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7317A - Optical scattering detection device with an anti-contamination tube - Google Patents

Optical scattering detection device with an anti-contamination tub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7317A
KR20200107317A KR1020190026262A KR20190026262A KR20200107317A KR 20200107317 A KR20200107317 A KR 20200107317A KR 1020190026262 A KR1020190026262 A KR 1020190026262A KR 20190026262 A KR20190026262 A KR 20190026262A KR 20200107317 A KR20200107317 A KR 20200107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fouling
light scattering
chamber
scattering measuring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2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29060B1 (en
Inventor
강두수
이상열
신희준
봉하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센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센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센트리
Priority to KR1020190026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060B1/en
Publication of KR20200107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3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0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e.g. by light scattering, diffraction, holography or imaging
    • G01N15/0211Investigating a scatter or diffraction patter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6Illumination; Optics
    • G01N2201/061Sources
    • G01N2201/06113Coherent sources; lase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scattering measurement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light scattering measurement device with an anti-contamination tube which can prevent fine dust from being attached to or accumulated on the inside of a chamber. To this end, the light scattering measurement device comprises: a chamber (110); an inlet (120) and an outlet (125) to allow sample gas (170) to flow into the chamber (110) to be discharged; a light emission unit (130) to emit a laser beam (136) toward the inside of the chamber (110); and a detection unit (140) to detect the laser beam (136) scattered by the sample gas (170). The light scattering measurement device further comprises an anti-contamination tube (200) which connects the gap between the inlet (120) and the outlet (125) to allow the sample gas (170) to pass therethrough, and is formed to be transparent to allow the laser beam (136) to be emitted toward the passing sample gas (170).

Description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Optical scattering detection device with an anti-contamination tube}Light scattering detection device with an anti-contamination tube}

본 발명은 광산란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scattering measur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ght scattering measuring device having an antifouling tube.

최근 미세먼지 등의 영향으로 대기 오염이 심각해지고 있다.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황사와, 각종 미세먼지, 스모그 등으로 인해 도심지에서는 원활한 호흡조차 어려운 경우가 있으며, 대기중에 분포하는 먼지입자가 태양광을 산란시켜 시야를 흐리기도 한다. 이와 같은 미세먼지가 인체 내부에 그대로 흡입되면, 폐포까지 침투하여 각종 폐질환, 호흡기 질환 등도 유발할 수 있다.Recently, air pollution has become serious due to the influence of fine dust. Even smooth breathing may be difficult in urban areas due to periodically repeated yellow dust, various fine dusts, and smog, and dust particles distributed in the atmosphere may scatter sunlight and obscure the view. When such fine dust is inhaled into the human body as it is, it can penetrate into the alveoli and cause various lung diseases and respiratory diseases.

이러한 먼지입자의 농도를 파악하고 대기 오염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측정장비들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측정장비들중 대표적인 것이 레이저광과 미세먼지의 산란을 이용하여 시료가스중에 포함된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광산란 측정장치이다. Various types of measuring equipment have been developed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 of these dust particles and monitor air pollution conditions. A representative of these measuring devices is a light scattering measuring device that measures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contained in a sample gas using laser light and scattering of fine dust.

도 1은 종래의 광산란 측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중 챔버(10)의 실물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중 챔버(10) 내부의 확대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light scattering measuring apparatus, FIG. 2 is a real perspective view of the chamber 10 in FIG. 1, and FIG.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ior of the chamber 10 in FIG.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27)가 동작됨에 따라 시료가스(예 : 대기, 70)와 함께 미세한 유입먼지(72)가 유입구(20)를 통해 챔버(10) 내부로 진입한다.First, as shown in FIG. 1, as the pump 27 is operated, fine inflow dust 72 together with the sample gas (eg, atmosphere, 70) enters the interior of the chamber 10 through the inlet 20. .

그 다음, 레이저 발진부(34)와 집속부(32)로 구성된 발광부(30)에서 레이저광(36)을 조사한다. 유입먼지(72)에 의해 산란된 산란광(84)은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다. Then, the laser light 36 is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30 composed of the laser oscillation unit 34 and the focusing unit 32. The scattered light 84 scattered by the incoming dust 72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40 and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연산부(50)는 이러한 전기적 신호를 기반으로 시료가스(70)내에 포함된 미세먼지의 농도를 산출한다.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으면 많은 산란이 이루어져 산란광(84)의 광도가 높고, 미세먼지가 거의 없으면 산란이 미미하여 산란광(84)의 농도가 낮게 된다. The calculation unit 50 calculates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contained in the sample gas 70 based on this electrical signal. Whe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s high, a lot of scattering occurs, and the luminous intensity of the scattered light 84 is high.

이렇게 산출된 미세먼지의 농도는 제어부(60)를 통해 디스플레이(65)에 표시된다. 이후 시료가스(70)는 유출구(2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The calculated concentration of fine dus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65 through the control unit 60. Thereafter, the sample gas 7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25.

챔버(10)의 내부공간(12)중 상면에는 레이저광(36)의 반사를 위한 반사부(80)가 구비되고, 레이저광(36)의 조사방향에서는 레이저광(36)의 소거를 위한 트랩부(88)가 구비된다. A reflector 80 for reflecting the laser light 36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12 of the chamber 10, and a trap for erasing the laser light 36 in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36 A portion 88 is provided.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광산란 측정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지속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대기중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유입구(20)를 통해 시료가스와 유입먼지(72)의 유입이 계속 이루어진다. 농도 측정에 사용된 시료가스(70)는 배출가스(29)가 되어 배출되나, 유입먼지(72)중 일부는 정전기 등의 영향으로 내부공간(12)에 부착되어 부착먼지(74)로 잔류하게 된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light scattering measuring device has the following problems. That is, in order to continuously or in real time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the atmosphere, the sample gas and the inflow dust 72 continue to flow through the inlet 20. The sample gas 70 used for the concentration measurement becomes the exhaust gas 29 and is discharged, but some of the inflow dust 72 is attached to the inner space 12 due to the influence of static electricity, etc. to remain as adherent dust 74. do.

따라서, 광산란 측정장치의 동작이 계속됨에 따라 부착먼지(74)의 양이 증가하게 되어, 부착먼지(74)가 반사부(80), 검출부(40), 집속부(32), 기타 내부공간(12)의 표면에 누적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누적되는 부착먼지(74)로 인해 정확한 미세먼지의 농도측정이 어렵고, 부정확한 측정치를 출력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refore, as the operation of the light scattering measuring device continues, the amount of adhered dust 74 increases, so that the adhered dust 74 is reflected in the reflective unit 80, the detection unit 40, the focusing unit 32, and other internal spaces ( The phenomenon of accumulation on the surface of 12) occurred. Due to the accumulated dust 74,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there is a problem of outputting an incorrect measurement value.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관리자가 일정 기간(예 : 일주일 또는 오염이 심한 계절에는 매일)마다 광산란 측정장치의 동작을 멈추고 챔버(10)를 분해한 후 내부의 부착먼지(74)를 제거하는 청소를 하였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manager stops the operation of the light scattering measuring device every certain period (e.g., every one week or every day in heavy pollution), disassembles the chamber 10, and removes the adhered dust 74 inside. I had cleaned it.

따라서, 광산란 측정장치의 분해, 조립 및 청소가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이를 위해 별도의 관리자를 투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광산란 측정장치의 유지 보수에 많은 불편함과 비용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Therefore, the disassembly, assembly, and cleaning of the light scattering measuring device are very cumbersome, and a separate manager must be put in for this, so tha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maintenance of the light scattering measuring device is very inconvenient and expensive.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06561호(먼지입자측정방법 및 먼지입자측정장치)(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06561 (Dust particle measuring method and dust particle measuring device) (2) 일본국 특개평9-259256호(미립자 측정장치)(2)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Hei 9-259256 (fine particle measuring devic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시료가스와 챔버를 분리함으로써 챔버 내부에 미세먼지가 부착되거나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fine dust from attaching or accumulating inside the chamber by separating the chamber from the sample gas containing fine dust. It is to provide a light scattering measuring device having an antifouling tub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만약 광산란 측정장치를 청소하는 경우에도 간편하게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 scattering measuring device having an antifouling tube that allows easy cleaning even if the light scattering measuring device is cleaned.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are clearly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will be understandable.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챔버(110); 챔버(110) 내부로 시료가스(170)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유입구(120)와 유출구(125); 챔버(110) 내부를 향해 레이저광(136)을 조사하는 발광부(130) 및 시료가스(170)에 의해 산란된 레이저광(136)을 검출하는 검출부(140);를 포함하는 광산란 측정장치에 있어서, 유입구(120)와 상기 유출구(125)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시료가스(170)가 통과하고, 통과하는 상기 시료가스(170)를 향해 상기 레이저광(136)이 조사되도록 투명하게 형성된 방오관(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chamber 110; An inlet 120 and an outlet 125 through which the sample gas 170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into the chamber 110; In the light scattering measuring device including; a light-emitting unit 130 for irradiating the laser light 136 toward the interior of the chamber 110 and a detection unit 140 for detecting the laser light 136 scattered by the sample gas 170 In the antifouling tube formed transparently so that the sample gas 170 passes by connecting between the inlet 120 and the outlet 125 and the laser light 136 is irradiated toward the passing sample gas 170 (200); It is provided with a light scattering measuring apparatus having an antifouling tu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또한, 유입구(120)와 방오관(200)의 일단 사이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입구어댑터(220); 및 유출구(125)와 방오관(200)의 타단 사이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출구어댑터(230);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an inlet adapter 220 that is detachably coupled between the inlet 120 and one end of the antifouling pipe 200; And an outlet adapter 230 detachably coupled between the outlet 125 and the other end of the antifouling pipe 200.

또한, 유입구어댑터(220)와 유출구어댑터(230)중 적어도 하나는 착탈이 용이하도록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inlet adapter 220 and the outlet adapter 230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o facilitate attachment and detachment.

또한, 유입구어댑터(220)에는 유입구(120)와 연통되는 제 1 관통공(225)이 더 형성된다.In addition, a first through hole 225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120 is further formed in the inlet adapter 220.

또한, 유출구어댑터(230)에는 유출구(125)와 연통되는 제 2 관통공(235)이 더 형성된다.In addition, the outlet adapter 230 is further formed with a second through hole 235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 125.

또한, 방오관(200)의 외면중 적어도 일부 면은 레이저광(136)의 조사방향과 수직한 평면을 형성한다.In addition, at least some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antifouling tube 200 form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136.

또한, 방오관(200)의 길이방향 단면은 중공의 사각 형상이다.In addition, the cross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ntifouling pipe 200 has a hollow square shape.

또한, 방오관(200)의 내면에는 시료가스(170)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방오코팅층이 더 형성된다.Further, an antifouling coating layer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from the sample gas 170 is further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ntifouling pipe 200.

또한, 챔버(110)중, 레이저광(136)의 조사방향에는 레이저광(136)을 소거하기 위한 트랩부(188)가 더 형성되고, 트랩부(188)는 숯을 포함한다.In addition, among the chamber 110, a trap unit 188 for erasing the laser light 136 is further formed in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136, and the trap unit 188 includes charcoal.

또한, 챔버(110)의 적어도 일면은 레이저광(136)을 반사시키기 위한 미러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chamber 110 further includes a mirror for reflecting the laser light 136.

또한, 미러는, 챔버(110)의 마주보는 양면중 일면에 형성된 제 1 미러(250); 및 마주보는 양면중 타면에 형성된 제 2 미러(26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irror may include a first mirror 250 formed on one of the opposite sides of the chamber 110; And a second mirror 260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opposite surfaces.

또한, 제 1 미러(250)와 제 2 미러(260)중 적어도 하나는 챔버(110)로부터 착탈 가능하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mirror 250 and the second mirror 260 is detachable from the chamber 110.

또한, 제 2 미러(260)중 일부에는 검출부(140)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detection unit 140 is provided in some of the second mirrors 26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시료가스와 챔버를 분리함으로써 챔버 내부에 미세먼지가 부착되거나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챔버 내부는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여 청소가 필요없고, 신뢰성 있는 미세먼지 농도값을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eparating the chamber from the sample gas containing fine dus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ne dust from attaching or accumulating inside the chamber. Accordingly, the interior of the chamber is always kept in a clean state, so that cleaning is not required, and a reliabl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can be obtained.

만약 광산란 측정장치를 청소하는 경우에도 챔버를 청소하는 것이 아니라 방오관을 분리하여 방오관만을 청소하면 되므로 간편하게 청소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Even if the light scattering measuring device is cleaned, it is not necessary to clean the chamber, but to separate the anti-fouling pipe and clean only the anti-fouling pipe.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 will be able to.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광산란 측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중 챔버(10)의 사시도,
도 3은 도 2중 챔버(10) 내부의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도 4중 챔버(110) 내부의 확대사시도,
도 6 내지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의 조립순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조립순서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It is limited to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light scattering measuring devic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hamber 10 in FIG. 1,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ior of the chamber 10 in FIG. 2,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 scattering measuring device having an antifouling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ior of the chamber 110 in FIG. 4,
6 to 9 are assembly procedures showing step-by-step assembly procedures of the light scattering measuring apparatus having an antifouling pipe shown in FIG. 4.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have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those eff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scope of rights is not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though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just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are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refer to specified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is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in contex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중 챔버(110) 내부의 확대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 scattering measuring device having an antifouling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ior of the chamber 110 in FIG. 4.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10)의 일측으로는 유입구(120)가 형성되어 시료가스(170)가 챔버(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챔버(110)의 타측에는 유출구(125)가 형성되어 농도가 측정된 시료가스(170)가 배출가스(129)로 되어 배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5, an inlet 12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hamber 110 so that the sample gas 170 may flow into the chamber 110. An outlet 125 is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chamber 110 so that the sample gas 170 whose concentration is measured becomes the exhaust gas 129 and may be discharged.

발광부(130)는 레이저광(136)을 생성하여 챔버(110) 내부로 조사한다. 이를 위해 발광부(130)에는 레이저발진부와 집속부(도 1 참조)가 포함된다. 레이저광(136)은 시료가스(170)의 유동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조사하도록 배치된다. 레이저광(136)은 809 nm의 파장을 가진 레이저광일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130 generates a laser light 136 and irradiates it into the chamber 110. To this end, the light emitting unit 130 includes a laser oscillation unit and a focusing unit (see FIG. 1). The laser light 136 is arranged to be irradiated at a right angle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sample gas 170. The laser light 136 may be a laser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809 nm.

반사부(180)에는 제 1 미러(250)가 부착되어 레이저광(136)을 챔버(110) 내부로 반사시킨다.A first mirror 250 is attached to the reflector 180 to reflect the laser light 136 into the chamber 110.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랩부(188)는 광트랩 부재로서 도달한 레이저광(136)이 반사되지 못하고 소거되도록 한다. 트랩부(188)는 레이저광(136)의 조사방향중 챔버(110) 내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숯과 같은 부재가 채워져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trap unit 188 prevents the laser light 136 arriving as an optical trap member from being reflected and is erased. The trap unit 188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hamber 110 in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136, and a member such as charcoal is filled therein.

방오관(200)은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의 사각 튜브로서 투명한 재질(예 : 합성수지재, 유리 등)로 성형한다. 방오관(200)의 일단은 유입구(12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유출구(125)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방오관(200)의 길이방향 단면은 중공의 사각 형상이다. 단면중 양측면은 레이저광(136)에 대해 수직을 이루도록 하여 레이저광(136)이 수직하게 방오관(2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방오관(200)의 내부로 시료가스(170)가 유동한다. The antifouling pipe 200 is a hollow square tube with an empty inside and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eg, synthetic resin, glass, etc.). One end of the antifouling pipe 200 is detachably fixed to the inlet 120, and the other end is detachably fixed to the outlet 125. The cross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ntifouling pipe 200 has a hollow square shape. Both sides of the cross section are perpendicular to the laser light 136 so that the laser light 136 is vertically introduced into the antifouling tube 200. The sample gas 170 flows into the antifouling pipe 200.

방오코팅층(미도시)은 방오관(200)의 내면에 성막되며, 시료가스(170)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방오관(200)의 내면은 지속적으로 시료가스(170)와 접하는 영역이므로, 사용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내부가 미세먼지, 오염물질(NOx, SOx)로 덮힐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내면을 방오코팅층(예 : 투명한 방오도료)으로 코팅하여 청소 간격을 더 길게 유지할 수 있다. An antifouling coating layer (not show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ntifouling pipe 200 and serves to prevent contamination from the sample gas 170. Since the inner surface of the antifouling pipe 200 is a region in continuous contact with the sample gas 170, the inside may be covered with fine dust and pollutants (NOx, SOx) as the use period elapses. To prevent this, the inner surface can be coated with an antifouling coating layer (eg, a transparent antifouling paint) to maintain a longer cleaning interval.

도 6은 이러한 방오관(2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오관(200)의 일단에는 유입구어댑터(220)가 조립되고, 타단에는 유출구어댑터(230)가 조립된다.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such an antifouling pipe 200. As shown in FIG. 6, an inlet adapter 220 is assembled at one end of the antifouling pipe 200, and an outlet adapter 230 is assembled at the other end.

유입구어댑터(220)는 고무, 합성수지재, 실리콘, 우레탄과 같이 신축성 있고, 변형 가능하며 쉽게 복원될 수 있는 재질로 성형한다. 이는 유입구어댑터(220)와 방오관(200)을 챔버(110)에 손으로 쉽게 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유입구어댑터(220)를 유입구(120)에 끼워 넣음으로써 유입구(120)와 유입구어댑터(220) 사이의 가스 누설을 방지하고, 유입구어댑터(220)와 방오관(20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유입구어댑터(220)의 중심에는 제 1 관통공(225)이 형성되어 시료가스(170)가 유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The inlet adapter 220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elastic, deformable, and can be easily restored, such as rubber, synthetic resin, silicone, and urethane. This is to allow the inlet adapter 220 and the antifouling pipe 200 to be easily installed or separated from the chamber 110 by hand. In addition, by inserting the inlet adapter 220 into the inlet port 120, gas leakage between the inlet port 120 and the inlet adapter 220 is prevented, and airtightness between the inlet adapter 220 and the antifouling pipe 200 is maintained. It is to do. In addition, a first through hole 225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inlet adapter 220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sample gas 170 can flow.

유출구어댑터(230)는 고무, 합성수지재, 실리콘, 우레탄과 같이 신축성 있고, 변형 가능하며 쉽게 복원될 수 있는 재질로 성형한다. 이는 유출구어댑터(230)와 방오관(200)을 챔버(110)에 손으로 쉽게 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유출구어댑터(230)를 유출구(125)에 끼워 넣음으로써 유출구(125)와 유출구어댑터(230) 사이의 가스 누설을 방지하고, 유출구어댑터(230)와 방오관(20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유출구어댑터(230)의 중심에는 제 2 관통공(235)이 형성되어 시료가스(170)가 유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The outlet adapter 230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elastic, deformable, and can be easily restored, such as rubber, synthetic resin, silicone, and urethane. This is to enable the outlet adapter 230 and the antifouling pipe 200 to be easily installed or separated from the chamber 110 by hand. In addition, by inserting the outlet adapter 230 into the outlet 125, gas leakage between the outlet 125 and the outlet adapter 230 is prevented, and airtightness between the outlet adapter 230 and the antifouling pipe 200 is maintained. It is to do. In addition, a second through hole 235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outlet adapter 230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sample gas 170 can flow.

도 9는 방오관(200)의 조립후 미러를 조립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미러(250)는 반사부(180)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된다. 제 1 미러(250)는 산란되는 레이저광(136)을 반사하는 역할을 한다. 9 shows a step of assembling the mirror after assembling the antifouling pipe 200. As shown in FIG. 9, the first mirror 250 is detachably assembled to the reflective unit 180. The first mirror 250 serves to reflect the scattered laser light 136.

제 2 미러(260)는 제 1 미러(250)에 대면되는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된다. 제 2 미러(260)도 산란되는 레이저광(136)을 반사하는 역할을 한다. 제 2 미러(260)는 중심영역에 검출부(140)가 구비되고, 이러한 검출부(140)는 수광되는 빛의 세기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게 된다. 검출부(140)의 대표적인 실시예는 포토다이오드이다.The second mirror 260 is detachably assembled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mirror 250. The second mirror 260 also serves to reflect the scattered laser light 136. The second mirror 260 is provided with a detection unit 140 in a central region, and the detection unit 140 converts the intensity of received light into an electrical signal. A typical embodiment of the detection unit 140 is a photodiode.

제 1, 2 미러(250, 260)는 모두 구비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검출부(140)는 제 2 미러(260)에 구비되나 필요에 따라 제 1 미러(250)에 구비될 수도 있고, 챔버(110)내 다른 내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Both the first and second mirrors 250 and 260 may be provided, or only one may be provided if necessary. The detection unit 140 is provided on the second mirror 260, but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mirror 250 or may be installed on another inner surface of the chamber 110 if necessary.

도 6 내지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의 조립순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조립순서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방오관(200)의 양단에 유입구어댑터(220)와 유출구어댑터(230)를 조립한다. 6 to 9 are assembly procedures showing step-by-step assembly procedures of the light scattering measuring apparatus having an antifouling pipe shown in FIG. 4. As shown in FIG. 6, first, the inlet adapter 220 and the outlet adapter 230 are assembled at both ends of the antifouling pipe 200.

그 다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10)내에 방오관(200)을 조립한다. 이 때, 유입구어댑터(220)는 유입구(120)에 끼워지고, 유출구어댑터(230)는 유출구(125)에 끼워진다. Then, as shown in FIG. 7, the antifouling pipe 200 is assembled in the chamber 110. At this time, the inlet adapter 220 is fitted in the inlet 120, and the outlet adapter 230 is fitted in the outlet 125.

그 다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10)의 외부 양측에서 유입구(120)와 유출구(125) 부재를 각각 조립한다. Then, as shown in FIG. 8, the inlet 120 and outlet 125 members are assembled at both outer sides of the chamber 110, respectively.

그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10)의 상부에 제 1 미러(250)를 조립하고, 챔버(110)의 하부에 제 2 미러(260)를 조립하여 완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9, the first mirror 250 is assemb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hamber 110 and the second mirror 260 is assemb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hamber 110 to complete.

만약, 방오관(200)을 수리, 교체, 청소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9에서와 같이 제 1 미러(250)를 분리한 뒤, 도 8과 같이 유입구(120)와 유출구(125)를 분리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 제 2 미러(260)로 분리할 수 있다. 그 다음, 도 7과 같이 방오관(200)을 분리한다. 분리된 방오관(200)은 도 6과 같이 양측의 유입구어댑터(220)와 유출구어댑터(230)를 분리한 후, 방오관(200)의 내면을 청소한다. If the antifouling pipe 200 is to be repaired, replaced, or cleaned, the first mirror 250 is separated as shown in FIG. 9 and then the inlet 120 and the outlet 125 are separated as shown in FIG. 8. In this case, it may be separated by a second mirror 260 as necessary. Then, the antifouling pipe 200 is separated as shown in FIG. 7. As shown in FIG. 6, the separated antifouling pipe 200 separates the inlet adapter 220 and the outlet adapter 230 on both sides, and then cleans the inner surface of the antifouling pipe 200.

실시예의 동작Example oper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시료가스(170)는 유입구(120)를 통해 챔버(110)내의 방오관(200)을 통과한 후 유출구(125)로 빠져 나간다. 이 때, 시료가스(170)는 챔버(110)의 내면과 접하지 않고 방오관(200)의 내면만 접하게 된다. 따라서, 챔버(110)의 내면이 미세먼지나 오염물질로 훼손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는다. First, referring to FIG. 4, the sample gas 170 containing fine dust passes through the antifouling pipe 200 in the chamber 110 through the inlet 120 and then exits through the outlet 125. In this case, the sample gas 170 does not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chamber 110 but only the inner surface of the antifouling pipe 200. Accordingly, there is no case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chamber 110 is damaged by fine dust or contaminants.

레이저광(136)은 발광부(130)에서 조사된 후, 방오관(200)을 수직으로 통과하여 트랩부(188)에서 소멸한다. 이때, 레이저광(136)은 방오관(200) 내부의 시료가스(170)와 접하게 되고, 시료가스(170)내에 포함된 미세먼지로 인해 산란을 일으키게 된다.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을 수록 산란되는 빛의 양이 증가하고, 챔버(110)의 내부는 산란광으로 가득차게 된다. 제 1, 2 미러(250, 260)는 이러한 산란광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After the laser light 136 is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30, it passes through the antifouling tube 200 vertically and disappears in the trap unit 188. At this time, the laser light 136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ample gas 170 inside the antifouling tube 200 and causes scattering due to fine dust contained in the sample gas 170. As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creases, the amount of scattered light increases, and the interior of the chamber 110 is filled with scattered light. The first and second mirrors 250 and 260 serve to reflect such scattered light.

이때, 검출부(140)는 수광되는 산란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연산부(50)와 제어부(60)는 이러한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65)에 미세먼지 농도값으로 표시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지 않은 구성요소(예 : 펌프 등)는 도 1의 구성과 유사하다.At this time, the detection unit 140 converts the received scattered light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it. The operation unit 50 and the control unit 60 shown in FIG. 1 process these electrical signals and display th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on the display 65. Components not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eg, a pump, etc.) are similar to those of FIG. 1.

그리고, 방오관(200)을 통과한 레이저광(136)은 트랩부(188)로 조사되어 반사되지 못하고 소멸된다. 이는 미세먼지에 의한 산란광만을 얻고 다른 구성요소로 인한 반사광은 차단하기 위함이다. Further, the laser light 136 passing through the antifouling tube 200 is irradiated to the trap unit 188 and is not reflected and disappears. This is to obtain only the scattered light due to fine dust and block the reflected light from other components.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as described above has been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implement and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use the configuration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a manner that combines with each other. Thus,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In addition,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combining claims that do not have an explicit citation relationship in the claims, or may be included as new claims by amendment after filing.

10 : 챔버,
12 : 내부공간,
20 : 유입구,
25 : 유출구,
27 : 펌프,
29 : 배출가스,
30 : 발광부,
32 : 집속부,
34 : 레이저발진부,
36 : 레이저광,
40 : 검출부,
50 : 연산부,
60 : 제어부,
65 : 디스플레이,
70 : 시료가스,
72 : 유입먼지,
74 :부착먼지,
80 : 반사부,
84 : 산란광,
88 : 트랩부,
110 : 챔버,
120 : 유입구,
121 : 유입노즐,
125 : 유출구,
129 : 배출가스,
130 : 발광부,
136 : 레이저광,
140 : 검출부,
170 : 시료가스,
84 : 산란광,
188 : 트랩부,
200 : 방오관,
215 : 내벽,
220 : 유입구어댑터,
225 : 제 1 관통공,
230 : 유출구어댑터,
235 : 제 2 관통공,
250 : 제 1 미러.
260 : 제 2 미러.
10: chamber,
12: internal space,
20: inlet,
25: outlet,
27: pump,
29: exhaust gas,
30: light emitting part,
32: cluster,
34: laser oscillation unit,
36: laser light,
40: detection unit,
50: operation unit,
60: control unit,
65: display,
70: sample gas,
72: inflow dust,
74: adhering dust,
80: reflector,
84: scattered light,
88: trap part,
110: chamber,
120: inlet,
121: inlet nozzle,
125: outlet,
129: exhaust gas,
130: light emitting part,
136: laser light,
140: detection unit,
170: sample gas,
84: scattered light,
188: trap part,
200: antifouling pipe,
215: inner wall,
220: inlet adapter,
225: first through hole,
230: outlet adapter,
235: second through hole,
250: first mirror.
260: second mirror.

Claims (14)

챔버(110);
상기 챔버(110) 내부로 시료가스(170)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유입구(120)와 유출구(125);
상기 챔버(110) 내부를 향해 레이저광(136)을 조사하는 발광부(130) 및 상기 시료가스(170)에 의해 산란된 레이저광(136)을 검출하는 검출부(140);를 포함하는 광산란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120)와 상기 유출구(125)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시료가스(170)가 통과하고, 통과하는 상기 시료가스(170)를 향해 상기 레이저광(136)이 조사되도록 투명하게 형성된 방오관(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
Chamber 110;
An inlet 120 and an outlet 125 through which the sample gas 170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into the chamber 110;
Light scattering measurement including; a light-emitting unit 130 for irradiating the laser light 136 toward the interior of the chamber 110 and a detection unit 140 for detecting the laser light 136 scattered by the sample gas 170. In the device,
An antifouling tube transparently formed to connect between the inlet 120 and the outlet 125 so that the sample gas 170 passes and the laser light 136 is irradiated toward the passing sample gas 170 ( 200); Light scattering measuring device having an antifouling tu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120)와 상기 방오관(200)의 일단 사이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입구어댑터(220); 및
상기 유출구(125)와 상기 방오관(200)의 타단 사이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출구어댑터(230);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inlet adapter 220 detachably coupled between the inlet 120 and one end of the antifouling pipe 200; And
Light scattering measuring apparatus having an antifouling pip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an outlet adapter 230 detachably coupled between the outlet 125 and the other end of the antifouling pipe 20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어댑터(220)와 상기 유출구어댑터(230)중 적어도 하나는 착탈이 용이하도록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t least one of the inlet adapter 220 and the outlet adapter 230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o facilitate attachment and detachmen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어댑터(220)에는 상기 유입구(120)와 연통되는 제 1 관통공(225)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light scattering measuring device having an antifouling pip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let adapter 220 further includes a first through hole 225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12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어댑터(230)에는 상기 유출구(125)와 연통되는 제 2 관통공(235)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 light scattering measuring apparatus having an antifouling pip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let adapter 230 further includes a second through hole 235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 1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오관(200)의 외면중 적어도 일부 면은 상기 레이저광(136)의 조사방향과 수직한 평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Light scattering measuring apparatus having an antifouling tub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some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antifouling tube 200 form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laser beam 13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오관(200)의 길이방향 단면은 중공의 사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6,
Light scattering measuring device having an antifouling pip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ngitudinal cross section of the antifouling pipe 200 has a hollow square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오관(200)의 내면에는 상기 시료가스(170)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방오코팅층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light scattering measuring device having an antifouling pipe, characterized in that an antifouling coating layer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from the sample gas 170 is further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ntifouling pipe 2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110)중, 상기 레이저광(136)의 조사방향에는 상기 레이저광(136)을 소거하기 위한 트랩부(188)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light scattering measuring apparatus having an antifouling tube,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chamber 110, a trap unit 188 for erasing the laser light 136 is further formed in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13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부(188)는 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trap unit 188 is a light scattering measuring device having an antifouling pipe, characterized in that containing charco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110)의 적어도 일면은 상기 레이저광(136)을 반사시키기 위한 미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Light scattering measuring apparatus having an antifouling tub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urface of the chamber 110 further comprises a mirror for reflecting the laser light (13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는,
상기 챔버(110)의 마주보는 양면중 일면에 형성된 제 1 미러(250); 및
상기 마주보는 양면중 타면에 형성된 제 2 미러(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mirror,
A first mirror 250 formed on one of the opposite sides of the chamber 110; And
A light scattering measuring device having an antifouling tube, comprising: a second mirror (260)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opposite sides.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미러(250)와 상기 제 2 미러(260)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챔버(110)로부터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At least one of the first mirror 250 and the second mirror 260 is detachable from the chamber 110. Light scattering measuring apparatus having an antifouling tub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미러(260)중 일부에는 상기 검출부(1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관을 갖는 광산란 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A light scattering measuring device having an antifouling tub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ection unit 140 is provided in some of the second mirrors 260.
KR1020190026262A 2019-03-07 2019-03-07 Optical scattering detection device with an anti-contamination tube KR1022290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262A KR102229060B1 (en) 2019-03-07 2019-03-07 Optical scattering detection device with an anti-contamination tu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262A KR102229060B1 (en) 2019-03-07 2019-03-07 Optical scattering detection device with an anti-contamination tub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317A true KR20200107317A (en) 2020-09-16
KR102229060B1 KR102229060B1 (en) 2021-03-18

Family

ID=72670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262A KR102229060B1 (en) 2019-03-07 2019-03-07 Optical scattering detection device with an anti-contamination tub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906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18840A (en) * 2021-06-22 2021-09-21 西石(厦门)科技股份有限公司 Gas detection device and vehicle-mounted tail gas detection system
CN114791377A (en) * 2022-05-09 2022-07-26 吴也正 Device and method for sampling PM2.5 in ambient ai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9256A (en) 1996-03-26 1997-10-03 Canon Inc Image form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JP2004264146A (en) * 2003-02-28 2004-09-24 Horiba Ltd Optical device and analyzer having simple functions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and for correction
JP2008234416A (en) * 2007-03-22 2008-10-02 Nohmi Bosai Ltd Smoke detector
JP2010531458A (en) * 2007-06-28 2010-09-24 ペリー・イクイップメント・コーポレイション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monitoring contaminants in a fluid
KR20160019790A (en) * 2014-08-12 2016-02-22 삼양화학공업주식회사 Real Time Biological Aerosol Detection Device in Flow Cell
KR101606561B1 (en) 2014-12-15 2016-03-25 주식회사 그린솔루스 Method for measuring dust particle and apparatus for measuring dust particl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9256A (en) 1996-03-26 1997-10-03 Canon Inc Image form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JP2004264146A (en) * 2003-02-28 2004-09-24 Horiba Ltd Optical device and analyzer having simple functions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and for correction
JP2008234416A (en) * 2007-03-22 2008-10-02 Nohmi Bosai Ltd Smoke detector
JP2010531458A (en) * 2007-06-28 2010-09-24 ペリー・イクイップメント・コーポレイション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monitoring contaminants in a fluid
KR20160019790A (en) * 2014-08-12 2016-02-22 삼양화학공업주식회사 Real Time Biological Aerosol Detection Device in Flow Cell
KR101606561B1 (en) 2014-12-15 2016-03-25 주식회사 그린솔루스 Method for measuring dust particle and apparatus for measuring dust partic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18840A (en) * 2021-06-22 2021-09-21 西石(厦门)科技股份有限公司 Gas detection device and vehicle-mounted tail gas detection system
CN114791377A (en) * 2022-05-09 2022-07-26 吴也正 Device and method for sampling PM2.5 in ambient air
CN114791377B (en) * 2022-05-09 2024-04-05 吴也正 PM2.5 sampling device and sampling method in ambient 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9060B1 (en) 2021-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3787B1 (en) Portable real-time detecting device for biological aerosol
KR101069042B1 (en) A chamber configuration adapted for a particle detector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fluid is adapted to flow at a first velocity
KR102229060B1 (en) Optical scattering detection device with an anti-contamination tube
KR101819997B1 (en) Optical detection of particle characteristics
WO2017133045A1 (en) Aerosol real time monitor
US7355706B2 (en) Particle detection system implemented with an immersed optical system
JP2012513031A (en) Compact detector for simultaneous detection of particle size and fluorescence
US20130244226A1 (en) Virus detection device and virus detection method
JP2015200547A (en) Particle detection sensor, dust sensor, smoke detector, air cleaner and ventilator
JP2013101067A (en) Gas concentration measuring apparatus
CA2646052A1 (en) Optical design of a measurement system having multiple sensor or multiple light source paths
JP5188758B2 (en) Particle size distribution measuring device
AU2007230750A1 (en) Measurement of light from a predefined scatter angle from particulate matter in a media
AU2007230748A1 (en) Optical design of a particulate measurement system
KR20200033619A (en) Sensor assembly for particulate matter
AU2007230752A1 (en) Dual function measurement system
CN211122432U (en) Particulate matter detector and detection system with same
CN210051664U (en) Particle diameter and particle concentration on-line measuring device
JP4327112B2 (en) Gas measuring device
WO2023029733A1 (en) Optical particle counter
JP5954136B2 (en) Gas cell
CN111307677A (en) Laser front scattering particulate matter monitoring device
AU2007230755A1 (en) Self calibrating measurement system
US71390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size distribution and concentration of particles in a fluid
JP2005172636A (en) Dust me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