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5712A - 서비스 전송 방법 및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서비스 전송 방법 및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5712A
KR20200105712A KR1020207022843A KR20207022843A KR20200105712A KR 20200105712 A KR20200105712 A KR 20200105712A KR 1020207022843 A KR1020207022843 A KR 1020207022843A KR 20207022843 A KR20207022843 A KR 20207022843A KR 20200105712 A KR20200105712 A KR 20200105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information
area
configuration information
link configu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2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엔화 료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05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7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1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neighbour cel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2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resource information of target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6Reselecting a communication resource in the serving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3Cell handover without a predetermined boundary, e.g. virtual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비스 전송 방법 및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를 개시하는바, 상기 서비스 전송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서비스를 위해 제1 영역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제1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서비스의 제1 연결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서비스 영역 내에서 이동할 때 핸드오버 과정을 실행할 필요가 없다.

Description

서비스 전송 방법 및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비스 전송 방법 및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에서의 핸드오버는, 이동 단말이 기지국 사이에서 서비스 전송을 수행할 때,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기존에 사용되던 채널로부터 보다 적합한 하나의 채널로의 서비스 전송 이전이 필요한 과정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이 상이한 네트워크 영역 사이에서 이동하는 과정에 있어서, 핸드오버 방식을 통해 상이한 네트워크 영역 사이에서 서비스의 연속성을 구현해야 한다. 그러나, 핸드오버 과정은 서비스의 중단을 쉽게 초래하여, 사용자의 체험이 비교적 떨어지게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서비스 전송 방법과 장치, 및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전송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서비스를 위해 제1 영역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제1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서비스의 제1 연결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서비스 영역 내에서 이동할 때 핸드오버 과정을 실행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서비스를 위해 대응되는 제1 연결을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제1 연결을 구축할 때, 상기 제1 서비스의 서비스 속성에 따라,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영역 정보에는, 등록 영역 리스트 정보, 추적 영역 리스트 정보, 셀 리스트 정보, 주파수 포인트 리스트 정보, 접속망 페이징 영역 리스트 정보, 서비스 영역 정보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링크 구성 정보에는, 에어 인터페이스 자원 구성 정보, 네트워크 기기간 링크 구성 정보, 보안 구성 정보 및 비접속 계층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영역 정보 및 상기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브로드캐스트 정보로부터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도록,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운반하는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링크 구성 정보는 상기 영역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유효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서비스를 위해 제1 영역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영역 구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서비스를 위해 상기 제1 영역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에는, 단말 레벨 정보, 단말 타입 정보, 상기 제1 서비스의 속성 정보,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 및 단말 이동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전송 방법으로서,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와의 제1 서비스의 제1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 상기 제1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은 제1 영역임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서비스의 제1 연결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서비스 영역 내에서 이동할 때 핸드오버 과정을 실행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제1 연결을 구축할 때,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영역 정보에는, 등록 영역 리스트 정보, 추적 영역 리스트 정보, 셀 리스트 정보, 주파수 포인트 리스트 정보, 접속망 페이징 영역 리스트 정보, 서비스 영역 정보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링크 구성 정보에는, 에어 인터페이스 자원 구성 정보, 네트워크 기기간 링크 구성 정보, 보안 구성 정보 및 비접속 계층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영역 정보 및 상기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링크 구성 요청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브로드캐스트 정보는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반송함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브로드캐스트 정보로부터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링크 구성 정보는 상기 영역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유효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링크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링크 구성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영역 내에 있을 때, 로컬에 저장된 링크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전송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업데이트된 링크 구성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업데이트된 링크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영역을 벗어날 때,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저장된 링크 구성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상기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서비스를 위해 상기 제1 영역이 설정되도록,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영역 구축 요청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에는, 단말 레벨 정보, 단말 타입 정보, 상기 제1 서비스의 속성 정보,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 및 단말 이동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되는 서비스 전송 장치로서, 제1 서비스를 위해 제1 영역을 구성하도록 구성된 구성 유닛; 단말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제1 연결을 구축하도록 구성된 구축 유닛; 및 상기 제1 서비스의 제1 연결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통신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서비스 영역 내에서 이동할 때 핸드오버 과정을 실행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서비스를 위해 대응되는 제1 연결을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서비스의 서비스 속성에 따라,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및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 기기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영역 정보에는, 등록 영역 리스트 정보, 추적 영역 리스트 정보, 셀 리스트 정보, 주파수 포인트 리스트 정보, 접속망 페이징 영역 리스트 정보, 서비스 영역 정보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링크 구성 정보에는, 에어 인터페이스 자원 구성 정보, 네트워크 기기간 링크 구성 정보, 보안 구성 정보 및 비접속 계층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영역 정보 및 상기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 기기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브로드캐스트 정보로부터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게 하도록,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운반하는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링크 구성 정보는 상기 영역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유효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영역 구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서비스를 위해 상기 제1 영역을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에는, 단말 레벨 정보, 단말 타입 정보, 상기 제1 서비스의 속성 정보,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 및 단말 이동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단말 기기에 적용되는 서비스 전송 장치로서, 네트워크 기기와의 제1 서비스의 제1 연결을 구축하도록 구성된 구축 유닛 - 상기 제1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은 제1 영역임 - ; 및 상기 제1 서비스의 제1 연결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통신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서비스 영역 내에서 이동할 때 핸드오버 과정을 실행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영역 정보에는, 등록 영역 리스트 정보, 추적 영역 리스트 정보, 셀 리스트 정보, 주파수 포인트 리스트 정보, 접속망 페이징 영역 리스트 정보, 서비스 영역 정보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링크 구성 정보에는, 에어 인터페이스 자원 구성 정보, 네트워크 기기간 링크 구성 정보, 보안 구성 정보 및 비접속 계층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영역 정보 및 상기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링크 구성 요청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수신하여 - 상기 브로드캐스트 정보는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반송함 - , 상기 브로드캐스트 정보로부터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링크 구성 정보는 상기 영역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유효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링크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링크 구성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영역 내에 있을 때, 로컬에 저장된 링크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전송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업데이트된 링크 구성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업데이트된 링크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영역을 벗어날 때,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저장된 링크 구성 정보를 삭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영역 구축 요청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상기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서비스를 위해 상기 제1 영역이 설정되게 하도록 구성된 서비스 영역 요청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에는, 단말 레벨 정보, 단말 타입 정보, 상기 제1 서비스의 속성 정보,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 및 단말 이동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컴퓨터 저장 매체로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이 저장되어 있되,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서비스 전송 방법이 구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방안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서비스를 위해 제1 영역을 구성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제1 연결을 구축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서비스의 제1 연결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전송을 수행하되,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이동할 때 핸드오버 과정을 실행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방안에 의하면, 특정 서비스에 대해 특정 서비스 영역을 구성하여, 해당 특정 서비스를 전송하는 단말 기기가 해당 특정 서비스 영역 내에서 이동할 때 핸드오버 과정을 실행할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어,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설명되는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추가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출원의 일부를 구성하며,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및 그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대한 부당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는다.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5G 네트워크의 시스템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4G 네트워크의 시스템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서비스 전송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 1이다.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서비스 전송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 2이다.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서비스 전송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도 1이다.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서비스 전송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도 2이다.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의 컴퓨터 기기의 예시적인 구성도 2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특징과 기술적 내용이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아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실시예의 구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첨부된 도면은 설명 참조용에 불과하며 본 발명 실시예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5G 네트워크의 시스템 아키텍처를 도시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5G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련된 기기는, 단말(UE, User Equipment), 무선 접속망(RAN, Radio Access Network), 사용자 평면 기능(UPF, User Plane Function), 데이터 네트워크(DN, Data Network), 코어 접속 및 이동성 관리 기능(AMF, Core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세션 관리 기능(SMF, Session Management Function), 정책 제어 기능(PCF, Policy Control function), 응용 기능(AF, Application Function), 인증 서버 기능(AUSF, Authentication Server Function), 및 통합 데이터 관리(UDM, Unified Data Management)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4G 네트워크의 시스템 아키텍처를 도시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G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련된 기기는, 단말(UE, User Equipment), 진화된 범용 지상파 무선 접속망(E-UTRAN,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네트워크 요소,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 Serving GPRS Support Node), 홈 가입자 서버(HSS, Home Subscriber Server),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DN Gateway, Packet Data Network Gateway), 및 정책 및 과금 규칙 기능(PCRF, 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을 포함한다.
상기 도 1 및 도 2의 예시는 단지 본 발명 실시예의 일 네트워크 아키텍처 실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 실시예는 상기 도 1 및 도 2와 같은 네트워크 구성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서비스 전송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 1이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전송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301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는 제1 서비스를 위해 제1 영역을 구성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가 특정 서비스를 위해 특정 서비스 영역을 구성하는바, 예를 들어 네트워크 기기는 제1 서비스를 위해 제1 영역을 구성한다. 이해해야 할 점이라면, 네트워크 기기는 또한 다른 서비스를 위해, 예를 들어 제2 서비스를 위해 제2 서비스 영역을 구성하고, 제3 서비스를 위해 제3 서비스 영역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서비스를 위해 대응되는 제1 연결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서비스의 제1 연결은, 제1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말 기기가 제1 영역 내에서 이동할 때 핸드오버 과정을 실행할 필요가 없어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는 등 특징을 갖는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영역 구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서비스를 위해 상기 제1 영역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에는, 단말 레벨 정보, 단말 타입 정보, 상기 제1 서비스의 속성 정보,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 및 단말 이동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단계 302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제1 연결을 구축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제1 연결을 구축할 때, 상기 제1 서비스의 서비스 속성에 따라,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 기기로 송신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영역 정보에는, 등록 영역 리스트 정보, 추적 영역 리스트 정보, 셀 리스트 정보, 주파수 포인트 리스트 정보, 접속망 페이징 영역 리스트 정보, 서비스 영역 정보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방안에 있어서, 영역 정보는 연속적 영역 정보일 수도 있고, 비연속적 영역 정보일 수도 있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링크 구성 정보에는, 에어 인터페이스 자원 구성 정보, 네트워크 기기간 링크 구성 정보, 보안 구성 정보 및 비접속 계층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은 방식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방식 1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영역 정보 및 상기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 기기로 송신한다.
방식 2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브로드캐스트 정보로부터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도록,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운반하는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송신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링크 구성 정보는 상기 영역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유효하다.
본 발명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상기 방식 1 또는 방식 2를 통해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링크 구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일 실시 형태로서,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링크 구성 정보에 업데이트가 발생하면, 단말 기기가 상기 방식 1 또는 방식 2를 통해,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업데이트된 링크 구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가 제1 영역에 진입할 경우, 상기 방식 1을 통해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링크 구성 정보를 획득한 다음, 상기 방식 2를 통해,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링크 구성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한다.
단계 303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1 서비스의 제1 연결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전송을 수행하되,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서비스 영역 내에서 이동할 때 핸드오버 과정을 실행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이 이동하여 해당 영역 내의 네트워크 내로 진입할 경우, 저장된 링크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내의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통해 새로운 링크 구성을 수신하고, 새로운 링크 구성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서비스 전송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 2이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전송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401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와의 제1 서비스의 제1 연결을 구축하되, 상기 제1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은 제1 영역이다.
본 발명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제1 연결을 구축할 때,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영역 정보에는, 등록 영역 리스트 정보, 추적 영역 리스트 정보, 셀 리스트 정보, 주파수 포인트 리스트 정보, 접속망 페이징 영역 리스트 정보, 서비스 영역 정보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링크 구성 정보에는, 에어 인터페이스 자원 구성 정보, 네트워크 기기간 링크 구성 정보, 보안 구성 정보 및 비접속 계층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방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은 방식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방식 1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영역 정보 및 상기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링크 구성 요청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방식 2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브로드캐스트 정보로부터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링크 구성 정보는 상기 영역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유효하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링크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링크 구성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영역 내에 있을 때, 로컬에 저장된 링크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전송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업데이트된 링크 구성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업데이트된 링크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전송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영역을 벗어날 때,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저장된 링크 구성 정보를 삭제한다. 상기 단말 기기가 이동하여 제2 서비스 영역에 진입할 때, 상기 방식 1 또는 방식 2를 통해 제2 서비스에 대응되는 링크 구성 정보를 획득하며, 이해해야 할 점이라면 이때 제2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이 바로 상기 제2 서비스 영역이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영역에 있을 때, 로컬에 저장된 링크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전송을 수행하며, 상기 방식 1 또는 방식 2를 통해, 업데이트된 링크 구성 정보를 획득한 후, 업데이트된 링크 구성 정보로 기존의 이전 링크 구성 정보를 대체함으로써, 업데이트된 링크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402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서비스의 제1 연결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전송을 수행하되,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서비스 영역 내에서 이동할 때 핸드오버 과정을 실행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기기가 서비스 구축 시에, 구축된 서비스(즉 제1 서비스)를 위해 그에 대응되는 서비스 영역(제1 영역)을 구축할 것을 네트워크 기기에 요청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상기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서비스를 위해 제1 영역이 설정되도록,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에 대한 서비스 영역 구축 요청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한다. 일 실시 형태로서, 상기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에는, 단말 레벨 정보, 단말 타입 정보, 상기 제1 서비스의 속성 정보,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 및 단말 이동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서비스 전송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서비스 전송 장치는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전송 장치는, 제1 서비스를 위해 제1 영역을 구성하도록 구성된 구성 유닛(501); 단말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제1 연결을 구축하도록 구성된 구축 유닛(502); 및 상기 제1 서비스의 제1 연결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통신 유닛(503)을 포함하되,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서비스 영역 내에서 이동할 때 핸드오버 과정을 실행할 필요가 없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구성 유닛(501)은 또한, 상기 제1 서비스를 위해 대응되는 제1 연결을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서비스의 서비스 속성에 따라,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504); 및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 기기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505)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영역 정보에는, 등록 영역 리스트 정보, 추적 영역 리스트 정보, 셀 리스트 정보, 주파수 포인트 리스트 정보, 접속망 페이징 영역 리스트 정보, 서비스 영역 정보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링크 구성 정보에는, 에어 인터페이스 자원 구성 정보, 네트워크 기기간 링크 구성 정보, 보안 구성 정보 및 비접속 계층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505)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영역 정보 및 상기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 기기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505)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브로드캐스트 정보로부터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도록,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운반하는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링크 구성 정보는 상기 영역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유효하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구성 유닛(501)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영역 구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서비스를 위해 상기 제1 영역을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에는, 단말 레벨 정보, 단말 타입 정보, 상기 제1 서비스의 속성 정보,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 및 단말 이동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도 5에 도시된 서비스 전송 장치 내의 각 유닛의 구현 기능은 전술한 바와 같은 서비스 전송 방법의 관련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서비스 전송 장치 내의 각 유닛의 기능은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고, 구체적인 논리적 회로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서비스 전송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도 2이다. 본 실시예의 서비스 전송 장치는 단말 기기에 적용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전송 장치는, 네트워크 기기와의 제1 서비스의 제1 연결을 구축하도록 구성된 구축 유닛(601) - 상기 제1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은 제1 영역임 - ; 및 상기 제1 서비스의 제1 연결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통신 유닛(602)을 포함하되,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서비스 영역 내에서 이동할 때 핸드오버 과정을 실행할 필요가 없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603)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영역 정보에는, 등록 영역 리스트 정보, 추적 영역 리스트 정보, 셀 리스트 정보, 주파수 포인트 리스트 정보, 접속망 페이징 영역 리스트 정보, 서비스 영역 정보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링크 구성 정보에는, 에어 인터페이스 자원 구성 정보, 네트워크 기기간 링크 구성 정보, 보안 구성 정보 및 비접속 계층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603)은, 상기 영역 정보 및 상기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링크 구성 요청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603)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수신하여 - 상기 브로드캐스트 정보는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반송함 - , 상기 브로드캐스트 정보로부터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링크 구성 정보는 상기 영역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유효하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링크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링크 구성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유닛(604)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602)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영역 내에 있을 때, 로컬에 저장된 링크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전송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업데이트된 링크 구성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업데이트된 링크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저장 유닛(604)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영역을 벗어날 때,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저장된 링크 구성 정보를 삭제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영역 구축 요청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상기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서비스를 위해 상기 제1 영역이 설정되게 하도록 구성된 서비스 영역 요청 유닛(605)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에는, 단말 레벨 정보, 단말 타입 정보, 상기 제1 서비스의 속성 정보,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 및 단말 이동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해야 할 점이라면, 도 6에 도시된 서비스 전송 장치 내의 각 유닛의 구현 기능은 전술한 바와 같은 서비스 전송 방법의 관련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서비스 전송 장치 내의 각 유닛의 기능은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고, 구체적인 논리적 회로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 실시예의 상기 서비스 전송 장치는 만약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의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될 경우,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 실시예의 기술적 방안은 본질적인 또는 종래기술에 대해 기여를 한 부분이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되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이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하나의 컴퓨팅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에 의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가 수행되도록 약간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저장 매체에는 USB 메모리, 이동 하드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Only Memory),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가 포함된다. 이로써, 본 발명 실시예는 임의의 특정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상응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이 저장되어 있되,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본 발명 실시예의 상기와 같은 서비스 전송 방법이 구현되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의 컴퓨터 기기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며, 해당 컴퓨터 기기는 단말 기기일 수도 있고, 네트워크 기기일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기기(100)는 하나 또는 복수(도면에는 하나만 도시됨)의 프로세서(1002)(프로세서(1002)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CU, Micro Controller Unit)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 소자(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과 같은 처리 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1004) 및 통신 기능을 위한 전송 장치(1006)를 포함할 수 있다.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시피, 도 7에 도시된 구성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상기 전자 장치의 구성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컴퓨터 기기(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에 비해 많거나 또는 적은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상이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메모리(1004)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방법에 대응되는 프로그램 명령/모듈과 같은 응용 소프트웨어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1002)가 메모리(1004) 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기능 응용 및 데이터 처리를 실행, 즉 상기와 같은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메모리(1004)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복수의 자기성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비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예에 있어서, 메모리(1004)는 프로세서(1002)에 대해 원격 배치된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원격 메모리는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 기기(1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의 실예로서, 인터넷, 인트라넷, 랜(LAN), 이동 통신망 및 이들의 조합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송 장치(1006)는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 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네트워크의 구체적인 실예로서, 컴퓨터 기기(100)의 통신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네트워크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예로서, 전송 장치(1006)는 하나의 네트워크 어댑터(NIC, Network Interface Controller)를 포함하며, 이는 기지국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 기기와 상호 연결되어 인터넷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예로서, 전송 장치(1006)는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 모듈일 수 있으며, 이는 무선 방식을 통해 인터넷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적 방안들은 충돌되지 않은 한 임의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실시예들에 있어서, 개시된 방법 및 스마트 기기를 다른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응당 이해해야 한다. 상기 설명된 기기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 불과하며,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분리는 단지 논리적 기능상의 분리에 불과하고 실제 구현 시에 다른 분리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복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가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하나의 시스템에 집적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이 생략되거나 또는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또는 언급된 각 구성 요소 상호간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기기 또는 유닛을 통한 간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상기에서 분리된 컴포넌트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컴포넌트는 물리적인 유닛이거나 아닐 수 있으며, 즉 하나의 지점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각 기능 유닛은 모두 하나의 제2 처리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고, 각 유닛이 단독적으로 하나의 유닛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 내에 집적될 수도 있다. 상기 집적된 유닛은 하드웨어 형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조합된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된 기술 범위 내에서 변화 또는 치환을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고, 이들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45)

  1. 서비스 전송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서비스를 위해 제1 영역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제1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서비스의 제1 연결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서비스 영역 내에서 이동할 때 핸드오버 과정을 실행할 필요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서비스를 위해 대응되는 제1 연결을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제1 연결을 구축할 때, 상기 제1 서비스의 서비스 속성에 따라,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정보에는, 등록 영역 리스트 정보, 추적 영역 리스트 정보, 셀 리스트 정보, 주파수 포인트 리스트 정보, 접속망 페이징 영역 리스트 정보, 서비스 영역 정보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구성 정보에는, 에어 인터페이스 자원 구성 정보, 네트워크 기기간 링크 구성 정보, 보안 구성 정보 및 비접속 계층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방법.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영역 정보 및 상기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방법.
  7.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브로드캐스트 정보로부터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도록,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운반하는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방법.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구성 정보는 상기 영역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유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서비스를 위해 제1 영역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영역 구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서비스를 위해 상기 제1 영역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에는, 단말 레벨 정보, 단말 타입 정보, 상기 제1 서비스의 속성 정보,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 및 단말 이동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방법.
  11. 서비스 전송 방법으로서,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와의 제1 서비스의 제1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 상기 제1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은 제1 영역임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서비스의 제1 연결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서비스 영역 내에서 이동할 때 핸드오버 과정을 실행할 필요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제1 연결을 구축할 때,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정보에는, 등록 영역 리스트 정보, 추적 영역 리스트 정보, 셀 리스트 정보, 주파수 포인트 리스트 정보, 접속망 페이징 영역 리스트 정보, 서비스 영역 정보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구성 정보에는, 에어 인터페이스 자원 구성 정보, 네트워크 기기간 링크 구성 정보, 보안 구성 정보 및 비접속 계층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방법.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영역 정보 및 상기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링크 구성 요청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방법.
  16.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브로드캐스트 정보는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반송함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브로드캐스트 정보로부터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방법.
  17.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구성 정보는 상기 영역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유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방법.
  18. 제1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링크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링크 구성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영역 내에 있을 때, 로컬에 저장된 링크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전송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업데이트된 링크 구성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업데이트된 링크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방법.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영역을 벗어날 때,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저장된 링크 구성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방법.
  21. 제1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상기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서비스를 위해 상기 제1 영역이 설정되도록,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영역 구축 요청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에는, 단말 레벨 정보, 단말 타입 정보, 상기 제1 서비스의 속성 정보,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 및 단말 이동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방법.
  23.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되는, 서비스 전송 장치로서,
    제1 서비스를 위해 제1 영역을 구성하도록 구성된 구성 유닛;
    단말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제1 연결을 구축하도록 구성된 구축 유닛; 및
    상기 제1 서비스의 제1 연결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통신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서비스 영역 내에서 이동할 때 핸드오버 과정을 실행할 필요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서비스를 위해 대응되는 제1 연결을 구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비스의 서비스 속성에 따라,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및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 기기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정보에는, 등록 영역 리스트 정보, 추적 영역 리스트 정보, 셀 리스트 정보, 주파수 포인트 리스트 정보, 접속망 페이징 영역 리스트 정보, 서비스 영역 정보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장치.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구성 정보에는, 에어 인터페이스 자원 구성 정보, 네트워크 기기간 링크 구성 정보, 보안 구성 정보 및 비접속 계층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장치.
  28.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영역 정보 및 상기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 기기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장치.
  29.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브로드캐스트 정보로부터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도록,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운반하는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장치.
  30. 제25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구성 정보는 상기 영역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유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장치.
  31. 제23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영역 구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서비스를 위해 상기 제1 영역을 구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에는, 단말 레벨 정보, 단말 타입 정보, 상기 제1 서비스의 속성 정보,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 및 단말 이동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장치.
  33. 단말 기기에 적용되는, 서비스 전송 장치로서,
    네트워크 기기와의 제1 서비스의 제1 연결을 구축하도록 구성된 구축 유닛 - 상기 제1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은 제1 영역임 - ; 및
    상기 제1 서비스의 제1 연결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통신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서비스 영역 내에서 이동할 때 핸드오버 과정을 실행할 필요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정보에는, 등록 영역 리스트 정보, 추적 영역 리스트 정보, 셀 리스트 정보, 주파수 포인트 리스트 정보, 접속망 페이징 영역 리스트 정보, 서비스 영역 정보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장치.
  36.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구성 정보에는, 에어 인터페이스 자원 구성 정보, 네트워크 기기간 링크 구성 정보, 보안 구성 정보 및 비접속 계층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장치.
  37. 제34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영역 정보 및 상기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링크 구성 요청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장치.
  38. 제34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수신하여 - 상기 브로드캐스트 정보는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반송함 - , 상기 브로드캐스트 정보로부터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영역 정보 및 링크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장치.
  39. 제34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구성 정보는 상기 영역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유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장치.
  40. 제34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링크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링크 구성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영역 내에 있을 때, 로컬에 저장된 링크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전송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업데이트된 링크 구성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업데이트된 링크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의 상기 제1 서비스의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장치.
  42. 제40항 또는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영역을 벗어날 때, 상기 제1 서비스에 대응되는 저장된 링크 구성 정보를 삭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장치.
  43. 제33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영역 구축 요청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상기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서비스를 위해 상기 제1 영역이 설정되게 하도록 구성된 서비스 영역 요청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에는, 단말 레벨 정보, 단말 타입 정보, 상기 제1 서비스의 속성 정보,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 및 단말 이동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전송 장치.
  45.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이 저장되어 있되,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단계 또는 제1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
KR1020207022843A 2018-01-08 2018-01-08 서비스 전송 방법 및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KR202001057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8/071813 WO2019134174A1 (zh) 2018-01-08 2018-01-08 一种业务传输方法及装置、计算机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712A true KR20200105712A (ko) 2020-09-08

Family

ID=67144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2843A KR20200105712A (ko) 2018-01-08 2018-01-08 서비스 전송 방법 및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336956A1 (ko)
EP (1) EP3739951A4 (ko)
JP (1) JP2021514566A (ko)
KR (1) KR20200105712A (ko)
CN (1) CN111630893A (ko)
AU (1) AU2018399651A1 (ko)
WO (1) WO20191341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28106A (zh) * 2021-01-18 2022-07-29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用于实现移动性管理的方法和用户终端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16170A1 (en) * 2000-03-28 2002-02-07 Transcept, Inc. Using simulcast to improve wireless system functionality along corridors
CN201263163Y (zh) * 2008-09-18 2009-06-24 亓胜田 光电隔离有源恒流远距离数字信号传输中继器
WO2011002974A1 (en) * 2009-07-02 2011-01-06 Research In Motion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mobile voice service management
KR101233184B1 (ko) * 2010-08-13 201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레인징 신호 전송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레인징 신호 수신방법 및 기지국
CN105407465B (zh) * 2014-08-06 2019-08-23 北京信威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无线集群组网方法和系统
WO2016028314A1 (en) * 2014-08-22 2016-02-25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Low latency service connection setup in new service area
EP3678419B1 (en) * 2015-09-16 2022-09-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obility management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14566A (ja) 2021-06-10
US20200336956A1 (en) 2020-10-22
EP3739951A4 (en) 2020-12-30
EP3739951A1 (en) 2020-11-18
CN111630893A (zh) 2020-09-04
AU2018399651A1 (en) 2020-08-27
WO2019134174A1 (zh) 201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00040B2 (ja) 通信方法、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コア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及びユーザ装置
EP3687259B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CN110505662B (zh) 一种策略控制方法、装置及系统
US20200344725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 storage medium
EP3790316B1 (en) Method and device for acquiring terminal capability
US20200336956A1 (en) Service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 storage medium
WO2019196963A1 (zh) 接入网络切片的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AU2017443403A1 (en) Method and terminal for redirecting network, access network device, and mobile management device
US11051268B2 (en) Service activation and deactivation metho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WO2019090788A1 (zh) 一种触发网络切换的方法及装置、计算机存储介质
EP3735024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EP3174331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itiating mobility management process
US11419176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EP3742775A1 (en) Method and device for terminal to report information, and computer storage medium
RU2748165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и компьютерный носитель данных
EP4156795A1 (en) Network slice rejection at tai and amf level
US20200359393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