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5304A - 필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 Google Patents

필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5304A
KR20200105304A KR1020190024308A KR20190024308A KR20200105304A KR 20200105304 A KR20200105304 A KR 20200105304A KR 1020190024308 A KR1020190024308 A KR 1020190024308A KR 20190024308 A KR20190024308 A KR 20190024308A KR 20200105304 A KR20200105304 A KR 20200105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check
port
upper port
closed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한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to KR1020190024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5304A/ko
Publication of KR20200105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3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커넥터는 양단이 개방된 내부 통로 및 일단이 상기 내부 통로와 연통되고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절개홀을 포함하는 바디부; 및 상기 절개홀을 커버하도록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는 탄성의 체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크부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체크부가 상기 폐쇄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내부 통로는 상기 체크부를 기준으로 제1 챔버와 제2 챔버로 분리되고,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는 서로 연통되지 않을 수 있다.

Description

필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FILTER CONNECTOR AND MASK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필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는 먼지, 분진, 악취, 가스 등이 인체의 입, 코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착용하는 것으로서, 그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마스크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산업 현장에서는 작업자의 건강 및 안전상의 이유로 마스크의 사용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마스크의 여과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각종 산업 현장에서는 필터가 구비된 마스크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필터는 일반적으로 카트리지에 수용되어 카트리지를 마스크에 결합시키는 구조로 마스크와 연결된다.
이와 같이 필터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마스크에 있어서, 필터 카트리지 이외의 경로로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 실질적으로 마스크의 여과 기능이 매우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 카트리지 이외의 경로로 공기가 유입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한데, 종래의 경우 필터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에서 필터 카트리지 결합구를 손으로 막고 숨을 쉬어 공기가 새는지 여부를 확인 하는 방법으로 확인작업을 하였다.
다만, 이와 같이 필터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에서 공기가 다른 경로로 유입되는지 여부를 확인(이하, '피트 체킹'이라 함)하는 경우, 사용자가 마스크를 얼굴면으로 가압하면서 피트 체킹을 실시하기 때문에, 평상 시 마스크 착용 상태에서 공기가 다른 경로로 유입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피트 체킹이 용이한 필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커넥터는 양단이 개방된 내부 통로 및 일단이 상기 내부 통로와 연통되고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절개홀을 포함하는 바디부; 및 상기 절개홀을 커버하도록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는 탄성의 체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크부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체크부가 상기 폐쇄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내부 통로는 상기 체크부를 기준으로 제1 챔버와 제2 챔버로 분리되고,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는 서로 연통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커넥터에서 상기 바디부는 제1 바디 및 제2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체크부가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바디의 내부에 상기 제1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바디의 내부에 상기 제2 챔버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커넥터에서 상기 제1 바디는 상부 포트 및 하부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상부 포트와 연결된 전면 포트 및 후면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포트와 상기 전면 포트가 연결되는 지점에 상기 절개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커넥터에서 상기 체크부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 포트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실링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크부가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실링 플레이트는 상기 상부 포트를 밀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커넥터에서 상기 상부 포트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 포트를 밀폐시키는 실링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커넥터에서 상기 체크부가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상부 포트가 밀폐되어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가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커넥터에서 상기 바디부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고, 필터 카트리지가 삽입 되는 필터 카트리지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착용자의 안면에 착용 가능하게 제공되는 안면 접합부; 상기 안면 접합부에 결합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 포트를 구비하는 공기 유입부; 상기 공기 유입부와 연결되는 필터 커넥터; 및 상기 필터 커넥터에 결합되는 필터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커넥터는, 양단이 개방된 내부 통로 및 일단이 상기 내부 통로와 연통되고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절개홀을 포함하는 바디부; 및 상기 절개홀을 커버하도록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는 탄성의 체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크부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체크부가 상기 폐쇄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내부 통로는 상기 체크부를 기준으로 제1 챔버와 제2 챔버로 분리되고,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는 서로 연통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에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필터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제1 바디; 및 상기 흡기 포트가 삽입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체크부가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바디의 내부에 상기 제1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바디의 내부에 상기 제2 챔버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에서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체크부와 결합된 상부 포트 및 상기 필터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하부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체크부와 연결된 전면 포트 및 상기 흡기 포트가 삽입되는 후면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에서 상기 체크부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 포트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실링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에서 상기 상부 포트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 포트를 밀폐시키는 실링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는 피트 체킹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커넥터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에 따른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커넥터에서 체크부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동작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커넥터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커넥터에서 체크부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동작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커넥터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커넥터에서 체크부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동작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는 착용자의 안면에 착용 가능하게 제공되는 안면 접합부(100), 안면 접합부(100)에 결합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 포트(210)를 구비하는 공기 유입부(200), 공기 유입부(200)에 연결되는 필터 커넥터(300) 및 필터 커넥터(300)에 결합되는 카트리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안면 접합부(100)는 착용자의 안면에 착용 가능하게 제공되는 부분으로 착용자의 코와 입을 덮도록 착용자의 안면에 착용될 수 있다. 안면 접합부(100)는 비투과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안면 접합부(100)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100a) 및 내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홀(100b)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유입부(200)는 공기 유입부(200)의 일부가 안면 접합부(100)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안면 접합부(100)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면 접합부(100)의 유입홀(100a) 및 배출홀(100b)에 공기 유입부(200)의 흡기 포트(211) 및 배기 포트(212)가 삽입되어 공기 유입부(200)와 안면 접합부(100)가 결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공기 유입부(200)는 안면 접합부(100)에 본딩, 융착 등의 방법을 통해서 결합될 수도 있다. 공기 유입부(200)는 안면 전합부(100)에 결합되는 내부 커버(210) 및 내부 커버(210)의 외면을 감싸는 외부 커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커버(210)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 포트(211) 및 내부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 포트(212)가 구비될 수 있다. 외부 커버(220)는 내부 커버(210)의 흡기 포트(211)가 관통하여 전방으로 노출되는 관통홀(2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커버(220) 중 내부 커버(210)의 배기 포트(212)에 대응하는 부분은 배기 포트(212)와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필터 커넥터(300)는 흡기 포트(2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필터 커넥터(300)에는 공기 여과 기능을 수행하는 필터 카트리지(400)가 결합될 수 있다. 필터 카트리지(400)는 공기 여과 기능을 수행하도록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다양한 필터 카트리지(400)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에 구비되는 필터 커넥터(300)의 상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필터 커넥터(300)는 제1 챔버(C1) 및 제2 챔버(C2)를 포함는 내부 통로(p) 및 일단이 내부 통로(p)와 연통되고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절개홀(310a)을 포함하는 바디부(310) 및 절개홀(310a)을 커버하도록 바디부(310)에 결합되는 탄성의 체크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통로(p)는 양단이 개방되어 개방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체크부(320)는 개방 위치(op)와 폐쇄 위치(cp)를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개방 위치(op)란 체크부(320)가 제1 챔버(C1)와 제2 챔버(C2)를 연통시킬 수 있는 위치를 의미하며, 폐쇄 위치(cp)란 체크부(320)가 제1 챔버(C1)와 제2 챔버(C2)를 별개의 공간으로 분리시키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도 6 참조).
바디부(310)는 체크부(320)가 폐쇄 위치(cp)로 이동하는 경우 제1 챔버(C1)가 내부에 형성되는 제1 바디(311) 및 체크부(320)가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제2 챔버(C2)가 형성되며 공기 유입부(200)의 흡기 포트(2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바디(3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바디(311)와 제2 바디(312)는 일부가 연결되고, 연결되지 않은 부분은 절개홀(310a)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바디(311)는 상부 포트(311a) 및 하부 포트(312b)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바디(312)는 상부 포트(311a)와 연결된 전면 포트(312a) 및 후면 포트(312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 포트(311a)와 전면 포트(312a)가 연결되는 지점에 절개홀(310a)이 형성될 수 있다.
체크부(320)는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탄성을 가진 소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바디부(310)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내부 통로(p)를 제1 챔버(C1)와 제2 챔버(C2)로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크부(320)는 폐쇄 위치(cp)로 이동하여, 상부 포트(311a)를 밀폐시킴으로써 내부 통로(p)를 제1 챔버(C1)와 제2 챔버(C2)로 분리할 수 있다. 체크부(320)가 내부 통로(p)를 제1 챔버(C1)와 제2 챔버(C2)로 분리하는 경우 제1 챔버(C1)와 제2 챔버(C2)는 서로 연통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챔버(C1)는 필터 카트리지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필터 카트리지(400)를 제거하지 않고도 사용자는 체크부(320)를 폐쇄 위치(cp)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들숨을 쉴때, 공기가 들어오지 여부를 판단하여 피트 체킹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10을 더 참조하면, 체크부(320)는 실링 플레이트(3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링 플레이트(321)는 일 예로서, 상부 포트(311a)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링 플레이트(321)는 사용자가 더욱 용이하게 피트 체킹을 실시하게 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실링 플레이트(321)를 가압함으로써 피트 체킹을 실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실링 플레이트(321)를 가압하여 체크부(320)를 폐쇄 위치(320)로 이동시키는 경우, 실링 플레이트(321)는 상부 포트(311a)를 밀폐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챔버(C1)와 제2 챔버(C2)는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실링 플레이트(321)는 체크부(320)에 구비될 수 있다(도 7 및 도 8 참조). 예를 들어, 실링 플레이트(321)는 체크부(320)와 일체로 사출성형 되거나. 체크부(320)의 외면 또는 내면에 접착될 수 있다. 즉, 실링 플레이트(321)는 제1 바디(311) 및 제2 바디(312)에 체크부(320)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실링 플레이트(321)는 제1 바디(311)의 상부 포트(311a)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도 9 및 도 10 참조). 다시 말해, 실링 플레이트(321)는 상부 포트(311a)의 일측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실링 플레이트(321)는 회전하여 상부 포트(311a)를 밀폐 시킬 수 있다.
한편, 바디부(310)는 필터 카트리지 고정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카트리지 고정부(313)는 필터 카트리지(400) 결합 시 필터 카트리지(400)가 안정적으로 바디부(31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바디부(310)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하기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나열이다.
항목 1은 양단이 개방된 내부 통로 및 일단이 상기 내부 통로와 연통되고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절개홀을 포함하는 바디부; 및 상기 절개홀을 커버하도록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는 탄성의 체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크부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체크부가 상기 폐쇄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내부 통로는 상기 체크부를 기준으로 제1 챔버와 제2 챔버로 분리되고,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는 서로 연통되지 않는 필터 커넥터이다.
항목 2는 항목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제1 바디 및 제2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체크부가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바디의 내부에 상기 제1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바디의 내부에 상기 제2 챔버가 형성되는 필터 커넥터이다.
항목 3은 항목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상부 포트 및 하부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상부 포트와 연결된 전면 포트 및 후면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포트와 상기 전면 포트가 연결되는 지점에 상기 절개홀이 형성되는 필터 커넥터이다.
항목 4는 항목 3에 있어서, 상기 체크부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 포트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실링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크부가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실링 플레이트는 상기 상부 포트를 밀폐시키는 필터 커넥터이다.
항목 5는 항목 3에 있어서, 상기 상부 포트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 포트를 밀폐시키는 실링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필터 커넥터이다.
항목 6은 항목 3에 있어서, 상기 체크부가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상부 포트가 밀폐되어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가 분리되는 필터 커넥터이다.
항목 7은 항목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고, 필터 카트리지가 삽입 되는 필터 카트리지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필터 커넥터이다.
항목 8은 착용자의 안면에 착용 가능하게 제공되는 안면 접합부; 상기 안면 접합부에 결합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 포트를 구비하는 공기 유입부; 상기 공기 유입부와 연결되는 필터 커넥터; 및 상기 필터 커넥터에 결합되는 필터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커넥터는, 양단이 개방된 내부 통로 및 일단이 상기 내부 통로와 연통되고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절개홀을 포함하는 바디부; 및 상기 절개홀을 커버하도록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는 탄성의 체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크부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체크부가 상기 폐쇄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내부 통로는 상기 체크부를 기준으로 제1 챔버와 제2 챔버로 분리되고,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는 서로 연통되지 않는 마스크이다.
항목 9는 항목 8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필터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제1 바디; 및 상기 흡기 포트가 삽입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체크부가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바디의 내부에 상기 제1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바디의 내부에 상기 제2 챔버가 형성되는 마스크이다.
항목 10은 항목 9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체크부와 결합된 상부 포트 및 상기 필터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하부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체크부와 연결된 전면 포트 및 상기 흡기 포트가 삽입되는 후면 포트를 포함하는 마스크이다.
항목 11은 항목 10에 있어서, 상기 체크부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 포트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실링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이다.
항목 12는 항목 10에 있어서, 상기 상부 포트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 포트를 밀폐시키는 실링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마스크 100: 안면 접합부
200: 공기 유입부 300: 필터 커넥터
310: 바디부 311: 제1 바디
312: 제2 바디 313: 필터 카트리지 고정부
400: 필터 카트리지 p: 내부 통로
C1: 제1 챔버 C2: 제2 챔버
op: 개방 위치 cp: 폐쇄 위치

Claims (12)

  1. 양단이 개방된 내부 통로 및 일단이 상기 내부 통로와 연통되고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절개홀을 포함하는 바디부; 및
    상기 절개홀을 커버하도록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는 탄성의 체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크부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체크부가 상기 폐쇄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내부 통로는 상기 체크부를 기준으로 제1 챔버와 제2 챔버로 분리되고,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는 서로 연통되지 않는,
    필터 커넥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제1 바디 및 제2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체크부가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바디의 내부에 상기 제1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바디의 내부에 상기 제2 챔버가 형성되는,
    필터 커넥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상부 포트 및 하부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상부 포트와 연결된 전면 포트 및 후면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포트와 상기 전면 포트가 연결되는 지점에 상기 절개홀이 형성되는,
    필터 커넥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부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 포트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실링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크부가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실링 플레이트는 상기 상부 포트를 밀폐시키는,
    필터 커넥터.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포트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 포트를 밀폐시키는 실링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필터 커넥터.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부가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상부 포트가 밀폐되어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가 분리되는,
    필터 커넥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고, 필터 카트리지가 삽입 되는 필터 카트리지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필터 커넥터.
  8. 착용자의 안면에 착용 가능하게 제공되는 안면 접합부;
    상기 안면 접합부에 결합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 포트를 구비하는 공기 유입부;
    상기 공기 유입부와 연결되는 필터 커넥터; 및
    상기 필터 커넥터에 결합되는 필터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커넥터는,
    양단이 개방된 내부 통로 및 일단이 상기 내부 통로와 연통되고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절개홀을 포함하는 바디부; 및
    상기 절개홀을 커버하도록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는 탄성의 체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크부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체크부가 상기 폐쇄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내부 통로는 상기 체크부를 기준으로 제1 챔버와 제2 챔버로 분리되고,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는 서로 연통되지 않는,
    마스크.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필터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제1 바디; 및
    상기 흡기 포트가 삽입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체크부가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바디의 내부에 상기 제1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바디의 내부에 상기 제2 챔버가 형성되는,
    마스크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체크부와 결합된 상부 포트 및 상기 필터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하부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체크부와 연결된 전면 포트 및 상기 흡기 포트가 삽입되는 후면 포트를 포함하는,
    마스크.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부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 포트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실링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포트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 포트를 밀폐시키는 실링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KR1020190024308A 2019-02-28 2019-02-28 필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KR202001053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308A KR20200105304A (ko) 2019-02-28 2019-02-28 필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308A KR20200105304A (ko) 2019-02-28 2019-02-28 필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304A true KR20200105304A (ko) 2020-09-07

Family

ID=72472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308A KR20200105304A (ko) 2019-02-28 2019-02-28 필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530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55524B (zh) 具有清洁空气入口腔室的呼吸面罩
US20170274227A1 (en) Respiratory mask and filter cartridge therefor
US4752974A (en) Air-feed type dust protective helmet
CN113749330B (zh) 口罩装置
KR101964250B1 (ko) 마스크가 구비된 고글
JP6850812B2 (ja) 複数チャンバ式呼吸マスクの封止装置及び方法
JP2019512344A5 (ko)
CN103550875A (zh) 防毒防尘面具
KR101951239B1 (ko)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고글
RU2005112738A (ru) Противогаз
CN108601959A (zh) 带有眼镜接口的呼吸器面罩
KR20200063840A (ko) 얼굴 밀착형 마스크
KR20200105304A (ko) 필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CN109334919A (zh) 一种分体式浮潜面罩
US20210220679A1 (en) Filter-type respiratory protective device
JP2005516744A (ja) 呼吸用保護具
KR20220063015A (ko) 웨어러블 공기 청정기
KR20210101551A (ko) 마스크
KR100481353B1 (ko) 호흡기 보호수단을 갖춘 고글
CN205832413U (zh) 一种防毒面具半面罩
CN208260026U (zh) 一种空气呼吸器
KR200282528Y1 (ko) 호흡기 보호수단을 갖춘 고글
JP2006346166A (ja) フィルタ部材
CN205698962U (zh) 一种主动排风防尘面具
KR20210128810A (ko) 개폐식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