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6432A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06432A KR20200106432A KR1020190077049A KR20190077049A KR20200106432A KR 20200106432 A KR20200106432 A KR 20200106432A KR 1020190077049 A KR1020190077049 A KR 1020190077049A KR 20190077049 A KR20190077049 A KR 20190077049A KR 20200106432 A KR20200106432 A KR 202001064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ssembly
- disposed
- housing
- camera
- gui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with humidification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 H04N5/2252—
-
- H04N5/2257—
-
- H04N5/232—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어셈블리; 상기 도어어셈블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측을 향해 개구된 카메라개구부가 형성된 카메라모듈하우징;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카메라개구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가 배치되는 카메라바디; 상기 카메라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카메라제어부;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바디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카메라이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이동모듈의 작동 시, 상기 카메라는 상기 도어어셈블리의 상단보다 상측으로 돌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어셈블리에 카메라모듈이 설치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실내기가 배치되고, 실외에 실외기가 배치되며, 실내기 및 실외기를 순환하는 냉매를 통해 실내공기를 냉방, 난방 또는 제습할 수 있다.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설치 형태에 따라 실내 바닥에 직립으로 설치하는 스탠드형 실내기, 실내 벽에 걸어서 설치하는 벽걸이형 실내기 및 실내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형 실내기 등이 있다.
종래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는 실내팬이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공기조화된 공기가 원거리로 토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10-1191413에는, 실내기 주변의 공기를 원거리로 유동시키기 위한 써큘레이터가 구비되었다.
그러나 한국 등록특허 10-1191413에 기재된 에어써큘레이터는 실내기에 설치되지만, 공조된 공기를 직접 유동시키지는 못하고, 실내기 상측의 실내공기를 원거리로 유동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에어써큘레이터는 공조된 공기를 직접 유동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공조된 공기를 타켓 영역에 집중 공급할 수 없고, 이로 인해 온도 불균형이 발생된 타켓 영역을 선택적으로 공기조화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번호 10-2017-0010293에는 실내기의 캐비닛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유닛이 배치된다. 한국 공개특허번호 10-2017-0010293의 도어유닛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실내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에는 개구를 막고, 실내기가 작동될 때에는 전방으로 도어유닛이 이동되어 개구를 개방시키는 구조이다.
그러나 한국 공개특허번호 10-2017-0010293(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한다)는 도어유닛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어 개구를 개폐시키지만, 개방된 개구의 전방에 도어유닛이 위치되기 때문에, 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선행기술1의 도어유닛에 의한 개구 개방은 원거리로 공기를 유동시키는데에는 적합하지 않은 구조이다.
한국 공개특허번호 10-2017-0010293(이하 선행기술 2라 한다)는 도어만 전진되어 개구를 개방시킬 뿐, 송풍팬은 외관패널 내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송풍팬에 의해 유동된 공기가 외관패널 내부의 구조물과 저항을 발생시켜 원거리로 공기를 유동시키는데 많은 유동손실을 발생시킨다.
중국등록실용신안 203375535 U(이하 선행기술 3이라 한다)에는 축류팬을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3의 축류팬은 축류팬의 양측이 회전축에 고정되기 때문에, 양측에 배치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모션만을 구현할 수 있다. 선행기술3은 회전축에서 제공하지 않는 다른 방향으로는 축류팬을 회전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선행기술3은 회전축이 제공된 상하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거나 좌우 방향으로만 회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10-2014-0079109(이하 선행기술 4라 한다)에는 카메라모듈이 설치된 실내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4에 개시된 카메라모듈은 실내기의 케이스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제품의 운반 시 외력에 의한 손상의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미작동시에는 도어어셈블리 내부에 수납되어 배치되고, 작동시에만 카메라모듈이 외부로 노출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근거리팬 작동 시 또는 정지 시에는 도어어셈블리 내부에 배치되고, 원거리팬어셈블리의 작동 시에만, 캐비닛어셈블리의 상측으로 팝업되어 높은 위치에서 실내를 촬영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을 통해 감지된 데이터에 따라 실내의 특정구역을 향하도록 스티어링그릴을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실내기의 미작동시에 카메라모듈이 도어어셈블리 내부에 수납되어 배치되고, 실내기의 작동시에만 카메라모듈이 외부로 노출된다.
본 발명은 근거리팬 작동 시 또는 정지 시에는 카메라모듈이 도어어셈블리 내부에 배치되고, 원거리팬어셈블리의 작동 시에만, 카메라모듈이 캐비닛어셈블리의 상측으로 팝업된다.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을 통해 감지된 데이터에 따라 실내의 특정구역을 향하도록 스티어링그릴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어어셈블리; 상기 도어어셈블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측을 향해 개구된 카메라개구부가 형성된 카메라모듈하우징;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카메라개구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가 배치되는 카메라바디; 상기 카메라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카메라제어부;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바디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카메라이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이동모듈의 작동 시, 상기 카메라는 상기 도어어셈블리의 상단보다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은 상기 도어어셈블리의 상측면을 커버하는 탑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개구부는 상기 탑월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정면토출구; 상기 정면토출구에 삽입되는 도어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커버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정면토출구를 개폐시키는 도어커버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은 상기 정면토출구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상기 정면토출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의 상측면을 감싸게 형성된 도어커버탑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은 상기 도어커버탑월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정면토출구의 중심을 상하 방향으로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C) 상에 상기 카메라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이동모듈은, 상기 카메라바디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된 카메라무빙랙; 상기 카메라무빙랙와 치합되는 카메라무빙기어; 상기 도어어셈블리 측 구조물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무빙기어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카메라무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무빙랙은, 상기 중심선(C)의 좌측에 배치된 제 1 카메라무빙랙; 상기 중심선(C)의 우측에 배치된 제 2 카메라무빙랙;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선(C)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카메라무빙랙 및 제 2 카메라무빙랙이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의 후방에 배치되는 캐비닛어셈블리; 상기 도어어셈블리 및 캐비닛어셈블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의 좌우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사이드무빙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무빙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어셈블리에 배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되는 제 1 탑레일; 상기 제 1 탑레일과 좌우 방향으로 상대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에 배치되는 제 2 탑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탑레일은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의 배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상기 정면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이 조립되는 프론트패널;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를 상기 프론트패널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를 상기 정면토출구 밖으로 이동시키는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실내기의 미작동시에 카메라모듈이 도어어셈블리 내부에 수납되어 배치되고, 실내기의 작동시에만 카메라모듈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 시에만 카메라모듈이 외부로 노출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근거리팬 작동 시 또는 정지 시에는 카메라모듈이 도어어셈블리 내부에 배치되고, 원거리팬어셈블리의 작동 시에만, 카메라모듈이 캐비닛어셈블리의 상측으로 팝업되기 때문에, 운반 또는 설치 시 외부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을 통해 감지된 데이터에 따라 실내의 특정구역을 향하도록 스티어링그릴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카메라가 실내기의 상측면보다 상측으로 더 높게 돌출되기 때문에, 카메라의 시야를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상기 중심선(C)의 좌측에 배치된 제 1 카메라무빙랙 및 상기 중심선(C)의 우측에 배치된 제 2 카메라무빙랙을 좌우 대칭되게 배치하기 때문에, 카메라의 상승 시 좌우가 균일하게 상승되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의 카메라모듈하우징은 도어어셈블리의 좌우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탑레일을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일곱째, 본 발명은 정면토출구의 상측에 카메라모듈이 설치되지만, 도어커버탑월이 배치되기 때문에, 정면토출구의 냉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어커버가 후진된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도어커버어셈블리가 하강되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정면토출구가 개방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팬하우징어셈블리가 전진된 예시도이다.
도 6는 도 5에서 스티어링그릴이 좌측으로 틸팅된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서 스티어링그릴이 우측으로 틸팅된 예시도이다.
도 8는 도 5에서 스티어링그릴이 상측으로 틸팅된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5에서 스티어링그릴이 하측으로 틸팅된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5에서 스티어링그릴이 오른쪽 하측으로 틸팅된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5에서 스티어링그릴이 왼쪽 상측으로 틸팅된 예시도이다.
도 12는 도 1의 도어커버어셈블리가 도시된 우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2의 도어커버어셈블리가 도시된 우측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4의 도어커버어셈블리가 도시된 우측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5의 도어커버어셈블리가 도시된 우측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의 도어어셈블리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의 도어어셈블리가 도시된 배면도이다.
도 18은 도 2의 도어어셈블리가 도시된 평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6의 도어커버어셈블리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도어커버어셈블리가 도시된 우측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도어커버어셈블리가 도시된 평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커버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3는 17에 도시된 도어어셈블리의 상부 확대도이다.
도 24는 도 23에서 도어커버어셈블리가 하강된 예시도이다.
도 25는 도 23에 도시된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의 확대도이다.
도 26은 도 18에 도시된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절개 사시도이다.
도 27는 도 18에 도시된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28은 도 2에 도시된 도어어셈블리의 카메라모듈이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12에 도시된 카메라모듈의 작동 전 상태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카메라모듈의 작동 후 상태가 도시된 작동 예시도이다.
도 31은 도 12에 도시된 원거리 팬어셈블리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1에 도시된 원거리 팬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33은 도 31의 우측면도이다.
도 34는 도 3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5는 도 34의 후방 측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36은 도 34에 도시된 팬하우징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7은 도 36에 도시된 프론트팬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38은 도 34에 도시된 가이드레일의 사시도이다.
도 39는 도 34에 도시된 에어가이드의 작동전 단면도이다.
도 40은 도 36에 도시된 스티어링그릴의 사시도이다.
도 41은 도 31의 팬하우징어셈블리에서 스티어링그릴이 분리된 정면도이다.
도 42는 도 36에 도시된 스티어링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43은 도 42의 배면도이다.
도 44는 도 36에 도시된 조인트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5는 도 36에 도시된 스티어링그릴 및 스티어링어셈블리의 배면 측 분해사시도이다.
도 46은 도 45에 도시된 허브의 배면 측 사시도이다.
도 47은 도 36에 도시된 스티어링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8은 도 46의 후방 측에서 본 스티어링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9는 도 48에 도시된 스티어링바디 및 스티어링모터의 조립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0은 도 49의 정면도이다.
도 5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어셈블리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2는 도 51에 도시된 스티어링어셈블리의 작동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어커버가 후진된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도어커버어셈블리가 하강되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정면토출구가 개방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팬하우징어셈블리가 전진된 예시도이다.
도 6는 도 5에서 스티어링그릴이 좌측으로 틸팅된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서 스티어링그릴이 우측으로 틸팅된 예시도이다.
도 8는 도 5에서 스티어링그릴이 상측으로 틸팅된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5에서 스티어링그릴이 하측으로 틸팅된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5에서 스티어링그릴이 오른쪽 하측으로 틸팅된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5에서 스티어링그릴이 왼쪽 상측으로 틸팅된 예시도이다.
도 12는 도 1의 도어커버어셈블리가 도시된 우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2의 도어커버어셈블리가 도시된 우측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4의 도어커버어셈블리가 도시된 우측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5의 도어커버어셈블리가 도시된 우측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의 도어어셈블리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의 도어어셈블리가 도시된 배면도이다.
도 18은 도 2의 도어어셈블리가 도시된 평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6의 도어커버어셈블리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도어커버어셈블리가 도시된 우측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도어커버어셈블리가 도시된 평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커버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3는 17에 도시된 도어어셈블리의 상부 확대도이다.
도 24는 도 23에서 도어커버어셈블리가 하강된 예시도이다.
도 25는 도 23에 도시된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의 확대도이다.
도 26은 도 18에 도시된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절개 사시도이다.
도 27는 도 18에 도시된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28은 도 2에 도시된 도어어셈블리의 카메라모듈이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12에 도시된 카메라모듈의 작동 전 상태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카메라모듈의 작동 후 상태가 도시된 작동 예시도이다.
도 31은 도 12에 도시된 원거리 팬어셈블리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1에 도시된 원거리 팬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33은 도 31의 우측면도이다.
도 34는 도 3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5는 도 34의 후방 측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36은 도 34에 도시된 팬하우징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7은 도 36에 도시된 프론트팬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38은 도 34에 도시된 가이드레일의 사시도이다.
도 39는 도 34에 도시된 에어가이드의 작동전 단면도이다.
도 40은 도 36에 도시된 스티어링그릴의 사시도이다.
도 41은 도 31의 팬하우징어셈블리에서 스티어링그릴이 분리된 정면도이다.
도 42는 도 36에 도시된 스티어링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43은 도 42의 배면도이다.
도 44는 도 36에 도시된 조인트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5는 도 36에 도시된 스티어링그릴 및 스티어링어셈블리의 배면 측 분해사시도이다.
도 46은 도 45에 도시된 허브의 배면 측 사시도이다.
도 47은 도 36에 도시된 스티어링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8은 도 46의 후방 측에서 본 스티어링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9는 도 48에 도시된 스티어링바디 및 스티어링모터의 조립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0은 도 49의 정면도이다.
도 5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어셈블리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2는 도 51에 도시된 스티어링어셈블리의 작동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어커버가 후진된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도어커버어셈블리가 하강되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정면토출구가 개방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팬하우징어셈블리가 전진된 예시도이다. 도 6는 도 5에서 스티어링그릴이 좌측으로 틸팅된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서 스티어링그릴이 우측으로 틸팅된 예시도이다. 도 8는 도 5에서 스티어링그릴이 상측으로 틸팅된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5에서 스티어링그릴이 하측으로 틸팅된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5에서 스티어링그릴이 오른쪽 하측으로 틸팅된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5에서 스티어링그릴이 왼쪽 상측으로 틸팅된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기(10)와 냉매배관을 통해 상기 실내기(10)와 연결되 냉매를 순환시키는 실외기(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실외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응축시키는 실외열교환기(미도시)와, 상기 실외열교환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실외팬(미도시)과, 상기 실내기(10)에서 토출된 냉매를 공급받은 후 기체 냉매만을 상기 압축기에 제공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실외기는 실내기를 냉방모드 또는 난방모드로 작동시키기 위해 사방밸브(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방모드로 작동될 때, 상기 실내기(101)에서는 냉매가 증발되어 실내 공기를 냉각시킨다. 난방모드로 작동될 때, 상기 실내기(10)에서는 냉매가 응축되어 실내 공기를 가열시킨다.
<<<실내기의 구성>>>
상기 실내기는, 전면이 개구되고, 후면에 흡입구(101)가 형성되고, 내부공간(S)이 형성된 캐비닛어셈블리(1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조립되고, 정면토출구(201)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면을 커버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어셈블리(2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S)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는 팬어셈블리(300)(400)와, 상기 팬어셈블리(300)(400) 및 캐비닛어셈블리(100) 사이에 배치되고, 흡입된 실내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어셈블리(5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로 유동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어셈블리(600)를 포함한다.
상기 실내기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배면에 배치된 흡입구(101)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측면에 배치된 측면토출구(301)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정면에 배치된 정면토출구(201)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구(10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정면토출구(201) 또는 측면토출구(301)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상기 흡입구(101)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배면에 배치된다.
상기 측면토출구(301)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정면토출구(201)는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배치된다. 상기 정면토출구(201)는 도어어셈블리(200)를 관통한다.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정면토출구(201)는 도어어셈블리(100)의 상측에 배치된다. 이는 상기 정면토출구(201)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실내의 먼 곳으로 유동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정면토출구(201)는 도어어셈블리(200)의 중간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팬어셈블리(300)(400)는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삭제되고, 원거리팬 어셈블리(400)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가 삭제될 경우, 측면토출구(301) 역시 삭제되고, 정면토출구(201)로만 공조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전방에 위치된다. 또한,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필터어셈블리(600)의 전방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어셈블리(600) 전방에 열교환어셈블리(500)가 배치되고, 열교환어셈블리(500) 전방에 팬어셈블리(300)(400)가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를 통과하기 때문에, 공조된 공기가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로 유입된다.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흡입구(101) 전체를 커버한다.
상기 흡입구(101)는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배면에 형성되고,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는 상기 흡입구(101) 전체를 커버하여, 상기 흡입구(101)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를 통과하게 한다.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는 흡입구(101) 및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배면과 대향되고, 수직하게 배치된다.
열교환어셈블리(500)를 수직하게 배치함으로써,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를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전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를 열교환어셈블리(500) 전면에 밀착시키는 것 역시,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공간을 최소화하는데 효과적이다.
특히, 상기 필터어셈블리(600), 열교화어셈블리(500) 및 팬어셈블리(300)(400)를 모두 수직하게 배치하고, 후방에서 전방으로 순차 적층하기 때문에, 실내기의 전후 방향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가 전후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우, 캐비닛어셈블리(100) 내부에 설치될 때,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보다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실내기의 전후 방향 두께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열교환어셈블리(500)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제작된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상측에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배치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보다 상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에서 토출된 토출공기가 실내의 먼 곳까지 유동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측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사용자에게 간접풍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좌측 및 우측으로 동시에 공기를 토출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근거리 팬어셈블리(30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된 정면토출구(201)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사용자에게 직접풍을 제공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원거리로 공기를 토출한다.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실내의 원거리로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에 그칠 경우, 실내기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 만으로 충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실내의 타켓영역에 직접풍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타켓영역은 목표온도와 실내온도의 편차가 큰 영역일 수 있다. 상기 타켓영역은 사용자 또는 애완동물이 활동하는 영역일 수 있다.
타켓영역에 직접풍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원거리팬어셈블리(400)는 방향조절 가능한 스티어링그릴(3450)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작동시에만 캐비닛어셈블리(100) 밖으로 돌출되고, 미작동시에는 캐비닛어셈블리(100) 내부에 은닉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작동될 때,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도어어셈블리(200)의 정면토출구(201)를 관통하고, 도어어셈블리(200) 보다 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정면토출구(201) 밖으로 돌출될 경우, 직접풍이 도어어셈블리(200)과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캐비닛어셈블리(100) 내부에서 공기를 토출할 경우, 정면토출구(20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저항이 발생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를 통해 실내에 직접풍을 제공할 때,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구성 중, 스티어링그릴(3450)이 정면토출구(201)를 관통하고, 캐비닛어셈블리(100) 보다 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구성 중 일부(본 실시예에서 스티어링그릴)만 도어어셈블리(200)를 관통하기 때문에,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이동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고,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정면토출구(201) 밖으로 돌출된 스티어링그릴(345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이 향하는 방향은 특정 각도 또는 방향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는 정면토출구(201) 밖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상측, 하측, 좌측, 우측 또는 임의의 대각선 방향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제 1 특정방향에서 임의의 제 2 특정방향으로 즉시 방향전환시킬 수 있다.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정면토출구(201)를 통해 도어어셈블리(200)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위치될 수 있다. 특히 스티어링그릴(3450)은 도어어셈블리(200)의 전면(200a)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된다.
스티어링그릴(3450)이 도어어셈블리(200) 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된 상태를 프로젝션 상태로 정의한다.
스티어링그릴(3450)이 프로젝션 상태일 때,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 전체가 도어어셈블리(200)의 전면 밖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전방 일부만 도어어셈블리(200) 전면(200a) 보다 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은 프로젝션 상태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정면에서 볼 때, 스티어링그릴(3450)은 상측, 하측, 좌측, 우측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틸팅가능하다.
프로젝션 상태에서,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임의의 방향으로 틸팅할 수 있기 때문에, 실내의 타겟 영역으로 직접풍을 제공할 수 있다.
<<근거리 팬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측면토출구(301)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상기 측면토출구(301)로 공기를 토출하고, 사용자에게 간접풍을 제공한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복수개의 팬(310)이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팬(310) 3개가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팬(310)은 사류형 원심팬이 사용된다. 상기 팬(310)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상기 팬(310)은 후방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되, 상기 원주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전방 측으로 유동된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전방 및 후방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결합되는 팬케이싱(320)과, 상기 팬케이싱(320)에 결합되고, 상기 팬케이싱(320) 내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팬(310)을 포함한다.
상기 팬케이싱(320)은 정면 및 후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제작된다. 상기 팬케이싱(320)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결합된다.
상기 팬케이싱(320)의 정면은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팬케이싱(320)의 후면은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팬케이싱(320)의 정면은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밀착되어 폐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팬케이싱(320)의 측면 일부는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외부로 노출된 상기 팬케이싱(320)에 측면토출구(301)가 형성된다. 상기 측면토출구(302)에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토출베인이 배치된다. 상기 측면토출구(301)는 상기 팬케이싱(32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팬(310)은 상기 팬케이싱(320) 내부에 배치된다. 복수개의 상기 팬(310)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에 대하여 일렬로 적층된다.
상기 팬(310)은 사류형 원심팬이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팬케이싱(320)의 후면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전방 측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도 12는 도 1의 도어커버어셈블리가 도시된 우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2의 도어커버어셈블리가 도시된 우측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4의 도어커버어셈블리가 도시된 우측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5의 도어커버어셈블리가 도시된 우측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의 도어어셈블리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의 도어어셈블리가 도시된 배면도이다. 도 18은 도 2의 도어어셈블리가 도시된 평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6의 도어커버어셈블리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도어커버어셈블리가 도시된 우측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도어커버어셈블리가 도시된 평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커버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3는 17에 도시된 도어어셈블리의 상부 확대도이다. 도 24는 도 23에서 도어커버어셈블리가 하강된 예시도이다. 도 25는 도 23에 도시된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의 확대도이다. 도 26은 도 18에 도시된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절개 사시도이다. 도 27는 도 18에 도시된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어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정면토출구(201)가 형성된 프론트패널(210)과,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배면에 결합되고, 상기 정면토출구(201)와 연통되는 패널토출구(1101)가 형성된 패널모듈(1100)과, 상기 패널모듈(1100)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토출구(1101) 및 정면토출구(201)를 개폐시키는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와, 상기 패널모듈(1100)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모듈(1100)을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어슬라이드모듈(1300)과, 상기 패널모듈(1100) 상측에 배치되고, 실내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모듈(1900)과, 상단이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하단이 상기 패널모듈 어셈블리(1100)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수납되는 케이블가이드(1800)를 포함한다.
상기 정면토출구(201)는 프론트패널(210)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다. 상기 패널토출구(1101)는 패널모듈(1100)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다.
정면토출구(201) 및 패널토출구(1101)의 면적 및 형상은 동일하다. 정면토출구(201)가 패널토출구(1101) 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상기 패널모듈(1100)에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10)에 실내기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모듈(15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00)은 상기 프론트패널(1100)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1100)을 투과하여 시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00)은 상기 프론트패널(1100)을 관통하여 일부가 노출되고, 노출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론트패널(210)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개구부(202)를 통해 디스플레이모듈(1500)의 정보가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프론트패널의 구성>>
상기 프론트패널(210)은 실내기의 전면에 배치된다. 프론트패널(210)은 프론트패널바디(212)와, 상기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정면토출구(201)와, 상기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디스플레이 개구부(202)와, 상기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모듈(1100)의 좌측면을 커버하는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214)와, 상기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모듈(1100)의 우측면을 커버하는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216)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패널(210)은 좌우 폭에 비해 상하 갈이가 매우 길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패널(210)의 좌우 폭에 비해 상하 길이는 3배 이상이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패널(210)은 좌우 폭에 비해 전후 두께가 매우 얇게 형성된다. 본 실시에에서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좌우 폭에 비해 전후 두께는 1/4 이하이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개구부(202)는 정면토출구(201)의 하측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디스플레이 개구부(202)가 정면토출구(201)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정면토출구(201) 및 디스플레이 개구부(202)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다. 정면토출구(201)의 중심과 디스플레이 개구부(202)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중심선(C)은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중심선(C)을 기준으로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좌우 대칭된다.
상기 중심선(C) 상에 상기 카메라모듈(1900)의 카메라(1950)가 배치된다.
정면토출구(201)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정면토출구(201)의 형상은 토출그릴(450)의 정면형상에 대응된다. 상기 정면토출구(201)를 통해 캐비닛어셈블리(100) 내부에 은닉된 토출그릴(450)이 외부로 노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순히 정면토출구(201)가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토출그릴(450)을 노출시키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토출그릴(450)이 상기 정면토출구(201)를 관통해 상기 프론트패널(210) 보다 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토출그릴(450)이 프론트패널(210) 전방으로 돌출되면, 토출그릴(450)를 통과한 공기와 프론트패널(210)을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고, 토출공기를 보다 멀리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214)는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좌측 가장자리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되고, 프론트패널바디(212)의 배면에 고정된 패널모듈(1100)의 좌측면을 커버한다.
상기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216)는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우측 가장자리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되고, 프론트패널바디(212)의 배면에 고정된 패널모듈(1100)의 우측면을 커버한다.
상기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214) 및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216)는 패널모듈(1100)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214)의 후방측 단에서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216) 측으로 돌출된 제 1 프론트패널엔드(215)가 더 배치된다. 상기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216)의 후방측 단에서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214) 측으로 돌출된 제 2 프론트패널엔드(217)가 더 배치된다.
제 1 프론트패널엔드(215) 및 제 2 프론트패널엔드(217)는 상기 패널모듈(1100)의 배면에 위치된다. 즉, 패널모듈(1100)은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프론트패널엔드(215)(217) 사이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프론트패널엔드(215)(217) 사이의 간격을 프론트패널의 내부간격(I)으로 정의한다. 상기 내부간격(I)은 프론트패널(210)의 전후 두께보다 짧다.
그리고 제 1 프론트패널엔드(215) 및 제 2 프론트패널엔드(217)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프론트패널엔드(215) 및 제 2 프론트패널엔드(217) 사이의 간격을 프론트패널의 개방간격(D)으로 정의한다.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개방간격(D)은 프론트패널(210)의 좌우 폭(W) 보다 짧다.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프론트패널엔드(215)(217)는 평행하게 배치된다.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프론트패널사이드(214)(216)는 교차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직교된다. 상기 프론트패널사이드(214)(216)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패널(210)을 구성하는 프론트패널바디(212), 프론트패널사이드(214)(216) 및 프론트패널엔드(215)(217)는 일체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패널(210) 전체는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프론트패널(210)은 전체가 알루미늄재질이다.
그래서 상기 프론트패널사이드(214)(216)는 프론트패널바디(212)에서 후방 측으로 절곡되고, 프론트패널엔드(215)(217)는 프론트패널사이드(214)(216)에서 반대편으로 절곡된다.
전체가 금속재질로 형성된 상기 프론트패널(210)을 용이하게 절곡하기 위해,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214) 사이의 절곡부위에 제 1 벤딩홈(미도시)이 형성되고,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216) 사이의 절곡부위에 제 2 벤딩홈(213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214) 및 제 1 프론트패널엔드(215) 사이의 절곡부위에 제 3 벤딩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216) 및 제 2 프론트패널엔드(217) 사이의 절곡부위에 제 4 벤딩홈(213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벤딩홈들은 프론트패널(210)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벤딩홈들은 절곡부위 안쪽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2벤딩홈(213a)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프론트패널사이드의 사이각을 직각으로 형성시키기 어렵다. 또한, 상기 제 1, 2벤딩홈(213a)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프론트패널사이드의 절곡부분이 평평하게 형성되지 않고, 절곡과정에서 임이의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 3, 4 벤딩홈(213b)도 제 1, 2 벤딩홈(213a)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제작된 프론트패널(210)의 상측에는 패널 어퍼개구부(203) 및 패널 로어개구부(204)가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론트패널(210)는 하나의 금속플레이트를 절곡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패널 어퍼개구부(203) 및 패널 로어개구부(204)는 같은 면적 및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패널모듈(1100)의 두께는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프론트패널엔드(215)(217)의 간격과 같거나 작다. 상기 패널모듈(1100)은 상기 패널 어퍼개구부(203) 또는 패널 로어개구부(204)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패널모듈(1100)은 프론트패널엔드(215)(217)를 관통하는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모듈(1900)은 상기 패널 어퍼개구부(203)에 삽입되고, 상기 패널모듈(1100)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카메라모듈(1900)은 상기 패널 어퍼개구부(203)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모듈(1900)은 정면토출구(201)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10) 배면에 배치된다. 상기 카메라모듈(1900)은 프론트패널(210)에 의해 은닉된다. 카메라모듈(1900)은 작동시에만 프론트패널(210) 상측으로 노출되고, 작동되지 않을 때에는 프론트패널(210) 배면에 숨겨진다.
상기 프론트패널엔드(215)(217)는 카메라모듈(1900)의 측면 및 배면을 감싸고, 체결부재(미도시)는 상기 프론트패널엔드(215)(217)를 관통하여 카메라모듈(1900)에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패널 어퍼개구부(203)의 좌우 폭과 카메라모듈(1900)의 좌우 폭이 같게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패널 어퍼개구부(203)의 좌우 폭과 패널모듈(1100)의 좌우 폭이 같게 형성된다 .
본 실시예에서 패널 어퍼개구부(203)의 전후 두께와 카메라모듈(1900)의 전후 두께는 같게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패널 어퍼개구부(203)의 전후 두께와 패널모듈(1100)의 전후 두께도 같게 형성된다 .
그래서 상기 카메라모듈(1900) 및 패널모듈(1100)은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프론트패널엔드(215)(217) 사이에 위치되고,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프론트패널엔드(215)(217)에 지지될 수 있다.
<<패널모듈의 구조>>
상기 패널모듈(1100)은 어퍼패널모듈(1110) 및 로어패널모듈(112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어퍼패널모듈(1110) 및 로어패널모듈(1120)은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패널(210)의 좌우 폭보다 상하 길이가 매우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패널모듈(1100)을 하나의 파트로 제작할 경우, 프론트패널(210)의 패널 어퍼개구부(203) 또는 패널 로어개구부(204)를 통해 삽입하는데 제약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패널(1100)은 어퍼패널모듈(1110) 및 로어패널모듈(1120) 2개로 제작하고, 어퍼패널모듈(1110)은 패널 어퍼개구부(203)를 통해 프론트패널(210) 내부로 삽입하고, 로어패널모듈(1120)은 패널 로어개구부(204)를 통해 프론트패널(210) 내부로 삽입한다.
2파트로 제작할 경우, 어퍼패널모듈(1110) 또는 로어패널모듈(1120)의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일체화된 어퍼패널모듈(1110) 및 로어패널모듈(1120)은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뒤틀림을 억제하고, 외력에 대해 강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어퍼패널모듈(1110)만 분리하면 되고, 도어슬라이드모듈(130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로어패널모듈(1120)만 교체하면된다.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 및 로어패널모듈(1120)은 프론트패널(210)의 내부간격(I)에 삽입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10)을 지지하며,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변형 및 휨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 및 로어패널모듈(1120)은 사출물로 제작된다. 사출물로 제작된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 및 로어패널모듈(1120)은 프론트패널바디(212), 각 프론트패널사이드(214)(216) 및 각 프론트패널엔드(215)(217)에 접촉된다.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 및 로어패널모듈(1120)이 프론트패널바디(212), 각 프론트패널사이드(214)(216) 및 각 프론트패널엔드(215)(217)를 지지하기 때문에, 금속재질로 형성된 프론트패널(210)의 휨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 및 로어패널모듈(1120)은, 외부 충격이 빈번하게 가해지는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214) 및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216) 전체면을 지지한다.
그리고 도어어셈블리(200)의 전체 하중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 및 로어패널모듈(1120)은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전체면이 아닌 일부면적만을 지지한다. 즉,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 및 로어패널모듈(1120)은 전후 방향으로 다수의 굴곡을 형성하고, 프론트패널바디(212)의 배면에서 일부 면적을 지지한다.
<어퍼패널모듈의 구성>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은 프론트패널(210)의 배면에 배치되는 어퍼패널바디(1130)와, 상기 어퍼패널바디(113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되고, 정면토출구(201)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정면토출구(201)와 연통되는 패널토출구(1101) 를 포함한다.
상기 패널토출구(1101)는 상기 정면토출구(201)에 대응된다. 본 실시예에서 패널토출구(1101) 및 정면토출구(201)는 모두 원형으로 형성된다. 토출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패널토출구(1101) 및 정면토출구(201) 사이에 개스킷(20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개스킷(205)은 상기 정면토출구(201)의 내측면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개스킷(205)에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이 밀착된다. 상기 개스킷(205)의 배면에 상기 패널토출구(1101)가 위치된다.
상기 패널토출구(1101)은 상기 정면토출구(201)의 면적과 같거나 상기 정면토출구(201)의 면적보다 크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스킷(205)의 설치구조를 감안하여 상기 정면토출구(201)의 직경보다 좀 더 크게 상기 패널토출구(1101)가 형성된다. 상기 개스킷(205)은 상기 정면토출구(201)의 내측면 및 패널토출구(1101)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 및 프론트패널(210) 사이를 밀폐시킨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토출그릴(450)은 상기 패널토출구(1101) 및 정면토출구(201)를 순서대로 관통하고,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토출그릴(450)이 외부로 돌출될 때,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팬하우징(430) 전방측 단은 상기 개스킷(205)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430)의 전방측 단이 개스킷(205)에 밀착되면, 팬하우징(430) 내부에서 유동되는 공기가 도어어셈블리(200)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토출공기가 도어어셈블리(200)의 내부로 누설되는 경우, 상기 도어어셈블리(200) 내부에 이슬맺힘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프론트패널(210)이 금속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냉방 시 도어어셈블리(200) 내부로 누설되는 토출공기는 정면토출구(201) 주변을 냉각시키고, 상기 정면토출구(201) 주변에 다량의 이슬맺힘을 유발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어퍼패널모듈(1110)에 도어커버어셈블리(1200) 및 디스플레이모듈(1500)이 설치된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 및 디스플레이모듈(1500) 모두 어퍼패널모듈(1110)에 조립된 상태에서 프론트패널(210) 두께 내에 위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은 디스플레이 설치부(1113)가 배치되고, 디스플레이모듈(1500)은 상기 디스플레이 설치부(1113)에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설치부(1113)를 통해 디스플레이모듈(1500)이 어퍼패널바디(113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설치부(1113)는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1500)은 어퍼패널모듈(1110)에 조립된 상태에서 프론트패널(210)의 디스플레이 개구부(202)를 통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개구부(202)를 통해 디스플레이모듈(1500)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모듈(1500)의 디스플레이(1510)는 프론트패널(210)의 전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한다.
즉, 디스플레이모듈(1500)의 디스플레이(1510) 전면은 프론트패널(210)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전면과 연속된 평면을 형성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00)은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을 관통하는 케이블을 통해 전원 및 전기적인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의 배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가 정면토출구(201)를 개방시킨 후, 하측으로 이동되면,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00)과 같은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상기 패널모듈(1100)과 결합되지 않는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상기 패널모듈(110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어퍼패널모듈(1110) 및 로어패널모듈(1120)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다. 특히, 어퍼패널모듈(1110) 및 로어패널모듈(1120)은 상기 프론트패널(210) 내부에서 상호 조립되기 때문에, 도어어셈블리(200)의 슬라이드 이동 시, 흔들림 또는 작동소음을 최소화시킨다.
이를 위해 어퍼패널모듈(1110) 및 로어패널모듈(1120)은 억지끼움 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어퍼패널모듈(1110) 및 로어패널모듈(1120) 중 어느 하나는 상대측으로 돌출된 패널돌출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돌출끼움부가 수용되는 패널끼움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퍼패널모듈(1110)에 패널돌출부(1113)가 형성된다. 상기 패널돌출부(1113)는 상기 어퍼패널바디(1130)의 하측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패널돌출부(1113)를 수용하고, 상기 패널돌출부(1113)와 억지끼움 형태로 조립되기 위해 상기 로어패널모듈(1120)에 패널끼움부(1123)가 형성된다.
상기 패널끼움부(1123)는 로어패널모듈(1120)의 상측면에 형성된다.
<로어패널모듈의 구성>
상기 로어패널모듈(1120)은, 프론트패널(210)의 배면에 설치된다. 상기 로어패널모듈(1120)은 프론트패널(210)의 내부간격(I) 안에 설치된다. 로어패널모듈(1120)은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을 지지하며,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과 조립된다.
로어패널모듈(1120)은 상기 프론트패널(210) 안에 설치되어 프론트패널(210)의 변형을 방지한다. 로어패널모듈(1120)은 어퍼패널모듈(1110)과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을 하측에서 지지한다.
상기 로어패널모듈(1120)은, 상기 프론트패널(210)에 조립되는 로어패널바디(1122)를 포함한다. 상기 로어패널바디(1122) 상측에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에 패널돌출부(1113)와 상호 끼움결합되는 패널끼움부(1123)가 형성된다. 상기 패널끼움부(1123)는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로어패널모듈(1120)에 도어슬라이드모듈(1300)의 구동부가 설치된다.
상기 제 1 프론트패널엔드(215) 및 제 2 프론트엔드(217)를 각각 관통하는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로어패널모듈(1120)이 프론트패널(210)에 고정된다.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 및 로어패널모듈(1120)을 고정하기 위해 체결부재는 모두 상기 제 1 프론트패널엔드(215) 및 제 2 프론트엔드(217)의 배면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체결구조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숨겨진다.
특히 금속재질로 형성된 프론트패널(210)의 외부면에 체결부재 또는 체결을 위한 홀이 노출되지 않고 은닉된다.
<<도어커버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도어어셈블리(200)에 배치된 정면토출구(201)를 개폐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상기 정면토출구(201)를 개방시켜 원거리팬 어셈블리(400)의 이동경로를 확장시킨다. 상기 원거리팬 어셈블리(400)는 개방된 정면토출구(201)를 통해 도어어셈블리(20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상기 원거리팬 어셈블리(400)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정면토출구(201)를 개방할 때, 상기 원거리팬 어셈블리(400)의 이동 경로 밖으로 이동된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상기 정면토출구(201)에 배치되고, 상기 정면토출구(201)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정면토출구(201)를 개폐시키는 도어커버(1210)와, 상기 도어커버(1210)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배치되는 도어커버하우징(1220)과, 상기 도어커버하우징(1220)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커버하우징(1220) 및 도어커버(1210)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도어커버(1210)의 배면에 조립되고, 상기 도어커버(121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어커버무빙모듈(1600)과, 상기 도어커버하우징(1220) 또는 도어어셈블리(20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커버하우징(122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커버(1210)는, 정면토출구(201)에 삽입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10)과 연속된 면을 제공한다. 상기 도어커버무빙모듈(1600)의 작동에 의해, 상기 도어커버(1210)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1210)가 정면토출구(201)에서 분리된 후, 상기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의 작동시켜 도어커버어셈블리(1200) 전체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에 의해 도어커버(1210)가 하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정면토출구(201)는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도어커버무빙모듈(1600)에 의해 도어커버(1210)가 정면토출구(201)에서 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10)과 도어커버(1210)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를 제 1 정면개방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 1 정면개방일 때, 원거리팬 어셈블리(400)는 상기 도어커버(1210)에 가려지고,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제 1 정면개방일 때, 캐비닛 내부의 공기는 상기 도어커버(1210) 및 프론트패널(210) 사이에의 갭을 통해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정면개방일 때, 상기 도어커버(1210)의 후방에 상기 원거리팬 어셈블리(400)가 위치된다. 상기 제 1 정면개방일 때, 상기 도어커버(1210)는 프론프패널바디(212) 보다 후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에 의해 상기 도어커버(1210)가 정면토출구(201)의 후방에서 정면토출구(201) 하측으로 이동되고, 정면토출구(201)가 도어커버(1210)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상태를 제 2 정면개방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 2 정면개방일 때, 상기 도어커버(1210)는 상기 정면토출구(201) 및 원거리팬 어셈블리(400)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정면개방일 때, 상기 도어커버(1210)는 프론프패널바디(212) 보다 후방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정면개방일 때, 원거리팬 어셈블리(400)는 정면토출구(201)를 통해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상기 제 2 정면개방일 때, 원거리팬 어셈블리(400)는 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정면토출구(201) 밖으로 돌출될 수 있고, 상기 원거리팬 어셈블리(400)가 프론트패널(210) 밖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실내를 향해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정면개방일 때, 상기 도어커버하우징(1220) 또는 도어커버(1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디스플레이(1500) 후방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정면개방 시, 상기 도어커버(1210)가 하측으로 이동되더라도 상기 디스플레이(1500)와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상기 제 2 정면개방 시, 상기 도어커버(1210) 및 디스플레이(1500)의 배면을 소정간격 이격된다.
즉, 상기 제 1 정면개방 시, 상기 도어커버(1210)는 상기 프론트패널(210) 두께보다 더 많이 후방으로 이동되어야만, 상기 제 2 정면개방 동작 시 상기 도어커버(1210) 및 디스플레이(1500)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1210)는, 프론트패널(210)과 연속된 면을 형성하는 아우터도어커버(1212)와, 상기 아우터도어커버(1212)의 배면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커버무빙모듈(1600)과 조립되고, 상기 도어커버무빙모듈(1600)의 구동력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너도어커버(1214)와, 상기 이너도어커버(1214)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도어커버(1214)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도어커버무빙모듈(1600)과 상호 간섭을 통해 상기 도어커버무빙모듈(160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고, 상기 상호 간섭에 의해 상기 이너도어커버(1214)의 전진 또는 후진에 필요한 구동력을 전달받는 무버(1230)를 포함한다.
상기 무버(1230)는 후술하는 상기 도어커버무빙모듈(1600)의 커버가이드(1640)와 조립된다. 상기 무버(1230)는 상기 커버가이드(1640)가 회전될 때 상호 간섭되고, 상기 무버(1230)와 결합된 도어커버(121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킨다.
상기 아우터도어커버(1212)는 정면토출구(201)의 면적 및 형상과 동일하다.
상기 이너도어커버(1214)는 정면토출구(201)의 면적 또는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이너도어커버(1214)는 아우터도어커버(1212)보다 넓게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아우터도어커버(1212)가 정면토출구(201)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이너도어커버(1214)가 상기 정면토출구(201)의 가장자리에 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정면토출구(201) 및 아우터도어커버(1212)는 직경 및 형상이 동일한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너도어커버(1214)는 정면토출구(201) 보다 직경이 큰 원형으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이너도어커버(1214)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하 방향으로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정면토출구(201) 및 아우터도어커버(1212) 사이의 경계를 커버한다.
상기 아우터도어커버(1212)는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재질로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도어커버(1212)는 전체가 알루미늄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도어커버(1212)는 전면만 금속재질로 코팅되어도 무방하다. 전면만 금속재질로 코팅되는 경우, 도어커버(1210)의 하중을 저감시킬 수 있고, 상기 도어커버무빙모듈(1600) 및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의 작동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아우터도어커버(1212)는 프론트패널바디(212)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정면토출구(201)에 삽입될 때,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전면 및 후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너도어커버(1214)는, 상기 아우터도어커버(1212)의 배면에 밀착되고, 상기 아우터도어커버(1212)의 배면에 결합되고, 상기 아우터도어커버(1212)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이너도어커버(1214)의 중심과 아우터도어커버(1212)의 중심은 일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너도어커버(1214)는 원판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이너도어커버(1214)는 중심에 공간에 형성된 링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이너도어커버(1214)는, 중심에 위치되고, 아우터도어커버(1212)의 배면에 밀착되는 코어도어커버(1215)와, 상기 코어도어커버(1215) 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아우터도어커버(1212)의 외측 가장자리에 밀착되는 보더도어커버(1216)와, 상기 코어도어커버(1215) 및 보더도어커버(1216)을 연결하고, 상기 아우터도어커버(1212)와 이격되어 공간(1119)을 형성시키는 커넥트도어커버(1217)와, 상기 코어도어커버(1215), 커넥트도어커버(1217) 및 보더도어커버(1216)을 연결하고, 상기 커넥트도어커버(1217)에서 상기 아우터도어커버(1212) 측으로 돌출된 커넥트리브(1218)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트리브(1218)는 이너도어커버(1214)의 중심에서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게 배치된다. 커넥트리브(1218)는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이너도어커버(1214)의 중심에 대해 등각도로 배치된다.
상기 커넥트리브(118)의 전면은 상기 아우터도어(1212)의 배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커넥트리브(1218)의 배면은 상기 커넥트도어커버(1217)와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커넥트리브(1218)의 내측면은 상기 코어도어커버(1215)에 연결되고 외측면은 상기 보더도어커버(116)에 연결된다.
상기 공간(1119)은, 상기 코어도어커버(1215), 보더도어커버(1216) 및 복수개의 커넥트리브(1218)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공간(1119)은 상기 이너도어커버(1214)의 중심을 기준으로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복수개의 공간(1119)은 등각도로 배치된다. 상기 커넥트리브(1218) 및 공간(1119)의 구조로 인해 상기 이너도어커버(1214)의 강성이 향상된다.
상기 코어도어커버(1215)는 정면에서 볼 때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더도어커버(1216)는 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코어도어커버(1215)에는 도어커버무빙모듈(1600)의 일부 구성이 삽입되는 코어개구부(1211)가 형성된다. 상기 코어개구부(1211)에 도어커버무빙모듈(1600)의 일부 구성이 삽입되기 때문에,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전후 방향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보더도어커버(1216)는 상기 아우터도어커버(1212)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보더도어커버(1216)는 상기 아우터도어커버(1212)의 외측가장자리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된 보더플랜지(1213)를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도어커버(1212) 및 이너도어커버(1214)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더플랜지(1213)는 상기 도어커버(1210)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형성된다.
상기 보더플랜지(1213)는 이너도어커버(1214)보다 후방측에 위치된다. 보더플랜지(1213)는 이너도어커버(1214) 보다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보더플랜지(1213)는 아우터도어커버(1214)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도어커버(1210)가 프론트패널(210)의 정면토출구(201)에 삽입될 때, 상기 보더플랜지(1213)는 프론트패널(210)의 배면에 밀착되고, 상기 정면토출구(201) 및 아우터도어커버(1212) 사이의 경계에 밀착된다.
상기 보더플랜지(1213)는 정면에서 볼 때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더플랜지(1213)에 개스킷(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개스킷은 상기 정면토출구(201) 및 아우터도어커버(1212) 사이의 경계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1210)가 프론트패널(210)에 밀착될 때, 상기 개스킷은 접속소음을 감소시키고, 상기 정면토출구(201) 및 아우터도어커버(1212) 사이의 경계를 밀폐시킬 수 있다.
원거리팬 어셈블리(400)가 작동되지 않고, 근거리팬 어셈블리만 작동될 때,상기 경계를 통해 냉기가 누설되면, 상기 경계부분에서 이슬맺힘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보더플랜지(1213)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오목하게 홈(121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1213a)은 정면에서 볼 때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홈(1213a)에 상기 개스킷이 인서트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두께는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두께 중 대부분을 차지한다. 그래서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전후 방향 두께를 최소화하는 것은 도어어셈블리(200)의 두께를 최소화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두께를 최소화하면, 도어슬라이드모듈(1300)의 작동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코어개구부(1211)은 아우터도어커버(1214)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코어개구부(1211)에 후술하는 도어커버무빙모듈(1600)의 모터가 삽입된다.
상기 무버(1230)는 상기 이너도어커버(1214)에 배치된다. 무버(1230)는 이너도어커버(1214)와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무버(1230)는 별도로 제작된 후, 이너도어커버(1214)에 조립된다. 그래서 상기 무버(1230)는 이너도어커버(1214)과 조립되기 위한 조립구조가 배치된다.
상기 무버(1230)는 이너도어커버(1214)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 무버바디(1232)와, 상기 무버바디(1232)에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돌출되고, 후술하는 커버가이드(1640)의 가이드웨이(1650)에 삽입되는 무버가이드(1234)를 포함한다.
상기 무버바디(1232)는 정면에서 볼 때 전체적인 형상이 링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무버바디(1232)에 상기 이너도어커버(1214)와 체결되는 무버체결부(1236)가 형성된다. 상기 무버체결부(1236)는 무버바디(1232)의 내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무버체결부(1236)의 돌출방향은 무버가이드(1234)의 돌출방향과 반대이다.
상기 이너도어커버(1214)에는 상기 무버체결부(1236)와 대응되는 체결부(1214a)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214a)는 코어개구부(1211)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214a)는 무버바디(1232)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무버바디(1232)의 내주면에는 상기 코어도어커버(1215)의 후단을 지지하는 무버바디서포터(1233)가 배치된다.
상기 무버바디(1232) 및 무버가이드(1234)는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무버바디(1232)는 도어커버(1210)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상기 무버바디(1232)는 후술하는 커버가이드(1640)와 간섭될 수 있는 길이까지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무버가이드(1234)는 상기 무버바디(1232)와 직교된다. 상기 무버가이드(1234)는 프론트패널바디(212)와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무버가이드(1234)의 돌출방향은 상기 커버가이드(1640)과의 결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무버바디(1232)는 커버가이드(1640)의 내부에 삽입되기 때문에, 무버가이드(1234)는 무버바디(1232)에서 외측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무버바디(1232)가 커버가이드(1640)의 외부에 위치되는 경우, 가이드돌기는 무버바디(1232)의 내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무버가이드(1234)는 후술하는 커버가이드(1640)의 가이드웨이(1650)에 조립되고, 상기 커버가이드(1640)의 회전 시 상기 가이드웨이(1650)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커버하우징(1220)은 어퍼패널(111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도어커버하우징(1220)은 상기 어퍼패널(111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도어커버하우징바디(1222)와, 상기 도어커버하우징바디(1222)에 배치되고, 전방을 향해 개구되고, 상기 도어커버(1210)가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도어커버수납부(1223)와, 상기 도어커버하우징바디(1222)에 배치되고, 전방을 향해 개구되고, 상기 도어커버수납부(1223)와 연통되고, 상기 도어커버수납부(1223)보다 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커버무빙모듈(1600)이 설치되는 무빙모듈설치부(1224)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커버하우징(1220)는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내부간격(I)에 위치된다. 도어커버하우징(1220)의 좌측 및 우측은 상기 내부간격(I) 안에 위치되고, 대부분은 상기 개방간격(D)을 통해 노출된다.
상기 도어커버하우징(1220)의 좌측 및 우측은 각 프론프패널엔드(215)(217)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각 프론트패널엔드(215)(217)는 도어커버하우징(1220)의 전후 방향에 대해 상호 걸림을 형성하고, 도어커버하우징(1220)가 후방으로 분리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어커버하우징(1220)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된다.
도어커버하우징바디(1222)는 프론트패널(21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된 내부간격(I)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어커버하우징바디(1222)는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도어커버하우징바디(1222)의 전후 방향 두께는 상기 내부간격(I)보다 작게 형성된다.
도어커버무빙모듈(1600)의 작동 시, 도어커버(1210)는 후방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도어커버수납부(1223)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정면토출구(201)를 폐쇄하고 있을 때, 상기 도어커버(1210)는 도어커버하우징(1220) 보다 전방에 위치되고, 프론트패널(210)과 동일평면 상에 위치된다.
도어커버수납부(1223)는 도어커버(1210)를 수용하기 위해 전방이 개구되고, 정면에서 볼 때 원형으로 형성된다. 도어커버수납부(1223)는 도어커버하우징(1222)에서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도어커버하우징바디(1222)의 상면(1222a)은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어커버(1210)의 가장자리를 감싸게 배치된다. 상기 상면(1222a) 하측에 상기 도어커버(121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상면(1222a) 하측에 상기 도어커버수납부(1223)가 배치된다.
상기 상면(1222a)의 곡률중심은 상기 도어커버(1210)의 곡률중심과 일치될 수 있다. 상기 상면(1222a)은 상기 도어커버(1210)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어퍼패널바디(1130)에는 도어커버하우징(1220)과 상호 간섭되고,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이동을 제한하는 도어커버탑월(1114)이 배치된다.
상기 도어커버탑월(1114)은 어퍼패널바디(1130)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도어커버탑월(1114)은 도어커버하우징(1220)의 상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커버하우징(1220)의 상측면은 정면에서 볼 때 호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도어커버탑월(1114)은 상기 도어커버하우징(1220) 보다 직경이 큰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도어커버탑월(1114)은 도어커버하우징(1220)의 상측면 전체를 감싸게 형성된다. 상기 도어커버탑월(1114)의 하측면에 도어커버하우징(1220)이 밀착되고, 캐비닛 내부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탑월(1114)은 패널토출구(1101)과 같은 곡률중심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탑월(1114)은 패널토출구(1101) 보다 큰 곡률반경으로 형성된다.
도어커버탑월(1114)은 카메라모듈(1900) 측으로 캐배닛 내부공기가 유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냉기가 상기 카메라모듈(1900) 측으로 직접 공급될 경우, 카메라모듈(1900)에 이슬맺힘이 발생될 수 있다.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도어커버탑월(1114)은 패널토출구(1101)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면(1222a)이 도어커버탑월(1114)과 접촉되면, 도어커버(1210), 패널토출구(1101) 및 정면토출구(201)가 전후 방향에 대해 일렬로 배치된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가 정위치까지 상승되지 않을 경우, 도어커버(1210)는 어퍼패널바디(1130)에 걸려 정면토출구(201)로 이동될 수 없다.
상기 도어커버하우징바디(1222)의 각 측면(1222b)은 프론트패널(210)의 각 프론트패널엔드(215)(217)과 대향된다. 상기 측면(1222b)은 프론트패널(210)의 내부간격(I)에 위치되고, 상기 내부간격(I)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무빙모듈설치부(1224)는 도어커버하우징바디(1222)에서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무빙모듈설치부(1224)는 도어커버수납부(1223)와 연통되고, 도어커버수납부(1223)보다 후방 측에 위치된다.
무빙모듈설치부(1224)는 전방이 개구되고, 정면에서 볼 때 원형으로 형성된다. 무빙모듈설치부(1224)는 도어커버(1210)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고, 도어커버(1210)의 후방 측에 위치된다. 무빙모듈설치부(1224)의 전후 방향 두께는 도어커버하우징(1220)의 두께보다 작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무빙모듈설치부(1224)는 정면에서 볼 때 원형으로 형성된다. 무빙모듈설치부(1224)의 중심과 도어커버(1210)의 중심은 일치된다.
그리고 무빙모듈설치부(1224)에 도어커버무빙모듈(1600)의 구성 대부분이 설치된다.
<<도어커버무빙모듈의 구성>>
상기 도어커버무빙모듈(1600)은, 상기 도어커버(121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도어커버무빙모듈(1600)은 제 1 정면개방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도어커버(1210)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커버(1210)는 유압실린더와 같은 액체에이터와 연결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피스톤 이동을 통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도어커버(1210)는 모터 및 다관절 링크구조를 통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링크구조 및 유압실린더와 같은 구조는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방으로 이동 또는 회전되는 구조가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도어어셈블리(200)의 전후 방향 두께를 증가시킬 수 밖에 없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커버무빙모듈(1600)은 도어커버모터의 회전력을 상호 간섭을 통해 변환시켜 상기 도어커버(121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도어커버무빙모듈(1600)의 구조는 도어어셈블리(200)의 전후방향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무빙모듈(1600)은, 도어커버(1210)의 후방에 위치되고, 도어커버하우징(1220)에 설치되고, 도어커버모터축(1611)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도어커버모터(1610)와, 상기 도어커버모터축 결합되고, 상기 도어커버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썬기어(1620)와, 상기 도어커버하우징(1220)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썬기어(1620)와 치합되고, 상기 썬기어(1620)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유성기어(1630)와, 상기 도어커버하우징(1220) 및 도어커버(12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1630)들이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1630)들과 각각 치합되고, 상기 유성기어(1630)들의 회전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도어커버(1210)와의 상호 간섭을 통해 상기 도어커버(121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커버가이드(1640)를 포함한다.
상기 썬기어(1620)는 피니언기어이고, 외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치형이 형성된다.
상기 유성기어(1630)는 피니언기어이고, 외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치형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성기어(1630)는 3개가 배치된다. 3개의 유성기어(1630)는 각각 썬기어(1620)의 외측면에 치합되고, 상기 썬기어(1620)의 회전 시 동시에 회전된다.
복수개의 유성기어(1630)들 및 썬기어(1620)는 도어커버하우징(1220)의 무빙모듈설치부(1224)에 삽입된다. 상기 무빙모듈설치부(1224)에는 상기 썬기어(1620)가 설치되는 썬기어설치부(1225)와, 각 유성기어(1630)가 설치되는 각각의 유성기어설치부(1226)가 배치된다.
상기 썬기어설치부(1225)는 썬기어(1620)의 회전축이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썬기어(1620)는 썬기어설치부(1225)에 조립된 상태에서 제자리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모터(1610)는 상기 썬기어(1620) 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도어커버모터(1610)는 무빙모듈설치부(1224) 내부에 위치된다.
도어커버모터(1610)의 도어커버모터축(1611)은 전방에서 후방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도어커버모터(1610)의 후방에 배치된 썬기어(1620)와 결합된다.
상기 도어커버모터(1610)를 도어커버하우징(1220)에 고정시키기 위해 모터하우징(1660)이 더 배치된다. 상기 도어커버모터(1610)가 도어커버하우징(1220)의 배면에 위치될 경우, 도어커버모터(1610)가 도어커버하우징(1220)에 직접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전후 방향 두께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커버모터(1610)를 도어커버하우징(1220)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도어커버모터(1610)를 고정하기 위한 모터하우징(1660)을 배치한다.
상기 모터하우징(1660)은 도어커버하우징(1220)에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터하우징(1660)은 도어커버모터(1610)가 조립된 상태로 무빙모듈설치부(1224) 내부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전후 방향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모터하우징(1660)은 커버가이드(1640)의 내부에 위치되고, 커버가이드(1640)는 모터하우징(1660)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이다.
정면에서 볼 때, 도어커버모터(1610) 및 커버가이드(1640) 사이에 상기 모터하우징(1660)이 위치된다. 전후방향으로 볼 때, 도어커버하우징(1220) 및 도어커버(1210) 사이에 모터하우징(1660)이 위치된다.
상기 도어커버모터(1610)와 상기 모터하우징(1660)이 조립되었을 때 전후 방향 길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도어커버모터(1610)는 상기 모터하우징(1660)을 관통하는 형태로 조립된다.
이를 위해 모터하우징(1660)은 상기 도어커버모터(1610)가 관통되는 모터관통부(1662)가 형성된다. 상기 모터관통부(1662)는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모터관통부(1662)는 상기 이너도어커버(1214)의 코어개구부(1211) 후방에 위치된다. 상기 모터하우징(1660)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커버모터(1610)는 상기 모터관통부(1662)를 관통하고, 상기 코너개구부(1211)에 삽입된다.
도어커버모터(1610)는 조립되는 구조물인 모터하우징(1660) 뿐만 아니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도어커버(1210)의 구조물 내부로도 삽입되기 때문에, 도어어셈블리(200)의 전후 방향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전후 방향으로 볼 때, 상기 커버가이드(1640)는 도어커버하우징(1220) 및 도어커버(1210) 사이에 배치된다.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커버가이드(1640)는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링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가이드(1640)는 상기 유성기어(1630)로 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커버가이드(1640)는 정면에서 볼 때,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커버가이드(1640) 및 도어커버(1210)는 상대이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커버가이드(1640)의 회전 시 상호 간섭을 통해 상기 도어커버(121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가이드(1640)는, 링형태로 형성된 커버가이드바디(1640)와, 상기 커버가이드바디(1640)의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유성기어(1630)들과 치합되는 가이드기어(1642)와, 상기 커버가이드바디(164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커버간섭부(1230, 본 실시예에서 무버가이드(1234))와 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무버가이드(1234)와의 상호 간섭을 통해 상기 도어커버(121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가이드웨이(165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가이드(1640)가 유성기어(1630)의 작동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도어커버(1210)의 무버(1230)는 상기 커버가이드(1640)와 상호 간섭을 발생시킨다. 상기 상호 간섭 시 무버가이드(1234)는 회전되진 않지만, 상기 커버가이드(1640)가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웨이(1650)를 따라 이동된다.
상기 가이드기어(1642)는 링기어 형태이다. 상기 가이드기어(1642)는 커버가이드바디(1640)의 내주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웨이(1650)는 상기 커버가이드바디(1642)를 관통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가이드웨이(1650)는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가이드(1640)의 두께를 최소화하기 위해 가이드웨이(1650)가 커버가이드(1640)의 내외측을 관통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무버가이드(1234)는 상기 가이드웨이(1650)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웨이(1650)의 관통방향은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전면과 평행하다. 상기 가이드웨이(1650) 및 무버가이드(1234)의 결합방향은 전후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이다.
상기 가이드웨이(1650)는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무버가이드(1234)가 상기 가이드웨이(1650)와 상호 간섭되고, 상기 상호 간섭에 의해 상기 무버가이드(1234)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가이드웨이(1650)는 상기 커버가이드바디(1642)의 원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커버가이드바디(1642)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완만한 곡선을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웨이(1650)의 전후 방향 길이만큼 상기 도어커버(1210)가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다.
가이드웨이(1650)는 복수개소에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3개가 배치된다. 3개의 가이드웨이(1650)는 커버가이드(1640)의 중심을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가이드(164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가이드웨이(1650) 및 무버가이드(1234)는 상호 간섭을 발생시킨다.
상기 가이드웨이(1650)가 커버가이드(1640)의 원주방향을 따라 전후방향으로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커버가이드(1640)의 회전 시, 상기 무버가이드(1234)는 회전되지 않지만 상기 가이드웨이(1650)를 따라 전진하거나 후진된다.
상기 커버가이드(1640)의 축중심은 상기 썬기어(1620)의 축중심과 일치된다. 상기 커버가이드(1640)는 무빙모듈설치부(1224)에 삽입되고, 상기 무빙모듈설치부(1224) 내부에서 회전된다.
상기 가이드기어(1642)는 커버가이드바디(1642)의 내주면을 따라 원형으로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기어(1642)는 커버가이드(1640)의 축중심을 향하도록 치형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가이드(1640)의 내측에 상기 도어커버모터(1610), 복수개의 유성기어(1630)들, 썬기어(1620)가 배치되고,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도어커버무빙모듈(1600)의 전후 방향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의 구성>>
상기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은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프론트패널(210)에 배치된 정면토출구(201)를 제 2 정면개방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은 도어커버하우징(122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은 1개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이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상하 위치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겸하기 때문에,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지지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을 좌우 2개 배치한다.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은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를 프론트패널(21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은 도어커버(1210)가 결합된 도어커버하우징(1220) 전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프론트패널(210)의 내부간격(I)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프론트패널(210)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의 설치공간은 상기 내부간격(I) 이하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는 프론트패널(210)의 두께 이하로 설치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의 전후 방향 두께는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두께 이하이다.
상기 도어커버하우징(1220)은 상기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에 의해 상기 정면토출구(201)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정면토출구(201)는 상기 제 2 정면개방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정면토출구(201)를 향하는 상기 원거리팬 어셈블리(400)의 이동경로에 배치된 도어커버(1210)는, 상기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의 작동에 의해 정면토출구(201)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1210)가 수직방향 하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도어커버(1210)의 어느 부분도 상기 정면토출구(201)와 오버랩되지 않는다.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은 상기 원거리팬 어셈블리(400)의 이동경로 밖으로 상기 도어커버하우징(1220)을 이동시킨다.
상기 제 2 정면개방일 때, 상기 정면토출구(201)를 통해 상기 토출그릴(450)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은 상기 도어커버하우징의 좌측에 배치된 좌측 도어하우징무빙모듈과, 상기 도어커버하우징의 우측에 배치된 우측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을 포함한다.
좌측 도어하우징무빙모듈 및 우측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은 동일한 구성이고 좌우 대칭이다.
상기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은, 상기 프론트패널(210) 또는 패널모듈(1100)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랙(1710)과,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에 배치되고, 상기 랙(1710)과 치합되고, 회전 시 상기 랙(1710)을 따라 이동되는 기어어셈블리(1730)와,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에 배치되고, 상기 기어어셈블리(173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기어구동모터(1720)와,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 및 랙(1710)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상하무빙레일(1790)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은, 기어어셈블리(1730) 및 기어구동모터(1720)이 설치되는 기어하우징(17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하우징(1780)이 배치되지 않을 경우, 상기 기어어셈블리(1730) 및 기어구동모터(1720)는 도어커버하우징(1220)에 직접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 및 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어하우징(1780)에 기어어셈블리(1730) 및 기어구동모터(1720)를 조립한 후, 기어하우징(1780)을 도어커버하우징(1220)에 조립한다.
상기 랙(1710)은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랙(1710)은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내부간격(I)에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패널(210) 또는 패널모듈(110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론트패널(210)은 금속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랙(1710)을 직접 설치할 경우, 금속재질로 형성된 상기 프론트패널(210)을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 경우, 홀을 통해 냉기가 누설될 수도 있고,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프론트패널(210)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프론트패널(210)이 아닌 패널모듈(1100)에 랙(1710)을 설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랙(1710)은 어퍼패널모듈(1110)에 조립된다. 상기 랙(1710)은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 중 상기 내부간격(I)에 삽입된 부분에 설치된다.
상기 랙(1710)은 프론트패널사이드(214)(216)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랙(1710)은 2개가 배치되고, 각 랙(1710)은 프론트패널(210)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된 내부간격(I)에 각각 배치된다. 복수개 랙(1710)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 프론트패널(210)의 정면에서 볼 때 좌측에 배치된 랙을 좌측 랙이라 정의하고, 우측에 배치된 랙을 우측 랙이라 정의한다. 상기 좌측 랙 및 우측 랙은 좌우 대칭이다.
<랙의 구성 및 설치구조>
상기 랙(1710, rack)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랙바디(1712)와, 상기 랙바디(1712)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일측(본 실시예에서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 내부간격(I)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의 타측(본 실시예에서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랙바디(17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된 랙치형부(1711)를 포함한다.
상기 랙치형부(1711)는 상기 랙바디(1712)에서 반대편 프론트패널사이드를 향해 돌출된다. 상기 랙치형부(1711)는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랙바디(1712)에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랙치형부(1711) 및 랙바디(1712)는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랙치형부(1711)는 치형이 수평하게 배치된다. 복수개의 랙치형부(1711)는 상하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기어어셈블리는 상기 랙치형부(1711)와 상호 치합되고, 상기 랙치형부(1711)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랙(1710)는, 상기 랙바디(1712)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엔드(217)에 밀착되는 랙밀착부(1713)와, 상기 랙바디(1712)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과 조립되고,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과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랙걸림부(1714)와, 상기 랙바디(1712)에 배치되고, 상하무빙레일(1790)이 배치되는 레일설치부(1719)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랙치형부(1711), 랙바디(1712), 랙밀착부(1713), 랙걸림부(1714) 및 레일설치부(1719)는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랙치형부(1711), 랙바디(1712), 랙밀착부(1713), 랙걸림부(1714) 또는 레일설치부(1719) 중 일부를 별도로 제작한 후, 조립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랙밀착부(1713)는 프론트패널(210)의 내부간격(I)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엔드(217)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상기 랙(1710)을 고정하는 체결부재는 상기 프론트패널엔드(217) 및 랙밀착부(1713)를 관통하여 체결된다.
상기 랙밀착부(1713)는 랙바디(1712)와 교차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직교된다. 상기 랙밀착부(1713)는 프론트패널(210)의 전면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랙바디(1712)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레일설치부(1719)는 랙바디(1712)에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레일설치부(1719)는 랙바디(1712)에서 프론트패널사이드(216)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레일설치부(1719) 반대편 프론트패널사이드(215)을 향해 개방된다.
상기 레일설치부(1719)는 랙(17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일설치부(1719)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상하무빙레일(1790)은 상기 레일설치부(1719)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상하무빙레일(1790)은 랙밀착부(1713)의 좌우 폭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오목하게 형성된 레일설치부(1719) 내에 상하무빙레일(1790)를 설치하기 때문에, 상기 랙(1710) 및 상하무빙레일(1790)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레일설치부(1719)는 랙바디(1712)에서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216)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상하무빙레일(1790)는 내부간격(I)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일설치부(1719)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반대편 프론트패널사이드을 향해 개구된다. 개구된 부분으로 상기 상하무빙레일(1790)이 삽입된다.
상기 레일설치부(1719)는 상기 랙바디(1712)와 연결된 제 1 레일설치벽(1719a)과, 상기 제 1 레일설치벽(1719a)과 교차되고,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상하무빙모듈(1790)이 고정되는 제 2 레일설치벽(1719b)과, 상기 제 2 레일설치벽(1719b)과 교차되고, 상기 제 1 레일설치벽(1719a)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 3 레일설치벽(1719c)을 포함한다.
상기 레일설치부(1719)는 제 1 레일설치벽(1719a), 제 2 레일설치벽(1719b) 및 제 3 레일설치벽(1719c)에 둘러싸인 레일설치공간(1719d)이 형성된다. 상기 레일설치공간(1719d)는 반대편 프론트패널사이드를 향해 개구된다.
제 1 레일설치벽(1719a)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되고, 랙밀착부(1713)과 대향된다. 제 2 레일설치벽(1719b)은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고, 프론트패널사이드(216)(217)과 대향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레일설치벽(1719a) 및 제 2 레일설치벽(1719b)은 직교된다.
랙밀착부(1713), 제 1 레일설치벽(1719a) 및 제 2 레일설치벽(1719b) 사이에 랙공간(1710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랙(1710)은 사출성형을 통해 랙밀착부(1713), 제 1 레일설치벽(1719a), 제 2 레일설치벽(1719b), 제 3 레일설치벽(1719c) 및 랙걸림부(1714)를 일체로 제작하기 때문에 각 구성이 유사한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랙공간(1710a)은 프론트패널사이드(216)(217) 측으로 개구된다. 상기 랙공간(1710a)의 개구방향과 상기 레일설치공간(1719d)의 개구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상기 레일설치공간(1719d)의 개구방향은 상기 랙치형부(1711)의 돌출방향과 같다.
상기 랙공간(1710a)은 설치된 프론트패널사이드(216)를 향해 개구되고, 레일설치공간(1719d)은 설치되지 않은 반대편 프론트패널사이드(217)를 향해 개구된다.
상기 랙걸림부(1714)는 상기 레일설치부(1719)에서 어퍼패널모듈(1110) 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랙걸림부(1714)는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의 배면에 삽입되고, 상기 랙(1710)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억제한다.
상기 랙걸림부(1714)는 상기 제 3 레일설치벽(1719c)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제 1 랙걸림부(1714a)와, 상기 제 1 랙걸림부(1714b)에서 좌우 방향으로 돌출된 제 2 랙걸림부(1714b)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랙걸림부(1714a) 및 제 2 랙걸림부(1714b)는 교차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 "형상으로 절곡된다. 상기 제 2 랙걸림부(1714b)는 어퍼패널모듈(1110)과 억지끼움 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은 상기 랙(1710)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은, 프론트패널(210)에 배면에 배치되는 어퍼패널바디(1130)와, 상기 어퍼패널바디(113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되고, 정면토출구(201)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정면토출구(201)와 연통되는 패널토출구(1101)를 포함한다.
상기 어퍼패널바디(1130)는 프론트패널(210) 배면에 위치되고, 상기 패널토출구(1101)가 형성되는 어퍼패널프론트(1132)와, 상기 어퍼패널프론트(1132)와 연결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측면 내측에 위치되는 어퍼패널사이드(1134)를 포함한다.
상기 어퍼패널프론트(1132)는 도어커버하우징(1220) 및 프론트패널(210)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어퍼패널사이드(1134)는 상기 랙(1170) 및 프론트패널(210)의 측면(본 실시예에서 프론트패널사이드)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어퍼패널사이드(1134)는 랙(1170)을 지지하고, 상기 랙(1170)과 조립될 수 있다.
어퍼패널사이드(1134)는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214) 또는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216)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어퍼패널프론트(1132) 및 어퍼패널사이드(1134)는 별도로 제작된 후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패널프론트(1132) 및 어퍼패널사이드(1134)는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어퍼패널바디(1130)는, 상기 어퍼패널프론트(1132)에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패널바디(212)의 배면에 밀착되고, 상기 프론트패널바디(212)의 배면을 지지하는 패널프론트지지부(1135)와, 상기 어퍼패널프론트(1132)에 형성되고, 상기 패널토출구(1101)에 배치된 개스킷(205)과 결합되는 패널프론트결합부(1136)와, 상기 어퍼패널프론트(1132)에 형성되고, 상기 랙(1710)과 조립되어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는 패널프론트삽입부(1137)를 포함한다.
상기 어퍼패널바디(1130)는, 상기 어퍼패널사이드(1134)에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프론트패널사이드(214)(126)에 밀착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프론트패널사이드를 지지하는 제 1 패널사이드지지부(1138)와, 상기 어퍼패널사이드(1134)에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프론트패널엔드(215)(217)를 지지하는 제 2 패널사이드지지부(1139)를 포함한다.
상기 어퍼패널바디(1130)는 전체적으로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굴곡으로 형성한다.
상기 패널프론트결합부(1136)는 패널토출구(1101)의 가장자리를 형성한다. 상기 패널프론트결합부(1136)는 어퍼패널바디(1130)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패널토출구(1101)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패널프론트지지부(1135)는 어퍼패널바디(113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배면에 밀착된다.
상기 패널프론트삽입부(1137)는 어퍼패널바디(113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배면에 밀착될 수 있다.
패널프론트삽입부(1137)는 어퍼패널바디(113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후방 측에 랙걸림부(1714)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어퍼패널바디(1130)는 프론트패널(210)의 좌우 방향에 대해 적어도 2개소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패널바디(1130)는 상기 패널프론트삽입부(1137)가 프론트패널(210)의 지지하는 기능도 함께 제공한다.
상기 패널프론트삽입부(1137) 보다 상기 패널프론트지지부(1135)가 패널토출구(1101) 측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상기 패널프론트삽입부(1137)는 프론트패널(210)의 내부간격(I)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널프론트지지부(1135) 및 패널프론트삽입부(1137)는 어퍼패널프론트(1132)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패널프론트지지부(1135), 패널프론트삽입부(1137) 및 어퍼패널프론트(1132)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은 어퍼패널프론트(1132) 및 프론트패널(210)의 배면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어퍼패널사이드(1134)는 프론트패널사이드(214)(126)의 내측면과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패널사이드지지부(1138)는 어퍼패널사이드(1134)에서 프론트패널사이드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사이드에 내측면을 지지한다.
상기 제 2 패널사이드지지부(1139)는 어퍼패널사이드(1134)에서 프론트패널엔드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엔드에 내측면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패널바디(1130)는, 패널프론트지지부(1135), 패널프론트삽입부(1137), 제 1 패널사이드지지부(1138) 및 제 2 패널사이드지지부(1139)를 통해 프론트패널(210)을 지지하고, 상기 어퍼패널바디(1130) 및 프론트패널(210)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한다.
<상하무빙레일의 구성>
상기 상하무빙레일(1790)은, 제 1 레일설치벽(1719a), 제 2 레일설치벽(1719b) 및 제 3 레일설치벽(1719c)에 둘러싸인 레일설치공간(1719d)에 배치된다.
상하무빙레일(1790)은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특히 상기 상하무빙레일(1790)은 도어커버하우징(1220)에 조리되고, 상기 도어커버하우징(122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상하무빙레일(1790)은 랙(1710) 및 도어커버하우징(1220) 사이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하무빙레일(1790)은 레일설치부(1719) 및 도어커버하우징(1220) 사이에 배치된다.
상하무빙레일(1790)은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에 대해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하무빙레일(1790)은 도어커버하우징(1220)의 측면 바깥쪽에 위치된다. 상기 상하무빙레일(1790)를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측면에 배치하여 도어어셈블리(200)의 전후 방향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하무빙레일(1790)은 랙(1710)에 설치된 제 1 레일(1792)과, 상기 도어커버하우징(1220)에 설치된 제 2 레일(179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레일(1792)는 상기 레일설치부(1719)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설치공간(1719d)에 수용된다. 제 1 레일(1792)는 레일설치공간(1719d)에 수용되기 때문에, 상기 랙(1710) 밖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상기 제 2 레일(1794)는 상기 제 1 레일(1792)과 조립되고, 상기 제 1 레일(1792)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 1 레일(1792) 및 제 2 레일(1794) 사이에 복수개의 베어링이 배치되고, 상기 베어링은 제 1 레일(1792) 및 제 2 레일(1794)의 마찰을 저감시킨다.
상기 제 2 레일(1794)의 일부는 상기 제 1 레일(1792)과의 조립을 위해 상기 레일설치공간(1719d)에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레일(1794)은 좌우 방향에 대하여, 랙치형부(1711) 밖으로 돌출되지 않고, 배면에서 볼 때, 상기 랙치형부(1711)에 의해 가려진다.
상기 제 2 레일(1794)는 상기 도어커버하우징(1220)의 측면에 조립된다. 상기 제 1 레일(1792) 및 제 2 레일(1794)은 상하 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이 상하 이동될 때, 상기 제 1 레일(1792) 및 제 2 레일(1794)은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고 마찰을 저감시킨다.
<기어어셈블리 및 기어구동모터의 구성>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상기 기어어셈블리(1730) 및 랙(1710)의 치합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된다. 상기 기어어셈블리(1730) 및 랙(1710)의 치합에 의해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상하 높이가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높낮이를 유지시키는 별도의 구성이 포함되지 않는다.
상기 기어어셈블리(1730)는 상기 기어구동모터(1720)의 구동력을 상기 랙(1710)에 전달할 뿐만 아니라,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하중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어어셈블리(1720)는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기어어셈블리(1730)는,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에 배치되고, 외주면에 제 1 치형부(1741)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치형부(1741)를 통해 상기 랙(1710)과 치합되고, 상기 랙(1710)과 치합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 1 기어(1740)와,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에 배치되고, 서로 다른 곡률반경으로 형성된 제 2-1 치형부(1751) 및 제 2-2 치형부(1752)를 포함하고, 상기 제 2-1 치형부(1751)를 통해 상기 제 1 기어(1740)의 제 1 치형부(1741)와 치합되는 제 2 기어(1750)와,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에 배치되고, 서로 다른 치형으로 형성된 제 3-1 치형부(1761) 및 제 3-2 치형부(1762)를 포함하고, 상기 제 3-1 치형부(1761)를 통해 상기 제 2 기어(1750)의 제 2-2 치형부(1752)와 치합되는 제 3 기어(1760)와,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에 배치되고, 상기 제 3-2 치형부(1762)와 치합되고, 상기 기어구동모터(1720)와 연결되어 회전되고,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웜기어(1770)를 포함한다.
상기 기어구동모터(1720)의 모터축(1721)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어구동모터(1720)의 모터축(1721)은 상기 웜기어(1770)를 관통한다. 상기 웜기어(1770)의 축중심은 상기 모터축(1721)과 동일선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기어(1740)는 랙(1710) 및 제 2 기어(1750)과 각각 치합된다.
상기 제 2 기어(1750)는 상기 제 1 기어(1740) 및 제 3 기어(1760)과 각각 치합된다.
상기 제 3 기어(1760)는 상기 제 2 기어(1750) 및 웜기어(1770)과 각각 치합된다.
상기 제 1 기어(1740), 제 2 기어(1750) 및 제 3 기어(1760)의 각 치형은 피니언기어 타입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기어(1740), 제 2 기어(1750) 및 제 3 기어(1760)의 각 회전축은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치형부(1741)는 정면 또는 배면에서 볼 때, 원형으로 배치된다.
제 1 치형부(1741) 및 랙치형부(1711)가 치합되는 위치와, 상기 제 1 치형부(1741) 및 제 2-1 치형부(1751)가 치합되는 위치는 서로 다르다.
제 1 치형부(1741), 랙(1710)의 랙치형부(1711) 및 제 2-1 치형부(1751)는 모두 같은 크기 및 형태의 치형으로 형성된다.
제 1 치형부(1741), 랙(1710)의 랙치형부(1711) 및 제 2-1 치형부(1751)는 모두 동일한 피니언기어 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기어(1750) 및 제 3 기어(1760)는 회전축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피니언기어 타입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기어(1750) 및 제 3 기어(1760)는 제 1 기어(1740)와 같이 하나의 치형이 배치되는 대신, 서로 다른 2개의 치형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기어(1750)는 제 2-1 치형부(1751) 및 제 2-2 치형부(1752)가 배치되고, 제 2-1 치형부(1751) 및 제 2-2 치형부(1752)는 제 2 기어(1750)의 회전축 방향(본 실시예에서 전후방향)으로 배열된다. 제 2-1 치형부(1751) 및 제 2-2 치형부(1752)는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제 2 기어(1750)에서 제 2-1 치형부(1751) 및 제 2-2 치형부(1752)는 서로 다른 치형으로 형성된다. 제 2-1 치형부(1751) 및 제 2-2 치형부(1752)는 모두 피니언기어 치형으로 형성된다.
정면에서 볼 때, 제 2-1 치형부(1751) 및 제 2-2 치형부(1752)는 각각 지름이 다른 원형으로 배치된다.
제 2-1 치형부(1751) 및 제 2-2 치형부(1752) 중 어느 하나가 전방측에 배치되고, 나머지 하나가 후방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2-1 치형부(1751)는 제 2-2 치형부(1752) 보다 후방 측에 위치된다. 제 2-1 치형부(1751)는 상기 제 1 치형부(1741) 및 제 3-2 치형부(1762)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기어(1750)는 제 1 기어(1740) 및 제 3 기어(1760)와 동시에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제 2 기어(1750)와 같은 치형이 상기 제 1 기어(1740) 및 제 3 기어(1760)에도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제 2-2 치형부(1352), 제 1 치형부(1341) 및 제 3-1 치형부(1361)는 동일한 규격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기어(1750)는 제 2-1 치형부(1751)의 직경보다 제 2-2 치형부(1752)의 직경이 더 크다. 제 2-1 치형부(1751) 및 제 2-2 치형부(1752)의 직경을 다르게 배치하여 제 1 기어(1740) 및 제 3 기어(1760)와 동시에 치합되는 치합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제 1 기어(1740) 및 제 2 기어(1750)가 치합된 상태일 때, 상기 제 1 기어(1740)는 상기 제 2-2 치형부(1752) 보다 후방 측에 위치된다. 이는 상기 제 2-1 치형부(1751)가 제 2-2 치형부(1752) 보다 후방 측에 위치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와 달리 제 2-1 치형부(1751) 및 제 2-2 치형부(1752)의 전후 방향 배치가 반대여도 무방하다.
상기 제 2 기어(1750)에서 제 2-1 치형부(1751) 및 제 2-2 치형부(1752)는 서로 다른 치형으로 형성된다. 제 2-1 치형부(1751) 및 제 2-2 치형부(1752)는 모두 피니언기어 형태의 치형이다.
상기 제 3 기어(1760)는 제 3-1 치형부(1761) 및 제 3-2 치형부(1762)를 포함한다. 제 3-1 치형부(1761) 및 제 3-2 치형부(1762)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웜기어(1770)과 치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3-1 치형부(1761) 및 제 3-2 치형부(1762)의 직경이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웜기어(1770)과 치합되는 제 3-2 치형부(1762)의 직경이 제 3-1 치형부(176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2 치형부(1762)는 웜기어치형부(1771)과 치합되기 때문에, 제 3-1 치형부(1761) 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될 경우, 상기 웜기어치형부(1771)와 제 3-1 치형부(1761)가 간섭될 수 있다. 상기 제 3-2 치형부(1762) 및 웜기어치형부(1771)는 웜기어 방식으로 치합되고, 웜기어 치합을 통해 작동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3-2 치형부(1762)의 직경이 상기 제 3-1 치형부(1761) 보다 크다.
웜기어(1770)과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제 3-2 치형부(1762)는 상기 3-1 치형부(1761) 보다 후방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3 기어(1760)의 회전축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 3-1 치형부(1761) 및 제 3-2 치형부(1762)는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다. 제 3-1 치형부(1761)는 제 3-2 치형부(1762) 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제 3-1 치형부(1761)는 제 2-2 치형부(1752)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고, 제 3-2 치형부(1762)는 제 2-1 치형부(1751)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3-2 치형부(1762)는 웜기어(1770)과 치합되기 때문에, 상기 제 3-2 치형부(1762)의 치형은 웜기어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3-1 치형부(1761)는 상기 제 2-2 치형부(1752)와 치합되기 때문에, 피니언기어 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웜기어(1770)는 전체적인 형상이 원통형이고, 회전축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웜기어(1770)는 외주면에 웜기어치형(1771)이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스파이럴 형태다.
상기 웜기어(1770)의 회전축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웜기어치형(1771)은 수직방향의 외력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웜기어(1770)의 회전축이 경사지게 배치되거나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구조에서 수직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웜기어(1770)는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웜기어(1770)의 회전축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제 3 기어(1760)에서 가해지는 수직방향 외력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웜기어(1770)의 배치를 통해 별도의 스토퍼 등을 구현하지 않고도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자중은 랙(1710) 및 제 1 기어(1740)의 치합과, 웜기어(1770) 및 제 3 기어(1760)의 치합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웜기어(1770)은 상기 기어구동모터(1720)의 모터축(1721)과 직접 연결된다. 상기 기어구동모터(1720)의 모터축(1721)은 상기 웜기어(1770)의 회전중심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어구동모터(1720)는 스텝모터가 사용되고, 상기 제 3 기어(1760)에 가해진 외력에 의해 상기 웜기어(1770)가 회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기어하우징(1780)에 제 1 기어(1740), 제 2 기어(1750), 제 3 기어(1760), 웜기어(1770) 및 기어구동모터(1720)가 조립된다.
상기 기어하우징(1780)은 제 1 기어(1740), 제 2 기어(1750) 및 제 3 기어(1760)의 회전축을 제공한다. 상기 기어하우징(1780)에 형성된 각 보스(1742)에 제 1 기어(1740), 제 2 기어(1750) 및 제 3 기어(1760)가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어하우징(1780)은 제 1 기어하우징(1781) 및 제 2 기어하우징(1782)을 포함하다.
제 1 기어하우징(1781) 및 제 2 기어하우징(1782) 사이에 제 1 기어(1740), 제 2 기어(1750), 제 3 기어(1760), 웜기어(1770) 및 기어구동모터(1720)가 설치된다.
제 1 기어하우징(1781) 및 제 2 기어하우징(1782) 중 어느 하나에서 제 1 기어(1740), 제 2 기어(1750) 및 제 3 기어(1760)의 회전축을 제공하는 각 보스(1742)가 돌출된다. 상기 보스(1742)는 제 1 기어하우징(1781)에서 후방 측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기어하우징(1781)이 제 2 기어하우징(1782) 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제 1 기어하우징(1781)은 도어커버하우징(1220)의 배면에 조립된다.
상기 기어어셈블리(1730)의 기어들 중 상기 제 1 기어(1740)만 상기 기어하우징(1780)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 기어(1740)는 상기 기어하우징(1780)의 측면을 관통하고,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 기어(1740)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기어하우징(1780)의 측면 일부는 개구된다.
상기 기어하우징(1780) 밖으로 돌출된 상기 제 1 기어(1740)의 제 1 치형부(1741)는 상기 랙(1710)의 랙치형부(1711)과 치합된다. 제 1 치형부(1741) 및 랙치형부(1711)는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하 방향에 상호 치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 1 치형부(1741) 및 랙치형부(1711) 전방에 상하무빙레일(1790)이 배치된다. 상기 상하무빙레일(1790)은 전후 방향에 대해 상기 제 2 기어(1750)가 배치된 평면에 위치된다.
<케이블가이드의 구성>
상기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에 연결된 케이블도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밖에 없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전후 방향 두께가 폭에 비해 매우 작기 때문에,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이 상하로 이동될 때, 케이블의 꼬임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하로 이동되는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 및 패널모듈(1100) 사이에 케이블이 끼워져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의 작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케이블가이드(18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가이드(1800)는 상측단이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에 조립되고, 하측단이 패널모듈(1100)에 조립된다.
상기 케이블가이드(1800)는,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 케이블가이드(1810)와, 상기 패널모듈(1100)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 케이블가이드(1820)와, 상기 제 1 케이블가이드(1810) 및 제 2 케이블가이드(1820) 각각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연결케이블가이드(183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케이블가이드(1810)는 케이블가이드바디(1815)와, 상기 케이블가이드바디(1815)의 내측에 배치되고,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삽입공간(1813)과, 상기 케이블가이드바디(1815)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 본 실시예에서 도어커버하우징)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1 회전부(1811)와, 상기 케이블가이드바디(1815)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케이블가이드(1830)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2 회전부(1812)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가이드바디(1815)는 폭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케이블가이드바디(1815)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은 "∪" 형태로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케이블삽입공간(1813)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케이블가이드(1810)의 케이블삽입공간(1813)은 상측을 향해 개구된다.
제 1-1 회전부(1811)는 케이블가이드바디(1815)의 상측단에서 상측을 향해 돌출된다. 제 1-1 회전부(1811)는 도어커버하우징(1220)과 힌지연결되고, 상기 도어커버하우징(1220)과 상대회전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하우징(1220)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 1-1 회전부(1811)를 중심으로 상기 제 1 케이블가이드(1810)이 상대회전된다.
제 1-2 회전부(1812)는 상기 제 1-1 회전부(1811)과 동일한 구조이다. 상기 제 1-2 회전부(1812)는 케이블가이드바디(1815)의 하측단에서 하측을 향해 돌출된다. 제 1-2 회전부(1812)는 상기 연결케이블가이드(1830)의 상측과 힌지연결되고, 상기 연결케이블가이드(1830)과 상대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블가이드(1820)는 케이블가이드바디(1825)와, 상기 케이블가이드바디(1825)의 내측에 배치되고,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삽입공간(1823)과, 상기 케이블가이드바디(1825)의 일측에 배치되고, 연결케이블가이드(1830)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1 회전부(1821)와, 상기 케이블가이드바디(1825)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모듈(1100, 본 실시예에서 어퍼패널모듈)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2 회전부(1822)를 포함한다.
제 2 케이블가이드(1820)는 제 1 케이블가이드(1810)와 구성이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도면으로 대체한다.
상기 연결케이블가이드(1830)는 케이블가이드바디(1835)와, 상기 케이블가이드바디(1835)의 내측에 배치되고,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삽입공간(1833)과, 상기 케이블가이드바디(1835)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케이블가이드(1810)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3-1 회전부(1831)와, 상기 케이블가이드바디(1835)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케이블가이드(1820)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2 회전부(1832)를 포함한다.
연결케이블가이드(1830)는 제 1 케이블가이드(1810)와 구성이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도면으로 대체한다. 상기 제 1-1 회전부(1811) 및 도어커버하우징(1220)을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시키는 제 1 핀(1841)이 배치된다. 상기 제 1-2 회전부(1812) 및 제 2-1 회전부(1821)를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시키는 제 2 핀(1842)이 배치된다. 상기 제 2-2 회전부(1822) 및 제 3-1 회전부(1831)를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시키는 제 3 핀(1843)이 배치된다. 상기 제 3-2 회전부(1832) 및 제 어퍼패널모듈(1110)을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시키는 제 4 핀(1844)이 배치된다.
제 1 케이블가이드(1810) 및 연결케이블가이드(1830)는 180도 이내의 사이각을 형성하고,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가 하강될 때, 상기 제 1 케이블가이드(1810) 및 연결케이블가이드(1830)의 사이각은 작아진다.
제 2 케이블가이드(1820) 및 연결케이블가이드(1830)는 180도 이내의 사이각을 형성하고,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가 하강될 때, 상기 제 2 케이블가이드(1820) 및 연결케이블가이드(1830)의 사이각은 작아진다.
상기 제 2-2 회전부(1822)는 어퍼패널모듈(1110)에 설치되기 때문에 이동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가 하강될 때, 제 1-1 회전부(1811), 제 1-2 회전부(1812), 제 3-1 회전부(1831), 제 3-2 회전부(1832), 제 2-1 회전부(1821)는 위치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은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도어커버모터(1610), 도어하우징무빙모듈(1700)의 기어구동모터(1720)에 연결된다. 상기 케이블은 도어커버모터(1610) 또는 기어구동모터(1720)에 전원 및 제어신호를 각각 제공할 수 있다.
<<도어슬라이드모듈의 구성>>
상기 도어슬라이드모듈(1300)은 도어어셈블리(200)를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어슬라이드모듈(1300)은 도어어셈블리(200)를 좌우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킬 수 있다.
도어슬라이드모듈(1300)은 도어어셈블리(200) 또는 캐비닛어셈블리(10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나머지 하나와 상호 간섭을 통해 슬라이드 이동을 구현한다.
상기 도어슬라이드모듈(1300)은,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배치되고,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랙(1310)과,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 측 구조물에 배치되고, 상기 랙(1310)과 치합되고, 회전 시 상기 랙(1310)을 따라 이동되는 기어어셈블리(133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 측 구조물에 배치되고, 상기 기어어셈블리(133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기어구동모터(132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 측 구조물에 배치되고, 상기 기어어셈블리(1330) 및 기어구동모터(1320)가 설치되는 기어하우징(1380)을 포함한다.
<<사이드무빙 어셈블리>>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는,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좌우 슬라이딩을 안내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하중을 지지하는 사이드무빙어셈블리(140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무빙어셈블리(140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200) 및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좌우 이동을 안내한다.
도어슬라이드모듈(1300)이 작동될 때, 사이드무빙어셈블리(1400)이 도어어셈블리(200)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도어슬라이드모듈(1300)의 랙(1310) 및 기어어셈블리(1330)의 작동만으로도 도어어셈블리(200)의 슬라이드 이동이 구현될 수 있지만, 자연스러운 슬라이드 이동을 구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이드무빙어셈블리(1400)는, 도어어셈블리(200)의 상측, 중간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사이드무빙어셈블리(1400)는, 도어어셈블리(200)의 상측에 배치된 탑레일(1410)과,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중간에 배치된 미들레일(1420)과,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하측에 배치된 바텀레일(1430)과,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조립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상측에 걸쳐지는 탑서포터(144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조립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하단이 걸쳐지는 바텀서포터(1450)을 포함한다.
상기 탑레일(1410), 미들레일(1420) 및 바텀레일(1430)은 모두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탑레일(1410), 미들레일(1420) 및 바텀레일(1430)은 도어어셈블리(200) 및 캐비닛어셈블리(10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탑레일(1410)은, 제 1 탑레일(1412) 및 제 2 탑레일(141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탑레일(1412)은 도어어셈블리(200)의 배면에 배치된다. 제 1 탑레일(1412)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탑레일(1412)는 도어어셈블리(200) 중 어퍼패널모듈(111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탑레일(1414)은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면에 조립되고, 상기 제 1 탑레일(1412)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상대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탑레일(1414)은 탑서포터(1440)와 결합되고, 상기 탑서포터(1440)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고정된다.
제 1 탑레일(1412) 및 제 2 탑레일(1414)은 상대이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제 1 탑레일(1412) 및 제 2 탑레일(1414) 사이에는 베어링(1415)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베어링이 제 1 탑레일(1412) 및 제 2 탑레일(1414)의 상대이동 시 마찰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미들레일(1420)은, 제 1 미들레일(1422) 및 제 2 미들레일(142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미들레일(1422)은 도어어셈블리(200)의 배면에 배치된다. 제 1 미들레일(1422)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미들레일(1422)는 도어어셈블리(200) 중 로어패널모듈(112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미들레일(1424)은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면에 조립되고, 상기 제 1 미들레일(1422)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상대이동될 수 있다.
제 1 미들레일(1422) 및 제 2 미들레일(1424)은 상대이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제 1 미들레일(1422) 및 제 2 미들레일(1424) 사이에는 베어링(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베어링이 제 1 미들레일(1422) 및 제 2 미들레일(1424)의 상대이동 시 마찰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바텀레일(1430)은, 제 1 바텀레일(1432) 및 제 2 바텀레일(143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바텀레일(1432)은 도어어셈블리(200)의 배면에 배치된다. 제 1 바텀레일(1432)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바텀레일(1432)는 도어어셈블리(200) 중 로어패널모듈(112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바텀레일(1434)은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면에 배치된 구조물(본 실시예에서 바텀서포터)에 조립되고, 상기 제 1 바텀레일(1432)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상대이동될 수 있다.
제 1 바텀레일(1432) 및 제 2 바텀레일(1434)은 상대이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제 1 바텀레일(1432) 및 제 2 바텀레일(1434) 사이에는 베어링(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베어링이 제 1 바텀레일(1432) 및 제 2 바텀레일(1434)의 상대이동 시 마찰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슬라이드모듈(1300)에 의해 도어어셈블리(20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탑서포터(1440) 및 바텀서포터(1450)는 도어어셈블리(200)의 하중을 지지한 상태에서 제자리에 위치된다.
탑서포터(1440)는 도어어셈블리(200)의 하중을 상기 캐비닛의 상측에 분산시킨다. 바텀서포터(145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하측을 받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좌우 슬라이드 이동 시 마찰을 저감한다.
상기 탑서포터(1440)는 도어어셈블리(200) 측 구조물(본 실시예에서 제 2 탑레일(1414)에 조립되는 탑고정부(1442)와, 상기 탑고정부(1442)에서 캐비닛어셈블리(100)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걸쳐지는 탑레이부(1444)와, 상기 탑레이부(1444)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와 전후 방향에 대해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탑걸림부(1446)를 포함한다.
상기 탑고정부(1442)는 도어어셈블리(200)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탑고정부(1442)는 도어어셈블리(200)에 밀착되어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탑고정부(1442)는 도어어셈블리(200) 측 구조물에 조립되고, 본 실시예에서 제 2 탑레일(1414)에 체결된다.
상기 제 2 탑레일(1414)의 후방에 상기 탑고정부(1442)가 위치된다.
상기 탑레이부(1444) 및 탑고정부(1442)는 일체로 제작된다. 하나의 플레이트를 절곡하여 상기 탑고정부(1442) 및 탑레이부(1444)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 탑레이부(1444)는 탑고정부(1442)에서 후방 측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탑레이부(1444)는 상기 탑고정부(1442)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탑레이부(1444)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상측에 고정될 수 있다.
도어어셈블리(200)의 좌우 이동 시, 탑레이부(1444) 및 제 2 탑레일(1414)는 제자리에 위치되고, 제 1 탑레일(1412) 및 도어어셈블리(200)만 좌우 방향으로 상대이동된다.
상기 탑걸림부(1446)는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후 방향으로 걸림을 형성한다.
탑걸림부(1446)는 탑레이부(1444)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탑걸림부(1446)는 하측을 향해 오목한 홈의 형태이고, 상기 탑레이부(1444)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다. 탑걸림부(1446)는 상측을 향해 개구된 걸림부홈(1446a)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홈(1446a)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탑레이부(1444)는 상기 탑걸림부(1446)에 대해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 1 탑레이부(1444a)와, 상기 탑걸림부(1446)에 대해 후방 측에 위치되는 제 2 탑레이부(1444b)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탑레이부(1444a) 및 제 2 탑레이부(1444b) 사이에 상기 탑걸림부(1446)가 위치된다.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상측에는 상기 탑걸림부(1446)가 삽입되고, 상기 탑걸림부(1446)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탑서포터설치부(미도시)가 배치된다.
도 1 내지 도 16, 도 28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카메라모듈의 구조 및 작동에 대해 설며한다.
도 28은 도 2에 도시된 도어어셈블리의 카메라모듈이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12에 도시된 카메라모듈의 작동 전 상태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카메라모듈의 작동 후 상태가 도시된 작동 예시도이다.
<<카메라모듈의 구성>>
상기 카메라모듈(1900)은 도어어셈블리(200, 본 실시예에서 어퍼패널모듈(1110))에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작동된다. 카메라모듈(1900)은 작동시에만 도어어셈블리(200) 밖으로 노출되고, 작동되지 않을 때에는 도어어셈블리(200) 내부에 숨겨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모듈(1900)은 도어어셈블리(200)의 상측면(본 실시예에서 탑월(1912))에서 상측으로 팝업된다. 상기 카메라모듈(1900)가 도어어셈블리(200)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팝업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실내기의 앞에 위치하더라도 실내전체를 조망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이 케이스의 전면에 배치되는 경우, 근거리 공간에 대해 시야를확보하는데는 문제가 없지만, 카메라모듈과 비슷한 높이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그 너머의 공간을 촬영할 수는 없다.
본 실시예에서 따른 카메라모듈(1900)은 사용자의 키보다 높게 위치되기 때문에, 실내에 장애물이 있더라도 먼 곳까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모듈(1900)은 도어어셈블리(200) 내부에 수납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운반 또는 포장과정에서 카메라모듈(1900)에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스의 상측에 돌출된 카메라모듈이 배치되는 경우, 완충을 위한 포장을 충분히 해도 운송 또는 설치과정에서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 돌출된 부분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피할 수 없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1900)은 실내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에는 도어어셈블리(200) 내부에 수납되고, 실내기가 작동될 때에만 도어어셈블리(200)의 상측면 위로 팝업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1900)은,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작동 시, 도어어셈블림(200) 상측으로 팝업된다. 근거리 팬어셈블리(300)의 작동시 상기 카메라모듈(1900)은 도어어셈블리(200)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카메라모듈(1900)은, 도어어셈블리(200)에 배치되고, 상측을 향해 개구된 카메라개구부(1911)가 형성된 카메라모듈하우징(1910)과,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1910)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191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카메라개구부(1911)를 통해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카메라(1950)와,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1910)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1950)가 배치되는 카메라바디(1920)와, 상기 카메라바디(1920)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19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1950)를 제어하는 카메라제어부(1930)와,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1910)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1950)가 설치된 카메라바디(192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카메라이동모듈(1960)을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1910)은 어퍼패널모듈(1110)의 일부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모듈하우징(1910)은 어퍼패널모듈(1110)과 별도로 제작되고,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1910)은 패널 어퍼개구부(203)을 커버한다.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1910)의 탑월(1912)은 프론트패널(210)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패널 어퍼개구부(203)를 차폐한다.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1910)의 탑월(1911)에 상기 카메라개구부(1911)가 형성된다. 상기 카메라개구부(1911)는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1910)의 탑월(1912)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1910)은 상기 카메라개구부(1911)가 형성되고, 도어어셈블리(200)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하우징탑월(1912)과, 상기 하우징탑월(191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좌측면에 밀착되는 하우징레프트월(1913)과, 상기 하우징탑월(191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우측면에 밀착되는 하우징라이트월(1914)과, 상기 하우징탑월(191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레트프월(1913) 및 하우징라이트월(1914)를 연결하는 하우징이너월(1915)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레프트월(1913)은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214) 내측면에 밀착된다. 상기 하우징라이트월(1914)은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216) 내측면에 밀착된다.
상기 하우징레프트월(1913) 및 하우징라이트월(1914)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레프트월(1913) 및 하우징라이트월(1914)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이너월(1915)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의 상측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이너월(1915)은 도어커버탑월(1114)의 상측에 배치된다.
즉, 상기 어퍼패널모듈(1110)의 도어커버탑월(1114)을 기준으로 상측에 하우징이너월(1915)이 배치되고, 하측에 도어커버하우징(1220)이 위치된다.
하우징이너월(1915)의 하측단은 상기 도어커버탑월(1114)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된다.
정면에서 볼 때, 상기 도어커버탑월(1114)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이너월(1915)의 하측단(1916)도 정면에서 볼 때,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이너월(1915)의 하측단(1916)이 상측으로 오목한 호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1910)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바디(1920)는 카메라모듈하우징(1910)에 설치된다.
상기 카메라바디(1920)는 카메라모듈하우징(1910)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바디(1920)는 상기 카메라이동모듈(196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바디(1920)에 상기 카메라(195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바디(1920)의 상단보다 상기 카메라(1950)의 상단이 더 높게 배치된다.
상기 카메라이동모듈(1960)의 작동 시 상기 카메라바디(1920)는 탑월(1912)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카메라(1950)는 상기 탑월(1912) 밖으로 노출된다.
상기 카메라바디(1920)의 상단(1921)이 상기 탑월(1912)의 저면에 밀착되고, 상기 탑월(1912)은 상기 카메라바디(1920)의 상승을 제한하는 스토퍼의 기능을 겸한다.
상기 카메라바디(1920)는, 상기 카메라제어부(1930)가 설치되는 카메라제어설치부(1922)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패널(210)에 형성된 정면토출구(201)의 중심과 디스플레이 개구부(202)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중심선(C)은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중심선(C) 상에 상기 카메라모듈(1900)의 카메라(1950)가 배치된다.
상기 카메라제어설치부(1922)는 중심선(C)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쳐 배치된다.
그리고 카메라바디(1920)의 하측단(1926)도, 상기 하우징이너월(1915)의 하측단(1916)과 같이 정면에서 볼 때,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카메라바디(1920)의 하측단(1926)이 상측으로 오목한 호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도어커버탑월(1114)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바디(1920) 하측단(1926)의 곡률반경은 상기 하우징이너월(1915) 하측단(1916) 곡률반경과 같다.
상기 카메라바디(1920)이 하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도어커버탑월(1114)에 지지되고,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탑월(1114)은 상기 카메라바디(19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의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카메라(1950)는 카메라바디(1920)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바디(192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카메라(1950)는 카메라이동모듈(1960)의 작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카메라개구부(1911)를 관통하여 상기 도어어셈블리(200) 밖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950)가 사용되지 않을 때, 상기 카메라개구부(1911) 하측으로 이동되고, 사용자의 시선에서 숨겨진다.
상기 카메라개구부(1911) 및 카메라(1950)는 중심선(C) 상에 위치되고, 상기 중심선(C)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950)의 상측면(1951)은 상기 카메라개구부(1911)를 커버할 수 있다.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카메라(1950)의 상측면(1951)은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1910)의 상측면(본 실시예에서 탑월(1912))과 연속된 평면을 형성한다.
상기 카메라이동모듈(1960)은 상기 카메라바디(192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카메라이동모듈(1960)은, 상기 카메라바디(1920)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1950)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된 카메라무빙랙(1962)과, 상기 카메라무빙랙(1962)와 치합되는 카메라무빙기어(1964)와,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고정된 구조물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무빙기어(1964)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카메라무빙모터(1966)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무빙랙(1962)은 다수개의 치형이 형성되고, 상기 각 치형들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카메라무빙랙(1962)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무빙기어(1964)는 피니언기어이다. 상기 카메라무빙기어(1964)는 카메라무빙모터(1966)의 모터축(1967)에 결합된다.
상기 카메라무빙모터(1966)의 작동 시, 상기 카메라무빙기어(1964)가 제자리에서 회전되고, 상기 카메라무빙랙((1962)이 카메라무빙기어(1964)와 치합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바디(1920)의 좌우를 균일하게 상승시키기 위해 상기 카메라무빙랙(1962)은 중심선(C)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중심선(C)의 좌측에 배치된 카메라무빙랙(1962)을 제 1 카메라무빙랙(1962a)이라 하고, 우측에 배치된 카메라무빙랙(1962)을 제 2 카메라무빙랙(1962b)이라 정의한다. 배치만 다를 뿐 구성이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상기 중심선(C)의 좌측에 배치된 카메라무빙기어(1964)을 제 1 카메라무빙기어(1964a)라 하고, 우측에 배치된 카메라무빙기어(1964)을 제 2 카메라무빙기어(1964b)라 정의한다. 배치만 다를 뿐 구성이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제 1 카메라무빙기어(1964a) 및 제 2 카메라무빙기어(1964b)의 회전축은 좌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카메라무빙모터(1966)를 사용하여 제 1 카메라무빙기어(1964a) 및 제 2 카메라무빙기어(1964b)를 회전시킨다. 이를 위해 제 1 카메라무빙기어(1964a) 및 제 2 카메라무빙기어(1964b)가 결합되는 무빙기어샤프트(1965)가 배치된다.
상기 무빙기어샤프트(1965)의 좌측에 제 1 카메라무빙기어(1964a)가 조립되고, 우측에 제 2 카메라무빙기어(1964b)가 조립된다.
무빙기어샤프트(1965)는 수평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무빙기어샤프트(1965)의 회전축과 카메라무빙모터(1966)의 모터축(1967)은 일렬로 배치된다.
상기 카메라무빙모터(1966)는 캐비닛어셈블리(100) 측 고정된 구조물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무빙모터(1966)는 카메라모듈하우징(191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카메라무빙모터(1966)는 도어어셈블리(200)를 구성하는 어퍼패널모너ㅌ(1110) 또는 프론트패널(210) 등의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와 달리 카메라무빙모터(1966) 및 카메라무빙랙(1962)를 설치위치를 반대로 바꿔도 무방하다.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카메라바디(1920)의 양단을 균일하게 상승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카메라무빙랙(1962a) 및 제 2 카메라무빙랙(1962b)은 중심선(C)을 기준으로 좌우대칭된다. 또한 제 1 카메라무빙기어(1964a) 및 제 2 카메라무빙기어(1964b)도 중심선(C)을 기준으로 좌우대칭된다.
상기 카메라모듈(1900)의 작동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어부는 카메라무빙모터(1966)의 모터축을 일방향으로 작동시키고, 상기 카메라무빙모터(1966)의 작동에 의해 무빙기어샤프트(1965)가 회전된다. 상기 무빙기어샤프트(1965)의 회전 시, 상기 무빙기어샤프트(1965)에 설치된 제 1 카메라무빙기어(1964a) 및 제 2 카메라무빙기어(1964b)가 함께 회전되고, 상기 제 1 카메라무빙기어(1964a) 및 제 2 카메라무빙기어(1964b)에 각각 치합된 제 1 카메라무빙랙(1962a) 및 제 2 카메라무빙랙(1962b)을 따라 상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카메라(1950)의 팝업 길이는 상기 카메라무빙모터(1966)의 회전수에 의해 제어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1950)는 25mm 팝업된다.
상기 카메라(1950)의 팝업 시, 상기 카메라무빙모터(1966), 무빙기어샤프트(1965), 제 1 카메라무빙기어(1964a) 및 제 2 카메라무빙기어(1964b)는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 상태된다.
상기 카메라(1950)의 팝업 시, 상기 카메라(1950)와 결합된 카메라바디(1920) 및 카메라제어부(1930)가 상측으로 이동된다.
반대로 팝업된 카메라모듈(1900)을 수납할 때,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무빙모터(1966)의 모터축을 반대방향으로 작동시키고, 상기 무빙기어샤프트(1965)에 설치된 제 1 카메라무빙기어(1964a) 및 제 2 카메라무빙기어(1964b)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 1 카메라무빙기어(1964a) 및 제 2 카메라무빙기어(1964b)의 반대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카메라(1950)가 설치된 카메라바디(1920)가 하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카메라(1950)의 팝업 후,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1950)에서 촬영된 데이터를 통해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950)를 통해 실내의 이미지 또는 온도분포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950)가 사진과 같은 이미지를 촬영할 경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1950)의 데이터 변화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사용자가 위치한 곳을 향해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스티어링그릴(3450)를 조향할 수 있고, 조향된 곳을 향해 공기조화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950)가 온도를 감지하는 적외선 또는 써모파일 센서일 경우, 촬영된 이미지를 통해 실내의 온도분포를 감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는 온도가 불균일한 구역을향해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스티어링그릴(3450)를 조향할 수 있고, 조향된 곳을 향해 공기조화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원거리 팬어셈블리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1은 도 12에 도시된 원거리 팬어셈블리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1에 도시된 원거리 팬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33은 도 31의 우측면도이다. 도 34는 도 3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5는 도 34의 후방 측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36은 도 34에 도시된 팬하우징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7은 도 36에 도시된 프론트팬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38은 도 34에 도시된 가이드레일의 사시도이다. 도 39는 도 34에 도시된 에어가이드의 작동전 단면도이다. 도 40은 도 36에 도시된 스티어링그릴의 사시도이다. 도 41은 도 31의 팬하우징어셈블리에서 스티어링그릴이 분리된 정면도이다. 도 42는 도 36에 도시된 스티어링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43은 도 42의 배면도이다. 도 44는 도 36에 도시된 조인트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5는 도 36에 도시된 스티어링그릴 및 스티어링어셈블리의 배면 측 분해사시도이다. 도 46은 도 45에 도시된 허브의 배면 측 사시도이다.
<<원거리 팬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도어어셈블리(200)의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고, 실내에 직접풍을 제공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작동시에만 도어어셈블리(200)의 정면토출구(201)를 관통하고, 도어어셈블리(200)의 전면(200a)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프로젝션 상태를 형성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작동시에만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전방에 배치되고, 도어어셈블리(200)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상측벽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형성된 정면토출구(201)를 관통하여 공기를 토출시키되,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스티어링그릴(3450)은 정면토출구(201) 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정면토출구(201) 밖에 위치시킴으로서, 캐비닛어셈블리(100) 또는 도어어셈블리(200) 등의 구조물로 인한 공기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 하, 좌, 우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틸팅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실내공간의 먼 쪽으로 공기를 토출하고, 실내공기의 순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이드하우징(본 실시예에서 후술하는 어퍼가이드하우징 및 로어가이드하우징)과, 상기 가이스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내부공간(S)의 공기를 상기 정면토출구로 토출시키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 또는 가이드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를 상기 가이드하우징을 따라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3470)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하우징은,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가 형성된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와,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과 조립되고, 상측에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이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전후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을 포함한다.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는,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과 연통되는 팬흡입구(3411)가 형성되고,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 내부에 배치되는 리어팬하우징(3410)과,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팬흡입구(3411)에서 흡입된 공기를 사류방향으로 토출시키는 팬(3420)과,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와 결합되고, 상기 팬(3420)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팬(3420)이 조립되고, 상기 팬(3420)에 의해 가압된 공기를 사류방향으로 안내하는 프론트팬하우징(3430)과,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전방에 배치되고, 모터축(3441)이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을 관통하여 상기 팬(3420)과 조립되고, 상기 팬(3420)을 회전시키는 팬모터(3440)와,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 및 팬모터(3440)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에 대해 임의의 방향으로 틸팅가능하고,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을 통해 안내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제어하는 스티어링그릴(3450)과,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 및 스티어링그릴(345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밀거나 당겨서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중심축(C1)을 기준으로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조향시키는 스티어링어셈블리(1000)를 포함한다.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 및 프론트팬하우징(3430)을 팬하우징으로 정의한다.
상기 액추에이터(3470)는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 또는 로어가이드하우징(346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전후 방향 이동 시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 및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을 연결하고,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팬흡입구(3411)로 안내하고,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전후 방향 이동 시 확장 또는 축소되는 에어가이드(3510)를 더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원거리 팬어셈블리(400) 중 액추에이터(3470)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조립체를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로 정의한다.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는 리어팬하우징(3410), 프론트팬하우징(3430), 팬(3420), 스티어링그릴(3450), 팬모터(3440) 및 스티어링어셈블리(1000)를 포함한다.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는 액추에이터(3470)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히 구현하기 위해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 및 로어가이드하우징(3460) 사이에 제 1 가이드레일(3480) 및 제 2 가이드레일(349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 및 어퍼가이드하우징(3520)는 고정된 구조물이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 또는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를 통과한 공기는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 팬흡입구(3411), 팬(3420) 및 프론트팬하우징(3430)를 통과한 후,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에서 토출된다.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 및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일체로 제작된 어퍼가이드하우징(3520) 및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을 가이드하우징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하우징은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전후 방향 이동을 위해 전면이 개구되고, 공기 흡입을 위해 후면에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조를 위해 어퍼가이드하우징(3520) 및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으로 각각 제작한 후 조립한다.
<어퍼가이드하우징의 구성>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은 가이드하우징의 상부를 구성한다.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감싸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은 열교환어셈블리(500)를 통과한 공기를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로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은 열교환어셈블리(500)를 통과한 공기가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을 제외한 다른 유로를 통해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으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은 냉각된 공기를 스티어링그릴(3450)로 안내하는 단일화된 유로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도어어셈블리(200)에 냉각된 공기가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시킨다.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은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전면을 커버할 수 있는 넓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근거리 팬어셈블리(300)가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은 근거리 팬어셈블리(300)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상측 나머지 면적을 커버할 수 있는 형태 및 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은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에 조립되고,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상측에 배치된다. 체결을 통해 어퍼가이드하우징(3520) 및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은 일체화된다.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 및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내측에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가 배치되고,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 및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은 전체적인 형상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 및 후면이 개구된다.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은,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가 형성된 리어월(3522)과, 상기 리어월(3522)의 측면가장자리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레프트월(3523) 및 라이트월(3524)과, 상기 리어월(3522)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탑월(3525)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는 리어월(3522)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는 정면에서 볼 때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는 팬흡입구(3411)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팬흡입구(3411)도 정면에서 볼 때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팬흡입구(3411)의 직경보다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의 직경이 더 크다.
상기 레프트월(3523)은 정면에서 볼 때 좌측에 위치되고, 라이트월(3524)은 우측에 위치된다. 상기 레프트월(3523) 및 라이트월(3524)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탑월(3525)은 상기 리어월(2522), 레프트월(3523) 및 라이트월(3524)을 연결한다. 상기 탑월(3525) 하측에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가 위치된다.
미작동 시, 상기 레프트월(3523), 라이트월(3524) 및 탑월(3525) 사이에 팬하우징어셈블리가 위치된다. 작동 시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는 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최대 전진 시에도,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이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최대 전진 시,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의 후단(3410b)은 상기 레프트월(3523) 및 라이트월(3524)의 전방측 단(3523a)(3524a)보다 후방측에 위치된다.
작동 시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가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을 벗어날 경우, 초기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외부 충격을 받으면 어퍼가이드하우징(3520)과 걸림을 형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초기위치로 미복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가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을 벗어날 경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에서 팬흡입구(3411)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리어월(3522)에는 상기 에어가이드(351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3526)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3526)은 리어월(3522)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고정부(3526)는 복수개가 배치되고, 각 고정부(3526)는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 바깥쪽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3526)는 4개소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의 저면(3527)은 개구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저면(3527)도 폐쇄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퍼가이드하우징(3520) 하측에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이 배치되고,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이 상기 저면(3527)을 폐쇄하기 때문에 상기 저면(3527)을 개방된 형태로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리어월(3522)은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좌우 폭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를 통과한 공기가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로만 유입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어월(3522)의 폭이 열교환어셈블리(500)의 폭보다 좁을 경우, 열교환어셈블리(500)를 통과한 공기가 원거리 팬어셈블리(400) 바깥쪽을 통해 도어어셈블리(200) 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일 경우, 냉방 시 냉기가 도어어셈블리(200)를 냉각시켜 이슬맺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리어월(3522) 및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전면을 서로 대향되고, 상기 리어월(3522)이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 전면에 최대한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어월(3522)을 열교환어셈블리(500) 전면에 밀착시키는 것이, 열교환된 공기를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로 유동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상기 레프트월(3523), 라이트월(3524) 및 탑월(3525)의 전후 방향 길이를 F1으로 정의한다.
상기 레프트월(3523) 또는 라이트월(35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각각 가이드홈(355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3550)은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3550)은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지지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전후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레프트월(3523)에 형성된 가이드홈(3550)을 제 1 가이드홈(3551)로 정의하고, 상기 라이트월(3524)에 형성된 가이드홈(3550)를 제 2 가이드홈(3552)로 정의한다.
상기 제 1 가이드홈(3551)은 상기 수납공간(S1)에서 레프트월(3523) 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가이드홈(3552)은 상기 수납공간(S1)에서 라이트월(3524) 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가이드홈(3551)은 상기 레프트월(3523)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내부공간(S1)을 향해 개방된다. 상기 제 2 가이드홈(3552)은 상기 라이트월(3524)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내부공간(S1)을 향해 개방된다.
상기 제 1 가이드홈(3551)은 저면(3551a), 측면(3551b) 및 상면(3551c)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가이드홈(3552)은 저면(3552a), 측면(3552b) 및 상면(3552c)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가이드홈(3551)의 저면(3551a) 및 상기 제 2 가이드홈(3552)의 저면(3552a)은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하중을 지지한다.
후술하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제 1 가이드롤러(3553) 및 제 2 가이드롤러(3554)가 상기 제 1 가이드홈(3551) 및 제 2 가이드홈(3552)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 1 가이드홈(3551) 및 제 2 가이드홈(3552)은 상기 제 1 가이드롤러(3553) 및 제 2 가이드롤러(3554)의 이동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가이드롤러(3553) 및 제 2 가이드롤러(3554)를 지지한다.
<로어가이드하우징의 구성>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은 가이드하우징의 하부를 구성한다.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은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이동가능하게 거치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전후 방향을 안내한다.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약이 없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거치하고, 전후 방향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형상이면 충분하다.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은 어퍼가이드하우징(3520)과 조립되고, 내부에 팬하우징어셈블리(3400)가 수납되는 수납공간(S1)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후방 측만 수납되고, 전방 측은 수납공간(S1) 밖으로 노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납공간(S1)이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 전체를 수납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은 팬케이싱(320)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은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보다 전후 방향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이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지지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전후 방향 이동을 안내하기 때문이다.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전후 방향 길이를 F2로 정의한다. 상기 로어가이하우징(3460)의 전후 방향 길이(F2)는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의 전후 방향 길이(F1)보다 길다.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은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의 저면을 폐쇄하고, 상측에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가 이동가능하게 거치된다.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는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에 거치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3470)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은,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우징베이스(3462)와, 상기 하우징베이스(3462)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레프트사이드월(3463) 및 라이트사이드월(3464)과, 상기 하우징베이스(3462), 레프트사이드월(3463) 및 라이트사이드월(346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3465)와, 상기 하우징베이스(3462)에 배치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팬하우징)과 상호 간섭되고, 상기 팬하우징(3400)의 전후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베이스가이드(3467)와, 상기 레프트사이드월(3463) 및 라이트사이드월(346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형태이고, 상기 액추에이터(3470)에 결합되는 케이블(미도시)이 관통되는 케이블관통부(346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은 하우징베이스(3462), 레프트사이드월(3463) 및 라이트사이드월(3464)를 연결하고, 하우징베이스(3462), 레프트사이드월(3463) 및 라이트사이드월(3464)의 후방 측에 배치되는 하우징리어월(3466)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리어월(3466)은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후방 측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의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리어월(3466)은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의 리어월(3522)와 대향되고, 상기 리어월(3522) 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하우징리어월(3466)의 상측단(3466a)은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와 동일한 라인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하우징리어월(3466)의 상측단(3466a)은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의 곡률반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으로 형성된다. 전후 방향에 대해 상기 하우징리어월(3466)의 상측단(3466a)은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를 가리지 않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리어월(3466)은 하우징베이스(3462), 레프트사이드월(3463) 및 라이트사이드월(3464)를 연결시켜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가 후방 측으로 과도하게 이동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스토퍼(3465)는 상기 하우징리어월(3466) 보다 전방 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3465)는 하우징베이스(3562)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스토퍼(3465) 중 하나는 하우징베이스(3462) 및 레프트사이드월(3463)를 연결하게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하우징베이스(3462) 및 라이트사이드월(3464)을 연결하게 배치된다.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가 과도하게 전방 이동될 경우, 상기 스토퍼(3465)에 지지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이동이 정지된다.
상기 케이블관통부(3461)는 가이드하우징의 외부와 내부의 수납공간(S1)을 연통시킨다.
상기 케이블관통부(3461)는 레프트사이드월(3463) 및 라이트사이드월(3464)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각 케이블관통부(3461)는 레프트사이드월(3463) 및 라이트사이드월(3464)를 좌우 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케이블관통부(3461)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케이블관통부(3461)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와 함께 케이블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블관통부(3461)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전후 이동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관통부(3461)가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이동거리에 대응하지 못하는 짧은 길이로 형성될 경우, 액추에이터(3470)와의 연결이 끊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블관통부(3461)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내측 및 외측을 연통시킨다. 상기 케이블관통부(3461)은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이동 시, 가이드모터와 연결된 배선도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케이블관통부(3461)을 따라 배선이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모터(3472)와의 결선 신뢰성을 제공한다.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에는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의 팬케이싱(320)과 결합을 위한 체결부(3468)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3468)는 상기 하우징베이스(3462)에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가이드(3467)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이동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가이드(3467)는 2개가 배치되고, 하나는 레프트사이드월(3463) 측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라이트사이드월(3464) 측에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가이드(3467)는 하우징베이스(3462)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베이스가이드(3467)는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저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된다. 상기 베이스가이드(3467)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좌우 이동을 제한한다.
<리어팬하우징의 구성>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은 팬하우징어셈블리의 후면을 형성한다.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은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전방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은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의 전방에 위치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리어월(3522)의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은 어퍼가이드하우징(3520)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은,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후면을 커버하는 리어팬하우징바디(3412)와, 상기 리어팬하우징바디(3412)의 내측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팬흡입구(3411)와, 상기 리어팬하우징바디(3412)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과 결합되는 체결부(3414)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3414)는 프론트팬하우징(3430)과의 조립을 위해 복수개가 배치된다. 상기 체결부(3414)는 리어팬하우징바디(3412)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은 정면에서 볼 때 내부에 팬흡입구(3411)가 형성된 도넛형상이다. 특히, 리어팬하우징바디(3412)는 정면에서 볼 때 도넛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은 프론트팬하우징(3430)과 함께 팬(3420)을 감싸는 구성이다.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 및 프론트팬하우징(3430) 사이에 상기 팬(3420)이 배치된다.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은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후면을 커버하고,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후단에 조립된다.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은 지면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은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전면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팬흡입구(3411)는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과 평행하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팬흡입구(3411)의 직경은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팬흡입구(3411) 및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에어가이드(3510)가 배치된다. 상기 팬흡입구(3411)는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전면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리어팬하우징바디(3412)는 전방에서 후방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에어가이드(3510)는 리어팬하우징(3410)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의 후면에 결합된다. 특히 상기 에어가이드(3510)는 리어팬하우징바디(3412)에 조립되고, 상기 팬흡입구(3411)를 감싸게 배치된다.
<프론트팬하우징의 구성>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팬(3420)에 의해 유동된 공기를 스티어링그릴(3450)로 안내하는 유로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팬모터(3440)는 프론트팬하우징(3430)에 조립되고,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은 팬모터(3440)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전방에 팬모터(3440)가 위치되고, 후방에 상기 팬(3420)이 위치되고, 하측에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이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은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에 조립되고,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은,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고,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아우터팬하우징(3432)과, 전방을 향해 개구되고, 상기 아우터팬하우징(3432)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팬모터(3440)가 설치되는 이너팬하우징(3434)과, 상기 아우퍼팬하우징(3432) 및 이너팬하우징(3434)를 연결하는 베인(3436)과,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에 배치되고, 상기 팬모터(3440)가 조립되는 모터설치부(3448)를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팬하우징(3432)은 전면 및 후면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가 배치된다. 상기 아우터팬하우징(3432)은 상기 액추에이터(3470)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팬하우징(3432)의 개구된 전면을 제 1 팬개구면(3431)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팬개구면(3431)은 정면에서 볼 때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후단은 상기 제 1 팬개구면(3431)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상기 아우터팬하우징(3432)의 내부를 공간(S2)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 1 팬개구면(3431)은 상기 공간(S2)의 전면을 형성한다.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은 전면이 개구되고, 전방에서 후방 측으로 오목한 보울(bowl) 형상이다.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의 내측에 오목한 내부를 공간(S3)으로 정의한다. 상기 팬모터(3440)는 상기 공간(S3)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과 체결 고정된다.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의 개구된 전면을 제 2 팬개구면(3433)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 2 팬개구면(3433)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의 유동을 고려하여 상기 제 2 팬개구면(3433)을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팬개구면(3433)은 상기 공간(S3)의 전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팬개구면(3431)은 상기 제 2 팬개구면(3433) 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팬개구면(3433)은 상기 제 1 팬개구면(3431)의 내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1 팬개구면(3431) 및 제 2 팬개구면(3433)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고, 이를 통해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이 틸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후단은 상기 제 1 팬개구면(3431) 및 제 2 팬개구면(343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팬모터(3440)를 체결고정하기 위해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에 모터설치부(3438)가 배치된다.
상기 모터설치부(3438)는 상기 공간(S3)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된다. 상기 팬모터(3440)는 모터마운트(344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마운트(3442)가 상기 모터설치부(3438)에 체결된다.
상기 모터설치부(3438)는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에 배치된다. 상기 모터설치부(3438)는 중심축(C1)을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팬모터(3440)의 모터축을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을 관통하고 후방을 향하게 배치되며,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의 후방에 배치된 팬(3420)과 결합된다.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에는 상기 팬모터(3440)의 모터축이 관통되는 축홀(3437)이 형성된다.
상기 팬모터(3440)는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공간(S3)에 삽입되어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토출공기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후술하는 스티어링베이스(1070)는 이너팬하우징(3434)에 결합되고, 상기 공간(S3)을 폐쇄시킨다. 상기 팬모터(3440)는 토출공기의 유로 밖에 배치되기 때문에, 토출공기와의 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팬모터(3440)는 이너팬하우징(3434)의 전방에 위치되기 때문에, 후방에서 흡입되는 공기와의 저항도 배제할 수 있다.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에는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를 고정시키고,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를 지지하는 체결보스(3439)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보스(3439)는 3개소가 배치되고, 상기 중심축(C1)에 대하여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체결보스(3439) 및 모터설치부(3438)는 상기 공간(S3)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 및 상기 체결보스(3439)의 조립 시, 상기 모터설치부(3438)는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에 의해 은닉된다.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 및 아우터팬하우징(3432)은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베인(3436)은 상기 아우터팬하우징(3432) 및 이너팬하우징(3434)을 일체로 연결시킨다.
상기 아우터팬하우징(3432), 이너팬하우징(3434) 및 베인(3436)은 상기 팬(3420)에서 토출된 공기에 직진성을 부가한다.
한편,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외부에 제 1 가이드롤러(3553) 및 제 2 가이드롤러(3554)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롤러(3553) 및 제 2 가이드롤러(3554)는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에 배치된 제 1 가이드홈(3551) 및 제 2 가이드홈(3552)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롤러(3553)는 상기 제 1 가이드홈(3551)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가이드홈(355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1 가이드홈(3551)에 지지된다.
상기 제 2 가이드롤러(3554)는 상기 제 2 가이드홈(3552)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가이드홈(3552)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2 가이드홈(3552)에 지지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롤러(3553)는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에 결합된 롤러축과, 상기 롤러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축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2 가이드롤러(3554)는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에 결합된 롤러축과, 상기 롤러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축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롤러(3553)의 롤러축과 상기 제 2 가이드롤러(3554)의 롤러축은 일렬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롤러(3553)는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가이드롤러(3554)는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우측에 배치된다.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는 상기 제 1 가이드롤러(3553) 및 제 2 가이드롤러(3554)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하단은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하우징베이스(3462)과 이격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롤러(3553) 및 제 2 가이드롤러(3554)가 결여될 경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하중이 액추에이터(3470)에 전가되고, 상기 액추에이터(3470)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하중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야 한다.
상기 제 1 가이드롤러(3553) 및 제 2 가이드롤러(3554)의 지지에 의해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하단이 이격되기 때문에, 상기 액추에이터(3470)의 작동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전진 시,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전단(3430a)은 상기 도어어셈블리(200) 내에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은 정면토출구(201)에 삽입되고, 전단(3430a)은 도어어셈블리(200)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전단(3430a)은 도어어셈블리(200)의 전면(200a) 보다 후방 측에 위치된다.
<팬의 구성>
상기 팬(3420)은 리어팬하우징(3410) 및 프론트팬하우징(343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팬(3420)는 조립된 리어팬하우징(3410) 및 프론트팬하우징(343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에서 회전된다.
상기 팬(3420)은 상기 팬흡입구(3411)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사류방향으로 토출한다. 상기 팬(3420)는 후방에 배치된 팬흡입구(3411)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여기서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은 사류방향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류방향은 전방 및 원주 방향 사이를 의미한다.
<에어가이드 및 에어가이드 브래킷의 구성>
상기 에어가이드(3510)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0) 및 가이드하우징(본 실시예에서 어퍼가이드하우징)을 결합시키고,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 및 팬흡입구(3411)을 연결시킨다.
상기 에어가이드(3510)는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고, 내부로 공기가 유동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가이드(3510)는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 및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을 연결하고,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팬흡입구(3411)로 안내한다.
상기 에어가이드(3510)는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전후 방향 이동 시 확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3510)는 탄성재질이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하우징 및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에 고정하기 위해 별도의 구성이 필요하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에어가이드(3510)를 상기 가이드하우징(본 실시예에서 어퍼가이드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제 1 에어가이드 브래킷(3530)과, 상기 에어가이드(3510)를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 본 실시예에서 리어팬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제 2 에어가이드 브래킷(35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에어가이드(3510)는 탄성재질이고,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3510)는 전방 측(본 실시예에서 팬하우징어셈블리 측)에 에어가이드 아웃릿(3511)이 형성되고, 후방 측(본 실시예에서 가이드하우징 측)에 에어가이드 인릿(3513)이 형성된다.
상기 에어가이드 아웃릿(3511)의 직경은 G1이고, 상기 에어가이드 인릿(3513)의 직경은 G2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G1 및 G2이 동일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G2가 G1 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G1의 크기는 상기 팬흡입구(3411)의 크기와 대응되고, 상기 G2의 크기는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의 크기와 대응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G1이 팬흡입구(3411)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팬흡입구(3411) 전체가 상기 에어가이드 아웃릿(3511) 내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G2는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의 직경(G4)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브래킷(3530)은 상기 에어가이드(3510)의 후단(3514)을 상기 가이드하우징(본 실시예에서 어퍼가이드하우징)에 고정시킨다.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브래킷(3540)은 상기 에어가이드(3510)의 전단(3512)를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에 고정시킨다.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브래킷(3530)은, 링형태로 형성된 브래킷바디(3532)와, 상기 브래킷바디(3532)에 배치되고, 상기 브래킷바디(3532)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브래킷체결부(3534)를 포함한다.
상기 브래킷바디(3532)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바디(3532)의 직경을 G3로 정의한다. 상기 브래킷바디(3532)의 직경 G3은 에어가이드 인릿(3513)의 직경 G2 보다 작고,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의 직경 G4 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에어가이드의 후단(3513)은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를 통과하여 리어월(3522) 배면에 위치되고, 상기 브래킷바디(3532)는 상기 에어가이드의 후단(3513)을 상기 리어월(3522)에 밀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의 리어월(3522)에 브래킷 삽입부(3528)가 형성된다.
상기 브래킷 삽입부(3528)가 별도로 배치되기 때문에,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를 상기 브래킷 삽입부(3528)의 내측 가장자리 안쪽으로 정의한다.
상기 브래킷 삽입부(3528)는 리어월(3522)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제 1 삽입벽(3528a)과, 상기 제 1 삽입벽(3528a)에서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중심축(C1) 측으로 돌출된 제 2 삽입벽(3528b)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삽입벽(3528a) 및 제 2 삽입벽(3528b)을 통해 상기 브래킷 삽입부(3528)는 전방으로 오목한 단을 형성한다.
상기 브래킷바디(3532)는 상기 제 2 삽입벽(3528b)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 1 브래킷바디부(3535)와, 상기 제 1 브래킷바디부(3535)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전방 측으로 돌출된 제 2 브래킷바디부(3536)를 포함한다. 상기 1 브래킷바디부(3535) 및 제 2 브래킷바디부(3536)는 절곡된 형태다.
상기 제 1 브래킷바디부(3535) 및 제 2 삽입벽(3528b) 사이에 상기 에어가이드 후단(3513)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브래킷바디부(3535)는 상기 후단(3513)을 상기 제 2 삽입벽(3528b)에 밀착시킨다.
상기 제 2 브래킷바디부(3536)는 상기 제 1 삽입벽(3528a)의 내측가장자리 보다 더 안쪽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브래킷바디부(3536) 및 제 1 삽입벽(3528a) 사이 에어가이드(3510)이 위치된다.
체결부재(본 실시예에서 스크류)는 브래킷체결부(3534)를 관통하여 리어월(3522)에 체결된다.
상기 리어월(3522)의 배면에는 상기 브래킷체결부(3534)가 위치되는 제 1 브래킷설치부(3522a)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브래킷설치부(3522a)는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체결부(3534)가 일부 삽입되며, 작업자는 상기 제 1 브래킷설치부(3522a)를 통해 브래킷체결부(3534)의 조립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다.
상기 브래킷체결부(3534)는 복수개가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4개가 배치된다. 상기 브래킷체결부(3534)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중심축(C1)을 기준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중심축(C1)을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브래킷(3530)이 리어월(3522)의 배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전후 이동 시 에어가이드(3510)의 후단(3513)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브래킷(3530)이 리어월(3522)의 배면에 조립되기 때문에, 에어가이드(3510)의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브래킷(3530)은 에어가이드(3510)의 후단(3513) 전체를 가압하여 리어월(3522)에 밀착시키기 때문에, 에어가이드(3510)의 후단(3513) 전체가 균일하게 지지되고, 특정 위치에서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브래킷(3530)을 고정하는 체결부재는 에어가이드(3510)를 관통하지 않기 때문에, 에어가이드(35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브래킷(3540)은 스냅링이 사용된다.
스냅링 형태의 제 2 에어가이드 브래킷(3540)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의 배면에는 제 2 브래킷설치부(3415)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브래킷설치부(3415)는 배면에서 볼 때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팬흡입구(3411) 보다 바깥쪽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브래킷설치부(3415)는 리어팬하우징(3410)의 배면에서 후방 및 바깥쪽으로 연장된 리브이고, 바깥쪽에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브래킷(3540)에 삽입되는 홈(3416)이 형성된다. 상기 홈(3416)은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중심축(C1)에 대해 반경 방향 바깥쪽을 향하게 개구되고, 상기 중심축(C1)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의 배면에는 상기 에어가이드(3510)의 올바른 위치로 수납시키는 가이드벽(3417)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벽(3417)은 제 2 삽입벽(3528b)과 대향되고, 상기 제 2 삽입벽(3528b) 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의 후방에서 볼 때, 상기 가이드벽(3417)은 도넛 형상으로 형성된다.
<액추에이터의 구성>
상기 액추에이터(3470)는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3470)는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실내기의 작동 시, 상기 액추에이터(3470)는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전진시키고, 실내기의 정지 시, 상기 액추에이터(3470)는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후진시킨다.
상기 액추에이터(3470)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족하다. 예를 들어 상기 액추에이터(3470)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유압실린더 또는 리니어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3470)는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에 전달하여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에 배치된 제 1 가이드롤러(3553) 및 제 2 가이드롤러(3554)가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하중을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액추에이터(3470)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전진 또는 후진에 따른 작동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중심축(C1)과 상기 정면토출구(201)의 중심이 일치하게 배치된다. 상기 액추에이터(3470)는 상기 중심축(C1)을 따라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킨다.
상기 가이드하우징(본 실시예에서 어퍼가이드하우징 또는 로어가이드하우징)은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전후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액추에이터(3470)는,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에 배치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가이드모터(3472)와,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모터(347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가이드축(3474)와, 상기 가이드축(3474)의 좌측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축(3474)과 함께 회전되는 제 1 가이드기어(3476)와, 상기 가이드축(3474)의 우측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축(3474)과 함께 회전되는 제 2 가이드기어(3477)와,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가이드기어(3476)와 치합되는 제 1 랙(3478)과,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가이드기어(3477)와 치합되는 제 2 랙(3479)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모터(3472), 제 1 가이드기어(3476), 제 2 가이드기어(3477) 및 가이드축(3474)는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에 설치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전진 또는 후진 시 함께 이동된다.
상기 제 1 가이드기어(3476)와 치합되는 상기 제 1 랙(3478) 및 상기 제 2 가이드기어(3477)와 치합되는 상기 제 2 랙(3479)은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가이드모터(3472), 제 1 가이드기어(3476), 제 2 가이드기어(3477) 및 가이드축(3474)가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랙(3478) 및 제 2 랙(3479)이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랙(3478)(3479) 및 가이드기어(3476)(3477)의 상호 치합에 의해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가 전진 또는 후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모터(3472)는 1개가 사용되고,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을 균일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가이드축(3474)이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축(3474)의 양단에 각각 제 1 가이드기어(3476) 및 제 2 가이드기어(3477)가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축(3474)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가이드기어(3476)은 가이드축(3474)의 좌측에 배치되고, 제 2 가이드기어(3477)는 상기 가이드축(3474)의 우측에 배치된다.
상기 각 가이드기어(3476)(3477)와 치합되는 랙(3478)(3479)은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가이드기어(3476) 및 제 2 가이드기어(3477)는 제 1 랙(3478) 및 제 2 랙(3479)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 1 가이드기어(3476) 및 제 2 가이드기어(3477)는 제 1 랙(3478) 및 제 2 랙(3479)을 타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 1 랙(3478) 및 제 2 랙(3479)은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하우징베이스(3462) 상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베이스(3462)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 랙(3478) 및 제 2 랙(3479)은 상기 가이드기어(3476)(3477)의 하측에 배치되고, 치합을 통해 상기 가이드기어(3476)(3477)와 상호 간섭된다.
상기 제 1 가이드기어(3476)는 상기 제 1 랙(3478)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굴러 이동되고, 상기 제 2 가이드기어(3477) 역시 상기 제 2 랙(3479)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굴러 이동된다.
상기 가이드모터(3472)는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좌측 하부 또는 우측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모터(3472)의 모터축은 상기 제 1 가이드기어(3476) 또는 제 2 가이드기어(3477)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가이드모터(3472)가 회전될 때, 상기 가이드모터(3472)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 1 가이드기어(3476) 및 제 2 가이드기어(3477)가 동시 회전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좌측 및 우측이 동일한 힘을 통해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모터(3472)는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와 함께 이동되고,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에는 상기 가이드모터(3472)의 이동을 위한 모터가이드홈(3469)가 형성된다. 상기 모터가이드홈(3469)은 가이드모터(3472)의 이동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모터가이드홈(3469)은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하우징베이스(3462)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베이스(3462)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모터가이드홈(3469)은 제 1 랙(3478) 또는 제 2 랙(3479) 바깥쪽에 배치된다. 상기 모터가이드홈(3469)은 제 1 랙(3478) 또는 제 2 랙(3479) 보다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모터가이드홈(3469)를 통해 상기 가이드모터(3472)의 설치 및 이동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전체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모터가이드홈(3469)을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시켜 상기 가이드모터(3472)를 제 1 가이드기어(3476) 또는 제 2 가이드기어(3477)에 직접 결합시킬 수 있고, 동력전달을 위한 부품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히 구현하기 위해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팬하우징(3430)) 및 로어가이드하우징(3460) 사이에 제 1 가이드레일(3480) 및 제 2 가이드레일(3490)이 더 배치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레일(3480)은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좌측 및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좌측을 결합시킨다. 상기 제 1 가이드레일(3480)은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이동방향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가이드레일(3480)은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레프트사이드월(3463) 및 프론트팬하우징(3430)에 각각 결합되고, 슬라이딩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 2 가이드레일(3490)은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우측 및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우측을 결합시킨다. 상기 제 2 가이드레일(3490)은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이동방향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가이드레일(3490)은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라이트사이드월(3464) 및 프론트팬하우징(3430)에 각각 결합되고, 슬라이딩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 1 가이드레일(3480) 및 제 2 가이드레일(3490)은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중심축(C1)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레일(3480) 및 제 2 가이드레일(3490)은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하중 중 일부를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전후 이동을 원활히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레일(3480) 및 제 2 가이드레일(3490)은 상기 제 1 랙(3478) 및 제 2 랙(3479) 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레일(3480) 및 제 2 가이드레일(3490)은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좌측 및 우측을 지지하고,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좌측 및 우측의 이동방향을 안내한다.
상기 제 1 가이드레일(3480) 및 제 2 가이드레일(3490)은 중심축(C1)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좌측 및 우측을 동일한 속도 및 거리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좌측 또는 우측의 이동속도 및 거리가 불균일할 경우, 상기 원거리어셈블리(400)가 뒤뚱거리면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좌측 또는 우측의 이동속도 및 거리가 불균일할 경우, 스티어링그릴(3450)이 정면토출구(201)의 내측으로 정확하게 삽입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레일(3480) 및 제 2 가이드레일(3490)은 구름마찰을 통해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이동 시 마찰을 최소화한다.
상기 제 1 가이드레일(3480) 및 제 2 가이드레일(3490)의 구성은 동일하고, 좌우 대칭이기 때문에, 상기 제 1 가이드레일(3480)을 예로 들어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가이드레일(3480)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가이드하우징(본 실시예에서 로어가이드하우징)에 설치되는 롱레일하우징(3482)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롱레일하우징(3482)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본 실시예에서 프론트팬하우징)에 설치되는 숏레일하우징(3484)와, 상기 롱레일하우징(3482) 및 숏레일하우징(3484)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롱레일하우징(3482) 및 숏레일하우징(3484) 각각과 상대 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숏레일하우징(3484)의 이동 시 베어링(3485)의 구름마찰을 통해 상기 롱레일하우징(3482) 및 숏레일하우징(3484) 각각과의 마찰을 저감시키는 베어링하우징(3486)을 포함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3486)은 상기 롱레일하우징(3482)에 조립되고, 상기 롱레일하우징(348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숏레일하우징(3484)는 상기 베어링하우징(3486)에 조립되고, 상기 베어링하우징(348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숏레일하우징(3484)이 베어링하우징(3486)과 상대 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베어링하우징(3486)은 롱레일하우징(3482)와 상대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구조이다.
상기 베어링하우징(3486)은 롱레일하우징(3482) 보다 짧고, 숏레일하우징(3484) 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3486) 및 숏레일하우징(3484)은 롱레일하우징(3482)의 길이 내에서만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롱레일하우징(3482)의 길이는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전후 방향 길이 F2에 대응된다. 본 실시예에서 레프트사이드월(3463) 및 라이트사이드월(3464)의 각 내측면에 롱레일하우징(3482)이 고정되는 레일설치부(3463a)(3464a)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일설치부(3463a)(3464a)는 케이블관통부(3465) 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도 39는 도 33에 도시된 스티어링그릴의 사시도이다. 도 40은 도 31의 팬하우징어셈블리에서 스티어링그릴이 분리된 정면도이다. 도 41은 도 33에 도시된 스티어링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42는 도 41의 배면도이다. 도 43은 도 33에 도시된 조인트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4는 도 33에 도시된 스티어링그릴 및 스티어링어셈블리의 배면 측 분해사시도이다. 도 45는 도 44에 도시된 허브의 배면 측 사시도이다. 도 46은 도 33에 도시된 스티어링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7은 도 46의 후방 측에서 본 스티어링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8는 도 46에 도시된 스티어링바디 및 스티어링모터의 조립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9는 도 48의 정면도이다. 도 5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어셈블리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1은 도 50에 도시된 스티어링어셈블리의 작동예시도이다.
<스티어링그릴의 구성>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은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후단은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내측에 일부 삽입된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은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 하, 좌, 우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후단은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제 1 팬개구면(3431)을 통해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공간(S2)으로 삽입된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후단은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 보다는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은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제 1 팬개구면(343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제 1 팬개구면(3431)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은 제 1 팬개구면(3431) 보다 작은 직경의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은, 전면 및 후면이 개구되고, 내측에 공간(S4)이 형성된 스티어링하우징(3452)과, 상기 스티어링하우징(3452)의 내측에 배치되고, 전면을 향하게 배치된 스티어링커버(3454)와, 상기 스티어링하우징(3452)의 공간(S4)에 배치되고, 상기 스티어링하우징(3452) 및 스티어링커버(3454)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베인(3456)을 포함한다.
상기 스티어링하우징(3452)의 정면 형상은 상기 아우터팬하우징(3432)의 제 1 팬개구면(3431) 형상에 대응된다.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스티어링하우징(3452)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티어링하우징(3452)의 외측면(3451)은 전후 방향에 대해 곡면으로 형성된다. 곡면으로 형성된 상기 스티어링하우징(3452)의 외측면(3451)은 스티어링그릴(3450)의 틸팅 시,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 본 실시예에서 아우터팬하우징(3432))과의 간격을 일정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하우징(3452)의 외측면(3451)은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회전반경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하우징(3452) 외측면(3451)의 곡률 중심은 상기 중심축(C1)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외측면(3451)은 상기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하는 호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은 프론트팬하우징(3430)에 삽입된 상태에서 틸팅된다. 호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스티어링하우징(3452)의 외측면(3451)을 통해, 틸팅 시 상기 스티어링하우징(3452)의 외측면(3451) 및 아우터팬하우징(3432)의 내측면 사이 간격(P)을 균일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틸팅 시, 상기 스티어링하우징(3452)의 외측면(3451) 및 아우터팬하우징(3432)의 내측면 사이 간격(P)을 최소하기 때문에,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 밖으로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간격(P)로 토출되는 공기가 냉각된 공기일 경우, 정면토출구(201) 가장자리를 냉각시켜 이슬맺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간격(P)을 최소화할 경우, 정면토출구(201) 가장자리에서 발생되는 이슬맺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티어링하우징(3452)의 축중심은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축중심(C1)에 배치되고, 상기 팬모터(3440)의 모터축과도 일치한다.
상기 스티어링커버(3454)는 상기 공간(S4)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스티어링커버(3454)의 면적 및 형상은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의 면적 및 형상에 대응된다.
토출공기는 상기 스티어링커버(3454)의 바깥쪽 및 상기 스티어링하우징(3452)의 내측 사이로 유동된다. 상기 스티어링커버(3454)는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의 전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공기가 상기 스티어링커버(3454)로 직접 유동되지는 않는다.
전후 방향에 대하여, 상기 스티어링커버(3454)는 스티어링하우징(3452)의 전단(3452a) 및 후단(3452b)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스티어링커버(3454)는 스티어링어셈블리(1000)와 연결되고, 상기 스티어링어셈블리(1000)의 작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베인(3456)은, 원형베인(3457) 및 블레이드베인(3458)을 포함한다.
상기 원형베인(3457)은 복수개로 구성되고, 각 원형베인(3457)은 각기 다른 직경을 갖고, 각 원형베인(3457)의 중심은 상기 중심축(C1)에 배치된다. 즉, 상기 각 원형베인(3457)은 상기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을 형성한다.
상기 블레이드베인(3458)은 복수개가 배치되고, 복수개의 블레이드베인(3458)은 상기 중심축(C1)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원형베인(3457) 및 블레이드베인(3458)은 교차된다.
상기 블레이드베인(3458)의 내측단은 상기 스티어링커버(3454)에 결합되고, 외측단은 상기 스티어링하우징(3452)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티어링하우징(3452), 스티어링커버(3454), 원형베인(3457) 및 블레이드베인(3458)은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은 상기 축중심(C1)을 기준으로 상, 하, 좌, 우 또는 임의의 대각선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은 상기 정면토출구(201)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전진 시, 상기 스티어링하우징(3452)의 전단(3452a)은 상기 정면토출구(201) 보다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스티어링하우징(3452)의 후단(3452b)은 상기 정면토출구(201) 보다 후방에 위치된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틸팅 시에도, 상기 스티어링하우징(3452)의 전단(3452a)은 상기 정면토출구(201) 보다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스티어링하우징(3452)의 후단(3452b)은 상기 정면토출구(201) 보다 후방에 위치된다.
<틸팅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스티어링어셈블리(1000)는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 및 프론트팬하우징(343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스티어링어셈블리(1000)는 토출공기와의 간섭이 최소화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스티어링어셈블리(1000)는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 전방에 위치되어 토출공기와의 간섭을 최소화시킨다. 특히 상기 스티어링어셈블리(1000)는 상기 팬모터(3440)의 전방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의 공간(S3)을 커버하는 스티어링베이스(1070)가 배치되고, 상기 스티어링어셈블리(1000)는 스티어링베이스(107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스티어링어셈블리(1000)는 프론트팬하우징(3430) 측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티어링어셈블리(1000)는 이너팬하우징(3434) 또는 모터마운트(3442) 등에 설치되어 스티어링그릴(3450)를 조향할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어셈블리(1000)는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틸팅 방향 또는 순서에 제약이 없는 구조를 제공한다. 예를들어, 상기 스티어링어셈블리(1000)는 스티어링그릴(3450)을 상하방향 틸팅 후에 좌우 방향으로 틸팅시키거나 대각선 방향으로 틸팅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스티어링어셈블리(1000)는 임의의 제 1 방향에서 임의의 제 2 방향으로 스티어링그릴(3450)를 즉시 틸팅시킬 수 있고, 틸팅 방향에 제약이 없기 때문에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조향을 즉시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방향은 수평방향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 2 방향은 상하방향으로 설정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은 임의로 변경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은 90도의 사이각을 형성한다.
상기 스티어링어셈블리(1000)는, 프론트팬하우징(3430)에 배치되고, 스티어링그릴(3450) 후방에 배치되는 스티어링베이스(1070)와,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 및 스티어링그릴(3450)에 결합되고,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 및 스티어링그릴(3450) 각각과 틸팅가능하게 조립되는 조인트어셈블리(1100)와,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에 배치되고,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제 1 스티어링 액추에이터(본 실시예에서 스티어링모터(1030))의 작동을 통해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밀거나 당기고,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상기 조인트어셈블리(1100)를 중심으로 틸팅시키는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와,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에 배치되고,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제 2 스티어링 액추에이터(본 실시예에서 스티어링모터(1030))의 작동을 통해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밀거나 당기고,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상기 조인트어셈블리(1100)를 중심으로 틸팅시키는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 및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는 스티어링그릴(3450)의 후방 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는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배면에 조립되고,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조립된 부분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 역시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배면에 조립되고,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조립된 부분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 및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정면 또는 배면에서 볼 때,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가 스티어링그릴(3450)을 밀거나 당기는 부분 및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가 스티어링그릴(3450)을 밀거나 당기는 부분은 상기 중심축(C1)을 기준으로 90도의 사이각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가 스티어링그릴(3450)을 밀거나 당기는 부분은 상기 중심축(C1)의 수직방향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가 스티어링그릴(3450)을 밀거나 당기는 부분은 상기 중심축(C1)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어셈블리(1100)는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틸팅중심을 제공한다. 상기 조인트어셈블리(1100)의 틸팅중심은 상기 정면토출구(201)의 중심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심축(C1)에 배치된다.
상기 조인트어셈블리(1100)는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배면에 결합된다. 상기 조인트어셈블리(1100)는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이 임의의 방향으로 조향될 수 있는 회전중심을 제공한다. 상기 조인트어셈블리(1100)는 정면을 기준으로,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상, 하, 좌, 우, 좌상, 좌하, 우상, 우하를 향하도록 회전중심을 제공한다.
상기 조인트어셈블리(1100)는 볼조인트가 사용될 수 있다. 볼조인트의 경우, 스티어링그릴(345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가 없기 때문에, 처짐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어셈블리(1100)는 조향된 상태에서 스티어링그릴(345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인트어셈블리(1100)는,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에 조립되고, 제 1 방향(본 실시예에서 좌우 방향)에 대해 회전축을 제공하는 제 1 조인트브래킷(1110)과,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에 조립되고, 제 2 방향(본 실시예에서 상하 방향)에 대해 회전축을 제공하는 제 2 조인트브래킷(1120)과, 상기 제 1 조인트브래킷(1110) 및 제 2 조인트브래킷(112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회전축을 제공하는 크로스액슬(113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조인트브래킷(1110) 및 제 2 조인트브래킷(1120)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설치위치가 반대여도 무방하다. 설치위치가 반대일 경우, 상기 제 1 조인트브래킷(1110)은 제 2 방향에 대해 회전축을 제공하고, 상기 제 2 조인트브래킷(1120)은 제 1 방향에 대해 회전축을 제공한다.
상기 제 1 조인트브래킷(1110)은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에 조립되는 제 1 브래킷바디(1112)와, 상기 제 1 브래킷바디(1112)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조인트브래킷(1120)을 향해 돌출된 제 1-1 축지지부(1113)와, 상기 제 1 브래킷바디(1112)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조인트브래킷(1120)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 1-1 축지지부(1123)과 대향되게 배치된 제 1-2 축지지부(111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브래킷바디(1112)는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기 제 1 브래킷바디(1112)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브래킷바디(1112)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체결홈(1115)(1116)이 형성된다. 상기 각 체결홈(1115)(1116)은 제 1 브래킷바디(1112)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을 향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1 축지지부(1113)는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2 축지지부(1114)는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1 축지지부(1113) 및 제 1-2 축지지부(1114)는 상하로 배열된다.
상기 제 2 조인트브래킷(1120)은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에 조립되는 제 2 브래킷바디(1122)와, 상기 제 2 브래킷바디(1122)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조인트브래킷(1110)을 향해 돌출된 제 2-1 축지지부(1123)와, 상기 제 2 브래킷바디(1122)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조인트브래킷(1110)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 2-1 축지지부(1123)과 대향되게 배치된 제 2-2 축지지부(1124)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브래킷바디(1122)는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브래킷바디(1122)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2 브래킷바디(1122)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체결홈(1125)(1126)이 형성된다. 상기 각 체결홈(1125)(1126)은 제 2 브래킷바디(1122)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2-1 축지지부(1123) 및 제 2-2 축지지부(1124)에는 각각 축홀(1123a)(미도시)이 형성되고, 각 축홀(1123a)(미도시)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각 축홀(1123a)(미도시)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1 축지지부(1123)는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2 축지지부(1124)는 좌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2-1 축지지부(1123) 및 제 2-2 축지지부(1124)는 좌우로 배열된다.
상기 크로스액슬(1130)는 상하 방향 회전축 및 좌우 방향 회전축을 제공한다. 상기 크로스액슬(1130)은 상기 축중심(C1) 선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크로스액슬(1130)은, "+"형태로 형성된 크로스바디(1135)와, 상기 크로스바디(1135)에서 상기 제 2 방향(본 실시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1 축지지부(1113)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1 회전축(1131)과, 상기 크로스바디(1135)에서 상기 제 2 방향(본 실시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2 축지지부(1114)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 1-1 회전축(1131)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 1-2 회전축(1131)과, 상기 크로스바디(1135)에서 상기 제 1 방향(본 실시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2-1 축지지부(1123)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1 회전축(1133)과, 상기 크로스바디(1135)에서 상기 제 1 방향(본 실시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2-2 축지지부(1124)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 2-1 회전축(1133)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 2-2 회전축(1134)을 포함한다.
상기 각 회전축(1131)(1132)(1133)(1134)는 상기 각 축지지부(1113)(1114)(1123)(1124)에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크로스액슬(1130)의 길이로 인해 각 축지지부(1113)(1114)(1123)(1124)를 별도로 제작한 후, 각 브래킷바디(1112)(1122)에 조립해야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 및 분해의 편의성을 위해, 상기 제 1 조인트브래킷(1110) 및 제 2 조인트브래킷(1120)를 각각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제작한다.
그리고 상기 크로스액슬(1130)의 각 회전축(1131)(1132)(1133)(1134)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각 각 회전축(1131)(1132)(1133)(1134)에 나사결합되는 각각의 축캡(1141)(1142)(1143)(1144)이 구비된다.
상기 각 축캡(1141)(1142)(1143)(1144)은 동일한 구성이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 1-1 회전축(1131)에 조립되는 축캡을 제 1-1 축캡(1141)이라 정의하고, 상기 제 1-2 회전축(1132)에 조립되는 축캡을 제 1-2 축캡(1142)이라 정의하고, 상기 제 2-1 회전축(1133)에 조립되는 축캡을 제 2-1 축캡(1143)이라 정의하고, 상기 제 2-2 회전축(1134)에 조립되는 축캡을 제 2-2 축캡(1144)이라 정의한다.
상기 축캡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축홀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축캡바디(1145)와, 상기 축캡바디(1145)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축지지부에 지지되는 축캡지지부(1146)와, 상기 축캡바디(1145)의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산(1147)을 포함한다.
상기 제 1-1 축캡(1141)은 제 1-1 축지지부(1113)에 삽입되고, 상기 제 1-1 회전축(1131)과 조립된다. 상기 제 1-2 축캡(1142)은 제 1-2 축지지부(1114)에 삽입되고, 상기 제 1-2 회전축(1132)과 조립된다. 상기 제 1-1 축캡(1141)의 조립방향과 상기 제 1-2 축캡(1142)의 조립방향은 반대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1 축캡(1141) 및 제 1-2 축캡(1142)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고, 수평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2-1 축캡(1143)은 제 2-1 축지지부(1123)에 삽입되고, 상기 제 2-1 회전축(1133)과 조립된다. 상기 제 2-2 축캡(1144)은 제 2-2 축지지부(1124)에 삽입되고, 상기 제 2-2 회전축(1134)과 조립된다. 상기 제 2-1 축캡(1143)의 조립방향과 상기 제 2-2 축캡(1144)의 조립방향은 반대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1 축캡(1143) 및 제 2-2 축캡(1144)은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하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배면에는 상기 제 2 조인트브래킷(1120)이 고정되는 체결보스(1125a)(1126a)가 형성된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체결보스(1125a)(1126a)에 상기 제 2 조인트브래킷(1120)의 체결홈(1125)(1126)이 삽입되고,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제 2 조인트브래킷(1120)이 스티어링그릴(34350)에 고정된다.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는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의 공간(S3)을 커버한다.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는,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에 결합되는 베이스바디(1075)와, 상기 베이스바디(1075)의 전면에 형성되고, 제 1 조인트브래킷(1110)이 조립되는 체결보스(1073)(1074)와, 상기 베이스바디(1075)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가 관통하게 배치되는 제 1 관통홀(1071)과, 상기 베이스바디(1075)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가 관통하게 배치되는 제 2 관통홀(1072)과, 상기 베이스바디(1075)의 배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가 설치되는 제 1 베이스설치부(1076)와, 상기 베이스바디(1075)의 배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가 설치되는 제 2 베이스설치부(1077)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는 스티어링베이스(1070)의 전방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의 설치로 인한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전후 방향 길이증가를 방지하기 위해,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를 상기 공간(S3)에 위치시킨다.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은 상기 공간(S3)에 위치되고,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의 배면에 조립되고, 상기 제 1 관통홀(1071)를 관통하여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에 조립된다.
같은 이유로,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은 상기 공간(S3)에 위치되고,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의 배면에 조립되고, 상기 제 1 관통홀(1071)를 관통하여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에 조립된다.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은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밀거나 당기고,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은 상기 조인트어셈블리(1100)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틸팅된다.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은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밀거나 당기고,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은 상기 조인트어셈블리(1100)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틸팅된다.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 및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의 작동방향을 조합하여,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상기 조인트어셈블리(1100)를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틸팅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이스설치부(1076)는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보스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베이스설치부(1077)는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보스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베이스설치부(1076)는 스티어링베이스(1070)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고, 후술하는 스티어링바디(1010)에 삽입된다. 체결부재(미도시)가 상기 스티어링바디(1010) 및 제 1 베이스설치부(1076)를 관통하여 체결된다.
상기 스티어링바디(1010)의 체결 시, 스티어링바디(1010)의 체결위치를 임시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 1 베이스설치부(1076)는 2개소가 배치된다. 하나를 제 1-1 베이스설치부(1076a)라 하고, 나머지 하나를 제 1-2 베이스설치부(1076b)라 한다.
상기 제 2 베이스설치부(1077)의 구조도 상기 제 1 베이스설치부(1076)의 구조와 동일하다.
상기 제 2 베이스설치부(1077)도 2개소가 배치된다. 하나를 제 2-1 베이스설치부(1077a)라 하고, 나머지 하나를 제 2-2 베이스설치부(1077b)라 한다.
도 47은 도 36에 도시된 스티어링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8은 도 46의 후방 측에서 본 스티어링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9는 도 48에 도시된 스티어링바디 및 스티어링모터의 조립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0은 도 49의 정면도이다. 도 5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어셈블리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2는 도 51에 도시된 스티어링어셈블리의 작동예시도이다.
<스티어링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 및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의 구성 부품을 동일하고, 스티어링그릴(3450)에 대해 조립위치만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의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 및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의 구성 부품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 "제 1 " 또는 "제 2"로 구분하겠다.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은,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 측 또는 스티어링그릴(3450) 측에 고정되는 스티어링바디(1010)과, 상기 스티어링바디(1010)에 조립되는 스티어링 액추에이터(본 실시예에서 스티어링모터(1030))와, 상기 스티어링바디(1010)에 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스티어링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랙(1020)과, 상기 스티어링바디(1010)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랙(1020)이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이동랙(102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랙가이드(1012)와, 상기 스티어링모터(1030)의 모터축(1031)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랙(1020)과 치합되고, 상기 스티어링모터(103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이동랙(102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티어링기어(1040)와, 상기 이동랙(1020)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과도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이동랙(1020)의 이동 시,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 및 이동랙(1020) 사이의 거리 및 사이각을 조절하는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 adjust assembly)를 포함한다.
상기 스티어링바디(1010)은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 또는 스티어링그릴(345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티어링 액추에이터의 전원공급 및 케이블 결선을 고려하여, 상기 스티어링바디(1010)은 프론트팬하우징(3430) 측 구조물에 설치한다.
상기 스티어링바디(1010)을 제어신호에 따라 조향되는 스티어링그릴(3450)에 설치할 경우, 케이블도 함께 조향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스티어링바디(1010)이 스티어링그릴(3450)에 조립될 경우, 스티어링그릴(3450) 측 하중이 증가되고, 이를 조향하기 위한 스티어링 액추에이터도 함께 증가시켜야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티어링 액추에이터은 프론트팬하우징(3430)에 고정된 스티어링베이스(1070)에 설치된다. 특히, 스티어링그릴(3450) 및 스티어링베이스(1070) 사이의 이격거리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스티어링바디(1010)을 스티어링베이스(1070)의 배면에 배치하고,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가 스티어링베이스(1070)를 관통하게 배치된다.
상기 각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가 스티어링베이스(1070)의 각 관통홀(1071)(1072)을 관통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스티어링베이스(1070) 및 스티어링그릴(3450)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스티어링베이스(1070) 및 스티어링그릴(3450)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할 경우,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에서 발생되는 상대변위 및 상대각도를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 액추에이터는 이동랙(102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스티어링 액추에이터는 유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티어링 액추에이터는 스텝모터가 사용되고, 이를 스티어링모터(1030)로 정의한다.
상기 스티어링모터(1030)는 스티어링바디(1010)에 조립되고, 상기 스티어링모터(1030) 및 스티어링바디(1010) 사이에 상기 이동랙(1020)이 배치된다.
상기 랙가이드(1012)는 상기 이동랙(102)의 이동방향을 안내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랙가이드(1012)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랙가이드(1012)는 상기 스티어링바디(1010)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랙가이드(1012)는 홈 또는 슬릿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랙가이드(1012)는 상기 스티어링바디(1010)를 관통하는 슬릿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랙(1020)은 상기 슬릿에 삽입된다.
상기 스티어링모터(1030)는 상기 스티어링바디(1010)에 조립된다. 상기 스티어링모터(1030)는 상기 스티어링바디(10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랙(102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스티어링바디(1010)에 상기 스티어링모터(1030)를 고정시키기 위한 모터고정부(1013)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티어링모터(1030)는 체결수단(미도시)을 통해 상기 스티어링바디(1010)에 고정된다.
상기 모터고정부(1013)는 상기 스티어링바디(1010)에서 상기 스티어링모터(1030) 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모터고정부(1013)는 2개소가 배치된다. 상기 모터고정부(1013) 사이에 상기 이동랙(1020)이 배치된다.
상기 모터고정부(1013)는 상기 스티어링바디(1010)에서 돌출되어 상기 이동랙(1020)의 설치공간을 확보한다. 상기 모터고정부(1013) 사이에 상기 랙가이드(1012)가 배치된다. 한쪽에 배치된 모터고정부(1013)를 제 1 모터고정부라 하고, 다른 한쪽에 배치된 모터고정부(1013)를 제 2 모터고정부라 한다. 제 1 모터고정부 및 제 2 모터고정부 사이 간격(M1)은 이동랙(1020)의 높이(M2) 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스티어링바디(1010)에는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1016)가 배치된다. 상기 결합부(1016)는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베이스설치부(1076) 및 제 2 베이스설치부(1077)가 보스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결합부(1016)는 이에 대응되는 홈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016)는 제 1 베이스설치부(1076)의 개수에 대응되어 2개소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의 스티어링바디(1010)에 배치된 결합부(1016)를 1-1 결합부(1016a) 및 1-2 결합부(1016b)로 정의한다.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의 스티어링바디(1010)에 배치된 결합부(미도시)를 2-1 결합부(미도시) 및 2-2 결합부(미도시)로 정의한다.
상기 결합부(1016)는 모터고정부(1013) 또는 랙가이드(1012) 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1-1 결합부(1016a) 및 1-2 결합부(1016b) 사이에 상기 랙가이드(1012)가 배치된다.
상기 스티어링기어(1040)는 피니언기어이다. 상기 스티어링기어(1040)는 모터축(1031)에 결합된다.
상기 이동랙(1020)은 스티어링모터(1030)의 작동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이동랙(1020)은 스티어링바디(1010)와 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랙가이드(1012)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된다.
상기 이동랙(1020)은 상기 스티어링기어(1040)의 회전수에 따라 이동거리가 조절되고, 상기 스티어링기어(1040)의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방향이 결정된다.
상기 이동랙(1020)은, 이동랙바디(1021)와, 상기 이동랙바디(1021)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랙바디(102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이동랙기어(1023)와, 상기 이동랙바디(1021)에 배치되고, 상기 랙가이드(1012)와 상대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가이드블럭(1022)과, 상기 이동랙바디(1021)에 배치되고,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의 후방 측 구조물과 결합되는 이동랙결합부(1024)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블럭(1022), 이동랙기어(1023) 및 어저스트 이동랙결합부(1024)는 이동랙바디(1021)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이동랙기어(1023)는 이동랙바디(102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이동랙기어(1023)는 스티어링기어(1040)과의 치합을 고려할 때, 이동랙바디(1021)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랙바디(1021)의 하측면에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블럭(1022)은 랙가이드(1012)에 삽입되어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블럭(1022) 및 랙가이드(1012)는 이동방향에 대해서는 걸림이 발생되지 않고, 이동방향을 제외한 다른 방향에 대해선 걸림을 발생시킨다.
상기 가이드블럭(1022) 및 랙가이드(1012)는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이 일치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블럭(1022)이 상기 랙가이드(1012)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가이드블럭(1022)은 이동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돌기(1025)가 형성되고, 상기 랙가이드(1012)에는 상기 가이드돌기(1025)에 대응되는 가이드홈(1015)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1015) 및 가이드돌기(1025)는 이동방향(본 실시예에서 전후 방향)을 제외한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에 대해서는 걸림을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가이드홈(1015)이 가이드블럭(1022)에 배치되고, 가이드돌기(1025)가 랙가이드(1012)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어저스트 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는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 및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각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의 구성은 동일하다.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에 배치된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와,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에 배치된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를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 제 1 어저스트 어셈블리(3601) 및 제 2 어저스트 어셈블리(3602)로 구분하겠다.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를 구성하는 부품도 동일한 방법으로 구분하겠다.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는 상기 이동랙(1020)의 전진 또는 후진 시, 상기 스티어링바디(1010) 및 스티어링그릴(3450) 사이의 거리 및 방향을 보정한다.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는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 및 이동랙(1020)을 연결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조향 시,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 및 이동랙(1020)의 상대 거리가 가변되고,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가 가변되는 거리차를 해소한다.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는 조향된 스트어링그릴(3450)을 지지하고, 조향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는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 및 이동랙(1020)의 상대변위 및 상대각도를 보정하고,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이 조향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는 다관절구조를 통해 상기 상대변위 및 상대각도를 보정한다.
본 실시에에서 스티어링어셈블리(1000)는 스티어링그릴(3450)의 배면에 조립되고,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와 조립되는 허브(10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허브(1080)에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 및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이 결합된다.
상기 허브(1080)는, 스티어링그릴(3450)에 조립되는 허브바디(1082)와, 상기 허브바디(1082)에 배치되고,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과 끼움결합되는 허브끼움부(1084)와, 상기 허브바디(1082)에 배치되고,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과 체결되는 허브체결부(1086)와, 상기 허브바디(1082)에 배치되고,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와 결합되는 제 1 어저스트 결합부(1088) 및 제 2 어저스트 결합부(1089)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어저스트 어셈블리(3601) 및 제 2 어저스트 어셈블리(3602)는 상기 허브바디(1082)에 모두 조립된다. 상기 허브(1080)를 삭제하고, 상기 제 1 어저스트 어셈블리(3601) 및 제 2 어저스트 어셈블리(3602)를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에 직접 조립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어저스트 어셈블리(3601) 및 제 2 어저스트 어셈블리(3602)에 따른 조립과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어저스트 어셈블리(3601) 및 제 2 어저스트 어셈블리(3602)가 허브(1080)에 조립된 상태로, 상기 허브(1080)를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에 조립한다. 이 경우, 스티어링그릴(3450)과 무관하게 제 1 어저스트 어셈블리(3601), 제 2 어저스트 어셈블리(3602) 및 허브(1080)를 조립된 상태로 준비할 수 있다.
상기 제 1 어저스트 어셈블리(3601) 및 제 2 어저스트 어셈블리(3602)가 조립된 허브(1080)를 스티어링그릴(3450)에 조립하기 때문에, 조립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구조는 스티어링그릴(3450)의 교체가 필요할 때,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를 분해할 필요가 없고,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를 조립된 상태 그대로 재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는, 상기 이동랙(1020)의 이동랙결합부(1024)에 결합되는 제 1 볼힌지(3610)와, 상기 허브(1080)의 어저스트 결합부(1088)(1089)에 결합되는 제 2 볼힌지(3620)과, 상기 제 1 볼힌지(3610) 및 제 2 볼힌지(36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볼힌지(3610)의 외측면 일부를 감싸고, 상기 제 1 볼힌지(3610)와 상대 회전가능한 제 1 볼캡(3630)과, 상기 제 1 볼캡(3630) 및 제 2 볼힌지(36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볼힌지(3620)의 외측면 일부를 감싸고, 상기 제 2 볼힌지(3620)와 상대 회전가능한 제 2 볼캡(3640)과, 상기 제 1 볼캡(3630) 및 제 2 볼캡(364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볼캡(3630) 및 제 2 볼캡(3640)에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볼캡(3630)을 상기 제 1 볼힌지(3610)로 밀착시키고, 상기 제 2 볼캡(3640)을 상기 제 2 볼힌지(3620)로 밀착시키는 탄성부재(3650)과, 상기 제 1 볼힌지(3610), 제 1 볼캡(3630), 탄성부재(3650), 제 2 볼캡(3640) 및 제 2 볼힌지(3620)가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어저스트 결합부(1088)(1089)가 전방 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이동랙결합부(1024)가 후방 측으로 삽입되는 어저스트 하우징(3660)을 포함한다.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의 각 구성은 상대회전 또는 상대이동되기 때문에, 마찰이 발생되고, 상기 마찰로 인한 작동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의 각 구성에는 구리스와 같은 윤활제가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3650)는 코일스프링이 사용된다. 본 실시예와 다릴 다양한 형태의 탄성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코일스프링은 제 1 볼캡(3630) 및 제 2 볼캡(364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볼캡(3630) 및 제 2 볼캡(3640)에 끼워진 상태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은 제 1 볼캡(3630) 및 제 2 볼캡(3640) 사이에서 정위치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다.
특히,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이 강할 경우, 볼캡(3630)(3640) 및 볼힌지(3610)(3620) 사이에서 과도한 마찰이 발생될 수 있고, 상기 마찰에 의해 마모 및 작동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볼캡(3630)(3640) 및 볼힌지(3610)(3620) 사이에는 윤활제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제 1 볼힌지(3610) 및 제 2 볼힌지(3620)는 관절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 1 볼힌지(3610) 또는 제 2 볼힌지(3620)에서 상대회전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 1 볼힌지(3610)는 전체적인 형상이 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볼힌지(3610)는 상기 이동랙(1020)의 이동랙결합부(1024)에 결합된다.
상기 제 1 볼힌지(3610)는 체결부재(3612)에 의해 상기 이동력결합부(1024)에 고정된다. 상기 체결부재(3612)는 상기 제 1 볼힌지(361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제 1 볼힌지(3610)는 상기 체결부재(3612)가 설치되는 제 1 홈(3611) 및 제 2 홈(3613)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홈(3611) 및 제 2 홈(3613)은 전후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홈(3611) 및 제 2 홈(3613)은 동일한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홈(3611)을 통해 체결부재(3612)가 삽입된다. 상기 제 1 홈(3611)에 상기 체결부재(3612)의 헤드(3612a)가 삽입되고, 상기 체결부재(3612)의 헤드(3612a)가 제 1 볼힌지(3610) 외측면 밖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 1 홈(3611)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볼힌지(3610)를 관통하는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은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홈(3613)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랙결합부(1024)가 삽입된다.
상기 체결부재(3612)는 상기 제 1 볼힌지(3610)를 관통하여 상기 이동랙결합부(1024)에 체결된다.
상기 제 2 볼힌지(3620)는 상기 제 1 볼힌지(3610)과 동일한 구조이다.
상기 제 2 볼힌지(3620)는 상기 체결부재(3622)가 설치되는 제 1 홈(3621) 및 제 2 홈(3623)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홈(3621) 및 제 2 홈(3623)은 전후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홈(3621) 및 제 2 홈(3623)은 동일한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홈(3621)을 통해 체결부재(3622)가 삽입된다. 상기 제 1 홈(3621)에 상기 체결부재(3622)의 헤드(3622a)가 삽입되고, 상기 체결부재(3612)의 헤드(3622a)가 제 2 볼힌지(3620) 외측면 밖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 1 홈(3621)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볼힌지(3620)를 관통하는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은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홈(3623)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어저스트 결합부(1088) 또는 제 2 어저스트 결합부(1089)가 삽입된다. 상기 체결부재(3622)는 상기 제 2 볼힌지(3620)를 관통하여 상기 어저스트 결합부(1088) 또는 제 2 어저스트 결합부(1089)에 체결된다.
상기 제 1 볼캡(3630)은 상기 제 1 볼힌지(3610)의 제 1 홈(3611)을 커버하고, 상기 제 1 볼힌지(3610)의 외측면을 감싼다. 상기 제 1 볼캡(3630)은 상기 제 1 볼힌지(3610)의 정면 방향 외측면을 감싼다.
상기 제 1 볼캡(3630)은 상기 제 1 볼힌지(3610)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오목한 제 1 볼캡홈(3631)과, 상기 탄성부재(3650)에 끼워지는 제 1 볼캡돌기(3633)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볼캡홈(3631)에 상기 제 1 볼힌지(3610)가 삽입되고, 상기 제 1 볼캡홈(3631)은 상기 제 1 볼힌지(3610)과의 마찰을 최소화시킨다. 상기 제 1 볼힌지(3610)는 상기 제 1 볼캡홈(3631)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볼캡돌기(3633)는 상기 탄성부재(3650) 측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볼캡돌기(3633)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고, 전방 측(스티어링그릴 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2 볼캡(3640)은 상기 제 1 볼캡(3630)과 동일한 구성이고, 방향이 반대이다.
상기 제 2 볼캡(3640)은 상기 제 2 볼힌지(3620)의 제 1 홈(3621)을 커버하고, 상기 제 2 볼힌지(3620)의 외측면을 감싼다. 상기 제 2 볼캡(3640)은 상기 제 2 볼힌지(3620)의 후면 방향 외측면을 감싼다.
상기 제 2 볼캡(3640)은 상기 제 2 볼힌지(3620)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오목한 제 2 볼캡홈(3641)과, 상기 탄성부재(3650)에 끼워지는 제 2 볼캡돌기(3643)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볼캡홈(3641)에 상기 제 2 볼힌지(3620)가 삽입되고, 상기 제 2 볼캡홈(3641)은 상기 제 2 볼힌지(3620)과의 마찰을 최소화시킨다. 상기 제 2 볼힌지(3620)는 상기 제 2 볼캡홈(3641)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2 볼캡돌기(3643)는 상기 탄성부재(3650) 측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볼캡돌기(3643)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고, 후방 측(이동랙 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 볼캡돌기(3633) 및 제 2 볼캡돌기(3643)는 일렬로 배치되고, 서로를 향해 돌출되고, 본 실시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볼캡홈(3631) 및 제 2 볼캡홈(3641)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 1 볼캡홈(3631)이 후방 측을 향하게 배치되면, 제 2 볼캡홈(3641)은 전방 측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어저스트 하우징(3660)은 상기 제 1 볼힌지(3610), 제 1 볼캡(3630), 탄성부재(3650), 제 2 볼캡(3640) 및 제 2 볼힌지(3620)가 수납된다.
상기 어저스트 하우징(3660)의 후방 측에는 상기 이동랙결합부(1024)가 관통되는 제 1 삽입구(3673)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삽입구(3673)을 통해 상기 이동랙결합부(1024)가 상기 어저스트 하우징(3660) 후방 측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어저스트 하우징(3660)의 전방 측에는 상기 제 1 어저스트 결합부(1088) 또는 제 2 어저스트 결합부(1089)가 관통되는 제 2 삽입구(3683)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삽입구(3683)을 통해 상기 제 1 어저스트 결합부(1088) 또는 제 2 어저스트 결합부(1089)가 상기 어저스트 하우징(3660) 전방 측 내부로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저스트 하우징(3660)는 제 1 어저스트 하우징(3670) 및 제 2 어저스트 하우징(368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어저스트 하우징(3670) 및 제 2 어저스트 하우징(3680)의 조립을 통해, 상기 제 1 볼힌지(3610), 제 1 볼캡(3630), 탄성부재(3650), 제 2 볼캡(3640) 및 제 2 볼힌지(3620)를 내부에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다.
상기 제 1 어저스트 하우징(3670)은 내부에 공간(AS1)이 형성된 제 1 어저스트 하우징바디(3672)와, 상기 제 1 어저스트 하우징바디(3672)의 후방 측(본 실시예에서 이동랙결합부(1024) 측)에 형성되고, 상기 공간(AS1)과 연통되는 상기 제 1 삽입구(3673)와, 상기 제 1 어저스트 하우징바디(3672)의 전방 측(본 실시예에서 스티어링그릴 측)에 형성되고, 상기 공간(AS1)과 연통되는 제 1 개구면(3671)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어저스트 하우징(3680)은 내부에 공간(AS2)이 형성된 제 2 어저스트 하우징바디(3682)와, 상기 제 2 어저스트 하우징바디(3682)의 전방 측(본 실시예에서 스티어링그릴 측)에 형성되고, 상기 공간(AS2)과 연통되는 상기 제 2 삽입구(3683)와, 상기 제 2 어저스트 하우징바디(3682)의 후방 측(본 실시예에서 이동랙결합부(1024))에 형성되고, 상기 공간(AS2)과 연통되는 제 2 개구면(3681)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어저스트 하우징(3670) 및 제 2 어저스트 하우징(3680)는 나사결합되고, 이를 위해 어느 하나에 암나사산(3685)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수나사산(3675)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어저스트 하우징바디(3682) 내측면에 암나사산(3685)이 형성되고, 제 1 어저스트 하우징바디(3672)의 외측면에 수나나산(3675)가 형성된다.
상기 어저스트 하우징(3660) 내부에는 제 1 볼힌지(3610) 및 제 2 볼힌지(3620)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볼힌지(3610) 및 제 2 볼힌지(3620)는 각각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볼힌지(3610)는 스티어링그릴(3450)에 대해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제 2 볼힌지(3620)는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볼힌지(3610)가 결합된 이동랙결합부(1024)는 제 1 삽입구(3673) 내에서 소정 범위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2 볼힌지(3620)가 결합된 어저스트 결합부(1088)(1089)는 제 2 삽입구(3683) 내에서 소정 범위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볼힌지(3610) 및 제 2 볼힌지(3620)는 서로 무관하게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스티어링그릴(3450)의 틸팅에 대응할 수 있다.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정면토출구(201)를 통해 도어어셈블리(200)의 전면(200a)보다 전방으로 더 도출된 프로젝션 상태를 제공한다. 상기 프로젝션 상태에서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방향이 조향된다.
프로젝션 상태일 때, 스티어링그릴(3450)의 전단(3452a)은 도어어셈블리(200)의 전면(200a) 보다 더 돌출되고,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전단(3452a) 및 도어어셈블리(200)의 전면(200a)은 돌출길이 P를 형성한다. 즉, 상기 돌출길이 P는 스티어링그릴(3450)의 전후 방향 두께의 절반일 수 있다.
프로젝션 상태일 때,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외측면(3451) 중 절반은 정면토출구(201) 밖에 위치되고, 나머지 절반은 상기 정면토출구(201) 안쪽에 위치된다.
특히, 프로젝션 상태일 때,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외측면(3451) 중 가장 바깥쪽(3451a)은 정면토출구(201) 또는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전면(200a)와 동일선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젝션 상태일 때, 상기 조인트어셈블리(1100)는 정면토출구(201)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정확하게는 프로젝션 상태일 때, 크로스액슬(1030)은 정면을 향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전면(200a)과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는 상기 중심축(C1)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는 상기 중심축(C1)의 좌측에 배치된다.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 및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는 상기 중심축(C1)에 대해 90도 사이각으로 배치한다.
이와 같은 배치는 스티어링그릴(3450)를 조향할 때,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 또는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의 작동을 최소화시키기 위함이다.
스티어링어셈블리의 이동랙(1020)가 최대 전진 및 최대 후진 상태의 중간을 초기위치라고 정의한다.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 또는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의 각 이동랙(1020)은 프로젝션 상태일 때 초기위치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조향각은 0 내지 15도로 형성된다.
스티어링그릴(3450)의 정면(본 실시예에서는 스티어링커버(3454))이 상기 중심축(C1)과 직교하거나 도어어셈블리(200)의 전면(200a)과 평행한 상태를 조향각 0으로 정의한다.
상기 이동랙(1020)이 전방 측 또는 후방측으로 최대 이동된 상태일 때, 조향각 15도를 형성한다.
제 1 스티어어링어셈블리(1001)를 예로 들면, 제 1 스티어어링어셈블리(1001)의 이동랙(1020)이 후방 측으로 최대이동되면, 스티어링그릴(3450)의 상측단이 후방측으로 조향되고, 스티어링그릴(3450)은 상측을 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스티어링커버(3454)는 상기 중심축(C1)에 대해 15도의 사이각을 형성한다. 상기 이동랙(1020)의 이동거리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조향각이 제어될 수 있다.
스티어링그릴(3450)의 조향방향,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의 이동랙(1020) 및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의 이동랙(1020)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의 이동랙 |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의 이동랙 | |
좌향 | 초기위치 | 후진 |
우향 | 초기위치 | 전진 |
상향 | 후진 | 초기위치 |
하향 | 전진 | 초기위치 |
좌상향 | 후진 | 후진 |
좌하향 | 전진 | 후진 |
우상향 | 후진 | 전진 |
우하향 | 전진 | 전진 |
스티어링그릴(3450)을 중심축(C1)에 대해 좌측으로 조향할 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만 작동시킨다.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의 이동랙(1020)은 초기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의 이동랙(1020)은 후진된다. 이 경우, 상기 조인트어셈블리(1100)를 중심으로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이 좌측으로 회전된다.
스티어링그릴(3450)을 중심축(C1)에 대해 우측으로 조향할 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만 작동시킨다.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의 이동랙(1020)은 초기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의 이동랙(1020)은 전진된다. 이 경우, 상기 조인트어셈블리(1100)를 중심으로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이 우측으로 회전된다.
스티어링그릴(3450)을 중심축(C1)에 대해 상측으로 조향할 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만 작동시킨다.
프로젝션 상태에서,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의 이동랙(1020)은 후진되고,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의 이동랙(1020)은 초기위에 위치된다. 이 경우, 상기 조인트어셈블리(1100)를 중심으로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이 상측으로 회전된다.
스티어링그릴(3450)을 중심축(C1)에 대해 하측으로 조향할 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만 작동시킨다.
프로젝션 상태에서,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의 이동랙(1020)은 전진되고,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의 이동랙(1020)은 초기위치에 위치된다. 이 경우, 상기 조인트어셈블리(1100)를 중심으로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이 하측으로 회전된다.
즉, 중심축(C1)에 대해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상측, 하측, 좌측 또는 우측으로 조향할 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 또는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 중 하나만을 작동시킨다.
다음으로 중심축(C1)에 대해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대각선 방향으로 조향할 때에는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 및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을 모두 작동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중심축(C1)에 대해 좌하측 대각선 방향으로 조향할 때, 프로젝션 상태에서,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의 이동랙(1020)은 전진되고,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의 이동랙(1020)은 후진된다. 이 경우, 상기 조인트어셈블리(1100)를 중심으로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이 좌하측으로 회전된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중심축(C1)에 대해 우상측 대각선 방향으로 조향할 때,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의 이동랙(1020)을 후진시키고,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의 이동랙(1020)을 전진시킨다.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중심축(C1)에 대해 좌상측 대각선 방향으로 조향할 때,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의 이동랙(1020)을 후진시키고,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의 이동랙(1020)을 후진시킨다.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중심축(C1)에 대해 우하측 대각선 방향으로 조향할 때,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의 이동랙(1020)을 전진시키고,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의 이동랙(1020)을 전진시킨다.
도 6 내지 11은,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의 이동랙(1020) 또는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의 이동랙(1020)의 최대 이동 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각 이동랙(1020)의 전진 또는 후진 거리를 조절하여, 조향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어셈블리(1000)는, 각 조향상태에서 임의의 다른 조향상태로 전환될 때, 즉시 조향이 이루어진다.
도 6의 좌측 조향에서 도 11의 우상측 대각선 방향으로 조향변경될 경우,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의 이동랙(1020)은 초기위치에서 후진되고,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의 이동랙은 후진위치에서 전진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어셈블리(1000)는 스티어링그릴(3450)을 현재 조향방향에서 목표 조향방향으로 즉시 조향변경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이 즉시 조향변경 가능하기 때문에, 실내의 타겟 영역이 실시간으로 변경되어도 상기 타겟 영역으로 직접풍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모듈을 통해 재실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직접풍 추적모드가 선택된 경우, 재실자가 실내를 이동하더라도 재실자에게 직접풍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직접풍 회피모드가 선택된 경우, 목표온도 및 실내온도의 온도차가 큰 영역 중, 재실자가 있는 위치를 피해 직접풍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캐비닛어셈블리
200 : 도어어셈블리
300 : 근거리팬 어셈블리 400 : 원거리팬 어셈블리
500 : 열교환어셈블리 600 : 필터어셈블리
1000 : 캐비닛어셈블리 1100 : 패널모듈
1200 : 도어커버어셈블리 1300 : 도어슬라이드모듈
1400 : 사이드무빙어셈블리 1500 : 디스플레이모듈
1600 : 도어커버무빙모듈 1700 : 도어하우징무빙모듈
1800 : 케이블가이드 1900 : 카메라모듈
3400 : 팬하우징어셈블리 3410 : 리어팬하우징
3420 : 팬 3530 : 프론트팬하우징
3440 : 팬모터 3450 : 스티어링그릴
3460 : 로어가이드하우징 3470 : 액추에이터
3480 : 제 1 가이드레일 3490 : 제 2 가이드레일
3510 : 에어가이드 3520 : 어퍼가이드하우징
3530 : 제 1 에어가이드 브래킷 3540 : 제 2 에어가이드 브래킷
3600 : 어저스트 어셈블리 3610 : 제 1 볼힌지
3620 : 제 2 볼힌지 3630 : 제 1 볼캡
3640 : 제 2 볼캡 3650 : 탄성부재
3660 : 어저스트 하우징
300 : 근거리팬 어셈블리 400 : 원거리팬 어셈블리
500 : 열교환어셈블리 600 : 필터어셈블리
1000 : 캐비닛어셈블리 1100 : 패널모듈
1200 : 도어커버어셈블리 1300 : 도어슬라이드모듈
1400 : 사이드무빙어셈블리 1500 : 디스플레이모듈
1600 : 도어커버무빙모듈 1700 : 도어하우징무빙모듈
1800 : 케이블가이드 1900 : 카메라모듈
3400 : 팬하우징어셈블리 3410 : 리어팬하우징
3420 : 팬 3530 : 프론트팬하우징
3440 : 팬모터 3450 : 스티어링그릴
3460 : 로어가이드하우징 3470 : 액추에이터
3480 : 제 1 가이드레일 3490 : 제 2 가이드레일
3510 : 에어가이드 3520 : 어퍼가이드하우징
3530 : 제 1 에어가이드 브래킷 3540 : 제 2 에어가이드 브래킷
3600 : 어저스트 어셈블리 3610 : 제 1 볼힌지
3620 : 제 2 볼힌지 3630 : 제 1 볼캡
3640 : 제 2 볼캡 3650 : 탄성부재
3660 : 어저스트 하우징
Claims (10)
- 도어어셈블리;
상기 도어어셈블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측을 향해 개구된 카메라개구부가 형성된 카메라모듈하우징;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카메라개구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가 배치되는 카메라바디;
상기 카메라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카메라제어부;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바디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카메라이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이동모듈의 작동 시, 상기 카메라는 상기 도어어셈블리의 상단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은 상기 도어어셈블리의 상측면을 커버하는 탑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개구부는 상기 탑월에 형성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정면토출구;
상기 정면토출구에 삽입되는 도어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커버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정면토출구를 개폐시키는 도어커버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은 상기 정면토출구 상측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상기 정면토출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의 상측면을 감싸게 형성된 도어커버탑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은 상기 도어커버탑월의 상측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정면토출구의 중심을 상하 방향으로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C) 상에 상기 카메라가 배치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이동모듈은, 상기 카메라바디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된 카메라무빙랙; 상기 카메라무빙랙와 치합되는 카메라무빙기어; 상기 도어어셈블리 측 구조물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무빙기어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카메라무빙모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무빙랙은,
상기 중심선(C)의 좌측에 배치된 제 1 카메라무빙랙; 상기 중심선(C)의 우측에 배치된 제 2 카메라무빙랙;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선(C)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카메라무빙랙 및 제 2 카메라무빙랙이 대칭되게 배치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어셈블리의 후방에 배치되는 캐비닛어셈블리;
상기 도어어셈블리 및 캐비닛어셈블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의 좌우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사이드무빙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무빙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어셈블리에 배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되는 제 1 탑레일; 상기 제 1 탑레일과 좌우 방향으로 상대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에 배치되는 제 2 탑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탑레일은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의 배면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상기 정면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모듈하우징이 조립되는 프론트패널;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를 상기 프론트패널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를 상기 정면토출구 밖으로 이동시키는 도어하우징무빙모듈;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0024953 | 2019-03-04 | ||
KR1020190024953 | 2019-03-0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6432A true KR20200106432A (ko) | 2020-09-14 |
KR102282398B1 KR102282398B1 (ko) | 2021-07-27 |
Family
ID=72471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7049A KR102282398B1 (ko) | 2019-03-04 | 2019-06-27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8239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048562A (zh) * | 2021-03-22 | 2021-06-29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空调器及其清洁方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14206A (ko) * | 2008-04-29 | 2009-11-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KR101191413B1 (ko) | 2009-08-18 | 2012-10-16 |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 |
CN203375535U (zh) | 2013-05-31 | 2014-01-01 |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 空调室内机 |
KR20140079109A (ko) | 2012-12-18 | 2014-06-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KR20170010293A (ko) | 2015-07-17 | 2017-01-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
2019
- 2019-06-27 KR KR1020190077049A patent/KR10228239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14206A (ko) * | 2008-04-29 | 2009-11-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KR101191413B1 (ko) | 2009-08-18 | 2012-10-16 |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 |
KR20140079109A (ko) | 2012-12-18 | 2014-06-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CN203375535U (zh) | 2013-05-31 | 2014-01-01 |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 空调室内机 |
KR20170010293A (ko) | 2015-07-17 | 2017-01-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048562A (zh) * | 2021-03-22 | 2021-06-29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空调器及其清洁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82398B1 (ko) | 2021-07-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35769B1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20200106433A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20210036901A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CN114383207B (zh) | 空调设备的室内机 | |
KR20240144043A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20200106432A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20240063075A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20210007728A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20240126025A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102220561B1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20210079899A (ko) | 공기조화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