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5377A - Agricultural Vehicle - Google Patents

Agricultural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5377A
KR20200105377A KR1020190138317A KR20190138317A KR20200105377A KR 20200105377 A KR20200105377 A KR 20200105377A KR 1020190138317 A KR1020190138317 A KR 1020190138317A KR 20190138317 A KR20190138317 A KR 20190138317A KR 20200105377 A KR20200105377 A KR 20200105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frame
rear axle
coupling piece
coupled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3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정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105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37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mounting on the tractor, e.g. on the rear par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3/00Means or arrangements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e.g. folding frames to reduce overall width
    • A01B73/02Folding fram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gricultural vehicle including: a vehicle body; a pair of mounting frames installed opposite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body; a front working machine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mounting frame; and a rear working machine installed on the rear of the mounting frame, wherein the mounting frame includes a first mounting frame and a second mounting frame coupled to each other.

Description

농업차량 {Agricultural Vehicle}Agricultural Vehicle {Agricultural Vehicle}

본 발명은 농업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방작업기와 후방작업기가 설치되는 마운팅 프레임(Mounting Frame)의 구조를 개선한 농업차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gricultural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gricultural vehicle in which the structure of a mounting frame in which a front working machine and a rear working machine are installed is improved.

농업기계란 농업을 수행하는 기계로서, 농작물을 생산하는데 직접 관여하는 기계와 생산된 농작물을 가공처리하는데 관여하는 기계로 대별된다.Agricultural machinery is a machine that performs agriculture, and is roughly divided into a machine directly involved in producing crops and a machine involved in processing the produced crops.

농작물의 생산에 직접 관여하는 기계인 농업차량에는 다양한 작업기를 연결하여 견인력으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트랙터(Tractor) 및 농토를 주행하면서 농작물의 줄기를 예취(刈取)한 다음 탈곡 및 선별하는 콤바인(Combine) 등이 있다.Agricultural vehicles, which are machines directly involved in the production of agricultural crops, have tractors that perform various tasks with traction by connecting various working machines, and combines that mow the stems of crops while driving through farmland, then threshing and sorting them. ), etc.

일반적으로, 트랙터는 차체(車體)와 상기 차체의 양측면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며 소정 길이를 가지는 마운팅 프레임(Mounting Frame)을 포함한다. 상기 마운팅 프레임의 전방에는 로더(Loader) 등과 같은 전방작업기가 설치되고, 후방에는 백호(Backhoe) 등과 같은 후방작업기가 설치된다.In general, a tractor includes a vehicle body and a mounting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re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body. A front working machine such as a loader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mounting frame, and a rear working machine such as a backhoe is installed in the rear.

상기 마운팅 프레임은 상기 차체의 강성, 그리고 상기 차체에 대한 상기 전방작업기 및 상기 후방작업기의 결합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중량이 무겁고 부피가 크다.The mounting frame is a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vehicle body and the coupling rigidity of the front working machine and the rear working machine to the vehicle body, and has a heavy weight and a large volume.

즉, 상기 마운팅 프레임은 단일의 몸체로 형성되어 중량이 무겁고 부피가 크므로, 상기 마운팅 프레임을 상기 차체에 설치하기 위한 작업이 불편하다.That is, since the mounting frame is formed of a single body and has a heavy weight and a large volume, it is inconvenient to install the mounting frame on the vehicle body.

특히, 상기 차체의 후방측에는 후차축(Rear Axle)이 설치되는데, 상기 마운팅 프레임과 상기 후차축이 상호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마운팅 프레임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상기 마운팅 프레임의 설치 작업이 더욱 불편하다.In particular, a rear axle is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body, and since the mounting frame must be installed so that the mounting frame and the rear axle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mounting frame is more inconveni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농업차량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o provide an agricultural vehicle capable of solving all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차체(車體)에 설치되며 전방작업기 및 후방작업기가 설치되는 마운팅 프레임을 분할하여 형성함으로써, 마운팅 프레임을 편리하게 차체에 설치할 수 있는 농업차량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o provide an agricultural vehicle capable of conveniently installing the mounting frame on the vehicle body by dividing and forming a mounting frame installed on a vehicle body and on which a front working machine and a rear working machine are installed.

본 발명에 따른 농업차량은 차체; 상기 차체의 양측면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된 한쌍의 마운팅 프레임; 상기 마운팅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된 전방작업기; 및 상기 마운팅 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작업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프레임은 상호 결합된 제1마운팅 프레임 및 제2마운팅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The agricultur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hicle body; A pair of mounting frames installed opposite to each other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vehicle body; A front working machine installed in front of the mounting frame; And a rear working machine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mounting frame. The mounting frame may include a first mounting frame and a second mounting frame coupled to each other.

본 실시예에 따른 농업차량은, 차체에 설치되는 마운팅 프레임이, 분할 형성되어 상호 결합된 제1마운팅 프레임과 제2마운팅 프레임으로 마련된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경량인 제1마운팅 프레임과 제2마운팅 프레임을 각각 차체에 설치한 후, 상호 결합하면 마운팅 프레임이 차체에 설치되므로, 마운팅 프레임을 차체에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In the agricultur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mounting frame installed on a vehicle body is provided as a first mounting frame and a second mounting frame that are divided and coupled to each other. Accordingly, when the relatively lightweight first mounting frame and second mounting frame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and then coupled to each other, the mounting frame is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so there may be an effect that the mounting frame can be conveniently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

그리고, 제1마운팅 프레임의 제1결합편을 후차축의 하측 또는 상측에 위치시켜 제1마운팅 프레임을 차체에 설치하고, 제2마운팅 프레임의 제2결합편을 후차축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시켜 제2마운팅 프레임을 차체에 설치하면, 마운팅 프레임과 후차축이 상호 간섭하지 않게 되므로, 마운팅 프레임을 차체에 더욱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by placing the first coupling piece of the first mounting frame on the lower or upper side of the rear axle, the first mounting frame is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of the second mounting frame is positioned above or below the rear axle. When the second mounting frame is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since the mounting frame and the rear axle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there may be an effect that the mounting frame can be more conveniently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차량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농업차량의 차체 및 전방작업기와 후방작업기가 설치된 마운팅 프레임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마운팅 프레임과 제2마운팅 프레임의 결합 부위의 확대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마운팅 프레임과 후차축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마운팅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A"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프레임이 보호프레임에 결합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프레임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프레임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농업차량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농업차량에 있어서 제1마운팅 프레임과 후차축의 확대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gricultural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vehicle body of the agricultural vehicle shown in FIG. 1 and a mounting fram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work machines are installed.
3 is an enlarged view of a joint portion of the first mounting frame and the second mounting frame shown in FIG. 2;
Figure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ounting frame and rear axle shown in Figure 2;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ounting frame shown in Figure 4;
Figure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A" part of Figure 4;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mounting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protection frame.
Figure 8 is a front view of Figure 7;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unting fram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unting fram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unting fram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gricultural vehicle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mounting frame and a rear axle in an agricultural vehicle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only the same elements have the same number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as including plural expressions unless clearly defined differently in context, and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other elements,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The term “at least one” is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all possible combinations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the meaning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and the third item” means 2 among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and the third item as well as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and the third item. It means a combination of all items that can be presented from more than one.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또는 제3항목"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The term “and/or” is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all possible combinations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the meaning of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and/or the third item” means two of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or the third item as well as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or the third item. It means a combination of all items that can be presented from the above.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설치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install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install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install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direct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한편,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형성된다, 결합된다, 설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가 별도로 마련되어 형성되거나, 결합되거나, 설치된 것 뿐만 아니라,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가 하나의 몸체인 일체로 된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formed, combined, installed" in another component, a component and another component are separately prepared, formed, combined, or installed, as well as a component and I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ne in which other components are one body.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차량에 대하여, 트랙터를 예로 들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agricultur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aking a tractor as an example.

제1실시예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차량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농업차량의 차체 및 전방작업기와 후방작업기가 설치된 마운팅 프레임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마운팅 프레임과 제2마운팅 프레임의 결합 부위의 확대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gricultural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body of the agricultural vehicle shown in FIG. 1 and a mounting fram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work machines are installed, and FIG. 3 is It is an enlarged view of a joint portion between the first mounting frame and the second mounting frame shown in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차량은 차체(車體)(110)를 포함할 수 있다. 차체(110)는 단일의 몸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개가 상호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As shown, the agricultural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vehicle body (110). The vehicle body 110 may be formed as a single body, or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the vehicle bodie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26이하, 차체(110)를 포함한 구성 요소들의 방향 및 면을 지칭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차량이 전진하는 방향측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하고, 후진하는 방향측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한다.*26 Hereinafter, in referring to the directions and surfaces of components including the vehicle body 110, the sid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gricultural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forward is referred to as "front or front", and the side in the backward direction Is referred to as "rear or rear".

차체(110)의 하측에는 전차축(Front Axle)(121) 및 후차축(Rear Axle)(125)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전차축(121) 및 후차축(125)에는 바퀴가 설치되는 휠(121a)(125a)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전차축(121) 및 후차축(125)이 회전함에 따라 차체(110)를 포함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차량이 주행할 수 있다.A front axle 121 and a rear axle 125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vehicle body 110, respectively, and the front axle 121 and the rear axle 125 may have wheels. Wheels 121a and 125a to be installed may be installed respectively. As the front axle 121 and the rear axle 125 rotate, the agricultural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vehicle body 110 may be driven.

후차축(125)이 설치되는 차체(110)의 부위에는 후차축케이스(130)가 설치될 수 있고, 후차축케이스(130)에 후차축(125)이 회전가능하게 지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후차축(125)의 양단부측은 후차축케이스(13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다.The rear axle case 130 may be installed at a portion of the vehicle body 110 where the rear axle 125 is installed, and the rear axle 125 may be rotatably supported and installed on the rear axle case 130. In this case, both ends of the rear axle 125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rear axle case 130 to be exposed.

차체(110)의 전방측에는 동력을 생성하는 엔진(미도시)이 탑재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엔진의 후방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차량을 운전하기 위한 운전석(140)이 설치될 수 있다.An engine (not shown) that generates power may be mounted and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body 110, and a driver's seat 140 for driving the agricultural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engine. I can.

소형의 농업차량은, 공간의 제약상, 별도의 운전실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운전석(140)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그러면, 농업차량의 전복 등에 의하여 운전자가 다칠 수 있다. 농업차량의 전복 등에 의하여 운전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운전석(140) 후방의 차체(110) 부위에는 보호프레임(ROPS: Rollover Protection System)(150)이 설치된다.In the small agricultural vehicle, because a separate cab is not formed due to space constraints, the driver's seat 14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n, the driver may be injured due to overturning of the agricultural vehicle. In order to prevent the driver from being injured due to overturning of the agricultural vehicle, a rollover protection system (ROPS) 150 is installed at the portion of the vehicle body 110 behind the driver's seat 140.

보호프레임(150)은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부가 차체(110)에 지지 설치되고, 상단부는 운전석(140)에 탑승한 운전자 보다 더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보호프레임(15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차량의 전복 시, 운전자가 지면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otection frame 150 may be formed in an approximately "∩" shape, and the lower end may be supported and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110, and the upper end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driver who boarded the driver's seat 140. Thus, the protection frame 150 can prevent the driver from colliding with the ground when the agricultural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verturned.

그리고, 차체(110)의 전방 외측에는 로더(Loader) 등과 같은 전방작업기(161)가 설치될 수 있고, 후방 외측에는 백호(Backhoe) 등과 같은 후방작업기(165)가 설치될 수 있다.Further, a front work machine 161 such as a loader or the like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outside of the vehicle body 110, and a rear work machine 165 such as a backhoe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outside.

전방작업기(161) 및 후방작업기(165)는 중량이 크고, 전방작업기(161) 및 후방작업기(165)로 작업을 할 때에는 큰 부하가 요구된다. 그러므로, 전방작업기(161) 및 후방작업기(165)가 차체(110)에 견고하게 결합 설치되어야, 전방작업기(161) 및 후방작업기(165)로 안정되게 작업을 할 수 있다.The front work machine 161 and the rear work machine 165 have a large weight, and a large load is required when working with the front work machine 161 and the rear work machine 165. Therefore, the front work machine 161 and the rear work machine 165 must be firmly coupled to the vehicle body 110 to perform stable work with the front work machine 161 and the rear work machine 165.

차체(110)의 강성(剛性)을 보강하고, 전방작업기(161) 및 후방작업기(165)가 견고하게 차체(110)측에 결합될 수 있도록, 차체(110)에는 마운팅 프레임(Mounting Frame)(170)이 설치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마운팅 프레임(170)은 후차축케이스(130)에 설치될 수 있다.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vehicle body 110 and to be able to firmly couple the front work machine 161 and the rear work machine 165 to the body 110 side, the vehicle body 110 has a mounting frame (Mounting Frame) ( 170) can be installed. More specifically, the mounting frame 170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axle case 130.

마운팅 프레임(170)은 후차축케이스(130)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된 한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차체(110)의 길이 방향인 전후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마운팅 프레임(170)은 상기 차체(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mounting frames 170 may be provided in pairs,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rear axle case 130, and may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a front-rear direction that is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110. The mounting frame 17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vehicle body 110.

마운팅 프레임(170)은 차체(110)의 강성, 차체(110)에 대한 전방작업기(161) 및 후방작업기(165)의 결합 강성을 보강하고 지지하는 구조물로서, 중량이 무겁고 부피가 크다. 이로 인해, 마운팅 프레임(170)을 차체(110)에 설치하기 위한 작업이 불편할 수 있다. 특히, 마운팅 프레임(170)을 후차축케이스(130)에 설치할 때, 마운팅 프레임(170)이 후차축(125)과 간섭하지 않도록 설치하여야 하므로, 대단히 불편할 수 있다.The mounting frame 170 is a structure that reinforces and supports the rigidity of the vehicle body 110 and the coupling rigidity of the front working machine 161 and the rear working machine 165 to the vehicle body 110, and has a heavy weight and a large volume. For this reason, it may be inconvenient to work to install the mounting frame 170 on the vehicle body 110. In particular, when the mounting frame 170 is installed on the rear axle case 130, it may be very inconvenient because the mounting frame 170 must be install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rear axle 125.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차량은 마운팅 프레임(170)을 후차축케이스(130)에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2개로 분할하여 형성할 수 있다. 마운팅 프레임(170)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agricultural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by dividing the mounting frame 170 into two so as to be conveniently installed on the rear axle case 130. The mounting frame 17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마운팅 프레임과 후차축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마운팅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A"부 확대도이다.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ounting frame and rear axle shown in FIG. 2,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ounting frame shown in FIG. 4, and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 4.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 프레임(170)은 상호 결합된 제1마운팅 프레임(171)과 제2마운팅 프레임(17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마운팅 프레임(171)의 전방에는 전방작업기(161)가 설치되고, 제2마운팅 프레임(175)의 후방에는 후방작업기(165)가 설치되며, 제1마운팅 프레임(171)의 후단부 및 제2마운팅 프레임(175)의 전단부가 상호 결합된다.As shown, the mounting frame 170 may include a first mounting frame 171 and a second mounting frame 175 coupled to each other. A front working machine 161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first mounting frame 171, a rear working machine 165 is installed in the rear of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and the rear end of the first mounting frame 171 and the first Two front ends of the mounting frame 175 are coupled to each other.

그러면, 마운팅 프레임(170)을 차체(110)에 설치할 때, 상대적으로 경량인 제1마운팅 프레임(171)을 차체(110)에 먼저 설치하고, 상대적으로 경량인 제2마운팅 프레임(175)을 차체(110)에 나중에 설치하면 되므로, 마운팅 프레임(170)을 차체(110)에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Then, when the mounting frame 170 is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110, the relatively lightweight first mounting frame 171 is first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110, and the relatively lightweight second mounting frame 175 is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Since it can be installed later on 110, the mounting frame 170 can be conveniently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110.

상기 제1마운팅 프레임(171)과 상기 제2마운팅 프레임(175)은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전방작업기(161)만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제2마운팅 프레임(175)을 상기 차체(110)와 상기 제1마운팅 프레임(171)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후방작업기(165)만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제1마운팅 프레임(171)을 상기 차체(110)와 상기 제2마운팅 프레임(175)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작업차량은 다양한 작업환경에서 작업자가 어느 하나의 작업기만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어느 하나의 프레임이 비교적 간단히 분리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전체적인 중량이 증가함에 따라 차량의 연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mounting frame 171 and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Accordingly, when the operator intends to use only the front working machine 161,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can be separated from the vehicle body 110 and the first mounting frame 171. When the operator intends to use only the rear work machine 165, the first mounting frame 171 may be separated from the vehicle body 110 and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As described above, the working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o that any one frame can be relatively simply separated when the operator wants to use only one working machine in various working environments, so that the fuel economy of the vehicle increases as the overall weight increases. Can be prevented from deteriorating.

상호 결합되는 제1마운팅 프레임(171)의 후단부 일부와 제2마운팅 프레임(175)의 전단부 일부는 상호 중첩되어 결합될 수 있다.A portion of the rear end of the first mounting frame 171 and a portion of the front end of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overlapping each other.

그리고, 상호 중첩되어 결합된 제1마운팅 프레임(171)의 후단부와 제2마운팅 프레임(175)의 전단부 중, 일부는 후차축케이스(13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면, 마운팅 프레임(170)이 후차축케이스(130)에 견고하게 결합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some of the rear end of the first mounting frame 171 an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overlapped and coupled to each other may be coupled to the rear axle case 130. Then, the mounting frame 170 may be firmly coupled to the rear axle case 130.

제1마운팅 프레임(171)의 후단부 일부와 제2마운팅 프레임(175)의 전단부 일부가 중첩될 수 있도록, 제1마운팅 프레임(171)의 후단 하측 부위에는 제1결합편(171a)이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제2마운팅 프레임(175)의 전단 상측 부위에는 제2결합편(175a)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결합편(171a)의 일부 부위는 제2마운팅 프레임(175)의 전단부에 결합될 수 있고, 제2결합편(171a)의 일부 부위는 제1마운팅 프레임(171)의 후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호 결합되는 제1마운팅 프레임(171)의 제1결합편(171a)과 제2마운팅 프레임(175)의 제2결합편(175a)의 일부는 후차축케이스(130)에도 결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마운팅 프레임(171)과 제2마운팅 프레임(175)은 상호 견고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후차축케이스(13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A first coupling piece 171a protrudes from a lower portion of the rear end of the first mounting frame 171 so that a part of the rear end of the first mounting frame 171 and a part of the front end of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may overlap.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may be formed, and a second coupling piece 175a may be protru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end of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Thus, a part of the first coupling piece 171a may be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and a part of the second coupling piece 171a may be a rear end of the first mounting frame 171 Can be combined with In addition, a part of the first coupling piece 171a of the first mounting frame 171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175a of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may be coupled to the rear axle case 130 as well. . Therefore, the first mounting frame 171 and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are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are firmly coupled to the rear axle case 130.

제1마운팅 프레임(171)과 제2마운팅 프레임(175)은 볼트(181a)와 너트(181b)에 의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후차축케이스(130)에 결합되는 제1마운팅 프레임(171)과 제2마운팅 프레임(175)의 부위는 볼트(185)만에 의하여 후차축케이스(130)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mounting frame 171 and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 bolt 181a and a nut 181b. Further, portions of the first mounting frame 171 and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coupled to the rear axle case 130 may be coupled to the rear axle case 130 by only the bolt 185.

제1결합편(171a)과 제2결합편(175a)은,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상이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제1마운팅 프레임(171)과 제2마운팅 프레임(175)이 상호 결합되었을 때, 제1결합편(171a)과 제2결합편(175a) 사이에는 상하로 간격(C)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piece 171a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175a may be positioned at different heights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and when the first mounting frame 171 and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are coupled to each other , A gap C may be formed vertically between the first coupling piece 171a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175a.

그리고, 제1결합편(171a)과 제2결합편(175a)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C)에는 후차축(125)이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제1결합편(171a)과 제2결합편(175a)이 후차축(125)과 상호 간섭하지 않도록, 제1마운팅 프레임(171) 및 제2마운팅 프레임(175)이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하다.In addition, the rear axle 125 may be positioned in the gap C form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piece 171a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175a. At this time, it is natural that the first mounting frame 171 and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should be formed so that the first coupling piece 171a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175a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with the rear axle 125 Do.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차량은 마운팅 프레임(170)을 차체(110)에 설치할 때, 제1마운팅 프레임(171)의 제1결합편(171a)을 후차축(125)의 하측에 위치시키고, 제2마운팅 프레임(175)의 제2결합편(175a)을 후차축(125)의 상측에 위치시키면, 마운팅 프레임(170)과 후차축(125)이 상호 간섭하지 않으므로, 마운팅 프레임(170)을 차체(110)에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In the agricultural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unting frame 170 is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110, the first coupling piece 171a of the first mounting frame 171 is positioned at the lower side of the rear axle 125 , When the second coupling piece 175a of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is positioned above the rear axle 125, the mounting frame 170 and the rear axle 125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so the mounting frame 170 Can be conveniently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110.

제1마운팅 프레임(171)과 제2마운팅 프레임(175)이 상호 결합되고, 후차축케이스(130)에 결합될 때, 제1마운팅 프레임(171)이 내측에 위치되어 후차축케이스(130)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이때, 제2결합편(175a) 주위의 제2마운팅 프레임(175)의 일부 부위가 후차축케이스(130)에 직접 결합되면, 제2마운팅 프레임(175)과 후차축케이스(130) 사이에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이 존재하므로, 제2마운팅 프레임(175)이 후차축케이스(130)에 견고하게 결합되기 어렵다.When the first mounting frame 171 and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coupled to the rear axle case 130, the first mounting frame 171 is located inside and is attached to the rear axle case 130. Are placed closer together. At this time, when a part of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around the second coupling piece 175a is directly coupled to the rear axle case 130, the relative between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and the rear axle case 130 Since there is a wide space, it is difficult for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to be firmly coupled to the rear axle case 130.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2결합편(175a)과 인접한 제2마운팅 프레임(175)의 전단부 부위 중, 후차축케이스(130)와 직접 결합하는 제2마운팅 프레임(175)의 부위의 내면에는 돌출관(177)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볼트(185)는 돌출관(177)을 관통하여 후차축케이스(13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면, 돌출관(177)으로 인하여, 제2마운팅 프레임(175)과 후차축케이스(130) 사이의 공간이 보상되므로, 제2마운팅 프레임(175)이 후차축케이스(13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To solve this problem, among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adjacent to the second coupling piece 175a,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directly coupled to the rear axle case 130 In the protruding pipe 177 may be formed. Further, the bolt 185 may pass through the protruding pipe 177 and be coupled to the rear axle case 130. Then, due to the protrusion pipe 177,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and the rear axle case 130 is compensated, so that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is firmly coupled to the rear axle case 130. I can.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프레임이 보호프레임에 결합된 것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정면도로서, 이를 설명한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mounting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protection frame, and FIG. 8 is a front view of FIG. 7, which will be described.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10)를 향하는 제2마운팅 프레임(175)의 내면에는 브라켓(179)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브라켓(179)은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프레임(15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마운팅 프레임(175)이 보호프레임(150)에 결합되므로, 제2마운팅 프레임(175)을 포함한 마운팅 프레임(170)은 더욱 견고하게 차체(110)측에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a bracket 179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facing the vehicle body 110. Further, the bracket 179 may be coupled to the protection frame 150 to protect the driver. Since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is coupled to the protection frame 150, the mounting frame 170 including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may be more firmly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110 side.

브라켓(179)과 대응되는 제2마운팅 프레임(175)의 부위에는 관통공(175b)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175b)을 통해 도구을 삽입하여, 보호프레임(150)에 브라켓(179)을 결합하면 되므로, 보호프레임(150)에 브라켓(179)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보호프레임(150)에도 브라켓(179)에 결합되는 브라켓(152)이 형성될 수 있다.A through hole 175b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corresponding to the bracket 179. Since the tool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175b and the bracket 179 is coupled to the protection frame 150, the bracket 179 can be easily installed on the protection frame 150. A bracket 152 coupled to the bracket 179 may be formed in the protection frame 150 as well.

제2마운팅 프레임(175)의 후단 상측 및 하측 부위에는 후방작업기(165)와 결합되는 구성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ear end of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a configuration that is coupled to the rear work machine 165 may be 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차량은 차체(110)에 설치되는 마운팅 프레임(170)이, 분할 형성되어 상호 결합된 제1마운팅 프레임(171)과 제2마운팅 프레임(175)으로 마련된다. 그러면, 상대적으로 경량인 제1마운팅 프레임(171)과 제2마운팅 프레임(175)을 각각 차체(110)에 설치하면 되므로, 마운팅 프레임(170)을 차체(110)에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The agricultural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ounting frame 170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110 as a first mounting frame 171 and a second mounting frame 175 divided and coupled to each other. Then, since the relatively lightweight first mounting frame 171 and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may be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110, respectively, the mounting frame 170 can be conveniently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110.

그리고, 제1마운팅 프레임(171)의 제1결합편(171a)을 후차축(125)의 하측에 위치시켜 제1마운팅 프레임(171)을 차체(110)에 설치하고, 제2마운팅 프레임(175)의 제2결합편(175a)을 후차축(125)의 상측에 위치시켜 제2마운팅 프레임(175)을 차체(110)에 설치하면, 마운팅 프레임(170)과 후차축(125)이 간섭하지 않으므로, 마운팅 프레임(170)을 차체(110)에 더욱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by placing the first coupling piece 171a of the first mounting frame 171 under the rear axle 125 to install the first mounting frame 171 on the vehicle body 110,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 Of the second coupling piece (175a) on the upper side of the rear axle 125, and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is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110, the mounting frame 170 and the rear axle 125 do not interfer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ore conveniently install the mounting frame 170 on the vehicle body 110.

이상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 제1마운팅 프레임(171)이 제2마운팅 프레임(175)보다 후차축케이스(130)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마운팅 프레임(175)이 제1마운팅 프레임(171)보다 후차축케이스(130)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결합편(171a)과 인접한 제1마운팅 프레임(171)의 후단부 부위 중, 후차축케이스(130)와 직접 결합하는 제1마운팅 프레임(171)의 부위의 내면에는 돌출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볼트는 돌출관을 관통하여 후차축케이스(13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면, 돌출관으로 인하여, 제1마운팅 프레임(171)과 후차축케이스(130) 사이의 공간이 보상되므로, 제1마운팅 프레임(171)이 후차축케이스(13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the abov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first mounting frame 171 is disposed closer to the rear axle case 130 than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but is not limited thereto. 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rear axle case 130 than the first mounting frame 171. In this case, among the rear end portions of the first mounting frame 171 adjacent to the first coupling piece 171a, a protruding tub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ortion of the first mounting frame 171 that is directly coupled to the rear axle case 130 Can be. In addition, the bolt may pass through the protruding tube and be coupled to the rear axle case 130. Then, due to the protruding tube, the space between the first mounting frame 171 and the rear axle case 130 is compensated, so that the first mounting frame 171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rear axle case 130.

제2실시예Embodiment 2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로서,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unting fram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nly differences from the first embodiment are described.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편(271a)은 제1마운팅 프레임(271)의 후단부 상측 부위에 형성될 수 있고, 제2결합편(275a)은 제2마운팅 프레임(275)의 전단 하측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에는, 제1결합편(271a)이 후차축케이스(130)(도 3 참조)의 상측에 위치되고, 제2결합편(275a)이 후차축케이스(130)의 하측에 위치됨은 당연하다.As shown, the first coupling piece 271a may be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end of the first mounting frame 271,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275a is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second mounting frame 275 Can be formed in In this case, it is natural that the first coupling piece 271a is positioned above the rear axle case 130 (see FIG. 3 ),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275a is positioned below the rear axle case 130.

미설명 부호 277은 돌출관이다.Reference numeral 277 is a protruding tube.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마운팅 프레임(275)이 제1마운팅 프레임(271)보다 후차축케이스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마운팅 프레임(271)에 돌출관이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mounting frame 275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rear axle case than the first mounting frame 271. In this case, a protruding pipe may be formed in the first mounting frame 271.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프레임의 사시도로서,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unting fram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nly differences from the first embodiment are described.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 프레임(370)의 제1마운팅 프레임(371)의 후단 상측 및 하측 부위에는 상호 간격을 가지는 제1결합편(371a) 및 제2결합편(371b)이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제1결합편(371a) 및 제2결합편(371b)은 제2마운팅 프레임(375)의 전단부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때에는, 제1결합편(371a)이 후차축케이스(130)(도 3 참조)의 상측에 위치되고, 제2결합편(371b)이 후차축케이스(130)의 하측에 위치됨은 당연하다.As shown,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ear end of the first mounting frame 371 of the mounting frame 370, a first coupling piece 371a and a second coupling piece 371b having mutual intervals may be formed, respectively. , The first coupling piece 371a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371b may b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ront end side of the second mounting frame 375. In this case, it is natural that the first coupling piece 371a is positioned above the rear axle case 130 (see FIG. 3 ),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371b is positioned below the rear axle case 130.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마운팅 프레임(375)이 제1마운팅 프레임(371)보다 후차축케이스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마운팅 프레임(371)에 돌출관이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mounting frame 375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rear axle case than the first mounting frame 371. In this case, a protruding pipe may be formed in the first mounting frame 371.

제4실시예Embodiment 4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프레임의 사시로서, 제3실시예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unting fram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nly differences from the third embodiment are described.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 프레임(470)의 제2마운팅 프레임(475)의 전단 상측 및 하측 부위에는 상호 간격을 가지는 제1결합편(475a) 및 제2결합편(475b)이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제1결합편(475a) 및 제2결합편(475b)은 제1마운팅 프레임(471)의 후단부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때에는, 제1결합편(475a)이 후차축케이스(130)(도 3 참조)의 상측에 위치되고, 제2결합편(475b)이 후차축케이스(130)의 하측에 위치됨은 당연하다.As shown, a first coupling piece (475a) and a second coupling piece (475b) having a mutual spacing may b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ront end of the second mounting frame 475 of the mounting frame 470, respectively. , The first coupling piece 475a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475b may be coupled to the rear end side of the first mounting frame 471, respectively. In this case, it is natural that the first coupling piece 475a is positioned above the rear axle case 130 (see FIG. 3 ),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475b is positioned below the rear axle case 130.

미설명 부호 477은 돌출관이다.Reference numeral 477 is a protruding tube.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마운팅 프레임(475)이 제1마운팅 프레임(471)보다 후차축케이스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mounting frame 475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rear axle case than the first mounting frame 471.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농업차량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농업차량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차량과 대략적으로 일치되게 구현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서술한다.Hereinafter, an agricultural vehicle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ince the agricultural vehicle according to the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o be approximately identical to the agricultural vehicl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below.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농업차량은 상기 차체(110), 상기 차체(110)의 양측면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된 한쌍의 상기 마운팅 프레임(170), 및 상기 마운팅 프레임(170)의 전방에 설치된 상기 전방작업기(161)를 포함한다. 상기 마운팅 프레임(170)은 상기 차체(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제1마운팅 프레임(171)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농업차량은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12 and 13, the agricultural vehicle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vehicle body 110, a pair of mounting frames 170 installed opposite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body 110, and the It includes the front working machine 161 installed in front of the mounting frame 170. The mounting frame 170 includes the first mounting frame 171 detachably coupled to the vehicle body 110. Accordingly, the agricultural vehicle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농업차량은 상기 제1마운팅 프레임(171)과 상기 제2마운팅 프레임(175) 모두가 상기 차체(110)에 결합되는 예와 대비하여 볼 때, 하나의 프레임에 대한 설치 작업만이 요구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농업차량은 프레임의 설치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irst, in the agricultural vehicle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ompared to an example in which both the first mounting frame 171 and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are coupled to the vehicle body 110, one It is implemented so that only installation work on the frame is required. Accordingly, the agricultural vehicle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ease of installation of the frame.

둘째,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농업차량은 하나의 마운팅 프레임만이 상기 차체(110)에 결합되므로 상기 차체(110)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농업차량은 전체적인 중량이 증가함에 따라 차량의 연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econd, in the agricultural vehicle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ly one mounting frame is coupled to the vehicle body 110, the load applied to the vehicle body 110 can be reduced. Accordingly, in the agricultural vehicle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crease in fuel efficiency of the vehicle as the overall weight increases.

상기 제1마운팅 프레임(171)의 전방에는 상기 전방작업기(16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마운팅 프레임(171)은 상기 볼트(185)에 의하여 상기 후차축케이스(130)에 결합될 수 있다.The front working machine 161 may be installed in front of the first mounting frame 171. The first mounting frame 171 may be coupled to the rear axle case 130 by the bolts 185.

상기 제1마운팅 프레임(171)의 후단 하측 부위 또는 후단 상측 부위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위에는 제1결합편(17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결합편(171a)은 상기 볼트(181a)에 의해 상기 후차축케이스(1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농업차량은 상기 제1결합편(175a)을 통해 상기 후차축(125)에 대한 간섭을 회피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제1마운팅 프레임(171)이 상기 후차축케이스(130)에 결합되는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A first coupling piece 171a may be formed at at least one of a lower rear portion or an upper rear portion of the first mounting frame 171. In this case, the first coupling piece 171a may be coupled to the rear axle case 130 by the bolts 181a. Accordingly, the agricultural vehicle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void interference with the rear axle 125 through the first coupling piece (175a), while the first mounting frame 171 An area coupled to the rear axle case 130 may be increas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농업차량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프레임(170)이 상기 제1마운팅 프레임(171)만을 포함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마운팅 프레임(170)은 상기 제2마운팅 프레임(175)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방작업기(165)는 상기 제2마운팅 프레임(175)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in the agricultural vehicle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frame 170 has been described based on that only the first mounting frame 171 is included, but this is exemplary, and the mounting frame 170 May include only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In this case, the rear work machine 165 may be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구비한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obvious to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차체
150: 보호프레임
170: 마운팅 프레임
171: 제1마운팅 프레임
175: 제2마운팅 프레임
110: body
150: protection frame
170: mounting frame
171: first mounting frame
175: second mounting frame

Claims (9)

차체(110);
상기 차체(110)의 양측면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된 한쌍의 마운팅 프레임(170);
상기 마운팅 프레임(170)의 전방에 설치된 전방작업기(161); 및
상기 마운팅 프레임(170)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작업기(165)를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 프레임(170)은 상호 결합된 제1마운팅 프레임(171) 및 제2마운팅 프레임(17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차량.
Vehicle body 110;
A pair of mounting frames 170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body 110;
A front working machine 161 installed in front of the mounting frame 170; And
Including a rear working machine 165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mounting frame 170,
The mounting frame 170 is an agricultural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mounting frame (171) and a second mounting frame (175) coupled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운팅 프레임(171)의 전방 및 상기 제2마운팅 프레임(175)의 후방에는 상기 전방작업기(161) 및 상기 후방작업기(165)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마운팅 프레임(171)의 후단부와 상기 제2마운팅 프레임(175)의 전단부는 상호 결합되며,
상호 결합된 상기 제1마운팅 프레임(171)의 후단부와 상기 제2마운팅 프레임(175)의 전단부는 상기 차체(110)에도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차량.
The method of claim 1,
The front working machine 161 and the rear working machine 165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first mounting frame 171 and at the rear of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The rear end of the first mounting frame 171 an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are coupled to each other,
An agricultural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end of the first mounting frame 171 an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coupled to each other are also coupled to the vehicle body 1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110)는 후차축(Rear Axle)(125)이 지지 설치되는 후차축케이스(130)를 포함하고,
상호 결합된 상기 제1마운팅 프레임(171)의 후단부와 상기 제2마운팅 프레임(175)의 전단부는 상기 후차축케이스(13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차량.
The method of claim 2,
The vehicle body 110 includes a rear axle case 130 on which a rear axle 125 is supported and installed,
An agricultural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end of the first mounting frame 171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are coupled to the rear axle case 13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운팅 프레임(171)의 후단 하측 및 상기 제2마운팅 프레임(175)의 전단 상측에는 제1결합편(171a) 및 제2결합편(175a)이 각각 형성되고,
결합 시, 상기 제1결합편(171a)은 상기 후차축(125)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결합편(175a)은 상기 후차축(125)의 상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차량.
The method of claim 3,
A first coupling piece (171a) and a second coupling piece (175a) are respectively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rear end of the first mounting frame 171 and an upper front end side of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When combined, the first coupling piece (171a)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ar axle 125, the second coupling piece (175a) is an agricultural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ar axle (125)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운팅 프레임(271)의 후단 상측 및 상기 제2마운팅 프레임(275)의 전단 하측에는 제1결합편(271a) 및 제2결합편(275a)이 각각 형성되고,
결합 시, 상기 제1결합편(271a)은 상기 후차축(125)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결합편(275a)은 상기 후차축(125)의 하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차량.
The method of claim 3,
A first coupling piece 271a and a second coupling piece 275a are respectively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rear end of the first mounting frame 271 and a lower front end of the second mounting frame 275,
When coupled, the first coupling piece (271a)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ar axle 125, the second coupling piece (275a) is an agricultural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ar axle (125)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운팅 프레임(371)의 후단 상측 및 하측에는 상호 간격을 가지는 제1결합편(371a) 및 제2결합편(371b)이 각각 형성되고,
결합 시, 상기 제1결합편(371a)은 상기 후차축(125)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결합편(371b)은 상기 후차축(125)의 하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차량.
The method of claim 3,
A first coupling piece 371a and a second coupling piece 371b having mutual intervals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first mounting frame 371, respectively,
When coupled, the first coupling piece 371a is located above the rear axle 125,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371b is located below the rear axle 125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운팅 프레임(475)의 전단 상측 및 하측에는 상호 간격을 가지는 제1결합편(475a) 및 제2결합편(475b)이 각각 형성되고,
결합 시, 상기 제1결합편(475a)은 상기 후차축(125)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결합편(475b)은 상기 후차축(125)의 하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차량.
The method of claim 3,
A first coupling piece (475a) and a second coupling piece (475b) having mutual intervals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ront end of the second mounting frame 475, respectively,
When combined, the first coupling piece (475a)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ar axle 125, the second coupling piece (475b) is an agricultural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ar axle (125)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운팅 프레임(171)(271)(471)이 상기 제2마운팅 프레임(175)(275)(475)보다 상기 후차축케이스(130)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후차축케이스(130)와 직접 결합되는 상기 제2마운팅 프레임(175)(275)(475)의 부위의 내면에 돌출관(177)(277)(477)이 형성되고,
상기 제2마운팅 프레임(175)(275)(375)이 상기 제1마운팅 프레임(171)(271)(371)보다 상기 후차축케이스(130)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후차축케이스(130)와 직접 결합되는 상기 제1마운팅 프레임(171)(271)(371)의 부위의 내면에 돌출관(177)(277)(477)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관(177)(277)(477)이 상기 후차축케이스(130)에 직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차량.
The method of claim 3,
When the first mounting frame 171, 271, and 471 are disposed closer to the rear axle case 130 than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275, and 475, the rear axle case 130 ), protruding pipes 177, 277, 477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ortion of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275, and 475 that are directly coupled to
When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275, 375 is disposed closer to the rear axle case 130 than the first mounting frame 171, 271, 371, the rear axle case 130 ), protruding pipes 177, 277, 477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ortion of the first mounting frame 171, 271, 371 that are directly coupled with,
An agricultural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pipes (177, 277, 477) are directly coupled to the rear axle case (13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110)를 향하는 상기 제2마운팅 프레임(175)의 내면에는 브라켓(179)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179)은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프레임(150)에 결합되며,
상기 브라켓(179)과 대응되는 상기 제2마운팅 프레임(175)의 부위에는 관통공(175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차량.
The method of claim 3,
A bracket 179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facing the vehicle body 110,
The bracket 179 is coupled to the protection frame 150 to protect the driver,
An agricultural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through hole (175b)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second mounting frame (175) corresponding to the bracket (179).
KR1020190138317A 2019-02-28 2019-11-01 Agricultural Vehicle KR2020010537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24230 2019-02-28
KR1020190024230 2019-0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377A true KR20200105377A (en) 2020-09-07

Family

ID=72472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317A KR20200105377A (en) 2019-02-28 2019-11-01 Agricultural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537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67558B1 (en) Frame structure for working vehicle
CA2307926C (en) Multi-functional self-propelled farm tractor
US9994158B2 (en) Working vehicle
US10024026B2 (en) Front loader frame, front loader equipped with front loader frame, and work vehicle equipped with front loader
KR20200105377A (en) Agricultural Vehicle
KR102597577B1 (en) Agricultural vehicle
KR20150145034A (en) Agricultural vehicle
US7431553B2 (en) Loader work machine
KR102363695B1 (en) Frame Apparatus of Agricultural Vehicle
US20240130261A1 (en) Frame apparatus for agricultural work vehicle
CN105230160A (en) Self-propelled crawler rotary tillage and trench digging all-in-one machine
US20240132168A1 (en) Work vehicle
KR20200104995A (en) Agricultural Vehicle
US20180178846A1 (en) Frame apparatus for agricultural vehicles
EP3563653B1 (en) Frame device for agricultural work vehicle
US11950525B2 (en) Protective member and work vehicle
EP3875352A1 (en) Work vehicle and counter weight for work vehicle
KR102363692B1 (en) Frame Apparatus of Agricultural Vehicle
JP2004201502A (en) Sulky rice transplanter
KR20190105926A (en) Running device of agricultural vehicle
JPS6146059Y2 (en)
KR20200105277A (en)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JPH0629172Y2 (en) Pipe mounting device for tractor hydraulic system
KR20240082871A (en) Riding type cultivator
JPH0320360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