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7109A - Vent cap assembly - Google Patents

Vent cap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7109A
KR20200107109A KR1020190025681A KR20190025681A KR20200107109A KR 20200107109 A KR20200107109 A KR 20200107109A KR 1020190025681 A KR1020190025681 A KR 1020190025681A KR 20190025681 A KR20190025681 A KR 20190025681A KR 20200107109 A KR20200107109 A KR 20200107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cap assembly
flow portion
hood cap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6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87844B1 (en
Inventor
이능구
Original Assignee
이능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능구 filed Critical 이능구
Priority to KR1020190025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844B1/en
Publication of KR20200107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1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8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5Grilles, registers or guards including an air fil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od cap assembly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headwind from flowing to the inside from the outside, and more specifically, to a hood cap assembly mounted on an exhaust pipe installed on a building wall. The hood cap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on pipe unit (2) including a first flow unit (12), a flange unit (22) protruding outward in a radial direction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flow unit (12), a second flow unit (32) protruding from the first flow unit (12) on the flange uni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flow unit (12) by being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the first flow unit (12) in the radial direction; and a cover unit (6) detachably coupled with the connection pipe unit (2).

Description

후드캡 조립체{VENT CAP ASSEMBLY} Hood cap assembly {VENT CAP ASSEMBLY}

본 발명은 후드캡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물 벽체에 부설되는 배기관에 장착되는 후드캡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od cap assembly, and more specifically, to a hood cap assembly mounted on an exhaust pipe installed on a building wall.

건물 벽체에는 실내 공기와 외부 공기가 교환될 수 있도록 공기의 통로인 배기관이 형성되고, 건물 벽체 측의 배기관에는 비, 눈 등의 유입 및 곤충 등의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후드캡이 장착된다. An exhaust pipe, which is an air passageway, is formed on the building wall so that indoor air and outside air can be exchanged, and a hood cap is attached to the exhaust pipe on the side of the building wall to prevent the inflow of rain, snow, and foreign substances such as insects. .

통상적으로 후드캡은 벽체 내에 매설되어 있는 배기관에 부착되는 연결관, 부착된 연결관에 씌워지는 캡 및 연결관과 캡 사이에 배치되는 망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후드캡은 빗물 등의 유입, 이물질의 침투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외부에서 실내 측으로 불어오는 역풍의 배기관으로의 유입이나 역풍과의 충돌을 막아 수월하게 오염된 공기가 실외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Typically, the hood cap includes a connection pipe attached to an exhaust pipe embedded in a wall, a cap covered on the attached connection pipe, and a net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on pipe and the cap.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hood cap can effectively prevent the inflow of rainwater and the intrusion of foreign substances, while preventing the inflow of the headwind blowing from the outside to the interior or collision with the headwind, so that the polluted air is easily discharged to the outdoors. It should be structured to be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를 갖는 후드캡에 관한 종래기술이 있으나 여전히 이들 과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종래기술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들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 후드캡에 관한 개발이 필요하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re is a conventional technology for a hood cap having a variety of structures, but there is still a lack of conventional technology capable of solving all of these problem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hood cap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solving these problems.

등록특허공보 제10-1528028호 (등록일자: 2015.06.04)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528028 (Registration Date: 2015.06.04)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본 발명은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역풍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 후드캡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od cap assembly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headwind from flowing into the interior from the outs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낙하하는 빗물, 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 후드캡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od cap assembly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the inflow of falling rain and snow.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역풍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후드캡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od cap assembly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collision with headwind flowing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본 발명은, 또한,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배기성이 향상된 후드캡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od cap assembly with improved ventilation, which can smoothly discharge contaminated air in the room.

또한, 본 발명은 배기관을 통해서 유입될 수 있는 빗물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후드캡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od cap assembly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efficiently preventing rainwater that may flow in through an exhaust pipe.

또한, 본 발명은 후드캡의 설치로 인하여 건물 외벽에 발생하는 빗물 자국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는 후드캡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od cap assembly capable of preventing the formation of rainwater marks on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hood cap.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ar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Can b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perform the characteristic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후드캡 어셈블리는, 제1 유동부; 상기 제1 유동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 및 상기 제1 유동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제1 유동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플랜지부 상에서 돌출하는 제2 유동부;를 포함하는 연결관부 및 상기 연결관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The hood cap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flow unit; A flange portion protruding radially outwar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flow portion; And a second flow portion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low portion in a radial direction and protrudes from the flange por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flow portion; and a cover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pipe portion. Inclu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유동부의 선단부는 제1 유동부의 내면으로부터 외면을 향해 구배를 형성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end of the first flow portion forms a gradien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low portion toward the outer surf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유동부는 상기 플랜지부에 대하여 상기 제1 유동부보다 돌출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flow portion protrudes from the first flow portion with respect to the flange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유동부의 내측에 상기 제2 유동부와 연결하여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includes a guide portion formed inside the second flow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 유동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중공이 형성되는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여 상기 제2 유동부에 연결되고 각각의 사이는 관통하는 복수의 리브;를 포함한다. Preferably, the guide portion, a core portion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flow portion and formed with a hollow; And a plurality of ribs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core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ortion, and passing through each of the ribs.

바람직하게, 상기 코어부는 일 측에서 타 측을 향하여 직경이 확장된다. Preferably, the diameter of the core portion is expanded from one side toward the other 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유동부는 상기 플랜지부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확장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meter of the second flow portion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flange portion increas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부에는 관통면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면부; 상기 상면부의 둘레에서 일정 각도로 만곡하여 형성되고 상기 관통면이 형성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에서 연장하여 연결관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면은 제1 유동부의 단면적과 동일하거나 상기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portion is formed with a through surface, the cover portion, the upper surface portion; A side portion formed to be curved at a predetermined angle around the upper surface portion and formed with the through surface; And a coupl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side portion and configured to couple with the connection pipe portion, wherein the through surface is formed to b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flow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유동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쉬부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includes a mesh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flow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관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내측캡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캡은 메쉬부재; 및 상기 메쉬부재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고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페이서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ncludes an inner cap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pipe, the inner cap is a mesh member; And a spacer part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mesh member and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바람직하게, 상기 내측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외측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캡의 일 측에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캡의 양 측에는 상기 개방부보다 작은 크기의 윈도우가 각각 형성된다. Preferably, the outer cap further comprises an outer cap detachably coupled to the inner cap, and an opening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cap, and windows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opening portion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cap.

바람직하게, 상기 스페이서부의 일 측면은 축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의 기울기가 형성된다.Preferably, one side of the spacer part has an inclination of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역풍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 후드캡 조립체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ood cap assembly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headwind from flowing into the interior from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는 낙하하는 빗물, 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od cap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inflow of falling rain and snow.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역풍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후드캡 조립체가 제공된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ood cap assembly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a collision with the headwind flowing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배기성이 향상된 후드캡 조립체가 제공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ood cap assembly with improved exhaust characteristics that can smoothly discharge contaminated air in the room.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기관을 통해 유입될 수 있는 빗물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후드캡 조립체가 제공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ood cap assembly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efficiently preventing rainwater that may flow in through an exhaust pip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는, 후드캡의 설치로 인하여 건물 외벽에 발생하는 빗물 자국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od cap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formation of rainwater marks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hood cap.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의 연결관부의 단면도를 도시하고(도 5a의 DD'를 따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표시된 부분 A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도 1에 표시된 부분 B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의 연결관부의 단면도를 도시하고(도 5b의 EE'를 따른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의 연결관부의 상측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의 연결관부의 상측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의 측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의 상측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가 벽체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의 내측캡의 일측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의 내측캡의 타측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2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의 내측캡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2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의 내측캡의 측면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2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가 벽체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3은 종래기술에 따라 벽체에 형성되는 빗물자국을 도시하고,
도 1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측캡의 일측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측캡의 타측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on pipe portion of a hood cap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DD′ in FIG. 5A)
2 show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shown in FIG. 1,
3 show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shown in FIG.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on pipe portion of a hood cap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EE' in FIG. 5B)
Figure 5a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pipe portion of the hood cap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B is an upper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pipe portion of the hood cap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ood cap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a is a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hood cap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b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the hood cap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c shows a side view of the hood cap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show a hood cap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a wall,
10 and 11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hood cap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a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side of the inner cap of the hood cap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ther side of the inner cap of the hood cap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C is a side view of the inner cap of the hood cap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D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ner cap of the hood cap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E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ood cap assembly mounted on a wa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shows a rainwater trace formed on a wall according to the prior art,
14A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side of an outer ca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ther side of the outer ca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od cap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present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ifi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and/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 terms. The term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within a range no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something to do.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in contact" with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Other expressions for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that is, expressions such as "between" and "direct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The same reference numb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enote the same elements. On the other hand,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xemplary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actions and/or elements in which the recit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is Or does not exclude additions.

본 발명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는, 제1 유동부; 상기 제1 유동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 및 상기 제1 유동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제1 유동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플랜지부 상에서 돌출하는 제2 유동부;를 포함하는 연결관부 및 상기 연결관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Hood cap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low portion; A flange portion protruding radially outwar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flow portion; And a second flow portion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low portion in a radial direction and protrudes from the flange por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flow portion; and a cover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pipe portion. Includ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는 연결관부(2)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 1, the hood cap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on pipe portion (2).

연결관부(2)는 건물 벽체 내에 부설되는 배기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연결관부(2)는 제1 유동부(12), 플랜지부(22) 및 제2 유동부(32)를 포함한다. The connection pipe portion 2 is mounted on an exhaust pipe installed in the building wall, and the connection pipe portion 2 includes a first flow portion 12, a flange portion 22, and a second flow portion 32.

도 2는 도 1의 부분 A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유동부(12)는 건물 내에 부설되는 배기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파이프 형태의 구성으로서, 외경을 갖는 외면(112a) 및 내경을 갖는 내면(112b)을 포함한다. 제1 유동부(12)의 외경, 즉, 외면(112a)의 지름은 설치될 배기관의 내경과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끼움결합에 의해 배기관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유동부(12)의 내경, 즉, 내면(112b)의 지름은 제1 유동부(12)의 두께만큼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제1 유동부(12) 내부로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내측에는 관통공(212)이 형성된다. Fig. 2 show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1; Referring to FIG. 2, the first flow unit 12 is a pipe-shaped configuration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an exhaust pipe installed in a building, and includes an outer surface 112a having an outer diameter and an inner surface 112b having an inner diameter.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flow portion 12, that is, the diameter of the outer surface 112a, is formed to match the inner diameter of the exhaust pipe to be installed, and may be mounted on the exhaust pipe by fitt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flow portion 12, that is, the diameter of the inner surface 112b is formed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by the thickness of the first flow portion 12. In addition, a through hole 212 is formed inside the first flow unit 12 so that air can flow into the in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유동부(12)의 선단부(112c)는 제1 유동부(12)의 내면(112b)으로부터 외면(112a)을 향해 구배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 제1 유동부(12)의 내면(112b)은 선단에 접근할수록 외면(112a)을 향해 일정 기울기를 형성한다. 즉, 구배의 형성을 통해 제1 유동부(12)의 직경을 점진적으로 확장한다. 건물의 배기관에 삽입되는 종래 연결관은 배기관 내에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배기관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야만 한다. 이와 같이 감소되는 면적으로 인해 실내공기의 배출 흐름이 약화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유동부(12)의 직경을 점진적으로 확장시키는 선단부(112c)의 구성을 통해 공기의 배출 흐름이 보다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end portion 112c of the first flow portion 12 forms a gradient from the inner surface 112b of the first flow portion 12 toward the outer surface 112a. In other words, the inner surface 112b of the first flow unit 12 forms a certain inclination toward the outer surface 112a as it approaches the tip. That is, the diameter of the first flow portion 12 is gradually expanded through the formation of a gradient. The conventional connection pipe inserted into the exhaust pipe of the building must be form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exhaust pipe because it must be inserted into the exhaust pipe. Due to this reduced area, the discharge flow of indoor air may be weakened.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flow of air is reduced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tip part 112c gradually expanding the diameter of the first flow part 12. Make it easier to proceed.

플랜지부(22)는 제1 유동부(12)의 둘레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한다. 플랜지부(22)는 제1 유동부(12)의 길이방향에서 제1 유동부(12)의 선단부(112c)보다 후퇴한 위치에 형성된다. 선단부(112c)는 벽체로부터 제1 유동부(12)의 직경이 확장될 수 있도록 제1 유동부(12)의 내면에서 외면을 향해 구배가 형성되는 것이다. The flange portion 22 protrudes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flow portion 12. The flange portion 22 is formed at a position retracted from the front end 112c of the first flow portion 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low portion 12. The tip portion 112c is formed with a gradien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low portion 12 toward the outer surface so that the diameter of the first flow portion 12 can be expanded from the wall.

또한, 도 1의 부분 B의 확대도인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결관부(2)는 제2 유동부(32)를 포함한다. 제2 유동부(32)는 제1 유동부(12)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되고, 제1 유동부(12)의 둘레방향을 따라 플랜지부(22) 상에서 돌출한다. 제2 유동부(32)는 튜브의 형태로 외면(132a) 및 내면(132b)을 구비하며, 플랜지부(22)와 가까운 측인 근접단부(232a) 및 플랜지부(22)와 먼 측인 원위단부(232b)를 포함한다. Further, referring to FIG. 3, which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1, the connection pipe part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flow part 32. The second flow portion 32 is formed radially outwardly from the first flow portion 12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protrudes from the flange portion 22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flow portion 12. The second flow portion 32 has an outer surface 132a and an inner surface 132b in the form of a tube, and a distal end portion that is a side far from the flange portion 22 and a proximal end portion 232a near the flange portion 22 and the flange portion 22 ( 232b).

제2 유동부(32)는 제1 유동부(12)와 동심축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2 유동부(32)는 제1 유동부(12)의 길이방향 적어도 일부와 일정 간격을 두고 포개어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2 유동부(32)는, 아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른 구성들과 더불어 빗물과 바람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second flow portion 32 is formed to have a concentric axis with the first flow portion 12, and the second flow portion 32 overlaps at least a part of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rst flow portion 12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s formed by The second flow unit 32, a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performs a function of blocking rain and wind along with other compone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유동부(32)는 플랜지부(22)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확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유동부(32)는, 제1 유동부(22)와 유사한 방식으로, 플랜지부(22)에서 연장함에 따라 제2 유동부(32)의 내면(132b)이 외면(132a)에 근접하도록 구배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유동부(32)는 플랜지부(22)에서 돌출하여 연장하면서 내면(132b)이 외면(132a)에 가까워지도록 기울기를 형성하여 플랜지부(22) 측 근접단부(232a)에서 제2 유동부(32)의 원위단부(232b)로 이동함에 따라 직경이 점진적으로 확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동부(32)의 이와 같은 구성도 제1 유동부(12)와 더불어 실내공기가 유동하는 면적을 증가시켜 실내 측에서 실외 측으로 공기가 원활하게 흐르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flow portion 32 may be configured to increase in diameter as the distance from the flange portion 22 increases. The second flow portion 32 is, in a manner similar to the first flow portion 22, so that the inner surface 132b of the second flow portion 32 approaches the outer surface 132a as it extends from the flange portion 22. It can be formed with a gradient. That is, the second flow portion 32 protrudes from the flange portion 22 and extends, forming an inclination so that the inner surface 132b is close to the outer surface 132a, so that the second flow portion 32 extends from the flange portion 22 side proximal end portion 232a. As it moves to the distal end portion 232b of the flow portion 32, the diameter may be gradually expanded. This configuration of the second flow unit 32 can also increase an area through which indoor air flows together with the first flow unit 12 so that air flows smoothly from the indoor side to the outdoor 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유동부(32)는 플랜지부(22)에 대하여 제1 유동부(12)보다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1 유동부(12) 및 제2 유동부(32)는 2중의 단차를 가지고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유동부(12)의 선단부(112c)는 대략 플랜지부(22) 측으로부터 구배를 가지고 일정 거리 돌출하고, 제2 유동부(32)는 제1 유동부(12)의 선단부(112c)와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된 거리에서 플랜지부(22)로부터 일정 거리 돌출한다. 또한, 제2 유동부(32)가 플랜지부(22)로부터 돌출하는 길이는 제1 유동부(12)가 플랜지부(22)에 대하여 돌출하는 길이보다 더 크도록 구성된다. 제2 유동부(32)가 제1 유동부(12)가 더 길게 형성되어, 즉, 이중의 단차를 형성하여 후술하는 커버부(6)의 관통면(26) 또는 외측캡(7)의 개방부(17)를 통해 유입되는 외풍이 제2 유동부(32)에 가로막혀 다시 되돌아 나갈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실내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방해받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중 단차는 역풍과의 충돌의 최소화를 위하여 마련되며, 따라서, 원활한 배기를 유도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flow portion 32 is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first flow portion 12 with respect to the flange portion 22. That is, the first flow portion 12 and the second flow portion 32 are formed with a double step difference.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end portion 112c of the first flow portion 12 protrudes from the side of the flange portion 2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second flow portion 32 is formed of the first flow portion 12. It protrudes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lange portion 22 at a distance spaced from the front end portion 112c and radially outward.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second flow portion 32 protruding from the flange portion 22 is configured to be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flow portion 12 protruding with respect to the flange portion 22. In the second flow portion 32, the first flow portion 12 is formed longer, that is, a double step is formed to open the penetration surface 26 or the outer cap 7 of the cover portion 6 to be described later. Draft air introduced through the unit 17 is blocked by the second flow unit 32 so that it can be returned again. Accordingly,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flow of air discharged from the room is not disturbed by the fluid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e double step is provided to minimize the collision with the headwind, thus inducing smooth exhaus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유동부(12)와 제2 유동부(32) 사이에는 간격(G)이 형성된다. 제1 유동부(12)를 따라 배출되는 공기는 제1 유동부(12)의 선단부(112c)에 근접하면서 구배를 따라, 즉, 확장된 면적을 통해 이동하면서,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는 제1 유동부(12) 및 제2 유동부(32)와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유동하는 공기의 또 다른 일부는 제1 유동부(32)의 선단부(112c)를 따라 간격(G)측으로 흐르면서 보다 확장되는 제2 유동부(32)의 내면(132b)을 따라 흐르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또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 경로를 보다 확장하여 배기가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ap G is formed between the first flow portion 12 and the second flow portion 32. The air discharged along the first flow portion 12 moves along a gradient, that is, through an expanded area while being close to the tip portion 112c of the first flow portion 12, and part of the flowing air is first It move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low part 12 and the second flow part 32, and another part of the flowing air flows toward the gap G along the front end 112c of the first flow part 32 and expands more. It flows along the inner surface (132b) of the second flow portion (32). This configuration further expands the flow path of the exhausted air so that the exhaust is facilit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랜지부(22)는 제2 유동부(32)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장착부(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1 참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동부(32)의 반경방향 외측에는 장착부(122)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동부(32)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장착부(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122)의 유무는 후술하는 커버부(6) 또는 내측캡(5) 및 외측캡(7)의 장착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nge portion 22 may further include a mounting portion 122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second flow portion 32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ee FIG. 1 ).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the mounting portion 122 may not be formed outside the second flow portion 32 in the radial direction, and as shown in FIG. 1, the second flow portion 32 ) May further include a mounting portion 122 extending radially outwar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mounting portion 122 may be selectively formed according to the mounting of the cover portion 6 or the inner cap 5 and the outer cap 7 to be described later.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관부(2)는 가이드부(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42)는 배기의 유도 및 역풍에 대한 저항성 향상 내지는 역풍을 방지하는 가이드로서, 추가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배출되는 경우 배기를 원활히 할 수 있고, 역풍을 방지하는 구성으로서 외부에서 유입되는 바람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42)는 제2 유동부(32)의 내측에 제2 유동부(32)와 연결하여 형성된다. 가이드부(42)는 코어부(142) 및 복수의 리브(242)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5A and 5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pipe part 2 may further include a guide part 42. The guide portion 42 is a guide for inducing exhaust and improving resistance to headwind or preventing headwind, and may provide additional effects. That is, when contaminated air in the room is discharged, exhaust can be smoothly performed, and as a configuration that prevents headwi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flow of wind from the outside. The guide portion 42 is formed by connecting the second flow portion 32 to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flow portion 32. The guide portion 42 includes a core portion 142 and a plurality of ribs 242.

코어부(142)는 제2 유동부(32)의 내측에 제2 유동부(3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부(142)의 직경은 변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코어부(142)는 일 측에서 타 측을 향하여 직경이 확장되도록 구성된다. 일 측이라 함은 실내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먼저 접근하는 측을 의미하고, 타 측은 배출되는 실내의 공기가 나중에 다다르는 측을 의미한다. The core portion 142 is formed inside the second flow portion 32 to have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flow portion 3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meter of the core portion 142 may be configured to vary. As an embodiment, the core portion 142 is configured to expand in diameter from one side toward the other side. One side means the side wher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room approaches first, and the other side means the side where the exhausted indoor air reaches later.

또한, 코어부(142)에는 중공(1142)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코어부(142)의 중공(1142)의 직경이 확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코어부(142)의 직경이 일 측에서 타 측으로 확장 형성되는 것에 대응하여 중공(1142)도 동일한 방식으로 일 측에서 타 측으로 확장 형성되어 배기를 가이드하고 실내 공기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hollow 1142 is formed in the core portion 142. Preferably, the diameter of the hollow 1142 of the core portion 142 may be formed to expand. In response to the diameter of the core part 142 being expand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the hollow 1142 is also expand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in the same manner to guide the exhaust and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indoor air. have.

코어부(142)는 복수의 리브(242)에 의해 제2 유동부(32)와 연결된다. 각 리브(242) 사이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하여 형성된다. 복수의 리브(242)는 코어부(142)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여 제2 유동부(32) 내지는 제2 유동부(32)의 내면(132b)에 결합한다. 도면에는 복수의 리브(242)를 세 개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수가 가감될 수 있다. The core portion 142 is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ortion 32 by a plurality of ribs 242. Between the ribs 242 is formed to penetrate so that air can pass. The plurality of ribs 242 extend radially outward from the core portion 142 and ar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132b of the second flow portion 32 or the second flow portion 32. In the drawing, the plurality of ribs 242 is illustrated as three, but the number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umber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메쉬부(4)와 가이드부(42)의 존재로 인해 실내 공기 배출 면적이 감소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메쉬부(4) 및 가이드부(42)는 제1 유동부(12)가 아닌 제2 유동부(32)에 형성된다. 메쉬부(4) 및 가이드부(42) 때문에 줄어들 수 있는 배기면적을 보상하기 위하여 배기관 내측 면적보다 확장된 제2 유동부(32)에 메쉬부(4) 및 가이드부(42)를 형성함으로써, 배기면적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고 배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indoor air discharge area may be reduced due to the presence of the mesh part 4 and the guide part 42, the mesh part 4 and the guide part 42 It is formed in the second flow part 32, not the eastern part 12.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exhaust area that may be reduced due to the mesh portion 4 and the guide portion 42, the mesh portion 4 and the guide portion 42 are formed in the second flow portion 32 that is larger than the inner area of the exhaust pipe, It can prevent the exhaust area from being reduced and improve the exhaust performance.

즉, 가이드부(42)는 외풍 유입시에는 가이드부(42)의 존재로서 외부로부터의 바람의 유입을 차단하고, 배출되는 공기 측면에서 보면 가이드부(42)가 공기의 흐름을 확대시켜 배기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That is, the guide part 42 blocks the inflow of wind from the outside by the presence of the guide part 42 when the draft is inflow, and the guide part 42 expands the flow of air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discharged air to perform an exhaust function. Can be further improv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는 장착부(122)를 포함하는 연결관부(2), 메쉬부(4) 및 커버부(6)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hood cap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nection pipe part 2 including a mounting part 122, a mesh part 4, and a cover part 6.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관부(2)는 위에 설명한 내용을 모두 포함하고 내용이 중복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connection pipe unit 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ll of the above-described contents and the contents are redundant,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메쉬부(4)는 제2 유동부(32)의 원위단부(232b) 측에 제2 유동부(32)의 원위단부(232b)를 덮도록 장착된다. 메쉬부(4)는 망상 구조의 구성으로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충, 해충, 먼지 기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한다. The mesh portion 4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distal end portion 232b of the second flow portion 32 to cover the distal end portion 232b of the second flow portion 32. The mesh part 4 has a network structure and prevents the inflow of larvae, pests, dust and other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또한,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후드캡 조립체는 커버부(6)를 포함한다. 커버부(6)는 메쉬부(4)가 장착된 연결관부(2)를 덮는 기능을 수행하고, 이를 위하여 커버부(6)는 장착부(122)와 결합할 수 있다. 커버부(6)는 일차적으로 빗물과 바람의 유입을 차단한다. 커버부(6)는 상면부(16a), 측면부(16b), 결합부(16c) 및 관통면(26)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7A to 7C, the hood cap assembly includes a cover part 6. The cover part 6 performs a function of covering the connection pipe part 2 on which the mesh part 4 is mounted, and for this purpose, the cover part 6 may be combined with the mounting part 122. The cover 6 primarily blocks the inflow of rain and wind. The cover portion 6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portion 16a, a side portion 16b, a coupling portion 16c, and a through surface 26.

상면부(16a)는 후드캡 조립체가 건물에 장착될 때, 건물 외벽에서 가장 돌출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When the hood cap assembly is mounted on the building, the upper surface portion 16a corresponds to the portion most protruding from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측면부(16b)는 상면부(16a)의 둘레에서 일정 각도로 만곡하여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면부(16a)에서 대략 직각으로 만곡하며, 만곡하는 부분은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The side portion 16b is formed by bending at a predetermined angle around the upper surface portion 16a. Preferably, the upper surface portion 16a is curved at a substantially right angle, and the curved portion may be rounded.

측면부(16b)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면(26)이 형성된다. 관통면(26)은 배기관 및 연결관부(2)를 통해 배출되는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통면(26)은 실내에서 실외로 유동하는 공기가 원활하고 충분히 배출될 수 있도록 관통 면적을 고려하여 형성되며, 동시에, 직접적으로 빗물 등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략 측면부(16b)의 하측 180° 내지 240°에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측면부(16b)의 하측 180°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의 원활한 배출과 빗물 유입 차단이라는 상충되는 두 가지 요건을 모두 만족시키기 위하여 커버부(6)의 측면부(16b)에, 그리고 측면부(16b)에서도 일부 면적에만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바람직하게, 관통면(26)의 면적은 제1 유동부(12)의 단면적 또는 내경 면적보다 동일하거나 또는 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제1 유동부(12)보다 관통면(26)의 면적을 동일하거나 보다 크게 형성하는 경우 배기가 원활한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유동부(12)의 내경 면적과 관통면(26)의 면적을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제1 유동부(12)의 내경 면적보다 관통면(26)의 면적을 대략 40%이내 범위로 크게 형성하는 경우 배기 시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배기가 가장 수월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발견하였다.At least one through surface 26 is formed on the side portion 16b. The through surface 26 is formed to discharge contaminat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ipe and the connection pipe 2 to the out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netration surface 26 is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penetration area so that air flowing from indoor to outdoor can be smoothly and sufficiently discharged, and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directly prevent the inflow of rainwater, etc. It may be formed only approximately 180° to 240° below the side portion 16b. Preferably, it may be formed only about 180° below the side portion 16b.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atisfy both conflicting requirements of smooth discharge of air and blocking of rainwater inflow, it is configured to be formed only on a partial area of the side part 16b of the cover part 6 and also in the side part 16b. do. To this end, preferably, the area of the through surface 26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r the inner diameter area of the first flow portion 12.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und that exhaust is smooth when the area of the through surface 26 is formed equal to or larger than the first flow portion 12. In addition, more preferably, the area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flow portion 12 and the area of the penetration surface 26 are formed to be the same, or the area of the penetration surface 26 is approximately less than the inner diameter area of the first flow portion 12 In the case of forming a large amount within 40%, it was found that the exhaust was most easily performed by minimizing the resistance during exhaust.

관통면(26)은 측면부(16b)에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면에 제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이 분할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through surface 26 may be formed as one on the side portion 16b, or may be formed by dividing one or more as shown in the drawing.

도 8은 후드캡 조립체가 벽체(W)에 장착되는 모습을 상정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관통면(26)은 커버부(6)가 연결관부(2)에 장착되고 외부에서 관찰할 때, 측면부(16b)의 하측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관통면(26)은 측면부(16b)의 하측 180 내지 240도 사이에 형성된다. 도 8에서 관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관통면(26)은 중심선(C)과 대략 일치하는 부분까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8 is an assumption that the hood cap assembly is mounted on the wall (W). As described above, the through surface 26 may be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portion 16b when the cover portion 6 is mounted on the connection pipe portion 2 and viewed from the outside. Preferably, the through surface 26 is formed between 180 to 240 degrees below the side portion 16b. As can be seen in FIG. 8, it is preferable that the through surface 26 is formed to a portion substantially coincident with the center line C.

측면부(16b)의 타단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로 만곡하여 형성되는 결합부(16c)가 형성된다. 결합부(16c)는 연결관부(2)의 장착부(122)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한다. The other end of the side portion 16b is formed with a coupling portion 16c formed by bending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coupling portion 16c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122 of the connection pipe portion 2.

본 발명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의 효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Summarizing the effects of the hood cap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본 발명에 따르면, 역풍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역풍방지를 위하여 후드캡 조립체에 제1 유동부(12)와 제2 유동부(32)를 형성하여 이중 단차를 구성한다. 따라서, 커버부(6)의 관통면(26)을 따라 바람이 유입되는 경우 관통면(26) 바로 내측에 구성된 제2 유동부(32)에 부딪혀 관통면(26)을 통해 되돌아 나가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42)가 형성되는 경우, 관통면(26)을 통해 유입되는 바람은 일차적으로 그 내측의 제2 유동부(32)에 부딪혀 바람이 분산되고 차단되며, 이차적으로는 제1 유동부(12)와 가이드부(42)의 존재로 말미암아 바람의 유입을 가로막음으로써 역풍이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차단된 바람은 제2 유동부(32)를 따라 돌아 관통면(26)을 통해 다시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As shown in Fig. 9, 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adwind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In order to prevent the headwind, a first flow portion 12 and a second flow portion 32 are formed in the hood cap assembly to form a double step. Therefore, when wind flows in along the through surface 26 of the cover part 6, it hits the second flow part 32 configured just inside the through surface 26 and returns through the through surface 26. . In addition, when the guide part 42 is formed, the wind flowing in through the through surface 26 first hits the second flow part 32 inside it to disperse and block the wind. Headwinds can be more efficiently prevented by blocking the inflow of wind due to the presence of the eastern part 12 and the guide part 42. Even in this case, the blocked wind has the effect of being discharged again through the through surface 26 along the second flow part 32.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빗물의 유입이 효율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대략 수직방향으로 낙하하는 빗물은 일차적으로 커버부(6)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면부(16a) 및 측면부(16b)를 통하여 그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측방향 내지는 수직방향에 대하여 각도를 형성하며 후드캡 조립체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은 제2 유동부(32)에 의해 그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설사 빗방울이 제2 유동부(32)에 튄다거나 하여 일부가 연결관부(2) 내측으로 유입되는 경우 또는 결로 발생 시 제1 유동부(12)의 선단부(112c)에 형성되는 구배에 의하여 더 이상 내측으로 흐르지 못하고 외부로 자연히 흐르도록 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flow of rainwater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Rainwater falling in the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may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rough the cover part 6, more specifically through the upper surface part 16a and the side part 16b. In addition, rainwater form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lateral or vertical direction and flowing into the hood cap assembly may be prevented from being introduced by the second flow unit 32. Even if raindrops splash on the second flow section 32, some of them flow into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pipe section 2, or when condensation occurs, the gradient formed at the front end 112c of the first flow section 12 is no longer possible. It can not flow inward and flow naturally outwar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역풍의 충돌이 방지되고 내기의 원활한 배출을 유도할 수 있다. 실내에서 실외 측으로 배출되는 바람이 원활하게 유동하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바람이 없거나 외부에서 유입되는 바람과의 충돌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기능을 제2 유동부(32)가 수행한다. 내측에서 배출되는 상당량의 유해 물질과 바람은 제1 유동부(12)를 통한 배출이 이루어지고 제1 유동부(12)보다 면적이 확장된 제2 유동부(32)를 통과한 뒤, 커버부(6)의 관통면(26)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또한, 이때, 제1 유동부(12)가 아닌, 직경 내지는 단면적이 확장된 제2 유동부(32)에 메쉬부(4)를 장착함으로써 정압이 최소화될 수 있다. 게다가, 가이드부(42)가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확대시킴으로써 배기가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collision of headwinds and induce smooth discharge of the bet. In order for the wind discharged from the indoor to the outdoor side to flow smoothly, there must be no wind flowing in from the outside or collision with the wind flowing in from the outside must be prevented as much as possible. This function is performed by the second flow unit 32. A significant amount of harmful substances and wind discharged from the inside ar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flow unit 12 and pass through the second flow unit 32 whose area is larger than the first flow unit 12, and then the cover unit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 surface 26 of (6). In addition, at this time, by mounting the mesh portion 4 to the second flow portion 32 that has an expanded diameter or cross-sectional area instead of the first flow portion 12, static pressure may be minimized. In addition, by expanding the flow of air discharged by the guide portion 42, the exhaust is performed more effectively.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후드캡 조립체는 장착부(122)를 포함하지 않는 연결관부(2), 내측캡(5) 및 외측캡(7)을 포함할 수 있다. 10 and 1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od cap assembly includes a connecting pipe portion 2, an inner cap 5 and an outer cap 7 that do not include the mounting portion 122. Can include.

연결관부(2)는 위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connection pipe part 2 is duplicated with the contents described above,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내측캡(5)은 연결관부(2)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측캡(7) 및 연결관부(2) 사이에 배치되게 된다. 내측캡(5)은 메쉬부재(15), 안착부(25), 스페이서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ner cap 5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pipe part 2 and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 cap 7 and the connection pipe part 2. The inner cap 5 may include a mesh member 15, a seating portion 25, and a spacer portion 35.

도 12a 내지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캡(5)은 메쉬부(4)와 유사한 메쉬부재(15)를 포함한다. 메쉬부재(15)는 내측캡(5)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내측캡(5)과 별도로 형성되어 내측캡(5)에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메쉬부재(15)는 연결관부(2)의 제2 유동부(32)에 장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메쉬부재(15)는 망상 구조의 구성으로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충, 해충 먼지 기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12A to 12C, the inner cap 5 includes a mesh member 15 similar to the mesh portion 4. The mesh member 15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ner cap 5 or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inner cap 5 and mounted on the inner cap 5. In addition, the mesh member 15 is formed in a size that can be mounted on the second flow portion 32 of the connection pipe portion (2). The mesh member 15 has a network structure and functions to prevent the inflow of larvae, pest dust, and other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안착부(25)는 제2 유동부(3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안착부(25)는 제2 유동부(32)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제2 유동부(32)의 외면(132a) 형상과 대응하게 형성된다. 즉, 안착부(25)는 내측캡(5)을 연결관부(2)에 결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seating portion 25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low portion 32. The seating portion 25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132a of the second flow portion 32 so that it can be fitted to the second flow portion 32. That is, the seating portion 25 performs a function of coupling the inner cap 5 to the connection pipe portion 2.

또한, 안착부(25)에는 메쉬부재(15)가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쉬부재(15)는 안착부(25)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할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캡(7)은 개방부(17)를 포함한다. 안착부(25)는 안착부(25)가 내측캡(5)에서 돌출할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제2 확장부(235)의 두께까지 더하여 벽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므로 개방부(17)를 통해 외풍이 도달한다고 하더라도 후드캡 조립체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개방부(17)를 통해 후드캡 조립체에 도달한 역풍은 안착부(25)에 부딪혀 방향을 틀게 되고, 외측캡(7)에 형성되는 윈도우(27)를 향해 용이하게 후드캡 조립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역풍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sh member 15 is coupled to the seating portion 25. As described above, the mesh member 15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ating portion 25 or may be formed separately. A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er cap 7 includes an opening 17. The seating portion 25 is formed so that the seating portion 25 not only protrudes from the inner cap 5, but also protrudes from the wall surface by adding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xpansion portion 235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draft is formed through the opening portion 17. Even if it reaches, it is possible to prevent it from flowing into the hood cap assembly. The headwind that reaches the hood cap assembly through the opening portion 17 hits the seating portion 25 and turns its direction, and is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od cap assembly toward the window 27 formed in the outer cap 7 It can prevent collision with headwind.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메쉬부(4)와 가이드부(42)의 존재로 인해 실내 공기 배출 면적이 감소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메쉬부(4) 및 가이드부(42)가 제1 유동부(12)가 아닌 제2 유동부(32)에 형성되는 것을 설명한 바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메쉬부재(15) 및 가이드부(42) 때문에 줄어들 수 있는 배기면적을 보상하기 위하여 배기관 내측 면적보다 확장된 제2 유동부(32)에 메쉬부재(15) 및 가이드부(42)를 형성함으로써, 배기면적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고 배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indoor air discharge area may be reduced due to the presence of the mesh part 4 and the guide part 42, the mesh part 4 and the guide part 42 It has been described that it is formed in the second flow part 32 rather than the eastern part 12. Likewise,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exhaust area that may be reduced due to the mesh member 15 and the guide portion 42, the mesh member 15 and the second flow portion 32 expanded than the inner area of the exhaust pipe By forming the guide portion 4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haust area from being reduced and improve the exhaust performance.

한편, 내측캡(5)은 안착부(25)와 연결하여 형성되는 스페이서부(35)를 더 포함한다. 스페이서부(35)는 안착부(25)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고, 길이방향 내지는 축방향으로 연장한다. 스페이서부(35)는 제1 확장부(135) 및 제2 확장부(235)를 포함한다. Meanwhile, the inner cap 5 further includes a spacer portion 35 formed by connecting with the seating portion 25. The spacer portion 35 extends radially outward from the seating portion 25, and extend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r an axial direction. The spacer part 35 includes a first expansion part 135 and a second expansion part 235.

제1 확장부(135)는 메쉬부재(15)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하여 형성되고, 제2 확장부(235)는 제1 확장부(135)로부터 일정 각도 만곡하여 길이방향 내지는 축방향으로 연장한다. The first expansion part 135 is formed to expand radially outwardly in a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mesh member 15, and the second expansion part 235 is curv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first expansion part 13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It extends in the axial direction.

제2 확장부(235)는 벽면 및 후드캡 조립체 사이, 바람직하게는, 벽면 및 플랜지부(22) 사이 간극을 확보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제2 확장부(235)는 벽면을 따라 상승하는 역풍이 후드캡 조립체 내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내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와의 간섭, 그리고 마찰 내지는 정압을 감소시킴으로써 배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제2 확장부(235)는 제1 확장부(135)와 이루는 각이 90°보다 작게 형성되는 예각면부(1235)를 포함한다. The second expansion portion 235 is provided to secure a gap between the wall surface and the hood cap assembly, preferably between the wall surface and the flange portion 22. The second expansion part 235 minimizes the inflow of the headwind rising along the wall into the hood cap assembly, thereby reducing interference wit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inside, and reducing friction or static pressure, thereby improving exhaust characteristics. to provide. The second extended portion 235 includes an acute angle surface portion 1235 formed in which an angle formed with the first extended portion 135 is smaller than 90°.

도 12c 내지 1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확장부(235)의 일 측면을 구성하는 예각면부(1235)는 0°보다 크고 90° 보다 작은 각도(θ)를 이루며 제1 확장부(135)로부터 만곡한다. 예각면부(1235)가 90° 보다 작은 각도를 이루며 만곡한다는 것의 의미는 제1 확장부(135)와 제2 확장부(235) 내측면 사이각을 지칭한다. As shown in FIGS. 12C to 12E, the acute angle surface portion 1235 constituting one side of the second expansion portion 235 forms an angle θ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90°, and the first expansion portion 135 Curves from The meaning of the acute angle surface portion 1235 being curved at an angle less than 90° refers to an angle between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s 135 and 235.

예각면부(1235)는 벽체(W)와 근접한 측으로부터 벽체(W)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하향 기울기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기울기 내지 구배는 빗물 자국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acute angle surface portion 1235 has a downward inclination formed on the side away from the wall W from the side close to the wall W. Such a slope or gradient may perform a rainwater mark prevention function.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후드캡의 경우 빗물 자국이 벽체에 남는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확장부(235) 및 예각면부(1235)의 형성으로 말미암아 빗물이 예각면부(1235)의 기울기를 따라 흘러내리도록 함으로써 빗물이 벽면을 타고 흐르지 않고 바로 아래로 낙하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예각면부(1235)의 기울기 하측 끝에서 빗물이 모여 바로 바닥 측으로 낙하하도록 함으로써 빗물자국의 형성을 예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인 벽면에 빗물자국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3,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hood cap,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rainwater marks remain on the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ainwater flows down along the slope of the acute angle surface portion 1235 due to the formation of the second expansion portion 235 and the acute angle surface portion 1235, so that the rainwater does not flow along the wall and falls directly below the surface. To be. That is, the formation of rainwater marks can be prevented by allowing rainwater to collect at the lower end of the slope of the acute angle surface portion 1235 and fall directly to the bottom.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rainwater marks on the wall, which is a problem with the prior art.

또한, 도 14a 및 14b를 참조하면, 후드캡 조립체는 외측캡(7)을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ures 14a and 14b, the hood cap assembly further includes an outer cap (7).

외측캡(7)의 일 측에는 개방부(17)가 형성되고, 외측캡(7)의 양 측에는 개방부(17) 보다 작은 크기의 윈도우(27)가 각각 형성된다. 개방부(17)는 벽체 내에 형성되는 배기관의 면적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외부 공기와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배출 성능이 향상된 후드캡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An opening portion 17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cap 7, and windows 27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opening portion 17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cap 7, respectively. The opening 17 is formed larger than the area of the exhaust pipe formed in the wall.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ood cap assembly with improved discharge performance by minimizing resistance to external air.

외측캡(7)은 내측캡(5)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외측캡(7)이 내측캡(5)에 조립될 수 있도록 외측캡(7)은 예각면부(1235)를 제외한 제2 확장부(235)에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하는 장착면(37)을 내측면에 포함한다.The outer cap 7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inner cap 5. The outer cap 7 has a mounting surface 37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xpansion part 235 excluding the acute angle surface part 1235 so that the outer cap 7 can be assembled to the inner cap 5. Include on the side.

도 15에는 연결관부(2), 내측캡(5) 및 외측캡(7)이 조립된 후드캡 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의 효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5 shows a hood cap assembly in which the connection pipe portion 2, the inner cap 5 and the outer cap 7 are assembled. Summarizing the effect of the hood cap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는 향상된 배기성능을 제공한다. 실내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관 또는 연결관부(2)의 제1 유동부(12)의 면적보다 제2 유동부(32), 외측캡(7)의 개방부(17) 및/또는 윈도우(27)의 면적을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저항을 최소화하고, 따라서, 배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hood cap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mproved exhaust performance. The second flow portion 32, the opening portion 17 of the outer cap 7 and/or the window 27 ar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first flow portion 12 of the exhaust pipe or connection pipe portion 2 from which indoor air is discharged. By forming a larger area, the resistance can be minimized, and thus, the exhaust performance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후드캡 조립체는 역풍 방지 성능이 우수하다. 벽면과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후드캡 조립체에 내측캡(5)을 형성하고, 내측캡(5)에 제2 확장부(235)를 형성한다. 이로 인하여 벽면을 타고 올라오는 역풍 유입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실내에서 배출되는 공기와의 간섭과 마찰 내지는 정압을 줄여서 배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동시에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hood cap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headwind prevention performance. In order to secure a space with the wall, an inner cap 5 is formed on the hood cap assembly, and a second extended portion 235 is formed on the inner cap 5. Due to this,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inflow of the headwind coming up the wall,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an effect of improving exhaust characteristics by reducing interference with air discharged from the room, friction or static pressure.

본 발명에 따르면, 빗물유입 방지 및 벽체에 형성되는 빗물자국을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후드캡 조립체가 제공된다. 내측캡(5)의 일 측면에는 기울기가 형성되는 예각면부(1235)가 형성되어 빗물이 기울기를 타고 흘러 예각면부(1235)의 꼭지점에서 바닥으로 바로 낙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벽면에 빗물자국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ood cap assembly having a function of preventing rainwater inflow and preventing rainwater marks formed on a wall. On one side of the inner cap 5, an acute angle surface portion 1235 with a slope is formed so that rainwater flows along the slope and falls directly from the apex of the acute angle surface portion 1235 to the floor, thereby preventing rainwater marks on the wall surface. Can be prevent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obvious to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2: 연결관부 4: 메쉬부
5: 내측캡 6: 커버부
7: 외측캡 12: 제1 유동부
15: 메쉬부재 16a: 상면부
16b: 측면부 16c: 결합부
17: 개방부 22: 플랜지부
25: 안착부 26: 관통면
27: 윈도우 32: 제2 유동부
35: 스페이서부 37: 장착면
42: 가이드부 112a: 외면
112b: 내면 112c: 선단부
122: 장착부 132a: 외면
132b: 내면 135: 제1 확장부
142: 코어부 212: 관통공
232a: 근접단부 232b: 원위단부
235: 제2 확장부 242: 리브
G: 간격 1142: 중공
1235: 예각면부
2: connector part 4: mesh part
5: inner cap 6: cover
7: outer cap 12: first flow portion
15: mesh member 16a: upper surface portion
16b: side portion 16c: coupling portion
17: opening portion 22: flange portion
25: seat 26: through surface
27: window 32: second flow section
35: spacer part 37: mounting surface
42: guide part 112a: outer surface
112b: inner surface 112c: tip
122: mounting portion 132a: outer surface
132b: inner surface 135: first extension
142: core part 212: through hole
232a: proximal end 232b: distal end
235: second extension 242: rib
G: spacing 1142: hollow
1235: acute angle

Claims (12)

제1 유동부; 상기 제1 유동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 및 상기 제1 유동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제1 유동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플랜지부 상에서 돌출하는 제2 유동부;를 포함하는 연결관부 및
상기 연결관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버부
를 포함하는 것인 후드캡 어셈블리.
A first flow unit; A flange portion protruding radially outwar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flow portion; And a second flow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low portion radially outwar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protruding from the flange por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flow portion; and
Cover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pipe portion
Hood cap assembly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동부의 선단부는 제1 유동부의 내면으로부터 외면을 향해 구배를 형성하는 것인 후드캡 어셈블리. The hood cap assembly of claim 1, wherein the front end of the first flow portion forms a gradient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flow portion toward an outer surf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동부는 상기 플랜지부에 대하여 상기 제1 유동부보다 돌출하는 것인 후드캡 어셈블리. The hood cap assembly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flow portion protrudes from the first flow portion with respect to the flange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동부의 내측에 상기 제2 유동부와 연결하여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후드캡 어셈블리. The hood cap assembly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guide portion formed inside the second flow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or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 유동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중공이 형성되는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여 상기 제2 유동부에 연결되고 각각의 사이는 관통하는 복수의 리브;
를 포함하는 것인 후드캡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guide part,
A core portion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flow portion and forming a hollow; And
A plurality of ribs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core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ortion, and passing through each of the ribs;
Hood cap assembly comprising a.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일 측에서 타 측을 향하여 직경이 확장되는 것인 후드캡 어셈블리. The hood cap assembly of claim 5, wherein the core part has a diameter extending from one side toward the other s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동부는 상기 플랜지부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확장되는 것인 후드캡 어셈블리. The hood cap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flow portion increases in diameter as the distance increases from the flange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는 관통면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면부;
상기 상면부의 둘레에서 일정 각도로 만곡하여 형성되고 상기 관통면이 형성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에서 연장하여 연결관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면은 제1 유동부의 단면적과 동일하거나 상기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인 후드캡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ver portion is formed with a through surface, the cover portion,
Upper surface;
A side portion formed to be curved at a predetermined angle around the upper surface portion and formed with the through surface; And
Includes; a coupling portion configured to extend from the side portion and coupled to the connection pipe portion,
The through surface is the hood cap assembly that is formed equal to or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flow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동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후드캡 어셈블리. The hood cap assembly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esh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flow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내측캡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캡은,
메쉬부재; 및
상기 메쉬부재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페이서부;를 포함하는 것인 후드캡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omprising an inner cap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pipe, the inner cap,
Mesh member; And
Hood cap assembly comprising a; spacer portion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mesh member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내측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외측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캡의 일 측에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캡의 양 측에는 상기 개방부보다 작은 크기의 윈도우가 각각 형성되는 것인 후드캡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n outer cap detachably coupled to the inner cap,
An opening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cap, and a window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opening portion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cap, respectively.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부의 일 측면은 축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의 기울기가 형성되는 것인 후드캡 어셈블리. The hood cap assembly of claim 10, wherein one side of the spacer part has an inclination of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KR1020190025681A 2019-03-06 2019-03-06 Vent cap assembly KR1021878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681A KR102187844B1 (en) 2019-03-06 2019-03-06 Vent cap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681A KR102187844B1 (en) 2019-03-06 2019-03-06 Vent cap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109A true KR20200107109A (en) 2020-09-16
KR102187844B1 KR102187844B1 (en) 2020-12-07

Family

ID=72669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681A KR102187844B1 (en) 2019-03-06 2019-03-06 Vent cap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84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237B1 (en) * 2022-11-17 2023-11-29 허성일 Ventilation Hole Hood Cap Having Easy Installation Structur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7439U (en) * 1992-04-17 1993-11-26 利春 高橋 Rainproof exhaust port
JP2009138988A (en) * 2007-12-05 2009-06-25 Panasonic Corp Vent cap for ventilation
KR20140130600A (en) * 2013-05-01 2014-11-11 주식회사 윈드림 waterproof ventilating opening cap
KR101528028B1 (en) 2013-07-11 2015-06-12 주식회사 에코텍코리아 External hood cap for ventilation
KR20170025899A (en) * 2015-08-31 2017-03-08 임종갑 Hood cap for ventilation
KR20190005664A (en) * 2017-07-07 2019-01-16 박진수 Hood vent for buildin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7439U (en) * 1992-04-17 1993-11-26 利春 高橋 Rainproof exhaust port
JP2009138988A (en) * 2007-12-05 2009-06-25 Panasonic Corp Vent cap for ventilation
KR20140130600A (en) * 2013-05-01 2014-11-11 주식회사 윈드림 waterproof ventilating opening cap
KR101528028B1 (en) 2013-07-11 2015-06-12 주식회사 에코텍코리아 External hood cap for ventilation
KR20170025899A (en) * 2015-08-31 2017-03-08 임종갑 Hood cap for ventilation
KR20190005664A (en) * 2017-07-07 2019-01-16 박진수 Hood vent for build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237B1 (en) * 2022-11-17 2023-11-29 허성일 Ventilation Hole Hood Cap Having Easy Installation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844B1 (en) 202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5653B2 (en) Vent cap for ventilation
KR102187844B1 (en) Vent cap assembly
JP5747152B2 (en) Vent cap for ventilation
JP2009133592A (en) Vent cap for ventilation
KR102588279B1 (en) Ventilation hood cap with improved being directional
KR200466362Y1 (en) Vent cap for using duct
JP2009138989A (en) Vent cap for ventilation
KR20170025899A (en) Hood cap for ventilation
KR102173650B1 (en) Ventilator cap for direct supply
KR102592130B1 (en) Hood cap for prevent headwinds
JP5292866B2 (en) External wall terminal ventilation opening
KR200491399Y1 (en) Ventilation Cap
KR102067180B1 (en) Hood Cap for Prevent Headwinds
JP5640683B2 (en) Vent cap for ventilation
KR102608237B1 (en) Ventilation Hole Hood Cap Having Easy Installation Structure
JP2936999B2 (en) Ventilation ventilator
KR20100004070U (en) Ventilation Cap for Duct
JP5245501B2 (en) Vent cap for ventilation
JP3110711U (en) Vent cap for ventilation
JP4733440B2 (en) High-rise building
JP4930351B2 (en) Vent cap for ventilation
KR102494103B1 (en) windproof hood cap
KR20190087113A (en) Flowing backward prevention cap of exhaust duct for range hood
JP3055016U (en) Indoor ventilation tube
KR100418358B1 (en) Grill wind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