 같이 변질이 쉬운 금속 재료를 챔버 없이 와이어 형태로 제공하여 3D 프린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챔버 없이 티타늄을 3D 프린팅함으로써, 프로펠런트 탱크 등의 제품을 크기 제한 없이 3D 프린팅으로 제작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금속 와이어 3D 프린터{METAL WIRE 3D PRINTER}
본 발명은 3D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금속 재료를 3차원으로 적층하는 3D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D 프린터는 특정 제품을 입체로 만들어 낼 수 있는 프린팅 기술로서, 입체적으로 만들어진 설계도를 이용하여 종이에 인쇄하듯 3차원 공간 안에 재료물질을 적층함으로써 실제 제품을 만들어 낼 수 있는 방법 또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3D 프린팅을 위해서는 재료물질을 적층하기 위하여 용융한 뒤에 응고시키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3D 프린터에 사용되는 재료물질은 폴리머가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재료물질의 한계로 인하여 적용범위가 제한되었고, 물성이 뛰어난 금속 재료를 3D 프린팅하기 위한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금속 재료를 3D 프린팅하기 위한 기술로서, 최근 DED(direct energy deposition)와 DMT(laser-aided direct metal tooling)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이들은 금속 파우더를 스테이지 전체에 깔고 일부를 용융하여 접착하던 기존의 SLA 또는 SLS와는 달리 필요한 부분에만 토출되는 금속 파우더를 레이저와 e-빔과 같은 고에너지원으로 용융 및 적층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DED와 DMT는 금속 파우더가 토출되는 직후에 바로 용융 및 적층되어야 하는 점에서, 노즐에서 보호가스와 금속 파우더 토출되어야 하는 등 노즐의 구조가 제한적이고, 사용되는 레이저에도 제한이 따른다. 나아가 노즐에서 토출되는 보호가스가 금속 파우더에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전체적인 금속 성분의 보호를 위하여 챔버 내부에서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티타늄은 재질의 뛰어난 특성으로 인하여 우주, 항공 및 바이오/의료 등의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지만, 재질의 특성 일반적인 금속 가공 기술의 적용이 어려워 활용이 제한되고 있다. 이에 티타늄을 3D 프린팅하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으나 빠르게 산화되는 특성으로 인하여 적용이 어려우며, 앞서 살펴본 DED나 DMT 같이 산화를 막기 위하여 챔버 내에서 3D 프린팅을 수행하기 때문에 대형 제품을 제작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03141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금속 재료를 와이어 형태로 제공하면서도 챔버를 사용하지 않고 티타늄 등의 금속 재료를 3D 프린팅할 수 있는 금속 와이어 3D 프린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금속 와이어 3D 프린터는, 금속 재료가 적층되는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의 위쪽에 위치하며 금속 재료를 용융하기 위한 레이저를 아래로 조사하는 레이저장치; 상기 레이저장치에서 조사된 레이저의 초점 위치에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를 공급하는 피딩장치; 레이저의 초점 위치에 쉴딩가스를 분사하는 쉴딩지그를 포함하며, 상기 쉴딩지그는, 상기 레이저장치에서 조사된 레이저와 상기 피딩장치에서 공급되는 금속 와이어가 지나가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하면이 상기 레이저장치에서 조사된 레이저의 초점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하며, 하면에 형성된 분사홀을 통해서 쉴딩가스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쉴딩지그는 상기 레이저장치에 체결되어 함께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딩장치는 상기 레이저장치에서 아래로 조사되는 레이저의 측면 방향에서 금속 와이어를 공급하고, 상기 쉴딩지그의 관통부는 상기 피딩장치가 위치하는 방항으로 측면이 개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 초점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쉴딩지그가 레이저의 초점이 지나간 적층부분에도 쉴딩가스를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 초점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쉴딩지그가 레이저의 초점 앞부분에도 쉴딩가스를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쉴딩지그는 티타늄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쉴딩지그 또는 쉴딩가스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레이저장치와 별도로 구성된 쉴딩지그를 적용함으로써, 금속 재료를 와이어 형태로 제공하면서도 챔버를 사용하지 않고 3D 프린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쉴딩지그에 의해서 티타늄과 같이 변질이 쉬운 금속 재료를 챔버 없이 와이어 형태로 제공하여 3D 프린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챔버 없이 티타늄을 3D 프린팅함으로써, 프로펠런트 탱크 등의 제품을 크기 제한 없이 3D 프린팅으로 제작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 와이어 3D 프린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쉴딩지그와 다른 구성요소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쉴딩지그의 위쪽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내려다 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쉴딩지그의 분사홀을 설명하기 위하여 쉴딩지그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금속 와이어 3D 프린터의 프린팅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 와이어 3D 프린터를 사용하여 티타늄을 3차원으로 적층한 적층물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 와이어 3D 프린터를 사용하여 제작된 적층물의 단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7은 비교를 위하여 쉴딩지그에 쉴딩가스를 공급하지 않고 적층한 적충물의 단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이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 와이어 3D 프린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3D 프린터는 스테이지(100), 레이저장치(200), 피딩장치(300) 및 쉴딩지그(400)를 포함한다.
스테이지(100)는 3D 프린팅이 수행되는 바탕으로서, 3D 프린팅된 금속 재료가 적층되어 제품이 제조된다.
레이저장치(200)는 금속 재료를 용융하기 위한 에너지원인 레이저(L)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며, 스테이지(100)의 위쪽에 위치하여 아래쪽에 배치된 스테이지(100)를 향하여 레이저(L)를 수직한 방향으로 조사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은 금속 재료를 파우더 형태가 아닌 와이어 형태로 제공하기 때문에, 레이저장치(200)의 초점거리를 충분히 이용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레이저장치(200) 단부에서 초점까지의 거리가 163mm이며, DED와 DMT에서 금속 파우더를 토출하는 노즐에 맞추어져 있던 것에 비하여 높은 에너지의 레이저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레이저장치(200)는 금속 재료를 적층하여 3차원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 3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장치에 연결된다. 다만, 레이저장치(200)의 움직임은 스테이지(100)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이므로, 레이저장치(200)가 고정되고 스테이지(100)가 움직이는 것도 가능하다.
피딩장치(300)는 금속 재료를 와이어 형태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금속 와이어(W)를 레이저(L)의 초점에 맞추어 연속적으로 제공하는 다양한 기술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아크를 발생하는 아크 토치 기능이 부가된 피딩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피딩장치(300)는 스테이지(100)의 위쪽에서 아래방향으로 조사되는 레이저(L)의 초점에 금속 와이어(W)의 끝부분이 제공될 수 있도록 레이저(L) 경로의 측면 방향에서 금속 와이어(W)를 제공하며, 금속 와이어(W)의 끝부분이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대각선으로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피딩장치(300)는 항상 레이저(L)의 초점에 금속 와이어(W)를 제공할 수 있도록, 레이저장치(200)와의 위치관계가 고정되어야 한다. 또한, 레이저장치(200)와의 위치관계가 고정되어야 금속 재료를 3차원 제품의 형태로 적층하기 위하여 레이저장치(200)가 움직이는 경우, 피딩장치(300)도 레이저장치(200)의 움직임에 따라서 이동하면서 레이저(L)의 초점에 금속 와이어(W)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이저장치(200)와 피딩장치(300)의 위치관계가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별도의 브라켓으로 레이저장치(200)와 피딩장치(300)를 결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레이저(L)의 초점에 공급되는 금속 재료가 와이어 형태인 것으로 표현하고 있으나, 유사한 표현인 필라멘트 형태 등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쉴딩지그(400)는 금속 와이어(W)가 용융되어 적층되는 부분에 쉴딩가스를 토출하여 금속 재료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종래의 DED와 DMT가 금속 파우더를 토출하기 때문에 파우더를 토출하는 노즐 자체에서 보호가스를 방출하였던 것과는 달리, 본 실시예의 3D 프린터는 금속 와이어(W)를 이용하고 그에 따라서 레이저(L)의 초점과 레이저장치(200) 사이에 간격이 형성된다. 따라서 DED와 DMT 같은 방식으로 보호가스를 분출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본 실시예는 별도의 쉴딩지그(400)를 적용하였다. 쉴딩지그(400)는 체결부(410)에 의해서 레이저장치(200)와의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되며, 외부에서 쉴딩가스를 지속적으로 공급받아서 하부로 토출한다. 쉴딩가스의 공급은 쉴딩지그(400)에 직접 주입될 수도 있고, 체결부(410)를 통해서 주입될 수도 있다. 추후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쉴딩지그(400)의 하면의 높이가 레이저(L)의 초점보다 높게 위치되며, 아래쪽으로 쉴딩가스를 토출함으로써 레이저(L)의 초점을 향하여 쉴딩가스를 토출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 와이어 3D 프린터에 적용된 쉴딩지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쉴딩지그와 다른 구성요소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쉴딩지그의 위쪽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내려다 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쉴딩지그(400)는 레이저장치(200)에서 조사된 레이저(L)가 통과하여 아래쪽의 스테이지(100)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관통부(420)가 형성되어 있고, 쉴딩지그(400)의 몸체가 관통부(420)의 주변을 감싸고 있다. 이러한 관통부(420)는 레이저(L)가 지나가는 공간일 뿐만이 아니라 금속 와이어(W)를 제공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대각선으로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금속 와이어(W)의 끝부분을 레이저(L)의 초점에 제공하는 피딩장치(300)의 구성에 맞추어 한쪽 측면 방향이 개방된 형태로 관통부(420)를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한쪽 측면 방향으로 개방된 관통부(420)의 구조에 의해서, 쉴딩지그(400)를 추가로 적용함에도 불구하고, 피딩장치(300)의 구성에는 어떠한 제한도 발생하지지 않는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쉴딩지그의 분사홀을 설명하기 위하여 쉴딩지그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쉴딩지그(400)로 공급되는 쉴딩가스는 하면에 형성된 분사홀(430)을 통해서 레이저(L)의 초점을 향하여 분사된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레이저장치(200)와 피딩장치(300)가 피딩장치(300)가 위치하는 방향쪽으로 이동하면서 금속 재료를 적층하는 경우에 적합한 배치구조이다. 이때, 분사홀(430)의 배치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고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정밀한 적층을 위해서는 상기한 방향으로 레이저장치(200)와 피딩장치(300)가 이동하면서 프린팅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결국, 한쪽 측면 방향으로 개방된 관통부(420)가 레이저장치(200) 및 피딩장치(300)의 진행방향에 나란하게 형성된 경우이므로, 관통부(420)의 주변에 분사홀(430)을 배치하였다. 이때,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분사홀(430)들에서 동시에 쉴딩가스가 분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위치에 따라 분사홀을 그룹으로 묶어서 분사홀 그룹별로 쉴딩가스의 분출여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금속 와이어 3D 프린터의 프린팅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레이저(L)가 금속 와이어(W)를 용융시키는 방법으로 스테이지(100) 위에 적층물(1000)을 적층하며, 기존의 적층물(1000) 위쪽으로 레이저(L)의 초점 높이에서 추가적인 층(1100)이 새로 적층되는 모습을 도시하였다.
쉴딩지그(400)의 내부로 공급된 쉴딩가스(500)가 하면에 형성된 분사홀(430)을 통해서 아래로 분사되면 레이저(L)의 초점 부분까지 쉴딩가스(500)가 도달하여 용융 및 적층되는 금속 재료의 변질을 방지한다. 이때, 쉴딩가스(500)가 새로 적층되는 부분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쉴딩지그(400)의 하단과 레이저(L)의 초점 사이의 간격은 5~10mm 범위로 조절된다.
그리고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 분사홀(430)은 레이저장치(200)와 피딩장치(300)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레이저(L)의 초점부분 뿐만이 아니라 레이저(L)의 초점이 지나간 부분에도 쉴딩가스를 분사한다. 이는 금속 와이어가 용융되었다가 적층된 이후에도 상당히 높은 온도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티타늄과 같이 산화 등이 쉬운 금속 재료의 경우는 변질이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서, 금속 파우더가 토출되는 노즐에만 보호가스를 토출하던 종래의 DED와 DMT는 외부와 차단된 챔버에서 3D 프린팅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레이저(L)의 초점이 지나간 부분에도 쉴딩가스(500)를 분사하기 때문에, 새로 적층된 추가적인 층(1100)의 온도가 충분히 내려갈 때까지 쉴딩가스(500)에 의한 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쉴딩지그(400)의 구조에 의해서 본 실시예의 3D 프린터는 챔버 내에서 프린팅을 수행하는 것이 강제되지 않으며, 기존에 챔버의 크기에 의해서 3D 프린팅을 적용하지 못하였던 제품들에 대해서도 3D 프린팅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길게 배열된 분사홀(430)이 레이저(L)의 초점 부분과 레이저(L)의 초점이 지나간 부분에 고르게 쉴딩가스(500)를 분사할 수 있도록, 쉴딩지그(400)의 내부에 복수의 유로를 형성하거나 망구조물을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길게 배열된 분사홀(430)은 레이저(L)의 초점이 지나가기 전의 위치에도 쉴딩가스(500)를 분사하며, 이는 챔버를 사용하지 않는 본 실시예의 3D 프린터에서 적층부위에 대한 쉴딩 효과를 높이는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쉴딩지그(400)는 고온이 발생하는 레이저(L)의 초점과 5~10mm 범위로 가깝게 위치하여 열에 의한 영향을 받을 수도 있고, 쉴딩가스(500)의 온도가 낮으면 쉴딩효과와 함께 적층물(1000)을 빠르게 냉각하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으므로, 쉴딩지그(400) 또는 쉴딩가스(500)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장치(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좋다.
티타늄을 이용한 우주, 항공 분야의 제품 중에 프로펠런트 탱크(propellant tank)가 있다. 가공이 어려운 티타늄을 사용하여 프로펠런트 탱크를 제작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주조방식을 적용하였으나, 티타늄의 특성상 용융점이 높고 산화가 쉽기 때문에 주조 공정 자체가 매우 어려웠으며, 금형 제작이 비용이 높고 크기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3D 프린팅에 의해서 티타늄 프로펠런트 탱크를 제작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챔버에서 3D 프린팅을 수행해야하는 DED와 DMT의 한계로 인하여 제품의 크기가 더욱 제한되기 때문에 적용이 어려웠다.
반면에, 챔버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본 발명의 3D 프린터를 적용하면 크기의 제한 없이 티타늄 프로펠런트 탱크를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쉴딩지그를 티타늄 재질로 구성하여 다른 금속 재질을 사용함에 따른 오염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 와이어 3D 프린터를 사용하여 티타늄을 3차원으로 적층한 적층물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 와이어 3D 프린터를 사용하여 제작된 적층물의 단면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7은 비교를 위하여 쉴딩지그에 쉴딩가스를 공급하지 않고 적층한 적충물의 단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3D 프린터를 사용하여 와이어 형태의 티타늄을 사용하여 3차원의 적층물을 적층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3D 프린터를 사용하여 쉴딩지그에서 쉴딩가스를 분사하면서 적층된 티타늄 적층물은 챔버가 없는 장치에서 적층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산화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쉴딩지에서 쉴딩가스를 분사하지 않은 도 7의 경우는, 챔버에서 진행되지 않은 영향으로 인하여 산화가 진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챔버가 없는 상태에서 3차원 적층하는 경우에는 산화로 인하여 프로펠런트 탱크에는 적용할 수 없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 실시예의 3D 프린터를 사용하면 챔버가 없이도 산화되지 않은 티타늄을 적층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로펠런트 탱크의 제작에 적합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스테이지
200: 레이저장치
300: 피딩장치
400: 쉴딩지그
410: 체결부
420: 관통부
430: 분사홀
500: 쉴딩가스
L: 레이저
W: 금속 와이어

Claims (7)

  1. 금속 재료가 적층되는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의 위쪽에 위치하며 금속 재료를 용융하기 위한 레이저를 아래로 조사하는 레이저장치;
    상기 레이저장치에서 조사된 레이저의 초점 위치에 와이어 형태의 금속 재료를 공급하는 피딩장치;
    레이저의 초점 위치에 쉴딩가스를 분사하는 쉴딩지그를 포함하며,
    상기 쉴딩지그는, 상기 레이저장치에서 조사된 레이저와 상기 피딩장치에서 공급되는 금속 와이어가 지나가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하면이 상기 레이저장치에서 조사된 레이저의 초점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하며, 하면에 형성된 분사홀을 통해서 쉴딩가스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와이어 3D 프린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쉴딩지그는 상기 레이저장치에 체결되어 함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와이어 3D 프린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딩장치는 상기 레이저장치에서 아래로 조사되는 레이저의 측면 방향에서 금속 와이어를 공급하고,
    상기 쉴딩지그의 관통부는 상기 피딩장치가 위치하는 방항으로 측면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와이어 3D 프린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레이저 초점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쉴딩지그가 레이저의 초점이 지나간 적층부분에도 쉴딩가스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와이어 3D 프린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레이저 초점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쉴딩지그가 레이저의 초점 앞부분에도 쉴딩가스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와이어 3D 프린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쉴딩지그는 티타늄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와이어 3D 프린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쉴딩지그 또는 쉴딩가스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와이어 3D 프린터.


KR1020190024561A 2019-03-04 2019-03-04 금속 와이어 3d 프린터 KR102163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561A KR102163113B1 (ko) 2019-03-04 2019-03-04 금속 와이어 3d 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561A KR102163113B1 (ko) 2019-03-04 2019-03-04 금속 와이어 3d 프린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520A true KR20200108520A (ko) 2020-09-21
KR102163113B1 KR102163113B1 (ko) 2020-10-07

Family

ID=72707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561A KR102163113B1 (ko) 2019-03-04 2019-03-04 금속 와이어 3d 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113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2941A (ja) * 2009-01-30 2010-08-12 Hitachi Ltd レーザ溶接装置
JP2011056556A (ja) * 2009-09-11 2011-03-24 Mazda Motor Corp レーザー溶接方法及びレーザー溶接装置
KR20120111433A (ko) * 2011-03-31 2012-10-10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 아크 용접 장치 및 가스 아크 용접 방법
US20160052089A1 (en) * 2014-08-25 2016-02-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anufacturing process for hard facing aluminum injection molds
JP2016150384A (ja) * 2015-02-19 2016-08-22 トヨタ車体株式会社 レーザー溶接システム及びレーザー溶接方法
KR101674192B1 (ko) * 2016-05-13 2016-11-09 한국기계연구원 삼차원 물체 제조용 차폐챔버
KR20160136969A (ko) * 2015-05-21 2016-11-30 주식회사 다원시스 복수의 유도가열 헤드를 구비한 3d 프린터
KR20180003141A (ko) 2016-06-30 2018-01-0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라즈마 처리를 이용한 금속분말 3d 프린팅 장치
EP3284551A1 (en) * 2016-08-19 2018-02-21 BAE Systems PLC Additive layer manufacturing
WO2018033701A1 (en) * 2016-08-18 2018-02-22 Bae Systems Plc Additive layer manufacturing
KR20180069184A (ko) * 2016-12-14 2018-06-25 한국기계연구원 회전형 보호가스 공급장치
KR101921722B1 (ko) * 2018-07-03 2018-11-23 (주)대주금속 3d 프린팅을 위한 보호가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보호가스 냉각 시스템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2941A (ja) * 2009-01-30 2010-08-12 Hitachi Ltd レーザ溶接装置
JP2011056556A (ja) * 2009-09-11 2011-03-24 Mazda Motor Corp レーザー溶接方法及びレーザー溶接装置
KR20120111433A (ko) * 2011-03-31 2012-10-10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 아크 용접 장치 및 가스 아크 용접 방법
US20160052089A1 (en) * 2014-08-25 2016-02-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anufacturing process for hard facing aluminum injection molds
JP2016150384A (ja) * 2015-02-19 2016-08-22 トヨタ車体株式会社 レーザー溶接システム及びレーザー溶接方法
KR20160136969A (ko) * 2015-05-21 2016-11-30 주식회사 다원시스 복수의 유도가열 헤드를 구비한 3d 프린터
KR101674192B1 (ko) * 2016-05-13 2016-11-09 한국기계연구원 삼차원 물체 제조용 차폐챔버
KR20180003141A (ko) 2016-06-30 2018-01-0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라즈마 처리를 이용한 금속분말 3d 프린팅 장치
WO2018033701A1 (en) * 2016-08-18 2018-02-22 Bae Systems Plc Additive layer manufacturing
EP3284551A1 (en) * 2016-08-19 2018-02-21 BAE Systems PLC Additive layer manufacturing
KR20180069184A (ko) * 2016-12-14 2018-06-25 한국기계연구원 회전형 보호가스 공급장치
KR101921722B1 (ko) * 2018-07-03 2018-11-23 (주)대주금속 3d 프린팅을 위한 보호가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보호가스 냉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3113B1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1722B1 (ko) 3d 프린팅을 위한 보호가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보호가스 냉각 시스템
US20180326525A1 (en) Ded arc three-dimensional alloy metal powder print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arc and alloy metal powder cored wire
CN109689267B (zh) 用于由两个焊枪通过固体自由成形制造来构建金属物体的方法和设备
EP3181333A2 (en) Method of manufacturing three-dimensionally formed object
US20180207721A1 (en) Device and method for additively producing at least one component region of a component
JP6017400B2 (ja) 積層造形装置及び積層造形物の製造方法
KR20160131954A (ko) 3d 프린터
JP2007301980A (ja) レーザ積層方法およびレーザ積層装置
CN108723364B (zh) 3d形状制造用粉末供给装置
KR102331977B1 (ko) 액상 다이렉트 적층이 가능한 3d 프린터 및 이를 이용한 3d 프린팅 방법
EP3075484B1 (en) Laser welding head
JP2023115028A (ja) 積層造形装置及び積層造形方法
CN109550948B (zh) 喷嘴以及层叠造型装置
KR102163113B1 (ko) 금속 와이어 3d 프린터
JP6670033B2 (ja) レーザ金属肉盛装置
JP6227080B2 (ja) 積層造形装置及び積層造形物の製造方法
WO2019131059A1 (ja) 積層造形装置及び積層造形方法
KR101935768B1 (ko) 레이저 클래딩 장치의 헤드부
US2021037968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aminated molding, and laminated molding
KR20210147194A (ko) 등가적층 체적높이 제어방법
US20180178326A1 (en) Vacuum sls method for the additive manufacture of metallic components
KR102008066B1 (ko) 보호가스 냉각형 아크 수축노즐을 이용한 3d프린터의 냉각 시스템
US11440099B2 (en) Processes and systems for double-pulse laser micro sintering
EP3326738A1 (en) Laser deposition and ablation for additive and ablation manufacturing
KR102162916B1 (ko) 펀치금형 고강도소재 적층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