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6277A - 객체 활동 측정과 분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객체 활동 측정과 분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6277A
KR20200106277A KR1020190024574A KR20190024574A KR20200106277A KR 20200106277 A KR20200106277 A KR 20200106277A KR 1020190024574 A KR1020190024574 A KR 1020190024574A KR 20190024574 A KR20190024574 A KR 20190024574A KR 20200106277 A KR20200106277 A KR 20200106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ctivity state
camera
event detection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은
박상준
엄기문
이소연
조은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24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6277A/ko
Publication of KR20200106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2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8Determining activity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6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 A61B5/1128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using image analy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Image Analysi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객체활동 측정과 분석을 하기 위한 객체 활동측정 분석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객체 활동측정 분석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움직이는 객체를 추적하여 식별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또는 이동 가능한 객체식별 카메라로부터 객체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객체의 특정 이벤트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또는 이동 가능한 이벤트감지 카메라로부터 이벤트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객체에 부착된 객체부착 센서로부터 상기 객체의 생체신호 정보 및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상태 정보를 상기 객체로부터 수신하는 측위 앵커(anchor)를 통해 상기 객체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객체식별 정보, 이벤트감지 정보 및 객체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활동상태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객체 활동 측정과 분석 방법 및 장치{METHOD FOR ESTIMATION AND ANALYSIS OF OBJECT ACTIVITY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객체 활동 추적 및 분석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경기장 내에서 활동하는 선수 및/또는 운동 장비의 활동을 영상 장치 및 무선센서를 이용해서 실시간 측정 및 분석하여 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선수 활동 분석 기술은 다수의 영상 장비를 이용하여 훈련 및/또는 경기를 진행 중인 선수들의 위치 및 이동 궤적을 검출 및 추적하여 기록한 후 해당 훈련 및/또는 경기의 종료 후 활용되어 실제 경기 훈련 도중이나 경기 도중에 감독(코칭 스태프 등 포함) 관리자에게의 실시간 분석 정보 제공이 어려웠다.
즉, 사후에 해당 기록들을 이용해서 개별 선수들의 총 운동력, 순간 순도, 평균 속도 등의 개인 운동 능력 평가에 활용되는 관계로, 실제 경기 도중의 선수의 신체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활용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선수 활동 분석 기술에서 경기나 훈련 중 발생한 특정 이벤트(선수의 반칙 행위, 슈팅 행위나 부상 상황 발생 등)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영상 분석관이 촬영된 영상을 직접 분석하면서 그러한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경기 및/또는 훈련 중인 선수들을 자동 식별한 후 해당 선수의 신체 상태를 실시간으로 자동 분석하고, 부상이나 반칙 등의 특정 이벤트 상황 발생을 실시간 자동 파악하여 관리감독자에게 관련 정보를 제공함을 통해 선수 관리 감독 및 경기력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선수활동 분석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기 및/또는 훈련 중인 선수들을 자동 식별한 후 해당 선수의 신체 상태를 실시간으로 자동 분석하고, 부상이나 반칙 등의 특정 이벤트 상황 발생을 실시간 자동 파악하여 관리감독자에게 관련 정보를 제공함을 통해 선수 관리 감독 및 경기력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선수활동 분석 시스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활동상태 분석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움직이는 객체를 추적하여 식별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또는 이동 가능한 객체식별 카메라로부터 객체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객체의 특정 이벤트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또는 이동 가능한 이벤트감지 카메라로부터 이벤트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객체에 부착된 객체부착 센서로부터 상기 객체의 생체신호 정보 및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상태 정보를 상기 객체로부터 수신하는 측위 앵커(anchor)를 통해 상기 객체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객체식별 정보, 이벤트감지 정보 및 객체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활동상태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활동상태 분석방법은 상기 생성된 객체에 대한 분석 정보를 관리감독자용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객체는 경기에 참여중인 선수 및 상기 경기에 사용되는 용품 중 적어도 하나이다.
또한, 상기 객체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식별 카메라로부터 상기 객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국소(local) 객체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국소 객체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전역(global)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벤트정보감지 카메라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감지 카메라로부터 상기 객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국소(local) 이벤트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국소 이벤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전역(global) 이벤트감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활동상태 분석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한 객체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또는 이동 가능한 객체 식별 카메라, 상기 객체에 대한 이벤트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또는 이동 가능한 이벤트감지 카메라, 상기 객체에 부착되어 상기 객체의 생체신호 정보 및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부착센서, 상기 객체부착센서로부터 상기 객체상태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위 앵커(anchor) 및 상기 객체식별 정보, 이벤트감지 정보 및 상기 측위 앵커가 전송하는 객체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활동상태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고정 또는 이동 가능한 객체 활동상태 분석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객체 활동상태 분석서버는 상기 객체에 대한 활동상태분석 정보를 관리감독자용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객체는 경기에 참여중인 선수 및 상기 경기에 사용되는 용품 중 적어도 하나이다.
또한, 상기 객체식별 카메라는 상기 객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국소(local) 객체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국소 객체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전역(global) 식별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이벤트정보감지 카메라는 상기 객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국소(local) 이벤트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국소 이벤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전역(global) 이벤트감지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활동상태 추적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움직이는 객체를 추적하여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또는 이동이 가능한 고해상도 카메라로부터의 상기 객체에 대한 촬영 영상 프레임을 프레임 동기화 펄스에 맞추어 동기화하여 캡쳐(capture)하는 단계, 상기 캡쳐된 객체촬영 영상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객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국소(local) 객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국소 객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역 객체를 검출하여 추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활동상태 추적방법은 상기 고해상도 카메라의 촬영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고해상도 카메라를 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활동상태 추적방법은 상기 고해상도 카메라의 촬영 영상과 촬영 대상 공간을 맵핑(mapp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훈련 또는 경기 중인 선수나 해당 훈련 또는 경기에 사용되는 경기용품의 상태 및/또는 특정 이벤트 발생 여부를 실시간으로 자동 파악 및 분석하여 선수의 경기력 향샹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활동상태 분석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검출 방법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활동상태 분석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몇몇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실시예들로부터 관념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모든 변경, 변형,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제시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 어떤 용어의 의미를 정의할 경우 해 용어는 그 정의된 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활동상태 분석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활동상태 분석방법은 경기 및/또는 훈련 중인 선수(또는 경기용품)의 경기 및/또는 훈련 시의 활동상태를 측정하고 분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활동상태 분석 방법에서의 객체는 경기 및/또는 훈련 중인 선수나 해당 경기/및 또는 훈련에 사용되는 경기용품(축구공 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활동상태 분석서버(370)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식별 카메라(이동 또는 고정 가능함)(340)가 전송하는 객체식별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수신한다(S1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식별 카메라(340)는 통신 기능을 갖춘 다중 영상 기반 영상장비로서 실시간으로 경기 및/또는 훈련 중인 선수, 심판, 공이나 배트, 원반(원반 던지기에서 사용됨)과 같은 경기용품을 식별한다.
특히 선수나 심판의 경우 착용 유니폼(형태, 색깔 등 포함)이나 등번호 등을 다중 영상 처리 기법을 이용해 식별검출하고 추적한다. 또한 경기에 사용되는 공과 같은 경기용품도 다중 영상 처리 기법을 이용해 식별검출 및 추적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활동상태 분석서버(370)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감지 카메라(이동 또는 고정 가능함) (350)으로부터 이벤트감지(이벤트태깅이라 칭할 수 있음)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수신한다(S120). 이벤트감지 카메라(350)는 자동으로 선수나 심판의 특정 행동(슈팅, 패스, 점프, 판정 동작 등)을 식별하고 특정한 경기 이벤트(골인, 반칙 발생, 부상 상황 등)를 실시간 감지한 후 해당 이벤트에 대한 감지정보(감지한 상황 및 식별 대상에 대한 정보 포함)인 이벤트감지 정보를 생성하여 객체 활동상태 분석서버(370)로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감지 카메라는 선수나 심판의 신체중 관절부위의 틀어짐 정도(각도의 변화정도)를 측정하여 부상 발생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활동상태 분석서버(370)는 적어도 하나의 측위 앵커(이동 또는 고정 가능함) (360)으로부터 객체상태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수신한다(S130). 측위 앵커(360)는 선수나 심판에 부착된 웨어러블(wearable) 센서 및/또는 경기용품에 부착된 센서로부터 선수나 심판의 생체신호 및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 및/또는 경기용품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측위 앵커(360)는 그 수신한 생체신호 및/또는 위치 정보를 객체상태정보로 해서 객체 활동상태 분석서버(370)으로 전달한다(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식별 정보, 이벤트감지 정보, 및 객체상태 정보의 전송은 전송순서 상에 우선 순위가 없으며 어떠한 신호라도 먼저 객체 활동상태 분석서버(370)으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수나 심판의 생체 신호는 호흡수, 심박수, 체온, 순간 속도, 파워량 등을 포함한다(그러나 이러한 것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어떠한 생체신호도 포함한다).
이러한 신호들을 수신한 객체 활동상태 분석서버(370)는 해당 신호들을 분석한다(S140). 분석과정을 통해 객체를 식별하고, 해당 객체의 신체 상태와 같은 경기력 관련 정보를 도출한다. 또한 부상이나 득점, 반칙 상황 등의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도출한다. 객체 활동상태 분석서버는 도출된 객체의 경기력 관련 정보 및 이벤트 발생 정보를 객체상태 정보로 하여 감독, 코칭스태프와 같은 관리감독자가 소유한 디바이스(380)로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전송한다(S150).
객체상태 정보의 구체적 예로는 식별된 객체에 대한 생체신호 체력분석 평가 정보, 식별된 객체에 대한 관절상태, 부상위험 정도, 개인별 경기력 정도에 대한 분석 평가 정보가 가능하다. 이러한 객체상태 정보를 활용하여 관리감독자는 팀전략전술을 평가하고 분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활동상태 분석서버에서의 객체를 식별하고 추적하는 검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활동상태 분석서버에서의 객체 식별검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하나 이상의 객체식별 카메라(210)은 프레임 동기화 펄스 발생기(220)의 펄스 신호에 맞추어 경기장 내 객체(선수, 심판, 경기용품 등)를 촬영하여 객체 활동상태 분석서버(230)으로 전송한다.
객체 활동상태 분석서버(230)는 수신한 영상정보를 영상프레임 캡쳐부(240)에서 영상을 캡쳐한다. 이때 객체 활동상태 분석서버(230) 내 포함된 카메라 교정부(280)는 복수의 객체식별 카메라(210)로부터 전송된 영상정보를 교정할 수 있다.
이후 국소객체 검출부(250)에서 복수의 객체식별 카메라의 촬영 영상에서 객체들을 검출하고 추적한다. 국소객체 검출부(250)에서 검출된 객체는 국소객체라 칭한다. 즉, 복수의 객체식별 카메라(210) 중 특정 객체식별 카메라에서 식별된 객체와 다른 객체식별 카메라에서 촬영된 동일한 객체를 국소객체로 다룬다.
객체식별 카메라마다 객체에 대한 전체 형상이 포착될 수도 있고 일부 형상만 포착될 수도 있으므로 이렇게 포착된 객체를 국소객체로서 취급한다. 국소객체 검출부(250)는 이러한 국소객체를 검출하고 추적한다.
객체 활동상태 분석서버(230)의 영상맵핑부(260)은 경기장 공간과 수신한 영상정보를 맵핑(mapping)한다. 이러한 맵핑처리와 국소객체를 추적결과를 바탕으로 전역객체 검출추적부(270)에서 객체(이 단계에서의 객체는 전역(global)객체라 칭한다)를 식별검출하고 추적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활동상태 분석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활동상태 분석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경기장(310) 내 선수나 감독(경기용품(330)도 포함)에게 부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부착 센서(320)는 부착 대상인 선수나 감독의 생체신호 및/또는 위치정보를 측위 앵커(360)나 객체 활동상태 분석서버(370)으로 직접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위 앵커(360)는 생체신호 및/또는 위치 정보를 객체상태정보로 해서 객체 활동상태 분석서버(370)로 유무선 방식으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식별 카메라(340)는 고정 또는 이동형 카메라로서 경기장의 천정 등 선수, 심판 및 경기용품과 같은 객체의 움직임을 포착하기 용이한 곳에 설치가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식별 카메라(340)는 통신 기능을 갖춘 다중 영상 기반 영상장비로서 실시간으로 경기 및/또는 훈련 중인 선수, 심판, 공이나 배트, 원반(원반 던지기에서 사용됨)과 같은 경기용품을 식별 검출하고 추적한다. 또한 그 식별검출한 객체에 대한 영상정보를 객체 활동상태 분석서버(370)으로 유무선 방식을 통해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감지 카메라(350)는 자동으로 선수나 심판의 특정 행동(슈팅, 패스, 점프, 판정 동작 등)을 식별하고 특정한 경기 이벤트(골인, 반칙 발생, 부상 상황 등)를 실시간 감지한 후 해당 이벤트에 대한 감지정보(감지한 상황 및 식별 대상에 대한 정보 포함)인 이벤트감지 정보를 생성하여 객체 활동상태 분석서버(370)로 유무선 방식으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활동상태 분석서버(370)는 객체 식별카메라(240), 이벤트 감지 카메라(350), 측위 앵커(360)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들을 수신하여 분석한다. 분석과정을 통해 객체를 식별하고, 해당 객체의 신체 상태와 같은 경기력 관련 정보를 도출한다.
또한 부상이나 득점, 반칙 상황 등의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도출한다. 객체 활동상태 분석서버는 도출된 객체의 경기력 관련 정보 및 이벤트 발생 정보를 객체상태 정보로 하여 감독, 코칭스태프와 같은 관리감독자가 소유한 디바이스(380)로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전송한다. 구체적인 객체 식별 방법은 도 2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식별 검출방법을 따른다.
한편, 전술한 각 구성은 각각이 별도의 장치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와 이해의 증진을 위한 예시적 설명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각 객체 식별 카메라 및 이벤트감지 카메라는 하나의 영상 장비 모듈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고, 둘이나 그 이상의 장치로 분할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실시예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명세서의 교시와 시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내의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하여짐이 마땅하다.

Claims (13)

  1. 적어도 하나의 움직이는 객체를 추적하여 식별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또는 이동 가능한 객체식별 카메라로부터 객체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객체의 특정 이벤트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또는 이동 가능한 이벤트감지 카메라로부터 이벤트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객체에 부착된 객체부착 센서로부터 상기 객체의 생체신호 정보 및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상태 정보를 상기 객체로부터 수신하는 측위 앵커(anchor)를 통해 상기 객체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객체식별 정보, 이벤트감지 정보 및 객체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활동상태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객체 활동상태 분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객체에 대한 분석 정보를 관리감독자용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객체 활동상태 분석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경기에 참여중인 선수 및 상기 경기에 사용되는 용품 중 적어도 하나인, 객체 활동상태 분석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식별 카메라로부터 상기 객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국소(local) 객체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국소 객체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전역(global)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객체 활동상태 분석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정보감지 카메라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감지 카메라로부터 상기 객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국소(local) 이벤트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국소 이벤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전역(global) 이벤트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객체 활동상태 분석방법.
  6.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한 객체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또는 이동 가능한 객체 식별 카메라;
    상기 객체에 대한 이벤트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또는 이동 가능한 이벤트감지 카메라;
    상기 객체에 부착되어 상기 객체의 생체신호 정보 및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부착센서;
    상기 객체부착센서로부터 상기 객체상태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위 앵커(anchor) 및
    상기 객체식별 정보, 이벤트감지 정보 및 상기 측위 앵커가 전송하는 객체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활동상태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고정 또는 이동 가능한 객체 활동상태 분석서버를 포함하는 객체 활동상태 분석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활동상태 분석서버는 상기 객체에 대한 활동상태분석 정보를 관리감독자용 장치로 전송하는 객체 활동상태 분석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경기에 참여중인 선수 및 상기 경기에 사용되는 용품 중 적어도 하나인, 객체 활동상태 분석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식별 카메라는 상기 객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국소(local) 객체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국소 객체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전역(global)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객체 활동상태 분석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정보감지 카메라는 상기 객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국소(local) 이벤트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국소 이벤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전역(global) 이벤트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객체 활동상태 분석시스템.
  11. 적어도 하나의 움직이는 객체를 추적하여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또는 이동이 가능한 고해상도 카메라로부터의 상기 객체에 대한 촬영 영상 프레임을 프레임 동기화 펄스에 맞추어 동기화하여 캡쳐(capture)하는 단계;
    상기 캡쳐된 객체촬영 영상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객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국소(local) 객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국소 객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역 객체를 검출하여 추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객체 활동상태 추적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해상도 카메라의 촬영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고해상도 카메라를 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객체 활동상태 추적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해상도 카메라의 촬영 영상과 촬영 대상 공간을 맵핑(mapp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객체 활동상태 추적방법.
KR1020190024574A 2019-03-04 2019-03-04 객체 활동 측정과 분석 방법 및 장치 KR202001062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574A KR20200106277A (ko) 2019-03-04 2019-03-04 객체 활동 측정과 분석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574A KR20200106277A (ko) 2019-03-04 2019-03-04 객체 활동 측정과 분석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277A true KR20200106277A (ko) 2020-09-14

Family

ID=72471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574A KR20200106277A (ko) 2019-03-04 2019-03-04 객체 활동 측정과 분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62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hiteside et al. Monitoring hitting load in tennis using inertial sensors and machine learning
US10628678B2 (en) Classification of activity derived from multiple locations
US11348256B2 (en) Determining X,Y,Z,T biomechanics of moving actor with multiple cameras
US11348255B2 (en) Techniques for object tracking
Chambers et al. The use of wearable microsensors to quantify sport-specific movements
Bai et al. weSport: Utilising wrist-band sensing to detect player activities in basketball games
CN107871120A (zh) 基于机器学习的体育赛事理解系统及方法
US11798318B2 (en) Detection of kinetic events and mechanical variables from uncalibrated video
Lemmink et al. Tactical performance analysis in invasion games: Perspectives from a dynamic system approach with examples from soccer
Chambers et al. Validity of a microsensor-based algorithm for detecting scrum events in rugby union
CN107543548B (zh) 活动人员定位装置及活动数据获取设备
US20150092980A1 (en) Tracking program and method
O'Day et al. Comparison of head impact location during games and practices in Division III men's lacrosse players
Jones et al. Change of direction and agility
Yeo et al. Augmented learning for sports using wearable head-worn and wrist-worn devices
Chalkley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ensor-Based Algorithm for Detecting the Visual Exploratory Actions
CN109718524B (zh) 一种基于位置的投篮训练系统
KR20200106277A (ko) 객체 활동 측정과 분석 방법 및 장치
Baca Feedback systems
EP4212218A1 (en) A method, computer program, apparatus and system for recording tennis sporting event as from game start and stop detection
Sato et al. Commonality of Motions Having Effective Features with Respect to Methods for Identifying the Moves Made during Kumite Sparring in Karate.
Wylde An investigation into the use of inertial measurement units to assess the loading profiles of adolescent Badminton players.
Akyüz Innovative Technologies in Volleyball
Hedgecock Relationships between throwing velocity and selected kinematics in youth baseball players
Gianikellis INNOVATIVE METHODOLOGY FOR BENCHMARKING GPS AND INERTIAL SENSORS TECHNOLOGIES FOR PERFORMANCE ANALYSIS AND INJURY PREVENTION IN SOCC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