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5271A - 셀 트레이 - Google Patents

셀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5271A
KR20200105271A KR1020190024232A KR20190024232A KR20200105271A KR 20200105271 A KR20200105271 A KR 20200105271A KR 1020190024232 A KR1020190024232 A KR 1020190024232A KR 20190024232 A KR20190024232 A KR 20190024232A KR 20200105271 A KR20200105271 A KR 20200105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cell tray
lead
electrode lead
fixing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만
안창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90024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5271A/ko
Publication of KR20200105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2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0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6Carrying device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65D2585/8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for electrical components
    • B65D2585/88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셀 트레이는, 셀을 수용하는 셀 트레이(Cell tray)로서, 상기 셀이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셀의 전극 리드의 변형을 방지하는 리드 고정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 고정지그에는 상기 전극 리드가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셀 트레이{CELL TRAY}
본 발명은 셀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는 일차 전지와는 달리 재충전이 가능하고, 또 소형 및 대용량화 가능성으로 인해 근래에 많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 전지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차 전지는 전지 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코인형 전지, 원통형 전지, 각형 전지, 및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된다. 이차 전지에서 전지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전극 조립체는 전극 및 분리막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 충방전이 가능한 발전소자이다.
전극 조립체는 활물질이 도포된 시트형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介在)하여 권취한 젤리 롤(Jelly-roll)형, 다수의 양극과 음극을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 및 스택형의 단위 셀들을 긴 길이의 분리필름으로 권취한 스택 앤 폴딩(Stack & Folding)형으로 대략 분류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를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에 내장한 구조의 파우치형 전지가, 낮은 제조비, 작은 중량, 용이한 형태 변형 등을 이유로,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고 또한 그것의 사용량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다수의 공정들을 통해 제조되며, 각 공정들을 수행하기 위해 파우치 셀(Cell)들이 트레이(Tray)에 수납되어 각각의 공정으로 운반된다.
종래에 패키지 공정 후 파우치형 전지인 파우치 셀(Pouch Cell)을 트레이(Tray)에 수납시켜 이동시킨 후 다음 공정(전해액 주입공정)에서 파우치 셀을 이동 지그로 잡을 경우 보통 리드가 위치된 부근을 잡는데, 리드의 위치 편차로 인한 리드의 꺾임 혹은 손상이 자주 발생되는 문제가 있어 왔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015647호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셀 트레이에 수용되는 셀의 전극 리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셀 트레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트레이는, 셀을 수용하는 셀 트레이(Cell tray)로서, 상기 셀이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셀의 전극 리드의 변형을 방지하는 리드 고정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 고정지그에는 상기 전극 리드가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셀이 수용되는 셀 트레이에 셀의 전극 리드가 수납되는 리드 고정지그가 구비되어, 전극 리드가 꺾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트레이를 적용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트레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트레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트레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트레이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의 셀 트레이를 적용했을 때의 전극 리드 불량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트레이를 적용했을 때의 전극 리드 불량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 트레이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트레이를 적용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트레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트레이(100)는 셀(10)이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부(113)가 형성된 몸체(110) 및 몸체(110)에 구비되어 셀(10)의 전극 리드(11)의 변형을 방지하는 리드 고정지그(12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셀 트레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트레이(100)는 셀(Cell)(10)을 수용하는 셀 트레이(Cell tray)(100)로서, 수용부(113)가 형성된 몸체(110) 및 몸체(110)에 구비되는 리드 고정지그(120)를 포함한다.
셀(10)은 전극 조립체(미도시) 및 전극 조립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전지 케이스(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셀(10)은 전극 조립체와 외부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극 리드(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1을 참고하면, 전극 리드(11)는 예를 들어 셀(10)의 일측부 또는 양측부에 위치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적용되는 셀(10)의 전극 리드(11) 위치가 여기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전극 리드(11)는 예를 들어 두께가 01. ~ 0.7 mm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적용되는 셀(10)의 전극 리드(11) 두께가 여기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극 조립체는 충방전이 가능한 발전소자로서, 전극과 분리막이 결집되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형성한다.
전극은 양극 및 음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전극 조립체는 양극/분리막/음극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리막은 절연 재질로 이루어져 양극과 음극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한다. 여기서, 분리막은 예를 들어 미다공성을 가지는 폴리에칠렌, 폴리프로필렌 등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트레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트레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몸체(110)는 셀(10)이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부(113)가 형성되고, 수용부(113)는 예를 들어 상부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10)는 측부에 전극 리드(11)가 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가능하도록 관통홀(114)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관통홀(114)은 몸체(110)의 양측면(111,112)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몸체(110)의 양측면 내측으로 셀(10)의 수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Guide) 부(111a,111b)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트레이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리드 고정지그(120)는 몸체(110)에 구비되어 셀(10)의 전극 리드(1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드 고정지그(120)는 몸체(110)의 측면(111,112) 외측에 구비되어, 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전극 리드(1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드 고정지그(120)는 예를 들어 엠씨(MC; Mono Cast) 나일론(nylon)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드 고정지그(120)가 엠씨 나일론 재질로 이루어져 온도 내성 및 자기소화의 효과가 있다. 이때, 엠씨 나일론 재질은 강성이 높은 절연 재질로서 리드 고정지그(120)가 충방전 시 전극 리드(11)와 접하는 리드 고정지그(120) 부분이 절연될 수 있고, 리드 고정지그(120)에 수납된 전극 리드(11)가 외부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리드 고정지그(120)에는 전극 리드(11)가 수납되는 수납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수납홈(121)은 상측(U)에서 하측(D)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납홈(121)은 예를 들어 V 형태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수직단면으로 수납홈(121)의 내면 각도는 40 ~ 8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수직단면으로 수납홈(121)의 내면 각도는 60 ~ 75°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직단면으로 수납홈(121)의 내면 각도가 60°이상으로 형성되어 전극 리드(11)가 수납홈(121)에 수납이 용이한 효과가 있고, 75°이하로 형성되어 전극 리드(11)가 수납홈(121)에 보다 잘 수납될 수 있고, 전극 리드(11)의 위치 편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리드 고정지그(120)는 수납홈(121)이 다수개 형성되고, 다수개의 수납홈(121) 사이 사이에 상부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출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124)의 상단부(124a)는 상부로 볼록한 라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124)의 상단부(124a)는 예를 들어 곡률 반지름이 0.5 ~ 3 mm 인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124)의 상단부(124a)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곡률 반지름이 0.5 ~ 1.5 mm 인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24)의 상단부(124a) 곡률 반지름이 0.5mm 이상으로 형성되어 전극 리드(11)가 수납 시 곡면을 따라 가이드(Guide)되며 수납홈(121)의 하부에 용이하게 수납될 수 있고, 셀(10) 수납 작업 시 작업 오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3mm이하로 형성되어 전극 리드(11)가 수납 시 돌출부(124)의 상단부(124a)와 충돌되며 수납홈(121)에 수납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수납홈(121)의 하측부에는 전극 리드(11)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122)이 더 형성 될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5를 참고할때, 셀(10)의 측부로 연장된 전극 리드(14)에서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122)이 수납홈(121)의 하부 방향으로 더 연장되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홈(122)은 하단부가 오목한 라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삽입홈(122)의 폭(W1)은 전극 리드(11)의 폭 보다 2 ~ 5 mm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삽입홈(122)의 폭(W1)은 전극 리드(11)의 폭 보다 3 ~ 4 mm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홈(122)의 폭(W1)이 3mm 이상으로 형성되어 전극 리드(11)가 수납홈(121)에 수납될 때 충격이 발생되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4mm이하로 형성되어 전극 리드(11)가 수납홈(121)에 수납될 때 위치 편차의 발생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몸체(110)의 관통홀(114)과 리드 고정지그(120)의 삽입홈(122)은 관통홀(114)을 통해 관통된 전극 리드(11) 부분이 삽입홈(122)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트레이(100)는 몸체(110)에 상기 리드 고정지그(120)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수단(130)은 예를 들어 복수개의 나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 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트레이(100)는 셀(10)을 셀 트레이(100)의 몸체(110)에 수용 시, 리드 고정지그(120)의 수납홈(121)에 전극 리드(11)를 수납시켜 전극 리드(11)의 꺾임 또는 손상 등에 따른 변형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드 고정지그(120)의 수납홈(121)을 하측(D)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V 형태로 형성시켜, 전극 리드(11)의 위치를 일정범위 이내로 고정시킴에 따라, 이동 지그(Z)를 통해 셀(10)의 측부에 위치된 전극 리드(11) 부근을 파지할 때 위치 편차의 범위를 최소화시키거나 위치 편차의 발생을 방지하여, 파지 시 위치편차에 따른 전극 리드(11)의 꺾임 등의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리드 고정지그(120)에서 수납홈(121)의 하부에 삽입홈(122)이 더 연장 형성되어 전극 리드(11)의 하단부가 삽입됨에 따라, 전극 리드(11)의 위치 편차 발생을 보다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셀(10)을 이동 지그(Z)가 파지하여 셀 트레이(100)에 수용시킬 때나 셀 트레이(100)에서 배출 시킬 때 전극 리드(11)의 꺾임 등의 변형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종래 기술의 셀 트레이를 적용했을 때의 전극 리드 불량률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트레이를 적용했을 때의 전극 리드 불량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그래프는 리드 고정지그가 없는 종래 기술에 따른 셀 트레이에 셀을 수납 시 셀의 전극 리드 불량 발생 건 수를 나타내고, 도 7에 나타나 있는 그래프는 리드 고정지그가 구비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따른 셀 트레이에 셀을 수납 시 셀의 전극 리드 불량 발생 건 수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6 및 도 7의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작업 일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전극 리드의 불량 발생 건수를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난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별 셀의 전극 리드 불량 발생 건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셀 트레이를 사용했을 때 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트레이를 사용했을 때 현저히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종래의 셀 트레이를 적용했을 때 일별로 12~25건의 전극 리드 불량이 발생된 반면,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트레이를 적용했을 때 0~3건의 전극 리드 불량이 발생되어, 본 발명의 셀 트레이 적용 시 전극 리드의 불량이 발생되지 않거나 현저히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 트레이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 트레이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 트레이(200)는 셀(Cell) 을 수용하는 셀 트레이(Cell tray)(200)로서, 셀(10)이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부(113)가 형성된 몸체(110) 및 몸체(110)에 구비되어 셀(10)의 전극 리드(11)의 변형을 방지하는 리드 고정지그(220)를 포함한다.(참조 도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 트레이(200)는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셀 트레이와 비교할 때, 리드 고정지그(220)의 삽입홈(222) 형태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일 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 또는 간략히 기술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기술하도록 한다.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 트레이(200)에서 리드 고정지그(220)는 몸체(110)에 구비되어 셀(10)의 전극 리드(1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드 고정지그(220)는 몸체(110)의 측면 외측에 구비되어, 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전극 리드(1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리드 고정지그(220)에는 전극 리드(11)가 수납되는 수납홈(22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납홈(221)은 상측(U)에서 하측(D)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리드 고정지그(220)는 수납홈(221)이 다수개 형성되고, 다수개의 수납홈(221) 사이 사이에 상부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출부(22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224)의 상단부(224a)는 상부로 볼록한 라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수납홈(221)의 하측부에는 전극 리드(11)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222)이 더 형성 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홈(222)은 하단부가 오목한 라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홈(222)은 전극 리드(11)의 하단부가 끼움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삽입홈(222)의 폭(W2)은 전극 리드(11)의 하단부가 억지끼움 결합되도록 전극 리드(11)의 폭과 대응되도록 형성되거나 더 좁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리드 고정지그(220)는 플랙서블(flexible) 재질, 절연 재질 및 내열성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리드 고정지그(220)에 전극 리드(11)가 수납 시, 리드 고정지그(220)가 플랙서블 재질을 가짐에 따라, 전극 리드(1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전극 리드(11)가 리드 고정지그(220)에 수납될 때, 또는 수납 후 이동될 때 충격에 의해 전극 리드(1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드 고정지그(220)가 플랙서블 재질을 가짐에 따라, 전극 리드(11)가 끼움결합되기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리드 고정지그(220)가 절연 재질을 가짐에 따라, 충방전 시 전극 리드(11)가 접촉된 리드 고정지그(220) 부분으로 전기가 통전되어 쇼트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충방전 시 또는 이후 셀에 충전된 전기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
아울러, 리드 고정지그(220)가 내열성 재질을 가짐에 따라, 충방전으로 인해 전극 리드(11)가 발열 시, 리드 고정지그(220)가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리드 고정지그(220)는 예를 들어 폴리 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또는 실리콘 러버(silicone rubb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셀 트레이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셀
11: 전극 리드
12: 전지 케이스
100,200: 셀 트레이
110: 몸체
111,112: 측면
111a,112a: 가이드 부113: 수용부
114: 관통홀
120,220: 리드 고정지그
121,221: 수납홈
122,222: 삽입홈
122a,222a: 하단부
124,224: 돌출부
124a,224a: 상단부
130: 고정수단
D: 하측
U: 상측
W1,W2: 폭
Z: 이동 지그

Claims (18)

  1. 셀을 수용하는 셀 트레이(Cell tray)로서,
    상기 셀이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셀의 전극 리드의 변형을 방지하는 리드 고정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 고정지그에는 상기 전극 리드가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셀 트레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은 V 형태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셀 트레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수직단면으로 상기 수납홈의 내면 각도는 40 ~ 80°를 형성하는 셀 트레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수직단면으로 상기 수납홈의 내면 각도는 60 ~ 75°를 형성하는 셀 트레이.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측부에 상기 전극 리드가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가능하도록 관통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리드 고정지그는 상기 몸체의 측면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전극 리드의 변형을 방지하는 셀 트레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의 하측부에는 상기 전극 리드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더 형성되는 셀 트레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관통홀과 상기 리드 고정지그의 삽입홈은
    상기 관통홀을 통해 관통된 상기 전극 리드 부분이 상기 삽입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셀 트레이.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의 폭은 상기 전극 리드의 폭 보다 2 ~ 5 mm 넓게 형성되는 셀 트레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의 폭은 상기 전극 리드의 폭 보다 3 ~ 4 mm 넓게 형성되는 셀 트레이.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전극 리드의 하단부가 끼움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셀 트레이.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하단부가 오목한 라운드 형태로 형성되는 셀 트레이.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드 고정지그는 상기 수납홈이 다수개 형성되고,
    다수개의 수납홈 사이 사이에 상부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상단부는 상부로 볼록한 라운드 형태로 형성되는 셀 트레이.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상단부는 곡률 반지름이 0.5 ~ 3 mm 인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셀 트레이.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상단부는 곡률 반지름이 0.5 ~ 1.5 mm 인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셀 트레이.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상기 리드 고정지그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셀 트레이.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드 고정지그는 엠씨(MC) 나일론(nylon) 재질을 포함하는 셀 트레이.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드 고정지그는 플랙서블(flexible) 재질, 절연 재질 및 내열성 재질을 가지는 셀 트레이.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리드 고정지그는 폴리 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또는 실리콘 러버(silicone rubber)를 포함하는 셀 트레이.
KR1020190024232A 2019-02-28 2019-02-28 셀 트레이 KR202001052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232A KR20200105271A (ko) 2019-02-28 2019-02-28 셀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232A KR20200105271A (ko) 2019-02-28 2019-02-28 셀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271A true KR20200105271A (ko) 2020-09-07

Family

ID=72472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232A KR20200105271A (ko) 2019-02-28 2019-02-28 셀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52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592B1 (ko) * 2020-12-23 2021-10-26 주식회사 비씨시스템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5647A (ko) 2012-06-22 2014-0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5647A (ko) 2012-06-22 2014-0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592B1 (ko) * 2020-12-23 2021-10-26 주식회사 비씨시스템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6577B2 (en) Battery cell of novel structure
US9786897B2 (en)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having electrode tab
KR101309151B1 (ko) 이차 전지
US10109838B2 (en) Rechargeable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50064542A1 (en) Battery pack
US9209493B2 (en) Battery pack
US11303001B2 (en) Battery cell including electrode lead located so as to face outer surface of electrode assembly
KR102275332B1 (ko) 이차 전지
US11581600B2 (en) Venting device
US20130011721A1 (en) Pouch and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US20120064380A1 (en) Rechargeable battery
US10205154B2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short-circuit protrusion
US20210384593A1 (en) Secondary battery
US20210028494A1 (en) Unit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55706B1 (ko) 이차전지용 캡 조립체
KR20200105271A (ko) 셀 트레이
US9214698B2 (en)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fixing part on the inside of the can with a defined distance between the fixing part and the electrode assembly
KR102414195B1 (ko) 이차전지용 파우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US20160218344A1 (en)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having electrode tab
EP4160810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coupling clip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US20220223978A1 (en) Secondary battery
US20230083775A1 (en) Battery cell having protective member
KR20120082145A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EP3333940B1 (en) Secondary battery
KR20230108626A (ko) 파우치형 전지 셀의 활성화공정용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