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7689A - 냉장고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7689A
KR20200107689A KR1020190027199A KR20190027199A KR20200107689A KR 20200107689 A KR20200107689 A KR 20200107689A KR 1020190027199 A KR1020190027199 A KR 1020190027199A KR 20190027199 A KR20190027199 A KR 20190027199A KR 20200107689 A KR20200107689 A KR 20200107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module
compressor
motor
refrigerator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성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7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7689A/ko
Publication of KR20200107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6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3/00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3/06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opping or slowing an individual dynamo-electric motor or dynamo-electric converter
    • H02P3/18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opping or slowing an individual dynamo-electric motor or dynamo-electric converter for stopping or slowing an ac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1Invert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5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 F25B2600/0253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with variabl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5Power, e.g. by voltage or current
    • F25B2700/151Power, e.g. by voltage or current of the compressor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의 정지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줄일 수 있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외부 전원과 냉장고의 제어 장치 사이에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2개의 스위치 모듈(제1 스위치 모듈 및 제2 스위치 모듈)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어기는 압축기 신호 출력 모듈이 출력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서 제1 스위치 모듈의 개폐 상태를 확인하고, 제1 스위치 모듈이 열린 것으로 확인되면 압축기의 모터에 대한 감속 제어를 통해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하면서 압축기를 정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FRIGERATOR}
본 발명은 압축기의 정지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줄일 수 있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온으로 저장하기 위한 기기로서,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저장실 내부에 음식물이 저장된다. 냉장고의 저장실 내부는 냉동 사이클에 따라서 순환하는 냉매의 열교환에 의해 생성되는 냉기에 의하여 냉각된다.
냉장고 내부에는 냉매를 압축시키기 위한 압축기(compressor)가 구비된다.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높아지면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서 압축기가 구동되면서 냉기가 생성되어 저장실 내부에 대한 냉각이 이루어진다. 냉각 동작에 의해서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낮아지면 압축기는 정지된다.
현재 출시되고 있는 냉장고 중 일부 냉장고에는 설치된 공간의 온도 변화에 따라서 접점이 개폐되는 스위치형 모듈, 예컨대 써모스탯(Thermostat)이 적용된다. 써모스탯과 같은 스위치형 모듈은 외부 전원과 냉장고의 제어 장치 사이에 연결되며, 저장실의 내부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이 되면 닫히고 소정 온도 미만이 되면 열리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스위치형 모듈이 닫히게 되면 외부 전원을 통해 제어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어 제어기의 제어에 의한 압축기의 구동이 이루어진다. 반대로 스위치형 모듈이 열리게 되면 외부 전원에 의한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압축기가 정지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장치의 내부 회로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장치(20)는 외부 전원(21)에 의해서 공급되는 입력 전원을 이용하여 압축기 내부에 포함되는 모터(100)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압축기를 구동시킬 수 있다.
제어 장치(20)는 다수의 커넥터(202, 204, 206), 컨버터 회로(22, 23), 제어기(24), 인버터 회로(25)를 포함한다.
제1 컨버터 회로(22)는 제1 커넥터(202)를 통해 외부 전원(21)으로부터 공급되는 입력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제2 컨버터 회로(23)는 제1 컨버터 회로(22)에 의해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제어기(24)에 적합한 직류 전원으로 변환한다. 제2 컨버터 회로(23)의 예시로는 벅 컨버터(Buck Converter) 회로를 들 수 있다.
인버터 회로(25)는 제1 컨버터 회로(22)에 의해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모터(100)의 구동에 적합한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교류 전원을 제3 커넥터(206)를 통해 모터(100)에 공급한다. 인버터 회로(25)는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다수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24)는 인버터 회로(25)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인버터 회로(25)의 전원 변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기(24)는 미리 설정된 모터(100)의 동작 주파수에 따라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인버터 회로(25)에 인가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장치(20)와 외부 전원(21)의 사이에는 제1 스위치 모듈(212)이 연결된다. 제1 스위치 모듈(212)의 예시로는 써모스탯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스위치 모듈(212)의 접점은 저장실의 내부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이 되면 닫히고 소정 온도 미만이 되면 열린다.
외부 전원(21)으로부터 공급되는 입력 전원은 제2 커넥터(204)를 통해 제2 스위치 모듈(214)을 거쳐 제1 컨버터 회로(22)로 공급된다. 제2 스위치 모듈(214)의 예시로는 냉장고에 과부하가 발생하면 열리고 그렇지 않으면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과부하 보호기(Over Load Protector, OLP)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과 같은 구조를 갖는 제어 장치(20)의 동작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저장실의 내부 온도가 소정 온도 미만으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제1 스위치 모듈(212)은 열린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서 외부 전원(21)에 의한 전원 공급이 차단되므로 제어기(24) 및 인버터 회로(25)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압축기의 모터(100)는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저장실의 내부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으로 높아지면, 제1 스위치 모듈(212)은 닫힌다. 이에 따라서 외부 전원(21)에 의해 제어기(24) 및 인버터 회로(25)에 각각 전원이 공급된다.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기(24)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인버터 회로(25)에 인가하고, 제어 신호를 수신한 인버터 회로(25)는 교류 전류를 생성하여 모터(100)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서 압축기가 구동되어 저장실 내부에 대한 냉각 동작이 이루어진다.
압축기의 냉각 동작에 의해서 저장실 내부의 온도는 계속해서 낮아진다. 압축기가 구동되는 도중에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소정 온도 미만으로 낮아지면 제1 스위치 모듈(212)이 열리게 된다. 이에 따라서 외부 전원(21)에 의한 제어 장치(20)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이처럼 외부 전원(21)에 의한 제어 장치(20)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인버터 회로(25)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압축기의 모터(100)에 대한 전원 공급도 차단된다. 그러나 모터(100) 내부의 회전자는 관성으로 인하여 계속해서 회전하게 되므로 회전자가 완전히 멈출 때까지 모터(100)의 회전은 지속된다.
결국 종래 기술에 따르면, 압축기의 구동 중에 저장실의 내부 온도가 소정 온도 미만으로 낮아져 외부 전원(21)에 의한 제어 장치(20)로의 입력 전원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모터(100) 내부의 회전자가 완전히 멈출 때까지 압축기의 구동이 지속되며, 이 과정에서 압축기의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압축기의 구동 중에 저장실의 내부 온도가 소정 온도 미만으로 낮아져 외부 전원(21)에 의한 제어 장치(20)로의 입력 전원 공급이 차단됨으로써 제어기(24)에 대한 전원 공급도 중단된다. 이로 인해 제어기(24)의 구동이 중단되므로, 압축기의 정지 과정에서 제어기(24)가 모터(100)의 구동 속도를 전혀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압축기의 구동 중에 저장실의 내부 온도가 소정 온도 미만으로 낮아져 압축기가 정지될 때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압축기의 구동 중에 저장실의 내부 온도가 소정 온도 미만으로 낮아져 외부 전원에 의한 입력 전원 공급이 중단되기 전에 압축기가 완전히 정지할 때까지 제어기에 의한 모터의 구동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외부 전원과 냉장고의 제어 장치 사이에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2개의 스위치 모듈(제1 스위치 모듈 및 제2 스위치 모듈)이 연결된다. 이에 따라서 외부 전원에 의한 제어 장치로의 전원 공급이 서로 다른 2개의 경로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저장실 내부의 온도 변화에 따라서 개폐되는 스위치 모듈, 즉 제1 스위치 모듈이 열리더라도 다른 1개의 스위치 모듈, 즉 제2 스위치 모듈이 닫힌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제1 스위치 모듈이 열린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제어 장치에 대한 외부 전원의 전원 공급이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스위치 모듈이 열리더라도 일정 시간동안 제어기 및 모터의 구동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어기는 저장실 내부의 온도 변화에 따라서 개폐되는 스위치 모듈, 즉 제1 스위치 모듈의 개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는 제1 스위치 모듈의 개폐 상태에 따라서 압축기 구동 신호 또는 압축기 정지 신호를 출력하는 압축기 신호 출력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어기는 압축기 신호 출력 모듈이 출력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서 제1 스위치 모듈의 개폐 상태를 확인하고, 제1 스위치 모듈이 열린 것으로 확인되면 압축기의 모터에 대한 감속 제어를 통해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하면서 압축기를 정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장치는, 외부 전원에 의해서 공급되는 입력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컨버터 회로, 상기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교류 전원을 모터에 공급하는 인버터 회로, 상기 직류 전원에 의해서 구동되며 상기 인버터 회로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 상기 외부 전원과 상기 컨버터 회로 사이에 연결되며 저장실의 내부 온도에 따라서 개폐되는 제1 스위치 모듈, 상기 외부 전원과 상기 컨버터 회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스위치 모듈과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서 개폐되는 제2 스위치 모듈, 상기 제1 스위치 모듈 및 상기 제2 스위치 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스위치 모듈의 개폐 상태에 따라서 압축기 구동 신호 또는 압축기 정지 신호를 출력하는 압축기 신호 출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압축기 신호 출력 모듈로부터 상기 압축기 정지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모터에 대한 감속 제어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모터에 대한 감속 제어가 수행되면, 상기 모터의 구동 주파수를 미리 정해진 감속 주파수로 변경하고, 상기 모터의 구동 전류를 기초로 상기 모터의 회전 샤프트의 기계각을 추정하고, 상기 회전 샤프트의 기계각이 미리 정해진 기준 범위 내일 때 상기 인버터 회로에 정지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속 제어가 완료되면 상기 제2 스위치 모듈을 열린 상태로 변경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스위치 모듈 및 상기 제2 스위치 모듈이 모두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1 스위치 모듈이 닫힌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제2 스위치 모듈을 닫힌 상태로 변경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압축기 신호 출력 모듈은 상기 제2 스위치 모듈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스위치 모듈이 닫힌 상태이면 상기 압축기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스위치 모듈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스위치 모듈이 열린 상태이면 상기 압축기 정지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압축기 신호 출력 모듈로부터 상기 압축기 구동 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상기 제1 스위치 모듈 및 상기 제2 스위치 모듈을 통해서 공급되는 전파 전원에 의해서 구동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압축기 신호 출력 모듈로부터 상기 압축기 정지 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상기 제2 스위치 모듈을 통해서 공급되는 반파 전원에 의해서 구동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전원과 컨버터 회로 사이에 연결되며 저장실의 내부 온도에 따라서 개폐되는 제1 스위치 모듈, 상기 외부 전원과 상기 컨버터 회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스위치 모듈과 병렬로 연결되는 제2 스위치 모듈, 상기 제1 스위치 모듈 및 상기 제2 스위치 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스위치 모듈의 개폐 상태에 따라서 압축기 구동 신호 또는 압축기 정지 신호를 출력하는 압축기 신호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압축기의 구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스위치 모듈이 닫힌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제2 스위치 모듈을 닫힌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압축기 신호 출력 모듈로부터 상기 압축기 구동 신호가 출력되면 모터에 교류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압축기를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압축기 신호 출력 모듈로부터 상기 압축기 정지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모터에 대한 감속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감속 제어가 완료되면 상기 제2 스위치 모듈을 열린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에 대한 감속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모터의 구동 주파수를 미리 정해진 감속 주파수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모터의 구동 전류를 기초로 상기 모터의 회전 샤프트의 기계각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회전 샤프트의 기계각이 미리 정해진 기준 범위 내일 때 상기 인버터 회로에 정지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스위치 모듈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스위치 모듈이 닫힌 상태이면 상기 압축기 구동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제2 스위치 모듈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스위치 모듈이 열린 상태이면 상기 압축기 정지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스위치 모듈은 저장실의 내부 온도에 따라서 개폐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압축기의 구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스위치 모듈 및 상기 제2 스위치 모듈은 모두 열린 상태로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기의 구동 중에 저장실의 내부 온도가 소정 온도 미만으로 낮아져 압축기가 정지될 때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기의 구동 중에 저장실의 내부 온도가 소정 온도 미만으로 낮아져 외부 전원에 의한 입력 전원 공급이 중단되기 전에 압축기가 완전히 정지할 때까지 제어기에 의한 모터의 구동 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장치의 내부 회로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장치의 내부 회로 구성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어 장치의 내부 회로에 대한 등가 회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장치에 의한 제어 과정에서 발생하는 신호들의 파형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스위치 모듈 및 제2 스위치 모듈이 모두 닫힌 상태일 때 제1 컨버터 회로에 공급되는 전압의 파형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스위치 모듈이 열린 상태이고 제2 스위치 모듈이 닫힌 상태일 때 제1 컨버터 회로에 공급되는 전압의 파형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서 수행되는 감속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에는 압축기(11) 및 제어 장치(30)가 배치된다. 도면에는 제어 장치(30)가 압축기(11)의 외부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 장치(30)가 압축기(11)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압축기(11)는 제어 장치(30)에 의해서 공급되는 교류 전류에 의해서 구동된다. 압축기(11)가 구동되면 증발기(미도시)를 거쳐서 유입되는 냉매가 고압으로 압축된다. 압축기(11)에 의해서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미도시)에 의해서 액체 상태로 변화되고, 액체 상태의 냉매가 증발기(미도시)를 거치면서 열 교환에 의해 냉기가 생성된다. 이와 같이 생성되는 냉기는 저장실 내부로 공급되어 저장실의 내부 온도 가 낮아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저장실의 내부 온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 이상이면 압축기(11)가 구동되고, 저장실의 내부 온도가 기준 온도 미만이면 압축기(11)는 정지된다.
제어 장치(30)는 외부 전원(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되는 입력 전원에 의해서 구동된다. 제어 장치(30)는 외부 전원(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되는 입력 전원을 변환하여 압축기(11)의 구동을 위한 교류 전원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30)는 외부 전원(미도시) 이외에 다른 전원과는 연결되지 않으므로, 외부 전원(미도시)으로부터의 입력 전원 공급이 완전히 차단되면 제어 장치(30)는 구동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서 압축기(11) 또한 정지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단면도이다. 참고로 도 3에는 왕복동식 압축기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압축기의 종류는 왕복동식 압축기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11)는 외관을 형성하는 쉘(120)을 포함한다. 쉘(120)의 내부에는 밀폐 공간이 형성되며, 이 밀폐 공간 내에 압축기(11)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이 수용된다. 쉘(12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부 쉘(121) 및 상부 쉘(122)을 포함한다.
쉘(120)에는 냉매가 유입되기 위한 흡입 파이프(130)가 연결된다. 흡입 파이프(130)는 일 예로 하부 쉘(12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압축기(11)는 모터(100) 및 모터(10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유닛(140)을 포함한다.
모터(100)는 스테이터 코일을 갖는 스테이터 코어(102), 회전자(104), 회전 샤프트(105)를 포함한다.
스테이터 코어(102)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부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스테이터 코일은 스테이터 코어(102)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 스테이터 코일,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스테이터 코어(102) 및 회전자(104)와 함께 전자기적 상호 작용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모터(100)는 압축유닛(140)의 왕복 운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회전자(104)는 스테이터 코어(102)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마그네트(magnet)를 포함한다. 회전자(104)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스테이터 코어(102) 및 스테이터 코일과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을 통해 회전하게 된다. 회전자(104)의 회전에 따른 회전력은 압축유닛(140)을 구동시킬 수 있는 구동력으로 작용한다.
회전 샤프트(105)는 회전자(104)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자(104)를 관통하도록 장착된다. 모터(100)에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 샤프트(105)는 회전자(104)와 함께 회전한다. 또한 회전 샤프트(105)는 후술하는 커넥팅 로드(155)와 연결되어 회전자(104)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압축유닛(140)으로 전달한다.
회전 샤프트(105)는 베이스 샤프트(106), 회전 플레이트(107) 및 편심 샤프트(108)를 포함한다.
베이스 샤프트(106)는 회전자(104) 내에 상하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회전자(104)가 회전하면 베이스 샤프트(106)는 회전자(104)와 함께 회전한다.
회전 플레이트(107)는 베이스 샤프트(106)의 일측에 구비되며, 실린더 블럭(15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편심 샤프트(108)는 회전 플레이트(107)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편심 샤프트(108)는 베이스 샤프트(106)의 축 중심으로부터 편심되는 위치에서 돌출되어 회전 플레이트(107)의 회전시 편심 회전된다. 편심 샤프트(108)에는 커넥팅 로드(155)가 장착된다. 편심 샤프트(108)의 편심 회전에 따라서 커넥팅 로드(155)는 전후 방향(수평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게 된다.
압축유닛(140)은 실린더 블럭(150), 커넥팅 로드(155), 피스톤(154) 및 피스톤 핀(160)을 포함한다.
실린더 블럭(150)은 회전자(104)의 상측에 구비되며 쉘(120)의 내부에 장착된다.
실린더 블럭(150)은 실린더(152)를 포함한다. 실린더(152)는 실린더 블럭(150)의 전방부에 제공되며, 피스톤(154)을 수용하도록 배치된다. 피스톤(154)은 전후 방향(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이 가능하다. 실린더(152)의 내부에는 냉매를 압축시킬 수 있는 압축 공간(C)이 형성된다.
피스톤(154)은 실린더 내부에서 왕복 운동을 수행한다. 피스톤(154)의 왕복 운동에 의해서 냉매가 실린더(152) 내부로 흡입되거나(흡입 행정), 실린더(152) 내부로 흡입된 냉매가 압축된다(압축 행정).
또한 압축기(11)는 토출유닛(170)을 포함한다. 토출유닛(170)은 머플러 조립체(172)를 포함한다. 머플러 조립체(172)는 흡입 파이프(130)로부터 흡입된 냉매를 실린더(152)의 내부로 전달하고, 실린더(152)의 압축 공간(C)에서 압축된 냉매를 토출 파이프(미도시)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머플러 조립체(172)에는 흡입 파이프(130)로부터 흡입된 냉매를 수용하는 흡입 공간(S) 및 실린더(152)의 압축 공간(C)에서 압축된 냉매를 수용하는 토출 공간(D)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장치의 내부 회로 구성을 나타낸다. 또한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어 장치의 내부 회로에 대한 등가 회로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장치(30)는 외부 전원(31)에 의해서 공급되는 입력 전원을 이용하여 압축기 내부에 포함되는 모터(100)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압축기를 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전원(31)은 일반적인 상용 교류 전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 장치(30)는 다수의 커넥터(302, 304, 306), 컨버터 회로(32, 33), 제어기(34), 인버터 회로(35), 제2 스위치 모듈(314), 압축기 신호 출력 모듈(316)을 포함한다.
제1 컨버터 회로(32)는 제1 커넥터(302)를 통해 외부 전원(31)으로부터 공급되는 입력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제2 컨버터 회로(33)는 제1 컨버터 회로(32)에 의해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제어기(34)에 적합한 직류 전원으로 변환한다. 제2 컨버터 회로(33)의 예시로는 벅 컨버터 회로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버터 회로(35)는 제1 컨버터 회로(32)에 의해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모터(100)의 구동에 적합한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교류 전원을 제3 커넥터(306)를 통해 모터(100)에 공급한다. 인버터 회로(35)는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다수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34)는 인버터 회로(35)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인버터 회로(35)의 전원 변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기(34)는 미리 설정된 모터(100)의 동작 주파수에 따라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인버터 회로(35)에 인가한다.
외부 전원(31)과 제1 컨버터 회로(32) 사이에는 제1 스위치 모듈(312)이 연결된다. 제1 스위치 모듈(312)의 예시로는 써모스탯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스위치 모듈(312)의 접점은 저장실의 내부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이 되면 닫히고 소정 온도 미만이 되면 열린다. 제1 스위치 모듈(312)이 닫혔다는 것은 제1 스위치 모듈(312)을 통해서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상태임을 의미하고, 제1 스위치 모듈(312)이 열렸다는 것은 제1 스위치 모듈(312)을 통해서 전류가 흐를 수 없는 상태임을 의미한다.
또한 외부 전원(31)과 제1 컨버터 회로(32) 사이에는 제2 스위치 모듈(314)이 연결된다. 제2 스위치 모듈(314)은 제1 스위치 모듈(312)과 병렬로 연결된다. 제2 스위치 모듈(314)의 일단에는 다이오드(D1) 및 저항(R1)이 각각 연결된다.
제2 스위치 모듈(314)의 예시로는 릴레이 회로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스위치 모듈(314)은 제어기(34)의 제어에 의해서 열리거나 닫힌다. 제2 스위치 모듈(314)이 닫혔다는 것은 제2 스위치 모듈(314)을 통해서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상태임을 의미하고, 제2 스위치 모듈(314)이 열렸다는 것은 제2 스위치 모듈(314)을 통해서 전류가 흐를 수 없는 상태임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위치 모듈(312) 및 제2 스위치 모듈(314)과 제1 컨버터 회로(32) 사이에는 압축기 신호 출력 모듈(316)이 연결된다. 압축기 신호 출력 모듈(316)의 예시로는 양방향 포토 커플러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전원(31)과 제1 컨버터 회로(32) 사이에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제1 스위치 모듈(312) 및 제2 스위치 모듈(314) 연결된다. 따라서 제1 스위치 모듈(312) 및 제2 스위치 모듈(314) 중 어느 하나의 스위치 모듈이 열리더라도 나머지 스위치 모듈이 닫힌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제어기(34) 및 인버터 회로(35)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압축기 신호 출력 모듈(316)은 제1 스위치 모듈(312)이나 제2 스위치 모듈(314)을 통해서 입력되는 전류를 제1 컨버터 회로(32)로 전달한다. 또한 압축기 신호 출력 모듈(316)은 제1 스위치 모듈(312)의 개폐 상태에 따라서 압축기 구동 신호 또는 압축기 정지 신호를 출력한다. 압축기 구동 신호 및 압축기 정지 신호는 서로 다른 파형을 갖는다. 압축기 신호 출력 모듈(316)로부터 출력되는 압축기 구동 신호 및 압축기 정지 신호는 제어기(34)로 입력된다.
한편, 외부 전원(31)으로부터 공급되는 입력 전원은 제2 커넥터(304)를 통해 제3 스위치 모듈(316)을 거쳐 제1 컨버터 회로(32)로 공급된다. 제3 스위치 모듈(316)의 예시로는 냉장고에 과부하가 발생하면 열리고 그렇지 않으면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과부하 보호기(Over Load Protector, OLP)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냉장고에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를 가정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이 설명되므로, 제3 스위치 모듈(316)은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장치가 압축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과정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장치에 의한 제어 과정에서 발생하는 신호들의 파형을 나타낸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스위치 모듈 및 제2 스위치 모듈이 모두 닫힌 상태일 때 제1 컨버터 회로에 공급되는 전압의 파형을 나타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스위치 모듈이 열린 상태이고 제2 스위치 모듈이 닫힌 상태일 때 제1 컨버터 회로에 공급되는 전압의 파형을 나타낸다.
참고로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3 스위치 모듈(316)은 항상 닫힌 상태로 유지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실의 내부 온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 미만인 구간, 즉 시점(T1) 이전 구간에서 제1 스위치 모듈(312)은 열린 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 제2 스위치 모듈(314) 또한 열린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제어기(34) 및 인버터 회로(35)에 대한 전원 공급도 이루어지지 않으며, 모터(100)는 정지 상태로 유지된다.
이후 시점(T1)에서 저장실의 내부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제1 스위치 모듈(312)이 닫힌다. 이에 따라서 시점(T1)에서 외부 전원(31)으로부터 제1 컨버터 회로(32)로 입력 교류 전원이 공급되고, 제2 컨버터 회로(33)를 통해 제어기(34)에 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압축기 신호 출력 모듈(316)에도 외부 전원(31)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므로, 압축기 신호 출력 모듈(316)은 시점(T1)부터 압축기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참고로 시점(T1) 내지 시점(T4)에서 압축기 신호 출력 모듈(316)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파 전원이 인가된다. 이처럼 도 7과 같은 전파 전원이 입력되면, 압축기 신호 출력 모듈(316)은 도 6의 시점(T1) 내지 시점(T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형을 갖는 압축기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압축기 신호 출력 모듈(316)로부터 출력되는 압축기 구동 신호는 제어기(34)로 입력된다. 압축기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기(34)는 시점(T2)에서 인버터 회로(35)가 미리 정해진 구동 주파수로 동작하도록 인버터 회로(35)에 제어 신호를 인가한다. 제어 신호를 수신한 인버터 회로(35)는 교류 전류를 생성하고, 생성된 교류 전류는 모터(100)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서 시점(T2)부터 모터(100)의 구동에 따라서 압축기가 구동된다.
이후 시점(T3)에서 제1 스위치 모듈(312)이 닫힌 것을 확인한 제어기(34)는 제2 스위치 모듈(314)이 닫히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서 제2 스위치 모듈(314)은 시점(T3)부터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은 제어에 의해서 시점(T3)부터 시점(T4)까지 압축기가 구동되어 저장실에 대한 냉각이 이루어지고 저장실의 내부 온도는 낮아진다.
시점(T4)에서 저장실의 내부 온도가 기준 온도 미만으로 낮아지면, 제1 스위치 모듈(312)이 열린다. 이 시점(T4)에서 제어기(34)는 제2 스위치 모듈(314)이 계속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앞서 도 1을 통해 설명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제1 스위치 모듈(212)이 열림으로써 제어기(24) 및 인버터 회로(25)에 대한 전원 공급이 곧바로 중단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시점(T4)에서 제1 스위치 모듈(312)이 열리더라도 제2 스위치 모듈(314)이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서 제2 스위치 모듈(314)을 통해서 제1 컨버터 회로(32)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으므로, 제어기(34) 및 인버터 회로(35)에 대한 전원 공급이 유지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종래 제어기(34)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던 구간인 시점(T4) 내지 시점(T5) 사이에서 제어기(34)에 전원이 공급된다. 따라서 제어기(34)가 압축기의 소음 및 진동을 줄이면서 압축기를 정지시킬 수 있는 제어 시간이 확보될 수 있다.
참고로 시점(T4) 내지 시점(T5)에서 압축기 신호 출력 모듈(316)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반파 전원이 인가된다. 이처럼 도 8과 같은 반파 전원이 입력되면, 압축기 신호 출력 모듈(316)은 도 6의 시점(T4) 내지 시점(T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형을 갖는 압축기 정지 신호를 출력한다.
시점(T4)에서 압축기 신호 출력 모듈(316)로부터 출력되는 압축기 정지 신호가 인가되면, 제어기(34)는 제1 스위치 모듈(312)이 열린 상태임을 감지할 수 있다. 시점(T4) 내지 시점(T5)에서 모터(100)에 전원이 공급되어 압축기의 구동이 가능하므로, 제어기(34)는 압축기의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하면서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감속 제어(Soft Stop)를 수행한다. 제어기(34)에 의해서 수행되는 감속 제어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종래 제어기(32) 및 모터(10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던 구간인 시점(T4) 내지 시점(T5) 사이에서 제어기(32) 및 모터(100)에 전원이 공급된다. 따라서 시점(T4) 내지 시점(T5) 동안 감속 제어를 통해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하면서 압축기가 정지될 수 있다.
시점(T5)에서 제어기(34)에 의한 감속 제어가 완료되면 모터(100)의 구동이 정지된다. 이에 따라서 시점(T5)에서 제어기(34)는 제2 스위치 모듈(314)이 열리도록 제어한다. 제2 스위치 모듈(314)이 열림에 따라서 외부 전원(31)에 의한 제어 장치(30)의 전원 공급이 완전히 차단된다. 이에 따라서 제어기(34)에 대한 전원 공급이 중단된다.
이후 시점(T1)과 같이 저장실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여 제1 스위치 모듈(312)이 닫힐 때까지 제어 장치(30)에 대한 전원 공급은 완전히 차단된다. 따라서 압축기가 구동되지 않는 구간동안 냉장고의 전력 소모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저장실의 내부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서 제1 스위치 모듈(312)이 닫힌다. 이에 따라서 제어기(34)에 전원이 공급되어 제어기(34)가 구동된다(902).
전원이 인가되면 제어기(34)는 제2 스위치 모듈이 닫히도록 제어한다(904). 한편 제1 스위치 모듈(312)이 닫히면서 압축기 신호 출력 모듈(316)은 압축기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기(34)는 압축기 구동 신호를 수신한다(906). 압축기 구동 신호를 수신한 제어기(34)는 인버터 회로(35)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모터(100)를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서 압축기가 구동된다(908).
참고로 도 9에는 제어기(34)가 압축기를 구동시키기 전에 제2 스위치 모듈이 닫히도록 제어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어기(34)가 압축기를 구동시킨 이후 제2 스위치 모듈이 닫히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후 저장실의 내부 온도가 기준 온도 미만으로 낮아지면 제1 스위치 모듈(312)이 열리게 된다. 제1 스위치 모듈(312)이 열리면 압축기 신호 출력 모듈(316)은 압축기 정지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기(34)는 압축기 정지 신호를 수신한다(910).
압축기 정지 신호를 수신한 제어기(34)는 제2 스위치 모듈(314)을 닫힌 상태로 유지하면서 압축기에 대한 감속 제어를 수행한다(912).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서 수행되는 감속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910)에서 압축기 정지 신호를 수신한 제어기(34)는 모터(100)의 구동 주파수를 미리 정해진 감속 주파수(예컨대, 20Hz)로 변경한다(1002). 제어기(34)는 변경된 구동 주파수에 따른 제어 신호를 인버터 회로(35)에 인가하여 모터(100)의 구동 속도를 감속 주파수에 대응되도록 조절한다.
다음으로 제어기(34)는 도 3에 도시된 모터(100)의 회전 샤프트(105)의 기계각을 추정한다(1004). 회전 샤프트(105)의 기계각을 추정하기 위해서 제어기(34)는 모터(100)의 구동 전류를 감지하고, 미리 정해진 수식 또는 테이블에 기초하여 감지된 구동 전류에 대응되는 회전 샤프트(105)의 기계각을 산출한다.
다음으로 제어기(34)는 추정된 회전 샤프트(105)의 기계각이 미리 정해진 기준 범위 내인지 여부를 확인한다(1006). 여기서 기준 범위는 회전 샤프트(105)의 기계적 관성이 낮아 진동 및 소음이 적은 범위를 의미하며,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105)의 기계각이 기준 범위 내(예컨대, 310° 내지 360°)에 속하지 않으면 제어기(34)는 계속해서 회전 샤프트(105)의 기계각을 추정하고 기준 범위와 비교한다.
회전 샤프트(105)의 기계각이 기준 범위 내에 속하면 제어기(34)는 인버터 회로(35)에 정지 신호를 인가한다(1008). 이에 따라서 인버터 회로(35)에 의한 모터(100)로의 교류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 압축기가 정지된다.
이와 같은 감속 제어를 통해서 소음 및 진동이 최소화되면서 압축기가 정지될 수 있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인버터 회로(35)에 정지 신호를 인가하여 압축기의 구동이 정지된 이후 제어기(34)는 제2 스위치 모듈(314)이 열리도록 제어한다(914). 이에 따라서 제2 스위치 모듈(314)이 열리면 제어기(34)에 대한 전원 공급이 중단된다(916).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Claims (12)

  1. 외부 전원에 의해서 공급되는 입력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컨버터 회로;
    상기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교류 전원을 모터에 공급하는 인버터 회로;
    상기 직류 전원에 의해서 구동되며 상기 인버터 회로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
    상기 외부 전원과 상기 컨버터 회로 사이에 연결되며 저장실의 내부 온도에 따라서 개폐되는 제1 스위치 모듈;
    상기 외부 전원과 상기 컨버터 회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스위치 모듈과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서 개폐되는 제2 스위치 모듈;
    상기 제1 스위치 모듈 및 상기 제2 스위치 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스위치 모듈의 개폐 상태에 따라서 압축기 구동 신호 또는 압축기 정지 신호를 출력하는 압축기 신호 출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압축기 신호 출력 모듈로부터 상기 압축기 정지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모터에 대한 감속 제어를 수행하는
    냉장고의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모터에 대한 감속 제어가 수행되면, 상기 모터의 구동 주파수를 미리 정해진 감속 주파수로 변경하고, 상기 모터의 구동 전류를 기초로 상기 모터의 회전 샤프트의 기계각을 추정하고, 상기 회전 샤프트의 기계각이 미리 정해진 기준 범위 내일 때 상기 인버터 회로에 정지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냉장고의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속 제어가 완료되면 상기 제2 스위치 모듈을 열린 상태로 변경하는
    냉장고의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스위치 모듈 및 상기 제2 스위치 모듈이 모두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1 스위치 모듈이 닫힌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제2 스위치 모듈을 닫힌 상태로 변경하는
    냉장고의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신호 출력 모듈은
    상기 제2 스위치 모듈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스위치 모듈이 닫힌 상태이면 상기 압축기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스위치 모듈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스위치 모듈이 열린 상태이면 상기 압축기 정지 신호를 출력하는
    냉장고의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압축기 신호 출력 모듈로부터 상기 압축기 구동 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상기 제1 스위치 모듈 및 상기 제2 스위치 모듈을 통해서 공급되는 전파 전원에 의해서 구동되는
    냉장고의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압축기 신호 출력 모듈로부터 상기 압축기 정지 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상기 제2 스위치 모듈을 통해서 공급되는 반파 전원에 의해서 구동되는
    냉장고의 제어 장치.
  8. 외부 전원과 컨버터 회로 사이에 연결되며 저장실의 내부 온도에 따라서 개폐되는 제1 스위치 모듈, 상기 외부 전원과 상기 컨버터 회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스위치 모듈과 병렬로 연결되는 제2 스위치 모듈, 상기 제1 스위치 모듈 및 상기 제2 스위치 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스위치 모듈의 개폐 상태에 따라서 압축기 구동 신호 또는 압축기 정지 신호를 출력하는 압축기 신호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압축기의 구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스위치 모듈이 닫힌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제2 스위치 모듈을 닫힌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압축기 신호 출력 모듈로부터 상기 압축기 구동 신호가 출력되면 모터에 교류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압축기를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압축기 신호 출력 모듈로부터 상기 압축기 정지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모터에 대한 감속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감속 제어가 완료되면 상기 제2 스위치 모듈을 열린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대한 감속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모터의 구동 주파수를 미리 정해진 감속 주파수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모터의 구동 전류를 기초로 상기 모터의 회전 샤프트의 기계각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회전 샤프트의 기계각이 미리 정해진 기준 범위 내일 때 상기 인버터 회로에 정지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 모듈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스위치 모듈이 닫힌 상태이면 상기 압축기 구동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제2 스위치 모듈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스위치 모듈이 열린 상태이면 상기 압축기 정지 신호가 출력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모듈은
    저장실의 내부 온도에 따라서 개폐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구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스위치 모듈 및 상기 제2 스위치 모듈은 모두 열린 상태로 유지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20190027199A 2019-03-08 2019-03-08 냉장고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KR202001076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199A KR20200107689A (ko) 2019-03-08 2019-03-08 냉장고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199A KR20200107689A (ko) 2019-03-08 2019-03-08 냉장고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689A true KR20200107689A (ko) 2020-09-16

Family

ID=72669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199A KR20200107689A (ko) 2019-03-08 2019-03-08 냉장고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76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819A (ko) * 2020-09-24 2022-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819A (ko) * 2020-09-24 2022-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5977B1 (ko) 압축기 제어 장치와 방법, 및 이를 포함한 냉장고
KR101904870B1 (ko) 압축기 제어 장치와 방법, 및 이를 포함한 냉장고
CN106837736B (zh) 压缩机以及用于控制该压缩机的方法
EP2535586B1 (en) Machine including compressor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KR20200107689A (ko) 냉장고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KR100808759B1 (ko) 컴프레서의 구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JP2001263256A (ja) 圧縮機の制御装置
US9714782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pressor, and refrigerator including same
KR101772083B1 (ko) 압축기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한 냉장고
KR101299548B1 (ko) 압축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080111150A (ko) 냉동장치
KR101766244B1 (ko) 압축기 제어 장치와 방법, 및 이를 포함한 냉장고
JP3776102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制御装置
KR20190023188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128897A (ko) 냉동시스템
EP3141851A1 (en) Refrigerator
KR101718020B1 (ko)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이들을 구비한 냉장고
JP5031983B2 (ja) 往復動式圧縮機の運転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6250449A (ja) 空気調和機
KR101041268B1 (ko) 냉장고
KR102350512B1 (ko) 압축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441949B1 (ko)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80109262A (ko) 리니어 압축기 및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방법
KR101992542B1 (ko) 온도조절기를 이용한 기계식 냉장고의 bldc 압축기 제어장치
JP2004353664A (ja) 圧縮機の運転制御方法及び圧縮機の運転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