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8201A - Vehicle hose - Google Patents

Vehicle ho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8201A
KR20200108201A KR1020190026827A KR20190026827A KR20200108201A KR 20200108201 A KR20200108201 A KR 20200108201A KR 1020190026827 A KR1020190026827 A KR 1020190026827A KR 20190026827 A KR20190026827 A KR 20190026827A KR 20200108201 A KR20200108201 A KR 20200108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rubber component
vehicle
layer
crosslink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8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재영
김국현
최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Priority to KR1020190026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8201A/en
Publication of KR20200108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20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2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arrangements for particular purposes, e.g. specially profiled, with protecting layer, heated, electrically condu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4Arrangements of piping, valves in the piping, e.g. cut-off valves, couplings or air h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0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 C08J5/042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with carbon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6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4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9/00Compositions of rubb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7/00 - C08L17/00
    • C08L19/003Precrosslinked rubber; Scrap rubber; Used vulcanised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08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reinforcements embedded in the wal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hose. The vehicle hose includes: a thermoplastic rubber component; and a vulcanized rubber component that is crosslinked by a crosslinking agent so that its strength increases when the temperature rises. The vehicle hose is formed in a shape of the hose, and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s adjusted to compensate for the decrease in strength due to the thermoplastic rubber component when the temperature rises with the increase in strength due to the vulcanized rubber component, or increase the strength due to the vulcanized rubber component.

Description

차량용 호스{VEHICLE HOSE}Vehicle hose {VEHICLE HOSE}

본 발명은 차량용 호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도가 상승해도 강도가 유지되거나 증가하는 차량용 호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ho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hose that maintains or increases strength even when the temperature rises.

하이브리드 자동차 (HEV), 전기 자동차 (EV), 연료 전지 자동차 (FCV) 등 차세 대자동차는 일부 또는 전부가 전기에 의한 모터 구동이 되기 때문에 차세대 자동차는 곧 전동화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차세대 자동차는 각종 부품의 경량화가 문제된다.Next-generation vehicles such as hybrid vehicles (HEVs), electric vehicles (EVs), and fuel cell vehicles (FCVs) are driven by electricity, so some or all of them are driven by electricity. In such a next-generation automobile, weight reduction of various parts is a problem.

한편,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는 필연적으로 유압에 의한 압유를 송출하기 위해 호스나 파이프 등을 포함하게 된다. 차량을 감속, 정지시킴 및 주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브레이크 장치의 유압공급 파이프에는 각각의 차륜으로 압유를 원활하게 분배하기 위해 유연한 재질의 유압호스(브레이크 호스)가 연결된다. 또한, 파워스티어링 계통에도 고압 오일을 전송하는 고압 호스가 사용된다. 이러한 호스는 고온환경에서 열팽창 등으로 인해 장기적으로 호스의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rake device of the vehicle inevitably includes a hose or a pipe in order to deliver pressure oil by hydraulic pressure. A hydraulic hose (brake hos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is connected to the hydraulic supply pipe of the brake system used to slow down and stop the vehicle and maintain the parking state to smoothly distribute the hydraulic oil to each wheel. In addition, high-pressure hoses that transmit high-pressure oil are also used in the power steering system. Such a hose may cause a problem in the reliability of the hose in the long term due to thermal expansion or the like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또한, 엔진 근처에 설치되는 차량용 호스의 경우 엔진으로부터의 열로 인해 고온환경에 놓이게 된다.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호스의 처짐이 발생하고, 특히 엔진의 인근의 고온환경에서는 이러한 호스의 처짐이나 호스의 변형이 더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a vehicle hose installed near the engine is placed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due to heat from the engine.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the hose may sag, and in particular, in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near the engine, such sagging of the hose or deformation of the hose may further occur.

이러한 엔진 근처의 호스나 브레이크 호스 등은 운전자의 안전에 직결되기 때문에, 고온고압의 사용 환경에서도 높은 신뢰성을 가진 차량용 호스가 요구된다.Since the hose or brake hose near the engin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afety of the driver, a vehicle hose having high reliability is required even in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use environment.

이러한 차량용 호스를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경량화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소재가 연구되고 있다.While securing safety and reliability for such a vehicle hose, various materials have been studied to achieve weight reduction as described above.

예를 들어, 탄소섬유강화폴리머(CFRP)는 가볍고 강성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CFRP는 이방성 재료이기 때문에 설계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For example,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CFRP) has been recently used because it is light and can increase its rigidity. However, since CFRP is an anisotropic material, it is difficult to design.

한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차량용 호스의 경우, 고무호스로서, 고무재료는 탄성이라는 독특한 특성으로 인하여 여러 산업분야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고무재료는 사용 중 온도변화에 의해 경도 등의 물리적 성질이 변하여 제품의 성능이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case of a generally used vehicle hose, as a rubber hose, a rubber material is widely us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due to its unique property of elasticity. However,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ubber material such as hardness may change due to temperature change during use, and the performance or efficiency of the product may decrease.

특히, 엔진의 근처에 사용되어 고온환경에 노출되는 차량용 호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온도가 상승하면 처짐이 발생하거나 강도가 저하될 수 있어서, 열에 대한 좀더 특별한 대응이 요구된다. In particular, a vehicle hose used in the vicinity of an engine and exposed to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may sag or decrease in strength when the temperature increases as described above, and thus a more specific response to heat is requir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온환경에서도 강성이 저하되지 않고,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는 차량용 호스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hose capable of achieving weight reduction without reducing rigidity even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차량용 호스를 제공한다. 차량용 호스는 열가소성(Thermoplastic) 고무 성분; 그리고 가교제(Crosslinking agent)에 의해 가교되어 온도 상승시 강도가 증가하는 가황 고무 성분;을 포함하며, 호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온도 상승시 상기 열가소성 고무 성분으로 인한 강도 하강을 상기 가황 고무 성분으로 인한 강도 증가에 의해 상쇄하거나, 강도를 증가시키도록, 상기 가교제의 함량이 조절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hose. Vehicle hoses are thermoplastic (Thermoplastic) rubber component; And a vulcanized rubber component that is crosslinked by a crosslinking agent to increase strength when the temperature is increased, and is formed in a shape of a hose, and when the temperature is increased, the strength decrease due to the thermoplastic rubber component is reduced due to the vulcanized rubber component.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s adjusted to offset by increase or to increase the strength.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황 및 DCP(dicumyl peroxi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linking agent may contain at least one of sulfur and dicumyl peroxide (DCP).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고무 성분은 NR, SBR 및 아크릴계 고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ermoplastic rubber compon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NR, SBR, and acrylic rubb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황 고무 성분은 상기 가교제를 제외하고는 상기 열가소성 고무 성분과 동일한 종류의 고무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ulcanized rubber component may be of the same type of rubber as the thermoplastic rubber component except for the crosslinking ag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황 고무 성분이 NR인 경우, 상기 가교제의 함량은 황 2.0phr 이상, 또는 DCP 3.0phr 이상이고, 상기 가황 고무 성분이 SBR인 경우, 상기 가교제의 함량은 황 1.75phr 이상, 또는 DCP 1.0phr 이상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ulcanized rubber component is NR,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s 2.0 phr or more of sulfur, or 3.0 phr or more of DCP, and when the vulcanized rubber component is SBR,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s 1.75 sulfur. It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phr, or greater than or equal to 1.0 phr of DCP.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호스는, 미가황 고무에 상기 가교체를 첨가하고 반죽한 후 가열하여, 가교된 상기 가황 고무 성분과 가교되지 않은 상기 열가소성 고무 성분으로 이루어진 제1 호스층; 그리고 상기 제1 호스층의 외표면을 감싸거나, 상기 제1 호스층의 내표면에 형성된 제2 호스층;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hose includes: a first hose layer comprising the crosslinked vulcanized rubber component and the non-crosslinked thermoplastic rubber component by adding the crosslinked material to unvulcanized rubber, kneading and then heating; And a second hose layer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se layer or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hose lay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온도 상승시, 상기 제1 호스층의 자체 열강성 증가에 더하여, 열팽창되는 상기 제2 호스층이 상기 제1호스층에 가하는 압력으로 인해, 상기 제1 호스층의 열강성이 더 증가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emperature rises, in addition to the increase in thermal stiffness of the first hose layer, due to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irst hose layer by the thermally expanded second hose layer, the first hose layer The thermal stiffness can be further increas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용 호스는 탄소 섬유가 더 혼합되어, 상기 호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hose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the hose by further mixing carbon fib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호스층은 상기 제1 호스층과 다른 가교제에 의해 가교된 가황 고무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hose layer may include a vulcanized rubber component crosslinked by a crosslinking agent different from the first hose lay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호스층 및 상기 제2 호스층 중 적어도 하나는 탄소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hose layer and the second hose layer may include carbon fib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호스가 가교제가 첨가된 가황 고무 성분과 열가소성(Thermoplastic) 고무 성분으로 이루어져, 열가소성 고무 성분에 의한 유연성과 탄력성을 제공하면서도 가황 고무 성분에 의해 온도 상승시 강성이 유지되거나 증가하므로, 기존보다 두께가 감소된 차량용 호스로도 처짐방지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어서, 경량화 및 고온환경에 적합한 차량용 호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 hose is composed of a vulcanized rubber component added with a crosslinking agent and a thermoplastic rubber component, providing flexibility and elasticity due to the thermoplastic rubber component, while maintaining stiffness when the temperature increases by the vulcanized rubber componen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sagging and secure safety even with a vehicle hose having a reduced thickness than before, thereby reducing weight and providing a vehicle hose suitable for high temperature environments.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호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고무의 가교 및 열가소성 고무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열가소성 고무 성분과 가황 고무 성분으로 이루어진 차량용 호스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열가소성 고무 성분과 가황 고무 성분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차량용 호스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호스의 강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호스의 온도에 따른 경도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호스의 온도에 따른 열강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호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호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호스의 제조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vehicle ho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1.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crosslinking of rubber and properties of thermoplastic rubber.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a vehicle hose consisting of a thermoplastic rubber component and a vulcanized rubber component.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a vehicle ho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ing of a thermoplastic rubber component and a vulcanized rubber component.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ength of a vehicle ho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hardness chang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vehicle ho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hermal stiffnes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a vehicle ho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vehicle ho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vehicle ho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vehicle ho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refo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the cas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호스(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vehicle hos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1.

차량용 호스(100)는 엔진 인근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호스, 및 파워스티어링 호스 등, 고온 환경이거나, 압력전달 메커니즘에 사용되는 차량용 호스일 수 있다. 차량용 호스는 상기한 호스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vehicle hose 100 may be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such as a brake hose installed near an engine and a power steering hose, or a vehicle hose used for a pressure transmission mechanism. The vehicle hose is not limited to the above hos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호스(100)는 온도가 증가하는 경우, 온도응력(열강성)이 저하되지 않고 유지되거나, 더 증가하는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기존의 호스보다 안전성이나 신뢰성이 더 우수하고, 특히, 기존의 호스보다 더 작은 두께로 호스를 형성하여도 충분한 강성이 확보되므로(도 2의 하측 그림 참조),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고, 비용적 측면에서도 절감된다.The vehicle hos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haracteristic that, when the temperature increases, the temperature stress (thermal stiffness) is maintained without being lowered or further increases. Therefore, it has better safety and reliability than the existing hose, and in particular, since sufficient rigidity is secured even if the hose is formed with a smaller thickness than the existing hose (refer to the lower figure of Fig. 2), weight reduction can be achieved, It is also reduced in cost.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호스(100)는 열가소성 고무 성분과 가교제(Crosslinking agent)가 첨가된 가황 고무 성분을 포함한다. 차량용 호스(100)는 미가황 고무에 가교제츨 첨가하고 반죽한 후 가열하여 가교시킴으로써, 가교된 가황 고무 성분과 가교되지 않은 열가소성 고무 성분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vehicle hos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thermoplastic rubber component and a vulcanized rubber component to which a crosslinking agent is added. The vehicle hose 100 may be formed to be made of a crosslinked vulcanized rubber component and a non-crosslinked thermoplastic rubber component by adding a crosslinking agent to the unvulcanized rubber, kneading, and crosslinking by heating.

열가소성 고무 성분으로 인해 차량용 호스(100)는 유연성 및 제조시에 가공성과 성형성이 매우 좋을 수 있지만, 열가소성 고무 성분은 온도 상승시 강도가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가교제에 의해 가교된 가황 고무 성분은 온도가 상승해도 강도가 유지되거나, 강도가 오히려 증가할 수 있다. Due to the thermoplastic rubber component, the vehicle hose 100 may have very good flexibility, processability and moldability during manufacture, but the thermoplastic rubber component tends to decrease strength when the temperature rises. On the other hand, the strength of the vulcanized rubber component crosslinked by 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maintained even when the temperature increases, or the strength may rather increase.

본 실시예에서는 열가소성 고무 성분의 유연성 및 가공성 등 장점을 취하되, 온도상승, 즉 열로 인한 강도 하강의 문제를, 가황 고무 성분으로 인한 강도 증가에 의해 상쇄하거나, 오히려 강도를 증가시키도록, 가교제의 함량이 조절되어 차량용 호스(100)가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lexibility and processability of the thermoplastic rubber component are taken, but the problem of the increase in temperature, that is, the strength decrease due to heat, is offset by the increase in strength due to the vulcanized rubber component, or rather, the strength of the crosslinking agent is increased. The content is adjusted so that the vehicle hose 100 may be formed.

도 3은 고무의 가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crosslinking of rubber.

상온(常溫)에서 고무상(狀) 탄성을 나타내는 사슬 모양의 고분자물질이나 그 원료가 되는 고분자 물질을 고무라 한다. 고무에는 천연고무와 합성고무가 있다. A chain-shaped polymer material that exhibits rubbery elasticity at room temperature or a polymer material that is a raw material for it is called rubber. There are natural rubber and synthetic rubber for rubber.

고무재료는 가교형태에 따라 다양한 물성의 변화를 보인다. 고무재료의 가교방법 중에서 황과peroxide를 사용하는 가교방법이 알려져 있다.Rubber materials show various physical properties depending on the crosslinking type. Among the crosslinking methods of rubber materials, a crosslinking method using sulfur and peroxide is known.

가황에 의한 가교란 원료 고무에 황이나 다른 가황제(유기과산화물 등)을 가하여 가열(또는 방사선 조사 등)을 하여, 가교점들을 형성하여(도 3의 상측의 우측 그림 참조) 고무 분자간에 강력한 결합을 갖게 하고, 소성흐름을 감소시키고 탄성 및 인장강도 등을 증대시키는 것을 말한다. 고무에 용매를 침투시켜, 전후의 무게 차이, 밀도, Flory-Rehner equation을 이용하여 가교도를 분석할 수 있다.Crosslinking by vulcanization refers to a strong bond between rubber molecules by heating (or irradiating with radiation, etc.) sulfur or other vulcanizing agent (organic peroxide, etc.) to the raw rubber to form crosslinking points (refer to the upper right figure in Fig. 3). It means to increase the elasticity and tensile strength, and to reduce the plastic flow. By infiltrating the solvent into the rubber, the crosslinking degree can be analyzed using the difference in weight, density, and Flory-Rehner equation before and after.

고무재료는 온도의 증가에 따라 추가적인 가교반응이나 polysulfide 사슬의 낮은 차수로의 교환으로 인한 가교밀도의 증가로 인해 경도의 증가가 일어날 수도 있다.Rubber materials may have an increase in hardness due to an additional crosslinking reaction with an increase in temperature or an increase in crosslinking density due to the exchange of polysulfide chains to a lower order.

한편, 차량용 호스(100)의 미가교된 부분은 열가소성(Thermoplastic)을 가질 수 있다(도 3의 하측 그림 참조). 즉, 열가소성 고무 성분은 저온에서는 결정질(crystalline)상으로, 고온에서 비정질(amorphous)상으로 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ncrosslinked part of the vehicle hose 100 may have a thermoplastic (See the lower figure of FIG. 3). That is, the thermoplastic rubber component may change into a crystalline phase at low temperatures and into an amorphous phase at high temperatures.

상온에서는 분자사슬의 운동이 적어지며 분자사슬 간의 거리가 가까워진다. 열가소성 고무 성분이 고온에서 열을 받아 비정질(amorphous)상으로된 경우 분자사슬이 불규칙적 운동을 하게 되어 분자사슬 간의 packing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At room temperature, the movement of molecular chains decreases and the distance between molecular chains becomes closer. When a thermoplastic rubber component is heated at a high temperature and becomes an amorphous phase, the molecular chains move irregularly and the packing distance between the molecular chains becomes farther.

 분자사슬은 서로 가까울수록 서로를 당기는 인력(Van der waals force)이 커지며, 서로 멀어지면서 인력이 약해져 고무의 강성이 저하될 수 있다.The closer the molecular chains are to each other, the greater the van der waals force, and as the molecular chains move away from each other, the attractive force weakens and the stiffness of the rubber may decrease.

도 4는 열가소성 고무 성분과 가황 고무 성분으로된 차량용 호스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열가소성 고무 성분과 가황 고무 성분으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차량용 호스(100)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호스(100)의 강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a vehicle hose made of a thermoplastic rubber component and a vulcanized rubber component.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hos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thermoplastic rubber component and a vulcanized rubber component.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ength of the vehicle hos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차량용 호스(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열가소성 고무 성분과 가교제에 의해 가교된 가황 고무 성분으로 이루어진 호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hos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a hose shape made of a vulcanized rubber component crosslinked by a thermoplastic rubber component and a crosslinking agent.

도 4및 도 6의 상측 그림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온도가 상승하면 열가소성 고무 성분으로 인해 강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차량용 호스(100)는 황 등의 가교제가 첨가된 가황 고무 성분으로 인해 온도상승시 오히려 강도가 증가하는 경향도 함께 존재한다(도 5 및 도 6의 하측 그림 참조). As illustrated in the upper figure of FIGS. 4 and 6, when the temperature increases, the strength may tend to decrease due to the thermoplastic rubber component. However, the vehicle hos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also has a tendency to increase its strength when the temperature rises due to a vulcanized rubber component to which a crosslinking agent such as sulfur is added (refer to the lower figures of FIGS. 5 and 6 ).

이러한 경향이 서로 상쇄될 수 있으며, 그 경향의 크기에 따라 결과적인 강도의 저하나 상승이 가능하다.These tendencies may cancel each other out, and the resulting strength may decrease or increase depending on the magnitude of the tendencies.

도 5에 제시된 예는 가교도(가교밀도)를 크게한 가황 고무 성분이 미가교 부분인 열가소성 고무 성분으로 인한 온도 상승에 따른 강도저하를 상쇄하거나, 오히려 결과적으로 강도를 상승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The example shown in FIG. 5 shows that the vulcanized rubber component with an increased degree of crosslinking (crosslinking density) can offset the decrease in strength due to temperature rise due to the thermoplastic rubber component, which is an uncrosslinked part, or rather increase the strength as a result.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호스(100)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황 고무 성분의 가교밀도가 충분히 크도록 하여 온도 상승시 강도가 유지되거나 상승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5, the vehicle hos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such that the vulcanized rubber component has a sufficiently large crosslinking density to maintain or increase the strength when the temperature increases.

상기 가교제로는 황 및 peroxide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peroxide로는 DCP(dicumyl peroxide)가 사용될 수 있다. 가교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t least one of sulfur and peroxide may be used as the crosslinking agent, and dicumyl peroxide (DCP) may be used as peroxide. The crosslinking agent is not limited thereto.

가교제가 첨가된 고무 성분, 즉 가황 고무 성분은 NR, SBR 및 아크릴계 고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호스(100)의 미가교 부분도 가교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가황 고무 성분과 동일 종류의 고무일 수 있다.The rubber component to which the crosslinking agent is added, that is, the vulcanized rubber compon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NR, SBR, and acrylic rubber. Except that the uncrosslinked part of the vehicle hose 100 is also not crosslinked, it may be of the same type of rubber as the vulcanized rubber component.

차량용 호스(100)는 사출형성 방식으로 차량용 제조될 수 있다.The vehicle hose 100 may be manufactured for a vehicle by an injection molding method.

도 7은 온도에 따른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호스의 경도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 change in hardness of the vehicle ho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도 7(a)에는 다양한 함량의 황 또는 DCP로 가교시킨 천연고무(NR)의 경도를 여러 가지 온도에서 측정한 결과가 나타나 있다.7(a)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hardness of natural rubber (NR) crosslinked with various amounts of sulfur or DCP at various temperatures.

도 7(a)에서 알 수 있듯이, 온도의 증가에 따라 NR의 경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변화는 온도증가에 대한 고무분자 사슬의 운동성 증가나 가교밀도의 변화와 관계가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As can be seen from Fig. 7(a), the hardness of NR tends to increase with increasing temperature. This change can be interpreted as being related to the increase in the mobility of the rubber molecular chain or the change in the crosslinking density with an increase in temperature.

NR의 경우는 cis-1,4-polyisoprene 구조를 가진 서로 뒤섞여 있는 긴 사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사슬구조로 인하여 유리전이온도 이상에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분자의 운동성 증가에 따른 엔트로피 증가의 영향으로 NR의 경도 또는 모듈러스가 증가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NR, it is composed of long chains intermingled with each other with cis-1,4-polyisoprene structure, and due to this chain structure, NR is affected by the increase in entropy due to the increase in molecular motility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above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he hardness or modulus of can be increased.

황으로 가교시킨 고무시편의 경우는 온도증가에 따라 황 결합의 차수변화가 일어나 가교밀도의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온도증가에 따른 가교밀도의 변화 또한 차량용 호스(100)의 경도 또는 모듈러스의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In the case of a rubber specimen crosslinked with sulfur, a change in the order of sulfur bonds may occur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resulting in a change in crosslinking density. A change in crosslinking density according to an increase in temperature may also affect a change in hardness or modulus of the vehicle hose 100.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호스(100)의 가황 고무 성분이 NR인 경우, 온도 상승에 따른 경도 상승 효과를 위해, 상기 가교제의 함량은 황 2.0phr 이상, 또는 DCP 3.0phr 이상일 수 있다.When the vulcanized rubber component of the vehicle hos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NR,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2.0 phr or more of sulfur or 3.0 phr or more of DCP for a hardness increase effect according to temperature increase.

도 7(b)에는 다양한 함량의 황과 DCP로 가교시킨 SBR(Styrene Butadiene Rubber) 시편의 경도측정 결과가 나타나 있다. Figure 7(b) shows the results of hardness measurement of SBR (Styrene Butadiene Rubber) specimens crosslinked with various amounts of sulfur and DCP.

SBR 역시 온도의 증가에 따라 경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황으로 가교시킨 경우에는 NR과 SBR 모두 황의 함량증가에 따라 비슷한 비율로 경도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SBR also tends to increase in hardness with increasing temperature. In the case of crosslinking with sulfur, it can be seen that the hardness of both NR and SBR increases at a similar rate as the sulfur content increases.

이에 반해 DCP로 가교시킨SBR의 경우는 DCP로 가교시킨 NR과 비교할 때 소량의 DCP로도 큰 경도변화를 보이고 있다. 이는 SBR은 소량의 DCP로도 큰 가교효과를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SBR crosslinked with DCP shows a large change in hardness even with a small amount of DCP compared to NR crosslinked with DCP. This is because SBR can exhibit a large crosslinking effect even with a small amount of DCP.

온도의 증가에 따른 고무시편의 경도증가의 원인은 가교밀도의 변화나 엔트로피 증가에 의한 온도 응력의 영향 등을 고려할 수 있다.The cause of the increase in hardness of the rubber specimen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emperature can be considered the effect of temperature stress due to the change in crosslinking density or the increase in entropy.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호스(100)의 가황 고무 성분이 SBR인 경우, 온도증가에 따른 경도증가의 효과, 즉 강도증가의 효과를 위해, 상기 가교제의 함량은 황 1.75phr 이상, 또는 DCP 1.0phr 이상일 수 있다.When the vulcanized rubber component of the vehicle hos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BR,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s 1.75 phr or more of sulfur, or 1.0 phr of DCP for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hardness according to temperature increase, that is, increasing the strength. It can be more than that.

도 8은 온도에 따른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호스의 열강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8(a) 및 도 8(b)는 온도증가에 따른 경도증가의 원인 중에 하나인 엔트로피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NR과 SBR 시편의 온도변화에 따른 온도응력을 측정한 실험 결과이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hermal stiffness of the vehicle ho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8(a) and 8(b) are experimental results of measuring temperature stress according to temperature change of NR and SBR specimens to find out the effect of entropy, which is one of the causes of hardness increase according to temperature increase.

시편에 일정한 변형을 주게 되면 무질서하게 배열된 사슬들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향을 하게 되며 낮은 엔트로피 상태가 된다. 여기에 열을 가하게 되면 분자의 운동에너지가 증가하게 되고 높은 엔트로피 상태로 가려는 특성으로 인해 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발생하는 온도응력은 엔트로피에 의한 응력발생과 열팽창이 원인이며 시간이 경과하면 응력완화 현상에 의해 약간 감소한다.When a certain strain is applied to the specimen, the randomly arranged chains are oriented in a certain direction, resulting in a low entropy state. When heat is applied to this, the kinetic energy of the molecule increases, and stress is generated due to the property of going to a high entropy state. The temperature stress generated at this time is caused by the occurrence of stress and thermal expansion due to entropy, and it slightly decreases due to the stress relaxation phenomenon over time.

일정압력으로 눌린 시편에 온도의 변화에 의한 엔트로피 증가나 열팽창에 의한 온도응력이 발생하게 되면 경도가 증가하게 된다. 그래프에 보여진 것과 같이 온도가 증가할수록 고무시편에 발생되는 온도응력은 증가한다. When a specimen pressed with a constant pressure increases in entropy due to a change in temperature or a temperature stress occurs due to thermal expansion, the hardness increases. As shown in the graph,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the temperature stress generated in the rubber specimen increases.

이 결과로부터 가교된 고무시편의 유리전이 온도 이상에서 온도 증가에 따른 경도의 증가는 주로 온도응력의 발생 때문으로 해석된다.From this result, it is interpreted that the increase in hardness with increasing temperature above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crosslinked rubber specimen is mainly due to the occurrence of temperature stress.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호스(100)는 열가소성 고무 성분과 가황 고무 성분에 더하여, 탄소 섬유가 더 혼합되어 탄소섬유강화폴리머적 특성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o the thermoplastic rubber component and the vulcanized rubber component, the vehicle hos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to have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properties by further mixing carbon fibers.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호스(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vehicle hos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제시된 실시예의 차량용 호스(100)는 제1 호스층(110) 및 제2 호스층(130)을 포함한다. The vehicle hose 100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includes a first hose layer 110 and a second hose layer 130.

제1 호스층(110)은 열가소성 고무 성분 및 가황 고무 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호스층(110)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8에서 설명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first hose layer 110 may be made of a thermoplastic rubber component and a vulcanized rubber component.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hose layer 11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or similar to those described in FIGS. 1 to 8,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2 호스층(130)은 제1 호스층(110)의 외표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호스층(130)은 단순 고무층이거나, 가교제에 의한 가교를 증가시켜 온도상승시 경도가 증가하는 가황 고무층일 수 있다. 또는 제2 호스층(130)은 탄소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hose layer 130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se layer 110. The second hose layer 130 may be a simple rubber layer or a vulcanized rubber layer whose hardness increases when the temperature increases by increasing crosslinking by a crosslinking agent. Alternatively, the second hose layer 130 may include carbon fiber.

또는 제2 호스층(130)은 제1 호스층(110)과 다른 가교제에 의해 가교된 고무 성분을 포함하여, 온도 상승시 팽창율이나 경도 강화 특성에 있어서, 제1 호스층(110)과 제2 호스층(130) 간에 차이가 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econd hose layer 130 includes a rubber component crosslinked by a crosslinking agent different from the first hose layer 110, and in terms of expansion rate or hardness reinforcing properties when the temperature rises, the first hose layer 110 and the second There may be a difference between the hose layer 130.

외부응력에 의해 신장 또는 배향되어 낮은 엔트로피 상태에 있는 고무사슬은 열 에너지를 받으면 분자의 운동성이 증가하여 엔트로피가 증가하게 되며, 고무사슬이 무질서한 코일형태로 변하게 된다. 이러한 엔트로피적 탄성거동이 온도의 변화에 따른 고무재료의 경도나 탄성율 변화에 결정적 원인을 제공할 수 있다. When the rubber chain is elongated or oriented by external stress and is in a low entropy state, when it receives heat energy, the mobility of the molecule increases and the entropy increases, and the rubber chain changes into a disordered coil shape. Such entropy elastic behavior can provide a decisive cause for changes in hardness or elastic modulus of rubber materials according to changes in temperature.

또한, 고무재료는 온도의 증가에 따라 추가적인 가교반응이나 polysulfide 사슬의 낮은 차수로의 교환으로 인한 가교밀도의 증가로 인해 경도의 증가가 일어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hardness of the rubber material may increase due to an additional crosslinking reaction with an increase in temperature or an increase in crosslinking density due to the exchange of polysulfide chains to a lower order.

본 실시예에서, 온도 상승시 팽창율이나 경도 강화 특성에 있어서, 제1 호스층(110)과 제2 호스층(130) 간에 차이가 있는 경우, 제2 호스층(130)은 제1 호스층(110)에 대해 압력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제1 호스층(110)은 제2 호스층(130)에 의해 일종의 외부 압력을 받는 상태가 되며, 온도 상승시 열팽창에 의해 이러한 외부 압력을 받는 효과를 더욱 증대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when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hose layer 110 and the second hose layer 130 in the expansion rate or hardness reinforcing characteristics when the temperature rises, the second hose layer 130 is the first hose layer ( 110). Accordingly, the first hose layer 110 is in a state of receiving a kind of external pressure by the second hose layer 130, and the effect of receiving such external pressure by thermal expansion when the temperature is increased may be further increased.

따라서, 온도 상승시, 상기 제1 호스층(110)의 자체 열강성 증가에 더하여, 열팽창되는 상기 제2 호스층(130)이 상기 제1호스층에 가하는 압력으로 인해, 상기 제1 호스층(110)의 열강성이 더 증가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temperature rises, in addition to the increase in the thermal stiffness of the first hose layer 110, due to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irst hose layer by the thermally expanded second hose layer 130, the first hose layer ( 110) can be further increased.

즉, 제1 호스층(110)의 강성 증가로 인해, 고온 고압 등 환경에 더욱 내구성이 높은 차량용 호스(100)를 제공할 수 있다.That is, due to the increase in the rigidity of the first hose layer 110,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ehicle hose 100 that is more durable in environments such as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특히, 제2 호스층(130)의 고무 성분이 가교제에 의해 가교된 고무이고, 가교제가 제1 호스층(110)과 다른 경우, 제1 호스층(110)과 제2 호스층(130)은 온도 상승에 따른 거동에 차이가 있으므로, 제1 호스층(110)이 제2 호스층(130)에 의해 구속되어 외력을 받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온도 상승시 제1 호스층(110)의 강성이 더욱 증가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rubber component of the second hose layer 130 is a rubber crosslinked by a crosslinking agent, and the crosslinking agen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hose layer 110, the first hose layer 110 and the second hose layer 130 Sinc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behavio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increase, the first hose layer 110 may be constrained by the second hose layer 130 to receive an external force, and as a result, the first hose layer 110 when the temperature rises The stiffness of can be further increased.

제1 호스층(110) 및 제2 호스층(130) 중 적어도 하나는 탄소섬유로 강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호스층(110) 및 제2 호스층(130) 중 적어도 하나의 탄소섬유는 편조된 편조층을 이룰 수도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hose layer 110 and the second hose layer 130 may be reinforced with carbon fiber. In this case, at least one carbon fiber of the first hose layer 110 and the second hose layer 130 may form a braided braided layer.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호스(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a vehicle hos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제시된 실시예의 차량용 호스(100)는 제1 호스층(110) 및 제2 호스층(130)을 포함한다. The vehicle hose 100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0 includes a first hose layer 110 and a second hose layer 130.

제1 호스층(110)은 도 9에 제시된 실시예의 제1 호스층(110)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first hose layer 110 is similar to the first hose layer 110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2 호스층(130)은 제1 호스층(110)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호스층(130)이 팽창시 제1 호스층(110)에 외력으로 작용하여 온도상승에 따른 제1 호스층(110)의 경도 내지 강도 증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제2 호스층(130)은 도 9에 제시된 실시예의 제2 호스층(130)과 유사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2 The hose layer 130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hose layer 110. When the second hose layer 130 is expanded, it acts as an external force on the first hose layer 110 to help increase the hardness or strength of the first hose layer 110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increase. Since the second hose layer 130 is similar to the second hose layer 130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further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호스(100)의 제조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vehicle hos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차량용 호스(100)를 제조하는 경우, 예를 들어, 먼저, 미가황 고무에 도 5 및 도 6에서 설명된 특성, 즉 온도 상승시 강도 유지 또는 상승 특성을 이룰 수 있도록 양이 조절된 가교제를 첨가하고 반죽하여 원료를 만든다.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the vehicle hose 100 shown in FIG. 9, for example, first, the amount of the unvulcanized rubber has the characteristics described in FIGS. 5 and 6, that is, strength maintenance or increasing characteristics when the temperature rises. The adjusted crosslinking agent is added and kneaded to make raw materials.

이후, 원료탱크로부터 제공된 이러한 원료를 압출기(2)에서 압출하여 제1 호스층(110)을 압출하고, 냉각기(4)에 의해 제1 호스층(110)을 냉각시킬 수 있다. Thereafter, this raw material provided from the raw material tank is extruded by the extruder 2 to extrude the first hose layer 110, and the first hose layer 110 may be cooled by the cooler 4.

이후, 제1 호스층(110)을 열처리기(10)를 통해 소정의 열처리를 할 수 있다. 이때, 제1 호스층(110)에 가교반응이 일어나서, 일부가 가황 고무 성분이 되고 일부가 가교되지 않아서 열가소성 고무 성분이 될 수 있다.Thereafter, the first hose layer 110 may be subjected to a predetermined heat treatment through the heat treatment unit 10. At this time, a crosslinking reaction occurs in the first hose layer 110, so that a part of the vulcanized rubber component and a part of the first hose layer 110 may not be crosslinked, and thus a thermoplastic rubber component may be obtained.

한편, 제1 호스층(110)을 압출하기 전에 일부 가교공정이 진행된 원료를 압출하여 제1 호스층(110)을 형성하고 열처리에 의해 가교를 추가로 진행하는 공정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before extruding the first hose layer 110, a process of forming the first hose layer 110 by extruding a raw material subjected to a partial crosslinking process and further performing crosslinking by heat treatment is also possible.

이후, 원료 공급기(6)에는 제2 호스층(130) 형성을 위한 원료가 저장되어 있고, 제2 호스층(130) 형성을 위한 원료가 압출기(12)로 공급되고, 압출기(12)는 제1 호스층(110)의 외면에 제2 호스층(130)을 형성하고, 추가적 열처리가 진행될 수도 있고, 이에 따라 차량용 호스(100)를 제조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raw material for forming the second hose layer 130 is stored in the raw material feeder 6, and the raw material for forming the second hose layer 130 is supplied to the extruder 12, and the extruder 12 is 1 The second hose layer 130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se layer 110 and additional heat treatment may be performed, and accordingly, the vehicle hose 100 may be manufacture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차량용 호스
110 : 제1 호스층
130 : 제2 호스층
100: vehicle hose
110: first hose layer
130: second hose layer

Claims (10)

차량용 호스에 있어서,
열가소성(Thermoplastic ) 고무 성분; 그리고
가교제(Crosslinking agent)에 의해 가교되어 온도 상승시 강도가 증가하는 가황(Vulcanization) 고무 성분;을 포함하며, 호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온도 상승시 상기 열가소성 고무 성분으로 인한 강도 하강을 상기 가황 고무 성분으로 인한 강도 증가에 의해 상쇄하거나, 강도를 증가시키도록, 상기 가교제의 함량이 조절된 차량용 호스.
In the vehicle hose,
Thermoplastic rubber component; And
A vulcanization rubber component that is crosslinked by a crosslinking agent to increase strength when the temperature increases, and is formed in a hose shape,
A vehicle hose in which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s adjusted to compensate for the decrease in strength due to the thermoplastic rubber component when the temperature rises, or increase the strength due to the vulcanized rubber compon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황 및 DCP(dicumyl peroxi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호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crosslinking agent is a vehicle hos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at least one of sulfur and DCP (dicumyl perox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고무 성분은 NR, SBR 및 아크릴계 고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호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thermoplastic rubber component comprises at least one of NR, SBR, and acrylic rub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황 고무 성분은 가교제를 제외하고는 상기 열가소성 고무 성분과 동일한 종류의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호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vulcanized rubber component is a vehicle hose, characterized in that the rubber of the same type as the thermoplastic rubber component except for a crosslinking agen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황 고무 성분이 NR인 경우, 상기 가교제의 함량은 황 2.0phr 이상, 또는 DCP 3.0phr 이상이고,
상기 가황 고무 성분이 SBR인 경우, 상기 가교제의 함량은 황 1.75phr 이상, 또는 DCP 1.0phr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호스.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vulcanized rubber component is NR,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s sulfur 2.0 phr or higher, or DCP 3.0 phr or higher,
When the vulcanized rubber component is SBR,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s sulfur 1.75 phr or more, or DCP 1.0 phr or m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호스는,
미가황 고무에 상기 가교제를 첨가하고 반죽한 후 가열하여, 가교된 상기 가황 고무 성분과 가교되지 않은 상기 열가소성 고무 성분으로 이루어진 제1 호스층; 그리고
상기 제1 호스층의 외표면을 감싸거나, 상기 제1 호스층의 내표면에 형성된 제2 호스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호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vehicle hose,
A first hose layer made of the crosslinked vulcanized rubber component and the non-crosslinked thermoplastic rubber component by adding the crosslinking agent to the unvulcanized rubber, kneading and heating it; And
And a second hose layer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se layer or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hose layer.
제6항에 있어서,
온도 상승시, 상기 제 1 호스층의 자체 열강성 증가에 더하여, 열팽창되는 상기 제2 호스층이 상기 제1호스층에 가하는 압력으로 인해, 상기 제 1 호스층의 열강성이 더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호스.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temperature rises, the thermal stiffness of the first hose layer further increases due to the pressure exerted on the first hose layer by the second hose layer to be thermally expanded in addition to the increase in the thermal stiffness of the first hose layer. Vehicle hose.
제1항에 있어서,
탄소 섬유가 더 혼합되어, 상기 호스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호스.
The method of claim 1,
A vehicle hos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bon fiber is further mixed to form the hose shap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호스층은 상기 제1 호스층과 다른 가교제에 의해 가교된 가황 고무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호스.
The method of claim 6,
The second hose layer is a vehicle hos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ulcanized rubber component crosslinked by a crosslinking agent different from the first hose lay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호스층 및 상기 제 2 호스층 중 적어도 하나는 탄소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호스.
The method of claim 6,
At least one of the first hose layer and the second hose layer comprises carbon fiber.
KR1020190026827A 2019-03-08 2019-03-08 Vehicle hose KR2020010820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827A KR20200108201A (en) 2019-03-08 2019-03-08 Vehicle ho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827A KR20200108201A (en) 2019-03-08 2019-03-08 Vehicle ho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201A true KR20200108201A (en) 2020-09-17

Family

ID=72707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827A KR20200108201A (en) 2019-03-08 2019-03-08 Vehicle ho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820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7661B2 (en) Low noise tire
KR20120001729A (en) Crosslinkable rubber composition, uses thereof, rubber granules made of the same, and methods of preparation and injection forming methods of the rubber granules
Kashani Aramid‐short‐fiber reinforced rubber as a tire tread composite
KR102044549B1 (en) Carbon fiber-reinforced plastic material with nanofiller mixed therein,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5367966B2 (en) Rubber composition for tire
Njuguna et al. Toughening mechanisms for glass fiber-reinforced polyamide composites
Utrera-Barrios et al. Self-Healing Elastomers: A sustainable solution for automotive applications
US8999101B2 (en) Method for mutually adhering moulded articles of vulcanized rubber
KR101315747B1 (en) Protective tube for car suspension coil spring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Deepalekshmi et al. Advances in elastomers: their blends and interpenetrating networks-state of art, new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KR20200108201A (en) Vehicle hose
JP2012219246A (en) Rubber composition, and tire using the same
KR101912108B1 (e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vehicle rubber hose and vehicle rubber hose manufactured by the same
KR101413176B1 (en) Release Cover for Tire Cure Bladd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002387B2 (en) Brake hose
US10266663B2 (en) Continuous fiber reinforced composi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5824299B2 (en) Ply material for carcass ply and pneumatic tire using the same
US8393626B2 (en) Continuously cured EPDM used in various dampening applications including vehicle axle cords
JP7408527B2 (en) Molding parts and their uses
CN108623927A (en) Tyre vulcanization capsu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capsule rubber composition
KR101950905B1 (en) Rubber composition for vehicle seat damp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f vehicle seat damper comprising the same
JP4758940B2 (en) Damper manufacturing method and disc brake shim plate
JP2021091877A (en) Molding member and application of the same
Rahman et al. Cellulose-reinforced rubber composites
KR20190000068A (en) Rubber Composition For Brake Hose And Brake Hose Manufactured From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