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5137A - 전기집진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집진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05137A KR20200105137A KR1020190023858A KR20190023858A KR20200105137A KR 20200105137 A KR20200105137 A KR 20200105137A KR 1020190023858 A KR1020190023858 A KR 1020190023858A KR 20190023858 A KR20190023858 A KR 20190023858A KR 20200105137 A KR20200105137 A KR 202001051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ltage electrode
- electrode plate
- high voltage
- plate
- low volt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60—Use of special materials other than liquids
- B03C3/64—Use of special materials other than liquids synthetic res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2—Housing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집진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통풍공을 가지며 소정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집진부 케이스; 및 상기 집진부 케이스에 수용되는 전극판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극판부는 고전압이 인가되는 복수의 고전압 전극판, 상기 고전압 전극판과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서로 교호적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저전압 전극판, 및 상기 고전압 전극판과 저전압 전극판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위치하는 분리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전압 전극판과 저전압 전극판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리판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절단면이 물결모양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집진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전된 오염입자를 집진하기 위한 집진부의 전극판 사이에 엠보싱 표면을 갖고 있는 분리판을 개재시킴으로써 집진효율과 전극판의 안정성을 향상 그리고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전기집진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집진장치는 전기적인 인력을 통해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전기집진장치는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측에 위치하여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대전시키는 대전부와, 대전부 후방에 위치하여 대전된 오염물질을 전기적 인력으로 집진하는 집진부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대전부는 와이어 형상으로 이루어져 플러스(+) 극을 형성하는 방전와이어와, 방전와이어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마이너스(-) 극을 형성하는 대향 전극판들로 이루어지고, 집진부는 복수의 고전압 집진전극판과 복수의 접지전극판이 서로 교대로 배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전기집진장치에 장착되는 집진부는 집진효율을 향상시키고 컴팩트한 집진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고전압 전극판과 저전압 전극판의 두께를 최소화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어 왔다. 그러나 얇아진 두께로 인해 전극판 중앙부에서 처짐이 발생하여 전극판들이 접촉할 위험성에 노출되고, 결과적으로 일정 크기 이상의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한국특허공보 제1525848호가 알려져 있다. 상기 선행문헌에는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고전압 전극과 고전압 전극이 교대로 배치되고, 이들 사이에 지지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전극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지지부재를 고정할 수 있는 설치홀을 저전압 전극에 형성시켜야 하고, 한 쌍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를 저전압 전극의 상면과 하면에서 설치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서로 체결해야 하므로 작업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집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집진부를 구성하는 고전압 전극판과 저전압 전극판의 이격거리를 항상 일정하게 유시시킴으로써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는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서는 제조시간과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전기집진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는, 다수의 통풍공을 가지며 소정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집진부 케이스; 및 상기 집진부 케이스에 수용되는 전극판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극판부는 고전압이 인가되는 복수의 고전압 전극판, 상기 고전압 전극판과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서로 교호적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저전압 전극판, 및 상기 고전압 전극판과 저전압 전극판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위치하는 분리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전압 전극판과 저전압 전극판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리판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절단면이 물결모양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에서 상기 고전압 전극판 및 저전압 전극판의 소정 영역에는 전도성 잉크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에서 상기 분리판 표면은 엠보싱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제조방법은, 고전압 전극판, 저전압 전극판, 및 분리판을 복수 개 준비하는 제1 단계; 및 저전압 전극판, 분리판, 고전압 전극판, 분리판 및 저전압 전극판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고전압 전극판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평판 일측면에 소정 모양으로 전도성 물질을 도포한 후, 전도성 물질이 도포된 면에 다시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평판을 적층하여 준비하고, 상기 저전압 전극판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평판의 양측면에 소정 모양으로 전도성 물질을 도포하여 준비하고, 상기 분리판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절단면이 물결모양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상으로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제조방법에서, 고전압 전극판, 저전압 전극판, 및 분리판을 복수 개 준비하는 제1 단계에서는, 분리판 표면에 엠보싱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엠보싱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분리판 표면과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2단계 이후에 소정 크기로 절단하는 제3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절단은 열선 와이어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에 의하면, 고전압 전극판과 저전압 전극판 사이에 분리판이 구비되어 있어, 오염입자의 집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게다가 상부와 하부에서 전극판을 지지하기 때문에 전극판이 집진부 케이스에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분리판은 표면이 울퉁불퉁한 엠보싱 구조를 갖는 유전체 물질로 이루어져 있어 오염입자를 추가적으로 집진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서는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분리판을 채용하고 있어, 별도의 접착제 없이도 집진부를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조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판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고전압 전극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저전압 전극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판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분리판의 표면변화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 분리판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전극판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전극판부를 가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판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고전압 전극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저전압 전극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판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분리판의 표면변화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 분리판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전극판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전극판부를 가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는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오염입자들이 양이온을 띄도록 하는 대전부(100)와, 대전부(100)에서 대전된 오염입자를 공기 흐름으로부터 집진하여 제거하는 집진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대전부(100)는 오염입자들을 포함하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케이스와, 전원연결단자를 통하여 플러스(+) 극으로 형성되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고정 배치되어 있는 방전전극, 방전전극과 방전전극 사이에 위치하여 마이너스(-)극으로 형성되는 대향전극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대전부의 구성은 공지된 기술에 해당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대전부(100) 후방에는 집진부(200)가 위치한다. 집진부(200)는 대전부(100)에서 대전된 오염입자를 집진하며, 대전부(100)와 동일한 외형을 갖는 집진부 케이스(210)와 집진부 케이스(210)에 고정 배치되는 전극판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판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고전압 전극판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저전압 전극판의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판부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판부(220)는 대전된 오염입자를 집진하기 위하여 고전압 전극판(221)과 저전압 전극판(222)이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교호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이렇게 적층된 고전압 전극판(221)은 플러스(+) 전극, 저전압 전극판(222)은 마이너스(-) 전극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따라서 고전압 전극판(221)은 플러스(+) 극성을 갖도록 고전압이 인가되고, 저전압 전극판(222)은 접지되어 전기장을 형성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대전부(100)에서 공기 중의 각종 오염입자를 플러스(+)로 대전시키면, 플러스(+)로 대전된 오염입자는 쿨롱력에 의하여 집진부(200)에서 상대적으로 마이너스(-) 측의 저전압 전극판(221)에 집진되고 깨끗한 공기는 후방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고전압 전극판(221)과 저전압 전극판(222)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전기집진장치의 전극판은, 내부에는 전도성 물질 그리고 이를 감싸는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고전압 전극판과, 전도성 물질만으로 이루어진 저전압 전극판이 한 쌍을 이루거나, 또는 고전압 전극판과 저전압 전극판 모두 비전도성 물질이 전도성 물질을 감싸는 동일한 전극판이 사용되고 있다.
일예로, 내부에는 전도성 물질 그리고 이를 감싸는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고전압 전극판의 경우에는 전원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층과, 도전층의 상부와 하부에 밀착되는 절연층으로 이루어지며, 저전압 전극판은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등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고전압 전극판(221)과 저전압 전극판(222) 모두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후술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고전압 전극판의 분해 사시도인 도 3 및 저전압 전극판의 분해 사시도인 4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극판(221)과 저전압 전극판(222)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고전압 전극판(221)은 고전압 전극판 기재(221-1)인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평판 일측면에 소정 모양으로 전도성 잉크(A)가 도포되며, 전도성 잉크(A)가 있는 면 상부에는 고전압 전원연결단자(미도시)와 연결되는 영역만 제외하고 나머지 모든 면이 절연되도록 다시 고전압 전극판 기재(221-1)인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평판을 적층시킨다. 반면 저전압 전극판(222)은 고전압 전극판(221)과 외형은 동일하지만, 저전압 전극판 기재(222-1)인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평판 양측면에 전도성 잉크(A)를 모두 도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판부의 단면도인 도 5와 같이, 고전압 전극판(221)과 저전압 전극판(222) 사이에는 분리판(223)이 위치하며, 이러한 분리판(223)은 대전된 오염입자의 집진효율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분리판(223)은 유전체 물질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고전압으로 인해 자기장(정전기장)이 형성되면 극성을 띄게 되므로 분리판(223)에서도 오염입자가 포집된다.
특히, 분리판(223)의 절단면은 물결모양이기 때문에 단일 공간 안에서 더 많은 오염입자를 포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와 하부에서 고전압 전극판(221)과 저전압 전극판(222)을 지지할 수 있어 이들 전극판(221, 222)이 집진부 케이스(210)에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후술할 별도의 접착제 없이도 전극판부(200)를 고정할 수 있다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분리판(223)은 상기 고전압 전극판(221)이나 저전압 전극판(222)과는 달리 전도성 잉크(A)가 도포되어 있지 않으며, 고전압 전극판(221)과 저전압 전극판(222) 사이를 공기가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다.
여기서, 분리판(223)은 고분자 수지,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 분리판의 표면변화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분리판(223) 준비 시, 전처리를 통해 분리판(223)의 표면적을 높임으로써 오염입자의 집진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소정 모양으로 가공하기 전 또는 가공한 후에 분리판(223)의 앞뒤 표면에 10~30kHz의 고주파와 고전압을 가하여 공기를 이온화 시키면, 이 과정에서 발생한 전하를 띤 입자는 분리판 표면에 산화현상을 일으켜 표면에너지를 증가시키고 결과적으로 도 6과 같은 표면이 울퉁불퉁한 엠보싱 구조인 분리판을 얻을 수 있으며, 통상 코로나 표면 처리라고 불리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고전압 전극판(221), 저전압 전극판(222) 그리고 분리판(223)은 번갈아 가면서 적층된다.
도 7은 본 발명 분리판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분리판(223)은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이 물결모양 뿐만 아니라 삼각형, 사각형 등 다각형이어도 무방하고, 또 동일한 재질의 얇은 평판이 상부와 하부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내부에는 전도성 물질 그리고 이를 감싸는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동일한 구조의 전극판을 고전압 및 저전압 전극판(221, 222)으로 사용하는 경우라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평판 일측면에 소정 모양으로 전도성 잉크(A)를 도포하고, 전도성 잉크(A)가 도포되어 있는 면의 상부에 다시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평판을 적층시킴으로써 전극판을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전극판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고전압 전극판(221), 분리판(223) 및 저전압 전극판(222)의 순으로 적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전극판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전도성 잉크(A)의 개수를 제외하고는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전극판부(220)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전도성 잉크(A)에 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서의 실시예와는 달리, 변형 실시예에 따른 전극판부는 전도성 잉크(A)가 5개의 영역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전압 전극판(222)의 경우 하나의 평판 상면과 하면에 전도성 잉크(A)가 5개의 영역이 형성되고, 고전압 전극판(221)도 전도성 잉크(A)가 5개의 영역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의하면, 한 번의 전도성 잉크(A) 도포 작업으로 다수개의 전극판부를 얻을 수 있어 제조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전도성 잉크(A) 영역이 5개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전극판부를 가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 제조방법에 관하여 설명하면, 고전압 전극판(221), 저전압 전극판(222), 및 분리판(223)을 복수 개 준비하는 제1 단계, 저전압 전극판(222), 분리판(223), 고전압 전극판(221), 분리판(223) 및 저전압 전극판(222)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제2 단계 및 소정 크기로 절단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제1 단계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소정의 폭과 넓이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평판 상면에 소정 모양으로 전도성 잉크(A)를 도포한 후, 전도성 잉크(A)가 도포된 상면에 고전압 전원연결단자(미도시)와 연결되는 영역만 제외하고 나머지 모든 면이 절연되도록 다시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평판을 적층시켜, 고전압 전극판(221)을 준비한다.
고전압 전극판(221) 준비와 동시에 또는 이후에 또는 이전에, 소정의 폭과 넓이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평판 상면에 소정 모양으로 전도성 잉크(A)를 도포하고, 이어서 상면에 도포된 전도성 잉크(A)의 모양과 위치가 일치하도록 뒷면에도 전도성 잉크(A)를 도포하여 저전압 전극판(222)을 준비한다.
고전압 전극판(221)과 저전압 전극판(222)과는 별도로 또는 동시에 분리판(223)을 준비하여 둔다. 여기서, 분리판(223)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필요에 따라 전술한 표면 가공처리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제2 단계에서는, 상기와 같이 준비된 고전압 전극판(221) 상부에 물결 모양의 분리판(223)을 적층하고, 물결 모양의 분리판(223) 상부에는 저전압 전극판(222)을 적층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소정 높이를 갖는 5개의 전도성 잉크(A) 영역이 구비된 전극판부(220)를 얻는다.
계속해서, 제3 단계에서는 각 전도성 잉크(A) 영역 가장자리의 절단선(B)을 따라가면서 컷팅기(300)로 컷팅한다. 여기서 컷팅기(300)에는 열선와이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별도의 접착제 없이 다층 구조의 전극판부(220)를 서로 일체화시키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전압 전극판(221)과 저전압 전극판(222)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또 분리판(223)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소정 온도 이상일 경우 용융되고, 따라서 별도의 접착공정이나 접착제 없이도 이들이 일체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완성한 각 전극판부(220)를 집진부 케이스(210)에 장착하고, 고전압 전극판(221)과 저전압 전극판(222)을 각각 전원연결단자(미도시)에 연결함으로써 집진부(200)의 조립을 완료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 대전부
200 : 집진부
210 : 집진부 케이스
211 : 통풍공
220 : 전극판부
221 : 고전압 전극판 221-1 : 고전압 전극판 기재
222 : 저전압 전극판 222-1 : 저전압 전극판 기재
223 : 분리판
300 : 컷팅기
310 : 열선와이어
A : 전도성 잉크
B : 컷팅선
200 : 집진부
210 : 집진부 케이스
211 : 통풍공
220 : 전극판부
221 : 고전압 전극판 221-1 : 고전압 전극판 기재
222 : 저전압 전극판 222-1 : 저전압 전극판 기재
223 : 분리판
300 : 컷팅기
310 : 열선와이어
A : 전도성 잉크
B : 컷팅선
Claims (8)
- 대전된 입자를 집진하기 위한 전기집진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통풍공(211)을 가지며 소정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집진부 케이스(210); 및
상기 집진부 케이스(210)에 수용되는 전극판부(220)를 포함하되,
상기 전극판부(220)는 고전압이 인가되는 복수의 고전압 전극판(221), 상기 고전압 전극판(221)과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서로 교호적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저전압 전극판(222), 및 상기 고전압 전극판(221)과 저전압 전극판(222)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위치하는 분리판(22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전압 전극판(221)과 저전압 전극판(222)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리판(223)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절단면이 물결모양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전극판(221) 및 저전압 전극판(222)의 소정 영역에는 전도성 잉크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223) 표면은 엠보싱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 대전된 입자를 집진하기 위한 전기집진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고전압 전극판(221), 저전압 전극판(222), 및 분리판(223)을 복수 개 준비하는 제1 단계; 및
저전압 전극판(222), 분리판(223), 고전압 전극판(221), 분리판(223) 및 저전압 전극판(222)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고전압 전극판(221)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평판 일측면에 소정 모양으로 전도성 물질을 도포한 후, 전도성 물질이 도포된 면에 다시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평판을 적층하여 준비하고,
상기 저전압 전극판(222)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평판의 양측면에 소정 모양으로 전도성 물질을 도포하여 준비하고,
상기 분리판(223)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절단면이 물결모양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상으로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의 제조방법.
- 제4항에 있어서,
고전압 전극판(221), 저전압 전극판(222), 및 분리판(223)을 복수 개 준비하는 제1 단계에서는, 분리판(223) 표면에 엠보싱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의 제조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분리판(223) 표면과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의 제조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 이후에 소정 크기로 절단하는 제3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의 제조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은 열선 와이어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3858A KR20200105137A (ko) | 2019-02-28 | 2019-02-28 | 전기집진장치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3858A KR20200105137A (ko) | 2019-02-28 | 2019-02-28 | 전기집진장치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5137A true KR20200105137A (ko) | 2020-09-07 |
Family
ID=72472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3858A KR20200105137A (ko) | 2019-02-28 | 2019-02-28 | 전기집진장치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105137A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4493B1 (ko) | 2010-01-29 | 2014-12-2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
KR101525848B1 (ko) | 2009-05-12 | 2015-06-0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기집진장치 |
-
2019
- 2019-02-28 KR KR1020190023858A patent/KR2020010513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5848B1 (ko) | 2009-05-12 | 2015-06-0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기집진장치 |
KR101474493B1 (ko) | 2010-01-29 | 2014-12-2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029860B2 (ja) | 電気集塵装置 | |
US7485174B2 (en) | Electrostatic Dust Collector | |
US8349052B2 (en) | Electric precipitator and electrode thereof | |
KR101806926B1 (ko) | 양면 흡착 구조체, 양면 흡착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양면 흡착 구조체를 이용한 피흡착물의 흡착방법 | |
KR20180101844A (ko) | 전기집진장치 및 집진유닛의 제조방법 | |
KR20110088742A (ko) |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 |
US20200179946A1 (en) | Filtering device | |
KR102190076B1 (ko) | 공기청정기용 집진부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200105137A (ko) | 전기집진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CN209885989U (zh) | 一种新型静电集尘器 | |
CN213480514U (zh) | 电净化组件、空气净化设备 | |
JP7541364B2 (ja) | 電気集塵機 | |
KR102190081B1 (ko) |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 및 이의 제조방법 | |
JP2018167189A (ja) | 電気集塵装置 | |
JPH04187252A (ja) | 電気集塵機 | |
KR20180070147A (ko) | 전기집진장치 | |
JP7127250B2 (ja) | 電気集塵装置 | |
JPH0636878B2 (ja) | 紙製集塵電極の構造 | |
JPS61227861A (ja) | 紙製集塵電極の構造 | |
JP2001038242A (ja) | 静電式集塵装置 | |
JP3257268B2 (ja) | 集塵電極板のスペーサ突起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極板積層体 | |
JPH075872Y2 (ja) | コレクタ電極板 | |
JPH01262955A (ja) | 電気集塵装置 | |
JP2006281047A (ja) | 電気集塵フィルタ | |
CN118142708A (zh) | 一种电极结构、电净化装置及电器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