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5590A - Apparatus for Rehabilitating trismu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habilitating trism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5590A
KR20200105590A KR1020190024123A KR20190024123A KR20200105590A KR 20200105590 A KR20200105590 A KR 20200105590A KR 1020190024123 A KR1020190024123 A KR 1020190024123A KR 20190024123 A KR20190024123 A KR 20190024123A KR 20200105590 A KR20200105590 A KR 20200105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mouthpiece
moving
move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1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61608B1 (en
Inventor
권호범
이정배
최성재
김규리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디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디메텍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4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1608B1/en
Publication of KR20200105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5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6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 A63B23/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for face muscles
    • A63B23/03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for face muscles for insertion in the mouth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rehabilitating trismus. The apparatus for rehabilitating trismus comprises: an apparatus body unit; a mouthpiece fixing unit fixed to a front part of the apparatus body unit; a mouthpiece moving unit disposed on the front part of the apparatus body unit to be able to lift and move, and having a vertical interval with the mouthpiece fixing unit, which is variable, as being lifted; a forced moving unit installed on the apparatus body unit, and sequentially engaged with gear teeth included in the mouthpiece moving unit to sequentially move the mouthpiece moving unit at set intervals; and a movement control unit installed on the apparatus body unit, and executing or releasing a locking operation of the forced moving unit.

Description

개구장애 재활장치{Apparatus for Rehabilitating trismus}Apparatus for Rehabilitating trismus}

본 발명은 개구장애 재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턱관절 장애 환자 및 악안면 결손으로 개구장애를 겪고 있는 환자의 치료와 훈련을 위한 개구장애 재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erture disorder rehabilit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erture disorder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treatment and training of a patient with a jaw joint disorder and a patient suffering from an aperture disorder due to a maxillofacial defect.

통상 개구장애(Trismus)는 환자가 정상적인 범위로 입을 벌리지 못하는 모든 상태의 장애를 말한다.In general, trismus refers to any disorder in which the patient cannot open his mouth in a normal range.

정상적인 개구량은 개략적으로 40-60 mm 정도이다. 상기 개구량은 상하악 전치 사이의 거리 측정하여 취득된다.The normal opening amount is approximately 40-60 mm. The amount of opening is obtained by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anterior teeth.

임상적으로 개구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검지 손가락의 손톱 부위의 폭(FB: Finger breadth)을 사용한다.The method of clinically measuring the amount of opening is the finger breadth (FB) of the index finger.

상기 검지 손가락의 손톱 부위의 폭은 대개 17-19mm 정도를 이루며, 정상적으로 환자들은 2FB, 3FB가 정상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남성의 개구량이 여성에 비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 width of the nail area of the index finger is usually about 17-19mm, and patients normally have 2FB and 3FB. In addition, it is known that men's opening amount is generally larger than that of women.

개구장애(Trismus)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Trismus has the following problems.

음식섭취를 힘들게 하여(스프, 미음 등의 식이제한) 영양 상태의 불균형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구강 위생이 불량해 질 수 있다. 치과 치료를 하기 어렵다. 언어 장애가 발생된다. 안면 외형에 좋지 못한 영향을 준다. 목, 어깨 통증 및 합병증을 유발한다. 사회 활동에도 영향을 주며, 우울감을 동반해 결과적으로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낳는 문제점들이 있다Difficulty eating food (diet restrictions such as soup and rice) can lead to an imbalance in nutritional status. It can also lead to poor oral hygiene. It is difficult to do dental treatment. Speech impairment occurs. It adversely affects the appearance of the face. Causes neck and shoulder pain and complications. There are problems that affect social activities and lead to depression that results in poor quality of life.

개구 장애(Trismus)의 원인과 질환은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다. 개구장애의 주요 원인 질환으로는 측두하악관절장애, 악관절 강직, 구강암, 두경부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약물치료, 치성감염, 악안면골절, 선천성 질환, 관절염, 화상, 피부경화증, 기타질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악안면 골절(교통사고, 외상, 폭력, 낙상 등의 이유)로 인해 발생할 수 있고 특히 하악골절의 경우 동통으로 인해서도 개구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며, 편측성일 경우 86.7%, 양측성일 경우 100% 개구장애가 나타난다. 그 밖에 파상풍 감염을 보이는 환자의 약 75%에서 개구장애가 관찰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우리나라 전체로 보아서는 구간의 약 5%에서 개구장애 증상을 보인다고 집계되고 있다 (통계청, 2010년) 대한민국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08년-2012년까지'턱관절 장애'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진료인원은 연평균 9.3%씩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The causes and diseases of Trismus are very diverse and complex. The main causes of open disorder include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temporomandibular joint stiffness, oral cancer, head and neck surgery, radiation therapy, anticancer drug treatment, dental infection, maxillofacial fracture, congenital disease, arthritis, burns, sclerosis, and other diseases. have. In addition, it can be caused by a maxillofacial fracture (for reasons such as traffic accident, trauma, violence, falls, etc.).In particular, in the case of mandibular fractures, an opening disorder may occur due to pain, and 86.7% of the unilateral and 100% of the bilateral cases appear . In addition, it is reported that about 75% of patients with tetanus infection have an open impairment. In Korea as a whole, it is counted that about 5% of the sections show symptoms of open disability (Statistics Office, 2010).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provided data on health insurance medical expenses for'jaw joint disorder' from 2008 to 2012.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number of medical personnel is increasing by 9.3% per year on average.

이에 따른 개구 장애를 극복 또는 예방할 수 있도록 환자의 마우스 개구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함과 아울러, 측정된 개구량으로 반복적으로 개구 훈련을 자발적으로 실시하도록 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There is a need to develop a technology capable of measuring the amount of mouth opening of a patient in real time so as to overcome or prevent the obstruction of the opening accordingly, and to voluntarily perform opening training repeatedly with the measured amount of opening.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6-0109283호(공개일: 2016.09.21)가 있다.Prior literatur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6-0109283 (published date: September 21, 2016).

본 발명의제 1목적은환자의 개구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개구장애 재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of an opening disorder capable of finely adjusting the amount of opening in a patient.

또한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환자의 개구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개구장애 재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erture disorder rehabilitation device capable of checking a patient's aperture in real time.

또한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환자의 개구량을 조절함과 동시에 환자 개인의 치아 교합면에서의 압력 분포를 측정할 수 있는 개구장애 재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habilitation device for an opening disorder capable of measuring a pressure distribution on the occlusal surface of an individual patient while adjusting the amount of opening of a patient.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개구장애 재활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pening disorder rehabilitation device.

상기 개구장애 재활장치는 장치 몸체부와;상기 장치 몸체부의 전방부에 고정되는 마우스피스 고정부와;상기 장치 몸체부의 전방부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승강됨에 따라 상기 마우스피스 고정부와의 상하 간격이 가변되는 마우스피스 이동부와;상기 장치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마우스 피스이동부에 포함되는 기어이에 순차적으로 걸려 상기 마우스 피스이동부를 설정된 간격으로 순차적 이동시키는 강제 이동부; 및,상기 장치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강제 이동부의 걸림 동작을 실시 또는 해제시키는 이동 규제부;를 포함한다.The opening disorder rehabilitation device includes: a device body; a mouthpiece fixing part fixed to a front part of the device body; and a mouthpiece fixing part fixed to the front part of the device body part; A mouthpiece moving part having a variable vertical interval; a forced moving part installed on the device body and sequentially hooked by a gear included in the mouthpiece moving part to sequentially move the mouthpiece moving part at a set interval; And, It is installed in the body of the device, a movement control unit for executing or releasing the engaging operation of the forced movement unit; includes.

여기서 상기 장치 이동부의 전방부에는 상하를 따라 형성되고, 상단이 개방되는 이동홈이 형성되고,Here, a moving groove is formed along the top and bottom of the front part of the device moving part and the upper end is opened,

상기 마우스피스 이동부는,상기 이동홈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홈을 따라 승강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uthpiece moving part is disposed in the moving groove, and is preferably moved up and down along the moving groove.

그리고 상기 마우스피스 이동부는,상기 이동홈에 배치되며, 후면부에 상기 기어이가 형성되는 판 상의 이동 플레이트와,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장치 몸체부의 전방측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하악 지지 부재를 포함하되,And the mouthpiece moving part is disposed in the moving groove, a moving plate on a plate on which the gear teeth are formed on a rear portion, and a lower support member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moving plate and protruding along the front side of the device body. Including,

상기 하악 지지 부재는,상기 마우스피스 고정부의 상악 지지 부재와 상하를 따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ndibular support member is preferably disposed to face the upper and lower support members of the mouthpiece fixing part.

또한 상기 장치 몸체부의 상기 전방부의 후방에 위치되는 상단에는, 개구가 형성되며,In addition, an opening is formed at an upper end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front part of the device body part,

상기 강제 이동부는,상기 개구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개구의일측에 상하 회전되도록 제 1힌지 연결되는 누름 레버 몸체와,상기 누름 레버 몸체의 타단에 설치되며, 상기 기어이에 탄성을 통해 순차적으로 걸리는 걸림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orced moving part is disposed in the opening, and one end is connected to a first hinge so as to rotate up and down on one side of the opening, and a push lever body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push lever body, and is sequentially applied to the gear teeth through elasticity.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locking member.

또한 상기 걸림 부재는,상기 걸림 부재의 하단이 상기 누름 레버 몸체의 타단에 제 2힌지를 통해 연결되고,In addition, the locking member,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ressing lever body through a second hinge,

상기 걸림 부재의 상단에 상기 기어이에 걸리도록 뾰족하게 형성되는 걸림단을 갖고,Has a locking end sharply formed so as to be caught in the gear teeth on the upper end of the locking member,

상기 제 2힌지에는, 상기 걸림단이 상기 기어이에 탄성적으로 걸리도록 유도하는 탄성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hinge is provided with an elastic spring that induces the locking end to be elastically engaged with the gear teeth.

또한 상기 이동 규제부는, 상기 누름 레버 몸체의 타단에 전방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 규제부 몸체와,상기 이동 규제부 몸체의 타단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이동 규제부 몸체의 이동에 따라 상기 기어이에 강제 걸림 또는 해제되는 규제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ovement regulating part includes a movement regulating body that slides along the front to the other end of the push lever body, and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movement regulating body, and forced to the gear teeth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ement regulating body.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regulation stage that is locked or released.

또한 상기 이동 규제부는, 상기 강제 이동부의 상부에 배치되되,In addition, the movement regulation unit is disposed above the forced movement unit,

상기 이동 규제부 몸체의 하단에는, 규제바가 돌출 형성되고,At the lower end of the body of the movement regulating part, a regulating bar is protruding,

상기 걸림 부재의 상단에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바가 형성되되,At the upper end of the locking member, a locking bar protruding upward is formed,

상기 규제바는, 상기 걸림바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 규제부 몸체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 강제 접촉 또는 해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egulating bar is disposed in front of the locking bar and is forced to contact or release when the movement regulating unit body slides.

또한 상기 규제바의 하단에는, 후방측을 따라 상향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inclined surface that is inclined upward along the rear side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regulation bar.

또한 상기 이동 플레이트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방으로 돌출 가능하게 배치되되,In addition, the movable plate is disposed so as to protrude upward through the opening,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전면부에는, 상기 상악 지지 부재와 상기 하악 지지 부재의 상하 폭을 지시하는 눈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scale indicating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upper and lower support members is formed on the front part of the moving plate.

또한 상기 상악 지지 부재와 상기 하악 지지 부재 각각에는, 슬라이딩 탈착 가능한 탄성 재질의 교합면 부재가 각각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maxillary support member and the mandibular support member is further provided with an occlusal member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at is slidable and detachable.

특히, 상기 상악 지지 부재에는, 사용자의 상악 치아들이 교합되는 상측 교합 부재가 배치되고,In particular, the upper occlusal member is disposed in the upper support member, in which the user's upper teeth are occluded,

상기 하악 지지 부재에는, 사용자의 하악 치아들이 교합되는 하측 교합 부재가 배치되고,In the mandibular support member, a lower occlusal member in which the user's mandibular teeth are occluded,

상기 상측 교합 부재에는, 상기 상악 치아들 각각과 접촉되는 경우 발생되는 제 1압력값들을 측정하여 제어기로 전송하는 제 1압력 센서들이 배치되고,In the upper occlusal member, first 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first pressure values generated when contacting each of the maxillary teeth and transmitting them to the controller are disposed,

상기 하측 교합 부재에는, 상기 하악 치아들 각각과 접촉되는 경우 발생되는 제 2압력값들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제 2압력 센서들이 배치되고,In the lower occlusal member, second pressure sensors that measure second pressure values generated when contacting each of the mandibular teeth and transmit them to the controller are disposed,

상기 제어기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 1,2압력값들을 외부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ontroller displays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values externally through a display.

또한 상기 상측 교합 부재에는, 상기 상악 치아들 각각과 접촉되는 제 1접촉부들이 배치되고,Further, in the upper occlusal member, first contact portions contacting each of the maxillary teeth are disposed,

상기 제 1접촉부들 각각은, 승강되는 제 1축을 갖는 제 1실린더들과, 상기 제 1축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악 치아들 각각과 접촉되는 제 1접촉단들을 포함하고,Each of the first contact portions includes first cylinders having a first shaft to be raised and lowered, and first contact ends installed at an end of the first shaft to contact each of the maxillary teeth,

상기 제 2접촉부들 각각은, 승강되는 제 2축을 갖는 제 2실린더들과, 상기 제 2축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악 치아들 각각과 접촉되는 제 2접촉단들을 포함하되,Each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s includes second cylinders having a second axis to be raised and lowered, and second contact ends installed at an end of the second axis to contact each of the lower teeth,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압력값들이 기설정되는 제 1기준 압력값에 이르도록 상기 제 1실린더들의 제 1축을 승강시켜 상기 제 1접촉단들과 상기 상악 치아들 각각 사이의 접촉 정도를 가변시키고,The controller, by raising and lowering the first axis of the first cylinders so that the first pressure values reach a preset first reference pressure value to vary the degree of contact between the first contact ends and each of the maxillary teeth. ,

상기 제 2압력값들이 기설정되는 제 2기준 압력값에 이르도록 상기 제 2실린더들의 제 2축을 승강시켜 상기 제 2접촉단들과 상기 하악 치아들 각각 사이의 접촉 정도를 가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vary the degree of contact between the second contact ends and each of the lower teeth by raising and lowering the second axis of the second cylinders so that the second pressure values reach a preset second reference pressure value.

상기의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환자의 개구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above solu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finely adjusting the amount of opening of the patient.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개구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check the amount of opening of the patient in real time.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개구량을 조절함과 동시에 환자 개인의 치아 교합면에서의 압력 분포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measure the pressure distribution on the occlusal surface of the individual patient while adjusting the amount of opening of the pati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구장애 재활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구장애 재활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피스 이동부의 이동 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피스 이동부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개구량이가변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규제부를 통해 이동 플레이트의 이동을 규제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플레이트의 규제 상태가 해제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ing disorder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habilitation device for an opening diso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movement of the mouthpiece mov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uthpiece mov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downward and the opening amount is changed.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movement of a moving plate is regulated through a movement restric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gulation state of the mov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leas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하부)" 또는기재의 "상 (또는하)"에임의의구성이구비또는배치된다는것은, 임의의구성이상기기재의상면 (또는하면)에접하여구비또는배치되는것을의미한다.In the following, "top (or bottom)" of the description or "top (or bottom)" of the description means that an arbitrary configuration is provided or placed in contact with the top (or bottom) of the device with an abnormal configuration. it means.

또한, 상기기재와기재상에 (또는하에) 구비또는배치된임의의구성사이에다른구성을포함하지않는것으로한정하는것은아니다.Further,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clusion of any other configurations between the above and any configurations furnished or placed on (or below) the substrate.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개구장애 재활장치를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an opening diso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구장애 재활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구장애 재활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ing disorder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habilitation device for an opening diso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구장애 재활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Figures 1 and 2, the configuration of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an opening diso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장치 몸체부(100)Device body part (100)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개구장애 재활장치는 장치 몸체부(100)를 갖는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an opening diso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evice body portion (100).

상기 장치 몸체부(100)는 측면부에서 볼때 전체적으로 'ㄱ'형상으로 형성된다.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device body portion 100 is formed in an'A' shape as a whole.

상기 장치 몸체부(100)는 제 1몸체(110)와 제 2몸체(120)를 갖는다. 상기 제 1몸체(110)는 일정 길이를 이루는 수평 몸체이다.The device body 100 has a first body 110 and a second body 120. The first body 110 is a horizontal body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제 1몸체(110)의 상단에는 일정 폭을 갖는 개구(111)가 형성된다.An opening 111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body 110.

상기 제 2몸체(120)는 상기 제 1몸체(110)의 일측에 일체를 이루도록 연결된다. 상기 제 2몸체(120)는 제 1몸체(110)와 일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상하를 따라 형성되는 몸체이다.The second body 120 is integr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body 110. The second body 120 is a body formed along the top and bottom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body 110.

상기 제 2몸체(120)의 측부에는 상하를 따라 일정 길이를 이루는 이동홈(121)이 형성된다.A moving groove 12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top and bottom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second body 120.

이에, 상기 이동홈(121)은 장치 몸체부의 전방부에 형성된다.Accordingly, the moving groove 121 is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device body.

상기 제 2몸체(120)의 상단에는 다른 개구(122)가 형성된다. 상기 다른 개구(122)는 후술되는 이동 플레이트()의 상단을 외부로 돌출시키는데 사용된다.Another opening 122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ody 120. The other opening 122 is used to protrude the upper end of the moving plate () described later to the outside.

마우스피스 고정부(200)Mouthpiece fixing part (200)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피스 고정부(200)는 장치 몸체부(100)의 전방부에 고정된다.The mouthpiece fixing par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front part of the device body part 100.

상기 마우스피스 고정부(200)는 제 2몸체(120)의 일측에서전방측을 따라 돌출된다.The mouthpiece fixing part 200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second body 120 along the front side.

상기 마우스피스 고정부(200)는 상술한 이동홈(121)의 상부에 배치된다.The mouthpiece fixing part 200 is disposed above the moving groove 121 described above.

상기 마우스피스 고정부(200)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상악 지지 부재(210)를 포함한다.The mouthpiece fixing part 200 includes a maxillary support member 210 formed in a plate shape.

상기 상악 지지 부재(210)의 상단에는 사용자 또는 환자의 상악 차이가 접촉된다.The upper end of the maxillary support member 210 is in contact with a difference between a user or a patient.

마우스피스 이동부(300)Mouthpiece moving part (300)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피스 이동부(300)는 장치 몸체부(100)의 전방부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The mouthpiece moving par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to be elevating and moving in the front part of the device body part 100.

상기 마우스피스 이동부(300)는 이동홈(121)을 따라 승강됨에 따라 상기 마우스피스 고정부(200)와의 상하 간격이 가변된다.As the mouthpiece moving part 300 moves up and down along the moving groove 121, the vertical gap with the mouthpiece fixing part 200 is varied.

상기 마우스피스 이동부(300)는 이동 플레이트(310)와, 하악 지지 부재(320)를 구비한다.The mouthpiece moving part 300 includes a moving plate 310 and a mandibular support member 320.

상기 이동 플레이트(310)는 이동홈(121)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310)는 이동홈(121)을 따라 승강되도록 배치된다.The moving plate 310 is disposed inside the moving groove 121. The movable plate 310 is disposed to be elevated along the movable groove 121.

상기 이동 플레이트(310)는 제 2몸체(120)의 상단에 형성되는 다른 개구(122)를 통해 상방을 따라 돌출 가능하게 배치된다.The moving plate 310 is disposed so as to protrude upward through another opening 122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body 120.

상기 하악 지지 부재(320)는 판 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악 지지 부재(320)는 상기 상악 지지 부재(210)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The mandibular support member 320 is formed in a plate shape. The mandibular support member 320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maxillary support member 210.

상기 하악 지지 부재(320)는 상기 상악 지지 부재(210)의 하부에 배치된다.The mandibular support member 320 is disposed under the maxillary support member 210.

상기 하악 지지 부재(320)의 일단은 상기 이동 플레이트(310)에 고정된다. 상기 하악 지지 부재(320)의 타단은 상기 제 2몸체(120)의 전방측을 따라 돌출된다.One end of the mandibular support member 320 is fixed to the moving plate 310. The other end of the mandibular support member 320 protrudes along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body 120.

상기 이동 플레이트(310)의 전면부에는, 상기 상악 지지 부재(210)와 상기 하악 지지 부재(320)의 상하 폭을 지시하는 눈금이 형성된다.On the front part of the moving plate 310, a scale indicating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upper and lower support members 210 and 320 is formed.

상기 상악 지지 부재(210)에는, 사용자의 상악 치아들이 교합되는 상측 교합 부재(220)가 배치된다.In the maxillary support member 210, an upper occlusal member 220 to which the user's maxillary teeth are occluded is disposed.

상기 하악 지지 부재(320)에는, 사용자의 하악 치아들이 교합되는 하측 교합 부재(321)가 배치된다.In the mandibular support member 320, a lower occlusal member 321 to which the user's mandibular teeth are occluded is disposed.

강제 이동부(400)Forced moving unit 400

본 발명에 따른 강제 이동부(400)는 상기 장치 몸체부(100)에 설치되며, 상기 마우스 피스이동부(300)에 포함되는 기어이(311)에 순차적으로 걸려 상기 마우스 피스이동부(300)를 설정된 간격으로 순차적 이동시킨다.The forced movement par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device body part 100 and is sequentially hooked to the gear teeth 311 included in the mouthpiece moving part 300 to set the mouthpiece moving part 300 at a set interval Move sequentially.

여기서 상술한 이동 플레이트(310)의 후방부에는 기어이(311)가 형성된다.Here, a gear tooth 311 is formed at the rear portion of the moving plate 310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른 강제 이동부(400)는 누름 레버 몸체(410)와, 걸림 몸체(420)를 구비한다.The forced movement uni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ssing lever body 410 and a locking body 420.

상기 누름 레버 몸체(410)는 제 1몸체(110)의 상단에 형성되는 개구(111)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개구(111)의 일측에 상하 회전되도록 제 1힌지(H1) 연결된다.The push lever body 410 is disposed in an opening 111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body 110, and one end is connected to a first hinge H1 so as to rotate up and down at one side of the opening 111.

상기 걸림 몸체(420)는 상기 누름 레버 몸체(410)의 타단에 설치되며, 상기 기어이(311)에 탄성을 통해 순차적으로 걸린다.The locking body 420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pressing lever body 410 and is sequentially caught by the gear teeth 311 through elasticity.

상기 걸림 부재(420)의 하단은 상기 누름 레버 몸체(410)의 타단에 제 2힌지(H2)를 통해 연결된다.The lower end of the locking member 42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ressing lever body 410 through a second hinge H2.

상기 걸림 부재(420)의 상단에는 상기 기어이(311)에 걸리도록 뾰족하게 형성되는 걸림단(421)을 갖는다.An upper end of the locking member 420 has a locking end 421 sharply formed so as to be caught in the gear 311.

상기 제 2힌지(H2)에는, 상기 걸림단(421)이 상기 기어이(311)에 탄성적으로 걸리도록 유도하는 탄성 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An elastic spring (not shown) may be installed on the second hinge H2 to induce the locking end 421 to be elastically caught on the gear teeth 311.

이동 규제부(500)Movement regulation department (500)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규제부(500)는 상기 장치 몸체부(100)에 설치되며, 상기 강제 이동부(400)의 걸림 동작을 실시 또는 해제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movement regulating unit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device body 100 and serves to execute or release the locking operation of the forced movement unit 400.

상기 이동 규제부(500)는 고정 몸체(510)와, 이동 규제부 몸체(520)와, 규제단(530)을 갖는다.The movement regulating part 500 has a fixed body 510, a movement regulating part body 520, and a regulating end 530.

상기 고정 몸체(510)는 누름 레버 몸체(410)의 타단에 설치된다.The fixed body 510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push lever body 410.

상기 고정 몸체(510)에는 수평 방향을 따르는 슬라이딩 홈(511)이 형성된다.A sliding groove 511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in the fixed body 510.

상기 이동 규제부 몸체(520)는 상기 슬라이딩 홈(5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된다.The movement regulating part body 520 is movably coupled to the sliding groove 511 and slidably moved.

상기 규제단(530)은 상기 이동 규제부 몸체(520)의 타단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이동 규제부 몸체(5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기어이(311)에 강제 걸림 또는 해제된다.The regulation end 530 is formed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movement regulating body 520 and is forcibly engaged or released by the gear teeth 311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ement regulating body 520.

여기서 상기 규제단(530)은 상기 기어이(311)에 끼워지도록 끝단이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된다.Here, the regulation end 530 is formed in a sharp end shape so as to be fitted into the gear teeth 311.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규제부(500)는 상기 강제 이동부(400)의 상부에 배치된다.Meanwhile, the movement regulating unit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bove the forced movement unit 400.

상기 이동 규제부 몸체(520)의 하단에는 하방을 따라 돌출되는 규제바(521)가 형성된다.A regulating bar 521 protruding downward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movement regulating body 520.

또한 상기 걸림 부재(420)의 상단에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바(421)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locking bar 421 protruding upward is formed on an upper end of the locking member 420.

상기 규제바(521)는 상기 걸림바(421)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 규제부 몸체(520)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 강제 접촉 또는 해제된다.The regulating bar 521 is disposed in front of the locking bar 421 and is forced into contact or released when the movement regulating body 520 slides.

또한 상기 규제바(521)의 하단에는, 후방측을 따라 상향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된다.In addition,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upward along the rear side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regulation bar 521.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개구장애 재활장치를 사용하여 개구 훈련을 위한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operating state for opening training by using the opening disorder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피스 이동부의 이동 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피스 이동부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개구량이가변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movement of the mouthpiece mov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uthpiece mov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downward and the opening amount is chang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규제부를 통해 이동 플레이트의 이동을 규제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플레이트의 규제 상태가 해제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movement of a moving plate is regulated through a movement restric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gulation state of the mov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leased.

도 3은 개구량 측정 전의 상태를 보여준다. 여기서 마우스피스 이동부(300)는 이동 전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마우스피스 이동부(300)는 마우스피스 고정부(200)와 서로 밀착된 상태를 이룬다.3 shows a state before measurement of the opening amount. Here, the mouthpiece moving unit 300 maintains the state before movement. The mouthpiece moving part 3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mouthpiece fixing part 200.

이때 이동 규제부 몸체(520)는 슬라이딩 홈(511)에서 전방측으로 이동되며, 이동 규제부 몸체(520)의 전단에 형성된 규제단(530)은 이동 플레이트(310)의 후단에 형성된 일정 위치의 기어이(311)에 맞물릴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vement regulating body 520 is moved forward from the sliding groove 511, and the regulating end 530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movement regulating body 520 is a gea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moving plate 310. Can be engaged in (311).

이에 이동 플레이트(310)는 승강 이동이 규제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Accordingly, the moving plate 310 may achieve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movement is restricted.

이의 상태에서 환자의 개구량을 측정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In this state, a process of measuring the patient's opening amount may proceed.

먼저 사용자의 상악 치아는 마우스피스 고정부(200)의 상단에 마련된 상악 지지 부재(210)에 지지될 수 있다.First, the user's maxillary teeth may be supported by the maxillary support member 210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mouthpiece fixing part 200.

동시에 사용자의 하악 치아는 마우스피스 이동부(300)의 하단에 설치된 하악 지지 부재(320)의 하면에 지지될 수 있다.At the same time, the user's mandibular teeth may be suppor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ndibular support member 320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mouthpiece moving part 300.

즉 사용자는 서로 밀착된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피스 고정부(200) 및 마우스피스 이동부(300)를 상악 및 하악 치아를 사용하여 입에 문 상태를 이룰 수 있다.That is, the user can achieve a mouth-mouthed state by using the upper and lower teeth of the mouthpiece fixing unit 200 and the mouthpiece moving uni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이의 상태에서 사용자는 이동 규제부 몸체(520)를 슬라이딩 홈(511)을 따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동 규제부 몸체(520)의 단부에 형성된 규제단(530)은 이동 플레이트(310)의 기이어(311)로부터 분리된다.In this state, the user returns the movement regulating body 520 to its original position along the sliding groove 511. The regulating end 530 formed at the end of the movement regulating body 520 is separated from the gear 311 of the moving plate 310.

동시에 이동 규제부 몸체(520)의 하단에 돌출 형성된 규제바(521)는 걸림 부재(420)의 상단에 돌출 형성된 걸림바(422)를 후방측으로 당길 수 있다.At the same time, the regulating bar 521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movement regulating body 520 may pull the engaging bar 422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engaging member 420 to the rear side.

이때, 걸림 부재(420)는 제 2힌지(H2)를 회전 중심으로 회전되되 탄성 스프링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탄성 복원력이 작용되는 상태를 이룬다.At this time, the locking member 420 is rotated around the second hinge H2 as a rotational center, and an elastic restoring force capable of rotating in a clockwise direction is applied by an elastic spring.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플레이트(310)는 상하를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를 이룬다.Accordingly, the moving plate 3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hieves a state in which it can be moved up and down.

그리고 마우스피스 이동부(300)의 하악 지지 부재(320)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악 지지 부재(210)와의 간격을 가변시킬 수 있다. 동시에 이동 플레이트(310)는 하방으로 이동된다.In addition, by moving the lower support member 320 of the mouthpiece moving part 300 downward,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jaw support member 210 may be varied. At the same time, the moving plate 310 is moved downward.

즉 하악 지지 부재(320)와 상악 지지 부재(210)와의 간격이 점차적으로 벌어지면서 환자의 개구량이 증가될 수 있다.That is, as the gap between the mandibular support member 320 and the maxillary support member 210 is gradually increased, the amount of opening of the patient may be increased.

동시에 이동 플레이트(310)는 이동홈(121)을 따라 하강되어 일정 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이동 플레이트(310)의 전단에 형성된 기어이(311)는 해당 위치에 마주보도록 위치된다.At the same time, the moving plate 310 is moved down along the moving groove 121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t this time, the gear teeth 311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moving plate 310 are positioned to face the corresponding position.

이와 같이 일정의 개구량을 이루도록 상악 지지 부재(210)와 하악 지지 부재(320)가 벌어진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규제부(500)는 해당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In this way, in the position where the upper jaw support member 210 and the lower jaw support member 320 are opened to achieve a predetermined amount of opening, the movement regulating unit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ix the corresponding position.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동 규제부 몸체(520)를 고정 몸체(510)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511)을 따라 우측(제 2몸체의 전방측)으로 이동시키면, 규제바(521)의 하단은 걸림바(422)로부터 이격된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movement regulating body 520 is moved to the right side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body) along the sliding groove 511 formed in the fixed body 510, the lower end of the regulation bar 521 Is spaced apart from the locking bar (422).

이에 걸림바(422)는 규제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locking bar 422 may be released from the regulated state.

동시에 걸림 부재(420)는 탄성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시계 방향을 따라 회전된다.At the same time, the locking member 42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spring.

회전되는 걸림 부재(420)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단(421)은 해당 위치에서 마주보는 이동 플레이트(310)의 일정 위치 기어이(311)에 끼워져 맞물리게 된다.The locking end 421 formed at the end of the rotating locking member 420 is fitted and engaged with the gear teeth 311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oving plate 310 facing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또한 이동 규제부 몸체(520)의 끝단에 형성된 규제단(530)은 전방측으로 이동하여 해당 위치에서 마주보는 이동 플레이트(310)의 기어이(311)에 끼워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regulating end 530 formed at the end of the movement regulating body 520 may move forward and be fitted into the gear 311 of the moving plate 310 facing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따라서 이동 플레이트(310)의 이동은 규제될 수 있다.Therefore, the movement of the moving plate 310 may be restricted.

반면에 상기와 같은 규제를 해제하는 경우 이동 플레이트(310)는 별도의 탄성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bove restrictions are released, the moving plate 310 may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ity of a separate elastic spring.

상기와 같은 작용에 따라 본 발명은 0~50mm 또는 그 이상의 여러 단계를 이루는 기어이를사용함으로서, 개구량을세밀하게 조절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ac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finely adjust the amount of opening by using a gear tooth comprising several steps of 0 to 50 mm or more.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플레이트에 눈금을 표시함으로써, 별도의 측정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장치 몸체부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눈금을 통해 개구량을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isplaying the scale on the moving plate, the opening amount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scale protruding upward of the device body without using a separate measuring device.

한편 상기 상악 지지 부재(210)와 상기 하악 지지 부재(320) 각각에는, 슬라이딩 탈착 가능한 탄성 재질의 교합면 부재(220, 321)가 각각 더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occlusal surface members 220 and 321 made of an elastic material capable of being slidable and detachable may be further installed o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support members 210 and 320.

이에 다른 환자에게 적용하는 경우 해당 교합면 부재(220, 321)를 교체 장착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applied to other patients, the occlusal members 220 and 321 may be replaced.

상기 교합면 부재(220, 321)는 의료용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The occlusal members 220 and 321 are preferably formed of medical silicone.

특히,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상측 교합 부재에는, 상기 상악 치아들 각각과 접촉되는 경우 발생되는 제 1압력값들을 측정하여 제어기로 전송하는 제 1압력 센서들이 배치된다.In particular,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first pressure sensors are disposed on the upper occlusal member to measure and transmit first pressure values generated when contacting each of the maxillary teeth to the controller.

상기 하측 교합 부재에는, 상기 하악 치아들 각각과 접촉되는 경우 발생되는 제 2압력값들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제 2압력 센서들이 배치된다.In the lower occlusal member, second 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second pressure values generated when contacting each of the mandibular teeth and transmitting them to the controller are disposed.

상기 제어기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 1,2압력값들을 외부에 표시한다.The controller displays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values externally through a display.

또한 상기 상측 교합 부재에는, 상기 상악 치아들 각각과 접촉되는 제 1접촉부들이 배치된다.In addition, the upper occlusal member is disposed with first contact portions that contact each of the maxillary teeth.

상기 제 1접촉부들 각각은, 승강되는 제 1축을 갖는 제 1실린더들과, 상기 제 1축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악 치아들 각각과 접촉되는 제 1접촉단들을 포함한다.Each of the first contact portions includes first cylinders having a first shaft to be raised and lowered, and first contact ends installed at an end of the first shaft to contact each of the maxillary teeth.

상기 제 2접촉부들 각각은, 승강되는 제 2축을 갖는 제 2실린더들과, 상기 제 2축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악 치아들 각각과 접촉되는 제 2접촉단들을 포함한다.Each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s includes second cylinders having a second shaft that is raised and lowered, and second contact ends installed at an end of the second shaft to contact each of the lower teeth.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압력값들이 기설정되는 제 1기준 압력값에 이르도록 상기 제 1실린더들의 제 1축을 승강시켜 상기 제 1접촉단들과 상기 상악 치아들 각각 사이의 접촉 정도를 가변시킨다.The controller increases and lowers the first axis of the first cylinders so that the first pressure values reach a preset first reference pressure value to vary the degree of contact between the first contact ends and each of the maxillary teeth. .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2압력값들이 기설정되는 제 2기준 압력값에 이르도록 상기 제 2실린더들의 제 2축을 승강시켜 상기 제 2접촉단들과 상기 하악 치아들 각각 사이의 접촉 정도를 가변시킬수 있다.The controller may vary the degree of contact between the second contact ends and each of the lower teeth by raising and lowering the second axis of the second cylinders so that the second pressure values reach a preset second reference pressure value. have.

이에 본 발명은 환자가 일정의 개구량을 이루는 상태를 이룸과 아울러, 이의 상태에서 환자의 상악 및 하악 치아들 각각에 균등한 압력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개구 운동에 있어서 각 치아들에 불균등한 힘 작용으로 인해 척 근육에 무리를 주는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achieves a state in which the patient achieves a certain amount of opening, and creates an equal pressure on each of the patient's maxilla and mandible teeth in this state, thereby uneven force action on each tooth in the opening motion. It can also solve the problem of straining the spinal muscles.

이상, 본 발명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는 여러가지 실시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As described above, specific embodimen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ut it is obvious that various embodiments can be modified within the limits no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 만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transmitted, and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것으로 이해되어야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의하여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것으로 해석되어야한다.That i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장치 몸체부
110 : 제 1몸체
120 : 제 2몸체
121 :이동홈
200 : 마우스피스 고정부
210 :상악 지지 부재
300 : 마우스피스 이동부
310 : 이동 플레이트
311 : 기어이
320 :하악 지지 부재
400 : 강제 이동부
410 : 누름 레버 몸체
420 : 걸림 몸체
500 : 이동 규제부
510 :고정 몸체
520 : 이동 규제부 몸체
530 :규제단
100: device body
110: first body
120: second body
121: moving home
200: mouthpiece fixing part
210: maxillary support member
300: mouthpiece moving part
310: moving plate
311: Gear
320: mandibular support member
400: forced moving part
410: push lever body
420: locking body
500: movement regulation department
510: fixed body
520: movement regulation unit body
530: Regulator

Claims (10)

장치 몸체부;
상기 장치 몸체부의 전방부에 고정되는 마우스피스 고정부;
상기 장치 몸체부의 전방부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승강됨에 따라 상기 마우스피스 고정부와의 상하 간격이 가변되는 마우스피스 이동부;
상기 장치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마우스 피스이동부에 포함되는 기어이에 순차적으로 걸려 상기 마우스 피스이동부를 설정된 간격으로 순차적 이동시키는 강제 이동부; 및,
상기 장치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강제 이동부의 걸림 동작을 실시 또는 해제시키는 이동 규제부; 를 포함하는,
개구장애 재활장치.
Device body;
A mouthpiece fixing part fixed to the front part of the device body part;
A mouthpiece moving portion disposed to be elevating and movable at a front portion of the device body portion, and having a vertical gap between the mouthpiece fixing portion and the mouthpiece fixing portion varying as elevating;
A forced moving part installed in the body of the device and sequentially hooked by a gear included in the mouthpiece moving part to sequentially move the mouthpiece moving part at set intervals; And,
A movement control unit installed in the body of the device and configured to perform or release a locking operation of the forced movement unit; Containing,
Opening disorder rehabilitation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이동부의 전방부에는 상하를 따라 형성되고, 상단이 개방되는 이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마우스피스 이동부는,
상기 이동홈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홈을 따라 승강 이동되는,
개구장애 재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moving groove is formed along the top and bottom of the front part of the device moving part and the upper end is opened,
The mouthpiece moving part,
Arranged in the moving groove, which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moving groove,
Opening disorder rehabilitation devic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 이동부는,
상기 이동홈에 배치되며, 후면부에 상기 기어이가 형성되는 판 상의 이동 플레이트와,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장치 몸체부의 전방측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하악 지지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하악 지지 부재는,
상기 마우스피스 고정부의 상악 지지 부재와 상하를 따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개구장애 재활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mouthpiece moving part,
A moving plate on a plate disposed in the moving groove and on which the gear teeth are formed on the rear surface,
It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moving plate and includes a lower support member protruding along the front side of the device body,
The mandibular support member,
Arranged to face along the upper and lower support member and the mouthpiece fixing part,
Opening disorder rehabilitation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몸체부의 상기 전방부의 후방에 위치되는 상단에는,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강제 이동부는,
상기 개구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개구의일측에 상하 회전되도록 제 1힌지 연결되는 누름 레버 몸체와,
상기 누름 레버 몸체의 타단에 설치되며, 상기 기어이에 탄성을 통해 순차적으로 걸리는 걸림 부재를 포함하는,
개구장애 재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opening is formed at an upper end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front part of the device body part,
The forced movement unit,
A push lever body disposed in the opening and connected to a first hinge so that one end of the opening is vertically rotated,
It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push lever body, comprising a locking member sequentially caught through elasticity to the gear teeth,
Opening disorder rehabilitation devic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걸림 부재의 하단이 상기 누름 레버 몸체의 타단에 제 2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걸림 부재의 상단에 상기 기어이에 걸리도록 뾰족하게 형성되는 걸림단을 갖고,
상기 제 2힌지에는,
상기 걸림단이 상기 기어이에 탄성적으로 걸리도록 유도하는 탄성 스프링이 설치되는,
개구장애 재활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locking member,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ressing lever body through a second hinge,
Has a locking end sharply formed so as to be caught in the gear teeth on the upper end of the locking member,
On the second hinge,
An elastic spring is installed to induce the locking end to be elastically caught on the gear teeth,
Opening disorder rehabilitation devic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규제부는,
상기 누름 레버 몸체의 타단에전방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 규제부 몸체와,
상기 이동 규제부 몸체의 타단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이동 규제부 몸체의 이동에 따라 상기 기어이에 강제 걸림 또는 해제되는 규제단을 포함하는,
개구장애 재활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movement control unit,
A movement regulating body that slides along the front to the other end of the push lever body,
It is formed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body of the movement regulating part, and comprising a regulating end that is forcibly locked or released from the gear teeth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ement regulating body,
Opening disorder rehabilitation devic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규제부는, 상기 강제 이동부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이동 규제부 몸체의 하단에는, 규제바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 부재의 상단에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바가 형성되되,
상기 규제바는,
상기 걸림바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 규제부 몸체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 강제 접촉 또는 해제되는,
개구장애 재활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movement regulation unit is disposed above the forced movement unit,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of the movement regulating part, a regulating bar is protruding,
At the upper end of the locking member, a locking bar protruding upward is formed,
The regulation bar,
It is disposed in front of the locking bar, which is forcibly contacted or released when the movement regulating unit body slides,
Opening disorder rehabilitation devic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바의 하단에는,
후방측을 따라 상향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개구장애 재활장치.
The method of claim 7,
At the bottom of the regulation bar,
A slope that slopes upward along the rear side is formed,
Opening disorder rehabilitation devic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는 상기 장치 몸체부에 형성되는 다른개구를 통해 상방으로 돌출 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전면부에는,
상기 상악 지지 부재와 상기 하악 지지 부재의 상하 폭을 지시하는 눈금이 형성되는,
개구장애 재활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moving plate is disposed so as to protrude upward through another opening formed in the device body,
On the front part of the moving plate,
A scale indicating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upper and lower support members is formed,
Opening disorder rehabilitation devic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 지지 부재와 상기 하악 지지 부재 각각에는,
슬라이딩 탈착 가능한 탄성 재질의 교합면 부재가 각각 더 설치되는,
개구장애 재활장치.
The method of claim 3,
Each of the maxillary support member and the mandibular support member,
Each of the occlusal members of an elastic material that is sliding and detachable is further installed,
Opening disorder rehabilitation device.
KR1020190024123A 2019-02-28 2019-02-28 Apparatus for Rehabilitating trismus KR1021616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123A KR102161608B1 (en) 2019-02-28 2019-02-28 Apparatus for Rehabilitating trism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123A KR102161608B1 (en) 2019-02-28 2019-02-28 Apparatus for Rehabilitating trism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590A true KR20200105590A (en) 2020-09-08
KR102161608B1 KR102161608B1 (en) 2020-10-06

Family

ID=72451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123A KR102161608B1 (en) 2019-02-28 2019-02-28 Apparatus for Rehabilitating trism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1608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5420A (en) * 1988-11-28 1991-07-30 Therabite Corporation Jaw exerciser
US20070089752A1 (en) * 2005-10-21 2007-04-26 Craniomandibular Rehab, Inc. Tissue stretching device
KR20150104749A (en) * 2014-03-06 2015-09-16 김용락 Appratus for exercising mouth
KR101566146B1 (en) * 2015-03-17 2015-11-06 이성완 Masticatory muscle exerciser
KR101861206B1 (en) * 2016-12-06 2018-05-25 윤태흠 Mouthpiece and exercisers for temporomandibular training
KR20180064732A (en) * 2016-12-06 2018-06-15 윤태흠 Exercisers for temporomandibular trainin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5420A (en) * 1988-11-28 1991-07-30 Therabite Corporation Jaw exerciser
US20070089752A1 (en) * 2005-10-21 2007-04-26 Craniomandibular Rehab, Inc. Tissue stretching device
KR20150104749A (en) * 2014-03-06 2015-09-16 김용락 Appratus for exercising mouth
KR101566146B1 (en) * 2015-03-17 2015-11-06 이성완 Masticatory muscle exerciser
KR101861206B1 (en) * 2016-12-06 2018-05-25 윤태흠 Mouthpiece and exercisers for temporomandibular training
KR20180064732A (en) * 2016-12-06 2018-06-15 윤태흠 Exercisers for temporomandibular trai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1608B1 (en) 202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itucci et al. The effect of chin cup therapy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cranial base and midface
Fränkel et al. A functional approach to treatment of skeletal open bite
Dawson Centric relation: Its effect on occluso-muscle harmony
Gallagher et al. Maxillary protraction: treatment and posttreatment effects
Tingey et al. Mandibular rest position: a reliable position influenced by head support and body posture
Klocke et al. Anterior open bite in the deciduous dentition: longitudinal follow-up and craniofacial growth considerations
Gopi Chander et al. An appraisal on increasing the occlusal vertical dimension in full occlusal rehabilitation and its outcome
Vela et al. Differences in craniofacial and dent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 Mexican Americans and European Americans
Ko et al. Longitudinal observation of mandibular motion pattern in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subsequent to orthognathic surgery
Sabir et al. Maintaining occlusal stability by selecting the most appropriate occlusal scheme in complete removable prosthesis
Bourdiol et al. Only severe malocclusion correlates with mastication deficiency
CN107510511A (en) A kind of remporomandibular joint abnormal correction system and its method for making individuation correcting device
KR102161608B1 (en) Apparatus for Rehabilitating trismus
Casazza et al. Dental Occlusion: Proposal for a Classification to Guide Occlusal Analysis and Optimize Research Protocols.
Maddalone et al. Treat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of muscular origin with a silicon oral device (Alifix®): electromyographic analysis
Horton et al.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Hawley and perfector/spring aligner retainers on postorthodontic occlusion
Matsuda et al. Effect of mandibular position achieved using an oral appliance on genioglossus activity in healthy adults during sleep
Artese et al. Early treatment for anterior open bite: Choosing adequate treatment approaches.
Doshi et al. Early management of skeletal open bite with spring-loaded and magnetic bite blocks.
Giglio et al. Orofacial functions and forces in male and female healthy young and adults
Klocke et al. Muscle activity with the mandibular lip bumper
Altmann Myofunctional therapy and orthognathic surgery
Mazille et al. Effect of occlusal appliance wear on chewing in persons with Down syndrome
Schupp et al. Continuing diagnostics and therapy of the temporomandibular and musculoskeletal system (TMS/MSS)
Negrutiu et al. Dietary habits and weight loss in orthodontic pati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