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6311A - 블록체인을 이용한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을 이용한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6311A
KR20200106311A KR1020190024660A KR20190024660A KR20200106311A KR 20200106311 A KR20200106311 A KR 20200106311A KR 1020190024660 A KR1020190024660 A KR 1020190024660A KR 20190024660 A KR20190024660 A KR 20190024660A KR 20200106311 A KR20200106311 A KR 20200106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peer
block chain
block
block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희
이상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디어스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디어스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디어스토리
Priority to KR1020190024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6311A/ko
Publication of KR20200106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3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08Transfer of content, software, digital rights or licenses
    • G06F21/1085Content sharing, e.g. peer-to-peer [P2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Handling legal document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G06F2221/078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블록체인을 이용한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하며, 블록체인을 이용한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피어로 구성된 네트워크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콘텐츠에 대한 트랜잭션의 등록요청을 획득하고, 획득된 트랜잭션을 블록에 기록하여 블록체인을 생성하는 블록체인생성기 및 상기 콘텐츠의 트랜잭션의 등록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요청하고, 상기 트랜잭션이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블록으로 구성된 블록체인을 획득하는 피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을 이용한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NTENT USING BLOCK CHAIN}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네트워크를 통해 유통되는 콘텐츠에 대해 보안 논리를 갖는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콘텐츠에 대한 소유자의 소유권증명을 확인하여 저작권 침해를 방지하는 콘텐츠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디지털 콘텐츠의 증가와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교류가 활발해짐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의 보호를 위한 다양한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시스템은 콘텐츠의 승인되지 않은 사용을 방지하거나 또는 콘텐츠가 미디어상에 무단 저장되거나 신뢰할 수 없는 통신 채널로 전송되는 동안의 복제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콘텐츠를 암호화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를 위해, 해독 알고리즘 및 키는 신뢰받는 변조 방지(tampering-resistant)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모듈에 의해 관리되고, 콘텐츠의 이용을 특정하는 액세스 제어 규칙(고정되거나 설정가능)을 갖는다.
이와 같이 중앙 집중형 시스템은 시스템의 해킹 또는 암호키의 유출 등의 위험성이 존재하며, 시스템이 해킹되거나 암호키가 유출되는 경우 콘텐츠 소유자 이외의 사용 또는 콘텐츠의 무단 복사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하여 선행기술 문헌인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2-0068610호에서는 화이트박스 암호기법을 사용해 오프라인 환경에서도 저작권 콘텐츠인 DRM 콘텐츠 공유를 지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시큐어 스토리지가 필요 없는 이동형 저장 장치와 이를 이용한 저작권 콘텐츠 복호화 방법 및 화이트박스 암호테이블을 이용한 저작권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해 기술하고 있으나, 중앙집중형 시스템에 의해 콘텐츠가 관리됨에 따라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해서 블록체인에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정보를 기록함으로써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정보를 보호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소유한 사용자를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사용자에게 소유정보를 연계함으로써 하나의 콘텐츠 제공업체로부터 사용자 소유권 인증을 받은 사용자가 해당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에게도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피어로 구성된 네트워크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콘텐츠에 대한 트랜잭션의 등록요청을 획득하고, 획득된 트랜잭션을 블록에 기록하여 블록체인을 생성하는 블록체인생성기 및 상기 콘텐츠의 트랜잭션의 등록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요청하고, 상기 트랜잭션이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블록으로 구성된 블록체인을 획득하는 피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관리시스템이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피어가 상기 콘텐츠에 대한 트랜잭션의 등록요청을 적어도 하나의 피어로 구성된 네트워크인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요청하는 단계, 블록체인생성기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획득된 등록요청에 따라 상기 트랜잭션을 블록에 기록하여 블록체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피어가 상기 블록체인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관리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콘텐츠관리방법은, 피어가 상기 콘텐츠에 대한 트랜잭션의 등록요청을 적어도 하나의 피어로 구성된 네트워크인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요청하는 단계, 블록체인생성기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획득된 등록요청에 따라 상기 트랜잭션을 블록에 기록하여 블록체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피어가 상기 블록체인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관리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콘텐츠관리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콘테츠관리방법은, 피어가 상기 콘텐츠에 대한 트랜잭션의 등록요청을 적어도 하나의 피어로 구성된 네트워크인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요청하는 단계, 블록체인생성기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획득된 등록요청에 따라 상기 트랜잭션을 블록에 기록하여 블록체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피어가 상기 블록체인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블록체인을 이용한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해서 블록체인에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정보를 기록함으로써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정보를 분산하여 보호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소유한 사용자의 용이한 관리가 가능한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사용자에게 소유정보를 연계함으로써 하나의 콘텐츠 제공업체로부터 사용자 소유권 인증을 받은 사용자가 해당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에게도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관리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를 설명하기에 앞서,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의미를 먼저 정의한다.
‘트랜잭션’은 콘텐츠에 대한 권리 변동으로 콘텐츠의 저작권 등록 또는 콘텐츠의 사용권자가 변경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피어’는 콘텐츠에 대한 트랜잭션이 기록된 블록으로 구성된 블록체인을 저장하는 단말이고,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블록체인을 공유하는 복수의 피어로 구성된 네트워크이다.
위에 정의한 용어 이외에 설명이 필요한 용어는 아래에서 각각 따로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관리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콘텐츠관리시스템(100)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피어(10)와 블록체인생성기(2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피어(10)는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로서, 직접 또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피어(10)는 콘텐츠의 저작권에 대한 저작권정보 또는 콘텐츠 사용권한에 대한 트랜잭션 정보가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블록이 체인으로 연결된 블록체인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관리시스템(100)는 적어도 하나의 피어(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피어(10)는 네트워크(N)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으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피어(10)는 저장된 블록체인을 타 피어에 저장된 블록체인에 기초하여 동기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피어(10) 각각에 저장된 블록체인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피어(10)는 사용주체에 따라 제 1 피어(11), 저작권자피어(12), 제 2 피어(13)로 나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주체의 차이에 따른 구분으로 구성상의 차이에 의한 것이 아니다.
그리고 블록체인생성기(20)는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블록체인생성기(20)는 블록을 생성할 수 있고,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피어(10)간 콘텐츠의 트랜잭션 또는 콘텐츠 저작권에 대한 정보 등을 블록에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체인생성기(2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피어(10)로 콘텐츠의 저작권에 대한 정보 또는 콘텐츠의 트랜잭션이 기록된 블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생성기(20)는 피어(10)에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블록의 길이에 대한 정보인 블록높이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관리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피어(10)와 블록체인생성기(20)을 포함할 수 있다.
피어(10)는 입출력부(110), 제어부(120), 통신부(130), 메모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체인생성기(20)는 블록기록부(210), 블록체인관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피어(10)의 각 구성부를 설명한다. 입출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와, 작업의 수행 결과 또는 피어(10)의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부(11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 패널(operation panel) 및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는 키보드, 물리 버튼, 터치 스크린, 카메라 또는 마이크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는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출력부(110)는 다양한 입출력을 지원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피어(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입출력부(11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피어(1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메모리(140)에 저장된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부(120)는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정보의 등록을 후술할 불록체인생성기(20)에 요청할 수 있고, 저작권정보가 기록된 블록의 식별정보인 블록주소를 블록체인생성기(2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콘텐츠의 소유자 식별정보, 콘텐츠 정보 및 인증서를 포함하는 저작권정보를 블록체인생성기(20)에 제공할 수 있고, 블록체인생성기(20)가 블록을 생성하여 저작권정보를 기록한 블록의 식별정보인 블록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저작권정보가 기록된 블록은 실시예에 따라, 기 생성된 블록이 연결된 블록체인에 연결되거나 또는 시초 블록(genesis block)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타 피어로부터 콘텐츠 사용요청을 획득할 수 있으며, 콘텐츠 사용을 요청한 타 피어로부터 저작권인증코드 제공요청에 따라 저작권인증코드를 생성하여 타 피어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저작권인증코드는 저작자피어(12)가 저작권 인증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하기 위한 정보로 피어는 저작권인증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정보 또는 콘텐츠의 사용권 이전과 같은 트랜잭션 등을 블록에 기록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콘텐츠 사용을 요청한 타 피어로부터 저작권인증코드와 전자지갑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피어 전자지갑주소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피어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이에 제어부(120)는 블록체인생성기(20)로 타 피어로부터 획득된 저작권인증코드 및 전자지갑주소를 제공하여 블록에 콘텐츠에 대한 사용권자로 타 피어가 기록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블록체인생성기(20)로 저작권인증코드와 콘텐츠 사용을 요청한 타 피어의 전자지갑주소를 제공할 수 있고, 저작권 정보가 등록된 블록에 콘텐츠의 사용권자로 타 피어의 전자지갑주소를 기록함으로써 콘텐츠에 대한 사용권자로 타 피어가 기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20)는 사용자 인증 요청을 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서 생성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공개키 및 난수(저작자 또는 서비스운영자로부터 발급된 OTP를 통해 생성된 난수)를 이용하여 인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인증정보를 저작권인증코드를 이용하여 블록체인에 기록되도록 할 수 있으며 난수를 암호화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사용자 인증 요청에 따른 검증을 위해, 암호화된 난수를 복호화하여 추정된 인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추정된 인증정보와 블록체인에 기록된 인증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20)는 콘텐츠를 타 피어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블록체인생성기(20)로부터 블록에 사용권자 변경 기록이 완료되었음을 획득하면 저작권인증코드와 콘텐츠를 콘텐츠에 대한 사용권이 있는 타 피어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속한 타 피어에 저장된 블록체인과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블록 동기화 이벤트가 발생하면, 블록체인생성기(20)로부터 현재 블록체인의 블록높이정보(height)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블록체인생성기(20)로부터 블록체인의 길이에 대한 정보인 리드 블록의 높이를 획득할 수 있고, 메모리(140)에 저장된 블록체인의 블록높이정보와 상이한지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후술할 메모리(140)에 저장된 블록체인의 블록높이정보가 블록체인생성기(20)로부터 획득된 블록높이정보와 동일해질 때까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타 피어를 순회하면서 블록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블록체인에 부족한 블록이 모두 수신될 때까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피어를 순차적으로 순회할 수 있고, 순회하는 피어로부터 현재 블록높이정보의 역순으로 블록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고, 블록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3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칩셋(chipse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30)가 지원하는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가 지원하는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 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30)는 콘텐츠관리시스템(100)에 속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 피어 및 블록체인생성기(2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
메모리(140)에는 파일, 어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데이터를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메모리(140)는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으며, 블록에 저작권정보를 저장하는 저작권인증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정보 및 사용권자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블록이 체인형태로 연결된 블록체인을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블록체인생성기(20)의 각 구성을 설명한다. 블록체인생성기(20)의 블록기록부(210)는 콘텐츠의 저작권 및 사용권에 대한 정보를 블록에 기록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블록기록부(210)는 피어(10)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등록 요청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저작권정보를 블록에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기록부(210)는 저작자피어(12)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정보인 콘텐츠 소유자 식별정보, 콘텐츠 정보 및 인증서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고,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을 블록에 기록하여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블록기록부(210)는 피어(10)로부터 콘텐츠의 사용권자 변경을 블록에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기록부(210)는 저작자피어(12)로부터 콘텐츠의 사용권을 획득할 피어(10)의 전자지갑주소와 저작권인증코드를 획득할 수 있고, 저작권인증코드를 기초로 콘텐츠에 대한 사용권자가 기록된 블록에 전자지갑주소를 기록하여 콘텐츠에 대한 사용권자를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블록기록부(210)는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등록 요청 또는 사용권의 요청을 블록에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기록부(210)는 사용권자피어(11, 13)간 콘텐츠 사용권 변경 요청 또는 저작자피어(12)의 콘텐츠 저작권 등록 요청을 블록에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기록부(210)는 블록에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에 대한 정보 또는 콘텐츠의 트랜잭션(사용권의 변동 등)에 대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고, 블록을 생성하여 기 생성된 블록체인에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블록체인관리부(220)는 블록기록부(210)에서 생성된 블록체인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체인관리부(220)는 블록체인의 높이를 저장할 수 있고, 블록기록부(210)에서 생성된 블록이 블록체인에 연결될 때마다 블록체인의 블록높이를 갱신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체인관리부(220)는 블록기록부(210)에서 생성된 블록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피어(1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체인관리부(220)는 블록체인을 피어(10)로 제공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피어(10)에 동일한 블록체인이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관리방법은 도 2 에 도시된 콘텐츠관리시스템(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2 에 도시된 콘텐츠관리시스템(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관리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 은 콘텐츠 이용자가 저작권자로부터 콘텐츠를 획득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블록체인생성기(20)는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정보를 블록에 기록할 수 있다(S3001).
예를 들어, 저작자피어(12)는 저작권정보로 소유자 식별정보 및 콘텐츠 증명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저작권 증명서를 생성할 수 있고, 콘텐츠 저작권 증명서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블록체인생성기(2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체인생성기(20)는 콘텐츠에 대한 블록체인을 생성하여 저작자피어(12)로부터 획득된 콘텐츠 저작권 증명서를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체인생성기(20)는 S3001단계를 통해 저작권정보가 기록된 블록체인의 블록 주소를 저작자피어(12)로 제공할 수 있다(S3002).
예를 들어, 블록체인생성기(2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저작권정보인 콘텐츠 저작권 증명서가 기록된 블록체인의 블록주소를 저작자피어(12)로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피어(11)는 블록체인에 기록된 저작권정보를 기초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저작자피어(12)로 저작권인증코드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S3003).
이를 위해, 사용자피어(11)는 사용을 요청할 콘텐츠를 소유한 저작자피어(12)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피어(11)는 사용자가 사용을 원하는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검색할 수 있고, 검색된 블록체인에 포함된 저작권정보에 기초하여 저작자피어(12)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피어(11)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의 사용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저작자피어(12)로 요청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블록체인에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피어(11)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정보인 인증서 생성을 위해, 인증서를 식별할 수 있는 인증서 식별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인증서 식별정보 및 사용자가 생성한 임의의 제 1 난수를 이용하여 제 1 인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피어(11)는 임의의 난수값인 제 2 난수를 생성할 수 있고, 제 1 인증정보와 제 2 난수를 기초로 제 2 인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피어(11)는 제 2 난수를 암호화하고, 인증서 식별정보 및 사용자의 공개키를 기초로 인증서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피어(11)는 인증서 생성시 생성된 인증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록하기 위한 저작권인증코드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피어(11)는 제 2 인증정보, 인증서 식별정보 및 암호화된 제 2 난수를 블록체인에 기록하기 위해 저작권인증코드를 저작권피어(12)로 요청할 수 있고, 저작권인증코드를 획득하면 블록체인생성기(20)를 통해 제 2 인증정보, 인증서 식별정보 및 암호화된 제 2 난수를 블록체인에 기록할 수 있다.
이후, 저작자피어(12)는 S3003단계에서 사용자피어(11)의 저작권인증코드 요청에 응답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저작권인증코드를 사용자피어(11)로 제공할 수 있다(S3004).
그리고 저작자피어(12)가 사용자피어(11)의 요청에 따라 블록체인생성기(20)에 의해 제 2 인증정보, 인증서 식별정보 및 암호화된 제 2 난수가 블록체인에 저장됨을 감지하면, 저작자피어(12)는 사용자피어(11)를 인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작자피어(12)는 사용자피어(11)의 인증 요청에 포함된 인증정보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자피어(11)로부터 획득된 인증 요청에서 인증서 식별정보 및 제 1 난수를 추출하여 추정된 제 1 인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작자피어(12)는 블록으로부터 암호화된 제 2 난수를 획득하여 복호화를 수행하고, 추정된 제 1 인증정보 및 복호화된 제 2 난수를 기초로 추정된 제 2 인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추정된 제 2 인증정보와 블록에 저장된 제 2 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피어(11)는 저작자피어(12)로 콘텐츠 사용권 요청을 할 수 있다(S3005).
예를 들어, 사용자피어(11)는 저작자피어(12)로 S3004단계에서 획득된 저작권인증코드와 사용자피어(11)의 전자지갑주소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작자피어(12)는 S3005단계에서 사용자피어(11)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블록체인생성기(20)에 콘텐츠의 사용권자로 사용자피어(11)를 등록요청할 수 있으며(S3006), 피어(11)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S3007).
예를 들어, 사용자피어(11)는 S3004단계에서 획득된 저작권인증코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사용자피어(11)를 식별하는 정보인 전자지갑주소를 저작자피어(12)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저작자피어(12)는 사용자피어(11)를 콘텐츠 사용권자로 등록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요청할 수 있으며, 블록체인생성기(20)는 사용자피어(11)의 전자지갑주소를 블록에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작자피어(12)는 사용자피어(11)로부터 획득된 전자지갑주소를 블록체인생성기(20)로 전달할 수 있고, 블록체인생성기(20)는 저작자피어(12)가 소유한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정보를 기록한 블록체인에 이어 콘텐츠의 사용권에 대한 이전기록을 사용자피어(11)의 전자지갑주소와 함께 블록에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작자피어(12)는 사용자피어(11)로 저작권인증코드와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작자피어(12)는 콘텐츠의 사용권에 대한 이전기록이 블록체인에 기록되면, 저작권인증코드와 콘텐츠를 사용자피어(11)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 는 피어간 콘텐츠 사용권 이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제 2 사용자피어(13)는 콘텐츠의 사용권을 갖는 제 1 사용자피어(11)로 콘텐츠 제공 요청할 수 있다(S4001).
이때, 제 2 사용자피어(13)는 제 1 사용자피어(11)로 사용자 인증을 요청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증 과정은 도 3 에서 상술된 사용자 인증 과정과 동일하게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사용자피어(13)는 콘텐츠를 제공받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사용자피어(13)는 제 1 사용자피어(11)로 콘텐츠 제공 요청과 함께 제 2 사용자피어(13)의 전자지갑주소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사용자피어(11)가 콘텐츠 사용권을 갖는 피어가 아닌 경우, 제 1 피어(11)는 제 2 사용자피어(12)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4002).
이와 달리 제 1 사용자피어(11)가 콘텐츠 사용권을 갖는 피어인 경우, 제 1 사용자피어(11)는 저작자피어(12)로 콘텐츠 사용권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S4003).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피어(11)는 저작권인증코드, 사용자 변경 요청, 제 2 사용자피어(12)의 전자지갑주소를 저작자피어(12)로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저작자피어(12)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사용자 변경을 요청할 수 있고, 블록체인생성기(20)는 저작권인증코드, 사용자 변경 코드에 기초하여 콘텐츠에 대한 사용권자의 변경을 블록체인에 기록할 수 있다(S4004).
그리고 제 1 사용자피어(11)는 제 2 사용자피어(13)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S4005).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피어(11)는 제 2 사용자피어(13)로 저작권인증코드와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 는 피어의 블록체인을 동기화하는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피어(10)가 블록동기화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면, 피어(10)는 블록체인생성기(20)로부터 블록높이정보(height)를 획득할 수 있다(S5001).
예를 들어, 피어(10)는 기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블록체인생성기(20)로부터 블록높이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현재 블록높이정보와 피어(10)에 저장된 블록체인의 블록높이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피어(10)에 저장된 블록체인의 블록높이정보가 상이하면, 피어(10)는 부족한 블록이 모두 수신될 때까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포함된 피어를 순차적으로 순회하면서, 타 피어로부터 블록을 획득하여 블록체인을 동기화할 수 있다(S5002).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피어(11)는 피어 리스트에 포함된 피어들을 순차적으로 순회하면서 블록을 요청할 제 2 사용자피어(13)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제 2 사용자피어(13)로 마지막 높이에 해당하는 블록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사용자피어(13)로 요청한 블록이 수신되면, 제 1 사용자피어(11)는 블록체인의 부족한 블록이 수신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 1 사용자피어(11)가 제 2 사용자피어(13)로 요청한 블록을 획득하지 못하면, 제 1 사용자피어(11)는 피어 리스트에서 제 2 사용자피어(13)를 제외하고 피어 리스트를 재순회한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 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관리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명령어 및 데이터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기록 매체일 수 있는데, 컴퓨터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는 HDD 및 SS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 매체, CD,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 등과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에 포함되는 메모리일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5 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관리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 내지 도 5 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관리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콘텐츠관리방법
10: 피어
11: 제 1 사용자피어, 12: 저작자피어, 13: 제 2 사용자피어
110: 입출력부, 120: 제어부, 130: 통신부, 140: 메모리
20: 블록체인생성기
210: 블록기록부, 220: 블록체인관리부

Claims (18)

  1.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피어로 구성된 네트워크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콘텐츠에 대한 트랜잭션의 등록요청을 획득하고, 획득된 트랜잭션을 블록에 기록하여 블록체인을 생성하는 블록체인생성기; 및
    상기 콘텐츠의 트랜잭션의 등록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요청하고, 상기 트랜잭션이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블록으로 구성된 블록체인을 획득하는 피어를 포함하는, 콘텐츠관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어는,
    상기 블록체인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콘텐츠의 저작권 등록 및 상기 콘텐츠의 사용권 변경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요청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트랜잭션이 기록된 블록을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콘텐츠관리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랜잭션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소유권을 인증하는 식별정보인 저작권인증코드를 획득하고, 획득된 저작권인증코드를 상기 콘텐츠의 사용권 변경을 요청한 피어로 제공하는, 콘텐츠관리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록체인의 길이에 대한 정보인 블록높이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생성기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타 피어의 블록체인에 기초하여 동기화를 수행하는, 콘텐츠관리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생성기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에 기록하는 블록기록부; 및
    상기 트랜잭션이 기록된 블록으로 구성된 블록체인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블록체인관리부를 포함하는, 콘텐츠관리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기록부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피어로부터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등록 요청을 획득하고, 상기 저작권 등록 요청에 대응하여 저작권인증코드를 제공하는, 콘텐츠관리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기록부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피어로부터 상기 콘텐츠에 대한 사용권 변경 요청을 획득하면, 상기 피어로부터 획득된 저작권인증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피어의 소유여부를 인증하고, 인증된 콘텐츠에 대한 사용권 변경요청을 상기 블록에 기록하는, 콘텐츠관리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관리부는,
    상기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블록의 길이에 대한 정보인 블록높이정보를 상기 피어로 제공하는, 콘텐츠관리시스템.
  9. 콘텐츠관리시스템이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피어가 상기 콘텐츠에 대한 트랜잭션의 등록요청을 적어도 하나의 피어로 구성된 네트워크인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요청하는 단계;
    블록체인생성기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획득된 등록요청에 따라 상기 트랜잭션을 블록에 기록하여 블록체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피어가 상기 블록체인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관리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잭션의 등록요청을 적어도 하나의 피어로 구성된 네트워크인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피어는 상기 콘텐츠의 저작권 등록 및 상기 콘텐츠의 사용권 변경 중 어느 하나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관리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블록체인생성기가 상기 트랜잭션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소유권을 인증하는 식별정보인 저작권인증코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블록체인생성기가 획득된 저작권인증코드를 상기 콘텐츠의 사용권 변경을 요청한 피어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관리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관리방법은,
    상기 피어가 상기 블록체인의 길이에 대한 정보인 블록높이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생성기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피어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타 피어의 블록체인에 기초하여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관리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관리방법은,
    상기 블록체인생성기가 상기 트랜잭션이 기록된 블록으로 구성된 블록체인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관리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블록체인생성기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피어로부터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등록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체인생성기가 상기 저작권 등록 요청에 대응하여 저작권인증코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관리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블록체인생성기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피어로부터 상기 콘텐츠에 대한 사용권 변경 요청을 획득하면, 상기 피어로부터 획득된 저작권인증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피어의 소유여부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체인생성기가 인증된 콘텐츠에 대한 사용권 변경요청을 상기 블록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관리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관리방법은,
    상기 블록체인생성기가 상기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블록의 길이에 대한 정보인 블록높이정보를 상기 피어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관리방법.
  17. 제 9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8. 콘텐츠관리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며, 제 9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024660A 2019-03-04 2019-03-04 블록체인을 이용한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063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660A KR20200106311A (ko) 2019-03-04 2019-03-04 블록체인을 이용한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660A KR20200106311A (ko) 2019-03-04 2019-03-04 블록체인을 이용한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311A true KR20200106311A (ko) 2020-09-14

Family

ID=72471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660A KR20200106311A (ko) 2019-03-04 2019-03-04 블록체인을 이용한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63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3191A1 (ko) * 2022-09-19 2024-03-28 주식회사 레드윗 Ipfs를 위해 콘텐츠 id를 분배하는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3191A1 (ko) * 2022-09-19 2024-03-28 주식회사 레드윗 Ipfs를 위해 콘텐츠 id를 분배하는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7032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저작권 보호 장치 및 저작권 보호 방법
JP6876790B2 (ja) カーネルイベントトリガ
US9647992B2 (en) Secure transfer and tracking of data using removable nonvolatile memory devices
US9342701B1 (en)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for provisioning content to an intelligent storage
US9424400B1 (en)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transfer of content and distribution
US9424439B2 (en) Secure data synchronization
US9223988B1 (en) Extending browser functionality with dynamic on-the-fly downloading of untrusted browser components
US20160191544A1 (en) User termina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driving method of user terminal, driving method of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encryption indexing-based search system
CN103581196B (zh) 分布式文件透明加密方法及透明解密方法
US20140380058A1 (en) Process Authentication and Resource Permissions
KR20200015821A (ko) 관련 디바이스들 간의 동기화 및 검증 그룹들
JP2014211903A (ja) ネットワークを介して個人携帯端末にデータを伝送する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US845298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igrating content licenses
US20160078244A1 (en) Secured file system management
US9514325B2 (en) Secured file system management
US20160180102A1 (en) Computer program,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data management
US201502059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ata sharing
TW201530344A (zh) 應用程式存取保護方法及應用程式存取保護裝置
TW201502850A (zh) 文件授權管理系統、終端裝置、文件授權管理辦法以及計算機可讀記錄媒體
US2012016679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and using comment on content in distributed network system
CN104796412A (zh) 端到端云服务系统及对其敏感数据的访问方法
US11734394B2 (en) Distributed license encryption and distribution
US1134309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ncrypting shared information through its lifecycle
KR20200106311A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20150269360A1 (en) Control method and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